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3821B1 - 발전플랜트 - Google Patents

발전플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3821B1
KR101863821B1 KR1020170061346A KR20170061346A KR101863821B1 KR 101863821 B1 KR101863821 B1 KR 101863821B1 KR 1020170061346 A KR1020170061346 A KR 1020170061346A KR 20170061346 A KR20170061346 A KR 20170061346A KR 101863821 B1 KR101863821 B1 KR 101863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al fluid
ballast
module
hull
liquefied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1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용석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1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38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3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3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43/06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using ballast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15/00Adaptations of plants for special use
    • F01K15/02Adaptations of plants for special use for driving vehicles, e.g. locomotives
    • F01K15/04Adaptations of plants for special use for driving vehicles, e.g. locomotives the vehicles being waterborne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23/00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 F01K23/02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 F01K23/06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combustion heat from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 F01K23/10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combustion heat from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with exhaust fluid of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03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gaseous fuel
    • F02M21/0209Hydrocarbon fuels, e.g. methane or acetylene
    • F02M21/0212Hydrocarbon fuels, e.g. methane or acetylene comprising at least 3 C-Atoms, e.g. liquefied petroleum gas [LPG], propane or but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21Fuel storage reservoirs, e.g. cryogenic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4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combustion energy into electric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7/00Buoyancy or ballast means
    • B63B2207/02Variable ballast or buoyanc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30Use of alternative fuels, e.g. biofu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gine Equipment That Uses Special Cycles (AREA)

Abstract

발전프랜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전플랜트는 액화가스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플랜트로서, 선체; 상기 선체에 설치되고, 액화가스를 저장하는 연료저장탱크; 액화가스를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가스터빈을 포함하는 가스발전모듈; 상기 연료저장탱크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상기 가스터빈으로 공급하되, 액화가스를 상기 가스터빈으로 공급하기 전 기화시키는 액화가스 기화기를 포함하는 가스공급모듈; 상기 가스터빈의 배기가스의 열에 의해 발생된 증기를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고, 전기 발생 과정에서 이용된 증기를 응축시키는 증기 응축기를 포함하는 증기발전모듈; 상기 액화가스 기화기 및 상기 증기 응축기에서 열교환을 위해 이용되는 열유체를 이동시키는 열유체이동모듈; 및 상기 열유체이동모듈을 이동하는 열유체를 이용하여 밸러스팅하는 밸러스트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발전플랜트{Power generation plant}
본 발명은 발전플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수상에 부유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플랜트에 관한 것이다.
액화천연가스 등의 액화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발전설비는 주로 육상에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부지를 매입해야 하고, 송전선 등을 설치해야 하므로 과도한 설치비용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연료의 수급이 용이하며 부지매입에 대한 비용이 저렴한 해안가의 수상에 부유하며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플랜트의 설치가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위와 같은 발전플랜트는 액화가스를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가스터빈에 의한 가스발전설비와 증기의 증기압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증기터빈에 의한 증기발전설비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발전플랜트는 가스터빈으로 액화가스를 공급하기 전에 액화가스를 기화시키는 액화가스 기화기, 가스터빈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가스터빈에 공급되는 공기를 냉각하는 공기 냉각기 및 증기터빈에 공급되는 증기를 응축하는 증기 응축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발전플랜트는 위와 같은 액화가스 기화기, 공기 냉각기, 증기 응축기에서 열교환을 위해 사용되는 열유체로 발전플랜트 외부의 해수를 이용하고, 열유체로 이용되는 해수의 유입 및 이동을 위한 설비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발전플랜트는 발전 과정에 흘수가 소정의 설정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발전플랜트 외부의 해수를 유입하여 밸러스팅을 수행하고, 밸러스팅에 이용되는 해수의 유입 및 배출을 위한 설비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종래 발전플랜트는 열유체로 이용되는 해수의 유입 및 이동을 위한 설비 및 밸러스팅에 이용되는 해수의 유입 및 배출을 위한 설비가 구분되어 제공됨으로써, 이와 같은 설비의 설치 및 운용에 대한 비용이 증가하고, 공간활용성이 저감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설비의 설치 및 운용에 대한 비용을 절감하고, 공간활용성이 향상되는 발전플랜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액화가스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플랜트로서, 선체; 상기 선체에 설치되고, 액화가스를 저장하는 연료저장탱크; 액화가스를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가스터빈을 포함하는 가스발전모듈; 상기 연료저장탱크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상기 가스터빈으로 공급하되, 액화가스를 상기 가스터빈으로 공급하기 전 기화시키는 액화가스 기화기를 포함하는 가스공급모듈; 상기 가스터빈의 배기가스의 열에 의해 발생된 증기를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고, 전기 발생 과정에서 이용된 증기를 응축시키는 증기 응축기를 포함하는 증기발전모듈; 상기 액화가스 기화기 및 상기 증기 응축기에서 열교환을 위해 이용되는 열유체를 