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1101B1 - 임플란트 크라운용 착색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크라운용 착색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1101B1
KR101861101B1 KR1020180008437A KR20180008437A KR101861101B1 KR 101861101 B1 KR101861101 B1 KR 101861101B1 KR 1020180008437 A KR1020180008437 A KR 1020180008437A KR 20180008437 A KR20180008437 A KR 20180008437A KR 101861101 B1 KR101861101 B1 KR 101861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wn
weight
sodium silicate
distilled water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8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석
Original Assignee
박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석 filed Critical 박태석
Priority to KR1020180008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11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1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1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61K6/0017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82Cosmetic aspects, e.g. inlays; Determination of the colo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70Tooth crowns; Making thereof
    • A61C5/77Methods or devices for making crowns
    • A61K6/0612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epa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 개개인의 자연치 색상 내지 상태를 고려하여 이와 유사한 색상 연출은 물론 치아의 변색 부위를 보다 정밀하고 사실적으로 표현하여 이질감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규산나트륨용액과 증류수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임플란트 크라운용 착색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임플란트용 크라운 전면에 도포하여 자연치와 유사한 색상을 연출하면서 빛의 투광이 차단되도록 증류수와 규산나트륨용액의 혼합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임플란트 크라운용 착색제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crown coloring liquid}
본 발명은 대상 크라운에 도포되어 투광도를 현저히 낮추면서 자연치와 동일 유사한 시각미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사상에 관련되며,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 개개인의 자연치 색상 내지 상태를 고려하여 이와 유사한 색상 연출은 물론 치아의 변색 부위를 보다 정밀하고 사실적으로 표현하여 이질감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규산나트륨용액과 증류수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임플란트 크라운용 착색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임플란트란 치조골에 식립되어 치아의 뿌리역할을 하는 픽스츄어(Fixture)와, 주변치아와 어울려 조화를 이루도록 인공으로 만든 치아형상의 크라운(Crown)과, 볼트(Screw)결합으로 크라운과 픽스츄어를 상호 연결하는 어버트먼트(Abutment)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크라운은 주변 치아와 더욱 자연스러운 조화를 유도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색상을 구현하고 있다.
일례로 등록특허공보 제10-1142805호 "심미성이 부여된 컬러 지르코니아 블록의 제조방법"이 게재되고 있는데, 위 종래기술은 연한 색상부터 진한 색상까지 치아의 색상 구배를 유도하기 위해 준비한 다수의 색상용액에 지르코니아 블록을 부위별로 침지시킨 뒤 열을 가하여 색상용액이 착상되게 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으며, 지르코니아 분말을 색상이 다른 각각의 색상용액마다 투입한 뒤 열을 가하여 색상용액이 분말에 스며들게 하고 색상용액이 스며든 분말을 건져내어 건조한 뒤 색상 가이드를 바탕으로 가압장치에 주입하여 가압하는 방법 또한 제안되고 있다.
다른 일례로 등록특허공보 제10-1276816호 "색상 구배를 갖는 인공치아용 지르코니아 블록의 제조방법"이 제시되고 있으며, 위 종래기술은 유색 지르코니아 분말과 백색 지르코니아 분말을 따로 준비하여 혼합하되, 유색 지르코니아 분말에 백색 지르코니아 분말을 서로 다른 중량비로 배합하여 각기 다른 색상을 띄는 복수 개의 원료를 준비하고, 해당 원료를 색상이 연한 순서 또는 색상이 진한 순서대로 압축 성형용 몰드에 주입한 뒤 가압하여 색상 구배를 갖는 지르코니아 블록을 생산하는 방식이다.
위와 같이 크라운에 직접적으로 채색하는 방식을 사용하거나 혹은 크라운을 성형하기 전 소재 입자에 색상을 첨가하는 방식을 사용함에 있어서, 소정의 착색제가 필수적으로 첨가되었다.
