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0330B1 - Catheter apparatus which can be retracted and moved by spring - Google Patents

Catheter apparatus which can be retracted and moved by spr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0330B1
KR101860330B1 KR1020160179751A KR20160179751A KR101860330B1 KR 101860330 B1 KR101860330 B1 KR 101860330B1 KR 1020160179751 A KR1020160179751 A KR 1020160179751A KR 20160179751 A KR20160179751 A KR 20160179751A KR 101860330 B1 KR101860330 B1 KR 101860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pring
injection hole
chemical solution
solution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97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현성
허동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드릭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드릭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드릭스
Priority to KR1020160179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033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0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03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0Instruments, other than pincettes or toothpicks, for removing foreign bodies from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74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openable, closable, expandable or deform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36Handl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41Tip steering devices having flexible regions as a result of using materials with different mechanic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47Tip steering devices with movable mechanical means, e.g. pull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2017/564Methods for bone or joint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47Tip steering devices with movable mechanical means, e.g. pull wires
    • A61M2025/015Details of the distal fixation of the movable mechanical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theter apparatus stretched, advanced and retreated by a spring, and specifically, to a catheter apparatus stretched, advanced and retreated by a spring, in which a first unit inserted through an opening formed in the body of a subject is connected to a second unit, and a third unit is connected and fixed to the first unit through the second unit, thereby allowing various operations to pivot or retract or stretch the first unit relative to one end of the second unit and helping spinal microsurgery through fine and various movements such as separation and cleaning of the stenosis tissues around the vertebrae from the vertebrae by making the spring to apply elastic restoring force so that the first unit and the second unit are always aligned in a straight line.

Description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CATHETER APPARATUS WHICH CAN BE RETRACTED AND MOVED BY SPRING}[0001] CATHETER APPARATUS WHICH CAN BE RETRACTED AND MOVED BY SPRING [0002]

본 발명은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척추뼈 주변의 협착 조직을 척추뼈로부터 분리하고 세척하는 등의 미세하고 다양한 동작을 통해 척추미세시술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theter device capable of expanding and retracting by a spr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theter device capable of supporting a spinal microsurgery through fine and various movements such as separation and washing of a stenotic tissue around a vertebra from a vertebra bone To a catheter device capable of expanding and retracting by means of a spring.

카테타는 일반적으로 의료용으로 사용되며 직접 신체에 삽입되는 모든 수단을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물품으로써, 혈관 주사용, 요도 삽입용, 기도삽입용, 복강경 수술용 카테타 등 다양한 신체 삽입을 위한 카테타로 구분된다.Catheters are generally used for medical purposes and refer to all means directly inserted into the body. They are classified into various catheters for insertion of various bodies such as blood vessel insertion, urethra insertion, airway insertion, and laparoscopic surgical catheter.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발명된 들 중에서 등록특허 제10-0476972호의 "풍선 척추 성형술의 카테터구조"와, 등록특허 제10-1266967호의 "척추 성형시술용 풍선 카테터" 등과 같은 것들은 척추 시술용으로 활용되는 카테터 장치라 할 수 있다.Among the inventions described above, such as "catheter structure of balloon vertebroplasty" of Registration No. 10-0476972 and "balloon catheter for vertebroplasty" of Registration No. 10-1266967, etc. are utilized for spinal procedures Catheter device.

선행기술들은 카테터의 말단에 팽창 가능한 풍선과 같은 부재를 구비하여 척추뼈와 이웃한 척추뼈 사이의 협착을 해소하거나, 척추뼈 주변의 협착된 신경들을 척추뼈로부터 분리한다는 원리이다.Prior art has a member such as an inflatable balloon at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to eliminate stenosis between the vertebrae and the adjacent vertebrae or to separate the stenosed nerves around the vertebrae from the vertebrae.

그러나, 선행기술은 모두 풍선과 같이 팽창 가능한 부재의 팽창량을 미세하게 조절하는 것 자체가 매우 힘들어, 병변 부위가 아닌 곳을 건드리는 치명적인 수술 사고로 이어질 우려 또한 다분하였던 것이다.However, in the prior art, it is very difficult to finely adjust the inflation amount of an inflatable member such as a balloon, and it is also a possibility that it leads to a catastrophic operation accident that touches a non-lesion site.

등록특허 제10-0476972호Patent No. 10-0476972 등록특허 제10-1266967호Patent No. 10-126696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척추뼈 주변의 협착 조직을 척추뼈로부터 분리하고 세척하는 등의 미세하고 다양한 동작을 통해 척추미세시술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pinal manipulator for a spinal manipulator, To provide a retractable and retractable catheter devi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시술자의 신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삽입되는 제1 유닛; 상기 제1 유닛과 연결되는 제1 단부와,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제1 단부의 반대측에 정의되는 제2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부측에 비하여 상기 제1 단부측의 경도가 낮은 제2 유닛; 상기 제2 단부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제1 단부를 통하여 상기 제1 유닛과 연결 고정되는 제3 단부와, 상기 제2 단부로부터 노출된 제4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4 단부를 변위시킴으로써 상기 제1 단부측을 포함한 상기 제1 유닛이 상기 제2 유닛에 대하여 회동하거나 상기 제2 단부측으로 수축하거나 신장되는 것을 허용하는 제3 유닛; 및 상기 제1 유닛과 상기 제2 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신축과 휘어짐을 허용하고, 상기 제2 유닛에 대하여 상기 제1 유닛이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inserting a subject, comprising: a first unit inserted through an opening formed in a body of a subject; A first end connected to the first unit and a second end extending a certain length from the first end and defin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end, and a second end connected to the first end A second unit having a low hardness; A third end inserted from the second end side and connected and fixed to the first unit through the first end portion and a fourth end portion exposed from the second end portion, A third unit allowing the first unit including the first end side to pivot relative to the second unit or to contract or extend toward the second end side; And a spring disposed between the first unit and the second unit for allowing elastic expansion and deflection and generat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so that the first unit is disposed on a straight line with respect to the second uni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atheter device that can be stretched and retracted by a spring.