이동시키는 열유체이동모듈; 및 상기 열유체이동모듈을 이동하는 상기 열유체를 이용하여 밸러스팅하는 밸러스트모듈을 포함하는, 발전플랜트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밸러스트모듈은 전기를 발생시키는 과정에 상기 선체의 흘수가 설정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상기 밸러스트모듈은, 상기 연료저장탱크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선체의 흘수가 상기 설정범위의 하한보다 작아질 때, 상기 선체의 흘수가 상기 설정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상기 열유체이동모듈을 이동하는 상기 열유체가 상기 밸러스트모듈로 유입되는 밸러스팅 모드로 작동하거나, 외부의 액화가스가 상기 연료저장탱크로 보충되는 과정에서 상기 선체의 흘수가 상기 설정범위의 상한보다 커질 때, 상기 선체의 흘수가 상기 설정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상기 밸러스트모듈로 유입된 상기 열유체가 상기 열유체이동모듈로 배출되는 디밸러스팅 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밸러스트모듈은, 상기 열유체를 수용하는 밸러스트탱크; 상기 열유체이동모듈을 이동하는 상기 열유체가 상기 밸러스트탱크로 유입되는 밸러스트유입라인; 및 상기 밸러스트탱크에 수용된 상기 열유체가 상기 열유체이동모듈로 배출되는 밸러스트배출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유체는 상기 선체 외부의 해수 또는 강물을 포함하고, 상기 열유체이동모듈은, 상기 열유체를 유입시키는 유입펌프; 상기 유입펌프에서 유입된 상기 열유체가 이동하는 이동라인; 및 상기 이동라인을 이동하는 상기 열유체를 상기 선체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유체이동모듈은 상기 열유체가 상기 선체 외부로 배출되기 전 상기 선체 외부의 해수 또는 강물과 혼합되는 혼합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혼합유닛은, 상기 배출라인에 연결되는 혼합라인; 및 상기 혼합라인 상에 배치되고, 상기 열유체와 혼합되는 상기 선체 외부의 해수 또는 강물을 유입시키는 혼합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열교환에 이용되는 열유체를 밸러스팅에 이용함으로써, 밸러스팅을 위한 구성의 설치 및 운영에 대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선체에 대한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플랜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플랜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열유체이동모듈 및 밸러스트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밸러스트모듈의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밸러스트모듈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전플랜트의 열유체이동모듈 및 밸러스트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플랜트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발전플랜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열유체이동모듈 및 밸러스트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참고로, 도 1에서 Y축방향은 선체(10)의 폭방향을 나타내고, 열유체이동모듈(도 2의 1500)이 생략되어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플랜트(1)는 액화가스(L)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발전플랜트(1)는 해상 또는 강물 등 수상에 부유한 상태에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여기서, 액화가스는 상온에서 기체 상태인 가스가 액체 상태로 응축된 가연성 물질이다. 예컨대, 액화가스는 액화천연가스(LNG)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플랜트(1)는 선체(10), 연료저장탱크(1100), 가스발전모듈(1200), 가스공급모듈(1300), 증기발전모듈(1400), 열유체이동모듈(1500) 및 밸러스트모듈(1600)을 포함한다.
선체(10)는 수상에 부유되는 부유체이다. 선체(10)는 전기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작업지점에서 소정 기간 동안 부유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컨대, 선체(10)는 바지(barge) 타입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선체(10)에는 연료저장탱크(1100), 가스발전모듈(1200), 가스공급모듈(1300), 증기발전모듈(1400), 열유체이동모듈(1500) 및 밸러스트모듈(1600)이 설치된다.
참고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가스발전모듈(1200), 가스공급모듈(1300), 증기발전모듈(1400), 열유체이동모듈(1500) 및 밸러스트모듈(1600)은 액화가스, 후술하는 증기 및 열유체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미도시)의 구성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밸브의 구성은 액화가스, 증기 및 열유체 각각이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작용 또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이동 가능하도록 개폐동작할 수 있고, 그 개폐동작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연료저장탱크(1100)는 액화가스를 저장한다.
연료저장탱크(1100)는 선체(1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연료저장탱크(1100)는 도 1과 같이 하나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연료저장탱크(1100)는 선체(10)의 길이방향(ex. X축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연료저장탱크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둘 이상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과 같이, 선체의 크기 또는 액화가스의 저장 효율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가스발전모듈(1200)은 연료저장탱크(1100)로부터 공급된 액화가스를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가스발전모듈(1200)은 도 2와 같이 가스터빈(1210)을 포함한다. 가스터빈(1210)은 연료저장탱크(1100)로부터 기체상태로 공급된 액화가스를 연소하여 터빈(turbine)을 회전시킴으로써 전기를 발생시킨다.
가스공급모듈(1300)은 연료저장탱크(1100)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가스터빈(1210)으로 공급한다. 이때, 연료저장탱크(1100)에 저장된 액화가스는 가스터빈(1210)에서 연료로 사용 가능하도록 기화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가스공급모듈(1300)은 도 2와 같이 액화가스 기화기(1310)를 포함한다. 액화가스 기화기(1310)는 액화가스를 가스터빈(1210)으로 공급되기 전 기화시킨다. 이때, 액화가스 기화기(1310)는 후술하는 열유체이동모듈(1500)을 이동하는 열유체와의 열교환을 통해 액화가스를 기화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은 가스발전모듈(1200)이 가스공급모듈(1300)로부터 액화가스를 공급받아 전기를 발생시키는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증기발전모듈(1400)은 가스터빈(1210)의 배기가스의 열에 의해 발생된 증기를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킨다. 다시 말해, 증기발전모듈(1400)은 가스터빈(1210)의 배기가스의 폐열을 이용해 증기를 발생시키고, 그 증기의 증기압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킨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발전플랜트(1)는 액화가스를 연소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가스터빈(1210)의 배기가스의 폐열을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므로, 전기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증기발전모듈(1400)은 도 2와 같이 증기 응축기(1410)를 포함한다. 증기 응축기(1410)는 전기 발생 과정에 이용된 증기를 응축시킨다. 이때, 증기 응축기(1410)는 후술하는 열유체이동모듈(1500)을 이동하는 열유체와의 열교환을 통해 증기를 냉각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은 증기발전모듈(1400)이 전기를 발생시키는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열유체이동모듈(1500)은 액화가스 기화기(1310) 및 증기 응축기(1410)에서 열교환을 위해 이용되는 열유체를 이동시킨다.
