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6294B1 -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스크롤링 광고장치 - Google Patents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스크롤링 광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6294B1
KR101856294B1 KR1020150147068A KR20150147068A KR101856294B1 KR 101856294 B1 KR101856294 B1 KR 101856294B1 KR 1020150147068 A KR1020150147068 A KR 1020150147068A KR 20150147068 A KR20150147068 A KR 20150147068A KR 101856294 B1 KR101856294 B1 KR 101856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advertisement
motor
rollers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7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6896A (ko
Inventor
서진수
Original Assignee
서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진수 filed Critical 서진수
Priority to KR1020150147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6294B1/ko
Publication of KR20170046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6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6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6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1/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 G09F11/24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the advertising or display material forming part of a moving band, e.g. in the form of perforations, prints, or transparencies
    • G09F11/29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the advertising or display material forming part of a moving band, e.g. in the form of perforations, prints, or transparencies of a band other than endl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1/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 G09F11/24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the advertising or display material forming part of a moving band, e.g. in the form of perforations, prints, or transparencies
    • G09F11/29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the advertising or display material forming part of a moving band, e.g. in the form of perforations, prints, or transparencies of a band other than endless
    • G09F11/295Electric control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3Frames or casing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7/007Displays with power supply provided by solar cells or photo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isplays For Variable Information Using Movable Mean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롤링 광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의 내부에 상,하부롤러를 구성하고 상기 상,하부롤러 사이에 실사로 출력된 광고물을 게재하여 상기 광고물이 스크롤 즉, 상부롤러와 하부롤러 사이로 이동되면서 외부로 노출되어 광고효과를 높이며, 상기 상부롤러와 하부롤러의 구동 및 조명장치의 전원으로 태양광발전 전력을 사용하는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스크롤링 광고장치이다.

Description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스크롤링 광고장치{scrolling advertisement apparatus by photovoltaic power system}
본 발명은 스크롤링 광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의 내부에 상,하부롤러를 구성하고 상기 상,하부롤러 사이에 실사로 출력된 광고물을 게재하여 상기 광고물이 스크롤 즉, 상부롤러와 하부롤러 사이로 이동되면서 외부로 노출되어 광고효과를 높이며, 상기 상부롤러와 하부롤러의 구동 및 조명장치의 전원으로 태양광발전 전력을 사용하는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스크롤링 광고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실내나 실외에서 행하는 외부광고는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특정한 정보를 담은 광고를 불특정 다수에게 노출하는 것으로서, 대형 광고장치의 경우 건물의 옥상이나 벽면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대형 광고장치는 광고장치 자체의 가격이 비교적 상당하여 광고비 또한 높으며, 이로써 중소기업에서 활용하기에는 그 비용으로 인해 활용도가 떨어진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스크롤링 광고장치가 있다. 이러한 스크롤링 광고장치는 프레임 내에 상,하부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상,하부롤러 사이에 실사출력물을 게재하여 상기 실사출력물을 스크롤 시킴으로써 광고가 그대로 정지해 있는 것이 아니라 움직이도록 하여 사람의 시선을 끌게 함으로써 광고효과를 높이게 된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서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특허공개 제10-2012-0066616호에 제안되어 있는 스크롤링 포스터 시스템의 리셋 장치 및 원리가 있다.