여기서, 상기 제1 유닛은, 중심부에 약액 주입홀이 형성되는 양단 관통의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단부에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2 유닛의 상기 제1 단부를 통하여 삽입되는 단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단차부의 끝면을 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헤드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unit includes a head portion penetrating both ends through which a chemical solution injection hole is formed at a central portion and a step portion formed to be stepped on an end portion of the head portion and inserted through the first end portion of the second unit, And the third unit is inserted through the end surface of the step portion and is fixed to the head portion.

이때,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단차부의 끝면으로부터 상기 헤드부까지 함몰되어 상기 제3 유닛의 조작 와이어 단부가 안착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first unit further includes a pair of fixing grooves recessed from the end surface of the step portion to the head portion, and the operation wire end portion of the third unit is seated and fixed.

그리고,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제2 단부까지 일정 직경과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며, 중심부에 상기 제1 단부측으로부터 상기 제2 단부까지 상기 제1 유닛과 연통되는 약액 주입홀이 관통 형성되는 호스 본체와, 상기 호스 본체의 상기 제1 단부의 끝면으로부터 상기 제2 단부측으로 단차지게 일정 깊이로 함몰되며, 상기 약액 주입홀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상기 스프링이 안착되는 원통 형상의 안착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유닛의 일부는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약액 주입홀과 평행하게 상기 호스 본체 및 상기 안착홈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유닛과 연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unit may include a chemical liquid injecting unit that extends from the first end portion to the second end portion with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a predetermined length and communicates with the first unit from the first end portion side to the second end portion in the central portion, A cylindrical body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chemical solution injection hole and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stepwise from the end surface of the first end portion of the hose body toward the second end portion, Wherein the first unit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and the third unit is connected to the first unit through the hose body and the seating groove in parallel with the chemical solution injection hole, .

그리고,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약액 주입홀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호스 본체의 상기 제2 단부의 끝면으로부터 상기 안착홈의 바닥면까지 관통되어 상기 제3 유닛의 조작 와이어가 왕복하는 것을 허용하는 한 쌍의 조작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unit is formed outside the chemical solution injection hole and penetrates from the end surface of the second end portion of the hose body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groove to allow the operation wire of the third unit to reciprocate And further includes a pair of operation holes.

그리고,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제3 단부로부터 상기 제4 단부까지의 거리가 상기 제1 유닛 및 상기 제2 유닛이 결합된 길이보다 길게 연장되고, 상기 스프링의 양단부를 관통하는 한 쌍의 조작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hird uni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distance from the third end to the fourth end is longer than a length in which the first unit and the second unit are coupled, And a wire.

그리고, 상기 스프링은 양단 관통의 코일 스프링이며,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코일 스프링의 양단부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pring is a coil spring passing through both ends, and the third unit is disposed so as to penetrate both end portions of the coil spring.

그리고, 상기 제1 유닛과 상기 제2 유닛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약액 주입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의 중심부는 상기 약액 주입홀의 중심부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약액 주입홀의 외측에 상기 약액 주입홀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enter of the spring is dispos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central portion of the chemical solution injection hole, and the third unit is dispos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central portion of the chemical solution injection hole. The chemical solution injection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unit and the second unit. And is arranged outside the injection hole in parallel with the chemical solution injection hole.

그리고, 상기 제1 유닛은, 중심부에 약액 주입홀이 형성되는 양단 관통의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단부에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2 유닛의 상기 제1 단부를 통하여 삽입되는 단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단차부의 외주면에 용접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스프링의 일단부는 상기 단차부의 외주면에 용접 고정된 상기 제3 유닛의 상기 제3 단부와 함께 용접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unit includes a head portion passing through both ends through which a chemical solution injection hole is formed at a central portion and a step portion formed to be stepped on the end portion of the head portion and inserted through the first end portion of the second unit, And the third unit is welded and fix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ep portion, and one end of the spring is welded and fixed together with the third end of the third unit welded and fix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ep portion.

그리고, 상기 제1 유닛은, 중심부에 약액 주입홀이 형성되는 양단 관통의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단부에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2 유닛의 상기 제1 단부를 통하여 삽입되는 단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유닛의 상기 제3 단부는 상기 단차부의 끝면에 용접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스프링의 일단부는 상기 단차부의 끝면에 용접 고정된 상기 제3 유닛의 상기 제3 단부와 함께 용접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unit includes a head portion passing through both ends through which a chemical solution injection hole is formed at a central portion and a step portion formed to be stepped on the end portion of the head portion and inserted through the first end portion of the second unit, And the third end of the third unit is welded and fixed to the end surface of the step portion and one end of the spring is welded together with the third end of the third unit welded and fixed to the end surface of the step portion. do.

또한,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제3 단부로부터 상기 제4 단부까지의 거리가 상기 제1 유닛 및 상기 제2 유닛이 결합된 길이보다 길게 연장되는 한 쌍의 조작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조작 와이어 각각의 상기 제3 단부는 상기 단차부의 끝면에 용접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스프링은 상기 한 쌍의 조작 와이어 각각에 장착되며, 상기 스프링 각각의 일단부는 상기 단차부의 끝면에 각각 용접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third unit may include a pair of operating wires, the distance from the third end to the fourth end being longer than the combined length of the first unit and the second unit, And the spring is mounted on each of the pair of operating wires, and one end of each of the springs is welded and fixed to the end surface of the step portion, respectively .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achieved.