열유체는 선체(10)가 부유하는 작업지점의 해수 또는 강물일 수 있다. 이 경우, 선체(10) 외부의 해수 또는 강물은 열유체이동모듈(1500)로 유입되어 이동하며 열교환을 위한 열원 또는 냉원으로 작용하는 열유체로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열유체이동모듈(1500)은 도 3과 같이 유입펌프(1510), 이동라인(1530) 및 배출라인(1550)을 포함할 수 있다.
유입펌프(1510)는 열유체를 유입시킨다. 이때, 열유체는 유입펌프(1510)의 펌핑동작에 의해 후술하는 이동라인(1530)을 거쳐 후술하는 배출라인(155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유입펌프(1510)에서 유입된 열유체는 이동라인(1530)을 통해 이동한다. 다시 말해, 이동라인(1530)은 유입펌프(1510)에서 유입된 열유체가 열원 또는 냉원으로 작용하도록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라인(1530)은 도 3과 같이 열유체가 유입되는 유입라인(1531), 증기 응축기(1410)를 통과하는 제1이동라인(1533) 및 액화가스 기화기(1310)를 통과하는 제2이동라인(1535)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입라인(1531) 상에는 유입펌프(1510)가 배치되고, 유입구가 형성되는 유입라인(1531)의 일단부는 선체(10) 외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열유체로 이용되는 선체(10) 외부의 해수 또는 강물은 유입펌프(1510)의 펌핑동작을 통해 유입라인(1531)으로 유입될 수 있다.
유입라인(1531)의 타단부는 제1이동라인(1533) 및 제2이동라인(1535)과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유입라인(1531)은 유입펌프(1510)의 하류에서 제1이동라인(1533) 및 제2이동라인(1535)으로 분기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입라인(1531)으로 유입된 열유체는 유입라인(1531)에서 제1이동라인(1533) 및 제2이동라인(1535)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이동할 수 있다.
제1이동라인(1533)은 증기 응축기(1410)를 거쳐 후술하는 배출라인(1550)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1이동라인(1533)을 이동하는 열유체는 증기 응축기(1410)에서 증기와 열교환할 수 있다.
이 경우, 증기 응축기(1410)를 통과하는 열유체는 증기 응축기(1410)를 통과하는 증기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저온인 냉원으로 작용하고, 증기 응축기(1410)를 통과한 후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제2이동라인(1535)은 액화가스 기화기(1310)를 거쳐 후술하는 배출라인(1550)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2이동라인(1535)을 이동하는 열유체는 액화가스 기화기(1310)에서 액화가스와 열교환할 수 있다.
이 경우, 액화가스 기화기(1310)를 통과하는 열유체는 액화가스 기화기(1310)를 통과하는 액화가스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고온인 열원으로 작용하고, 액화가스 기화기(1310)를 통과한 후 온도가 하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이동라인(1533) 및 제2이동라인(1535)은 연결라인(1539)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라인(1539)은 증기 응축기(1410)를 통과한 후 온도가 상승한 열유체가 제1이동라인(1533)에서 제2이동라인(1535)으로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2이동라인(1535)에는 증기 응축기(1410)를 통과한 후 온도가 상승한 열유체가 연결라인(1539)을 통해 유입되어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액화가스 기화기(1310)에는 증기 응축기(1410)를 통과한 후 온도가 상승한 열유체가 통과함으로써 액화가스를 기화하는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제1이동라인(1533), 제2이동라인(1535) 및 연결라인(1539)은 증기 응축기(1410) 및 액화가스 기화기(1310)의 동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한편, 액화가스 기화기(1310)는 유입펌프(1510)에 대해 일정 거리 이상 위치하거나, 일정 높이 이상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열유체는 유입펌프(1510)의 펌핑동작에 의해 액화가스 기화기(1310)로 이동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때, 제2이동라인(1535)에는 도 3과 같이 보조펌프(1511)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펌프(1511)는 제2이동라인(1535)을 통해 액화가스 기화기(1310)로 이동하는 열유체를 가압할 수 있다.
배출라인(1550)은 이동라인(1530)을 이동하는 열유체를 선체(10) 외부로 배출시킨다. 다시 말해, 배출라인(1550)은 제1이동라인(1533) 및 제2이동라인(1535)을 이동하며 열원 또는 냉원으로 작용한 열유체가 선체(10)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한다.
