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9101B1 - 헤드셋을 이용한 생체정보 측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헤드셋을 이용한 생체정보 측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9101B1
KR101859101B1 KR1020110092211A KR20110092211A KR101859101B1 KR 101859101 B1 KR101859101 B1 KR 101859101B1 KR 1020110092211 A KR1020110092211 A KR 1020110092211A KR 20110092211 A KR20110092211 A KR 20110092211A KR 101859101 B1 KR101859101 B1 KR 101859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set
electrode
mobile terminal
contac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2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8570A (ko
Inventor
진동철
이시형
박상모
김성혁
송승규
김현진
임국찬
이진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2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9101B1/ko
Priority to US13/536,065 priority patent/US9089270B2/en
Priority to CN201210226162.8A priority patent/CN102866843B/zh
Priority to EP12004873A priority patent/EP2540221A1/en
Publication of KR20130028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8570A/ko
Priority to US14/795,702 priority patent/US969954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9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9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3Head-worn items, e.g. helmets, masks, headphones or gogg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14Head
    • A61B5/6815E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5Ha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8Portable consumer electronic devices, e.g. music players, telephones, tablet compu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05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sound
    • A61B5/741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sound using synthesised spee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75User input or interface means, e.g. keyboard, pointing device, joysti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5Input arrangements based on nervous system activity detection, e.g. brain waves [EEG] detection, electromyograms [EMG] detection, electrodermal response detection

Abstract

음악 감상과 사용자의 건강상태 체크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헤드셋을 이용한 ECG센서 응용방법 및 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헤드셋을 이용한 생체정보 측정 장치는, 귀 및 손 접촉 검출용 제1,제2전극을 구비한 헤드셋; 및 헤드셋으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함과 함께 헤드셋의 제1전극을 이용하여 검출한 생체정보를 디스플레이부와 표시하고, 상기 제2전극에서 검출된 접촉 감지신호에 따라 오디오 재생 및 호 수신에 관련된 동작을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헤드셋을 이용한 생체정보 측정 장치 및 방법{BIOMETRICS INFORMATION MEASURING APPARATUS USING HEADSET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음악 감상과 사용자의 건강상태 체크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헤드셋을 이용한 헤드셋을 이용한 생체정보 측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다양한 기능들의 예로 데이터 및 음성 통신 기능, 카메라를 통해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기능, 음성 저장 기능,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 파일의 재생 기능, 이미지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기능 등이 있다. 일부 이동 단말기는 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추가적 기능을 포함하고, 다른 일부 이동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기기로서 구현되기도 한다. 더욱이 최근의 이동단말기는 방송이나 멀티캐스트(multicast) 신호를 수신하여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한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다. 상술한 노력은 이동 단말기를 형성하는 구조적인 구성요소의 변화 및 개량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개량도 포함한다. 그 중에서 이동 단말기의 터치 기능은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버튼/키 입력이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도 편리하게 단말기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최근에는 단순한 입력뿐만 아니라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함께 단말기의 중요한 기능으로서 자리 잡아가고 있다. 따라서, 상기 터치 기능이 이동단말기에 더욱 다양한 형태로 적용됨에 따라 그에 맞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개발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최근 컨버전스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이동 단말기와 별도로 구비해야 했던 기기 및 기능들, 예를들면 TV시청 기능 및 MP3 재생등이 이동 단말기와 복합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에 유. 무선으로 연결되어 사용되는 주변기기, 예를들어 착탈 가능하거나(attachable) 또는 내장형(Built-in)인 카메라 장치, 보조 메모리인 스마트 카드 및 이동 단말기에 장착하여 음성통화 및 음성출력이 가능한 이어셋/헤드셋 역시 그 성능과 기능이 발전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 중에서 헤드셋은 케이블을 통해 오디오 장치 또는 이동 단말기에 연결되어 상기 오디오 장치 또는 이동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양 귀에 전달하는 기기로서, 귀 덮개 또는 마이크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헤드셋은 귀 덮개의 안쪽에 있는 오디오 출력부를 통하여 주로 오디오 장치 또는 이동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통화시에는 일측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하여 음성신호를 이동 단말기로 전달한다.
따라서 종래의 헤드셋은 오디오 신호의 출력 또는 음성신호의 입력만을 수행할 뿐 사용자의 건강체크에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며, 광학신호를 이용하여 혈관의 이완 및 수축을 감지하는 PPG(Photoplethysmograph)센서가 이어폰의 일부에 장착된 예가 있으나 이 역시 한정된 기능(맥박)만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음악 감상과 사용자의 건강상태 체크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헤드셋을 이용한 생체정보 측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헤드셋에 부착된 ECG센서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헤드셋을 이용한 생체정보 측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헤드셋을 이용한 생체정보 측정 장치는 귀 및 손 접촉 검출용 제1,제2전극을 구비한 헤드셋; 및 헤드셋으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함과 함께 헤드셋의 제1전극을 이용하여 검출한 생체정보를 디스플레이부와 표시하고, 상기 제2전극에서 검출된 접촉 감지신호에 따라 오디오 재생 및 호 수신에 관련된 동작을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셋은 유선 또는 무선 헤드셋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전극은 귀에 접촉되는 부분으로 헤드셋의 안쪽에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전극은 헤드셋의 바깥쪽의 양측에 배치되어 키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생체정보는 이동 단말기내에 제1전극에서 검출된 생체신호로부터 생체정보를 검출하는 ECG센서를 내장하여 구하거나, 상기 헤드셋내에 ECG센서를 내장하여 헤드셋으로부터 수신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ECG센서에서 검출한 생체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의 심박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여, 헤드셋의 제1전극을 이용하여 검출된 생체정보를 메모리에 저장된 생체정보와 비교하여 스크린 락을 제어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가 오디오 재생기능을 실행하는 상태에서 헤드셋을 착용하고 있다가 벗으면 재생을 일시 정지하고, 다시 착용하면 다시 재생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헤드셋을 착용한 상태에서 제2전극이 접촉되면, 헤드셋의 오른쪽 또는 왼쪽 터치에 따라 앞으로 감기 또는 되감기를 제어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헤드셋을 착용한 상태에서 오른쪽 또는 왼쪽의 제2전극이 더블 접촉되면 오디오 재생을 정지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헤드셋을 착용한 상태(한 쪽 또는 양쪽)에서 호가 수신되면 바로 통화를 연결하고, 상기 제2전극에 한손이 접촉되면 통화중 대기를 수행한다.
