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1155B1 - buffer coupling apparatus for fluid coupling - Google Patents

buffer coupling apparatus for fluid coupl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1155B1
KR101861155B1 KR1020160088881A KR20160088881A KR101861155B1 KR 101861155 B1 KR101861155 B1 KR 101861155B1 KR 1020160088881 A KR1020160088881 A KR 1020160088881A KR 20160088881 A KR20160088881 A KR 20160088881A KR 101861155 B1 KR101861155 B1 KR 101861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buffer
protrusions
fluid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88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07613A (en
Inventor
문동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기원솔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기원솔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기원솔루텍
Priority to KR1020160088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1155B1/en
Publication of KR20180007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76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1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11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1/00Rotary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16H41/24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3/00Rotary fluid couplings or clutches of the hydrokinetic type
    • F16D33/18Details
    • F16D33/20Shape of wheels, blades, or channels with respect to fun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1/00Rotary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16H41/24Details
    • F16H41/26Shape of runner blades or channels with respect to fun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 Gears, Cams (AREA)

Abstract

유체 커플링을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의 손실이 저감되고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본 발명은 유체 커플링을 통해 전달된 회전력을 종동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유체 커플링용 완충 커플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종동장치에 결합되도록 외주에 제1플랜지부가 돌설되고, 중앙부에 커넥팅홀이 형성되되, 상기 커넥팅홀의 내주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협소화되는 원주방향 폭으로 함몰되어 각각의 원주방향 양단부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협소화되는 원주방향 폭을 갖는 돌기부에 의해 구획된 복수의 완충기어홈이 형성되는 외부커플링부; 상기 커넥팅홀에 삽입되는 커넥팅몸체부와, 상기 각 완충기어홈에 대응되도록 상기 커넥팅몸체부의 외주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설된 복수의 커플링돌기와, 상기 커넥팅몸체부의 내주를 따라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설된 제2플랜지부를 포함하는 내부커플링부; 및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각 커플링돌기에 결합되되, 상기 각 완충기어홈 내면에 형합되도록 삽입되는 탄성재질의 완충블록을 포함하는 유체 커플링용 완충 커플링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reduce the loss of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hrough the fluid coupling and to improve the dur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ck absorbing coupling device for a fluid coupling for transferring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hrough a fluid coupling to a driven device, And a connecting hol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onnecting hole.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ng hole is recessed in a circumferential width that becomes narrower toward the outer side in the radial direction, and the both end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e narrowed toward the inner side in the radial direction An outer coupling portion in which a plurality of buffer gear grooves are formed by protrusions having a circumferential width;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radially outwardly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ng body por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respective bumper gear grooves; and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protruding radially inwar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ng body portion, An inner coupling portion including a second flange portion; And a buffer block of an elastic material which is inserted into the inner surfaces of the buffer grooves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coupling protrusions.

Description

유체 커플링용 완충 커플링 장치{buffer coupling apparatus for fluid coupling}[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ffer coupling apparatus for fluid coupling,

본 발명은 유체 커플링용 완충 커플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체 커플링을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의 손실이 저감되고 내구성이 향상되는 유체 커플링용 완충 커플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ffer coupling device for a fluid coupl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ffer coupling device for a fluid coupling in which loss of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hrough a fluid coupling is reduced and durability is improved.

일반적으로, 유체 커플링은 오일 등의 유체를 매개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동력전달장치로 내부에 오일이 충진되는 유체챔버와, 동력축에 연결되어 상기 유체챔버의 내부에 배치되는 구동임펠러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Generally, a fluid coupling is a power transmission device that is configured to transmit power through a fluid such as an oil, and includes a fluid chamber filled with oil therein, a drive impeller coupled to the power shaft and disposed inside the fluid chamber, .

이때, 상기 유체챔버는 출력축에 연결되되, 상기 유체챔버의 내부에는 종동임펠러가 구비되어 구동임펠러의 회전시 유체의 회전력으로 종동임펠러 및 유체챔버가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동력축의 회전력이 상기 출력축으로 전달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luid chamber is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and a driven impeller is provided in the fluid chamber, so that the driven impeller and the fluid chamber can be rotated by the rotating force of the fluid when the driving impeller rotates. Accordingl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power shaft can be transmitted to the output shaft.

한편, 차량의 동력원으로 사용되는 내연기관은 단계별 행정과정과 피스톤의 왕복운동이 크랭크를 통해 회전운동으로 전환되는 과정으로 인해 불연속적으로 토크를 발생시키게 되며, 동력축에 다량의 진동 및 요동이 발생된다. In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ed as a power source of a vehicle, torque is generated discontinuously due to the stepwise stroke process and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piston being converted into the rotational motion through the crank, and a large amount of vibration and fluctuation do.

이에 따라, 동력축과 출력축 사이를 연결하는 유체 커플링의 실링구조, 임펠러 구조, 냉각핀 구조 등이 쉽게 열화되었으며, 유체 커플링을 통한 동력전달 효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유체 커플링 내지 유체 커플링의 구성부품의 교체 주기가 짧아져 유지 보수에 소모되는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As a result, the sealing structure of the fluid coupling connecting the power shaft and the output shaft, the impeller structure, the cooling fin structure and the like are easily deteriorated, and the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through the fluid coupling is reduced, The replacement cycle of the component parts of the apparatus is shortened and the cost of maintenance is increased.

한국 등록특허 제10-1285104호Korean Patent No. 10-1285104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체 커플링을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의 손실이 저감되고 내구성이 향상되는 유체 커플링용 완충 커플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uffer coupling device for a fluid coupling, in which loss of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hrough a fluid coupling is reduced and durability is improved.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체 커플링을 통해 전달된 회전력을 종동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유체 커플링용 완충 커플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종동장치에 결합되도록 외주에 제1플랜지부가 돌설되고, 중앙부에 커넥팅홀이 형성되되, 상기 커넥팅홀의 내주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협소화되는 원주방향 폭으로 함몰되어 각각의 원주방향 양단부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협소화되는 원주방향 폭을 갖는 돌기부에 의해 구획된 복수의 완충기어홈이 형성되는 외부커플링부; 상기 커넥팅홀에 삽입되는 커넥팅몸체부와, 상기 각 완충기어홈에 대응되도록 상기 커넥팅몸체부의 외주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설된 복수의 커플링돌기와, 상기 커넥팅몸체부의 내주를 따라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설된 제2플랜지부를 포함하는 내부커플링부; 및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각 커플링돌기에 결합되되, 상기 각 완충기어홈 내면에 형합되도록 삽입되는 탄성재질의 완충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각 커플링돌기는 상기 각 완충기어홈에 대응되는 상기 커넥팅몸체부의 외주를 따라 축방향으로 상호 이격 배치된 한쌍의 가압돌기로 구비되며, 상기 완충블록은 상기 가압돌기 사이의 공간에 클램핌되는 그립부와, 상기 각 가압돌기의 원주방향 외측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그립부의 양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완충기어홈의 내면을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커플링용 완충 커플링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uffer coupling device for a fluid coupling for transferring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hrough a fluid coupling to a driven device, wherein a first flange portion is projected to be coupled to the driven device And a connecting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onnecting hole.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ng hole is recessed in a circumferential width narrowing toward the outer side in the radial direction and is divided by a protruding portion having a circumferential width narrowed toward the radially inner side in each circumferential direction An outer coupling portion in which a plurality of buffer grooves are formed;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radially outwardly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ng body por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respective bumper gear grooves; and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protruding radially inwar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ng body portion, An inner coupling portion including a second flange portion; And a plurality of elastic cushion blocks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s and adapted to be inserted into the inner surfaces of the respective cushion gear grooves, wherein each of the coupling protrusions includes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And a pair of pressing protrus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axial direction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dy portion, wherein the buffer block includes a grip portion clamped in a space between the pressing protrusions, and a grip portion disposed on a circumferential outer side of the pressing protrusions, And a pair of supporting portion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buffer groove to support the inner surface of the buffer groove.

