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0308B1 - 제어계전기 - Google Patents

제어계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0308B1
KR101860308B1 KR1020170125854A KR20170125854A KR101860308B1 KR 101860308 B1 KR101860308 B1 KR 101860308B1 KR 1020170125854 A KR1020170125854 A KR 1020170125854A KR 20170125854 A KR20170125854 A KR 20170125854A KR 101860308 B1 KR101860308 B1 KR 101860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bobbin
contact
yoke
contact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5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화
Priority to KR1020170125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03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0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0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36Stationary parts of magnetic circuit, e.g. yo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5/00Local operating mechanisms for points or track-mounted scotch-blocks; Visible or audible signals; Local operating mechanisms for visible or audible signals
    • B61L5/06Electric devices for operating points or scotch-blocks, e.g. using electromotive driv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44Magnetic coils or windings
    • H01H2050/446Details of the insulating support of the coil, e.g. spool, bobbin, form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어계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요크취부대, 보빈, 코어, 쇄정가이드, 쇄정 캠, 미끄럼운동부, 동작간, 이동 스프링 볼트, 이동접점부, 고정접점부, 동작간리턴부 등으로 구성되어 선로전환기에서 많이 발생하는 상하 진동 및 기타 충격에 의해 접점이 분리될 염려가 없는 제어계전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제어계전기{ELECTRIC CONTROL LELAY}
본 발명은 제어계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요크취부대, 보빈, 코어, 쇄정가이드, 쇄정 캠, 미끄럼운동부, 동작간, 이동 스프링 볼트, 이동접점부, 고정접점부, 동작간리턴부 등으로 구성되어 선로전환기에서 많이 발생하는 상하 진동 및 기타 충격에 의해 접점이 분리될 염려가 없는 제어계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로전환기는 선로의 분기부에 설치되어 기본레일에 가동레일을 이동시켜 열차의 진행방향을 바꾸어 주고, 선로의 전환이 이루어진 후에는 그 상태를 유지하여 오동작을 방지하는 선로보안장치이다.
상기 분기용 레일을 이동시키는 선로전환기는 선로의 분기점마다 설치되어 있으며, 선 공개된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989-0008401호 등에 제시되어 있는 기술을 사용하여 분기용 레일을 이동시키고 있다.
그러나 종전에는 이러한 구동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동작신호가 개별적인 장치를 통하여 전송되거나 제어되기 때문에 시설비용이 증가하거나, 오작동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계전기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었고, 이러한 요구에 부합하는 제어계전기가 다수 개발되었다.
또한, 이러한 단점 이외에도 선로전환기의 특성상 선로에 근접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열차의 진행 등에 따른 진동 및 외부충격에 의해 제어계전기의 접점이 분리되는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진동 등에 의한 외부영향에 의해 접점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쇄정상태를 유지하는 제어 계전기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989-0008401호 한국등록특허 제0966618호 한국등록특허 제067170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외부진동 및 충격에 의해 접점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직으로 세워져 전자석의 원리로 한 축을 중심으로 코어와 코어의 왕복 운동에 따라 고정접점부에 접점되거나 접점되지 않는 이동접점부 등을 포함하는 제어계전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열차 선로를 전환하는 선로전환기에 사용되는 제어계전기에 있어서, 하측부에 형성되며, 요크와 코어의 하측부를 