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7232B1 - 케이블의 탈부착이 가능한 커넥터 - Google Patents
케이블의 탈부착이 가능한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57232B1 KR101857232B1 KR1020170110753A KR20170110753A KR101857232B1 KR 101857232 B1 KR101857232 B1 KR 101857232B1 KR 1020170110753 A KR1020170110753 A KR 1020170110753A KR 20170110753 A KR20170110753 A KR 20170110753A KR 101857232 B1 KR101857232 B1 KR 1018572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ble
- pin
- housing
- cover
- open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0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teeth, prongs, pins or needles penetrating the insula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의 탈부착이 가능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선 등의 케이블과 센서 등의 외부기기 상호 간을 중간에서 연결하는 장치로서, 하우징에 결합한 케이블접속핀의 단부가 상방으로 구부러진 절곡부를 형성하고, 절곡부의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부가 형성되어 절개부 사이에 케이블을 끼우는 방식으로 연결하여 케이블접속핀과 케이블 간에 탈부착이 용이하며, 케이블접속핀의 절곡부에 형성된 절개부에 케이블이 끼워질 때 자동으로 케이블의 피복이 잘라져 케이블접속핀과 케이블이 통전 상태가 되게 함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시 킬 수 있고, 케이블접속핀이 길이에 따라 길고, 짧은 핀이 상호 교번적으로 나열되어 케이블접속핀과 연결되는 케이블 상호 간에 발생할 수 있는 합선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케이블의 탈부착이 가능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측 일부가 밀폐된 밀폐부와 상측 일부가 개방된 개방부로 구성되며, 상측 일부가 밀폐된 밀폐부의 일측 면에는 다수의 핀삽입공이 나란하게 형성되고, 밀폐부의 타측 면에는 핀삽입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센서를 포함한 외부기기의 단자핀이 연결될 수 있는 다수의 외부기기 접속단자가 형성된 하우징; 및 일측이 하우징에 형성된 핀삽입공에 삽입되어 하우징의 밀폐부 내측에 위치하고, 타측은 하우징의 개방부에 위치하며, 개방부에 위치한 타측의 단부는 상방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형성하고, 절곡부의 중앙부에는 케이블이 끼워질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소정길이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며, 합선을 방지하기 위해 길이가 긴 것과 짧은 것이 교번적으로 나열되는 다수의 케이블접속핀을 포함하는 케이블의 탈부착이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측 일부가 밀폐된 밀폐부와 상측 일부가 개방된 개방부로 구성되며, 상측 일부가 밀폐된 밀폐부의 일측 면에는 다수의 핀삽입공이 나란하게 형성되고, 밀폐부의 타측 면에는 핀삽입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센서를 포함한 외부기기의 단자핀이 연결될 수 있는 다수의 외부기기 접속단자가 형성된 하우징; 및 일측이 하우징에 형성된 핀삽입공에 삽입되어 하우징의 밀폐부 내측에 위치하고, 타측은 하우징의 개방부에 위치하며, 개방부에 위치한 타측의 단부는 상방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형성하고, 절곡부의 중앙부에는 케이블이 끼워질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소정길이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며, 합선을 방지하기 위해 길이가 긴 것과 짧은 것이 교번적으로 나열되는 다수의 케이블접속핀을 포함하는 케이블의 탈부착이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케이블의 탈부착이 가능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선 등의 케이블과 센서 등의 외부기기 상호 간을 중간에서 연결하는 장치로서, 하우징에 결합한 케이블접속핀의 단부가 상방으로 구부러진 절곡부를 형성하고, 절곡부의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부가 형성되어 절개부 사이에 케이블을 끼우는 방식으로 연결하여 케이블접속핀과 케이블 간에 탈부착이 용이하며, 케이블접속핀의 절곡부에 형성된 절개부에 케이블이 끼워질 때 자동으로 케이블의 피복이 잘라져 케이블접속핀과 케이블이 통전 상태가 되게 함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시 킬 수 있고, 케이블접속핀이 길이에 따라 길고, 짧은 핀이 상호 교번적으로 나열되어 케이블접속핀과 연결되는 케이블 상호 간에 발생할 수 있는 합선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케이블의 탈부착이 가능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전기가 통하도록 전기 기구와 전선, 또는 전선과 전선을 서로 연결하여 주는 접속 기구로서,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전선과 전기 기구들을 연결하는데 사용하고 있다.