그리고, 상기 제2플랜지부에 대응되는 복수의 베이스체결공이 형성되되, 상기 베이스체결공의 반경방향 내측에 상기 유체 커플링과 체결되도록 복수의 연계체결공이 형성된 커넥팅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커넥팅플레이트는 상기 유체 커플링의 규격에 대응되도록 상기 연계체결공의 배치반경이 조절된 복수 세트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The connecting plate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base fastening hole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lange and a plurality of coupling fastening holes form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base fastening hole so as to be coupled with the fluid coupling, Is preferably provided in a plurality of sets in which the arrangement radius of the coupling bolt is adjust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standard of the fluid coupling.

또한, 상기 완충블록은 내부블록부와, 상기 내부블록부의 외면을 감싸는 외부블록부를 포함하되, 상기 외부블록부는 상기 내부블록부보다 높은 경도의 탄성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buffer block includes an inner block portion and an outer block portion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block portion, wherein the outer block portion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having a hardness higher than that of the inner block portion.

이때, 상기 각 지지부의 내부에는 비압축성 유체가 충진되는 충진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그립부의 내부에는 상기 각 지지부의 충진공간을 연결하는 연결유로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a filling space filled with an incompressible fluid is formed in each of the support portions, and a connection channel connecting the filling spaces of the respective support portions is provided in the grip portion.

삭제delete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Through the above solu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상기 내부커플링부 및 외부커플링부의 동력 전달시 커플링돌기 및 완충기어홈 사이에 구비된 완충블록의 탄성거동을 통해 진동 및 요동이 흡수될 수 있으므로 유체 커플링 및 종동장치의 피로 파괴 현상이 저감될 수 있으며, 마모 손상된 완충블록만을 커플링돌기로부터 분리 교체할 수 있으므로 편리한 유지보수로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First, vibration and shaking can be absorbed through the elastic behavior of the cushion block provided between the coupling protrusions and the buffer gear grooves during power transmission between the inner coupling portion and the outer coupling portion. Therefore, fatigue failure phenomena of the fluid coupling and the driven device Can be reduced, and only the wear-damaged buffer block can be separated from the coupling protrusion, so that the convenience of use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by convenient maintenance.

둘째, 상기 각 완충기어홈의 양단부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협소화되는 원주방향 폭을 갖는 돌기부에 의해 구획됨에 따라 상기 내부커플링부의 회전시 완충블록이 돌기부의 경사면에 접하여 반경방향 내측으로 가압되어 완충기어홈 및 커넥팅몸체부에 간극 없이 밀착될 수 있으므로 한층 효율적인 동력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Secondly, since the both end portions of the buffer grooves are divided by protrusions having a circumferential width narrowing toward the inner side in the radial direction, the buffer block is pressed radially inward against the inclined surface of the protrusions during rotation of the inner coupling portion, The gear groove and the connecting body portion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without any gap, so that more efficient power transmission can be achieved.

셋째, 상기 완충블록의 내부 및 외부가 각각 저경도 및 고경도의 이중구조로 구비되므로 외부 형상에 대한 강성이 증가되어 커플링돌기 및 완충기어홈 사이의 압력 전달이 더욱 원활화되면서도, 저경도의 부드러운 내부 구조를 통해 진동 및 요동에 대한 흡수 성능이 개선될 수 있어 한층 높은 효율성의 제품이 제공될 수 있다. Thirdly, since the inner and outer portions of the buffer block are provided in a double structure having a low hardness and a high hardness, the rigidity against the external shape is increased, so that the pressure transmission between the coupling protrusions and the buffer gear grooves is further facilitated, The absorption performance for vibration and shaking can be improved through the internal structure, and a product with higher efficiency can be provided.

넷째, 상기 내부커플링부의 제2플랜지부에 결합 가능한 복수 세트의 커넥팅플레이트가 구비되어, 상기 유체 커플링의 규격에 대응되도록 커넥팅플레이트를 교체하기만 하면 다양한 여러 규격의 유체 커플링이 내부커플링부에 연결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호환성이 향상될 수 있다. Fourthly, a plurality of sets of connecting plates that can be engaged with the second flange portion of the inner coupling portion are provided, and if the connecting plates are replac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fluid coupling, The compatibili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 커플링용 완충 커플링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 커플링용 완충 커플링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 커플링용 완충 커플링장치의 외부커플링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 커플링용 완충 커플링장치의 내부커플링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 커플링용 완충 커플링장치의 커넥팅플레이트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 커플링용 완충 커플링장치의 커플링돌기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 커플링용 완충 커플링장치의 완충블록을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 커플링용 완충 커플링장치의 커플링돌기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 커플링용 완충 커플링장치의 완충블록을 나타낸 예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n illustration of a buffer coupling device for a fluid coupl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a shock absorbing coupling device for a fluid coup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of an outer coupling portion of a buffer coupling device for a fluid coup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of an inner coupling portion of a buffer coupling device for a fluid coup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of a connecting plate of a shock absorbing coupling device for a fluid coup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coupling projection of a buffer coupling device for a fluid coup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buffer block of a buffer coupling device for a fluid coup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projection of a buffer coupling device for a fluid coupl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buffer block of a buffer coupling device for a fluid coupl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체 커플링용 완충 커플링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buffer coupling device for a fluid coupl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 커플링용 완충 커플링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 커플링용 완충 커플링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 커플링용 완충 커플링장치의 외부커플링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 커플링용 완충 커플링장치의 내부커플링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 커플링용 완충 커플링장치의 커넥팅플레이트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 커플링용 완충 커플링장치의 커플링돌기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 커플링용 완충 커플링장치의 완충블록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 buffer coupling device for a fluid coup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uffer coupling device for a fluid coup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ront view showing an inner coupling portion of a buffer coupling device for a fluid coup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ront view showing an inner coupling portion of a buffer coupling device for a fluid coup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necting plate of a buffer coupling device for a fluid coup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front view showing a coupling protrusion of a buffer coupling device for a fluid coup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buffer block of a buffer coupling device for a fluid coup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체 커플링용 완충 커플링장치(100)는 외부커플링부(10), 내부커플링부(20), 그리고 완충블록(30)을 포함한다. 1 to 7, the buffer coupling device 100 for a fluid coupling includes an outer coupling portion 10, an inner coupling portion 20, and a buffer block 30.

