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0943B1 - 속경형 가소성 채움재를 이용하는 동공부 채움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동공부 채움방법 - Google Patents

속경형 가소성 채움재를 이용하는 동공부 채움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동공부 채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0943B1
KR101860943B1 KR1020170082898A KR20170082898A KR101860943B1 KR 101860943 B1 KR101860943 B1 KR 101860943B1 KR 1020170082898 A KR1020170082898 A KR 1020170082898A KR 20170082898 A KR20170082898 A KR 20170082898A KR 101860943 B1 KR101860943 B1 KR 101860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er
tank
filling
pipe
c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2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용선
서동수
한진규
Original Assignee
(주)케미우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미우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케미우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170082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09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0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0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Injection of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은, 수납부를 구비하는 차량; 상기 수납부에 설치되고, 채움재 분말이 저장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채움재 분말에 공급되는 물을 담수하도록 상기 수납부에 설치되는 물탱크; 상기 저장탱크 및 상기 물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채움재 분말과 물을 혼합하고 보관하는 혼합보관부; 상기 혼합보관부로부터 배출되는 채움재를 수납부 외측으로 안내하고 동공부 내부로 안내하는 배출관; 상기 혼합보관부로부터 배출되는 채움재를 배출관을 따라 토출시키는 압력을 제공하는 펌프; 및 상기 펌프에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발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속경형 가소성 채움재를 이용하는 동공부 채움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동공부 채움방법 {FILLING DEVICE FOR GROUND HOLE USING RAPID HARDENING AND PSEUDO-PLASTIC BACKFILL MATERIAL AND FILLING METHOD USING THAT}
본 발명은 속경형 가소성 채움재를 이용하는 동공부 채움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동공부 채움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에 발생되는 싱크 홀(sink hole)에 의해 형성되는 동공부에 채움재를 직접 충진시켜 동공부 채움공정을 간소화하고, 동공부 채움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속경형 가소성 채움재를 이용하는 동공부 채움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동공부 채움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도로 침하현상에 의한 도로 함몰이라는 싱크홀 발생이 서울지역을 위시하여 큰 도시의 도로상에 수시로 나타나고 있어 교통사고에 의한 인명피해와 경제적 손실이 현실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싱크홀(sink holl)의 발생은 도로시설인 상, 하수도관의 노후화에 기인하기도 하지만 급격한 산업성장에 따라 단기간에 많은 량의 도로 건설로 기간이 소요되는 연약지반의 안정화를 확보할 수 없었고 시공기술의 낙후, 부실시공 및 교통환경 등 복합적인 요인에 의한 것이라 하겠다.
현재 발생하고 있는 도로 함몰에 의한 싱크홀의 발생은 서울시 자료에 의하면 도로에 매설되는 상하수도관의 손상에 의한 발생률이 85%에 달하고 더욱이 상하수도관 이음부에서 대부분이 발생한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최근 잇따른 싱크홀 발생으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서울시의 노후 시설물에 대한 대대적인 보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으며 특히 미국, 일본과 같은 선진국의 도시 시설물의 노후화로 인한 실질적인 피해를 경험하고 있어 미리 노후 시설물 정비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도 대두되고 있다.
서울시가 관리하는 시설물 중 하수관로에 있어서는 전체 하수관로 중 48.3%(약 5000km)가 사용연수 30년 이상인 것으로 나타나 있으며 서울시는 시 하수도 예산의 29%를 노후 불량 관로 개선에 투입하고 있지만 하수관로의 노후화를 따라잡기에는 크게 부족한 게 현실이다.
또한, 환경부는 싱크홀 예방 차원에서 내달부터 금년 연말까지 예산 712억원(국고 350억원)을 들여 90개 지자체 12,000km에 이르는 하수관을 우선 정밀 조사하고 2016년 말까지 총 연장 4만km의 하수관을 모두 정밀 조사할 계획으로 되어 있으며 조사 결과에 따라 당장 보수가 시급한 곳은 지자체 자체 예산으로 바로 조치토록하고 2016년부터 국비를 투입해 하수관 개보수나 교체와 같은 정비사업을 추진할 계획으로 되어 있다.
이 시점에서 노후 하수관을 정밀 조사하여 하수관 개보수나 교체와 같은 정비 사업을 추진하는 것도 급선무라 할 수 있지만 이와 병행하여 수준 높은 개보수에 관한 기술 및 시공방법에 관한 연구와 개발로 내구성의 향상 확보에도 역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종래 상, 하수도관의 시공방법은 흙 지반을 기초로 하는 양질 기반을 기초층으로 하거나 불량지반은 양질토, 자갈, 쇄석 등으로 보강시킨 보강토 지반을 조성하여 단순한 다짐과 콘크리트 기초 보강시설로 선택 시공함으로써, 이들 기초 지반은 주변토의 상태, 지하수의 침출 등의 자연 환경과 주변의 토목공사, 굴착공사, 교통량 등의 개발 환경에 의해 직, 간접적으로 쉽게 영향을 받게 되고 콘크리트 기초 보강시설로 매설된 상하수 관체를 지지하는 지지력이 약해 관체에 변형을 발생케 하므로서 이음부로부터 파손으로 이어져 싱크홀의 발생 원인을 제공하게 되었다.
