KR101864091B1 - 위성정보를 이용한 플랜트 부지 예비타당성 평가 방법 - Google Patents

위성정보를 이용한 플랜트 부지 예비타당성 평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4091B1
KR101864091B1 KR1020170155729A KR20170155729A KR101864091B1 KR 101864091 B1 KR101864091 B1 KR 101864091B1 KR 1020170155729 A KR1020170155729 A KR 1020170155729A KR 20170155729 A KR20170155729 A KR 20170155729A KR 101864091 B1 KR101864091 B1 KR 101864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lant
satellite
sit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5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훈
김태우
김형수
윤홍식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3/00Surveying specially adapted to open water, e.g. sea, lake, river or canal
    • G01C13/002Measuring the movement of open water
    • G01C13/006Measuring the movement of open water horizontal mov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74Devices for measuring flow of a fluid or flow of a fluent solid material in suspension in another fl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30Assessment of water re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성정보 등을 이용하여 플랜트 부지의 예비타당성을 평가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위성정보를 이용한 플랜트 부지 예비타당성 평가 방법{Method for pre-evaluating plant sites using satellite information}
본 발명은 위성정보 및 해류정보를 이용하여 플랜트 부지의 예비타당성을 평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해수 담수화 플랜트 또는 전력 플랜트(이하, 아울러서 “플랜트”로 지칭)와 같이 해수를 취수하여 활용하는 다양한 플랜트 운영 시 적조 또는 녹조라 불리는 유해성 조류 유입에 의한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해수 담수화 플랜트는 해수를 취수 및 처리하여 담수화하고 농축수를 방류하는데, 적조가 다량 포함된 해수를 취수하는 경우 담수화 효율이 낮아지고 플랜트에 악영향을 주게 된다.
전력 플랜트는 해수를 취수하여 냉각수로 활용한 후 온도가 상승한 방류수를 방류하는데, 적조가 다량 포함된 해수를 취수하는 경우 냉각 효율과는 별도로 플랜트 내 다양한 부품에 악영향을 주게 된다.
또한, 적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장기간 지속되는 해양 환경에서의 플랜트는 취수뿐만 아니라 방류에도 상호 영향을 받는다.
해수 담수화 플랜트에서 염도가 높은 농축수가 방류수로서 방류되고, 전력 플랜트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의 방류수가 방류되는데, 어느 경우에도 방류시 해류에 의해 신속히 확산될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적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장기간 지속되는 해양 환경에서는 신속한 확산이 어려워 주변 환경에 악영향을 주게 된다.
이에 따라 플랜트에서 취수 및 방류 시에 악영향을 방지하고 예방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수천억의 공사비가 소요되는 플랜트에 있어서, 한 번 부지 위치가 결정되어 공사가 시작되면 그 위치를 변경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런데, 부지 위치가 결정되면 실질적으로 취수 및 방류 위치도 결정되어 해당 플랜트로 인해 영향을 주고 받는 해양의 위치 역시 결정되는 것인데, 그럼에도 플랜트 부지 결정시 이러한 환경 영향보다는 다른 요인들, 예컨대 주변 육지 환경 내지 건물들, 수용 가능성, 부지 가격 등이 고려되는 경우가 다수 있다.
이에 따라, 플랜트 부지에 대한 예비타당성 평가시, 연안 지역 적조 발생 여부 및 정도를 분석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 및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중동 오만에서는 2008년 8개월간 발생한 적조로 인해 일부 플랜트 운전이 55일간 중단되고, 담수 생산량이 30~40%까지 감소한 바 있다. 이를 계기로 2016년 중동담수화연구센터는 위성정보와 해류정보를 이용하여 플랜트의 적조 대응기술을 개발하였다. 다만, 구체적인 적조 대응 기술은 공개되지 않았다.
미국 해양대기관리처(NOAA) 위성정보와 해류정보를 일일 4회 6시간마다 녹조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다만, 국외 해양관측 위성은 극궤도 위성으로서 일일 1~2회, 낮은 해상도로 관측한 영상을 가지고 해류모델을 이용하기에 모니터링 결과의 신뢰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플랜트로의 녹조 유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미국 NOAA의 오대호환경연구실(GLERL)은 해양 관측한 위성정보와 해양정보를 이용하여 플랜트 취수 관리자에게 일일 1시간마다 1km 해상도로 예측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적조 발생 원인에 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고 플랜트로의 적조 유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 및 기술은 개발되지 않았다. 위성정보 만으로는 플랜트로의 적조 유입을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해류정보를 함께 이용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KR 10-2007-0106596A US 9453828 B2 US 2011-0143695 A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종래의 적조 모니터링 기술은 오직 위성정보만을 이용하기에, 위성정보의 낮은 해상도 및 비교적 긴 관측주기로 인하여 연안에 위치한 플랜트로의 적조 유입을 예측하기 불가하였다.
