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7875B1 - Windows monitoring devices for indoor security with reflecting the home network protocol - Google Patents

Windows monitoring devices for indoor security with reflecting the home network protoc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7875B1
KR101857875B1 KR1020160129763A KR20160129763A KR101857875B1 KR 101857875 B1 KR101857875 B1 KR 101857875B1 KR 1020160129763 A KR1020160129763 A KR 1020160129763A KR 20160129763 A KR20160129763 A KR 20160129763A KR 101857875 B1 KR101857875 B1 KR 101857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home network
module
transmission modul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97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38741A (en
Inventor
최동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티자동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티자동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티자동화
Priority to KR1020160129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7875B1/en
Publication of KR20180038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87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7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78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반영한 실내 보안용 윈도우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파이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 와이파이 무선 다채널 수신기, 카메라 모듈을 세트로 하여 도어나 창문의 담힘/열림 상태 뿐만 아니라 록킹/언록킹 상태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보안상태에서 상태가 변경되면 카메라가 자동으로 해당 도어나 창문쪽으로 회전하여 실내 보안용 카메라의 사각지대를 없애 보안성을 강화시키며, 나아가 홈 네트워크 기기제어 프로토콜 표준화에 따른 소프트웨어를 탑재하여 AP 기능을 갖는 Wall-Pad와도 제어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는 홈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반영한 실내 보안용 윈도우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ow monitoring apparatus for indoor security that reflects a home network protocol,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ndow monitoring apparatus for indoor security that uses not only a door / window opening / Locking / unlocking status is automatically recognized. When the status is changed in the security state, the camera automatically rotates toward the door or the window to eliminate the blind spot of the camera for indoor security, thereby enhancing the security. Furth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ndow monitoring apparatus for indoor security that reflects a home network protocol capable of maintaining control compatibility with a wall-pad having an AP function by loading software according to standardization.

Description

홈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반영한 실내 보안용 윈도우 모니터링 장치{Windows monitoring devices for indoor security with reflecting the home network protocol}[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nitoring apparatus for indoor security,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반영한 실내 보안용 윈도우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파이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 와이파이 무선 다채널 수신기, 카메라 모듈을 세트로 하여 도어나 창문의 담힘/열림 상태 뿐만 아니라 록킹/언록킹 상태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보안상태에서 상태가 변경되면 카메라가 자동으로 해당 도어나 창문쪽으로 회전하여 실내 보안용 카메라의 사각지대를 없애 보안성을 강화시키며, 나아가 홈 네트워크 기기제어 프로토콜 표준화에 따른 소프트웨어를 탑재하여 AP 기능을 갖는 Wall-Pad와도 제어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는 홈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반영한 실내 보안용 윈도우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ow monitoring apparatus for indoor security that reflects a home network protocol,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ndow monitoring apparatus for indoor security that uses not only a door / window opening / Locking / unlocking status is automatically recognized. When the status is changed in the security state, the camera automatically rotates toward the door or the window to eliminate the blind spot of the camera for indoor security, thereby enhancing the security. Furth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ndow monitoring apparatus for indoor security that reflects a home network protocol capable of maintaining control compatibility with a wall-pad having an AP function by loading software according to standardization.

세계적인 컨설팅회사인 맥킨지는 공장, 작업장, 물류, 운송, 소매, 도시, 건강, 가정, 오피스 9개 분야의 사물인터넷 경제적 효과가 2025년까지 최대 11조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McKinsey, a world-renowned consulting firm, expects the Internet economy to reach up to $ 11 trillion by 2025, from nine factories, workshops, logistics, transportation, retail, urban, health,

또한, 시장 조사 기관인 스트라콥에 따르면, 세계 사물인터넷 시장은 연평균 26%씩 성장하여 2020년에는1조 달러를 웃돌 전망이다.According to market researcher Strachec, the global internet internet market will grow at a CAGR of 26%, exceeding $ 1 trillion by 2020.

때문에, 센서-네트워크-플랫폼 기술을 확보하려는 경쟁이 해를 거듭할수록 가속화할 전망이다.Therefore, competition for sensor-network-platform technology is expected to accelerate over the course of the year.

센서의 경우, IoT 스마트 단말의 센서 퓨전 기능 강화를 위해 글로벌 기업들의 기술 확보 투자가 활발해지고 있다. 예컨대, 삼성전자는 이스라엘 의료용 센서 기업인 ‘얼리센서’에 1,000만 달러를 투자했으며, 소니는 TV사업 분사, PC사업 매각 이후 이미지센서 시장에 집중하고 있다.In the case of sensors, investments in technology acquisition by global companies are becoming more active in order to strengthen the sensor fusion function of IoT smart terminals. For example, Samsung invested $ 10 million in Israeli medical sensor company "Early Sensor" and Sony is concentrating on the image sensor market since the TV business split and PC business sale.

사물인터넷 플랫폼 또한 글로벌기업 중심의 개방형 플랫폼 개발과 주도권 경쟁이 치열하다. 최근 애플의 ‘홈(Home)’, 구글의 ‘브릴로(Brillo)’, 삼성의 ‘아틱(Artik)’, 샤오미의 ‘미홈(Mi Home’, 화웨이의‘애자일(Agile IoT)’ 등이 발표됐다. The Internet platform for things is also fierce in the development of open platforms based on global companies and competition for initiative. Recently, Apple's 'Home', Google's 'Brillo', Samsung's 'Artik', Xiaomi's 'Mi Home' and Huawei's 'Agile IoT' It was announced.