보다 구체적인 종래 기술을 열거하면 국내 등록특허공보(등록번호: 719628호)에 "흙 고화제를 이용한 도로 포장골재 대체 흙 고화공법 및 연약지반 고화법"에 관한 기술 내용이 소개되고 있으며 그 기술 구성을 정사해 보면 중량비로 염화칼슘 11~18%, 리그닌슬폰산염 15~25%, 트리폴리산염, 가성소다 12~20%, 염화마그네슘 15~25%, 생석회 8~12%로 조성되는 흙 고화제 조성물 3~15중량부를 시멘트 100중량부에 혼합한 흙 고화제와 상기 흙 고화제 1~10중량부와 흙 100중량부를 혼합한 고화토를 도로 포장층의 표층을 제외한 어느 하나의 층(보조기층 또는 기층)에 타설하여 다짐하고 고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로 포장 골재 대체 흙 고화공법과 상기 흙 고화제 3~15중량부와 흙 100중량부를 혼합한 고화토를 교반, 다짐 및 고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약지반 고화공법에 관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상술한 흙 고화제는 본원 출원 발명에 사용하는 토양 고화제와는 조성물에서 큰 차이가 있고 용도와 공법에서 큰 차이가 있는 기술 구성이라 하겠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 국내 등록특허공보(등록번호:821491)에는 "폐기물 매립지용 고화토"에 관한 기술 내용이 소개되어 있다.
기술의 구성은 점토, 마사토 또는 이들의 혼합물 85~90중량%, 벤토나이트 13~30중량%, 8mm이하의 석분 2~7중량%로 구성된 고화토라 할 수 있으나 조성물 중 수경화에 의한 경화기능이나 고결기능이 전혀 없는 흙과 석분으로 조성되어 있어 고화토라 할 수 없고 조성물 또한 본원 발명의 고화제 조성물과는 전혀 다르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05377호(2017년 01월 12일 공개, 발명의 명칭 : 토양고화제를 이용한 싱크홀 보수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보수방법은, 지반을 다짐하여 정지한 후에 고화토 모르타르를 타설하고, 백호우로 다짐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싱크홀에 의한 동공부가 노출되도록 지반의 터파기 작업이 진행되어야 하므로 중장비에 의한 터파기 작업이 요구되어 동공부 채움공정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도로에 발생되는 싱크 홀(sink hole)에 의해 형성되는 동공부에 채움재를 직접 충진시켜 동공부 채움공정을 간소화하고, 동공부 채움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속경형 가소성 채움재를 이용하는 동공부 채움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동공부 채움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수납부를 구비하는 차량; 상기 수납부에 설치되고, 채움재 분말이 저장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채움재 분말에 공급되는 물을 담수하도록 상기 수납부에 설치되는 물탱크; 상기 저장탱크 및 상기 물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채움재 분말과 물을 혼합하고 보관하는 혼합보관부; 상기 혼합보관부로부터 배출되는 채움재를 수납부 외측으로 안내하고 동공부 내부로 안내하는 배출관; 상기 혼합보관부로부터 배출되는 채움재를 배출관을 따라 토출시키는 압력을 제공하는 펌프; 동공부의 크기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관에 설치되고, 상기 펌프에 의해 동공부에 주입되는 채움재의 양을 측정하는 유량계; 동공부에 주입되는 채움재의 주입 압력이 일정 압력까지 상승된 후에 더 이상 상승되지 않을 때에 동공부의 채움재 충진 완료 여부를 판단하도록 상기 배출관에 설치되고, 채움재의 주입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 및 상기 펌프에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발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혼합보관부는,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채움재 분말과, 상기 물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혼합되도록 제1교반기가 설치되는 제1탱크; 및 상기 제1탱크로부터 배출되는 채움재를 유동시키면서 채움재가 경화되는 것을 방지하며 보관하도록 제2교반기가 설치되는 제2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저장탱크에 수납되는 채움재 분말을 상기 제1탱크로 공급하는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공급부는,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상기 제1탱크로 연장되는 가이드관; 상기 가이드관에 설치되고,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채움재 분말을 상기 가이드관을 따라 이동시키는 스크루; 및 상기 스크루에 동력을 제공하는 공급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저장탱크에는 상기 가이드관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에는 채움재 분말이 상기 가이드관의 입구 측으로 이동되게 하는 진동을 제공하는 진동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채움재 분말을 물과 혼합하여 혼합보관부에 저장하고, 액상 또는 젤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교반시키는 단계; (b) 동공부 일측에 오버플로우관을 설치하는 단계; (c) 동공부 타측에 배출관을 삽입하고, 상기 혼합보관부로부터 배출되는 채움재를 동공부에 주입하는 단계; (d) 상기 오버플로우관을 통해 채움재가 배출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e) 상기 오버플로우관을 통해 채움재가 배출되면 채움재 주입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a) 단계는, 채움재 분말이 저장되는 저장탱크로부터 상기 혼합보관부 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관과, 가이드관에 설치되는 스크루와, 스크루에 동력을 제공하는 공급모터를 포함하는 공급부의 작동에 의해 채움재 분말이 상기 혼합보관부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속경형 가소성 채움재를 이용하는 동공부 채움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동공부 채움방법은, 동공부가 형성된 지반을 터파기 하는 공정을 생략하고, 채움재가 분사되는 노즐을 동공부에 삽입하여 채움재를 동공부에 직접 충진시키고, 동공부에 설치되는 오버플로우관을 통해 채움재가 배출될 때까지 채움재를 충진시키고 경화시켜 동공부의 채움을 완료할 수 있어 동공부 채움공정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경형 가소성 채움재를 이용하는 동공부 채움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경형 가소성 채움재를 이용하는 동공부 채움장치의 저장탱크, 공급부 및 절개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경형 가소성 채움재의 배합 실험의 제1단계 내지 3단계의 결과가 도시된 그래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경형 가소성 채움재의 배합 실험 1단계 내지 제3단계 시험을 통해 얻은 최적 배합비에 따른 물성 실험 결과가 도시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속경형 가소성 채움재를 이용하는 동공부 채움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동공부 채움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경형 가소성 채움재를 이용하는 동공부 채움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경형 가소성 채움재를 이용하는 동공부 채움장치의 저장탱크, 공급부 및 절개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경형 가소성 채움재를 이용하는 동공부 채움장치는, 수납부를 구비하는 차량(10)과, 수납부에 설치되고, 채움재 분말이 저장되는 저장탱크(50)와, 저장탱크(50)로부터 공급되는 채움재 분말에 공급되는 물을 담수하도록 수납부에 설치되는 물탱크(84)와, 저장탱크(50) 및 물탱크(84)로부터 공급되는 채움재 분말과 물을 혼합하고 보관하는 혼합보관부와, 혼합보관부로부터 배출되는 채움재를 수납부 외측으로 안내하고 동공부 내부로 안내하는 배출관(88)과, 혼합보관부로부터 배출되는 채움재를 배출관(88)을 따라 토출시키는 압력을 제공하는 펌프(82)와, 동공부의 크기를 확인할 수 있도록 배출관(88)에 설치되고, 펌프(82)에 의해 동공부에 주입되는 채움재의 양을 측정하는 유량계(83)와, 동공부에 주입되는 채움재의 주입 압력이 일정 압력까지 상승된 후에 더 이상 상승되지 않을 때에 동공부의 채움재 충진 완료 여부를 판단하도록 배출관(88)에 설치되고, 채움재의 주입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85)와, 펌프(82)에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발전기(86)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채움장치는, 도로 상에 동공부가 발생되는 경우에 차량(10)을 주행하여 동공부 주변으로 이동하고, 동공부 일측에 오버플로우관을 삽입한 후에 동공부 타측으로 배출관(88)을 삽입하여 채움재를 압입한다.
