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8024B1 - Steel reinforcing joint devices - Google Patents

Steel reinforcing joint devic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8024B1
KR101858024B1 KR1020160063636A KR20160063636A KR101858024B1 KR 101858024 B1 KR101858024 B1 KR 101858024B1 KR 1020160063636 A KR1020160063636 A KR 1020160063636A KR 20160063636 A KR20160063636 A KR 20160063636A KR 101858024 B1 KR101858024 B1 KR 101858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reinforcing
reinforcing bar
coupler
reinforcing b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36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32583A (en
Inventor
김태주
Original Assignee
(주)우리세이프로드
김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리세이프로드, 김태주 filed Critical (주)우리세이프로드
Priority to KR1020160063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8024B1/en
Publication of KR20170132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25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8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80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6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different dir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2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for coaxial connections of two rod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2방향 내지 4방향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커플러 사이에 철근의 단부를 삽입하여 체결수단을 통해 압착 고정시켜 2∼4개의 철근을 보다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수의 철근을 연결하여 길이를 더 길게 하거나 분기시키는 철근이음장치에 있어서, 철근의 외주면 상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마디의 안착이 이루어지는 마디홈이 다수 형성되어지되 반구 형태로 형성되어 철근이 삽입되는 조인트와 조인트의 양측에 일체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가압편 및 가압편 상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관통홀이 구비되어 상호 대향되는 한 쌍의 커플러; 한 쌍의 커플러 중 일측 커플러의 관통홀 입구 상에 설치 고정되는 고정너트; 및 한 쌍의 커플러 중 타측 커플러의 관통홀을 통해 체결되어 고정너트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볼트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ing bar coupling device, in which reinforcing bars are inserted between a pair of couplers of two to four directions, There is a purpose.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length of the reinforcing bars is increased or decreased. The reinforcing bars are formed with a plurality of groove groove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inforcing bars. A pair of couplers formed with a joint in which a reinforcing bar is inserted, a pair of pressing pieces formed integrally horizontally on both sides of the joint, and through holes formed at constant intervals on the pressing piece and facing each other; A fixing nut installed and fixed on a through hole entrance of one of the pair of couplers; And a fixing bolt fastened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other of the pair of couplers and screwed to the fixing nut.

Description

철근이음장치{Steel reinforcing joint devices}[0001] Steel reinforcing joint devices [0002]

본 발명은 철근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방향 내지 4방향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커플러 사이에 철근의 단부를 삽입하여 체결수단을 통해 압착 고정시켜 2∼4개의 철근을 보다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 철근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ing bar coupl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inforcing bar coupling device in which two ends of reinforcing bars are inserted between a pair of couplers of two to four direction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ing bar coupling device.

일반적으로, 철근콘크리트는 철근과 콘크리트 각각의 장점과 단점을 서로 보완되게 일체 시켜 구성한 것으로, 이러한 철근콘크리트는 콘크리트 압축응력에 대한 저항력 및 압축강도에 비해 인장응력에 대한 저항력 즉, 인장강도가 약해 약간의 인장응력으로도 균열이 생겨 파괴된다.Generally, the reinforced concrete is constructed by integrating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reinforcing bars and the concrete respectively. The reinforcing concrete is more resistant to the tensile stress than the resistance and compressive strength of the concrete compressive stress, that is, The tensile stress of the steel sheet causes cracks and breaks.

전술한 바와 같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는 콘크리트의 단점을 보강하기 위해 콘크리트의 인장응력이 작용하는 부분에 철근을 배치하여,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콘크리트에는 압축응력을 철근에는 인장응력을 각각 부담시켜 서로 협력하여 외력에 저항할 수 있게 조성된 구조물이다.In order to reinforce the disadvantages of the concrete, the reinforcing concret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s constructed by arranging the reinforcing bars at the portions where the tensile stress acts on the concrete. When the external force acts, compressive stress is applied to the concrete and tensile stress is applied to the reinforcing bars So that it can resist the external force.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철근콘크리트의 생산방식에 있어서 시공의 가장 기초공정이 되는 배근공정은 철근콘크리트의 수명과 안정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공정이다. 이때,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대형화 및 고층화로 인하여 콘크리트 내부에 내입되는 철근의 길이도 연장되게 되는데, 철근의 경우 일정 길이의 규격품으로 그 길이가 한정되어 제작되기 때문에 철근을 서로 연결시켜 주는 이음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And, in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reinforced concrete as described above, the laying process which is the most basic process of the construction is an important process for determining the life and stability of the reinforced concrete. In this case, the length of the reinforcing bars inserted into the concrete is increased due to the enlargement of th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and the increase of the height of th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In the case of reinforcing bars, .

전술한 바와 같은 철근 이음 방법은 주로 겹이음과 가스압접 이음 및 기계적 이음들이 이용되며, 특히 철근의 형상에 기계적·물리적 변화를 주지 않고 철근을 연결시키는 기계적 이음 방법은 정하중과 동하중을 충분히 흡수하여 철근 이음 부분의 내구성을 지니도록 하여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정시공을 확보할 수 있는 연결장치이다.The mechanical joining method, in which reinforcing bars are connected without mechanically and physically changing the shape of the reinforcing bars, absorbs the static loads and dynamic loads sufficiently, It is a connecting device which can ensure stable construction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by having durability of joint part.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철근 이음장치의 기술로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내주연에 다수 형성되는 마디홈과 외주연 양측으로 형성되는 숫나사가 구비된 결속구 및 결속구 양측 외주연의 숫나사에 대응하여 내주연에 형성되는 암나사와 중앙부에 형성되는 관통공이 구비된 슬리브 커플링으로 구성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0003]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technology of a reinforcing bar coupling device, there are provided a pair of joint grooves formed in the inner circumference and a plurality of joint groov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uter circumference, And a sleeve coupling having a female screw formed in the inner periphery and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철근 이음장치는 두 개의 부재로 분할된 결속구를 서로 대향 배열하여 슬리브 커플링의 결합을 통해 압착시 철근측으로 충분한 압착력을 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철근 이음장치의 내부에서 철근이 미동하게 되어 철근 연결부위에서의 철근의 압축 및 굽힘 강도가 약하게 되고, 이로 인해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압축 및 굽힘에 대한 강성 및 변형을 감소시켜 철근 콘크리트구조물의 내진성이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reinforcing bar coupling device, there is a problem that sufficient binding force can not be applied to the reinforcing bar side when the binding members divided by the two members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through the coupling of the sleeve coupling. Due to these problems, the reinforcement of the reinforcing bars is reduced and the compressive and bending strengths of the reinforcing bars on the reinforcing bars are weakened. As a result, the rigidity and deformation of the reinforcing concrete structures are reduc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eismic resistance of the bearing is weakened.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특허출원 제2011-0017917호(발명의 명칭 : 철근이음장치)가 출원되어 있다. 그러나, 개선된 철근이음장치에 있어서는 철근의 이음 체결력은 유지되는 장점이 있으나 체결 작업이 용이하지 못하여 사용상의 불편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Patent Application No. 2011-0017917 (name of invention: reinforcing joint device) is filed. However, in the improved reinforcing bar coupling devi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joining force of the reinforcing bar is maintained, but the fastening operation is not easy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nconvenient to use.

