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1294B1 - Automatic roll blind apparatus - Google Patents

Automatic roll blind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1294B1
KR101861294B1 KR1020170039914A KR20170039914A KR101861294B1 KR 101861294 B1 KR101861294 B1 KR 101861294B1 KR 1020170039914 A KR1020170039914 A KR 1020170039914A KR 20170039914 A KR20170039914 A KR 20170039914A KR 101861294 B1 KR101861294 B1 KR 101861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input terminal
controller
external inpu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99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준익
Original Assignee
(주)준쉐이드
박준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준쉐이드, 박준익 filed Critical (주)준쉐이드
Priority to KR1020170039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129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1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12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06B2009/6809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One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ically-powered roll blind apparatus. The electrically-powered roll blind apparatus comprises: a shaft including a driving shaft formed on at least one side, and having an inner hollow formed; a driving unit arranged on the inner hollow of the shaft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driving shaft; a charging unit arranged on the inner hollow of the shaft for supplying the power to the driving unit; and a tool control unit coupled to one side of the shaft,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and the charging unit. The tool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unit includes an outer input terminal for providing the charging current provided from the outside for the charging unit.

Description

전동 롤 블라인드 장치 {AUTOMATIC ROLL BLIND APPARATUS}[0001] AUTOMATIC ROLL BLIND APPARATUS [0002]

본 발명은 전동 롤 블라인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rolling blind apparatus.

일반적으로 블라인드는 창문에 고정되어 차광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블라인드는 차광 조절을 위하여 블라인드의 높이나 각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한다.Generally, a blind is a device that provides a shading function by being fixed to a window. These blinds provide the ability to adjust the height or angle of the blinds for shading control.

이러한 종래의 블라인드의 경우, 사람이 직접 블라인드를 동작시켜야 했다. 이에, 이러한 사용자의 조작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전동 블라인드가 개발되고 있다.In the case of such a conventional blind, a person had to operate the blind directly. Accordingly, electric blinds have been developed in order to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s operation.

이러한 전동 블라인드의 일 예로서, 외부의 전원에 직접 연결되도록 전원선을 구비한 블라인드들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블라인드는 차광 기능 외에도 심미적 기능이 중요시 되는 바, 이러한 종래의 전동 블라인드는 전선이 노출되어야 하므로 심미적 기능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As an example of such an electric blind, blinds having a power line to be connected directly to an external power source have been developed. However, in addition to the shading function, the aesthetic function of blinds is important, and such conventional blinds have limitations in that they can not satisfy the consumer's demand for the aesthetic function because the electric wire is exposed.

이러한 종래 기술에 대해서는 공개특허공보 제2016-0095331호 등을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Such prior art can be more easily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Laid-Open Publication No. 2016-0095331.

공개특허공보 제2016-0095331호Patent Publication No. 2016-009533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배터리를 기반으로 동작하여 심미적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전동 롤 블라인드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ic rolling blind apparatus which can operate on a battery to provide an aesthetic func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연장된 조작부의 말단에 배터리의 충전용 단자를 구비함으로써, 배터리의 충전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는 전동 롤 블라인드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lling roll blind device capable of providing ease of charging of a battery by providing a terminal for charging the battery at the end of the extended operating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충전 거리가 길어짐에 따라 감쇄하는 충전 전류를 보완하기 위하여, 충전 전류를 증폭하여 배터리를 충전함으로써 배터리의 충전의 효율성을 증대 시킬 수 있는 전동 롤 블라인드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Als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ic rolling blind device capable of increasing the charging efficiency of a battery by charging a battery by amplifying a charging current in order to compensate a charging current to be attenuated as the charging distance becomes longer There is.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The above objects and various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은 전동 롤 블라인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전동 롤 블라인드 장치는, 내부 중공이 형성되고, 적어도 일측에 형성된 구동 축을 포함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상기 내부 중공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 축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샤프트의 상기 내부 중공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부 및 상기 샤프트의 일 측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축전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장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 조작부는 상기 축전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에서 제공되는 충전 전류를 상기 축전부에 제공하는 외부 입력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A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ic rolling blind apparatus. The electric roll blind apparatus includes a shaft having an inner hollow and including a driving shaft formed on at least one side thereof, a driving unit provided in the hollow interior of the shaft and driving the driving shaft to rotate, A power storage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drive unit, and an extension operation unit coupled to one side of the shaft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e unit and the power storage unit, the extension operation unit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torage unit, And an external input terminal for providing an external charging current to the power storage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장 조작부는, 상기 외부 입력 단자, 상기 샤프트의 일 측에 결합되는 결합부, 관절 구조를 포함하며, 일 단이 상기 결합부의 일 측에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타 단에 형성되고, 상기 외부 입력 단자를 포함하는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extending portion includes an external input terminal, a coupling portion coupled to one side of the shaft, an extension portion having one end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coupling portion, And an operation unit formed at the other end and including the external input terminal.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의 입력을 제공받는 조작 버튼 및 상기 조작 버튼을 통하여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oper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n operation button provided to the user and an operation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ive unit corresponding to the input of the user inputted through the operation butt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작부는 일 단이 상기 연장부의 타 단에 연결되는 원통형의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입력 단자는 상기 하우징의 타 단에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operating portion includes a cylindrical housing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extended portion, and the external input terminal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housing.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작 버튼은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형성되고, 상기 구동 제어기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중공에 구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operating butt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and the driving controller can be provided on the inner hollow of the housing.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 제어기는 상기 외부 입력 단자에 결합된 무선 컨트롤러로부터 제공된 무선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rive controller can control driving of the drive in accordance with a wireless input signal provided from a wireless controller coupled to the external input terminal.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무선 컨트롤러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전용 무선 리모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구동되는 무선 단말기로부터 무선으로 송출된 상기 무선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무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ireless controller may include a wireless module that receives the wireless control command transmitted from a wireless terminal, which is driven by a dedicated wireless remote controller or an application program, by a user's opera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무선 컨트롤러는 보조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축전부는 상기 외부 입력 단자를 통하여 상기 보조 배터리로부터 제공된 충전 전류를 이용하여 충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ireless controller includes an auxiliary battery, and the power storage unit can be charged using the charging current provided from the auxiliary battery through the external input terminal.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무선 컨트롤러는 전원 입력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입력 단자는 상기 전원 입력 단자를 통하여 제공된 충전 전류를 상기 축전부에 제공하여 상기 축전부를 충전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ireless controller includes a power input terminal, and the external input terminal can charge the power storage unit by providing a charging current provided through the power input terminal to the power storage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전용 무선 리모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구동되는 무선 단말기로부터 무선으로 송출된 상기 무선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구동 제어기에 제공하는 무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oper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wireless module for receiving the wireless control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which is driven by a dedicated wireless remote control or an application program, by the user's operation and providing the received wireless control command to the drive controller .

