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7235B1 - 토션의자 - Google Patents

토션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7235B1
KR101857235B1 KR1020170173137A KR20170173137A KR101857235B1 KR 101857235 B1 KR101857235 B1 KR 101857235B1 KR 1020170173137 A KR1020170173137 A KR 1020170173137A KR 20170173137 A KR20170173137 A KR 20170173137A KR 101857235 B1 KR101857235 B1 KR 101857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torsion
coupling
coupling housing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3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용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애니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애니체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애니체
Priority to KR1020170173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72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7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7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3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coi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션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등받이의 각도가 착석자의 자세변경에 대응되게 조절될 시 간단한 구조로 등받이의 틸팅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며 복원력과 지지력이 향상된 토션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토션의자는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된 의자에 있어서, 사용자가 착석하는 착석부와; 상기 착석부에 착석한 사용자의 등부분과 대향되게 상기 착석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등받이받침부와; 상기 등받이받침부의 상부에서 결합유닛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착석한 사용자의 등부분에서 사용자의 허리부분까지 지지할 수 있게 하방으로 연장된 등받이부와; 상기 등받이부의 하단이 상기 등받이받침부를 향해 회동될 시, 상기 등받이부의 하단이 상기 등받이받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결합유닛에 설치되는 토션부;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유닛은 양측이 개방된 내부공간을 갖는 관형으로 형성된 결합하우징과, 상기 결합하우징의 개방된 양측에 각각의 일측이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2연결블럭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하우징은 상기 등받이부의 상기 등받이받침부와 대향되는 일측 상부 중앙에 설치되고 상기 제1,2연결블럭은 타측이 상기 등받이받침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등받이 받침부와 결합되거나, 상기 결합하우징은 상기 등받이받침부의 상기 등받이부와 대향되는 일측 상부 중앙에 설치되고 상기 제1,2연결블럭은 타측이 상기 등받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등받이부와 결합된다.

Description

토션의자{Torsion chair}
본 발명은 토션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등받이의 각도가 착석자의 자세변경에 대응되게 조절될 수 있도록 된 토션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가구의 하나로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형성된 착석부에 착석한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부가 마련된 구조로 형성된다.
최근 들어 의자는 착석부의 형상이 사용자의 엉덩이의 형태에 따라 파형으로 제조되거나 등받이부의 구조 및 형상이 인체의 등을 보다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곡선형으로 제조되는 등의 인체공학적인 설계를 기본으로 제조되고 있다.
본 발명자는 등받이부에 인가되는 가압력에 따라 등받이부의 각도가 변화하여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허리 위치에 따라 등전체를 지지하도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14860호에는 허리지지용 의자를 출원한 바 있다.
하지만, 등받이부와 등받이받침부가 좌우 양측에서 결합되어 결합부위가 복수개로 구비되고,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역시 등받이의 양측에 구비되어 의자의 제조시 좌우양측을 각각 조립해야 함으로 제조공정이 복잡하다.
또한, 좌우 틸팅 작동이 각각 개별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각각의 틸팅부재에 인가되는 가압력이 상이하여 반복적인 사용시 각각의 틸팅부재의 탄성력이 상이하게 감쇄되고, 이에, 좌우 양측에 구비된 틸팅부재의 탄성력에 편차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14860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간단한 구조로 등받이의 각도가 착석자의 자세변경에 대응되게 조절되도록 등받이의 틸팅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토션의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토션의자는 반복적인 사용시에도 틸팅부재의 탄성력이 균일하게 발생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토션의자는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된 의자에 있어서, 사용자가 착석하는 착석부와; 상기 착석부에 착석한 사용자의 등부분과 대향되게 상기 착석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등받이받침부와; 상기 등받이받침부의 상부에서 결합유닛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착석한 사용자의 등부분에서 사용자의 허리부분까지 지지할 수 있게 하방으로 연장된 등받이부와; 상기 등받이부의 하단이 상기 등받이받침부를 향해 회동될 시, 상기 등받이부의 하단이 상기 등받이받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결합유닛에 설치되는 토션부;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유닛은 양측이 개방된 내부공간을 갖는 관형으로 형성된 결합하우징과, 상기 결합하우징의 개방된 양측에 각각의 일측이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2연결블럭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하우징은 상기 등받이부의 상기 등받이받침부와 대향되는 일측 상부 중앙에 설치되고 상기 제1,2연결블럭은 타측이 상기 등받이받침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등받이 받침부와 결합되거나, 상기 결합하우징은 상기 등받이받침부의 상기 등받이부와 대향되는 일측 상부 중앙에 설치되고 상기 제1,2연결블럭은 타측이 상기 등받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등받이부와 결합된다.
