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2512B1 - Shock-absorbing ladder - Google Patents

Shock-absorbing lad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2512B1
KR101862512B1 KR1020170054802A KR20170054802A KR101862512B1 KR 101862512 B1 KR101862512 B1 KR 101862512B1 KR 1020170054802 A KR1020170054802 A KR 1020170054802A KR 20170054802 A KR20170054802 A KR 20170054802A KR 101862512 B1 KR101862512 B1 KR 101862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vertical frame
hole
cov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48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재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예성전기통신
정재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예성전기통신, 정재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예성전기통신
Priority to KR1020170054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251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2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25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42Ladder feet; Supports therefor
    • E06C7/423Ladder stabilising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42Ladder feet; Supports therefor
    • E06C7/426Height adjustable supports for receiving both ladder fe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mping device for a lad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amping device for a ladder installed at lower legs of the ladder, which is used when moving up from the ground, to prevent the ladder from being inclined even on the irregular ground due to the damping device. An elevating member having a spring for a damping function in the irregular ground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a vertical frame of the ladder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frame. An escape hole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elevating member and an elongated hole is formed at the other side of the elevating member to fasten the elevating member to the vertical frame by using a screw. An opening and closing rod, which is connected with a fixing member closely making contact with the vertical frame through a connection rod, is rotated and the elevating member can be fixed or movable on a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When the ladder leans to the wall or electric pole by a worker, a height of the elevating member is set such that the vertical frame of the ladd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inclined due to the damping device having the spring. As the opening and closing rod is rotated, the fixing member fixedly adheres to the vertical frame, thereby solving the problem that two workers are required. In addition, when the worker climbs up the ladder and works for a long time, the worker may fall down if the ladder is inclined.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 above problem so that the workability can be improved.

Description

사다리용 완충장치{Shock-absorbing ladder}[0001] Shock-absorbing ladder [0002]

본 발명은 사다리용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히는 지면에서 사다리를 놓고 높은 곳으로 올라가기 위해 사용되는 사다리의 하부다리에 각각의 완충장치를 마련하여 지면이 고르지 않는 곳에서도 각각의 완충장치에 의해 사다리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여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을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사다리용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ck absorber for a lad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ock absorber for a lad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ock absorber for a ladder, which comprises a ladder on a floor and a shock absorber on a lower leg of a ladder used for ascending to a high place, So that the worker can safely work without losing the ladder.

일반적으로 사다리는 건물의 외벽에 간판을 설치하거나 실내외의 높은 곳에 페인트를 칠하거나 벽지를 바르거나 장식물을 설치하는 등의 작업을 행할 때는 사다리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Typically, a ladder uses a ladder when working on signboards on exterior walls of a building, painting paint on indoor and outdoor highs, applying wallpaper, ornaments.

이러한 사다리 중에서 높은 곳에 올라가서 작업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일자형 사다리는 양측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 설치되는 두 개의 수직프레임과 두 개의 수직프레임의 사이에 상하 일정간격으로 수평 설치되어 발판 역활을 하는 복수의 발판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Among these ladders, a straight ladder used for climbing up to a high place is composed of two vertical frames vertically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on both sides, and a plurality of scaffolds horizontally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two vertical frames, Frame.

따라서 수직프레임의 하단을 바닥에 두고 경사진 각도로 수직프레임의 상단을 건물의 외벽이나 실내의 벽면 등에 밀착시킴으로써, 작업자가 경사진 수직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된 발판프레임을 통해 높은 곳을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Therefore, by placing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at an inclined angle with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frame at the bottom, the worker can move up and down through the foot frame provided between the inclined vertical frames .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일자형 사다리는 바닥이 고르지 못한 경우에는 수직프레임의 하단이 양쪽이 바닥에 안정되게 지지되지 못하기 때문에 사다리의 균형이 잡히지 않아 매우 심하게 흔들리게 되며 이때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없거나 작업자가 불안해서 작업이 지연되어 작업성이 떨어지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ladder type ladder, if the floor is uneven,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frame can not be stably supported on the floor, so that the ladder is not balanced and shakes very seriously. At this time, And the work was delayed due to uneasiness, resulting in poor workability.

최근에는 전선이 연결하는 전주 또는 광케이블을 연결하는 통신주에도 많이 올라가서 작업을 하여야 하는 경우 야외에 설치된 전주 또는 통신주는 설치된 바닥은 지면으로 고르지 않는 경우가 허다하였다.
In recent years, when a large number of electric wires are connected to an electric pole or a telecommunication cable connecting the optical cable, the electric pole installed in the outdoors or the electric pole installed in the outdoor are often uneven on the ground.

이러한 전선이 연결된 전주와 광케이블을 연결하는 통신주는 설치되는 높이가 작업환경이나 주변걸림에 피할 수 있도록 7m ~ 20m의 높이로 마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It is common that the communication height connecting the electric wire to the electric cable and the optical cable is set to 7m to 20m so that the installed height can be avoided in the work environment or the surrounding hanging.

이러한 지면이 고르지 않은 높은 장소의 현장에서 사다리를 기대고 올라가기에 어려움이 있어 작업자 2인으로 구성하여 한사람이 사다리를 밑에서 잡고 작업자가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서 작업을 하는 동안 밑에 한사람은 계속 사다리를 잡고 있어야 안전사고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It is difficult to climb up the ladder at the high uneven ground level. It is composed of two workers, one person holding the ladder from below, the worker going up the ladder, It will prevent accidents.