아울러,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2012년 10월 16일자 공고된 등록특허 제10-1190382호(발명의 명칭 : 슬라이드식 철근 이음장치)의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슬라이드식 철근 이음장치는 단부측에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의 일측단부가 삽입되는 철근 삽입구가 형성되며 중앙부에 종방향의 고정나사 삽입구가 형성된 커플러과 커플러의 내측에 수용되며 적어도 두개 이상의 복수개로 분할된 철근 압착구 및 고정나사 삽입구에 삽입되어 상하 방향 이동에 의해 복수의 각 철근 압착구를 동시에 슬라이딩 이동시켜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의 단부 일정길이가 철근 압착구에 의해 압착 고정되게 하는 고정나사를 포함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습니다.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technology of the registered patent No. 10-1190382 (the name of the invention: slide type reinforced concrete jointing device) published October 16, 2012 is disclosed. The slide type steel reinforcing coupler of the related art has a coupler having a reinforcing rod insertion port into which a side end of a reinforcing bar to be connected is inserted and having a longitudinal fixing screw insertion port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a coupler accommodated inside the coupler, And a fixing screw inserted into the divided reinforcing bar and the fixing screw inserting hole so that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bar presses are simultaneously slid by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so that a certain length of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s to be connected is clamped and fixed by the reinforcing bar Configuration is disclosed.

그러나, 전술한 슬라이드식 철근 이음장치는 고정나사의 하향 정회전을 통해 복수의 각 철근 압착구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의 단부 일정길이가 철근 압착구에 의해 압착 고정되게 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수직으로 철근의 연결시 직경이 크고 하중이 큰 철근의 경우에는 하중이 너무 무거워 철근을 밀어 올리 수가 없기 때문에 철근의 압착 고정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slide type reinforcing bar coupling has a structure in which a predetermined length of an end portion of a reinforcing bar to be connected is pressed and fixed by a reinforcing bar pressing portion by slidably moving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 pressing portions through downward forward rotation of a fixing screw In the case of a reinforcing bar having a large diameter and a large load at the time of connecting the reinforcing bars vertically,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press and fix the reinforcing bars because the load is too heavy to push up the reinforcing bar.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8009호(2012.07.26.자 공고)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168009 (issued on July 26, 201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74886호(2005.02.07.자 공고)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74886 of Korea Register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41833호(2004.02.14.자 공고)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41833 (Registered on February 14, 2004)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01769호(2003.01.24.자 공고)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01769 (Registered on April 24, 2003)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2-0005313호(2002.01.17.자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2-0005313 (published on January 17, 2002)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1-0103205호(2001.11.23.자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1-0103205 (published on November 23, 2001)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2방향 내지 4방향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커플러 사이에 철근의 단부를 삽입하여 체결수단을 통해 압착 고정시켜 2∼4개의 철근을 보다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 철근이음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in order to solve all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inserting two or more reinforcing bars into a reinforcing bar by inserting end portions of reinforcing bars between a pair of couplers of two to four direction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2방향 내지 4방향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커플러 사이에 철근의 단부를 삽입하여 체결수단을 통해 압착 고정시켜 2∼4개의 철근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철근의 크기나 하중에 상관없이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connecting two or four reinforcements by inserting end portions of reinforcing bars between a pair of couplers of two directions to four directions, So that they can be firmly connected regardless of the load.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또 다른 목적은 2방향 내지 4방향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커플러 사이에 철근의 단부를 삽입하여 체결수단을 통해 압착 고정시켜 2∼4개의 철근을 연결할 수 있도록 철근 이음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단순한 구조를 통해 저렴한 가격의 철근이음장치를 제조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for connecting two or four reinforcements by inserting end portions of reinforcing bars between a pair of couplers made of two to four directions, So that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nd supply an inexpensive reinforcing bar joint device through a simple structur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철근이음장치는 다수의 철근을 연결하여 길이를 더 길게 하거나 분기시키는 철근이음장치에 있어서, 철근의 외주면 상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마디의 안착이 이루어지는 마디홈이 다수 형성되어지되 반구 형태로 형성되어 철근이 삽입되는 조인트와 조인트의 양측에 일체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가압편 및 가압편 상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관통홀이 구비되어 상호 대향되는 한 쌍의 커플러; 한 쌍의 커플러 중 일측 커플러의 관통홀 입구 상에 설치 고정되는 고정너트; 및 한 쌍의 커플러 중 타측 커플러의 관통홀을 통해 체결되어 고정너트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볼트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object is as follows.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inforcing joint device for connecting or connecting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to each other, wherein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inforcing bars, A pair of couplers which are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and in which a reinforcing bar is inserted and a pair of opposed mutually opposed pressing pieces formed integrally on both sides of the joint and through holes formed at constant intervals on the pressing piece; A fixing nut installed and fixed on a through hole entrance of one of the pair of couplers; And a fixing bolt fastened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other of the pair of couplers and screwed to the fixing nut.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조인트의 중심에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 설치되어 조인트 내부를 분할하되 조인트의 내부로 삽입되는 철근의 끝단이 지지되도록 하는 철근 받침수단이 더 구성될 수 있다.In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further constituted a reinforcing bar supporting means which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joint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which divides the inside of the joint so that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joint is supported .

