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9750B1 - 고정식 열 저장 운반장치 - Google Patents

고정식 열 저장 운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9750B1
KR101859750B1 KR1020170117478A KR20170117478A KR101859750B1 KR 101859750 B1 KR101859750 B1 KR 101859750B1 KR 1020170117478 A KR1020170117478 A KR 1020170117478A KR 20170117478 A KR20170117478 A KR 20170117478A KR 101859750 B1 KR101859750 B1 KR 101859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ell
heat
baffle
pc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7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원
Original Assignee
제일에스엠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에스엠피(주) filed Critical 제일에스엠피(주)
Priority to KR1020170117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97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9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9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02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atent heat
    • F28D20/021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atent heat the latent heat storage material and the heat-exchanging means being enclosed in one contai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16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in parallel spaced relation
    • F28D7/160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in parallel spaced relation with particular pattern of flow of the heat exchange media, e.g. change of flow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006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with variable shape, e.g. with modified tube ends, with different geometric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22Arrangements for directing heat-exchange media into successive compartments, e.g. arrangements of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20/0065Details, e.g. particular heat storage tanks, auxiliary members within tanks
    • F28D2020/0086Part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22Arrangements for directing heat-exchange media into successive compartments, e.g. arrangements of guide plates
    • F28F2009/222Particular guide plates, baffles or deflectors, e.g. having particular orientation relative to an elongated casing or conduit
    • F28F2009/226Transversal part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75/00Fastening; Joining
    • F28F2275/06Fastening; Joining by wel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식 저장 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장 등 대형 보일러를 사용하는 장소에서 버려지는 폐열(공기 또는 유체)의 열기 또는 냉기를 상변화 물질(PCM: Phase Change Materials)에 저장 및 필요시 공기나 유체와의 열교환을 통해 운반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등 버려지는 폐열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하며, 또한, 열 저장 운반장치를 이루는 구성요소 중 PCM이 충전되는 튜브를 개별 구성함으로써, PCM이 저장되는 튜브의 일부가 노후 및 파손시 교체요건을 갖는 부위만을 개별적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지 보수비용을 절감과 특히 고가의 PCM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고정식 열 저장 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정식 열 저장 운반장치{PCM HEAT STORAGE DEVICE}
본 발명은 저장 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려지는 폐열을 안정적으로 저장 및 필요시 운반 사용이 가능하게 하며, 특히 그 구조개선을 통해 유지보수 비용절감 및 제품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고정식 열 저장 운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동사이클은 압축기, 응축기, 수액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압축기는 기체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응축기는 고온고압의 기체 냉매를 열교환작용으로 저온 저압의 액체 냉매로 응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수액기는 상기 응축기에서 액상으로 응축된 액체 냉매를 일시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팽창밸브는 상기 수액기에서 보내진 액상 냉매를 안개와 같은 상태가 되도록 급속하게 팽창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증발기는 상기 팽창밸브에서 안개와 같이 급속 팽창된 냉매를 공기 또는 물 등과의 열교환작용을 공기 또는 물로부터 열을 빼앗아 차갑게 냉각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에서는 증발기에서 공기 또는 물과의 열교환작용으로 열을 빼앗고 증발하는 기체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작용을 반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냉동사이클은 외부의 온도 변화에 따라 냉동성능이 좌우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외부의 기온 변화 즉, 날씨에 따라 상기 응축기 및 증발기의 성능이 변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하절기에는 외부의 기온이 대략 26∼28℃ 이상으로 높게 올라가게 될 경우에는 압축기에서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기체 냉매를 액상으로 응축시키는 응축기에서 고온고압의 기체냉매를 저온저압의 액체냉매로 응축시키는 작용이 원활하지 못하여 기체냉매를 액체냉매로 응축시키지 못하여 냉동사이클의 성능이 저하되었다.