그러나 이렇게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높은 현장으로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기 위해 작업자가 2인으로 구성하면 작업비용을 상승시키게 하는 원인으로 어려움이 있었고 그로 인한 2인으로 작업하므로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order to increase the safety, there is a difficulty in raising the work cost when the worker is composed of two workers in order to climb the ladder to the high fiel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workability is low due to working with two workers.

따라서, 최근에 지면이 고르지 않은 현장에서 작업자가 사다리를 벽면 또는 전주에 기대어 놓고 작업자가 올라가서 장시간 작업하더라도 안전성과 작업성을 높일 수 있도록 고르지 않는 지면에 맞도록 설치되는 완충장치를 마련한 사다리를 선호하게 되었다.
Therefore, a ladder with a shock absorber fitted to an uneven surface is preferred so that an operator can lean the ladder on a wall or a pole on an uneven floor in recent years, and the worker climbs up to improve safety and workability even when working for a long time .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33068호 "안전성을 높인 간판 작업성 사다리"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0-0133068 " Ladders for workability of signboards with enhanced safety "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위와 같이 지면이 고르지 않은 현장에서 작업자가 사다리를 벽면 또는 전주에 기대어 놓고 작업자가 올라가서 장시간 작업하더라도 안전성과 작업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adder structure, in which a ladder is leaned against a wall or a pole on an uneven ground in order to increase safety and workability even when a worker climbs up for a long time,

고르지 않는 지면에 스프링에 의해 완충가능케 하는 승강구를 사다리의 수직프레임 하부에 마련하여 수직프레임의 하부와 분리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승강구의 일측에 피난공을 형성하고 타측에 장공을 형성하여 수직프레임과 나사로 고정하게 함과 동시에 수직프레임과 밀착되는 밀착고정구를 연결대로 연결한 개폐봉을 회전하도록 하면서 수직프레임의 표면에서 승강구를 고정 및 이동을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가능케 할 수 있는 사다리용 완충장치를 발명한 것이다.
The elevator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frame of the ladder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frame. At the same time, a vent hole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elevation opening and a long hole is formed at the other sid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rod connecting the tight fitting fastener tightly coupled with the vertical frame is rotated while allowing the hatch to be fixed at a position desired to be fixed and moved on the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다리(1)의 수직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3)과 수직프레임(3)의 사이를 연결하는 발판프레임(2)으로 구성된 사다리용 완충장치(10)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adder shock absorber comprising a pair of vertical frames (3) vertically installed on a ladder (1) and a foot frame (2) connecting the vertical frame (3) 10)

상기 사다리(1)의 각 수직프레임(3) 하부의 외주연에 마련하고 수직프레임(3)의 저면에 걸고리(5)를 형성하여 스프링(11)의 일측을 연결하고 스프링(11)의 타측은 승강구(20)의 내부 수용부(21) 저면에 걸고리(22)를 형성하여 수직프레임(3)과 승강구(20)를 연결하도록 하는 승강구(20)를 마련하되,
상기 승강구(20)의 일측에는 수용부(21)와 통하는 피난공(23)을 형성하고 상기 피난공(23)에는 상기 수용부(21)의 내부에 마련하는 수직프레임(3)의 표면과 밀착하는 밀착고정구(33)를 돌출형성하고 타측에는 수용부(21)의 내부에 마련하는 수직프레임(3)의 표면과 간섭을 피하는 피난부(34)를 형성한 회전봉(32)을 커버(27)의 내부에 마련하되 회전공(28)을 통해 커버(27)의 양측으로 연장시켜 커버(27)의 외부에서 회전봉(32)을 개폐봉(30)에 의해 회전가능케 연결대(31)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The ladder 1 is provided at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lower portion of each vertical frame 3 and the hooks 5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3 to connect one side of the spring 11, A door 20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receiving portion 21 of the door 20 so as to connect the vertical frame 3 with the door 20,
A refuge hole 23 communicating with the receiving portion 21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elevation opening 20 so that the refuge hole 2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3 provided inside the receiving portion 21, And a rotary bar 32 provided with a refuge portion 34 for avoiding interference with the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3 provided inside the receiving portion 21 is provided on the cover 27. [ And the rotation bar 32 is extended from both sides of the cover 27 through the rotation hole 28 so that the rotation bar 32 can be rotat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rod 30 from the outside of the cover 27 through the connecting rod 31 It is characterized by.

