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3952B1 - 지리적 정보 출력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리적 정보 출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3952B1
KR101863952B1 KR1020160036284A KR20160036284A KR101863952B1 KR 101863952 B1 KR101863952 B1 KR 101863952B1 KR 1020160036284 A KR1020160036284 A KR 1020160036284A KR 20160036284 A KR20160036284 A KR 20160036284A KR 101863952 B1 KR101863952 B1 KR 101863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information output
unit
ex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6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1258A (ko
Inventor
김주윤
김지호
박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닷
Priority to KR1020160036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3952B1/ko
Publication of KR20170111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1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3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3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에게 지리적 정보를 출력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조사하는 사용자 위치 조사부, 상기 사용자 위치 조사부에서 조사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의 주변의 지리적 정보를 조사하는 주변 정보 조사부, 상기 주변 정보 조사부에서 조사한 정보에 따라 출력할 출력 정보를 생성하는 출력 정보 생성 제어부 및 상기 출력 정보 생성 제어부가 생성한 출력 정보에 대응되도록 적어도 일 방향으로 운동하여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돌출 시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의 표현 부재를 구비하는 정보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지리적 정보 출력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지리적 정보 출력 시스템{Information output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지리적 정보 출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지리적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지리적 정보 출력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들면 인쇄물을 이용한 시각적 지리적 정보 출력 시스템, 소리를 통한 청각적 지리적 정보 출력 시스템 등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현대는 정보량의 증가 및 기술 발전에 따라 전자 기술이 포함된 지리적 정보 출력 시스템도 많이 사용되고 있고, 다수의 화소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시각적 지리적 정보 출력 시스템으로 흔히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다양한 회로 등이 내장되어 제조의 의성이 감소하고 제어상의 불편성이 있다.
한편, 기술 발전, 생활 습관의 다양화 등으로 인하여 다양한 방식의 정보 출력 형태가 요구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별로 갖고 있는 상황에 따라 다양한 지리적 정보 출력 시스템을 요구할 수 있고, 특히 특정 감각이 약화된 사용자, 예를들면 시각적 능력이 약하거나 없는 경우 촉각을 통한 정보 출력이 요구된다.
촉각을 통한 정보 출력 시 이를 용이하게 제어하고 안정적으로 구동에 곤란이 있어 지리적 정보 출력 시스템의 향상을 통한 사용자의 편의성 향상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하는 지리적 정보 출력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에게 지리적 정보를 출력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조사하는 사용자 위치 조사부, 상기 사용자 위치 조사부에서 조사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의 주변의 지리적 정보를 조사하는 주변 정보 조사부, 상기 주변 정보 조사부에서 조사한 정보에 따라 출력할 출력 정보를 생성하는 출력 정보 생성 제어부 및 상기 출력 정보 생성 제어부가 생성한 출력 정보에 대응되도록 적어도 일 방향으로 운동하여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돌출 시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의 표현 부재를 구비하는 정보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지리적 정보 출력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위치 조사부는 사용자의 이동 시 사용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조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주변 정보 조사부는 사용자의 주변의 지형 및 지물의 정보를 조사하는 지형 지물 조사부 또는 사용자 주변의 이동 물체를 조사하는 이동 물체 조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정보 생성 제어부는 상기 정보 출력 장치의 복수의 표현 부재 중 어떤 표현 부재가 돌출될 것인지를 결정하는 표현 부재 돌출 위치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정보 생성 제어부는 상기 표현 부재의 돌출되는 높이 정보를 생성하는 표현 부재 돌출 높이 정보 제어부 또는 상기 표현 부재가 돌출되어 돌출되는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을 제어하는 표현 부재 돌출 유지 정보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출력 장치는 차량의 내부에 운전석과 조수석의 사이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출력 장치의 복수의 표현 부재를 이용하여 사용자 주변의 지리적 정보를 표현하고, 상기 복수의 표현 부재는 상기 지리적 정보 표시 시에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상이한 돌출 높이를 갖도록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리적 정보 출력 시스템은 사용자의 위치를 표시하는 기준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준 영역은 상기 복수의 표현 부재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인식하는 입력 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목적지 입력을 통하여 상기 입력 인식부가 목적지 정보를 인식 시, 상기 정보 출력 장치의 복수의 표현 부재는 상기 인력 인식부에서 인식한 목적지 정보를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순차적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입력 인식부는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등록하는 인증 등록부 및 사용자가 입력한 인증 정보가 상기 인증 등록부에 등록된 인증 정보와 부합하는지 판단하는 인증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출력 장치는 상기 인증 판단부의 결과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출력 장치는 상기 표현 부재의 돌출을 위한 운동을 구동하는 구동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출력 장치는 상기 구동 부재의 주변에 배치된 코일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는 자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1 베이스 부재 및 제2 베이스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 부재와 상기 구동 부재의 사이 또는 상기 제2 베이스 부재와 상기 구동 부재의 사이에 배치된 중간 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출력 장치는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면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가이드 돌출 부재를 구비하는 가이드 베이스 및 상기 가이드 베이스 상부에 배치되는 자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가이드 베이스 상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돌출 부재에 대응되어 적어도 일 방향으로 운동하고, 상기 표현 부재는 상기 구동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부재와 같은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출력 장치는 제1 방향을 따라 운동하는 구동 모듈 및 상기 구동 모듈과 상기 표현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 모듈에 의하여 상기 제1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운동하고 상기 구동 모듈의 구동력을 상기 표현 부재에 전달하는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지리적 정보 출력 시스템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지리적 정보 출력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도 1의 주변 정보 조사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도 1의 출력 정보 생성 제어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지리적 정보 출력 시스템을 적용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지리적 정보 출력 시스템을 적용한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는 도 3의 정보 출력 장치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5b는 도 5a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정보 출력 장치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a는 도 6의 정보 출력 장치의 Ⅶ-Ⅶ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정보 출력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a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정보 출력 장치의 Ⅸ-Ⅸ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a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7a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a는 도 7a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b는 도 14a의 정보 출력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지리적 정보 출력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지리적 정보 출력 시스템(1000)은 사용자 위치 조사부(100), 주변 정보 조사부(200), 출력 정보 생성 제어부(500) 및 정보 출력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지리적 정보 출력 시스템(1000)을 통하여 지리적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사용자 위치 조사부(100)는 사용자의 위치를 조사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 위치 조사부(100)는 사용자의 이동 시 위치를 실시간으로 조사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 위치 조사부(100)는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를 조사하기 위하여 다양한 장치를 이용할 수 있고, 예를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할 수 있다.
주변 정보 조사부(200)는 사용자 위치 조사부(100)에서 조사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의 주변의 지리적 정보를 조사할 수 있다. 예를들면 주변 정보 조사부(200)는 사용자의 주변의 길의 정보를 조사할 수 있고, 주변의 건물의 정보를 조사할 수 있고, 그 외에 사용자의 주변의 다양한 지리적 정보를 조사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주변 정보 조사부(200)는 지리적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를 구비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실시간으로 필요시에 저장부와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정보를 수신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주변 정보 조사부(200)는 GPS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주변의 지리적 정보를 조사할 수 있다.
출력 정보 생성 제어부(500)는 상기 주변 정보 조사부(200)에서 조사한 정보에 따라 출력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사용자 위치 조사부(100)에서 조사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주변 정보 조사부(200)는 사용자 주변의 지리적 정보를 조사할 수 있고, 출력 정보 생성 제어부(500)는 이러한 지리적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출력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들면, 출력 정보 생성 제어부(500)는 주변 정보 조사부(200)에서 조사한 사용자의 주변의 길의 정보, 주변의 건물의 정보 또는 주변의 다양한 지리적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출력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정보 출력 장치(300)는 복수의 표현 부재(330)를 구비하고, 표현 부재(330)는 출력 정보 생성 제어부(500)가 생성한 출력 정보에 대응되도록 적어도 일 방향으로 운동하여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돌출 시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정보 출력 장치(300)의 표현 부재(330)의 운동을 통하여 지리적 정보 출력 시스템(1000)은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다양한 지리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들면 표현 부재(330)의 돌출 시 사용자가 촉각을 통한 감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표현 부재의 돌출을 시각을 통한 감지일 수 있다. 특히 이 때 표현 부재의 단부에 색상을 형성 또는 광을 형성할 경우 이러한 시각적 효과는 증대될 수 있다.
