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9228B1 - Et 전력 송신기에서 바이어스 모듈레이터의 출력 전류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Et 전력 송신기에서 바이어스 모듈레이터의 출력 전류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9228B1
KR101859228B1 KR1020110101915A KR20110101915A KR101859228B1 KR 101859228 B1 KR101859228 B1 KR 101859228B1 KR 1020110101915 A KR1020110101915 A KR 1020110101915A KR 20110101915 A KR20110101915 A KR 20110101915A KR 101859228 B1 KR101859228 B1 KR 101859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amount
switch
signal
switching reg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1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7488A (ko
Inventor
김일두
김범만
김정준
김승찬
김장헌
윤현수
이동근
차정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1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9228B1/ko
Publication of KR20130037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7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9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9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1607Supply circuits
    • H04B1/1615Switching on; Switching off, e.g. remote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1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with control of the supply voltage or current
    • H03F1/0216Continuous control
    • H03F1/0222Continuous control by using a signal derived from the input signal
    • H03F1/0227Continuous control by using a signal derived from the input signal using supply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락선 추적(ET: ENVELOPE TRACKING) 전력 송신기에서 바이어스 모듈레이터의 출력 전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ET 전력 송신기의 입력 신호를 포락선 전압 신호로 나타내고, 상기 포락선 전압 신호의 기울기의 증감 여부에 따라 고효율 전력 증폭기의 입력 전력을 출력하는 스위치에 공급되는 전력을 증감시키는 조정 신호를 생성하는 조정 회로부와, 상기 조정 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치에 공급되는 전력을 증감시켜 상기 고효율 전력 증폭기로 입력하는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ET 전력 송신기에서 바이어스 모듈레이터의 출력 전류 제어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CURRENT OF BIAS MODULATOR IN ENVELOPE TRACKING POWER TRANSMITTER}
본 발명은 ET(Envelope Tracking) 전력 송신기에서 바이어스 모듈레이터의 출력 전류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이 점점 발전함에 따라 전송해야 할 데이터의 양이 많아지고, 빠른 이동속도를 필요로 함에 따라 전송해야 할 대역폭이 더욱 넓어진다. 따라서 제한된 대역폭 안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피크 대 평균 전력 비율(PAPR: Peak to Average Power Ratio)이 더욱 커지게 되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요구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높은 효율과 선형성을 가지는 고성능 송신기의 중요성이 갈수록 부각되고 있다. 이동통신 전력 송신기(Power Transmitter)의 효율 및 선형성은 일반적으로 트레이드오프 (Trade-off) 관계를 갖고 있으므로, 이 두 특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것은 매우 어렵다.
최근에 각광받고 있는 ET(Envelope Tracking) 전력 송신기는 높은 선형성과 효율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전력 송신기의 성능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구성이 바이어스 모듈레이터(Bias Modulator)와 고효율 전력 증폭기이다. 고효율 전력 증폭기(800)는 높은 효율 특성이 가장 중요하게 요구되고, 크기가 변하는 직류 드레인 바이어스(Drain Bias)에 대한 위상 왜곡이 심각하기 때문에 디지털 전치 왜곡(DPD) 등의 선형화기가 반드시 필요하게 된다. 바이어스 모듈레이터는 ET 전력 송신기의 선형성과 효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특히 모듈레이션 신호(Modulation Signal)의 대역폭이 넓어지고, PAPR이 커질수록 더욱 더 고성능의 바이어스 모듈레이터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므로, ET 전력 송신기 내의 바이어스 모듈레이터의 성능을 증가시킴으로써, 보다 높은 효율을 갖는 ET 전력 송신기의 설계가 요구되어진다.
본 발명은 포락선 전력 신호를 이용하여 ET 전력 송신기 내의 바이어스 모듈레이터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포락선 추적(ET: ENVELOPE TRACKING) 전력 송신기에서 바이어스 모듈레이터의 출력 전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ET 전력 송신기의 입력 신호를 포락선 전압 신호로 나타내고, 상기 포락선 전압 신호의 기울기의 증감 여부에 따라 고효율 전력 증폭기의 입력 전류를 출력하는 스위치에 공급되는 전류을 증감시키는 조정 신호를 생성하는 조정 회로부와, 상기 조정 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치에 공급되는 전류을 증감시켜 상기 고효율 전력 증폭기로 입력하는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포락선 추적(ET: ENVELOPE TRACKING) 전력 송신기의 바이어스 모듈레이터의 출력 전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ET 전력 송신기의 입력 신호를 나타내는 포락선 전압 신호의 기울기의 증감 여부에 따라 고효율 전력 증폭기의 입력 전류를 출력하는 스위치에 공급되는 전류를 증감시키는 조정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조정 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치에 공급되는 전류를 증감시켜 상기 고효율 전력 증폭기로 입력하는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ET 전력 송신기용 바이어스 모듈레이터는, 고효율로 동작하는 스위치 전류의 비율을 높임으로써 ET 전력 송신기의 성능을 증가시키고, 통신시스템에서 발열로 인한 문제를 경감시켜주며 전체적인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ET 전력 송신기의 기본 구성도.