여기서, 상기 유체 커플링(1)은 오일 등의 유체를 매개로 동력을 전달하는 장치를 의미하며, 상기 완충 커플링장치(100)는 유체 커플링(1)과 종동장치(2) 사이에 구비되어 유체 커플링(1)을 통해 입력된 회전력을 종동장치(2)로 전달하기 위한 장치를 의미한다. Here, the fluid coupling 1 means a device for transmitting power through a fluid such as oil, and the buffer coupling device 100 is provided between the fluid coupling 1 and the driven device 2 Means for transferring the rotational force input through the fluid coupling 1 to the driven device 2.

한편,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외부커플링부(10)는 베이스몸체부(10a)와 제1플랜지부(11)를 포함한다. 2 to 3, the outer coupling portion 10 includes a base body portion 10a and a first flange portion 11. As shown in FIG.

여기서, 상기 베이스몸체부(10a)는 종동장치(2)의 회전축과 평행한 원주면을 갖되 반경방향으로 소정의 두께감을 갖는 환형의 블록부재로 구비되며, 강도 및 인성이 뛰어난 강(steel) 등의 금속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base body portion 10a is provided with an annular block member having a circumferential surface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of the driven device 2 and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the radial direction, and is made of steel having excellent strength and toughness As shown in FIG.

그리고, 상기 베이스몸체부(10a)의 외주에는 상기 종동장치(2)에 결합되도록 제1플랜지부(11)가 돌설된다. 이때, 상기 제1플랜지부(11)에는 축방향을 따라 복수의 관통공(11a)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11a)을 통해 제1플랜지부(11) 및 종동장치(2)가 볼트 결합될 수 있다. A first flange portion 11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ase body portion 10a so as to be coupled to the driven device 2.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1a are formed in the first flange portion 11 along the axial direction and the first flange portion 11 and the driven device 2 are coupled with each other through the through holes 11a. .

물론, 상기 제1플랜지부(11)는 상기 베이스몸체부(10a)의 외주에 일체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별도의 부재로 구비되어 용접 등을 통해 상기 베이스몸체부(10a)의 외주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Of course, the first flange portion 11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ase body portion 10a, may be provided as a separate member, and may be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ase body portion 10a through welding or the like. .

또한, 상기 베이스몸체부(10a)의 중앙부에는 커넥팅홀(12)이 형성되되, 상기 커넥팅홀(12)의 내주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된 복수의 완충기어홈(12a)이 형성된다. A connecting hole 12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ase body portion 10a and a plurality of buffer gear grooves 12a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ng hole 12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이때, 상기 커넥팅홀(12)은 상기 베이스몸체부(10a)의 중앙부에서 상기 각 돌기부(12b)의 쐐기형 단부를 연결하는 원형 개구부분을 의미하며, 상기 완충기어홈(12a)은 상기 커넥팅홀(12)에 연결되되 상기 커넥팅홀(12)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 개구된 부분을 의미한다. The connecting hole 12 is a circular opening portion connecting the wedge-shaped end of each of the protruding portions 12b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base body portion 10a. The buffering gear groove 12a, (12), and extends radially outwardly from the connecting hole (12).

상세히, 상기 완충기어홈(12a)은 상기 커넥팅홀(12)의 내주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며, 하나의 완충기어홈(12a)은 원주방향 폭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협소화되도록 구비된다. Specifically, the buffer gear groove 12a is formed such that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ng hole 12 is recessed radially outward, and one buffer gear groove 12a is formed such that the circumferential width becomes narrower toward the outer side in the radial direction .

즉, 상기 완충기어홈(12a)은 상기 커넥팅홀(12)과 연결된 반경방향 내측부의 원주방향 폭이 넓고, 반경방향 외측부의 원주방향 폭이 좁은 사다리꼴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That is, the buffer groove 12a may be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in which a radially inner side portion connected to the connecting hole 12 has a wide circumferential width and a radially outer side portion has a narrow circumferential width.

이때, 상기 각 완충기어홈(12a)의 양단부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협소화되는 원주방향 폭을 갖는 돌기부(12b)에 의해 구획된다. At this time, both ends of each of the buffer gear grooves 12a are divided by protrusions 12b having a circumferential width that becomes narrower toward the radially inward side.

즉, 하나의 완충기어홈(12a)과 그와 인접한 다른 완충기어홈 사이는 돌기부(12b)에 의해 구획되며, 상기 베이스몸체부(10a)의 내주는 원주방향을 따라 완충기어홈(12a) 및 돌기부(12b)가 순차적으로 반복되어 형성된 요철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That is, between one buffering gear groove 12a and another buffering gear groove adjacent thereto is defined by a protrusion 12b, an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base body portion 10a is divided into a buffer gear groove 12a and a buffer gear groove 12b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protrusions 12b may be sequentially and repeatedly formed.

여기서, 상기 돌기부(12b)는 커넥팅홀(12)의 내주에서 완충기어홈(12a)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을 의미하며, 반경방향 외측부가 넓고 반경방향 내측부가 좁은 역삼각형 단면의 쐐기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Here, the protruding portion 12b means a portion where the buffer groove 12a is not formed i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ng hole 12, and is provided in a wedge shape having an inverted triangular cross section with a wide radially outer side and a narrow radially inner side .

한편,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내부커플링부(20)는 커넥팅몸체부(21), 커플링돌기(22), 그리고 제2플랜지부(23)를 포함한다. 2 to 4, the inner coupling portion 20 includes a connecting body portion 21, a coupling projection 22, and a second flange portion 23. [

여기서, 상기 커넥팅몸체부(21)는 종동장치(2)의 회전축과 평행한 원주면을 갖는 원통부재로 구비되며, 강도 및 인성이 뛰어난 강(steel) 등의 금속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connecting body portion 21 is a cylindrical member having a circumferential surface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of the driven device 2, and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eel having excellent strength and toughness.