첨단 기술 시장과 마찬가지로 커넥터, 케이블 어셈블리 시장도 기술의 발전과 시장 변동에 의해 좌우되며, 커넥터 산업의 기술 혁명은 1970년대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의 변화에서 시작돼 1980년대의 핵심 기술인 표면 실장 기술과 함께 도약으로 이어졌다. 커넥터, 케이블 어셈블리, 백 패널 산업의 5대 주요 시장은 컴퓨터, 통신, 유무선 통신, 데이터컴, 가전이다. 이 5대 시장은 날로 발전을 거듭하고 있기 때문에 커넥터 산업의 발전도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시스템의 공통적인 요소는 시스템의 와이어링(Wiring), 케이블링(Cabling), 상호 접속(Interconnection)이다. 이 요소는 흔히 전자 또는 전기적인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 되며, 회로 설계를 완벽하게 했다고 할지라도 커넥터 설계 및 상호 접속에 주의하지 않는다면 그 시스템은 정상적인 동작을 기대할 수도 없으며, 때로는 치명적인 손상을 발생시킨다. 와이어링, 케이블링, 상호 접속의 요소를 분석하고 적절하게 선택하는 것만이 사용된 시스템의 최적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센서 등의 전기 기구와 연결되는 커넥터를 전선을 연결할 때 전선의 절연 피복을 수작업으로 벗긴 후, 커넥터에 구비된 접속 단자와 전선 간에 납땜 등의 융착 방식을 이용하여 연결한다.
이러한 방식은 작업자의 수작업을 통해 진행되므로 작업시간이 길어져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납땜한 부위가 불량할 경우 시스템의 잡음 유발, 전기적 합선 등이 발생 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커넥터와 전선을 분리할 때 융착된 납을 수작업으로 제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센서 등의 전기 기구가 연결되는 커넥터와 전선을 연결할 때 전선의 피복을 벗기지 않고, 커넥터의 접속 단자와 전선이 쉽게 탈부착 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커넥터에 접속된 전선 상호 간에 발생할 수 있는 합선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커넥터가 필요하다.
선행기술문헌 : KR등록특허공보 제10-1015197호(2011.02.18.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선 등의 케이블과 센서 등의 외부기기 상호 간을 중간에서 연결하는 장치로서, 하우징에 결합한 케이블접속핀의 단부가 상방으로 구부러진 절곡부를 형성하고, 절곡부의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부가 형성되어 절개부 사이에 케이블을 끼우는 방식으로 연결하여 케이블접속핀과 케이블 간에 탈부착이 용이하며, 케이블접속핀의 절곡부에 형성된 절개부에 케이블이 끼워질 때 자동으로 케이블의 피복이 잘라져 케이블접속핀과 케이블이 통전 상태가 되게 함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시 킬 수 있고, 케이블접속핀이 길이에 따라 길고, 짧은 핀이 상호 교번적으로 나열되어 케이블접속핀과 연결되는 케이블 상호 간에 발생할 수 있는 합선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케이블의 탈부착이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의 탈부착이 가능한 커넥터는 상측 일부가 밀폐된 밀폐부와 상측 일부가 개방된 개방부로 구성되며, 상측 일부가 밀폐된 밀폐부의 일측 면에는 다수의 핀삽입공이 나란하게 형성되고, 밀폐부의 타측 면에는 핀삽입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센서를 포함한 외부기기의 단자핀이 연결될 수 있는 다수의 외부기기 접속단자가 형성된 하우징; 및 일측이 하우징에 형성된 핀삽입공에 삽입되어 하우징의 밀폐부 내측에 위치하고, 타측은 하우징의 개방부에 위치하며, 개방부에 위치한 타측의 단부는 상방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형성하고, 절곡부의 중앙부에는 케이블이 끼워질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소정길이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며, 합선을 방지하기 위해 길이가 긴 것과 짧은 것이 교번적으로 나열되는 다수의 케이블접속핀를 포함한다.
