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3323B1 - 실외용 led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실외용 led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3323B1
KR101863323B1 KR1020170005896A KR20170005896A KR101863323B1 KR 101863323 B1 KR101863323 B1 KR 101863323B1 KR 1020170005896 A KR1020170005896 A KR 1020170005896A KR 20170005896 A KR20170005896 A KR 20170005896A KR 101863323 B1 KR101863323 B1 KR 101863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display
module
protrusion
fixing
insertion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5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임온더스팟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임온더스팟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임온더스팟
Priority to KR1020170005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33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3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3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43Frames or housings to hold sig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실외용 LED 디스플레이 장치는, LED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LED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에 부착되는 고정모듈; 높이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기립바와, 상기 복수의 기립바를 가로질러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바로 구성되되, 상기 기립바 및 상기 연결바의 교차점에 상기 LED 디스플레이 모듈이 기립된 상태로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모듈과 결합되는 삽입돌부가 형성된 설치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실외용 LED 디스플레이 장치{Outdoor LED Display Assembly}
본 발명은 실외용 LED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와 분해가 신속하고 용이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외에서 콘서트나 광고물의 부착을 위해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실외에 장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실내와 달리 짧은 기간동안 설치한 이후 이를 다시 분해하여 수거하였다가 다른 위치에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러한 실외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신속한 설치와 분해가 가능한 구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작업이 반복되더라도 버틸 수 있는 충분한 내구성을 요하는 경우가 많다.
한편, 공지된 실외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10-2009-0107761호 실외용 엘씨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경우, 실외에 설치되어 기상 환경에 구애 없이 안정적으로 광고 및 다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것으로서 랜라인 및 리모콘을 통해 원격으로 데이터 전송 및 작동을 감지제어할 수 있는 실외용 엘씨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한 내용을 개시하였다.
다만, 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실외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기상문제, 온도, 충격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우징을 덧씌우는 것으로서, 이 또한 설치한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보수나 분해, 재조립 등의 과정이 필요한 본 기술의 목적 상 적용하는 데에 적합하지 않다고 볼 수 있다.
다른 선행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10-1228515호 아웃도어형 멀티인포메이션부스에서는, 오픈된 야외공간에 설치되고, 센서 또는 카메라를 통해 확인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태이상시 관제센터로 보고하고 이를 바탕으로 혹은 관제센터로부터 전송된 명령을 바탕으로 정해진 동작을 수행하는 한편, 각각의 터치스크린에 서로 다른 형식의 콘텐츠와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고 각기 개별적으로 동작하도록 지원하는 한편, 상기 어플리케이션 선택 시 자동으로 주변에 위치한 스마트폰을 스캔하고 해당 스마트폰의 흔들림이나 터치스크린과의 접촉 여부 혹은 해당 스마트폰의 응답에 따라 전송채널을 형성하고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나 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관련정보를 해당 스마트폰으로 다운로드하도록 함으로써, 제한된 장소에서 벗어나 실외 어디에서나 설치가 가능하고 더불어 대기시간 없이 바삐 이동하는 보행자들에게 도 관련정보를 즉시 자세히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아웃도어형 멀티인포메이션부스에 대한 내용을 개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인포메이션부스의 경우, 실외에 설치되기는 했어도 고정된 위치에 지속적인 설치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나 재설치에 대한 구성이 고려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이것을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설치와 분해가 신속하고 용이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실외에서 빠르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LED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결합된 