이때, 배출라인(1550)의 일단부는 제1이동라인(1533) 및 제2이동라인(1535)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이동라인(1533)과 제2이동라인(1535)은 배출라인(1550)의 일단부에서 합쳐질 수 있다.
배출라인(1550)의 타단부는 선체(10) 외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배출라인(1550)을 이동하는 열유체는 배출라인(1550)의 배출구를 통해 선체(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열유체이동모듈(1500)은 혼합유닛(15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혼합유닛(1570)은 열유체가 선체(10) 외부로 배출되기 전 선체(10) 외부의 해수 또는 강물과 열유체를 혼합시킨다.
보다 상세히, 배출라인(1550)을 통해 선체(10) 외부로 배출되는 열유체는 선체(10) 외부의 해수 또는 강물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고온 또는 저온일 수 있다. 이 경우, 선체(10) 외부로 배출되는 열유체는 선체(10) 외부의 해수 또는 강물에 대한 온도차에 의해 환경오염(즉, 열오염)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혼합유닛(1570)은 배출라인(1550)을 이동하는 열유체와 선체(10) 외부의 해수 또는 강물을 혼합함으로써, 선체(10) 외부로 배출되는 열유체와 선체(10) 외부의 해수 또는 강물 사이 온도차를 소정 범위 이내로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선체(10) 외부로 배출되는 열유체에 의한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혼합유닛(1570)은 도 3과 같이 혼합라인(1571)과 혼합펌프(1572)를 포함할 수 있다.
혼합라인(1571)은 배출라인(1550)에 연결된다. 이때, 유입구가 형성되는 혼합라인(1571)의 일단부는 선체(10) 외부로 연장되고, 혼합라인(1571)의 타단부는 배출라인(1550)에 연결될 수 있다.
혼합펌프(1572)는 혼합라인(1571) 상에 배치되고, 선체(10) 외부의 해수 또는 강물을 유입시킨다. 이 경우, 선체(10) 외부의 해수 또는 강물은 혼합펌프(1572)의 펌핑동작에 의해 혼합라인(1571)으로 유입되어 배출라인(155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배출라인(1550)을 이동하는 열유체는 혼합라인(1571)을 통해 유입되는 선체(10) 외부의 해수 또는 강물과 혼합되어 선체(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혼합라인(1571)은 배출라인(1550)을 통해 배출되는 열유체의 온도에 따라 개폐될 수 있다.
밸러스트모듈(1600)은 열유체이동모듈(1500)을 이동하는 열유체를 이용하여 밸러스팅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밸러스트모듈(1600)은 열유체이동모듈(1500)을 이동하는 열유체를 밸러스트로 이용한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발전플랜트(1)는 열교환에 이용되는 열유체를 밸러스팅에 이용함으로써, 밸러스팅을 위한 구성의 설치 및 운영에 대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선체(10)에 대한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밸러스트모듈(1600)은 전기를 발생시키는 과정에 선체(10)의 흘수가 설정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범위는 전기를 발생시키는 과정에서, 선체가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흘수의 범위를 말한다. 이와 같은 설정범위는 모형선 실험 또는 수치해석 등을 방법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밸러스트모듈(1600)은 연료저장탱크(1100)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과정에서 선체(10)의 흘수가 설정범위의 하한보다 작아질 때, 선체(10)의 흘수가 설정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열유체이동모듈(1500)을 이동하는 열유체가 밸러스트모듈(1600)로 유입되는 밸러스팅(ballasting) 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또는 밸러스트모듈(1600)은 외부의 액화가스가 연료저장탱크(1100)로 보충되는 과정에서 선체(10)의 흘수가 설정범위의 상한보다 커질 때, 선체(10)의 흘수가 설정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밸러스트모듈(1600)로 유입된 열유체가 열유체이동모듈(1500)로 배출되는 디밸러스팅(deballasting) 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밸러스트모듈(1600)의 작동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본 실시예에서, 밸러스트모듈(1600)은 도 1 및 도 3과 같이 밸러스트탱크(1610), 밸러스트유입라인(1630) 및 밸러스트배출라인(1650)을 포함할 수 있다.
밸러스트탱크(1610)는 열유체를 수용한다. 이때, 밸러스트모듈(1600)은 밸러스트탱크(1610)에 대한 열유체의 유입 및 배출을 통해 선체(10)의 흘수를 설정범위 내에서 유지시킬 수 있다.
밸러스트탱크(1610)는 도 1과 같이 선체(10)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밸러스트탱크(1610)는 선체(10)의 저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밸러스트탱크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선체의 측부 등 열유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선체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밸러스트탱크(1610)는 도 1과 같이 하나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밸러스트탱크(1610)는 선체(10)의 길이방향(ex. X축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밸러스트탱크의 수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둘 이상이 제공되는 것과 같이 선체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열유체이동모듈(1500)을 이동하는 열유체는 밸러스트유입라인(1630)을 통해 밸러스트탱크(1610)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밸러스트유입라인(1630)은 열유체이동모듈(1500)과 밸러스트탱크(1610)를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밸러스트모듈(1600)은 열유체가 열유체이동모듈(1500)의 이동 과정에 밸러스트유입라인(1630)으로 유입되는 구조로 제공됨으로써, 밸러스팅을 위한 해수 또는 강물을 밸러스트탱크(1610)로 유입시키기 위한 펌프의 구성을 생략할 수 있다.
