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7386B1 - 자기 주도 학습 유도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자기 주도 학습 유도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7386B1
KR101857386B1 KR1020170039353A KR20170039353A KR101857386B1 KR 101857386 B1 KR101857386 B1 KR 101857386B1 KR 1020170039353 A KR1020170039353 A KR 1020170039353A KR 20170039353 A KR20170039353 A KR 20170039353A KR 101857386 B1 KR101857386 B1 KR 101857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learner
users
self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9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일현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39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73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7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7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7Stream processing in response to a playback request from an end-user, e.g. for trick-play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 주도 학습 유도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자기 주도 학습 유도 방법은 현재 학습 동영상을 시청하는 학습자의 학습 패턴 및 학습 동영상을 시청한 이력을 갖는 학습자들의 학습 패턴을 비교함으로써, 학습 동영상에 대한 집중 포인트 및 적극적인 학습 태도의 유지를 촉진시킬 수 있는 방법이다.

Description

자기 주도 학습 유도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SELF DIRECTED LEARNING INDUCTION}
본 발명은 자기 주도 학습 유도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학습 동영상을 이미 학습한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학습 행위를 이용하여 학습 동영상을 학습하고자 하는 학습자의 학습 행위를 간접적으로 유도하는 자기 주도 학습 유도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모바일 기기의 보급, 유투브를 통한 콘텐츠 시장의 확대 및 온라인 공개 수업(MOOC: Massive Open Online Course) 등 무료로 학습 콘텐츠를 학습할 수 있는 웹 서비스 기반의 교육 시스템이 활성화되고 있다. 이러한 교육 시스템은 장소, 시간 등의 제약 없이 언제, 어디에서나 개인이 원하는 학습 콘텐츠를 자유롭게 시청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써, 이를 통해 학습 콘텐츠에 대한 개인의 자율 학습이 확대되고 있다.
여기서, 자율 학습이란, 목표 패턴이 주어지지 않고, 입력 패턴에 근거하여 학습을 진행하는 방법으로 개인이 필요로 하는 학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기 주도하에 학업 역량을 향상시키는 학습을 의미한다. 이 때, 자율 학습의 성공 요체는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 수행 여부에 달려있다. 다시 말해, 자기주도 학습은 개인 스스로가 집중 학습이 필요한 부분이 어디인지를 결정하는 능력(ability) 및 결정된 부분을 꾸준하게 공부하여 흡수하려는 태도(attitude)가 동시에 갖추어질 때 가능한 방법이다. 즉, 자기 주도 학습은 본인 스스로가 학습을 하려는 의지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기존의 교육 시스템은 결과 중심의 추상적 접근을 통해 학습자에 대한 학습 분석을 수행하고, 통계적 기법을 활용해 성적을 예측함으로써, '성취 동기'를 촉진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교육 시스템은 학습을 수행하는 과정에서의 순간마다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학습 행위를 가이드 해줄 수 없으며, 특히나 전문직 성인 학습자가 아닌 학령기 학생, 초보 학습자에게는 자기 주도 학습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학습 콘텐츠를 시청하는 학습자의 학습 능력에 대응하여 자기 주도 학습을 수행하도록 적절한 유도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자기 주도적 동기 부여를 통하여 학습 동영상을 학습하는 학습자의 자율 학습을 촉진하기 위한 자기 주도 학습 유도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빅 데이터 기반의 학습 분석학에 따른 소셜 크라우딩 개념을 접목시킴으로써, 학습 동영상을 학습하는 학습자의 자율 학습을 촉진시키기 위해 직관적인 시각적 가이드 정보를 자연스럽게 제공(nudging)하는 자기 주도 학습 유도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 주도 학습 유도 방법은 학습 동영상을 이미 시청한 사용자들로 구성된 전체 그룹에서 학습 동영상에 대한 학습 행위를 참고하기 위한 준거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이 상기 학습 동영상을 시청할 때, 표현한 학습 행위를 특정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한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학습 행위를 상기 학습 동영상을 시청하고자 하는 학습자에게 참조 정보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준거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체 그룹에 포함된 사용자들 중 상기 학습자가 설정한 조건에 만족하는 사용자들로 구성되는 준거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 행위를 특정하는 단계는 상기 학습 동영상을 재생하면서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 학습자가 학습 동영상의 화면에 표시한 행위 또는 학습 동영상의 재생을 컨트롤한 행위를 포함하는 학습 행위를 특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자가 학습 동영상의 화면에 표시한 행위는 상기 학습 동영상의 화면에 표시된 단어를 하이라이트로 선택하는 행위, 상기 학습 동영상에 대한 질의 응답을 위한 텍스트를 입력하는 행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 동영상의 재생을 컨트롤한 행위는 상기 학습 동영상을 재생하는 과정에서 재생 및 정지를 반복적으로 제어하는 행위, 상기 학습 동영상의 소리를 제어하는 행위, 상기 학습 동영상의 특정 구간을 스킵하는 행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상기 학습 동영상의 재생 시간의 전체 구간에 따라 상기 특정한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학습 행위를 축적한 학습 패턴을 그래프 형태의 참조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자에게 참조 정보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한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학습 행위들 중 학습자에 따라 기 설정한 임계치 이상을 나타내는 학습 행위를 특정 시점에서 시그널 형태의 참조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자에게 참조 정보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시점에서 1) 상기 학습 동영상의 화면의 조도를 변화시키거나 2) 상기 학습 행위의 속성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을 이용해 표시하거나 또는 3) 상기 학습 행위를 사운드를 이용하여 상기 임계치 이상을 나타내는 학습 행위를 시그널 형태의 참조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학습 동영상을 이미 시청한 사용자들로 구성된 전체 그룹에서 학습 동영상에 대한 학습 행위를 참고하기 위한 준거 그룹을 결정하고, 상기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이 상기 학습 동영상을 시청할 때, 표현한 학습 행위를 특정하고, 상기 특정한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학습 행위를 상기 학습 동영상을 시청하고자 하는 학습자에게 참조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상기 전체 그룹에 포함된 사용자들 중 상기 학습자가 설정한 조건에 만족하는 사용자들로 구성되는 준거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상기 학습 동영상을 재생하면서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 학습자가 학습 동영상의 화면에 표시한 행위 또는 학습 동영상의 재생을 컨트롤한 행위를 포함하는 학습 행위를 특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자가 학습 동영상의 화면에 표시한 행위는 상기 학습 동영상의 화면에 표시된 단어를 하이라이트로 선택하는 행위, 상기 학습 동영상에 대한 질의 응답을 위한 텍스트를 입력하는 행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 동영상의 재생을 컨트롤한 행위는 상기 학습 동영상을 재생하는 과정에서 재생 및 정지를 반복적으로 제어하는 행위, 상기 학습 동영상의 소리를 제어하는 행위, 상기 학습 동영상의 특정 구간을 스킵하는 행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상기 학습 동영상의 재생 시간의 전체 구간에 따라 상기 특정한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학습 행위를 축적한 학습 패턴을 그래프 형태의 참조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특정한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학습 행위들 중 학습자에 따라 기 설정한 임계치 이상을 나타내는 학습 행위를 특정 시점에서 시그널 형태의 참조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상기 특정 시점에서 1) 상기 학습 동영상의 화면의 조도를 변화시키거나 2) 상기 학습 행위의 속성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을 이용해 표시하거나 또는 3) 상기 학습 행위를 사운드를 이용하여 상기 임계치 이상을 나타내는 학습 행위를 시그널 형태의 참조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자의 자기 주도 학습을 유도하기 위한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에 관한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 동영상에 대한 학습 행위를 참고하기 위한 준거 그룹을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 동영상에 대한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학습 행위가 그래프 형태의 참조 정보로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 동영상에 대한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학습 행위가 시그널 형태의 참조 정보로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학습 동영상에 대한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학습 행위가 시그널 형태의 참조 정보로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자의 자기 주도 학습을 유도하기 위해 플레이어 장치 및 대시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를 포함하는 구현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대시 보드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 주도 학습 유도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자의 자기 주도 학습을 유도하기 위한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에 관한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은 학습 동영상을 학습하고자 하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자기 주도 학습을 위한 보다 적극적인 학습 태도를 유지 및 촉진하기 위한 자기 주도 학습 유도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학습 동영상을 이미 시청한 사용자들의 학습 행위를 학습 동영상을 학습하고자 하는 학습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학습자로 하여금 참조 정보로 제공되는 학습 행위에 따라 학습 동영상을 시청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따른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101)는 학습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학습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으며, 학습자에 의해 제어가 가능한 전자기기일 수 있다. 일례로,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101)는 플레이어 장치, 스마트 폰, 테블릿 등으로 학습 동영상을 재생하는 기능을 포함하며, 학습 동영상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 장치 및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101)는 학습 동영상이 재생되는 시간에 따라 학습자의 학습 행위를 수집할 수 있다.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101)는 학습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학습 동영상을 시청할 때, 학습 동영상에 대한 학습 행위를 특정하기 위한 준거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 자세하게, 학습 동영상에 대한 학습을 시작하기 이전에,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101)는 학습자로부터 준거 그룹을 결정하기 위한 조건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준거 그룹은 학습자가 시청하고자 하는 학습 동영상과 동일한 학습 동영상을 시청한 사용자들로 구성된 전체 그룹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준거 그룹은 전체 그룹에 포함된 사용자들 중 학습자가 설정한 조건에 만족하는 사용자들로 구성될 수 있다.