LED 디스플레이 모듈을 신속하게 분리 및 해체가 가능한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착된 LED 디스플레이 모듈의 기울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프레임에 손잡이를 적용하여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한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LED 디스플레이 모듈의 결합부에 자성체를 적용하고, 손잡이에 이에 대응되는 자성체를 포함시켜 별도로 결합해제부재를 보유할 필요 없이 손잡이를 제어하는 것만으로도 LED 디스플레이 모듈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외용 LED 디스플레이 장치는, LED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LED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에 부착되는 고정모듈; 높이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기립바와, 상기 복수의 기립바를 가로질러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바로 구성되되, 상기 기립바 및 상기 연결바의 교차점에 상기 LED 디스플레이 모듈이 기립된 상태로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모듈과 결합되는 삽입돌부가 형성된 설치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고정모듈은, 상기 삽입돌부가 삽입되는 제1 고정모듈과, 상기 삽입돌부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설치프레임과 패스너를 매개로 연결되는 제2 고정모듈이 반복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제2 고정모듈은, 자성체로 구성되어 패스너를 매개로 상기 LED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에 결합되는 모듈고정부와, 상기 모듈고정부가 끼움결합될 수 있는 모듈결합공간이 형성된 것으로서, 금속으로 구성되어 패스너를 매개로 상기 설치프레임의 일 측에 결합되는 모듈삽입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모듈은, 상기 삽입돌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정면에서 내측으로 함입된 삽입홈이 형성된 삽입장치와, 상기 삽입장치의 배면에 부착된 것으로서, 상기 LED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과 패스너를 매개로 결합되는 받침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돌부의 외주면 일 측에는, 내측으로 일정 깊이 함입된 걸림넥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장치는, 상기 설치프레임에 밀착될 수 있도록 돌출된 형상을 갖되, 중앙부위에 상기 삽입홈이 형성된 커버캡과, 상기 삽입홈의 일 측에 위치하여 상기 걸림넥부로 몸체의 일부가 진입하는 복수의 로킹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장치는, 중앙부위에 상기 삽입돌부가 관통할 수 있는 보조삽입홈이 형성된 상태에서 스프링을 매개로 탄성력을 제공받아 상기 로킹볼을 지속적으로 상기 삽입돌부가 삽입되는 반대 방향으로 밀어내는 푸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캡은, 상기 삽입홈의 입구 주변부위에서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회전결합돌기가 더 형성되고, 상기 삽입돌부의 하부에는, 상기 회전결합돌기가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방사상으로 내입 형성된 적어도 둘 이상의 회전고정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결합돌기의 하부에는, 일정 간격마다 위치한 복수개의 보조함입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삽입돌부의 하부에는, 상기 회전고정홈의 주변에서 힌지를 매개로 상하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서, 상부로 최대 회동하여 일 단이 상기 보조함입홈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회전결합돌기를 고정시키는 고정걸림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홈은, 입구로부터 내측으로 진행될수록 면적이 점차 증가하는 외협내광(外狹內廣)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넥부는, 상기 삽입돌부의 측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푸싱부는 자성체로 구성되고, 상기 삽입돌부는 금속으로 구성되되, 상기 삽입돌부는, 상기 교차점에서 상기 삽입돌부가 위치한 전면으로부터 배면을 향해 추가 연장된 연장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외용 LED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연장돌부에 상기 푸싱부의 자성체와 대응되는 자성편이 부착된 결합해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립바 및 상기 연결바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삽입장치가 부착되는 면의 반대측 면에서 좌우로 접철될 수 있도록 결합된 핸들을 더 포함하되, 상기 핸들의 일 측에는, 상기 결합해제부재를 부착하여, 상기 핸들이 좌 또는 우측으로 최대 접철되었을 때, 상기 교차점에서 상기 연장돌부가 위치한 면에 상기 자성편이 맞닿을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외용 LED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1) 실외에서 빠르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단순 삽입에 의한 결합으로 고정되는 LED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
2)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결합된 LED 디스플레이 모듈을 반대로 신속하게 분리 및 해체가 가능하도록 구성한 LED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며,
3) 결합부에 회전이 가능한 구성을 더 포함시켜 장착된 LED 디스플레이 모듈의 기울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4) 설치프레임에 손잡이를 추가로 적용하여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였으며,