이때, 상기 커넥팅몸체부(21)의 외경은 상기 커넥팅홀(12)의 내경 미만으로 구비되며, 상기 커넥팅몸체부(21)가 상기 각 돌기부(12b)의 쐐기형 단부를 연결한 원형 개구에 대응되는 상기 커넥팅홀(12)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outer diameter of the connecting body portion 21 is less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connecting hole 12, and the connecting body portion 21 corresponds to a circular opening formed by connecting the wedge-shaped end portions of the respective protruding portions 12b In the connecting hole 12, as shown in Fig.

그리고,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커플링돌기(22)는 상기 커넥팅몸체부(21)의 외주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설되되, 상기 각 완충기어홈(12a)에 대응되도록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커넥팅몸체부(21)의 외주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2 to 6, the coupling protrusions 22 are protruded radially out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ng body portion 21, and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22 are provid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respective bump gear grooves 12a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ng body portion 21. [

이때, 상기 커플링돌기(22)는 상기 커넥팅몸체부(21)의 외주에 일체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별도의 부재로 구비되어 상기 커넥팅몸체부(21)의 외주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At this time, the coupling protrusion 22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ng body portion 21, or may be formed as a separate member and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ng body portion 21.

여기서, 상기 커플링돌기(22)의 반경방향 돌설높이는 상기 돌기부(12b)의 쐐기형 단부로부터 상기 커넥팅몸체부(21)의 외주까지의 간격을 초과하되, 상기 완충기어홈(12a)의 반경방향 외측단으로부터 상기 커넥팅몸체부(21)의 외주까지의 간격 미만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The height of the coupling protrusion 22 in the radial direction is great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wedge-shaped end of the protrusion 12b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ng body 21, Is set to be less than the distance from the outer en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ng body portion (21).

이때, 상기 커플링돌기(22)의 원주방향 폭은 상기 완충기어홈(12a)의 원주방향 폭 미만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circumferential width of the coupling protrusion 22 is preferably less than the circumferential width of the buffer groove 12a.

그리고, 상기 제2플랜지부(23)는 상기 커넥팅몸체부(21)의 내주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설된다. 물론, 상기 제2플랜지부(23)는 상기 커넥팅몸체부(21)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별도의 부재로 구비되어 상기 커넥팅몸체부(21)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커플링돌기(22) 및 상기 제2플랜지부(23)는 강도 및 인성이 뛰어난 강(steel) 등의 금속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The second flange portion 23 protrudes radially inwardly from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ng body portion 21. Of course, the second flange portion 23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nnecting body portion 21, or may be provided as a separate member to be coupled to the connecting body portion 21, The first flange portion 22 and the second flange portion 23 are preferably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eel having excellent strength and toughness.

이때, 상기 제2플랜지부(23)에는 축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복수의 결합공(23a)이 형성된다. At this time, the second flange portion 23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23a formed in the axial direction.

한편,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2플랜지부(23)에는 커넥팅플레이트(40)가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커넥팅플레이트(40)는 상기 커넥팅몸체부(21)의 내경 미만의 외경을 갖되 상기 제2플랜지부(23)와 중첩되는 단면적을 갖는 원판형 부재로 구비된다. 1 to 5, it is preferable that a connecting plate 40 is coupled to the second flange 23. Here, the connecting plate 40 is provided as a disc-shaped member having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connecting body portion 21 but having a cross-sectional area overlapping the second flange portion 23. [

이때, 상기 커넥팅플레이트(40)에는 상기 제2플랜지부(23)의 결합공(23a)에 대응되는 복수의 베이스체결공(41)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체결공(41)의 반경방향 내측에 상기 유체 커플링(1)과 체결되도록 복수의 연계체결공(42)이 형성된다. At this time, a plurality of base fastening holes 41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holes 23a of the second flange 23 are formed on the connecting plate 40,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42 are formed to be engaged with the fluid coupling 1.

즉, 상기 베이스체결공(41)은 상기 커넥팅플레이트(40)의 반경방향 외측부에 넓은 반경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연계체결공(42)은 상기 커넥팅플레이트(40)의 반경방향 내측부에 좁은 반경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the base fastening hole 41 is formed along the radial outer side of the connecting plate 40, and the coupling fastening hole 42 has a narrow radius at the radially inner side of the connecting plate 40 .

여기서, 상기 커넥팅플레이트(40)에 상기 유체 커플링(1)이 체결되면, 상기 베이스체결공(41)을 통해 상기 커넥팅플레이트(40)와 상기 제2플랜지부(23)가 체결되어 상기 내부커플링부(20)가 상기 유체 커플링(1)과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Here, when the fluid coupling 1 is fastened to the connecting plate 40, the connecting plate 40 and the second flange 23 are fastened through the base fastening hole 41, The ring portion 20 can be rotated integrally with the fluid coupling 1.

이때, 상기 커넥팅플레이트(40)는 상기 유체 커플링(1)의 결합부(1a) 규격에 대응되도록 상기 연계체결공(42)의 배치반경이 조절된 복수 세트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ng plate 40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sets in which the arrangement radius of the coupling bolt 42 is adjust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specification of the coupling portion 1a of the fluid coupling 1.

즉, 상기 커넥팅플레이트(40)는 상기 유체 커플링(1)의 결합부(1a) 규격에 대응되도록 복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각 커넥팅플레이트(40)는 베이스체결공(41)의 배치반경이 동일하되 연계체결공(42)의 배치반경이 상이하도록 구비된다. That is, the connecting plate 40 is provided in plurality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tting portion 1a of the fluid coupling 1, and each connecting plate 40 has the same arrangement radius of the base fastening holes 41 So that the arrangement radius of the coupling fastening holes 42 is different.

이에 따라, 상기 유체 커플링(1)의 결합부(1a) 규격에 대응되도록 커넥팅플레이트(40)를 교체하기만 하면, 다양한 여러 규격의 유체 커플링(1)이 내부커플링부(20)에 연결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호환성이 향상될 수 있다. Accordingly, only by replacing the connecting plate 40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the coupling portion 1a of the fluid coupling 1, various kinds of fluid coupling 1 are connected to the inner coupling portion 20 The compatibility of the products can be improved.

한편,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완충블록(30)은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각 커플링돌기(22)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각 완충블록(30)은 상기 완충기어홈(12a)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커넥팅몸체부(21)의 외주 사이 공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2 to 6, a plurality of the buffer blocks 30 are coupled to the respective coupling protrusions 22. At this time, each of the buffer blocks 30 preferably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a spac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buffer gear groove 12a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ng body portion 21.

