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7997B1 - 전자 문서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문서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7997B1
KR101857997B1 KR1020160163204A KR20160163204A KR101857997B1 KR 101857997 B1 KR101857997 B1 KR 101857997B1 KR 1020160163204 A KR1020160163204 A KR 1020160163204A KR 20160163204 A KR20160163204 A KR 20160163204A KR 101857997 B1 KR101857997 B1 KR 101857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ocum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ocument
hash values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3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Priority to KR1020160163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79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7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7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3062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06F16/316Indexing structures
    • G06F16/325Hash tab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7/24
    • G06F17/3063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전자 문서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에서 유저들이 문서 저장소 상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전자 문서들 중 특정 문구를 포함되어 있는 다른 전자 문서들을 검색해서 이를 참조할 수 있도록 하고, 해당 문구를 자신이 현재 작성 중인 전자 문서 상에 바로 인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유저들이 보다 쉽고 편리하게 전자 문서 작성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문서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 장치 및 그 동작 방법{ONLINE DOCUMENT EDITING SERVICE APPARATUS THAT PROVIDES A SEARCH FUNCTION FOR ELECTRONIC DOCUMENT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복수의 유저들이 온라인으로 전자 문서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 문서 작성 협업 환경을 제공하는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대한 것이다.
최근, 컴퓨터나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등과 같은 전자 단말 장치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이러한 전자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 문서를 열람, 작성,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종류의 전자 문서 관련 프로그램들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 문서 관련 프로그램들로는 기본적인 문서의 작성, 편집 등을 지원하는 워드프로세서, 데이터의 입력, 산술연산, 데이터 관리를 보조하는 스프레드시트, 발표자의 발표를 보조하기 위한 프레젠테이션 프로그램들이 있다.
기존에는 사용자가 전자 단말 장치를 활용해서 전자 문서를 열람, 작성, 편집하기 위해서는 전자 단말 장치에 직접 앞서 언급한 전자 문서 관련 프로그램들을 설치한 후 전자 문서 관련 프로그램들을 구동시켜 전자 문서를 열람하거나 작성 및 편집해야 했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초고속 인터넷 환경이 구축되고, 언제 어디에서든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인터넷 환경이 구축됨에 따라, 원격지의 서버를 통해서, 클라이언트 단말인 전자 단말 장치에 전자 문서 관련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전자 단말 장치에 소정의 전자 문서 관련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언제 어디에서든지 전자 문서를 열람, 작성,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기반의 문서 작성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온라인 기반의 문서 작성 서비스는 다양한 클라이언트 단말들이 문서 작성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한 후 클라이언트 단말들에 설치되어 있는 브라우저를 통해 전자 문서를 열람, 작성 및 편집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다양한 클라이언트 단말들이 상기 전자 문서에 대해서 실시간으로 동시 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점에서 기업이나 단체 등에서 주로 활용되고 있다.
그리고, 온라인 기반의 문서 작성 서비스는 클라이언트 단말에 소정의 전자 문서 작성 프로그램을 설치할 필요 없이, 인터넷에 접속만 할 수 있으면, 클라이언트 단말에 탑재되어 있는 브라우저를 통해서 전자 문서를 열람하고, 작성 및 편집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이동성을 보장할 수 있어, 개인 사용자들도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보통, 온라인 기반의 문서 작성 서비스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클라이언트 단말이 브라우저를 통해 전자 문서에 대한 편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문서 작성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원본 전자 문서를 마크업 언어(Markup Language) 기반의 포맷으로 구성된 마크업 문서로 변환하여 클라이언트 단말로 제공하면, 클라이언트 단말이 브라우저를 통해 상기 마크업 문서에 대한 편집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이러한 온라인 기반의 문서 작성 서비스에서는 서버에 복수의 전자 문서들이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전자 문서를 작성하는 유저들에게 특정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다른 전자 문서들을 검색해서 이를 참조할 수 있도록 하고, 유저들이 서버 상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전자 문서들 중 특정 문구가 포함되어 있는 다른 전자 문서를 찾아서, 해당 문구를 자신이 현재 작성 중인 전자 문서 상에 바로 인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면, 온라인 기반의 문서 작성 서비스를 이용하는 유저들이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전자 문서를 작성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에서 유저들이 문서 저장소 상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전자 문서들 중 특정 문구를 포함되어 있는 다른 전자 문서들을 검색해서 이를 참조할 수 있도록 하고, 해당 문구를 자신이 현재 작성 중인 전자 문서 상에 바로 인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유저들이 보다 쉽고 편리하게 전자 문서 작성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서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 장치는 복수의 전자 문서들이 저장되어 있는 문서 저장소, 상기 문서 저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전자 문서들 각각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와, 상기 복수의 전자 문서들 각각의 식별 정보에 대해, 각 전자 문서에 포함되어 있는 문장들에 기초하여 연산된 복수의 해시 값들 - 상기 복수의 해시 값들은 각 전자 문서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문장들이 선정된(predetermined) 개수의 문장 단위로 구분된 후 상기 선정된 개수의 문장 단위 별로, 상기 선정된 개수의 문장 단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구성하는 데이터가 선정된 해시 함수에 입력으로 인가되어 연산된 값들임 - 로 구성된 해시 값 세트가 서로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제1 데이터베이스, 복수의 대표 해시 값들 - 상기 복수의 대표 해시 값들은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 상에서 상기 복수의 전자 문서들 각각의 식별자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각 해시 값 세트 내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해시 값들의 집합으로, 상기 각 해시 값 세트 내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해시 값들 중 중복되는 해시 값은 제외됨 - 각각에 대해,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 상에서 상기 복수의 대표 해시 값들 각각을 해시 값 세트 내에 포함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가 서로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제2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로 연결된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선정된 개수의 문장으로 구성된 제1 문장 세트를 검색어로 하는 전자 문서 검색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 문장 세트로부터 상기 제1 문장 세트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단어를 추출하는 단어 추출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단어를 구성하는 데이터를 상기 선정된 해시 함수에 입력으로 인가하여 제1 해시 값을 연산하는 해시 값 연산부,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복수의 대표 해시 값들 중 상기 제1 해시 값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식별 정보 