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8964B1 - 이중 구성물에 데이터 삽입 방법 및 이중 구성물 상의 데이터 인식 방법 - Google Patents

이중 구성물에 데이터 삽입 방법 및 이중 구성물 상의 데이터 인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8964B1
KR101858964B1 KR1020160171559A KR20160171559A KR101858964B1 KR 101858964 B1 KR101858964 B1 KR 101858964B1 KR 1020160171559 A KR1020160171559 A KR 1020160171559A KR 20160171559 A KR20160171559 A KR 20160171559A KR 101858964 B1 KR101858964 B1 KR 101858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space
data
binary code
pixel
opaqu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1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2095A (ko
Inventor
박행운
Original Assignee
박행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행운 filed Critical 박행운
Publication of KR20170122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2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8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8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0021Image watermarking
    • G06T1/0092Payload characteristic determination in a watermarking scheme, e.g. number of bits to be embedd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2201/005Image watermarking
    • G06T2201/0062Embedding of the watermark in text images, e.g. watermarking text documents using letter skew, letter distance or row dist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2201/005Image watermarking
    • G06T2201/0065Extraction of an embedded watermark; Reliable det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삽입 장치에서 실행되는 불투명 물질 및 불투명 물질 표면에 배치되는 투명 물질로 구성된 이중 구성물에 데이터를 삽입하는 방법은 상기 불투명 물질 및 상기 투명 물질 각각에서 데이터 삽입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삽입 대상 정보에 해당하는 이진수 코드에 기초하여 픽셀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픽셀 공간 중 일부를 상기 불투명 물질의 데이터 삽입 영역에 삽입하고 나머지 일부를 투명 물질의 데이터 삽입 영역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중 구성물 각각에 진품임을 나타내는 이진수 코드를 삽입하여 사용자에게 배포함으로써 해당 사용자는 해당 이중 구성물을 단말 장치에 인식시키는 것만으로 해당 이중 구성물이 원본인지 진품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이중 구성물에 데이터 삽입 방법 및 이중 구성물 상의 데이터 인식 방법{DATA INSERTING METHOD IN DOUBLE STRUCTURES AND DATA SCANING MEHTOD IN DOUBLE STRUCTURE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중 구성물에 데이터 삽입 방법 및 이중 구성물 상의 데이터 인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종 신분증, 자격증, 상품, 상품권 등의 위조범죄는 나날이 증가하고 위조기술도 발전하여 사회적 국가적으로 그 피해가 심각한 상태이다. 과거의 경우에는 지폐 등의 위조를 위하여 인쇄원판을 위조, 인쇄하는 것이 고작이었으나 현대에는 복사기나 컴퓨터, 스캐너에 의하여 단시간에 대량의 위조가 가능하고 이에 따른 위조작업과 장비의 구입 등이 손쉽게 되어 위조를 통한 범죄사례가 심각하다.
이러한 위조를 통한 범죄사건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위조를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위조했을 경우 위조여부를 빠르고 간단하게 판별해야 한다.