상기 헤드셋이 무선 헤드셋인 경우 상기 헤드셋은 ECG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셋은 생체신호로부터 검출한 생체정보와 제2전극의 접촉에 근거하여 생성된 동작 제어신호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헤드셋을 이용한 생체정보 측정 방법은, 오디오 신호를 헤드셋으로 출력하는 단계; 헤드셋에서 오디오가 재생되는 동안 상기 헤드셋의 일측 전극에서 감지되어 전송된 생체신호로부터 생체정보를 검출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헤드셋의 타측 전극으로부터 접촉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접촉 감지신호에 따라 오디오 재생 및 호 수신에 관련된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셋은 유선 또는 무선 헤드셋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일측에 배치된 전극은 헤드셋의 양측에 배치되어 생세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타측에 배치된 전극은 헤드셋의 바깥쪽의 양측에 배치되어 키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생체정보는 ECG센서에 의해 검출되며, 상기 ECG센서는 이동 단말기 또는 헤드셋에 내장된다.
상기 헤드셋의 일측 전극을 이용하여 검출된 생체정보를 기저장된 생체정보와 비교하여 스크린 락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단계는 사용자가 오디오 재생기능을 실행하는 상태에서 헤드셋을 착용하고 있다가 벗으면 재생을 일시 정지하고, 다시 착용하면 다시 재생하는 단계; 헤드셋을 착용한 상태에서 제2전극이 접촉되면, 헤드셋의 오른쪽 또는 왼쪽 터치에 따라 앞으로 감기 또는 되감기를 제어하는 단계; 및 헤드셋을 착용한 상태에서 오른쪽 또는 왼쪽의 제2전극이 더블 접촉되면 오디오 재생을 정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단계는 헤드셋을 착용한 상태(한 쪽 또는 양쪽)에서 호가 수신되면 바로 통화를 연결하고, 상기 제2전극에 한손이 접촉되면 통화중 대기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셋이 무선 헤드셋인 경우 상기 헤드셋으로부터 생체신호와 오디오 재생 및 호 수신에 관련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음악 감상과 사용자의 건강상태 체크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헤드셋을 착용한 상태에서 헤드셋을 손으로 접촉하여 이동 단말기의 MP3재생을 제어하거나 각종 이동 단말기의 동작(호 수신, 락제어)등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가 동작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
도 3은 일반적인 유선 헤드셋의 구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선 헤드셋을 이용한 생체정보 측정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디바이스 전극이 배치되는 위치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4에서 ECG센서에 구비된 이득 조정부의 구성도.
도 7a 및 도 7b는 헤드셋의 귀 접촉 및 손 접촉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을 이용한 생체정보 측정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을 이용한 생체정보 측정 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헤드셋을 이용한 생체정보 측정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서 헤드셋을 이용한 생체정보 측정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
도 12는 본 발명에서 헤드셋을 이용한 생체정보 측정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
도 13은 본 발명에서 헤드셋을 이용한 헤드셋을 이용한 생체정보 측정 방법 일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감지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감지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감지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감지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감지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 신호 수신,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 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 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 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 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인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가 동작 가능한 통신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통신 시스템은, 서로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 및/또는 물리 계층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에 의해 이용 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에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특히, LTE(Long Term Evolution)),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CDMA에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 모든 통신 시스템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단말기들(100), 복수의 기지국(Base Station, BS)(270), 기지국 제어부(Base Station Controllers, BSCs)(275), 이동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MSC)(280)를 포함할 수 있다. MSC(280)는, 일반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290)과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BSCs(275)와도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BSCs(275)는, 백홀 라인(backhaul line)을 통하여, BS(270)와 짝을 이루어 연결될 수 있다. 백홀 라인은, E1/T1, ATM, IP, PPP, Frame Relay, HDSL, ADSL 또는 xDSL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BSCs(275)가 도 2에 도시된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각각의 BS(270)는, 적어도 하나의 섹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섹터는, 전방향성 안테나 또는 BS(270)로부터 방사상의 특정 방향을 가리키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섹터는,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를 두 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BS(270)는, 복수의 주파수 할당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주파수 할당 각각은, 특정 스펙트럼(예를 들어, 1.25MHz, 5MHz 등)을 갖는다.
섹터와 주파수 할당의 교차는, CDMA 채널이라고 불릴 수 있다. BS(270)은, 기지국 송수신 하부 시스템(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s)이라고 불릴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지국"이라는 단어는, 하나의 BSC(275) 및 적어도 하나의 BS(270)를 합하여 불릴 수도 있다. 기지국은, 또한 "셀 사이트"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는, 특정 BS(270)에 대한 복수의 섹터들 각각은, 복수의 셀 사이트로 불릴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송신부(Broadcasting Transmitter, BT)(295)는,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단말기들(100)에게 방송 신호를 송신한다. 도 1에 도시된 방송 수신 모듈(111)은, BT(295)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기(100) 내에 구비된다.