우선, 본 발명은 피시술자의 신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삽입되는 제1 유닛이 제2 유닛에 연결되고, 제3 유닛은 제2 유닛을 관통하여 제1 유닛에 연결 고정되어 변위 조작에 의하여 제1 유닛을 제2 유닛의 일단부에 대하여 회동하거나 수축 또는 신장하는 다양한 동작을 허용하되 제1 유닛과 제2 유닛 사이에 장착된 스프링이 제1 유닛과 제2 유닛이 상시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탄성 복원력을 작용함으로써, 선행기술과 비교하여 척추뼈 주변의 협착 조직을 척추뼈로부터 분리하고 세척하는 등의 미세하고 다양한 동작을 자연스레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치명적인 수술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first unit inserted through an opening formed in the body of a physician is connected to a second unit, and a third unit is connected and fixed to the first unit through the second unit, The spring mounted between the first unit and the second unit allows the first unit and the second unit to be placed on a straight line at all times, It is possible to naturally perform fine and various operations such as separation and washing of the stenotic tissue around the vertebrae from the vertebrae, compared with the prior art, so that a fatal surgical acciden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특히, 본 발명은 제1 유닛이 제2 유닛의 제2 단부측을 향하여 후퇴한 후 튕겨나가듯 신장되는 동작과 함께, 제2 유닛의 제1 단부와 제1 유닛이 제2 유닛의 제2 단부측에 대하여 좌우로 구부러지는 동작을 허용하여, 가늘고 미세하며 협소한 척추뼈 주변의 협착 조직을 가벼운 충격이나 미세한 조작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분리해 냄으로써 우수한 시술 결과를 피시술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ith the operation of the first unit retracting toward the second end side of the second unit and then being stretched out, the first end of the second unit and the second unit of the second unit So that the stenotic tissue around the narrow and fine vertebral bone can be efficiently separated by light impact or fine manipulation, thereby providing excellent results to the cli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의 전체적인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분해 사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에 의하여 실시 가능한 다양한 동작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의 내부 구조 및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부분 분해 단면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의 내부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부분 단면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7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에 의하여 실시 가능한 다양한 동작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 개념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verall structure of a catheter device that can be stretched and retracted by a sp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conceptual view of an exploded view illustrating an overall engagement relationship of a catheter device that can be stretched and retracted by a sp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eleva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various operations that can be performed by a catheter device that can be retracted and retracted by a sp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artially exploded cross-sectional conceptual view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and a coupling relationship of a catheter device that can be stretched and retracted by a sp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conceptual view showing an internal coupling relationship of a catheter device that can be stretched and retracted by a sp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atheter device that can be stretched and retracted by a spr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7 to 12 are sid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various states of operation that may be performed by a catheter device that is retractable and retractable by a spring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by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other forms.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oroughly disclosed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Thus, in some embodiments, well known components, well known operations, and well-known techniques are not specifically described to avoid an undesirable interpre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and the terms (mentioned) used herein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embodiments and not to limit the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s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he constituents and acts referred to as " comprising (or having) "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nstituents and actions .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sense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Also,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they are defin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의 전체적인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분해 사시 개념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general structure of a catheter device that can be retracted and retracted by a sp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thet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device.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에 의하여 실시 가능한 다양한 동작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 개념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의 내부 구조 및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부분 분해 단면 개념도이다.FIG. 3 is a side elevational view illustrating various states of operation that can be performed by a catheter device that can be stretched and retracted by a sp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ide view of a sp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artial exploded sectional view showing an inner structure and a coupling relationship of a catheter device capable of expanding and retracting. FIG.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의 내부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부분 단면 개념도이다.FIG. 5 is a partially sectional schematic view showing an internal coupling relationship of a catheter device that can be stretched and retracted by a sp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에 의하여 실시 가능한 다양한 동작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 개념도이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catheter device that can be stretched and retracted by a spr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7 to 12 are views showing a retractable and retractable catheter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elevational schematic view showing various operable states of the catheter device.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닛(100)과 제2 유닛(200)이 결합되어 일직선상에 배치되고, 제3 유닛(300)은 제1 유닛(100)과 제2 유닛(200)에 내장되며, 스프링(500)은 이러한 제3 유닛(300)의 변위 조작후 원위치 복귀, 즉 제1, 2 유닛(100, 200)이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The first unit 100 and the second unit 200 ar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and the third unit 300 is disposed on the first unit 100 and the second unit 200, And the spring 500 can recognize that the first and second units 100 and 200 ar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after the displacement operation of the third unit 300 is performed.

우선, 제1 유닛(100)은 피시술자의 신체에 형성된 개구부(이하 미도시)를 통하여 삽입되는 것으로, 실질적으로 척추 주변의 병변 부위에 직접 접촉하여 가벼운 충격을 가하여 협착 조직 등을 분리하거나 약액을 배출시켜 세척하는 배출로를 제공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First, the first unit 100 is inserted through an opening (not shown in the drawings) formed in the body of the physician so as to substantially contact the lesion portion around the vertebra and apply a light impact to isolate the stenosis tissue or the like, And to provide a discharge path for cleaning the substrate.

그리고, 제1 유닛(100)은 통상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으나, 후술할 제2 유닛(200)보다 경도가 높고, 내구성과 내부식성 및 내화학성 등이 우수한 재질이라면 어떠한 것도 무방하다.The first unit 100 is usually made of a metal material, but any material may be used as long as it has a hardness higher than that of the second unit 200 described later and is excellent in durability, corrosion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and the like.

그리고, 제2 유닛(200)은 제1 유닛(100)과 연결되는 제1 단부(201)와, 제1 단부(201)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어 제1 단부(201)의 반대측에 정의되는 제2 단부(202)를 포함하며, 제2 단부(202)측에 비하여 제1 단부(201)측의 경도가 낮은 것으로, 후술할 제3 유닛(300)의 도 3과 같은 다양한 변위 조작에 의한 구부러짐과 수축 등의 각종 형상 변형을 허용하기 위한 플렉시블한 소재로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second unit 200 includes a first end portion 201 connected to the first unit 100 and a second end portion 201 extending from the first end portion 201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defin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end portion 201, And the hardness of the first end portion 201 side is lower than that of the second end portion 202 side and the bending due to various displacement operations as shown in Fig. 3 of the third unit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t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for allowing various deformations such as shrinkage.

그리고, 제3 유닛(300)은 제2 단부(202)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제1 단부(201)를 통하여 제1 유닛(100)과 연결 고정되는 제3 단부(301)와, 제2 단부(202)로부터 노출된 제4 단부(302)를 포함하며, 제4 단부(302)를 변위시킴으로써 제1 단부(201)측을 포함한 제1 유닛(100)이 제2 유닛(200)에 대하여 회동하거나 제2 단부(202)측으로 수축하거나 신장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다.The third unit 300 includes a third end 301 inserted from the second end 202 side and connected and fixed to the first unit 100 through the first end 201, The first unit 100 including the first end 201 side rotates with respect to the second unit 200 by displacing the fourth end 302, To be contracted or stretched toward the two end portions 202 side.