추출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상기 전자 문서 검색 요청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로 상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에 전송하는 검색 결과 전송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서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 장치의 동작 방법은 복수의 전자 문서들이 저장되어 있는 문서 저장소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문서 저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전자 문서들 각각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와, 상기 복수의 전자 문서들 각각의 식별 정보에 대해, 각 전자 문서에 포함되어 있는 문장들에 기초하여 연산된 복수의 해시 값들 - 상기 복수의 해시 값들은 각 전자 문서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문장들이 선정된 개수의 문장 단위로 구분된 후 상기 선정된 개수의 문장 단위 별로, 상기 선정된 개수의 문장 단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구성하는 데이터가 선정된 해시 함수에 입력으로 인가되어 연산된 값들임 - 로 구성된 해시 값 세트가 서로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제1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복수의 대표 해시 값들 - 상기 복수의 대표 해시 값들은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 상에서 상기 복수의 전자 문서들 각각의 식별자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각 해시 값 세트 내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해시 값들의 집합으로, 상기 각 해시 값 세트 내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해시 값들 중 중복되는 해시 값은 제외됨 - 각각에 대해,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 상에서 상기 복수의 대표 해시 값들 각각을 해시 값 세트 내에 포함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가 서로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제2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네트워크로 연결된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선정된 개수의 문장으로 구성된 제1 문장 세트를 검색어로 하는 전자 문서 검색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 문장 세트로부터 상기 제1 문장 세트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단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단어를 구성하는 데이터를 상기 선정된 해시 함수에 입력으로 인가하여 제1 해시 값을 연산하는 단계,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복수의 대표 해시 값들 중 상기 제1 해시 값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상기 전자 문서 검색 요청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로 상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에서 유저들이 문서 저장소 상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전자 문서들 중 특정 문구를 포함되어 있는 다른 전자 문서들을 검색해서 이를 참조할 수 있도록 하고, 해당 문구를 자신이 현재 작성 중인 전자 문서 상에 바로 인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유저들이 보다 쉽고 편리하게 전자 문서 작성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서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서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설명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으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서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서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 장치(110)는 문서 저장소(111), 제1 데이터베이스(112), 제2 데이터베이스(113), 단어 추출부(114), 해시 값 연산부(115), 식별 정보 추출부(116), 검색 결과 전송부(117)를 포함한다.
문서 저장소(111)에는 복수의 전자 문서들이 저장되어 있다.
이때, 문서 저장소(111)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전자 문서들은 "hwp"나 "docx" 등의 확장자를 갖는 설치형 문서 작성 프로그램에서 구동 가능한 일반적인 전자 문서 파일의 포맷을 갖는 문서를 의미한다. 그리고, 문서 저장소(111)는 소정의 문서 저장소 유지부(미도시)를 통해 전자 문서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 장치(110) 내에서 유지 및 관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문서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 장치(110)는 온라인을 통해 유저들에게 전자 문서의 열람, 작성,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로,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문서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 장치(110)가 온라인을 통해 유저들에게 전자 문서 작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네트워크로 연결된 제1 유저(130)의 클라이언트 단말(140)로부터 문서 저장소(111) 상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전자 문서들 중 제1 전자 문서에 대한 액세스 요청이 전자 문서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 장치(110)로 수신되면, 전자 문서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 장치(110)는 문서 저장소(111)로부터 상기 제1 전자 문서를 추출한 후 상기 제1 전자 문서를 마크업 언어(Markup Language) 기반의 포맷으로 구성된 제1 마크업 문서로 변환하여 상기 제1 마크업 문서를 메모리(미도시) 상에 저장하고, 상기 제1 마크업 문서를 제1 유저(130)의 클라이언트 단말(14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마크업 언어 기반의 포맷으로 구성된 문서란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이나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과 같은 클라이언트 단말(140)에 설치되어 있는 브라우저를 통해서 열람이 가능한 마크업 언어로 구성된 문서를 의미한다.
이때, 제1 유저(130)의 클라이언트 단말(140)은 상기 제1 마크업 문서가 수신되면, 제1 유저(130)의 클라이언트 단말(140)에 설치되어 있는 제1 브라우저를 통해 상기 제1 마크업 문서를 렌더링하여 화면 상에 표시한 후 제1 유저(130)로부터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편집 명령에 따라 상기 화면 상에 표시되고 있는 상기 제1 마크업 문서에 대한 편집을 수행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집 명령을 전자 문서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문서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 장치(110)는 상기 제1 마크업 문서가 제1 유저(130)의 클라이언트 단말(140)로 전송된 이후, 제1 유저(130)의 클라이언트 단말(140)로부터 상기 제1 마크업 문서에 대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집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집 명령을 상기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 마크업 문서에 반영하여 편집을 수행함으로써, 제1 유저(130)의 클라이언트 단말(140)에서 편집 중인 문서와 전자 문서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 장치(110)의 상기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문서가 서로 동일한 편집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제1 유저(130)가 온라인을 통해서 전자 문서를 편집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만약, 제1 유저(130)가 상기 제1 마크업 문서에 대한 편집을 완료함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140)을 통해 문서 저장 명령을 전자 문서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 장치(110)로 전송하게 되면, 전자 문서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 장치(110)는 상기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편집이 완료된 상기 제1 마크업 문서를 상기 제1 전자 문서와 동일한 문서 포맷으로 다시 변환하여 문서 저장소(111)에 상기 제1 전자 문서를 대체해서 저장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문서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 장치(110)의 동작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데이터베이스(112)에는 문서 저장소(111)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전자 문서들 각각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와, 상기 복수의 전자 문서들 각각의 식별 정보에 대해, 각 전자 문서에 포함되어 있는 문장들에 기초하여 연산된 복수의 해시 값들로 구성된 해시 값 세트가 서로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해시 값들은 각 전자 문서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문장들이 선정된(predetermined) 개수의 문장 단위로 구분된 후 상기 선정된 개수의 문장 단위 별로, 상기 선정된 개수의 문장 단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구성하는 데이터가 선정된 해시 함수에 입력으로 인가되어 연산된 값들을 의미한다.