삭제delete

사다리(1)의 수직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3)과 수직프레임(3)의 사이를 연결하는 발판프레임(2)으로 구성된 사다리용 완충장치(10)에 있어서,A ladder shock absorber (10) comprising a step frame (2) connecting a pair of vertically installed vertical frames (3) of a ladder (1) to a vertical frame (3)

상기 사다리(1)의 각 수직프레임(3) 하부의 외주연에 마련하는 승강구(20)를 마련하되 상기 승강구(20)의 일측에는 장공(24)을 형성하고 수직프레임(3)의 나사공(4)에 나사로 고정하여 수직프레임(3)과 승강구(20)를 결속시키고,The ladder 1 is provided with a door 20 provided at an outer periphery of each vertical frame 3 under the door frame 3 and a long hole 24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door 20, 4 so as to bind the vertical frame 3 and the entrance 20,

상기 승강구(20)의 일측에는 수용부(21)와 통하는 피난공(23)을 형성하고 상기 피난공(23)에는 상기 수용부(21)의 내부에 마련하는 수직프레임(3)의 표면과 밀착하는 밀착고정구(33)를 돌출형성하고 타측에는 수용부(21)의 내부에 마련하는 수직프레임(3)의 표면과 간섭을 피하는 피난부(34)를 형성한 회전봉(32)을 커버(27)의 내부에 마련하되 회전공(28)을 통해 커버(27)의 양측으로 연장시켜 커버(27)의 외부에서 회전봉(32)을 개폐봉(30)에 의해 회전가능케 연결대(31)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A refuge hole 23 communicating with the receiving portion 21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elevation opening 20 so that the refuge hole 2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3 provided inside the receiving portion 21, And a rotary bar 32 provided with a refuge section 34 for avoiding interference with the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3 provided inside the receiving section 21 is provided on the cover 27. [ And the rotation bar 32 is extended from both sides of the cover 27 through the rotation hole 28 so that the rotation bar 32 can be rotat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rod 30 from the outside of the cover 27 through the connecting rod 31 It is characterized by.

상기 수직프레임(3)의 일측에는 개폐봉(30)에 의해 작동되는 밀착고정구(33)와 밀착시 미끄럼방지 가능케 요철구(6)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The vertical frame 3 is formed at one side thereof with a non-slippery concave / convex portion 6 when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ightening fixture 33 operated by the opening / closing rod 30.

상기 회전봉(32)의 일측에 돌출형성한 밀착고정구(33)는 반원의 형상으로 형성하여 개폐봉(30)의 회전시 밀착고정구(33)가 내부의 수직프레임(3)의 표면과 밀착되면서 눌러주어 수직프레임(3)에서 승강구(20)를 원하는 높이로 고정가능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tight fitting fixture 33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rotation bar 32 is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so that the tight fitting fixture 33 is pressed against the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3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rod 30 rotates, (20) can be fixed to a desired height in the main vertical frame (3).

상기 사다리(1)의 각 수직프레임(3) 하부 일측에는 경사면(41)과 걸면(42)을 형성한 경사구(40)를 돌출형성하고 상기 경사면(41)과 걸면(42)에 걸려지는 걸턱(51)과 라운드(52)를 형성한 걸쇠(50)를 승강구(20)의 피난공(23)에 마련하되 상기 걸쇠(50)의 일측을 회전핀(53)에 의해 커버(27)의 내부 공간부(63)에서 회전가능케 하고 걸쇠(50)의 타측을 커버의 멈춤공(60)을 통해 레버(54)를 연장시켜 커버(27)의 내부 공간부(63) 일측에 마련한 레버스프링(55)과 긴장하게 하고, 상기 멈춤공(60)은 일측에는 레버(54)가 밀착고정되는 스톱퍼(61)를 마련하고 하부에는 레버(54)의 작동에 간섭을 피하는 여유공(6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A slope 40 having a slope 41 and a slope 42 is protruded from one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each vertical frame 3 of the ladder 1 and a slope 41 is formed on the slope 41, (50) is provided on the evacuation hole (23) of the hatching (20) and one side of the latch (50)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cover (27) The other side of the latch 50 is rotatable in the space 63 and the lever 54 is extended through the stop hole 60 of the cover so that the lever spring 55 provided at one side of the inner space 63 of the cover 27 And the stopper hole 60 is provided with a stopper 61 to which the lever 54 is tightly fixed to one side and a clearance hole 62 is formed in the lower side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lever 54 .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고르지 않는 지면에 스프링에 의해 완충가능케 하는 승강구를 사다리의 수직프레임 하부에 마련하여 수직프레임의 하부와 분리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승강구의 일측에 피난공을 형성하고 타측에 장공을 형성하여 수직프레임과 나사로 고정하게 함과 동시에 수직프레임과 밀착되는 밀착고정구를 연결대로 연결한 개폐봉을 회전하도록 하면서 수직프레임의 표면에서 승강구를 고정 및 이동을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가능케 하여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neven floo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vertical frame by providing the lower part of the vertical frame of the ladder which can be buffered by the spring, A vertical frame and a screw are fixed to the vertical frame, and at the same time, the opening / closing rod connecting the tight fitting fastener tightly contacted with the vertical frame is rotated while allowing the entrance of the vertical frame to be fixed at a desired position