작업자는 저장탱크(50)에 채움재 분말을 수납하여 보관하고, 물탱크(84)에 저장되는 물과 저장탱크(50)에 보관되는 채움재 분말이 혼합보관부에서 혼합되어 보관되고, 펌프(82)의 작동에 의해 액체 상태 또는 젤 상태의 채움재가 배출관(88)을 따라 동공부 내부로 압입된다.
본 실시예의 혼합보관부는, 저장탱크(50)로부터 공급되는 채움재 분말 및 물탱크(84)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혼합되도록 제1교반기(36)가 설치되는 제1탱크(32)와, 제1탱크(32)로부터 배출되는 채움재를 유동시키면서 채움재가 경화되는 것을 방지하며 보관하도록 제2교반기(38)가 설치되는 제2탱크(34)를 포함한다.
제1탱크(32)는 제2탱크(34)의 일측 상부에 접촉되게 설치되고, 제1탱크(32)의 저면에는 도어부재(32a)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제1탱크(32)에 채움재 분말과 물이 공급되어 제1교반기(36)가 구동되면 채움재가 액체 또는 젤 상태를 유지하도록 혼합된다.
본 실시예의 채움재는, 필러(filler)와, 필러를 상호 결합시켜주는 결합재로서 칼슘알루미네이트계 또는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계 바인더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필러와 칼슘알루미네이트계 또는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계 바인더를 합하여 주재료라고 칭한다.
필러는 현장 굴착시 발생하는 토사 또는 플라이애쉬가 사용될 수 있다. 필러는 시멘트 분야에서 말하는 '골재'의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필러로서 현장에서 굴착된 현장토 또는 플라이애시를 사용하며, 이외에도 시멘트 분야에서 골재로 기능할 수 있는 다른 재료들도 사용될 수 있다.
필러들을 상호 일체화시키기 위한 결합재로서 본 발명에서는 칼슘알루미네이트계 또는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계 물질을 사용한다. 예컨대, 칼슘알루미네이트계는 C12A7, C3A, CA 등의 물질,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계는 C4A3S 등의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칼슘실리케이트계 물질(보통의 시멘트)은 아래의 반응식(1) 및 (2)와 같은 형태의 수화반응을 통해 경화되면서 강도가 발현된다.
2C3S + 6H → C3S2H3 + 3Ca(OH)2 ... 반응식(1)
2C2S + 4H → C3S2H3 + Ca(OH)2 ... 반응식(2)
보통 시멘트계 재료는 물과 반응하여 새로운 광물을 형성하는 수화 과정을 거쳐 굳게 된다. 기존의 CLSM도 이러한 시멘트의 수화반응과, 시멘트 수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량의 소석회와 비정질 실리카인 플라이애쉬 사이의 포졸란 반응에 의해 적정 강도의 경화체를 얻게 된다. 그러나 시멘트의 수화반응 중 강도발현에 주로 기여하는 C3S 및 C2S 등의 칼슘실리케이트계 광물의 수화는 수 일에서 수 주의 시간이 걸리며 천천히 일어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타설 후 수 시간 정도에서의 조기강도가 채움재에서 요구되는 0.13MPa 이상으로 발현되지 않는다.
그러나 수화반응이 지속적으로 이어지면서 10일 이상의 재령에서의 장기강도는 높게 발현된다.
교량, 건축물, 포장을 위한 재료에서는 장기강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은 장점이지만, 채움재에서는 조기강도가 낮고 장기강도가 높은 것은 큰 약점으로 작용한다. 즉, 조기강도가 낮으면 양생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므로 공기가 늘어나게 되며 이에 따라 교통통제 등의 민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장기강도가 높게 나오면, 관로의 보수공사시 채움재를 걷어내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종래에는 칼슘실리케이트계 바인더를 사용하되, 첨가량을 감소시키는 등의 보완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채움재에 요구되는 물성이 부족해지는 문제가 생겼다.
본 발명에서는 칼슘알루미네이트계 또는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계 바인더를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모두 해결한다.