한편, 전술한 철근 받침수단은 조인트의 중심에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핀홈; 핀홈에 관통 삽입되어지되 조인트의 내부로 삽입되는 철근의 끝단이 지지되는 "¬"자 형태의 받침핀; 및 핀홈에 관통된 받침핀의 단부에 수직으로 관통 설치되어 받침핀이 커플러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핀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mentioned reinforcing bar supporting means includes a pin groov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joint so as to penetrat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 shaped support pin which is inserted through the pin groove and supports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joint; And a fixing pin installed vertically through the end of the receiving pin penetrating the pin groove to prevent the receiving pin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upler.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는 고정볼트와 고정너트의 가체결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고정볼트 외측의 가압편 사이에 삽입되어 커플러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는 간격유지구가 더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gap retaining hole may be further formed in which a gap between the coupler is inserted between the pressing pieces outside the fixing bolt in a state where the fixing bolt and the fixing nut are fastened.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커플러는 철근의 규격에 대응하는 크기에 따라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사이즈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coupler may have various sizes so as to be used according to the size corresponding to the standard of the rebar.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커플러의 형태는 일자형이나 "T"자형 또는 "+"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shape of the coupler may be a straight shape, a "T" shape or a "+" shape.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르면 2방향 내지 4방향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커플러 사이에 철근의 단부를 삽입하여 체결수단을 통해 압착 고정시켜 2∼4개의 철근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의 커플러를 제조함으로써 철근을 보다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s of the reinforcing bars are inserted between a pair of couplers formed in two directions to four directions, and the reinforcing bars are pressed and fixed through the fastening means to manufacture two or four reinforcing bars. There is an advantage that connection can be made easi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2방향 내지 4방향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커플러 사이에 철근의 단부를 삽입하여 체결수단을 통해 압착 고정시켜 2∼4개의 철근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철근의 크기나 하중에 상관없이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s of the reinforcing bars are inserted between a pair of couplers of two directions to four directions, and the reinforcing bars are pressed and fixed through the fastening means to connect two to four reinforcing bars,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connected firmly regardless.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2방향 내지 4방향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커플러 사이에 철근의 단부를 삽입하여 체결수단을 통해 압착 고정시켜 2∼4개의 철근을 연결할 수 있도록 철근 이음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단순한 구조를 통해 저렴한 가격의 철근이음장치를 제조하여 공급할 수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inforcement structure for connecting two to four reinforcing bars by inserting end portions of reinforcing bars between a pair of couplers of two directions to four directions and pressing them through fastening means, Structure can be manufactured and supplied at low cost.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이음장치를 분리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이음장치를 결합하여 보인 평면 사시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이음장치를 결합하여 보인 저면 사시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이음장치를 보인 측면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이음장치를 이용한 철근의 연결을 보인 사시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이음장치를 이용한 철근의 연결을 보인 절개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이음장치를 이용한 철근의 연결시 간격유지구의 작용을 보인 사시 구성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이음장치를 이용한 철근의 연결시 간격유지구의 작용을 보인 측면 구성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이음장치에 의한 철근의 구속을 보인 평면 구성도.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이음장치의 제 2 실시 예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11 은 도 10 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철근이음장치를 이용한 철근의 연결을 보인 평면 구성도.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이음장치의 제 3 실시 예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13 은 도 12 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철근이음장치를 이용한 철근의 연결을 보인 평면 구성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inforcing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a combined structure of a reinforcing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bottom view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inforcing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side view showing a reinforcing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ion of reinforcing bars using the reinforcing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ion of reinforcing bars using the reinforcing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a gap retainer when connecting reinforcing bars using a reinforcing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pacing member when connecting reinforcing bars using the reinforcing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lan view showing restraint of a reinforcing bar by a reinforcing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reinforcing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1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nection of reinforcing bars using the reinforcing join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FIG. 10; FIG.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reinforcing bar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3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nection of reinforcing bars using the reinforcing join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FIG. 12; FIG.

이하에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철근이음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reinforcing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이음장치를 분리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이음장치를 결합하여 보인 평면 사시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이음장치를 결합하여 보인 저면 사시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이음장치를 보인 측면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이음장치를 이용한 철근의 연결을 보인 사시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이음장치를 이용한 철근의 연결을 보인 절개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이음장치를 이용한 철근의 연결시 간격유지구의 작용을 보인 사시 구성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이음장치를 이용한 철근의 연결시 간격유지구의 작용을 보인 측면 구성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이음장치에 의한 철근의 구속을 보인 평면 구성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inforcing bar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of a reinforcing bar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of a reinforcing bar using a reinforcing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inforcing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pacing member when the reinforcing bars are connected using the reinforcing ba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inforcing ba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lan view showing the restraint of a reinforcing bar by a reinforcing bar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일반적으로, 철근이라 함은 콘크리트 속에 넣어서 구조물의 장력을 보강하기 위해 사용되는 쇠막대를 말하는 것으로, 이러한 철근은 철근의 강도에 따라 국가별 분류를 사용하며, 한국의 분류 표기로는 KS D3504의 SD300, SD350, SD400(SD400W), SD500(SD500W), SD600, SD700의 이형봉강 분류를 사용하고 있습니다.Generally, the term "reinforcing steel" refers to a steel rod used to reinforce the tensile strength of a structure by being placed in a concrete. Such reinforcing bar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reinforcing bars according to the country, and Korean classification marks include SD300, We use the different types of SD350, SD400 (SD400W), SD500 (SD500W), SD600, SD700.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철근은 철근의 호칭에 따라 D-10∼13 철근은 바닥, 벽의 주근, 대근, 녹근 및 경미한 기초판에 주로 사용되며, D-16∼29는 기초판과 보의 주근으로, D32 이상은 특수 주조재의 주근으로 많이 사용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철근이음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규격으로 이루어진 철근의 해당 규격에 대응할 수 있도록 다양한 사이즈로 이루어진다.D-10 to 13 reinforcing bars are mainly used for bottom, wall main, large roots, green roots and light basic plates according to the designation of reinforcing bars. D-16 ~ , D32 or more is often used as a main casting for special casting materials. Accordingly, the reinforcing ba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sizes in order to meet the corresponding standard of reinforcing bars having various sizes as described above.