일례로, 밸러스트유입라인(1630)은 도 3과 같이 배출라인(1550)과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밸러스트유입라인(1630)은 배출라인(1550)이 제1이동라인(1533) 및 제2이동라인(1535)과 연결되는 지점과 배출라인(1550)이 혼합라인(1571)과 연결되는 지점 사이 영역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배출라인(1550)을 이동하는 열유체는 선체(10) 외부로 배출되기 전 밸러스트탱크(1610)로 유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열유체는 밸러스트탱크(1610)에 수용되는 동안 밸러스트탱크(1610)의 측벽을 통해 선체(10) 외부와 열교환함으로써, 선체(10) 외부의 해수 또는 강물의 온도와 유사한 온도로 조절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밸러스트유입라인(1630')은 도 4와 같이 이동라인(1530)과 연결될 수 있다. 참고로, 도 4는 도 3의 밸러스트모듈의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때, 밸러스트유입라인(1630')은 제1이동라인(1533)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밸러스트유입라인(1630')은 증기 응축기(1410)와 제1이동라인(1533)이 배출라인(1550)과 연결되는 지점 사이 영역에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밸러스트유입라인(1630')은 증기 응축기(1410)의 하류의 제1이동라인(1533)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밸러스트유입라인(1630')은 증기 응축기(1410)를 통과하며 온도가 상승한 열유체를 밸러스트탱크(1610')로 유입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온도가 상승한 열유체는 밸러스트탱크(1610')에 수용되는 동안 밸러스트탱크(1610')의 측벽을 통해 선체 외부와 열교환함으로써 냉각될 수 있고, 배출라인(1550)을 따라 선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외에도, 밸러스트유입라인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이동라인 등 열유체이동모듈을 이동하는 열유체가 밸러스트탱크로 유입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으로 열유체이동모듈과 연결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밸러스트탱크(1610)에 수용된 열유체는 밸러스트배출라인(1650)을 통해 열유체이동모듈(1500)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밸러스트배출라인(1650)은 밸러스트탱크(1610)와 열유체이동모듈(1500)을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밸러스트배출라인(1650)은 열유체이동모듈(1500)의 혼합라인(1571)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밸러스트배출라인(1650)은 혼합라인(1571)의 유입구와 혼합펌프(1572) 사이 영역과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밸러스트배출라인(1650)은 혼합펌프(1572)의 상류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밸러스트탱크(1610)에 수용된 열유체는 혼합펌프(1572)의 펌핑동작에 의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밸러스트모듈(1600)은 열유체이동모듈(1500)의 혼합펌프(1572)의 동작에 의해 밸러스트탱크(1610)에 수용된 열유체가 배출되는 구조로 제공됨으로써, 밸러스팅에 이용된 열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펌프의 구성을 생략할 수 있다.
밸러스트탱크(1610)에서 배출된 열유체는 혼합라인(1571)을 통해 배출라인(1550)으로 이동하여 선체(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밸러스트탱크(1610)에서 배출된 열유체는 혼합라인(1571)으로 유입되는 선체(10) 외부의 해수 또는 강물과 혼합되어 선체(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밸러스트유입라인(1630) 및 밸러스트배출라인(1650)은 밸러스트모듈(1600)의 작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밸러스트모듈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발전플랜트(1)가 전기를 생산하는 과정에 밸러스트모듈(1600)의 작동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밸러스트모듈(1600)은 전기를 생산하기 전 선체(10)의 흘수가 설정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이때, 연료저장탱크(1100)는 액화가스(L)가 채워진 상태에 있다.
이 경우, 밸러스트탱크(1610)는 연료저장탱크(1100)에 액화가스(L)가 채워진 상태에서 선체(10)의 흘수가 설정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열유체(H)를 수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열유체이동모듈(도 3의 1500)은 유입펌프(도 3의 1510)를 통해 열유체(H)를 유입하여 이동라인(도 3의 1530) 및 배출라인(도 3의 1550)으로 이동시키고, 밸러스트탱크(1610)에는 열유체이동모듈(1500)을 이동하는 열유체(H)가 유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열유체(H)는 증기 응축기(도 3의 1410) 또는 액화가스 기화기(도 3의 1310)에서 냉원 또는 열원으로 작용하지 않고 이동할 수 있다.
선체(10)가 설정범위 내의 흘수를 갖도록 배치된 후, 가스발전모듈(1200)의 가스터빈(도 2의 1210)은 액화가스(L)를 이용하여 가스발전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증기발전모듈(1400)은 가스터빈(1210)의 배기가스의 폐열을 이용하여 발생시킨 증기에 의한 증기발전을 할 수 있다.
이때, 열유체이동모듈(1500)은 유입된 열유체(H)를 증기 응축기(1410) 또는 액화가스 기화기(1310)에서 냉원 또는 열원으로 작용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밸러스트모듈(1600)은 발전 과정에 밸러스팅 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연료저장탱크(1100)에 저장된 액화가스(L)는 발전 과정에 연소되어 감소하고, 이에 따라 선체(10)의 하중도 감소할 수 있다. 이 경우, 선체(10)는 수면에 대하여 상승하고, 선체(10)의 흘수는 설정범위의 하한보다 작아질 수 있다.