5) 보다 쉬운 결합, 분리 및 해체가 가능하도록 LED 디스플레이 모듈의 결합부에 자성체를 적용하고, 손잡이에 이에 대응되는 자성체를 포함시킨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외용 LED 디스플레이장치의 기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고정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삽입돌부와 삽입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삽입돌부와 삽입장치에 회전구성을 더 포함시킨 것을 도시한 단면도 및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삽입돌부와 삽입장치의 결합구성 및 고정걸림돌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걸림넥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결합해제부재를 적용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손잡이를 적용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외용 LED 디스플레이장치의 기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실외용 LED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본적으로 LED가 하나 이상 부착된 PCB로 구성되는 LED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높이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기립바(310)와 이 기립바(310)를 가로질러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바(320)로 구성되는 일종의 그물망 형태의 설치프레임(300)과, LED 디스플레이 모듈(100)에서 LED가 부착된 방향의 반대측인 배면에 부착되어 LED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설치프레임(30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소켓역할을 하는 고정모듈(200)로 구성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다만, 설치프레임(300)의 경우, 기립바(310)와 연결바(320)가 교차하는 교차점에서 LED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위치할 방향으로 돌출된 삽입돌부(330)가 더 형성되고, 이에 따라 고정모듈(200)에는 이 삽입돌부(330)가 삽입됨으로서 고정될 수 있는 형태를 갖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필요에 따라 고정모듈(200)은 다음의 두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첫 번째로서 제1 고정모듈(21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삽입돌부(330)가 삽입됨으로서 LED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고정시키는 것이고, 두 번째로서 제2 고정모듈(220)은 삽입돌부(330)가 삽입되지 않더라도 기존에 활용되던 연결방식인 나사나 볼트, 못 등의 패스너(400)를 활용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형성한 것을 의미한다. 즉, 제1 고정모듈(210)의 경우, 설치프레임(300)에 삽입돌부(330)가 형성된 곳에만 위치할 수 있으나, 부득이하게 삽입돌부(330)가 형성되지 않은 곳에서 LED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부착하기 원하는 경우,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이러한 제2 고정모듈(220)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1 고정모듈(210)과 교대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1 고정모듈(210)의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별도의 패스너(400)가 사용되지 않아 설치가 용이하고 나아가 분리 또한 용이하기 때문이며, 따라서 제2 고정모듈(220)의 경우 제한적인 상황에서 제1 고정모듈(210)과 함께 활용되는 부재라고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고정모듈(200)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삽입돌부(330)와 삽입장치(351)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고정모듈(200)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고정모듈(200)은 크게 두 개의 부위로 나뉠 수 있는데, 삽입돌부(3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정면에서 내측을 향해 함입된 삽입홈(360)을 갖추어 삽입돌부(330)의 삽입에 따라 결합되도록 구성된 삽입장치(351)와, 이 삽입장치(351)를 LED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결합시키기 위한 받침패널(352)로 구성된다.
삽입장치(351)의 경우, 삽입돌부(330)가 삽입되는 삽입홈(360)을 갖출 수 있도록 충분한 부피를 가져야 한다. 이 때, 삽입돌부(330)가 삽입홈(360)에 정확히 끼움결합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만 있다면 삽입홈(360)이 충분히 넓어 삽입돌부(330)가 삽입되더라도 일정한 공간이 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나아가 받침패널(352)의 경우, 삽입장치(351)의 배면이자 삽입홈(360)이 형성된 위치의 대향 측에 고정되도록 부착된 상태에서 LED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배면이자 PCB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이 받침패널(352)은 LED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서로 떨어지지 않도록 패스너(400)를 매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고정모듈(220)을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자성체로 구성되어 패스너(400)를 매개로 상기 LED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배면에 결합되는 모듈고정부(341)와, 상기 모듈고정부(341)가 끼움결합될 수 있는 모듈결합공간이 형성된 것으로서, 금속으로 구성되어 패스너(400)를 매개로 상기 설치프레임(300)의 일 측에 결합되는 모듈삽입부(342)로 구성될 수 있다.
이것은 도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패스너(400)를 매개로 LED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설치프레임(300)에 각각 결합되되, 다시 모듈고정부(341)이 자성체로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패스너(400)를 활용하더라도 제2 고정모듈(220) 간의 결합은 자성체를 통한 자성을 활용하기 때문에 이러한 구성이 추가되더라도 조립과 분해는 계속해서 용이하게 진행 가능하다.