CA + H → CAH10 ... 반응식(3)
C12A7 + H → C2AH8 + AH3 ... 반응식(4)
C4A3 + 8CH2 + 6CH + 74H 3C6A3H32 ... 반응식(5)
위의 반응식(3) 및 (4)는 비정질 칼슘알루미네이트계 바인더의 수화반응을 나타낸 것이다. 식(5)는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계 바인더의 수화반응을 나타낸 것이다. 위 수화반응은 급격하게 이루어지므로 조기강도가 높게 발현된다.
따라서 장기강도는 조기강도보다 약간 오르는 수준에서 머무르게 된다. 칼슘실리케이트계 바인더와 비교할 때 칼슘알루미네이트계 또는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계 바인더는 장기강도가 더 약하지만, 채움재에서는 장점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필러와 칼슘알루미네이트계 바인더가 혼합된 주재료 전체에 대하여 칼슘알루미네이트계 또는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계 바인더는 5~20중량%의 범위로 배합된다. 이러한 배합비는 채움재의 물성을 만족시키기 위한 수많은 실험을 통해 도출된 것이며, 실험에 대해서는 뒤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비정질 칼슘알루미네이트계 또는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계 바인더의 장점을 살리되, 채움재로서의 기능을 강화하기 위하여 첨가제와 혼화제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첨가제로는 유동화제를 혼합시키며, 혼화제로서 가소제와 경화촉진제를 사용한다. 첨가제와 혼화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분한 것이며, 모두 주재료의 물성을 강화 및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첨가제로서 유동화제를 사용한다. 하수관 트렌치 뒤채움 작업을 위해서는 채움재 페이스트가 일정 수준 이상의 유동성, 즉 플로우 테스트 정치상태에서 100mm 이상, 진동상태에서 200mm 이상의 플로우값이 보장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위 기준치는 규정에서 정해진 값은 아니며 본 발명의 연구진에서 원활한 뒤채움 시공을 위해서 제시하는 값이다. 유동화제로는 나프탈렌계, 멜라닌계, 폴리칼본산계 또는 리그닌계 유동화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은 공지의 재료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유동화제는 주재료의 중량 대비 0.1~2%의 범위로 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첨가제로 가소제가 사용된다. 채움재에 가소제를 사용하여 가소성(pseudo-plastic)을 부여한다. 가소성은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변형되지만, 외력이 해제되면 그 상태를 유지하는 성질을 말한다.
하수관은 지하에 매설되며, 지하공간에는 균열과 지하수라는 두 가지 조건이 상존한다. 즉, 채움재를 충진할 때 지하공간에 균열이 있는 경우 유동성이 높은 채움재는 균열을 통해 소실되기 때문에 재료유실의 문제가 크게 나타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주재료에 가소제를 혼합하여 가소성을 부여함으로써 재료유실을 방지한다. 가소제를 주재료에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채움재를 충진시 진동을 함께 부여하면 유동성이 유지되어 작업성이 유지된다. 반대로 진동을 해제하면 그 상태로 형태가 유지되므로 지반의 균열을 통해 재료가 소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소제는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아크릴계 증점제 또는 셀룰로오스계 증점제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아크릴산 나트륨중합체, 메타아크릴산 나트륨 중합체, 아크릴 아마이드 중합체, 가수분해된 아크릴로 니트릴 중합체, 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아크릴산 아크릴 아마이드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폴리머 수지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가소제는 주재료의 중량 대비 0.1~3%의 범위로 배합될 수 있다.
또한 가소제를 사용하는 경우 수중불분리성이 향상되어 물/재료 배합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지하공간에는 언제나 지하수가 유입될 개연성이 있으며, 이에 따라 재료와 물의 배합비가 설계수준과 변경됨으로써 채움재의 물성에 영향을 주게 된다. 가소제는 증점 작용을 하여 물이 재료에 유입되는 것을 막으므로, 채움재의 성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주재료가 지하수에 혼입되어 유실되는 경우 주변 생태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바, 가소제는 친환경적 시공을 가능하게 한다.
다만, 가소제를 첨가하는 경우 유동성의 조절을 통해 재료유실을 막는 측면에서는 이점이 있지만, 경화속도가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즉, 가소제는 채움재의 페이스트 내 물(반응의 차원으로 보면 '자유수'라고 함)의 이동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수화반응이 느리게 일어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경화촉진제를 사용하여, 가소제를 사용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경화지연의 문제를 해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경화촉진제로는 소듐카보네이트, 소듐바이카보네이트, 칼슘하이드록사이드, 소듐설페이트, 리튬카보네이트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경화촉진제는 주재료의 중량 대비 0.1~2%의 범위로 배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주재료와 첨가제 및 혼합제를 사용한 전체 재료에 물을 혼합하여 페이스트를 형성한 후, 하수관이 설치되어 있는 트렌치에 채움재 페이스트를 충진하게 되는데, 전체 재료에 대한 물의 비(W/M)는 55~100%로 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서 각 재료의 배합비를 선정하게 된 실험과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1. 재료
본 실험에서는 국내산 플라이애시 및 칼슘알루미네이트계 바인더를 사용하였였고, 플라이애시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아래의 표 1에, 칼슘알루미네이트계 결합재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7062714394-pat00001
유동화제(Add)는 나프탈렌계 유동화제를 사용하였고, 경화촉진제는 시약급으로 소듐카보네이트(Acc1), 칼슘하이드록사이드(Acc2) 및 소듐설페이트(Acc3)를 사용하였다.
가소제는 국내 J社 제품으로 아크릴산 나트륨 중합체와 아크릴 아마이드 중합체를 사용하였다.
Figure 112017062714394-pat00002
2 실험방법
실험은 총 3단계에 걸쳐서 진행되었으며, 배합비와 첨가제를 변경해가면서 플로우 테스트와 4시간 압축강도를 측정하였다.
호바트 혼합기를 사용하여 플라이애시와 칼슘알루미네이트 결합재 및 물을 혼합하여 페이스트를 만들었다.
