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7440A - 메이크업 클렌징 용기 - Google Patents

메이크업 클렌징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7440A
KR20110127440A KR1020100046921A KR20100046921A KR20110127440A KR 20110127440 A KR20110127440 A KR 20110127440A KR 1020100046921 A KR1020100046921 A KR 1020100046921A KR 20100046921 A KR20100046921 A KR 20100046921A KR 20110127440 A KR20110127440 A KR 20110127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uze
coupled
seating
discharge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6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0692B1 (ko
Inventor
김태용
배영무
정서희
최성웅
Original Assignee
(주)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연우 filed Critical (주)연우
Priority to KR1020100046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0692B1/ko
Publication of KR20110127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7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0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0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63Removing cosmetic substances, e.g. make-up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이크업 클렌징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메이크업 클렌징 용기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중공이 형성되는 배출부; 사용자가 파지가능하도록 상기 배출부의 상부에서 상기 몸체를 감싸며 상기 중공에 결합되되, 상부 중앙에는 배출홀이 형성되며, 상부 외주면에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안착턱과 상기 안착턱의 상부에서 외주면을 둘러싸며 형성되는 고정턱이 구비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의 상부를 감싸며 결합되되, 상기 안착턱과 맞닿는 하부 내측에 안착턱에 안착되는 안착돌기가 형성되며, 중앙부 내측에는 상기 배출홀을 개폐하도록 노즐이 결합된 배출봉이 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거즈안착부; 상기 거즈안착부에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거즈안착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결합되어 화장솜 또는 퍼프와 같은 거즈를 고정시키는 거즈고정부; 상기 파지부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거즈안착부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부재; 상기 파지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오버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이크업 클렌징 용기에 의하면, 화장솜 또는 퍼프 등의 거즈를 용기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그 구조를 설계하여 사용자의 가압에 따라 일정량의 내용물이 배출됨과 동시에 클렌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메이크업 클렌징 용기{Make-up cleansing vessel}
본 발명은 메이크업 클렌징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화장솜 또는 퍼프 등의 거즈를 용기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그 구조를 설계하여 사용자의 가압에 따라 일정량의 내용물이 배출됨과 동시에 클렌징이 가능한 메이크업 클렌징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성들은 자신의 아름답게 표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하나로 얼굴에 색조화장을 하게된다. 상기와 같이 색조화장을 통해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만큼 사후 관리를 충실하게 하여 얼굴 피부에 트러블이 발생하지 않게 하는 것도 중요하다. 그중의 하나가 얼굴에 색조화장을 하여 얼굴 피부에 침착된 화장품을 깨끗하게 지워내는 일이다.
얼굴에 화장된 화장품을 지워낼 때에는 클렌징 크림, 클렌징 오일, 폼 클렌징(비누 거품과 유사성이 있음)과 클렌징 젤 등이 사용되며, 이들은 각각 용기에 담긴 상태로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클렌징 제품을 사용할 때에는 뚜껑을 열고, 용기의 개구부에 화장솜 또는 퍼프와 같은 거즈를 위치한 상태에서 클렌징 제품을 묻힌 후 화장을 지우게 되는데, 이와 같이 거즈에 클렌징 제품을 묻혀 사용할 경우, 사용시마다 거즈에 클렌징 제품을 덜어내어 써야 하므로,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솜 또는 퍼프 등의 거즈를 용기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그 구조를 설계하여 사용자의 가압에 따라 일정량의 내용물이 배출됨과 동시에 클렌징이 가능한 메이크업 클렌징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메이크업 클렌징 용기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중공이 형성되는 배출부; 사용자가 파지가능하도록 상기 배출부의 상부에서 상기 몸체를 감싸며 상기 중공에 결합되되, 상부 중앙에는 배출홀이 형성되며, 상부 외주면에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안착턱과 상기 안착턱의 상부에서 외주면을 둘러싸며 형성되는 고정턱이 구비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의 상부를 감싸며 결합되되, 상기 안착턱과 맞닿는 하부 내측에 안착턱에 안착되는 안착돌기가 형성되며, 중앙부 내측에는 상기 배출홀을 개폐하도록 노즐이 결합된 배출봉이 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거즈안착부; 상기 거즈안착부에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거즈안착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결합되어 화장솜 또는 퍼프와 같은 거즈를 고정시키는 거즈고정부; 상기 파지부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거즈안착부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부재; 상기 파지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오버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즈안착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거즈고정부가 