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0664B1 - 두피용 용액 도포기 - Google Patents

두피용 용액 도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0664B1
KR101860664B1 KR1020170021433A KR20170021433A KR101860664B1 KR 101860664 B1 KR101860664 B1 KR 101860664B1 KR 1020170021433 A KR1020170021433 A KR 1020170021433A KR 20170021433 A KR20170021433 A KR 20170021433A KR 101860664 B1 KR101860664 B1 KR 101860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lp
solution
container
receiving groov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1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정
Original Assignee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21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06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0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0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2Hand-actuated implements, e.g. hand-actuated spray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2019/0033Processes for treating the scalp

Landscapes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피용 용액 도포기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두피 도포용 용액이 담겨지고 일측에 통공(32)이 형성되는 용기(30), 상기 용기(30)가 착탈식으로 수용되는 수용홈(42)이 형성된 몸체(40), 상기 몸체(40)의 일측으로 돌출형성되어 머리카락을 가르고 넘기기 위한 섹션바(50), 상기 몸체(40)의 타측으로 돌출되고 용기(30)의 통공(32)과 연결되는 토출공(62)이 형성된 서포터(60), 스펀지 또는 솜으로 구성되어 상기 서포터(60)의 외주면에 커버된 브러시(7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두피에 용액을 도포함에 있어서 한 손으로 작업이 가능하여 전문가 뿐만 아니라 일반인도 용이하게 용액을 두피에 도포할 수 있도록 하는 두피용 용액 도포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두피용 용액 도포기{SOLUTION APPLICATOR FOR SCALP}
본 발명은 두피용 용액 도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두피 표면에 스캘프 트리트먼트용 용액을 도포함에 있어 머리카락 가름 및 용액 도포를 하나의 도구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두피용 용액 도포기에 관한 것이다.
건강한 두피는 적당한 지방막으로 덮여있고 모발에 피지막(皮脂膜)을 공급하며 정상의 각화(角化) 작용이 이뤄지는데, 최근 환경오염, 화학샴푸사용, 잦은 염색과 퍼머(permanent) 등에 의하여 두피가 손상되고 있어, 정상적인 상태의 두피로 회복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하나로 스캘프 트리트먼트[scalp treatment]가 있는데, 이는 두피(頭皮) 손질이라는 뜻으로, 물리적 자극을 주어 모발 및 두피의 생리기능을 건강하게 유지하거나, 헤어 토닉에 의해서 두피를 청결하게 유지하고 피지의 분비를 억제시킨다든지, 크림이나 유액에 의하여 부족한 영양분을 보충하여 손질하는 것 등을 말한다.
이러한 스캘프 트리트먼트 중 헤어 토닉, 크림 등의 용액을 도포하는 방법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면봉 혹은 젓가락 등 길쭉한 봉형의 몸체(12) 종단에 탈지면(14)을 감싸 스캘프용 면봉(10)을 만들어주고, 스캘프 트리트먼트용 용액을 실린더 등에 옮겨 담은 후, 상기 스캘프용 면봉(10)에 용액을 묻혀서 두피에 골고루 도포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스캘프용 용액을 두피에 골고루 도포하기 위해서는 끝이 뾰족한 꼬리빗으로 머리카락을 약간씩 구획하여 넘기는 동작을 함께 수행하여야 하므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자가 꼬리빗(20)과 스캘프용 면봉(10)을 양손에 잡고 도포하여야 하지만, 이는 전문가에게도 용이하지 않은 것으로, 이로 인하여 일반인이 직접 스캘프 트리트먼트를 할 경우 꼬리빗을 잡고 머리를 갈라서 넘긴 후 꼬리빗을 내려놓고 면봉을 다시 잡고 용액을 바르는 과정을 반복해야 하므로 시간이 오래 걸리고 이로 인하여 팔에 통증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두피에 용액을 도포하기 위하여 봉형의 몸체에 탈지면을 감아야 하므로, 준비과정이 번거롭고, 사용중 감은 탈지면이 풀어지면서 제 역할을 할 수 없어서 새로운 스캘프용 면봉을 준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 스캘프 트리트먼트용 용액은 통상의 샴프통이나 헤어오일통 등 별도의 용기에 담겨져 판매되는데, 상기와 같이 길쭉한 스캘프용 면봉의 탈지면에 골고루 용액이 묻도록 하기 위해서는 실린더 등의 길쭉한 용기를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고, 이러한 실린더와 같이 길쭉한 용기는 테이블에 세워놓기가 쉽지 않고 옆에서 살짝만 밀어도 넘어지는 등 보관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 두피에 스캘프 트리트먼트용 용액을 포함한 각종 용액을 용이하게 도포하기 위한 기구들이 개발되었는데, 그 예로는 등록실용신안 20-0408907호에서 두피에 액상의 영양제 및 스케일링제를 공급하기 위한 도포용 용기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단지 두피에 용액을 도포하기 위한 수단만 있을 뿐 머리카락을 가르고 넘기는 수단이 없어서 사용자가 직접 도포하는 경우 별도의 꼬리빗 등으로 가르마를 탄 후 해당 부분에 용액을 도포하여야 하므로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꼬리빗을 바닥에 놓았다, 들었다를 반복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고, 이로 