위조방지 기술분야에서 장치메이커와 카드메이커의 관련기술이 나날이 발전되고 있으며 또한 어느 정도 위조방지 효과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화폐와 유가증권, 각종 신분증 여권의 위조사례가 많고 이러한 위조와 관련된 범죄가 국내는 물론 국제적으로도 심각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중 구성물 각각에 진품임을 나타내는 이진수 코드를 삽입하여 사용자에게 배포함으로써 해당 사용자는 해당 이중 구성물을 단말 장치에 인식시키는 것만으로 해당 이중 구성물이 원본인지 진품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 구성물에 데이터 삽입 방법 및 이중 구성물 상의 데이터 인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들 중에서, 데이터 삽입 장치에서 실행되는 불투명 물질 및 불투명 물질 표면에 배치되는 투명 물질로 구성된 이중 구성물에 데이터를 삽입하는 방법은 상기 불투명 물질 및 상기 투명 물질 각각에서 데이터 삽입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삽입 대상 정보에 해당하는 이진수 코드에 기초하여 픽셀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픽셀 공간 중 일부를 상기 불투명 물질의 데이터 삽입 영역에 삽입하고 나머지 일부를 투명 물질의 데이터 삽입 영역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단말 장치에서 실행되는 이중 구성물 상의 데이터 인식 방법은 불투명 물질 및 상기 불투명 물질 표면에 배치된 투명 물질로 구성된 이중 구성물을 스캔하여 이중 구성물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이중 구성물 이미지의 픽셀을 분석하여 상기 이중 구성물 이미지에서 복수의 픽셀 공간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픽셀 공간에 해당하는 숫자를 이용하여 복수의 픽셀 공간이 지시하는 이진수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이진수 코드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중 구성물 각각에 진품임을 나타내는 이진수 코드를 삽입하여 사용자에게 배포함으로써 해당 사용자는 해당 이중 구성물을 단말 장치에 인식시키는 것만으로 해당 이중 구성물이 원본인지 진품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성물에 데이터를 삽입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삽입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성물에 데이터 삽입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구성물 상의 데이터 인식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중 "삽입 대상 데이터"는 동영상, 텍스트, 이미지, 특정 링크 주소(예를 들어, 동영상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주소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중 "불투명 물질"은 빛을 통과시키지 못하는 투명하지 않은 모든 물질을 의미한다. 이러한 불투명 물질은 종이, 플라스틱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중 "투명 물질"은 빛을 통과시키는 투명한 모든 물질을 의미한다. 이러한 투명 물질은 비닐, 투명 홀로그램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중 "픽셀 공간"은 삽입 대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이진수 코드에 따라 다수의 점으로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눈에 보이지 않는 색상으로 표현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성물에 데이터를 삽입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데이터 삽입 장치는 불투명 물질(110) 및 불투명 물질 표면(110) 각각에서 데이터 삽입 영역을 결정한다. 데이터 삽입 장치는 데이터 삽입 영역에 삽입될 삽입 대상 정보에 해당하는 이진수 코드에 기초하여 픽셀 공간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동영상이 저장된 주소에 해당하는 이진수 코드가 1011 이고, 1에 해당하는 픽셀 공간은 4개의 점으로 이루어진다고 정의되어 있고 0에 해당하는 픽셀 공간은 8개의 점으로 이루어진다고 정의되어 있으면, 데이터 삽입 장치는 4 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픽셀 공간, 8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픽셀 공간, 4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픽셀 공간, 4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픽셀 공간을 생성한다.
이때, 데이터 삽입 장치는 픽셀 공간 중 일부를 불투명 물질의 데이터 삽입 영역에 삽입하고 픽셀 공간 중 나머지 일부를 불투명 물질의 데이터 삽입 영역에 삽입되도록 설정하며, 불투명 물질 및 투명 물질 각각에 삽입해야 픽셀 공간을 표현하는 색을 다르게 설정하여 불투명 물질 및 투명 물질 각각에 삽입해야 하는 픽셀 공간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데이터 삽입 장치는 이진수 코드에 해당하는 픽셀 공간 중 불투명 물질(110)에 삽입해야 하는 픽셀 공간을 불투명 물질(110)에 삽입하고 투명 물질(120)에 삽입해야 하는 픽셀 공간을 투명 물질(120)에 삽입한다.
이와 같은 이유는 이진수 코드에 해당하는 픽셀 공간 중 일부를 불투명 물질(110)에 삽입하고, 이진수 코드에 해당하는 픽셀 공간 중 나머지 일부를 투명 물질(120)에 삽입함으로써 위조되지 않은 불투명 물질(110)의 표면에 위조되지 않은 투명 물질(120)이 배치되어 이중 구성물(130)을 구성했을 때에만 정상적인 이진수 코드가 추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때, 데이터 삽입 장치는 불투명 물질(110) 및 투명 물질(120) 각각에 삽입해야 픽셀 공간을 표현하는 색을 다르게 설정하여 불투명 물질(110) 및 투명 물질(120) 각각에 삽입해야 하는 픽셀 공간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삽입 장치는 불투명 물질(110)에 삽입되는 픽셀 공간(111, 112, 113, 114, 115)을 표현하는 색을 투명 물질(120)에 삽입되는 픽셀 공간(121, 122)을 표현하는 색보다 흐리게 설정하여 픽셀 공간을 생성한다. 즉, 투명 물질(120)에 삽입되는 픽셀 공간(121, 122)을 표현하는 색은 불투명 물질(110)에 삽입되는 픽셀 공간(111, 112, 113, 114, 115)을 표현하는 색보다 진하게 설정된다.