예컨대, 특정 전자 문서에 포함되어 있는 문장이 총 40개라고 하고, 상기 선정된 개수의 문장 단위를 5개 문장 단위라고 하는 경우, 상기 특정 전자 문서에 대해서는 40개의 문장들이 5개의 문장 단위로 구분된 후 5개의 문장 단위 별로 각 문장 단위에 포함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구성하는 데이터가 상기 선정된 해시 함수에 입력으로 인가됨으로써, 총 8개의 해시 값들이 생성될 수 있다.
만약, 상기 5개의 문장 단위 중 특정 문장 단위 내에서 존재하는 단어가 20개라고 하는 경우, 상기 특정 문장 단위에 대응하는 해시 값은 상기 20개의 단어를 구성하는 데이터를 상기 선정된 해시 함수에 입력으로 인가함으로써 연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특정 전자 문서에 대해서는 제1 데이터베이스(112) 상에서 상기 특정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와 상기 8개의 해시 값으로 구성된 해시 값 세트가 서로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전자 문서들 각각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란 전자 문서의 파일명이나 전자 문서의 제목 등과 같이 각 전자 문서를 서로 구분하기 위해서 미리 정해 놓은 식별 정보를 의미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데이터베이스(112)에는 상기 복수의 전자 문서들 각각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각 해시 값 세트 내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해시 값들 별로 상기 복수의 해시 값들이 생성된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가 추가로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데이터베이스(112)에는 상기 복수의 전자 문서들 각각의 식별 정보에 대해 상기 복수의 전자 문서들 각각이 다른 전자 문서에 인용된 횟수와 연관된 피인용 횟수가 추가로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지금까지의 상황을 종합하면, 제1 데이터베이스(112)에는 하기의 표 1과 같이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전자 문서의 식별 정보 해시 값 세트 해시 값이 생성된 시간
(연-월-일, 시:분)
피인용 횟수
식별 정보 1 해시 값 1
해시 값 2
해시 값 3
...
2016-02-03, 09:00
2016-04-05, 13:00
2016-01-20, 11:20
...
3
식별 정보 2 해시 값 A
해시 값 B
...
2015-05-23, 14:15
2015-05-23, 14:15
...
6
식별 정보 3 해시 값 1
해시 값 D
해시 값 3
...
2016-10-14, 16:24
2016-10-14, 16:24
2016-10-15, 12:00
...
5
... ... ... ...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문서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 장치(110)는 해시 값 생성부(121), 시간 정보 생성부(122) 및 데이터 저장부(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해시 값 생성부(121)는 제1 유저(130)가 전자 문서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 장치(110)에 접속해서 소정의 전자 문서를 작성함에 따라, 제1 유저(130)의 클라이언트 단말(140)에 의해 제1 신규 전자 문서가 생성되어 문서 저장소(111) 상에 상기 제1 신규 전자 문서가 추가로 저장되면, 상기 제1 신규 전자 문서를 구성하는 복수의 문장들을 상기 선정된 개수의 문장 단위로 구분한 후 상기 선정된 개수의 문장 단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구성하는 데이터를 상기 선정된 해시 함수에 입력으로 인가하여 상기 선정된 개수의 문장 단위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1 해시 값들을 생성한다.
시간 정보 생성부(122)는 상기 복수의 제1 해시 값들 각각이 생성된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데이터 저장부(123)는 제1 데이터베이스(112) 상에 상기 제1 신규 전자 문서의 식별 정보와 함께 상기 복수의 제1 해시 값들로 구성된 제1 해시 값 세트를 대응시켜 저장하면서, 상기 복수의 제1 해시 값들 각각에 대해 상기 복수의 제1 해시 값들 각각이 생성된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를 대응시켜 저장한다.
예컨대, 제1 유저(130)의 클라이언트 단말(140)에 의해서 신규로 문서 저장소(111)에 저장되는 상기 제1 신규 전자 문서가 총 60개의 문장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선정된 개수의 문장 단위를 5개 문장 단위라고 가정하자.
이때, 해시 값 생성부(121)는 상기 제1 신규 전자 문서를 구성하는 60개의 문장들을 5개의 문장 단위로 구분해서 총 12개의 문장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러고 나서, 해시 값 생성부(121)는 상기 5개의 문장 단위들 별로, 형태소 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5개의 문장 단위들로부터 각 문장 단위에 포함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추출해 낼 수 있다.
그리고, 해시 값 생성부(121)는 상기 5개의 문장 단위들로부터 각각 추출해 낸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상기 선정된 해시 함수에 입력으로 인가함으로써, 상기 5개의 문장 단위들 각각에 대한 해시 값을 연산하여 총 12개의 해시 값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시간 정보 생성부(122)는 상기 12개의 해시 값들이 생성되는 시점을 확인해서 상기 12개 해시 값들 각각이 생성된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12개의 해시 값들이 동시에 생성되었다고 가정하고, 그 생성 시간이 "2016-10-06, 12:00"라고 가정하자.
이때, 데이터 저장부(123)는 제1 데이터베이스(112) 상에 상기 제1 신규 전자 문서의 식별 정보와 함께 상기 12개의 해시 값들로 구성된 해시 값 세트를 대응시켜 저장하면서, 상기 12개의 해시 값들 각각에 대해 각 해시 값들의 생성 시간인 "2016-10-06, 12:00"라는 시간 정보를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자 문서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 장치(110)는 제1 데이터베이스(112)에 저장될 정보를 구축 및 갱신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데이터베이스(112)는 전자 문서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 장치(110)에 포함될 수 있는 제1 데이터베이스 유지부(미도시)를 통해서 유지 및 관리될 수 있다.