즉, 상기 완충블록(30)은 반경방향 외측면 및 원주방향 양측면이 상기 완충기어홈(12a)의 반경방향 외측단부 및 원주방향 양단부에 형합되도록 구비되며, 반경방향 내측면은 상기 커넥팅몸체부(21)의 외주면에 형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at is, the buffer block 30 is formed such that the radially outer side surface and the circumferential both side surfaces are formed to match the radially outer end portion and the circumferential both end portions of the buffer gear groove 12a, 21, respectively.

이때, 상기 각 완충블록(30)의 반경방향 내측면에는 상기 커플링돌기(22)가 끼움 고정되는 결합홈(31)이 형성된다. 즉, 상기 결합홈(31)은 상기 커플링돌기(22)의 부피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31)을 통해 탄성재질의 완충블록(30)이 상기 내부커플링부(20)에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coupling grooves 31, into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s 22 are fitted, are formed on inner side surfaces of the respective cushion blocks 30 in the radial direction. That is, the coupling groove 31 is form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volume of the coupling protrusion 22, and a buffer block 30 of elastic material is inserted through the coupling groove 31 into the inner coupling portion 20, Lt; / RTI >

한편, 상기 완충블록(30)이 상기 내부커플링부(20)에 결합되면, 상기 외부커플링부(10)의 내부에 상기 내부커플링부(20)가 배치되며 상기 각 완충블록(30)이 상기 완충기어홈(12a)에 형합되어 삽입될 수 있다. When the buffer block 30 is coupled to the inner coupling portion 20, the inner coupling portion 20 is disposed inside the outer coupling portion 10,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gear groove 12a.

이때, 상기 완충블록(30)은 상기 커플링돌기(22) 및 상기 완충기어홈(12a) 사이의 압력전달체로 작용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buffer block 30 may act as a pressure carrier between the coupling protrusion 22 and the buffer gear groove 12a.

상세히, 상기 내부커플링부(20)가 회전되면, 상기 커플링돌기(22)가 상기 완충블록(30)을 가압하고, 상기 완충블록(30)이 상기 완충기어홈(12a)의 돌기부(12b)를 가압함에 따라 내부커플링부(20)의 회전력이 상기 외부커플링부(10)로 전달될 수 있다. When the inner coupling portion 20 is rotated, the coupling protrusion 22 presses the buffer block 30 so that the buffer block 30 protrudes from the protrusion 12b of the buffer gear groove 12a, The rotational force of the inner coupling portion 20 can be transmitted to the outer coupling portion 10.

즉, 상기 내부커플링부(20)가 유체 커플링(1)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면, 상기 내부커플링부(20)의 회전력은 상기 각 완충블록(30)을 거쳐 상기 각 완충기어홈(12a)으로 전달되며, 상기 외부커플링부(10)가 회전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inner coupling portion 20 is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luid coupling 1, the rotational force of the inner coupling portion 20 is transmitted to the respective cushioning gear grooves 12a through the respective cushion blocks 30, And the outer coupling portion 10 can be rotated.

여기서, 상기 완충블록(30)은 상기 내부커플링부(20) 및 상기 외부커플링부(10)보다 낮은 경도를 갖되, 반발탄성이 뛰어난 탄성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실리콘 고무, 폴리부타디엔 고무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The cushion block 30 is preferably made of an elastic material having a hardness lower than that of the inner coupling portion 20 and the outer coupling portion 10 and excellent in rebound resilience. Preferably, the cushion block 30 is made of silicone rubber, polybutadiene rubber As shown in FIG.

이때, 상기 완충블록(30)은 상기 완충기어홈(12a) 및 상기 커플링돌기(22) 사이에서 탄발변형 및 복원을 반복하며 동력전달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이나 요동을 상쇄시킬 수 있으며, 동력전달시 발생되는 소음이나, 유체 커플링(1) 및 종동장치(2)의 피로 파괴 현상이 저감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ushion block 30 repeatedly deforms and restores elastic deformation between the cushion gear groove 12a and the coupling protrusion 22, thereby canceling vibrations and fluctuations generated during the power transmission process, And the fatigue failure phenomenon of the fluid coupling 1 and the driven device 2 can be reduced.

한편, 상기 내부커플링부(20)가 회전되면, 상기 커플링돌기(22)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가압된 완충블록(30)은 원주방향 양측단의 경사면이 상기 돌기부(12b)의 경사면과 접촉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inner coupling portion 20 is rotated, the buffer blocks 30 pressuriz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the coupling protrusions 22 are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protruding portions 12b at both side end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

이때, 상기 완충블록(30)의 경사면이 상기 돌기부(12b)의 경사면에 접촉되며 반경방향 내측으로 가압되므로 상기 완충블록(30)의 반경방향 내측면이 상기 내부커플링부(20)에 밀착될 수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inclined surface of the cushion block 30 contacts the inclined surface of the protrusion 12b and is pressed radially inward, the radially inner side surface of the cushion block 30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oupling portion 20 have.

이에 따라, 상기 내부커플링부(20)의 회전시, 상기 완충블록(30)과 상기 내부커플링부(20), 상기 완충블록(30)과 상기 외부커플링부(10) 사이가 간극 없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한층 효율적인 동력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Thus, when the inner coupling portion 20 is rotated, the buffer block 30 and the inner coupling portion 20, the buffer block 30, and the outer coupling portion 1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more efficient power transmission can be achieved.

더욱이, 상기 완충블록(30) 및 상기 돌기부(12b)의 접촉부가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완충블록(30) 및 상기 돌기부(12b) 간의 접촉면적이 증가될 수 있으며, 완충블록(30) 및 돌기부(12b) 간의 접촉시 발생된 압력이 증가된 접촉면적을 따라 분산되어 상기 완충블록(30)의 탄성변형량이 감소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ontact portions of the buffer block 30 and the protrusion 12b are inclined,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buffer block 30 and the protrusion 12b can be increased and the buffer block 30 and the protrusion 12b May be dispersed along the increased contact area to reduce the amount of elastic deformation of the buffer block 30.

이에 따라, 상기 내부커플링부(20)의 회전력이 상기 완충블록(30)을 거쳐 외부커플링부(10)를 전달되는 과정에서, 상기 완충블록(30)의 탄성변형으로 인한 소실되는 량이 감소되어 한층 효율적인 동력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Accordingly, the amount of loss due to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buffer block 30 is reduced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inner coupling portion 20 through the buffer block 30 to the outer coupling portion 10, Efficient power transmission can be achieved.