이와 같은 이유는 도 2와 같이 불투명 물질(110)의 표면에 투명 물질(120)이 배치되는 이중 구성물(130)을 복사하는 과정에서 투명 물질(120)에 삽입된 픽셀 공간(121, 122)의 색이 불투명 물질(110)에 삽입된 픽셀 공간(111, 112, 113, 114, 115)의 색보다 진하여 불투명 물질(110)에 삽입된 픽셀 공간을 제외하고 투명 물질(120)에 삽입된 픽셀 공간만이 복사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즉, 도 2와 같이 불투명 물질(110)의 표면에 투명 물질(120)이 배치되는 이중 구성물(130)을 복사하는 과정에서 복사 빛을 조사하면 복사 빛은 투명 물질(120)에 먼저 조사된 후에 불투명 물질(110)에 조사된다.
이때, 복사 빛이 먼저 투명 물질(120)에 조사되기 때문에 투명 물질(120)에 삽입된 픽셀 공간(121, 122)이 복사된다. 그런 다음, 복사 빛이 불투명 물질(110)에 조사되지만 불투명 물질(120)에 삽입된 픽셀 공간(111, 112, 113, 114, 115)의 색은 투명 물질(120)에 삽입된 픽셀 공간(121, 122)보다 흐리기 때문에 불투명 물질(110)에 삽입된 픽셀 공간은 복사되지 않는다.
따라서, 불투명 물질(110)의 표면에 투명 물질(120)이 배치되는 이중 구성물(130)이 복사되더라도 위조된 이중 구조물(130)은 투명 물질(120)의 픽셀 공간(121, 122)을 포함하고, 불투명 물질(110)의 픽셀 공간(111, 112, 113, 114, 115)은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단말 장치에서는 해당 이중 구조물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스캔할 때 모든 픽셀 공간(111, 121, 112, 113, 114, 115, 122)을 추출할 수 없어 올바르지 않은 이진수 코드를 생성할 것이며, 이진수 코드가 이진수 코드 별 인증 정보 테이블에 존재하지 않아 이미지의 위조된 것이라고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2과 같이 불투명 물질(110)의 표면에 투명 물질(120)이 배치되는 이중 구성물(130)이 복사된 경우 위조된 이중 구조물(130)은 투명 물질(120)의 픽셀 공간(121, 122)만을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픽셀 공간에 해당하는 이진수 코드가 이진수 코드 별 인증 정보 테이블에 존재하지 않아 이미지의 위조된 것이라고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삽입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데이터 삽입 장치(100)는 데이터 삽입 영역 결정부(101), 픽셀 공간 관리부(102), 이진수 값 별 픽셀 공간 DB(103)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데이터 삽입 영역 결정부(101)는 불투명 물질 및 불투명 물질 표면 각각에서 데이터 삽입 영역을 결정한다. 이때, 데이터 삽입 영역 결정부(101)는 불투명 물질(110) 및 불투명 물질 표면(110) 각각의 공백 또는 이미지의 일부분 등을 데이터 삽입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픽셀 공간 관리부(102)는 삽입 대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이진수 코드에 기초하여 픽셀 공간을 생성한다. 이때, 데이터 픽셀 공간 관리부(102)는 삽입 대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이진수 코드에 기초하여 다수의 점으로 이루어진 서로 다른 크기의 픽셀 공간을 생성할 수 있다.