상기 공개특허에는 상하부 모터에 감속기와 엔코더를 각각 부착하여, 상하부 롤러에 내장삽입설치하고, 프레임의 상부 좌우측, 하부 좌우측에 브라켓을 고정하여, 롤러에 플랜지를 삽입하여, 축지지부를 브라켓에 삽입하여, 상하부의 롤러 고정시키고, 모터의 전원과 엔코더의 데이터신호를 전송하는 상하부 입출력 케이블은 메인컨트롤박스에 연결하여, 상하부의 모터의 전원과 모터축의 회전각도를 디지털신호로 입출력하여 상하부 모터를 제어하며, 리모콘을 메인컨트롤박스에 연결하여, 정해진 시간에 시스템 ON/OFF, 실사출력물의 이미지 수 입력, 실사출력물의 노출 시간, 실사출력물의 정확한 위치제어 등 각종기능들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전원공급장치는 110/220V의 전기를 입력받아 메인컨트롤박스로 24V 출력하여 시스템을 구동시켜 간헐적인 모터의 정역구동에 의해 실사출력물의 광고내용을 전면부의 투명창에 노출시켜 광고효과를 거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링 포스터가 제안되어 있는데, 상,하부롤러 내에 상하부모터를 설치할 때의 구성과 방법을 제시하지 못함으로써 발명의 불완전하며, 실사출력물의 분할위치를 설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으며, 실사출력물을 상,하부롤러 사이로 이동시킬 때 일측의 모터는 정구동, 타측의 모터는 역구동을 함으로써 행하게 되나 이로써 출력물의 떨림이 심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프레임의 내부에 상,하부롤러를 구성하고 상기 상,하부롤러 사이에 실사로 출력된 광고물을 게재하여 상기 광고물이 스크롤 즉, 상부롤러와 하부롤러 사이로 이동되면서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광고효과를 높이되, 상,하부롤러에 가하는 부하를 이용해 광고물의 떨림을 최소화하며, 모터의 구동전원 및 조명을 위한 전원으로 태양광발전 전력을 사용하는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스크롤링 광고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하부롤러 내부에 모터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모터의 구동에 따른 떨림을 방지할 수 있는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스크롤링 광고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상,하부롤러의 길이방향으로 광고물끼움홈을 형성하고, 상기 광고물끼움홈에 광고물의 단부가 끼워진 끼움블록을 체결하도록 구성하여 광고물의 착탈이 편리하고, 광고물의 교체가 편리한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스크롤링 광고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광고물에 대한 분할위치를 정확한 제어할 수 있어 광고물의 길이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스크롤링 광고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스크롤링 광고장치는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블록과, 상기 지지블록 사이에 설치되는 롤러와, 상기 롤러의 양측에 결합되는 롤러캡과, 상기 롤러 내에 수용되어 롤러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롤러는 상부롤러와 하부롤러로 구성되고, 상기 상,하부롤러에는 실사로 출력된 광고물이 권취되어 있어, 상기 광고물이 상부롤러와 하부롤러 사이를 왕복 이동하면서 권취와 권출이 반복되며, 모터의 구동전원 및 조명을 위한 전원으로 태양광발전 전력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스크롤링 광고장치는 프레임의 내부에 상,하부롤러를 구성하고 상기 상,하부롤러 사이에 실사로 출력된 광고물을 게재하여 상기 광고물이 스크롤 즉, 상부롤러와 하부롤러 사이로 이동되면서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광고효과를 높이되, 상,하부롤러에 가하는 부하를 이용해 광고물의 떨림을 최소화한 효과가 있으며, 상,하부롤러 내부에 모터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모터의 구동에 따른 떨림을 방지할 수 있고, 상,하부롤러의 길이방향으로 광고물끼움홈을 형성하고, 상기 광고물끼움홈에 광고물의 단부가 끼워진 끼움블록을 체결하도록 구성하여 광고물의 착탈이 편리하고, 광고물의 교체가 편리하며, 광고물에 대한 분할위치를 정확한 제어할 수 있어 광고물의 길이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태양광발전으로 발생된 전력을 모터의 구동전원 및 조명용 전원으로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전력선이 필요치 않아 설치장소에 대한 제약을 줄이고 설치가 간편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구성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부구성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분 분리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부분 단면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분 절개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부분 측면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발전장치의 구성도