취부하기 위한 요크취부대; 상기 요크취부대의 양측에 결합되어 보빈과 결합되도록 수직으로 세워지며 영구적으로 좌우 극성이 구분되는 한쌍의 요크; 상기 한쌍의 요크 사이에 수평으로 결합되어 코어가 동작하도록 통로를 제공하는 보빈; 상기 요크취부대의 중앙부에 결합되어 상기 보빈에 의해 보호되며, 상기 보빈을 둘러싸는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서, 상기 보빈 내부에서 전자석의 원리로 한 축을 중심으로 왕복 운동하는 코어; 상기 요크의 상측부에 결합되고, 상기 코어가 관통하도록 코어 동작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코어 동작 공간 양측으로 핀이 삽입되어 쇄정 캠과 결합되도록 결합홀이 형성된 한쌍의 거치대가 상측부에 융기되어 형성되는 쇄정가이드; 상기 코어와 연결되어 상기 코어의 좌우 이동에 따른 구동력을 동작간에 전달하는 쇄정 캠; 상기 코어와 쇄정 캠을 연결하여, 상기 코어의 축을 중심으로 좌우 왕복 운동에 따라 면접촉에 의해 쇄정 캠이 좌우로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미끄럼운동부; 상기 왕복 운동을 하는 데 핀이 결합가능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핀이 운동의 축역할을 하는 보빈 지지대; 상기 쇄정 캠과 수직으로 결합되어 이동접점부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동작간; 상기 동작간의 끝단에 상기 이동접점부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이동 스프링 볼트; 상기 이동 스프링 볼트와 연결되어 상측에 접촉부를 가져 상기 고정접점부에 접점되거나 접점되지 않는 이동접점부; 상기 이동접점부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접점부의 접촉부와 접촉할 경우 제어계전기가 동작되도록 하는 고정접점부; 상기 쇄정가이드의 일측단에서 연장형성되어 동작간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접점부의 접촉부가 고정접점부와 접촉하거나 접촉하지 않을 경우에 상기 동작간과 쇄정 캠이 이동하거나 원상복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동작간리턴부;로 구성된다.
상기 한쌍의 요크는 영구적으로 좌우 극성이 구분되는 데, 상기 보빈을 둘러싸는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서, 상기 코어에 생성된 극성과 상기 요크의 극성에 따라 쇄정 캠을 좌우로 축운동시킨다.
상기 미끄럼운동부는 상기 코어에 형성되고, 미끄럼 베어링 또는 구름 베어링이다.
상기 보빈이 상기 한쌍의 요크와 결합되도록 양측에 결합홈이 형성된 보빈지지부; 상기 보빈지지부들 사이를 지지하는 보빈지지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이동접점부와 고정접점부 간의 접점 간격을 유지하는 접점간격유지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외부진동 및 충격에 의해 접점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쇄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서, 안전사고를 방지하며 신뢰성이 높은 제어계전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로전환기에서 많이 발생하는 상하 진동 및 기타 충격에 의해 접점이 분리될 염려가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어계전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계전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계전기의 고정접점부, 이동접점부, 동작간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계전기의 세부적인 구성에 커넥터 후드 등이 포함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계전기의 좌, 우 동작 구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계전기의 세부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계전기의 동작간리턴부 등의 작동 순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계전기의 세부적인 구성과 이를 덮는 케이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a, b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계전기의 세부적인 중요 부품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2와 도 13은 종래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열차 선로를 전환하는 선로전환기에 사용되는 제어계전기로서, 요크취부대(5), 보빈(6), 코어(7), 쇄정가이드(15), 쇄정 캠(11), 미끄럼운동부(10), 동작간(3), 이동 스프링 볼트(14), 이동접점부(2), 고정접점부(1), 동작간리턴부(12) 등으로 구성된다.
요크취부대(5)는 하측부에 형성되며, 요크(4)와 코어(7)의 하측부를 취부하기 위해, 도 2의 A 부분에 요크(4)와 결합하기 위한 단턱이 있고, B 부분에 코어(7)가 동작하기 위한 코어 동작 공간이 있다.
요크(4)는 상기 요크취부대(5)의 양측에 결합되어 보빈과 결합되도록 수직으로 세워지며 영구적으로 좌우 극성이 구분되는 부품이다.
상기 한쌍의 요크(4)는 영구적으로 좌우 극성이 구분되는 데, 상기 보빈(6)을 둘러싸는 코일(68)에 전류가 흐르면서, 상기 코어(7)에 생성된 극성과 상기 요크(4)의 극성에 따라 쇄정 캠(11)을 좌우로 축운동시킨다.