본 발명의 다른 일 기술적 측면은 무선 컨트롤러를 제공한다. 상기 무선 컨트롤러는, 축전 소자를 이용하여 전동으로 샤프트를 구동하여 블라인드를 자동으로 동작시키는 전동 롤 블라인드 장치의 외부 입력 단자에 결합 가능하다. 상기 무선 컨트롤러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전용 무선 리모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구동되는 무선 단말기로부터 무선으로 송출된 무선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무선 모듈 및 상기 무선 모듈에 전원을 제공하는 보조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less controller. The wireless controller can be coupled to an external input terminal of an electric rolling blind device that automatically drives the blind by driving the shaft by electric power using a charge element. The wireless controller may include a wireless module for receiving a wireless control command transmitted from a wireless terminal driven by a dedicated wireless remote controller or an application program by a user's operation and an auxiliary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wireless module .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무선 컨트롤러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충전 전류를 입력받는 전원 입력 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입력 단자를 통하여 입력된 충전 전류는 상기 보조 배터리 또는 상기 전동 롤 블라인드 장치의 상기 축전 소자를 충전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ireless controller further includes a power input terminal for receiving a charging current provided from the outside, and a charging current input through the power input terminal is supplied to the auxiliary battery or the accumulation element of the electric rolling blind device .

상기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수단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solution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does not list all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of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배터리를 기반으로 동작하여 심미적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esthetic function by operating on a batter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연장된 조작부의 말단에 배터리의 충전용 단자를 구비함으로써, 배터리의 충전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for charging the battery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extended operating portion, so that the charging of the battery can be facilitat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충전 거리가 길어짐에 따라 감쇄하는 충전 전류를 보완하기 위하여, 충전 전류를 증폭하여 배터리를 충전함으로써 배터리의 충전의 효율성을 증대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ompensate for a charging current to be attenuated as the charging distance becomes longer, charging efficiency is increased by charging the battery by amplifying the charging curr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롤 블라인드 장치의 일 적용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롤 블라인드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동 롤 블라인드 장치의 조작부의 일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동 롤 블라인드 장치의 조작부의 일 예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롤 블라인드 장치의 조작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롤 블라인드 장치의 조작부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롤 블라인드 장치의 조작부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롤 블라인드 장치의 조작부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롤 블라인드 장치의 조작부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10은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전동 롤 블라인드 장치의 조작부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증폭 제어기의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an electric rolling blind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n electric rolling blind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operating portion of the rolling roll blind device shown in Fig.
Fig. 4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ng portion of the rolling roll blind device shown in Fig. 3;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n operating portion of an electric rolling blind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operating portion of the rolling roll blind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operating portion of the electric rolling blind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operating portion of the electric rolling blind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operating portion of the electric rolling blind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amplification controller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operating portion of the rolling roll blind apparatus shown in Figs. 8 to 9.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Furth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롤 블라인드 장치의 일 적용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an electric rolling blind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동 롤 블라인드 장치(100)는 롤 스크린 블라인드(10)와 결합하여, 스크린블라인드(12)를 상하 방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The rolling roll blind apparatus 100 can engage with the roll screen blind 10 to drive the screen blind 12 in the vertical direction.

롤 스크린 블라인드(10)는 고정부(11)와 스크린 블라인드(12)를 포함하며, 고정부(11)를 통하여 벽이나 천정에 고정될 수 있다. 스크린 블라인드(12)는 회전함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거나 단축될 수 있다.The roll screen blind 10 includes a fixing portion 11 and a screen blind 12 and can be fixed to the wall or the ceiling through the fixing portion 11. [ The screen blind 12 can be extended or shorte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it rotates.

전동 롤 블라인드 장치(100)는 이러한 롤 스크린 블라인드(10)와 결합하여, 스크린 블라인드(12)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 또는 단축되도록, 스크린 블라인드(12)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rolling roll blind apparatus 100 can be combined with such a roll screen blind 10 to provide a turning force to the screen blind 12 so that the screen blind 12 extends or shortens in the vertical direction.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롤 블라인드 장치(100)는 롤 스크린 블라인드(10)와 구분되는 별도의 장치로서, 롤 스크린 블라인드(10)와 체결되는 체결 구조를 다양하게 지원함으로써, 종래에 사용되고 있던 롤 스크린 블라인드(10)나 또는 이를 대처할 수 있는 가림막, 커튼 등과도 호환이 가능하다.In other words, the electric roll blind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parate apparatus distinguished from the roll screen blind 10, and supports a variety of fastening structures to be fastened to the roll screen blind 10, It is also compatible with the curtain, the curtain, and the like that can cope with the roll screen blind 10 used in the roll screen blind 10.

이하,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롤 블라인드 장치(100)의 다양한 실시 형태들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rolling roll blind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10. Fig.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롤 블라인드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n electric rolling blind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전동 롤 블라인드 장치(100)는 샤프트(110), 구동부(120), 축전부(130) 및 연장 조작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electric roll blind apparatus 100 may include a shaft 110, a driving unit 120, a power storage unit 130, and an extended operation unit 140.

샤프트(110)는 내부 중공이 형성된 원통형의 형상일 수 있다. 샤프트(110)의 내부 중공에는 구동부(120)나 축전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The shaft 11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with an inner hollow. A driving unit 120 and a power storage unit 130 may be provided in the hollow of the shaft 110.

샤프트(110)는 적어도 일측에 형성된 구동 축(111)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haft 110 may include a drive shaft 111 formed on at least one side thereof.

일 예로, 샤프트(110)는 롤 스크린 블라인드의 내부에 삽입되고, 롤 스크린 블라인드와 일련의 체결 구조로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 구조는 구동 축(111)에 결합되어, 롤 스크린 블라인드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체결 구조는 롤 스크린 블라인드의 구조 등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가 가능한 바, 본 발명에서 체결 구조를 특정한 구조로서 한정하지 아니한다.In one example, the shaft 110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roll screen blind and can be fastened with a series of fastening structures to the roll screen blind. This fastening structure may be coupled to the drive shaft 111 to provide a rotational force to the roll screen blind. On the other hand, such a fastening structure can be variously modified by a structure of a roll screen blind, and the fastening structure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structure.

구동부(120)는 샤프트(110)의 내부 중공에 구비되고, 구동 축(111)을 회전 구동시킬 수 있다. 구동부(120)는 연장 조작부(140)의 조작부(143)를 통하여 입력된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120 is provided in the hollow of the shaft 110, and can drive the driving shaft 111 to rotate. The driving unit 120 may be driven according to a driving control signal input through the operating unit 143 of the extension operating unit 140.