학습자는 학습하고자 하는 학습 동영상을 이전에 시청한 이력을 갖는 학습자들로 구성된 전체 그룹 중에서 학습 동영상에 대한 학습 행위를 참고하고자 하는 준거 그룹을 결정하기 위한 조건을 선택할 수 있다.
일례로, 준거 그룹을 결정하기 위한 조건은 전체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들 중 학습자가 학습 동영상을 시청할 때 참고하고자 하는 학습 행위를 표현한 사용자들을 특정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의미할 수 있다. 학습 동영상에 대한 학습 패턴을 참고하고자 하는 파라미터로, 조건은 졸업 학교명, 재학 학교명, 진학희망 학교명, 과거 성적, 현재 성적, 목표 성적, 학력, 직업, 점수, 주거지역, 나이, 시험 종목, 전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건들은 학습자에 의해 조합되어 수신될 수 있다. 그러면,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101)는 전체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들 중 학습자로부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사용자들로 구성된 준거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
학습자가 학습 동영상의 시청을 완료하면, 학습자도 다른 학습자에 대해 전체 집단의 사용자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반복 과정을 통해, 학습 동영상에 대한 학습 행위가 축적될 수 있다.
일례로,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101)는 시험 종목, 점수, 직업 등의 조건으로부터 "토익 점수 800점 이상인 학습자", "시험(공무원, 회계사, 변리사 등의 자격증)을 합격한 학습자" 등의 조건을 만족하는 학습자들로 구성된 준거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101)는 주거지역, 전공, 나이, 성적, 성별 등의 조건으로부터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는 학습자", "S대 재학 중이며 성적이 우수한 학습자", "20살 이상이며 여성인 학습자" 등의 조건을 만족하는 학습자들로 구성된 준거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101)는 학습 동영상을 이미 시청한 사용자들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 저장 및 관리하는 정보 처리 서버(104)와 연동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 처리 서버(104)는 빅 데이터 기반의 소셜 크라우딩 개념을 기반으로 학습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학습 동영상을 이미 시청한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101)는 정보 처리 서버(104)와 연동하고, 학습 동영상을 이미 시청한 사용자들 각각의 학습 행위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101)는 수집한 사용자들 각각의 학습 행위를 정보 처리 서버(104)로 전송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서버(104)는 학습 동영상을 이미 시청한 사용자들 각각의 학습 행위와 각각의 사용자들이 시청한 학습 동영상의 시청 리스트를 매핑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 처리 서버(104)는 학습 동영상을 이미 시청한 사용자들로 구성된 전체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전체 그룹은 이미 학습 동영상을 시청한 사용자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학습 동영상을 시청할 당시의 사용자들의 학습 행위 및 이미 시청을 완료한 학습 동영상의 리스트를 포함한 누적된 정보를 포함하는 그룹을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학습 동영상을 이미 시청한 사용자 A가 학습 동영상 1, 10을 시청하였고, 학습 동영상을 이미 시청한 사용자 K가 학습 동영상 9, 10을 시청하였다고 가정할 때, 정보 처리 서버(104)는 학습 동영상을 이미 시청한 사용자들 각각에 대응하는 학습 동영상에 대한 리스트를 표 1과 같이 매핑할 수 있다.
학습자 A 학습자 K
리스트 학습 동영상 1 학습 동영상 9
학습 동영상 10 학습 동영상 10
또한, 정보 처리 서버(101)는 학습 동영상을 이미 시청한 사용자들 각각에 대응하여 학습 동영상 별 사용자의 학습 행위를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101)는 준거 그룹과 별개로 경재 그룹을 추가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경쟁 그룹은 전체 그룹 중 학습자가 시청하고자 하는 동영상과 동일한 동영상을 동일한 공간에서 동일한 시간에 시청하는 사용자들로 구성된 그룹일 수 있다. 일례로, 학습자가 HA 토익 학원에서 중급 토익 수업을 수강하고 있다고 가정할 때, 경쟁 그룹은 토익 학원에서 중급 토익 수업을 듣는 사용자로, 동일한 시간에 동일한 공간에서 학습자와 동일한 학습 동영상을 시청하는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경쟁 그룹을 추가적으로로 결정할 수 있다.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101)는 상기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 각각이 상기 학습 동영상을 시청할 때, 표현한 학습 행위를 특정할 수 있다..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101)는 학습 동영상을 재생하면서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 학습자가 학습 동영상의 화면에 표시한 행위 또는 학습 동영상의 재생을 컨트롤한 행위를 포함하는 학습 행위를 특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101)는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 각각이 학습 동영상을 시청할 때, 표현한 학습 행위를 학습 동영상의 초 단위로 특정할 수 있다. 일례로, 결정된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인원이 10명이라고 가정할 때,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101)는 학습 동영상의 초 단위로 준거 그룹에 속한 10명의 사용자들 각각의 학습 행위를 특정할 수 있다.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101)는 특정한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학습 행위를 학습 동영상을 시청하고자 하는 학습자에게 참조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101)는 학습 동영상의 재생 시간의 전체 구간을 초 단위로 상기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 각각의 학습 행위를 축적함으로써,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이 표현한 학습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101)는 학습 패턴을 그래프 형태의 참조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101)는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이 각각 표현한 학습 행위를 학습 동영상에 대한 축적된 학습 패턴을 그래프 형태의 참조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101)는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 각각이 표현한 학습 행위들을 시계열적으로 모두 합산(취합 또는 종합)하여 학습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학습 패턴을 형성하고, 이를 그래프 형태의 참조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101)는 학습 패턴을 학습 동영상의 전반에 걸쳐 일반적인 형태로 제공하거나, 또는 학습 구간별, 장면 단위, 시간대별 등 다양한 학습 동영상 및 학습 패턴을 구분하여 참조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101)는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학습 행위를 각각 구분하고, 학습 동영상의 재생 시간의 전체 구간에 따라 각각 구분된 학습 행위를 축적한 개별적인 참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101)는 마킹에 관한 행위를 중심으로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학습 행위를 특정하는 방식으로 각각의 학습 행위를 특정할 수 있다. 그리고,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101)는 각각에 특정된 학습 행위를 학습자가 선택하여 그래프 형태의 참조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그래프 형태의 학습 행위는 학습 동영상의 재생 시간의 전체 구간에 대응하여 시계열적으로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이 표현한 학습 행위의 빈도가 누적된 형태로 표시 될 수 있다. 즉, 여기서,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101)는 학습 동영상과 동일한 화면 상에 준거 그룹의 학습자들의 학습 행위를 제공하되, 학습자가 학습 동영상을 시청하는데 방해되지 않는 영역에 시각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101)는 학습 동영상이 표시된 영역을 중심으로 상단 영역, 하단 영역, 좌측 영역, 우측 영역 등 다양한 영역에서 학습 동영상을 방해하지 않은 영역에서 그래프 형태로 준거 그룹의 학습자들의 학습 행위를 참조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101)는 준거 그룹의 학습자들의 학습 행위를 레이어 형태로 상기 학습 동영상의 화면 상에 겹쳐지도록 시각화하여 참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101)는 특정한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학습 행위들 중 학습자에 따라 기 설정한 임계치 이상을 나타내는 학습 행위를 특정 시점에서 시그널 형태의 참조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101)는 학습 동영상의 전체 구간에서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학습 행위의 발생 빈도가 기 설정한 임계치 이상으로 발생한 경우, 임계치 이상으로 나타나는 학습 행위를 특정 시점에서 시그널 형태의 참조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시그널 형태로 학습 행위에 대한 참조 정보를 제공하는 자세한 설명은 도 5 내지 도 6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결국, 본 발명은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이 이전에 학습 동영상을 시청하는 과정에서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시청 행동을 참조하기 위한 학습 행위를 특정하고, 특정한 학습 행위를 통해 학습 동영상에 대한 주간적인 노하우 개념으로 학습 동영상을 시청하고자 하는 학습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101)는 학습 동영상을 학습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실제적 접근을 통해 현재 학습 동영상을 시청하는 학습자가 참고할 수 있도록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학습 행위를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학습 동영상을 시청하는 학습자에게 학습 동영상을 초 단위 또는 학습 구간 별로 '지금 이순간 나는 무엇을 해야 할 것인지'를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시각적 자극을 유도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학습자가 동영상의 시청을 완료하면,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101)는 학습자에게 제공된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학습 행위에 의해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학습 행위와 유사한 형태를 갖는 학습자의 시청 행위를 수집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101)는 학습자가 학습 동영상에 대한 학습 행위를 참고하기 위한 롤 모델의 개념으로 준거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101)는 롤 모델로 결정한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학습 행위를 학습 동영상과 함께 참조 정보로 학습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현재 학습 동영상을 시청하는 학습자의 학습 행위를 간접적으로 유도함에 따라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학습 행위와 학습자의 학습 행위 간에 유사도가 높게 나타날 수 있다.