즉, 용기에 물을 붓고 칼슘알루미네이트와 플라이애시를 투입한다. 그리고 저속으로 혼합기를 40초 동안 작동시킨다. 혼합기의 작동을 멈추고 20초 동안 비트로 용기의 바닥과 벽에 부착된 모든 페이스트를 떼어내면서 손비빔을 실시한다.
그 후, 가소제를 투입하여 20초간 손비빔을 하여 혼합을 완료하였다. 페이스트의 테이블 플로우 시험(flow test)은 KS L 5111의 규정을 만족하는 장비로 시행하였다.
압축강도 시험용 시편은 페이스트의 테이블 플로우를 측정한 다음 50ㅧ50ㅧ50mm의 각 주형 시험체 틀에 넣어 KS L 5105 규정에 의거하여 제작하였다.
페이스트의 압축강도는 제작한 시편을 21℃로 설정된 항온항습 챔버에서 4시간 동안 양생하여 3000kN UTM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3. 실험결과
(1) 1단계 실험결과
1단계 실험은 주재료, 즉 필러(플라이애시)와 칼슘알루미네이트계 바인더의 배합비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었다. 아래의 표 3은 1단계 실험의 최종 배합사항을 나타낸 것이며, 표 4 및 도 3의 그래프는 실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17062714394-pat00003
위의 표 4는 모든 실험데이터를 다 기재한 것이 아니며, 기준값을 만족하지 못하고 무의미한 데이터는 삭제한 상태로 나타낸 것이다(이하의 실험에서도 동일).
표 4 및 도 3의 그래프에 나타난 실험 결과를 살펴보면, CA 치환율(주재료 대비 CA의 중량비)이 5~20%에서 정치 상태의 플로우값이 100mm 이상으로 기준값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ure 112017062714394-pat00004
그리고 진동 상태에서의 플로우값도 200mm 이상으로 기준값을 넘어 양호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CA 치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테이블플로우의 정치 조건을 만족하는데 사용되는 가소제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CA 주성분인 C12A7이 유동성에 관여하는 자유수와 급격하게 반응하여 자유수의 양을 감소시키면서 결합재에 흡착한 다음 결합재를 응집시킨 결과로 사료된다.
따라서 물분자와 수소결합을 통해 일시적으로 자유수의 작용을 억제시켜 유동성 상실을 유도하는 가소제의 양이 상대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테이블 플로우는 표 3의 모든 배합범위에서 양호하였지만, 모든 배합 범위에서 페이스트가 4시간 후 경화가 되지 않았는데, 상기한 배합으로는 채움재로서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 2단계 실험결과
1단계 실험에서는 CA의 치환율이 중심이었고, CA 치환율은 주재료의 질량 대비 5~20%의 수준에서는 유동성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ure 112017062714394-pat00005
이에 2단계 실험에서는 주재료의 배합비를 고정시키고, 1단계 실험시 배합에서 나타난 조기 압축강도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경화촉진제의 종류와 배합비를 변경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표 5는 2단계 실험의 최종 배합사항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표 6 및 도 4의 그래프는 2단계 실험의 테이블 플로 및 4hr 압축강도 시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촉진제1(소듐카보네이트)을 사용하는 경우 플레인 배합(촉진제 없는 비교군)과 동일한 가소제량을 사용하면 주재료의 질량 대비 0.5% 첨가시 정치 테이블 플로우는 플레인과 동일하게 나타났으나, 1.0% 첨가시 정치 테이블 플로우는 플레인에 비해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촉진제1의 첨가율에 관계없이 4hr에 경화가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ure 112017062714394-pat00006
촉진제3을 사용하는 경우 0.5% 첨가시 플레인과 동일한 정치 테이블플로우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가소제의 사용량을 2배로 증가시켜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1.0% 첨가 2배의 가소제를 사용해도 유동성을 상실시키는 작용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촉진제3의 첨가율에 관계없이 4hr에 경화가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촉진제2를 사용한 경우 플레인 배합과 동일한 가소제량을 사용하면 0.5% 첨가시 정치 테이블 플로우는 플레인에 비해 작게 나타났고, 1.0% 첨가시 가소제량을 대폭 감소시켜도 정치 테이블 플로우가 플레인에 비해 작게 나타났다.
촉진제2를 1.0%c 사용한 배합에서만 유일하게 4hr에 강도를 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값도 기준값이 0.13MPa을 크게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3단계 실험결과
3단계 실험에서는 2단계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CA 치환율을 2개로 고정하고, 촉진제2의 함량을 세분화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표 7은 3단계 실험의 최종 배합사항을 나타낸 것이다. 표 8은 3단계 실험의 테이블 플로우 및 4hr, 7일 압축강도 시험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위 시험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17062714394-pat00007
Figure 112017062714394-pat00008
실험결과를 살펴보면, CA 사용량에 관계없이 촉진제2 첨가율이 증가할수록 테이블 플로의 정치 조건을 만족하는데 사용되는 가소제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촉진제2가 하수관거 뒤채움용 속경성 결합재의 반응성을 향상시킨 것에 기인한 결과로 사료된다. 압축강도는 CA 10% 치환하고 촉진제2를 최소 0.6% 이상 첨가한 배합에서 재령 4시간에 급격히 경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소결
조기강도 발현을 위한 속경성, 재료유실 방지를 하는 가소성, 좁은 공간에도 쉬운 보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유동성, 수중시공을 위한 수중불분리성을 갖춘 하수관거 뒤채움용 속경성 결합재의 최적배합을 도출하기 위하여 위와 같이 실험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로 하수관거 뒤채움용 속경성 결합재의 최적 배합을 표 9와 같이 도출하였다.
