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9057B1 - Beverage container holder - Google Patents

Beverage container hol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9057B1
KR101859057B1 KR1020170057011A KR20170057011A KR101859057B1 KR 101859057 B1 KR101859057 B1 KR 101859057B1 KR 1020170057011 A KR1020170057011 A KR 1020170057011A KR 20170057011 A KR20170057011 A KR 20170057011A KR 101859057 B1 KR101859057 B1 KR 101859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ontainer
frame
adapter
container holder
recepta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70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진종원
Original Assignee
진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종원 filed Critical 진종원
Priority to KR1020170057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905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9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90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1/00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 B62J11/04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for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1/00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container holder which is installed on a frame of a transportation means to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verage container holder is installed on a frame of a transportation means, and comprises: a beverage container receiver to accommodate a beverage container; and an adapter to connect the beverage container receiver and the frame, and allow the beverage container receiver to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rame. The beverage container holder includes the adapter which connects the beverage container receiver and the frame of the transportation means, and allows the beverage container receiver to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rame to allow a user to easily detach a beverage container from the beverage container receiver. Therefore, according to the beverage container holder, the user can safely and efficiently drink a beverage while driving.

Description

음료 용기 거치대 {Beverage container holder}{Beverage container holder}

본 발명은 음료 용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동수단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프레임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음료 용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container hol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beverage container holder that is installed in a frame of a moving means and is rotatable relative to a frame.

일반적으로 양손으로 자전거를 조향하기 때문에 자전거를 타며 음료 용기를 손에 쥐어 사용하거나 휴대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자전거와 같은 이동수단은 음료 용기를 탑재할 공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자전거를 타며 음료 용기를 휴대하는 것은 쉽지 않다.Generally, it is difficult to use the bicycle to carry the beverage container by hand or carry it because it steers the bicycle with both hands. In addition, since the space for mounting the beverage container is insufficient, it is not easy for the user to carry the beverage container by riding the bicycle.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최근, 음료 용기 거치대가 구비된 자전거가 도입되었고 많은 사용자가 음료 용기 거치대가 구비된 자전거를 이용하고 있다.Recently, a bicycle equipped with a drink container holder has been introduced, and many users have used a bicycle equipped with a drink container holder.

도 1은 종래의 음료 용기 거치대 (10) 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beverage container holder 10;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음료 용기 거치대 (10) 는 음료 용기 수용체 (1) 가 이동수단 (즉, 자전거) 의 프레임 (F) 에 부착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때, 음료 용기 거치대 (1) 는 나사 (2) 에 의해 고정되곤 한다. Referring to Fig. 1, a conventional beverage container holder 10 is installed in such a form that the beverage container receiver 1 is attached to a frame F of a moving means (i.e., a bicycle). At this time, the beverage container holder (1) is fixed by screws (2).

