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1987B1 - 보조바퀴의 착탈이 가능한 견인차량용 언더리프트 - Google Patents

보조바퀴의 착탈이 가능한 견인차량용 언더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1987B1
KR101861987B1 KR1020160148448A KR20160148448A KR101861987B1 KR 101861987 B1 KR101861987 B1 KR 101861987B1 KR 1020160148448 A KR1020160148448 A KR 1020160148448A KR 20160148448 A KR20160148448 A KR 20160148448A KR 101861987 B1 KR101861987 B1 KR 101861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vehicle
auxiliary wheel
pin
fasten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8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1316A (ko
Inventor
김범수
김윤수
Original Assignee
김범수
김윤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범수, 김윤수 filed Critical 김범수
Priority to KR1020160148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1987B1/ko
Publication of KR20180051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1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1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1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1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salvaging damaged vehicles
    • B60P3/125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salvaging damaged vehicles by supporting only part of the vehicle, e.g. front- or rear-ax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8L27/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r tetrafluoro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3/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D123/08Copolymers of ethene
    • C09D1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9D1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2Bolts or sleeves for positioning of machine parts, e.g. notched taper pins, fitting pins, sleeves, eccentric position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28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related to towing or towed situa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andcart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조바퀴의 착탈이 가능한 견인차량용 언더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피견인차량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보조바퀴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여 소형차의 견인시에는 보조바퀴를 장착하지 않고 중.대형차의 견인시에만 선택적으로 보조바퀴의 장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본체(100)의 후단부에는 메인붐(10)이 구성되고, 상기 메인붐(10) 일측에는 언더리프트붐(20)이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언더리프트붐(20)에는 고정바(40)가 결합된 브레킷(30)이 회동축(31)에 의해 연결 구성되고, 상기 고정바(40)에는 작동구(50)가 힌지핀(5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 구성되며, 상기 고정바(40)의 일측에는 작동구(50)를 직각 방향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실린더(41)가 장착된 견인차량용 언더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작동구(50)의 일단부에는 보조바퀴(70)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지되, 상기 보조바퀴(70)에는 체결핀(80)의 체결이 가능하도록 2개가 쌍을 이루는 핀체결구(71)가 상부와 하부에서 상호 일정 이격간격을 유지하여 구비되고; 상기 작동구(50)에는 2개의 핀체결구(71) 사이에 삽입이 가능한 체결프레임(60)이 일체로 구성되되, 상기 체결프레임(60)에는 체결핀(80)의 관통 삽입이 가능하도록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6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조바퀴의 착탈이 가능한 견인차량용 언더리프트{AUXILIARY HAVING UNDER LIFT STRUCTURE FOR TOWING CAR}
본 발명은 견인차량용 언더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견인차량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언더리프트에 보조바퀴가 구성되는 견인차량용 언더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견인은 사고 등으로 인하여 차량이 파손되어 스스로 움직이지 못하거나, 또는 차량의 불법 주차 등으로 인하여 차량을 강제로 다른 곳에 위치켜야 할 필요성이 있을 때 실시하며, 상기 차량의 견인은 차량에 차량 견인장치를 설치한 견인차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현재 가장 일반적인 차량의 견인방식은 승강실린더와 케이블 및 갈고리, 사슬 등을 이용하여 차량의 무게를 지탱하고, 휠리프트를 견인될 차량의 앞바퀴 또는 뒷바퀴에 놓고 이를 들어 올리는 방식이다. 하지만 이러한 차량의 견인방식은 부피가 상당히 커서 트럭 등 차량의 여유공간이 충분한 차량에만 설치할 수 있고, 차량의 무게를 케이블 또는 사슬, 갈고리를 이용하여 지탱하기 때문에 차량의 이동 시 상기 케이블 또는 사슬이 흔들리게 되어 견인되는 차량에 손상을 줄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상기의 일반적인 차량 견인방식을 개선한 차량견인 방식이 언더리프트방식인데, 차량의 앞바퀴 또는 뒷바퀴에 위치하는 휠리프트와 이를 들어올리는 리프트몸체를 일체형으로 하여 휠리프트와 리프트몸체가 직접 차량의 무게를 지탱하는 방식으로써, 크기가 간소화되어 비단 트럭 뿐 아니라 SUV 등의 차량 등에 약간의 개조를 거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케이블이나 사슬 등 흔들리기 쉬운 장치가 아닌 리프트몸체가 직접 차량을 지탱하기 때문에 진동이 적어 이동 중 차량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언더리프트방식 견인차량의 종래 일 예로, 특허등록 제1553634호에서는 무게분산 링크구조를 갖는 차량견인용 언더리프트장치에 관한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즉, 종래 기술의 언더리프트장치에는 견인차량의 하중 지지를 위한 보조바퀴가 장착되어져 있다.