이후, 정보 처리 서버(104)는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101)로부터 학습자의 학습 행위를 수집하고, 학습자의 학습 행위를 활용하고자 하는 정보 사용 목적의 성향에 따라 관리자 대시보드(105), 교수자 대시보드(106) 및 학습자 대시보드(107)로 구분하여 생성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한 구성은 도 7 내지 도 8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현재 학습 동영상을 시청하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자기 주도 학습을 유도하기 위해,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학습 행위를 참고 정보로 제공함으로써, 현재 학습 동영상을 시청하는 학습자의 자율 학습을 촉진하기 위 방법을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소셜 크라우딩 개념을 접목시킴으로써, 학습자가 자기 주도에 의한 학습 동영상에 관심을 유도하도록 직관적 또는 시각적인 가이드 정보인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학습 행위를 참고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201)는 준거 그룹 결정부(202), 학습 행위 특정부(203), 참조 정보 제공부(20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201)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상술한 각 부를 통해 학습자의 자율 학습을 유도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준거 그룹 결정부(202)는 학습 동영상을 이미 시청한 사용자들로 구성된 전체 그룹 중에서 학습 동영상에 대한 학습 행위을 참고하기 위한 준거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학습자는 학습 동영상을 시청함에 있어, 현재 학습하고자 하는 학습 동영상과 동일한 학습 동영상을 시청한 타인이 해당 학습 동영상을 어떻게 학습하였는지를 확인하고 싶을 수 있다. 다시 말해, 학습 동영상을 처음으로 시청하는 학습자는 해당 학습 동영상에 대한 사전 지식 즉, 학습 구조, 학습 내용 등을 알지 못하는 상황에서 학습을 시작함에 따라, 학습 동영상에 대한 자발적 흥미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학습 동영상을 처음 시청하는 학습자들로 하여금 해당 학습 동영상을 이전에 학습한 사용자들의 학습 행위를 참조 정보로 제공함으로써, 참조 정보에 따른 학습 동영상에 대한 자발적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준거 그룹 결정부(202)는 현재 학습 동영상을 시청하고자 하는 학습자로부터 성적, 학력, 직업, 점수, 주거지역, 나이, 시험 종목, 전공 등의 학습 행위를 참조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의 조건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준거 그룹 결정부(202)는 전체 그룹 중에서 학습자의 조건을 만족하는 준거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
학습 행위 특정부(203)는 학습 동영상을 이전에 시청한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학습 행위를 특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학습 행위 특정부(203)는 학습 동영상에 대한 시청 행위를 참조하기 위한 학습 행위를 특정하기 위해 결정된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학습 행위를 특정할 수 있다. 여기서, 학습 행위 특정부(203)는 학습 동영상을 재생하면서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 학습자 또는 경쟁 그룹의 사용자들이 학습 동영상의 화면에 표시한 행위 또는 학습 동영상의 재생을 컨트롤한 행위를 포함하는 학습 행위를 특정할 수 있다.
이 때, 학습자가 학습 동영상의 화면에 표시한 행위는 상기 학습 동영상의 화면에 표시된 단어를 하이라이트로 선택하는 행위, 상기 학습 동영상에 대한 질의 응답을 위한 텍스트를 입력하는 행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은 학습자가 학습 동영상 내 특정 단어가 나타난 영역에 하이라이트 기능을 통해 마킹을 수행하거나, 또는 학습 동영상의 특정 내용에 대한 문의를 위한 텍스트 입력 등의 학습 행위를 특정할 수 있다.
그리고, 학습 동영상의 재생을 컨트롤한 행위는 상기 학습 동영상을 재생하는 과정에서 재생 및 정지를 반복적으로 제어하는 행위, 상기 학습 동영상의 소리를 제어하는 행위, 상기 학습 동영상의 특정 구간을 스킵하는 행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은 준거 그룹의 학습자들이 학습 동영상을 시청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컨트롤 정보인,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201)에 기록되는 버튼 정보(PLAY, PAUSE, SKIP, SPEED & SOUND CONTROL)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결국, 학습 행위 특정부(203)는 학습 동영상을 이전에 시청한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이 학습 동영상을 시청하는 과정에서 집중도에 따라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으로 학습 동영상을 재생하는 플레이어 장치에 기록된 시청 행동으로부터 학습 동영상에 대한 학습 행위를 특정할 수 있다. 즉, 학습 행위 특정부(203)는 학습 동영상을 시청하는 동안에 준거 그룹의 학습자들이 키보드, 마우스를 조작하거나, 키보드를 이용한 텍스트 입력, 하이라이트, 문장 선택 등의 학습 행위를 특정할 수 있다.
참조 정보 제공부(204)는 특정한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학습 행위를 상기 학습 동영상을 시청하고자 하는 학습자에게 참조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참조 정보 제공부(204)는 학습 동영상의 재생 시간의 전체 구간에 따라 상기 특정한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학습 행위를 축적한 학습 패턴을 그래프 형태의 참조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참조 정보 제공부(204)는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 각각의 학습 행위를 학습 동영상의 초 단위로 특정하고, 초 단위로 특정된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 각각의 학습 행위에 대한 발생 빈도 및 축적한 결과로 학습 패턴을 그래프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결국, 참조 정보 제공부(204)는 학습 동영상의 전반에 걸쳐 학습 동영상을 이미 시청한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 각각에 대한 학습 행위를 누적하고, 초 단위로 또는 분 단위로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이 표현한 학습 행위의 발생 빈도에 따라 학습자가 참조할 수 있는 그래프 형태의 학습 패턴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그래프 형태의 학습 패턴을 기반으로 학습 동영상을 학습하는 과정에서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이 어떤 내용, 어떤 장면, 어떤 시점에서 집중했는지를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참조 정보 제공부(204)는 특정한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학습 행위들 중 학습자에 따라 기 설정한 임계치 이상을 나타내는 학습 행위를 특정 시점에서 시그널 형태의 참조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학습 동영상을 시청한 사용자들은 이전에 학습 동영상을 시청할 당시에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학습 동영상 내 단어, 문자 등을 마킹하거나 질의응답을 통해 메모 등을 기록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체 그룹 중에서 준거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들 각각의 학습 행위에 대한 발생 빈도에 누적할 수 있다. 이후, 누적된 결과가 사용자가 기 설정한 임계치 이상인 경우, 본 발명은 해당 임계치 이상으로 나타난 특정 시점에서 임계치 이상으로 나타난 학습 행위에 대응하는 시그널을 참조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특정 시점은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이 이전에 학습 동영상을 시청할 당시에 형광펜 기능, 메모 기능, Q&A 기능 등을 이용한 학습 행위가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 중 다수의 사용자들에 의해 집중적으로 나타나는 시점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특정 시점은 학습 동영상의 전반에 걸쳐 학습 구간, 학습 내용에 따라 다발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즉, 특정 시점은 준거 그룹의 학습자들에게서 이전에 학습 동영상을 시청할 당시에 나타난 학습 행위에 대응하여 마킹 구간, 반복 재상 구간, 질의 응답 구근 등으로 표현된 시점일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은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이 이전에 학습 동영상을 시청할 당시에 형광펜 기능, 메모 기능, Q&A 기능 등에 따른 학습 동영상에 관한 학습 행위가 시그널링되는 시점(특정 시점)인 집중 포인트를 나타낼 수 있다.