종래의 음료 용기 거치대 (10) 는 사용자가 음료 용기를 거치하는 경우 상하 방향으로 착탈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음료 용기 거치대 (10) 는 음료 용기를 거치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하지만, 종래의 음료 용기 거치대 (10) 는 이동수단의 프레임 (F) 에 고정되어 있고, 음료 용기를 상하 방향으로 착탈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한계점을 가진다. 먼저, 음료 용기를 상하 방향으로 착탈하면서 이동수단의 상판 프레임에 손상을 입히기 쉽다. 즉, 음료 용기를 상측으로 힘을 가해 꺼지면서 음료 용기가 상판 프레임과의 부딪히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또한, 상하 방향으로의 착탈이 용이하지 않아 사용자가 주행 중에 음료 용기를 착탈하려는 경우, 한 손 조향에 따른 불안정 및 전방 주시 미흡에 따른 안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되기 쉽다는 문제점을 가진다.The conventional beverage container holder 10 is configured to be vertically detachable when the user places the beverage container. This conventional beverage container holder 10 provide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ount the beverage container. However, the conventional beverage container holder 10 is fixed to the frame F of the moving means, and has many limitations because the beverage container must be attached and detach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First, it is easy to damage the top plate frame of the moving means while attaching / detaching the beverage contain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a large amount of collis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with the upper plate frame occurs while the beverage container is turned off by applying force to the upper side. In addition, when the beverage container is detached and attached to the user while driving,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beverage container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s not easy, so that the user is liable to be exposed to the risk of unstability due to one hand steering and safety accident due to lack of forward gaze.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음료 용기의 캡과 이동수단의 프레임 만을 연결하고 음료 용기의 몸체를 자유롭게 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전거에 탑승한 상태에서 음료 용기를 용이하게 파지하도록 하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관련 특허문헌 1 참조). 하지만, 프레임에 완전히 고정되지 않는 고리형 몸체를 이용함으로써 이동수단의 주행시 음료 용기가 과도하게 흔들릴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결과적으로 사용자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적인 해결방안이 되지 못하는 실정이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re has been proposed a method of easily grasping the beverage container while the user is riding on the bicycle by connecting only the frame of the beverage container and the frame of the moving means and disposing the beverage container body freely See Document 1). However, by using the annular body which is not completely fixed to the fram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everage container may be excessively shaken during traveling of the moving means, and as a result, it is not an effective solution to prevent user safety accidents.

이러한 문제점들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음료 용기 거치대가 프레임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동시에, 사용자가 음료 용기를 착탈하기 용이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갖는 음료 용기 거치대를 도입할 필요성이 있다.In order to effectively solve these problems, there is a need to introduce a beverage container holder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in which the beverage container holder is stably fixed to the frame and at the same time, the user can easily attach and detach the beverage container.

1.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478427호 (발명의 명칭 : 음료 용기 거치대)1.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78427 (Name of invention: beverage container hold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음료 용기 거치대가 이동수단의 프레임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동시에, 사용자가 음료 용기 거치대로부터 음료 용기를 착탈하기 용이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갖는 음료 용기 거치대를 제공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ceived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everage container holder which is stably fixed to a frame of a moving mean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everage container holder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 거치대는, 어댑터를 설치하여 회전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음료 용기 거치대이다. 상기 음료 용기 거치대는, 이동수단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음료 용기 거치대에 있어서, 음료 용기를 수용하는 음료 용기 수용체; 및 상기 음료 용기 수용체와 상기 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음료 용기 수용체가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 어댑터; 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everage container holder for accommodating an adapter and rotating the beverage container holder. The beverage container holder includes a beverage container receptacle for accommodating a beverage container, And an adapter configured to connect the beverage container receiver and the frame, the beverage container receiver configured to rotate relative to the frame; .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어댑터는 상기 음료 용기 수용체가 회전하는 축이 되는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apter may include a rotation axis which becomes an axis on which the beverage container receptacle rotates.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회전축은 수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ng shaft is a male screw.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어댑터는 상기 음료 용기 수용체가 기설정된 각도로 회전하도록 하는 톱니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apter may be formed with a tooth slot for allowing the beverage container receiver to ro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어댑터는, 상기 음료 용기 수용체가 기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apter may be provided with a rotation stopping jaw for allowing the beverage container receiver to rotate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본 발명의 음료 용기 거치대에 따르면, 음료 용기 수용체와 이동수단의 프레임을 연결하면서도 음료 용기 수용체가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하는 어댑터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회전된 음료 용기 수용체로부터 음료 용기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한다. According to the beverage container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cluding the adapter that allows the beverage container receiver to rotate relative to the frame while connecting the beverage container receiver and the frame of the moving means, the user can easily attach and detach the beverage container from the rotated beverage container receiver .

따라서, 본 발명의 음료 용기 거치대에 따르면, 사용자는 주행 중에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음료를 섭취할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beverage container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safely and effectively drink the beverage while driving.