본 발명은 스크롤링 광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의 내부에 상,하부롤러를 구성하고 상기 상,하부롤러 사이에 실사로 출력된 광고물을 게재하여 상기 광고물이 스크롤 즉, 상부롤러와 하부롤러 사이로 이동되면서 외부로 노출되어 광고효과를 높이며, 상기 상부롤러와 하부롤러의 구동 및 조명장치의 전원으로 태양광발전 전력을 사용하는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스크롤링 광고장치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구성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부구성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분 분리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부분 단면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분 절개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부분 측면구성도로써, 본 발명은 실사로 출력된 광고를 위한 스크롤링 광고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링 광고장치는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1)과, 상기 프레임(1)의 양측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블록(30)과, 상기 지지블록(30) 사이에 설치되는 롤러(10, 20)와, 상기 롤러(10, 20)의 양측에 결합되는 롤러캡(11, 21)과, 상기 롤러(10, 20) 내에 수용되어 롤러를 회전시키는 모터(15, 2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롤러(10, 20)는 상부롤러(10)와 하부롤러(20)로 구성되고, 상기 상,하부롤러(10, 20)에는 실사로 출력된 광고물(2)이 권취되어 있어, 상기 광고물(2)이 상부롤러(10)와 하부롤러(20) 사이를 왕복 이동하면서 권취와 권출이 반복되며, 상기 모터의 구동전원 및 LED램프(3)의 전원으로 태양광발전장치(40)에서 생산한 전력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먼저, 상기 프레임(1)은 지면이나 바닥면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경우에 따라 바닥에 볼트 등을 사용하여 완전히 고정하거나, 별도의 바닥판을 추가로 구성하고 상기 바닥판에 바퀴 등을 설치하여 이동성을 높이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1)은 그 형상에 있어 특별한 제약이 없으며, 도시된 형태는 가로의 길이보다 세로의 길이가 긴 직사각형이며, 광고물의 형상에 따라 정사각형, 삼각형, 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의 내부 양측에는 지지블록(30)이 설치되는데, 도시된 형태는 지지블록(30)을 프레임(1)의 내부 양측에 대향형으로 구성하였으며, 지지블록(30)의 설치위치는 롤러(10, 20)의 회전축에서 연장된 연장선상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지지블록(30)에는 지지블록캡(31)이 착탈될 수 있어 고정파이프(12)를 넣고 고정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지지블록(30) 사이에는 롤러(10, 20)가 설치되는데, 실제 롤러는 지지블록(30)과는 일정거리 떨어져 설치되며, 상기 롤러(10, 20)의 양측에는 롤러캡(11, 21)이 결합된다.
상기 롤러(10, 20)는 내부가 빈 원통으로써 롤러 내부의 공간에는 모터(15)가 삽입되는데, 도시된 형태는 롤러(10, 20) 내부에 감속기(16) 및 엔코더(17)가 모터와 일체로 구성된 기어드모터(geared motor)가 설치된 구성이다.
즉, 상기 기어드모터는 모터(15)와 감속기(16)가 일체형으로 조합된 모터로서, 모터(15)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대신 롤러(10, 20)의 회전을 위한 토크를 증가시키며, 상기 모터(15)의 일측에는 엔코더(16)가 부착되어 모터의 회전수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15)의 모터축 즉, 감속기(16)를 통해 출력되는 출력축에는 롤러(10, 20)를 구동하기 위한 롤러구동기어(18)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롤러구동기어(18)는 도 4와 같이 롤러와의 동력전달을 위해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는 롤러(10)에 형성된 돌기(10a)가 끼워지게 된다.
상기 롤러(10)는 프레임(1)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롤러(10)와, 프레임(1)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롤러(20)로 구성되며, 상기 상,하부롤러(10, 20) 사이에는 실사로 출력된 광고물(2)이 권취되어 있어, 상기 상,하부롤러(10, 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광고물(2)이 롤러(10, 20)에서 권취되거나 권출되게 된다.