이에 따라, 산업 및 공공 분야에서 사물 간 연결, 제어, 관리를 위한 기업 주도 IoT 플랫폼 등장도 활발해지고 있다.As a result, the emergence of enterprise-led IoT platforms for connecting, controlling, and managing objects in the industrial and public sectors is becoming more active.

한편, 세계 센서 시장은 2011년 약 722억 달러 규모이며, 수요 급증으로 연평균 9.4% 이상 성장하고 있다.Meanwhile, the global sensor market is worth about US $ 72.2bn in 2011, growing at a CAGR of 9.4%.

국내 센서 시장 규모는 2011년 약 48억 달러이고, 연평균 성장률 10.5%로 세계 시장에 비해 고속 성장 중이며, 2015년 국내 센서 시장은 약 71억 달러 규모였으며 2020년에는 98억 달러에 이를 전망이다.The domestic sensor market is about $ 4.8 billion in 2011, growing at an annual average rate of 10.5%. The domestic sensor market is estimated to have reached $ 7.1 billion by 2015 and will reach $ 9.8 billion by 2020.

그중에서 자동차용 적용센서는 2015년 37억 달러에서 2020년 48억 달러, 휴대폰용 적용센서는 2015년 17억 달러에서 2020년에는 27억 달러로 성장이 예상되며, 이 2가지 분야가 전체 센서 시장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Among them, sensors for automobiles are expected to grow from $ 3.7 billion in 2015 to $ 4.8 billion in 2020, while mobile sensors will grow from $ 1.7 billion in 2015 to $ 2.7 billion in 2020, Of the total.

국가별 세계 센서 생산 규모에서는 미국, 일본, 독일이 70% 이상을 점유하며 세계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한국은 중국에 이어 7위 수준이고, 2025년까지 시장 점유율 5%(생산액 5조원)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첨단센서 국내 생산은 2011년 11.5억 달러로 세계 시장 1.6%, 국내 시장의 24%에 불과하다.In terms of world sensor production by country, the US, Japan and Germany occupy more than 70% of the world market. South Korea is the seventh rank after China, and it aims at market share of 5% (production 5 trillion won) by 2025 And the domestic production of high-tech sensor is $ 1.15 billion in 2011, which is only 1.6% in the global market and 24% in the domestic market.

아울러,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2016.03.06 홈 네트워크 기기제어 통신 규약(프로토콜)을 일치시키는 내용의 국가표준(KS)을 제정했다고 밝혔다.In addition, the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KITA) announced that it established a national standard (KS) that conforms to the home network equipment control communication protocol (protocol).

지금까지는 홈 네트워크 중심기기와 주변기기의 통신 규약이 제조사별로 달랐다. 이 때문에 제조사 간에 기기가 호환되지 않아 고장이라도 나면 소비자가 마땅한 교체기기를 구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다.Until now, the communication protocol between the home network center device and the peripheral device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 For this reason, when the equipment is incompatible with the manufacturer, it is difficult for the consumer to find a suitable replacement device.

홈 네트워크 중심기기는 월패드(wall-pad) 등을 통해 조명이나 에어컨 등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이번에 표준화된 대상은 조명, 도어록, 실내환기 시스템, 온도조절기, 보일러 등 13종이다.The home network center device is a device that controls lighting and air conditioner through a wall-pad. The standardization target is 13 kinds including lighting, door lock, indoor ventilation system, temperature controller and boiler.

국가기술표준원은 앞으로 와이파이 등 무선통신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국가표준도 마련할 계획이다.The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NIST) plans to set up a national standard for wireless communication-based communication protocols such as Wi-Fi.

이러한 표준화와 관련하여 창문의 개폐여부, 잠금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는 기반 설비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In connection with this standardization, there is a need for an infrastructure that can confirm whether the windows are open or closed and whether they are locked.

이는 가장 최소한의 방범장치로서 경우에 따라서는 창문을 잠궜다고 생각했는데 열린 경우도 있으며, 창문이 많을 경우에는 일일이 개폐 여부, 락킹/언락킹 상태를 점검하는 것도 번거롭고 불편한 일이다.This is the least security device. I sometimes thought that the window was locked, but sometimes it is opened. If there are many windows, it is troublesome and inconvenient to check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or locked / unlocked.

또한, 표준화에 맞춰 새롭게 락킹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잠금장치로 모두 교체하려면 고비용이 낭비되는 단점도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a high cost is wasted if the locking device is replaced with a locking device capable of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locking device is new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ization.

뿐만 아니라, 외출시 창문을 열어 두었는지 기억이 분명하지 않을 때 갑작스럽게 비가 내릴 경우 빗물이 들이칠 것을 우려하여 심리적 불안감이 커져 개인적인 용무를 제대로 보지 못하는 단점도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f you suddenly rainy when you are not sure whether you left the window open when you go out, you are worried that rainwater will rain and that you are not seeing your personal affairs because of the increased psychological anxiety.

때문에, 표준화된 프로토콜을 활용하여 부재시 창문의 개폐 여부, 락킹/언락킹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감시할 수 있는 장치 혹은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velop a device or system that can check and monitor the status of locking / unlocking in real time, whether the window is opened or closed by utilizing a standardized protocol.