도 2는 일반적인 ET 전력 송신기를 구성하는 선형증폭기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ET 전력 송신기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칭 레귤레이터 조정 회로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칭 레귤레이터 조정회로의 동작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칭 레귤레이터 조정회로가 출력하는 조정 신호의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일반적인 바이어스 모듈레이터의 스위치 전류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이어스 모듈레이터의 스위치 전류간의 출력전류 파형을 비교한 그래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ET 전력 송신기의 기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ET 전력 송신기(100)는 위상/진폭 분리부(102)와, 직교변조기(104)와, 국부 발진기(106)와, 고효율 전력 증폭기(108) 및 바이어스 모듈레이터(11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바이어스 모듈레이터(110)는 선형 진폭 증폭기(112)와, 비교기(114)와, 스위치 드라이버군(116)과 스위칭 레귤레이터(118)를 포함한다.
상기 위상/진폭 분리부(102)는 송신해야 할 디지털 신호를 상기 ET 전력 송신기(100)에 적합하도록 진폭과 위상 성분으로 분리시킨다. 상기 직교 변조기(104)는 위상의 IQ성분을 무선 주파수(RF: Radio Frequency)로 변조시키고, 상기 선형 진폭 증폭기(112)와 스위칭 레귤레이터(118)는 상기 진폭 성분을 증폭하고, 상기 비교기(114)는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118)의 온/오프(on/off)를 결정한다. 상기 스위치 드라이버군(116)은 상기 온/오프 결정 결과를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118)에게 전달하고, 상기 국부 발진기(106)는 RF 반송파(subcarrier)를 발생시키고, 상기 고효율 전력 증폭기(108)는 바이어스 모듈레이터에 의해 증폭된 진폭 신호와 RF 신호를 각각 전원 바이어스 전압과 입력 신호로 사용한다. 상기 고효율 전력 증폭기(108)는 클래스(class) D, 클래스E, 클래스F, 클래스 J, 포화된 Power Amplifier(saturated PA) 등의 모든 스위칭 및 포화 동작을 하는 고효율 전력 증폭 장치를 말한다.
도 2는 일반적인 ET 전력 송신기를 구성하는 선형증폭기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선형 진폭 증폭기(112)는 드라이버단(202)과, 버퍼단(204)을 포함한다.
상기 선형 진폭 증폭기(112)는 광대역 신호를 출력 단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버퍼단(204)을 통해서 전류를 상기 고효율 전력 증폭기(108)에게 공급한다. 이때, 상기 버퍼단(204)에서 전류가 공급된다는 신호를 감지하면,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118)가 켜지게 된다. 반대로,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118)의 출력 전류가 상기 버퍼단(204)에서 출력된 전류보다 같거나 많을 경우, 상기 버퍼단(204)에 의해 불필요한 전류가 제거되며,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118)는 이를 감지하여 전류 공급을 차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부궤환을 이용하는 방법은 실제 전류의 필요 여부에 따라 스위치 전류를 공급하기 때문에 스위치 전류가 발산하거나 수렴하는 문제 없이 안정적으로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선형 진폭 증폭기의 동작은 회로 자체의 지연시간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상기 선형 진폭 증폭기(112)에서 전류가 공급되는 것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118)가 동작하고, 상기 버퍼단(204)에서 역으로 공급되는 전류를 감지하여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118)에서 공급되는 전류를 중단하므로,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118)를 구성하는, 정해진 인덕터(Inductor) 값에 의해 출력 전류를 따라가는데 한계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이하, 본 발명에서는 ET 전력 송신기 내에서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포락선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출력 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조정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조정 신호에 의해 고효율 전력 증폭기에게 전류를 공급한다.