즉, 픽셀 공간 관리부(102)는 이진수 값 별 픽셀 공간 DB(103)를 참조하여 이진수 값이 1 또는 0인지를 판별하여 각각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개수의 점으로 이루어진 픽셀 공간을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픽셀 공간 관리부(102)는 삽입 대상 데이터 "A"에 해당하는 이진수 코드가 100000일 경우, 1에 해당하는 기 결정된 개수의 점으로 구성된 픽셀 공간 1개와 0에 해당하는 기 결정된 개수의 점으로 구성된 픽셀 공간 5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픽셀 공간 관리부(102)는 픽셀 공간 중 일부를 불투명 물질의 데이터 삽입 영역에 삽입하고 픽셀 공간 중 나머지 일부를 불투명 물질의 데이터 삽입 영역에 삽입되도록 설정하며, 불투명 물질 및 투명 물질 각각에 삽입해야 픽셀 공간을 표현하는 색을 다르게 설정하여 불투명 물질 및 투명 물질 각각에 삽입해야 하는 픽셀 공간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런 다음, 픽셀 공간 관리부(102)는 이진수 코드에 해당하는 픽셀 공간 중 불투명 물질에 삽입해야 하는 픽셀 공간을 불투명 물질(110)에 삽입하고 투명 물질에 삽입해야 하는 픽셀 공간을 투명 물질에 삽입한다.
이와 같은 이유는 이진수 코드에 해당하는 픽셀 공간 중 일부를 불투명 물질(110)에 삽입하고, 이진수 코드에 해당하는 픽셀 공간 중 나머지 일부를 투명 물질(120)에 삽입함으로써 위조되지 않은 불투명 물질의 표면에 위조되지 않은 투명 물질이 배치되어 이중 구성물을 구성했을 때에만 정상적인 이진수 코드가 추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픽셀 공간 관리부(102)는 불투명 물질에 삽입되는 픽셀 공간을 표현하는 색을 투명 물질에 삽입되는 픽셀 공간을 표현하는 색보다 흐리게 설정하여 픽셀 공간을 생성함으로써 불투명 물질의 표면에 투명 물질이 배치되는 이중 구성물을 복사하는 과정에서 투명 물질에 삽입된 픽셀 공간의 색이 불투명 물질에 삽입된 픽셀 공간의 색보다 진하여 불투명 물질에 삽입된 픽셀 공간을 제외하고 투명 물질에 삽입된 픽셀 공간만이 복사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 장치(200)는 스캔부(210), 디스플레이부(220), 메모리(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스캔부(21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검증 대상 물체를 스캔하여 제어부(240)에 제공한다.
디스플레이부(220)는 단말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스캔부(210)를 통해 이미지를 스캔하는 과정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2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투명 LC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220)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220)이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20)과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약칭함)에, 디스플레이부(22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220)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220)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24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240)는 디스플레이부(220)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되어, 일부분이 터치된 상태에서 특정 거리만큼 드래그되면 추천 광고 이미지에 해당하는 구매 유도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제어부(24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230)는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 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30)에는 스캔부(210)에 의해 스캔된 이미지가 저장된다.
메모리(230)에는 픽셀 공간 별 이진수 값이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부(240)는 메모리(230)를 참조하여 픽셀 공간에 해당하는 이진수 값 각각을 추출하여 이진수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메모리(230)에는 이진수 코드 별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부(240)는 메모리(230)를 참조하여 이진수 코드를 추출한 후에 해당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23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제어부(240)는 통상적으로 단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40)는 스캔부(210)에 의해 검증 대상 물체(예를 들어, 이미지, 이중 구성물 등)가 스캔되면 검증 대상 물체의 이미지에서 복수의 픽셀 공간을 추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40)는 스캔부(210)에 의해 검증 대상 물체가 스캔되면 검증 대상 물체의 이미지를 이루는 픽셀을 분석하고, 이미지를 이루는 각각의 픽셀에 대해서 픽셀 사이의 공간을 인식하여 복수의 픽셀 공간을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복수의 픽셀 공간을 이용하여 이진수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40)는 메모리(230)에 저장된 픽셀 공간 별 이진수 값을 참조로 픽셀 공간에 해당하는 이진수 값 각각을 추출하여 이진수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제어부(240)는 메모리(230)에 저장된 이진수 코드 별로 데이터를 참조로 이진수 코드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성물에 데이터 삽입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데이터 삽입 장치는 불투명 물질 및 상기 투명 물질 각각에서 데이터 삽입 영역을 결정한다(단계 S510). 데이터 삽입 장치는 삽입 대상 정보에 해당하는 이진수 코드에 기초하여 픽셀 공간을 생성한다(단계 S520).