상기 토션부는 상기 결합하우징의 중앙 내측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결합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다각형의 관통홀이 형성된 고정블럭과, 상기 고정블럭의 관통홀과 대응되는 단면을 지닌 막대형상으로 상기 고정블럭의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하우징의 내부공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양단이 상기 제1,2연결블럭에 각각 고정되어 길이방향의 비틀림을 허용하되 복원력을 갖는 토션바를 구비하고, 상기 제1,2연결블럭은 상기 토션바의 양단이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결합하우징에 삽입되는 일측에 상기 토션바의 단면형상과 대응되는 체결홈이 형성된다.
또는, 상기 토션부는 상기 결합하우징의 내부공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양단이 상기 제1,2연결블럭에 각각 고정된 로드와, 상기 로드와 상기 결합하우징의 내측의 사이공간을 고무소재로 채운 토션고무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2연결블럭은 상기 로드의 양단이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결합하우징에 삽입되는 일측에 상기 로드의 단면형상과 대응되는 체결홈이 형성되고,상기 토션고무층은 상기 제1,2연결블럭의 회전에 의해 상기 로드가 회전될 시 상기 토션고무층의 길이방향으로 비틀림이 발생하고 반대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결합하우징은 원형관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토션고무층의 양측에 상기 결합하우징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도록 접합되게 설치되며 강체소재로된 제1,2디스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2 디스크부는 상기 로드가 관통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로드의 단면형상과 대응되는 제1,2 디스크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토션부는 상기 토션고무층의 내부에 매설되고 양단이 상기 제1,2연결블럭에 각각 삽입되어 설치되는 토션스프링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2연결블럭은 상기 토션스프링의 양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결합하우징에 삽입되는 일측에 상기 토션스프링의 단면형상과 대응되는 스프링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토션의자는 등받이부와 등받이받침부를 결합시키는 조립구조가 단순하여 쉽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토션의자는 간단한 구조로도 등받이부의 틸팅효과를 효과적으로 구현한다
또한, 본 발명의 토션의자는 단일로 구비된 결합유닛과 토션부에 의해 반복적인 사용시에도 탄성력의 편차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토션의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등받이부와 등받이받침부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유닛과 토션부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절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결합유닛과 토션부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절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결합유닛과 토션부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결합유닛과 토션부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절개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결합유닛과 토션부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결합유닛과 토션부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절개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결합유닛과 토션부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토션의자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토션의자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토션의자(1)는 착석부(10), 등받이받침부(30), 등받이부(20), 결합유닛(50), 토션부(70)를 구비한다.
착석부(10)는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좌판(11), 하부프레임(16), 팔걸이(12), 다리부(15)로 구성되어 있다.
좌판(11)은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이 닿는 부분으로 쿠션기능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좌판(11)은 경질소재 예를 들면, 플라스틱이나 철판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하부프레임(16)은 좌판(11)의 하부에 마련되어 좌판(11)을 지지하고 후술할 다리부(15) 및 등받이 프레임(30)이 결합된다.
팔걸이(12)는 하부프레임(16)에서 좌판(11)을 벗어나 좌판(11) 상방으로 연장되게 설치되어 있다.
다리부(15)는 하부 프레임(16) 하부에 결합되어 있다.