또한, 스프링(500)은 제1 유닛(100)과 제2 유닛(200) 사이에 배치되어 신축과 휘어짐을 허용하고, 제2 유닛(200)에 대하여 제1 유닛(100)이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The spring 50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unit 100 and the second unit 200 to allow for expansion and contraction and allows the first unit 100 to be placed in a straight line with respect to the second unit 200 So that the elastic restoring force is generated as much as possible.

따라서, 본 발명은 선행기술과 비교하여 척추뼈 주변의 협착 조직을 척추뼈로부터 분리하고 세척하는 등의 미세하고 다양한 동작을 자연스레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치명적인 수술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naturally perform fine and various operations such as separation and washing of the stenotic tissue around the vertebrae from the vertebrae, compared with the prior art, and thus prevent a fatal surgical accident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우선, 제1 유닛(100)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중심부에 약액 주입홀(400)이 형성되는 양단 관통의 헤드부(110)와, 헤드부(110)의 단부에 단차지게 형성되어 제2 유닛(200)의 제1 단부(201)를 통하여 삽입되는 단차부(120)를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1 and 2, the first unit 100 includes a head portion 110 passing through both ends through which a chemical solution injection hole 400 is formed at a central portion, And the stepped portion 120, which is formed so as to be inserted through the first end 201 of the second unit 200, can be applied.

후술할 제3 유닛(300)은 단차부(120)의 끝면을 통하여 삽입되어 헤드부(110)에 고정되는 것을 알 수 있다.The third unit 30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through the end surface of the step portion 120 and fixed to the head portion 110. [

그리고, 제1 유닛(100)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단차부(120)의 끝면으로부터 헤드부(110)까지 함몰되어 제3 유닛(300)의 조작 와이어(310, 310) 단부가 안착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홈(130, 130)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4 and 5, the first unit 100 is recessed from the end surface of the stepped portion 120 to the head portion 110 so that the operation wires 310 and 310 of the third unit 30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a pair of fixing grooves 130 and 130 to which the ends are seated and fixed.

여기서, 한 쌍의 고정홈(130, 130) 각각의 중심부는, 고정홈(130, 130) 각각에 안착 고정될 후술할 제3 유닛(300)의 조작 와이어(310, 310)의 동시 또는 순차적인 조작에 지장이 없도록, 단차부(120) 끝면의 중심과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entral portion of each of the pair of fixing grooves 130 and 130 may be a concave or convex portion of the operating wires 310 and 310 of the third unit 300 to be described later, It is preferable that it is disposed on the straight line with the center of the end surface of the step portion 120 so that the operation is not hindered.

한편, 제2 유닛(200)은, 역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크게 호스 본체(210)와 안착홈(220)을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4 and 5, the second unit 200 may include an embodiment including a hose body 210 and a seating groove 220.

호스 본체(210)는 제1 단부(201)로부터 제2 단부(202)까지 일정 직경과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며, 중심부에 제1 단부(201)측으로부터 제2 단부(202)까지 제1 유닛(100)과 연통되는 약액 주입홀(400)이 관통 형성되는 것이다.The hose main body 210 extends from the first end 201 to the second end 202 with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s a central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end 201 side to the second end 202, A chemical solution injection hole 400 communicating with the chemical solution injection hole 100 is formed.

안착홈(220)은 호스 본체(210)의 제1 단부(201)의 끝면으로부터 제2 단부(202)측으로 단차지게 일정 깊이로 함몰되며, 약액 주입홀(400)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스프링(500)이 안착되는 원통 형상의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The seating groove 220 is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stepwise from the end surface of the first end 201 of the hose body 210 to the second end 202 side and has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chemical solution injection hole 400, 500 are secured.

여기서, 제1 유닛(100)의 단차부(120)는 안착홈(220)에 삽입되고, 제3 유닛(300)은 약액 주입홀(400)과 평행하게 호스 본체(210) 및 안착홈(220)을 관통하여 제1 유닛(100)의 고정홈(130, 130)에 연결 고정되는 것이다.The step unit 120 of the first unit 100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220 and the third unit 300 is inserted into the hose body 210 and the seating groove 220 And is fixedly connected to the fixing grooves 130 and 130 of the first unit 100. As shown in FIG.

이때, 제2 유닛(200)을 이루는 호스 본체(210)는, 도 3과 같이 제1 단부(201)로부터 순차적으로 선단부(211)와 연성부(212)와 경성부(213)로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3, the hose main body 210 constituting the second unit 200 includes the distal end portion 211, the flexible portion 212 and the rigid portion 213 sequentially from the first end portion 201 have.

즉, 선단부(211)는 안착홈(220)이 형성된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이며, 연성부(212)는 후술할 경성부(213)보다는 경도가 낮으므로, 굴곡이나 수축 등의 형상 변형을 더욱 쉽게 허용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distal end portion 211 corresponds to a portion where the seating groove 220 is formed, and the soft portion 212 has a lower hardness than the hard portion 213 described later, .

아울러, 경성부(213)는 선단부(211) 및 연성부(212)를 제외한 호스 본체(210)의 나머지 부분을 형성하는 것으로, 일정 정도의 경도를 가지며 제3 유닛(300)을 지지하는 지지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hard part 213 forms the rest of the hose body 210 except for the tip part 211 and the soft part 212. The hard part 213 has a hardness of a certain degree and supports the third unit 300 .

한편, 제2 유닛(200)은, 약액 주입홀(400)의 외측에 형성되며, 호스 본체(210)의 제2 단부(202)의 끝면으로부터 안착홈(220)의 바닥면까지 관통되어 제3 유닛(300)의 조작 와이어(310, 310)가 왕복하는 것을 허용하는 한 쌍의 조작홀(230, 230)을 더 구비할 수 있다.The second unit 200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chemical solution injection hole 400 and penetrates from the end surface of the second end portion 202 of the hose body 210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groove 220, And a pair of operation holes 230 and 230 for allowing the operation wires 310 and 310 of the unit 300 to reciprocate.