이때, 밸러스트모듈(1600)은 열유체이동모듈(도 3의 1500)을 이동하는 열유체(H)를 유입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밸러스트유입라인(도 3의 1630)은 개방되고, 밸러스트배출라인(도 3의 1650)은 폐쇄될 수 있다. 이 경우, 밸러스트탱크(1610)에 유입되어 수용되는 열유체(H)는 증가하고, 선체(10)의 하중도 증가할 수 있다.
이때, 열유체이동모듈(1500)을 이동하는 열유체(H)는 선체(10)의 흘수가 설정범위의 하한보다 작아지는 것을 상쇄시키도록 밸러스트탱크(1610)로 유입될 수 있다. 이 경우, 밸러스트모듈(1600)은 열유체이동모듈(1500)을 이동하는 열유체(H)를 유입함으로써 선체(10)의 흘수를 설정범위 내에서 유지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밸러스트모듈(1600)은 발전 과정에 디밸러스팅 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연료저장탱크(1100)는 발전 과정에 외부로부터 액화가스(L)를 보충받을 수 있다. 예컨대, 연료저장탱크(1100)는 벙커링선박(미도시)으로부터 액화가스(L)를 보충받을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연료저장탱크(1100)에 액화가스(L)가 보충되어 증가하면, 선체(10)의 하중도 증가할 수 있다. 이 경우, 선체(10)는 수면에 대하여 하강하고, 선체(10)의 흘수는 설정범위의 상한보다 커질 수 있다.
이때, 밸러스트모듈(1600)은 밸러스트모듈(1600)로 유입된 열유체(H)를 열유체이동모듈(도 3의 1500)로 배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밸러스트유입라인(도 3의 1630)은 폐쇄되고, 밸러스트배출라인(도 3의 1650)은 개방될 수 있다. 이 경우, 밸러스트탱크(1610)에는 수용된 열유체(H)가 배출되어 감소하고, 선체(10)의 하중도 감소할 수 있다.
이때, 밸러스트탱크(1610)에 수용된 열유체(H)는 선체(10)의 흘수가 설점범위의 상한보다 커지는 것을 상쇄시키도록 밸러스트탱크(1610)에서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밸러스트모듈(1600)은 밸러스트탱크(1610)에 수용된 열유체(H)를 배출함으로써 선체(10)의 흘수를 설점범위 내에서 유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발전플랜트(1)의 발전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발전플랜트(1)는 가스발전 및 증기발전을 통해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가스공급모듈(1300)은 연료저장탱크(1100)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액화가스 기화기(1310)를 통해 기화하여 가스발전모듈(1200)의 가스터빈(1210)에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스공급모듈(1300)은 도 2와 같이 가스온도조절기(1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스온도조절기(1330)는 액화가스 기화기(1310)에서 기화된 액화가스를 가스터빈(1210)의 효율이 최적화되는 온도로 가열하여 가스터빈(1210)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가스온도조절기(1330)는 증기발전모듈(1400)에서 가스터빈(1210)의 배기가스와 열교환되어 온도가 상승한 증기와 열교환을 통해 액화가스를 가열할 수 있다.
가스발전모듈(1200)은 가스공급모듈(1300)에서 기화된 액화가스를 연료로 공급받아 가스터빈(1210)에서 연소시켜 전기를 생산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스발전모듈(1200)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공기 냉각기(1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 냉각기는 가스터빈(1210)에 액화가스의 연소를 위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냉각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스터빈(1210)에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낮출수록 가스터빈(1210)에 동일 시간 동안 공급되는 공기의 질량이 증가하여 가스터빈(1210)의 출력을 높일 수 있다.
공기 냉각기(1230)는 열유체이동모듈(1500)을 이동하는 열유체와 열교환을 통해 외부 공기를 냉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열유체이동모듈(1500)에는 제3이동라인(1537)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이동라인(1537)의 일단부는 액화가스 기화기(1310)의 하류에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3이동라인(1537)의 일단부는 제2이동라인(1535)의 액화가스 기화기(1310) 및 배출라인(1550) 사이 영역에 연결될 수 있다.
제3이동라인(1537)의 타단부는 공기 냉각기(1230)를 거쳐 배출라인(155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이동라인(1535)을 이동하며 액화가스 기화기(1310)를 통과하여 온도가 하강한 열유체는 제3이동라인(1537)을 통해 공기 냉각기(1230)를 통과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때, 공기 냉각기(1230)를 통과하는 열유체는 공기 냉각기(1230)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냉각시킬 수 있다.
제3이동라인(1537)은 공기 냉각기(1230)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온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공기 냉각기(1230)에는 공기우회라인(1231)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기우회라인(1231)은 외부 공기가 공기 냉각기(1230)를 우회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가스터빈(1210)으로 공급되는 외부 공기는 충분히 낮아 냉각이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공기는 공기 냉각기(1230)로 유입되지 않고, 공기우회라인(1231)을 통해 가스터빈(1210)으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공기 냉각기는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이동라인 및 공기우회라인은 생략될 수 있다.
증기발전모듈(1400)은 가스터빈(1210)의 배기가스의 열에 의해 발생된 증기압을 이용해 전기를 생산한다.
본 실시예에서, 증기발전모듈(1400)은 증기발생기(1430) 및 증기터빈(1450)을 포함할 수 있다.