본 발명은 국내 천리안 위성에 의해 관측되는 보다 높은 해상도 및 짧은 관측주기의 위성정보를 이용하되, 다른 정보들을 더 이용하여 적조 등 유해성 조류 유입을 모니터링하고 플랜트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국내 천리안 위성은 세계 최초의 정지궤도 위성으로서 한반도 주변 해양을 일일 8회, 500m의 해상도로 모니터링하여 위성정보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위성정보와 해류정보를 이용하여 플랜트가 위치한 연안에서도 일일 8회, 500m의 해상도로 적조 유입을 예측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며, 궁극적으로 이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플랜트 부지를 선정하고, 플랜트를 제어하여 주변 여건을 개선하고, 플랜트로 인한 환경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정보수집모듈(110)이 위성정보, 해류정보 및 지리적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 단계로서, 상기 위성정보는 소정의 크기로 이루어진 다수의 격자, 각 격자의 정보 및 각 격자의 다중분광영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해류정보는, 상기 소정의 크기로 이루어진 다수의 격자, 각 격자의 정보 및 각 격자의 해류벡터값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지리적정보는 상기 소정의 크기로 이루어진 다수의 격자, 각 격자의 정보 및 각 격자의 해상 및 육지 여부를 포함하는, 정보 수집 단계; (b) 실시간정보 연산모듈(120)이, 각 격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위성정보, 상기 해류정보 및 상기 지리적정보를 중첩함으로써 실시간정보를 연산하는 단계; (c) 예측모듈(130)이, 단위시간 동안 일정한 것으로 가정된 상기 해류정보의 해류벡터값을 상기 실시간정보에 대입함으로써, 단위시간 경과 후 각 격자의 다중분광영상 예측정보를 연산하는 단계; (d) 상기 예측모듈(130)이 상기 다중분광영상 예측정보와 적조 가능성에 대하여 미리 결정된 상관관계를 더 이용함으로써 단위시간 경과 후 적조 가능성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 및 (e) 예비타당성 평가모듈(150)이, 입력된 플랜트(200)의 부지의 위경도(C1, C2, C3) 인근 수역 범위의 적조 가능성 정보을 이용하여, 각 부지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성정보를 이용한 플랜트 부지 예비타당성 평가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입력된 플랜트(200)의 위경도(C1, C2, C3)는 다수 개이며, 상기 (e) 단계는, 상기 예비타당성 평가모듈(150)이, 입력된 플랜트(200)의 다수의 위경도(C1, C2, C3)의 인근 수역 범위를 상기 소정의 크기의 격자를 이용하여 설정하고, 상기 인근 수역 범위의 격자마다 상기 (d) 단계에서 연산된 적조 가능성 정보를 중첩하여 소정의 시간 동안의 연안 적조 가능성 평균을 연산하고, 연산된 연안 적조 가능성 평균을 이용하여 상기 다수의 위경도(C1, C2, C3)에 해당되는 부지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근 수역 범위는, 상기 입력된 플랜트(200)의 위경도에 해당하는 격자에 인접한 격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정보수집모듈(110)은 센서(S)에 의하여 측정된 수질, 수온, 유향, 유속 실측정보를 더 수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b) 단계에서의 실시간 정보는 수질, 수온, 유향, 유속 실측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예측모듈(130)은 단위시간 경과 후 각 격자의 수질, 수온, 유향, 유속 예측정보를 더 연산하고,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예비타당성 평가모듈(150)은 입력된 플랜트(200)의 다수의 위경도(C1, C2, C3)의 인근 수역 범위에서 수질, 수온, 유향, 유속 예측정보를 누적하여 수질, 수온, 유향, 유속 평균을 더 연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e) 단계는, 상기 예비타당성 평가모듈(150)이 입력된 플랜트(200)의 다수의 위경도(C1, C2, C3) 마다의 수질, 수온, 유향, 유속 평균을 더 이용하여 각 부지를 더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플랜트(200)는 해수 담수화 플랜트 또는 전력 플랜트며, 플랜트(200)의 상기 인근 수역 범위는 플랜트(200)가 취수하는 해역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위성정보는 미리 설정된 소정의 위성(10)으로부터 단위시간 간격으로 수신된 정보이며, 상기 해류정보는 해류모델서버(20)로부터 수신된 정보로서 위경도마다 미리 정의된 모델에 의하여 처리된 정보이며, 상기 지리적정보는 GIS 서버(3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위시간은 1시간이며, 상기 위성정보는 500m X 500m 크기의 격자에서 단위시간 간격으로 확인되는 정보이며, 상기 적조 가능성 정보를 이용하여, 확인하고자 하는 위치에서의 1시간 이후의 적조 가능성이 확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여, 위성정보, 해류정보 및 지리적정보를 시공간적으로 함께 이용함으로써 효과적이고 정확한 적조 가능성의 연산이 가능하며. 이를 통하여 플랜트로의 적조 유입 예측이 가능하고 환경 측면 및 해양과 해수 측면에서 효율적이며 친환경적인 플랜트 부지 예비타당성 평가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단지 공간해상도가 높아지고 관측주기가 짧아진 위성정보를 이용한 것뿐만 아니라, 그러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산업 분야에 접목한 것이다.