참조 정보 제공부(204)는 특정 시점에서 1) 상기 학습 동영상의 화면의 조도를 변화시키거나 2) 상기 학습 행위의 속성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을 이용해 표시하거나 또는 3) 상기 학습 행위를 사운드를 이용하여 상기 임계치 이상을 나타내는 학습 행위를 시그널 형태의 참조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 동영상에 대한 학습 패턴을 참고하기 위한 준거 그룹을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는 빅 데이터 기반의 소셜 크라우딩 개념을 접목시켜 온라인을 이용하여 온라인을 통해 무료 또는 유료로 제공되는 다양한 학습 동영상을 이미 시청한 사용자들에 대한 학습 행위를 수집,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는 정보 처리 서버와 연동하여 학습 동영상을 이미 시청한 사용자들로 구성된 전체 그룹(301)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는 학습 동영상을 이미 시청한 사용자들이 누적된 전체 그룹(301)을 생성함에 있어, 학습자들을 구분하기 위한 개인 특성을 활용할 수 있다. 개인 특성은 이름, 나이, 성별, 주소, 출신 학교, 과거 성적, 현재 성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는 전체 그룹 중에서 학습자가 설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준거 그룹(303)을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학습자가 자격증 시험 준비 중인 경우, 본 발명은 시험 종목, 성적 등급, 점수, 성취도 수준, 성별, 학년, 전공 등의 조건을 고려하여 준거 그룹은 자격증 시험에 참여한 수강생 중에서 전국 10% 성적을 갖는 사용자들로 구성된 준거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 결국, 준거 그룹은 이미 학습 동영상을 시청했던 사용자들 중 학습 동영상에 대한 학습 행위를 참조하기 위한 조건을 만족하는 사용자들의 모임일 수 있다.
이후,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는 특정한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학습 행위를 상기 학습 동영상을 시청하고자 하는 학습자에게 참조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는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학습 패턴을 참조 정보로 제공함으로써, 학습자가 본인의 학습 패턴을 간접 또는 직접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지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는 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학습 행위를 그래프 형태로 제공할 뿐만 아니라, 기 설정한 임계치 이상에 따른 시그널 형태로 학습 행위를 추가적으로 제공함으로써, 학습자에게 지속적으로 학습을 수행할 수 있는 동기를 유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체 그룹 중에서 습자가 시청하고자 하는 동영상과 동일한 동영상을 동일한 공간에서 동일한 시간에 시청하는 사용자들로 구성되는 경쟁 그룹을 추가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경쟁 그룹(302)은 학습자와 동일한 학습 동영상을 학습하는 모임으로 학습자와 경쟁 관계를 갖는 학습자들의 그룹일 수 있다. 결국, 경쟁 그룹은 학업이라는 같은 목적을 가지고, 학업 성적을 통해 학습자가 현재 경쟁하고자 하는 학습자들의 모임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 동영상에 대한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학습 행위가 그래프 형태의 참조 정보로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을 참고하면,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는 학습 동영상의 재생 시간에 따라 준거 그룹의 학습자들의 학습 행위를 그래프 형태의 학습 패턴으로 시각화하여 학습 동영상의 주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그래프 형태로 시각화된 학습 패턴은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학습 행위가 특정된 것으로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이 학습 동영상을 시청할 당시의 학습 방향을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그래프 형태로 시각화된 학습 패턴은 준거 그룹의 학습자들의 학습 동영상을 학습하는 과정에서 학습 동영상의 학습 내용을 습득하기 위해 취한 참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은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학습 행위를 축적한 학습 패턴을 제공함에 따라, 소수의 사용자들이 행동한 학습 행위 또는 다수의 사용자들이 행동한 학습 행위를 학습 동영상의 재생 시간에 따라 학습자가 인지할 수 있다.
이 때, 도 4의 (a)를 살펴보면, 본 발명은 학습 동영상과 동시에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의 화면에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학습 행위를 축적한 학습 패턴을 그래프 형태의 참조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도 4의 (a)의 경우, 학습 패턴이 학습 동영상의 하단 영역에 시각화되어 그래프 형태로 표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학습 동영상을 방해하지 않는 주변 영역에 배치되어 시각화될 수 있다. 즉, 학습 패턴은 학습 동영상의 주변 영역으로 상단 영역, 하단 영역, 좌측 영역, 우측 영역 등 다양한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리고, 학습 동영상을 학습하는 학습자는 학습 동영상과 함께 주변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학습 패턴과 학습 동영상을 번갈아가며 학습 동영상을 학습할 수 있다.
여기서, 학습 패턴은 학습자의 선택에 의해 학습 동영상 내 숨김이 가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학습자는 학업 성취도를 만족하기 위하여 학습 동영상의 학습 내용에 집중하면서, 학습 동영상을 시청해야 한다. 이 때, 전문직 성인 학습자가 아닌 학령기 학생, 초보 학습자의 경우, 학습 패턴은 학습 동영상의 학습 내용을 집중하는데 방해되는 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학습 행위가 축적된 학습 패턴을 학습자의 성향에 따라 숨김이 가능하도록 숨김 버튼을 통해 학습 동영상 내에 보여지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의 (b)를 살펴보면, 본 발명은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의 물리적인 재생 방향에 따라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학습 행위가 축적된 학습 패턴을 자동으로 숨김 처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학습 동영상을 학습하는 학습자가 학습 동영상을 가로 방향으로 재생하는 경우,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의 화면 내 학습 동영상과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학습 행위가 학습 패턴으로 하나의 화면 상에 표시하기에는 실제 장치의 화면 크기에 의해 표현상의 제약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학습자가 학습 동영상을 시청하는데 물리적인 방향을 고려하여 학습 동영상 내에 보여지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에 의해 형성된 학습 행위가 화면에서 제외된 경우, 본 발명은 현재 학습 동영상을 시청하는 학습자의 요구에 따라 펼침 버튼을 통해 학습 동영상 내에 나타나도록 학습 패턴에 대한 시각적 표시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은 학습자의 자율 학습을 촉진시키기 위해 직관적인 시각적 가이드 정보를 자연스럽게 제공함으로써, 현재 학습 동영상을 시청하는 학습자와 학습 동영상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한 학습 동영상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 동영상에 대한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학습 행위가 시그널 형태의 참조 정보로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는 특정한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학습 행위를 상기 학습 동영상을 시청하고자 하는 학습자에게 참조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는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학습 행위를 축적한 학습 패턴을 그래프 형태의 참조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는 특정한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학습 행위들 중 학습자에 따라 기 설정한 임계치 이상을 나타내는 학습 행위를 특정 시점에서 시그널 형태의 참조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는 학습 동영상의 화면의 조도를 변화시킴으로써, 학습 행위가 시그널링되는 시점인 집중 포인트 시점을 학습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는 학습자에게 학습 동영상을 재생시키는 과정에서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이 학습 동영상을 시청하는 과정에서의 다양한 학습 행위를 특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학습 행위는 학습자가 학습 동영상의 화면에 표시한 행위 또는 학습 동영상의 재생을 컨트롤한 행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화면에 표시한 행위 및 컨트롤한 행위는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는 학습 동영상의 화면에 표시된 단어를 하이라이트로 선택하는 행위, 상기 학습 동영상에 대한 질의 응답을 위한 텍스트를 입력하는 행위, 학습 동영상을 재생하는 과정에서 재생 및 정지를 반복적으로 제어하는 행위, 상기 학습 동영상의 소리를 제어하는 행위, 상기 학습 동영상의 특정 구간을 스킵하는 행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학습 행위는 학습 동영상을 이미 시청한 사용자들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즉, 학습 행위는 학습 동영상을 시청하는 사용자들 각각의 학습 습관, 성향에 따라 마킹하는 빈도가 놓거나, 질의 응답의 빈도가 높거나, 학습 동영상을 반복 재생하여 시청하는 등 서로 다른 특성으로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이 나타내는 학습 행위를 누적하여, 임계치 이상으로 학습 행위가 나타난 특정 시점을 추출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다양하게 나타나는 학습 행위 중에서 현재 학습 동영상을 시청하는 학습자 또는 디폴트로 설정된 임계치 이상으로 학습 행위가 나타난 특정 시점에 임계치 이상으로 나타난 학습 행위를 학습자에게 알리기 위한 시그널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도 5의 (a)를 참고하면,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는 학습자가 학습 중인 학습 동영상의 타임 스탬프에 따른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학습 행위가 축적된 학습 패턴을 그래프 형태로 시각화할 수 있다. 