Figure 112017062714394-pat00009
그리고 상기한 최적 배합비를 결정한 후, 이 배합비에서 가소제의 양을 결정하기 위한 추가 실험을 진행하였다. 표 10은 실험의 최종 배합사항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표 11은 속경성 결합재 특성 파악 실험의 테이블 플로우 시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시험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고, 표 12 및 도 7의 그래프는 실험의 압축강도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17062714394-pat00010
Figure 112017062714394-pat00011
실험결과를 살펴보면, W/M이 높아질수록 가소제의 첨가량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령 4시간 압축강도는 W/M 70% 이하에서 0.55~0.64MPa 범위로 나타났고, W/M 80% 이상에서는 0.20MPa 정도로 나타났다. 재령 7일 압축강도는 W/M 70% 이하에서 0.55~0.73MPa 범위로 나타났고, W/M 80% 이상에서는 0.23~0.24MPa 정도로 나타났다.
Figure 112017062714394-pat00012
이상의 결과로 판단했을 때, 속경성 결합재 페이스트의 W/M을 100% 까지 증가시켜도 가소제 첨가량을 적절히 조정하여 사용하면 요구성능을 만족시키면서 경제성 또한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저장탱크(50)에 수납되는 채움재 분말을 제1탱크(32)로 공급하는 공급부(70)를 더 포함하므로 작업자가 저장탱크(50)에 채움재를 공급하여 수납한 후에 공급부(70)를 구동시키면 제1탱크(32)에서 물과 혼합되는 채움재의 양을 조절하며 공급하므로 채움재와 물이 일정한 비율로 혼합될 수 있게 된다.
공급부(70)는, 저장탱크(50)로부터 제1탱크(32)로 연장되는 가이드관(72)과, 가이드관(72)에 설치되고, 저장탱크(50)로부터 채움재 분말을 가이드관(72)을 따라 이동시키는 스크루(74)와, 스크루(74)에 동력을 제공하는 공급모터(76)를 포함한다.
따라서 공급모터(76)에 전원이 인가되면 공급모터(76)의 동력이 스크루(74)에 전달되므로 저장탱크(50)에 수납된 채움재가 가이드관(72)을 따라 상승되므로 제1탱크(32)에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저장탱크(50)에는 가이드관(72)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52)이 형성되고, 경사면(52)에는 채움재 분말이 가이드관(72)의 입구 측으로 이동되게 하는 진동을 제공하는 진동부(52a)가 설치된다.
따라서 저장탱크(50)의 내벽 또는 바닥면에 분말의 채움재가 누적되지 않고 가이드관(72)의 하단 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스크루(74)의 작동에 의해 가이드관(72)을 따라 제1탱크(32) 측으로 상승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저장탱크(50)에 공급되는 채움재 포대를 절개하여 포대에 수납된 채움재가 저장탱크(50) 내부에 쏟아지게 하는 절개부(54)를 더 포함하고, 절개부(54)는, 저장탱크(50)의 입구부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지지대(54a)와, 다수 개의 지지대(54a)가 연결되는 저장탱크(50)의 중앙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고 포대를 절개하는 송곳부재(54b)를 포함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저장탱크(50) 상부 측에 채움재 포대를 안착시키면 포대가 다수 개의 지지대(54a) 상면에 안착되면서 송곳부재(54b)에 의해 포대 일부분이 절개되어 개구되고, 송곳부재(54b)에 의해 개구된 포대의 개구부를 통해 분말의 채움재가 유실되면서 저장탱크(50) 내부로 공급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포대로부터 채움재가 모두 배출되어 저장탱크(50)에 저장되면서 작업자는 가벼워진 포대를 지지대(54a)로부터 거치하여 외부로 쉽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저장탱크(50)에 저장되는 채움재는 공급모터(76)의 구동에 의해 스크루(74) 및 가이드관(72)을 따라 상승하게 되는데, 공급모터(76)의 출력축(76a)은 유니버설조인트(74b)에 의해 스크루(74) 회전축(74a)에 연결되므로 모터의 출력축(76a)과 스크루(74)의 회전축(74a)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며 연결되어도 공급모터(76)의 동력이 전달될 수 있게 된다.
공급모터(76)는 제1탱크(32)의 상부에 설치되는 가이드패널에 설치되고, 공급모터(76)의 출력축(76a)에 설치되는 주동기어(76b)와, 제1전달축(77)에 설치되는 종동기어(77a)는 베벨기어 방식으로 연결되어 공급모터(76)의 동력을 수직방향으로 변환시켜 전달하고, 제1전달축(77)과 베벨기어 방식으로 연결되고, 스크루(74) 측으로 연장되는 제2전달축(78)과 스크루(74)의 회전축(74a)은 유니버설조인트(74b)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제1저장탱크(50)의 상부에 설치되는 공급모터(76)의 동력이 출력축(76a), 주동기어(76b), 종동기어(77a), 제1전달축(77), 제2전달축(78) 및 유니버설조인트(74b)를 통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스크루(74)의 회전축(74a)에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경형 가소성 채움재를 이용하는 동공부 채움장치를 이용하는 동공부 채움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경형 가소성 채움재를 이용하는 동공부 채움장치를 이용하는 동공부 채움방법은, 채움재 분말을 물과 혼합하여 혼합보관부에 저장하고, 액상 또는 젤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교반시키는 단계와, 동공부 일측에 오버플로우관을 설치하는 단계와, 동공부 타측에 배출관(88)을 삽입하고, 혼합보관부로부터 배출되는 채움재를 동공부에 주입하는 단계와, 오버플로우관을 통해 채움재가 배출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오버플로우관을 통해 채움재가 배출되면 채움재 주입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로에 동공이 형성되면, 작업자는 차량(10)을 주행하여 동공이 발생되는 지역으로 신속하게 이동하고, 동공이 형성된 지역의 일측에 주입홀부가 시공하고, 동공이 형성된 지역의 타측에 오버플로우관을 설치한 후에 주입홀부에 배출관(88)을 삽입한다.