다리부(15)는 하부프레임(16)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수직봉(14)과, 수직봉(14)으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며 바퀴(19)가 장착된 지지프레임(18)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착석부(10)는 도시된 예와 다르게, 바퀴(19)가 생략된 구조 또는 다리부(15)가 생략된 구조 등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등받이받침부(30)는 착석부(10)의 좌판(11)에 착석된 사용자의 등부분과 대향되게 착석부(10)의 하부프레임(16)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등받이받침부(30)는 내부가 빈 사각틀 형태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고, 이를 편의상 구분하면, 하부프레임(16)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후 상방으로 연장된 제1,2 수직프레임(32)(34)과, 제1,2 수직프레임(32)(34)의 상단을 상호 연결하는 수평프레임(36)을 구비한다.
수평프레임(36)에는 사용자의 후두부를 지지해주는 머리받침부재(39)가 구비되어 있다.
등받이받침부(30)는 도시된 바와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후술되는 등받이부(2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등받이부(20)는 등받이받침부(30)의 수평프레임(36)과 결합유닛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착석부(10)의 좌판(11)에 착석된 사용자의 등부분에서 허리부분까지 지지할 수 있는 크기를 갖게 형성되어 있다.
등받이부(20)는 틀(22), 망체(26)를 구비한다.
틀(22)은 사용자의 등과 허리 굴곡에 따라 곡선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중앙부분이 비어있는 굴곡진 사각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틀(22)은 수직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연장된 제 1, 2 수직부분(21)(25)과 제 1, 2 수직부분(21, 25)의 상하단을 각각 상호 연결하는 제 1, 2 수평부분(27)(28)으로 구분되어 있다.
망체(26)는 통공을 갖으며 틀(22)에 결합되어 있다. 망체(26)는 신축성이 있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등받이부(20)는 사용자의 등이 닿는 부분이 망체(26)로 이루어져 통풍이 잘되며 신축성이 있어 사용자의 등과 허리의 형상에 따라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도시된 예와 다르게 등받이부(20)의 망체(26) 대신 통공이 없는 지지패널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등받이부(20)와 등받이받침부(30)의 사이에는 등받이받침부(30)로부터 등받이부(20)의 회동범위를 제한하는 회동범위 제한부(40)가 더 구비된다.
회동범위 제한부(40)는 등받이부(20)의 하부 후면과 등받이받침부(30)의 제1,2수직프레임(32)(34)의 하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 탄성부재으로, 등받이부(20)가 등받이받침부(30)에 대해 형성된 탄성부재의 길이 범위내에서 회동될 수 있게 하며, 후술할 토션부(70)에 의해 등받이부(20)가 등받이받침부(30)에 대해 회전할 때 보조 탄성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및 제2구속핀(47)(48)의 머리부는 장공(43) 및 구속홀(44)보다 큰 외경을 갖게 형성되어 있다.
결합유닛(50)은 등받이부(20)와 등받이받침부(30)의 상부 사이에 구비되어 등받이부(20)와 등받이받침부(30)를 힌지결합시키는 것으로 결합하우징(51), 제1,2연결블럭(53)(63)으로 구비된다.
결합하우징(51)은 양측이 개방된 내부공간을 갖는 원형관으로 구비된다.
도시된 바와 다르게 결합하우징(51)은 내부공간을 갖되 외형은 삼각 또는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하우징(51)은 내부공간의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후술할 제1,2연결블럭의 제1,2삽입부분이 결합하우징(51)의 양측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되는 구비것이 바람직하다.
결합하우징(51)은 길이방향의 일측 외부면이 등받이부(20)의 등받이받침부와 대향되는 제1수평부분(27)에 결합되도록 일측에 결합브라켓(52)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결합브라켓(52)은 결합하우징(51)의 일측 외부면에 구비되며, 일측을 관통하는 관통공(52a)이 형성되고 관통공과 나사결합되는 나사핀이 구비되어 결합하우징(51)을 제1수평부분(27)에 고정시킨다.