나아가, 이미 운영 중인 플랜트에서는 적조 가능성이 높은 해수에서 취수를 제한하거나 금지할 수 있으며, 오염물이 많은 해수가 취수될 경우를 대비하여 약품을 미리 준비할 수 있다. 오염물이 적은 쪽으로 배수함으로써 환경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서, 위경도를 이용하여 설정된 격자가 반영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랜트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예비타당성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서, 위경도를 이용하여 설정된 격자가 반영된 도면이다.
이하에서 “플랜트(plant)”는 해수 담수화 플랜트와 전력 플랜트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해수 담수화 플랜트는 해수를 취수하여 담수화 처리한 후 농축수를 해양에 방류한다. 전력 플랜트는 해수를 취수하여 냉각수로 사용한 후 해양에 방류한다.
이하에서 “적조”는, 단지 적조뿐만 아니라 녹조, 유기물, 입자성물질 등 유해성 조류는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위성정보를 이용하여 수치화 가능한 모든 물질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아래에서는 설명을 위하여 이러한 물질들 중 적조를 예시적으로 들어 설명을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은, 위성정보, 해류정보 및 지리적정보를 이용한다.
정보에 대하여 먼저 설명한다.
“위성정보”는 소정의 크기로 이루어진 다수의 격자, 각 격자의 정보 및 각 격자의 다중분광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이다. 위성(10)에서 수집되는 정보이며, 각 격자의 크기는 500m X 500m일 수 있다. 또한, 단위시간마다 위성정보가 획득되는데, 여기서 단위시간은 1시간일 수 있다. 여기서 격자의 크기는 보다 작아질 수 있으며(즉, 해상도가 증가할 수 있으며), 단위시간 역시 더 작아질 수 있다. 여기서, “격자의 정보”는 다양한 격자의 위치를 구분하는 기준이자, 후술하는 해류정보 및 지리적정보와 위성정보의 격자들을 동기화하기 위한 기준이다. 즉, 각 격자의 좌상단, 좌하단, 우상단, 우하단 모서리가 특정되어 동기화될 수 있으면 충분하며, 예를 들어 위경도 값 또는 직교좌표계 내지 격자좌표계의 값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해류정보”는, 소정의 크기로 이루어진 다수의 격자, 각 격자의 정보 및 각 격자의 해류벡터값을 포함하는 정보이다. 격자의 크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 격자의 크기는 500m X 500m일 수 있으며, 위성정보에서의 격자의 크기와 동일하여야 한다. 해류벡터값은 특정 위치에서의 해류의 방향과 속도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류모델서버(20)에서 수신되는 정보이다. 즉, 해류모델서버(20)에는 수 해 동안의 통계 데이터에서 비롯된 해류벡터값이 수치적으로 정의된 “해류모델”이 미리 처리되어 저장되어 있다. 해류모델은 원해에서의 모델인 “해류수치모델”과 근해에서의 모델인 “조류수치모델”로 구분될 수 있는데, 여기서는 이를 “해류모델”로 통칭하며, 이러한 해류모델은 널리 알려진 것인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지리적정보”는 소정의 크기로 이루어진 다수의 격자, 각 격자의 정보 및 각 격자의 해상 및 육지 여부를 포함하는 정보이다. 격자의 크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500m X 500m일 수 있으며, 위성정보 및 해류정보에서의 격자의 크기와 동일하여야 한다. 지리적정보는 GIS 서버(3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정보이다. 즉, GIS 서버(30)에는 위경도와 같은 각 격자의 정보 및 해상/육지 여부에 대한 데이터베이스가 미리 구축되어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는 널리 알려진 것인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지리적정보”는 위성정보 또는 해류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일 수도 있으며, 연안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플랜트 내지 인공구조물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의 좌측에는 위성정보, 해류정보 및 지리적정보가 도시된다.