상기 상부롤러(10)에 광고물(2)이 권취된 상태에서 하부롤러(20)로 이동하는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하부롤러(20)가 광고물(2)을 권취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부롤러(10)는 무부하 상태가 아닌 광고물을 권취하는 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부하를 가해줌으로써 광고물(2)이 관성에 의해 풀리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광고물(2)의 이동에 의해 떨리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부롤러(10)와 하부롤러(2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부하를 가해줌으로써 상,하부롤러(10, 20) 사이의 광고물이 팽팽한 상태가 유지되면서 상,하부롤러 사이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부롤러(10)에 가해주는 부하는 하부롤러(20)의 부하보다 당연히 작아야하며, 광고물 사이가 끊어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적절한 힘으로 가해져야 한다.
상기 상부모터(15)와 하부모터(25)의 모터축 회전속도는 상,하부롤러(10, 20)에 권취되어 있는 광고물(2)의 권취량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부모터(15)에 광고물이 모두 권취(roll)되었을 경우 상부모터(15)의 모터축이 1회전하여 권출(unroll)되는 광고물의 길이는 하부모터(25)의 모터축이 1회전하여 권취되는 광고물의 길이보다 길게 되므로, 이러한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상,하부모터(15, 25)의 모터축 회전속도는 상부롤러(10)와 하부롤러(20)에 권취된 광고물(2)의 양에 따라 변화를 줌으로써 권출량과 권취량을 비슷하게 유지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상부모터(15)와 하부모터는 롤러(10, 20) 내에서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되, 이러한 고정을 위해 상부모터와 하부모터의 외부에는 고정파이프(12)가 설치되며, 상기 고정파이프(12)와 상,하부모터는 고정핀(32)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고정파이프(12)는 롤러캡(11, 21)에 끼워져 있는 베어링(19)에 의해 롤러캡(11, 21)의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아 회전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즉, 도 3과 도 5를 참조하면, 프레임(1)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블록(30)에는 롤러(10) 내부에 수용되는 고정파이프(12)의 일단이 지지되는데, 상기 고정파이프(12)는 롤러캡(11)의 관통홀(11a)에 고정 결합된 베어링(19)의 내륜과 고정된 상태로 지지블록(30)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파이프(12) 내에는 엔코더가 부착된 기어드모터가 고정 결합되며, 상기 롤러캡(11)에는 베어링(19)의 외륜이 억지끼움방식으로 고정되며, 상기 롤러캡(11)은 롤러와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 고정파이프(12)의 일단은 지지블록(30) 내에 수납될 수 있도록 일정길이 돌출된 돌출부(1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13)에는 돌출부(13)의 원주면을 따라 홈(13a)이 형성되어 있어 스냅링(14)에 의해 돌출부(13)와 베어링(19)의 내륜이 고정되는 구조이며, 돌출부(13)의 일측에는 내부와 외부가 관통된 관통홀(13b)이 형성되어 모터 구동에 필요한 전선(도시하지 않음)이 외부에서 고정파이프(12) 내로 들어갈 수 있다.
따라서, 모터(15)가 구동되어 롤러구동기어(18)가 회전되면 상기 롤러구동기어(18)와 결합된 롤러(10)가 회전되고, 상기 롤러(10)와 결합된 롤러캡(11)은 회전되지만, 베어링(18)에 의해 롤러캡(11)의 회전력이 베어링(19)의 내륜과 고정되어 있는 고정파이프(12) 쪽으로는 전달되지 않아 고정파이프(12)는 지지블록(30)에 고정지지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롤러(10)에는 롤러(10)의 길이방향으로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광고물끼움홈(10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광고물끼움홈(10b)에는 끼움블록(33)이 체결되되, 상기 끼움블록(33)에는 광고물을 끼울 수 있는 홈(33a)이 형성되어, 끼움블록(33)에 형성된 홈(33a)에 광고물을 끼운 뒤 끼움블록(33)을 광고물끼움홈(10b)에 끼우게 되면 상기 끼움블록(33)이 압축되면서 홈(33a) 역시 압축되고 이로써 광고물(2)을 견고하게 고정해줄 수 있다.