이와 달리, 결합하우징(51)은 등받이부(20)의 제1수평부분(27)에 용접되어 고정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결합부재로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2연결블럭(53)(63)은 등받이받침부(30)와 결합되고 결합하우징(51)의 개방된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2연결블럭(53)(63)은 결합하우징(51)의 개방된 양측에 각각 삽입되는 제1,2삽입부분(54)(64)과, 제1,2삽입부분(54)(64)의 각각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결합하우징의 양측과 밀착되는 제1,2밀착부분(55)(65)과, 제1,2밀착부분(55)(65)에서 등받이받침부(30) 방향으로 연장된 제1,2연장부분(57)(67)과, 제1,2연장부분(57)(67)의 단부에서 등받이받침부(30)의 수평프레임(36)과 결합되는 제1,2 결합부분(58)(68)을 구비한다.
제1,2삽입부분(54)(64)은 결합하우징(51)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우징(51)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외주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1,2삽입부분(54)(64)은 후술할 토션바(71)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하우징(51)의 내부공간을 바라보는 일측에 후술할 토션바 또는 로드의 단면형상과 대응되도록 인입되어 형성된 제1,2체결홈(56)(66)이 형성된다.
제1,2밀착부분(55)(65)은 제1,2삽입부분의 외주면보다 큰 외주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에, 제1,2삽입부분(54)(64)이 결합하우징(51)의 양단에 삽입되면 제1,2밀착부분(55)(65)이 결합하우징의 양단과 밀착된다.
제1,2연장부분(57)(67)은 중공을 갖는 사각관형으로 형성되나 도시된 바와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2밀착부분(55)(65)에서 수평프레임(36)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2결합부분(58)(68)은 제1,2연장부분(57)(67)의 단부에서 제1,2 연장부분(57)(67)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각각을 관통하는 제1,2결합공(58a)(68a)이 복수개로 형성되고, 제1,2결합공(58a)(68a)과 나사결합하여 제1,2연결블럭을 수평프레임(36)에 고정시키는 제1,2결합핀(59)(69)이 복수개로 구비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결합유닛(50)은 결합하우징(51)이 등받이부(20)의 제1수평부분(27)과 결합되고 제1,2연결블럭(53)(63)이 수평프레임(36)과 결합되며 제1,2연결블럭의 삽입부분(54)(64)이 결합하우징(51)의 양측에 삽입되되 회전가능하여 등받이받침부(30)에 대해 결합유닛(50)을 중심으로 등받이부(20)가 회전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결합유닛(50)의 결합하우징(51)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등받이받침부(30)의 등받이부(20)와 대향되는 수평프레임(36)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때 제1,2연장부분(57)(67)은 등받이부(20)의 제1수평부분(27)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2결합부분(58)(68)은 등받이부(20)의 제1수평부분(27)과 결합된다.
토션부(70)는 착석자의 자세에 따라 등받이부(20)가 등받이받침부(30)에 대해 결합유닛(50)을 중심으로 회전될 시 등받이부(20)의 제2수평부분(28)이 등받이받침부(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결합유닛(50)에 설치된다.
토션부(70)는 고정블럭(73), 토션바(71)로 구비된다.
고정블럭(73)은 결합하우징(51)의 길이방향의 중앙 내측에 고정 결합되는 것으로 결합하우징(51)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도록 설치된다.
고정블럭(73)은 결합하우징(51)과 고정블럭(73)을 관통하는 고정나사(72)에 의해 결합하우징(51)의 내측에 결합된다.
고정블럭(73)은 결합하우징(51)의 내부공간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관통홀(74)이 형성된다.
고정블럭(73)의 관통홀(74)은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적용되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토션바(71)가 삼각, 오각형 등 다각형으로 제작될 시 관통홀(74)도 이와 대응되게 형성된다.
토션바(71)는 사각막대로 형성되어 있고, 길이방향을 따라 비틀림력이 인가될 때 복원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된다.
토션바(71)는 고정블럭(73)의 관통홀(74)에 삽입되어 결합하우징(51)의 내부공간에 결합하우징(51)의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설치된다. 토션바(71)는 양단이 결합하우징(51)의 양측에 구비된 제1,2연결블럭(53)(63)의 제1,2삽입부분(54)(64)에 형성된 제1,2 체결홈(56)(66)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토션바(71)는 등받이받침부(30)에 대해 결합유닛(50)을 중심으로 등받이부(20)가 회전될 시, 토션바(71)의 양단에 고정된 제1,2연결블럭(53)(63)의 회전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비틀림을 허용하되 복원력을 제공한다.