도 2의 좌측 상부에 지리적정보가 도시되며 다수의 격자와 함께 해상 및 육지가 구분되어 도시된다. 연안에서는 하나의 격자에 해상과 육지가 함께 있을 수 있는데, 이 경우 해상으로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의 좌측 중간에는 위성정보가 도시되며 다수의 격자와 함께 다중분광영상 정보가 함께 도시된다.
“다중분광영상 정보”는 클로로필 정도 및 유기물 정도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하여 변화되는 수치값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위성(10)에 의한 해양관측시 확인된 영상정보에는 천연색영상 정보 및 다중분광영상 정보가 포함될 수 있는데, 분광학적 기술에 의하여 추출된 다중분광영상 정보는 각 격자별로 수치가 다르며, 이는 클로로필 정도 및 유기물 정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나타낸다. 이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RGB값으로 표현될 수도 있고 그레이 스케일, 또는 YMCK값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되는 예시에서는, 발명의 설명을 위해서 빨간색이 파란색보다 높은 클로로필 및 유기물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다중분광영상 예측정보”는 이러한 다중분광영상 정보를 예측한 정보를 의미한다.
도 2의 좌측 하단에는 해류정보가 도시되며 다수의 격자와 함께 해류백터값이 화살표로서 함께 도시된다. 해류벡터값은 해류의 방향과 크기를 포함하며, 화살표의 방향이 해류 방향이며 화살표의 길이가 해류 크기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위성정보, 해류정보 및 지리적정보 외에 “수질, 수온, 유향, 유속 실측정보”를 더 이용할 수 있다.
“수질, 수온, 유향, 유속 실측정보”는 해상에 위치한 다수의 센서(S)에서 측정되는 것이며, 다수의 센서(S)의 위치(즉, 위경도값)이 미리 확인되어 있는바, 특정 위치의 수질, 수온, 유향, 유속 실측정보의 확인이 가능하다. 해상에 위치한 센서(S)는 해상 부이에 위치하는 것일 수도 있으며, 또는 선박에 위치한 것일 수도 있다.
한편, “수질, 수온, 유향, 유속 실측정보”는 위성(10)에서도 획득될 수 있다. 즉, 다중분과영상 정보에서도 획득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센서(S)에서 측정되는 것과 비교하여 정확도가 낮고 측정 시간 간격이 길다. 따라서, 해상 부이, 선박 또는 무인잠수정 등에 구비된 센서(S)가 모든 해상의 수질, 수온, 유향, 유속을 실측할 수 없는 경우,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위성(10)에서 획득되는 정보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부(100)는 정보수집모듈(110), 실시간정보 연산모듈(120), 예측모듈(130), 예비타당성 평가모듈(150), 취수위치 선정모듈(160) 운영제어모듈(170), 방류제어모듈(180) 및 정보출력모듈(190)을 포함한다.
제어부(100)는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적조, 녹조 등 유해성 조류의 유입을 예측함으로써 플랜트(2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여기서 플랜트(200)는 해수를 취수하는 해수 담수화 플랜트 또는 전력 플랜트일 수 있다.
정보수집모듈(110)은 정보를 수집한다. 위성정보, 해류정보 및 지리적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수질, 수온, 유향, 유속 실측정보를 더 수집할 수 있다.
실시간정보 연산모듈(120)은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실시간정보를 연산하고, 예측모듈(130)은 이를 더 가공하여 적조 가능성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간 정보”는 도 2의 중간 도면에 도시된 정보로서, 각 격자의 다중분광영상 정보는 물론 해류정보와 지리적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예비타당성 평가모듈(150)은 적조 가능성 정보를 이용하여 다수의 플랜트(200)의 부지들의 예비타당성을 평가하는 기능을 한다.
취수위치 선정모듈(160)은 플랜트(200)의 취수위치를 선정하는 기능을 하며, 운영제어모듈(170)은 플랜트(200)의 운영을 다양하게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방류제어모듈(180)은 플랜트(200)의 방류위치를 선정하고 방류여부를 결정하는 기능을 한다.
정보출력모듈(190)은 예비타당성 평가모듈(150)에서 평가된 예비타당성 결과 및 취수위치 선정모듈(160)에서 선정된 취수위치를 사용자에게 그림, 그래프 및 표 형태로 문서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도 3을 참조하여 플랜트(200)를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플랜트(200)는 해수 담수화 플랜트이거나 해수를 취수하는 전력 플랜트일 수 있는데, 여기서는 해수 담수화 플랜트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플랜트(200)는 취수 모듈(210)과 전처리부(220)와 담수처리부(230)와 배수 모듈(240)을 포함한다.