축전부(130)는 샤프트(110)의 내부 중공에 구비되어, 구동부(12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축전부(130)는 재 충전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ower storage unit 130 is provided in the hollow of the shaft 110 to supply power to the driving unit 120. The power storage unit 130 may include at least one rechargeable battery cell.

본 발명에서는 축전부(130)를 이용하여 구동부(120)에 전원을 공급하므로, 별도의 유선 전원선이 필요하지 않으며, 따라서 장치의 구성이 간단해질 뿐만 아니라 심미적 기능 또한 제공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power is supplied to the driving unit 120 using the power storage unit 130, a separate wired power supply line is not required, so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apparatus is simplified and an aesthetic function can be provided.

연장 조작부(140)는 샤프트(110)의 일 측에 결합되고, 구동부(120) 및 축전부(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extended operating portion 14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shaft 110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ing portion 120 and the power storage portion 130.

연장 조작부(140)는 일정 길이 이상 연장된 형상으로서, 이는 샤프트(110)가 고정되는 위치가 주로 천정에 근접한 위치이므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일정 길이 이상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The extended operation portion 140 may have a shape elongated by a predetermined length or longer because the position where the shaft 110 is fixed is located close to the ceiling.

연장 조작부(140)는 샤프트(110)의 일 측에 결합되는 결합부(141)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141)는 샤프트(110)와 연장 조작부(140)를 고정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롤 스크린 블라인드와 체결될 수 있는 체결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The extended operating portion 140 may include an engaging portion 141 that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shaft 110. The engaging portion 141 may fix the shaft 110 and the extension operating portion 140, and may have a fastening structure that can be fastened to the roll screen bli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연장 조작부(140)는 일 단이 결합부(141)의 일 측에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172)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142)는 사용자가 용이 조작 가능한 높이에 조작부(143)가 구비되도록 일정 이상의 길이로 연장된 구성이다.The extended operation portion 140 may include an extended portion 172 having one end extended from one side of the engagement portion 141. The extension portion 142 has a length longer than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operation portion 143 is provided at a height at which the user can easily operate.

연장부(142)는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위하여 관절 구조를 포함하거나, 또는 연질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The extension portion 142 may include a joint structure or may be made of a soft material for user's convenience.

조작부(143)는 사용자가 조작 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조작부(143)에 의한 사용자의 조작 입력에 따라 구동부(120)의 구동이 제어된다.The operation unit 143 is a configuration in which a user can perform an operation input, and the drive of the drive unit 120 is controlled in response to an operation input by the operation unit 143 by the user.

한편, 조작부(143)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충전 전류를 입력받는 외부 입력 단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외부 입력 단자를 통하여 제공된 충전 전류를 축전부(130)에 제공하여 축전부(130)를 충전시킬 수 있다. Meanwhile, the operation unit 143 may include an external input terminal for receiving a charge current provided from the outside, and may supply the charge current provided through the external input terminal to the power storage unit 130 to charge the power storage unit 130 .

조작부(143)는 연장부(142)의 일 단에 구비되므로 연장된 거리의 이점을 가지고 있고, 또한 외부 입력 단자는 이러한 조작부(143)에 구비되므로, 사용자는 전동 롤 블라인드 장치(100)의 충전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Since the operating portion 143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extension portion 142 and has an advantage of an extended distance and the external input terminal is provided in the operating portion 143, the user can charge the electric roll blind device 100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즉, 충전용 단자인 외부 입력 단자의 위치가 충분히 연장된 위치에 있으므로, 전력 어댑터로부터 외부 입력 단자까지의 요구 거리가 짧아지므로, 전류 전송의 효율이 높고-즉, 전류 전송의 거리의 증가함에 따른 감쇄 효과가 최소화되고-, 충전의 편의성이 증대하는 효과를 가진다.That is, since the position of the external input terminal which is the charging terminal is sufficiently extended, the required distance from the power adapter to the external input terminal is shortened, so that the efficiency of the current transmission is high - The effect of attenuation is minimized, and the convenience of charging is increas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롤 블라인드 장치(100)는 연장 조작부(140)의 외부 입력 단자를 포함하므로, 충전 시에는 전력 어댑터를 외부 입력 단자에 연결하여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비 충전시에는 별도의 전원 코드 줄이 불필요하므로, 종래의 전동 블라인드에서 전원 코드 줄에 의하여 유발되던 위험 상황, 예컨대, 전원 코드 줄에 의해 유발되던 유아 및 어린이의 안전 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lectric roll blind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external input terminal of the extension operating unit 140, the charging can be performed by connecting the power adapter to the external input terminal at the time of charging. Therefore, since a separate power cord is unnecessary at the time of non-charg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caused by a power cord from a conventional power blind, for example, a child accident caused by a power cor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이하,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조작부의 외형적 특징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external features of the above-described operating por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4. Fig.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동 롤 블라인드 장치의 조작부의 일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동 롤 블라인드 장치의 조작부의 일 예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operating portion of the rolling roll blind device shown in Fig. 2, and Fig. 4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ng portion of the rolling roll blind device shown in Fig.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조작부(143)는 하우징(1431), 외부 입력 단자(1432) 및 조작 버튼(1433)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으나, 조작부(143)의 하우징 내부에는 구동 제어기(미도시) 외 다양한 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 3 and 4, the operation unit 143 may include a housing 1431, an external input terminal 1432, and an operation button 1433. Although not shown, various configurations other than the drive controller (not shown) may be included in the housing of the operation unit 143. [

하우징(1431)은 내부에 중공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431)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원통형이거나 또는 사용자가 손쉽게 쥘 수 있도록 인체 공학적 설계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housing 1431 may include a hollow therein. The housing 1431 can be formed in various shapes, for example, cylindrical or ergonomically design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grip it.

하우징(1431)의 일 단은 연장부의 일 단에 연결되고, 하우징(1431)의 타 단에는 외부 입력 단자(143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부 입력 단자(1432)의 형성 위치는 전동 롤 블라인드 장치(100)에서의 최고 말단-즉, 최고로 연장된 위치-이므로, 외부 입력 단자(1432)를 이용한 충전의 효율성이 높고, 또한 전력 어댑터로부터 외부 입력 단자(1432)까지의 충전 거리를 최소화 하여 충전 거리의 증가에 따른 전류 감쇄를 최소화할 수 있다.One end of the housing 1431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extension portion, and an external input terminal 1432 may be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housing 1431. Since the position at which the external input terminal 1432 is formed is the highest end in the electric roll blind device 100, that is, the position at which the external input terminal 1432 is extended to the maximum, the efficiency of charging using the external input terminal 1432 is high, The charging distance from the adapter to the external input terminal 1432 can be minimized and the current attenuation due to the increase of the charging distance can be minimized.

