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3223B1 - 구조물용 접지연결유닛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구조물용 접지연결유닛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3223B1
KR101863223B1 KR1020160056904A KR20160056904A KR101863223B1 KR 101863223 B1 KR101863223 B1 KR 101863223B1 KR 1020160056904 A KR1020160056904 A KR 1020160056904A KR 20160056904 A KR20160056904 A KR 20160056904A KR 101863223 B1 KR101863223 B1 KR 101863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ground connection
connecting member
concret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6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6633A (ko
Inventor
곽충근
고희동
김금래
Original Assignee
티에스이엔지협동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에스이엔지협동조합 filed Critical 티에스이엔지협동조합
Priority to KR1020160056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3223B1/ko
Publication of KR20170126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6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3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3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2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for coaxial connections of two rods or tub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3/00Installations of lightning conductors; Fastening thereof to supporting structure
    • H02G13/40Connection to ear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용 접지연결유닛에 있어서, 구조물의 벽내에 설치되며, 그 양단에는 접지선과 연결하기 위한 접지체결부가 형성된 접지연결부재; 및 상기 구조물의 벽 두께에 대응하여 상기 접지연결부재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접지연결부재에 장착된 길이조절부를 포함한다. 이에, 구조물의 벽 두께에 대응하여 접지연결부재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서 다양한 구조물의 벽 두께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는 구조물용 접지연결유닛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구조물용 접지연결유닛 및 그 시공방법 {EARTH CONNECTING UNIT FO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구조물용 접지연결유닛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물 내에 접지 설치되는 전기설비를 구조물 외부로 인출하여 접지하기 위해 구조물의 벽 내에 삽입되는 접지연결유닛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접지는 전기 및 전자기기, 통신장비, 계측장비 등 전기설비나 피뢰설비의 접지를 대지에 전기적으로 접속시켜 주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접지는 설비와 대지를 전기적으로 접속시켜 설비에 작용하는 낙뢰 및 지락사고 등에 의한 서지전압 및 전류를 대지로 흘려보내 설비를 서지전압 및 전류로부터 손상되고 오동작 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동작을 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감전 및 화재방지를 위한 보안용 접지, 고저압 혼촉에 의한 재해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계통접지, 뇌해 방지용 접지, 방식용 및 의료용 접지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 및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접지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설비에 과전압이 걸릴 수 있고, 전기차단기가 정확하게 동작하지 못할 경우에는 설비 등에 치명적인 손상을 가져오게 된다.
현재 수용가측으로 상용전원을 보내기 위한 송배전설비 등은 도시의 미관확보 및 외부 기상여건으로부터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지중설비로 확대되는 추세이며, 송전 및 배전케이블 등은 전력구, 맨홀, 핸드홀 등을 이용한 콘크리크 구조물의 형태로 지중에 설치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구조물 내에 설치된 전기설비는 구조물 내부에 설치되는 접지설비를 구조물 외부로 인출하여 대지에 접지하기 위해서는 구조물을 관통하여야 하는데, 이때 접지선을 통해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조물의 벽체에 삽입되는 구조물용 접지연결봉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구조물용 접지연결유닛 중 하나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의 등록번호 제20-0185779호의 지중배전구물의 접지선 연결체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종래의 지중배전구물의 접지선 연결체는