특히, 창문 개폐 혹은 락킹/언락킹 이상유무 검출시 카메라를 해당 지점으로 자동회전시키고 줌기능을 이용하여 녹화할 수 있는 기능까지 겸한다면 보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Especially, when the window is opened or closed, the camera can be automatically rotated to the corresponding point when detecting the presence of lock / unlocking, and the function of recording by using the zoom function can be maximized.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435382호(2014.08.22.) '창문 자동 개방장치'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435382 (Aug. 22, 2014) 'Window automatic opening device'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와이파이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 와이파이 무선 다채널 수신기, 카메라 모듈을 세트로 하여 도어나 창문의 담힘/열림 상태 뿐만 아니라 록킹/언록킹 상태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보안상태에서 상태가 변경되면 카메라가 자동으로 해당 도어나 창문쪽으로 회전하여 실내 보안용 카메라의 사각지대를 없애 보안성을 강화시키며, 나아가 홈 네트워크 기기제어 프로토콜 표준화에 따른 소프트웨어를 탑재하여 AP 기능을 갖는 Wall-Pad와도 제어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는 홈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반영한 실내 보안용 윈도우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함에 주된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d / wireless multi-channel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a Wi- Locking / unlocking status is automatically recognized. When the status is changed in the security state, the camera automatically rotates toward the door or the window to eliminate the blind spot of the camera for indoor security, thereby enhancing the security. Further, There is provided a window monitoring apparatus for indoor security that reflects a home network protocol capable of maintaining control compatibility with a Wall-Pad having an AP function by loading software according to standardization.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1,2창(W1,W2)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되는 창문에서 상기 제1창(W1)의 걸쇠(HK) 위쪽에 이격 설치된 피감지구(PD)와, 상기 제2창(W2)의 크레센트(CR) 위쪽에 이격 설치된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100)을 구비하여 창문의 상태 정보를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고, 스마트폰을 통해 창문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장치로서,
상기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100)은 일면이 개방된 사각박스형상의 모듈본체(110)와; 상기 모듈본체(110)에 실장된 무선 통신처리 및 제어를 위한 신호처리소자(120)와; 상기 피감지구(PD)의 유무를 검출하여 창문의 개폐상태를 판독하는 감지기(130)와; 상기 크레센트(CR)가 잠길 때 손잡이 부분과 접촉하여 락킹 또는 언락킹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플랩(140);을 포함하고,
상기 모듈본체(110)의 개방부는 커버(150)로 밀폐되며, 상기 커버(150)에는 상기 검출플랩(140)이 회전될 수 있는 공간인 작동공(152)이 형성되고;
상기 신호처리소자(120)는 상기 검출플랩(140)의 위치변화를 감지하여 크레센트(CR)가 락킹 상태인지 언락킹 상태인지를 검출하는 위치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검출플랩(140)은 회전축(14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회전축(142)의 하단은 모듈본체(110)의 바닥면에 형성된 축공(112)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142)에는 토션스프링(144)이 끼워지되 토션스프링(144)의 일단은 검출플랩(140)에 걸림되며 타단은 모듈본체(110)의 내측벽에 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반영한 실내 보안용 윈도우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100)은 와이파이 방식으로 무선 다채널 수신기(200)를 통해 실내에 구비된 AP(Access Point)(300)와 통신하고, 상기 AP(300)를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통신하여 창문의 상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AP(300)는 웹 서버(400)와 통신하여 창문 상태 정보를 실시간 전송하고, 웹 서버(400)는 가입자 스마트폰의 요청시 해당 정보를 스마트폰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창문 주변의 천정 또는 벽면에는 창문의 락킹 상태가 강제로 해제될 때 무선 다채널 수신기(200)의 제어하에 회전 및 줌 인/아웃되면서 창문 주변을 촬상하여 영상으로 저장하는 카메라(600)가 더 설치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windows W1 and W2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sliding window of the first window W1, And a micro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100 spaced above the CR of the second window W2 to transmit status information of the window to the smartphone of the user and to transmit the status of the window through the smart phone An apparatus for real-time monitoring,
The micro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100 includes a rectangular box-shaped module main body 110 having one opened side; A signal processing element 120 for wireless communication processing and control mounted on the module body 110; A sensor 130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detected area PD and reading the open / closed state of the window; And a detection flap (140) for detecting a locked or unlocked state in contact with the handle portion when the cradle (CR) is locked,
An opening of the module main body 110 is closed by a cover 150 and an operation hole 152 is formed in the cover 150 as a space in which the detection flap 140 is rotatable;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20 includes a position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 change in position of the detection flap 140 and detecting whether the CR is in a locked state or an unlocked state;
The detection flap 140 is rotatably fixed by a rotation shaft 142. The lower end of the rotation shaft 142 is fixed to the shaft hole 112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odule body 110, Wherein one end of the torsion spring 144 is hooked to the detection flap 140 and the other end is hooked to an inner side wall of the module main body 110. [ Provides a window monitoring device.
At this time, the micro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100 communicates with an AP (Access Point) 300 provided in a room through a wireless multi-channel receiver 200 in a Wi-Fi manner, And is configured to transmit status information of a window.
Also, the AP 300 communicates with the web server 400 to transmit window status information in real time, and the web server 400 displays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on a smart phone when the subscriber smartphone requests it .
In addition, a camera 600 for capturing the surroundings of the window while rotating and zooming in / out under the control of the wireless multi-channel receiver 200 when the locked state of the window is forcibly released is stored on the ceiling or wall surface around the window, Is install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창문 잠금수단인 크레센트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면서 홈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따라 보안 검출이 가능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방범성과 보안성을 강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evice capable of detecting and monitoring security according to a home network protocol while maintaining the structure of a crescent, which is a conventional window locking means, without modification, Can be obtained.