증기발생기(1430)는 가스터빈(1210)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증기터빈(1450)은 증기발생기(1430)로부터 발생된 증기의 압력을 이용하여 터빈을 회전시킴으로써 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증기 응축기(1410)는 증기터빈(1450)에서 터빈을 회전시킨 증기를 냉각시킴으로써 응축시키고, 응축된 증기는 증기발생기(1430)로 이동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전플랜트의 열유체이동모듈 및 밸러스트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전플랜트(2)는 선체(미도시), 연료저장탱크(미도시), 가스발전모듈(미도시), 가스공급모듈(미도시), 증기발전모듈(미도시), 열유체이동모듈(2500) 및 밸러스트모듈(260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체(미도시), 연료저장탱크(미도시), 가스발전모듈(미도시), 가스공급모듈(미도시), 증기발전모듈(미도시) 및 밸러스트모듈(2600)은 앞선 실시예의 선체(도 1의 10), 연료저장탱크(도 1 및 도 2의 1100), 가스발전모듈(도 1 및 도 2의 1200), 가스공급모듈(도 1 및 도 2의 1300), 증기발전모듈(도 1 및 도 2의1400) 및 밸러스트모듈(도 1 및 도 2의 16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열유체이동모듈(2500)은 앞선 실시예의 열유체이동모듈(도 3의 1500)과 비교하여 혼합유닛(도 3의 1570)이 생략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는 열유체이동모듈(2500)과 밸러스트모듈(25600) 사이 연결관계에 있어 앞선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하,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앞선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점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열유체이동모듈(2500)은 열유체를 유입시키는 유입펌프(2510), 열유체가 이동하는 이동라인(2530), 열유체를 선체(미도시)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라인(25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동라인(2530)은 유입펌프(2510)가 배치되는 유입라인(2531), 증기 응축기(2410)를 통과하는 제1이동라인(2533), 액화가스 기화기(2310)를 통과하는 제2이동라인(2535), 공기 냉각기(2230)를 통과하는 제3이동라인(2537), 제1이동라인(2533)과 제2이동라인(2535)을 연결하는 연결라인(2539)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밸러스트모듈(2600)은 밸러스트탱크(2610), 밸러스트유입라인(2630) 및 밸러스트배출라인(26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밸러스트모듈(2600)을 설명함에 있어, 열유체이동모듈(2500)에 대한 밸러스트유입라인(2630) 및 밸러스트배출라인(2650)의 연결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밸러스트유입라인(2630)은 배출라인(2550)에 연결될 수 있다.
밸러스트배출라인(2650)은 이동라인(25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밸러스트배출라인(2650)은 유입펌프(2510)의 상류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밸러스트배출라인(2650)은 유입라인(2531)의 유입구와 유입펌프(2510) 사이 영역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밸러스트탱크(2610)에 수용된 열유체는 유입펌프(2510)의 펌핑동작에 의해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밸러스트모듈(2600)은 열유체이동모듈(2500)의 유입펌프(2510)의 동작에 의해 밸러스트탱크(2610)에 수용된 열유체가 배출되는 구조로 제공됨으로써, 밸러스팅에 이용된 열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펌프의 구성을 생략할 수 있다.
밸러스트탱크(2610)에서 배출된 열유체는 다시 열유체이동모듈(2500)에서 이동할 수 있다. 즉, 밸러스트탱크(2610)에서 배출된 열유체는 유입펌프(2510)의 펌핑동작에 의해 유입라인(2531)으로 유입되는 열유체와 혼합되어 제1이동라인(2533) 및 제2이동라인(2535)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선체(미도시) 외부로 배출되는 열유체를 감소시킬 수 있어 환경오염을 저감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2: 발전플랜트
10: 선체
1100: 연료저장탱크
1200: 가스발전모듈
1210: 가스터빈
1230, 2230: 공기 냉각기
1231: 공기우회라인
1300: 가스공급모듈
1310, 2310: 액화가스 기화기
1330: 가스온도조절기
1400: 증기발전모듈
1410, 2410: 증기 응축기
1430: 증기발생기
1450: 증기터빈
1500, 2500: 열유체이동모듈
1510, 2510: 유입펌프
1511: 보조펌프
1530, 2530: 이동라인
1531, 2531: 유입라인
1533, 2533: 제1이동라인
1535, 2535: 제2이동라인
1537, 2537: 제3이동라인
1539, 2539: 연결라인
1550, 2550: 배출라인
1570: 혼합유닛
1571: 혼합라인
1572: 혼합펌프
1600, 1600', 2600: 밸러스트모듈
1610, 1610', 2610: 밸러스트탱크
1630, 1630', 2630: 밸러스트유입라인
1650, 1650', 2650: 밸러스트배출라인

Claims (6)

  1. 액화가스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플랜트로서,
    선체;
    상기 선체에 설치되고, 액화가스를 저장하는 연료저장탱크;
    액화가스를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가스터빈을 포함하는 가스발전모듈;
    상기 연료저장탱크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상기 가스터빈으로 공급하되, 액화가스를 상기 가스터빈으로 공급하기 전 기화시키는 액화가스 기화기를 포함하는 가스공급모듈;
    상기 가스터빈의 배기가스의 열에 의해 발생된 증기를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고, 전기 발생 과정에서 이용된 증기를 응축시키는 증기 응축기를 포함하는 증기발전모듈;