일 예로, 외부 입력 단자(1432)는 마이크로 5Pin USB(Universal Serial Bus)일 수 있다. 또는 다양한 다른 표준의 접속 단자일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외부 입력 단자(1432)는 둘 이상의 복수 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external input terminal 1432 may be a micro 5Pin USB (Universal Serial Bus). Or various other standard connection terminals. Also,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external input terminal 1432 may be composed of two or more.

하우징(1431)의 일 측에는 사용자의 입력을 제공받는 조작 버튼(1433)이 형성될 수 있다. An operation button 1433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431 to receive a user input.

도시되지 않으나, 조작부(143)의 하우징 내부 중공에는 구동 제어기(미도시) 외 다양한 구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후술한다.Although not shown, various configurations other than the drive controller (not shown) may be included in the hollow interior of the housing of the operation unit 143,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5 to 9.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롤 블라인드 장치의 조작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 구성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n operating portion of an electric rolling blind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조작부(143)의 일 실시예는, 조작 버튼(1433), 구동 제어기(1434) 및 외부 입력 단자(1432)를 포함할 수 있다.5, one embodiment of the operation unit 143 may include an operation button 1433, a drive controller 1434, and an external input terminal 1432. [

조작 버튼(1433)은 조작부(143)의 외부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구동 제어기(1434)에 제공할 수 있다. 구동 제어기(1434)는 조작 버튼(1433)을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구동부(12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operation button 1433 is formed outside the operation unit 143, and can be provided to the drive controller 1434 in response to a user's input. The driving controller 1434 can control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120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user inputted through the operation button 1433. [

외부 입력 단자(1432)는 조작부(143)의 일 단에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충전 전류를 입력받아 이를 축전부(130)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외부 입력 단자(1432)는 축전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충전 전류를 축전부(130)에 제공할 수 있다.The external input terminal 1432 is formed at one end of the operation unit 143 and can receive the charging current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provide it to the power storage unit 130. That is, the external input terminal 143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torage unit 130 to provide a charging current to the power storage unit 130.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롤 블라인드 장치의 조작부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operating portion of the rolling roll blind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일 실시예는, 외부 입력 단자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사용자 제어를 수행하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 shown in Fig. 6 relates to an embodiment in which user control is performed wirelessly using an external input terminal.

도 6을 참조하면, 조작부의 일 실시예(144)는, 조작 버튼(1433), 구동 제어기(1444)및 외부 입력 단자(1442)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입력 단자(1442)에는 무선 컨트롤러(200)가 결합될 수 있다.6, one embodiment 144 of the operating portion may include an operating button 1433, a drive controller 1444, and an external input terminal 1442. [ The wireless controller 200 may be coupled to the external input terminal 1442.

조작 버튼(1443), 구동 제어기(1444) 내지 외부 입력 단자(1442)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기 상술한 설명은, 이하에서는 생략한다.The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button 1443, the drive controller 1444, and the external input terminal 1442 will be omitt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외부 입력 단자(1442)는 충전 전류를 입력 받는 것 외에도, 무선 컨트롤러(200)와 결합하여 무선 컨트롤러(200)로부터 무선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The external input terminal 1442 may receive a charging signal from the wireless controller 200 in combination with the wireless controller 200 in addition to receiving the charging current.

예컨대, 무선 컨트롤러(200)는 외부 입력 단자(1442)에 삽입 가능한 USB 타입의 장치로서, 무선 모듈-예컨대, 무선 랜 모듈이나, 블루투스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wireless controller 200 may be a USB type devic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external input terminal 1442, and may include a wireless module such as a wireless LAN module, a Bluetooth module, or the like.

일 실시예에서, 조작부(144)의 외부 입력 단자(1442)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조작부(144)의 제1 외부 입력 단자를 통하여 무선 컨트롤러(200)가 체결될 수 있고, 조작부(144)의 제2 외부 입력 단자를 통하여 외부의 충전 어댑터가 체결되어 충전 전류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충전은 조작부(144)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무선 컨트롤러(200)는 충전에 관여하지 않는다.In one embodiment, the external input terminals 1442 of the operating section 144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external input terminals. In this embodiment, the wireless controller 200 can be fastened through the first external input terminal of the operation unit 144, and the external charge adapter is fastened through the second external input terminal of the operation unit 144, Input can be received. In this embodiment, the charging is performed by the operating unit 144, and the wireless controller 200 is not involved in charging.

무선 컨트롤러(200)는 체결 단자를 통하여 외부 입력 단자(1442)에 체결되어 조작부(144)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wireless controller 200 may be coupled to the external input terminal 1442 through a fastening terminal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peration unit 144.

무선 컨트롤러(2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외부의 무선 제어 단말-예컨대, 전용 무선 리모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구동되는 무선 단말기 등-으로부터 무선으로 송출된 무선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이를 외부 입력 단자(1442)에 제공할 수 있다. 외부 입력 단자(1442)를 통하여 입력된 무선 제어 명령은 구동 제어기(1444)에 제공되고, 구동 제어기(1444)는 이러한 무선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구동부(12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구동부(120)에 제공할 수 있다.The wireless controller 200 receives a wireless control command wirelessly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wireless control terminal (e.g., a dedicated wireless remote controller or a wireless terminal driven by an application program)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nd transmits the wireless control command to an external input terminal 1442 ). The radio control command input through the external input terminal 1442 is provided to the drive controller 1444 and the drive controller 1444 generates a drive control signal to control the drive of the drive unit 120 in response to this radio control command And provide it to the driving unit 120.

이러한 무선 컨트롤러(200)에 대해서는 도 13 내지 도 14을 더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This wireless controller 2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ures 13-14.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컨트롤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 구성도로서, 도 13을 더 참조하면, 무선 컨트롤러(200)는 출력 단자(210), 무선 모듈(220) 및 보조 축전기(230)를 포함할 수 있다.13, the wireless controller 200 includes an output terminal 210, a wireless module 220, and an auxiliary capacitor 230 (see FIG. 13) ).

출력 단자(210)는 조작부(144)의 외부 입력 단자(1442)에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출력 단자(210)를 통하여 무선 모듈(220)에서 수신된 무선 제어 명령을 조작부(144)에 제공하거나, 또는 보조 축전기(230)에 충전된 전하를 충전 전류로서 조작부(144)에 제공할 수 있다.The output terminal 210 is coupled to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input terminal 1442 of the operation unit 144. The control unit 144 may provide a radio control command received from the radio module 220 via the output terminal 210 to the operation unit 144 or may supply the charge charged in the auxiliary capacitor 230 to the operation unit 144 as a charge current .

보조 축전기(230)는 무선 컨트롤러(2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예컨대, 무선 모듈에 요구되는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보조 축전기(230)는 무선 컨트롤러(200)에 탈착 또는 부착될 수 있다. The auxiliary capacitor 230 may provide the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controller 200, e.g., the power required by the wireless module. The auxiliary capacitor 230 may be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wireless controller 200.