도 2a는 도 1의 주변 정보 조사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주변 정보 조사부(200')는 지형 지물 조사부(210') 및 이동 물체 조사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a에는 주변 정보 조사부(200')가 지형 지물 조사부(210') 및 이동 물체 조사부(220')를 모두 포함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로서 주변 정보 조사부(200')는 지형 지물 조사부(210') 및 이동 물체 조사부(220') 중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지형 지물 조사부(210')는 사용자의 주변의 지형 및 지물의 정보를 조사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의 주변의 도로 정보, 인도 정보, 건물의 정보를 조사할 수 있다.
이동 물체 조사부(220')는 사용자의 주변의 이동 물체, 예를들면 차량, 사람의 존재를 조사할 수 있다. 이동 물체 조사부(220')는 센서, GPS등의 장치를 이용하여 이동 물체의 존재 또는 움직임을 조사할 수 있다.
도 2b는 도 1의 출력 정보 생성 제어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출력 정보 생성 제어부(500')는 표현 부재 돌출 높이 정보 제어부(510'), 표현 부재 돌출 유지 정보 제어부(520') 및 표현 부재 돌출 위치 제어부 (5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b에는 출력 정보 생성 제어부(500')가 표현 부재 돌출 높이 정보 제어부(510'), 표현 부재 돌출 유지 정보 제어부(520') 및 표현 부재 돌출 위치 제어부 (530')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로서 출력 정보 생성 제어부(500')가 표현 부재 돌출 높이 정보 제어부(510'), 표현 부재 돌출 유지 정보 제어부(520') 및 표현 부재 돌출 위치 제어부 (530') 중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표현 부재 돌출 높이 정보 제어부(510')는 정보 출력 장치(300)의 표현 부재(330)의 돌출되는 높이 정보를 생성하고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면 표현 부재 돌출 높이 정보 제어부(510')는 지리적 정보, 예를들면 도로의 정보로서 도로의 경계선 정보에 대응하도록 정보 출력 장치(300)의 표현 부재(330)의 돌출 높이를 제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표현 부재 돌출 높이 정보 제어부(510')는 정보 출력 장치(300)의 복수의 표현 부재(330)의 돌출되는 높이 정보를 다르게 생성하고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복수의 표현 부재(330)의 돌출을 통하여 더 다양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예를들면 가까운 지리적 정보에 대응 시 표현 부재(330)의 돌출 높이를 크게 하고, 먼 지리적 정보에 대응 시 표현 부재(330)의 돌출 높이를 작게 할 수 있다.
표현 부재 돌출 유지 정보 제어부(520')는 정보 출력 장치(300)의 표현 부재(330)가 돌출되어 돌출되는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표현 부재 돌출 위치 제어부 (530')는 정보 출력 장치(300)의 복수의 표현 부재(330) 중 어떤 표현 부재(330)가 돌출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현 부재 돌출 위치 제어부(530')는 지리적 정보, 예를들면 도로의 정보로서 도로의 경계선 정보에 대응하도록 정보 출력 장치(300)의 복수의 표현 부재(330) 중 하나 이상의 표현 부재(330)를 선택하고 선택된 표현 부재(330)를 돌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표현 부재 돌출 위치 제어부(530')는 정보 출력 장치(300)의 복수의 표현 부재(330)의 정보 출력 장치(300)내에서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거나, 이러한 정보를 정보 출력 장치(300)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예를들면 정보 출력 장치(300)내에 표현 부재(330)가 복수 개의 행과 복수 개의 열로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 시에, 각 표현 부재(330)의 위치를 행열로 표시하고 표현 부재 돌출 위치 제어부(530')는 이러한 각 표현 부재(330)의 행열 표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지리적 정보 출력 시스템을 적용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1의 지리적 정보 출력 시스템이 사용자의 차량에 적용된 것을 도시한다.
차량 내부에는 운전석 및 조수석에 대응하는 대쉬 보드(DSB)가 배치되고, 운전석에는 운전대(STH)가 배치된다. 차량의 전방을 향하도록 전면 윈도우(WD)가 배치된다.
지리적 정보 출력 시스템의 정보 출력 장치(300)는 차량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정보 출력 장치(300)은 차량 내부의 운전석과 조수석의 사이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더 구체적으로 대쉬 보드(DSB)의 영역 중 운전석과 조수석의 사이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정보 출력 장치(300)는 차량 내부의 대쉬 보드(DSB)의 일 영역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정보 출력 장치(300)는 차량 내부의 대쉬 보드(DSB)의 일 영역의 외면으로부터 연장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기타 다양한 정보 표시 영역이 정보 출력 장치(3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정보 출력 장치(300)는 복수의 표현 부재(330)를 구비하고, 복수의 표현 부재(330)가 복수의 열과 행으로 배치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정보 출력 장치(300)는 복수의 표현 부재(330)가 직사각형 내의 공간에 행열을 이루어 배치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정보 출력 장치(300)는 복수의 표현 부재(330)가 원형 내의 공간에 행열을 이루어 배치될 수도 있다.
도 4는 도 1의 지리적 정보 출력 시스템을 적용한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3에 비하여 정보 출력 장치(300)가 사용자의 눈에 가까워지도록 대쉬 보드(DSB)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고, 대쉬 보드(DSB)의 상부에 별도의 정보 표시 영역이 없을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의 정보 출력 장치(300)의 다양한 배치 형태를 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고, 특히 사용자의 손을 통하여 정보 출력 장치(300)의 표현 부재(330)를 감지 시에 손을 올려놓는 자세의 개인적 취향을 반영할 수 있다.