본 실시예의 채움재 분말과 물을 혼합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채움재 분말이 저장되는 저장탱크(50)로부터 혼합보관부 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관(72)과, 가이드관(72)에 설치되는 스크루(74)와, 스크루(74)에 동력을 제공하는 공급모터(76)를 포함하는 공급부(70)의 작동에 의해 채움재 분말이 혼합보관부에 공급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채움재 분말의 공급은, 차량(10) 이동 중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작업자가 공급하여 저장탱크(50)에 수납된 채움재 분말이 공급부(70)의 작동에 의해 제1탱크(32)에 공급되고, 펌프(82)의 작동에 의해 공급되는 물이 물탱크(84)로부터 제1탱크(32)에 공급되어 제1교반기(36)의 작동에 의해 채움재 분말과 물이 일정한 비율로 혼합되고, 제1탱크(32)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도어부재(32a)가 개방되면서 제1탱크(32)에서 혼합되는 채움재는 제2탱크(34)에 공급되어 제2교반기(38)에 의해 유동되면서 경화되는 것을 방지하며 보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채움재는 경화되지 않게 교반되면서 저장되고, 작업자가 노즐(88b)을 차량(10)의 고정대(88a)로부터 분리시켜 주입홀부에 삽입한 후에 펌프(82)를 구동시키면, 펌프(82)의 작동에 의해 채움재가 배출관(88) 및 노즐(88b)을 통해 동공에 주입되고, 동공에 충진된 채움재가 오버플로우관을 따라 지면으로 배출되면 작업자는 동공의 채움작업이 완료된 것으로 확인하여 주입작업을 종료하게 된다.
이때, 펌프(82)의 구동에 의해 배출관(88)을 따라 주입되는 채움재의 양을 유량계(83)에 의해 측정하게 되므로 동공부에 주입된 채움재의 양을 통해 동공부의 크기를 판단할 수 있게 되고, 배출관(88)에 설치되는 압력계(85)에 의해 채움재의 주입 압력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동공부에 채움재가 주입되기 시작하면 채움재 주입 압력은 일정치까지 상승된 후에 더 이상 상승되지 않고, 동공부 내부에 충진재가 모두 충진된 후에는 오버플로우관을 따라 채움재가 동공부로부터 배출되기 시작하고, 이와 동시에 채움재의 주입 압력이 상승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오버플로우관을 통해 채움재가 배출되기 시작한 후에 채움재의 주입을 지속하면 다시 채움재 주입 압력이 상승되기 시작하면서 동공부 내부에 충진되는 채움재가 압축되면서 밀실하게 채워지게 되고, 일정 시간 채움재 주입 압력이 상승된 후에는 더 이상 주입 압력이 상승되지 않는 구간이 발생된다.
오버플로우관을 따라 채움재가 배출되기 시작한 후에도 채움재의 주입을 지속하여 주입 압력이 일정치까지 상승된 후에 더 이상 상승되지 않으면 동공부에 채움재가 압축되면서 밀실되게 충진된 것으로 판단하여 채움재 주입 작업을 완료한다.
이로써, 도로에 발생되는 싱크 홀(sink hole)에 의해 형성되는 동공부에 채움재를 직접 충진시켜 동공부 채움공정을 간소화하고, 동공부 채움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속경형 가소성 채움재를 이용하는 동공부 채움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동공부 채움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속경형 가소성 채움재를 이용하는 동공부 채움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동공부 채움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속경형 가소성 채움재를 이용하는 동공부 채움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동공부 채움방법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동공부 채움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동공부 채움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차량 32 : 제1탱크
32a : 도어부재 34 : 제2탱크
36 : 제1교반기 38 : 제2교반기
50 : 저장탱크 52 : 경사면
54 : 절개부 54a : 지지대
54b : 송곳부재 70 : 공급부
72 : 가이드레일 74 : 스크루
74a : 구동축 74b : 유니버셜조인트
76 : 공급모터 76a : 출력축
76b : 주동기어 77 : 제1전달축
77a : 종동기어 78 : 제2전달축
82 : 펌프 83 : 유량계
84 : 물탱크 85 : 압력계
86 : 발전기 88 : 배출관
88a : 고정대 88b : 노즐

Claims (7)

  1. 수납부를 구비하는 차량;
    상기 수납부에 설치되고, 채움재 분말이 저장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채움재 분말에 공급되는 물을 담수하도록 상기 수납부에 설치되는 물탱크;
    상기 저장탱크 및 상기 물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채움재 분말과 물을 혼합하고 보관하는 혼합보관부;
    상기 혼합보관부로부터 배출되는 채움재를 수납부 외측으로 안내하고 동공부 내부로 안내하는 배출관;
    상기 혼합보관부로부터 배출되는 채움재를 배출관을 따라 토출시키는 압력을 제공하는 펌프;
    동공부의 크기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관에 설치되고, 상기 펌프에 의해 동공부에 주입되는 채움재의 양을 측정하는 유량계;
    동공부에 주입되는 채움재의 주입 압력이 일정 압력까지 상승된 후에 더 이상 상승되지 않을 때에 동공부의 채움재 충진 완료 여부를 판단하도록 상기 배출관에 설치되고, 채움재의 주입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 및
    상기 펌프에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발전기를 포함하고,
    상기 혼합보관부는,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채움재 분말과, 상기 물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혼합되도록 제1교반기가 설치되는 제1탱크; 및
    상기 제1탱크로부터 배출되는 채움재를 유동시키면서 채움재가 경화되는 것을 방지하며 보관하도록 제2교반기가 설치되는 제2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탱크에 수납되는 채움재 분말을 상기 제1탱크로 공급하는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급부는,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상기 제1탱크로 연장되는 가이드관;
    상기 가이드관에 설치되고,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채움재 분말을 상기 가이드관을 따라 이동시키는 스크루; 및
    상기 스크루에 동력을 제공하는 공급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탱크에는 상기 가이드관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에는 채움재 분말이 상기 가이드관의 입구 측으로 이동되게 하는 진동을 제공하는 진동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경형 가소성 채움재를 이용하는 동공부 채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a) 채움재 분말을 물과 혼합하여 혼합보관부에 저장하고, 액상 또는 젤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교반시키는 단계;
    (b) 동공부 일측에 오버플로우관을 설치하는 단계;
    (c) 동공부 타측에 배출관을 삽입하고, 상기 혼합보관부로부터 배출되는 채움재를 동공부에 주입하는 단계;
    (d) 상기 오버플로우관을 통해 채움재가 배출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e) 상기 오버플로우관을 통해 채움재가 배출되면 채움재 주입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 단계는, 채움재 분말이 저장되는 저장탱크로부터 상기 혼합보관부 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관과, 가이드관에 설치되는 스크루와, 스크루에 동력을 제공하는 공급모터를 포함하는 공급부의 작동에 의해 채움재 분말이 상기 혼합보관부에 공급되고,
    상기 저장탱크에는 상기 가이드관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에는 채움재 분말이 상기 가이드관의 입구 측으로 이동되게 하는 진동을 제공하는 진동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경형 가소성 채움재를 이용하는 동공부 채움장치를 이용하는 동공부 채움방법.