지중배전구조물의 벽내에 매립설치되고 그 외주변에는 복수의 지수환(12a,12b)이 형성됨과 더불어 그 양단에는 연결동봉결합구(16a,16b)가 대응적으로 형성된 연결본체(10)와, 상기 연결본체(10)의 일단에 형성된 상기 연결동봉결합구에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지중배전구조물내의 배전설비로부터 연장되는 접지선이 압착결합되는 제 1의 연결동봉(20a) 및, 상기 연결본체(10)의 타단에 형성된 상기 연결동봉결합구에 나사결합되면서 지중매설 접지선이 압착연결되는 제 2의 연결동봉(20b)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본체(10)의 복수의 지수환(12a,12b) 사이에는 다수의 리브(1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이러한 종래의 접지선 연결체는 연결본체의 외주에 복수의 지수환 및 다수의 리브를 형성함으로써 보다 양호한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연결동봉의 체결을 보다 견고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접지선 연결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첫째, 종래의 접지선 연결본체는 벽두께 내에 시공되나 길이가 일정하게 제작되므로 구조물의 벽 두께 별로 각각 따로 제작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둘째, 종래의 접지선 연결본체가 구조물의 벽내에 매설될 때, 연결동봉이 분리된 상태에서 연결본체가 구조물의 벽체에 매설 시공되기 때문에 연결본체의 연결동봉결합구에 시멘트 등의 이물질이 삽입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물질에 의해 연결동봉의 결합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셋째, 만약, 종래의 접지선 연결본체가 구조물의 벽내에 매설될 때 연결동봉이 결합된 상태에서 연결본체가 구조물의 벽체에 매설 시공되는 경우에는, 연결본체에 결합된 연결동봉에 의해 구조물의 콘크리트 타설시 필요한 거푸집에 구멍을 내야하는 등의 타 공정과의 간섭으로 시공성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넷째, 종래의 접지선 연결체는 연결본체가 구조물의 벽내에 매설된 상태에서 연결동봉에 의해 결합된 후 연결동봉의 압축연결부에 접지선이 압착되도록 설계되어있다. 이런 경우 구조물 외측의 접지망 상태를 점검하는 등의 경우 다시 접지선을 연결동봉이나 연결본체로부터 분리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구조물의 벽 내에 시공되는 접지연결부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구조물의 벽 두께에 대응하여 여러 가지 제품을 제작할 필요가 없이 구조물의 벽 두께에 대응하여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는 구조물용 접지연결유닛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구조물의 벽 내에 시공되는 접지연결부재의 단부에 접지선과 연결하기 위해 형성된 접지체결부에 마개부재를 부착하여 매설함으로서, 시공시 접지체결부에 시멘트 등의 이물질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물용 접지연결유닛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접지연결부재의 접지체결부에 접지선을 용이하게 결합 분리할 수 있는 구조물용 접지연결유닛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접지연결유닛은 구조물의 벽내에 설치되며, 그 양단에는 접지선과 연결하기 위한 접지체결부가 형성된 접지연결부재; 및 상기 구조물의 벽 두께에 대응하여 상기 접지연결부재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접지연결부재에 장착된 길이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접지연결유닛에서 상기 접지연결부재는 제1연결부재 및 제2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기 제1연결부재 및 제2연결부재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조절돌기부와, 상기 조절돌기부의 수용 깊이에 따라 상기 접지연결부재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제1연결부재 및 제2연결부재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된 돌기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접지연결유닛에서 상기 조절돌기부의 외부면에는 숫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수용부의 내부면에는 상기 조절돌기부의 숫나사에 대응하여 암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접지연결유닛은 상기 접지선의 단부에 체결되는 터미널; 및 상기 접지연결부재의 접지체결부에는 암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터미널을 상기 접지체결부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된 체결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접지연결유닛은 상기 접지연결부재의 접지체결부를 커버하기 위한 마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접지연결유닛에서 상기 마개부재는 상기 접지연결부재의 접지체결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가 접지체결부에 용이하게 착탈가능하도록 상기 삽입부의 반대측에 형성된 착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접지연결유닛은 구조물의 벽 내에 설치되며, 그 양단에는 접지선과 연결하기 위한 접지체결부가 형성된 접지연결부재; 및 상기 접지연결부재의 접지체결부를 커버하기 위한 마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접지연결유닛에서 상기 마개부재는 상기 접지연결부재의 접지체결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가 접지체결부에 용이하게 착탈가능하도록 상기 삽입부의 반대측에 형성된 착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접지연결유닛의 시공방법은 그 양단에는 접지선과 연결하기 위한 접지체결부가 형성된 접지연결부재의 길이를 구조물의 벽 두께에 대응하여 조절하도록 길이조절부를 조작하는 길이조절 단계; 길이 조절된 상기 접지연결부재를 삽입하여 구조물을 시공하는 구조물 시공 단계; 및 상기 구조물 내에 삽입된 상기 접지연결부재의 접지체결부에 상기 접지선을 체결하는 접지선 체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접지연결유닛의 시공방법에서 상기 구조물 시공 단계에서 길이 조절된 상기 접지연결부재의 접지체결부에 시공시 이물질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개부재를 체결하며, 상기 접지선 체결 단계에서 