보조 축전기(230)는 무선 컨트롤러(200)에 탈착 또는 부착 가능할 수 있다. 보조 축전기(230)는 재 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일 수 있다.The auxiliary capacitor 230 may be detachable or attachable to the wireless controller 200. The auxiliary capacitor 230 may be a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일 실시예에서, 무선 컨트롤러(200)가 보조 축전기를 구비하는 경우, 보조 축전기의 전하를 이용하여 구동부(120)를 충전시킬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when the wireless controller 200 includes an auxiliary capacitor, the driver 120 may be charged using the charge of the auxiliary capacitor.

예를 들어, 구동부(120)는 축전부(130)에 충전된 전하를 우선적으로 이용하여 구동하다가, 축전부(130)에 충전된 전하가 충분하지 못한 경우 보조 축전기(1447)에 충전된 전하를 이용하여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축전부(130)와 보조 축전기(1447)는 스위치 구조로 선택 가능하도록 병렬 연결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driving unit 120 may be operated by preferentially using the charge stored in the power storage unit 130, and if the charge stored in the power storage unit 130 is not sufficient, the charge stored in the auxiliary capacitor 1447 may be . In this example, the power storage unit 130 and the auxiliary capacitor 1447 can be connected in parallel so as to be selectable by a switch structure.

다른 예를 들어, 보조 축전기(1447)와 축전부(130)는 직렬 연결될 수 있으며,이러한 경우 구동부(120)는 직렬 연결된 보조 축전기(1447)와 축전부(130)를 하나의 충전 유닛으로 이용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auxiliary capacitor 1447 and the power storage unit 130 may be connected in series. In this case, the driving unit 120 may use the auxiliary storage battery 1447 and the power storage unit 130 as a single charging unit have.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컨트롤러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 구성도로서, 도 14를 더 참조하면, 무선 컨트롤러(200)는 출력 단자(210), 무선 모듈(220), 보조 축전기(230) 및 전원 입력 단자(240)를 포함할 수 있다.1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wireless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4, the wireless controller 200 includes an output terminal 210, a wireless module 220, 230 and a power input terminal 240.

무선 컨트롤러(200)는 출력 단자(210), 무선 모듈(220) 및 보조 축전기(230)에 대한 설명은 도 13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로부터 이해할 수 있다.The description of the output terminal 210, the wireless module 220 and the auxiliary capacitor 230 of the wireless controller 200 can be understood from the forego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전원 입력 단자(240)는 외부의 전원 어댑터와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충전 전류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전원 입력 단자(240)를 통하여 입력된 충전 전류는 출력 단자(210)를 통하여 조작부(144)의 외부 입력 단자(1442)에 제공될 수 있다. 또는 보조 축전기(230)를 충전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예컨대, 축전부(130)의 전하량이 일정 이상이 되면, 충전 전류를 이용하여 무선 컨트롤러(200)의 보조 축전기가 충전될 수 있다.The power input terminal 240 may be coupled to an external power adapter to receive a charging current from the outside. Charge current input through the power input terminal 240 may be provided to the external input terminal 1442 of the operation unit 144 through the output terminal 210. [ Or to charge the auxiliary capacitor 230. For example, when the charge amount of the power storage unit 130 becomes a certain level or more, the auxiliary capacitor of the wireless controller 200 can be charged using the charge current.

일 실시예에서, 무선 컨트롤러(200)가 조작부의 외부 입력 단자(1442)에 삽입되면, 무선 컨트롤러(200)의 전원 입력 단자(240)가 돌출되거나 또는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전원 컨버터의 입력 단자를 무선 컨트롤러(200)의 전원 입력 단자에 연결하면, 외부에서 제공되는 충전 전류는 무선 컨트롤러(200)를 통하여 조작부의 외부 입력 단자(1442)에 제공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when the wireless controller 200 is inserted into the external input terminal 1442 of the operation unit, the power input terminal 240 of the wireless controller 200 may be protruded or opened. Therefore, when the input terminal of the power converter is connected to the power input terminal of the wireless controller 200, the charging current provided from the outside can be supplied to the external input terminal 1442 of the operation unit through the wireless controller 200.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롤 블라인드 장치의 조작부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 구성도이다.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operating portion of the electric rolling blind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일 실시예는, 전동 롤 블라인드 장치의 조작부에 무선 모듈이 구비된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One embodiment shown in Fig. 7 relates to an embodiment in which a radio module is provided in an operating portion of an electric rolling blind apparatus.

도 7을 참조하면, 조작부의 일 실시예(144-1)는, 조작 버튼(1443), 무선 모듈(1446), 구동 제어기(1444), 외부 입력 단자(1442)를 포함할 수 있다. 7, an embodiment 144-1 of the operation unit may include an operation button 1443, a wireless module 1446, a drive controller 1444, and an external input terminal 1442. [

조작 버튼(1443), 구동 제어기(1444) 내지 외부 입력 단자(1442)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기 상술한 설명은, 이하에서는 생략한다.The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button 1443, the drive controller 1444, and the external input terminal 1442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5 to 6 will be omitted below.

무선 모듈(1446)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외부의 무선 제어 단말-예컨대, 전용 무선 리모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구동되는 무선 단말기 등-으로부터 무선으로 송출된 무선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이를 구동 제어기(1444)에 제공할 수 있다. 구동 제어기(1444)는 이러한 무선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구동부(12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구동부(120)에 제공할 수 있다.The wireless module 1446 receives a wireless control command wirelessly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wireless control terminal (e.g., a dedicated wireless remote controller or a wireless terminal in which an application program is run)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s shown in FIG. The driving controller 1444 may generate a driving control signal to control the driving unit 120 in response to the wireless control command and provide the driving control signal to the driving unit 120.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롤 블라인드 장치의 조작부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 구성도이다.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operating portion of the electric rolling blind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일 실시예는, 전동 롤 블라인드 장치의 조작부에 보조 축전기가 구비된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 shown in Fig. 8 relates to an embodiment in which an auxiliary capacitor is provided in the operating portion of the electric rolling blind apparatus.

도 8을 참조하면, 조작부의 다른 일 실시예(144-2)는, 조작 버튼(1443), 무선 모듈(1446), 구동 제어기(1444), 외부 입력 단자(1442) 및 보조 축전기(1447)를 포함할 수 있다. 8, another embodiment 144-2 of the operating portion includes an operation button 1443, a wireless module 1446, a drive controller 1444, an external input terminal 1442, and an auxiliary capacitor 1447 .