도 1 내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근이음장치(100)는 철근(10)을 압착 연결하되 반구 형태의 조인트(112)와 조인트(112)의 양측에 형성되는 가압편(114)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커플링(110)과 한 쌍의 커플링(110) 중 일측 커플러(110)의 가압편(114) 상에 체결되는 고정너트(120) 및 타측 커플러(110)의 가압편(114)을 통해 관통 삽입되어 고정너트(120)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볼트(13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1 to 9, a reinforcing join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inforcing bar 10 having a hemispherical joint 112 and a pressing piece 114 formed on both sides of the joint 112 A pair of couplings 110 formed on one side of the coupling 110 and a pair of couplings 110 on the other side of the coupler 110. The fixing nut 120 is fastened on the pressing piece 114 of the coupler 110, And a fastening bolt 130 inserted through the fastening bolt 114 and screwed to the fastening nut 120.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철근이음장치(100)는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KS D3504의 SD300, SD350, SD400(SD400W), SD500(SD500W), SD600, SD700의 이형봉강 분류에 따른 규격에 대응할 수 있도록 다양한 사이즈로 이루어진다. 즉, 철근(10)의 직경에 따라 해당 직경에 맞는 것을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사이즈로 이루어진다.The reinforcing join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s capable of supporting the standards according to the different types of bars of SD300, SD350, SD400 (SD400W), SD500 (SD500W), SD600 and SD700 of KS D3504 In various sizes. In other words, the reinforcing bars 10 are formed in various sizes so that they can be used according to the diameters of the reinforcing bars 10.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철근이음장치(100)는 현장에서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해당 철근(10)의 직경에 비해 큰 지름의 조인트(112) 내경이 형성되도록 고정볼트(130)를 고정너트(120)에 가체결하여 고정볼트(130) 외측의 한 쌍으로 이루어진 커플러(110)의 상하 가압편(114) 사이에 간격유지구(150)를 삽입 설치된 상태로 납품되어진다.The reinforcing join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has a fixing bolt 130 (not shown) so that the inner diameter of the joint 112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reinforcing bar 10 is formed, Is fastened to the fixing nut 120 so that the gap holding tool 150 is insert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ressing pieces 114 of the pair of couplers 110 outside the fixing bolt 130.

전술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이루어진 커플러(110)는 건설 현장에서 연결하고자 하는 일측 철근(10)의 끝단부를 커플러(110)의 구(球) 형태로 이루어진 한 쌍의 조인트(112) 일측 내경에 삽입하고, 타측 철근(10)의 끝단부를 커플러(110)의 구(球) 형태로 이루어진 한 쌍의 조인트(112) 타측 내경에 삽입한 상태에서 간격유지구(150)를 가압편(114) 사이로부터 분리한 다음, 고정볼트(130)를 조여 커플러(110)의 압착에 의해 두 철근(10)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air of couplers 110 are inserted into the inner diameters of one pair of joints 112, which are formed in the spherical shape of the coupler 110, And the end of the other reinforcing bar 10 is inserted into the inner diameter of the other side of the pair of joints 112 in the form of a sphere of the coupler 110, The fixing bolts 130 are tightened so that the two reinforcing bars 10 can be connected by the compression of the coupler 110.

물론, 전술한 도 9 에서와 같이 한 쌍의 커플러(110)에 의해 연결되는 철근(10)은 마디(12) 부분이 커플러(110)를 구성하는 조인트(112) 내경의 마디홈(112-1)에 안착되도록 하되 철근(10)의 양측 리브(14)는 상하의 가압편(114) 사이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고정볼트(130)를 조임하여야 철근(10)의 견고한 연결이 이루어진다.9, the reinforcing bars 10 connected by the pair of couplers 110 are formed such that the nodal portions 12 are connected to the nodal grooves 112-1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joint 112 constituting the coupler 110 The fixing bolts 130 are fastened in a state in which the ribs 14 on both sides of the reinforcing bars 10 are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ressing pieces 114 so that the reinforcing bars 10 are firmly connected.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근이음장치(100)는 커플러(110)의 상하 가압편(114) 사이에 간격유지구(150)를 삽입 설치하여 한 쌍의 커플러(110)를 가체결한 상태로 납품함으로써 건설현장에서 철근(10)의 이음시 그 즉시 사용할 수가 있음을 알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einforcing join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pacing holder 150 insert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ressing pieces 114 of the coupler 110, so that the pair of couplers 110 are joined together (10) can be used immediately at the construction site.