또한, 내면에 각 케이블접속핀의 절개부에 끼워진 케이블의 하측 외주면이 길이 방향으로 안착 될 수 있는 다수의 케이블안착홈이 나란하게 형성되고, 교번적으로 위치하는 각 케이블접속핀에 형성된 절곡부의 위치와 상응하는 위치에 절곡부삽입공이 형성되어 각 케이블 접속핀의 절곡부가 절곡부삽입공을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으며, 하우징의 개방부 내측에 결합하는 케이블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내면에 각 케이블접속핀 절개부에 끼워진 케이블의 상측 외주면이 길이 방향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다수의 케이블삽입홈이 나란하게 형성되고, 교번적으로 위치하는 각 케이블접속핀에 형성된 절곡부의 위치와 상응하는 위치에 절곡부삽입홈이 형성되어 각 케이블접속핀의 절곡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하우징의 개방부를 개폐할 수 있는 핀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와 케이블 상호 간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고, 케이블이 커넥터에 연결될 때 자동으로 케이블의 피복이 잘라져 통전 상태가 되게 함으로써 케이블의 피복을 수작업으로 벗겨낼 필요가 없어 작업시간 단축으로 인한 작업효율을 향상시 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넥터에 연결되는 케이블 상호 간에 발생할 수 있는 합선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의 탈부착이 가능한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하우징에 결합한 케이블접속핀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하우징에 결합한 케이블접속핀을 확대한 도면,
도 4는 케이블베이스와 케이블베이스가 하우징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케이블접속핀에 결합한 케이블의 상태와 핀커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하우징에 결합한 케이블접속핀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하우징에 결합한 케이블접속핀을 확대한 도면,
도 4는 케이블베이스와 케이블베이스가 하우징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케이블접속핀에 결합한 케이블의 상태와 핀커버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의 탈부착이 가능한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하우징에 결합한 케이블접속핀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하우징에 결합한 케이블접속핀을 확대한 도면, 도 4는 케이블베이스와 케이블베이스가 하우징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케이블접속핀에 결합한 케이블의 상태와 핀커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의 탈부착이 가능한 커넥터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징(10), 케이블접속핀(20), 케이블베이스(30), 핀커버(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의 탈부착이 가능한 커넥터는 전선 등의 케이블과 센서 등을 포함한 외부기기 상호 간을 중간에서 연결하는 장치로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에 결합한 케이블접속핀(20)의 단부가 상방으로 구부러진 절곡부(22)를 형성하고, 절곡부(22)의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절개부(24)에 케이블을 끼우는 방식으로 연결하여 케이블접속핀(20)과 케이블 상호 간에 탈부착이 용이한 특징이 있다.
한편, 케이블접속핀(20)의 절곡부(22)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절개부(24)에 케이블이 끼워질 때 케이블의 피복이 자동으로 잘라져 통전 상태가 되게 하여 케이블의 피복을 수작업으로 일일이 벗겨낼 필요가 없어 작업시간을 단축시 킬 수 있는데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케이블접속핀(20)이 길이에 따라 길고, 짧은 핀이 상호 교번적으로 나열되어 케이블접속핀(20)과 연결되는 케이블 상호 간에 발생할 수 있는 합선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의 탈부착이 가능한 커넥터의 구성 요소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우징(10)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절연 케이스 기능을 수행하고, 센서 등의 외부기기에 구비된 단자핀과 아래에 서술된 케이블접속핀(20)이 하우징의 밀폐부(12) 내부에서 통전 상태가 될 수 있도록 상호 연결된다.
하우징(10)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측 일부가 밀폐된 밀폐부(12)와 상측 일부가 개방된 개방부(14)로 구성되며, 상측 일부가 밀폐된 밀폐부(12)의 일측 면에는 아래에 서술된 케이블접속핀(20)의 일측이 삽입될 수 있는 다수의 핀삽입공(16)이 나란하게 형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하우징(10)의 밀폐부(12) 타측 면에는 일측 면에 형성된 핀삽입공(16)과 대응하는 위치에 센서를 포함한 외부기기에 구비된 단자핀이 삽입되어 핀삽입공(16)에 삽입된 케이블접속핀(20)과 전기적으로 접합 될 수 있는 다수의 외부기기 접속단자(18)가 나란하게 형성된다.
케이블접속핀(20)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일측이 하우징(10)에 형성된 각각의 핀삽입공(16)에 각 삽입되어 하우징(10)의 밀폐부(12) 내측에 위치하고, 타측은 하우징(10)의 개방부(14)에 위치한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하우징(10)의 개방부(14)에 위치한 케이블접속핀(20)의 타측 단부는 소정길이 상방으로 절곡된 절곡부(22)를 형성하고, 다수의 케이블접속핀(20)은 케이블이 각 케이블접속핀(20)과 결합할 때 합선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길이가 긴 것과 짧은 것이 교번적으로 나열된다.