제2 데이터베이스(112)에는 복수의 대표 해시 값들 각각에 대해, 제1 데이터베이스(112) 상에서 상기 복수의 대표 해시 값들 각각을 해시 값 세트 내에 포함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가 서로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 데이터베이스(113)는 전자 문서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 장치(110)에 포함될 수 있는 제2 데이터베이스 유지부(미도시)를 통해서 유지 및 관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대표 해시 값들은 제1 데이터베이스(112) 상에서 상기 복수의 전자 문서들 각각의 식별자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각 해시 값 세트 내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해시 값들의 집합으로, 상기 각 해시 값 세트 내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해시 값들 중 중복되는 해시 값은 제외된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상기 표 1과 같이 제1 데이터베이스(112) 상에 "식별 정보 1"에 대해 "해시 값 1, 해시 값 2, 해시 값 3"이라는 해시 값 세트가 저장되어 있고, "식별 정보 2"에 대해 "해시 값 A, 해시 값 B"라는 해시 값 세트가 저장되어 있으며, "식별 정보 3"에 대해 "해시 값 1, 해시 값 D, 해시 값 3"이라는 해시 값 세트가 저장되어 있다고 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대표 해시 값들은 "해시 값 1, 해시 값 2, 해시 값 3", "해시 값 A, 해시 값 B", "해시 값 1, 해시 값 D, 해시 값 3"의 집합에서 중복 값을 제외시킨 "해시 값 1, 해시 값 2, 해시 값 3, 해시 값 A, 해시 값 B, 해시 값 D"가 될 수 있다.
이때, 제2 데이터베이스(113)에는 하기의 표 2와 같이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대표 해시 값들 전자 문서의 식별 정보
해시 값 1 식별 정보 1, 식별 정보 3
해시 값 2 식별 정보 1
해시 값 3 식별 정보 1, 식별 정보 3
해시 값 A 식별 정보 2
해시 값 B 식별 정보 2
해시 값 D 식별 정보 3
... ...
이때, 제1 유저(130)가 문서 저장소(111) 상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전자 문서들 중 상기 선정된 개수의 문장으로 구성된 제1 문장 세트를 포함하고 있는 전자 문서를 검색하고자 자신의 클라이언트 단말(140)을 통해 상기 제1 문장 세트를 검색어로 하는 전자 문서 검색 요청을 전자 문서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 장치(110)로 전송하면, 단어 추출부(114)는 상기 제1 문장 세트로부터 상기 제1 문장 세트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선정된 개수의 문장에 대해 형태소 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제1 문장 세트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단어를 추출한다.
이때, 해시 값 연산부(115)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단어를 구성하는 데이터를 상기 선정된 해시 함수에 입력으로 인가하여 제1 해시 값을 연산한다.
그러고 나서, 식별 정보 수신부(116)는 제2 데이터베이스(113)로부터 상기 복수의 대표 해시 값들 중 상기 제1 해시 값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검색 결과 전송부(117)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상기 전자 문서 검색 요청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로 제1 유저(130)의 클라이언트 단말(140)에 전송한다.
예컨대, 상기 선정된 개수를 5개라고 하고, 제1 유저(130)의 클라이언트 단말(140)로부터 5개의 문장으로 구성된 제1 문장 세트를 검색어으로 하는 전자 문서 검색 요청이 수신되었다고 하는 경우, 단어 추출부(114)는 상기 5개의 문장에 대해 형태소 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5개의 문장으로 구성된 상기 제1 문장 세트로부터 상기 제1 문장 세트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단어를 추출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단어가 30개의 단어라고 하는 경우, 해시 값 연산부(115)는 상기 30개의 단어를 구성하는 데이터를 상기 선정된 해시 함수에 입력으로 인가하여 제1 해시 값을 연산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 해시 값이 "해시 값 1"로 연산되었다고 하는 경우, 식별 정보 추출부(116)는 상기 표 2와 같은 제2 데이터베이스(113)로부터 상기 복수의 대표 해시 값들 중 상기 "해시 값 1"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로 "식별 정보 1"과 "식별 정보 3"을 추출할 수 있다.
그러고 나서, 검색 결과 전송부(117)는 상기 "식별 정보 1"과 "식별 정보 3"을 상기 전자 문서 검색 요청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로 제1 유저(130)의 클라이언트 단말(14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유저(130)는 자신의 클라이언트 단말(140)을 통해서 소정의 문서를 작성하다가 문서 저장소(111) 상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전자 문서들 중 특정 문구를 포함하고 있는 전자 문서를 참조하고자 할 때, 해당 전자 문서에 대한 검색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어서, 보다 양질의 콘텐츠를 생산해 낼 수 있는 원동력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검색 결과 전송부(117)는 시간 정보 확인부(118), 전자 문서 선택부(119) 및 전송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시간 정보 확인부(118)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가 추출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 각각에 대해, 제1 데이터베이스(112) 상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 각각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각 해시 값 세트 내에서 상기 제1 해시 값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 해시 값이 생성된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를 확인한다.
전자 문서 선택부(119)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 각각에 대해서 확인된 상기 제1 해시 값이 생성된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 중 상기 제1 해시 값이 생성된 시점이 가장 빠른 것으로 확인된 전자 문서를 상기 제1 문장 세트에 대한 최초 작성 전자 문서로 선택한다.
전송부(12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상기 전자 문서 검색 요청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로 제1 유저(130)의 클라이언트 단말(140)에 전송하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 중 상기 최초 작성 전자 문서로 선택된 전자 문서에 대한 알림 정보를 제1 유저(130)의 클라이언트 단말(140)로 전송한다.