본 발명에 따른 철근이음장치(100)를 통해 두 개의 철근(10)을 이음하여 철근(10)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철근이음장치(100)는 커플러(110)의 상하 가압편(114) 사이에 간격유지구(150)를 삽입 설치하여 한 쌍의 커플러(110)를 가체결한 상태로 납품되기 때문에 납품된 해당 철근이음장치(100)를 연결하고자 하는 일측 철근(10)의 끝단에 A process of extending the length of the reinforcing bar 10 by joining the two reinforcing bars 10 through the reinforcing ba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First, as described above, the reinforcing bar coupler 100 is provided with a spacing holder 150 insert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ressing pieces 114 of the coupler 110, so that the pair of couplers 110 are integrally connected The reinforcing bars 100 are connected to the end of one reinforcing bar 10 to be connected

본 발명에 따른 철근이음장치(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커플러(110)는 다수의 철근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커플러(110)는 도 1 내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근(10)의 외주면 상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마디(12)의 안착이 이루어지는 마디홈(112-1)이 다수 형성되어지되 반구 형태로 형성되어 철근(10)이 삽입되는 조인트(112)와 조인트(112)의 양측에 일체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가압편(114) 및 가압편(114) 상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관통홀(114-1)이 구비되어 상호 대향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reinforcing join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First, as shown in FIGS. 1 to 9, the coupler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connecting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The coupler 110 includes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110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inforcing bar 10, The joint 112 is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so that the reinforcing bars 10 are inserted into the joint grooves 112 and the joint 112 is formed integrally with both sides of the joint 112, And a through hole 114-1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piece 114 and the pressing piece 114 and are opposed to each other.

다시 말해서, 전술한 커플러(110)는 내경면에 마디홈(112-1)이 다수 형성된 반구 형태의 조인트(112)와 조인트(112) 양측의 가압편(114)일 일체로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상호 대향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구성된 한 쌍의 커플러(110)는 반구(半球) 형태의 조인트(112)가 대향되어 구(球)를 형성함으로써 내경으로 철근(10)의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In other words, the above-described coupler 110 has a hemispherical joint 112 formed with a plurality of nodal grooves 112-1 on the inner surface thereof and a pressing piece 114 on both sides of the joint 112, And are opposed to each other. The pair of couplers 11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formed such that a hemispherical joint 112 is opposed to each other to form a sphere so that the reinforcing bars 10 can be inserted with an inner diameter.

전술한 바와 같이 상호 대향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진 커플러(110)의 조인트(112) 내경면에 형성된 다수의 마디홈(112-1) 간격은 해당 철근(10)의 마디(12)가 이루는 간격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형성된 마디홈(112-1)에는 도 6 및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근(10)의 마디(12)가 안착됨으로써 커플러(110)의 압착시 커플러(110)와 철근(10)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져 철근(10)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한다.The spacing of the plurality of groove 112-1 formed on the inner diameter surface of the joint 112 of the pair of couplers 110 facing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corresponds to the interval between the nodes 12 of the reinforcing bars 10 . 6 and 9, the nodule 12 of the reinforcing bar 10 is seated in the groove 112-1 formed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coupler 110 and the reinforcing bar 10, which are rigid So that the flow of the reinforcing bars 10 is prevented.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한 쌍의 커플러(110)는 전체를 절삭 가공을 통해 제조할 수도 있지만, 절삭 가공의 경우 커플러(110)의 대량생산이 어렵기 때문에 프레스 가공을 통해 제조하는 것이 보다 양호하다 할 것이다. 이처럼 프레스 가공을 통해 커플러(110)를 제조하게 되면 대량생산과 대량생산에 따른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air of couplers 11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be manufactured through cutting. However, since it is difficult to mass-produce the coupler 110 in the case of cutting, I will do it. When the coupler 110 is manufactured through the press processing, the manufacturing cost for mass production and mass production can be reduced.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고정너트(120)는 후술하는 고정볼트(130)와의 체결을 통해 한 쌍의 커플러(110)를 조여 양측에 삽입된 두 철근(10)을 일자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고정너트(120)는 도 1, 도 2, 도 3, 도 4, 도 5, 도 7 및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커플러(110) 중 일측 커플러(110)의 관통홀(114-1) 입구 상에 설치된다.Next, the fixing nut 120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is fastened to the fixing bolt 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pair of couplers 110 can be tightened to connect the two reinforcing bars 10 inserted on both sides As shown in FIGS. 1, 2, 3, 4, 5, 7, and 8, the fixing nut 120 has a through hole (not shown) of one of the pair of couplers 110, (114-1).

다시 말해서, 전술한 바와 같은 고정너트(120)는 한 쌍의 커플러(110) 중 일측 커플러(110)의 외측면 관통홀(114-1) 입구 상에 용접을 통해 설치된다. 이처럼 한 쌍의 커플러(110) 중 일측 커플러(110)의 외측면 관통홀(114-1) 입구 상에 용접을 통해 고정너트(120)를 설치 고정함으로써 고정볼트(130)를 조이는 경우 고정너트(120)를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공구를 필요로하지 않게 된다.In other words, the fixing nut 120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on the inlet of the outer side through hole 114-1 of the one side coupler 110 of the pair of couplers 110 through welding. When the fixing bolt 130 is tightened by fixing and fixing the fixing nut 120 on the inlet of the outer side through hole 114-1 of the one side coupler 110 of the pair of couplers 110 by welding, 120 are not required to be fixed.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고정볼트(120)는 고정너트(120)와의 체결을 통해 한 쌍의 커플러(110)를 조여 양측에 삽입된 두 철근(10)을 일자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고정볼트(130)는 도 1, 도 2, 도 3, 도 4, 도 5, 도 7 및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커플러(110) 중 타측 커플러(110)의 관통홀(114-1)을 통해 체결되어 고정너트(120)에 나사 결합된다.Next, the fixing bolts 120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tighten the pair of couplers 110 through fastening with the fixing nuts 120 so that the two reinforcing bars 10 inserted on both sides can be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1, 2, 3, 4, 5, 7, and 8, the fixing bolt 13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14 of the other coupler 110 of the pair of couplers 110 -1) and screwed into the fixing nut 120. [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고정볼트(130)는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렌치를 통해 조이거나 풀을 수 있도록 무두볼트로 이루어짐이 보다 양호하다. 물론, 육각머리의 고정볼트(130)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좁은 공간에서 콤비네이션 렌치를 통해 육각머리의 고정볼트(130)를 조이거나 풀 경우에는 작업상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키렌치를 사용할 수 있는 무두볼트를 사용함이 보다 양호하다 할 것이다.The fixing bolt 13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more preferably made of a tongue bolt for tightening or loosening through a key wrench as shown in Figs. Of course, the hexagonal fixing bolts 130 may be used. However, when the hexagonal fixing bolts 130 are tightened or loosened through the combination wrenches in a narrow space, there is a difficulty in operation. Therefore, Will be better.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커플러(110)와 고정너트(120) 및 고정볼트(130)로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철근이음장치(100)에는 조인트(112)의 중심에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 설치되어 조인트(112) 내부를 분할하되 조인트(112)의 내부로 삽입되는 철근(10)의 끝단이 지지되도록 하는 철근 받침수단이 더 구성된다.As described above, the reinforcing join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ncludes the coupler 110, the fixing nut 120, and the fixing bolt 130,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joint 112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reinforcing bar supporting means for supporting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10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joint 112 while dividing the interior of the joint 112.