한편, 현재 통용되고 있는 임플란트용 크라운은 대다수 생체 친화성이 우수한 세라믹 소재로 제작되고 있으며, 이러한 세라믹 소재는 투광성이 우수한 특성으로 인해 강한 빛에 노출되면 크라운의 색상이 자연치와 어울리지 못할 뿐 아니라 빛이 크라운을 투과하면서 크라운 내부에 삽입된 어버트먼트가 불가피하게 육안으로 식별되는 등 치명적인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기존의 착색제는 단순히 크라운의 색조를 표현하면서 광택을 유도하는 기능에 국한된 것이어서 전술한 바와 같은 크라운의 투광성을 억제할 수 없는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착색제의 개발이 매우 시급한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142805호 "심미성이 부여된 컬러 지르코니아 블록의 제조방법" 등록특허공보 제10-1276816호 "색상 구배를 갖는 인공치아용 지르코니아 블록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위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크라운의 투광도를 낮춰 크라운 내부에 위치한 어버트먼트 등이 외부로 식별되지 않게 할 뿐 아니라 자연치와 유사 동일한 색상 연출 내지 변색 부위를 보다 사실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착색제를 제공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위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임플란트 크라운용 착색제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위 임플란트 크라운용 착색제는 전면에 도포하여 자연치 색상 내지 치아 변색 여부를 사실적으로 연출하면서 빛의 투광을 차단 유도할 수 있도록 증류수와 규산나트륨용액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임플란트 크라운용 착색제는 증류수 80~90 중량%와, 규산나트륨용액 10~20 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증류수와 규산나트륨은 마그네틱 교반기를 이용하여 650~700 RPM으로 8~10분간 혼합함으로써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착색제는 증류수 78~89 중량%와, 규산나트륨용액 9~18 중량%에 볼클레이 1~2 중량%와, 벤토나이트 1~2 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크라운의 투광도를 현저히 저하시켜 강한 빛에 의해 주변의 자연치와 색조 편차가 발생하던 문제점을 미연에 차단하고, 나아가 크라운 내부 공간에 식립된 어버트먼트 등이 투광성 차단에 의해 육안으로 식별되지 않으면서 심미성의 극대화 또한 유도할 수 있으므로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착색제의 점성에 의해 자연치가 갖는 미세한 변색 부위를 보다 정밀하고 사실적으로 표현할 수 있게 되어 주변의 자연치와 더욱 자연스러운 조화를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임플란트 크라운용 착색제의 제조 공정을 단계별로 나열한 플로차트.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대상 크라운에 도포되어 투광도를 현저히 낮추면서 자연치와 동일 유사한 시각미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사상에 관련된 것이다.
무엇보다, 환자 개개인의 자연치 색상 내지 상태를 고려하여 이와 유사한 색상 연출은 물론 치아의 변색 부위를 보다 정밀하고 사실적으로 표현하여 이질감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규산나트륨용액과 증류수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임플란트 크라운용 착색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
본 발명의 착색제는 임플란트 크라운의 투광도를 감소시키면서 자연치가 갖는 미세한 변색 현상을 표현하기 위한 목적으로써,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규산나트륨용액과 증류수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착색제를 사용한다.
아래는 착색제를 형성하기 위하여 규산나트륨용액과 증류수를 혼합하는 장면을 촬영한 것이다.
Figure 112018008067194-pat00001
특히, 위 착색제는 증류수 80~90 중량%와, 규산나트륨용액 10~20 중량%로 구성함에 따라 크라운의 투광도를 적극적으로 감소시키면서 크라운에 미세한 변색 현상을 표현하고, 나아가 크라운에 채색된 색상이 간섭받지 않도록 구성하였다.
혼합용기에 해당하는 비율로 준비된 혼합물을 크라운에 착색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점도로 변환될 수 있도록 마그네틱 교반기에 넣고 650~700 RPM으로 8~10분간 혼합한다.
아래는 마그네틱 교반기에 의해 혼합물이 교반되는 것을 촬영한 사진이다.
Figure 112018008067194-pat00002
본 실시 예는 증류수와 규산나트륨용액의 배합비를 차등되게 구성하여 착색제 자체의 흡광도, 점도 그리고 채도를 측정하였다.
- 실험에 사용한 시편 목록
* 시편 1: 증류수 80~90 중량%와, 규산나트륨용액 10~20 중량%를 마그네틱 교반기에 넣고 650~700 RPM으로 8~10분간 혼합하여 구성된 착색제.
* 시편 2: 증류수 70~79 중량%와, 규산나트륨용액 21~30 중량%를 마그네틱 교반기에 넣고 650~700 RPM으로 8~10분간 혼합하여 구성된 착색제.
* 시편 3: 증류수 60~69 중량%와, 규산나트륨용액 31~40 중량%를 마그네틱 교반기에 넣고 650~700 RPM으로 8~10분간 혼합하여 구성된 착색제.