도 1은 종래의 음료 용기 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 거치대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어댑터의 예시적인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어댑터의 예시적인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beverage container holder.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beverage container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emplary form of the adapter shown in Figure 2;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emplary form of the adapter shown in Fig.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lements or layers are referred to as being "on " other elements or layers, including both intervening layers or other elements directly on or in between.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izes and thicknesses of the individual components shown in the figures are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components shown.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each of the features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partially or entirely and technically various interlocking and driving is possible as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may be possible to cooperate with each other in associ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 거치대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beverage container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 거치대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beverage container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음료 용기 거치대 (100) 는 프레임 (F) 에 설치되어 음료 용기를 거치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음료 용기 수용체 (110) , 음료 용기 수용체 (110) 와 이동수단의 프레임 (F) 을 연결하는 어댑터 (120) 를 포함한다.2, the beverage container hold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mount a beverage container on a frame F and includes a beverage container receiver 110, a beverage container receiver 110, F of the adapter 120. As shown in FIG.

본 발명의 음료 용기 거치대 (100) 를 설명함에 있어, 음료 용기 거치대 (100) 가 설치되는 프레임 (F) 은 다양한 이동수단의 프레임일 수 있다. 예컨대, 프레임 (F) 은 자전거의 프레임일 수 있고, 그 밖에도 오토바이, 스쿠터, 전동 킥보드 등 다양한 이동수단의 프레임일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음료 용기 거치대 (100) 가 설치되는 프레임 (F) 은 자전거의 프레임인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해야 한다.In describing the beverage container hold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F on which the beverage container holder 100 is mounted may be a frame of various moving means. For example, the frame F may be a frame of a bicycle or may be a frame of various moving means such as a motorcycle, a scooter, a electric kickboard, and the like.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frame F on which the beverage container hold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s described as a frame of a bicycle, bu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음료 용기 수용체 (110) 는 음료 용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여, 음료 용기가 거치되도록 한다. 음료 용기 수용체 (110) 는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 어댑터 (120) 와 연결되어 프레임 (F) 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The beverage container receptacle 110 provides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beverage container, so that the beverage container is mounted. The beverage container receiver 110 is connected to the adapter 120 configured to be rotatable and rotates relative to the frame F. [

이때, 음료 용기 수용체 (110) 의 음료 용기가 수용되는 측면의 배면은 후술할 어댑터 (120) 와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후술한다.At this time, the rear surface of the side surf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receptacle 110 where the beverage container is received is formed to be engageable with the adapter 120 to be described later.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and FIG.

한편, 음료 용기 수용체 (110) 는 음료 용기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형태이면 충분하다. 도 2에 도시된 음료 용기 수용체 (110) 는 일반적인 음료 용기 수용체의 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에 도시된 바에 음료 용기 수용체 (110) 의 형태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On the other hand, the beverage container receiver 110 may suffice as long as the beverage container can be stably mounted. The beverage container receptacle 110 shown in FIG. 2 is an exemplary illustration of a typical beverage receptacle type, and the shape of the beverage receptacle 110 shown in FIG. 2 is not limited.

어댑터 (120) 는 음료 용기 수용체 (110) 와 프레임 (F) 을 연결하고, 음료 용기 수용체 (110) 가 프레임 (F) 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한다. The adapter 120 connects the beverage container receptacle 110 and the frame F and allows the beverage container receptacle 110 to rotate with respect to the frame F. [

이때, 어댑터 (120) 는 음료 용기 수용체 (110) 와 프레임 (F) 을 연결하면서 음료 용기 수용체 (110) 가 회전하는 축이 되는 회전축 (121) 을 포함한다. 회전축 (121) 은 바람직하게 프레임 (F) 을 관통하여 음료 용기 수용체 (110) 와 프레임 (F) 을 연결하는 수나사일 수 있다. The adapter 120 includes a rotation shaft 121 that connects the beverage container 110 and the frame F and serves as a shaft through which the beverage container 110 rotates. The rotating shaft 121 may be a male thread that connects the beverage container receptacle 110 and the frame F through the frame F preferably.