상기 끼움블록(33)은 탄성력이 비교적 큰 재질의 소재로 만드는 바람직하며, 이러한 재질로써 플라스틱이나 고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홈(33a)의 폭을 광고물(2)의 폭보다 좁게 형성함으로써 홈(33a)에 끼워진 광고물이 잘 빠지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끼움블록(33)의 크기를 광고물끼움홈(10b)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하여 끼움블록(33)을 광고물끼움홈(10b)에 끼우는 동작만으로도 광고물의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광고물(2)은 보통 하나의 광고만 들어가는 것이 아닌 여러 개의 광고가 필름과 같이 연속적으로 들어갈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광고와 광고 사이의 분할위치가 정확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광고물(2)에 대한 분할위치는 모터(15)에 결합되어 있는 엔코더(17)에 의해 센싱된 모터(15)의 회전수를 수신하는 제어부에서 결정하되, 상기 제어부는 롤러의 최초 구동시 상부롤러(10)에 광고물(2)이 모두 권취된 상태에서 하부롤러(20)를 구동하여 광고물(2)을 권취하고, 이로써 광고물(2)의 총 길이를 파악하며, 이후 광고물(2)에 출력된 광고의 수를 기준으로 나누어 모터의 정지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즉, 상부롤러(10)에 광고물(2)이 모두 권취된 상태에서 하부롤러(20)를 구동하여 상부롤러(10)에 권취되어 있던 광고물(2)을 하부롤러(20) 쪽으로 모두 권취하게 되면, 광고물(2)의 총 길이와 모터(15)의 회전수를 알 수 있으며, 모터(15)의 총 회전수에서 광고물(2)의 수를 나누면 개별 광고물의 분할위치를 알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엔코더(17)에서 센싱한 모터(15)의 회전수를 파악하여 이를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와 유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있는 컨트롤러를 통해 광고물에 출력되어 있는 광고의 수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술한 경우는 광고의 길이가 각각의 광고마다 같아야 하는데, 만약 어느 정도의 길이에 오차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 컨트롤러의 조작에 의해 분할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분할된 광고의 길이가 비교적 길어서 분할위치가 낮을 경우 권취를 위해 가동하는 모터를 조금 더 회전시키도록 조작함으로써 해당 광고의 위치가 상,하부롤러 사이의 정중앙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제어부와 유,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한 리모컨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휴대폰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이용하여 제어부와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어플을 이용하여 광고의 노출시간, 광고장치으 온/오프, 광고의 정지위치 등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미설명부호는 LED램프(3)로써, 광고장치가 야간에도 잘 보일 수 있도록 조명을 제공하며, 이러한 LED램프는 경우에 따라 엘이디칩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터(15, 25)의 구동전원과 LED램프(3)의 전원은 태양광발전장치(40)에서 생산한 전력을 이용하게 되는데, 상기 태양광발전장치(40)는 프레임(1)에 고정되는 고정판(43)과, 상기 고정판(43)에 고정되어 상부로 돌출된 기둥(44)과, 상기 기둥에 결합되어 기둥을 따라 회전될 수 있는 위치추적장치(42)와, 상기 위치추적장치(42)와 고정 결합되어 있는 태양전지판(41)과, 상기 태양전지판(41)에서 발전된 전기를 충전하는 축전지(46)와, 상기 축전지(46)의 충전상태를 파악하고 모터(15, 25)와 LED램프(3)에 전력공급을 결정하는 컨트롤러(45)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판(43)은 프레임(1)의 상부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강풍에 대비하여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져야 하고, 상기 고정판(43)에는 기둥(44)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기둥(44)의 외부에는 위치추적장치(43)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위치추적장치(43)는 태양의 위치를 실시간 파악하여 태양전지판(41)이 항상 태양을 향하도록 태양전지판(41)의 위치를 이동시켜주는 장치이며, 태양전지판(41)에서 발전된 전력은 컨트롤러(45)를 거쳐 축전지(46)에 충전하게 된다.