도 5a는 도 3의 정보 출력 장치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정보 출력 장치(300)는 복수 개의 표현 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운전 중에 정보 출력 장치(300)의 복수의 표현 부재(330)를 통하여 사용자의 주변의 지리적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정보 출력 장치(300)의 복수의 표현 부재(330)를 통하여 운행중인 차량 주변의 도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정보 출력 장치(300)의 표현 부재(330) 중 복수 개가 돌출되어 있고, 이는 사용자 주변의 도로의 경계선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정보 출력 장치(300)의 표현 부재(330)는 사용자에 인접한 영역의 제1 도로의 우측 경계 영역(RR), 사용자에 인접한 영역의 도로의 좌측 경계 영역(RL)을 표시하도록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정보 출력 장치(300)의 표현 부재(330)는 사용자에 인접한 영역의 상기 제1 도로보다 멀리 떨어지고 제1 도로와 연결된 제1 분기 도로의 우측 경계 영역(1DRR), 상기 제1 분기 도로의 좌측 경계 영역(1DRL)을 표시하도록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정보 출력 장치(300)의 표현 부재(330)는 사용자에 인접한 영역의 상기 제1 도로보다 멀리 떨어지고 제1 도로와 연결된 제2 분기 도로의 우측 경계 영역(2DRR), 상기 제2 분기 도로의 좌측 경계 영역(2DRL)을 표시하도록 돌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정보 출력 장치(300)의 표현 부재(330)를 통하여 사용자 주변의 지리적 정보, 예를들면 도로 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가 손을 정보 출력 장치(300)에 올려놓고 운전 중에, 상기 제1 도로, 제1 분기 도로 및 제2 분기 도로가 출현 시, 사용자는 도 5a에 표시된 대로 돌출된 정보 출력 장치(300)의 표현 부재(330)를 통하여 용이하게 도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의 시력이 약하거나 시력이 없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사용자의 손의 감촉을 통하여 도로 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운전 운행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물론, 도보 중 기타 다른 운송 수단을 이용 시에도 이러한 상기의 방법은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운행 또는 도보 등 이동에 따라 사용자의 위치 및 사용자의 주변의 지리적 정보를 반영하여 정보 출력 장치(300)의 표현 부재(330)는 실시간으로 돌출된 형태를 변경하여 사용자에게 주변 지리적 정보를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5a에 도시한 것과 같이 표현 부재(330)의 돌출 시 사용자에 가까운 영역의 정보에 대응하는 표현 부재(330)를 그보다 먼 영역의 정보에 대응하는 표현 부재(330)보다 더 높이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들면 영역(RR) 또는 영역(RL)의 표현 부재(330)의 돌출 높이를 영역(1DRR, 2DRL)보다 더 높이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영역(1DRR, 2DRL)의 높이를 영역(1DRL, 2DRR)보다 더 높이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영역(RR)내에서도 사용자에게 가까운 영역의 정보에 대응하는 표현 부재(330)일수록 돌출 높이를 더 높게 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로 내의 이동 물체로서 자동차 또는 사람이 출현 시 이에 대한 정보도 표현 부재(330)의 돌출 위치 또는 돌출 형태의 제어를 통하여 사용자가 인식하게 할 수 있고, 예를들면 도 5a의 도로에 대응하는 표현 부재(330)에, 상기 도로에 실제 출현한 차량의 위치에 대응되는 곳에 표현 부재(330)가 돌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5b는 도 5a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도 5a와 비교할 때 기준 영역(DP)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준 영역(DP)은 현재 사용자의 위치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표현 부재(330)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표현 부재(330)를 통하여 표시할 수 있고, 다른 표현 부재(330)의 돌출과 차별화될 수 있다. 예를들면 기준 영역(DP)에 대응되는 표현 부재(330)는 돌출 형태를 사용자의 위치 변경 및 그에 따른 주변 지리적 정보에 대응하는 표현 부재(330)의 돌출 형태 변경에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기준 영역(DP)에 대응되는 표현 부재(330)는 항상 정보 출력 장치(300)내에서 고정된 위치, 예를들면 하단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기준 영역(DP)에는 별도의 부재로서, 일 방향으로 운동하지 않고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실시예의 지리적 정보 출력 시스템은 사용자의 입력을 인식하는 입력 인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다양한 정보, 예를들면 사용자가 가고 싶은 목적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데, 이 때, 사용자는 출력 장치(300)의 표현 부재(330)를 눌러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별도의 키보드 유사한 형태의 입력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사용자는 음성을 통하여 목적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 인식부는 이러한 사용자의 입력을 인식하고, 입력 인식부가 인식한 정보, 예를들면 목적지 정보를 출력 장치(300)의 표현 부재(330)를 통하여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차량용 내비게이션 정보로서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경로 표시(예를들면 빨간선의 도로 표시)대신에 표현 부재(330)의 돌출을 통하여 목적지 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들면, 도 5a 또는 도 5b에 도시한 표현 부재(330)를 통한 지리적 정보를 표현한 영역(RR, RL, 1DRR, 2DRL, 1DRL, 2DRR)와 함께 목적지 정보인 경로 표시를 표현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 예시로서 도로 정보인 영역(RR)와 영역(RL)의 사이에 목적지 정보, 즉 경로 표시를 할 수 있고, 순차적으로 목적지 정보가 다음 경로가 두 갈래의 길 중 우측 도로 영역인 영역(1DRL) 과 영역(1DRR)의 사이의 영역일 경우, 목적지 정보를 영역(1DRL) 과 영역(1DRR)의 사이에 표현 부재(330)의 돌출로서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영역(1DRL) 과 영역(1DRR)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목적지 정보는 영역(1DRL) 과 영역(1DRR)의 표시 방법과 동일하게 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다른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들면 표현 부재(330)를 통하여 목적지 정보인 경로 표시와 영역(1DRL), 영역(1DRR)을 표시 시 다른 높이를 갖게 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표현 부재(330)를 통하여 목적지 정보와 영역(1DRL), 영역(1DRR)을 표시 시 돌출된 복수의 표현 부재(330)들 간의 간격을 다르게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표현 부재(330)를 통한 지리적 정보를 표현한 영역(RR, RL, 1DRR, 2DRL, 1DRL, 2DRR)에 목적지 정보인 경로 표시를 동시에 표현할 수 있는데, 예를들면 상기의 순차적인 목적지 정보가 두 갈래의 길 중 우측 도로 영역인 영역, 즉 영역(1DRL) 과 영역(1DRR)의 사이의 영역일 경우, 목적지 정보인 경로 표시로서 영역(2DRL)과 영역(2DRR)은 돌출되지 않고 영역(1DRL)과 영역(1DRR)만을 표시할 수 있다.
즉, 목적지 정보인 경로 표시에 대응하는 지리적 정보에 대응하는 영역, 예를들면 영역(RR)과 영역(RL), 그리고 영역(1DRL)과 영역(1DRR)만을 표현 부재(330)를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물론, 다른 예로서 경로 표시 영역과 그렇지 않은 영역의 표시 방법을 다르게 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들면 영역(RR)과 영역(RL), 그리고 영역(1DRL)과 영역(1DRR)에 대응하는 표현 부재(330)를 표시할 때의 돌출 높이와, 경로 표시가 아닌 지리적 정보에 대응하는 영역, 즉 영역(2DRL)과 영역(2DRR)을 표현시의 표현 부재(330)의 돌출 높이를 상이하게 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기의 입력 인식부는 인증 등록부 및 인증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증 등록부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만 사용할 수 있는 인증 정보를 입력하여 등록할 수 있고, 예를들면 음성으로 등록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출력 장치(300)의 표현 부재(330)들의 일부를 패턴 형상으로 눌러 등록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인증 판단부는 추후에 사용자가 사용 개시시, 예를들면 차량의 시동을 걸 경우 인증 정보를 입력하도록 하고, 입력된 정보가 인증 등록부에 등록된 정보와 비교하여 부합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 출력 장치(300)는 상기 인증 판단부가 판단한 결과 정보가 서로 부합할 경우에만 표현 부재(330)를 통한 정보 표현, 예를들면 주변의 지리적 정보 또는 목적지 경로 표시등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지리적 정보 출력 시스템은 사용자 위치 조사부를 통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조사하고,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주변 정보 조사부가 사용자 주변의 지리적 정보를 조사하고, 출력 정보 생성 제어부가 이러한 사용자 주변의 지리적 정보를 이용하여 출력 정보를 생성한 후에 정보 출력 장치의 복수의 표현 부재의 돌출 형태를 제어하여 지리적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다양한 감각, 예를들면, 시각 또는 촉각을 이용하여 표현 부재를 인식하여 지리적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특히, 시력이 약화된 사용자 또는 시각 장애인인 사용자의 경우에도 도보 또는 운전 등의 이동시에 주변의 지리적 정보, 예를들면 도로 정보를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표현 부재의 돌출 형태를 인식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시력 약화 사용자 또는 시각 장애인인 사용자도 원하는 대로 도보 또는 운전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지리적 정보 출력 시스템은 다양한 정보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정보 출력 장치의 내구성 또는 효율성,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리적 정보 출력 시스템은 사용자의 목적지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한 정보에 따라 경로 표시를 정보 출력 장치의 표현 부재를 통하여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영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대신 정보 출력 장치를 통하여 차량 내비게이션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다.
특히, 정보 출력 장치의 표현 부재의 돌출을 통하여 이러한 정보를 표시하므로 시각적 기능이 약한 사용자 또는 시각 장애 사용자들도 정보 출력 장치를 통하여 원하는 목적지로 이동할 수 있도록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정보 출력 장치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도 3의 정보 출력 장치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a는 도 6의 정보 출력 장치의 Ⅶ-Ⅶ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정보 출력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즉, 도 6의 정보 출력 장치(300)는 전술한 도 3의 차량 내에 배치된 정보 출력 장치(300)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3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 출력 유닛(IU1, IU2, IU3….IU9)을 포함한다. 각각의 정보 출력 유닛은 표현 부재(330)를 포함한다.