그러나, 보조바퀴는 트럭이나 SUV등 중형차 이상의 차량 견인시에 기능을 발휘하며 소형차 견인시에는 보조바퀴가 필요 없게 된다.
또한, 중량체인 보조바퀴가 차량 견인이 이루어지지 않는 평상시에도 항상 일체로 장착되어져 있기 때문에 차량의 무게를 증가시킴은 물론, 보조바퀴의 하중이 항상 언더리프트에 작용함으로 인해 언더리프트의 변형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보조바퀴의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견인차량용 언더리프트장치를 제공함으로서 평상시에는 분리 보관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필요시에만 선택적인 장착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본체의 후단부에 메인붐이 구성되고, 상기 메인붐 일측에는 언더리프트붐이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언더리프트붐에는 고정바가 결합된 브레킷이 회동축에 의해 연결 구성되고, 상기 고정바에는 작동구가 힌지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 구성되며, 상기 고정바의 일측에는 작동구를 직각 방향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실린더가 장착된 견인차량용 언더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작동구의 일단부에는 보조바퀴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지되, 상기 보조바퀴에는 체결핀의 체결이 가능하도록 2개가 쌍을 이루는 핀체결구가 상부와 하부에서 상호 일정 이격간격을 유지하여 구비되고; 상기 작동구에는 2개의 핀체결구 사이에 삽입이 가능한 체결프레임이 일체로 구성되되, 상기 체결프레임에는 체결핀의 관통 삽입이 가능하도록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프레임에는 연결체인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체인 걸이홈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피견인차량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보조바퀴의 착탈이 가능하게 됨으로서 소형차의 견인시에는 보조바퀴를 장착하지 않고 중.대형차의 견인시에만 선택적으로 보조바퀴의 장착이 가능한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중량물인 보조바퀴가 기존에는 항시 일체로 장착됨으로 인한 차량 무게증가 및 언더리프트의 변형발생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존에 고정바에 장착되어지던 보조바퀴가 작동구측에 장착되어질 수 있게 됨으로서 보다 안정적인 차량 지지가 이루어지는 이점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언더리프트가 장착된 견인차량의 측면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언더리프트가 하강된 상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언더리프트에 보조바퀴가 장착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 언더리프트에서의 작동구 구동전 상태 평면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 언더리프트에서의 작동구 구동시 상태 평면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 언더리프트의 작동구에 보조바퀴 장착상태 평면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 언더리프트에서 보조바퀴 분해상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A부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 언더리프트에서 보조바퀴 장착상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의 체결프레임 정면 구조도.
도 11은 본 발명에서의 체결프레임 단면구조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조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언더리프트에서 보조바퀴 분해상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의 보조바퀴 체결전 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의 보조바퀴 체결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견인차량용 언더리프트 구성을 도 7 내지 도 11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견인용 차량본체(100)의 후단부에는 메인붐(10)이 구성되고, 메인붐(10) 일측에는 언더리프트붐(20)이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언더리프트붐(20)에는 고정바(40)가 결합된 브레킷(30)이 회동축(31)에 의해 연결 구성되고, 고정바(40)에는 작동구(50)가 힌지핀(5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 구성되며, 고정바(40)의 일측에는 작동구(50)를 직각 방향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실린더(41)가 장착됨이 공지의 구성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작동구(50)의 일단부에는 보조바퀴(70)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지되, 상기 보조바퀴(70)에는 체결핀(80)의 체결이 가능하도록 2개가 쌍을 이루는 핀체결구(71)가 상부와 하부에서 상호 일정 이격간격을 유지하여 구비되고, 상기 작동구(50)에는 2개의 핀체결구(71) 사이에 삽입이 가능한 체결프레임(60)이 일체로 구성되되, 상기 체결프레임(60)에는 체결핀(80)의 관통 삽입이 가능하도록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61)이 형성되어지게 된다.