관련해서, 앞서 설명한 예를 이용하여 시간 정보 확인부(118), 전자 문서 선택부(119) 및 전송부(120)의 동작을 설명하면, 식별 정보 추출부(116)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로 "식별 정보 1"과 "식별 정보 3"이 추출된 경우, 시간 정보 확인부(118)는 제1 데이터베이스(112) 상에서 "식별 정보 1"과 "식별 정보 3" 각각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각 해시 값 세트 내에서 상기 제1 해시 값인 "해시 값 1"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상기 "해시 값 1"이 생성된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식별 정보 1"에 대해서는 "해시 값 1"이 생성된 시점이 "2016-02-03, 09:00"이고, "식별 정보 3"에 대해서는 "해시 값 1"이 생성된 시점이 "2016-10-14, 16:24"이므로, 전자 문서 선택부(119)는 "식별 정보 1"과 "식별 정보 3"에 대해서 확인된 각 시간 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상기 "해시 값 1"이 생성된 시점이 가장 빠른 것으로 확인된 전자 문서인 "식별 정보 1"에 대한 전자 문서를 제1 유저(130)가 검색을 요청한 상기 5개의 문장으로 구성된 상기 제1 문장 세트에 대한 최초 작성 전자 문서로 선택할 수 있다.
그러고 나서, 전송부(120)는 "식별 정보 1"과 "식별 정보 3"을 제1 유저(130)의 전자 문서 검색 요청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로 제1 유저(130)의 클라이언트 단말(140)에 전송하면서, "식별 정보 1"과 "식별 정보 3"에 대응하는 전자 문서 중 상기 최초 작성 전자 문서로 선택된 전자 문서인 "식별 정보 1"에 대응하는 전자 문서가 상기 제1 문장 세트에 대한 최초 작성 원본 전자 문서임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제1 유저(130)의 클라이언트 단말(1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유저(130)는 자신이 검색을 요청한 상기 제1 문장 세트를 포함하고 있는 전자 문서들 중 해당 문장 세트가 가장 먼저 포함된 전자 문서를 구분할 수 있어서, 다른 전자 문서를 참조하고자 할 때, 해당 문장 세트에 대한 원본 전자 문서를 쉽게 찾아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검색 결과 전송부(117)는 피인용 횟수 확인부(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피인용 횟수 확인부(124)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가 추출되면, 제1 데이터베이스(112) 상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 각각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피인용 횟수를 확인한다.
이때, 전송부(12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 각각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피인용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를 피인용 횟수가 많은 순으로 정렬된 목록으로 구성한 후 상기 목록으로 구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상기 전자 문서 검색 요청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로 제1 유저(130)의 클라이언트 단말(140)에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앞서 설명한 예와 같이, 식별 정보 추출부(116)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로 "식별 정보 1"과 "식별 정보 3"이 추출되었다고 하는 경우, 피인용 횟수 확인부(124)는 제1 데이터베이스(112) 상에서 상기 "식별 정보 1"과 "식별 정보 3" 각각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피인용 횟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전송부(120)는 상기 "식별 정보 1"과 "식별 정보 3" 각각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피인용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식별 정보 1"과 "식별 정보 3"을 피인용 횟수가 많은 순으로 정렬된 목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표 1의 실시예에서는 "식별 정보 1"에 대응하는 피인용 횟수가 "3회"이고, "식별 정보 3"에 대응하는 피인용 횟수가 "5회"이기 때문에 전송부(120)는 "식별 정보 3", "식별 정보 1" 순으로 정렬된 목록을 구성할 수 있다.
그러고 나서, 전송부(120)는 상기 목록으로 구성된 "식별 정보 3"과 "식별 정보 1"을 상기 전자 문서 검색 요청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로 제1 유저(130)의 클라이언트 단말(14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문서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 장치(110)는 주석 삽입 명령 전송부(125) 및 인용 횟수 갱신부(1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석 삽입 명령 전송부(125)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가 상기 전자 문서 검색 요청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로 제1 유저(130)의 클라이언트 단말(140)에 전송됨과 동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 중 상기 최초 작성 전자 문서로 선택된 전자 문서에 대한 알림 정보가 제1 유저(130)의 클라이언트 단말(140)로 전송된 이후, 제1 유저(130)의 클라이언트 단말(140)로부터 제1 유저(130)의 클라이언트 단말(140)에서 편집 중인 제1 편집 문서로의 상기 제1 문장 세트에 대한 참조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상기 최초 작성 전자 문서로 선택된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가 상기 제1 편집 문서에 주석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주석 삽입 명령을 제1 유저(130)의 클라이언트 단말(140)로 전송한다.
그리고, 피인용 횟수 갱신부(126)는 제1 데이터베이스(112) 상에서 상기 최초 작성 전자 문서로 선택된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피인용 횟수를 1회 증가시킨다.
예컨대, 앞서 설명한 예와 같이, "식별 정보 1"과 "식별 정보 3"이 제1 유저(130)의 전자 문서 검색 요청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로 제1 유저(130)의 클라이언트 단말(140)에 전송됨과 동시에 "식별 정보 1"과 "식별 정보 3"에 대응하는 전자 문서 중 "식별 정보 1"에 대응하는 전자 문서가 상기 제1 문장 세트에 대한 최초 작성 원본 전자 문서임을 알리는 알림 정보로 제1 유저(130)의 클라이언트 단말(140)에 전송된 이후, 제1 유저(130)가 클라이언트 단말(140)을 통해 편집 중인 제1 편집 문서에 대해 자신이 검색을 요청하였던 상기 5개의 문장으로 구성된 상기 제1 문장 세트에 대한 참조 명령을 인가하는 경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140)은 전자 문서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 장치(110)에 대해 상기 제1 편집 문서로의 상기 제1 문장 세트에 대한 참조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주석 삽입 명령 전송부(125)는 제1 유저(130)의 클라이언트 단말(140)로부터 제1 유저(130)의 클라이언트 단말(140)에서 편집 중인 상기 제1 편집 문서로의 상기 제1 문장 세트에 대한 참조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식별 정보 1"과 "식별 정보 3" 중 상기 최초 작성 전자 문서로 선택된 "식별 정보 1"이 상기 제1 편집 문서에 주석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주석 삽입 명령을 제1 유저(130)의 클라이언트 단말(1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1 유저(130)의 클라이언트 단말(140)은 상기 주석 삽입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주석 삽입 명령에 따라 상기 "식별 정보 1"을 상기 제1 문장 세트에 대한 참조 명령에 대응하는 인용 문헌에 대한 정보로 상기 제1 편집 문서의 주석에 삽입할 수 있다.