또한, 각 케이블접속핀(20)에서 상방으로 절곡된 절곡부(22)의 중앙부에는 케이블이 상방에서 하방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소정길이 절개된 절개부(24)가 형성된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케이블이 절개부(24)에 삽입될 때 억지끼움 방식으로 케이블이 절개부(24)에 끼워지도록 하여 케이블이 절곡부(22)에 형성된 절개부(24)에 끼워질 때 케이블의 피복이 절개부(24)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자동으로 잘려 케이블과 케이블접속핀(20)이 통전 상태가 되게 한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접속핀(20)의 절곡부(22)에 형성된 절개부(24)에 케이블이 끼워질 때 케이블이 진입하는 부분의 폭을 넓혀 케이블이 절개부(24) 내측으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절개부(24)의 외측 단부에는 내측 방향으로 모따기가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케이블베이스(30)는 도 4를 참조하면, 아래에 서술된 핀커버(40)와 상호 조합을 이루며 케이블을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하여 고정하고, 케이블의 합선을 방지하는 절연체 기능을 수행한다.
케이블베이스(3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개방부(10) 내측 하면에 결합하고, 하우징(10)의 핀삽입공(16)에 삽입되는 각 케이블의 하측을 길이방향으로 지지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케이블베이스(30)의 내면에는 각 케이블접속핀(20)의 절개부(24)에 끼워진 케이블의 하측 외주면이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어 안착 될 수 있도록 다수의 케이블안착홈(32)이 나란하게 형성된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베이스(30)에는 길이가 긴 것과 짧은 것이 교번적으로 위치하는 각 케이블접속핀의 절곡부(22)의 위치와 상응하는 위치에 절곡부삽입공(34)이 형성되어 케이블베이스(30)가 하우징의 개방부(14) 내측에 끼워질 때 각 케이블접속핀의 절곡부(22)가 절곡부삽입공(34)을 관통하며 삽입된다.
핀커버(40)는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징(10)의 개방부(14)를 탈부착 방식으로 개폐하는 부재로서, 케이블접속핀(20)에 연결된 케이블을 상측에서 밀폐시거나, 케이블접속핀(20)에 케이블을 끼우기 위해 하우징(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핀커버(40)의 내면에는 각 케이블접속핀(20)의 절개부(24)에 끼워진 케이블의 상측 외주면의 일부가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케이블베이스(30)의 케이블안착홈(22)과 상응하는 위치에 다수의 케이블삽입홈(42)이 나란하게 형성된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커버(40)의 내면에는 상호 교번하여 위치하는 케이블접속핀(20)의 절곡부(22)와 상응하는 위치에 다수의 절곡부삽입홈(44)이 상호 교번적으로 형성되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커버(40)가 하우징(10)의 개방부(14)를 덮으며 밀폐시킬 때 각 케이블접속핀(20)의 절곡부(22)가 핀커버의 각 절곡부삽입홈(44)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즉, 핀커버(40)를 하우징(10)의 개방부(14)에 결합시킬 때, 핀커버(40)를 하방으로 누르면 케이블접속핀(20)의 절개부(24) 상단부에 끼워진 케이블이 핀커버(40)에 형성된 케이블삽입홈(42)에 삽입되어 압착되며, 케이블이 케이블접속핀(20)의 절개부(24)를 따라 하방으로 내려가며 피복이 잘라지고, 케이블접속핀(20)의 절곡부(22) 상측 단부가 핀커버(40)의 절곡부삽입홈(44)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하우징 12 - 밀폐부
14 - 개방부 16 - 핀삽입공
18 - 외부기기 접속단자 20 - 케이블접속핀
22 - 절곡부 24 - 절개부
30 - 케이블베이스 32 - 케이블안착홈
34 - 절곡부삽입공 40 - 핀커버
42 - 케이블삽입홈 44 - 절곡부삽입홈
14 - 개방부 16 - 핀삽입공
18 - 외부기기 접속단자 20 - 케이블접속핀
22 - 절곡부 24 - 절개부
30 - 케이블베이스 32 - 케이블안착홈
34 - 절곡부삽입공 40 - 핀커버
42 - 케이블삽입홈 44 - 절곡부삽입홈
Claims (3)
- 상측 일부가 밀폐된 밀폐부와 상측 일부가 개방된 개방부로 구성되며, 상측 일부가 밀폐된 밀폐부의 일측 면에는 다수의 핀삽입공이 나란하게 형성되고, 밀폐부의 타측 면에는 핀삽입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센서를 포함한 외부기기의 단자핀이 연결될 수 있는 다수의 외부기기 접속단자가 형성된 하우징;
일측이 하우징에 형성된 핀삽입공에 삽입되어 하우징의 밀폐부 내측에 위치하고, 타측은 하우징의 개방부에 위치하며, 개방부에 위치한 타측의 단부는 상방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형성하고, 절곡부의 중앙부에는 케이블이 끼워질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소정길이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며, 합선을 방지하기 위해 길이가 긴 것과 짧은 것이 교번적으로 나열되는 다수의 케이블접속핀;
내면에 각 케이블접속핀의 절개부에 끼워진 케이블의 하측 외주면이 길이 방향으로 안착 될 수 있는 다수의 케이블안착홈이 나란하게 형성되고, 교번적으로 위치하는 각 케이블접속핀에 형성된 절곡부의 위치와 상응하는 위치에 절곡부삽입공이 형성되어 각 케이블 접속핀의 절곡부가 절곡부삽입공을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으며, 하우징의 개방부 내측에 결합하는 케이블베이스; 및