도 6에는 9개의 정보 출력 유닛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그 이상의 정보 출력 유닛 또는 8개 이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일 정보 출력 유닛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하고,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정보 출력 유닛(IU2)을 설명하기로 한다.
정보 출력 유닛(IU2)은 제1 베이스 부재(301), 제2 베이스 부재(302), 코일 부재(320), 구동 부재(310) 및 표현 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이스 부재(301)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베이스 부재(301)는 소정의 크기의 자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베이스 부재(301)는 영구 자석을 형성하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베이스 부재(301)에 인접하도록, 예를들면 제1 베이스 부재(301)의 면 중 후술할 제2 베이스 부재(302)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영구 자석(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베이스 부재(301)는 인접한 영구 자석(미도시)에 의하여 자화(magnetization)되어 자력을 가질 수 있고, 이 경우 제1 베이스 부재(301)는 영구 자석일 필요 없이 자화가 용이한 재료, 예를들면 철(Fe)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베이스 부재(302)는 제1 베이스 부재(301)와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제2 베이스 부재(302)는 제1 베이스 부재(301)와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후술할 코일 부재(320) 및 구동 부재(310)가 배치될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베이스 부재(302)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베이스 부재(302)는 소정의 크기의 자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제2 베이스 부재(302)는 영구 자석을 형성하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베이스 부재(302)는 관통부(307a)를 포함한다. 관통부(307a)는 제2 베이스 부재(302)의 전체 두께를 관통하도록 소정의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관통부(307a)는 후술할 표현 부재(330)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표현 부재(330)를 설명 시에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구동 부재(310) 및 코일 부재(320)는 제1 베이스 부재(301)와 제2 베이스 부재(302)의 사이에 배치된다.
구동 부재(310)는 제1 베이스 부재(301)와 제2 베이스 부재(302)의 사이에 배치되고, 코일 부재(320)에 의하여 자력이 발생할 수 있고, 또는 자성의 극성이 변화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동 부재(310)는 자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이 경우에도 코일 부재(320)에 의하여 자성의 극성이 변화될 수 있다.
이러한 자력 변화 또는 자성의 극성의 변화에 따라 구동 부재(310)는 제1 베이스 부재(301)를 향하도록 이동하거나 제2 베이스 부재(302)를 향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특히 제1 베이스 부재(301) 또는 제2 베이스 부재(302)가 자성을 갖는 경우에 더 그러할 수 있다.
구동 부재(310)는 본체 부재(311), 제1 부재(312) 및 제2 부재(313)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 부재(311)는 구동 부재(310)의 중심을 이루고 제1 부재(312)와 제2 부재(313)의 사이에 배치된다. 본체 부재(311)는 구동 부재(310)의 전체적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 부재(312)는 본체 부재(311)와 연결되고, 구체적으로 본체 부재(311)의 영역 중 제1 베이스 부재(301)를 향하는 영역과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부재(312)는 본체 부재(311)와 제1 베이스 부재(30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부재(313)는 본체 부재(311)와 연결되고, 구체적으로 본체 부재(311)의 영역 중 제2 베이스 부재(302)를 향하는 영역과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2 부재(313)는 본체 부재(311)와 제2 베이스 부재(30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코일 부재(320)는 구동 부재(310)에 자력을 발생하거나 자성의 극성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코일 부재(320)는 구동 부재(310)의 주위에 배치될 수 있는데, 예를들면 구동 부재(310) 의 제1 부재(312)와 제2 부재(313)의 사이에 배치되고, 본체 부재(311)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동 부재(310)는 제1 부재(312)와 제2 부재(313)의 사이에, 본체 부재(311)와 인접하는 오목부(314)를 포함할 수 있다.
코일 부재(320)는 오목부(314)에 배치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코일 부재(320)는 구동 부재(310) 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 또는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코일 부재(320)가 오목부(314)에 배치되어 제1 부재(312)와 제2 부재(313)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부재(312)와 제2 부재(313)을 넘어서지 않도록 배치할 수 있어, 구동 부재(310) 의 후술할 이동 시 코일 부재(320)가 제1 베이스 부재(301) 및 제2 베이스 부재(302)에 걸리거나 접하여 구동 부재(310) 의 움직임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코일 부재(320)에는 하나 이상의 전원부(미도시)에 의하여 코일 부재(320)이 전압이 인가되고, 이러한 전압의 제어를 통하여, 예를들면 교류 전원의 제어를 통하여 구동 부재(310) 에는 자력이 발생할 수 있고, 또한 자력 발생 시 자성의 극성이 변할 수도 있다.
표현 부재(330)는 구동 부재(310)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구동 부재(310)의 영역 중 제2 부재(313)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표현 부재(330)는 제2 부재(313)의 면 중 제2 베이스 부재(302)를 향하는 면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표현 부재(330)는 제2 부재(313)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기둥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표현 부재(330)는 제2 베이스 부재(302)의 관통부(307a)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적어도 관통부(307a)를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관통부(307a)보다 큰 단면을 갖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표현 부재(330)의 단부, 즉 표현 부재(330)의 영역 중 제2 부재(313)을 향하는 영역의 반대 방향의 단부는 굴곡된 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도시하지 않았으나, 뾰족한 단부를 가질수도 있다.
도 7a에 도시한 것과 같이 구동 부재(310)가 제1 베이스 부재(301)과 가깝게 배치되고, 제2 베이스 부재(302)로부터 멀리 떨어진 경우, 예를들면 제2 베이스 부재(302)와 제2 부재(313)가 간격(H1)을 갖고 이격되고 제1 부재(312)는 제1 베이스 부재(301)와 접하도록 배치된 경우에는 표현 부재(330)가 제2 베이스 부재(302)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는다.
즉, 표현 부재(330)가 제2 베이스 부재(302)의 상면의 경계면을 넘어서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선택적 실시예로서 표현 부재(330)의 단부는 관통부(307a)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만일 전원부(390)를 통하여 코일 부재(320)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여 구동 부재(310) 가 갖는 자성의 극성을 변환할 경우 도 7b에 도시한 것과 같이 표현 부재(330)가 제2 베이스 부재(302)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베이스 부재(301)와 제1 부재(312)가 간격(H2)을 갖고 이격되고 제2 부재(313)는 제2 베이스 부재(302)와 접하도록 배치된 경우에는 표현 부재(330)가 제2 베이스 부재(302)의 상부로 돌출된다. 즉, 표현 부재(330)는 제2 베이스 부재(302)의 관통부(307a)를 관통하여 제2 베이스 부재(302)의 상면의 연장선을 넘어서도록 돌출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베이스 부재(301) 또는 제2 베이스 부재(302)가 자성을 가질 경우에 도 7b에 도시한 상태에서 코일 부재(320)에 전압 인가를 중단하여도, 즉 전원부의 연결을 끊어도 구동 부재(310)는 제2 베이스 부재(302)에 의하여 제2 베이스 부재(302)와 인접한 상태를 유지하고 표현 부재(330)는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7a 및 도 7b와 같은 구동 부재(310) 의 구동을 통한 표현 부재(330)의 이동을 통하여 사용자는 표현 부재(330)를 감지할 수 있고, 예를들면 촉각을 통하여 표현 부재(330)를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시각적으로 표현 부재(330)의 돌출 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고, 이 때, 이러한 시각적 감지를 용이하게 인지하도록 표현 부재(330)의 단부에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한 색을 형성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복수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할 경우 각 유닛별로 동일 또는 다른 색으로 표현 부재(330)의 단부를 형성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시각적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표현 부재(330)는 금속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플라스틱 기타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8은 도 7a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도 7a와 비교할 때 중간 부재(341, 342)가 추가된 형태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중간 부재(341, 342)는 제1 중간 부재(341) 및 제2 중간 부재(342)를 구비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중간 부재(341, 342)의 제1 중간 부재(341) 및 제2 중간 부재(342) 중 어느 하나만을 구비할 수도 있다.