* 시편 4: 증류수 91~99 중량%와, 규산나트륨용액 1~9 중량%를 마그네틱 교반기에 넣고 650~700 RPM으로 8~10분간 혼합하여 구성된 착색제.
- 착색제의 흡광도 측정법
* 흡광도를 직접 측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시편 통과 전·후의 투광도를 먼저 측정하고, 다음 관계식에 의하여 흡광도를 얻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흡광도 측정법은 물질이 일정하게 좁은 파장범위의 빛을 흡수하는 정도를 측정하는 것으로써, 단색 광이 어떤 물질의 용액을 통과할 때 투과광의 강도 1의 입사광의 강도 10에 대한 비율을 투과도 t라 한다. 투과도 t를 백분율로 표시한 것을 투과율 T라 하며, 투과도 역수의 상용대수를 흡광도 A라 한다.
t~ =~ I over I_0
T~ =~ I over I_0~ ~ 100~ =~ 100t
A~ =~ log I_0 over I
시편에 빛이 통과할 때 흡광도는 빛의 파장에 따라 다르며, 파장을 조금씩 변화 시킨 빛에 대하여 흡광도를 측정하고, 이렇게 측정한 흡광도와 파장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곡선을 그리면 흡수 스펙트럼을 얻을 수 있으며, 흡수 스펙트럼으로부터 해당 시편의 흡수 극대파장(λ max) 및 극소파장(λ min)을 알 수 있다.
흡수 스펙트럼은 시편의 화학구조에 의해 정해지며 흡수의 극대파장 또는 극소파장을 측정하거나 특정한 두 파장에서의 흡광도 비를 측정하여 확인이나 순도 시험을 한다. 보통 흡수 극대파장에서 일정농도 용액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정량한다.
흡광도 A는 용액의 농도 c 및 층 장 l에 비례하다.
A = kcl(k는 정수)
l을 1cm, c를 착색제의 농도 1mol/L로 환산했을 때 흡광도를 몰흡광계수 ε라 하며, 흡수의 극대파장에서 몰흡광계수는 ε max로 나타낸다. 보통 착색제의 측정 실험에서는 l을 1cm, c를 착색제의 농도 1w/v%로 환산했을 때 흡광도를 비흡광도로 하고 scale 80 E_{rm 1cm}^{ 1%}로 나타낸다.
E_{rm 1cm}^{ 1 %} ~= ~A over {c~×~l}
l : 층 장(cm)
A : 흡광도
c : 용액의 농도(w/v%)
위와 같은 관계식을 이용하여 분광광도법에 따라 투광도와 흡광도를 측정하며, 광원부, 검체원자회부, 분광부, 측광부 중 하나의 장치를 이용한다.
- 착색제의 점도 측정법
* 착색제의 점도는 구멍이 작은 튜브를 통하여 유체를 흘려서 유체의 양을 graduated cylinder로 재고, 흐르는데 걸린 시간을 stop watch로 측정하는 Small-Bore-Tube 방법을 이용한다. 위 Small-Bore-Tube 방법은 일정한 수두(hydrostatic pressure)를 유지하기 위하여 일정한 양의 feed를 공급하고 양이 넘칠 경우 overflow 되도록 하며, 흘러내린 유체의 양은 graduated cylinder로 그 양을 재고, 경과된 시간은 stop watch로 측정한다.
Figure 112018008067194-pat00003
위 표 1에서 흡광도의 수치 기준은 착색제 용액이 빛을 완전 흡수하였을 경우를 100% 기준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동일한 시편 1이 88.92%의 수치 결과가 도출되었다. 그 이후 시편 2, 시편 3과 같이 규산나트륨용액이 증류수에 비해 점차 증가할수록 흡광도가 저하되었으며, 규산나트륨용액의 첨가량이 기준치에 비해 미비할 경우에도 흡광도가 심각할 수준으로 기능이 상실되었다. 위 실험 결과와 같이 시편 1의 착색제가 88.92%의 흡광도를 나타내어 크라운의 투광도를 감소시킬 가장 유력한 성능을 가졌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시편 1의 점도는 15.31%, 시편 2는 18.90%, 시편 3은 22.66%로 규산나트륨용액이 증류수에 비해 점차 증가할수록 점성이 증가하였으며, 당연히 규산나트륨용액이 미비하게 첨가된 시편 4의 점도가 10.82%로 점도가 매우 묽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채도의 수치 기준은 흰색을 100%라는 기준으로 Shade가 증가할 수록 수치가 낮아지는 방식으로 측정하였으며, 시편 1은 98.11%, 시편 2는 82.85%, 시편 3은 70.58%, 시편 4는 91.72%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를 도출한 시편 4종을 레진, 도재, 지르코니아 소재로 제작한 크라운에 각각 도포하여 크라운과의 유착력, 착색력, 투광도, 변색 표현력을 측정하였으며, 측정 결과는 아래 표 2와 같다.