결합되는 결합턱이 형성되며, 상기 거즈고정부의 내측에는 상기 결합턱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부의 상부 외주면에는 제1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파지부의 내측에는 상기 제1나사산과 맞닿는 부분에 제2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즈안착부의 상단에는 배출봉을 통하여 배출되는 내용물이 거즈에 균일하게 도포되도록 내용물안내홈이 형성되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즈안착부의 상부 내측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즈안착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거즈를 상기 거즈고정부의 내측벽에 고정시키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장솜 또는 퍼프 등의 거즈를 용기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그 구조를 설계하여 사용자의 가압에 따라 일정량의 내용물이 배출됨과 동시에 클렌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클렌징 용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클렌징 용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클렌징 용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클렌징 용기의 사용상태를 보인 상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클렌징 용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클렌징 용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클렌징 용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클렌징 용기의 사용상태를 보인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클렌징 용기는 몸체(100), 배출부(200), 파지부(300), 거즈안착부(400), 거즈고정부(500)가 포함된다.
상기 몸체(100)는 화장을 지울 수 있는 클렌징 제품인 내용물이 수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내용물은 몸체(100)를 가압시에 외부로 배출되는 액상의 내용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부(200)는 상기 몸체(10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중공(210)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배출부(200)의 상부 외주면에는 후술할 파지부(300)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제2나사산(340)과 결합되는 제1나사산(220)이 형성된다.
상기 파지부(300)는 사용자가 파지가능하도록 상기 배출부(200)의 상부에서 상기 몸체(100)를 감싸며 중공(210)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부 중앙에는 내용물을 배출하는 배출홀(310)이 형성되며, 내측에는 상기 제1나사산(220)과 맞닿는 부분에 제2나사산(340)이 형성되어 상기 배출부(200)와 나사결합을 통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300)의 상부 외주면에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안착턱(320)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안착턱(320)은 "ㄱ"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후술할 거즈안착부(400)를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시에 거즈안착부(400)의 고정 또는 상방향으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파지부(300)는 상기 안착턱(320)의 상부에서 파지부(300)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형성되는 고정턱(330)이 구비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고정턱(330)은 거즈안착부(400)가 상기 안착턱(320)으로부터 탈리되어 상방향으로 이동시에 이동범위를 한정하게 된다.
상기 거즈안착부(400)는 상기 파지부(300)의 상부를 감싸며 결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거즈안착부(400)에는 상기 안착턱(320)과 맞닿는 하부 내측에 안착턱(320)에 안착되는 안착돌기(410)가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안착돌기(410)는 상기 거즈안착부(400)를 일측으로 회전시에는 상기 안착턱(320)에 안착되어 거즈안착부(400)가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거즈안착부(400)를 타측으로 회전시에는 상기 안착턱(320)으로부터 탈리되어 파지부(300)의 내측에 결합되어 있는 탄성부재(600)에 의해 거즈안착부(400)가 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거즈안착부(400)의 중앙부 내측에는 상기 배출홀(310)을 개폐하도록 배출봉(420)이 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배출봉(420)은 거즈안착부(400)의 상하 이동에 따라 배출홀(310)을 개폐하게 되는대, 상기 배출봉(420)이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배출홀(310)을 개방시에 상기 배출봉(420)의 하단에 결합된 노즐(421)을 통해 흡입된 내용물이 배출봉(420)을 따라 이동하여 내용물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거즈안착부(400)의 상단에는 배출봉(420)을 통하여 배출되는 내용물이 거즈(a)에 균일하게 도포되도록 안내하는 내용물안내홈(43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거즈안착부(400)의 상부 내측에는 탄성부재(600)의 좌우 비틀림을 방지하도록 탄성부재(600)가 안착되는 안착홈(46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거즈안착부(400)의 외주면에는 후술할 거즈고정부(500)가 결합되는 결합턱(440)이 형성되는대, 상기 결합턱(440)은 "ㄱ"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후술할 거즈고정부(500)를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시에 거즈고정부(500)의 고정 또는 탈리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거즈안착부(400)의 외주면에는 거즈(a)가 안착된 후, 거즈고정부(500)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거즈(a)를 상기 거즈고정부(500)의 내측벽에 고정시키는 고정돌기(45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즈고정부(500)는 