조작 버튼(1443), 구동 제어기(1444), 외부 입력 단자(1442) 내지 무선 모듈(1446)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기 상술한 설명은, 이하에서는 생략한다.The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buttons 1443, the drive controller 1444, the external input terminal 1442, and the wireless module 1446 will be omitt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보조 축전기(1447)는 조작부(144-2)에 구비되며, 외부 입력 단자(1442)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충전 전류를 입력받아 충전될 수 있다. The auxiliary capacitor 1447 is provided in the operating portion 144-2 and can be charged by receiving a charging current input from the outside via the external input terminal 1442. [

구동부(120)는 보조 축전기(1447)에 충전된 전하를 이용하여 구동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120 may be driven using the charge stored in the auxiliary capacitor 1447.

예를 들어, 구동부(120)는 축전부(130)에 충전된 전하를 우선적으로 이용하여 구동하다가, 축전부(130)에 충전된 전하가 충분하지 못한 경우 보조 축전기(1447)에 충전된 전하를 이용하여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축전부(130)와 보조 축전기(1447)는 스위치 구조로 선택 가능하도록 병렬 연결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driving unit 120 may be operated by preferentially using the charge stored in the power storage unit 130, and if the charge stored in the power storage unit 130 is not sufficient, the charge stored in the auxiliary capacitor 1447 may be . In this example, the power storage unit 130 and the auxiliary capacitor 1447 can be connected in parallel so as to be selectable by a switch structure.

다른 예를 들어, 보조 축전기(1447)와 축전부(130)는 직렬 연결될 수 있으며,이러한 경우 구동부(120)는 직렬 연결된 보조 축전기(1447)와 축전부(130)를 하나의 충전 유닛으로 이용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auxiliary capacitor 1447 and the power storage unit 130 may be connected in series. In this case, the driving unit 120 may use the auxiliary storage battery 1447 and the power storage unit 130 as a single charging unit have.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롤 블라인드 장치의 조작부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 구성도이다.FIG.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operating portion of the electric rolling blind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일 실시예는, 충전 전류를 증폭하는 리피터를 이용한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One embodiment shown in Fig. 9 relates to an embodiment using a repeater to amplify a charging current.

도 9를 참조하면, 조작부의 일 실시예(145)는, 조작 버튼(1453), 구동 제어기(1454), 외부 입력 단자(1452) 및 전류 증폭 리피터(1455)를 포함할 수 있다. 9, one embodiment 145 of the operating portion may include an operating button 1453, a drive controller 1454, an external input terminal 1452, and a current amplifying repeater 1455. [

조작 버튼(1453), 구동 제어기(1454) 내지 외부 입력 단자(1452)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기 상술한 설명은, 이하에서는 생략한다.5 to 8 with respect to the operation button 1453, the drive controller 1454, and the external input terminal 1452 will be omit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외부 입력 단자(1452)는 외부로부터 충전 전류를 제공받아 이를 전류 증폭 리피터(1455)에 제공할 수 있다.The external input terminal 1452 may receive a charge current from the outside and provide it to the current amplification repeater 1455.

전류 증폭 리피터(1455)는 충전 전류를 증폭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urrent amplification repeater 1455 may include a circuit for amplifying the charge current.

전류 증폭 리피터(1455)는 트랜지스터 소자를 이용할 수도 있고, 또는 다수의 소자를 포함하는 증폭 회로를 이용할 수도 있다. 즉, 전류 증폭 리피터(1455)에 대해서는 특정 회로로 한정하지 아니한다.The current amplifying repeater 1455 may use a transistor element or an amplifying circuit including a plurality of elements. That is, the current amplifying repeater 1455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circuit.

도시된 예에서, 전류 증폭 리피터(1455)는 고정된 배율로 전류를 증폭하는 회로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증폭된 전류량이 축전부(130)의 충전 표준 전류량을 과다하게 초과하지 않도록, 증폭 배율이 일정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current amplifying repeater 1455 may be a circuit that amplifies the current at a fixed magnification.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amplification magnification may be set to a certain value or less so that the amount of amplified current does not excessively exceed the charging standard current amount of the power storage unit 130.

전력 어댑터로부터 외부 입력 단자(1452)까지의 거리가 비교적 짧다고 하더라고, 외부 입력 단자(1452)에서 축전부(130)까지의 연장 거리가 존재하므로, 이러한 거리들에 의하여 충전 전류의 감쇄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전류 증폭 리피터(1455)를 사용하여 충전 전류의 전류량을 증폭시킴으로써, 축전부(130)에 도달하는 충전 전류의 전류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충전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즉, 충전 속도는 전류량의 크기에 비례하므로, 전류 증폭 리피터(1455)를 사용함으로써 충전 전류의 전류량의 커지게 되며, 그에 따라 충전 속도가 빨라지게 되는 것이다.Although the distance from the power adapter to the external input terminal 1452 is relatively short, since there is an extension distance from the external input terminal 1452 to the power storage unit 130, the attenuation of the charge current may occur due to such distances .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by amplifying the amount of charge current by using the current amplifying repeater 1455, the amount of the charge current reaching the power storage unit 130 can be sufficiently secured and the charge speed can be increased accordingly . That is, since the charging speed is proportional to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amount, the amount of current of the charging current is increased by using the current amplifying repeater 1455, and accordingly the charging speed is increased.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롤 블라인드 장치의 조작부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 구성도이다.FIG. 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operating portion of the electric rolling blind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도시된 일 실시예는, 증폭 제어기를 이용하여 전류 증폭을 제어하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One embodiment shown in Fig. 10 relates to an embodiment for controlling current amplification using an amplification controller.

도 10을 참조하면, 조작부의 일 실시예(146)는, 조작 버튼(1463), 구동 제어기(1464), 외부 입력 단자(1462), 전류 증폭 리피터(1465) 및 증폭 제어기(1466)를 포함할 수 있다. 10, an embodiment of the operating portion 146 includes an operating button 1463, a drive controller 1464, an external input terminal 1462, a current amplification repeater 1465 and an amplification controller 1466 .

조작 버튼(1463), 구동 제어기(1464), 외부 입력 단자(1462) 내지 전류 증폭 리피터(1465)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기 상술한 설명은, 이하에서는 생략한다.The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button 1463, the drive controller 1464, the external input terminal 1462, and the current amplification repeater 1465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5 to 9 will be omitted below.

증폭 제어기(1466)는 전류 증폭 리피터(1465)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amplification controller 1466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urrent amplification repeater 1465.

일 실시예에서, 증폭 제어기(1466)는 축전부(130)의 축전 전하량을 감지하고, 축전부(130)의 축전 전하량에 따라 전류 증폭 리피터(1465)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amplification controller 1466 can sense the amount of charge stored in the power storage unit 130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urrent amplification repeater 1465 according to the stored charge amount of the power storage unit 130.