그러고 나서, 피인용 횟수 갱신부(126)는 제1 데이터베이스(112) 상에서 상기 "식별 정보 1"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피인용 횟수를 1회 증가시켜셔, "4"라고 하는 피인용 횟수로 변경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유저(130)의 클라이언트 단말(140)에서 편집 중인 제1 편집 문서에는 상기 제1 문장 세트를 가장 먼저 포함시킨 상기 "식별 정보 1"에 대응하는 전자 문서가 인용 문헌으로 포함됨으로써, 상기 제1 문장 세트에 대한 출처를 정확히 밝힐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서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단계(S210)에서는 복수의 전자 문서들이 저장되어 있는 문서 저장소를 유지한다.
단계(S220)에서는 상기 문서 저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전자 문서들 각각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와, 상기 복수의 전자 문서들 각각의 식별 정보에 대해, 각 전자 문서에 포함되어 있는 문장들에 기초하여 연산된 복수의 해시 값들(상기 복수의 해시 값들은 각 전자 문서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문장들이 선정된 개수의 문장 단위로 구분된 후 상기 선정된 개수의 문장 단위 별로, 상기 선정된 개수의 문장 단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구성하는 데이터가 선정된 해시 함수에 입력으로 인가되어 연산된 값들임)로 구성된 해시 값 세트가 서로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제1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한다.
단계(S230)에서는 복수의 대표 해시 값들(상기 복수의 대표 해시 값들은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 상에서 상기 복수의 전자 문서들 각각의 식별자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각 해시 값 세트 내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해시 값들의 집합으로, 상기 각 해시 값 세트 내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해시 값들 중 중복되는 해시 값은 제외됨)각각에 대해,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 상에서 상기 복수의 대표 해시 값들 각각을 해시 값 세트 내에 포함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가 서로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제2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한다.
단계(S240)에서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선정된 개수의 문장으로 구성된 제1 문장 세트를 검색어로 하는 전자 문서 검색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 문장 세트로부터 상기 제1 문장 세트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단어를 추출한다.
단계(S250)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단어를 구성하는 데이터를 상기 선정된 해시 함수에 입력으로 인가하여 제1 해시 값을 연산한다.
단계(S260)에서는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복수의 대표 해시 값들 중 상기 제1 해시 값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를 추출한다.
단계(S270)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상기 전자 문서 검색 요청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로 상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에 전송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복수의 전자 문서들 각각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각 해시 값 세트 내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해시 값들 별로 상기 복수의 해시 값들이 생성된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가 추가로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단계(S270)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가 추출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 각각에 대해,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 상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 각각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각 해시 값 세트 내에서 상기 제1 해시 값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 해시 값이 생성된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 각각에 대해서 확인된 상기 제1 해시 값이 생성된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 중 상기 제1 해시 값이 생성된 시점이 가장 빠른 것으로 확인된 전자 문서를 상기 제1 문장 세트에 대한 최초 작성 전자 문서로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상기 전자 문서 검색 요청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로 상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에 전송하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 중 상기 최초 작성 전자 문서로 선택된 전자 문서에 대한 알림 정보를 상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문서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해 제1 신규 전자 문서가 생성되어 상기 문서 저장소 상에 상기 제1 신규 전자 문서가 추가로 저장되면, 상기 제1 신규 전자 문서를 구성하는 복수의 문장들을 상기 선정된 개수의 문장 단위로 구분한 후 상기 선정된 개수의 문장 단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구성하는 데이터를 상기 선정된 해시 함수에 입력으로 인가하여 상기 선정된 개수의 문장 단위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1 해시 값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1 해시 값들 각각이 생성된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 상에 상기 제1 신규 전자 문서의 식별 정보와 함께 상기 복수의 제1 해시 값들로 구성된 제1 해시 값 세트를 대응시켜 저장하면서, 상기 복수의 제1 해시 값들 각각에 대해 상기 복수의 제1 해시 값들 각각이 생성된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를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복수의 전자 문서들 각각의 식별 정보에 대해 상기 복수의 전자 문서들 각각이 다른 전자 문서에 인용된 횟수와 연관된 피인용 횟수가 추가로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단계(S270)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가 추출되면,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 상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 각각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피인용 횟수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알림 정보를 상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 각각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피인용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를 피인용 횟수가 많은 순으로 정렬된 목록으로 구성한 후 상기 목록으로 구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상기 전자 문서 검색 요청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로 상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문서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가 상기 전자 문서 검색 요청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로 상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에 전송됨과 동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 중 상기 최초 작성 전자 문서로 선택된 전자 문서에 대한 알림 정보가 상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된 이후, 상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편집 중인 제1 편집 문서로의 상기 제1 문장 세트에 대한 참조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상기 최초 작성 전자 문서로 선택된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가 상기 제1 편집 문서에 주석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주석 삽입 명령을 상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 상에서 상기 최초 작성 전자 문서로 선택된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피인용 횟수를 1회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서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 장치의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서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 전자 문서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 장치(110)의 동작에 대한 구성과 대응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서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 장치의 동작 방법은 컴퓨터와의 결합을 통해 실행시키기 위한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서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 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전자 문서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 장치
