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9949B1 - 가축의 전염병 발견 방법 - Google Patents

가축의 전염병 발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9949B1
KR101859949B1 KR1020160123026A KR20160123026A KR101859949B1 KR 101859949 B1 KR101859949 B1 KR 101859949B1 KR 1020160123026 A KR1020160123026 A KR 1020160123026A KR 20160123026 A KR20160123026 A KR 20160123026A KR 101859949 B1 KR101859949 B1 KR 101859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livestock
color
image
pi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3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3726A (ko
Inventor
김정준
채범석
김경민
정현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트레디오
김정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트레디오, 김정준 filed Critical 주식회사트레디오
Priority to KR1020160123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9949B1/ko
Publication of KR20180033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3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9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9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1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by measuring fluorescence emi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0Transforming light or analogous information into electric information
    • H04N5/33Transforming infrared radi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olog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축의 전염병 발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가축 피부의 설정된 위치에 미리 설정된 패턴으로 온도 반응성안료를 도포하는 단계; 축사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는 제1 카메라를 이용하여 온도 반응성안료가 포함되도록 가축을 촬상하고, 촬상된 가축 이미지로부터 온도 반응성안료의 색상이 기설정된 색상으로 변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온도 반응성안료의 기설정된 색상으로 변한 경우, 온도 반응성안료의 색상이 변한 가축을 위험 가축으로 판단하고, 축사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는 제2 카메라를 이용하여 위험 가축의 열영상을 촬상하여 위험 가축의 온도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축의 온도 확인이 필요한 가장 중요한 부위를 시온안료의 색상변화를 통해 온도변화 여부를 1차적으로 확인하고, 온도변화가 확인되면 열화상 카메라를 통해서 시온안료의 도포 위치의 보다 온도를 검출하여 가축의 온도변화를 검출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한으로 방지하고 정확하게 가축의 전염병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전염병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축의 전염병 발견 방법{Method for detecting domestic animal disease}
본 발명은 가축의 전염병 발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온도 반응성 안료 및 복수의 카메라로 가축의 온도변화를 감지하여 가축의 전염병 발생여부를 확인하여 전염병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가축의 전염병 발견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축들에 발병하는 구제역, 광우병 및 조류독감은 전염성과 치사율이 매우 높은 바이러스들이다. 이러한 바이러스를 진단하는 방법으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02486호에서 가축 질병 진단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 바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02486호에 개시되어 있는 가축 질병 진단 시스템 및 방법은 전염병이 발병한 것으로 의심되는 가축의 혈액이나 배설물, 또는 가축의 일부를 채취(sampling)한 것을 검역소에서 분석하여 발병 여부를 판단하며, 그리고 분석결과가 도출되면 해당 전염병에 대한 방역조치를 취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게 되면, 전염병을 진단하는 과정에서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전염병이 의심되었던 가축이 실제로 전염병이 걸린 경우에는 전염병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시기를 놓치게 되므로 전염병의 확산에 따른 피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축사에서 사육하고 있는 가축의 전염병 발견을 위해서 가축이 고열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온도 반응성안료 및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가축의 전염병 발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사에 