다시 말해서, 전술한 철근 받침수단은 상하로 두 철근(10)을 연결하는 경우 하부측 철근(10)의 상단부를 조인트(112) 하부측의 내경으로 삽입하게 되면 하부측 철근(10)의 끝단부에 철근 받침수단이 걸리게 되어 하부측 철근(10)의 끝단부에 커플러(110)의 지지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조인트(112) 상부측의 내경으로 상부측 철근(10)의 하단부를 삽입하게 되면 상부측 철근(10)은 철근 받침수단과 조인트(112) 상부측 내경이 이루어지는 공간에 지지가 이루어진다.In other words, when the two reinforcing bars 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when the upper end of the lower reinforcing bar 10 is inserted into the inner diameter of the lower side of the joint 112, So that the coupler 110 is supported at the end of the lower side reinforcing bar 10. In this state, when the lower end of the upper side reinforcing bar 10 is inserted with the inner diameter of the upper side of the joint 112, the upper side reinforcing bar 10 is supported in the space where the inner side of the reinforcing bar supporting means and the upper side of the joint 112 are formed.

전술한 바와 같이 철근 받침수단은 한 쌍의 커플러(110)에 의해 형성되는 조인트(112) 내경에 두 철근(10)의 끝단부가 동일한 길이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두 철근(10)을 상하로 연결하는 경우 하부측 철근(10)에 커플러(110)의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철근(10)의 원활한 연결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reinforcing bar supporting means, the end portions of the two reinforcing bars 10 can be inserted into the inner diameter of the joint 112 formed by the pair of couplers 110 with the same length, The coupler 110 can be supported on the lower side reinforcing bars 10 to connect the reinforcing bars 10 smoothly.

한편, 전술한 철근 받침수단은 도 1 내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인트(112)의 중심에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핀홈(142), 핀홈(142)에 관통 삽입되어지되 조인트(112)의 내부로 삽입되는 철근(10)의 끝단이 지지되는 "¬"자 형태의 받침핀(144) 및 핀홈(142)에 관통된 받침핀(144)의 단부에 수직으로 관통 설치되어 받침핀(144)이 커플러(11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핀(146)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1 to 9, the reinforcing bar supporting means is inserted through a pin groove 142 and a pin groove 142 formed at the center of the joint 112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Shaped support pin 144 to support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10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joint 112 and a support pin 144 penetrating vertically through the end of the support pin 144 penetrating the pin groove 142 And a fixing pin 146 for preventing the support pin 144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upler 110. [

전술한 바와 같이 철근 받침수단을 구성하는 받침핀(144)이 일측이 직각으로 절곡된 구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측 커플러(110)의 조인트(112) 상에 형성된 핀홈(142)을 통해 타측 커플러(110)의 조인트(112) 상에 형성된 핀홈(142)으로 관통 삽입시 받침핀(144)의 절곡된 일측은 일측 커플러(110)의 조인트(112) 외측면에 걸리게 되고, 받침핀(144)의 타측은 타측 커플러(110)의 조인트(112) 상에 형성된 핀홈(142)을 관통하게 된다.Since the support pin 144 constituting the reinforcing bar supporting means is bent at one side thereof at right angles to the other side coupler 110 through the pin groove 142 formed on the joint 112 of the one side coupler 110, The bent one side of the receiving pin 144 is caught by the outer side of the joint 112 of the one side coupler 110 when the receiving pin 144 is inserted into the pin groove 142 formed on the joint 112 of the one side coupler 110, Through the pin groove 142 formed on the joint 112 of the other side coupler 110.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타측 커플러(110)의 조인트(112) 상에 형성된 핀홈(142)을 관통하는 받침핀(144)의 타측에는 관통된 고정핀홈(144-1)이 형성되어 고정핀홈(144-1) 상에 고정핀(146)의 삽입이 이루어짐으로써 한 쌍의 커플러(110)로부터 받침핀(144)이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물론, 받침핀(144)은 핀홈(142) 상에서 길이 방향으로 일정범위 슬라이딩될 수 있다.The fixing pin groove 144-1 is formed at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ing pin 144 passing through the pin groove 142 formed on the joint 112 of the other side coupler 110 as described above, -1 so that the receiving pin 144 is not separated from the pair of couplers 110. [ Of course, the support pin 144 can sl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pin groove 142 to a certain ext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는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고정볼트(130)와 고정너트(120)의 가체결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고정볼트(130) 외측의 가압편(114) 사이에 삽입되어 커플러(110)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는 간격유지구(150)가 더 구성되어질 수 있다.The fixing bolt 130 and the fixing nut 120 are inserted between the pressing pieces 114 on the outer side of the fixing bolt 130 and the coupler 110 (Not shown) can be further configured.