여기서, 한 쌍의 조작홀(230, 230) 각각의 중심은 약액 주입홀(400)의 중심과 일직선상에 배치되어지되, 한 쌍의 조작홀(230, 230) 각각은, 전술한 제1 유닛(100)의 한 쌍의 고정홈(130, 130)과 일직선상에 배치되어야 함은 물론일 것이다.The center of each of the pair of operation holes 230 and 230 is disposed on the straight line with the center of the chemical liquid injection hole 400. Each of the pair of operation holes 230 and 230 is connected to the above- As well as a pair of fixing grooves 130, 130 of the base 100.

한편, 제3 유닛(300)은, 제3 단부(301)로부터 제4 단부(302)까지의 거리가 제1 유닛(100) 및 제2 유닛(200)이 결합된 길이보다 길게 연장되고, 스프링(500)의 양단부를 관통하는 한 쌍의 조작 와이어(310, 310)를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third unit 30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distance from the third end 301 to the fourth end 302 is longer than the combined length of the first unit 100 and the second unit 200, And a pair of operating wires 310 and 310 passing through both ends of the wire 500.

여기서, 한 쌍의 조작 와이어(310, 310) 중 하나의 조작 와이어(310, 310)를 제2 유닛(200)의 제2 단부(202)로부터 배출되는 방향으로 당기면, 제1 유닛(100)은 도 7 및 도 8과 같이 제2 유닛(200)의 제1 단부(201)측과 함께 일측으로 휘어지는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Here, when one of the pair of operating wires 310, 310 is pulled in the direction to be discharged from the second end 202 of the second unit 200, the first unit 100 7 and 8, it is possible to bend one side of the second unit 200 together with the first end 201 side.

이때, 한 쌍의 조작 와이어(310, 310) 모두를 제2 유닛(200)의 제2 단부(202)로부터 배출되는 방향으로 당기면, 제1 유닛(100)은 도 9와 같이 제2 유닛(200)의 제2 단부(202)측으로 후퇴함과 동시에, 제2 유닛(200)의 제1 단부(201)측은 수축되는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At this time, when both the pair of operation wires 310 and 310 are pulled in the direction to be discharged from the second end 202 of the second unit 200, the first unit 100 is moved to the second unit 200 The first end 201 of the second unit 200 can be retracted.

전술한 일련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 쌍의 조작 와이어(310, 310) 각각의 제4 단부(302)는 도 6 내지 도 9와 같이 조작 본체(610)와 조작 레버(630)가 외주면 양측에 구비된 조작 다이얼(620)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The fourth end 302 of each of the pair of the operation wires 310 and 31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ration body 610 and the operation lever 630 as shown in Figures 6 to 9 so that the above- And may be made by the operation dial 620 provided.

즉, 본 발명은 조작 본체(610) 내부에서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정, 역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조작 다이얼(620)의 외주면 양측으로부터 돌출된 조작 레버(630)의 회동 조작에 의하여, 제1 유닛(100)의 헤드부(110)가 도 7 및 도 8과 같이 호스 본체(210)에 대하여 좌우측으로 구부러지는 회동 동작을 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operation of rotating the operation lever 630 protruded from both side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ration dial 620 which is mounted in the operation body 610 so as to be able to rotate forward and backward within a certain angle range, The head portion 110 of the hose body 100 can be rot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hose body 210 as shown in Figs.

또한, 본 발명은 조작 본체(610) 내부에서 일정 길이의 범위 내에서 전, 후진 가능하게 장착되는 조작 다이얼(620) 자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조작 버튼(640)의 전후진 조작에 의하여, 제1 유닛(100)의 헤드부(110)가 도 9(b)와 같이 호스 본체(210)측으로 근접했다가, 즉 수축되며 후퇴했다가, 도 9(a)와 같이 호스 본체(210)측으로부터 멀어지는, 즉 신장되며 전진하는 진퇴 동작을 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forward and backward operation of the operation button 640 integrally projected on the operation dial 620 itself which is mounted within the operation body 610 so as to be able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within a predetermined length, The head portion 110 of the unit 100 approaches the hose body 210 side as shown in Fig. 9 (b), that is, contracts and retracts. Then, the head portion 110 of the unit 100 moves away from the hose body 210 side , That is, it can be extended and moved forward and backward.

한편, 스프링(500)은 양단 관통의 코일 스프링(500)이며, 제3 유닛(300)의 조작 와이어(310, 310)들은 도 5와 같이 코일 스프링(500)의 양단부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것을 알 수 있다.5, the operating wires 310 and 310 of the third unit 300 are arranged to pass through both ends of the coil spring 500, .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 유닛(100)과 제2 유닛(200)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약액 주입홀(400)을 더 구비하여, 제2 단부(202)측으로부터 연결되는 배관(이하 미도시)을 통하여 세척용 약액을 공급하여 피시술자의 병변 부위의 2차 감염을 방지하고 소독과 살균 및 세척을 실시하는 약액의 공급통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hemical solution injection hole 400 formed through the center of the first unit 100 and the second unit 200 so as to connect the chemical solution injection hole 400 to the pipe connected from the second end 202 sid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upply passage for a chemical solution for supplying a cleaning solution through the piping to prevent the secondary infection of the lesion site of the client, and disinfecting, sterilizing and cleaning.

그리고, 스프링(500)의 중심부는 약액 주입홀(400)의 중심부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고, 제3 유닛(300)의 조작 와이어(310, 310)들은 약액 주입홀(400)의 외측에 약액 주입홀(400)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entral portion of the spring 500 is dispos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central portion of the chemical solution injection hole 400 and the operation wires 310 and 310 of the third unit 300 are disposed outside the chemical solution injection hole 400 It is preferable to be disposed parallel to the hole 400.

한편, 제1 유닛(100)은, 도 10과 같이, 헤드부(110)와 단차부(120)를 포함하되, 제3 유닛(300), 즉 한 쌍의 조작 와이어(310, 310)들은 단차부(120)의 외주면에 용접 고정되는 용접부(700)를 형성함과 동시에, 스프링(500)의 일단부는 단차부(120)의 외주면에 용접 고정된 조작 와이어(310, 310)들 각각의 제3 단부(301)와 함께 용접 고정되는 용접부(700)를 형성한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10, the first unit 100 includes a head unit 110 and a step 120. The third unit 300 includes a pair of operating wires 310 and 310, And one end of the spring 500 is connected to the third portion of each of the operation wires 310 and 310 welded and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p portion 120, An embodiment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welded portion 700 welded together with the end portion 301 is formed may be applied.