인하여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포에 사용되는 롤링볼은 두피와 점접촉하므로 용액의 도포면적이 작아서 도포시간이 길어지는 등 도포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두피 표면에 스케일링액, 영양제 등의 스켈프 트리트먼트용 용액을 도포함에 있어 머리카락 가름 및 용액 도포를 하나의 도구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두피에 용액을 도포함에 있어서 한 손으로 작업이 가능하여 전문가 뿐만아니라 일반인도 용이하게 용액을 두피에 도포할 수 있도록 하는 두피용 용액 도포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두피 도포용 용액을 담는 용기를 상기 도포기에 착탈식으로 구비하되 용기로부터 용액이 자동으로 토출되어 두피에 도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 스캘프용 면봉에 용액을 묻히기 위한 노력 및 용액을 담은 병이 넘어지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하는 불편이 발생하지 않아 작업이 간편해지도록 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아울러, 상기 용액이 의도하지 않게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도포기를 절첩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부피가 최소가 되도록 함으로써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내부에 두피 도포용 용액이 담겨지고 일측에 통공이 형성되는 용기; 상기 용기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으로 돌출형성되어 머리카락을 가르고 넘기기 위한 섹션바(section bar); 상기 몸체의 타측으로 돌출되고 용기의 통공과 연결되는 토출공이 형성된 서포터(supporter); 스펀지 또는 솜으로 구성되어 상기 서포터의 외주면에 커버된 브러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두피용 용액 도포기에 있다.
상기에서 용기는 통공측이 돌출형성되어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에 마개를 오픈하여 통공을 개방하거나, 돌출부를 절단하여 통공을 개방할 수도 있고, 내부에 용액이 충진된 상태로 상기 돌출부 반대편이 밀폐되어 1회용으로 사용되도록 판매되거나, 돌출부 반대측 종단에 기밀이 유지되도록 개폐가능한 뚜껑을 형성하여 사용시마다 내용물을 충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섹션바는 몸체측으로 절첩가능하도록 구비되거나, 몸체에 삽입홈을 형성하여 그 내부로 밀어넣거나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용기는 탄성력 있는 튜브형으로 형성하고, 몸체는 상부가 개방된 수용홈을 형성하되, 상기 수용홈의 개방부분이 몸체 표면의 50%를 넘지 않도록 하여 용기를 지지함과 아울러 손으로 몸체를 잡았을 때 의도하지 않은 용기 압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용액이 원하지 않은 시점에 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스캘프 트리트먼트에 사용되는 도구를 한 손으로 모두 잡은 상태로 작업이 가능하게 되므로 작업이 편리하고 이로 인하여 전문가가 아닌 누구라도 용이하고 빠르게 스캘프 트리트먼트를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캘프 트리트먼트에 사용되는 용액 또한 일정량이 지속적으로 토출되고, 브러시가 두피와 면접촉하면서 동시에 넓은 면적에 용액을 골고루 도포할 수 있게 되므로 용액이 많이 토출되어 흘러내리거나 용액이 적게 토출되어 도포가 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도포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스캘프 트리트먼트용 용액이 투입되는 용기를 도포기에 교체가능하도록 꽂아서 사용하고, 상기 용액을 탄력성 있는 튜브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용기를 압박하여 용액을 토출하되, 몸체가 용기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하여 원하지 않은 시점에 용기가 압박되는 것을 방지하여, 용액을 원하는 시점에만 토출되도록 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면봉을 나타내는 사진
도 2는 종래 스캘프 트리트먼트 과정을 나타내는 사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피용 용액 도포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두피용 용액 도포기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하기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두피용 용액 도포기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에 두피 도포용 용액이 담겨지고 일측에 통공(32)이 형성되는 용기(30), 상기 용기(30)가 착탈식으로 수용되는 수용홈(42)이 형성된 몸체(40), 상기 몸체(40)의 일측으로 돌출형성되어 머리카락을 가르고 넘기기 위한 섹션바(50), 상기 몸체(40)의 타측으로 돌출되고 용기(30)의 통공(32)과 연결되는 토출공(62)이 형성된 서포터(60), 스펀지 또는 솜으로 구성되어 상기 서포터(60)의 외주면에 커버된 브러시(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용기(30)는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력 있는 수지재질의 튜브형태로 형성되어, 선단에 돌출부(34)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34)에 통공(32)을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통공(32)은 돌출부(34)에 별도의 마개(미도시)를 구비하여 오픈하거나,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34)의 선단(A)을 밀폐형성하여 그 일부를 가위나 칼 등으로 절단하여 통공(32)을 개방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용기(30)는 그 내부에 용액이 주입된 상태로 1회용으로 사용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통공(32)에 기밀이 유지되는 마개를 형성하고 그 반대측 종단에는 기밀이 유지되도록 개폐가능한 뚜껑을 형성하여 사용시마다 내용물을 충진할 수 있도록 하는 것 중에서 택일한다.