제1 중간 부재(341)는 제2 부재(313)와 제2 베이스 부재(302)의 사이에 배치되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베이스 부재(302)의 면 중 제2 부재(313)을 향하는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물론,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중간 부재(341)는 제2 부재(313)의 면 중 제2 베이스 부재(302)을 향하는 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중간 부재(341)는 중간 관통부(341a)를 가질 수 있고, 중간 관통부(341a)는 표현 부재(330)에 대응된다.
제2 중간 부재(342)는 제1 부재(312)와 제1 베이스 부재(301)의 사이에 배치되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베이스 부재(301)의 면 중 제1 부재(312)를 향하는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제2 중간 부재(342)는 제1 부재(312)의 면 중 제1 베이스 부재(301)을 향하는 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중간 부재(341) 및 제2 중간 부재(342)는 구동 부재(310)의 반복 이동 시 구동 부재(310)와 제1 베이스 부재(301) 및 제2 베이스 부재(302)와의 접촉으로 인한 상호 손상을 감소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중간 부재(341) 및 제2 중간 부재(342)는 다양한 소재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탄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중간 부재(341) 및 제2 중간 부재(342)는 유기물 계열의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중간 부재(341) 및 제2 중간 부재(342)는 무기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도 6의 정보 출력 장치의 Ⅸ-Ⅸ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정보 출력 유닛(IU7), 정보 출력 유닛(IU8), 정보 출력 유닛(IU9)은 모두 제1 베이스 부재(301), 제2 베이스 부재(302), 코일 부재(320), 구동 부재(310) 및 표현 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출력 유닛(IU7)의 제1 베이스 부재(301), 정보 출력 유닛(IU8)의 제1 베이스 부재(301) 및 정보 출력 유닛(IU9)의 제1 베이스 부재(301)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9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정보 출력 유닛(IU7)의 제1 베이스 부재(301), 정보 출력 유닛(IU8)의 제1 베이스 부재(301) 및 정보 출력 유닛(IU9)의 제1 베이스 부재(301)은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정보 출력 장치(300)에 포함된 모든 정보 출력 유닛의 제1 베이스 부재(301)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정보 출력 유닛(IU7)의 제2 베이스 부재(302), 정보 출력 유닛(IU8)의 제2 베이스 부재(302) 및 정보 출력 유닛(IU9)의 제2 베이스 부재(302)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9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정보 출력 유닛(IU7)의 제2 베이스 부재(302), 정보 출력 유닛(IU8)의 제2 베이스 부재(302) 및 정보 출력 유닛(IU9)의 제2 베이스 부재(302)는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정보 출력 장치(300)에 포함된 모든 정보 출력 유닛의 제2 베이스 부재(302)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도 7a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정보 출력 유닛(IU2)은 제1 베이스 부재(301), 제2 베이스 부재(302), 구동 부재(310), 표현 부재(330), 중간 부재(341, 342) 및 스페이서(3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이스 부재(301)와 제2 베이스 부재(302)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제1 베이스 부재(301)는 구동 부재(310)의 이동 시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제1 베이스 부재(301)는 구동 부재(310)가 제1 베이스 부재(301)를 향하는 방향으로 반복된 이동에 따른 충격을 견디도록 내구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베이스 부재(301)는 금속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베이스 부재(301)는 자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제2 베이스 부재(302)는 제1 베이스 부재(301)와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제2 베이스 부재(302)는 제1 베이스 부재(301)와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후술할 구동 부재(310)가 배치될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베이스 부재(302)는 구동 부재(310)의 이동 시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제2 베이스 부재(302)는 구동 부재(310)가 제2 베이스 부재(302)를 향하는 방향으로 반복된 이동에 따른 충격을 견디도록 내구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베이스 부재(302)는 금속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베이스 부재(302)는 자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제2 베이스 부재(302)는 관통부(302a)를 포함한다. 관통부(302a)는 제2 베이스 부재(302)의 전체 두께를 관통하도록 소정의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관통부(302a)는 후술할 표현 부재(330)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표현 부재(330)를 설명 시에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구동 부재(310)는 제1 베이스 부재(301)와 제2 베이스 부재(302)의 사이에 배치된다.
구동 부재(310)는 제1 베이스 부재(301)와 제2 베이스 부재(302)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베이스 부재(301)를 향하도록 이동하거나 제2 베이스 부재(302)를 향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구동 부재(310)는 전원(미도시)에 연결되어 전원에 의하여 제1 베이스 부재(301)를 향하는 방향 및 제2 베이스 부재(302)를 향하는 방향으로 양 방향 이동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동 부재(310)는 전자석 구조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구동 부재(310)는 코일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코일 부재는 전원에 연결되어, 전원에 의하여 코일 부재에 자력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자력을 통하여 구동 부재(310)는 이동할 수 있다.
표현 부재(330)는 구동 부재(310)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구동 부재(310)의 영역 중 제2 베이스 부재(302)를 향하는 면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표현 부재(330)는 제2 베이스 부재(302)의 상면으로부터 위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기둥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표현 부재(330)는 제2 베이스 부재(302)의 관통부(302a)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적어도 관통부(302a)를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관통부(302a)보다 큰 단면을 갖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표현 부재(330)의 단부, 즉 표현 부재(330)의 영역 중 제2 베이스 부재(302)를 향하는 면의 반대 방향의 단부는 굴곡된 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도시하지 않았으나, 표현 부재(330)의 단부는 뾰족한 단부를 가질수도 있다.
중간 부재(341, 342)는 제1 중간 부재(341) 및 제2 중간 부재(342)를 구비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중간 부재(341, 342)의 제1 중간 부재(341) 및 제2 중간 부재(342) 중 어느 하나만을 구비할 수도 있다.
제1 중간 부재(341)는 제1 베이스 부재(301)와 구동 부재(310)의 사이에 배치되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베이스 부재(301)의 면 중 구동 부재(310)를 향하는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중간 부재(341)는 구동 부재(310)의 면 중 제1 베이스 부재(301)를 향하는 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선택적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중간 부재(341)는 구동 부재(310)의 면 중 제1 베이스 부재(301)를 향하는 면으로부터 돌출된 하나 이상의 돌출 패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중간 부재(342)는 구동 부재(310)와 제2 베이스 부재(302)의 사이에 배치되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베이스 부재(302)의 면 중 구동 부재(310)를 향하는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물론, 다른 예로서 제2 중간 부재(342)는 구동 부재(310)의 면 중 제1 베이스 부재(301)를 향하는 면에 표현 부재(330)의 주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중간 부재(342)는 관통공을 구비할 수 있고, 관통공은 표현 부재(330)에 대응된다.
제1 중간 부재(341) 및 제2 중간 부재(342)는 구동 부재(310)의 반복 이동 시 구동 부재(310)와 제1 베이스 부재(301) 및 제2 베이스 부재(302)와의 접촉으로 인한 상호 손상을 감소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중간 부재(341) 및 제2 중간 부재(342)는 다양한 소재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탄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중간 부재(341) 및 제2 중간 부재(342)는 실리콘 계열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중간 부재(341) 및 제2 중간 부재(342)는 유기물 계열의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중간 부재(341) 및 제2 중간 부재(342)는 무기물 계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중간 부재(341) 및 제2 중간 부재(342)는 수지를 포함할 수 있고,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서(350)는 제1 베이스 부재(301)와 제2 베이스 부재(302)의 사이에 구동 부재(310)와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스페이서(350)는 제1 베이스 부재(301)와 제2 베이스 부재(302) 사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스페이서(350)는 제1 베이스 부재(301)의 면 중 제2 베이스 부재(302)를 향하는 면에 접하고, 제2 베이스 부재(302)의 면 중 제1 베이스 부재(301)를 향하는 면에 접할 수 있다.