    상기 액화가스 기화기 및 상기 증기 응축기에서 열교환을 위해 이용되는 열유체를 이동시키는 열유체이동모듈; 및
    상기 열유체이동모듈을 이동하는 상기 열유체를 이용하여 밸러스팅하되, 전기를 발생시키는 과정에 상기 선체의 흘수가 설정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작동하는 밸러스트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밸러스트모듈은,
    상기 열유체를 수용하는 밸러스트탱크;
    상기 열유체이동모듈과 상기 밸러스트탱크를 연결하고, 상기 열유체이동모듈을 이동하는 상기 열유체가 상기 밸러스트탱크로 유입되는 밸러스트유입라인; 및
    상기 열유체이동모듈과 상기 밸러스트탱크를 연결하고, 상기 밸러스트탱크에 수용된 상기 열유체가 상기 열유체이동모듈로 배출되는 밸러스트배출라인을 포함하는, 발전플랜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러스트모듈은,
    상기 연료저장탱크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선체의 흘수가 상기 설정범위의 하한보다 작아질 때, 상기 선체의 흘수가 상기 설정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상기 열유체이동모듈을 이동하는 상기 열유체가 상기 밸러스트모듈로 유입되는 밸러스팅 모드로 작동하거나,
    외부의 액화가스가 상기 연료저장탱크로 보충되는 과정에서 상기 선체의 흘수가 상기 설정범위의 상한보다 커질 때, 상기 선체의 흘수가 상기 설정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상기 밸러스트모듈로 유입된 상기 열유체가 상기 열유체이동모듈로 배출되는 디밸러스팅 모드로 작동하는, 발전플랜트.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열유체는 상기 선체 외부의 해수 또는 강물을 포함하고,
    상기 열유체이동모듈은,
    상기 열유체를 유입시키는 유입펌프;
    상기 유입펌프에서 유입된 상기 열유체가 이동하는 이동라인; 및
    상기 이동라인을 이동하는 상기 열유체를 상기 선체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라인을 포함하는, 발전플랜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열유체이동모듈은 상기 열유체가 상기 선체 외부로 배출되기 전 상기 선체 외부의 해수 또는 강물과 혼합되는 혼합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혼합유닛은,
    상기 배출라인에 연결되는 혼합라인; 및
    상기 혼합라인 상에 배치되고, 상기 열유체와 혼합되는 상기 선체 외부의 해수 또는 강물을 유입시키는 혼합펌프를 포함하는, 발전플랜트.
KR1020170061346A 2017-05-18 2017-05-18 발전플랜트 KR101863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346A KR101863821B1 (ko) 2017-05-18 2017-05-18 발전플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346A KR101863821B1 (ko) 2017-05-18 2017-05-18 발전플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3821B1 true KR101863821B1 (ko) 2018-06-01

Family

ID=62634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1346A KR101863821B1 (ko) 2017-05-18 2017-05-18 발전플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382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5870A (ko) * 2004-11-08 2007-08-27 쉘 인터내셔날 리써취 마트샤피지 비.브이. 액화천연가스 부유식 저장 재기화 설비
KR20160112609A (ko) * 2015-03-20 2016-09-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5870A (ko) * 2004-11-08 2007-08-27 쉘 인터내셔날 리써취 마트샤피지 비.브이. 액화천연가스 부유식 저장 재기화 설비
KR20160112609A (ko) * 2015-03-20 2016-09-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47059C (en) Gas turbine electric power generation equipment and air humidifier
US7096659B1 (en) Gas turbine electric power generation equipment and air humidifier
US6578354B2 (en) Gas turbine electric power generation equipment and air humidifier
AU2013264211A1 (en) Liquid hydrogen production device
KR101232311B1 (ko) 가스연소유닛의 배기가스를 이용한 폐열회수시스템
KR101903086B1 (ko) 부유식 발전 시스템
KR101863821B1 (ko) 발전플랜트
KR20160059065A (ko) 스팀터빈의 복수기 폐열을 재활용하는 부유식 발전선
JP6505852B2 (ja) 船舶用のlng気化システム、それを備えた船舶、及び船舶用のlng気化方法
KR102239300B1 (ko) 발전시스템을 구비한 부유식 해상구조물
KR101839643B1 (ko) 초임계 이산화탄소 발전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JP2775851B2 (ja) 火力発電所システム
KR101801824B1 (ko) 해양구조물
KR101995462B1 (ko) Lng 연료공급시스템
KR101111704B1 (ko) Lng 재기화 장치
JPH01113507A (ja) 排熱回収熱交換器
WO2023176050A1 (ja) ガスタービンシステム
KR102663870B1 (ko) 암모니아 기화 시스템, 이를 포함하는 발전 시스템 및 발전 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240057052A (ko) 부유저장 화력발전 플랜트의 폐냉각해수 활용 시스템
KR101924535B1 (ko) 부유식 발전 시스템
JP2020186732A (ja) 液化天然ガス気化システム、および液化天然ガス気化システムの温度制御方法
KR101924322B1 (ko) 해수공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식 해상발전소
KR101938075B1 (ko) 발전 시스템
KR20180126976A (ko) 부유식 발전 시스템
KR20210111460A (ko) 선박의 발전시스템 및 발전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