뿐만 아니라, 도 2에서는, 여러 개의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위성(300)을 도시한다. 상기 위성들(300)은, 복수의 단말기(100)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돕는다. 도 2에서는 두 개의 위성이 도시되어 있지만, 유용한 위치 정보는, 두 개 이하 또는 이상의 위성들에 의해 획득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위치정보 모듈(115)은, 원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위성들(300)과 협력한다. 여기에서는, GPS 추적 기술뿐만 아니라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을 이용하여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또한, GPS 위성들(300)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위성 DMB 전송을 담당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형적인 동작 중, BS(270)는, 다양한 단말기들(100)로부터 역 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단말기들(100)은, 호를 연결 중이거나, 메시지를 송수신 중이거나 또는 다른 통신 동작을 수행하고 있다.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수신된 역 링크 신호들 각각은,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내에서 처리된다. 상기 처리 결과 생성된 데이터는, 연결된 BSC(275)로 송신된다. BSC(275)는, 기지국들(270) 간의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들의 조직화를 포함하여, 호 자원 할당 및 이동성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BSCs(275)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MSC(280)로 송신하고, MSC(280)는, PSTN(290)과의 연결을 위하여 추가적인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유사하게, PSTN(290)은 MSC(280)와 연결하고, MSC(280)는 BSCs(275)와 연결하고, BSCs(275)는 단말기들(100)로 순 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BS들(270)을 제어한다.
일반적으로 ECG(Electrocardiograph) 센서는 일측에 전극(Electrode)이 구비되어, 상기 전극(Electrode)이 인체에 접촉될 때 심장에서 발생하는 전기적인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반면에 EPG센서는 예를들어 광학신호가 피부에서 반사되는 신호를 감지하거나 피부를 통해 투과된 신호를 감지하여 호흡수 및 맥박을 측정하는 센서이다. 따라서, EPG센서는 대상체가 고정되어 있어야 하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손가락 터치와 같이 움직이는 대상체에 적용하기는 어려운 단점이 잇다.
본 발명은 헤드셋에 ECG센서를 부착하여 감상과 사용자의 건강상태 체크를 동시에 수행하며, 상기 헤드셋의 외부에 부가적으로 설치된 전극을 통해 사용자의 손 접촉을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헤드셋을 이용한 생체정보 측정 장치 및 그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 헤드셋은 유, 무선 헤드셋을 모두 포함한다. 유선 헤드셋일 경우에는 잭을 통하여 오디오 장치 또는 이동 단말기에 연결되며, 무선 헤드셋을 경우에는 이동 단말기와 무선 통신(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무선부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셋은 동시에 두 귀에 착용되는 귀마개 형태뿐만 아니라 각 귀에 개별적으로 착용할 수 있는 이어폰 형태도 포함한다.
상기 ECG센서의 전극은 헤드셋의 귀마개 부분에서 귀에 접촉되는 위치(건강상태 체크용) 및 사용자가 귀마개 부분을 손으로 잡는 위치(손 접촉 감지용)등에 설치된다.
상기 헤드셋의 ECG센서에 의해 제어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은 MP3재생에 관련된 동작(재생, 앞으로 감기, 뒤로감기, 정지등), 호 관련동작(통화연결, 통화중 대기, 통화 종료 및 기타) 및 이동 단말기의 잠금동작등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은 헤드셋이 무선 헤드셋일 경우에는 ECG센서에서 측정된 생체정보, 제어명령(전극접촉에 다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신호) 및 별도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이동 단말기로 전송한다.
도 3은 일반적인 유선 헤드셋의 구조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예를들면 MP3기능을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MP3동작중에 사용자가 헤드셋을 머리에 쓰고 상기 헤드셋의 플러그(미도시)를 이동 단말기의 이어잭에 연결하면, 제어부(180)는 헤드셋이 연결되었음을 감지하고, 오디오 코덱(미도시)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출력 경로를 내부의 스피커에서 헤드셋(50)으로 변경해 줌으로써(스위칭에 의해) 상기 헤드셋을 통하여 상기 MP3기능에서 재생된 음악이 귀로 출력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선 헤드셋을 이용한 생체정보 측정 장치의 일 예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는 이동 단말기내에 ECG센서가 내장된 예로서 이어잭의 핀을 통해 오디오신호와 ECG를 물리적으로 분리한 구조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유선 헤드셋(50)에는 귀에 접촉되는 부분(ear contact)(50a)이외에 헤드셋의 바깥쪽 즉, 사용자가 헤드셋(50)을 착용할 때 손이 자주 닿는 부분(hand contact)(50a)에 전극(50b)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헤드셋(50)은 케이블의 단부에 위치한 플러그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의 이어잭에 연결된다. 상기 이어잭은 오디오신호를 헤드셋으로 출력하기 위한 핀(단자)에 부가하여 상기 헤드셋(50)에서 측정된 생체신호(ECG신호)를 ECG센서(104)로 출력하기 위한 핀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헤드셋의 플러그가 연결되는 이동 단말기(100)는 도 1의 이동 단말기가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오디오 코덱(101) 및 제어부(180)이외에 접촉(contact) 감지부(102), 다중화부(MUX)(103) 및 ECG센서(104)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지만, 이동 단말기에 디바이스 전극이 배치되지 않을 경우 다중화부(103)는 불필요하다.
상기 접촉 감지부(102)는 헤드셋(50) 및 이동 단말기(100)에서 귀가 접촉되었는지 아니면 사용자의 손이 접촉되었는지를 감지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하여 헤드셋의 바깥쪽의 헤드셋(50a) 뿐만 아니라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손이 자주 접촉되는 위치에 디바이스 전극(100a)이 배치되어 있다.
도 5는 이동 단말기에서 디바이스 전극이 배치되는 위치의 일 예이다.
디바이스 전극은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잡을 때 손이 잘 닿는 부분에 패드 형태로 부착되며, 오른손과 왼손접촉을 구분하기 위하여 이동 단말기의 가로방향 또는 세로 방향에 대응되어 좌우측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접촉 감지부(102)에서 감지된 접촉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부(180)는 오디오 코덱(101), 다중화부(103) 및 ECG센서(104)를 제어한다.