여기서, 회전축 (121) 은 어댑터 (120) 에 일체로 형성된 축일 수도 있고, 별도로 형성된 부재가 어댑터 (120) 와 결합되면서 형성되는 축일 수도 있다. 도 2에서는 별도로 형성된 수나사의 부재가 어댑터 (120) 와 조립되어 연결되면서 음료 용기 수용체 (110) 의 회전의 축이 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회전축 (121) 은 도 2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어댑터 (120) 로부터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된 축이고 양 단부가 음료 용기 수용체 (110) 와 프레임 (F) 에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rotary shaft 121 may be a shaft integrally formed with the adapter 120, or may be a shaft formed by a separately formed member coupled with the adapter 120. In FIG. 2, a separately formed male screw member is shown as being an axis of rotat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receptacle 110 while being assembled and connected to the adapter 120,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other words, the rotation shaft 121 is not limited to that shown in Fig. 2, but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adapter 120 so as to extend from the adapter 120 and have both ends connected to the beverage container receptacle 110 and the frame F .

어댑터 (120) 의 회전축 (121) 은 음료 용기 수용체 (110) 와 연결된다.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나사인 회전축 (121) 이 음료 용기 수용체 (110) 를 관통하고, 수나사인 회전축 (121) 이 음료 용기 수용체 (110) 를 관통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에서 수나사와 결합하는 암나사의 결합에 의해 회전축 (121) 과 음료 용기 수용체 (110) 가 연결될 수 있다. The rotation axis 121 of the adapter 120 is connected to the beverage container receptacle 110. For example, as shown in the figure, the rotation shaft 121, which is a male thread, passes through the beverage container receptacle 110, and a female screw 120, which is coupled with the male screw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rotation shaft 121, The rotation shaft 121 and the beverage container receptacle 110 can be connected by coupling.

이때, 회전축 (121) 의 길이는 음료 용기가 음료 용기 수용체 (110) 에 거치되는 것이 방해되지 않는 정도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축 (121) 의 길이는 프레임 (F) 및 음료 용기 수용체 (110) 의 결합 부위의 두께에 따라 적절히 설계될 수 있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of the rotation shaft 121 is formed to a length such that the beverage container is not hindered from being placed on the beverage container receiver 110. The length of the rotation shaft 121 can be appropriately design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frame F and the joining port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receptacle 110. [

이러한 회전축 (121) 을 포함하여 음료 용기 수용체 (110) 가 프레임 (F) 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하는 어댑터 (120) 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The adapter 120 including the rotating shaft 121 and allowing the beverage container holder 110 to rotate with respect to the frame F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below.

한편, 음료 용기 수용체 (110) 와 어댑터 (120) 는 공지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음료 용기 수용체 (110) 와 어댑터 (120) 는 같은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고, 각기 다른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beverage container receptacle 110 and the adapter 120 may be formed of a known material. At this time, the beverage container receptacle 110 and the adapter 120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or different materials.

예컨대, 음료 용기 수용체 (110) 와 어댑터 (120) 는 이동수단의 프레임 (F) 에 설치되기 때문에, 비 또는 바람, 습도 등 기후 변화에 쉽게 변질되거나 변형되지 않는 재료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since the beverage container receptacle 110 and the adapter 120 are installed in the frame F of the moving means, they are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that is not readily deformed or deformed by climate, such as rain, wind, or humidity.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음료 용기 거치대의 구성인 어댑터의 예시적인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Figs. 3 and 4 are a front view and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emplary appearance of the adapter which is a constitut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어댑터 (120) 는 음료 용기 수용체 (110) 가 기설정된 각도로 단계적으로 회전하면서 걸리도록 하는 톱니 슬롯 (122) 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adapter 120 may include a toothed slot 122 that allows the beverage container receptacle 110 to engage in a stepwise rotation at a predetermined angle.