여기에서 삽입돌부(330)의 외주면 일 측에는 내측으로 일정 깊이 함입된 걸림넥부(331)가 형성된다. 즉, 삽입돌부(330)는 일종의 기둥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외주면이자 측면인 부위에 내측으로 일정 깊이 함입하여 걸림넥부(331)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 걸림넥부(331)의 형태는 특별히 지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후술할 로킹볼(354)의 일부가 이 걸림넥부(331)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이렇게 걸림넥부(331)가 형성된 삽입돌부(330)를 삽입하여 특정 위치에 LED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삽입장치(351)는 다시 다음의 두 개의 구성으로 나누어진다. 커버캡(353)의 경우, 설치프레임(300)에 밀착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것으로서, 돌출된 중앙부위에는 삽입홈(360)이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 나아가 앞서 언급했던 로킹볼(354)이 더 포함되는데, 이 로킹볼(354)은 금속 구슬로서, 베어링이나 잠금장치의 역할을 하는 것이며, 삽입홈(360)의 내측에서 삽입돌부(330)가 삽입홈(360)에 삽입되었을 때, 걸림넥부(331)가 형성된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로킹볼(354)을 위치시미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삽입돌부(330)를 삽입홈(360)에 삽입되면, 삽입돌부(330)에 형성된 걸림넥부(331)에 로킹볼(354)의 일부가 진입됨으로서 삽입돌부(330)가 삽입홈(360)에 삽입된 것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 때, 로킹볼(354)의 잠금효과를 높이기 위해, 삽입장치(351)에는 스프링(356)을 매개로하여 로킹볼(354)에 특정 방향으로 지속적인 압력을 가하는 푸싱부(355)를 더 포함한다. 이 푸싱부(355)의 경우, 로킹볼(354)에 압력을 가하기 위한 판이나 일정한 부피를 갖는 부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푸싱부(355)가 바람직하게는 중앙부위에 삽입돌부(330)를 감쌀 수 있는 보조삽입홈(357)을 더 형성할 수 있는데, 이 경우는 삽입홈(360)이 충분히 넓어 삽입돌부(330)가 삽입된 이후에도 내부 공간이 남는 경우에 활용되는 것이다. 즉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삽입돌부(330)가 삽입홈(360)에 삽입된 이후 삽입돌부(330)를 고정시키기 위해 푸싱부(355) 또한 삽입돌부(330)가 보조삽입홈(357)을 통해 삽입되고, 푸싱부(355)가 스프링(356)으로부터 탄성력을 제공받아 로킹볼(354)을 밀어내어 걸림넥부(331)에 진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삽입돌부(330)와 삽입장치(351)에 회전구성을 더 포함시킨 것을 도시한 단면도 및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삽입돌부(330)와 삽입장치(351)의 결합구성 및 고정걸림돌기(334)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나아가 이러한 구성에서 커버캡(353)은 삽입홈(360)에서 삽입돌부(330)가 삽입되는 입구부분의 주변부위에서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회전결합돌기(358)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되어 삽입돌부(330)의 하부에는 이 회전결합돌기(358)가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방사형태로 내입 형성된 복수개의 회전고정홈(33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즉, 회전결합돌기(358)와 회전고정홈(332)은 각각 삽입홈(360)과 삽입돌부(330)의 역할을 보조하는 것으로 활용될 수 있다. 회전결합돌기(358)의 경우 삽입홈(360)을 둘러싸는 위치에서 복수개가 돌출 형성된 것으로서, 각각의 형태는 무지개모양을 갖게 된다. 또한, 삽입돌부(330)의 하부에도 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복수개의 무지개모양으로 함입되거나 혹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무지개모양으로 함입된 회전고정홈(332)이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다만, 회전고정홈(332)의 경우, 회전결합돌기(358)와 폭은 동일하되, 길이를 길게 형성하여 회전결합돌기(358)가 회전고정홈(332)에 끼움결합된 이후에도 일정 범위를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LED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다양하게 기울인 각도로 거치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특징으로서, 실외에 설치된다는 특성 상 바람이나 외부 충격에 의해 자연스럽게 흔들림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 경우 LED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강력하게 고정되어 있다면, 바람에 의한 흔들림이나 밀림에 의해 전체 모듈이 넘어지거나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회전결합돌기(358)와 회전고정홈(332)의 구성을 더 적용한다면, 흔들림이 발생하는 경우 LED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자동적으로 일정수준으로 동일하게 흔들리거나 혹은 바람이 영향을 더 주지 않도록 빠져나갈 수 있는 구멍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상기한 영향을부터 비교적 자유로울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렇게 회전결합돌기(358)와 회전고정홈(332)을 적용한 경우, 일정 반경을 움직여 