상기 컨트롤러(45)는 축전지(46)의 충전량을 파악하여 과충전을 방지함과 동시에, 축전지(46)의 충전량이 급격히 떨어질 경우 상기 모터(15, 25)와 LED램프(3)에 제공하는 전력을 차단하여 축전지(46)의 방전을 막아준다. 또한, 컨트롤러(45)에 별도의 유무선 통신장치를 설치하여 축전지(46)의 충전량이 일정 이하로 떨어질 경우 지정된 휴대폰과 같은 단말기에 신호를 줄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컨트롤러(45) 자체에 화면을 마련하여 실시간 발전되는 발전량과 사용량 및 축전지(46)의 충전량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배터리 등의 전원에서 스크롤링 광고장치로 보내던 전력이 어떠한 이유로 차단될 경우 모터는 그 위치에서 그대로 멈추는 것이 아닌 하나의 광고가 온전히 나오는 위치까지 비상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광고물이 스크롤링되는 과정에서 전력이 차단되면, 커패시터(capacitor)에 축전된 전기를 이용해 모터를 구동하여 하나의 광고를 분할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롤링 광고장치의 일측에 CCTV와 같은 감시장치를 구비하여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이러한 CCTV는 광고장치의 파손과 함께 비상상황의 발생을 알 수 있고, 유무선 통신장치를 이용하여 실시간 감시할 수 있어 광고장치의 작동상태 또한 실시간 파악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스크롤링 광고장치는 프레임의 내부에 상,하부롤러를 구성하고 상기 상,하부롤러 사이에 실사로 출력된 광고물을 게재하여 상기 광고물이 스크롤 즉, 상부롤러와 하부롤러 사이로 이동되면서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광고효과를 높이되, 상,하부롤러에 가하는 부하를 이용해 광고물의 떨림을 최소화한 효과가 있으며, 상,하부롤러 내부에 모터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모터의 구동에 따른 떨림을 방지할 수 있고, 상,하부롤러의 길이방향으로 광고물끼움홈을 형성하고, 상기 광고물끼움홈에 광고물의 단부가 끼워진 끼움블록을 체결하도록 구성하여 광고물의 착탈이 편리하고, 광고물의 교체가 편리하며, 광고물에 대한 분할위치를 정확한 제어할 수 있어 광고물의 길이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태양광발전으로 발생된 전력을 모터의 구동전원 및 조명용 전원으로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전력선이 필요치 않아 설치장소에 대한 제약을 줄이고 설치가 간편한 효과가 있다.
1. 프레임 2. 광고물 3. LED램프
10. 상부롤러 10a. 돌기 10b. 광고물끼움홈
11. (상부)롤러캡 11a. 관통홀 12. 고정파이프
13. 돌출부 13a. 홈 13b. 관통홈
14. 스냅링 15. (상부)모터 16. 감속기
17. 엔코더 18. 롤러구동기어 19. 베어링
20. 하부롤러 21. (하부)롤러캡 22. 고정파이프
25. (하부)모터 26. 감속기 27. 엔코더
28. 롤러구동기어
30. 지지블록 31. 지지블록캡 32. 고정핀
33. 끼움블록 33a. 홈
40. 태양광발전장치 41. 태양전지판 42. 위치추적장치
43. 고정판 44. 기둥 45. 컨트롤러
46. 축전지

Claims (9)

  1. 실사로 출력된 광고를 위한 스크롤링 광고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링 광고장치는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1)과, 상기 프레임(1)의 양측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블록(30)과, 상기 지지블록(30) 사이에 설치되는 롤러(10, 20)와, 상기 롤러(10, 20)의 양측에 결합되는 롤러캡(11, 21)과, 상기 롤러(10, 20) 내에 수용되어 롤러를 회전시키는 모터(15, 2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롤러(10, 20)는 상부롤러(10)와 하부롤러(20)로 구성되고, 상기 상,하부롤러(10, 20)에는 실사로 출력된 광고물(2)이 권취되어 있어, 상기 광고물(2)이 상부롤러(10)와 하부롤러(20) 사이를 왕복 이동하면서 권취와 권출이 반복되며, 상기 모터의 구동전원 및 LED램프(3)의 전원으로 태양광발전장치(40)에서 생산한 전력을 사용하며,