단계 S520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삽입 장치는 픽셀 공간을 표현하는 색을 다르게 설정하여 상기 불투명 물질 및 투명 물질 각각에 삽입해야 하는 픽셀 공간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삽입 장치는 불투명 물질에 삽입되는 픽셀 공간을 표현하는 색을 상기 투명 물질에 삽입되는 픽셀 공간을 표현하는 색보다 흐리게 설정하여 상기 픽셀 공간을 생성한다.
이와 같은 이유는 이중 구성물을 복사하는 과정에서 투명 물질에 삽입된 픽셀 공간의 색이 불투명 물질에 삽입된 픽셀 공간의 색보다 진하여 불투명 물질에 삽입된 픽셀 공간을 제외하고 투명 물질에 삽입된 픽셀 공간만을 복사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위조된 이중 구조물은 투명 물질의 픽셀 공간을 포함하고, 불투명 물질의 픽셀 공간은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단말 장치(200)에서는 해당 이중 구조물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스캔할 때 모든 픽셀 공간을 추출할 수 없어 올바르지 않은 이진수 코드를 생성할 것이며, 이진수 코드가 이진수 코드 별 인증 정보 테이블에 존재하지 않아 이미지의 위조된 것이라고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데이터 삽입 장치는 픽셀 공간을 상기 불투명 물질 및 투명 물질 각각에 삽입한다(단계 S530).
단계 S530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삽입 장치는 이중 구성물에서 결정된 데이터 삽입 영역 중 상기 불투명 물질의 영역에 해당하는 픽셀 공간을 상기 불투명 물질에 삽입할 수 있다.
단계 S530에 대한 다른 일 실시에에서, 데이터 삽입 장치는 이중 구성물에서 결정된 데이터 삽입 영역 중 투명 물질의 영역에 해당하는 픽셀 공간을 상기 투명 물질에 삽입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구성물 상의 데이터 인식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말 장치는 불투명 물질 및 상기 불투명 물질 표면에 배치된 투명 물질로 구성된 이중 구성물을 스캔하여 이중 구성물 이미지를 생성한다(단계 S610).
단말 장치는 상기 이중 구성물 이미지의 픽셀을 분석하여 상기 이중 구성물 이미지에서 복수의 픽셀 공간을 추출한다(단계 S620).
단계 S620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는 이중 구성물 이미지에 빛을 조사하여 투명 물질 및 불투명 물질 각각에서 복수의 픽셀 공간을 추출한다.
단말 장치는 복수의 픽셀 공간에 해당하는 숫자를 이용하여 복수의 픽셀 공간이 지시하는 이진수 코드를 생성한다(단계 S630).
단말 장치는 이진수 코드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표시한다(단계 S640).
단계 S640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는 이진수 코드 별 인증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이진수 코드에 해당하는 인증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고체 물질의 진위 여부를 확인한다.
즉, 이중 구성물이 진품이라면 단말 장치(200)는 투명 물질 및 불투명 물질 각각에서 픽셀 공간을 추출한 후 미리 생성된 픽셀 공간 별 이진수 값 테이블을 참조하여 픽셀 공간이 구성된 점의 개수에 따라 이진수 값을 결정하고, 이진수 값을 이용하여 이진수 코드를 결정할 것이다.