사육하는 가축의 온도를 검출하여 가축의 전염병 발병여부를 확인하는 가축의 전염병 발견 방법은 가축 피부의 설정된 위치에 미리 설정된 패턴으로 온도 반응성안료를 도포하는 단계; 축사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는 제1 카메라를 이용하여 온도 반응성안료가 포함되도록 가축을 촬상하고, 촬상된 가축 이미지로부터 온도 반응성안료의 색상이 기설정된 색상으로 변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온도 반응성안료의 기설정된 색상으로 변한 경우, 온도 반응성안료의 색상이 변한 가축을 위험 가축으로 판단하고, 축사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는 제2 카메라를 이용하여 위험 가축의 열영상을 촬상하여 위험 가축의 온도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온도 반응성안료의 색상을 변색여부 판단 단계는 온도 반응성안료의 색상이 기설정된 색상과 동일한지 여부를 비교하는 단계; 온도 반응성안료의 색상이 기설정된 색상으로 변색된 경우, 가축 이미지에 도포된 온도 반응성안료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마스킹 처리하여 마스킹 이미지를 형성하는 단계; 및 마스킹 이미지에서 패턴을 찾아 패턴의 패턴좌표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위험 가축의 온도를 검출하는 단계는, 패턴좌표로부터 위험 가축으로 판단된 가축의 열영상 이미지와 대응되는 위치의 열영상 좌표를 추적하는 단계; 및 열영상 좌표로부터 온도값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위험 가축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분포 범위를 벗어난 경우, 위험 가축의 가축 이미지에 온도값을 표시하는 온도표시 단계; 및 위험 가축을 전염병 대상가축으로 판단하고 온도값에 따라 위험 가축의 예상되는 전염병과 함께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온도 반응성안료는 시온안료이며, 제2 카메라는 열화상 카메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가축의 전염병 발견방법은 가축의 온도 확인이 필요한 가장 중요한 부위를 시온안료의 색상변화를 통해 온도변화 여부를 1차적으로 확인하고, 온도변화가 확인되면 열화상 카메라를 통해서 시온안료의 도포 위치의 보다 온도를 검출하여 가축의 온도변화를 검출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한으로 방지하고 정확하게 가축의 전염병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전염병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축의 전염병 발견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축의 전염병 발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축의 전염병 발견 장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온도 반응성안료를 변색상태를 나타내는 개념사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축의 전염병 발견 장치의 온도 반응성안료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마스킹 처리한 도면이다.
도 4b는 도 4a의 마스킹 처리 도면에서 온도 반응성안료의 좌표 추출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축의 전염병 발견 장치의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가축을 촬영하고, 온도 반응성안료의 위치를 추출한 것을 나타내는 개념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축의 전염병 발견 장치의 가축 이미지에 전염병 대상가축의 온도를 표시하는 것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축의 전염병 발견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축 전염병 발견 방법은 온도 반응성안료를 도포하는 단계(S100), 온도 반응성안료 색상 변색 판단단계(S200) 및 위험가축 온도 검출 단계(S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온도 반응성안료를 도포하는 단계(S100)는 온도 반응성안료를 가축 피부의 설정된 위치에 미리 설정된 패턴으로 도포하는 단계이다. 설정된 위치는 가축에 따라 온도변화가 민감한 위치에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포위치는 가축에 따라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돼지의 경우에는 체온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귀 언저리 부분에 기설정된 패턴으로 온도 반응성안료를 도포할 수 있다. 이때, 기설정된 패턴은 사각형, 원형, 삼각형 또는 가축의 고유식별 번호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패턴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온도 반응성안료는 시온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시온안료는 카멜레온처럼 온도에 따라 색깔이 변한다고 해서 카멜레온 잉크로 불리기도 하며, 측온안료 또는 서모컬러(thermocolor)로 불리기도 한다. 예를 들어, 가축의 설정된 위치에 파란색의 시온안료를 도포하게 되면, 가축의 전염병 감염여부에 따라 가축의 체온의 변화가 발생하면서 가축 피부에 도포된 파란색의 시온안료가 빨간색 또는 기타 다른 설정된 색상으로 변색됨으로써 가축의 온도변화가 있음을 시각적으로 알려주게 된다.
온도 반응성안료 색상변색 판단단계(S200)는 축사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는 제1 카메라를 이용하여 온도 반응성안료가 포함되도록 가축을 촬상하고, 촬상된 가축 이미지로부터 온도 반응성안료의 색상이 기설정된 색상으로 변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서, 온도 반응성안료 색상 비교 단계, 이미지 마스킹 형성단계 및 패턴좌표 추출 단계를 포함한다.