LED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기울인 이후에 이를 고정시킬 수단이 더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결합돌기(358)의 하부에는 일정 간격마다 복수개의 보조함입홈(359)을 더 형성하고, 삽입돌부(330)에는 이에 대응되도록 회전고정홈(332)의 주변에서 힌지(333)를 매개로 회동하는 고정걸림돌기(334)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고정걸림돌기(334)의 경우, 힌지(333)를 매개로 상부로 회동될 수 있는데, 상부로 최대 회동되는 경우 그 일 단이 보조함입홈(359)에 끼움결합될 수 있는 형태를 갖추고 있어, 회전결합돌기(358)의 위치를 잡은 이후 고정걸림돌기(334)를 이용해 회전결합돌기(358)에 형성된 보조함입홈(359)에 끼움 결합시키는 것으로 더 이상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다시 삽입홈(360)의 형태를 살펴보면, 삽입홈(360)은 입구로부터 내측으로 진행될수록 면적이 점차 증가하는 내협외광(外狹內廣)의 형태를 갖게된다. 이러한 형태는 삽입홈(360)의 내측에 넓은 공간을 형성하기 때문에 삽입돌부(330)가 삽입된 이후에도 일정 반경 회동이 가능하여 앞서 언급했던 실외설치의 특성상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로킹볼(354)과 푸싱부(355)의 구성을 추가로 적용하는 경우에도, 입구로 향할수록 면적이 줄어드는 것을 통해 로킹볼(354)이 걸림넥부(331)에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걸림넥부(331)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에 나타난 형상과 같이, 걸림넥부(331)는 삽입돌부(330)의 측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되어 마치 나사산을 형성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기존의 걸림넥부(331)에 로킹볼(354)이 진입되면 고정되어 더 이상 움직이기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으나, 걸림넥부(331)를 나선형으로 연장시키는 경우, 필요에 따라 삽입돌부(330)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로킹볼(354)을 통한 결합을 보다 쉽게 해제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결합해제부재(500)를 적용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러한 삽입돌부(330)에서 걸림넥부(331)와 로킹볼(354)의 결합을 해제하는 다른 방법으로서, 자석을 활용하는 방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푸싱부(355)를 자성체로 구성하고, 삽입돌부(330)를 금속으로 구성하는 것으로 준비할 수 있다. 일단 이러한 구성을 통해 푸싱부(355)가 자성을 띈 자성체이기 때문에 보다 삽입돌부(330)가 보다 쉽게 유입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지게 됨은 물론이다.
여기에 추가로 삽입돌부(330)에는 교차점에서 삽입돌부(330)가 원래 위치하던 방향인 전면으로부터 반대편인 배면을 향해 연장된 연장돌부(335)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 연장돌부(335)는 삽입돌부(330)와 동일한 재질인 금속으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앞서 푸싱부(355)가 자성체로 구성되었는데, 자성체의 특성상 동일한 극성을 갖는 자성체가 가까이 오면 서로 멀어지려는 성질을 갖는다는 점을 활용하는 것으로서, 푸싱부(355)의 자성체와 대응되는(동일한 극성의) 자성편(510)이 부착된 결합해제부재(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즉, 이 결합해제부재(500)의 자성편(510)을 연장돌부(335)에 가까이 가져다대면 연장돌부(335)와 연결된 삽입돌부(330)가 자성편(510)과 동일한 극성을 띄도록 대전된다. 따라서, 삽입돌부(330)와 푸싱부(355)가 동일한 극성을 띄게 되며, 이에 따라 푸싱부(355)는 삽입돌부(330)로부터 멀어지기 위해 후방으로 밀려나게 되어 로킹볼(354)을 더 이상 누르지 못해 쉽게 삽입돌부(330)와 삽입홈(360)을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손잡이(520)를 적용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마지막으로, 기립바(310) 및 연결바(32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삽입장치(351)가 부착되는 면의 반대측 면에서 좌우로 접철 가능하게 결합된 핸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핸들은 야외에 설치프레임(300)을 설치하거나 해체하기 위해 기립바(310)와 연결바(320)를 분리할 필요 없이 핸들을 잡고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핸들의 경우 좌우로 접철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어,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접어두었다가 필요시에만 펼쳐 손잡이(520)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핸들의 구성에서 한 발짝 더 나아가, 핸들에 일 측에 결합해제부재(500)를 장착시킬 수도 있다. 이렇게 결합해제부재(500)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핸들이 좌 또는 우측으로 최대로 접철된 경우, 교차점의 배면이자 연장돌부(335)가 위치한 면에 자성편(510)이 맞닿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합해제부재(500)를 별도로 지참하지 않고도 핸들에 의해 삽입돌부(330)를 삽입홈(360)으로부터 해제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 경우, 핸들을 보관하기 위해 접었을 때, 삽입돌부(330)와 삽입홈(360)의 결합이 해제되지 않도록 핸들에 길이조절부재를 더 장착하는 등의 방법이 더 적용하는 등의 방법을 더 고려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외용 LED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LED 디스플레이 모듈 200: 고정모듈