상기 거즈안착부(400)에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서,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거즈안착부(400)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결합되어 화장솜 또는 퍼프와 같은 거즈(a)를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거즈고정부(500)의 내측에는 상기 결합턱(440)에 결합되는 결합돌기(510)가 형성되는대, 상기 결합돌기(510)는 상기 거즈고정부(500)를 일측으로 회전시에는 상기 결합턱(440)에 안착되어 거즈고정부(400)를 고정시키며, 거즈고정부(400)를 타측으로 회전시에는 상기 결합턱(440)으로부터 탈리되어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거즈고정부(500)가 거즈안착부(400)로부터 탈리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클렌징 용기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먼저, 오버캡(700)을 파지부(300)로부터 탈리시킨 후, 거즈고정부(500)를 일측으로 회전하여 거즈고정부(500)를 거즈안착부(400)로부터 탈리시킨다. 상기와 같이, 거즈고정부(500)를 일측으로 회전하게 되면, 거즈고정부(500)의 결합돌기(510)가 거즈안착부(400)의 결합턱(440)으로부터 탈리되며, 이로 인하여, 거즈고정부(500)의 탈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거즈안착부(400)의 상단에 거즈(a)를 안착시킨 후, 탈리된 거즈고정부(500)를 거즈안착부(400)에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거즈안착부(400)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돌기(450)로 인하여 거즈(a)가 거즈고정부(500)의 내측벽면에 밀착되어 거즈(a)의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거즈고정부(500)를 일측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거즈고정부(500)를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거즈고정부(500)와 맞물려 있는 거즈안착부(400)가 함께 회전하게 되는대, 이때, 거즈안착부(400)의 안착돌기(410)가 파지부(300)의 안착턱(320)으로부터 탈리되어 파지부(300)의 내측에 결합되어 있는 탄성부재(600)에 의해 거즈안착부(400)가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거즈안착부(400)는 상방향으로 이동하다가 파지부(300)의 고정턱(330)에 의해 고정이 이루어지며 이동범위가 한정된다.
상기와 같이, 거즈안착부(400)가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거즈안착부(400)의 배출봉(420)이 함께 이동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배출홀(310)의 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몸체(100)를 가압하게 되면, 몸체(100)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상기 배출홀(310)을 통해 상부로 이동하게 되며, 배출홀(310)을 통과한 내용물이 노즐(421)을 통과한 후, 배출봉(420)을 통해 외부로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배출봉(4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 내용물이 상기 거즈안착부(400)에 형성된 내용물안내홈(430)을 따라 이동하게 됨으로써, 거즈안착부(400)에 안착된 거즈(a)에 균일하게 내용물이 도포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몸체 200: 배출부
210: 중공 220: 제1나사산
300: 파지부 310: 배출홀
320: 안착턱 330: 고정턱
340: 제2나사산 400: 거즈안착부
410: 안착돌기 420: 배출봉
421: 노즐 430: 내용물안내홈
440: 결합턱 450: 고정돌기
460: 안착홈 500: 거즈고정부
510: 결합돌기 600: 탄성부재
700: 오버캡

Claims (6)

  1. 내용물이 수용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중공이 형성되는 배출부;
    사용자가 파지가능하도록 상기 배출부의 상부에서 상기 몸체를 감싸며 상기 중공에 결합되되, 상부 중앙에는 배출홀이 형성되며, 상부 외주면에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안착턱과 상기 안착턱의 상부에서 외주면을 둘러싸며 형성되는 고정턱이 구비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의 상부를 감싸며 결합되되, 상기 안착턱과 맞닿는 하부 내측에 안착턱에 안착되는 안착돌기가 형성되며, 중앙부 내측에는 상기 배출홀을 개폐하도록 노즐이 결합된 배출봉이 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거즈안착부;
    상기 거즈안착부에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거즈안착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결합되어 화장솜 또는 퍼프와 같은 거즈를 고정시키는 거즈고정부;
    상기 파지부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거즈안착부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부재;
    상기 파지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오버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클렌징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즈안착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거즈고정부가 결합되는 결합턱이 형성되며, 상기 거즈고정부의 내측에는 상기 결합턱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클렌징 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의 상부 외주면에는 제1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파지부의 내측에는 상기 제1나사산과 맞닿는 부분에 제2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클렌징 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즈안착부의 상단에는 배출봉을 통하여 배출되는 내용물이 거즈에 균일하게 도포되도록 내용물안내홈이 형성되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클렌징 용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즈안착부의 상부 내측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클렌징 용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즈안착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거즈를 상기 거즈고정부의 내측벽에 고정시키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클렌징 용기.