Figure 112018008067194-pat00004
위 표 2와 같이 시편 4종을 레진, 도재, 지르코니아 소재로 제작한 크라운에 각각 도포하여 크라운과의 유착력, 착색력, 투광도, 변색 표현력을 측정한 결과, 먼저 유착력은 착색제의 점도가 15.31%였던 시편 1이 레진 크라운과 87.52%, 도재 크라운과 91.35%, 지르코니아 크라운과 97.99%로 가장 우수한 유착력을 나타내었다. 예상외로 점도가 각각 18.90%와 22.66%였던 시편 2와 3은 너무 높은 점성으로 인해 크라운에 적극적으로 유착되지 못하였으며, 시편 4는 점도가 너무 묽은 까닭에 착색제 대부분이 유착하지 못하고 흘러내리는 상황이 발생하였다.
한편, 착색력은 규산나트륨용액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크라운의 색상 구배가 선명하게 나타났으며, 예컨대 본 발명의 착색제는 지르코니아와 가장 우수한 조화를 나타내었으며 이후로 도재와 레진 순으로 착색되었다. 여기에서 비록 시편 1의 착색력이 시편 2와 3에 비해 다소 떨어지는 수치를 나타내었으나, 자연 치아의 색조 대비 결과 시편 1의 착색 정도가 가장 자연스러운 색상을 연출하였다.
그리고 착색제가 가장 많이 유착된 시편 1이 가장 우수한 투광도를 나타내었으며, 규산나트륨용액이 증가할수록 착색제가 크라운에 융합하지 못해 투광도가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실시 예는 다양한 종류의 착색제를 도포한 크라운의 소성 온도에 따른 크라운과 착색제 간의 융합성과 크라운의 기능향상을 측정하였다.
실시 예2에서 사용한 시편 1은 본 발명의 증류수와 규산나트륨용액을 혼합하여 제조한 착색제와, 시편 2는 크라운에 착색을 유도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이트리아, 어비아, 산화철, 산화코발트, 알루미나를 혼합하여 구성하며, 통상적인 기술로 혼합 제조한 착색제이다.
여기에서 착색제를 도포한 크라운은 레진과 도재 그리고 근래 각광받고 있는 지르코니아 소재로 제작한 크라운이다.
위 시편 1의 착색제는 융점이 500~900℃에 달하며, 시편 1의 착색제를 도포한 크라운은 착색제의 융점을 바탕으로 Porcelain furnace에서 500~920℃의 온도로 5~50분 동안 소성이 가능하다. 예컨대, 세라믹은 소성 온도가 증가할수록 단사정상으로 결정이 변화하여 강도와 경도가 상승하고, 색상 구배 및 색감이 향상된다.
하지만, 시편 2의 크라운은 이트리아, 어비아, 산화철, 산화코발트, 알루미나로 구성된 착색제의 용융온도 한계점에 의해 100~140℃의 온도에서 약 72시간 동안 열수 처리방식으로 소성한다.
아래는 시편 1과 시편 2를 소성한 뒤, 각 크라운의 색감과 강도 및 경도를 측정하여 비교한 표이다.
Figure 112018008067194-pat00005
위 표 3과 같이 시편 2는 착색제를 도포하기 전 900~1500℃로 소결한 뒤, 소결체를 140℃의 온도에서 72시간 동안 소성하는데, 이때 소성 처리 중 24시간 동안 침지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반면, 시편 1은 크라운에 착색제를 도포한 뒤, 900℃의 온도로 소결과 소성을 동시에 할 수 있다.
그리고 시편 2와 같이 소성 온도의 한계점에 의해 100~140℃로 소성한 크라운은 지르코니아 소결체가 단사정상으로 변화하기까지 매우 오랜 시간이 소요되었으며, 이로부터 착색제의 융합성과 강도 및 경도가 저하되었다. 그러나 시편 1은 500~920℃로 소결과 소성을 동시에 하였음에도 97.99%로 매우 높은 융합성을 나타내었으며, 1000~1200MPa의 강도와 12~13GPa의 경도를 나타내었다. 이는 통상적으로 제조된 기존의 크라운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기능이 향상된 수치이다.