210: 제1 고정모듈 220: 제2 고정모듈
300: 설치프레임 310: 기립바
320: 연결바 330: 삽입돌부
331: 걸림넥부 332: 회전고정홈
333: 힌지 334: 고정걸림돌기
335: 연장돌부 341: 모듈고정부
342: 모듈삽입부 351: 삽입장치
352: 받침패털 353: 커버캡
354: 로킹볼 355: 푸싱부
356: 스프링 357: 보조삽입홈
358: 회전결합돌기 359: 보조함입홈
360: 삽입홈 400: 패스너
500: 결합해제부재 510: 자성편
520: 손잡이

Claims (12)

  1. 실외용 LED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LED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LED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에 부착되는 고정모듈;
    높이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기립바와, 상기 복수의 기립바를 가로질러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바로 구성되되, 상기 기립바 및 상기 연결바의 교차점에 상기 LED 디스플레이 모듈이 기립된 상태로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모듈과 결합되는 삽입돌부가 형성된 설치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모듈은,
    상기 삽입돌부가 삽입되는 제1 고정모듈과, 상기 삽입돌부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설치프레임과 패스너를 매개로 연결되는 제2 고정모듈이 반복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모듈은,
    자성체로 구성되어 패스너를 매개로 상기 LED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에 결합되는 모듈고정부와, 상기 모듈고정부가 끼움결합될 수 있는 모듈결합공간이 형성된 것으로서 금속으로 구성되어 패스너를 매개로 상기 설치프레임의 일 측에 결합되는 모듈삽입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용 LED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모듈은,
    상기 삽입돌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정면에서 내측으로 함입된 삽입홈이 형성된 삽입장치와,
    상기 삽입장치의 배면에 부착된 것으로서, 상기 LED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과 패스너를 매개로 결합되는 받침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용 LED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돌부의 외주면 일 측에는,
    내측으로 일정 깊이 함입된 걸림넥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장치는,
    상기 설치프레임에 밀착될 수 있도록 돌출된 형상을 갖되, 중앙부위에 상기 삽입홈이 형성된 커버캡과,
    상기 삽입홈의 일 측에 위치하여 상기 걸림넥부로 몸체의 일부가 진입하는 복수의 로킹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용 LED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장치는,
    중앙부위에 상기 삽입돌부가 관통할 수 있는 보조삽입홈이 형성된 상태에서 스프링을 매개로 탄성력을 제공받아 상기 로킹볼을 지속적으로 상기 삽입돌부가 삽입되는 반대 방향으로 밀어내는 푸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용 LED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캡은,
    상기 삽입홈의 입구 주변부위에서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회전결합돌기가 더 형성되고,
    상기 삽입돌부의 하부에는,
    상기 회전결합돌기가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방사상으로 내입 형성된 적어도 둘 이상의 회전고정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용 LED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결합돌기의 하부에는,
    일정 간격마다 위치한 복수개의 보조함입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삽입돌부의 하부에는,
    상기 회전고정홈의 주변에서 힌지를 매개로 상하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서, 상부로 최대 회동하여 일 단이 상기 보조함입홈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회전결합돌기를 고정시키는 고정걸림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용 LED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입구로부터 내측으로 진행될수록 면적이 점차 증가하는 외협내광(外狹內廣)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용 LED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넥부는,
    상기 삽입돌부의 측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용 LED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푸싱부는 자성체로 구성되고,
    상기 삽입돌부는 금속으로 구성되되,
    상기 삽입돌부는,
    상기 교차점에서 상기 삽입돌부가 위치한 전면으로부터 배면을 향해 추가 연장된 연장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외용 LED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연장돌부에 상기 푸싱부의 자성체와 대응되는 자성편이 부착된 결합해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용 LED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기립바 및 상기 연결바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삽입장치가 부착되는 면의 반대측 면에서 좌우로 접철될 수 있도록 결합된 핸들을 더 포함하되,