또한 상기 한쌍의 요크(4)는 쇄정가이드(15)가 결합할 수 있는 홈(C)을 갖는다.
또한 상기 한쌍의 요크(4)는 보빈지지대(62)가 요크(4)와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보빈지지대 결합부(41)도 포함한다.
보빈(6)은 상기 한쌍의 요크(4) 사이에 수평으로 결합되어 코어가 동작하도록 통로를 제공한다.
보빈지지부(61)는 상기 보빈(6)이 상기 한쌍의 요크(4)와 결합되도록 양측에 결합홈이 형성된다.
상기 보빈지지대(62)의 중심부에는 코어축(71)이 삽입되는 데, 상기 코어축(71)은 상기 코어(7)의 일정 위치에 삽입되어, 상기 코어(7)가 한 축을 중심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보빈(6)의 측면에는 전자석 동작 후 접점을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코어(7)의 상부와 하부에 말굽 자석(9)을 위치시킬 수 있다.
코어(7)는 상기 요크취부대(5)의 중앙부에 결합되어 상기 보빈(6)에 의해 보호되며, 상기 보빈(6)을 둘러싸는 코일(68)에 전류가 흐르면서, 상기 보빈(6) 내부에서 전자석의 원리로 한 축을 중심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요크(4)와 코어(7)는 반드시 순철 재질로 제작해야 한다. 왜냐하면 순철에는 보자력(자력을 품고 있는 성질)이 없어 전자석 효과를 용이하게 누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쇄정가이드(15)는 상기 요크(4)의 상측부에 결합되고, 상기 코어(7)가 관통하도록 코어 동작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코어 동작 공간 양측으로 핀(31)이 삽입되어 쇄정 캠(11)과 결합되도록 결합홀이 형성된 한쌍의 거치대가 상측부에 융기되어 형성된다.
쇄정 캠(11)은 상기 코어(7)와 연결되어 상기 코어(7)의 좌우 이동에 따른 구동력을 동작간(3)에 전달한다.
미끄럼운동부(10)는 상기 코어(7)와 쇄정 캠(11)을 연결하여, 상기 코어(7)의 축을 중심으로 좌우 왕복 운동에 따라 면접촉에 의해 쇄정 캠(11)이 좌우로 운동이 가능하다.
상기 미끄럼운동부(10)는 상기 코어(7)에 형성되고, 미끄럼 베어링 또는 구름 베어링으로, 예를 들어 원통 베어링 또는 롤러 베어링 등이 부착되며, 상기 코어(7)의 끝단의 중간부가 파여져 그 사이에 베어링이 안착할 수 있도록 양측에 핀이 관통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동작간(3)은 상기 쇄정 캠(11)과 수직으로 결합되어 이동접점부(2)를 좌우로 이동시킨다.
이동 스프링 볼트(14)는 상기 동작간(3)의 끝단에 상기 이동접점부(2)와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이동접점부(2)는 상기 이동 스프링 볼트(14)와 연결되어 상측에 접촉부를 가져 상기 고정접점부(1)에 접점되거나 접점되지 않아, 제어 계전기의 동작 전류가 흐르거나 흐르지 않도록 한다.
고정접점부(1)는 상기 이동접점부(2)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접점부(2)의 접촉부와 접촉할 경우 제어계전기가 동작되도록 한다.
상기 이동접점부(2)와 고정접점부(1) 간의 접점 간격을 유지하는 접점간격유지부(13);를 더 포함한다.