또한, 사용자는 실외에서도 실시간 감시가 가능하므로 심리적인 안정감을 증대시키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user can perform real-time surveillance even outdoors, the effect of enhancing psychological stability can be obtained.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구조적으로 간단하여 제조가 쉽고, 제조비용이 저렴하며, 설치하기도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In addition,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structurally simple, easy to manufacture, low in manufacturing cost, and easy to instal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반영한 실내 보안용 윈도우 모니터링 장치의 예시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구성하는 와이파이가 가능한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이 설치된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일부를 분해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요부를 확대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을 구성하는 모듈본체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구성하는 와이파이가 가능한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의 동작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FIG. 1 is an exemplary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ndoor security window monitoring apparatus reflecting a home network protoc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Wi-Fi enabled micro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constituting a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 3 is an exploded view of a portion of FIG. 2. FIG.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2. FIG.
FIG. 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a module body constituting a micro radio transmiss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example of a Wi-Fi enabled micro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constituting a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are merely illustrativ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since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erein.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modes of operation, but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반영한 실내 보안용 윈도우 모니터링 장치는 다수의 창문에 각각 설치된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100)과, 상기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100)과 통신하는 무선 다채널 수신기(200)와, 상기 무선 다채널 수신기(200)와 통신하는 AP(Access Point)(300)와, 상기 AP(300)의 정보를 수신하고 가입자 스마트폰(500)으로 해당 정보를 송신하는 웹서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a window monitoring apparatus for indoor security that reflects a home network protoc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icro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100 installed in a plurality of windows, and a micro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100 communicating with the micro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100 An access point (AP) 300 for communicating with the wireless multi-channel receiver 200, a wireless multi-channel receiver 200 for receiving the information of the AP 300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o the subscriber smartphone 500 And a web server 400 for transmitting the web page.

이때, 상기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100)은 WiFi(와이파이) 통신 기능을 탑재한 무선 송신모듈이며, 각 방, 즉 룸(ROOM1) 마다 설치된 창문에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micro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100 is a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equipped with a WiFi (WiFi) communication function and is installed in a window installed in each room, that is, each room ROOM1.

이 경우, 창문은 하나의 룸(ROOM1)에 다수개가 있을 수 있고, 또한 각각의 룸(ROOM1,ROOM2)에 각각 하나씩 있을 수도 있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모든 경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re may be a plurality of windows in one room ROOM1 and one in each of the rooms ROOM1 and ROOM2, and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includes all of these cases.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100)은 통신모듈의 I/O 또는 센서의 상태 변경시에만 정보를 전송하도록 소형 Programmable CPU와 메모리가 탑재된 홈 네트워크 보안분야 표준 프로토콜이 적용된 모듈이다.More specifically, the micro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100 is a module to which a standard protocol of a home network security field in which a small programmable CPU and a memory are mounted is used to transmit information only when the state of the I / O or sensor of the communication module is changed.

또한, 창문의 개페, 락킹 언락킹 상태 인식을 위해 2Bit의 I/O를 제공하는데 응용상황에 따라 2Bit I/O에 센서 혹은 스위치 형태로 변형할 수 있도록 하여 응용범위를 넓히도록 하고, DC 3-5V의 배터리로 구동되도록 설계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2-bit I / O is provided for window opening and locking unlocking status recognition. It can be applied to 2Bit I / It is desirable to be designed to be driven by a battery of 5V.

경우에 따라서는 창문의 손잡이 회전상태만 보고도 이상유무를 검출할 수 있도록 기울기 또는 각도를 인식할 수 있는 센서들을 추가로 더 탑재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some cases, it may be possible to further mount sensors capable of recognizing the inclination or angle so as to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abnormality even if the window is rotated only by the rotation of the handle.

그리고, 각 룸(ROOM1,ROOM2)에는 각각 하나씩의 무선 다채널 수신기(200,200')가 설치된다.Each of the rooms ROOM1 and ROOM2 is provided with one wireless multi-channel receiver 200 and 200 ', respectively.

무선 다채널 수신기(200,200')도 와이파이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무선 송신모듈이며, 상기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100)과 통신하도록 설정된다.The wireless multi-channel receivers 200 and 200 'are wireless transmission modules configured to perform Wi-Fi communication and are set to communicate with the micro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100.

특히, 다수의 룸이 있는 경우, 상기 무선 다채널 수신기(200,200')는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메인과 서브로 관리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rooms, the wireless multi-channel receivers 200 and 200 'can be managed as main and sub by setting priorities.

우선순위가 결정되면, 서브는 메인과 통신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며, 메인만 AP(300)와 통신하도록 설정된다.Once the priority is determined, the sub communicates with the main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and the main only is set to communicate with the AP 300.