일반적으로, 포락선 전압 신호의 경우 출력 전류와 거의 비슷한 형태의 신호로 나타내어 진다. 그러므로, 이러한 특성을 상기 조정 신호에 이용할 경우, 스위치의 on/off를 보다 빠르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스위치에 공급되는 전류의 비율을 높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포락선 전압의 증감을 판단하거나 일정 레벨을 기준으로 증감될 전류의 양에 대한 대소를 구분하여 상기 조정 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스위치 드라이버 군에 인가한다. 이때, 포락선 전압을 이용해 만들어진 상기 조정 신호는 전압 대비 출력 전류의 비율을 최대한 높이기 위해 시간 지연 보상회로를 추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하, 본 발명은 ET 전력 송신기의 성능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중 하나인 바이어스 모듈레이터의 효율을 개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바이어스 모듈레이터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본 발명은 고효율 특성을 갖는 일반적인 스위칭 레귤레이터(도 1의 118 참조)가 ET 전력 송신기용 고효율 전력 증폭기(도 1의 108참조)로 전달하는 전류의 비율을 더욱 증가시키고, 낮은 효율을 갖는 선형 진폭 증폭기(도 1의 112참조)의 전류 전달 비율을 감소시킨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은, ET 전력 송신기용 고효율 전력 증폭기에서 필요로 하는 전류의 급변하는 포락선을 고효율 특성을 갖는 스위칭 레귤레이터가 효율적으로 따라갈 수 있도록 조정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ET 전력 송신기용 바이어스 모듈레이터는 분리된 진폭 성분의 선형적인 증폭을 주 역할로 하는 선형 진폭 증폭기와, 선형 진폭 증폭기에서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출력 단에 공급하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 감지 증폭기와, 포락선 전압을 이용하여 스위칭 모듈레이터의 출력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조정회로와, 상기 조정회로에 의해 생성된 제어 신호에 따라 출력 전류를 증감시키고, 증감된 출력 전로를 고효율 전력 증폭기의 입력으로 출력하는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ET 전력 송신기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ET 전력 송신기(300)는 위상/진폭 분리부(302)와, 직교변조기(304)와, 국부 발진기(306)와, 고효율 전력 증폭기(308) 및 바이어스 모듈레이터(31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바이어스 모듈레이터(310)는 선형 증폭기(312)와, 비교기(314)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포락선 전압을 이용한 스위칭 레귤레이터 조정 회로(316)와, 스위치 드라이버군(318) 및 스위칭 레귤레이터(320)를 포함한다. 도 3에서는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 조정회로(316)가 1개 설치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인가 전압에 따라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 조정회로(316)는 다수 개가 설치 가능하다.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 조정회로(316)는 상기 스위치 드라이버 군(318)의 앞 단에 위치하고, 상기 위상 진폭 분리부(302)와, 상기 선형 증폭기(312) 및 상기 비교기(314)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 조정회로(314)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은 일반적인 ET 전력 구성기의 구성으로서의 동작과 유사하게 동작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 조정회로(316)는 상기 위상/진폭 분리부(302)에 인가된 신호에 대한 포락선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스위칭 모듈레이터(320)를 구동하기 위한 조정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조정 신호에 의해 만들어진 펄스(Pulse)를 상기 스위치 드라이버군(318)을 통해서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320)에 인가하여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320)에서 출력되는 전류의 양을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칭 레귤레이터 조정 회로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3의 스위칭 레귤레이터 조정 회로(316)는 포락선 기울기의 증감 판단회로(322) 및 논리 회로(32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 조정회로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320)가 출력하는, 포락선 전압 신호에 의해서 생성된 조정 신호에 의해서 조정된 전류를 출력 전압에 상응하게 공급하기 위한 시간 지연 보상 회로를 추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락선 기울기의 증감 판단회로(322)는 상기 위상/진폭 분리부(302)에 인가된 입력 신호의 전압을 포락선 전압 신호로 나타내고, 상기 포락선 전압 신호에 대한 포락선 기울기의 증감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상기 논리 회로(324)에게 전달한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포락선 기울기가 증가함(0을 초과하는 경우)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포락선 전압 신호가 증가하는 것이므로, 상기 논리 회로(324)는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가 구비한 스위치에게 공급되는 전류의 양을 증가시키도록 명령하는 "전류 공급 증가 명령 신호"를 상기 스위치 드라이버 군(318)에게 전달한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포락선 기울기가 감소함(0 미만인 경우)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포락선 전압 신호가 감소하는 것이므로, 상기 논리 회로(324)는 상기 스위치에게 공급되는 전류의 양을 감소시키도록 명령하는 "전류 공급 감소 명령 신호"를 상기 스위치 드라이버 군(318)에게 전달한다.