그리고,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는 임계치 이상으로 학습 행위가 나타난 특정 시점에,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 중 다수의 사용자들의 표현한 학습 행위가 재생됨을 알리도록 시그널 형태로 학습 행위를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학습 동영상의 4분 21초에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 중 다수의 사용자들이 마킹하는 학습 행위를 표현한 경우, 본 발명은 학습 동영상의 4분 21초가 되는 특정 시점에 마킹에 관한 학습 행위를 시그널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는 학습자로 하여금 시그널 형태의 학습 행위를 보다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학습 동영상의 조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즉,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는 학습 행위에 대한 임계치 이상으로 학습 행위가 나타난 특정 시점을 나타내기 위하여 학습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의 조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은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의 화면 밝기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디스플레이의 화면등을 빠르게 점멸하는 방식을 통해 화면의 조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마킹 구간, 반복 재생 구간, 질의 응답 구간 등을 포함하는 학습 행위에 대응하여 학습자가 집중하거나 또는 준거 그룹의 사용자자들이 취한 학습 행위를 학습자에게 알리기 위해, 화면의 조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화면의 조도가 변화됨에 따라 학습 동영상이 재생되고 있는 디스플레이로 학습자의 시선을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의 화면 밝기를 조절함으로써, 학습자는 학습 동영상의 학습 구간별로 학습자가 집중 또는 참조해야 하는 집중 포인트 임을 인지시킬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은 학습 동영상 내 참조 정보로써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학습 행위를 시그널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이전에 학습 동영상을 시청한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학습 행위와 유사한 학습 행위를 학습 동영상을 시청하는 과정에서 학습자의 학습 행위를 간접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학습자의 학습 패턴이 간접적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학습자의 시각적인 자극 변화를 제공함으로써, 학습자의 학습 패턴을 인위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학습 동영상에 대한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학습 행위가 시그널 형태의 참조 정보로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를 참고하면,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는 특정한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학습 행위를 상기 학습 동영상을 시청하고자 하는 학습자에게 참조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는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학습 행위를 축적한 학습 패턴을 그래프 형태의 참조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는 특정한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학습 행위들 중 학습자에 따라 기 설정한 임계치 이상을 나타내는 학습 행위를 특정 시점에서 시그널 형태의 참조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는 학습 행위의 속성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을 이용해 표시하거나 또는 3) 상기 학습 행위를 사운드를 이용하여 상기 임계치 이상을 나타내는 학습 행위를 시그널 형태의 참조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도 6의 (a)를 살펴보면,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는 학습 동영상의 주변 영역에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학습 행위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으로 나타난 경우에 대응하여 임계치 이상으로 학습 행위를 화면에 시그널링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학습자는 학습 동영상을 시청하면서, 학습 동영상의 주변 영역에 시각적으로 표시된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학습 행위가 축적된 참고 패턴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학습자는 학습 동영상 및 참고 패턴을 동시 또는 일시적으로 참고하면서, 학습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학습자는 준거 그룹의 학습자들이 학습 동영상 내 어느 부분에서 마킹 등을 하였는지에 대한 정보를 주변 영역에 표시된 참고 패턴을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해야 함에 따라 학습 동영상을 집중하는데 방해될 수 있다. 이에,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는 학습 동영상을 시청하고 있는 학습자에게 참조 정보로 제공되는 학습 행위가 기 설정한 임계치 이상으로 발생한 특정 시점을 사전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학습 행위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는 학습 동영상을 시청하는 학습자의 시선이 닿는 영역으로 화면의 일부 영역에 시그널(601)로 기 설정한 임계치 이상을 나타내는 학습 행위를 표시함으로써, 학습자가 학습 동영상 내 집중 포인트가 있음을 사전에 알릴 수 있다.
일례로,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는 준거 그룹의 학습자들에 의해 형성된 참조 정보가 발생한 지점에 대한 시그널(601)을 학습 동영상 내부의 상부 좌측 또는 상부 우측 등에 표시함으로써, 학습자에게 앞으로 재생될 학습 동영상에 참조 정보로 제공되는 학습 행위가 발생한 구간이 존재함을 사전에 알릴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는 반복 구간의 경우, 반복되는 시간과 간격 등의 추가 정보를 함께 표시함으로써, 참조 정보에 따른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이 몇 분부터 몇 분까지 반복하여 재생하였음을 미리 제공할 수 있다.
도 6의 (b)를 살펴보면,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는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학습 행위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으로 나타난 경우에 대응하여 임계치 이상으로 학습 행위를 화면에 시그널링할 수 있다. 이 때,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는 학습자가 도 6의 (a)에서 표시한 시그널 형태601)로 제공된 학습 행위( 를 확인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는 학습 동영상의 아래 영역에 슬라이드를 이용해 임계치 이상의 학습 행위가 시그널링(602)되는 시점인 집중 포인트가 발생한 특정 시점이 재생됨을 텍스트를 통해 시그널링 될 수 있다. 일례로,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는 뉴스의 자막 기능과 같이 학습 동영상 내 슬라이드를 이용하여 "마킹 발생 구간 입니다" 등의 시그널(602)을 표시할 수 있다.
도 6의 (c)를 살펴보면,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는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학습 행위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으로 나타난 경우에 대응하여 임계치 이상으로 학습 행위를 화면에 시그널링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는 학습 동영상의 하단에 알림 기능을 수행하는 버튼을 생성하고, 버튼을 통해 참조 정보인 학습 행위를 시그널 형태(603)로 표시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는 사운드 기능을 활용하여 시그널 형태(603)로 학습 행위를 학습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는 도 6의 (a) ~ (c)에 포괄적으로 다음과 같은 기능을 추가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는 참조 정보를 나타내는 마킹, 반복 재생, 질의응답 등 각각의 정보 속성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을 지정할 수 있다.