한편,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착색제의 투광도를 더욱 낮추면서 점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소량의 볼클레이(Ball clay) 용융액과 벤토나이트(Bentonite) 용융액을 혼합한 점토액을 첨가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증류수 78~89 중량%와, 규산나트륨용액 9~18 중량%에 볼클레이 1~2 중량%와, 벤토나이트 1~2 중량%를 더 첨가함으로써 크라운의 투광도는 적극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은 물론, 크라운에 채색된 색감에 간섭받지 않으면서 자연치아처럼 변색현상을 더욱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다.
아래에는 착색제에 볼클레이와 벤토나이트의 첨가량에 따른 유착력, 착색력, 투광도, 변색표현력, 그리고 관능 검사 요원으로부터 선호도를 투표하여 각각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예컨대, 실험에 사용한 시편 1은 볼클레이와 벤토나이트를 첨가하지 않고 증류수 80~90 중량%와, 규산나트륨용액 10~20 중량%로만 혼합한 착색제이고, 시편 2는 증류수 79~89 중량%와, 규산나트륨용액 10~19 중량%에 볼클레이 0.5~1.0 중량%와, 벤토나이트 0.5~1.0 중량%를 첨가하여 혼합한 착색제이고, 시편 3은 증류수 78~89 중량%와, 규산나트륨용액 9~18 중량%에 볼클레이 1~2 중량%와, 벤토나이트 1~2 중량%를 첨가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착색제이고, 시편 4는 증류수 75~87 중량%와, 규산나트륨용액 7~15 중량%에 볼클레이 3~5 중량%와, 벤토나이트 3~5 중량%를 첨가하여 혼합한 착색제이다.
선호도는 임플란트용 크라운에 각 시편을 도포하여 제조함에 따라 시술자 10명과, 치아기공사 10명과, 환자 10명에게 각각 유착력, 착색력, 투광도, 변색표현력에 대한 만족도를 각 관능 항목 별로 점수를 부과하여 평가함에 따라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위 관능항목에 대해 (매우 나쁘다 : 1점, 나쁘다 : 2점, 보통이다 : 3점, 좋다 : 4점, 매우 좋다 5점)와 같이 5점법으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Figure 112018008067194-pat00006
위 표 4와 같이 증류수 78~89 중량%와, 규산나트륨용액 9~18 중량%에 볼클레이 1~2 중량%와, 벤토나이트 1~2 중량%를 첨가한 시편 3이 유착력 98.08%, 착색력 55.66%, 투광도 99.51%, 변색표현력 98.23%로 가장 높은 성능을 나타내었다. 여기에서 볼클레이와 벤토나이트의 함량이 1%에 못 미칠 경우 증류수와 규산나이륨용액으로만 구성된 착색제와 크게 다른 성능을 발산하지 못하였다. 반면, 볼클레이와 벤토나이트의 함량이 2%를 초과할 경우, 볼클레이와 벤토나이트 그리고 규산나트륨에 의해 점도가 점차 상승하면서 오히려 유착력, 착색력, 투광도, 변색표현력이 점차 감소하는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위와 같이 실험에 의해 본 발명의 착색제에는 볼클레이와 벤토나이트가 각각 1~2%가 첨가되는 것이 크라운용 착색제로써 투광도를 적극적으로 감소시키면서 자연치와 유사한 변색 표현을 유도할 수 있었다.
한편, 시술자, 기공사, 환자를 포함한 30여명의 관능 검사 요원들은 시편 3의 착색제를 사용하여 제작한 크라운에 많은 점수를 부여하였으며, 일부 관능 검사요원들은 시편 3에 대해 현재 시중에 제공되고 있는 종래의 크라운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실제 치아와 구분이 어려울 만큼 변색 표현의 재현도가 높다고 평가하면서 매우 긍정적인 만족감을 표현하였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임플란트 크라운용 착색제에 의하면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크라운의 투광도를 현저히 저하시켜 강한 빛에 의해 주변의 자연치와 색조 편차가 발생하던 문제점을 미연에 차단하고, 나아가 크라운 내부 공간에 식립된 어버트먼트 등이 투광성 차단에 의해 육안으로 식별되지 않으면서 심미성의 극대화 또한 유도할 수 있으므로 효과적이며, 더불어 착색제의 점성에 의해 자연치가 갖는 미세한 변색 부위를 보다 정밀하고 사실적으로 표현할 수 있게 되어 주변의 자연치와 더욱 자연스러운 조화를 유도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크라운 전면에 도포하여 자연치 색상 내지 치아 변색 여부를 사실적으로 연출하면서 빛의 투광을 차단 유도할 수 있도록 증류수와 규산나트륨용액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크라운용 착색제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증류수 80~90 중량%와, 규산나트륨용액 10~20 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크라운용 착색제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위 증류수와 규산나트륨은 마그네틱 교반기를 이용하여 650~700 RPM으로 8~10분간 혼합함으로써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크라운용 착색제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위 착색제는 증류수 78~89 중량%와, 규산나트륨용액 9~18 중량%에 볼클레이 1~2 중량%와, 벤토나이트 1~2 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크라운용 착색제의 제조방법.