취수 모듈(210)은 해수를 취수하기 위한 취수 라인(IL)을 포함한다. 취수 라인(IL)에는 취수 여부를 제어하는 밸브(IV)가 구비된다.
선택적으로, 취수 모듈(210)의 후단에 취수저류부(21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취수저류부(215)를 향하는 밸브(IV1)를 개방하고 전처리부(220)를 향하는 밸브(IV2)를 폐쇄함으로써, 취수 모듈(210)에서 취수된 해수가 취수저류부(215)에 저류된다. 취수저류부(215)에 저류된 해수는 필요시 전처리부(220)로 이송되어 처리된다.
전처리부(220)는 해수에서 오염물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약품주입부(221)가 연결되어 응집제 등의 약품이 투입될 수 있으며, 이는 별도의 밸브(CV1)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오염 정도가 심할수록 더 많은 약품이 투입된다. 전처리를 위한 어떠한 방식을 채택하여도 무방하다. 처리된 이후의 오염물은 슬러지는 별도 수집되어 배출된다.
전처리부(220)에서 처리되어 발생하는 폐수는 폐수처리부(225)로 유동한다. 별도의 밸브(CV2)에 의해 약품주입부(221)의 약품이 폐수처리부(225)에 주입되어 폐수가 처리된다. 여기서 처리된 폐수(즉, 슬러지가 제거된 폐수)는 전처리부(220)에 다시 주입되어 전처리 및 담수처리됨으로서 전체 회수율을 상승시킬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밸브(WV1)가 개방된다. 또는, 처리된 폐수가 배수 모듈(240)을 통해 방류될 수도 있으며, 이를 위해 밸브(WV2)가 개방된다. 한편, 폐수처리부(225)의 처리 과정에서 발생한 슬러지는 별도 배출되어 수거된다.
담수처리부(230)는 해수를 담수화하는 주처리 기능을 수행한다. 역삼투(RO) 또는 정삼투(FO) 방식을 채택할 수 있으며, 또는 그 외의 다른 어떠한 방법도 사용할 수 있다. 담수처리부(230)에서의 담수화 처리에 의하여 담수인 처리수와 폐수가 발생하는데, 처리수는 별도 수집되어 활용되고 폐수는 배수 모듈(240)을 통해 방류된다.
방류수는 배수 모듈(240)을 통해 방류되며 배수 라인(DL)을 포함한다. 배수 라인(DL)에는 배수 여부를 제어하는 밸브(DV)가 구비된다. 배수 모듈(240)의 전단에는 배수 펌프(DP)가 구비될 수 있어서, 해양으로 방류되는 방류수의 압력(즉, 유속)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수 펌프(DP) 제어에 의해 보다 빠른 속도로 방류될 수 있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배수 모듈(240)의 전단에 방류저류부(245)가 더 구비되어 방류수가 일정 기간 저류될 수 있다. 여기에 저류된 방류수는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해양으로 방류된다.
전력 플랜트인 경우에도 동일하게 취수 모듈과 배수 모듈을 모두 구비한다. 다만, 담수처리부(230) 대신 해수를 사용하는 다른 사용처가 포함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위성정보을 이용한 플랜트 부지 예비타당성 평가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정보수집모듈(110)이 위성정보, 해류정보 및 지리적정보를 수집한다.
실시간정보 연산모듈(120)은, 수집된 위성정보, 해류정보 및 지리적정보를 중첩한다. 중첩시, 격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동기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경도를 시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위성정보가 단위시간(예를 들어, 1시간) 간격으로 획득되므로, 1시간 간격의 실시간정보가 연산되는 것이다. 도 2의 중간의 도면이 실시간정보를 도시한다.
다음, 예측모듈(130)이, 해류정보의 해류벡터값을 상기 실시간정보에 대입함으로써, 단위시간 경과 후 다중분광영상 예측정보를 연산한다. 해류벡터값의 방향 및 속도가 단위시간 동안 일정한 것으로 가정된 것이다. 다중분광영상 정보에 해당하는 수치값이 해류벡터값의 방향 및 속도에 의하여 이동한 것으로 연산함으로써 예측정보가 연산되는데, 연산된 예측정보는 단위시간 이후의 값으로 해석할 수 있다.