여기에서, 상기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100) 만으로도 AP(300)와 충분히 무선통신이 가능하고, 정보 송수신이 가능하다면 굳이 무선 다채널 수신기를 더 구비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Here, only the micro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100 can sufficiently communicate with the AP 300, and if it can transmit / receive information, it is not necessary to further include a wireless multi-channel receiver.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각 창문의 상태를 영상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600)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카메라(600)는 상기 무선 다채널 수신기(200,200')에 접속되어 제어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amera 600 capable of photographing the state of each window. The camera 600 is connected to and controlled by the wireless multi-channel receivers 200 and 200 '.

카메라(600)는 창문이 열린다든지 비상상황 발생시 무선 다채널 수신기(200,200')의 제어하에 해당 창문 쪽으로 회전된 후 줌 인/아웃되면서 선명한 영상으로 비상발생 상황을 촬상하여 중요한 증거자료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camera 600 rotates toward the window under the control of the wireless multi-channel receiver 200 or 200 'when a window is open or an emergency occurs, zooms in / out, captures an emergency situation with a clear image, .

그리고, 상기 AP(300)는 와이파이 통신 가능한 여러가지 형태가 있을 수 있으나, 월 패드(WALL PAD)가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P 300 may have various forms of Wi-Fi communication, but a WALL PAD is preferable.

이때, 월 패드는 가정의 주방이나 거실 벽면에 부착된 형태로 존재하는 홈 네트워크의 핵심기기로서, 기본적으로는 AP(Access Point)의 역할을 하면서 터치스크린식 디스플레이와, 설정 및 입력, 제어를 위한 키패드를 포함하고, 방범, 방재, 가전ㆍ조명기기의 제어, 아파트 세대간 화상통화, 인터넷 접속, TV수신 등이 가능한 통신기기이다.In this case, the wall pad is a key device of a home network existing in a form attached to a home kitchen or a living room wall. Basically, it functions as an access point (AP) and displays a touch screen display, It is a communication device that includes a keypad and is capable of crime prevention, disaster prevention, control of household appliances and lighting devices, video communication between apartment units, Internet access, TV reception, and the like.

또한, 상기 AP(300)는 웹 서버(400)에 접속되며, 웹 서버(400)는 사용자 혹은 가입자 단말기(500)인 스마트폰을 통해 창문과 관련된 개폐 여부, 잠금 유무 등을 실시간 확인시켜 줄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Also, the AP 300 is connected to the web server 400, and the web server 400 can confirm the open / close status and the lock status related to the window in real time through the smart phone which is the user or the subscriber terminal 500 To provide information.

이 경우, 사용자가 단말기(500)를 통해 실시간 감시를 비롯한 다양한 옵션을 선택하거나 설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으며, 이는 웹 서버(400)를 통해 관리되고 제어되며, 제어신호는 정해진 프로토콜에 따라 AP(300)로 전송되고, AP(300)는 저장하고 있는 실시간 정보를 웹 서버(400)로 송신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user can select, set, or release various options including the real-time monitoring through the terminal 500, which are managed and controlled through the web server 400, and the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AP 300 , And the AP 300 transmits the stored real time information to the web server 400. [

이와 같은 기능 구현을 위해 상기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100)은 도 2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되고 동작된다.In order to implement such a function, the micro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100 is installed and operated as shown in FIGS.

즉, 상기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100)은 한 쌍의 슬라이딩창, 즉 제1창(W1)과 제2창(W2)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설치된다.That is, the micro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10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a pair of sliding windows, i.e., the first window W1 and the second window W2.

다만, 주의할 것은 제1,2창(W1,W2)이 교차하는 쪽 측면에 설치되어야지 그 반대쪽인 바깥쪽 틀면에 설치하면 동작하지 않는다.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first and second windows (W1 and W2) should be installed on the side where the intersecting sides intersect.

도시된 도 2의 예에서는 제1창(W1)과 겹치는 쪽 제2창(W2)의 측면에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100)이 설치된다.In the example of FIG. 2, the micro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100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second window W2 that overlaps the first window W1.

더 쉽게 설명하자면, 제1창(W1)과 제2창(W2)을 락킹 혹은 언락킹하기 위한 수단인 크레센트(CR)가 설치된 면에서 크레센트(CR) 위쪽에 고정된다.More specifically, it is fixed above the crescent (CR) surface on the side where the crescent (CR), which is a means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first window (W1) and the second window (W2), is installed.

그리고, 상기 크레센트(CR)가 걸려 잠길 수 있도록 대응측 제1창(W1)의 틀 안쪽면, 다시 말해 글라스(G)가 끼워지는 틀면에는 걸쇠(HK)가 고정된다.A latch HK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first window W1, that is, the surface on which the glass G is fitted, so that the crescent (CR) can be locked.

이때, 도 3,4에서와 같이, 상기 걸쇠(HK)가 고정되는 폭 T1은 틀 안쪽면에 글라스(G)가 고정되어 있는 관계로 폭이 넓지 않지만, 이 폭에는 상기 걸쇠(HK)와 간격을 두고 상측에 피감지구(PD)가 견고히 고정된다.3 and FIG. 3, the width T1 at which the latch HK is fixed is not wide because the glass G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rame, So that the perceived area PD is firmly fixed to the upper side.

이 경우, 상기 피감지구(PD)는 납작한 사각형상의 부재로서, 후술되는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100)을 구성하는 모듈본체(110)를 관통하여 출입되면서 창문의 개폐 여부가 검출되도록 하는 수단이다.In this case, the perceived area (PD) is a flat rectangular member, and is a means for detecting whether the windows are opened or closed while passing through the module main body 110 constituting the micro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100 to be described later.