111: 문서 저장소 112: 제1 데이터베이스
113: 제2 데이터베이스 114: 단어 추출부
115: 해시 값 연산부 116: 식별 정보 추출부
117: 검색 결과 전송부 118: 시간 정보 확인부
119: 전자 문서 선택부 120: 전송부
121: 해시 값 생성부 122: 시간 정보 생성부
123: 데이터 저장부 124: 피인용 횟수 확인부
125: 주석 삽입 명령 전송부 126: 인용 횟수 갱신부

Claims (12)

  1. 복수의 전자 문서들이 저장되어 있는 문서 저장소;
    상기 문서 저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전자 문서들 각각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와, 상기 복수의 전자 문서들 각각의 식별 정보에 대해, 각 전자 문서에 포함되어 있는 문장들에 기초하여 연산된 복수의 해시 값들 - 상기 복수의 해시 값들은 각 전자 문서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문장들이 선정된(predetermined) 개수의 문장 단위로 구분된 후 상기 선정된 개수의 문장 단위 별로, 상기 선정된 개수의 문장 단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구성하는 데이터가 선정된 해시 함수에 입력으로 인가되어 연산된 값들임 - 로 구성된 해시 값 세트가 서로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제1 데이터베이스;
    복수의 대표 해시 값들 - 상기 복수의 대표 해시 값들은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 상에서 상기 복수의 전자 문서들 각각의 식별자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각 해시 값 세트 내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해시 값들의 집합으로, 상기 각 해시 값 세트 내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해시 값들 중 중복되는 해시 값은 제외됨 - 각각에 대해,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 상에서 상기 복수의 대표 해시 값들 각각을 해시 값 세트 내에 포함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가 서로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제2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로 연결된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선정된 개수의 문장으로 구성된 제1 문장 세트를 검색어로 하는 전자 문서 검색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 문장 세트로부터 상기 제1 문장 세트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단어를 추출하는 단어 추출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단어를 구성하는 데이터를 상기 선정된 해시 함수에 입력으로 인가하여 제1 해시 값을 연산하는 해시 값 연산부;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복수의 대표 해시 값들 중 상기 제1 해시 값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식별 정보 추출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상기 전자 문서 검색 요청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로 상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에 전송하는 검색 결과 전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복수의 전자 문서들 각각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각 해시 값 세트 내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해시 값들 별로 상기 복수의 해시 값들이 생성된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가 추가로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고,
    상기 검색 결과 전송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가 추출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 각각에 대해,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 상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 각각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각 해시 값 세트 내에서 상기 제1 해시 값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 해시 값이 생성된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를 확인하는 시간 정보 확인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 각각에 대해서 확인된 상기 제1 해시 값이 생성된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 중 상기 제1 해시 값이 생성된 시점이 가장 빠른 것으로 확인된 전자 문서를 상기 제1 문장 세트에 대한 최초 작성 전자 문서로 선택하는 전자 문서 선택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상기 전자 문서 검색 요청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로 상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에 전송하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 중 상기 최초 작성 전자 문서로 선택된 전자 문서에 대한 알림 정보를 상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는 전자 문서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해 제1 신규 전자 문서가 생성되어 상기 문서 저장소 상에 상기 제1 신규 전자 문서가 추가로 저장되면, 상기 제1 신규 전자 문서를 구성하는 복수의 문장들을 상기 선정된 개수의 문장 단위로 구분한 후 상기 선정된 개수의 문장 단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구성하는 데이터를 상기 선정된 해시 함수에 입력으로 인가하여 상기 선정된 개수의 문장 단위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1 해시 값들을 생성하는 해시 값 생성부;
    상기 복수의 제1 해시 값들 각각이 생성된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를 생성하는 시간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 상에 상기 제1 신규 전자 문서의 식별 정보와 함께 상기 복수의 제1 해시 값들로 구성된 제1 해시 값 세트를 대응시켜 저장하면서, 상기 복수의 제1 해시 값들 각각에 대해 상기 복수의 제1 해시 값들 각각이 생성된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를 대응시켜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전자 문서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복수의 전자 문서들 각각의 식별 정보에 대해 상기 복수의 전자 문서들 각각이 다른 전자 문서에 인용된 횟수와 연관된 피인용 횟수가 추가로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고,
    상기 검색 결과 전송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가 추출되면,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 상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 각각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피인용 횟수를 확인하는 피인용 횟수 확인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송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 각각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피인용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를 피인용 횟수가 많은 순으로 정렬된 목록으로 구성한 후 상기 목록으로 구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상기 전자 문서 검색 요청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로 상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에 전송하는 전자 문서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가 상기 전자 문서 검색 요청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로 상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에 전송됨과 동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 중 상기 최초 작성 전자 문서로 선택된 전자 문서에 대한 알림 정보가 상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된 이후, 상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편집 중인 제1 편집 문서로의 상기 제1 문장 세트에 대한 참조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상기 최초 작성 전자 문서로 선택된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가 상기 제1 편집 문서에 주석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주석 삽입 명령을 상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주석 삽입 명령 전송부; 및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 상에서 상기 최초 작성 전자 문서로 선택된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피인용 횟수를 1회 증가시키는 피인용 횟수 갱신부
    를 더 포함하는 전자 문서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 장치.