어댑터 (120) 의 일면에 톱니 슬롯 (122) 이 형성되고 음료 용기 수용체 (110) 가 프레임 (F) 에 대하여 회전축 (121) 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어댑터 (120) 의 톱니 슬롯 (122) 의 각 톱니 구성에 음료 용기 수용체 (110) 가 걸리도록 형성되고, 원하는 각도에서 톱니 슬롯 (122) 의 톱니에 음료 용기 수용체 (110) 가 걸리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도 3에는 어댑터 (120) 의 톱니 슬롯 (122) 의 형상만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음료 용기 수용체 (110) 의 어댑터 (120) 와 맞닿는 면은 이러한 톱니 슬롯 (122) 에 맞물려 동작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 tooth slot 122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adapter 120 so that the beverage container receptacle 110 can rotat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bout the rotation axis 121 with respect to the frame F. [ The beverage container receptacle 110 is formed to engage with each tooth configuration of the toothed slot 122 of the adapter 120 and operates in such a manner that the beverage receptacle receptacle 110 is caught by the teeth of the toothed slot 122 at a desired angle . 3 shows only the shape of the tooth slot 122 of the adapter 120 by way of example. However, the surf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receptacle 11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adapter 120, Of course.

예컨대, 어댑터 (120) 와 음료 용기 수용체 (110) 는 톱니 기어가 회전하듯 서로 맞물려 기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또는 커터 칼날이 칼집으로부터 슬라이딩 이동하는 원리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adapter 120 and the beverage container receptacle 110 may be configured to engage with each other as the toothed gear rotates and rotate by a predetermined angle, or the cutter blad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on the principle of sliding movement from the sheath.

도 4를 참조하면, 어댑터 (120) 는 음료 용기 수용체 (110) 가 기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 걸림턱 (123) 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adapter 120 may include a rotation hook 123 for allowing the beverage container receiver 110 to rotate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어댑터 (120) 의 일면에 회전 걸림턱 (123) 이 형성되고 음료 용기 수용체 (110) 가 프레임 (F) 에 대하여 회전축 (121) 을 중심으로 기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음료 용기 수용체 (110) 는 회전축 (121) 을 중심으로 회전하는데, 회전 걸림턱 (123) 이 형성되어 있는 각도에서 걸리게 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The beverage container receptacle 110 is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about the rotation axis 121 with respect to the frame F by forming the rotation hook 123 on one side of the adapter 120, . The beverage container 110 rotates about the rotation shaft 121 and operates in such a manner that it is caught at an angle at which the rotation stopping step 123 is formed.

이 때, 회전 걸림턱 (123) 은 사용자의 주행에 방해되지 않는 각도 범위 내에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주행에 방해되지 않는 각도 범위는, 사용자가 주행 중에 음료 용기를 착탈하기 위해 손목을 돌릴 수 있는 각도 범위와 대응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주행에 방해되지 않는 각도 범위는 프레임과 나란한 방향을 0 deg로 했을 때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45 deg 범위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rotation stopping jaw 123 can be formed within an angular range that is not disturbed by the user's running. Here, the angular range that is not disturbed by the running of the user can correspond to an angular range in which the user can turn the wrist to / from the beverage container while driving. For example, the angular range that is not disturbed by the user's running can be in the range of ± 45 deg in the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directions whe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frame is 0 deg.

도 4에는 어댑터 (120) 의 회전 걸림턱 (123) 의 형상만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음료 용기 수용체 (110) 의 어댑터와 맞닿는 면은 이러한 회전 걸림턱 (123) 에 걸리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4 shows only the shape of the rotation stopping jaw 123 of the adapter 120 in an illustrative manner. However, the surf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holder 11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adapter can be operated in such a manner as to be caught by the rotation stopping jaw 123 .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에 어댑터 (120) 의 회전 걸림턱 (123) 의 형상은 직사각형의 형태로 어댑터 (120) 의 반지름의 길이만큼 형성되도록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회전 걸림턱 (123) 의 형태는 원형, 삼각형, 정사각형 등의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길이는 음료 용기 수용체 (110) 가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되면 충분하다. 4, the shape of the rotation stopping jaw 123 of the adapter 120 is formed to be equal to the length of the radius of the adapter 120 in the form of a rectang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hape of the rotation hook 123 may be circular, triangular, square, or the like, and the length may be sufficient to allow the beverage container receptacle 110 to be hooked.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You will understan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 … 프레임
100 … 음료 용기 거치대
110 … 음료 용기 수용체
120 … 어댑터
121 … 회전축
122 … 톱니 슬롯
123 … 회전 걸림턱
F ... frame
100 ... Beverage container holder
110 ... Beverage container receiver
120 ... adapter
121 ... Rotating shaft
122 ... Sawtooth slot
123 ... Rotation jaw