즉,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는 특정한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학습 행위들 중 학습자에 따라 기 설정한 임계치 이상을 나타내는 학습 행위인 마킹하는 행위, 반복 재생하는 행위, 질의응답하는 행위에 대응하는 각 구간별 \지정된 색상으로 시그널을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마킹 구간은 노란색, 반복 구간은 초록색, 질의응답 구간은 빨간 색으로 집중 포인트를 구성하는 정보 속성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을 매칭할 수 있다. 그리고, 질의응답 구간이 발생한 구간이 재생되면, 본 발명은 빨간색으로 표현된 시그널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시그널로 표시된 텍스트를 확인하지 않고도, 색상을 통해 집중 포인트로써, 학습 행위가 시그널링 되는 시점 및 학습 동영상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자의 자기 주도 학습을 유도하기 위해 플레이어 장치 및 대시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는 학습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학습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전자 기기로, 플레이어(701)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플레이어(701)는 이미 학습 동영상을 시청한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 학습 동영상의 시청을 원하는 학습자 또는 경쟁 그룹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학습 동영상을 재생 및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 학습자, 경쟁 그룹의 사용자들 각각의 학습 행위를 수집하기 위한 플랫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는 현재 학습 동영상을 시청하는 학습자 뿐만 아니라, 이전에 학습 동영상을 학습한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는 학습 동영상을 이미 시청한 사용자들 중 현재 학습 동영상을 시청하는 학습자가 설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학습 행위를 참조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는 학습자의 학습 행위를 수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는 1) 비디오 어노테이션(annotation), 2) 학습 패턴 히트맵, 3) 위치 기반 마킹 & 질의 응답 & 반복 구간, 4) 그룹 비교 및 5) 구간 하이라이팅 등의 학습자의 학습 행위를 수집할 수 있다.
1) 비디오 어노테이션은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를 통해 현재 학습자가 시청하고 있는 학습 동영상에 대한 식별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다시 말해, 비디오 어노테이션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을 통해 제공되는 학습자,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 또는 경쟁 그룹의 사용자들이 시청하거나 시청했던 학습 동영상을 각각 식별하기 위한 기본적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비디오 어노테이션은 동영상 파일 명칭, 파일 크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2) 학습 패턴 히트맵은 학습자가 설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학습 행위와 현재 학습 동영상에 대한 시청을 완료한 학습자의 학습 행위를 비교하여 두 학습 패턴 간에 매칭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에 의해 형성된 학습 행위를 학습 동영상을 시청하고자 하는 학습자의 롤 모델로 설정한 후, 롤 모델로 설정한 준거 그룹의 학습자들에 의해 형성된 학습 패턴이 시각적으로 표시함으로써, 학습 동영상에 대한 학습 행위를 참조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은 준거 그룹의 학습자들에 의해 형성된 학습 패턴과 학습자의 학습 패턴 간에 유사도를 학습 패턴 히트맵으로 수집할 수 있다.
3) 위치 기반 마킹 & 질의 응답 & 반복 구간은 1) 마킹이 발생한 빈도가 높은 구간 2) 마킹이 발생한 지점, 3) 질의 응답이 발생한 지점 및 3) 학습 동영상의 반복 재생된 구간에 대응하여 학습 동영상에 발생한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다시 말해, 준거 그룹의 학습자가 학습 동영상을 시청하는 시점에서 특정 단어에 대한 표시를 수행한 경우, 본 발명은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이 특정 단어를 표시한 학습 동영상에 발생 시점, 장면 단위로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학습 행위가 발생한 학습 동영상의 시점(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4) 그룹 비교는 학습자가 설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준거 그룹 및 경쟁 그룹에 대응하여 학습자의 특성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체 그룹 비교는 학습자가 설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특성에 대응하여 학습자의 특성이 유사한지에 대한 결과를 나타낼 수 있다. 학습자가 준거 그룹에 대한 조건으로 설정한 시험 종목, 점수, 직업 등에 대응하여 본인의 조건 수준을 나타낼 수 있다. 다시 말해, 학습 동영상의 학습 패턴을 참고하기 위해 설정한 조건에 본인은 어느 정도를 충족하는지를 비교한 결과일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은 시험 종목, 점수, 직업을 기반으로 토익 성적 800점 이상인 학습자로 구성된 준거 그룹이 결정된다고 가정할 때, 본인의 토익 성적은 800점 이상인지 또는 이하인지를 나타내는 비교 결과일 수 있다.
5) 구간 하이라이팅은 학습 동영상을 학습하면서, 준거 그룹의 학습자가 중요한 내용이라고 인식한 영역을 체크한 마킹 정보일 수 있다.
이후,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는 이에 대한 정보를 정보 처리 서버에 전달할 수 있고, 정보 처리 서버는 전달된 정보를 기반으로 학습자, 교수자, 개발자 각각의 성격에 맞는 대시보드를 생성하고, 이를 학습자, 교수자, 개발자에게 각각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 처리 서버는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정보 처리 서버는 전달된 정보들에 대하여 전처리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서버는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에서 전달된 정보를 총괄하는 빅 데이터 형태로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 처리 서버는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에서 전달된 정보가 나타내는 비정형 데이터를 속성에 따른 표준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정보 처리 서버는 로그 데이터/시청 기록 데이터/질의 응답 데이터/구간-하이라이딩 데이터/성적 데이터 등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데이터 존재, 비정형 데이터를 분석 알고리즘이 처리할 수 있는 형태로 가공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서버는 전처리된 데이터를 자동으로 추출하는 것으로 현재 학습 동영상을 시청하는 학습자의 학습 패턴과 해당 학습 동영상을 이전에 시청한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기 축적된 학습 패턴을 활용하여 학습 동영상을 시청하고자 하는 학습자 및 학습 동영상을 이전에 학습한 학습자 각각에 대응하는 성적 예측, 유사 그룹 군집화, 문항 반응 검사, 콘텐츠 구간별 장단점에 대한 추출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 처리 서버는 학습 동영상을 시청한 학습자 및 이미 학습 동영상을 시청한 사용자들에 관한 추출 결과를 학습자, 교수자, 개발자로 구분되는 각 관여자 계측의 차별적 정보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시각적 및 계량적 정보 제시를 학습자 대시보드, 교수자 대시보드, 관리자 대시보드로 각각 생성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서버는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로부터 축적되는 다양한 정보를 빅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일례로, 학습자 대시보드는 위치기반 질의응답 결과, 시청 및 질문 빈도 그래프, 소주제별 강약점, 성적 추이, 학습 솔루션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교수자 대시보드는 학생(학습) 진도 추이, 학업 성취도, 행동별 군집 추출, 고위험 학생 조기 경고, 질문 텍스트 마이닝 결과 등의 각 학습자들의 성적 및 학업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개발자 대시보드는 문제적 구간 표시, 질의응답 라이브러리, 교수자 응답 및 관리 현황 등의 학습 동영상을 학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를 포함하는 구현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는 학습 동영상을 제공하는 관리자(또는 관리자가 관리하는 관리자 서버)로부터 현재 학습 동영상을 시청하고자 하는 학습 동영상을 다운로드하여, 다운로드가 완료된 학습 동영상을 학습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자는 학습 동영상을 제작 및 오류를 수정하거나 또는 제작된 학습 동영상을 이용해 수입을 창출하는 경업의사를 갖는 사용자일 수 있다.