클로로필 정도 및 유기물 정도를 의미하는 다중분광영상 정보와 적조 가능성 사이의 상관관계는 종래 기술에 따라 미리 결정되어 있다. 도 2에서는 다중분광영상 정보 또는 다중분광영상 예측 정보 상의 RGB값이 빨간색일수록 적조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예측모듈(130)이 이와 같은 상관관계를 이용함으로 각 격자에서의 적조 가능성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격자에는 위경도가 할당되어 있는바, 단위시간 경과 후 위경도마다의 적조 가능성 정보를 연산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육지에 인접한 연안에서의 적조 가능성 정보를 이용하여 플랜트(200) 인근을 비롯한 모든 연안에 대하여 연안 적조 유입 가능성 정보의 연산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지리적정보에 포함된 해상 및 육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각 격자 중 연안에 해당하는 격자의 확인이 가능한바, 해당 격자의 적조 가능성에 비례하게 연안 적조 유입 가능성 정보가 연산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연산된 적조 가능성 정보 및 적조 유입 가능성 정보는 정보 출력 모듈(190)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이를 이용하여 예비타당성 평가모듈(150)이 플랜트(200)의 부지를 평가하고, 취수위치 선정모듈(160)이 플랜트(200)의 취수위치를 선정하고, 운영제어모듈(170)이 플랜트(200)의 운영을 제어하고, 방류제어모듈(180)이 방류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비타당성 평가모듈(150)이, 입력된 플랜트(200)의 다수의 위경도(C1, C2, C3)의 인근 수역 범위를 상기 소정의 크기의 격자를 이용하여 설정하고, 상기 인근 수역 범위의 격자마다 연산된 적조 가능성 정보를 중첩하여 소정의 시간 동안의 연안 적조 가능성 평균을 연산하고, 연산된 연안 적조 가능성 평균을 이용하여 각 부지를 평가하는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3개의 부지의 위경도(C1, C2, C3)가 도시되는데, 플랜트(200)의 격자에 인접한 격자가 인근 수역으로 결정되는 것이다. 여기서는 각각 7개의 격자가 해상이고 1개의 격자가 육지여서, 총 7개의 격자가 선택되었다.
7개의 격자 각각에는 앞선 단계에서 이미 적조 가능성이 연산되어 있으므로 이들을 이용하여 평균값이 연산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C1” 부지의 적조 가능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연산되었다. 따라서, 예비타당성 평가에 있어서 “C1” 부지가 가장 높은 평가를 받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연산된 예비타당성 결과 역시 정보 출력 모듈(190)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출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정보수집모듈(110)은 센서(S)에 의하여 측정된 수질, 수온, 유향, 유속 실측정보를 더 수집할 수 있는바, 전술한 실시간정보는 수질, 수온, 유향, 유속 실측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예측모듈(130)은 해류정보의 해류벡터값을 실시간정보에 대입함으로써 단위시간 경과 후 각 격자의 수질, 수온, 유향, 유속 예측정보를 더 연산할 수도 있다.
또한, 센서(S)가 확보하지 못하는 위치에서의 수질, 수온, 유향, 유속 실측정보는 위성(10)을 통하여 확인되어 보완될 수도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수질, 수온, 유향, 유속 예측정보의 연산도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인공위성
20: 해류모델 서버
30: GIS 서버
100: 제어부
110: 정보 수집 모듈
120: 실시간정보 연산모듈
130: 예측모듈
150: 예비타당성 평가모듈
160: 취수위치 선정모듈
170: 운영제어모듈
180: 방류제어모듈
190: 정보출력모듈
200: 플랜트
210: 취수 모듈
215: 취수저류부
220: 전처리부
221: 약품주입부
225: 폐수처리부
230: 담수처리부
245: 방류저류부
240: 배수 모듈

Claims (10)

  1. (a) 정보수집모듈(110)이 위성정보, 해류정보 및 지리적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 단계로서,
    상기 위성정보는 소정의 크기로 이루어진 다수의 격자, 각 격자의 정보 및 각 격자의 다중분광영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해류정보는, 상기 소정의 크기로 이루어진 다수의 격자, 각 격자의 정보 및 각 격자의 해류벡터값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지리적정보는 상기 소정의 크기로 이루어진 다수의 격자, 각 격자의 정보 및 각 격자의 해상 및 육지 여부를 포함하는, 정보 수집 단계;
    (b) 실시간정보 연산모듈(120)이, 각 격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위성정보, 상기 해류정보 및 상기 지리적정보를 중첩함으로써 실시간정보를 연산하는 단계;
    (c) 예측모듈(130)이, 단위시간 동안 일정한 것으로 가정된 상기 해류정보의 해류벡터값을 상기 실시간정보에 대입함으로써, 단위시간 경과 후 각 격자의 다중분광영상 예측정보를 연산하는 단계;