토션바(71)는 코일스프링 보다 단위체적당 탄성에너지가 크고 모양이 간단하여 설치가 쉽고 비틀림이 발생했을 시 복원력이 우수하다.
또한, 토션바(71)는 비틀림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가해지는 힘 즉, 비틀림 모멘트의 큰 값을 요구 하기 때문에 적은 힘에 쉽게 비틀려지지 않도록 한다.
이에, 토션부(70)는, 좌석부(10)에 착석한 사용자로부터 등받이부(20)를 통해 후방으로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등받이부(20)가 결합유닛을 중심으로 등받이받침부(30)에 대해 등받이받침부(30)측으로 회전 될 시, 등받이부(20)가 본래자리로 돌아가도록 충분한 복원력을 제공한다. 또한, 착석한 사용자의 가압력에 따라 쉽게 회전되지 않아 착석자의 등부분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지지력을 제공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토션의자(1)는 결합유닛과 토션부가 등받이부와 등받이받침부의 상부 중앙에 단일로 구비되어 조립과정이 매우 단순하다. 이에, 본 발명의 토션의자는 쉽게 제조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조만으로 등받이부의 틸팅효과를 효과적으로 구현한다.
또한, 본 발명의 토션의자는 단일로 구비된 결합유닛과 토션부에 의해 틸팅 작동이 동시에 이루어짐에 따라 토션부의 좌우에 인가되는 가압력이 일정하여 반복적인 사용시에도 탄성력이 일정하게 감쇄되고, 탄성력에 편차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 4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결합유닛과 토션부가 구비되어 있다.
이하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토션부(75)는 로드(77)와 토션고무층(79)을 구비한다.
로드(77)는 결합하우징(51)의 내부공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양단이 제1,2연결블럭(53)(63)의 제1,2체결홈(56)(66)에 각각 고정된다.
로드(77)는 강체소재의 사각단면을 갖는 막대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원형, 다각형등 다양한 단면을 갖는 막대 모두 적용이 가능하며, 내부공간을 갖는 중공형도 가능하다.
토션고무층(79)은 로드(77)와 결합하우징(51) 내측의 사이공간을 고무소재로 채운 것으로 양단을 제외한 토션고무층(79)의 외부면은 결합하우징(51)의 내주면과 결합되어 있으며, 로드(77)와 축결합되어 있다.
토션고무층(79)은 제1,2연결블럭(53)(63)의 회전에 의해 로드(77)가 회전될 시 토션고무층(79)의 길이방향으로 비틀림이 발생하고 반대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한다.
토션고무층(79)는 단위체적당 탄성에너지가 큰 고무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 하며, 결합하우징(51)의 내부공간의 구조와 상관없이 형성할 수 있으며, 작은 크기의 좁은 공간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6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결합유닛과 토션부가 도시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토션부(80)는 토션고무층(83)의 양측에 접합되게 설치되는 제1,2디스크(85)(87)를 더 구비한다.
토션고무층(83)은 도 5 내지 도 7의 토션고무층과 동일기능을 하나 양단에 제1,2디스크부가 접합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결합하우징(51)의 내부공간에서 도 5 내지 도 7의 토션고무층의 형성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제1,2디스크부(85)(87)는 토션고무층(83)의 양단면과 결합되고 결합하우징(51)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도록 설치되며, 강체소재로 이루어진다.
제1,2 디스크부(85)(87)는 로드(81)에 관통될 수 있도록 로드(81)의 단면형상과 대응되는 제1,2 디스크홈(84)(86)이 형성된다.
로드(81)는 도 5 내지 도 6의 로드와 동일한 구조와 재질로 동일한 기능을 한다.
제1,2디스크부는 제1,2연결블럭(53)(63)의 회전에 의해 로드(81)가 회전 되고 이로 인해 토션고무층(83)의 내부면이 회전될 시, 로드(81)에 의해 회전되고 토션고무층(83)의 양단면과 접합되어 비틀리는 면적이 증대되어 더 큰 비틀림 모멘트를 요구한다.