온도 반응성안료 색상 비교 단계는 온도 반응성안료의 색상이 기설정된 색상과 동일한지 여부를 비교한다. 즉, 가축의 온도변화에 따라 온도 반응성안료의 색상이 빨간색으로 설정된 경우, 가축 이미지에서 빨간색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여 비교함으로써 가축의 온도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마스킹 이미지 형성 단계는 위험 가축으로 판단된 가축 이미에서 온도 반응성안료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마스킹 처리한다. 따라서 전체적인 가축 이미지에서 온도 반응성안료 영역만을 다른 영역과 구분되도록 처리함으로써 패턴 이미지를 용이하게 추출되도록 할 수 있다.
패턴좌표 추출 단계에서는 마스킹 이미지에서 패턴을 찾고, 패턴의 패턴좌표를 추출한다. 이때, 마스킹 이미지에서 추출된 패턴은 저장되어 있는 기설정된 패턴형상으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패턴으로부터 좌표값을 추출할 수 있다. 이때, 마스킹 이미지에는 배경영역과 패턴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패턴영역과 배경영역의 명암비 등을 이용해서 패턴영역의 형상을 추출하여 기설정된 패턴형상과 비교하여 패턴형상을 추출하고, 추출된 패턴형상으로부터 패턴 위치의 좌표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패턴은 영역을 설정되므로 패턴영역의 중심점을 좌표로 추출할 수 있다.
위험가축 온도 검출 단계(S300)는 온도 반응성안료의 색상이 기설정된 색상으로 변한 경우, 온도 반응성안료의 색상이 변한 가축을 위험 가축으로 판단하고, 축사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는 제2 카메라를 이용하여 위험 가축의 열영상을 촬상하여 위험 가축의 온도를 검출하는 것으로서, 열영상 좌표 추적 단계 및 온도값 추출단계를 포함한다.
열영상 좌표 추적 단계는 패턴 좌표로부터 위험 가축으로 판단된 가축의 열영상 이미지와 대응되는 위치의 열영상 좌표를 추적한다. 이때, 열영상 이미지와 가축 이미지는 서로 다른 화각 등으로 인하여 동일한 위치에 서로 다른 좌표값을 생성할 수 있으므로 논리적 이미지 매칭을 통하여 가축 이미지와 동일하게 대응되는 열영상 이미지 좌표값을 추적할 수 있다.
온도값 추출단계는 열영상 좌표로부터 온도값을 추출하는 단계이다. 열화상 카메라의 열영상데이터는 각 픽셀이 온도 데이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추출된 좌표로부터 해당하는 픽셀의 온도값을 추출할 수 있다.
위험가축 온도 검출 단계(S300)는 온도 표시 단계 및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 표시 단계는 위험 가축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분포 범위를 벗어나 전염병 발병이 의심되는 경우, 위험 가축의 가축 이미지에 온도값을 표시하여 위험가축의 온도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도록 확인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알림 메시지 출력 단계는 위험 가축을 전염병 대상가축으로 판단하고 온도값에 따라 위험 가축의 예상되는 전염병과 함께 알림 메시지를 출력한다. 따라서 위험 가축에 예상되는 전염병을 확인할 수 있어 다른 가축들과의 격리 또는 예방방법 등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한편, 제1 카메라를 통하여 전염병 대상가축에 대해서 활동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전염병이 의심되는 가축에 대한 밀착 동영상을 촬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염병 대상가축의 활동성 동영상을 통해서 전염병 대상가축의 운동량 감소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축의 전염병 발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축의 전염병 발견 장치(100)는 촬상부(110), 제어부(120) 및 디스플레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촬상부(110)는 가축의 이미지 형상 또는 온도 영상을 촬상하는 것으로서, 제1 카메라(111) 및 제2 카메라(112)를 구비한다.