특히, 도 8에서와 같이 체결프레임(60)에는 연결체인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체인 걸이홈(62)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됨으로서, 필요에 따라서는 차량의 견인을 위해 체결프레임(60)에 체인을 연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11에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체결프레임(60)의 내부 관통공(61) 내벽면에는 체결핀(80)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윤활코팅층(63)이 형성됨이 바람직한데, 윤활코팅층(63)은 테프론분말 40~70중량%, EVA(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수지 10~30중량%, 나노은분말 10~20중량%, 이산화규소 5~10중량%, 붕소 3~5중량%의 혼합 조성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윤활코팅층(63)은 테프론분말의 윤활기능과, EVA수지의 완충기능, 그리고 나노은분말의 항균기능, 이산화규소 및 붕소에 의한 내구성향상 기능이 개선되어 체결핀(80)과의 접촉에 따른 충격 및 소음발생 그리고 녹발생을 방지하는 이점을 나타내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 견인차량용 언더리프트의 구동에 따른 작용효과를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메인붐(10)측에 장착된 붐 실린더(도면부호 미표시)의 작동으로 절첩되 있던 언더리프트붐(20)이 수평으로 회동된 후 하방향으로 이동되어 도로 바닥에 밀착된 상태에서 견인차량을 후진하여 고정바(40)가 피견인차량의 바퀴에 근접되어지면 작동실린더(41)를 구동시켜서 작동구(50)를 구동시킴으로서 피견인차량의 앞바퀴가 고정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붐 실린더를 작동시켜서 언더리프트붐(20)을 상승시켜서 피견인차량의 앞바퀴가 지면에서 들어올려 지면서 거치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한편, 피견인차량이 소형차량이 경우에는 그대로 견인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나, 피견인차량이 중.대형 차량인 경우에는 현장에서 본 발명의 보조바퀴(70)를 상승된 언더리프트의 작동구(50) 양측에 신속하게 장착시킴으로서 피견인차량의 하중이 안정적으로 지지되어질 수 있게 된다.
즉, 이때에는 작동구(50)에 일체로 구성되어진 체결프레임(60)과 보조바퀴(70)의 핀체결구(71)를 정렬시킨 상태에서 체결핀(80)을 삽입시킴으로서 보조바퀴(70)가 작동구(50)의 양단에 장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보조바퀴(70)의 장착이 이루어지게 되면 견인차량의 주행 과정에서 피견인차량의 하중이 안정적으로 지지되어질 수 있게 되어, 견인차량의 앞바퀴 들림현상이 방지되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보조바퀴(70)가 고정바(40)가 아닌 작동구(50)측에 장착되어짐으로서 피견인차량의 하중 지지가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좌우 회전할때 피켠인차량의 안정적인 회전이 가능한 이점을 나타내게 된다.
한편,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보조바퀴(70)측에 구비된 2개의 핀체결구(71) 사이에 가이드홈(72)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72)과 대응되는 체결프레임(60)에는 가이드돌기(64)가 돌출 구성되고, 가이드홈(72) 내부에는 가이드돌기(64)를 일정 탄성력을 지지하기 위한 탄성스프링(73)이 구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보조바퀴(70)를 장착하는 과정에서 보조바퀴(70)의 체결위치가 보다 용이하게 안내되어질 수 있게 된다.
즉, 가이드돌기(64)가 가이드홈(72)에 삽입 안내되어짐으로서 핀체결구(71)와 체결프레임(60)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고 상호간의 위치가 일치되어질 수 있게 됨으로서 체결핀(80)의 체결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내게 된다.
또한, 가이드홈(72) 내부에서 탄성스프링(73)이 가이드돌기(64)를 일정 탄성력으로 밀어주게 됨으로 내부 이격공간으로 인한 유동발생이 방지되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작동구(50)의 일단부에는 보조바퀴(70)의 착탈을 위한 착탈고리(60')가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착탈고리(60')와의 체결이 가능하도록 보조바퀴(70)에는 다수의 체결볼트(74)의 체결이 이루어지는 체결구(71')가 구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착탈고리(60')를 체결구(71')에 삽입시킨 후 4개의 체결볼트(74)를 체결시켜서 착탈고리(60')가 체결구(71') 내에서 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4개의 체결볼트(74) 체결작업 만으로 착탈고리(60')와 체결구(71')의 결합상태를 이루게 됨으로 보다 신속한 보조바퀴(70)의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 : 메인붐 20 : 언더리프트붐
30 : 브레킷 31 : 회동축
40 : 고정바 41 : 작동실린더
41a: 실린더로드 42 : 완충스프링
50 : 작동구 51 : 힌지핀
60 : 체결프레임 60': 착탈고리
61 : 관통공 62 : 체인걸이홈
63 : 윤활코팅층 70 : 보조바퀴
71 : 핀체결구 71': 체결구
80 : 체결핀 81 : 손잡이
100 : 차량본체

Claims (6)

  1. 차량본체(100)의 후단부에는 메인붐(10)이 구성되고, 상기 메인붐(10) 일측에는 언더리프트붐(20)이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언더리프트붐(20)에는 고정바(40)가 결합된 브레킷(30)이 회동축(31)에 의해 연결 구성되고, 상기 고정바(40)에는 작동구(50)가 힌지핀(5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 구성되며, 상기 고정바(40)의 일측에는 작동구(50)를 직각 방향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실린더(41)가 장착된 견인차량용 언더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작동구(50)의 일단부에는 보조바퀴(70)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지되, 상기 보조바퀴(70)에는 체결핀(80)의 체결이 가능하도록 2개가 쌍을 이루는 핀체결구(71)가 상부와 하부에서 상호 일정 이격간격을 유지하여 구비되고;
    상기 작동구(50)에는 2개의 핀체결구(71) 사이에 삽입이 가능한 체결프레임(60)이 일체로 구성되되, 상기 체결프레임(60)에는 체결핀(80)의 관통 삽입이 가능하도록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61)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프레임(60)에는 연결체인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체인 걸이홈(62)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바퀴의 착탈이 가능한 견인차량용 언더리프트.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프레임(60)의 내부 관통공(61) 내벽면에는 체결핀(80)의 관통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윤활코팅층(63)이 형성되되, 상기 윤활코팅층(63)은 테프론분말 40~70중량%, EVA(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수지 10~30중량%, 나노은분말 10~20중량%, 이산화규소 5~10중량%, 붕소 3~5중량%의 혼합 조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바퀴의 착탈이 가능한 견인차량용 언더리프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바퀴(70)에는 2개의 핀체결구(71) 사이에 가이드홈(72)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72)과 대응되는 체결프레임(60)에는 가이드돌기(64)가 돌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바퀴의 착탈이 가능한 견인차량용 언더리프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72) 내부에는 가이드돌기(64)를 일정 탄성력으로 지지하기 위한 탄성스프링(73)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바퀴의 착탈이 가능한 견인차량용 언더리프트.