상기 마개부재를 제거한 후에 상기 접지연결부재의 접지체결부에 상기 접지선을 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접지연결유닛의 시공방법에서 상기 접지선 체결 단계에서 상기 접지선 단부에 터미널을 장착한 후 상기 접지연결부재의 접지체결부에 상기 터미널을 착탈가능하게 체결볼트로 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구조물의 벽 내에 시공되는 접지연결부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구조물의 벽 두께에 대응하여 여러 가지 제품을 제작할 필요가 없이 구조물의 벽 두께에 대응하여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는 구조물용 접지연결유닛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구조물의 벽 내에 시공되는 접지연결부재의 단부에 접지선과 연결하기 위해 형성된 접지체결부에 마개부재를 부착하여 매설함으로서, 시공시 접지체결부에 시멘트 등의 이물질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물용 접지연결유닛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접지연결부재의 접지체결부에 접지선을 용이하게 결합 분리할 수 있는 구조물용 접지연결유닛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구조물용 접지선 연결체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접지연결유닛이 구조물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접지연결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접지연결유닛을 구조물에 설치하여 접지선이 연결된 시공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접지연결유닛이 구조물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접지연결유닛이 구조물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접지연결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연결유닛(100)은 구조물의 벽(160)내에 설치되며, 그 양단에는 접지선(101)과 연결하기 위한 접지체결부(115)가 형성된 접지연결부재(110)와, 구조물의 벽(160) 두께에 대응하여 접지연결부재(110)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접지연결부재(110)에 장착된 길이조절부(120)을 포함한다.
접지연결유닛(100)은 맨홀이나 핸드홀 또는 건축물, 토목 구조물 등의 구조물에 수용된 변압기 등의 전기설비의 접지선(101)을 구조물의 외측에 지중 매설하도록, 구조물의 외부에 설치된 접지동봉(미도시)의 접지선(101)과 전기설비의 접지선(101)을 연결하기 위해 마련된다.
접지연결부재(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구조물의 벽(160)의 두께에 대응하는 길이로 마련되어 구조물의 벽(16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콘크리트 등으로 구조물을 시공할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의 벽(160) 외측에 설치하는 거푸집(170)에 간섭되지 않게 접지연결부재(110)를 구조물 벽(160) 내부에 설치한 상태에서 콘크리트 등을 타설함으로서 구조물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다. 접지연결부재(110)에는 지수판(141)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구조물의 벽(160)과 접지연결부재(110) 사이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지수판(141)에 의해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다.
접지연결부재(110)는 본 발명의 실시일예로 길이조절 가능하게 제1연결부재(111) 및 제2연결부재(113)을 포함할 수 있다. 접지연결부재(110)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길이조절가능하게 3개 혹은 4개 등 복수개로 분리되게 마련될 수도 있다.
제1연결부재(111)은 본 발명이 실시예로 일측에 접지체결부(115)가 형성되며, 제2연결부재(113)과 마주보는 타측에 길이조절부(120)이 형성된다. 또한, 제2연결부재(1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일측에 접지체결부(115)가 형성되며, 제1연결부재(111)과 마주보는 타측에 길이조절부(120)이 형성된다.
접지체결부(11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암나사가 형성되어 후술할 체결볼트(155)에 의해 접지선(101)이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접지체결부(115)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억기끼움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접지선(101)과 연결될 수도 있다.
길이조절부(120)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접지연결부재(110)의 길이를 조절가능하도록 제1연결부재(111) 및 제2연결부재(113)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길이조절부(120)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1연결부재(111) 및 제2연결부재(113)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조절돌기부(121)와, 조절돌기부(121)의 수용 깊이에 따라 접지연결부재(110)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제1연결부재(111) 및 제2연결부재(113)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된 돌기수용부(12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길이조절부(120)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연결부재(111)과 제2연결부재(113)의 마주보는 양측에 삽입구가 마련되며,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는 삽입부재를 별도로 마련하여 길이조절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길이 조절할 수도 있다.