오디오 코덱(101)은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소정의 음악관련 어플리케이션, 예를들면 MP3기능을 선택하면 내부의 음향 출력모듈(스피커)(152)을 통해 오디오신호(음악)를 출력하고, 헤드셋(50)의 플러그가 이어잭에 연결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가 헤드셋(50)으로 출력될 수 이어잭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다중화부(103)는 제어부(180)의 제어(MUX_CONT)에 따라 헤드셋(50) 또는 이동 단말기에서 감지된 전기신호(생체신호)를 ECG센서(104)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ECG센서(104)는 헤드셋(50) 또는 이동 단말기의 일측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극으로부터 감지된 전기신호의 전위차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심전도를 측정하는 부분이다. 일반적으로 심전도는 측정 위치에 따라 전기신호의 전위차가 다르다. 예를들면 손과 같이 심장에 가까운 부분은 전위차가 높아 심전도 파형이 잘 검출되지만, 귀와같은 부분은 신장에서 거리가 멀기 때문에 전위차가 낮으며, 이로 인하여 심전도 파형이 잘 검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전극에 접촉된 위치가 손인지 아니면 귀인지 또는 손이라하더라도 양손인지 한손인지를 구별하여 ECG센서(104)로 서로 다른 제어신호(CONT)를 출력함으로써, ECG센서(104)는 상기 제어신호(CON)에 의해 결정된 이득으로 ECG신호를 증폭하여 심전도 파형을 검출한다. 검출된 ECG신호는 다시 제어부(180)로 출력되어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부(180)와 별도로 MCU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는 제어부(180)의 부하를 위한 것으로 상기 제어부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부(180)에 접속된다. 또한, 이어잭의 핀(Pin)(단자) 수는 오디오 신호용과 ECG신호용으로 분리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귀 접촉과 손 접촉이 다수 발생될 경우에는 우선순위에 따라 해당 접촉을 처리한다. 일 예로 귀와 손 접촉이 2개 이상 발생될 경우, 예를들면, 헤드셋을 착용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의 전극에 손이 접촉되는 경우에는 귀쪽의 전극에 우선순위를 줄 수 있다.
도 6은 ECG센서(104)에 구비된 이득 조정부의 일 예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스위치(SW)는 제어부(180)에서 출력된 제어신호(CONT)에 따라 3개의 저항(R1~R3)중의 하나를 스위칭한다. 상기 스위칭된 저항에 의해 결정된이득(gain)으로 증폭부(AMP)는 입력신호(전극에서 출력된 전기신호)를 증폭한다. 이때, R1~R3는 양쪽 귀 접촉 및 손 접촉(해드셋 또는 단말기)을 나타낸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을 이용한 ECG센서 응용 장치에서 음악 감상, 사용자의 건강상태 체크 및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에 곤련된 동작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음악감상 및 사용자의 건강 체크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소정의 음악관련 어플리케이션, 예를들면 MP3기능을 선택하면 오디오 코덱(101)은 내부의 음향 출력모듈(스피커)(152)을 통해 오디오신호(음악)를 출력한다.
이 상태에서 헤드셋(50)의 플러그가 이동 단말기(100)의 이어잭에 연결되면, 오디오 코덱은 이어잭 감지신호(EARJACK_DET)에 따라 상기 오디오 신호를 내부의 음향 출력모듈(스피커)(152)로 출력하지 않고 이어잭으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오디오신호가 헤드셋(50)의 이어 스피커(미도시)로 출력되어 사용자는 헤드셋을 착용한 상태에서 음악을 감상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음악을 감상하는 도중에 심전도 측정을 위한 소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상기 헤드셋(50)의 안쪽 즉, 귀에 접촉되는 부분(ear contact portion)에는 부착된 헤드셋 전극(50a)은 사용자의 양 귀에서 측정한 생체신호(EAR_R, EAR_L)(이하 ECG신호로 약칭함)를 이동 단말기의 이어잭으로 출력한다. 접촉 감지부(102)는 상기 이어잭의 수신핀(단자)를 통해 수신한 상기 ECG신호(EAR_R, EAR_L)로부터 현재 사용자가 양쪽 헤드셋을 착용하여 헤드셋과의 접촉 포인트가 양쪽 귀라는 것을 감지하고, 그 감지한 접촉 감지신호를 제어부(180)로 출력한다.
상기 접촉 감지부(102)에서 출력된 접촉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부(180)는 다중화부(103)로 제어신호(MUX_CONT)를 출력함과 함께 ECG센서(104)로 ECG신호의 증폭률을 제어하기 위한 이득 제어신호(CONT)를 출력한다. 상기 다중화부(103)는 상기 제어신호(MUX_CONT)에 따라 상기 이어잭을 통해 인가된 ECG신호(EAR_R, EAR_L)를 ECG센서(104)로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ECG센서(104)는 다중화부(103)을 통해 입력된 ECG신호(EAR_R, EAR_L)를 상기 제어부(180)에서 출력된 이득 제어신호(CONT)에 따라 서로 다른 증폭율로 증폭한 후 그 검출된 ECG신호를 제어부(180로 출력하고, 제어부(180)는 해당 ECG신호(심전도 파형)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이어잭의 내부 핀(단자)를 통하여 오디오 신호와 생체신호(ECG신호)를 물리적으로 분리하여, 헤드셋을 통해 음악을 감상하면서 상기 헤드셋에서 측정된 생체신호를 이동 단말기내의 ECG센서를 통해 감지하여 사용자의 심전도 파형을 표시해 줌으로써 심전도 측정과 음악감상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사용자가 MP3기능을 실행하지 않은 상태에서 헤드셋(50)을 착용하고, 심전도 측정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헤드셋(50)은 심전도 측정을 위한 용도로만 사용된다.