제1 카메라(111)는 온도 반응성안료를 포함하도록 가축을 촬영하여 가축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도 3a에 표시된 온도반응성 안료(BS)는 가축이 정상적인 상태로서 색이 변색되기 전상태이며, 도 3b에 표시된 온도반응성 안료(AS)는 가축의 전염병이 의심되어 색이 변색된 후를 촬상한 경우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사진이다. 제1 카메라(111)는 축사에 있는 가축들에 온도 반응성안료로 형성되어 있는 특정 패턴이 포함되도록 촬상하여 가축 영상을 디지털 이미지로 저장하는 것으로서 CCD(Charge Coupled Device)로 구현될 수 있다. CCD는 디지털 카메라에서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바꿔주는 광센서 반도체 소자이다.
구체적으로, 제1 카메라(111)는 렌즈와 조리개를 통해 제1 카메라(111) 내부로 전달된 빛을 CCD에 의해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전기적 신호는 ADC(Analog-Digital Converter)에 의해 이미지 파일로 변환되어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카메라(111)를 구동시키는 구동 신호가 입력되면, 빛이 렌즈와 조리개를 통해 CCD에 닿게 되고, 이에 따라 렌즈로부터 들어온 빛의 세기는 CCD에 기록된다. 이때, 촬영된 영상의 빛은 CCD에 붙어 있는 RGB 색필터에 의해 각기 다른 색으로 분리되고, 분리된 색은 CCD를 구성하는 수십만개의 감광소자에서 전기적 신호로 바뀌게 된다. 따라서 제1 카메라(111)는 CCD에 의해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촬상 이미지를 생성하게 된다.
제2 카메라(112)는 가축의 열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제2 카메라(112)는 열화상 카메라일 수 있다. 열화상 카메라는 피사체의 표면으로부터 복사되는 열에너지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장비로써 열에너지를 전자파의 일종인 적외선 파장의 형태로 검출하여 피사체 표면 복사열의 강도에 따라서 각각 다른 색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열화상 카메라로 형성되는 제2 카메라(112)는 가축의 표면으로부터 방출하는 적외선을 검출하여 가축의 현재 온도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제1 카메라(111)를 통해 촬상한 가축 이미지와 제2 카메라(112)를 통해 촬상한 열영상 이미지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바탕으로 축사 내의 가축에 대한 전염병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서, 색상 판단부(121), 마스킹 처리부(122), 패턴추출 및 좌표추출부(123), 열영상좌표 및 온도값 추출부(124), 전염병 DB 저장부(125) 및 영상 저장부(1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색상 판단부(121)는 제1 카메라(111)를 통해 촬상된 가축 이미지로부터 해당 가축의 시온안료의 색상이 기설정된 색상으로 변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색상 판단부(121)는 온도 반응성안료의 온도변화에 따른 변색 색상이 빨간색으로 설정된 경우, 가축 이미지에서 빨간색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게 된다.
이때, 가축 이미지의 색상이 기설정된 색상과 동일한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해서 RGB 모델을 적용할 수 있다. RGB 모델은 가장 기본적인 색상모델로서 색(color)을 Red, Green, Blue의 3가지 성분의 조합으로 생각하는 것이다. RGB 모델에서 검은색은 R=G=B=0, 흰색은 R=G=B=255, 빨강색은 R=255, G=B=0, 노란색은 R=G=255, B=0로 표현된다. R=G=B인 경우는 무채색인 Gray 색상이 된다. R, G, B 각각은 0 ~ 255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RGB 색상 모델을 사용하면 총 256 * 256 * 256 = 16,777,216가지의 색을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RGB 색상 모델을 통하여, 이미지 전체 픽셀에서 기설정된 색상과 동일한 색상의 픽셀이 있는지 여부를 비교하여 판단함으로써 시온안료의 색상이 변색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마스킹 처리부(122)는 색상 판단부(121)를 통해 온도 반응성안료의 색상이 기설정된 색상으로 변색된 것이 확인되면, 온도 반응성안료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가축 이미지를 마스킹 처리한다(도 4a). 즉, 마스킹 처리부(122)는 특정 색상을 제외한 다른 영역의 색상을 배경색(검은색)을 지정하고, 변색된 온도 반응성안료(AS)의 색상은 그대로 존재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패턴추출 및 좌표추출부(123)는 마스킹 처리부(122)를 통해 마스킹된 이미지에서 온도 반응성안료의 패턴만을 추출할 수 있다. 패턴추출 및 좌표추출부(123)는 패턴영역과 배경영역의 명암비와 패턴형상 정보를 이용해서 패턴영역의 형상을 추출하여 기설정된 패턴형상과 비교하여 패턴형상을 추출하고, 추출된 패턴형상으로부터 패턴 위치의 좌표를 추출할 수 있다(도 4b). 이때, 패턴은 영역을 설정되므로 패턴영역의 중심점을 좌표로 추출할 수 있다.