동작간리턴부(12)는 상기 쇄정가이드(15)의 일측단에서 연장형성되어 동작간(3)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접점부(2)의 접촉부가 고정접점부(1)와 접촉하거나 접촉하지 않을 경우에 상기 동작간(3)과 쇄정 캠(11)이 이동하거나 원상복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6)의 주위 코일(68)에 전기가 인가되면 코어(7)에 극성이 생겨 요크(4)와 자석(9)에 생긴 극성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고, 동작간리턴부(12)의 탄성력이 보조해준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부 케이스(100)와 하부 케이스(200)로 나뉘어진 제어계전기 케이스에 각종 계전기 부품을 삽입한 후 상기 하부 케이스(200)의 하측면부에 형성된 코어 동작 공간을 통해 고정접점부(1)의 전원선이 커넥터 후드(92)에 연결되고 커넥터(수;94)과 커넥터(암;93)를 거쳐 커넥터 후드(91)의 배선인입구(911)로 연결된다. 여기에서 배선인입구(911)에 연결된 선로전환기의 특정 부품은 제어계전기의 고정접점부(1)가 접점되거나 접점되지 않은 경우에 따라 작동하거나 작동하게 않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 순서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작동 원리는 영구적으로 좌우 극성이 구분되는 한쌍의 요크(4)를 이용하여 영구적인 극성에 반대 극성을 대면 인력이 작용하고, 반대인 경우 척력이 작용하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다.
상기 보빈(6)을 둘러싸는 코일(68)에 전류가 흐르면서, 상기 보빈(6)에 생성된 극성과 상기 요크(4)의 극성에 따라 코어(7)를 좌우로 축운동시킨다.
코일(68)이 감겨 있는 보빈(6)의 가운데에는 코어가 들어가는 홀이 있고, 보빈 주위의 코일(68)에 전기가 인가되면 보빈(6)에 생성된 자기력을 받은 코어(7)가 자화가 되고 극성을 띄게 되면서 동작한다.
또한 코어(7)가 자화가 되고 극성을 띄게 되면서 동작하게 되면 상기 보빈(6)의 측면에는 전자석 동작 후 접점을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코어(7)의 상부와 하부에 말굽 자석(9)을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요크(4)와 코어(7)는 보자력이 없는 순철을 사용하는 데, 기존에 띄었던 극성이 남아 있으면 정상적인 동작을 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상기 보빈(6)의 주위 코일(68)에 전기가 인가되면 코어(7)에 극성이 생겨 요크(4)와 자석(9)에 생긴 극성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인다.
또한 코어(7)는 보빈(6)과 보빈(6) 사이에 있는 보빈 지지대(62)의 중심에 코어 고정핀으로 고정되어 있고, 코어 고정핀을 중심으로 극성의 변화에 따라 회전 운동을 한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쇄정 캠(11)과 상하로 결합되어 이동접점부(2)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동작간(3)과, (b) 요크(4)의 상측부에 결합되고, 상기 코어(7)가 동작하도록 코어 동작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코어 동작 공간 양측으로 핀(31)이 삽입되어 쇄정 캠(11)과 결합되도록 결합홀이 형성된 한쌍의 거치대가 상측부에 융기되어 형성되는 쇄정가이드(15)와, (c) 코어(7)와 연결되어 상기 코어(7)의 좌우 이동에 따른 구동력을 동작간(3)에 전달하는 쇄정 캠(11)과, (d) 요크취부대(5)의 중앙부에 결합되어 상기 보빈(6)에 의해 보호되며, 상기 보빈(6)을 둘러싸는 코일(68)에 전류가 흐르면서, 상기 보빈(6) 내부에서 전자석의 원리로 한 축을 중심으로 왕복 운동하는 코어(7)의 외형을 볼 수 있으며, 전체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1b도 (a) 한쌍의 요크(4) 사이에 수평으로 결합되어 코어가 동작하도록 통로를 제공하는 보빈(6)과, (b) 코일(68)을 보여주고 있으며, 전체 형상이나 코일 감는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2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발명은 고정접점부(1)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이동접점부(2)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부(4)는 자기장을 발생시키기 위해 코일이 권취되어 있는 듀얼보빈(41)과 상기 듀얼보빈(41)의 외측에 위치하는 순철요크(42) 및 상기 듀얼보빈(41)의 내측에 위치하는 순철코어(4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순철코어(43)는 순철요크(42)의 일측에 구비되는 결합축(44)에 의해 결합되는데, 이때, 상기 순철코어(43)는 결합축(44)을 중심으로 양측단부가 시소운동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듀얼보빈은 가로 방향으로 누워있어 진동이나 중력의 영향을 받아 시소 운동의 방해를 받을 염려가 있었다.