그리고, 제1 유닛(100)은, 도 11과 같이, 제3 유닛(300), 즉 한 쌍의 조작 와이어(310, 310) 각각의 제3 단부(301)는 단차부(120)의 끝면에 용접 고정되는 용접부(700)를 형성함과 동시에, 스프링(500)의 일단부는 단차부(120)의 끝면에 용접 고정된 제3 단부(301)와 함께 용접 고정되는 용접부(700)를 형성할 수도 있다.11, the third unit 301 of the first unit 100, that is, the third end 301 of each of the pair of the operation wires 310 and 310 is connected to the end surface of the step 120 One end of the spring 500 may be formed with a welded portion 700 to be welded together with the third end portion 301 welded to the end surface of the stepped portion 120 have.

또한, 제3 유닛(300)은, 도 12와 같이, 한 쌍의 조작 와이어(310, 310)를 포함하며, 한 쌍의 조작 와이어(310, 310) 각각의 제3 단부(301)는 단차부(120)의 끝면에 용접 고정되는 용접부(700)를 형성함과 동시에, 스프링(500)은 한 쌍의 조작 와이어(310, 310) 각각에 장착되며, 스프링(500) 각각의 일단부는 단차부(120)의 끝면에 각각 용접 고정되는 용접부(700)를 형성하는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12, the third unit 300 includes a pair of operation wires 310 and 310, and the third end 301 of each of the pair of operation wires 310 and 310 includes a stepped portion The spring 500 is mounted on each of the pair of the operation wires 310 and 310 and one end of each of the springs 500 is connected to the stepped portion 120 may be welded and fixed to the end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end plates 120 and 120, respectively.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의 추가적인 작용 효과에 대하여 간략히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dditional effects of the catheter device that can be stretched and retracted by the spring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본 발명은 제1 유닛(100)이 제2 유닛(200)의 제2 단부(202)측을 향하여 후퇴한 후 튕겨나가듯 신장되는 동작과 함께, 제2 유닛(200)의 제1 단부(201)와 제1 유닛(100)의 헤드부(110)가 제2 유닛(200)의 제2 단부(202)측에 대하여 좌우로 구부러지는 동작을 허용하여, 가늘고 미세하며 협소한 척추뼈 주변의 협착 조직을 가벼운 충격이나 미세한 조작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분리해 냄으로써 우수한 시술 결과를 피시술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first end 201 of the second unit 200 while the first unit 100 retracts toward the second end 202 side of the second unit 200, And the head unit 110 of the first unit 100 allow left and right bending mo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end 202 side of the second unit 200 so that the narrow and fine narrow stenotic tissue around the vertebra bone Can be efficiently separated by a light impact or a fine operation, thereby providing a superior result to a clien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척추뼈 주변의 협착 조직을 척추뼈로부터 분리하고 세척하는 등의 미세하고 다양한 동작을 통해 척추미세시술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theter device capable of expanding and retracting by means of a spring, which can assist the spinal micro-operation through fine and various operations such as separation and cleaning of the stenotic tissue around the vertebrae from the vertebrae Which is the basic technical idea.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other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basic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0...제1 유닛
110...헤드부
120...단차부
130, 130...고정홈
200...제2 유닛
201...제1 단부
202...제2 단부
210...호스 본체
220...안착홈
230, 230...조작홀
300...제3 유닛
301...제3 단부
302...제4 단부
310, 310...조작 와이어
400...약액 주입홀
500...스프링
610...조작 본체
620...조작 다이얼
630...조작 레버
640...조작 버튼
700...용접부
100 ... first unit
110 ... head portion
120 ... stepped portion
130, 130 ... fixed grooves
200 ... second unit
201 ... first end
202 ... second end
210 ... hose body
220 ... seat home
230, 230 ... operation holes
300 ... third unit
301 ... third end
302 ... fourth end
310, 310 ... operation wire
400 ... chemical solution injection hole
500 ... spring
610 ... operation body
620 ... operation dial
630 ... operation lever
640 ... Operation button
700 ... weld

Claims (11)