KR1020100046921A 2010-05-19 2010-05-19 메이크업 클렌징 용기 KR101110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6921A KR101110692B1 (ko) 2010-05-19 2010-05-19 메이크업 클렌징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6921A KR101110692B1 (ko) 2010-05-19 2010-05-19 메이크업 클렌징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7440A true KR20110127440A (ko) 2011-11-25
KR101110692B1 KR101110692B1 (ko) 2012-03-05

Family

ID=45396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6921A KR101110692B1 (ko) 2010-05-19 2010-05-19 메이크업 클렌징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06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074B1 (ko) * 2013-05-22 2015-01-06 최선미 메이크업 클렌징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0587B1 (ko) 2013-07-25 2014-04-01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유동성 화장료를 위한 탄성 토출마개
KR20160097684A (ko) * 2015-02-09 2016-08-18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클렌징 기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319B1 (ko) 2008-05-14 2009-09-11 김순언 도포기능을 갖는 액상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074B1 (ko) * 2013-05-22 2015-01-06 최선미 메이크업 클렌징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0692B1 (ko) 2012-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26882U (ja) 塗布装置のヘッダ構造
KR20150077638A (ko) 이종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용기
KR100702621B1 (ko) 액상 화장품 용기
KR20170079303A (ko) 어플리케이터부가 구비된 펌핑식 화장품 용기
US20130058698A1 (en) Applicator for fluid products
KR101234514B1 (ko) 이종 내용물의 혼합 사용이 가능한 주사기형 용기
KR101110692B1 (ko) 메이크업 클렌징 용기
KR101636268B1 (ko) 이종 내용물 저장 용기
KR100915595B1 (ko) 퍼프 일체형 화장품 튜브 용기
KR102209696B1 (ko) 선택적 토출이 가능한 두피 관리용 화장품용기
KR20120117459A (ko) 샘플 립스틱 용기
KR200478920Y1 (ko) 승강 개폐장치를 갖는 클렌징용 액상 화장용기
KR101315538B1 (ko) 모발용 미용용기
KR101876759B1 (ko) 이종 화장품을 저장함과 아울러 맛사지 기능을 가지는 튜브형 화장품용기
KR200472043Y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101886142B1 (ko) 탄성을 갖는 실리콘 재질의 도포구가 구비된 화장품 튜브용기
KR200436166Y1 (ko) 페인팅 솔이 구비된 튜브형 화장품용기
KR200462207Y1 (ko) 화장품 용기
US11083274B2 (en) Cosmetic container
KR101139183B1 (ko) 화장품용 미용 도구
KR20130130339A (ko) 다기능 마스크 팩
KR100812230B1 (ko) 화장용품
KR20210030119A (ko) 도포 부재 리필 화장품 용기
KR101559167B1 (ko) 튜브 용기
JP3224162U (ja) すぐに使える化粧品パッケー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