조절돌기부(12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그 외주면에 숫나사가 형성될 수 있으며, 돌기수용부(123)은 조절돌기부(121)의 숫나사에 대응하여 암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1연결부재(111) 및 제2연결부재(113)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킴으로서 조절돌기부(121)이 돌기수용부(123)에 삽입되는 깊이에 따라 접지연결부재(110)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조절돌기부(121) 및 돌기수용부(123)은 나사결합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억지끼움 등 상호의 삽입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접지연결유닛(100)은 접지연결부재(110)의 접지체결부(115)를 커버하기 위한 마개부재(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마개부재(130)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접지연결부재(110)의 접지체결부(115)에 삽입되는 삽입부(131)와, 삽입부(131)로부터 연장 형성된 커버부(133)와, 커버부(133)에 형성되어 삽입부(131)이 접지체결부(115)에 용이하게 착탈가능하도록 삽입부의 반대측에 형성된 착탈부(135)를 포함한다. 그러나, 마개부재(130)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접지연결부재(110)의 접지체결부(115)에 이물질이 삽입되지 않도록 커버부(133)이 없이 삽입부(131)만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삽입부(131) 및 착탈부(135)로 형성될 수도 있다.
삽입부(13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접지연결부재(110)의 접지체결부(115)에 나사 결합가능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삽입부(131)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고 접지연결부재(110)의 접지체결부(115)에 억지끼움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접지연결부재(110)이 구조물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구조물을 시공하는 경우, 접지연결부재(110)의 접지체결부(115)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부(133)은 본 발명이 실시예로 삽입부(131)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된다. 이에, 삽입부(131)만 있을 때 보다 더욱 효과적으로 접지연결부재(110)의 접지체결부(115)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착탈부(135)는 접지연결부재(110)의 접지체결부(115)에 나사 결합하는 삽입부(131)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착탈부(135)는 본 발명의 일예로 드라이브 등이 삽입될 수 있도록 홈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작업자가 드라이브 등을 착탈부(135)에 삽입하여 삽입부(131)을 회전시킴으로서 접지체결부(115)에 마개부재(130)을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접지연결유닛(100)은 접지선(101)의 단부에 체결되는 터미널(150)과, 접지연결부재(110)의 접지체결부(115)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터미널(150)을 접지체결부(115)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된 체결볼트(1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미널(150)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그 일측이 접지선(101)의 단부에 압착결합되며, 그 타측은 체결볼트(155)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게 홀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터미널(150)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타측이 고리형상으로 체결볼트(155)에 결합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체결볼트(15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그 일측은 터미널(150)의 타측에 삽입되어 접지연결부재(110)의 접지체결부(115)에 나사 결합할 수 있게 나사부가 형성되며, 그 타측은 나사부를 드라이브나 스페너 등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머리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접지연결부재(110)의 접지체결부(115)에 터미널(150)이 장착된 접지선(101)을 체결볼트(155)를 이용하여 결합함으로서 접지선(101)을 접지체결부(115)에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지연결부재(110)의 구조물 외부에 설치된 접지망의 점검을 위한 테스트 등을 위해 접지선(101)을 분리하기도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접지연결유닛의 시공방법에 대해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그 양단에는 접지선과 연결하기 위한 접지체결부(115)가 형성된 접지연결부재(110)의 길이를 구조물의 벽(160) 두께에 대응하여 조절하도록 길이조절부(120)을 조작한다. 그리고, 길이 조절된 접지연결부재(110)을 삽입하여 구조물 내의 철근 등에 결합시킨 후 구조물을 시공한다. 구조물의 벽(160)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벽(160) 외측에 각각 거푸집(170) 등을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접지연결부재(110)의 길이는 양측 거푸집(170)의 내측면 사이의 길이와 거의 유사하게 조절하면 된다.
그리고, 구조물 벽(160)의 시공이 완료되어 거푸집(170) 등을 제거한 후에 벽(160) 내에 삽입된 접지연결부재(110)의 접지체결부(115)에 접지선(101)을 체결하면 된다.