또한, 동절기에는 외부의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게 될 경우 증발기에서 안개상태의 냉매와 공기 또는 물과의 열교환작용이 저하됨에 따라 냉동사이클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냉동사이클의 응축기 및 증발기 각각에 셀 엔 튜브식(shell and tube type) 열교환기를 적용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셀 엔 튜브 타입의 열교환기는 대표적으로 대한민국등록실용 제20-0349474호를 통해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셀 앤 튜브 타입의 열교환기를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하부에 작동유체가 채워진 셀(10)과, 상기한 작동유체가 채워진 셀(10)에 설치되며, 내부에 고온 유체가 유동되는 하부 전열관(88)과, 상기한 하부 전열관(88)의 상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저온의 유체가 유동되는 상부 전열관(99)과, 상기한 셀(10)의 측부에 형성되며, 고온 유체의 유입을 위한 고온수입구와 저온 유체의 유입을 위한 저온수입구를 갖는 본넷(4), 상기한 셀(10)의 측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한 본넷(4)과 결합되는 고정관판(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고온수가 유입되면 하부 전열관(88)을 통하여 셀(10)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작동유체(프레온 가스, 메탄올, 알콜)로 열이 전달되어 작동유체가 비등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부 전열관(99)에는 저온수가 유입되므로, 비등한 작동유체가 상부 전열관(99)에 접촉하면 저온수와 열교환을 수행하여 응축되어 중력에 의해 하부쪽으로 흘러 셀(10) 내부에서 비등과 응축을 반복하면서 열을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열교환기는 전체 구성요소들이 하나의 덩어리 형태로 고정되어 일부 구성요소의 노후 및 일부 구성요소의 파손시 전체를 교체해야 했으며, 이로 인해 높은 유지보수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34947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공장 등 대형 보일러를 사용하는 장소에서 버려지는 폐열(공기 또는 유체)의 열기 또는 냉기를 상변화 물질(PCM: Phase Change Materials)에 저장 및 필요시 공기나 유체와의 열교환을 통해 운반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등 버려지는 폐열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고정식 열 저장 운반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열 저장 운반장치를 이루는 구성요소 중 PCM이 충전되는 튜브를 개별 구성함으로써, PCM이 저장되는 튜브의 일부가 노후 및 파손시 교체요건을 갖는 부위만을 개별적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지 보수비용을 절감과 특히 고가의 PCM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고정식 열 저장 운반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내부에 밀폐된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외면에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열매체 유입구 및 열매체 유출구가 형성된 셀;
상기 셀의 수용공간 내부가 지그재그 형태로 교번된 개방구조를 갖도록 상기 수용공간 내에 소정간격 이격되게 고정되며, 내측에 다수의 결속홀이 마련된 배플;
일단이 개방된 관체 형태로 구성되어 셀의 수용공간 내에서 다수가 자유단을 이루며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결속홀에 삽입 연결되며, 내부에는 PCM이 충전되는 교체형 튜브;
상기 튜브의 일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셀의 인접한 일측에 설치되며, 내측에 상기 튜브의 개방된 일단이 결합되는 연결홀이 마련된 튜브시트; 및
상기 연결홀에 삽입되어 셀의 수용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며, 상기 튜브의 개방된 일단이 결합되는 관통형 어댑터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연결홀에 삽입되어 셀의 수용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관통형 어댑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어댑터는,
외측단이 튜브시트의 외측면과 동일면을 이루게 삽입되는 한편, 그 외측단이 튜브시트와 용접되어 제1 용접부를 이루고,
내측단이 셀의 수용공간으로 돌출 및 축소된 직경을 이루는 단턱부를 이루어 튜브의 개방된 일단이 결합 및 용접되어 제2 용접부를 이루게 구성
튜브는,
직선형 핀튜브 또는 스크류 튜브 또는 나선형 튜브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고정식 열 저장 운반장치는, PCM의 잠열 성능을 이용하여 버려지는 폐열의 열기를 저장 및 필요시 운반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등 그 폐열의 효율적인 사용에 따른 에너지의 절감을 가져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그 구조 개선을 통해 PCM이 저장되는 튜브의 일부가 노후 및 파손으로 인해 교체를 요할 시 그 파손 부위만을 간편하게 교체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등 유지 보수비용의 절감이 가능하며, 특히 고가의 PCM이 불필요하게 벌여지는 것을 예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셀 앤 튜브 타입의 열교환기를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고정식 열 저장 운반장치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체도.