이에 대하여, 도 12를 더 참조하여 설명하면, 증폭 제어기(1466)는 축전부(130)의 축전 전하량을 감지하고(S1210), 축전 전하량이 기준치 미만이면(S1220, 예), 전류 증폭 리피터를 동작시킬 수 있다(S1230). 한편, 축전 전하량이 기준치 이상이면(S1220, 아니오), 전류 증폭 리피터를 동작시키지 않고 충전 전류를 바이패스 시킬 수 있다(S1231). 12, the amplification controller 1466 senses the amount of charge stored in the power storage unit 130 (S1210). If the stored charge amount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YES in S1220), the amplification controller 1466 operates the current amplification repeater (S1230). On the other hand, if the stored charge amount is not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S1220, No), the charging current can be bypassed without operating the current amplifying repeater (S1231).

일 예로, 축전 전하량의 기준치는 전류 증폭 리피터의 증폭율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전류 증폭 리피터의 증폭율에 반비례하도록 축전 전하량의 기준치가 결정될 수 있다. 즉, 전류 증폭 리피터의 증폭율이 일정 이상으로 높으면 축전 전하량의 기준치는 기준값보다 낮게 설정되고, 전류 증폭 리피터의 증폭율이 일정 이하로 낮으면 축전 전하량의 기준치는 기준값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증폭된 충전 전류가 일정 범위 내에서 존재하도록 하기 위함이다.For example, the reference value of the charge amount can be determined from the amplification factor of the current amplification repeater. For example, the reference value of the charge amount can be determined so as to be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amplification factor of the current amplification repeater. That is, when the amplification rate of the current amplification repeater is higher than a certain level, the reference value of the charge amount is set to be lower than the reference value, and when the amplification rate of the current amplification repeater is lower than a certain level, the reference value of the charge amount can be set high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is is to ensure that the amplified charge current is within a certain range.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롤 블라인드 장치의 조작부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 구성도이다.FIG. 1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operating portion of the rolling roll blind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에 도시된 일 실시예는, 전류 증폭 리피터를 위한 보조 축전기가 사용되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One embodiment shown in Fig. 11 relates to an embodiment in which an auxiliary capacitor for a current amplifying repeater is used.

도 11을 참조하면, 조작부의 일 실시예(147)는, 조작 버튼(1473), 구동 제어기(1474), 외부 입력 단자(1472), 전류 증폭 리피터(1475), 증폭 제어기(1466) 및 보조 축전기(1477)를 포함할 수 있다. 11, an embodiment 147 of the operating portion includes an operation button 1473, a drive controller 1474, an external input terminal 1472, a current amplification repeater 1475, an amplification controller 1466, 1477 < / RTI >

조작 버튼(1473), 구동 제어기(1474), 외부 입력 단자(1472) 내지 전류 증폭 리피터(1475)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기 상술한 설명은, 이하에서는 생략한다.The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button 1473, the drive controller 1474, the external input terminal 1472, and the current amplification repeater 1475 will be omit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s. 5 to 10.

보조 축전기(1477)는 전류 증폭 리피터(1475)에 기 설정된 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보조 축전기(1477)는 충전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할 수 있다.Auxiliary capacitor 1477 can provide a predetermined voltage to current amplifying repeater 1475. [ The auxiliary capacitor 1477 may include at least one chargeable battery cell.

전류 증폭 리피터(1475)의 실시 회로에 따라, 전류 증폭에 소정의 전압이 요구될 수 있으며, 보조 축전기(1477)는 이러한 전압, 즉, 전류 증폭 리피터(1475)가 전류를 증폭하는데 필요한 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ent amplifying repeater 1475, a predetermined voltage may be required for current amplification and the auxiliary capacitor 1477 provides this voltage, i.e., the voltage required for the current amplifying repeater 1475 to amplify the current can do.

증폭 제어기(1476)는 보조 축전기(1477)의 충전을 제어할 수 있다.Amplification controller 1476 may control charging of auxiliary capacitor 1477.

일 실시예에서, 증폭 제어기(1476)는 축전부(130)의 충전이 완료되고 외부 입력 단자를 통하여 충전 전류가 외부에서 제공되고 있으면, 충전 전류를 이용하여 보조 축전기(1477)를 충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if the charging of the power storage unit 130 is completed and the charging current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external input terminal, the amplification controller 1476 controls the charging of the auxiliary capacitor 1477 using the charging current .

다른 일 실시예에서, 증폭 제어기(1476)는 보조 축전기(1477)의 축전 전하량을 감지하고, 보조 축전기(1477)의 축전 전하량이 일정 이하이면 전류 증폭 리피터(1475)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amplification controller 1476 senses the amount of stored charge of the auxiliary capacitor 1477, and can stop the operation of the current amplification repeater 1475 if the stored charge amount of the auxiliary capacitor 1477 is less than a certain amount.

이상에서는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조작부의 다양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들 외에도, 상술한 실시예들을 조합하여 실시가 가능함은 자명하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의 조합된 실시 형태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가 됨은 자명하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operating por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4 to 11. Fig. It should be apparent that the combined embodimen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s als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apparent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can be combined and performed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 롤 스크린 블라인드
11 : 고정부 12 : 스크린 블라인드
100 : 롤 블라인드 장치
110 : 샤프트 120 : 구동부
130 : 축전부 140 : 연장 조작부
141 : 결합부 142 : 연장부
143, 144, 145, 146, 147 : 조작부
1431 : 하우징
1432, 1442, 1452, 1462, 1472 : 외부 입력 단자
1433, 1443, 1453, 1463, 1473 : 조작 버튼
1434, 1444, 1454, 1464, 1474 : 구동 제어기
1445 : 무선 컨트롤러
1455, 1465, 1475 : 전류 증폭 리피터
1466, 1476 : 증폭 제어기
1477 : 보조 축전기
10: Roll screen blinds
11: fixing part 12: screen blind
100: Roll blind device
110: shaft 120:
130: power storage unit 140: extension control unit
141: engaging portion 142:
143, 144, 145, 146, 147:
1431: Housing
1432, 1442, 1452, 1462, 1472: external input terminal
1433, 1443, 1453, 1463, 1473: operation buttons
1434, 1444, 1454, 1464, 1474: drive controller
1445: Wireless controller
1455, 1465, 1475: current amplifying repeater
1466, 1476: Amplification controller
1477: auxiliary capacitor

Claims (12)