2. 헤드셋의 귀 접촉 및 손 접촉에 근거한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전술한 바와같이, 심전도 측정은 헤드셋(50)의 안쪽에 부착된 전극(50a)을 통해 이루어진다. 하지만, 상기 음악감상 이나 호 수신과 같이 이동 단말기에서 이루어지는 동작에 관련된 제어는 기본적으로 헤드셋(50)의 바깥쪽에 위치한 헤드셋 전극(50a)의 접촉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헤드셋도 양쪽 또는 한쪽만 착용 가능하기 때문에 정확히 말하면 헤드셋(50)에 배치된 전극(50a, 50b)의 조합에 의해 주로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된 디바이스 전극(100a)을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에 사용할 수 있지만, 이동 단말기의 동작에 사용되는 우선순위는 헤드셋(50)내의 전극 접촉이 높고, 이동 단말기에 배치된 디바이스 전극(100a)은 낮다.
따라서, 사용자가 헤드셋(50)을 착용한 상태에서 한손으로는 헤드셋 전극(50b)을 접촉하고, 다른 한손으로 디바이스 전극(100a)을 터치한다 해도 헤드셋 전극(50b)의 접촉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동작이 제어된다. 하지만, 헤드셋(50)을 착용한 상태에서 헤드셋 전극(50b)은 접촉하지 않고 디바이스 전극(100a)을 터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디바이스 전극(100a)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동작이 제어된다.
도 7a 및 도 7b는 헤드셋의 귀 접촉 및 손 접촉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접촉 감지부(102)는 헤드셋(50)의 안쪽에 부착된 전극(50a), 바깥쪽에 부착된 전극(50b) 및 이동 단말기에 부착된 전극(100a)에서 측정된 ECG신호의 전압의 크기에 따라, 사용자가 헤드셋(50)을 착용했는지 아니면 손을 접촉했는지를 알 수 있다. 그 이유는 귀에서 측정된 ECG신호와 손에서 측정된 ECG신호의 전압이 상이하며, 더 나아가서는 헤드셋과 이동 단말기 표면에서의 손 접촉도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상기 접촉 감지부(102)에서 출력된 접촉 감지신호에 따라, MP3재생을 제어(재생, 앞으로 감기, 되감지, 정지 및 기타)하거나 호 동작(통화 연결, 통화 종료) 및 락 제어(스크린 락 해제)를 수행한다.
이하 헤드셋의 귀 접촉 및 손 접촉에 따라 MP3재생과 호 연결동작을 제어하는 예를 성명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같이, 아무런 기능을 실행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 헤드셋(50)을 벗으면 아누 동작도 일어나지 않는다. 그런데, 사용자가 MP3기능을 실행하는 상태에서 헤드셋(50)을 착용하고 있다가 벗으면 MP3재생을 일시 정지하고, 다시 양쪽 헤드셋을 착용하면 MP3를 다시 재생한다.
반면에, 사용자가 양쪽 헤드셋을 착용한 상태에서 한 손을 헤드셋의 측면에 배치된 전극(50b)(또는 전극 100a)를 접촉하면, 제어부(180)는 오른쪽 전극 또는 왼쪽 전극의 터치에 따라 MP3재생에 대하여 앞으로 암으로 감지(Forward) 또는 되감기(Reverse)를 수행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양쪽 헤드셋을 착용한 상태에서 한 손을 헤드셋 전극(50b)(또는 전극 100a)를 더블 접촉하면, 제어부(180)는 MP3재생을 정지 또는 재생을 수행한다. 이때, 더블 접촉은 오른쪽 또는 왼쪽 전극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양쪽 헤드셋을 착용한 상태에서 한쪽 헤드셋만 착용하면 제어부(180)는 MP3재생을 중지한다.
한편 제어부(180)는 헤드셋의 귀 접촉 및 손 접촉에 따라 호 수신에 대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용자가 양쪽 헤드셋을 착용한 상태(한 쪽 또는 양쪽)에서 호가 수신되면 바로 통화를 연결하고, 사용자가 양쪽 헤드셋을 착용한 상태(한 쪽 또는 양쪽)에서 호가 수신되면 통화연결을 수행하고, 이후 한손(전극 50a 또는 100a)이 접촉되면 통화중 대기를 수행한다(다시 접촉되면 통화 수행) . 이후 사용자가 헤드셋을 벗으면 제어부(180)는 상기 통화를 종료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선 헤드셋을 이용한 생체정보 측정 장치의 다른 실시 예이다. 특히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는 이어잭의 핀 수를 늘려서 오디오 신호와 ECG신호를 분리하지만, 도 8의 실시예는 기존의 이어잭을 그대로 사용하는 대신에 주파수 대역별로 TX/RX signal을 분리해주는 듀플렉서(Duplexer)(105)를 이용한다.
즉, 듀플렉서(105)는 송신할 20hz의 오디오 신호는 이어잭으로 출력하고, 이어잭을 통하여 해드셋(50)으로부터 수신한 20hz의 ECG신호는 접촉 감지부(102)로 전달한다. 그 이외의 동작은 도 4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ECG센서는 기본적으로 이동 단말기 내에 내장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헤드셋에 내장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헤드셋에서 ECG신호를 분석하여 심전도를 측정한 후 이동 단말기로 전송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선 헤드셋을 이용한 생체정보 측정 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이다. 이 실시예는 ECG센서가 헤드셋에 내장된 예를 나타낸다.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동 단말기(100)에 헤드셋(50)이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MP3기능을 실행하면 오디오 코덱(50-2)에서 출력된 오디오 신호가 이어잭을 통하여 헤드셋(50)의 이어 스피커(50-5)를 통해 출력된다.