열영상좌표 및 온도값 추출부(124)는 패턴추출 및 좌표추출부(123)로부터 추출된 좌표값(x, y)을 이용하여 열영상 좌표를 추적한다(도 5). 이때, 가축 이미지와 열영상 이미지는 서로 다른 이미지 형상으로 가축 이미지의 패턴 위치와 대응되는 열영상 이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논리적 매칭을 통하여 열영상으로부터 패턴위치의 좌표값을 획득할 수 있다. 열영상 데이터는 각 픽셀이 온도 데이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추출된 좌표값에 해당하는 픽셀의 온도값을 추출하여 온도 반응성안료가 도포된 위치의 정확한 온도값을 검출하여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30)에 온도값을 출력할 수 있다(도 6).
전염병 DB 저장부(125)는 해당가축의 표준온도, 질병에 해당하는 온도분포 범위를 저장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돼지의 경우 정상 체온은 38 ~ 39도이며, 각 질병에 따른 다른 온도 분포 범위를 갖고 있다(표 1참조).
Figure 112016092917469-pat00001
디스플레이부(130)는 전염병 대상가축으로 판단된 가축 이미지에 온도값과 위험 가축의 예상되는 전염병과 함께 알림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30)는 가축 전염병 발견 장치(100)의 내부에 구성되거나 사용자 단말기(M)와 같은 외부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때, 제어부(120)는 사용자 단말기(M)와 통신하기 위해서 및 무선통신모듈(127)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M)를 통하여 축사에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실시간으로 축사의 가축에 대한 감염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저장부(126)는 제1 카메라(111) 및 제2 카메라를 통해서 촬영되는 영상을 저장하며, 저장된 영상은 디스플레이부(130)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1 카메라(111)는 전염병이 의심되는 가축의 운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밀착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전염병 발생 전의 동영상과 비교하여 현저한 활동상의 저하가 있는지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축의 전염병 발견방법은 가축의 온도 확인이 필요한 가장 중요한 부위를 시온안료의 색상변화를 통해 온도변화 여부를 1차적으로 확인하고, 온도변화가 확인되면 열화상 카메라를 통해서 시온안료의 도포 위치의 보다 온도를 검출하여 가축의 온도변화를 검출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한으로 방지하고 정확하게 가축의 전염병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전염병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가축 전염병 발견 장치 110 : 촬상부
111 : 제1 카메라 112 : 제2 카메라
120 : 제어부 130 : 디스플레이부

Claims (5)

  1. 축사에 사육하는 가축의 온도를 검출하여 가축의 전염병 발병여부를 확인하는 가축의 전염병 발견 방법은,
    가축 피부의 설정된 위치에 미리 설정된 패턴으로 온도 반응성안료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축사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는 제1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온도 반응성안료가 포함되도록 가축을 촬상하고, 촬상된 가축 이미지로부터 상기 온도 반응성안료의 색상이 기설정된 색상으로 변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온도 반응성안료 색상이 기설정된 색상으로 변한 경우, 상기 온도 반응성안료의 색상이 변한 가축을 위험 가축으로 판단하고, 상기 축사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는 제2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위험 가축의 열영상을 촬상하여 상기 위험 가축의 온도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온도 반응성안료의 색상을 변색여부 판단 단계는,
    상기 온도 반응성안료의 색상이 기설정된 색상과 동일한지 여부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온도 반응성안료의 색상이 기설정된 색상으로 변색된 경우, 상기 가축 이미지에 도포된 온도 반응성안료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마스킹 처리하여 마스킹 이미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킹 이미지에서 상기 패턴을 찾아 상기 패턴의 패턴좌표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위험 가축의 온도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패턴좌표로부터 상기 위험 가축으로 판단된 가축의 열영상 이미지와 대응되는 위치의 열영상 좌표를 추적하는 단계; 및