지면이 고르지 않은 현장에서 작업자가 사다리를 벽면 또는 전주에 기대어 놓을 때 지면이 고르지 않더라도 사다리의 수직프레임이 스프링에 의한 완충장치에 의해 사다리의 수직페레임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승강구의 높이가 결정되면 개폐봉을 회전하여 밀착고정구를 수직프레임에 밀착시켜 고정하도록 하여 종래의 2인 작업자로 구성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이점과 작업자가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서 장시간 작업시 사다리가 기울어져 작업자가 추락하는 안전상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이점과 그로 인한 작업성을 높일 n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In the uneven ground, when the operator leans the ladder to the wall or the pole, the vertical frame of the ladder does not tilt the vertical pellet of the ladder due to the spring-loaded shock absorber,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conventional two-person worker is solved by solving the problem that the worker lifts up the ladder and solves the safety problem that the worker falls due to the inclination of the ladder during the long working tim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advantage and the workability resulting therefrom can be increas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분해한 분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승강구가 작동전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승강구가 작동후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작동전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작동후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Fig. 2 is an exploded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door of the invention is operated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after the door of the invention is operated
Figs. 5 and 6 are views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ope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ost-operation state of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 2,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다리(1)의 수직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3)과 수직프레임(3)의 사이를 연결하는 발판프레임(2)으로 구성된 사다리용 완충장치(10)에 있어서,2 and 3,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addle-type vehicle comprising a vertical frame 3 and a pair of vertical frames 3 vertically installed on the ladder 1, (10)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사다리(1)의 각 수직프레임(3) 하부의 외주연에 마련하고 수직프레임(3)의 저면에 걸고리(5)를 형성하여 스프링(11)의 일측을 연결하고 스프링(11)의 타측은 승강구(20)의 내부 수용부(21) 저면에 걸고리(22)를 형성하여 수직프레임(3)과 승강구(20)를 연결하도록 하는 승강구(20)를 마련하되,
상기 승강구(20)의 일측에는 수용부(21)와 통하는 피난공(23)을 형성하고 상기 피난공(23)에는 상기 수용부(21)의 내부에 마련하는 수직프레임(3)의 표면과 밀착하는 밀착고정구(33)를 돌출형성하고 타측에는 수용부(21)의 내부에 마련하는 수직프레임(3)의 표면과 간섭을 피하는 피난부(34)를 형성한 회전봉(32)을 커버(27)의 내부에 마련하되 회전공(28)을 통해 커버(27)의 양측으로 연장시켜 커버(27)의 외부에서 회전봉(32)을 개폐봉(30)에 의해 회전가능케 연결대(31)로 연결하는 것이다.
The ladder 1 is provided at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lower portion of each vertical frame 3 and the hooks 5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3 to connect one side of the spring 11, A door 20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receiving portion 21 of the door 20 so as to connect the vertical frame 3 with the door 20,
A refuge hole 23 communicating with the receiving portion 21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elevation opening 20 so that the refuge hole 2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3 provided inside the receiving portion 21, And a rotary bar 32 provided with a refuge portion 34 for avoiding interference with the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3 provided inside the receiving portion 21 is provided on the cover 27. [ And extends to both sides of the cover 27 through the rotation hole 28 so that the rotation bar 32 can be rotat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rod 30 from the outside of the cover 27 via the connecting rod 31 .

삭제delete

상기 본 발명의 사다리용 완충장치(10)의 또 다른 실시예로는 도 2,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다리(1)의 수직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3)과 수직프레임(3)의 사이를 연결하는 발판프레임(2)으로 구성된 사다리용 완충장치에 있어서,In another embodiment of the shock absorb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2 and 5, a pair of vertical frames 3 vertically installed on the ladder 1 and a vertical frame 3 And a foot frame (2) for connecting the foot frame (2)

상기 사다리(1)의 각 수직프레임(3) 하부의 외주연에 마련하는 승강구(20)를 마련하되 상기 승강구(20)의 일측에는 장공(24)을 형성하고 수직프레임(3)의 나사공(4)에 나사로 고정하여 수직프레임(3)과 승강구(20)를 결속시키고,
상기 승강구(20)의 일측에는 수용부(21)와 통하는 피난공(23)을 형성하고 상기 피난공(23)에는 상기 수용부(21)의 내부에 마련하는 수직프레임(3)의 표면과 밀착하는 밀착고정구(33)를 돌출형성하고 타측에는 수용부(21)의 내부에 마련하는 수직프레임(3)의 표면과 간섭을 피하는 피난부(34)를 형성한 회전봉(32)을 커버(27)의 내부에 마련하되 회전공(28)을 통해 커버(27)의 양측으로 연장시켜 커버(27)의 외부에서 회전봉(32)을 개폐봉(30)에 의해 회전가능케 연결대(31)로 연결하는 것이다.
The ladder 1 is provided with a door 20 provided at an outer periphery of each vertical frame 3 under the door frame 3 and a long hole 24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door 20, 4 so as to bind the vertical frame 3 and the entrance 20,
A refuge hole 23 communicating with the receiving portion 21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elevation opening 20 so that the refuge hole 2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3 provided inside the receiving portion 21, And a rotary bar 32 provided with a refuge portion 34 for avoiding interference with the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3 provided inside the receiving portion 21 is provided on the cover 27. [ And extends to both sides of the cover 27 through the rotation hole 28 so that the rotation bar 32 can be rotat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rod 30 from the outside of the cover 27 via the connecting rod 31 .

삭제delet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수직프레임(3)의 일측에는 개폐봉(30)에 의해 작동되는 밀착고정구(33)와 밀착시 미끄럼방지 가능케 요철구(6)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form a slip-resistant irregular surface 6 on one side of the vertical frame 3 when the tightening fixture 33 is actuated by the opening / closing rod 30.