한편, 상기 논리 회로(324)는 포락선 기울기의 크기와 일정 기준 레벨을 비교하여 감소시키거나 증가시킬 상기 스위치에게 공급되는 전류의 양을 결정한다. 그리고, 감소시키거나 증가시킬 상기 스위치에게 공급되는 전류의 양과 매핑되는 레벨 정보를 상기 "전류 공급 감소/증가 명령 신호"와 함께 상기 스위치 드라이버 군(318)로 전달한다.
이후, 상기 스위치 드라이버 군(318)을 통해서 전달된 "전류 공급 증가/감소 명령 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치 레귤레이터는 동작한다. 즉, 포락선 전압이 증가할 때 "전류 공급 증가 명령 신호"를 수신한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320)는 구비한 스위치에게 공급되는 전류의 양을 증가시키고, 상기 포락선 전압이 감소할 때 "전류 공급 감소 명령 신호"를 수신한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320)는 상기 스위치에게 공급되는 전류의 양을 감소시킨다. 이때,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320)는 상기 "전류 공급 증가/감소 명령 신호"와 함께 상기 스위치에게 공급되는 전류에서 감소되나 증가될 전류의 양이 매핑된 레벨(level) 정보를 함께 수신한다. 이때,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320)는 레벨 정보들에 매핑된 전류의 양을 미리 알고 있는 상태라 가정하기로 한다. 그러면,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320)는 해당 레벨에 매핑된 전류의 양만큼, 상기 스위치에게 공급되는 전류 양을 수신한 "전류 공급 증가/감소 명령 신호"에 상응하게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킨다.
한편, 포락선 전압 파형의 증감으로만 스위치를 조정하게 될 경우, 일반적인 ET 전력 송신기에서 실제 전류의 필요 여부에 따라서만 스위치에게 전류를 공급하는 부궤한 방식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스위치에 흐르는 전류를 스스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게 된다. 이때, 상기 스위치의 전류가 계속 증가하여 "발산"하거나 계속 감소하여 "0"으로 수렴하는 상황이 발생하면, 효율이 크게 낮아질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일반적인 ET 전력 송신기의 비교기(314)를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조정 회로(316)에 연결시킨다. 상기 비교기(314)는 상기 선형 진폭 증폭기(312)로부터 출력된 전류와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320)로부터 출력된 전류를 비교한다.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320)로부터 출력된 전류가 상기 선형 진폭 증폭기(312)로부터 출력된 전류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320)의 동작을 "off"시킬 것을 결정하고 이를 나타내는 명령 신호를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 조정회로(316) 및 상기 스위치 드라이버 군(318)을 통해서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320)에게 전달한다.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320)로부터 출력된 전류가 상기 선형 진폭 증폭기(312)로부터 출력된 전류보다 작을 경우,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320)의 동작을 "on "시킬 것을 결정하고 이를 나타내는 명령 신호를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 조정회로(316) 및 상기 스위치 드라이버 군(318)을 통해서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320)에게 전달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칭 레귤레이터 조정회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500단계에서 스위칭 레귤레이터 조정회로는 입력 신호의 전압을 포락선 전압 신호로 변환하고, 505단계로 진행한다. 505단계에서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 조정회로는 상기 포락선 전압 신호의 기울기에 대한 증/감 여부와, 스위치에 공급될 전류의 양이 증/감될 전류의 양을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귤레이터 조정회로는 상기 기울기가 양수인 경우, 510단계에서 상기 스위치에 공급될 전류의 양을 증가시키는 "전류 공급 명령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기울기의 크기와 일정 기준 레벨을 비교하여 상기 스위치에 공급될 전류의 양에 대해 증가시킬 전류의 양을 결정하고, 결정된 전류의 양에 매핑된 레벨 정보를 결정한 후, 52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기울기가 음수인 경우, 515단계에서 상기 스위치에 공급될 전류의 양을 감소시키는 "전류 공급 감소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레귤레이터 조정회로는 상기 기울기의 크기와 일정 기준 레벨을 비교하여 상기 스위치에 공급될 전류의 양에 대해 감소시킬 전류의 양을 결정하고, 결정된 전류의 양에 매핑된 레벨 정보를 확인한 후, 520단계로 진행한다.