전술한 바와 같은 간격유지구(150)는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철근이음장치(100)를 현장에서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간격유지구(150)는 해당 철근(10)의 직경에 비해 큰 지름의 조인트(112) 내경이 형성되도록 하여 현장에서 조인트(112) 내경에 철근(10)의 삽입이 즉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이러한 간격우지구(150)는 고정볼트(130)와 고정너트(120)의 가체결에 의해 대향된 두 커플러(110)의 가압편(114) 사이에 물리게 된다.The spacing holder 150 as described above is designed to enable the reinforcing joint 100 to be used immediately in the field as described above. The spacing holder 150 has a diameter that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reinforcing bar 10 The inner diameter of the large diameter joint 112 is formed so that the insertion of the reinforcing bar 10 into the inner diameter of the joint 112 can be immediately performed in the field. Of course, the spacer 150 is caught between the pressing pieces 114 of the two couplers 110, which are opposed to each other by the engagement of the fixing bolt 130 and the fixing nut 120.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볼트(130)와 고정너트(120)의 가체결에 의해 대향된 두 커플러(110)의 가압편(114) 사이에 물린 간격유지구(150)는 연결하고자 하는 두 철근(10)의 양측 끝단부를 양측의 조인트(112) 내경에 삽입한 상태에서 가압편(114) 사이로부터 분리가 이루어짐으로써 그 기능을 다 하였다 할 수 있다. 이처럼 간격유지구(150)는 커플러(110)와 철근(10)의 연결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spacing holder 150 between the pressing pieces 114 of the two couplers 110, which are opposed to each other by the fixing bolts 130 and the fixing nuts 120, 10 are inserted into the inner diameters of the joints 112 on both sides, separation from the pressing pieces 114 can be performed. The spacing member 150 can facilitate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upler 110 and the reinforcing bar 10. FIG.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이음장치의 제 2 실시 예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11 은 도 10 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철근이음장치를 이용한 철근의 연결을 보인 평면 구성도이다.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reinforcing bar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nection of reinforcing bars using the reinforcing bar join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FIG.

도 10 및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세 개의 철근을 3방향으로 연결하여 분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도 10 및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2 실시 예에 따른 철근이음장치(100) 역시 도 1 내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철근이음장치(100)와 마찬가지로 철근(10)을 압착 연결하되 반구 형태의 조인트(112)와 조인트(112)의 양측에 형성되는 가압편(114)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커플링(110)과 한 쌍의 커플링(110) 중 일측 커플러(110)의 가압편(114) 상에 체결되는 고정너트(120) 및 타측 커플러(110)의 가압편(114)을 통해 관통 삽입되어 고정너트(120)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볼트(130)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S. 10 and 11, the techniq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to connect three reinforcing bars in three directions to branch. The reinforcing joint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s shown in FIG. 10 and FIG. 1 also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reinforcing joint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9, A pair of couplings 110 consisting of a hemispherical joint 112 and a pressing piece 114 formed on both sides of the joint 112 and a pair of couplings 110, A fixing nut 120 which is fastened on the pressing piece 114 of the coupler 110 and a fixing bolt 130 which is inserted through the pressing piece 114 of the other side coupler 110 and screwed to the fixing nut 120, As shown in FIG.

다만,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철근이음장치(100)는 도 10 및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러(110)의 형태가 "T"자로 형성되어 세 개의 철근(10)을 3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에서 도 1 내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철근이음장치(100)와는 다르다 할 수 있다.However, as shown in FIGS. 10 and 11, the reinforcing joint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hape of the coupler 110 is a "T" The reinforcing bar 100 is different from the reinforcing bar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이음장치의 제 3 실시 예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13 은 도 12 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철근이음장치를 이용한 철근의 연결을 보인 평면 구성도이다.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reinforcing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nection of reinforcing bars using the reinforcing join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FIG.

도 12 및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네 개의 철근을 4방향으로 연결하여 분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도 12 및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3 실시 예에 따른 철근이음장치(100) 역시 철근(10)을 압착 연결하되 반구 형태의 조인트(112)와 조인트(112)의 양측에 형성되는 가압편(114)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커플링(110)과 한 쌍의 커플링(110) 중 일측 커플러(110)의 가압편(114) 상에 체결되는 고정너트(120) 및 타측 커플러(110)의 가압편(114)을 통해 관통 삽입되어 고정너트(120)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볼트(130)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S. 12 and 13, the techniq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to connect four reinforcing bars in four directions to be branched. 12 and 13, the reinforcing joint 1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s also provided with the reinforcing bars 10 by press-connecting the reinforcing bars 10 and the joints 112 formed on both sides of the joint 112 A pair of couplings 110 constituted by the pressing pieces 114 and a pair of couplings 110 and a fixing nut 120 which is fastened on the pressing piece 114 of one coupler 110 and the other coupler 110 The fixing bolt 130 is inserted through the pressing piece 114 of the fixing nut 120 and screwed to the fixing nut 120.

다시 말해서, 도 12 및 도 13 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철근이음장치(100) 역시 도 1 내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철근이음장치(100) 및 도 10 및 도 11 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철근이음장치(100)에서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reinforcement joint 1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12 and 13 is also applicable to the reinforcement joint 100 and the reinforcement joint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 to 9,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reinforcing joint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S. 10 and 11.

다만,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철근이음장치(100)는 커플러(110)의 형태가 "+"자로 형성되어 네 개의 철근(10)을 4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에서 도 10 및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2 실시 예에 따른 철근이음장치(100) 및 제 도 1 내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철근이음장치(100)와는 다르다 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reinforcing joint 1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hape of the coupler 110 is formed as a " + "shape so that four reinforcing bars 10 can be connected in four directions, And the reinforcement joint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s shown in Fig. 11 and the reinforcement joint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 to 9.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2방향 내지 4방향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커플러 사이에 철근의 단부를 삽입하여 체결수단을 통해 압착 고정시켜 2∼4개의 철근을 연결할 수 있는 구조의 철근이음장치(100)를 제공함으로써 철근(10)의 연결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철근의 크기나 하중에 상관없이 견고하게 연결할 수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 of a reinforcing bar is inserted between a pair of couplers of two directions to four directions, and the reinforcing bars are connected to two or four reinforcing bars by press-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connect the reinforcing bars 10 by providing the reinforcing bars 100, and it is possible to securely connect the reinforcing bars 10 regardless of the size or the load of the reinforcing bars.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철근
12. 마디
14. 리브
100. 철근이음장치
110. 커플러
112. 조인트
114. 가압편
120. 고정너트
130. 고정볼트
142. 핀홈
144. 받침핀
146. 고정핀
150. 간격유지구
10. Reinforcement
12. The node
14. Rib
100. Reinforcement
110. Coupler
112. Joint
114. Pressure piece
120. Fixing nut
130. Fixing Bolt
142. Pinhole
144. Support pin
146. Fixing pin
150. Spacing