상기 회전봉(32)의 일측에 돌출형성한 밀착고정구(33)는 반원의 형상으로 형성하여 개폐봉(30)의 회전시 밀착고정구(33)가 내부의 수직프레임(3)의 표면과 밀착되면서 눌러주어 수직프레임(3)에서 승강구(20)를 원하는 높이로 고정가능케 하는 것이다.The tight fitting fixture 33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rotation bar 32 is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so that the tight fitting fixture 33 is pressed against the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3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rod 30 rotates, So that the elevation gate 20 can be fixed to a desired height in the main vertical frame 3.

상기 승강구(20)의 하부에는 미끄럼방지를 위한 마찰구(26)를 형성하되 마찰구(26)의 재질은 탄성의 재질인 고무재질로 하여 고르지 못한 지면에 일부가 밀착되더라도 마찰구(26)에 의해 쉽게 미끄러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승강구(20)의 완충 효과로 승강구(20)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A friction member 26 for preventing slippage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door 20, and the friction member 26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The frictional member 26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Even if a part of the friction member 26 is in close contact with an uneven surface, So as to prevent the door 20 from being damaged by the buffering effect of the door 20.

상기 커버(27)는 승강구(20)의 피난공(23)에 마련하는 회전봉(32)의 밀착고정구(33)를 내부에서 회전가능케 수용하도록 양측으로 회전공(28)을 형성하여 밀착고정구(33)를 커버(27)의 내부에 마련하는 회전봉(32)을 끼움 결합하는 것이다.
The cover 27 is formed with rotation holes 28 on both sides so as to internally rotate the fastening fastener 33 of the rotation bar 32 provided in the evacuation hole 23 of the entrance 20, Is engaged with a rotation bar (32) provided inside the cover (27).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는 도 6에서 보는 상기 사다리(1)의 각 수직프레임(3) 하부 일측에는 경사면(41)과 걸면(42)을 형성한 경사구(40)를 돌출형성하고 상기 경사면(41)과 걸면(42)에 걸려지는 걸턱(51)과 라운드(52)를 형성한 걸쇠(50)를 승강구(20)의 피난공(23)에 마련하되 상기 걸쇠(50)의 일측을 회전핀(53)에 의해 커버(27)의 내부 공간부(63)에서 회전가능케 하고 걸쇠(50)의 타측을 커버의 멈춤공(60)을 통해 레버(54)를 연장시켜 커버(27)의 내부 공간부(63) 일측에 마련한 레버스프링(55)과 긴장하게 하고, 상기 멈춤공(60)은 일측에는 레버(54)가 밀착고정되는 스톱퍼(61)를 마련하고 하부에는 레버(54)의 작동에 간섭을 피하는 여유공(62)을 형성하는 것이다.
6, a slope 40 having an inclined surface 41 and a hanging surface 42 is protruded and formed at a lower side of each vertical frame 3 of the ladder 1 as shown in FIG. And a latch 50 formed on the inclined surface 41 and the engaging surface 42 and forming a shoulder 51 and a round 52 are provided on the evacuation hole 23 of the hatch 20. The hook 50 One side of the cover 50 is rotatable in the inner space portion 63 of the cover 27 by the rotation pin 53 and the other side of the cover 50 is extended through the stop hole 60 of the cover to cover the cover 27 The stopper 60 is provided at one side thereof with a stopper 61 to which the lever 54 is fixedly secured to the stopper hole and the lever 54 To thereby avoid interferenc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인 수직프레임(3)과 승강구(20)를 스프링(11)으로 결합한 완충장치(10)를 설명하자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자가 사다리(1)의 양측 수직프레임(3)을 고르지 못한 지면에 놓으면 고르지 못한 지면에 밀착되면서 사다리(1)를 벽에 기대거나 통신주 또는 전주에 기대면서 작업자가 올라가기 쉽도록 기울어진 사다리(1)를 수직방향으로 위치를 잡으면 완충장치(10)의 승강구(20) 내부에 마련한 스프링(11)에 의해 완충되면서 사다리(1)는 수직방향으로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As shown in FIG. 1, when the operator attaches the vertical frame 3 and the door 20 to the vertical frame 2 of the ladder 1, as shown in FIG. 1, When the ladder 1 is placed on an uneven surface, the ladder 1 is positio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ladder 1 is leaned against the wall or leaned against the telescope or the pole, The ladder 1 is positio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being buffered by the spring 11 provided inside the entrance 20 of the apparatus 10. [

이렇게 고르지 못한 지면에 기대어 기울어져 세운 사다리(1)를 작업자가 올라가기 쉽게 기울어진 사다리(1)를 수직방향으로 세운 상태에서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각 수직프레임(3)의 외부로 연결된 연결대(31)을 연결한 개폐봉(30)을 회전시키면 개폐봉(30)과 연결된 회전봉(32)이 회전하면서 밀착고정구(33)가 같이 회전하면서 승강구(20)의 피난공(23)을 통해 회전하면서 승강구(20)의 수용부(21)에 마련한 수직프레임(3)의 표면과 밀착시킨 밀착력으로 수직프레임(3)에 승강구(20)를 고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In order to keep the ladder 1 tilted leaning against the uneven ground in such a state that the ladder 1 is vertically erected so that the worker can easily ascend,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rod 30 connect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rod 30 is rotated, the rotary rod 32 connect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rod 30 is rotated so that the fastening fastener 33 rotates together and rotates through the evacuation hole 23 of the entrance opening 20 The elevating opening 20 is fixed to the vertical frame 3 by an urging force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3 provid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21 of the elevating opening 20. [

따라서, 이렇게 수직프레임(3)에 승강구(20)가 고정하게 되면서 승강구(20)의 내부에 완충역활을 하는 스프링(11)의 압착상태는 그대로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Thus, while the door 20 is fixed to the vertical frame 3, the compressed state of the spring 11, which acts as a buffer, is maintained in the door 20.