상기 헤드셋(50)이 이동 단말기(100)의 이어잭에 연결되거나 또는 오디오 신호가 이어 스퍼커(50-5)를 통해 출력될 때, 접촉 감지부(50-2)는 헤드셋(50)에서 발생되는 접촉(귀 또는 손 점촉)을 감지하여 MCU(50-1)로 접촉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MCU(50-1)는 접촉 감지부에서 출력된 접촉 감지신호에 따라 접촉의 종류(귀 또는 손)를 판단한 후 다중화부(50-3)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MUX_CONT)와 ECG센서(50-4)의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CONT)를 각각 출력한다.
상기 다중화부(50-3)는 상기 제어신호(MUX_CONT)에 따라 동작되어 전극(50a)에서 감지된 ECG신호는 ECG센서(50-4)로 출력하고, 헤드셋의 측면에 배치된 전극(50b)에서 감지된 신호(Hand R, Hand L)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어잭으로 출력한다.
상기 ECG센서(50-4)는 MCU(50-1)에서 출력된 이득 제어신호(CONT)에 따라 상기 귀에서 감지된 ECG신호를 증폭한 후 MCU(50-1)로 출력하고, 상기 MCU(50-1)는 ECG센서(50-4)에서 중폭된 ECG신호를 직렬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동 단말기의 이어잭으로 출력한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100)는 이어잭을 통하여 수신한 심전도 파형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하고, MP3기능이 실행되고 있거나 호가 수신된 경우는 상기 헤드셋의 전극(50b)에서 감지되어 이어잭을 통하여 전달된 손 감지신호(Hand R, Hand L)와 이동 단말기의 전극(100a)에서 감지된 손 감지신호(Hand R, Hand L)를 이용하여,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동 단말기의 각종 동작(MP3재생, 호 수신 및 화면 잠금제어)을 제어한다.
앞의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동작에서 헤드셋(50)의 전극(50b)과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전극(100a)는 ECG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용도와 더불어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키로서 사용됨을 알 수 있으며, 특히 ECG센서가 헤드셋(50)에 내장된 경우에는 헤드셋에서 사용자의 심전도(ECG신호)를 측정하여 이동 단말기로 전송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헤드셋을 이용한 ECG센서 응용 방법 및 구조는 헤드셋이 이동 단말기와 유선으로 연결된 경우이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헤드셋과 이동 단말기가 무선으로 접속되는 경우에도 거의 유사하게 동작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헤드셋을 이용한 생체정보 측정 장치의 일 예이다.
무선 헤드셋(51)은 무선 통신부(51-1)를 내장하고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51-1)는 주로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한다.
사용자가 무선 헤드셋(51)을 착용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00)에서 MP3기능을 실행하면, 무선 통신부(11)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안테나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오디오 신호는 헤드셋(50)의 안테나에의 해 수신되어 무선 통신부(51-2)로 인가된다. 따라서, DSP(51-2)는 상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여 이어 스피커(미도시)로 출력하여 음악을 재생한다.
상기 음악이 재생되는 도중에 또는 MP3기능이 실행되지 않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메뉴에서 심전도 측정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한 후 실행하면, 해당 신호가 헤드 셋(51)로 전달되어 DSP(51-2)가 심전도 측정을 위한 동작을 개시한다.
즉, 헤드셋의 안쪽에 배치된 전극(50a)은 사용자의 생체신호, 즉 ECG신호를 출력하고, 바깥쪽에 배치된 전극(50b)는 사용자의 손 접촉(Hand-R, Hand_L)을 출력한다. 접촉 감지부(51-2)는 전극(50a, 50b)에서 출력된 신호로부터 손 접촉 또는 귀 접촉을 감지하여 DSP(51-2)로 접촉 감지신호를 출력하고, ECG센서(51-3)은 상기 DSP(51-2)의 이득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극(50a)에서 측정된 ECG신호를 증폭하여 DSP(51-2)로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DSP(51-2)는 상기 ECG센서(51-3)에서 측정된 ECG신호를 무선 통신부(51-1)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로 출력하고,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한 심전도 파형을 디스플에이부(151)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MP3기능이 실행되어 소정 음악이 무선 헤드셋(51)의 이어 스피커로 재생되고 있는 상태에서, 도 7a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용자가 전극(50b)를 접촉하거나 헤드셋 착용상태를 변경하면, 접촉 감지부(51-4)는 손 접촉(Hand_R,L) 및 귀 접촉(Ear_R, Ear_L)을 판별하여 DSP(51-2)로 출력하고, 상기 DSP(51-2)는 상기 접촉 감지부(51-4)에서 출력된 접촉 감지신호에 따라 이동 단말기를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무선 통신부(51-1)를 통해 이동 단말기로 전송한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한 상기 동작 제어신호에 따라 도 7a에 도시된 바와같이 MP3기능을 제어한다. 또한, 사용자가 헤드셋을 착용한 상태에서 또는 헤드셋을 착용하고 음악을 듣고 있는 상태에서 호가 수신되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같이 무선 헤드셋(51)의 두 전극(50a, 50b)의 접촉 상태에 따라 호 수신동작을 수행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서 헤드셋을 이용한 생체정보 측정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용자는 헤드셋을 착용한다(S10). 상기 헤드셋은 MP3기능을 실행한 후에 착용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헤드셋을 착용한 후 MP3기능을 실행하는 예를 설명한다. 특히 MP3기능을 실행한 후 헤드셋을 착용하면 자동으로 오디오신호가 헤드셋을 통해 출력된다. 또한, 상기 헤드셋은 유선 및 무선 헤드셋을 모두 포함한다.
사용자가 헤드셋을 착용한 후 음악 어플리케이션 즉, MP3기능을 실행하면(S11), 제어부(180)는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된 오디오 신호를 헤드셋으로 출력하여, 해당 오디오 신호가 이어 스피커를 통해 재생되도록 제어한다(S12).