    상기 상부롤러(10)와 하부롤러(20) 내부에는 상부롤러(10)를 구동하기 위한 상부모터(15)와, 하부롤러(20)를 구동하기 위한 하부모터(25)가 별도로 설치되며, 상기 하부모터(25)의 구동시 상부모터(15)는 하부모터(25)의 권취력보다 작은 부하를 가해줌으로써 광고물(2)이 관성에 의해 풀리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광고물(2)이 이동에 의해 떨리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상부모터(15)와 하부모터(25)는 롤러(10, 20) 내에서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되, 이러한 고정을 위해 상부모터(15)와 하부모터(25)의 외부에는 고정파이프(12)가 설치되며, 상기 고정파이프(12)는 롤러캡(11, 21)에 끼워져 있는 베어링(19)에 의해 롤러캡(11, 21)의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아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며,
    상기 모터(15)의 일측에는 감속기(16)가 구비되어 모터(15)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대신 롤러(10)의 회전을 위한 토크를 증가시키고, 엔코더(17)가 부착되어 모터(15)의 회전량을 감지하며, 모터(15)의 모터축에는 롤러(10)를 구동하기 위한 롤러구동기어(1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모터(15)와 하부모터(25)의 모터축 회전속도는 상,하부롤러(10, 20)에 권취되어 있는 광고물(2)의 권취량에 따라 달라지되, 상부롤러(10)와 하부롤러(20)에 권취된 광고물(2)의 양에 따라 변화를 줌으로써 권출량과 권취량을 비슷하게 유지하며,
    상기 고정파이프(12)의 일단은 지지블록(30) 내에 수납될 수 있도록 일정길이 돌출된 돌출부(1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13)에는 돌출부(13)의 원주면을 따라 홈(13a)이 형성되어 있어 스냅링(14)에 의해 돌출부(13)와 베어링(19)의 내륜이 고정되며, 돌출부(13)의 일측에는 내부와 외부가 관통된 관통홀(13b)이 형성되어 모터 구동에 필요한 전선이 외부에서 고정파이프(12) 내로 들어갈 수 있으며,
    상기 상부모터(15)가 구동되어 롤러구동기어(18)가 회전되면 상기 롤러구동기어(18)와 결합된 상부롤러(10)가 회전되고, 상기 상부롤러(10)와 결합된 상부롤러캡(11)은 회전되지만, 베어링(19)에 의해 상부롤러캡(11)의 회전력이 베어링(19)의 내륜과 고정되어 있는 고정파이프(12) 쪽으로는 전달되지 않아 고정파이프(12)는 지지블록(30)에 고정지지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상기 스크롤링 광고장치로 보내던 전력이 차단될 경우 모터는 그 위치에서 그대로 멈추는 것이 아닌 하나의 광고가 온전히 나오는 위치까지 비상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것이 특징인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스크롤링 광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발전장치(40)는 프레임(1)에 고정되는 고정판(43)과, 상기 고정판(43)에 고정되어 상부로 돌출된 기둥(44)과, 상기 기둥에 결합되어 기둥을 따라 회전될 수 있는 위치추적장치(42)와, 상기 위치추적장치(42)와 고정 결합되어 있는 태양전지판(41)과, 상기 태양전지판(41)에서 발전된 전기를 충전하는 축전지(46)와, 상기 축전지(46)의 충전상태를 파악하고 모터(15, 25)와 LED램프(3)에 전력공급을 결정하는 컨트롤러(45)로 구성된 것이 특징인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스크롤링 광고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파이프(12)는 롤러캡(11, 21)에 끼워져 있는 베어링(19)의 내륜과 스냅링(14)에 의해 고정결합되어 있고, 상기 베어링(19)의 외륜은 롤러캡(11, 21)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스크롤링 광고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물(2)에 대한 분할위치는 모터(15)에 결합되어 있는 엔코더(17)에 의해 센싱된 모터(15)의 회전수를 수신하는 제어부에서 결정하되,
    상기 제어부는 롤러의 최초 구동시 상부롤러(10)에 광고물(2)이 모두 권취된 상태에서 하부롤러(20)를 구동하여 광고물(2)을 권취하고, 이로써 광고물(2)의 총 길이를 파악하며, 이후 광고물(2)에 출력된 광고의 수를 기준으로 나누어 모터의 정지위치를 결정하는 것이 특징인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스크롤링 광고장치.