그러면, 작업자가 수직방향으로 세운 사다리(1)에서 작업자가 손을 놓더라도 사다리(1)는 수직방향을 유지하게 되면서 다른 작업자가 사다리(1)를 잡아주는 도움없이 작업자가 혼자서도 발판프레임(2)을 밟고 올라갈 수 있는 것이다.
Thus, even if the worker hands his / her hands off the ladder 1 set up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ladder 1 maintains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worker can stand alone in the foot frame 2 without helping other workers to hold the ladder 1. [ You can step on it.

상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장공(24)에 고정된 나사(25)로 수직프레임(3)과 승강구(20)를 연결한 완충장치(10)를 설명하자면 스프링(11)을 사용하지 않고도 가능한 것으로,To describe the shock absorber 10 in which the vertical frame 3 and the entrance 20 are connected by a screw 25 fixed to the slot 24 which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자가 사다리(1)의 양측 수직프레임(3)을 고르지 못한 지면에 놓으면 고르지 못한 지면에 밀착되면서 사다리(1)를 벽에 기대거나 통신주 또는 전주에 기대면서 작업자가 올라가기 쉽도록 기울어진 사다리(1)를 수직방향으로 위치를 잡은 상태에서 수직프레임(3)에 고정된 나사(25)를 풀어 승강구(20)의 장공(24)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원하는 승강구(20)의 높이를 맞춘 후에 다시 나사(25)로 수직프레임(3)의 나사공(4)에 고정하도록 하여 승강구(20)를 원하는 높이로 고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As shown in FIG. 5, when an operator places the vertical frames 3 on both sides of the ladder 1 on an uneven surface, the ladder 1 leans against the wall or leans against the wall or pole, The screw 25 fixed to the vertical frame 3 is loosened while the ladder 1 is tilted so as to be vertically positioned and moved along the long hole 24 of the door 20, And then fixed to the screw hole 4 of the vertical frame 3 with screws 25 to fix the door 20 at a desired height.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자가 사다리(1)의 양측 수직프레임(3)을 고르지 못한 지면에 놓으면 고르지 못한 지면에 밀착되면서 사다리(1)를 벽에 기대거나 통신주 또는 전주에 기대면서 작업자가 올라가기 쉽도록 기울어진 사다리(1)를 수직방향으로 위치를 잡은 상태에서 레버스프링(55)에 의해 긴장된 레버(54)를 작업자가 잡고 힘을 가하여 여유공(62)으로 작동시키면 레버(54)의 일측에 형성한 걸쇠(50)가 경사지면서 걸턱(51)이 경사구(40)에서 이탈되면서 걸쇠(50)의 이동이 원할해지면서 수직프레임(3)에서 승강구(20)의 높이를 원하는 높이로 조절한 후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레버(54)에 힘을 제거하면 상기 걸쇠(50)의 라운드(52)가 경사면(41)을 따라 이동하면서 경사구(40)의 걸면(42)에 걸쇠(50)의 걸턱(51)이 걸려지게 되면서 레버스프링(55)에 의해 레버(54)를 작동시켜 걸쇠(50)의 걸턱(51)이 걸면(42)에 걸려 지게 하여 승강구(20) 내부 수용부(21)에서 수직프레임(3)의 위치가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8, when an operator places the vertical frames 3 on both sides of the ladder 1 on an uneven surface, the operator can be prevented from leaning against the wall while the ladder 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neven floor, The worker grasps the lever 54 tensed by the lever spring 55 in a state in which the tilted ladder 1 is positio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worker can lean on the pole or the electric pole, The latch 50 formed on one side of the lever 54 tilts so that the shoulder 51 is separated from the inclined hole 40 and the movement of the latch 50 is facilitated, The round 52 of the latch 50 is mov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41 to adjus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ed hole 40 as shown in FIG. The latch 51 of the latch 50 is caught by the engaging surface 42 of the latch 50 The lever 54 is operated by the lever 55 to cause the latch 51 of the latch 50 to be caught by the latching surface 42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hooking surface 42 of the vertical frame 3 The position is fixed.