아울러, 상기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100)은 도 4에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일면이 개방된 사각박스형상의 모듈본체(110)와, 상기 모듈본체(110)에 실장된 무선 통신처리 및 제어를 위한 신호처리소자(120)와, 상기 피감지구(PD)의 유무를 검출하여 창문의 개폐상태를 판독하는 감지기(130)와, 상기 크레센트(CR)가 잠길 때 손잡이 부분과 접촉하여 락킹 또는 언락킹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플랩(14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4, the micro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100 includes a module body 110 having a rectangular box shape with one side opened, a wireless communication processing and control unit mounted on the module body 110, A sensor 130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detected area PD and reading the open / closed state of the window, and a locking / unlocking unit 130 in contact with the handle part when the cradle CR is locked, And a detection flap 140 for detecting a state.

이때, 모듈본체(110)의 개방부는 커버(150)로 밀폐될 수 있으며, 커버(150)에는 상기 검출플랩(140)이 회전될 수 있는 공간인 작동공(152)이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opening portion of the module body 110 can be sealed by the cover 150, and the cover 150 is formed with the operation hole 152, which is a space through which the detection flap 140 can rotate.

아울러, 상기 신호처리소자(120)는 소형 Programmable CPU와 메모리 및 검출플랩(140)의 위치변화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미도시) 등이 될 수 있으며,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20 may include a small programmable CPU, a memory and a position sensing sensor (not shown) for sensing a change in position of the detection flap 140, and may include a battery.

또한, 상기 감지기(130)는 포토센서일 수 있으며, 상기 검출플랩(140)은 가변되는 위치가 위치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됨으로써 크레센트(CR)가 락킹 상태인지 언락킹 상태인지를 검출한다.Also, the detector 130 may be a photosensor, and the detection flap 140 detects whether the CR is in the locked state or the unlocked state by detecting the variable position by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이를 위해, 상기 검출플랩(140)은 도 5의 예시와 같이, 길이 일부를 상하로 관통하여 검출플랩(140)이 회전될 수 있게 고정하는 회전축(142)에 의해 고정되며, 회전축(142)의 하단은 모듈본체(110)의 바닥면에 형성된 축공(112)에 볼트 혹은 기타 공지된 방식으로 고정된다.5, the detection flap 140 is fixed by a rotation shaft 142 which penetrates a part of the length up and down and fixes the detection flap 140 so as to be rotatable, And the lower end thereof is fixed to the shaft hole 112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odule body 110 in a bolt or other known manner.

특히, 상기 검출플랩(140)이 항상 수평한 상태, 즉 창문이 개방된 상태, 바꾸어 말하자면 크레센트(CR)가 잠기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회전축(142)에 끼워지고 일단은 검출플랩(140)에 걸림되며 타단은 모듈본체(110)의 내측벽에 걸림되는 토션스프링(144)을 더 포함한다.Particularly, the detection flap 140 is always in a horizontal state, that is, a state where the window is opened, that is, the cradle CR is kept in the unlocked state, and one end is caught in the detection flap 140 And the other end is engaged with an inner wall of the module main body 110. [

그리하여, 제1,2창(W1,W2)이 열려 있는 경우라면 피감지구(PD)가 감지기(130) 속으로 들어가지 않은 상태이므로 감지기(130)는 피감지구(PD)를 검출하지 못하므로 창문이 열려 있는 것으로 신호처리소자(120)가 판독하여 이 신호를 무선 다채널 수신기(200)로 송신하게 되므로 이 신호를 통해 창문이 열려 있음을 알 수 있게 된다.If the first and second windows W1 and W2 are open, the detector 130 can not detect the detected region PD because the detected region PD does not enter the detector 130. Therefore,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20 reads this signal and transmits this signal to the wireless multi-channel receiver 200. Thus, it is possible to know that the window is opened through this signal.

반면, 창문이 닫히게 되면 제1,2창(W1,W2)이 서로 엇갈리면서 피감지구(PD)는 필연적으로 감지기(130) 속으로 들어갈 수 밖에 없으므로 감지기(130)는 당연히 이를 감지하여 창문이 닫혔을 알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window is closed, the first and the second windows W1 and W2 are staggered from each other, and the detected area PD must inevitably enter the detector 130, so that the detector 130 naturally senses it and closes the window You will know that you are ok.

여기에서, 피감지구(PD)가 감지기(130) 속으로 인출입되어야 하므로 모듈본체(110)의 대응위치는 피감지구(PD)가 출입할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야 함은 당연하다 하겠다.Here, since the detected-feeling area PD must be drawn into the sensor 130,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module main body 110 should have a hole formed therein so that the detected area PD can enter and exit.

이 경우, 상기 피감지구(PD)의 인출입을 위해 상기 모듈본체(110)의 일측은 도 4와 같이 폭 T1과 대응되는 폭 T2 만큼 제1창(W1)을 향해 돌출되게 설치되어야 함도 당연하다 하겠다.In this case, one side of the module main body 110 may be protruded toward the first window W1 by a width T2 corresponding to the width T1 as shown in Fig. 4 would.

그리고, 창문이 닫힌 상태에서 크레센트(CR) 동작하지 않으면 언락킹 상태이므로 검출플랩(140)이 움직이지 않는 것을 기초로 언락킹 상태임을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100)이 인식하게 된다.When the window is closed, if the CR does not operate, the micro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100 recognizes that the detection flap 140 is in an unlocking state because it is in an unlocking state.