그런 다음, 단말 장치(200)는 이진수 코드 별 인증 정보 테이블에 이진수 코드에 해당하는 인증 정보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중 구조물이 진품이라고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이중 구조물이 가품이라면 이중 구조물이 복사되는 과정에서 투명 물질에 삽입된 픽셀 공간의 색이 불투명 물질에 삽입된 픽셀 공간의 색 보다 진하기 때문에 투명 물질의 픽셀 공간은 복사될 수 있어도 불투명 공간의 픽셀 공간은 복사되지 않기 때문에 단말 장치(200)가 이중 구조물을 진위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이중 구조물을 스캔하더라도 불투명 공간의 픽셀 공간은 존재하지 않아 투명 물질의 픽셀 공간만을 추출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단말 장치(200)는 픽셀 공간 각각에서 픽셀 공간을 추출한 후 미리 생성된 픽셀 공간 별 이진수 값 테이블을 참조하여 픽셀 공간이 구성된 점의 개수에 따라 이진수 값을 결정하고, 이진수 값을 이용하여 이진수 코드를 결정할 것이다.
그 후, 단말 장치(200)는 이진수 코드 별 인증 정보 테이블에 이진수 코드에 해당하는 인증 정보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이중 구조물이 가품이라고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데이터 삽입 장치
101: 데이터 삽입 영역 결정부
102: 픽셀 공간 관리부
103: 이진수 값 별 픽셀 공간 DB
200: 단말 장치
210: 스캔부
220: 디스플레이부
230: 메모리
240: 제어부

Claims (11)

  1. 데이터 삽입 장치에서 실행되는 불투명 물질 및 불투명 물질 표면에 배치되는 투명 물질로 구성된 이중 구성물에 데이터를 삽입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불투명 물질 및 상기 투명 물질 각각에서 데이터 삽입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삽입 대상 정보에 해당하는 이진수 코드에 기초하여 픽셀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픽셀 공간 중 일부를 상기 불투명 물질의 데이터 삽입 영역에 삽입하고 나머지 일부를 투명 물질의 데이터 삽입 영역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 대상 정보에 해당하는 이진수 코드에 기초하여 픽셀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픽셀 공간 중 일부를 상기 불투명 물질에 삽입해야 하는 픽셀 공간으로 결정하고, 나머지 일부를 투명 물질에 삽입해야 하는 픽셀 공간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투명 물질에 삽입해야 하는 픽셀 공간 및 상기 불투명 물질에 삽입해야 하는 픽셀 공간 각각의 색을 다르게 설정하여 픽셀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픽셀 공간 각각의 색을 다르게 설정하여 픽셀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불투명 물질에 삽입해야 하는 픽셀 공간을 표현하는 색을 상기 투명 물질에 삽입해야 하는 픽셀 공간을 표현하는 색보다 흐리게 설정하여 상기 픽셀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성물에 데이터 삽입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대상 정보에 해당하는 이진수 코드에 기초하여 픽셀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삽입 대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이진수 코드에 기초하여 다수의 점으로 이루어진 서로 다른 크기의 픽셀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성물에 데이터 삽입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대상 정보에 해당하는 이진수 코드에 기초하여 픽셀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삽입 대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이진수 코드 각각의 이진수 값이 1 또는 0인지를 판별하여 각각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개수의 점으로 이루어진 픽셀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성물에 데이터 삽입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대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이진수 코드에 기초하여 픽셀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삽입 대상 데이터를 지시하는 이진수 코드를 미리 정의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 정의된 이진수 코드에 기초하여 픽셀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성물에 데이터 삽입 방법.