상기 오디오 신호가 헤드셋에서 재생되는 동안 사용자가 메뉴에서 생체정보 측정 어플리케이션 즉, ECG측정 어플리캐이션을 선택하여 실행하면(S13), 제어부(180)는 헤드셋의 제1전극(50a)에서 검출된 생체정보(ECG신호)를 이어잭 및 ECG센서를 통해 전달받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S14). 따라서 본 발명은 헤드셋을 이용하여 음악 감상과 심전도 측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후 헤드셋의 바깥쪽에 위치한 전극(50b)에서 사용자의 손 접촉이 발생하여 이어잭을 통해 감지신호(Hand_R, Hand_L)가 수신되면(S15), 제어부(180)는 접촉 감지부를 통해 손 접촉 타입을 판별한 후 손 접촉 정보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의 MP3기능의 동작(Play, Forward, Reverse, Pause 및 기타)을 제어한다(S16).
또한, 상기 헤드셋을 착용한 상태에서 MP3기능을 실행하지 않고 ECG측정 어플리케이션만을 실행한 경우(S10,S13), 제어부(180)는 헤드셋의 제1전극(50a)에서 검출된 생체정보(ECG신호)를 이어잭 및 ECG센서를 통해 전달받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S14). 따라서 이 경우에는 헤드셋을 이용하여 심전도 측정기능만을 수행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서 헤드셋을 이용한 생체정보 측정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는 MP3기능대신에 호 수신시의 처리에 관한 것으로 기본적인 동작은 도 11과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사용자가 헤드셋을 착용하고 있을때 전화가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자동으로 전화통화를 연결한다(S20~S22). 상기 전화통화중에 사용자가 메뉴에서 생체정보 측정 어플리케이션 즉, ECG측정 어플리캐이션을 선택하여 실행하면(S13), 제어부(180)는 헤드셋의 제1전극(50a)에서 검출된 생체정보(ECG신호)를 이어잭 및 ECG센서를 통해 전달받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S23~S26). 따라서 본 발명은 헤드셋을 이용하여 전화통화중에도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후 헤드셋의 바깥쪽에 위치한 전극(50b)에서 사용자의 손 접촉이 발생하여 이어잭을 통해 감지신호(Hand_R, Hand_L)가 수신되면(S27, S28), 제어부(180)는 접촉 감지부를 통해 손 접촉 타입을 판별한 후 판별된 손 접촉 정보에 따라 상기 전화연결(통화 연결, 통화대기)을 제어한다(S29).
도 13은 본 발명에서 헤드셋을 이용한 생체정보 측정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특히 도 13은 사용자의 심박을 측정하여 스크린 락을 헤제하는 예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용자는 자신의 심박을 측정하여 메모리(1600에 저장한다(S10). 이후 사용자가 헤드셋을 착용하면 헤드셋의 전극(50a)에서 측정된 셍체신호(ECG신호)가 이동 단말기로 전달되어, ECG센서에서 사용자의 현재 심박이 측정된다(S32). 상기 심박은 ECG센서가 헤드셋에 내장된 경우엔느 헤드셋에서 측정하여 이동 단말기로 전송된다.
일단 사용자의 현재 심박이 측정되면 제어부(180)는 그 측정된 심박과 기 저장된 기준 심박을 비교하여(S33), 두 심박이 일치하면 스크린 락을 해제한다(S37). 하지만, 두 심박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스크린 락 상태를 유지하고(S34), 디스플레이부(151)에 패스워드를 입력하기 위한 패스워드 입력창을 표시한다(S35). 이후 사용자가 상기 패스워드 입력창에 입력한 패스워드가 기 젖아된 패스워드와 일치하면 스크린 락을 해제하고(S37),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크린 락 상태를 유지한다(S34).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유무선 헤드셋 또는 이동 단말기에 ECG센서를 내장하여 음악을 들으면서 자연스럽게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헤드셋의 일측을 손으로 접촉하여 MP3재생을 제어하거나 각종 이동 단말기의 동작(호 수신, 락제어)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50, 51 : 헤드셋 101 : 오디오 코덱
102, 50-2, 51-4 : 접촉 감지부 103,50-3 ; 다중화부
104, 50-4, 51-3 : ECG센서 105 : 듀플렉서
110, 51-1 : 무선 통신부 180 : 제어부

Claims (22)

  1. 케이블의 단부에 위치한 플러그를 통해 헤드셋이 이동 단말기의 이어잭에 연결되는 생체정보 측정 장치에 있어서,
    착용시 귀가 접촉되는 안쪽의 제1부분과 손이 접촉되는 바깥쪽의 제2부분에 각각 구비되어, 귀 또는 손 접촉시 제1,제2전기신호를 발생하는 제1,제2전극을 구비한 헤드셋; 및
    (a) 헤드셋으로 현재 사용자가 실행중인 기능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함과 함께 상기 헤드셋의 제1전극에서 발생된 제1전기신호를 근거로 검출한 생체정보를 표시하고,
    (b) 일측에 구비된 제3전극의 터치로 인해 발생되는 제3전기신호와 상기 헤드셋의 제2전극에서 발생된 제2전기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 접촉 타입을 각각 판별하여, 상기 판별된 손 접촉 타입에 따라 현재 실행중인 기능의 동작 및 호 수신을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현재 실행중인 기능의 동작 및 호를 제어하는 우선순위는 제3전극에 대한 접촉보다 제2전극에 대한 접촉이 더 높은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측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셋은
    유선 또는 무선 헤드셋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을 이용한 생체정보 측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은
    헤드셋 안쪽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전극은 헤드셋 바깥쪽의 양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측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는
    ECG센서에서 상기 제1전극에서 발생된 제1전기신호를 이용하여 검출하고,
    상기 ECG센서는 이동 단말기 또는 헤드셋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측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핀과 헤드셋으로부터 제1,제2전기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별도의 송수신 핀을 구비한 이어 잭;
    이어잭으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코덱;
    이동 단말기의 하단부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손 접촉시 제3전기신호를 감지하는 디바이스 전극;
    상기 이어잭을 통해 수신된 제1,제2전기신호와 상기 디바이스 전극을 통해 검출된 제3전기신호의 타입을 판별하는 접촉 감지부;
    상기 판별결과 상기 제1, 제3전기신호가 생체정보 측정을 위한 신호이면 다중화 제어신호와 함께 이득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다중화 제어신호에 따라 헤드셋에서 출력된 제1전기신호 또는 디바이스 전극에서 출력된 제3전기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다중화부; 및
    상기 다중화부에서 출력된 제1 또는 제3전기신호를 상기 이득 제어신호에 따라 증폭하여 생체정보를 감지하는 ECG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측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ECG센서에서 출력된 생체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의 심박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측정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a) 상기 검출된 생체정보를 메모리에 저장된 생체정보와 비교하여 스크린 락을 제어하고,
    (b) 사용자가 오디오 재생기능을 실행하는 상태에서 헤드셋을 벗어 제1전극의 접촉이 감지되지 않으면 재생을 일시 정지하고, 재착용에 의해 제1전극의 접촉이 감지되면 재생을 재개하고,
    (c) 헤드셋을 착용한 상태에서 오른쪽 또는 왼쪽의 제2전극이 접촉되면 상기 제2전극의 접촉 위치에 따라 감기 또는 되감기를 제어하며,
    (d) 헤드셋을 착용한 상태에서 오른쪽 또는 왼쪽의 제2전극이 더블 접촉되면 오디오 재생을 정지하며,