내부 중공이 형성되고, 적어도 일측에 형성된 구동 축을 포함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상기 내부 중공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 축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샤프트의 상기 내부 중공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부; 및
상기 샤프트의 일 측과 탈착되고, 조작버튼의 입력 또는 무선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고, 외부 입력 단자를 통해 외부의 충전 전류로 상기 축전부를 충전시키는 연장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 조작부는 상기 외부 입력 단자와 결합되어, 상기 무선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무선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하는 전동 롤 블라인드 장치.
A shaft having an internal hollow formed therein and including a drive shaft formed at least on one side thereof;
A driving unit provided in the hollow of the shaft for rotating the driving shaft;
A power storage unit provided in the hollow of the shaft to supply power to the driving unit; And
And an extension operating portion which is detached from one side of the shaft and controls driving of the driving portion on the basis of an input of the operation button or a wireless control command and charges the power storage portion with an external charging current through an external input terminal,
And the extension operating portion includes a wireless controller coupled to the external input terminal to receive the wireless control comma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조작부는
상기 외부 입력 단자;
상기 샤프트의 일 측에 탈착되는 결합부;
관절 구조를 포함하며, 일 단이 상기 결합부의 일 측에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타 단에 형성되고, 상기 외부 입력 단자를 포함하는 조작부;
를 포함하는 전동 롤 블라인드 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tension operating portion
The external input terminal;
An engaging portion detachably attached to one side of the shaft;
An extension part including an articulated structure, one end of which is extended from one side of the engagement part; And
An operating portion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extending portion and including the external input terminal;
And an electric mot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입력 또는 상기 무선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기;
를 더 포함하는 전동 롤 블라인드 장치.
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A driv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rive of the drive unit based on the input or the radio control command;
Further compris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일 단이 상기 연장부의 타 단에 연결되는 원통형의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입력 단자는 상기 하우징의 타 단에 형성되는 전동 롤 블라인드 장치.
4.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
And a cylindrical housing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extended portion,
And the external input terminal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hous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버튼은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형성되고,
상기 구동 제어기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중공에 구비되는 전동 롤 블라인드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operation butt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Wherein the drive controller is provided in an inner hollow of the housing.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컨트롤러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전용 무선 리모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구동되는 무선 단말기로부터 무선으로 송출된 상기 무선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무선 모듈을 포함하는 전동 롤 블라인드 장치.
2. The wireless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wireless controller
And a radio module for receiving the radio control command transmitted from a radio terminal driven by a dedicated radio remote control or an application program by a user's opera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컨트롤러는 보조 축전기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보조 축전기로부터 제공된 충전 전류를 이용하여 구동되는 전동 롤 블라인드 장치.
8. The system of claim 7, wherein the wireless controller comprises an auxiliary capacitor,
The driving unit
And is driven using a charge current provided from the auxiliary capacito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컨트롤러는 출력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입력 단자는
상기 출력 단자를 통하여 제공된 충전 전류를 상기 구동부에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출력 단자를 통하여 제공된 무선 제어 명령을 상기 구동 제어기에 제공하는 전동 롤 블라인드 장치.
4. The wireless device of claim 3, wherein the wireless controller includes an output terminal,
The external input terminal
Providing a charging current provided through the output terminal to the driving unit, or providing a radio control command provided through the output terminal to the driving controll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전용 무선 리모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구동되는 무선 단말기로부터 무선으로 송출된 상기 무선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구동 제어기에 제공하는 무선 모듈;
을 더 포함하는 전동 롤 블라인드 장치.
4.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
A wireless module for receiving the wireless control command transmitted from a wireless terminal driven by a dedicated wireless remote controller or an application program by a user's operation and providing the received wireless control command to the drive controller;
Further comprising:
축전 소자를 이용하여 전동으로 샤프트를 구동하여 블라인드를 자동으로 동작시키는 전동 롤 블라인드 장치의 외부 입력 단자에 결합 가능한 무선 컨트롤러로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전용 무선 리모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구동되는 무선 단말기로부터 무선으로 송출된 무선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무선 모듈; 및
상기 무선 모듈에 전원을 제공하는 보조 축전기;
를 포함하는 무선 컨트롤러.
A radio controller capable of being coupled to an external input terminal of an electric rolling bli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operating a blind by driving a shaft by electric power using a power storage device,
A wireless module for receiving a wireless control command sent wirelessly from a wireless terminal that is driven by a dedicated wireless remote controller or an application program by a user's operation; And
An auxiliary capacitor for providing power to the wireless module;
/ RTI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컨트롤러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충전 전류를 입력받는 전원 입력 단자;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입력 단자를 통하여 입력된 충전 전류는 상기 보조 축전기 또는 상기 전동 롤 블라인드 장치의 상기 축전 소자를 충전시키는 무선 컨트롤러.
12. The system of claim 11, wherein the wireless controller
A power input terminal for receiving a charging current provided from the outside;
Further comprising:
And the charge current inputted through the power input terminal charges the accumulation element of the auxiliary accumulator or the electric roll blind apparatus.
KR1020170039914A 2017-03-29 2017-03-29 Automatic roll blind apparatus KR1018612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914A KR101861294B1 (en) 2017-03-29 2017-03-29 Automatic roll blind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914A KR101861294B1 (en) 2017-03-29 2017-03-29 Automatic roll blind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1294B1 true KR101861294B1 (en) 2018-05-25

Family

ID=62299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9914A KR101861294B1 (en) 2017-03-29 2017-03-29 Automatic roll blind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129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2870A (en) 2021-04-15 2022-10-24 주식회사 위네상스 Screen Device
KR20230150754A (en) 2022-04-22 2023-10-31 주식회사 리코블라인드 Electric roll blind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2870A (en) 2021-04-15 2022-10-24 주식회사 위네상스 Screen Device
KR20230150754A (en) 2022-04-22 2023-10-31 주식회사 리코블라인드 Electric roll blind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30928B2 (en) Power tool system
KR101861294B1 (en) Automatic roll blind apparatus
JP2010142026A (en) Charger device for electric vehicle
US10781631B2 (en) Electrically-driven window shade and its actuating mechanism
US20100199453A1 (en) Wireless particle collection system
WO2012090928A1 (en) Recharging device for vehicle
JP2018529303A5 (en)
US20120101659A1 (en) Telematics device for electric vehicle and remote air-conditioning control method thereof
CN204764900U (en) A drive arrangement for (window) curtain
JP5488418B2 (en) Charging reservation system for vehicles
WO2020152850A1 (en) Power conversion system and cable relay
EP3401494A1 (en) Charging system for electric window covering
JP2010142025A (en) Charging device for electric vehicle
US6910515B2 (en) Electricity-operated window blind
JP7355134B2 (en) Battery pack and system
JP2006020390A (en) Power conditioner
KR20180092391A (en) Display apparatus, display system comprising the apparatus and driving methods thereof
KR20110124071A (en) Send-receive method of electric fan and electric fan that have charge way installation remote control
JP5875281B2 (en) Switchgear
KR101754867B1 (en) Electric vehicle and external equipment of power supply method thereof
JP2015137527A (en) electric shutter
CN211543227U (en) Intelligent protective sleeve device for vehicle
US20130055641A1 (en) Electrical Garage Door With Secondary Power Supply
AU2011101187A4 (en) Electrical garage door with secondary power supply
CN213937471U (en) Curtain driver charging device an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