도 3은 본 발명 고정식 열 저장 운반장치의 제1 실시예 요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 고정식 열 저장 운반장치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튜브 다른 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 고정식 열 저장 운반장치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튜브 다른 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 고정식 열 저장 운반장치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체도.
도 7은 본 발명 고정식 열 저장 운반장치의 제2 실시예 요부 확대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고정식 열 저장 운반장치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열 저장 운반장치의 제1 실시예 요부 확대도이다.
도 2 및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열 저장 운반장치(1)는 셀(110), 배플(120). 튜브(130), 튜브시트(140) 및 어댑터(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셀(110)은, 내부에 버려지는 폐열 또는 사용하고자 하는 열매체(공기,유체)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열교환이 수행되는 수용공간(111)이 형성되며, 외면에는 상부로 상기 수용공간(111)과 연통되는 열매체 유입구(113)가 형성되고, 외면에는 하부로 상기 수용공간(111)과 연통되는 열매체 유출구(115)가 형성된다.
즉, 셀(110)은 열매체 유입구(113)을 통해 버려지는 폐열 또는 사용하고자 하는 열매체가 유입 및 수용공간(111)을 통과하여 열매체 유출구(115)로 배출되게 구성된다.
상기 배플(120)은, 상기 수용공간(111)을 구획하여 폐열 또는 열매체가 이동하는 경로를 마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배플(120)은 상기 수용공간(111) 내부가 지그재그 형태로 교번된 개방구조를 갖도록 상기 수용공간(111) 내에 소정간격 이격되게 고정되며, 내측에 다수의 결속홀(121)이 마련된다.
이에, 폐열 또는 열매체는 수용공간(111) 내에서 상기 배플(120)이 미치지 못하는 개방부위를 통해 이동한다.
상기 튜브(130)는, 일단이 개방된 관체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수용공간(111) 내에서 이동하는 폐열 또는 열매체와 열교환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열전도성이 뛰어난 금속재로 구성되며, 그 튜브(130)의 내부에는 잠열성이 우수한 상변화 물질(PCM: Phase Change Materials)이 충전되게 구성된다.
이때, 튜브(130)는 관체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수용공간(111) 내에서 다수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결속홀(121)에 삽입 연결되게 구성된 것으로,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먼저, 튜브(130)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직선관 형태를 이루는 핀튜브(131)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튜브(130)는 도 4를 참조하여 외주면에 나선상의 스크류(도면중 미도시함)이 형성된 스크류 튜브(132)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튜브(130)는 도 5를 참조하여 자체적으로 나선 형태를 이루는 나선형 튜브(133)로 구성할 수 있다.
즉, 튜브(130)는 본 발명 열 저장 운반장치(1)가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특히 스크류 튜브(132) 또는 나선형 튜브(133)로 구성시에는 폐열 또는 열매체와의 접촉 면적이 증대되어 열교환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튜브(130)에는 PCM이 충전되게 구성된 것인바, 폐열이 열매체 유입구(113)으로 진입 및 배플(120)에 의해 형성되는 경로를 통해 수용공간(111)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PCM과 열교환하여 그 PCM에 저장되게 되며, 추후, PCM에 저장된 열을 사용시에는 공기나 유체 등의 예열과 마찬가지로 열매체를 수용공간(111)으로 통과시켜 PCM과의 열교환을 통해 열을 얻어 사용 가능하게 된다.
상기 튜브시트(140)는, 상기 튜브(130)의 일단을 지지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튜브시트(140)는 상기 셀(110)의 인접한 일측에 설치되며, 내측에 상기 튜브(130)의 결합이 가능하게 하는 다수의 연결홀(141)이 마련된다.
상기 어댑터(150)는, 상기 튜브(130)의 개방된 일단을 튜브시트(140)에 결합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어댑터(150)는 상기 튜브시트(140)의 각각의 연결홀(141)에 결합되어 셀(110)의 수용공간(111)과 외부를 연통하는 관체 형태로 구성되며, 수용공간(111)에 위치되는 내측단에는 축소된 직경을 이루는 단턱부(151)를 이루게 구성된다.