  7. 삭제
KR1020170082898A 2017-06-29 2017-06-29 속경형 가소성 채움재를 이용하는 동공부 채움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동공부 채움방법 KR101860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898A KR101860943B1 (ko) 2017-06-29 2017-06-29 속경형 가소성 채움재를 이용하는 동공부 채움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동공부 채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898A KR101860943B1 (ko) 2017-06-29 2017-06-29 속경형 가소성 채움재를 이용하는 동공부 채움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동공부 채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0943B1 true KR101860943B1 (ko) 2018-05-24

Family

ID=62299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2898A KR101860943B1 (ko) 2017-06-29 2017-06-29 속경형 가소성 채움재를 이용하는 동공부 채움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동공부 채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09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7695B1 (ko) * 2023-03-14 2023-09-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로 굴착복구 공사용 석분슬러지를 활용한 되메움재, 보조기층재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시스템 및 시공방법
KR102609269B1 (ko) * 2023-05-31 2023-12-05 주식회사 제이에스이앤씨 스마트 공동 복구 시스템 및 복구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00848B2 (ja) * 2004-06-14 2010-12-22 三和機材株式会社 泥水泥土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装置
KR101709125B1 (ko) * 2015-07-27 2017-02-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수관거 충진용 속경형 가소성 뒤채움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00848B2 (ja) * 2004-06-14 2010-12-22 三和機材株式会社 泥水泥土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装置
KR101709125B1 (ko) * 2015-07-27 2017-02-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수관거 충진용 속경형 가소성 뒤채움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7695B1 (ko) * 2023-03-14 2023-09-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로 굴착복구 공사용 석분슬러지를 활용한 되메움재, 보조기층재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시스템 및 시공방법
KR102609269B1 (ko) * 2023-05-31 2023-12-05 주식회사 제이에스이앤씨 스마트 공동 복구 시스템 및 복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9125B1 (ko) 하수관거 충진용 속경형 가소성 뒤채움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US20140221534A1 (en) Tunneling annulus grout
WO2006051875A1 (ja) 地盤改良材用組成物、それを用いた注入材及びその使用方法
CN101811855A (zh) 一种水泥基无机防水灌浆料
KR101908533B1 (ko) 고강도 및 고내구성 경량 그라우트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그라우팅 시공방법
CN101793021B (zh) 一种预加骨料搅拌桩的地基加固方法
KR101860943B1 (ko) 속경형 가소성 채움재를 이용하는 동공부 채움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동공부 채움방법
Sun et al. Grouting material development and dynamic grouting test of broken rock mass
KR101990324B1 (ko) 공동주택 외벽 보수 보강 공법
Parhi et al. A comprehensive study on controlled low strength material
KR100938884B1 (ko) 친환경성 시멘트계 광물을 이용한 지중 공동부 그라우팅용 급결몰탈 및 이를 이용한 그라우팅 방법
JP2010235721A (ja) 注入工法
CN113929365A (zh) 一种自密实固化土及其使用方法
KR101542078B1 (ko) 친환경 흙막이벽 및 그 시공방법
Rabbani et al. The effect of the depth of cutter soil mixing on the compressive behavior of soft clay treated by alkali-activated slag
US20150027346A1 (en) Tunneling annulus grout
KR101946944B1 (ko) 도로 하부 공동 충진방법
KR102015563B1 (ko) 유동성 복토재 조성물
KR20220043317A (ko) 강관 보강 다단 그라우팅을 위한 그라우팅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그라우팅 방법
KR102393263B1 (ko) 저유동 충진재를 이용한 도로 하부 공동 충진방법
WO2020008794A1 (ja) ボルト定着用セメント組成物及びボルト定着工法
JP2004075746A (ja) 地中接合用2液性充填材
KR100272950B1 (ko) 폐기물 매립장의 차수벽 설치공법
KR101146339B1 (ko) 무다짐 무진동 기능성 유동화 채움재
KR102131123B1 (ko) 차수특성을 보유하는 복합 주입재를 이용하는 표준화 품질관리 시스템 적용 그라우팅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