또한 종래 발명의 구동부(4)에는 선로전환기에 사용되는 제어계전기의 특성상 구동 및 신호를 위한 전기신호가 단절되어도 동작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영구자성체(45)가 더 구비된다.
인력 또는 척력에 의해 순철코어(43)가 회동하게 되고, 구동부(4)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기신호가 단절되면 영구자성체(45)에 의해 순철코어(43)의 동작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영구자성체(45)에 의해 형성된 순철코어(43)의 단부는 크랭크(22)의 단부에 형성된 경사면(25)과 돌기(24)에 접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크랭크(22)의 단부에 형성된 경사면(25)과 순철코어(43)의 단부가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은 크랭크(22)의 경사면(25)과 접하는 순철코어(43)의 단부면적이 항상 일정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크랭크(22)의 단부에 형성된 경사면(25)에 의해 하측방향으로 회동된 순철코어(43)의 단부를 아래쪽으로 가압하게 되고, 이와 반대편의 크랭크(22)의 단부에 형성된 경사면은 순철코어(43)의 단부를 측면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발명은 여전히 인력 또는 척력에 의해 순철코어(43)가 수평으로 회동하면서 크랭크(22)의 단부에 형성된 경사면은 순철코어(43)의 단부를 측면방향으로 가압하게 되어 선로전환기에 적용되는 제어계전기의 이동접점이 전자기력이 소멸된 후 영구자기력에 의해 동작상태를 유지하는 순철코어(43)의 동작상태가 진동 등의 외부충격에 의해 변하게 되거나 선로전환기에서 많이 발생하는 상하 진동 및 기타 충격에 의해 접점이 분리될 염려가 있었다.
1 : 고정접점부
2 : 이동접점부
3 : 동작간
4 : 요크
5 : 요크취부대
6 : 보빈
7 : 코어
9 : 말굽 자석
10 : 미끄럼운동부
11 : 쇄정 캠
12 : 동작간리턴부
13 : 접점간격유지부
14 : 이동 스프링 볼트
15 : 쇄정가이드
31 : 핀
41 : 보빈지지대 결합부
61 : 보빈지지부
62 : 보빈지지대
68 : 코일
71 : 코어축
91 : 커넥터 후드(수)
92 : 커넥터 후드(암)
93 : 커넥터(수)
94 : 커넥터(암)
100 : 상부 케이스
200 : 하부 케이스
911 : 배선인입구

Claims (5)

  1. 열차 선로를 전환하는 선로전환기에 사용되는 제어계전기에 있어서,
    하측부에 형성되며, 요크(4)와 코어(7)의 하측부를 취부하기 위한 요크취부대(5);
    상기 요크취부대(5)의 양측에 결합되어 보빈과 결합되도록 수직으로 세워지며 영구적으로 좌우 극성이 구분되는 한쌍의 요크(4);
    상기 한쌍의 요크(4) 사이에 수평으로 결합되어 코어가 동작하도록 통로를 제공하는 보빈(6);
    상기 요크취부대(5)의 중앙부에 결합되어 상기 보빈(6)에 의해 보호되며, 상기 보빈(6)을 둘러싸는 코일(68)에 전류가 흐르면서, 상기 보빈(6) 내부에서 전자석의 원리로 한 축을 중심으로 왕복 운동하는 코어(7);
    상기 요크(4)의 상측부에 결합되고, 상기 코어(7)가 관통하도록 코어 동작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코어 동작 공간 양측으로 핀(31)이 삽입되어 쇄정 캠(11)과 결합되도록 결합홀이 형성된 한쌍의 거치대가 상측부에 융기되어 형성되는 쇄정가이드(15);
    상기 코어(7)와 연결되어 상기 코어(7)의 좌우 이동에 따른 구동력을 동작간(3)에 전달하는 쇄정 캠(11);
    상기 코어(7)와 쇄정 캠(11)을 연결하여, 상기 코어(7)의 축을 중심으로 좌우 왕복 운동에 따라 면접촉에 의해 쇄정 캠(11)이 좌우로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미끄럼운동부(10);
    상기 쇄정 캠(11)과 수직으로 결합되어 이동접점부(2)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동작간(3);
    상기 동작간(3)의 끝단에 상기 이동접점부(2)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이동 스프링 볼트(14);
    상기 이동 스프링 볼트(14)와 연결되어 상측에 접촉부를 가져 고정접점부(1)에 접점되거나 접점되지 않는 이동접점부(2);
    상기 이동접점부(2)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접점부(2)의 접촉부와 접촉할 경우 제어계전기가 동작되도록 하는 고정접점부(1);