스페이서(350)는 제1 중간 부재(341) 및 제2 중간 부재(342)와 이격될 수 있다. 스페이서(350)는 유기물 계열의 소재를 포함할 수 있고, 수지 계열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스페이서(350)는 무기물 계열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스페이서(350)는 금속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스페이서(350)는 자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스페이서(350)는 실리콘 계열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중간 부재(341) 및 제2 중간 부재(342)는 수지를 포함할 수 있고,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서(350)는 제1 베이스 부재(301)와 제2 베이스 부재(302)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여 구동 부재(310)의 이동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350)는 제1 베이스 부재(301)와 제2 베이스 부재(302)의 공간의 각 정보 출력 유닛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적어도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정보 출력 유닛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로 인접한 정보 출력 유닛들 사이의 구동 부재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스페이서(350)는 정보 출력 유닛(IU7)와 정보 출력 유닛(IU8)의 사이에 스페이서(350)가 배치될 수 있다. 정보 출력 유닛(IU8) 및 정보 출력 유닛(IU9)의 사이에 별도의 스페이서(350)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300)는 모든 정보 출력 유닛들 사이에 스페이서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300)는 모든 서로 인접한 정보 출력 유닛들 사이에 스페이서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2는 도 10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복수의 정보 출력 유닛(IU7, IU8, IU9)에 대하여 제1 중간 부재(341) 및 제2 중간 부재(34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350)는 제1 중간 부재(341) 및 제2 중간 부재(34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2에는 복수의 정보 출력 유닛(IU7, IU5, IU6)의 서로 인접한 유닛들 사이에 모두 배치되어 있으나, 도 1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3은 도 7a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정보 출력 유닛(IU2)은 가이드 베이스(370'), 구동 부재(310'), 표현 부재(330') 및 자성 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베이스(370')는 베이스 부재(371') 및 가이드 돌출 부재(372')를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 부재(371')는 가이드 베이스(370')의 주된 부재로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플레이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베이스 부재(371')는 내구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금속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베이스 부재(371')는 자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베이스 부재(371')는 화학적 변형이 적은 재질, 예를들면 다양한 수지 계열 재질을 함유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가이드 돌출 부재(372')는 베이스 부재(371')의 일면에서 돌출된 형태를 갖는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가이드 돌출 부재(372')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정보 출력 장치(300)에 구비된 정보 출력 유닛의 각각에 대응되도록 정보 출력 유닛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가이드 돌출 부재(372')는 베이스 부재(37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가이드 돌출 부재(372')와 베이스 부재(371')간 견고한 결합을 유지하고, 가이드 베이스(370')를 기준으로 이동하는 구동 부재(310')의 반복 운동 시에도 가이드 베이스(370'), 특히 가이드 돌출 부재(372')가 손상되는 것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 돌출 부재(372')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가이드 돌출 부재(372')는 금속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들면 가이드 돌출 부재(372')는 철 계열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가이드 돌출 부재(372')는 자성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돌출 부재(372')의 상면, 즉 가이드 베이스(370')와 연결된 영역의 반대면은 평탄면을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가이드 돌출 부재(372')의 상면, 즉 가이드 베이스(370')와 연결된 영역의 반대면은 곡면을 구비할 수도 있다.
표현 부재(330')는 가이드 베이스(370')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현 부재(330')는 구동 부재(310')에 연결되고, 구동 부재(310')의 운동에 의하여 이동, 즉 상하 돌출 운동을 할 수 있다.
구동 부재(310')는 가이드 베이스(370')의 가이드 돌출 부재(372')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동 부재(310')는 일 방향으로 운동하는데,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동 부재(310')는 가이드 돌출 부재(372')를 기준으로 가이드 돌출 부재(372')를 따라서 가이드 돌출 부재(372')의 돌출된 방향을 따라서 왕복 운동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표현 부재(330')도 구동 부재(310')에 연결되어 구동 부재(310')와 마찬가지로 가이드 돌출 부재(372')의 돌출된 방향을 따라서 왕복 운동 할 수 있다.
구동 부재(310')는 구체적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예를들면 구동 부재(310')는 본체 부재(311') 및 연결 부재(313')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 부재(311'), 표현 부재(330') 및 연결 부재(313')는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들면 본체 부재(311'), 표현 부재(330') 및 연결 부재(313')는 내구성이 좋은 금속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본체 부재(311'), 표현 부재(330') 및 연결 부재(313')는 화학적 특성이 좋은 다양한 수지 계열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 부재(311'), 표현 부재(330') 및 연결 부재(313')중 적어도 하나는 상이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 부재(311')는 가이드 돌출 부재(372')에 대응되어 가이드 돌출 부재(372')에 끼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체 부재(311')의 내부에 내부 공간(314')이 형성되고 내부 공간(314')은 적어도 가이드 돌출 부재(37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표현 부재(330')는 본체 부재(311')의 일 방향, 즉 본체 부재(311')의 영역 중 베이스 부재(371')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 영역과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표현 부재(330')는 본체 부재(311')로부터 베이스 부재(371')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기둥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표현 부재(330')의 상면, 즉 본체 부재(311')를 향하는 영역의 반대 영역은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표현 부재(330')의 상면은 평탄면을 포함할 수 도 있다.
본체 부재(311')와 표현 부재(330')의 사이에는 연결 부재(313')가 배치된다. 연결 부재(313')는 표현 부재(330')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본체 부재(311')보다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결 부재(313')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연결 부재(313')는 원형, 다각형 기타 형태의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결 부재(313')는 비대칭 형태의 플레이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표현 부재(330')가 가이드 돌출 부재(372')에 배치 시, 예를들면 본체 부재(311')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 공간(314')에 가이드 돌출 부재(372')가 삽입되도록 배치되고, 표현 부재(330')가 베이스 부재(371')와 가장 근접한 경우에, 가이드 돌출 부재(372')의 상면은 표현 부재(330')와 이격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가이드 돌출 부재(372')의 상면과 표현 부재(330')의 사이에는 이격 공간(SA)이 존재할 수 있다.
표현 부재(330')의 주변에, 구체적으로 본체 부재(311')의 주변에 코일 부재(380')가 배치될 수 있다. 코일 부재(380')에는 전원부(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코일 부재(380')에 전류가 흐를 경우 코일 부재(380')의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가이드 돌출 부재(372')가 금속 재질, 예를들면 철로 형성될 경우 코일 부재(380')의 주변의 자기장의 세기는 더 세질 수 있다.
또한,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 부재(311')가 금속 재질, 예를들면 철로 형성될 경우 코일 부재(380')의 주변의 자기장의 세기는 더 세질 수 있다.
자성 부재(320')는 구동 부재(310')의 적어도 일 측면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자성 부재(320')는 가이드 베이스(370')의 베이스 부재(371')의 상부에 배치되고, 가이드 돌출 부재(372')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자성 부재(320')는 본체 부재(311')의 측면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자성 부재(320')는 본체 부재(311') 및 코일 부재(380')와 이격될 수 있다.
자성 부재(320')는 하나 이상의 관통 영역(321')을 구비할 수 있고, 관통 영역(321')은 가이드 돌출 부재(372')에 대응되고, 구동 부재(310')와 대응될 수 있다. 자성 부재(320')는 자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영구 자석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자성 부재(320')는 상면과 하면이 상이한 극성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자성 부재(320') 상에 상부 플레이트(340')가 배치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340')는 하나 이상의 개구부(341')를 가지고, 개구부(341')는 본체 부재(311')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개구부(341')는 본체 부재(311')와 이격될 수 있고, 추가로 코일 부재(380')와 이격될 수도 있다.
상부 플레이트(340')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내구성이 우수한 재질, 예를들면 금속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철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부 플레이트(340')는 다양한 수지 계열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부 플레이트(340')의 상면은 구동 부재(310')의 적어도 일 영역, 예를들면 연결 부재(313')와 접할 수 있고, 특히, 표현 부재(330')가 운동 시 베이스 부재(371')와 가장 근접한 때에 연결 부재(313')의 면 중 베이스 부재(371')를 향하는 면의 적어도 일 영역이 상부 플레이트(340')의 상면과 접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부 플레이트(340')는 표현 부재(330')가 베이스 부재(371')와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 시 이를 지지하여 표현 부재(330')의 안정적 운동 및 정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부 플레이트(340')의 개구부(341')는 자성 부재(320')의 관통 영역(321')보다 작을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커버 부재(390')가 표현 부재(330')상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 부재(390')는 커버홀(391')을 포함할 수 있고, 표현 부재(330')의 이동 시 표현 부재(330')가 커버홀(391)을 통하여 돌출되어 노출될 수 있다.