이 상태에서, 크레센트(CR)가 회전되면서 크레센트(CR)의 손잡이 부분이 도 6과 같이 검출플랩(140)을 밀게 되면,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100)에 탑재된 위치검출센서가 이를 검출하여 락킹 상태임을 인지하게 되고, 이는 무선통신을 통해 무선 다채널 수신기(200,200')로 전송되므로 AP(300), 웹 서버(400)를 거쳐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폰, 즉 단말기(500)를 통해 창문의 개폐여부, 잠금여부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grip portion of the cradle CR pushes the detection flap 140 as shown in Fig. 6 as the crescent (CR) is rotated,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mounted on the micro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100 detects this, Channel receiver 200 and 200 'via wireless communication. Therefore, the user can access the wireless multi-channel receiver 200 or 200' via the AP 300 and the web server 400 via the smart phone, Whether it is opened or closed, whether it is locked or not.

뿐만 아니라, 창문이 락킹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강제적으로 락킹이 해제되면서 언락킹되게 되면 이는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100)을 통해 즉시 감지되고, 제어신호에 따라 무선 다채널 수신기(200,200')가 카메라(600)를 회전, 줌 인/아웃시켜 해당 창문의 주변 상황을 영상 촬영하여 녹화함으로써 중요한 증거자료를 채득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window is locked, the lock is released and then unlocked. The unlocked window is immediately detected by the micro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100, and the wireless multi-channel receiver 200 or 200 ' By rotating and zooming in / out the camera 600, the surrounding situation of the corresponding window is photographed and recorded,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collect important evidence data.

이때, 카메라(600)는 창문 주변의 천정 또는 벽면에 설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amera 600 may be installed on the ceiling or wall surface around the window.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아주 간단한 구조의 수단을 통해 홈 네트워크 시대에 사용될 수 있는 창문 보안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갖출 수 있도록 하여 준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ndow security and monitoring system that can be used in a home network age through a very simple structure.

상술한 시스템 혹은 장치에 가장 바람직한 구현예는 사용자가 현관문을 열고 나간 후 곧바로 창문의 잠금상태가 궁금해지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는 엘리베이터를 타고 외부로 나간 상태가 아니므로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휴대폰과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100)이 직접 통신 가능한 범위에 있는 것이 보통이다.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ystem or device described above is that the user may wonder about the locked state of the window immediately after opening the door. Since the elevator is not in an outward state, It is usual that the transmission module 100 is in a range in which it can directly communicate.

때문에, 휴대폰에 홈 네트워크 표준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방식으로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100)과 통신가능하게 설계한다면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100)로부서 전송되는 창문의 개폐여부, 락킹여부에 관한 정보를 무선 다채널 수신기(200) 및 AP(300)를 거치지 않고도 직접 수신하여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다.Therefore, if the mobile phone is designed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micro-radio transmission module 100 by a communication scheme according to the home network standard protocol, information on whether the window to be transmitted to the micro-radio transmission module 100 is opened or closed, It is possible to directly receive and monitor in real time without going through the channel receiver 200 and the AP 300.

이러한 구성이 본 발명의 가장 기본적이면서 핵심적인 구성이며,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100)과 통신가능한 거리가 멀어지면서 무선 다채널 수신기(200)와 AP(300) 혹은 웹 서버(400)를 연계한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추가적으로 더 설계할 수 있는 것이다.This configuration is the most basic and essenti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real time monitoring (linking) between the wireless multi-channel receiver 200 and the AP 300 or the web server 400, Can be additionally designed to allow for this.

100: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 200: 무선 다채널 수신기
300: 월 패드 400: 웹 서버
500: 단말기 600: 카메라
100: ultra-small radio transmission module 200: wireless multi-channel receiver
300: Wall Pad 400: Web Server
500: terminal 600: camera

Claims (4)