  8. 단말 장치에서 실행되는 이중 구성물 상의 데이터 인식 방법에 있어서,
    불투명 물질 및 상기 불투명 물질 표면에 배치된 투명 물질로 구성된 이중 구성물을 스캔하여 이중 구성물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이중 구성물 이미지의 픽셀을 분석하여 상기 이중 구성물 이미지에서 복수의 픽셀 공간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픽셀 공간에 해당하는 숫자를 이용하여 복수의 픽셀 공간이 지시하는 이진수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이진수 코드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불투명 물질에 삽입된 픽셀 공간 및 상기 투명 물질에 삽입된 픽셀 공간 각각의 색은 서로 다른 색이며, 상기 불투명 물질에 삽입된 픽셀 공간의 색은 상기 투명 물질에 삽입된 픽셀 공간의 색 보다 흐린 색인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성물 상의 데이터 인식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구성물 이미지의 픽셀을 분석하여 상기 이중 구성물 이미지에서 복수의 픽셀 공간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이중 구성물 이미지에 빛을 조사하여 상기 투명 물질 및 상기 불투명 물질 각각에서 복수의 픽셀 공간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성물 상의 데이터 인식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진수 코드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는
    이진수 코드 별 인증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이진수 코드에 해당하는 인증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이중 구성물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성물 상의 데이터 인식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이중 구성물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이진수 코드 별 인증 정보 테이블에 상기 이진수 코드에 해당하는 인증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이중 구성물을 정품이라고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이진수 코드 별 인증 정보 테이블에 상기 이진수 코드에 해당하는 인증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이중 구성물을 가품이라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성물 상의 데이터 인식 방법.
KR1020160171559A 2016-04-26 2016-12-15 이중 구성물에 데이터 삽입 방법 및 이중 구성물 상의 데이터 인식 방법 KR1018589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004 2016-04-26
KR20160051004 2016-04-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2095A KR20170122095A (ko) 2017-11-03
KR101858964B1 true KR101858964B1 (ko) 2018-05-17

Family

ID=60383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1559A KR101858964B1 (ko) 2016-04-26 2016-12-15 이중 구성물에 데이터 삽입 방법 및 이중 구성물 상의 데이터 인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89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3131B1 (ko) * 2022-12-30 2024-05-07 주식회사 더코더 듀얼 코드 삽입 방법, 듀얼 코드가 삽입된 제품 검증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2372A (ja) * 2002-12-12 2004-07-08 National Printing Bureau 透過x線のもとで識別できる情報を付与した情報記録媒体
KR101574302B1 (ko) * 2015-04-09 2015-12-04 주식회사 디지워크 데이터가 삽입된 이미지 생성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이미지 생성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2372A (ja) * 2002-12-12 2004-07-08 National Printing Bureau 透過x線のもとで識別できる情報を付与した情報記録媒体
KR101574302B1 (ko) * 2015-04-09 2015-12-04 주식회사 디지워크 데이터가 삽입된 이미지 생성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이미지 생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2095A (ko) 2017-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4302B1 (ko) 데이터가 삽입된 이미지 생성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이미지 생성 장치
JP5004747B2 (ja) セキュリティマーク形成システム、セキュリティマーク形成方法、セキュリティマーク検出方法、及びセキュリティマーク検出システム
US11548310B2 (en) Authenticating identification and security documents and other objects
RU2681696C2 (ru) Двухмерный штрихкод и способ аутентификации штрихкода
EP1514227B1 (en) Visible authentication patterns for printed document
KR101587501B1 (ko) 식별 코드 이미지를 이용한 객체 진위 여부 확인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JP5536815B2 (ja) 微小セキュリティマークを利用した偽造防止装置及び方法
JP2018507583A (ja) 不可視二次元バーコード及びプリント画像のセキュア化方法
US11049350B2 (en) Method for authenticating and/or checking the integrity of a subject
CN112464181B (zh) 一种电子签章打印纸质文件防伪的方法及系统
CN110533704B (zh) 油墨标签的识别验伪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101858964B1 (ko) 이중 구성물에 데이터 삽입 방법 및 이중 구성물 상의 데이터 인식 방법
US11167581B2 (en) Authentication hologram
JP2014104637A (ja) 偽造防止用印刷物
US8774450B2 (en) Unauthorized text alteration prevention with contour following background patterns
KR102532965B1 (ko) 이미지 상에 망점 삽입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JP4491288B2 (ja) 2次元コード及び該2次元コードによる情報検証システム並びに情報検証方法
KR101858965B1 (ko) 이미지에 진위 판별 코드 삽입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생산된 생산물의 진위 여부 판별 방법
WO2016032527A1 (en) Facilitating authentication of a void pantograph
JP2022078565A (ja) 印刷物セット、真贋判定方法、および判定システム
TW202305660A (zh) 真偽判定應用程式及真偽判定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