만약, 접지연결부재(110)의 접지체결부(115)에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부재(130)을 체결하는 경우에는 접지연결부재(110)의 전체 길이는 마개부재(130)을 포함한 길이로 하며, 이때 접지연결부재(110)의 전체 길이는 양측 거푸집(170)의 내측면 사이의 길이와 거의 유사하게 조절하면 된다. 그리고, 구조물 벽(160)의 시공이 완료되어 거푸집(170) 등을 제거한 후에 마개부재(130)을 제거하고 접지연결부재(110)의 접지체결부(115)에 접지선(101)을 체결하면 된다.
만약, 터미널(150) 및 체결볼트(155)를 이용하여 접지선(101)을 접지체결부(115)에 결합하는 경우에는 접지선(101) 단부에 터미널(150)을 장착한 후 접지연결부재(110)의 접지체결부(115)에 터미널(150)을 착탈가능하게 체결볼트(155)로 체결하면 된다.
이와 같이, 구조물용 접지연결유닛 및 그 시공방법에 대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접지연결부재(110)에 길이조절부(120)을 마련하여 다양한 구조물의 벽 두께에 대응하여 여러개의 제품을 구비할 필요 없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구조물용 접지연결유닛 및 그 시공방법에 대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접지연결부재(110)의 접지체결부(115)에 장착가능하게 마개부재(130)을 마련하여 접지체결부(115)에 시멘트 등의 이물질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조물용 접지연결유닛 및 그 시공방법에 대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 터미널(150) 및 체결볼트(155)를 마련하여 접지선(101)에 접지연결부재(110)의 접지체결부(115)에 탈 부착이 용이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접지연결유닛이 구조물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다른 실시예는 상술한 실시예와 달리 접지연결유닛(100)의 접지연결부재(110)에 길이조절부를 생략하고 일체형의 연결부재(112)로 형성하는 것이 차이점이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에도, 구조물용 접지연결유닛 및 그 시공방법에 대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접지연결부재(110)의 연결부재(112) 단부에 형성된 접지체결부(115)에 장착가능하게 마개부재(130)을 마련하여 접지체결부(115)에 시멘트 등의 이물질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조물용 접지연결유닛 및 그 시공방법에 대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터미널(150) 및 체결볼트(155)를 마련하여 접지선(101)에 연결부재(112)의 접지체결부(115)에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도면부호 중 일부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4의 도면부호와 일치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00 : 접지연결유닛 101 : 접지선
110 : 접지연결부재 111 : 제1연결부재
113 : 제2연결부재 120 : 길이조절부
130 : 마개부재 131 : 삽입부
133 : 커버부 135 : 착탈부
141 : 지수판 150 : 터미널

Claims (11)

  1.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접지선과 연결되는 구조물용 접지연결유닛에 있어서,
    제1 연결부재,
    상기 제1 연결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연결부재를 포함한 전체 길이가 조절되는 제2 연결부재, 그리고
    상기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제2 연결부재의 외주면에 각각 일체로 결합되는 복수의 지수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서로 결합되는 부분의 반대측에 접지체결부가 제공되고,
    상기 접지체결부에는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 거푸집의 내벽 측에 배치되며 이물질이 상기 접지체결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마개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마개부재는
    상기 접지체결부에 나사결합되는 삽입부, 그리고
    상기 삽입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접지체결부로 타설된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커버부
    를 포함하는 구조물용 접지연결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제2 연결부재와 결합되는 부분의 외주면에 나사산으로 이루어지는 조절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조절돌기부에 대응하여 나사홈으로 이루어지는 돌기수용부를 포함하는구조물용 접지연결유닛.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체결부에는
    상기 마개부재를 탈거한 후 접지선이 연결된 터미널을 고정하는 체결볼트가 결합되는 구조물용 접지연결유닛.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에는
    콘크리트 타설 후 거푸집 해체 후 접지선에 연결된 터미널을 고정하는 체결볼트를 결합하기 위해 상기 마개부재를 탈거하는 착탈부가 제공되는 구조물용 접지연결유닛.