KR1020180008437A 2018-01-23 2018-01-23 임플란트 크라운용 착색제의 제조방법 KR101861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437A KR101861101B1 (ko) 2018-01-23 2018-01-23 임플란트 크라운용 착색제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437A KR101861101B1 (ko) 2018-01-23 2018-01-23 임플란트 크라운용 착색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1101B1 true KR101861101B1 (ko) 2018-05-28

Family

ID=62451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8437A KR101861101B1 (ko) 2018-01-23 2018-01-23 임플란트 크라운용 착색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110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230B1 (ko) 2012-07-25 2014-07-29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아의 변색 및 착색 방지를 위한 치아 미백 유지제
KR101430748B1 (ko) 2013-01-31 2014-08-14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생체활성 색조 글라스, 이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및 보철물
KR101759525B1 (ko) 2016-12-01 2017-07-31 (주)메디케이 치아 코팅제 및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230B1 (ko) 2012-07-25 2014-07-29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아의 변색 및 착색 방지를 위한 치아 미백 유지제
KR101430748B1 (ko) 2013-01-31 2014-08-14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생체활성 색조 글라스, 이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및 보철물
KR101759525B1 (ko) 2016-12-01 2017-07-31 (주)메디케이 치아 코팅제 및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ohnston Review of translucency determinations and applications to dental materials
Baldissara et al. Translucency of IPS e. max and cubic zirconia monolithic crowns
Lund et al. Color changes of porcelain surface colorants resulting from firing.
Vichi et al. Color related to ceramic and zirconia restorations: a review
Chang et al. The optical effect of composite luting cement on all ceramic crowns
Barizon et al. Ceramic materials for porcelain veneers. Part I: Correlation between translucency parameters and contrast ratio
Shokry et al. Effect of core and veneer thicknesses on the color parameters of two all-ceramic systems
Kim et al. Effect of the amount of thickness reduction on color and translucency of dental monolithic zirconia ceramics
Kurtulmus-Yilmaz et al. Comparison of the translucency of shaded zirconia all-ceramic systems
Kim et al. Effect of the number of coloring liquid applications on the optical properties of monolithic zirconia
Gürdal et al. The effects of mouthrinses on microhardness and colour stability of aesthetic restorative materials
Aboushelib et al. Influence of framework color and layering technique on the final color of zirconia veneered restorations.
Alghazzawi The effect of extended aging on the optical properties of different zirconia materials
EP3108849A1 (en) Multi-layered zirconia dental mill blank and process of production
KR20120012968A (ko) 제어된 색조를 갖춘 비니어 치아 수복물
KR100327130B1 (ko) 도치명암키트,시스템및방법
Volpato et al. Evaluation of the color and translucency of glass-infiltrated zirconia based on the concept of functionally graded materials
Rafael et al. Impact of laboratory treatment with coloring and fluorescent liquids on the optical properties of zirconia before and after accelerated aging
Nemli et al. In vitro evaluation of color and translucency reproduction of maxillofacial prostheses using a computerized system
KR101861101B1 (ko) 임플란트 크라운용 착색제의 제조방법
Kim et al. Metameric effect between dental porcelain and porcelain repairing resin composite
Khosravani et al. Final colour of ultratranslucent multilayered zirconia veneers, effect of thickness, and resin cement shade
Giti et al. Effect of varying thickness and number of coloring liquid applications on the color of anatomic contour monolithic zirconia ceramics
Ramos et al. Colour degradation of façade coatings–the effect of nanopigments incorporation
Montero et al. Effect of ceramic thickness and cement shade on the final shade after bonding using the 3D master system: a laboratory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