피시술자의 신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삽입되는 제1 유닛;
상기 제1 유닛과 연결되는 제1 단부와,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제1 단부의 반대측에 정의되는 제2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부측에 비하여 상기 제1 단부측의 경도가 낮은 제2 유닛;
상기 제2 단부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제1 단부를 통하여 상기 제1 유닛과 연결 고정되는 제3 단부와, 상기 제2 단부로부터 노출된 제4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4 단부를 변위시킴으로써 상기 제1 단부측을 포함한 상기 제1 유닛이 상기 제2 유닛에 대하여 회동하거나 상기 제2 단부측으로 수축하거나 신장되는 것을 허용하는 제3 유닛; 및
상기 제1 유닛과 상기 제2 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신축과 휘어짐을 허용하고, 상기 제2 유닛에 대하여 상기 제1 유닛이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유닛은,
중심부에 약액 주입홀이 형성되는 양단 관통의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단부에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2 유닛의 상기 제1 단부를 통하여 삽입되는 단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단차부의 끝면을 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헤드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
A first unit which is inserted through an opening formed in the body of the physician;
A first end connected to the first unit and a second end extending a certain length from the first end and defin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end, and a second end connected to the first end A second unit having a low hardness;
A third end inserted from the second end side and connected and fixed to the first unit through the first end portion and a fourth end portion exposed from the second end portion, A third unit allowing the first unit including the first end side to pivot relative to the second unit or to contract or extend toward the second end side; And
And a spring disposed between the first unit and the second unit for allowing elastic expansion and deflection and generat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such that the first unit is disposed on a straight line with respect to the second unit,
The first unit includes:
A head portion penetrating both ends through which a chemical solution injection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And a stepped portion formed at an end of the head portion and inserted through the first end of the second unit,
And the third unit is inserted through an end surface of the step portion and is fixed to the head portion.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단차부의 끝면으로부터 상기 헤드부까지 함몰되어 상기 제3 유닛의 조작 와이어 단부가 안착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unit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pair of fixing grooves which are recessed from the end surface of the step portion to the head portion and to which the end portion of the operation wire of the third unit is seated and fixed.
피시술자의 신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삽입되는 제1 유닛;
상기 제1 유닛과 연결되는 제1 단부와,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제1 단부의 반대측에 정의되는 제2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부측에 비하여 상기 제1 단부측의 경도가 낮은 제2 유닛;
상기 제2 단부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제1 단부를 통하여 상기 제1 유닛과 연결 고정되는 제3 단부와, 상기 제2 단부로부터 노출된 제4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4 단부를 변위시킴으로써 상기 제1 단부측을 포함한 상기 제1 유닛이 상기 제2 유닛에 대하여 회동하거나 상기 제2 단부측으로 수축하거나 신장되는 것을 허용하는 제3 유닛; 및
상기 제1 유닛과 상기 제2 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신축과 휘어짐을 허용하고, 상기 제2 유닛에 대하여 상기 제1 유닛이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제2 단부까지 일정 직경과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며, 중심부에 상기 제1 단부측으로부터 상기 제2 단부까지 상기 제1 유닛과 연통되는 약액 주입홀이 관통 형성되는 호스 본체와,
상기 호스 본체의 상기 제1 단부의 끝면으로부터 상기 제2 단부측으로 단차지게 일정 깊이로 함몰되며, 상기 약액 주입홀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상기 스프링이 안착되는 원통 형상의 안착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유닛의 일부는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약액 주입홀과 평행하게 상기 호스 본체 및 상기 안착홈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유닛과 연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
A first unit which is inserted through an opening formed in the body of the physician;
A first end connected to the first unit and a second end extending a certain length from the first end and defin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end, and a second end connected to the first end A second unit having a low hardness;
A third end inserted from the second end side and connected and fixed to the first unit through the first end portion and a fourth end portion exposed from the second end portion, A third unit allowing the first unit including the first end side to pivot relative to the second unit or to contract or extend toward the second end side; And
And a spring disposed between the first unit and the second unit for allowing elastic expansion and deflection and generat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such that the first unit is disposed on a straight line with respect to the second unit,
The second unit comprising:
A hose body extending from the first end portion to the second end portion with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ving a chemical solution injec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unit from the first end portion to the second end portion through a central portion; ,
And a cylindrical seating groove recessed at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end surface of the first end portion of the hose body to the second end side and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chemical solution injection hole,
Wherein a part of said first unit is inserted into said seating groove and said third unit is connected and fixed to said first unit through said hose body and said seating groove in parallel with said chemical solution injection hole 0.0 > retractable < / RTI > catheter devic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약액 주입홀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호스 본체의 상기 제2 단부의 끝면으로부터 상기 안착홈의 바닥면까지 관통되어 상기 제3 유닛의 조작 와이어가 왕복하는 것을 허용하는 한 쌍의 조작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second unit comprising:
And a pair of operation hole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chemical solution injection hole and penetrating from the end surface of the second end of the hose body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groove to allow the operation wire of the third unit to reciprocate Wherein the catheter is adapted to be retractable and retractable by a spr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제3 단부로부터 상기 제4 단부까지의 거리가 상기 제1 유닛 및 상기 제2 유닛이 결합된 길이보다 길게 연장되고, 상기 스프링의 양단부를 관통하는 한 쌍의 조작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hird unit comprises:
And a pair of operating wires extending from the third end portion to the fourth end portion longer than the combined length of the first unit and the second unit and passing through both ends of the spring An expandable and retractable catheter device by means of a spr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양단 관통의 코일 스프링이며,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코일 스프링의 양단부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pring is a coil spring at both ends and the third unit is arranged to penetrate both ends of the coil spr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과 상기 제2 유닛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약액 주입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의 중심부는 상기 약액 주입홀의 중심부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약액 주입홀의 외측에 상기 약액 주입홀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hemical solution injection hole formed through the center of the first unit and the second unit,
The central portion of the spring is dispos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central portion of the chemical solution injection hole,
And the third unit is disposed outside the chemical solution injection hole and parallel to the chemical solution injection hole.
피시술자의 신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삽입되는 제1 유닛;
상기 제1 유닛과 연결되는 제1 단부와,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제1 단부의 반대측에 정의되는 제2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부측에 비하여 상기 제1 단부측의 경도가 낮은 제2 유닛;
상기 제2 단부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제1 단부를 통하여 상기 제1 유닛과 연결 고정되는 제3 단부와, 상기 제2 단부로부터 노출된 제4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4 단부를 변위시킴으로써 상기 제1 단부측을 포함한 상기 제1 유닛이 상기 제2 유닛에 대하여 회동하거나 상기 제2 단부측으로 수축하거나 신장되는 것을 허용하는 제3 유닛; 및
상기 제1 유닛과 상기 제2 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신축과 휘어짐을 허용하고, 상기 제2 유닛에 대하여 상기 제1 유닛이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유닛은,
중심부에 약액 주입홀이 형성되는 양단 관통의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단부에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2 유닛의 상기 제1 단부를 통하여 삽입되는 단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단차부의 외주면에 용접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스프링의 일단부는 상기 단차부의 외주면에 용접 고정된 상기 제3 유닛의 상기 제3 단부와 함께 용접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
A first unit which is inserted through an opening formed in the body of the physician;
A first end connected to the first unit and a second end extending a certain length from the first end and defin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end, and a second end connected to the first end A second unit having a low hardness;
A third end inserted from the second end side and connected and fixed to the first unit through the first end portion and a fourth end portion exposed from the second end portion, A third unit allowing the first unit including the first end side to pivot relative to the second unit or to contract or extend toward the second end side; And
And a spring disposed between the first unit and the second unit for allowing elastic expansion and deflection and generat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such that the first unit is disposed on a straight line with respect to the second unit,
The first unit includes:
A head portion penetrating both ends through which a chemical solution injection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And a stepped portion formed at an end of the head portion and inserted through the first end of the second unit,
And the third unit is welded and fix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ep portion, and one end of the spring is welded together with the third end of the third unit welded and fix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ep portion. An advancing catheter device.
피시술자의 신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삽입되는 제1 유닛;
상기 제1 유닛과 연결되는 제1 단부와,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제1 단부의 반대측에 정의되는 제2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부측에 비하여 상기 제1 단부측의 경도가 낮은 제2 유닛;
상기 제2 단부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제1 단부를 통하여 상기 제1 유닛과 연결 고정되는 제3 단부와, 상기 제2 단부로부터 노출된 제4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4 단부를 변위시킴으로써 상기 제1 단부측을 포함한 상기 제1 유닛이 상기 제2 유닛에 대하여 회동하거나 상기 제2 단부측으로 수축하거나 신장되는 것을 허용하는 제3 유닛; 및
상기 제1 유닛과 상기 제2 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신축과 휘어짐을 허용하고, 상기 제2 유닛에 대하여 상기 제1 유닛이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유닛은,
중심부에 약액 주입홀이 형성되는 양단 관통의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단부에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2 유닛의 상기 제1 단부를 통하여 삽입되는 단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유닛의 상기 제3 단부는 상기 단차부의 끝면에 용접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스프링의 일단부는 상기 단차부의 끝면에 용접 고정된 상기 제3 유닛의 상기 제3 단부와 함께 용접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
A first unit which is inserted through an opening formed in the body of the physician;
A first end connected to the first unit and a second end extending a certain length from the first end and defin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end, and a second end connected to the first end A second unit having a low hardness;
A third end inserted from the second end side and connected and fixed to the first unit through the first end portion and a fourth end portion exposed from the second end portion, A third unit allowing the first unit including the first end side to pivot relative to the second unit or to contract or extend toward the second end side; And
And a spring disposed between the first unit and the second unit for allowing elastic expansion and deflection and generat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such that the first unit is disposed on a straight line with respect to the second unit,
The first unit includes:
A head portion penetrating both ends through which a chemical solution injection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And a stepped portion formed at an end of the head portion and inserted through the first end of the second unit,
And the third end of the third unit is welded and fixed to the end surface of the step portion and one end of the spring is welded together with the third end of the third unit welded and fixed to the end surface of the step portion. 0.0 > and / or < / RTI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제3 단부로부터 상기 제4 단부까지의 거리가 상기 제1 유닛 및 상기 제2 유닛이 결합된 길이보다 길게 연장되는 한 쌍의 조작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조작 와이어 각각의 상기 제3 단부는 상기 단차부의 끝면에 용접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스프링은 상기 한 쌍의 조작 와이어 각각에 장착되며, 상기 스프링 각각의 일단부는 상기 단차부의 끝면에 각각 용접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third unit comprises:
And a distance from the third end to the fourth end is longer than a length in which the first unit and the second unit are coupled,
The third end of each of the pair of operating wires is welded and fixed to an end surface of the step portion, and the spring is mounted to each of the pair of operating wires, and one end of each spring is welded to the end surface of the step portion Wherein the catheter is secured to the catheter.
KR1020160179751A 2016-12-27 2016-12-27 Catheter apparatus which can be retracted and moved by spring KR1018603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751A KR101860330B1 (en) 2016-12-27 2016-12-27 Catheter apparatus which can be retracted and moved by sp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751A KR101860330B1 (en) 2016-12-27 2016-12-27 Catheter apparatus which can be retracted and moved by spr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0330B1 true KR101860330B1 (en) 2018-05-23