Claims (5)

이동수단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음료 용기 거치대에 있어서,
음료 용기를 수용하는 음료 용기 수용체; 및
상기 음료 용기 수용체와 상기 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음료 용기 수용체가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 어댑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어댑터는,
상기 음료 용기 수용체가 회전하는 축이 되는 회전축; 및
상기 음료 용기 수용체가 기설정된 각도로 단계적으로 회전하면서 걸리도록 하는 톱니 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거치대.
A beverage container cradle installed in a frame of a moving means,
A beverage container receptacle for accommodating the beverage container; And
An adapter connecting said beverage container receiver and said frame and configured to rotate said beverage container receiver relative to said frame; , Wherein:
The adapter includes:
A rotating shaft for rotating the beverage container; And
And a toothed slot for allowing the beverage container receptacle to rotate while stepwise rotating at a predetermined angl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수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otating shaft is a male screw.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음료 용기 수용체가 기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dapter includes a rotation stopping jaw for allowing the beverage container receiver to rotate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KR1020170057011A 2017-05-04 2017-05-04 Beverage container holder KR1018590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011A KR101859057B1 (en) 2017-05-04 2017-05-04 Beverage container hol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011A KR101859057B1 (en) 2017-05-04 2017-05-04 Beverage container hol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9057B1 true KR101859057B1 (en) 2018-06-28

Family

ID=62780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7011A KR101859057B1 (en) 2017-05-04 2017-05-04 Beverage container hol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9057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0145U (en) * 1998-11-17 2000-06-15 민경훈 Car Cell Phone Holder
JP2005001660A (en) * 2003-06-10 2005-01-06 Campagnolo Spa Support element for bicycle accessorie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0478427Y1 (en) 2014-11-19 2015-11-03 김현준 A beverage vessel hold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0145U (en) * 1998-11-17 2000-06-15 민경훈 Car Cell Phone Holder
JP2005001660A (en) * 2003-06-10 2005-01-06 Campagnolo Spa Support element for bicycle accessorie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0478427Y1 (en) 2014-11-19 2015-11-03 김현준 A beverage vessel hold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7485B1 (en) Folding type bicycle
EP2389823B1 (en) Safety helmet with improved adjustment
KR20130018874A (en) Bicycle
JPH11263395A (en) Can opener
KR101859057B1 (en) Beverage container holder
TWI288722B (en) Bodywork of a motorcycle
EP2159144B1 (en) Device to attach a pet leash to a non motorised wheeled vehicle
JP2016043844A (en) Tricycle
KR20100033301A (en) Umbrella carrier for a bicycle
TWI715841B (en) bicycle
KR20150084511A (en) Rearview mirror for bicycles
EP2928631B1 (en) Hand-held miter saw
JP6862121B2 (en) Long hedge trimmer
CN214296390U (en) Hand-held type control handle
JP5341530B2 (en) Marine propulsion device
KR101605679B1 (en) Tricycle
JP2018027751A (en) Carrier for vehicle interior
KR20110006888A (en) Gear assembly for transportation tools
JP2018061478A (en) Ambulatory tiller
CN102085895B (en) Rotationally foldable bicycle handle vertical pipe
JP3745886B2 (en) Connection structure of rotary blade drive shaft of brush cutter
CN201427632Y (en) Binding mechanism for side guard plate and side cover of motorcycle
KR20120003426U (en) Back Mirror for Bicycle
JP2000072071A (en) Electric bicycle
CN215944764U (en) Reflecting component and front fork structure of rid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