    상기 열영상 좌표로부터 온도값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의 전염병 발견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가축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분포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위험 가축의 가축 이미지에 상기 온도값을 표시하는 온도표시 단계; 및
    상기 위험 가축을 전염병 대상가축으로 판단하고 상기 온도값에 따라 상기 위험 가축의 예상되는 전염병과 함께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의 전염병 발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반응성안료는,
    시온안료이며,
    상기 제2 카메라는,
    열화상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의 전염병 발견 방법.
KR1020160123026A 2016-09-26 2016-09-26 가축의 전염병 발견 방법 KR101859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3026A KR101859949B1 (ko) 2016-09-26 2016-09-26 가축의 전염병 발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3026A KR101859949B1 (ko) 2016-09-26 2016-09-26 가축의 전염병 발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3726A KR20180033726A (ko) 2018-04-04
KR101859949B1 true KR101859949B1 (ko) 2018-05-21

Family

ID=61975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3026A KR101859949B1 (ko) 2016-09-26 2016-09-26 가축의 전염병 발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99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4164A (ko) * 2019-01-02 2020-07-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사육장 환경 관리 장치
WO2022253015A1 (zh) * 2021-06-02 2022-12-08 天津大学四川创新研究院 家畜感温变色耳标、其温度检测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3726A (ko) 2018-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64886B1 (en) System and method for observing piglet birth
KR101806400B1 (ko) 흑체를 이용한 듀얼 카메라 기반 체온 감시 시스템
US7746396B2 (en) Imaging device and method of creating image file
US10636174B2 (en) Abnormality detection system, abnormality detection method, and program
US8427632B1 (en) Image sensor with laser for range measurements
WO2019196009A1 (zh) 图像传感器坏点检测方法、拍摄装置、无人机及存储介质
KR102131250B1 (ko) 열화상센서를 갖는 스마트폰, 차량,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및 감지 방법
JP6360648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CN1825075A (zh) 检测热异常的系统和方法
JP5930135B2 (ja) 二次元コード読取装置
US20180309940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ing system
US20210185987A1 (en) Rearing place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KR101859949B1 (ko) 가축의 전염병 발견 방법
JP2004219277A (ja) 人体検知方法およびシステム、プログラム、記録媒体
US20190362520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chart for calibration, and calibration system
WO2020141888A1 (ko) 사육장 환경 관리 장치
CN113029349A (zh) 一种温度监测方法、装置、存储介质及设备
CN108761436B (zh) 一种火焰视觉测距装置及方法
US7714888B2 (en) Reflection spectroscopic means for detecting patterned objects
WO2019008936A1 (ja) 画像処理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処理システム
JP2005100193A (ja) 侵入監視装置
TW201120817A (en) System and method of image processing based on color information, and method for image categorization using the same
CN113993374A (zh) 动物信息管理系统和动物信息管理方法
KR102618508B1 (ko) 엣지 cctv를 이용한 객체 탐지 및 추적 시스템과 방법
JP6246163B2 (ja) 撮影装置、撮影方法及び、画像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