이에, 어댑터(150)는 그 외측단이 튜브시트(140)의 외측면과 동일면을 이루게 삽입되는 한편, 그 외측단이 튜브시트(140)와 용접 고정되어 제1 용접부(140a)를 이루게 되고, 그 내측단의 단턱부(151)는 수용공간(111)으로 인출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튜브(130)는 그 개방된 일단에 상기 어댑터(150)의 단턱부(151)가 삽입 및 그 어댑터(150)와 용접 고정되어 제2 용접부(150a)를 이루게 구성된다.
즉, 상기 튜브(130)는 튜브시트(140)에 결합시 어댑터(150)를 통해 용접 결합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어댑터(150)의 외측단은 그 어댑터(150)의 내부를 개폐하기 위한 마개 형태의 플러그(160)로 마감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먼저, 어댑터(150)의 외측단 내주면에는 암나사부(152)가 구성되고, 플러그(160)의 일측 외주면에는 상기 암나사부(152)에 체결되는 수나사부(162)가 구성되어 나사 결합을 통해 플러그(160)를 어댑터(150)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튜브(130)은, 그 개방된 일단이 어댑터(150)을 통해 튜브시트(140)에 결합 고정되고, 그 타단은 셀(110)의 수용공간(111) 내에서 자유단을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이러한 튜브(130)의 수용공간(111) 내에서의 자유단 구성은 튜브(130)가 수용공간(111) 내부에서의 온도 변화에 따른 열팽창에 용이한 대응이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에, 상기와 같은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는 그 구조 개선을 통해 유지 보수비용을 절감 및 제품 조립이 용이하여 제품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에 따른 결합관계 및 작용효과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열 저장 운반장치(1)는 상기 튜브(130)의 단부가 어댑터(150)에 결합되게 구성된 것인바, 튜브(130)와 어댑터(150)의 노후 및 파손시 그 파손된 튜브(130) 만을 개별적으로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즉, 다수의 튜브(130)들 중 교체 요건을 갖춘 튜브(130)가 발생시 상기 튜브(130)와 어댑터(150)을 연결한 제2 용접부(150a)를 용융 및 절단한 상태에서 새로운 튜브를 결합 및 용접하여 교체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교체 과정에서 그 튜브(130)와 어댑터(150)를 일시에 교체시에는 튜브시트(140)와 어댑터(150)를 연결한 제1 용접부(140a)를 용융 및 절단한 상태에서 새로운 튜브(130)와 어댑터(150)를 결합 및 용접하여 교체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열 저장 운반장치(1)는, 공장 등 대형 보일러를 이용한 열원을 사용하는 장소에서 그 버려지는 폐열을 이용하여 열을 저장 및 저장된 열을 재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버려지는 폐열은 열매체 유입구(113)을 통해 셀(110)의 수용공간(111)으로 유입되는 것인바, 유입된 폐열은 배플(120)에 의해 형성된 경로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튜브(130)를 가열 및 그 튜브(130) 내부에 충전된 PCM과 열교환을 통해 그 PCM에 열기를 저장하게 되며, 이렇게 열교환 된 폐열은 다시 열매체 유출구(11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도게 된다.
즉, 본 발명 열 저장 운반장치(1)는 버려지는 폐열의 열기를 튜브(130)의 PCM에 저장이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이렇게 PCM에 저장된 열기는 그 PCM의 우수한 잠열성에 의해 장시간 저장이 가능하게 된다.