    (d) 상기 예측모듈(130)이 상기 다중분광영상 예측정보와 적조 가능성에 대하여 미리 결정된 상관관계를 더 이용함으로써 단위시간 경과 후 적조 가능성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
    (e) 예비타당성 평가모듈(150)이, 입력된 플랜트(200)의 부지의 위경도(C1, C2, C3) 인근 수역 범위의 적조 가능성 정보을 이용하여, 각 부지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성정보를 이용한 플랜트 부지 예비타당성 평가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입력된 플랜트(200)의 위경도(C1, C2, C3)는 다수 개이며,
    상기 (e) 단계는,
    상기 예비타당성 평가모듈(150)이, 입력된 플랜트(200)의 다수의 위경도(C1, C2, C3)의 인근 수역 범위를 상기 소정의 크기의 격자를 이용하여 설정하고, 상기 인근 수역 범위의 격자마다 상기 (d) 단계에서 연산된 적조 가능성 정보를 중첩하여 소정의 시간 동안의 연안 적조 가능성 평균을 연산하고, 연산된 연안 적조 가능성 평균을 이용하여 상기 다수의 위경도(C1, C2, C3)에 해당되는 부지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성정보를 이용한 플랜트 부지 예비타당성 평가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근 수역 범위는, 상기 입력된 플랜트(200)의 위경도에 해당하는 격자에 인접한 격자를 포함하는,
    위성정보를 이용한 플랜트 부지 예비타당성 평가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수집모듈(110)은 센서(S)에 의하여 측정된 수질, 수온, 유향, 유속 실측정보를 더 수집하는,
    위성정보를 이용한 플랜트 부지 예비타당성 평가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의 실시간 정보는 수질, 수온, 유향, 유속 실측정보를 더 포함하는,
    위성정보를 이용한 플랜트 부지 예비타당성 평가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예측모듈(130)은 단위시간 경과 후 각 격자의 수질, 수온, 유향, 유속 예측정보를 더 연산하고,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예비타당성 평가모듈(150)은 입력된 플랜트(200)의 다수의 위경도(C1, C2, C3)의 인근 수역 범위에서 수질, 수온, 유향, 유속 예측정보를 누적하여 수질 및 수온 평균을 더 연산하는,
    위성정보를 이용한 플랜트 부지 예비타당성 평가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예비타당성 평가모듈(150)이 입력된 플랜트(200)의 다수의 위경도(C1, C2, C3) 마다의 수질, 수온, 유향, 유속 평균을 더 이용하여 각 부지를 더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성정보를 이용한 플랜트 부지 예비타당성 평가 방법.
  8. 제 2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랜트(200)는 해수 담수화 플랜트 또는 전력 플랜트며,
    플랜트(200)의 상기 인근 수역 범위는 플랜트(200)가 취수하는 해역을 포함하는,
    위성정보를 이용한 플랜트 부지 예비타당성 평가 방법.
  9. 제 2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성정보는 미리 설정된 소정의 위성(10)으로부터 단위시간 간격으로 수신된 정보이며,
    상기 해류정보는 해류모델서버(20)로부터 수신된 정보로서 각 격자마다 미리 정의된 모델에 의하여 처리된 정보이며,
    상기 지리적정보는 GIS 서버(3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정보이며,
    상기 격자의 정보는 위경도를 포함하는,
    위성정보를 이용한 플랜트 부지 예비타당성 평가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시간은 1시간이며,
    상기 위성정보는 500m X 500m 크기의 격자에서 단위시간 간격으로 확인되는 정보이며,
    상기 적조 가능성 정보를 이용하여, 확인하고자 하는 위치에서의 1시간 이후의 적조 가능성이 확인되는,
    위성정보를 이용한 플랜트 부지 예비타당성 평가 방법.
KR1020170155729A 2017-02-17 2017-11-21 위성정보를 이용한 플랜트 부지 예비타당성 평가 방법 KR1018640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21455 2017-02-17
KR1020170021455 2017-02-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4091B1 true KR101864091B1 (ko) 2018-06-01

Family

ID=62635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5729A KR101864091B1 (ko) 2017-02-17 2017-11-21 위성정보를 이용한 플랜트 부지 예비타당성 평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40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3114B1 (ko) * 2019-12-12 2021-06-10 주식회사 선도소프트 Gis 기반의 생태계서비스 평가정보 통합 매핑 시스템 및 방법
KR102461861B1 (ko) * 2021-11-22 2022-11-0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북극권 자원 개발을 위한 최적 위치 선정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6596A (ko) 2007-09-28 2007-11-02 이우성 해양재난방지 및 해양환경산업발전을 위한 유해적조구제장비 및 종합재난 방지시스템.