또한, 상기 내부커플링부(20) 및 상기 외부커플링부(10) 간의 동력 전달이 강재부품인 커플링돌기(22) 및 완충기어홈(12a)의 직접적인 접촉이 아니라 완충블록(30)을 경유하여 간접적으로 이루어지므로 강재 부품 간의 접촉 및 마찰로 인한 마모 손상이 방지되어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The power transmission between the inner coupling portion 20 and the outer coupling portion 10 is not made by direct contact between the coupling protrusions 22 and the buffer gear groove 12a which are steel components but via the buffer block 3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brasion damage due to contact and friction between the steel parts and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이때, 상기 내부커플링부(20) 및 상기 외부커플링부(10)를 축방향으로 분리하기만 하면 마모 손상된 완충블록(30)을 상기 커플링돌기(22)로부터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으므로 편리한 유지보수가 가능하여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At this time, only by separating the inner coupling portion 20 and the outer coupling portion 10 in the axi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separate and replace the wear-damaged buffer block 30 from the coupling protrusion 22, So that the us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또한, 유체 커플링(1)에 연결되는 내부커플링부(20)나 종동장치(2)에 연결되는 외부커플링부(10)의 교체 없이 손상된 완충블록(30)을 교체하는 것만으로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하므로 제품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It is also possible to continue to use only by replacing the damaged buffer block 30 without replacing the inner coupling portion 20 connected to the fluid coupling 1 or the external coupling portion 10 connected to the driven device 2 The efficienc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한편,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완충블록(30)은 내부블록부(30a)와, 상기 내부블록부(30a)의 외면을 감싸는 외부블록부(30b)를 포함하되, 상기 외부블록부(30b)는 상기 내부블록부(30a)보다 높은 경도의 탄성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2 to 7, the buffer block 30 includes an inner block portion 30a and an outer block portion 30b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block portion 30a, It is preferable that the portion 30b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having a hardness higher than that of the inner block portion 30a.

이때, 경도가 높다는 말은 동일한 압력하에서 탄성변형량이 적다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외부블록부(30b)는 상기 완충기어홈(12a) 내지는 상기 커플링돌기(22)의 소재인 금속보다 낮은 경도를 가지되, 상기 내부블록부(30a)보다는 높은 경도를 갖는 탄성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The high hardness means that the amount of elastic deformation under the same pressure is small. The outer block portion 30b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that is a material of the buffer gear groove 12a or the coupling protrusion 22 And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having a lower hardness and a hardness higher than that of the inner block portion 30a.

즉, 상기 외부블록부(30b)는 동일한 압력에서 상기 내부블록부(30a)보다 탄성변형량이 적은 탄성재질의 소재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That is, the outer block portion 30b is preferably made of an elastic material having a smaller amount of elastic deformation than the inner block portion 30a under the same pressure.

예를 들어, 상기 외부블록부(30b)가 95 쇼어 A 정도의 경도를 갖는 니트릴 고무로 구비되는 경우에, 상기 내부블록부(30a)는 35 쇼어 A 정도의 경도를 갖는 실리콘 고무로 구비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outer block portion 30b is made of nitrile rubber having a hardness of about 95 Shore A, the inner block portion 30a may be made of silicone rubber having a hardness of about 35 Shore A have.

이때, 상기 변형량이 적은 외부블록부(30b)를 통해 상기 완충블록(30)의 외부 형상에 대한 강성이 증가될 수 있으며, 상기 커플링돌기(22)로부터 상기 완충기어홈(12a)을 향한 압력 전달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rigidity of the external shape of the buffer block 30 can be increased through the external block portion 30b having a small amount of deformation, and the pressure from the coupling protrusion 22 toward the buffer gear groove 12a The delivery performance can be improved.

이와 함께, 상기 외부블록부(30b)의 내부에 부드러운 탄성재질의 내부블록부(30a)가 구비되므로 외부로부터 부하된 진동 및 요동이 더욱 원활하게 흡수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inner block portion 30a made of a soft elastic material is provided in the outer block portion 30b, the vibration and swing loaded from the outside can be absorbed more smoothly.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 커플링용 완충 커플링장치의 커플링돌기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 커플링용 완충 커플링장치의 완충블록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protrusion of a buffer coupling device for a fluid coupl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uffer coupling device for a fluid coupl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플링돌기(122) 및 상기 완충블록(130)을 제외한 기본적인 구조는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In the other embodiment, the basic structure except for the coupling protrusion 122 and the buffer block 130 is the same as tha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o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structure will be omitted.

도 8 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각 커플링돌기(122)는 상기 각 완충기어홈(112a)에 대응되는 상기 커넥팅몸체부의 외주를 따라 축방향으로 상호 이격 배치된 한쌍의 가압돌기(122a,122b)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8 to 9, each of the coupling protrusions 122 includes a pair of pressing protrusions 122a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axial direction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ng body por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buffer groove portions 112a And 122b, respectively.

즉, 상기 내부커플링부가 상기 외부커플링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반경방향으로 중첩 배치된 상태에서, 하나의 완충기어홈(112a)에 대응되는 상기 커넥팅몸체부의 외주에는 두개의 가압돌기(122a,122b)가 돌설된다. That is, in the state where the inner coupling part is inserted into the outer coupling part and overlapped in the radial direction, two pressing projections 122a and 122b (not shown)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ng body part corresponding to one buffer gear groove 112a ).

이때, 상기 각 가압돌기(122a,122b)의 원주방향 폭은 상기 완충기어홈(112a)의 원주방향 폭 미만으로 구비되며, 상기 각 가압돌기(122a,122b)는 축방향 폭이 원주방향 폭보다 좁은 직사각단면을 갖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circumferential widths of the respective pressing protrusions 122a and 122b are less than the circumferential width of the buffer gear groove 112a, and the pressing protrusions 122a and 122b have an axial width greater than the circumferential width It is preferable to have a narrow rectangular cross section.

그리고, 상기 완충블록(130)은 상기 가압돌기(122a,122b) 사이의 공간에 클램핑되는 그립부(131)와, 상기 그립부(131)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한쌍의 지지부(132)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The buffer block 130 includes a grip portion 131 clamped in a space between the pressing protrusions 122a and 122b and a pair of supporting portions 132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grip portion 131 .

이때, 상기 그립부(131)은 원주방향 폭이 상기 가압돌기(122a,122b)의 원주방향 폭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되, 축방향 폭이 상기 가압돌기(122a,122b) 사이의 간격 이상으로 구비된 사각판 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grip portion 131 is provid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circumferential width of the pressing protrusions 122a and 122b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width of the grip portion 131 is a square angle And is preferably provided in a plate shape.

또한, 상기 지지부(132)는 한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그립부(131)의 양단부에 일체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완충블록(130)은 반경방향으로 바라본 단면이 'H'자를 이루게 된다. The support portions 132 are integral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grip portion 131 by a pair. Here, the cross section of the buffer block 130 viewed in the radial direction is 'H'.