이후, 그 PCM에 저장된 열기를 사용시에는 폐열의 흐름과 마찬가지로 사용하고자 하는 열매체(공기, 유체)를 열매체 유입구(113)을 통해 셀(110)의 수용공간(111)으로 유입시키면 되는 것으로, 유입된 열매체는 배플(120)에 의해 형성된 경로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튜브(130)의 PCM과 열교환을 통해 그 PCM에 저장된 열기를 전달받아 가열되게 되며, 이렇게 가열된 열매체는 다시 열매체 유출구(115)를 통해 외부로 배출 사용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셀(110)의 내부에 폐열 또는 열매체를 통과시키기 위해서는 열매체 유입구(113) 및 열매체 유출구(115)에는 폐열이 이동되는 폐열관(도면중 미도시함) 또는 열매체가 이동되는 열매체관(도면중 미도시함)이 교체 사용됨은 당연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열 저장 운반장치(1)는, 버려지는 폐열을 저장 및 필요시 열교환을 통해 사용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열기 생성에 따른 에너지의 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 열 저장 운반장치(1)는, 튜브(130)의 개별 해체가 가능하여 유지보수의 편의성 향상 및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특히 각각의 튜브(130) 교체에 따른 그 튜브(130)에 충전되는 PCM이 불필요하게 버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어댑터(150)는 플러그(160)를 통해 개폐 가능하게 구성된 것인바, 플러그(160)는 상시 체결하는 것이 아니라 튜브(130) 내의 PCM 교체시 사용되는 것으로, 각각의 튜브(130)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필요한 PCM의 개별 교체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튜브(130)와 어댑터(150)는 서로 하나씩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인바, 유지보수의 편의성 향상 및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 열 저장 운반장치의 제2 실시예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설명함에 앞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동작구조를 나타내어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며, 이에 따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열 저장 운반장치(2)는 배플(120)이 착탈 가능한 조립구조를 갖게 된다.
즉, 상기 배플(120)은 상기 수용공간(111) 내에서 롱볼트(261)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상기 롱볼트(261)는 배플(120)들을 관통하여 그 단부가 상기 튜브시트(140)에 체결되며, 상기 배플(120)과 배플(120) 사이에는 이들을 소정간격 이격시키기 위한 스페이서(263)가 개재된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열 저장 운반장치(2)는 롱볼트(261)의 체결 및 해체동작을 통해 배플(120)을 조립 및 해체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노후 및 파손시 교체요건을 갖는 배플만을 개별적으로 교체하여 유지 보수의 편의성 향상 및 유지 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구성요소들을 단순 회전을 통해 체결 및 탈거되는 조립식 연결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제품 조립이 용이하여 제품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110 : 셀 111 : 수용공간
113 : 열매체유입구 115 : 열매체 유출구
120 : 배플 121 : 결속홀
130 : 튜브 131 : 핀튜브
132 : 스크류 튜브 133 : 나선형 튜브
140 : 튜브시트 141 : 연결홀
150 : 어댑터 151 : 단턱부
152 : 암나사부 160 : 플러그
162 : 수나사부
261 : 롱볼트 263 : 스페이서

Claims (5)

  1. 내부가 밀폐되어 열매체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열교환이 수행되는 수용공간(111)이 형성되며, 외면에 상기 수용공간(111)과 연통되는 열매체 유입구(113) 및 열매체 유출구(115)가 형성된 셀(110);
    상기 셀(110)의 수용공간(111)을 구획하여 폐열 또는 열매체가 이동하는 경로가 형성되도록 셀(110)의 수용공간(111) 내부에 지그재그 형태로 교번된 개방구조로 수용공간(111) 내에 소정간격 이격되게 고정되며, 내측에 다수의 결속홀(121)이 마련된 배플(120);
    일단이 개방된 관체 형태로 셀(110)의 수용공간(111) 내에서 다수가 자유단을 이루며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결속홀(121)에 삽입 연결되며, 내부에는 PCM이 충전되는 교체형 튜브(130);
    상기 튜브(130)의 일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셀(110)의 인접한 일측에 설치되며, 내측에 상기 튜브(130)의 개방된 일단이 결합되는 연결홀(141)이 마련된 튜브시트(140);
    상기 연결홀(141)에 삽입되어 셀(110)의 수용공간(111)과 외부를 연통하는 관체형태로 외측단 내주면에 암나사부(152)가 구비되며, 내측단에 상기 튜브(130)의 개방된 일단이 결합되도록 축소된 직경을 이루는 단턱부(151)가 구비된 관통형 어댑터(150);
    상기 어댑터(150)의 내부를 개폐하도록 외면에 어댑터(150)의 암나사부(152)에 체결되는 수나사부(162)가 구비된 플러그(160)를 포함하되,
    상기 수용공간(111) 내에서 배플(120)의 조립 및 해체 가능하도록 배플(120)을 관통하여 단부가 튜브시트(140)에 체결되는 롱볼트(261);
    상기 배플(120)과 배플(120) 사이에 설치되어 다수의 배플(120)을 소정간격 이격시키는 스페이서(2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식 열 저장 운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150)는,
    외측단이 튜브시트(140)의 외측면과 동일면을 이루게 연결홀(141)에 삽입되고, 상기 외측단이 튜브시트(140)와 용접되어 제1 용접부(140a)를 이루고,
    내측단의 단턱부(151)가 셀(110)의 수용공간(111)으로 돌출되며, 상기 튜브(130)의 개방된 일단이 결합 및 용접되어 제2 용접부(150a)를 이루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식 열 저장 운반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130)는,
    직선형 핀튜브(131) 또는 스크류 튜브(132), 나선형 튜브(133)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식 열 저장 운반장치.