  7. 삭제
  8. 삭제
  9. 콘크리트 구조물에 접지연결유닛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에 제공된 접지체결부에 콘크리트 타설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마개부재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마개부재를 결합하는 단계 후에 상기 마개부재가 콘크리트 거푸집의 내벽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의 전체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 단계;
    상기 길이조절단계 후에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를 철근 구조물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철근 구조물에 고정하는 단계 후에 콘크리트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콘크리트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한 후 콘크리트 거푸집을 제거하고 상기 접지체결부에 결합된 마개부재를 제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마개부재를 제거한 후에 상기 접지체결부에 접지선을 고정하는 체결볼트를 결합하는 접지선 체결 단계
    를 포함하는 구조물용 접지연결유닛 시공방법.
  10. 삭제
  11. 삭제
KR1020160056904A 2016-05-10 2016-05-10 구조물용 접지연결유닛 및 그 시공방법 KR101863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904A KR101863223B1 (ko) 2016-05-10 2016-05-10 구조물용 접지연결유닛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904A KR101863223B1 (ko) 2016-05-10 2016-05-10 구조물용 접지연결유닛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6633A KR20170126633A (ko) 2017-11-20
KR101863223B1 true KR101863223B1 (ko) 2018-07-05

Family

ID=60809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6904A KR101863223B1 (ko) 2016-05-10 2016-05-10 구조물용 접지연결유닛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32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4880B1 (ko) * 2023-06-19 2023-10-04 정진완 배전선로 전력구 접지봉의 유지보수공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779Y1 (ko) * 1999-12-16 2000-06-15 한일건재공업주식회사 지중배전구조물의 접지선 연결체
KR100549981B1 (ko) * 2005-11-16 2006-02-07 (주) 대경엔지니어링 콘크리트전주 접지선 연결장치
JP2015035276A (ja) * 2013-08-07 2015-02-19 中国電力株式会社 分離式直線スリーブ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779Y1 (ko) * 1999-12-16 2000-06-15 한일건재공업주식회사 지중배전구조물의 접지선 연결체
KR100549981B1 (ko) * 2005-11-16 2006-02-07 (주) 대경엔지니어링 콘크리트전주 접지선 연결장치
JP2015035276A (ja) * 2013-08-07 2015-02-19 中国電力株式会社 分離式直線スリーブ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4880B1 (ko) * 2023-06-19 2023-10-04 정진완 배전선로 전력구 접지봉의 유지보수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6633A (ko) 2017-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7577B1 (ko) 건축물내의 지중케이블 파형보호관 연결구조
EP2201580B1 (en) Integrated insulator seal and shield assemblies
KR101612747B1 (ko) 배전선로의 접지 공법 시스템
KR101863223B1 (ko) 구조물용 접지연결유닛 및 그 시공방법
KR200464744Y1 (ko) 접지판 탈부착식 전주
KR101816316B1 (ko) 버스웨이 구성부품을 연결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447198B1 (ko) 신설작업이 용이한 지중 배전선로의 기초대
KR101873957B1 (ko) 변전소의 절연용 방호구 설비
EP2989686B1 (de) Steckverbinder
KR100549981B1 (ko) 콘크리트전주 접지선 연결장치
KR101222614B1 (ko) 케이블 곡률반경 축소용 접속장치와 이를 이용한 케이블 곡률반경 축소 접속시공방법
KR101445847B1 (ko) 배전선 접지장치
EP3567688B1 (en) Underground link box with reduced failure proneness
KR101863222B1 (ko) 구조물용 접지연결유닛
KR100823052B1 (ko) 특고압 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구조
KR20170018132A (ko) 압축인류클램프
US10910772B2 (en) Electrical safety system for wet areas
US9028273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environmental shield
CN213088975U (zh) 一种电气设备安装工程预埋定位套管
KR102093601B1 (ko) 방호관 연결 장치
CN203932480U (zh) 一种拉力增强型电缆连接器
CN210201393U (zh) 一种高压接地箱预埋件
CN207009174U (zh) 绝缘帽、绝缘筒及使用其的绝缘结构和转接母线组件
KR100613270B1 (ko) 저압선로형 분기접속장치
KR101435932B1 (ko) 지중배전선의 배전반 접속용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