    (e) 헤드셋을 착용한 상태에서 호가 수신되면 바로 통화를 연결하고, 상기 제2전극에 한손이 접촉되면 통화중 대기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측정 장치.
  8. 삭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잭에 헤드셋으로부터 제1,제2전기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별도의 송수신 핀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이어잭과 접촉 감지부 사이에 연결된 듀플렉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측정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셋이 무선 헤드셋인 경우 상기 헤드셋은
    제1전극의 생체신호를 근거로 생체정보를 검출하는 ECG센서; 및
    제2전극의 손 접촉 감지신호를 근거로 동작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접촉 감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셍체정보와 동작 제어신호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측정 장치.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110092211A 2011-06-29 2011-09-09 헤드셋을 이용한 생체정보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1859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2211A KR101859101B1 (ko) 2011-09-09 2011-09-09 헤드셋을 이용한 생체정보 측정 장치 및 방법
US13/536,065 US9089270B2 (en) 2011-06-29 2012-06-28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210226162.8A CN102866843B (zh) 2011-06-29 2012-06-29 终端
EP12004873A EP2540221A1 (en) 2011-06-29 2012-06-29 Mobile terminal with at least a body sensor
US14/795,702 US9699544B2 (en) 2011-06-29 2015-07-09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2211A KR101859101B1 (ko) 2011-09-09 2011-09-09 헤드셋을 이용한 생체정보 측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8570A KR20130028570A (ko) 2013-03-19
KR101859101B1 true KR101859101B1 (ko) 2018-05-17

Family

ID=48179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2211A KR101859101B1 (ko) 2011-06-29 2011-09-09 헤드셋을 이용한 생체정보 측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91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42322A (ja) * 2020-03-12 2021-09-24 三栄メディシス株式会社 心電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97674A1 (en) * 2013-06-05 2014-12-11 Gee Beyond Holdings, Llc A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media signals to a system user
KR102233428B1 (ko) * 2014-01-28 2021-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원격 제어 장치
KR102080747B1 (ko) 2014-03-28 2020-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US9836663B2 (en) 2015-03-05 2017-1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authenticating method and head mounted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101560287B1 (ko) * 2015-05-20 2015-10-14 주식회사 휴이노 생체신호 측정 수단을 포함하는 이어폰 및 이러한 이어폰을 포함하는 생체신호 모니터링 시스템
KR102402546B1 (ko) * 2015-08-24 2022-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터치 패널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호흡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CN105451115B (zh) * 2016-01-05 2019-04-30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生物特征检测功能的耳机、交互系统及方法
KR102518671B1 (ko) * 2016-01-08 2023-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9059454A1 (ko) * 2017-09-20 2019-03-28 웰트 주식회사 이어폰을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24656A (ja) * 2008-04-30 2011-09-01 ディーピー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改良型ヘッドセッ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24656A (ja) * 2008-04-30 2011-09-01 ディーピー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改良型ヘッドセッ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42322A (ja) * 2020-03-12 2021-09-24 三栄メディシス株式会社 心電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8570A (ko) 2013-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9101B1 (ko) 헤드셋을 이용한 생체정보 측정 장치 및 방법
US9198585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measuring bioelectric signals thereof
US9089270B2 (e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687142B2 (en) Method for input operation control and related products
CN110476404B (zh) 消息获取方法和装置
CN103581428A (zh) 终端及其控制方法
KR20150027656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20021987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60142128A (ko) 와치형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9656371A (zh) 移动终端护眼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09567773A (zh) 基于指纹的血压测量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5009729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KR20150032011A (ko)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883964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918991B1 (ko) 헬스 케어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CN110012258A (zh) 最佳音视频感知点获取方法、系统、可穿戴设备及存储介质
CN106444983A (zh) 实现电脑外接功能的装置及方法
CN109558009A (zh) 视频播放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911086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9542548A (zh) 一种显示控制方法、柔性屏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958604A (zh) 交互控制方法、移动终端、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005281A (zh) 一种通话音量调节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949735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91234B1 (ko) 이동 단말기에서 입체음향 출력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101868353B1 (ko) 헬스 케어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