그리고,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는 관리자로부터 학습자의 개인 특성 및 학습 동영상을 제공받고, 학습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는 단순히 영상 등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컨텐츠를 통한 학습을 제공하는 것으로써, 학습 수행하는 학습자에 관한 개인 특성을 포함하여 학습 동영상을 다운로드 할 수 있다. 여기서, 학습 동영상은 학습 동영상을 구성하는 학습 내용에 따라 소주제에 따른 학습 구간이 구분된 영상이거나 또는 학습 구간에 대한 구분없이 풀 영상으로 학습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는 학습 동영상을 재생하면서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 학습자 또는 경쟁 그룹의 사용자들이 학습 동영상의 화면에 표시한 행위 또는 학습 동영상의 재생을 컨트롤한 행위를 포함하는 학습 행위를 수집할 수 있다. 즉,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는 상기 학습 동영상의 화면에 표시된 단어를 하이라이트로 선택하는 행위, 상기 학습 동영상에 대한 질의 응답을 위한 텍스트를 입력하는 행위, 학습 동영상을 재생하는 과정에서 재생 및 정지를 반복적으로 제어하는 행위, 상기 학습 동영상의 소리를 제어하는 행위, 상기 학습 동영상의 특정 구간을 스킵하는 행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기반의 질의 응답은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 학습자 또는 경쟁 그룹의 사용자들이 학습 동영상의 학습 내용과 관련하여 교수자가 질문을 기재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질의 응답에 관한 행위가 발생한 학습 동영상의 시점 즉 학습 동영상의 위치를 포함한 학습 행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질의 응답에 관한 행위가 발생한 시점뿐만 아니라,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 학습자 또는 경쟁 그룹의 사용자들이 교수자에게 한 질의 내용 및 질의 내용에 대한 답변을 추가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 학습자 또는 경쟁 그룹의 사용자들에 대한 질의 내용에 교수자가 답변을 달아준 학습 동영상의 시점을 추가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추후,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 학습자 또는 경쟁 그룹의 사용자들이 작성한 질의 내용 및 교수자의 답변은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 학습자 또는 경쟁 그룹의 사용자들의 요구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학습 동영상을 시청하는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 학습자 또는 경쟁 그룹의 사용자들은 각자의 지적 수준 및 이해 정도에 따라 동일한 학습 동영상에 대한 서로 다른 질의 내용 및 이에 대한 답변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학습 동영상을 시청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모든 질의 내용 및 질의에 대한 답변을 수집하고, 이를 원하는 학습자 또는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는 학습 동영상과 연관성이 높은 기사, 학술 논문 등 인터넷 북(e-book)과 관련된 페이지를 연동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학습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는 준거 그룹의 학습자들이 학습 동영상을 시청하면서 학습 동영상에 기록한 마킹, 질의질문, 반복 재생 등의 학습 행위로부터 특정 단어가 마킹된 학습 동영상의 장면, 질의응답이 발생한 시점 또는 반복 재생을 수행한 구간을 구분하여 해당 학습 행위를 참조 정보로 학습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는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학습 행위를 학습 동영상의 장면 단위, 시점, 시간별, 구간별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대시 보드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를 살펴보면, 본 발명은 학습자에 대응하는 학습자 대시보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다시 말해, 도 7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학습자 대시보드는 위치기반 질의응답 결과, 시청 및 질문 빈도 그래프, 소주제별 강약점, 성적 추이, 학습 솔루션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각 정보를 대시 보드 내에 도 8a 및 도 8b와 같이 배치시킴으로써, 학습자의 학업 상황을 피드백해 줄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 주도 학습 유도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단계(1001)에서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는 학습 동영상을 이미 시청한 사용자들로 구성된 전체 그룹에서 학습 동영상에 대한 학습 행위를 참고하기 위한 준거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는 전체 그룹에 포함된 사용자들 중 상기 학습자가 설정한 조건에 만족하는 사용자들로 구성되는 준거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1002)에서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는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 각각이 상기 학습 동영상을 시청할 때, 표현한 학습 행위를 특정할 수 있다.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는 학습 동영상을 재생하면서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 학습자가 학습 동영상의 화면에 표시한 행위 또는 학습 동영상의 재생을 컨트롤한 행위를 포함하는 학습 행위를 특정할 수 있다.
학습자가 학습 동영상의 화면에 표시한 행위는 상기 학습 동영상의 화면에 표시된 단어를 하이라이트로 선택하는 행위, 상기 학습 동영상에 대한 질의 응답을 위한 텍스트를 입력하는 행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학습 동영상의 재생을 컨트롤한 행위는 상기 학습 동영상을 재생하는 과정에서 재생 및 정지를 반복적으로 제어하는 행위, 상기 학습 동영상의 소리를 제어하는 행위, 상기 학습 동영상의 특정 구간을 스킵하는 행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1003)에서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는 특정한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학습 행위를 상기 학습 동영상을 시청하고자 하는 학습자에게 참조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는 학습 동영상의 재생 시간의 전체 구간에 따라 상기 특정한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학습 행위를 축적한 학습 패턴을 그래프 형태의 참조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는 특정한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학습 행위들 중 학습자에 따라 기 설정한 임계치 이상을 나타내는 학습 행위를 특정 시점에서 시그널 형태의 참조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는 상기 특정 시점에서 1) 상기 학습 동영상의 화면의 조도를 변화시키거나 2) 상기 학습 행위의 속성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을 이용해 표시하거나 또는 3) 상기 학습 행위를 사운드를 이용하여 상기 임계치 이상을 나타내는 학습 행위를 시그널 형태의 참조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은 동일한 학습 동영상을 이전에 먼저 시청 했던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로부터 수집한 학습 행위를 기반으로 시간적 누적 정보를 통해 익명의 학습자들이 서로에게 필요한 자기조절 학습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한 예로, 본 발명은 학습자의 정보(성취도 수준, 성별, 학년, 전공 등)을 활용하여, 학습자(예: 도서 지역에 사는 중2 남학생)가 익명의 준거 그룹(예: 서울 강남에 거주하는 같은 학년 남학생 중 상위 20% 학생)의 학습 행위를 참조 정보로 제공함으로써, 집중 학습 포인트에 대한 결정 능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자신의 학습 행위를 인위적으로 통제하여 자신의 행동 변화에 따른 학업 성취 변화를 실시간으로 피드백해주는 게임화(Gamification)을 통한 학습 지속 동기를 촉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준거 그룹의 학습 행위에 의한 고정적 피드백(corrective feedback)과 학습자 자신의 학습 행위에 의한 내재적 피드백(intrinsic feedback) 등을 통해 자기 조절 학습을 수행할 수 있는 학습 지속 동기를 촉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기 주도적 동기 부여를 통하여 학습 동영상을 학습하는 학습자의 자율 학습을 촉진시킴으로써, 공교육 시장 및 사교육 시장의 다양한 이러닝 시스템을 통한 교육 서비스 품질 및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되어 마그네틱 저장매체, 광학적 판독매체, 디지털 저장매체 등 다양한 기록 매체로도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각종 기술들의 구현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조직으로, 또는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로, 또는 그들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다. 구현들은 데이터 처리 장치, 예를 들어 프로그램가능 프로세서, 컴퓨터, 또는 다수의 컴퓨터들의 동작에 의한 처리를 위해, 또는 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즉 정보 캐리어, 예를 들어 기계 판독가능 저장 장치(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또는 전파 신호에서 유형적으로 구체화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터 프로그램(들)과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파일된 또는 인터프리트된 언어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기록될 수 있고, 독립형 프로그램으로서 또는 모듈, 구성요소, 서브루틴, 또는 컴퓨팅 환경에서의 사용에 적절한 다른 유닛으로서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로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서 하나의 컴퓨터 또는 다수의 컴퓨터들 상에서 처리되도록 또는 다수의 사이트들에 걸쳐 분배되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연결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처리에 적절한 프로세서들은 예로서, 범용 및 특수 목적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둘 다, 및 임의의 종류의 디지털 컴퓨터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또는 둘 다로부터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요소들은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대량 저장 장치들, 예를 들어 자기, 자기-광 디스크들, 또는 광 디스크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이것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이것들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양쪽으로 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구체화하는데 적절한 정보 캐리어들은 예로서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특수 목적 논리 회로조직에 의해 보충되거나,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매체일 수 있고, 컴퓨터 저장매체 및 전송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장치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 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1: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
102: 준거 그룹에 대한 학습 패턴
103: Q&A 발생 지점
104: 정보 처리 서버
105: 관리자 대시 보드
106: 교수자 대시 보드
107: 학습자 대시 보드

Claims (16)

  1.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가 수행하는 자기 주도 학습 유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의 프로세서가 학습자로부터 학습하고자 하는 학습 동영상을 시청하기 이전에, 상기 학습 동영상에 대한 학습 행위를 참고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조건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의 프로세서가 상기 학습 동영상과 동일한 학습 동영상을 이미 시청한 사용자들로 구성된 전체 그룹에서 상기 입력 받은 사용자의 조건을 만족하는 사용자들을 추출하고, 추출한 사용자들로 구성된 준거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전체 그룹 중 학습자가 시청하고자 하는 동영상과 동일한 동영상을 동일한 공간에서 동일한 시간에 시청하는 사용자들로 구성된 경쟁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상기 경쟁 그룹은 학업이라는 같은 목적을 가지고, 학업 성적을 통해 학습자가 현재 경쟁하고자 하는 학습자들의 모임임-;
    상기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의 프로세서가 상기 준거 그룹을 구성하는 사용자들 및 상기 경쟁 그룹을 구성하는 사용자들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학습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학습 동영상과 동일한 학습 동영상을 시청할 때, 표현된 학습 행위를 특정하는 단계-상기 학습 행위는 학습 동영상을 시청하는 과정에서 집중도에 따라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으로 학습 동영상의 화면을 선택/기록한 행위 또는 학습 동영상의 재생을 컨트롤한 행위를 포함함-;
    상기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의 프로세서가 상기 특정한 준거 그룹을 구성하는 사용자들 및 경쟁 그룹을 구성하는 사용자들 각각의 학습 행위를 시계열적으로 축척하여, 상기 학습 동영상을 시청하고자 하는 학습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학습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의 프로세서가 상기 생성한 학습 패턴에 따른 상기 선택/기록한 행위 및 컨트롤한 행위로 구분하고, 구분된 각각의 행위에 대응하여 상기 학습 동영상의 재생 시간의 전체 구간에서의 참조 정보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기 주도 학습 유도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가 학습 동영상의 화면을 선택/기록한 행위는,
    상기 학습 동영상의 화면에 표시된 단어를 하이라이트로 선택하는 행위, 상기 학습 동영상에 대한 질의 응답을 위한 텍스트를 입력하는 행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자기 주도 학습 유도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동영상의 재생을 컨트롤한 행위는,
    상기 학습 동영상을 재생하는 과정에서 재생 및 정지를 반복적으로 제어하는 행위, 상기 학습 동영상의 소리를 제어하는 행위, 상기 학습 동영상의 특정 구간을 스킵하는 행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자기 주도 학습 유도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에게 참조 정보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학습 동영상의 재생 시간의 전체 구간에 따라 상기 특정한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학습 행위를 축적한 학습 패턴을 그래프 형태의 참조 정보로 제공하는 자기 주도 학습 유도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에게 참조 정보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한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학습 행위들 중 학습자에 따라 기 설정한 임계치 이상을 나타내는 학습 행위를 특정 시점에서 시그널 형태의 참조 정보로 제공하는 자기 주도 학습 유도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정보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시점에서 1) 상기 학습 동영상의 화면의 조도를 변화시키거나 2) 상기 학습 행위의 속성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을 이용해 표시하거나 또는 3) 상기 학습 행위를 사운드를 이용하여 상기 임계치 이상을 나타내는 학습 행위를 시그널 형태의 참조 정보로 제공하는 자기 주도 학습 유도 방법.