이에 등받이받침부(30)에 대해 등받이받침부(30)측으로 회전 될 시에도 좌석부(10)에 착석한 사용자의 등부분을 지지하는 지지력이 증대된다.
도 8 내지 도 9 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결합유닛과 토션부가 구비되어 있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토션부(90)는 로드(91),토션고무층(93), 토션고무층(93)의 내부에 매설되는 토션스프링(95)이 구비된다.
로드(91)는 도 5 내지 도 6의 로드와 동일한 구조와 재질로 동일한 기능을 한다.
토션스프링(95)은 사각 또는 원형 단면의 압축 코일스프링 형태로 되어 있으며, 토션스프링(95)의 내부에 로드(91)가 길이방향으로 위치되도록 결합하우징(51)의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된다.
토션스프링(95)의 양단은 제1,2연결블럭(53)(63)에 각각 각각 고정된다.
이때, 제1,2연결블럭(53)(63)의 제1,2삽입부분(56)(66)에는 토션스프링(95)의 양단이 삽입되어 고정 수 있도록 사각 또는 원형단면의 제1,2스프링홈(92)(94)이 인입되어 형성된다.
토션고무층(93)은 로드(91)와 토션스프링(95)이 설치된 결합하우징(51)의 내부공간에 내측의 사이공간을 고무소재로 채운 것으로 양단을 제외한 토션고무층(93)의 외부면은 결합하우징(51)의 내주면과 결합되어 있으며, 로드(91)와 축결합되어 있다. 이에, 토션스프링(95)은 제1,2스프링홈(92)(94)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양단부를 제외하고 토션고무층(93)에 매설되어 설치된다.
토션고무층(93)과 토션스프링(95)이 제1,2연결블럭(53)(63)의 회전에 의해 로드(91)가 회전될 시 토션고무층(93)과 토션스프링(95)이 동시에 각각의 길이방향으로 비틀림이 발생하고 반대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한다.
토션고무층(93)과 토션스프링(95)이 구비된 토션부(90)는 탄성에너지가 더욱 커지고, 비틀림 모멘트의 값이 크게 필요하기 때문에 등받이받침부에 대해 회전하는 등받이부의 지지력이 증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토션의자는 등받이부와 등받이받침부를 결합시키는 결합유닛이 등받이부의 상부 중앙에 단일로 구비되고 내부에 토션부가 구비되어 간단한 구조로 등받이부의 틸팅효과를 효과적으로 구현한다. 이와 같은 토션의자는 조립공정이 단순화되어 손쉽게 제작할 수 있으며, 고장시에도 수리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토션의자는 단일로 구비된 결합유닛과 토션부에 의해 틸팅 작동이 동시에 이루어짐에 따라 토션부의 좌우에 인가되는 가압력이 일정하여 반복적인 사용시에도 탄성력이 일정하게 감쇄되고, 탄성력에 편차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토션의자의 토션부는 단위체적당 탄성에너지가 크고, 비틀림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가해지는 힘 즉, 비틀림 모멘트의 값이 크게 필요하기 때문에 등받이받침부에 대해 회전하는 등받이부의 지지력을 증대시켜 착석자의 안락함을 증진시킨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 : 토션의자 10 : 착석부
20 : 등받이부 30 : 등받이받침부
50 : 결합유닛 70 : 토션부

Claims (5)

  1.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된 의자에 있어서,
    사용자가 착석하는 착석부와;
    상기 착석부에 착석한 사용자의 등부분과 대향되게 상기 착석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등받이받침부와;
    상기 등받이받침부의 상부에서 결합유닛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착석한 사용자의 등부분에서 사용자의 허리부분까지 지지할 수 있게 하방으로 연장된 등받이부와;
    상기 등받이부의 하단이 상기 등받이받침부를 향해 회동될 시, 상기 등받이부의 하단이 상기 등받이받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결합유닛에 설치되는 토션부;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유닛은 양측이 개방된 내부공간을 갖는 관형으로 형성된 결합하우징과, 상기 결합하우징의 개방된 양측에 각각의 일측이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2연결블럭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하우징은 상기 등받이부의 상기 등받이받침부와 대향되는 일측 상부 중앙에 설치되고 상기 제1,2연결블럭은 타측이 상기 등받이받침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등받이 받침부와 결합되거나, 상기 결합하우징은 상기 등받이받침부의 상기 등받이부와 대향되는 일측 상부 중앙에 설치되고 상기 제1,2연결블럭은 타측이 상기 등받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등받이부와 결합되고,