도 14a는 도 7a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b는 도 14a의 정보 출력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의 정보 출력 유닛(IU2)은 구동 모듈(310"), 표현 부재(330")및 지지 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모듈(310")은 전기적 신호의 인가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제1 방향(X)을 따라 왕복 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구동 모듈(310")은 전자석 원리에 의해 동작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 데, 이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자력 부재 및 코일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현 부재(330")는 상기 제1 방향(X)과 상이한 제2 방향(Z)을 따라 돌출되고 상기 제2 방향(Z)을 따라 왕복 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방향(Z)이 제1 방향(X)에 직교하는 방향, 즉, 상기 제1 방향(X)이 수평한 방향인 데 대하여, 상기 제2 방향(Z)이 수직한 방향인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2 방향(Z)은 상기 제1 방향(X)에 상이하기만 하면 되고 상호 각도는 중요하지 않다. 예컨대 상기 제1 방향(X)이 수평한 방향일 때, 상기 제2 방향(Z)은 이 수평한 방향에 대해 소정의 예각 또는 둔각을 갖는 경사 방향이 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320")는 상기 구동 모듈(310")과 표현 부재(330")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구동 모듈(310")의 구동력을 상기 표현 부재(330")에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방향(X)으로 왕복 운동하는 구동 모듈(310")의 동작을 지지 부재(320")가 표현 부재(330")에 전달하고, 이에 따라 표현 부재(330")는 상기 제1 방향(X)과는 상이한 제2 방향(Z)으로 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 부재(320")는 상기 구동 모듈(310")에 의해 상기 제1 방향(X)을 따라 왕복 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구동 모듈(310")은 보빈(311")을 포함할 수 있는 데, 상기 보빈(311")은 상기 제1 방향(X)으로 연장된 파이프 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빈(311")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자력 부재(313")가 슬라이딩 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개구(311a")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가이드 개구(311a")는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된 원통형 홀일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된 다각통형 홀일 수 있다. 또한 반드시 양단이 개구된 홀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단이 개구된 홈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 개구(311a")는 보빈(3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보빈(311")의 적어도 일부 외면에 상기 코일 부재(312")가 감겨지는 데,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보빈(311")의 외면에는 코일 부재(312")가 감겨지기 용이하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홈의 길이는 코일 부재(312")가 감겨질 전체 길이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보빈(311")은 제1 베이스 부재(301")에 고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보빈(311") 내부의 가이드 개구(311a")에는 자력 부재(313")가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자력 부재(313")는 가이드 개구(311a")를 따라 가이드되어 운동할 수 있는 데, 자력 부재(313")는 제1 방향(X)을 따라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방향(X)은 수평한 방향일 수 있는 데, 이 경우 자력 부재(313")의 운동은 중력의 간섭을 덜 받고 운동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표현 부재(330")가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자력 부재(313")의 일단은 보빈(311")의 가이드 개구(311a")에 삽입되고 자력 부재(313")의 타단에는 지지 부재(32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자력 부재(313")는 제1 방향(X)을 따라 일단으로는 N극 또는 S극이 형성되고 타단으로는 반대 극성이 형성된 자석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자력 부재(313")는 상기 보빈(311")에 적어도 한 극의 일부만이 삽입되면 충분한 데, 예컨대 상기 자력 부재(313")는 보빈(311")에 N극 또는 S극만 삽입되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상기 자력 부재(313")는 상기 보빈(311")에 자력 부재(313") 길이의 절반 이하 정도만 삽입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코일 부재(312")는 전류의 흐름 방향에 따라 도 14a 및 도 14b에서 좌우 극성이 바뀔 수 있는 구조가 될 수 있다.
상기 자력 부재(313")의 타단에 결합된 지지 부재(320")는 도면과는 달리 자력 부재(313")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반드시 자력 부재(313")로 형성될 필요는 없고 표현 부재(330")를 지지함으로써 표현 부재(330")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재질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지지 부재(320")는 표현 부재(330")를 향해 연장된 연장부(321")를 포함할 수 있는 데,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상기 연장부(321")는 제2 방향(Z)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연장부(321")의 단부에는 지지면(322")이 형성되어 있는 데, 상기 지지면(322")은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표현 부재(330")의 가이드면(333")과 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면(322")은 제2 방향(Z)의 상단으로부터 구동 모듈(3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현 부재(330")는 상기 제2 방향(Z)을 따라 돌출된 형태를 포함하고, 가이드부(33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332")는 표현 부재(330")의 돌출된 형태의 제2 방향(Z) 하부에 위치한다.
상기 가이드부(332")에는 가이드면(333")이 구비되는 데, 상기 가이드면(333")은 지지면(322")과 맞닿을 수 있도록 구비되고 지지면(322")에 대응되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경사면은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면(333")은 지지면(322")과 맞닿음에 따라 표현 부재(330")가 Z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도 14a 및 도 14b에서 볼 수 있듯이 지지 부재(320")가 제1 방향(X)을 따라 도면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할 경우 표현 부재(330")는 제2 방향(Z)을 따라 도면의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동 모듈(310")과, 지지 부재(320")와, 표현 부재(330")는 제1 베이스 부재(301")과 제2 베이스 부재(302")의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제1 베이스 부재(301")에는 소정의 홈(301a")이 형성되어 구동 모듈(310")이 안착될 수 있고, 제2 베이스 부재(302")에는 홀(302a")이 형성되어 있어 전술한 표현 부재(330")의 돌출된 형태가 홀(302a") 내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표현 부재(330")가 제2 방향(Z)을 따라 왕복 운동함에 따라 표현 부재(330")의 돌출된 부분이 홀(302a") 밖으로 돌출되었다가 홀(302a") 내로 숨는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 부재(320")와 상기 제1 방향(X)으로 대향된 위치에 스토퍼(3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340")는 제1 베이스 부재(301")에 형성된 홈(301a") 중 상기 지지 부재(320")와 대향된 벽이 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340")에 의해 상기 지지 부재(320")의 제1 방향(X)의 운동이 제한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340")와 상기 지지 부재(320") 사이의 최대 거리(D1)는 상기 자력 부재(313")의 상기 보빈(311")에 삽입된 최대 길이(D2)보다 짧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빈(311") 내에서 자력 부재(313")가 제1 방향(X)으로 운동함에 따라 자력 부재(313")가 보빈(311") 밖으로 빠져 나오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일 부재(312")의 상기 지지 부재(320")를 향한 단부와 상기 보빈(311")의 상기 지지 부재(320")를 향한 단부 사이는 소정의 간극(D3)을 이룰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데, 이에 따라 코일 부재(312")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바뀌어 코일 부재(312")의 양단의 극성이 바뀔 때 이에 따라 자력 부재(313")가 코일 부재(312")에 의한 자기력에 의해 자력 부재(313")가 제1 방향(X)을 따라 원활히 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따른 정보 출력 유닛(IU2)에 따르면, 도 14a 및 도 14b에서 볼 수 있듯이 표현 부재(330")의 구동 방향과 이를 움직이는 구동 모듈(310") 및 지지 부재(320")의 구동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표현 부재(330")가 홀(302a") 밖으로 돌출된 이후에도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 부재(312")에 전기가 유지되지 않더라도, 상기 표현 부재(330")의 돌기(131)가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과도한 전력 사용 없이도 표현 부재(330")의 동작을 자유로이 행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스토퍼(340")와 지지 부재(320")의 사이에 중간 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지지 부재(320")의 반복 이동 시 지지 부재(320")와 스토퍼(340")의 접촉으로 인한 지지 부재(320") 및/또는 자력 부재(313")의 손상을 방지하고, 및/또는 스토퍼(34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0: 지리적 정보 출력 시스템
100: 사용자 위치 조사부
200: 주변 정보 조사부
500: 출력 정보 생성 제어부
300: 정보 출력 장치
330: 표현 부재

Claims (18)

  1. 사용자에게 지리적 정보를 출력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조사하는 사용자 위치 조사부;
    상기 사용자 위치 조사부에서 조사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의 주변의 지리적 정보를 조사하는 주변 정보 조사부;
    상기 주변 정보 조사부에서 조사한 정보에 따라 출력할 출력 정보를 생성하는 출력 정보 생성 제어부 및
    상기 출력 정보 생성 제어부가 생성한 출력 정보에 대응되도록 적어도 일 방향으로 운동하여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돌출 시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의 표현 부재를 구비하는 정보 출력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주변 정보 조사부는 상기 사용자 주변의 길의 정보를 조사하고,