US20110143695A1 (en) 2009-12-15 2011-06-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Sensing apparatus, network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on the basis of satellite
KR20120121163A (ko) * 2011-04-26 2012-11-05 (주)비엔티솔루션 웹 3d를 이용한 실시간 해양공간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US9453828B2 (en) 2014-07-18 2016-09-27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and sampling hydrocarbons with buoys
KR20160143087A (ko) * 2015-06-04 2016-12-1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정보분석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6596A (ko) 2007-09-28 2007-11-02 이우성 해양재난방지 및 해양환경산업발전을 위한 유해적조구제장비 및 종합재난 방지시스템.
US20110143695A1 (en) 2009-12-15 2011-06-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Sensing apparatus, network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on the basis of satellite
KR20120121163A (ko) * 2011-04-26 2012-11-05 (주)비엔티솔루션 웹 3d를 이용한 실시간 해양공간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US9453828B2 (en) 2014-07-18 2016-09-27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and sampling hydrocarbons with buoys
KR20160143087A (ko) * 2015-06-04 2016-12-1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정보분석장치 및 그 동작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 1 *
비특허 2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3114B1 (ko) * 2019-12-12 2021-06-10 주식회사 선도소프트 Gis 기반의 생태계서비스 평가정보 통합 매핑 시스템 및 방법
KR102461861B1 (ko) * 2021-11-22 2022-11-0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북극권 자원 개발을 위한 최적 위치 선정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ran Thi et al. Application of remote sensing and GIS for detection of long-term mangrove shoreline changes in Mui Ca Mau, Vietnam
Steinfeld et al. Disconnecting the floodplain: earthworks and their ecological effect on a dryland floodplain in the Murray–Darling Basin, Australia
KR101828224B1 (ko) 위성정보 및 해류정보를 이용한 적조 모니터링 방법
Bleninger et al. Environmental planning, prediction and management of brine discharges from desalination plants
Kabenge et al. Urban eutrophication and its spurring conditions in the Murchison Bay of Lake Victoria
KR101864091B1 (ko) 위성정보를 이용한 플랜트 부지 예비타당성 평가 방법
Eregno et al. Hydrodynamic modelling of recreational water quality using Escherichia coli as an indicator of microbial contamination
KR101866703B1 (ko) 위성정보 및 해류정보를 이용한 플랜트 취수위치 선정 방법
El-Zeiny et al. Anthropogenic impacts on water quality of River Nile and marine environment, Rosetta branch using geospatial analyses
Mosquera-Guerra et al. Population estimate and identification of major conservation threats for the river dolphin (Inia geoffrensis humboldtiana) at the Colombian Orinoquia
KR101880863B1 (ko) 위성정보 및 해류정보를 이용한 플랜트 제어 방법
KR101851108B1 (ko) 위성정보 및 해류정보를 이용한 플랜트 방류 제어 방법
Subiyanto Remote sensing and water quality indicators in the west flood canal semarang city: spatio-temporal structures of lansat-8 derived chlorophyll-a and total suspended solids
Bacchus et al. Benthic macroalgal blooms as indicators of nutrient loading from aquifer-injected sewage effluent in environmentally sensitive near-shore waters associated with the south Florida Keys
Twiss et al. Tributary impacts on nearshore surface water quality detected during a late summer circumnavigation along the 20 m isopleth of Lake Ontario
Abd-Elhamid et al. Mathematical models to control saltwater intrusion in coastal aquifers
Prathibha et al. Predicting the parameters of water quality and calculating the water quality index of ulsoor lake, bangalore, india using deep learning techniques
Ahmed et al. Eutrophication assessment of Lake Manzala, Egypt using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GIS) techniques
Tanner et al. Analysis of long-term chlorophyll trends in Utah Lake using Landsat Data and Lake Regions
CAGSAO et al. SPATIO-TEMPORAL WATER QUALITY MAPPING USING SATELLITE DATA AROUND A MANGROVE PLANTATION
Mächler et al. Water tracing with environmental DNA in a high-Alpine catchment
Gashkina et al. Character of spatiotemporal variations i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lake water under the influence of emission from copper–nickel plants: Prediction of acidification
Song et al. Algae Inflow monitoring using satellite images for the process control of the Gijang desalination plant in Busan, South Korea
LeBeau et al. Biogeomorphic Effects of Beaver Dams and Beaver Dam Analogs on Stream Systems in a Montane Meadow in the Northern Sierra Nevadas
MUÑOZ Bioindicators and bio monitoring: Water quality control and sample management from La Purisima dam in the state of Guanajuato, Mexico, involving safety measures against covid 19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