Family

ID=62452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9751A KR101860330B1 (en) 2016-12-27 2016-12-27 Catheter apparatus which can be retracted and moved by spr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033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25845A (en) * 2021-09-29 2022-01-14 四川合氏生物科技有限公司 High-air-permeability and anti-falling plaster
KR20220028878A (en) * 2020-08-31 2022-03-0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Catheter for endoscop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8828A (en) * 1999-11-12 2001-07-03 Biosense Webster Inc Injection catheter
JP2010220824A (en) * 2009-03-24 2010-10-07 Nippon Sherwood Medical Industries Ltd Bending instrument for endoscope and endoscope set
KR20120015939A (en) * 2010-08-13 2012-02-22 (주)세원메디텍 Catheter for injecting medicinal fluid in bod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8828A (en) * 1999-11-12 2001-07-03 Biosense Webster Inc Injection catheter
JP2010220824A (en) * 2009-03-24 2010-10-07 Nippon Sherwood Medical Industries Ltd Bending instrument for endoscope and endoscope set
KR20120015939A (en) * 2010-08-13 2012-02-22 (주)세원메디텍 Catheter for injecting medicinal fluid in body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8878A (en) * 2020-08-31 2022-03-0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Catheter for endoscope
KR102452158B1 (en) 2020-08-31 2022-10-1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Catheter for endoscope
CN113925845A (en) * 2021-09-29 2022-01-14 四川合氏生物科技有限公司 High-air-permeability and anti-falling plaster
CN113925845B (en) * 2021-09-29 2024-01-09 四川合氏生物科技有限公司 Plaster with high air permeability and difficult falling of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809435B (en) Medical device and treatment method
RU2531345C2 (en) Syringe catheter tip
JP4883874B2 (en) Surgical instruments and methods for treating the spinal column
JP5848445B2 (en) Endoscopic instrument with supporting foot
JP7188847B2 (en) Maneuverable devices and systems
US10159497B2 (en) Device to aid in the deployment of a shape memory instrument
US8388520B2 (en) Shape control endoscope
JP2011143253A (en) Dynamic interspinous process device
KR102347945B1 (en) Surgical instrument equipment appropriate for mini-invasive surgery
WO2006034396A2 (en) Balloon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JP5347425B2 (en) Thrombus suction catheter assembly
WO2016185995A1 (en) Balloon catheter
JP6311031B2 (en) Balloon catheter
US20180140302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Delivery of Materials into the Nose
KR101860330B1 (en) Catheter apparatus which can be retracted and moved by spring
JP6811318B2 (en) Manufacturing methods for catheters and medical devices
US20140371586A1 (en) Fiducial deployment mechanisms, and related methods of use
WO2014045870A1 (en) Insertion instrument assembly
JP2010213800A (en) Catheter
JP2008161264A (en) Puncturing device
JP2019058198A (en) Medical device and treatment method
US20200178764A1 (en) Visualization and spacemaking devices
JP2003290247A (en) Electrode catheter for abrasion
KR101755250B1 (en) Balloon catheter and device for surgical procedures including the same
JP2005137816A (en) Puncturing needle for ultrasou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