    상기 핸들의 일 측에는,
    상기 결합해제부재를 부착하여, 상기 핸들이 좌 또는 우측으로 최대 접철되었을 때, 상기 교차점에서 상기 연장돌부가 위치한 면에 상기 자성편이 맞닿을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용 LED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70005896A 2017-01-13 2017-01-13 실외용 led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63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5896A KR101863323B1 (ko) 2017-01-13 2017-01-13 실외용 led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5896A KR101863323B1 (ko) 2017-01-13 2017-01-13 실외용 led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3323B1 true KR101863323B1 (ko) 2018-06-01

Family

ID=62634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5896A KR101863323B1 (ko) 2017-01-13 2017-01-13 실외용 led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332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17764A (zh) * 2021-05-11 2021-08-06 马乾 一种户外液晶显示屏
CN113586873A (zh) * 2021-08-02 2021-11-02 上海界汇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led显示屏结构的快速安装工艺
CN116363962A (zh) * 2023-05-24 2023-06-30 深圳市康普信息技术有限公司 用于lcd拼接屏的连接固定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595B1 (ko) * 2004-06-09 2008-12-11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플러그/소켓 조립체
KR101069387B1 (ko) * 2010-02-24 2011-10-04 (주)웨이브스타 전광판용 엘이디모듈의 착탈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595B1 (ko) * 2004-06-09 2008-12-11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플러그/소켓 조립체
KR101069387B1 (ko) * 2010-02-24 2011-10-04 (주)웨이브스타 전광판용 엘이디모듈의 착탈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17764A (zh) * 2021-05-11 2021-08-06 马乾 一种户外液晶显示屏
CN113586873A (zh) * 2021-08-02 2021-11-02 上海界汇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led显示屏结构的快速安装工艺
CN113586873B (zh) * 2021-08-02 2023-06-02 上海界汇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led显示屏结构的快速安装工艺
CN116363962A (zh) * 2023-05-24 2023-06-30 深圳市康普信息技术有限公司 用于lcd拼接屏的连接固定装置
CN116363962B (zh) * 2023-05-24 2023-08-01 深圳市康普信息技术有限公司 用于lcd拼接屏的连接固定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3323B1 (ko) 실외용 led 디스플레이 장치
CN109935167B (zh) 显示器与拼接显示装置
US10567622B2 (en) Camera assembly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US8376592B2 (en) Recessed-light convers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s
CN101203114A (zh) 用于在平坦表面上可靠放置的设备及其方法
US20190297231A1 (en) Parking guidance camera apparatus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KR101895522B1 (ko) 타일링 표시장치 및 이를 제작하는 타일링장치
ES2345855T3 (es) Sistema de presentacion tubular multiconfigurable.
KR200452386Y1 (ko) 전광판 모듈 고정 잠금장치
JP5627219B2 (ja) 画像表示装置
US9082325B2 (en) Platform system, video module assembly, and process of assembling platform system
KR102451516B1 (ko) 타일링 표시장치 및 이를 제작하는 타일링장치
KR100940919B1 (ko) 엘이디 표시장치
RU2625933C2 (ru) Установочное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KR200406425Y1 (ko) 멀티비전용 엘이디 표시장치
KR200462950Y1 (ko) 엘이디 표시장치의 힌지연결구조
CN104791374A (zh) 旋转机构
KR102455253B1 (ko) 타일링 표시장치 및 이를 제작하는 타일링장치
CN110154921B (zh) 用于调节显示终端的执行机构及车辆
KR100784728B1 (ko) 전방향 회전 가능한 디스플레이어 벽걸이장치
KR100654850B1 (ko) 멀티비전용 엘이디 표시장치
KR200395901Y1 (ko) 프로젝터 설치용 브라켓
KR20160059751A (ko) 조립식 가구
KR200233058Y1 (ko) 3면 입체광고장치
KR102455250B1 (ko) 타일링 표시장치 및 이를 제작하는 타일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