내면에 각 케이블접속핀 절개부에 끼워진 케이블의 상측 외주면이 길이 방향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다수의 케이블삽입홈이 나란하게 형성되고, 교번적으로 위치하는 각 케이블접속핀에 형성된 절곡부의 위치와 상응하는 위치에 절곡부삽입홈이 형성되어 각 케이블접속핀의 절곡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하우징의 개방부를 개폐할 수 있는 핀커버
를 포함하고,
핀커버를 하우징의 개방부에 결합시킬 때, 핀커버를 하방으로 누르면 케이블접속핀의 절개부 상단부에 끼워진 케이블이 핀커버에 형성된 케이블삽입홈에 삽입되어 압착되며, 케이블이 케이블접속핀의 절개부를 따라 하방으로 내려가며 피복이 잘라지고, 케이블접속핀의 절곡부 상측 단부가 핀커버의 절곡부삽입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
을 포함하는, 케이블의 탈부착이 가능한 커넥터.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10753A KR101857232B1 (ko) | 2017-08-31 | 2017-08-31 | 케이블의 탈부착이 가능한 커넥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10753A KR101857232B1 (ko) | 2017-08-31 | 2017-08-31 | 케이블의 탈부착이 가능한 커넥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57232B1 true KR101857232B1 (ko) | 2018-05-11 |
Family
ID=62185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10753A KR101857232B1 (ko) | 2017-08-31 | 2017-08-31 | 케이블의 탈부착이 가능한 커넥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5723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25804B1 (ko) * | 2021-04-29 | 2021-11-11 | 김형주 | 딥러닝과 IoT 기반의 객체 출입통제장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0837Y1 (ko) * | 2010-07-28 | 2010-11-04 | 대림전기주식회사 | 승강로 전선 분기 연결 구조 |
-
2017
- 2017-08-31 KR KR1020170110753A patent/KR10185723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0837Y1 (ko) * | 2010-07-28 | 2010-11-04 | 대림전기주식회사 | 승강로 전선 분기 연결 구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25804B1 (ko) * | 2021-04-29 | 2021-11-11 | 김형주 | 딥러닝과 IoT 기반의 객체 출입통제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066243B2 (ja) | 電気コネクタ、およびツイストペアケーブルと電気コネクタとの接続方法 | |
US4533199A (en) | IDC termination for coaxial cable | |
US5324213A (en) | Ballast connector | |
US5076801A (en) | Electronic component including insulation displacement interconnect means | |
US5364288A (en) |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 |
JPH0227673A (ja) | モジュラジャック接続ブロック | |
JP4177260B2 (ja) | モールド形電気コネクタ | |
US7037118B2 (en) | Access module | |
RU2722920C1 (ru) | Междупроводной соединитель с перемычкой | |
JPH0580114B2 (ko) | ||
KR102233071B1 (ko) | 인쇄 회로 기판을 가지는 일회용 전기 커넥터 | |
KR101873950B1 (ko) | 전자 장치의 패키지 케이스 | |
US4533193A (en) | IDC termination for coaxial cable having alignment & stabilizing means | |
JP5212499B2 (ja) |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 |
KR101550994B1 (ko) |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 |
EP3067992B1 (en) | Electrical connector kit, electronic component, and assembly method | |
KR101857232B1 (ko) | 케이블의 탈부착이 가능한 커넥터 | |
US6743042B2 (en) | Piercing contact clip | |
US10971849B2 (en) |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 |
US7534151B1 (en) |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 |
JP2006221863A (ja) | 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CN111226353A (zh) | 用于电接触的装置 | |
US4917633A (en) | Separable connection device between a conducting lug and at least one connection wire | |
EP3349318A1 (en) | Surge protection device base | |
KR100532561B1 (ko) | 개선된 단자 구조를 갖는 표면 장착 커넥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