    상기 출력 정보 생성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주변의 길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인접한 길의 폭 방향의 경계 영역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정보 출력 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인식하도록 상기 사용자에 인접한 길의 폭 방향의 경계 영역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정보 출력 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이동하는 상기 길의 좌측 경계 영역, 우측 경계 영역 및 상기 좌측 경계 영역과 우측 경계 영역의 사이의 상기 길의 실질적 영역들을 상기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지리적 정보 출력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위치 조사부는 사용자의 이동 시 사용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조사하는 지리적 정보 출력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정보 조사부는 사용자 주변의 지형 및 지물의 정보를 조사하는 지형 지물 조사부 또는 사용자 주변의 이동 물체를 조사하는 이동 물체 조사부를 더 포함하는 지리적 정보 출력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정보 생성 제어부는 상기 정보 출력 장치의 복수의 표현 부재 중 어떤 표현 부재가 돌출될 것인지를 결정하는 표현 부재 돌출 위치 제어부를 포함하는 지리적 정보 출력 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정보 생성 제어부는 상기 표현 부재의 돌출되는 높이 정보를 생성하는 표현 부재 돌출 높이 정보 제어부 또는 상기 표현 부재가 돌출되어 돌출되는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을 제어하는 표현 부재 돌출 유지 정보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지리적 정보 출력 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출력 장치는 차량의 내부에 운전석과 조수석의 사이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지리적 정보 출력 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출력 장치의 복수의 표현 부재를 이용하여 사용자 주변의 지리적 정보를 표현하고,
    상기 복수의 표현 부재는 상기 지리적 정보 표시 시에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상이한 돌출 높이를 갖도록 돌출되는 지리적 정보 출력 시스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리적 정보 출력 시스템은 사용자의 위치를 표시하는 기준 영역을 더 포함하는 지리적 정보 출력 시스템.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영역은 상기 복수의 표현 부재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적 정보 출력 시스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인식하는 입력 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목적지 입력을 통하여 상기 입력 인식부가 목적지 정보를 인식 시, 상기 정보 출력 장치의 복수의 표현 부재는 상기 입력 인식부에서 인식한 목적지 정보를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순차적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는 지리적 정보 출력 시스템.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인식부는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등록하는 인증 등록부 및 사용자가 입력한 인증 정보가 상기 인증 등록부에 등록된 인증 정보와 부합하는지 판단하는 인증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출력 장치는 상기 인증 판단부의 결과에 따라 동작하는 지리적 정보 출력 시스템.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출력 장치는 상기 표현 부재의 돌출을 위한 운동을 구동하는 구동 부재를 더 포함하는 지리적 정보 출력 시스템.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출력 장치는 상기 구동 부재의 주변에 배치된 코일 부재를 더 포함하는 지리적 정보 출력 시스템.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는 자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지리적 정보 출력 시스템.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1 베이스 부재 및 제2 베이스 부재를 더 포함하는 지리적 정보 출력 시스템.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 부재와 상기 구동 부재의 사이 또는 상기 제2 베이스 부재와 상기 구동 부재의 사이에 배치된 중간 부재를 더 구비하는 지리적 정보 출력 시스템.
  17.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출력 장치는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면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가이드 돌출 부재를 구비하는 가이드 베이스 및 상기 가이드 베이스 상부에 배치되는 자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가이드 베이스 상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돌출 부재에 대응되어 적어도 일 방향으로 운동하고,
    상기 표현 부재는 상기 구동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부재와 같은 방향으로 운동하는 지리적 정보 출력 시스템.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출력 장치는 제1 방향을 따라 운동하는 구동 모듈 및 상기 구동 모듈과 상기 표현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 모듈에 의하여 상기 제1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운동하고 상기 구동 모듈의 구동력을 상기 표현 부재에 전달하는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지리적 정보 출력 시스템.
KR1020160036284A 2016-03-25 2016-03-25 지리적 정보 출력 시스템 KR101863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6284A KR101863952B1 (ko) 2016-03-25 2016-03-25 지리적 정보 출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6284A KR101863952B1 (ko) 2016-03-25 2016-03-25 지리적 정보 출력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0744A Division KR20180061127A (ko) 2018-05-28 2018-05-28 지리적 정보 출력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258A KR20170111258A (ko) 2017-10-12
KR101863952B1 true KR101863952B1 (ko) 2018-06-01

Family

ID=60141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6284A KR101863952B1 (ko) 2016-03-25 2016-03-25 지리적 정보 출력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395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61117B2 (ja) * 1997-05-20 2005-06-15 三明電機株式会社 自己保持型ソレノイド
JP2007511399A (ja) * 2003-10-21 2007-05-10 ジョンソン コントロールズ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車輌内装置用にユーザ音声プロファイルを選択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3250942A (ja) * 2012-06-04 2013-12-12 Aisin Aw Co Ltd 入力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61117B2 (ja) * 1997-05-20 2005-06-15 三明電機株式会社 自己保持型ソレノイド
JP2007511399A (ja) * 2003-10-21 2007-05-10 ジョンソン コントロールズ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車輌内装置用にユーザ音声プロファイルを選択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3250942A (ja) * 2012-06-04 2013-12-12 Aisin Aw Co Ltd 入力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258A (ko)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ernandes et al. A review of assistive spatial orientation and navigation technologies for the visually impaired
Kim et al. Navigating visually impaired travelers in a large train station using smartphone and bluetooth low energy
US20190241199A1 (en) Haptic information provision device
CN100563615C (zh) 展馆盲人引导系统
KR20130086861A (ko) 전자식지팡이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
JP2003058321A (ja) タッチパネル装置
Spiers et al. Outdoor pedestrian navigation assistance with a shape-changing haptic interface and comparison with a vibrotactile device
Jacob et al. Pedestrian navigation using the sense of touch
KR100847139B1 (ko) 길 안내 서비스 방법 및 장치
Takizawa et al. Kinect cane: An assistive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based on the concept of object recognition aid
US11760375B2 (en) Haptic information provision device
Kim et al. Mobile applications for assisting mobility for the visually impaired using IoT infrastructure
Kameswaran et al. Understanding in-situ use of commonly available navigation technologies by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Hersh Mobility technologies for blind, partially sighted and deafblind people: Design issues
KR20180087783A (ko) 사람을 식별하여 대인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로봇
KR100954608B1 (ko) 촉감모듈이 구비된 전자장치
KR101863952B1 (ko) 지리적 정보 출력 시스템
CN109764889A (zh) 导盲方法和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KR20180061127A (ko) 지리적 정보 출력 시스템
KR20100007383A (ko) 충격량을 이용한 햅틱 피드백 제공 모듈이 구비된 전자장치
Jacob et al. Haptic feedback for passengers using public transport
Al-Shehabi et al. An obstacle detection and guidance system for mobility of visually impaired in unfamiliar indoor environments
Fink et al. The Autonomous Vehicle Assistant (AVA): Emerging technology design supporting blind and visually impaired travelers in autonomous transportation
KR101954109B1 (ko) 지문인식형 가상 사인 디바이스를 이용한 흔적 추적시스템
Fernando et al. Modelling indoor spaces to support vision impaired navigation using an ontology based approa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