1 : 사다리 2 : 발판프레임
3 : 수직프레임 4 : 나사공
5, 22 : 걸고리 6 : 요철구
10 : 완충장치 11 : 스프링
20 : 승강구 21 : 수용부
23 : 피난공 24 : 장공
25 : 나사 26 : 마찰구
27 : 커버 28 : 회전공
30 : 개폐봉 31 : 연결대
32 : 회전봉 33 : 밀착고정구
34 : 피난부 40 : 경사구
41 : 경사면 42 : 걸면
50 : 걸쇠 51 : 걸턱
52 : 라운드 53 : 회전핀
54 : 레버 55 : 레버스프링
60 : 멈춤공 61 : 스톱퍼
62 : 여유공 63 : 공간부
1: ladder 2: foot frame
3: vertical frame 4:
5, 22: hooks 6: irregularities
10: shock absorber 11: spring
20: a lift door 21:
23: evacuation hole 24: long hole
25: Screw 26: Friction
27: Cover 28:
30: opening / closing rod 31: connecting rod
32: rotation rod 33: tight fitting
34: evacuation section 40: inclined section
41: slope 42:
50: latch 51: jaw
52: Round 53: Pivot pin
54: Lever 55: Lever spring
60: stop hole 61: stopper
62: extra clearance 63:

Claims (5)

사다리(1)의 수직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3)과 수직프레임(3)의 사이를 연결하는 발판프레임(2)으로 구성된 사다리용 완충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1)의 각 수직프레임(3) 하부의 외주연에 마련하고 수직프레임(3)의 저면에 걸고리(5)를 형성하여 스프링(11)의 일측을 연결하고 스프링(11)의 타측은 승강구(20)의 내부 수용부(21) 저면에 걸고리(22)를 형성하여 수직프레임(3)과 승강구(20)를 연결하도록 하는 승강구(20)를 마련하되,
상기 승강구(20)의 일측에는 수용부(21)와 통하는 피난공(23)을 형성하고 상기 피난공(23)에는 상기 수용부(21)의 내부에 마련하는 수직프레임(3)의 표면과 밀착하는 밀착고정구(33)를 돌출형성하고 타측에는 수용부(21)의 내부에 마련하는 수직프레임(3)의 표면과 간섭을 피하는 피난부(34)를 형성한 회전봉(32)을 커버(27)의 내부에 마련하되 회전공(28)을 통해 커버(27)의 양측으로 연장시켜 커버(27)의 외부에서 회전봉(32)을 개폐봉(30)에 의해 회전가능케 연결대(31)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용 완충장치.
A ladder shock absorber (10) comprising a step frame (2) connecting a pair of vertically installed vertical frames (3) of a ladder (1) to a vertical frame (3)
The ladder 1 is provided at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lower portion of each vertical frame 3 and the hooks 5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3 to connect one side of the spring 11, A door 20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receiving portion 21 of the door 20 so as to connect the vertical frame 3 with the door 20,
A refuge hole 23 communicating with the receiving portion 21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elevation opening 20 so that the refuge hole 2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3 provided inside the receiving portion 21, And a rotary bar 32 provided with a refuge portion 34 for avoiding interference with the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3 provided inside the receiving portion 21 is provided on the cover 27. [ And the rotation bar 32 is extended from both sides of the cover 27 through the rotation hole 28 so that the rotation bar 32 can be rotat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rod 30 from the outside of the cover 27 through the connecting rod 31 Characterized in that the ladder shock absorber
사다리(1)의 수직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3)과 수직프레임(3)의 사이를 연결하는 발판프레임(2)으로 구성된 사다리용 완충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1)의 각 수직프레임(3) 하부의 외주연에 마련하는 승강구(20)를 마련하되 상기 승강구(20)의 일측에는 장공(24)을 형성하고 수직프레임(3)의 나사공(4)에 나사로 고정하여 수직프레임(3)과 승강구(20)를 결속시키고,
상기 승강구(20)의 일측에는 수용부(21)와 통하는 피난공(23)을 형성하고 상기 피난공(23)에는 상기 수용부(21)의 내부에 마련하는 수직프레임(3)의 표면과 밀착하는 밀착고정구(33)를 돌출형성하고 타측에는 수용부(21)의 내부에 마련하는 수직프레임(3)의 표면과 간섭을 피하는 피난부(34)를 형성한 회전봉(32)을 커버(27)의 내부에 마련하되 회전공(28)을 통해 커버(27)의 양측으로 연장시켜 커버(27)의 외부에서 회전봉(32)을 개폐봉(30)에 의해 회전가능케 연결대(31)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용 완충장치.
A ladder shock absorber (10) comprising a step frame (2) connecting a pair of vertically installed vertical frames (3) of a ladder (1) to a vertical frame (3)
The ladder 1 is provided with a door 20 provided at an outer periphery of each vertical frame 3 under the door frame 3 and a long hole 24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door 20, 4 so as to bind the vertical frame 3 and the entrance 20,
A refuge hole 23 communicating with the receiving portion 21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elevation opening 20 so that the refuge hole 2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3 provided inside the receiving portion 21, And a rotary bar 32 provided with a refuge portion 34 for avoiding interference with the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3 provided inside the receiving portion 21 is provided on the cover 27. [ And the rotation bar 32 is extended from both sides of the cover 27 through the rotation hole 28 so that the rotation bar 32 can be rotat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rod 30 from the outside of the cover 27 through the connecting rod 31 Characterized in that the ladder shock absorber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3)의 일측에는 개폐봉(30)에 의해 작동되는 밀착고정구(33)와 밀착시 미끄럼방지 가능케 요철구(6)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용 완충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Characterized in that one side of the vertical frame (3) is provided with a slip-proof unevenness (6) when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ightening fastener (33) operat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rod (3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봉(32)의 일측에 돌출형성한 밀착고정구(33)는 반원의 형상으로 형성하여 개폐봉(30)의 회전시 밀착고정구(33)가 내부의 수직프레임(3)의 표면과 밀착되면서 눌러주어 수직프레임(3)에서 승강구(20)를 원하는 높이로 고정가능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용 완충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tight fitting fixture 33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rotation bar 32 is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so that the tight fitting fixture 33 is pressed against the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3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rod 30 rotates, And the elevation opening (20) can be fixed at a desired height in the main vertical frame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1)의 각 수직프레임(3) 하부 일측에는 경사면(41)과 걸면(42)을 형성한 경사구(40)를 돌출형성하고 상기 경사면(41)과 걸면(42)에 걸려지는 걸턱(51)과 라운드(52)를 형성한 걸쇠(50)를 승강구(20)의 피난공(23)에 마련하되 상기 걸쇠(50)의 일측을 회전핀(53)에 의해 커버(27)의 내부 공간부(63)에서 회전가능케 하고 걸쇠(50)의 타측을 커버의 멈춤공(60)을 통해 레버(54)를 연장시켜 커버(27)의 내부 공간부(63) 일측에 마련한 레버스프링(55)과 긴장하게 하고, 상기 멈춤공(60)은 일측에는 레버(54)가 밀착고정되는 스톱퍼(61)를 마련하고 하부에는 레버(54)의 작동에 간섭을 피하는 여유공(6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용 완충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slope 40 having a slope 41 and a slope 42 is protruded from one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each vertical frame 3 of the ladder 1 and a slope 41 is formed on the slope 41, (50) is provided on the evacuation hole (23) of the hatching (20) and one side of the latch (50)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cover (27) The other side of the latch 50 is rotatable in the space 63 and the lever 54 is extended through the stop hole 60 of the cover so that the lever spring 55 provided at one side of the inner space 63 of the cover 27 And the stopper hole 60 is provided with a stopper 61 to which the lever 54 is tightly fixed to one side and a clearance hole 62 is formed in the lower side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lever 54 Wherein the ladder-type shock absorber is a ladder shock absorber.
KR1020170054802A 2017-04-28 2017-04-28 Shock-absorbing ladder KR1018625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802A KR101862512B1 (en) 2017-04-28 2017-04-28 Shock-absorbing lad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802A KR101862512B1 (en) 2017-04-28 2017-04-28 Shock-absorbing lad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2512B1 true KR101862512B1 (en) 2018-05-29

