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0875B1 -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탈취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탈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0875B1
KR101860875B1 KR1020160087121A KR20160087121A KR101860875B1 KR 101860875 B1 KR101860875 B1 KR 101860875B1 KR 1020160087121 A KR1020160087121 A KR 1020160087121A KR 20160087121 A KR20160087121 A KR 20160087121A KR 101860875 B1 KR101860875 B1 KR 101860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wool
nozzle
container
water vapo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7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6587A (ko
Inventor
백영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성엔터프라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성엔터프라이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성엔터프라이즈
Priority to KR1020160087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0875B1/ko
Publication of KR20180006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6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0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0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61L9/205Ultraviolet 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with means for influencing the odor, e.g. deodorizing substances
    • B09B3/008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xhaust Gas Treatment By Means Of Catalyst (AREA)
  • Catalyst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 건조중 발생되는 수증기에 포함된 악취가 필터로 보내지는 통로에 중공상의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에 이온발생수단 및 광촉매수단을 설치하여 악취가 적극적으로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음식물 처리기 내부의 한정된 공간에서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또한 메탈울에 산화티타늄을 코팅하여 공기흐름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악취가 최대한 제거되도록 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음식물을 가열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에서 발생되는 수증기가 통과되는 필터 사이에 산화티타늄이 코팅된 메탈울이 내장된 몸체가 구비되어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탈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탈울은 나선형으로 꼬인 중심축에 끝단이 묶여서 원기둥의 형태가 되도록 방사상으로 무수히 많이 형성되어서 상기 중공상의 몸체의 내부에 빈 공간 없이 채워지며;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는 내부로 통하는 다수의 LED구멍이 천공되고; 상기 LED구멍에 일대일 대응되게 끼워지는 자외선LED를 갖는 회로기판이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체결되어서 상기 메탈울에서 광촉매반응이 일어나도록 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탈취장치{Food waste disposal deodorizer}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탈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열 건조중 발생되는 수증기에 포함된 악취가 필터로 보내지는 통로에 중공상의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에 이온발생수단 및 광촉매수단을 설치하여 악취가 적극적으로 제거되도록 하고, 처리기 내부의 좁은 공간에 효과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는 약 80 ~ 90%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고 그 양을 줄이기 위해서는 가열건조 및 미생물반응의 발효 과정을 거쳐 처리하고 있으나, 이때 다량의 수분과 고농도의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 간접 가열식 음식물 처리기의 본체부 내부의 공기는 각종 유해 가스와 악취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그대로 대기 중으로 방출된다면 사용자의 건강을 해칠 우려가 있다. 특히 황화수소와 같은 산성 계 가스와 암모니아와 같은 염기성계 가스는 인체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유해가스와 악취가 제거되도록 1차 탈취 필터와 2차 탈취 필터를 구비하고, 이를 통과시킨다.
탈취하는 방법에 있어서, 활성탄흡착법, 세정법, 미생물탈취법, 오존산화법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촉매를 이용한 탈취방법이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처리기는 단순히 활성탄흡착법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암모니아 같은 유해가스는 그대로 방출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자는 특허 제952927호에서 관체 내부에 광촉매수단을 설치하고, 외부에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유해균을 살균처리하고, 공기의 체류시간을 늘릴 수 있는 공기살균 정화시스템을 제안한 바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자의 정화시스템을 음식물처리기에 접목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열 건조중 발생되는 수증기에 포함된 악취가 필터로 보내지는 통로에 중공상의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에 이온발생수단 및 광촉매수단을 설치하여 악취가 적극적으로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음식물 처리기 내부의 한정된 공간에서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또한 메탈울에 산화티타늄을 코팅하여 공기흐름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악취가 최대한 제거되도록 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탈취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음식물을 가열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에서 발생되는 수증기가 통과되는 필터 사이에 산화티타늄(TiO2)이 코팅된 메탈울이 내장된 몸체가 구비되어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탈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탈울은 나선형으로 꼬인 중심축에 끝단이 묶여서 원기둥의 형태가 되도록 방사상으로 무수히 많이 형성되어서 상기 중공상의 몸체의 내부에 빈 공간 없이 채워지며;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는 내부로 통하는 다수의 LED구멍이 천공되고; 상기 LED구멍에 일대일 대응되게 끼워지는 자외선LED를 갖는 회로기판이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체결되어서 상기 메탈울에서 광촉매반응이 일어나도록 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식물 처리기 내부에서 발생된 수증기가 활성탄필터로 향하는 통로상에 중공상의 몸체가 연결되고, 몸체 내부에는 산화티타늄이 코팅된 메탈울(metal wool)이 내장된다. 상기 몸체 내부의 공기흐름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악취가 메탈울에 최대한 많이 접촉되어 촉매반응이 일어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몸체에는 상기 메탈울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LED가 다수개 마련되고, 몸체 상부에는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기가 장착되므로 하나의 몸체에 광촉매수단과 이온발생수단이 구비되어 부피를 많이 차지하지 않는다.