그리고, 상기 섹션바(50)는 선단이 뾰족한 종래의 꼬리빗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몸체(40) 측으로 절첩가능하도록 구비되거나,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몸체(40)에 삽입홈(44)을 형성하여 그 내부로 밀어넣거나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섹션바(50)를 절첩가능하도록한 구성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40)와 섹션바(50)의 종단을 힌지 결합하고, 섹션바(50)를 몸체(40)로 접었을 때 섹션바(50)가 수납될 수 있는 삽입홈(44)을 몸체(40)에 형성한다.
다른 예로서, 상기 섹션바(50)를 밀어넣도록 한 구성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몸체(40)에 길이방향으로 삽입홈(44)을 형성하고, 그 양 단부에 일측 고정돌기(45)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섹션바(50)는 삽입홈(44)의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로 형성되어 그 일측 종단에 상기 일측 고정돌기(45)와 맞물리는 타측 고정돌기(55)를 돌출형성하되, 상기 고정돌기들(45)(55)은 라운드지게 형성하여 결합이나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고, 상기 섹션바(50)를 당기거나 밀어넣었을 때 각각 그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몸체(40)의 수용홈(42)은 도 3,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내주면을 용기(30)의 외주형상과 대응되게 형성하되, 상부는 개방하여 해당 개방부분이 몸체(40) 표면의 50%를 넘지 않도록 함으로써 용기(30)를 수용홈(42)에 끼워넣었을 때 용기(30)의 상부 일부는 외부로 노출되고 하부는 용기(30)의 하부는 수용홈(42) 내부에 지지되도록 하며, 이러한 지지 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수용홈(42)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는 내측으로 지지벽(46)을 돌출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수용홈(42)에 용기(30)를 끼워넣은 상태에서 용기(30)가 외부로 이탈되거나 용기(30)로부터 흘러나온 용액이 수용홈(42)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용홈(42)의 후방 내부에는 탄성수단(47)을 매개로 지지판(48)을 설치하여 용기(30)를 전방으로 밀어서 가압하도록 하고, 상기 용기(30)의 선단과 접하는 수용홈(42)의 임의의 개소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킹(미도시) 또는 지지돌기(49)를 돌출형성한다.
또, 상기 용기(30)의 돌출부(34)와 대응되는 수용홈(42)의 선단은 그 형상이 돌출부(34)형상과 대응되게 형성하여 수용홈(42)으로 삽입된 용기(30)가 쉽게 빠져나오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다른 예로써 상기 용기(30)와 수용홈(42)의 선단을 통상의 부탄가스와 이를 이용한 가스레인지간 결합 구조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이는 이미 널리 알려진 구성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상기 수용홈(42)은 그 저부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에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여 용기(30) 내부의 용액이 자연스럽게 통공(32) 측으로 흘러서 외부로 용이하게 토출되도록 한다.
상기 서포터(60)에는 토출공(62)을 선단에 하나만 형성할 수도 있으나,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여러 개를 형성하여 동시에 많은 용액이 토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서포터(60)는 두피와 최대한 길게 접촉하도록 하기 위하여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몸체(40)의 중심과 비교하여 다소 꺽이도록 형성하거나,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머리부분의 곡률에 맞도록 소정 곡률로 만곡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살펴본다.
우선, 용액이 주입된 용기(30)의 선단에 통공(32)을 개방형성하고, 상기 용기(30)를 수용홈(42) 내로 끼워넣은 후, 섹션바(50)로 머리카락을 갈라서 넘기고, 사용자가 용기(30)를 누르면 용액이 통공(32)과 토출공(62)을 통하여 브러시(70)로 토출되어 두피에 도포된다.