  6. 차량본체(100)의 후단부에는 메인붐(10)이 구성되고, 상기 메인붐(10) 일측에는 언더리프트붐(20)이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언더리프트붐(20)에는 고정바(40)가 결합된 브레킷(30)이 회동축(31)에 의해 연결 구성되고, 상기 고정바(40)에는 작동구(50)가 힌지핀(5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 구성되며, 상기 고정바(40)의 일측에는 작동구(50)를 직각 방향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실린더(41)가 장착된 견인차량용 언더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작동구(50)의 일단부에는 보조바퀴(70)의 착탈을 위한 착탈고리(60')가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착탈고리(60')와의 체결이 가능하도록 보조바퀴(70)에는 다수의 체결볼트(74)의 체결이 이루어지는 체결구(71')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바퀴의 착탈이 가능한 견인차량용 언더리프트.
KR1020160148448A 2016-11-08 2016-11-08 보조바퀴의 착탈이 가능한 견인차량용 언더리프트 KR101861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8448A KR101861987B1 (ko) 2016-11-08 2016-11-08 보조바퀴의 착탈이 가능한 견인차량용 언더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8448A KR101861987B1 (ko) 2016-11-08 2016-11-08 보조바퀴의 착탈이 가능한 견인차량용 언더리프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1316A KR20180051316A (ko) 2018-05-16
KR101861987B1 true KR101861987B1 (ko) 2018-05-29

Family

ID=62452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8448A KR101861987B1 (ko) 2016-11-08 2016-11-08 보조바퀴의 착탈이 가능한 견인차량용 언더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198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3331A (ja) * 1999-01-13 2000-07-25 Shin Meiwa Ind Co Ltd レッカ―車及び車両牽引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3331A (ja) * 1999-01-13 2000-07-25 Shin Meiwa Ind Co Ltd レッカ―車及び車両牽引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1316A (ko) 2018-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60187B2 (en) Fifth wheel hitch isolation system
US8540475B2 (en) Side recovery system for a vehicle
US4186938A (en) Vehicle tow bar
US20190152280A1 (en) Weight distribution system
US20050244257A1 (en) Drivable trailer
US4194755A (en) Tow bar for vehicles
US20200170171A1 (en) Tractor system and method
US20060163840A1 (en) Air supported trailer hitch
US3811706A (en) Trailer hitch
KR101867070B1 (ko) 차량 견인용 트레일러
WO2008100507A1 (en) Trailer hitch for automatically allowing a trailer to tilt for facilitating driving a vehicle on and off the trailer
US6213492B1 (en) Underlift T-bar support accessory
US9834244B2 (en) Trailer with bogie and runners for off-road driving
US6935664B2 (en) Fifth wheel release tool
KR101861987B1 (ko) 보조바퀴의 착탈이 가능한 견인차량용 언더리프트
US6062319A (en) Tractor rockshaft-assist quick-attach apparatus for backhoes and like implements
CN210941771U (zh) 车钩的拆装装置
US5988664A (en) Apparatus for towing a disabled truck tractor
US10807425B1 (en) Towing device
US3915320A (en) Tow truck lift hitch
CA2809844A1 (en) Winch powered tire bead breaker
US9150059B2 (en) Winch powered tire bead breaker
AU647311B2 (en) Vehicle hitch assembly
US11618290B2 (en) Towing system
CN215361108U (zh) 一种拖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