  8. 삭제
  9. 삭제
KR1020150147068A 2015-10-22 2015-10-22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스크롤링 광고장치 KR101856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068A KR101856294B1 (ko) 2015-10-22 2015-10-22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스크롤링 광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068A KR101856294B1 (ko) 2015-10-22 2015-10-22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스크롤링 광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896A KR20170046896A (ko) 2017-05-04
KR101856294B1 true KR101856294B1 (ko) 2018-05-09

Family

ID=58743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7068A KR101856294B1 (ko) 2015-10-22 2015-10-22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스크롤링 광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62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0105B1 (ko) 2020-10-20 2021-08-13 김춘환 태양전지판을 이용한 광고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54816B (zh) * 2017-12-18 2019-09-27 宁波盛迩文化传媒有限公司 一种节能型led动态灯箱
CN108648667A (zh) * 2018-05-18 2018-10-12 郑州游爱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动漫宣传用广告牌
KR101962625B1 (ko) * 2018-11-29 2019-03-27 주식회사 아보네 회전형 그림자 광고 시스템
KR102462540B1 (ko) * 2021-03-31 2022-11-16 (주)아이원 태양광을 이용한 롤 스크린 광고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0105B1 (ko) 2020-10-20 2021-08-13 김춘환 태양전지판을 이용한 광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896A (ko) 2017-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6294B1 (ko)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스크롤링 광고장치
CA2505052C (en) Apparatus for raising and lowering a banner
US11261659B2 (en) Cordless blind device
US20070220790A1 (en) Device Provided with a Wind Surface
KR101827605B1 (ko) 스크롤링 광고장치
KR102290105B1 (ko) 태양전지판을 이용한 광고장치
CN106698200B (zh) 一种用于解决塔式起重机吊装盲区的监控系统
CN2707936Y (zh) 电动操作窗屏蔽装置的驱动设备及包括其的窗屏蔽装置
KR101648314B1 (ko) 차량용 스크롤링 광고장치
CN212361311U (zh) 一种监控实时调节驱动结构
KR101023186B1 (ko) 중량체용 회전 전시대
KR102159446B1 (ko) 폴 시스템의 회전장치
KR101181355B1 (ko) 모터회전 제어를 이용한 이동식 자동스크린
KR102462540B1 (ko) 태양광을 이용한 롤 스크린 광고장치
KR20200095968A (ko) 회전식 태양광 패널을 구비한 다기능 승강 폴 시스템
CN214839654U (zh) 一种广告排期用拼接显示屏
JP2004151496A (ja) 映像表示装置及び映像表示方法
CN204229802U (zh) 广告灯
CN210052011U (zh) 一种纱幕投影装置
JPH0731473B2 (ja) 広告等情報表示用パネル
KR20170003489A (ko) 원격제어 및 모니터링이 가능한 광고용 롤러 스크린 표시 시스템
KR102138541B1 (ko) 광고와 강풍 안전성을 고려한 태양광 발전장치
CN2377650Y (zh) 垂直滑板式广告装置
CN210015672U (zh) 一种广告照明灯箱控制器
RU106427U1 (ru) Устройство уличного видеороллерного монитор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302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524

Effective date: 2018040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