  6. 복수의 전자 문서들이 저장되어 있는 문서 저장소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문서 저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전자 문서들 각각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와, 상기 복수의 전자 문서들 각각의 식별 정보에 대해, 각 전자 문서에 포함되어 있는 문장들에 기초하여 연산된 복수의 해시 값들 - 상기 복수의 해시 값들은 각 전자 문서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문장들이 선정된(predetermined) 개수의 문장 단위로 구분된 후 상기 선정된 개수의 문장 단위 별로, 상기 선정된 개수의 문장 단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구성하는 데이터가 선정된 해시 함수에 입력으로 인가되어 연산된 값들임 - 로 구성된 해시 값 세트가 서로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제1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복수의 대표 해시 값들 - 상기 복수의 대표 해시 값들은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 상에서 상기 복수의 전자 문서들 각각의 식별자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각 해시 값 세트 내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해시 값들의 집합으로, 상기 각 해시 값 세트 내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해시 값들 중 중복되는 해시 값은 제외됨 - 각각에 대해,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 상에서 상기 복수의 대표 해시 값들 각각을 해시 값 세트 내에 포함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가 서로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제2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네트워크로 연결된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선정된 개수의 문장으로 구성된 제1 문장 세트를 검색어로 하는 전자 문서 검색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 문장 세트로부터 상기 제1 문장 세트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단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단어를 구성하는 데이터를 상기 선정된 해시 함수에 입력으로 인가하여 제1 해시 값을 연산하는 단계;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복수의 대표 해시 값들 중 상기 제1 해시 값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상기 전자 문서 검색 요청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로 상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복수의 전자 문서들 각각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각 해시 값 세트 내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해시 값들 별로 상기 복수의 해시 값들이 생성된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가 추가로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전자 문서 검색 요청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로 상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가 추출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 각각에 대해,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 상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 각각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각 해시 값 세트 내에서 상기 제1 해시 값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 해시 값이 생성된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 각각에 대해서 확인된 상기 제1 해시 값이 생성된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 중 상기 제1 해시 값이 생성된 시점이 가장 빠른 것으로 확인된 전자 문서를 상기 제1 문장 세트에 대한 최초 작성 전자 문서로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상기 전자 문서 검색 요청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로 상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에 전송하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 중 상기 최초 작성 전자 문서로 선택된 전자 문서에 대한 알림 정보를 상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 문서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 장치의 동작 방법.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해 제1 신규 전자 문서가 생성되어 상기 문서 저장소 상에 상기 제1 신규 전자 문서가 추가로 저장되면, 상기 제1 신규 전자 문서를 구성하는 복수의 문장들을 상기 선정된 개수의 문장 단위로 구분한 후 상기 선정된 개수의 문장 단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구성하는 데이터를 상기 선정된 해시 함수에 입력으로 인가하여 상기 선정된 개수의 문장 단위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1 해시 값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1 해시 값들 각각이 생성된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 상에 상기 제1 신규 전자 문서의 식별 정보와 함께 상기 복수의 제1 해시 값들로 구성된 제1 해시 값 세트를 대응시켜 저장하면서, 상기 복수의 제1 해시 값들 각각에 대해 상기 복수의 제1 해시 값들 각각이 생성된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를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자 문서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 장치의 동작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복수의 전자 문서들 각각의 식별 정보에 대해 상기 복수의 전자 문서들 각각이 다른 전자 문서에 인용된 횟수와 연관된 피인용 횟수가 추가로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전자 문서 검색 요청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로 상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가 추출되면,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 상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 각각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피인용 횟수를 확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알림 정보를 상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 각각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피인용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를 피인용 횟수가 많은 순으로 정렬된 목록으로 구성한 후 상기 목록으로 구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상기 전자 문서 검색 요청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로 상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에 전송하는 전자 문서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 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가 상기 전자 문서 검색 요청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로 상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에 전송됨과 동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 중 상기 최초 작성 전자 문서로 선택된 전자 문서에 대한 알림 정보가 상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된 이후, 상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편집 중인 제1 편집 문서로의 상기 제1 문장 세트에 대한 참조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상기 최초 작성 전자 문서로 선택된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가 상기 제1 편집 문서에 주석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주석 삽입 명령을 상기 제1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 상에서 상기 최초 작성 전자 문서로 선택된 전자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피인용 횟수를 1회 증가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자 문서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 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6항, 제8항, 제9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2. 제6항, 제8항, 제9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와의 결합을 통해 실행시키기 위한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60163204A 2016-12-02 2016-12-02 전자 문서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857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204A KR101857997B1 (ko) 2016-12-02 2016-12-02 전자 문서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204A KR101857997B1 (ko) 2016-12-02 2016-12-02 전자 문서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7997B1 true KR101857997B1 (ko) 2018-05-16

Family

ID=62451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3204A KR101857997B1 (ko) 2016-12-02 2016-12-02 전자 문서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79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0471B1 (ko) 2022-08-12 2023-08-23 유승민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사용자 기반의 문서 작성 서비스 방법 및 사용자 기반의 문서 작성 서비스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0471B1 (ko) 2022-08-12 2023-08-23 유승민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사용자 기반의 문서 작성 서비스 방법 및 사용자 기반의 문서 작성 서비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0493B2 (en) Translation review workflow systems and methods
US1089621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 compliance framework database schema
CN102165430B (zh) 由单组因特网主控机器提供的多个并行用户体验
JP5247983B2 (ja) アクション可能な電子メールドキュメント
CN101809572A (zh) 在搜索结果页面上包括交互式元素的系统和方法
CN104252521A (zh) 使用预定项目模板的Web内容管理的方法和系统
KR20150095560A (ko) 전자책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클라우드 서버
AU2010245310A1 (en) Method and system for verifying a citation
CN110895586B (zh) 生成新闻页面的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JPWO2009017135A1 (ja) 情報提供支援装置および情報提供支援方法
JP2010191519A (ja) 文書管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70185832A1 (en) Managing tasks for multiple file types
KR102087280B1 (ko) 편집 명령을 포함하는 메시지에 기초하여 전자 문서를 편집하는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Reese Automated metadata harvesting: low-barrier MARC record generation from OAI-PMH repository stores using MarcEdit
KR101815924B1 (ko) 복수의 유저들이 온라인으로 전자 문서의 작성이 가능하도록 협업 환경을 제공하는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857997B1 (ko) 전자 문서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문서 작성 서비스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09140020A (ja) アノテーションプログラム、アノテーション装置及びアノテーション方法
US7100126B2 (en) Electrical form design and managemen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102463120B1 (ko) 문서 다운로드시 사용자 맞춤형 파일명 생성 기능을 제공하는 특허 문서 검색 서버 및 이를 이용한 특허 문서 검색 방법
CN115640790A (zh) 信息处理方法、装置和电子设备
JP6384469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802125B2 (ja) ウェブログ管理プログラム、ウェブログ管理装置およびウェブログ管理方法
JP5228529B2 (ja) データ検索プログラム、データ検索装置およびデータ検索方法
JP2022187507A (ja) 技術調査支援装置、技術調査支援方法、および技術調査支援プログラム
JP2011086156A (ja) 漏洩情報追跡システムおよび漏洩情報追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