Claims (8)

다수의 철근을 길이 방향으로 연결하여 길이를 더 길게 하거나 분기시키는 철근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철근의 외주면 상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마디의 안착이 이루어지는 마디홈이 다수 형성되어지되 반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철근이 삽입되는 조인트와 상기 조인트의 양측에 일체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가압편 및 상기 가압편 상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관통홀이 구비되어 상호 대향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프레스를 통해 가공되는 커플러;
상기 한 쌍의 커플러 중 일측 커플러의 상기 관통홀 입구 상에 설치 고정되는 고정너트;
상기 한 쌍의 커플러 중 타측 커플러의 상기 관통홀을 통해 체결되어 상기 고정너트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볼트;
상기 조인트의 중심에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핀홈과 상기 핀홈에 관통 삽입되어지되 상기 조인트의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철근의 끝단이 지지되는 프레스 가공된 "ㄱ"자 형태의 받침핀 및 상기 핀홈에 관통된 상기 받침핀의 단부에 수직으로 관통 설치되어 상기 받침핀이 상기 커플러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핀으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조인트의 중심에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 설치되어 상기 조인트 내부를 분할하되 상기 조인트의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철근의 끝단이 지지되도록 하는 철근 받침수단; 및
상기 고정볼트와 고정너트의 가체결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고정볼트 외측의 상기 가압편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커플러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는 간격유지구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플러는 상기 철근의 규격에 대응하는 크기에 따라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사이즈로 이루어지되 상기 커플러는 일자형이나 "T"자형 또는 "+"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이음장치.
A reinforcing bar coupling device for connecting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make the length longer or to be branched,
A plurality of joint groove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inforcing bar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form a plurality of joint grooves and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to receive the reinforcing bars and a pressing piece integral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joint, A coupler which is formed by a pair of opposed mutually facing through hol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a piece, the coupler being processed through a press;
A fixing nut installed and fixed on the through hole entrance of one of the pair of couplers;
A fixing bolt fastened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other coupler of the pair of couplers and screwed to the fixing nut;
A pin groove formed at a center of the joint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ress-formed "a " -shaped support pin inserted through the pin groove and supported at an end of the reinforcing bar inserted into the joint; And a fixing pin inserted vertically through an end of the receiving pin penetrating the pin groove to prevent the receiving pin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upler. The fixing pin is inserted through the center of the joint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reinforcing bar supporting means for dividing the interior of the joint and supporting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inserted into the joint; And
And a gap retaining hole inserted between the pressing pieces outside the fixing bolt in a state where the fixing bolt and the fixing nut are fastened, so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couplers is maintained,
Wherein the coupler has various sizes such that it can be used according to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tandard of the reinforcing bar, and the coupler is formed in a straight shape, a "T" shape or a "+" shap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063636A 2016-05-24 2016-05-24 Steel reinforcing joint devices KR1018580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636A KR101858024B1 (en) 2016-05-24 2016-05-24 Steel reinforcing joint de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636A KR101858024B1 (en) 2016-05-24 2016-05-24 Steel reinforcing joint devi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583A KR20170132583A (en) 2017-12-04
KR101858024B1 true KR101858024B1 (en) 2018-05-16

Family

ID=60921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3636A KR101858024B1 (en) 2016-05-24 2016-05-24 Steel reinforcing joint devic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802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4204B1 (en) * 2019-01-24 2019-05-03 주식회사 셉코 Foundation reinforcement structure for retaining wal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0639B1 (en) * 2020-02-26 2021-10-12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Hollow materrial and slab reinforcing bars intergration unit
KR102189193B1 (en) * 2020-04-07 2020-12-09 김한규 A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ba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050Y1 (en) * 2005-12-30 2006-04-27 주식회사 파워앙카 Coupling device of reinforcing rod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050Y1 (en) * 2005-12-30 2006-04-27 주식회사 파워앙카 Coupling device of reinforcing rod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4204B1 (en) * 2019-01-24 2019-05-03 주식회사 셉코 Foundation reinforcement structure for retaining wa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583A (en) 2017-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67422B1 (en) Combination reinforcing coupler and column alignment device
CN110832151B (en) One touch type steel bar connector
KR101858024B1 (en) Steel reinforcing joint devices
US20140377012A1 (en) Article for joining concrete piles
KR100712438B1 (en) Steel reinforcing coupler
US20150337533A1 (en) Apparatus for coupling reinforcing bar using hydraulic pressure
KR102175306B1 (en) A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bar
KR101920836B1 (en) U bolt type fixture unit of construction material
KR200386336Y1 (en) A steel reinforcing connector
KR101595327B1 (en) a coupler for steel reinforcement
KR102101699B1 (en) Coupling for steel reinforcement connecting
CN104947940A (en) Apparatus for connecting deformed bar
KR101375346B1 (en) Iron support jig
KR101552321B1 (en) Steel Reinforcement Coupler and Joint Method Thereof
KR20200092577A (en) Steel pipes for lifting settlement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20160118731A (en) Coupling device for concrete and steel File
KR200437257Y1 (en) A concrete form supporter
KR200392061Y1 (en) coupling structure of steel reinforcement
KR200398008Y1 (en) A steel reinforcing linking device
KR100750938B1 (en) coupling structure of steel reinforcement and method of the same
KR102026991B1 (en) Building piping earthquake-proof support structure
KR102090571B1 (en) Rebar Connecting Device
KR200317137Y1 (en) Connecting coupler for steel reinforcement
KR101468039B1 (en) The coupler for an iron reinforcing rod
KR200370227Y1 (en) Connecting coupler for steel reinforc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