제1,2창(W1,W2)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되는 창문에서 상기 제1창(W1)의 걸쇠(HK) 위쪽에 이격 설치된 피감지구(PD)와, 상기 제2창(W2)의 크레센트(CR) 위쪽에 이격 설치된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100)을 구비하여 창문의 상태 정보를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고, 스마트폰을 통해 창문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장치로서,
상기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100)은 일면이 개방된 사각박스형상의 모듈본체(110)와; 상기 모듈본체(110)에 실장된 무선 통신처리 및 제어를 위한 신호처리소자(120)와; 상기 피감지구(PD)의 유무를 검출하여 창문의 개폐상태를 판독하는 감지기(130)와; 상기 크레센트(CR)가 잠길 때 손잡이 부분과 접촉하여 락킹 또는 언락킹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플랩(140);을 포함하고,
상기 모듈본체(110)의 개방부는 커버(150)로 밀폐되며, 상기 커버(150)에는 상기 검출플랩(140)이 회전될 수 있는 공간인 작동공(152)이 형성되고;
상기 신호처리소자(120)는 상기 검출플랩(140)의 위치변화를 감지하여 크레센트(CR)가 락킹 상태인지 언락킹 상태인지를 검출하는 위치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검출플랩(140)은 회전축(14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회전축(142)의 하단은 모듈본체(110)의 바닥면에 형성된 축공(112)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142)에는 토션스프링(144)이 끼워지되 토션스프링(144)의 일단은 검출플랩(140)에 걸림되며 타단은 모듈본체(110)의 내측벽에 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반영한 실내 보안용 윈도우 모니터링 장치.
A sensible region PD spaced above the latch HK of the first window W1 in a window where the first and second windows W1 and W2 are opened and closed in a sliding manner, And a micro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100 spaced above the CR, so that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window is transmitted to the user's smartphone and the status of the window is monitored through the smart phone.
The micro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100 includes a rectangular box-shaped module main body 110 having one opened side; A signal processing element 120 for wireless communication processing and control mounted on the module body 110; A sensor 130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detected area PD and reading the open / closed state of the window; And a detection flap (140) for detecting a locked or unlocked state in contact with the handle portion when the cradle (CR) is locked,
An opening of the module main body 110 is closed by a cover 150 and an operation hole 152 is formed in the cover 150 as a space in which the detection flap 140 is rotatable;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20 includes a position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 change in position of the detection flap 140 and detecting whether the CR is in a locked state or an unlocked state;
The detection flap 140 is rotatably fixed by a rotation shaft 142. The lower end of the rotation shaft 142 is fixed to the shaft hole 112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odule body 110, Wherein one end of the torsion spring 144 is hooked to the detection flap 140 and the other end is hooked to an inner side wall of the module main body 110. [ Windows monitoring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100)은 와이파이 방식으로 무선 다채널 수신기(200)를 통해 실내에 구비된 AP(Access Point)(300)와 통신하고, 상기 AP(300)를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통신하여 창문의 상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반영한 실내 보안용 윈도우 모니터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icro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100 communicates with an access point (AP) 300 provided in the room through a wireless multi-channel receiver 200 in a Wi-Fi manner and communicates with a user's smart phone through the AP 300 And transmits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window to the home monitoring devic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AP(300)는 웹 서버(400)와 통신하여 창문 상태 정보를 실시간 전송하고, 웹 서버(400)는 가입자 스마트폰의 요청시 해당 정보를 스마트폰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반영한 실내 보안용 윈도우 모니터링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AP 300 communicates with the web server 400 to transmit window status information in real time, and the web server 400 displays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on a smart phone when the subscriber smartphone requests it. Window monitoring device for indoor security reflected.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창문 주변의 천정 또는 벽면에는 창문의 락킹 상태가 강제로 해제될 때 무선 다채널 수신기(200)의 제어하에 회전 및 줌 인/아웃되면서 창문 주변을 촬상하여 영상으로 저장하는 카메라(600)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반영한 실내 보안용 윈도우 모니터링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n the locked state of the window is forcibly released to the ceiling or the wall surface around the window, the camera 600 that rotates and zooms in / out under the control of the wireless multi-channel receiver 200 and picks up the surroundings of the window Wherein the home network protocol is a home network protocol.
KR1020160129763A 2016-10-07 2016-10-07 Windows monitoring devices for indoor security with reflecting the home network protocol KR1018578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763A KR101857875B1 (en) 2016-10-07 2016-10-07 Windows monitoring devices for indoor security with reflecting the home network protoc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763A KR101857875B1 (en) 2016-10-07 2016-10-07 Windows monitoring devices for indoor security with reflecting the home network protoc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8741A KR20180038741A (en) 2018-04-17
KR101857875B1 true KR101857875B1 (en) 2018-05-14

Family

ID=62083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9763A KR101857875B1 (en) 2016-10-07 2016-10-07 Windows monitoring devices for indoor security with reflecting the home network protoc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787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5824A (en) 2018-05-29 2019-12-09 주식회사 케이티 Apparatus and Method for Rou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8741A (en) 2018-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29391B1 (en) Monitoring system for securing networks from hacker drones
EP3097246B1 (en) Smart fenestration product system having remote control
KR102391829B1 (en) Electronic lock with remote monitoring
US8750509B2 (en) Wireless surveillance system releasably mountable to track lighting
US10999138B1 (en) Wireless connection validation techniques
US9122302B2 (en) Automatic garage door automatic monitoring and controlling system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concept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technology
US8860568B1 (en) Home floor safe security system
JP4432753B2 (en) Adapter, network system
US20060064477A1 (en) Mesh networked video and sensor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mesh networked sensors
US20190391227A1 (en) Device location network
KR101923901B1 (en) Home Network System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method thereof
US11134228B1 (en) Point-to-point visual communications in a security monitoring system
CN105159100A (en) Multifunctional intelligent sensor and intelligent control system
US11894884B2 (en) Modular electrical grid communications platform
US20190174599A1 (en) Light control device as internet hub
US11353848B1 (en) Video controlled adjustment of light conditions at a property
KR101857875B1 (en) Windows monitoring devices for indoor security with reflecting the home network protocol
CN106227049A (en) Internet of things intelligent household monitoring system
CN208314537U (en) A kind of intelligent building monitoring device
US20230056104A1 (en) Modification of Camera Functionality Based on Orientation
CA3104823A1 (en) Network activity validation
KR20160102914A (en) Wireless security system using smart phone
TW201803369A (en) Surveillance and security system on Internet of Things employing Internet of Things to achieve home surveillance and security control without increasing too much cost and additional management devices
US20240188162A1 (en) Multi-protocol network connection restoration
TWM531698U (en) Security monitoring system of Internet of th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