520단계에서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 조정 회로는, 상기 "전류 공급/감소 명령 신호"와 레벨 정보를 상기 스위치 레귤레이터에게 전달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칭 레귤레이터 조정회로가 출력하는 조정 신호의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 조정회로는 포락선 전압의 기울기에 대한 증감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 즉, 상기 기울기가 양수인 경우 증가(+)임을 나타내고, 상기 기울기가 음수인 경우 감소(-)를 나타내는 포락선 증감 신호를 펄스 신호 형태로 생성한다.
도 7은 일반적인 바이어스 모듈레이터의 스위치 전류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이어스 모듈레이터의 스위치 전류간의 출력전류 파형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포락선 전압을 이용하지 않는 일반적인 바이어스 모듈레이터의 스위치 전류의 경우, 출력 전류에서 스위치 전류가 차지 하는 비중이 크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포락선 전압의 특성을 이용하는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전류의 경우, 스위치에서 공급되는 전류가 출력 전류의 대부분을 차지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6의 결과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스위칭 빈도가 높아짐에 따른 손실이 반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피크 대 평균 전력 비율 7dB인 LTE 10MHz 신호에 대해서 4% 정도의 높은 효율 증가를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빠른 동작을 하는 스위치의 경우에는 훨씬 더 높은 효율 증가를 예상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2)

  1. 포락선 추적(ET: ENVELOPE TRACKING) 전력 송신기에서 바이어스 모듈레이터의 출력 전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ET 전력 송신기의 입력 신호를 포락선 전압 신호로 나타내고, 상기 포락선 전압 신호의 기울기의 증감 여부에 따라 고효율 전력 증폭기의 입력 전류를 출력하는 스위치에 공급되는 전류를 증감시키는 조정 신호를 생성하는 조정 회로부와,
    상기 조정 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치에 공급되는 전류를 증감시켜 상기 고효율 전력 증폭기로 입력하는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포함하는 바이어스 모듈레이터의 출력 전류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회로부는,
    상기 기울기가 양수인 경우 상기 기울기가 증가한다고 판단하고, 상기 기울기가 음수인 경우 상기 기울기가 감소한다고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제2회로부에게 전달하는 제1회로부를 포함하는 바이어스 모듈레이터의 출력 전류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회로부는 상기 제2회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회로부는,
    상기 기울기가 양수인 경우 상기 스위치에 공급되는 전류를 증가시키도록 명령하는 제1명령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기울기가 음수인 경우 상기 스위치에 공급되는 전류를 감소시키도록 명령하는 제2명령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제2명령 신호를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에게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어스 모듈레이터의 출력 전류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로부는,
    상기 기울기의 크기와 일정 기준 레벨을 비교하여 상기 제1명령 신호에 따라 증가시키거나 상기 제2명령 신호에 따라 감소시킬 상기 스위치에 공급되는 전류의 양을 결정하고, 결정된 전류의 양과 매핑되는 레벨 정보를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에게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어스 모듈레이터의 출력 전류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T 전력 송신기가 포함하는 선형 진폭 증폭기(312)가 출력하는 제1전류와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가 출력하는 제2전류의 양을 비교하여 상기 제2전류의 양이 상기 제1전류의 양보다 많거나 같을 경우,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전류 공급을 차단하는 차단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차단 신호를 상기 조정 회로부를 통해서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에게 전달하는 비교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어스 모듈레이터의 출력 전류 제어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는,
    상기 제1명령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스위치에 공급되는 전류의 양을 상기 레벨 정보에 매핑되는 전력의 양만큼 증가시키고, 상기 제2명령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스위치에 공급되는 전류의 양을 상기 레벨 정보에 매핑되는 전력의 양만큼 감소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어스 모듈레이터의 출력 전류 제어 장치.