  9.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학습자로부터 학습하고자 하는 학습 동영상을 시청하기 이전에, 상기 학습 동영상에 대한 학습 행위를 참고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조건을 입력 받고, 상기 학습 동영상과 동일한 학습 동영상을 이미 시청한 사용자들로 구성된 전체 그룹에서 상기 입력 받은 사용자의 조건을 만족하는 사용자들을 추출하고, 추출한 사용자들로 구성된 준거 그룹 및 상기 전체 그룹 중 학습자가 시청하고자 하는 동영상과 동일한 동영상을 동일한 공간에서 동일한 시간에 시청하는 사용자들로 구성된 경쟁 그룹을 결정하는 준거 그룹 결정부-상기 경쟁 그룹은 학업이라는 같은 목적을 가지고, 학업 성적을 통해 학습자가 현재 경쟁하고자 하는 학습자들의 모임임-;
    상기 준거 그룹을 구성하는 사용자들 및 상기 경쟁 그룹을 구성하는 사용자들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학습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학습 동영상과 동일한 학습 동영상을 시청할 때, 표현된 표현 학습 행위를 특정하는 학습 행위 특정부-상기 학습 행위는 학습 동영상을 시청하는 과정에서 집중도에 따라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으로 학습 동영상의 화면을 선택/기록한 행위 또는 학습 동영상의 재생을 컨트롤한 행위를 포함함-; 및
    상기 추출한 특정한 준거 그룹을 구성하는 사용자들 및 경쟁 그룹을 구성하는 사용자들 각각의 학습 행위를 시계열적으로 축척하여, 상기 학습 동영상을 시청하고자 하는 학습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학습 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학습 패턴을 상기 선택/기록한 행위 및 컨트롤한 행위로 구분하고, 구분된 각각의 행위에 대응하여 상기 학습 동영상의 재생 시간의 전체 구간에서의 참조 정보로 제공하는 참조 정보 제공부
    를 포함하는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가 학습 동영상의 화면을 선택/기록한 행위는,
    상기 학습 동영상의 화면에 표시된 단어를 하이라이트로 선택하는 행위, 상기 학습 동영상에 대한 질의 응답을 위한 텍스트를 입력하는 행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동영상의 재생을 컨트롤한 행위는,
    상기 학습 동영상을 재생하는 과정에서 재생 및 정지를 반복적으로 제어하는 행위, 상기 학습 동영상의 소리를 제어하는 행위, 상기 학습 동영상의 특정 구간을 스킵하는 행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학습 동영상의 재생 시간의 전체 구간에 따라 상기 특정한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학습 행위를 축적한 학습 패턴을 그래프 형태의 참조 정보로 제공하는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특정한 준거 그룹의 사용자들의 학습 행위들 중 학습자에 따라 기 설정한 임계치 이상을 나타내는 학습 행위를 특정 시점에서 시그널 형태의 참조 정보로 제공하는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특정 시점에서 1) 상기 학습 동영상의 화면의 조도를 변화시키거나 2) 상기 학습 행위의 속성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을 이용해 표시하거나 또는 3) 상기 학습 행위를 사운드를 이용하여 상기 임계치 이상을 나타내는 학습 행위를 시그널 형태의 참조 정보로 제공하는 자기 주도 학습 유도 장치.
KR1020170039353A 2017-03-28 2017-03-28 자기 주도 학습 유도 방법 및 장치 KR101857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353A KR101857386B1 (ko) 2017-03-28 2017-03-28 자기 주도 학습 유도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353A KR101857386B1 (ko) 2017-03-28 2017-03-28 자기 주도 학습 유도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7386B1 true KR101857386B1 (ko) 2018-05-14

Family

ID=62188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9353A KR101857386B1 (ko) 2017-03-28 2017-03-28 자기 주도 학습 유도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73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3082A (ko) 2020-11-26 2022-06-03 (주)알파이글루 학습 집중도 향상을 위한 학습 지원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3082A (ko) 2020-11-26 2022-06-03 (주)알파이글루 학습 집중도 향상을 위한 학습 지원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68012B2 (en) 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educational big data on basis of maps
CN109801525B (zh) 一种用于网络教学的师生多维匹配方法和系统
Papamitsiou et al. Learning analytics and educational data mining in practice: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empirical evidence
Li Effect of prior knowledge on attitudes, behavior, and learning performance in video lecture viewing
Mayer Computer games for learning: An evidence-based approach
US2016018955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stomizing Lesson Plans
KR101899038B1 (ko)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 및 교육 콘텐츠 저작 시스템
Ibrahim et al. Adaptive learning framework
Giordano et al. Overcoming obstacles to empathy: The use of experiential learning in addictions counseling courses
Tan et al. Analysing student engagement with 360-degree videos through multimodal data analytics and user annotations
Maltese et al. What are students doing during lecture? Evidence from new technologies to capture student activity
Berkovich et al. Principals’ digital instructional leadership during the pandemic: Impact on teachers’ intrinsic motivation and students’ learning
KR20140131291A (ko) 학습 플랫폼 메커니즘을 구비한 컴퓨팅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Chen et al. A decade of learning analytics: Structural topic modeling based bibliometric analysis
CN110275984A (zh) 可视化媒体内容的方法、计算机可读介质和计算设备
Liu et al. Exploring behavioural differences between certificate achievers and explorers in MOOCs
Wang et al. Learning engagement in massive open online courses: A systematic review
Wilkinson et al. Mixed-ability grouping in physical education: investigating ability and inclusivity in pedagogic practice
KR101857386B1 (ko) 자기 주도 학습 유도 방법 및 장치
Kadleck et al. “Two Perspectives” on Teaching Crime Films
Daniel Exploring artistic identity and place in society: perspectives and insights from higher education students in Australia
Fasihuddin et al. A Framework to Personalise Open Learning Environments by Adapting to Learning Styles.
JP682410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Roberts et al. Personal visualisation for learning
Bennacer Teaching analytics: support for the evaluation and assistance in the design of teaching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