Family

ID=62452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4802A KR101862512B1 (en) 2017-04-28 2017-04-28 Shock-absorbing lad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2512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5361A (en) * 2019-12-30 2021-07-08 안예원 A ladder apparatus
KR102409630B1 (en) * 2021-12-03 2022-06-16 주식회사 에스티 Stationary type railway bridge inspection facility stairs with variable length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2423422B1 (en) * 2021-11-18 2022-07-21 주식회사 에스티 Stairs for variable length bridge inspection facilities and their construction method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3260B2 (en) 1991-05-07 2000-08-07 東芝電池株式会社 Nickel electrode for alkaline storage batter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3260B2 (en) 1991-05-07 2000-08-07 東芝電池株式会社 Nickel electrode for alkaline storage battery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5361A (en) * 2019-12-30 2021-07-08 안예원 A ladder apparatus
KR102311751B1 (en) * 2019-12-30 2021-10-08 안예원 A ladder apparatus
KR102423422B1 (en) * 2021-11-18 2022-07-21 주식회사 에스티 Stairs for variable length bridge inspection facilities and their construction methods
KR102409630B1 (en) * 2021-12-03 2022-06-16 주식회사 에스티 Stationary type railway bridge inspection facility stairs with variable length and its construction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2512B1 (en) Shock-absorbing ladder
US10760338B2 (en) Ladder securing apparatuses, ladders incorporating same and related methods
US9988842B2 (en) Ladders including rope and pulley system and fall protection device
US9593531B2 (en) Ladder securing apparatus, ladders incorporating same and related methods
US4941547A (en) Safety featured ladder scaffolding
US20110247895A1 (en) Walk through ladder platform
KR100563000B1 (en) It can adjust highly railing for apartment house
US20210196995A1 (en) Suspension cable wall anchoring device
CN104027895A (en) Quick descending support suitable for high-rise escape
US11346153B2 (en) Ladder
KR101848008B1 (en) Fixed device for ladder
US20220010619A1 (en) Strand Grab, Ladder and Method
KR101346387B1 (en) SAFTY DOOR FOR SCAFFOLD BOARD of GANG FORM
KR100666212B1 (en) Guiding suspension shoe of a guide device for a climbing typed construction frame
US8534621B1 (en) Ladder hanging assembly and method
US20150275577A1 (en) Emergency escape system from building
KR101749022B1 (en) Speed control damper device for walk plate of temporary gang form
KR101585395B1 (en) Safe lighting system using wall mounted lift
KR102652873B1 (en) pole support
KR102332073B1 (en) A ladder
KR102081443B1 (en) Portable railing for belaying rope for life rescue
GB2367088A (en) Safety barriers
EP3425157B1 (en) Demountable assembly for lifting windows
JP5951851B1 (en) Lighting system using wall-mounted lift
JP6359293B2 (en) Parent tug stretch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