  7. 포락선 추적(ET: ENVELOPE TRACKING) 전력 송신기의 바이어스 모듈레이터의 출력 전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ET 전력 송신기의 입력 신호를 나타내는 포락선 전압 신호의 기울기의 증감 여부에 따라 고효율 전력 증폭기의 입력 전류를 출력하는 스위치에 공급되는 전류를 증감시키는 조정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조정 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치에 공급되는 전류를 증감시켜 상기 고효율 전력 증폭기로 입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바이어스 모듈레이터의 출력 전류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기울기가 양수인 경우 상기 기울기가 증가한다고 판단하고, 상기 기울기가 음수인 경우 상기 기울기가 감소한다고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바이어스 모듈레이터의 출력 전류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기울기가 양수인 경우 상기 스위치에 공급되는 전류를 증가시키도록 명령하는 제1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기울기가 음수인 경우 상기 스위치에 공급되는 전류를 감소시키도록 명령하는 제2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어스 모듈레이터의 출력 전류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의 크기와 일정 기준 레벨을 비교하여 상기 제1명령 신호에 따라 증가시키거나 상기 제2명령 신호에 따라 감소시킬 상기 스위치에 공급되는 전류의 양을 결정하여,
    상기 결정된 전류의 양과 매핑되는 레벨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어스 모듈레이터의 출력 전류 제어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ET 전력 송신기가 포함하는 선형 진폭 증폭기가 출력하는 제1전류와 스위칭 레귤레이터가 출력하는 제2전류의 양을 비교하여 상기 제2전류의 양이 상기 제1전류의 양보다 많거나 같을 경우,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전류 공급을 차단하는 차단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어스 모듈레이터의 출력 전류 제어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명령 신호가 생성된 경우, 상기 스위치에 공급되는 전류의 양을 상기 레벨 정보에 매핑되는 전류의 양만큼 증가시키고, 상기 제2명령 신호가 생성된 경우, 상기 스위치에 공급되는 전력의 양을 상기 레벨 정보에 매핑되는 전류의 양만큼 감소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어스 모듈레이터의 출력 전류 제어 방법.
KR1020110101915A 2011-10-06 2011-10-06 Et 전력 송신기에서 바이어스 모듈레이터의 출력 전류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859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915A KR101859228B1 (ko) 2011-10-06 2011-10-06 Et 전력 송신기에서 바이어스 모듈레이터의 출력 전류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915A KR101859228B1 (ko) 2011-10-06 2011-10-06 Et 전력 송신기에서 바이어스 모듈레이터의 출력 전류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488A KR20130037488A (ko) 2013-04-16
KR101859228B1 true KR101859228B1 (ko) 2018-06-29

Family

ID=48438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915A KR101859228B1 (ko) 2011-10-06 2011-10-06 Et 전력 송신기에서 바이어스 모듈레이터의 출력 전류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92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1048B1 (ko) * 2015-10-07 2016-12-12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양한 대역폭 신호에 대한 고효율 및 고속 포락선 추적형 전력증폭 장치
JP2020107970A (ja) * 2018-12-26 2020-07-0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源回路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30352A (ja) 2009-12-21 2011-06-30 Panasonic Corp 電力増幅回路及び通信機器
JP4890643B2 (ja) 2007-05-31 2012-03-07 インテル コーポレイション ポーラ増幅器
JP5112213B2 (ja) 2008-08-01 2013-01-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送信回路及び送信回路を用いた通信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0670A (ko) * 2008-12-18 2010-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력 증폭기의 바이어스 제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90643B2 (ja) 2007-05-31 2012-03-07 インテル コーポレイション ポーラ増幅器
JP5112213B2 (ja) 2008-08-01 2013-01-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送信回路及び送信回路を用いた通信機器
JP2011130352A (ja) 2009-12-21 2011-06-30 Panasonic Corp 電力増幅回路及び通信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488A (ko) 2013-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0728B1 (ko) 전력 증폭기의 동작 영역을 확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1401261B (zh) 功率放大器控制器电路
KR101310993B1 (ko) 고주파 증폭기, 무선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1924365B1 (ko) 다단 증폭기의 전원 장치 구성
US8626091B2 (en) Envelope tracking with variable compression
US8604881B2 (en) Efficiency improvement of doherty power amplifier using supply switching and digitally controlled gate bias modulation of peaking amplifier
KR101800726B1 (ko) 전력 증폭기의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10026065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를 지원하는 포락선 추적 전력 증폭기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9270241B2 (en) Power supply device, transmission device using same, and method for operating power supply device
JP5472115B2 (ja) 電力増幅器
US8797113B2 (en) Power amplifie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power amplification method
US2010014886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performance of doherty power amplifier
KR101481725B1 (ko) 무선 통신시스템의 전력 송신 장치 및 방법
JP4714184B2 (ja) 無線信号増幅装置
US8515367B2 (en) Transmission circuit and transmission method
KR101859228B1 (ko) Et 전력 송신기에서 바이어스 모듈레이터의 출력 전류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090011723A1 (en) Transmitting apparatus
JP2010258896A (ja) Rf増幅装置
Modi et al. A novel efficiency improvement technique for Doherty power amplifiers
JP2011066845A (ja) 高周波増幅回路
JP2011055401A (ja) 電力増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