따라서 공간이 한정된 음식물처리기 내부에 탈취장치가 설치되어 효과적으로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탈취장치가 적용된 음식물 처리기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탈취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탈취장치의 단면도
도 1 내지 도 3에서 본 발명 한 실시예의 탈취장치는 중공상의 몸체(20)가 구비된다. 상기 몸체(20)는 길이방향으로 양분되고 마주 접하는 면에 볼트가 체결되어 한몸체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20)의 상부는 음식물 처리기 본체(10) 내부의 입구연결대(13)와 결합되고, 하부는 출구연결대(14)와 결합된다. 본체(10)에는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용기(11)가 구비되고, 상기 용기(11) 하부에는 음식물을 가열하는 가열기(12)가 구비된다.
상기 입구연결대(13)는 상기 용기(11)와 연결되어서 수증기가 몸체(20)로 향하도록 안내하고, 상기 출구연결대(14)는 활성탄필터(15)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20) 내부에는 메탈울(30)이 구비된다. 상기 메탈울(30)은 중심축(31)이 나선형으로 꼬인 철사로 구성되고, 중심축(31)에 메탈울(30)의 끝단이 묶여 고정된다. 이러한 메탈울(30)은 원기둥이 되도록 상기 중심축(31)에 방사상으로 무수히 많이 고정된다.
상기 양분된 몸체(20)의 내주면 상,하측에는 서로 대응되는 축지지편(21)이 구비되는데, 상기 몸체(20)가 하나로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중심축(31)의 상,하단을 잡아서 상기 메탈울(30)이 상기 몸체(20)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해준다.
상기 메탈울(30)은 산화티타늄이 코팅되어 자외선이 조사되면 광촉매반응을 일으킨다. 또한 상기 메탈울(30) 상부의 몸체(20) 내부에는 이온을 방출하는 노즐(40)이 구비되는데, 상기 노즐(40)은 다공성의 망(42)으로 감싸져 보호되고, 노즐고정관(43)에 끼워져 상기 몸체(20)에 결합된다. 그리고 너트(44)가 상기 노즐고정관(43)에 체결되면 노즐(40)이 몸체(20)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망(42)의 상부에는 수증기와의 직접 접촉을 막는 커버(23)가 몸체(20)의 내주면에 돌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20)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LED구멍(22)이 천공되고, 상기 LED구멍(22)에 일대일 대응되어 끼워지는 자외선LED(50)를 갖는 회로기판(51)이 구비되는데, 상기 회로기판(51)은 몸체(20)의 외주면에 나사못으로 체결 고정된다. 또한 상기 몸체(20)의 상부 외주면에는 상기 노즐(40)과 연결되는 이온발생기(41)가 구비된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 한 실시예는 용기(11)와 활성탄필터(15)가 연결되는 통로상에 몸체(20)가 구비된다. 상기 몸체(20)는 상측이 입구연결대(13)를 통하여 용기(11)와 연결되고, 하부는 출구연결대(14)를 통하여 활성탄필터(15)와 연결된다. 따라서 음식물의 가열 및 건조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 성분이 몸체(20) 내부를 거치면서 광촉매반응 및 이온반을을 거쳐 제거된다.
상기 자외선LED(50)는 산화티타늄에 대한 광촉매 반응을 일으키는데 적합한 파장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티타늄은 약 185 ~ 385nm의 파장대를 갖는 빛을 받으면 전자가 여기 되면서 반응이 시작되고, 산화력이 강하기 때문에 악취제거나 살균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상기 메탈울(30)에 코팅된 산화티타늄은 빛을 에너지원으로 하여 산화와 환원(화학 반응)을 일으켜 각종 세균, 악취 및 유해물질을 분해하여 인체에 무해한 물질로 만들어주는 준다.
상기 몸체(20)는 중공상으로 구성되고 용기(11)와 활성탄필터(15)를 연결하는 통로상에 구비되기 때문에 부피를 많이 차지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몸체(20) 내부에는 메탈울(30)이 원기둥의 형태로 무수히 많이 방사상으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공기 접촉면적이 최대화되어 좁은 공간에서 악취를 최대한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이온발생기(41)와 연결된 노즐(40)에서 이온이 방출되어 악취를 1차적으로 탈취하고, 이때 발생되는 오존은 메탈울(30)의 촉매반응 과정에서 제거되므로 인체에 무해하다.