상세히, 하나의 지지부는 상기 가압돌기(122a,122b)의 원주방향 일측단으로부터 상기 완충기어홈(112a)의 원주방향 일측 내면 사이 공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다른 하나의 지지부는 상기 가압돌기(122a,122b)의 원주방향 타측단으로부터 상기 완충기어홈(112a)의 원주방향 타측 내면 사이 공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In detail, one support portion is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 space between one circumferential end of the pressing protrusions 122a and 122b and a space between one circumferential inner surface of the buffer gear groove 112a and the other support portion, 122b ar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pace between the other sid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uffer gear groove 112a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이때, 상기 외부커플링부 및 내부커플링부가 축방향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돌기(122a,122b) 사이 공간에 상기 그립부(131)가 강제 끼움되어 상기 완충블록(130)이 상기 내부커플링부에 결합될 수 있다. At this time, in a state where the outer coupling portion and the inner coupling portion are separated in the axial direction, the grip portion 131 is forcedly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pressing projections 122a and 122b, Lt; / RTI >

여기서, 상기 지지부(132)는 상기 가압돌기(122a,122b)의 원주방향 외측부의 배치되고, 상기 외부커플링부의 내부에 상기 내부커플링부가 삽입되면, 각 지지부(132)가 상기 완충기어홈(112a)의 내면을 지지할 수 있다. When the inner coupling part is inserted into the outer coupling part, the support parts 132 are formed in the cushioning gear grooves (not shown) 112a.

그리고, 상기 내부커플링부가 회전되면, 상기 각 가압돌기(122a,122b)가 상기 지지부(132)를 가압하고, 지지부(132)가 돌기부(112b)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외부커플링부가 회전될 수 있다. When the inner coupling part is rotated, the pressing protrusions 122a and 122b press the supporting part 132 and the outer coupling part can be rotated as the supporting part 132 presses the protrusion 112b have.

이처럼, 상기 완충블록(130)가 커플링돌기를 감싸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한쌍의 가압돌기 사이에 완충블록(130)이 끼움되는 방식으로 가압돌기 사이 및 가압돌기/완충기어홈(112a) 사이에서 고정 및 동력전달을 위한 완충블록(130)의 요구부피가 감소될 수 있다. In this way, the buffering block 130 is not engaged with the coupling protrusions but is inserted between the pressing protrusions and between the pressing protrusions / buffer grooves 112a in such a manner that the buffer blocks 130 are sandwiched between the pair of pressing protrusions. The required volume of the buffer block 130 for fixing and power transmission can be reduced.

이에 따라, 일정 기간 사용 후 마모시 교체되는 부품인 상기 완충블록(130)의 소재비용이 절감될 수 있어, 제품의 유지보수 효율성이 개선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material cost of the cushion block 130, which is a part to be replaced when worn after a certain period of use, can be reduced, and the maintenance efficienc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한편, 도 9을 참조하면, 상기 각 지지부(132)의 내부에는 비압축성 유체가 충진되는 충진공간(132a)이 형성되되, 상기 그립부(131)의 내부에는 상기 각 지지부(132)의 충진공간(132a)을 연결하는 연결유로(131a)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9, a filling space 132a filled with an incompressible fluid is formed in each of the supporting parts 132. The filling space 132a of each of the supporting parts 132 is formed in the grip part 131, And a connecting channel 131a for connecting the connecting channel 131a.

여기서, 비압축성 유체는 구리스 등과 같이 외부압력에 대한 체적 변화가 적거나 없는 유체를 의미한다. Here, the incompressible fluid means a fluid having little or no volume change with respect to external pressure such as grease.

이때, 상기 비압축성 유체는 내부커플링부 및 외부커플링부 간의 동력 전달시 하나의 지지부(132)가 상기 가압돌기(122a,122b)에 의해 가압되는 과정에서 연결유로(131a)를 따라 다른 지지부의 충진공간으로 유동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incompressible fluid is moved along the connection path 131a in the course of the force transmission between the inner coupling part and the outer coupling part by one support part 132 by the pressing protrusions 122a and 122b, Lt; / RTI >

상세히, 상기 내부커플링부에 회전 동력이 부하되면, 가압돌기(122a,122b)가 회전 방향에 배치된 하나의 지지부(132)를 가압하게 된다. More specifically, when a rotational power is applied to the inner coupling portion, the pressing protrusions 122a and 122b press one supporting portion 132 disposed in the rotating direction.

이때, 상기 지지부(132)는 돌기부(112b)를 가압하여 부하된 회전 동력을 외부커플링부로 전달하며, 가압돌기(122a,122b) 및 돌기부(112b) 사이에서 가압되는 지지부(132) 내의 유체가 연결유로(131a) 및 다른 지지부의 충진공간으로 유동될 수 있다. The supporting portion 132 presses the protruding portion 112b to transmit the rotational power to the external coupling portion and the fluid in the supporting portion 132 pressed between the pressing protrusions 122a and 122b and the protruding portion 112b And may flow into the filling space of the connecting passage 131a and other supporting portions.

이에 따라, 그립부(131) 및 다른 지지부가 팽창될 수 있으며, 그립부(131)가 가압돌기(122a,122b)의 내측면과 완충기어홈(112a)의 반경방향 외측단에 밀착되고, 다른 지지부가 가압돌기(122a,122b)의 회전반대방향측 단부 및 회전 반대방향측 돌기부에 밀착될 수 있다. The grip portion 131 and other support portions can be expanded and the grip portion 131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press protrusions 122a and 122b and the radially outer end of the buffer gear groove 112a,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ide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pressing projections 122a and 122b and the projection side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이처럼, 완충블록(130)이 튜브형으로 구비되므로 회전방향에서 직접적으로 압력이 부하되는 부분뿐만 아니라, 내부 유체의 유동을 통해 회전반대방향에 배치된 부분까지 전반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Since the buffer block 130 is provided in a tubular shape, the buffer block 130 can be entirely deformed not only in the portion directly under pressure in the rotation direction but also in the portion dispos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rotation through the flow of the internal fluid.