    상기 토션부는 상기 결합하우징의 내부공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양단이 상기 제1,2연결블럭에 각각 고정된 로드와, 상기 로드와 상기 결합하우징의 내측의 사이공간을 고무소재로 채운 토션고무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2연결블럭은 상기 로드의 양단이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결합하우징에 삽입되는 일측에 상기 로드의 단면형상과 대응되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토션고무층은 상기 제1,2연결블럭의 회전에 의해 상기 로드가 회전될 시 상기 토션고무층의 길이방향으로 비틀림이 발생하고 반대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의자.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하우징은 원형관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토션고무층의 양측에 상기 결합하우징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도록 접합되게 설치되며 강체소재로된 제1,2디스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2 디스크부는 상기 로드가 관통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로드의 단면형상과 대응되는 제1,2 디스크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의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부는 상기 토션고무층의 내부에 매설되고 양단이 상기 제1,2연결블럭에 각각 삽입되어 설치되는 토션스프링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2연결블럭은 상기 토션스프링의 양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결합하우징에 삽입되는 일측에 상기 토션스프링의 단면형상과 대응되는 스프링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의자.



KR1020170173137A 2017-12-15 2017-12-15 토션의자 KR101857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137A KR101857235B1 (ko) 2017-12-15 2017-12-15 토션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137A KR101857235B1 (ko) 2017-12-15 2017-12-15 토션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7235B1 true KR101857235B1 (ko) 2018-05-11

Family

ID=62185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3137A KR101857235B1 (ko) 2017-12-15 2017-12-15 토션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723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860B1 (ko) * 2010-07-01 2011-02-15 박점희 허리지지용 의자
CN103284505A (zh) * 2012-03-05 2013-09-11 及桦实业股份有限公司 支撑人体腰部的靠背倾仰结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860B1 (ko) * 2010-07-01 2011-02-15 박점희 허리지지용 의자
CN103284505A (zh) * 2012-03-05 2013-09-11 及桦实业股份有限公司 支撑人体腰部的靠背倾仰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3799B1 (ko) 좌판 틸팅형 의자
CA2057712C (en) Back support and internal frame
US11160378B2 (en) Stadium chair
KR101143619B1 (ko) 좌판 틸팅장치 및 그를 구비한 의자
AU2010308638B2 (en) A sitting arrangement
KR101967182B1 (ko) 접이식 의자
US6942295B1 (en) Reclining chair system
KR102184795B1 (ko) 착석감 및 탄성을 높인 의자
KR20060102925A (ko) 의자등받이의 틸팅 구조
KR101857235B1 (ko) 토션의자
US20150021971A1 (en) Internal support for a backrest for a chair
KR100722991B1 (ko) 등받이가 밀착되는 의자
JP3782378B2 (ja) 人体支持構造体
CN211065798U (zh) 一种弹性框件及具有该弹性框件的弹性组件座和椅子
KR200430620Y1 (ko) 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절 구조
US10702066B2 (en) Office chair
JP2013530786A (ja) シート座面姿勢調整
JP4043032B2 (ja) 椅子
GB2565537B (en) Office chair
CN210696761U (zh) 一种舒适型座椅
EP3653082B1 (en) Office chair
CN209825885U (zh) 一种可摇动导演椅
KR102147959B1 (ko) 스마트의자
KR102076954B1 (ko) 트위스트 모션 의자용 지지구조
KR200375178Y1 (ko) 의자용 이중 등받이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