10 : 본체 11 : 용기
12 : 가열기 13 : 입구연결대
14 : 출구연결대 20 : 몸체
21 : 축지지편 22 : LED구멍
30 : 메탈울 31 : 중심축
40 : 노즐 41 : 이온발생기
42 : 망 43 : 노즐고정관
50 : 자외선LED

Claims (4)

  1. 음식물을 가열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에서 발생되는 수증기가 통과되는 필터 사이에 산화티타늄이 코팅된 메탈울이 내장된 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상부에는 내부로 통하는 노즐이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외부에는 상기 노즐과 회로적으로 연결되어서 상기 노즐에서 이온이 방출되도록 하는 이온발생기가 구비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탈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길이방향으로 양분되고 마주 접하는 면에 볼트가 체결되어 하나로 결합되며, 상기 몸체의 상부는 상기 용기와 연결된 입구연결대와 결합되고, 하부는 상기 필터로 향하는 출구연결대와 결합되고;
    상기 메탈울은 나선형으로 꼬인 중심축에 끝단이 묶여서 상기 몸체 내부에 채워지게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내주면 상하측에는 상기 중심축의 상하단을 잡아주는 축지지편이 구비되며;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는 내부로 통하는 다수의 LED구멍이 천공되고, 상기 LED구멍에 일대일 대응되게 끼워지는 자외선LED를 갖는 회로기판이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체결되고; 그리고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상기 노즐을 감싸는 망을 덮어서 수증기로부터 보호하는 커버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탈취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60087121A 2016-07-08 2016-07-08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탈취장치 KR101860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121A KR101860875B1 (ko) 2016-07-08 2016-07-08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탈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121A KR101860875B1 (ko) 2016-07-08 2016-07-08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탈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6587A KR20180006587A (ko) 2018-01-18
KR101860875B1 true KR101860875B1 (ko) 2018-05-24

Family

ID=61028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121A KR101860875B1 (ko) 2016-07-08 2016-07-08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탈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087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32459A (zh) * 2018-11-22 2019-03-08 湖南环境生物职业技术学院 一种临床医学内科专用的消毒器
KR20200103213A (ko) 2019-02-22 2020-09-02 주식회사 유진테크 탈취기능이 개선된 마이크로 버블 탈취기
KR20220000031A (ko) 2020-06-24 2022-01-03 주식회사 에코프랜드리 선택적 발광을 통한 음식물 처리 자동화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0979B1 (ko) * 2019-04-26 2021-01-08 정창현 이오나이저를 이용한 음식물 처리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42691B2 (ja) 1988-09-16 1997-08-20 三洋電機株式会社 脱臭装置
JP2007327685A (ja) 2006-06-07 2007-12-20 Shiko:Kk 消臭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42691B2 (ja) 1988-09-16 1997-08-20 三洋電機株式会社 脱臭装置
JP2007327685A (ja) 2006-06-07 2007-12-20 Shiko:Kk 消臭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32459A (zh) * 2018-11-22 2019-03-08 湖南环境生物职业技术学院 一种临床医学内科专用的消毒器
KR20200103213A (ko) 2019-02-22 2020-09-02 주식회사 유진테크 탈취기능이 개선된 마이크로 버블 탈취기
KR20220000031A (ko) 2020-06-24 2022-01-03 주식회사 에코프랜드리 선택적 발광을 통한 음식물 처리 자동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6587A (ko) 2018-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0875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탈취장치
JP4355315B2 (ja) 流体浄化装置
US20140305790A1 (en) Process for treating effluents in a bed of microbeads by cold plasma and photocatalysis
KR101033291B1 (ko) 살균기능을 겸하는 악취제거 탈취탑 및 이의 이용방법
KR101046214B1 (ko) 살균 탈취 장치 및 그 방법
KR102226500B1 (ko) 탈취기능이 개선된 마이크로 버블 탈취기
KR100718676B1 (ko) 광촉매 비드체를 이용한 수질살균정화장치
KR20120029665A (ko) 플라즈마를 이용한 친환경 축산 악취저감 및 제균 장치
KR20150011062A (ko) 세라믹 멤브레인과 플라즈마를 이용한 악취처리장치
CN212511553U (zh) 一种用于室内空气净化消毒的净化器
KR102033472B1 (ko) 플라즈마 공기정화 살균탈취기
JP2005205094A (ja) 空気浄化システム
KR101099776B1 (ko) 음식물 쓰레기처리기의 오존 및 지방산 처리장치
KR101404577B1 (ko) 악취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악취 제거방법
KR20060071691A (ko) 플라즈마 공기정화 살균 탈취기
JP3112295U (ja) 両極イオン強化光触媒空気清浄機
WO2018186653A1 (ko) 반사갓을 이용한 다용도 광촉매 정화장치
KR100349879B1 (ko) 오존과 자외선에 의한 살균 정수방법 및 살균 정수장치
KR100832888B1 (ko) 광촉매 회전용 블래이드를 구비한 정화장치
KR101052855B1 (ko) 음식물 처리기 하이브리드 살균 탈취 장치
KR20150014817A (ko) 탈취살균장치를 구비하는 주방 기기
KR101537029B1 (ko) 이산화염소가스 처리구조, 이산화염소가스 처리장치, 멸균장치 및 환경정화장치
KR20120075798A (ko) 제균장치
KR200427705Y1 (ko) 열소각 방식을 이용한 유해 공기 정화 장치
JP2004223000A (ja) 汚染空気の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