이에 따라, 상기 완충블록(130)이 회전방향에 대응되는 완충기어홈(112a) 및 커플링돌기(122) 사이 공간뿐만 아니라 회전반대방향에 대응되는 완충기어홈(112a) 및 커플링돌기(122) 사이 공간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완충블록(130)의 탄성 거동을 통한 진동 및 요동 감쇠 성능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The buffering block 130 has not only a space between the buffering gear groove 112a and the coupling protrusion 122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al direction but also a space between the buffering gear groove 112a and the coupling protrusion 122 The vibration and shaking damping performance through the elastic behavior of the buffer block 130 can be further improv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유체 커플링 100: 완충 커플링장치
10: 외부커플링부 20: 내부커플링부
30: 완충블록 40: 커넥팅플레이트
1: fluid coupling 100: buffer coupling device
10: outer coupling part 20: inner coupling part
30: buffer block 40: connecting plate

Claims (5)

유체 커플링을 통해 전달된 회전력을 종동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유체 커플링용 완충 커플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종동장치에 결합되도록 외주에 제1플랜지부가 돌설되고, 중앙부에 커넥팅홀이 형성되되, 상기 커넥팅홀의 내주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협소화되는 원주방향 폭으로 함몰되어 각각의 원주방향 양단부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협소화되는 원주방향 폭을 갖는 돌기부에 의해 구획된 복수의 완충기어홈이 형성되는 외부커플링부;
상기 커넥팅홀에 삽입되는 커넥팅몸체부와, 상기 각 완충기어홈에 대응되도록 상기 커넥팅몸체부의 외주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설된 복수의 커플링돌기와, 상기 커넥팅몸체부의 내주를 따라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설된 제2플랜지부를 포함하는 내부커플링부; 및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각 커플링돌기에 결합되되, 상기 각 완충기어홈 내면에 형합되도록 삽입되는 탄성재질의 완충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각 커플링돌기는 상기 각 완충기어홈에 대응되는 상기 커넥팅몸체부의 외주를 따라 축방향으로 상호 이격 배치된 한쌍의 가압돌기로 구비되며,
상기 완충블록은 상기 가압돌기 사이의 공간에 클램핌되는 그립부와, 상기 각 가압돌기의 원주방향 외측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그립부의 양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완충기어홈의 내면을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커플링용 완충 커플링장치.
CLAIMS 1. A buffer coupling device for a fluid coupling for transferring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hrough a fluid coupling to a driven device,
Wherein a first flange portion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ce to be coupled to the driven device, a connecting hole is formed in a central portion thereof, an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ng hole is recessed in a circumferential width narrowing toward the radially outward side, An outer coupling portion in which a plurality of buffer gear grooves are formed by protrusions having a circumferential width that becomes narrower towar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oupling portion;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radially outwardly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ng body por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respective bumper gear grooves; and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protruding radially inwar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ng body portion, An inner coupling portion including a second flange portion; And
And a plurality of elastic cushion blocks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s to be inserted into the inner surfaces of the respective cushion gear grooves,
Wherein each of the coupling protrusions is provided with a pair of pressing protrusions axi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ng body por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buffer groove portions,
The buffer block includes a grip portion clamped in a space between the pressing protrusions and a pair of supporting portion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grip portion so as to be disposed in a circumferential outer side portion of the pressing protrusions to support the inner surface of the buffer groove Wherein the fluid coupling comprises a fluid coupl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플랜지부에 대응되는 복수의 베이스체결공이 형성되되, 상기 베이스체결공의 반경방향 내측에 상기 유체 커플링과 체결되도록 복수의 연계체결공이 형성된 커넥팅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커넥팅플레이트는 상기 유체 커플링의 규격에 대응되도록 상기 연계체결공의 배치반경이 조절된 복수 세트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커플링용 완충 커플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base fastening hole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lange por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coupling fastening holes formed in a radially inner side of the base fastening holes so as to be coupled with the fluid coupling,
Wherein the connecting plate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sets in which the arrangement radius of the coupling holes is adjust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standard of the fluid coupl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블록은 내부블록부와, 상기 내부블록부의 외면을 감싸는 외부블록부를 포함하되, 상기 외부블록부는 상기 내부블록부보다 높은 경도의 탄성재질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커플링용 완충 커플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uffer block includes an inner block portion and an outer block portion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block portion, wherein the outer block portion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having hardness higher than that of the inner block portion.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지지부의 내부에는 비압축성 유체가 충진되는 충진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그립부의 내부에는 상기 각 지지부의 충진공간을 연결하는 연결유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커플링용 완충 커플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each of the supporting portions, a filling space filled with an incompressible fluid is formed,
And a coupling flow path connecting the filling spaces of the respective supporting portions is provided in the grip portion.
KR1020160088881A 2016-07-13 2016-07-13 buffer coupling apparatus for fluid coupling KR1018611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881A KR101861155B1 (en) 2016-07-13 2016-07-13 buffer coupling apparatus for fluid coupl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881A KR101861155B1 (en) 2016-07-13 2016-07-13 buffer coupling apparatus for fluid coupl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613A KR20180007613A (en) 2018-01-23
KR101861155B1 true KR101861155B1 (en) 2018-05-25

Family

ID=61071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8881A KR101861155B1 (en) 2016-07-13 2016-07-13 buffer coupling apparatus for fluid coupl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115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02068B2 (en) * 2018-08-21 2022-07-19 ジヤトコ株式会社 Torque convert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8211Y1 (en) 2000-04-17 2000-10-02 김종균 A coupling device for power transmission having a double attenuation structure
KR101164417B1 (en) * 2012-05-07 2012-07-12 주식회사 서울산업 Fluid coupl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8211Y1 (en) 2000-04-17 2000-10-02 김종균 A coupling device for power transmission having a double attenuation structure
KR101164417B1 (en) * 2012-05-07 2012-07-12 주식회사 서울산업 Fluid coup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613A (en) 2018-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32597A (en) Dampers
JP4738487B2 (en) Vibration absorbing isolator
US5931052A (en) Crankshaft gear torsional vibration isolator assembly for an engine
JPH07505697A (en) surface effect damper
JP7181326B2 (en) torsional vibration damper
US10190654B2 (en) Apparatus for a drive system having a cartridge housing one or more elastomer members
CN101346567A (en) Traction mechanism driv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955252B2 (en) Device for isolating torque fluctuations
JPH03107645A (en) Two-weight type fly wheel
KR101195945B1 (en) Torsional vibration damper having the feature of nonlinear
JPH10299835A (en) Mechanical type torsional vibration damping device
KR101861155B1 (en) buffer coupling apparatus for fluid coupling
KR102080561B1 (en) Torsional vibration damper
CN101260909A (en) Coupling device with a leg spring
US4500300A (en) Rotationally elastic coupling
US8376864B2 (en) Damper mechanism
JP3699043B2 (en) Damping device for flexible shaft coupling
US20190085934A1 (en) Torsional vibration damper with low elastomer content
US6168525B1 (en) Flexible clutch for a two-mass flywheel
JPH07224850A (en) Spring type resilient shaft coupling
KR101130856B1 (en) Torque converter for vehicle
KR100921698B1 (en) A torsional vibration damper
KR100452260B1 (en) Apparatus for damping vibrations
US6827056B2 (en) Vibration friction damper
JP2004286077A (en) Torque fluctuation absorbing damp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