    상기 쇄정가이드(15)의 일측단에서 연장형성되어 동작간(3)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접점부(2)의 접촉부가 고정접점부(1)와 접촉하거나 접촉하지 않을 경우에 상기 동작간(3)과 쇄정 캠(11)이 이동하거나 원상복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동작간리턴부(1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계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요크(4)는 영구적으로 좌우 극성이 구분되는 데, 상기 보빈(6)을 둘러싸는 코일(68)에 전류가 흐르면서, 상기 코어(7)에 생성된 극성과 상기 요크(4)의 극성에 따라 쇄정 캠(11)을 좌우로 축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계전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운동부(10)는 상기 코어(7)에 형성되고, 미끄럼 베어링 또는 구름 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계전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6)이 상기 한쌍의 요크와 결합되도록 양측에 결합홈이 형성된 보빈지지부(61);
    상기 보빈지지부(61)들 사이를 지지하는 보빈지지대(6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계전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접점부(2)와 고정접점부(1) 간의 접점 간격을 유지하는 접점간격유지부(1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계전기.
KR1020170125854A 2017-09-28 2017-09-28 제어계전기 KR101860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854A KR101860308B1 (ko) 2017-09-28 2017-09-28 제어계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854A KR101860308B1 (ko) 2017-09-28 2017-09-28 제어계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0308B1 true KR101860308B1 (ko) 2018-05-23

Family

ID=62452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5854A KR101860308B1 (ko) 2017-09-28 2017-09-28 제어계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030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26213A (ja) 2010-12-14 2012-07-05 East Japan Railway Co 鉄道車両の自動連結幌及び自動連結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26213A (ja) 2010-12-14 2012-07-05 East Japan Railway Co 鉄道車両の自動連結幌及び自動連結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94776A (en) Magnetic latching solenoid
JP6856001B2 (ja) 電磁継電器
US9741518B2 (en) Latch relay
JP2016201286A (ja) 接点装置および電磁継電器
JP6168785B2 (ja) 有極電磁継電器
JP2016201285A (ja) 接点装置および電磁継電器
JP7076633B2 (ja) 直流リレー
KR101598421B1 (ko) 전자접촉기
US4730175A (en) Polarized electromagnet device
EP1536446A1 (en) Bistable electromagnetic relay
CN100369173C (zh) 线性磁驱动装置
KR101860308B1 (ko) 제어계전기
JP2017079109A (ja) 電磁継電器
KR101741586B1 (ko) 전자접촉기 크로스바 구조
US9734972B2 (en) Electromagnetic relay
KR100966618B1 (ko) 제어계전기
KR101614025B1 (ko) 래치 릴레이
KR101247122B1 (ko) 전자접촉기
JP6024439B2 (ja) 電磁接触器
KR101961660B1 (ko) 전자접촉기
KR101545894B1 (ko) 전자접촉기
KR101727145B1 (ko) 릴레이 접점 단자 어셈블리
JP7107169B2 (ja) リレー
JP7036047B2 (ja) リレー
KR102349753B1 (ko) 다접점 직류 릴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