  5. 삭제
KR1020170117478A 2017-09-13 2017-09-13 고정식 열 저장 운반장치 KR101859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478A KR101859750B1 (ko) 2017-09-13 2017-09-13 고정식 열 저장 운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478A KR101859750B1 (ko) 2017-09-13 2017-09-13 고정식 열 저장 운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9750B1 true KR101859750B1 (ko) 2018-05-21

Family

ID=62453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7478A KR101859750B1 (ko) 2017-09-13 2017-09-13 고정식 열 저장 운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975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0175B1 (ko) * 2015-04-03 2015-09-03 세원셀론텍(주) 쉘앤튜브 용접방법
JP6004233B2 (ja) * 2010-08-03 2016-10-05 チェシ ファーマスーティシ エス.ピー.エイ. ホスホジエステラーゼ阻害剤を含む乾燥粉末製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04233B2 (ja) * 2010-08-03 2016-10-05 チェシ ファーマスーティシ エス.ピー.エイ. ホスホジエステラーゼ阻害剤を含む乾燥粉末製剤
KR101550175B1 (ko) * 2015-04-03 2015-09-03 세원셀론텍(주) 쉘앤튜브 용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1120739U (zh) 一种压缩气体冷冻式干燥机换热除水的结构
CN210802145U (zh) 一种压缩气体冷冻式干燥机高效换热除水的结构
CN103908791B (zh) 内置冷凝器的同腔两次相变减压蒸馏器
CN105928399A (zh) 一种吹胀式板式换热器及其制造方法
KR101859752B1 (ko) 조립식 열 저장 운반장치
KR101859750B1 (ko) 고정식 열 저장 운반장치
CN205425877U (zh) 集成式冷凝器
CN104236097A (zh) 一种新型换热储水箱
CN204202251U (zh) 管内高液体润湿流动换热的壳管式蒸发器
CN110701833A (zh) 一种水冷壳管式冷凝器
CN205505272U (zh) 一种低谷电蓄热蓄冷热泵空调机
CN102478366A (zh) 多级组合换热装置
EP3270086B1 (en) Heat exchanger for recovery of waste heat
CN205090407U (zh) 一种盘管式热交换装置
CN203803134U (zh) 内置冷凝器的同腔两次相变减压蒸馏器
CN112219930B (zh) 一种热量交换结构及基于冷量闪存的冰淇淋制备系统
CN209783045U (zh) 一种高效节能多回路蒸发器
CN201163158Y (zh) 热水热交换器
CN203132378U (zh) 用于低温发电机组的冷凝换热与储液连体设备
CN202304124U (zh) 一种新型高效满液式蒸发器
CN103335457A (zh) 空气源热泵超导冷凝器和蒸发器
CN201225851Y (zh) 利用余热的空气冷却器
CN111365905A (zh) 一种换热器、气液分离器、制冷系统、换热器的制造方法及用途
CN219977169U (zh) 一种大通量双螺纹套管换热器
CN105698319A (zh) 一种低谷电蓄热蓄冷热泵空调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