이러한 용액의 도포과정에서 사용자는 몸체(40)를 섹션바(50)가 전방을 향하도록 잡거나 브러시(70)가 전방을 향하도록 잡는 과정을 반복하고 용액이 토출되도록 몸체(40)를 잡은 상태에서 용기(30)의 상부를 누르면 용액은 통공(32)과 토출공(62)을 통해서 외부로 돌출된다. 이때 수용홈(42)의 개방부가 상부 일부에만 형성되므로 사용자는 몸체(40)의 하부 또는 측부를 잡고 스캘프 트리트먼트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서 원하지 않은 시점에 용액이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30 : 용기 32 : 통공
40 : 몸체 42 : 수용홈
44 : 삽입홈 50 : 섹션바
60 : 서포터 62 : 토출공
70 : 브러시

Claims (6)

  1. 내부에 두피 도포용 용액이 담겨지고 일측에 통공(32)이 형성되는 용기(30),
    상기 용기(30)가 착탈식으로 수용되는 수용홈(42)이 형성된 몸체(40),
    상기 몸체(40)의 일측으로 돌출형성되어 머리카락을 가르고 넘기기 위한 섹션바(50),
    상기 몸체(40)의 타측으로 돌출되고 용기(30)의 통공(32)과 연결되는 토출공(62)이 형성된 서포터(60),
    스펀지 또는 솜으로 구성되어 상기 서포터(60)의 외주면에 커버된 브러시(7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몸체(40)의 수용홈(42)은 상부를 개방하되 해당 개방부분이 몸체(40) 표면의 50%를 넘지 않도록 함으로써 용기(30)를 수용홈(42)에 끼워넣었을 때 용기(30)의 상부 일부는 외부로 노출되고 하부는 용기(30)의 하부는 수용홈(42) 내부에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용 용액 도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섹션바(50)는 몸체(40) 측으로 절첩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용 용액 도포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섹션바(50)는 몸체(40)에 삽입홈(44)을 형성하여 그 내부로 밀어넣거나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용 용액 도포기.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40)의 수용홈(42) 후방 내부에는 탄성수단(47)을 매개로 지지판(48)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용 용액 도포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40)의 수용홈(42)은 그 저부가 후방에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용 용액 도포기.
KR1020170021433A 2017-02-17 2017-02-17 두피용 용액 도포기 KR101860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433A KR101860664B1 (ko) 2017-02-17 2017-02-17 두피용 용액 도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433A KR101860664B1 (ko) 2017-02-17 2017-02-17 두피용 용액 도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0664B1 true KR101860664B1 (ko) 2018-05-23

Family

ID=62452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1433A KR101860664B1 (ko) 2017-02-17 2017-02-17 두피용 용액 도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066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315Y1 (ko) * 2004-03-22 2004-07-06 최정욱 염색기구
JP5078278B2 (ja) * 2006-05-12 2012-11-21 三井・デュポンポリケミカル株式会社 容器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315Y1 (ko) * 2004-03-22 2004-07-06 최정욱 염색기구
JP5078278B2 (ja) * 2006-05-12 2012-11-21 三井・デュポンポリケミカル株式会社 容器ユニッ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92202A (en) Toiletry article
US20080115796A1 (en) Method, Device And Kit Particularly For Applying A Cosmetic Product
US5325878A (en) Fluid dispensing comb
US5913314A (en) Combination salon tool device
JPH08173237A (ja) メーキャップ製品の保存および塗布用装置
JP3226882U (ja) 塗布装置のヘッダ構造
US4627758A (en) Nail polish removing apparatus
US6279188B1 (en) Liquid dispenser and applicator
US20180249810A1 (en) Refillable Absorbent Swab Applicator Pen
US7225814B2 (en) Nail polish remover kit
AU774982B2 (en) A swab for make-up removal
KR101860664B1 (ko) 두피용 용액 도포기
KR101733122B1 (ko) 듀얼 타입의 화장료 도포구
KR20100130738A (ko) 손톱 및 발톱소제구
KR200461938Y1 (ko) 펌핑 화장용기
JP2006102478A (ja) 収容具
KR20110127440A (ko) 메이크업 클렌징 용기
US20220079320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implementing a self-contained periorbital cosmetic applicator device
JP4301363B2 (ja) 試供品用マスカラ等容器
RU2028164C1 (ru) Лечебно-косметическая расческа
US10085541B2 (en) Nail polish remover in a spray bottle with file attachment
KR20230028048A (ko) 피부 외용제 도포 지원 장치
KR101873172B1 (ko) 손가락 도포 장치
KR20210035023A (ko) 아이패치 및 아이크림을 수용하는 화장품 용기
KR200335304Y1 (ko) 자기발생 및 진동 마사지를 이용한 발모 촉진용 브러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