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6206B1 - 승강기 위험 상황 확인 시스템 - Google Patents

승강기 위험 상황 확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6206B1
KR101856206B1 KR1020170180184A KR20170180184A KR101856206B1 KR 101856206 B1 KR101856206 B1 KR 101856206B1 KR 1020170180184 A KR1020170180184 A KR 1020170180184A KR 20170180184 A KR20170180184 A KR 20170180184A KR 101856206 B1 KR101856206 B1 KR 101856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image
unit
failur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0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용
Original Assignee
우리엘리베이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리엘리베이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리엘리베이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80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62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6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6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기 위험 상황 확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승강기 내부의 영상을 통해 승강기의 고장이 (a)일시적인 오작동에 의한 것인지 또는 (b)장기적인 고장을 초래하는 고장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함으로써, 신고를 받은 자(이하, '관리자'로 지칭함)로 하여금,
승강기 내부의 영상을 통해 승강기 고장에 대하여 출동이 필요한 정도로 위급한 상황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현장 출동에 대한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승강기 위험 상황 확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승강기 위험 상황 확인 시스템{SYSTEM FOR CHECKING A DANGEROUS SITUATION OF ELEVATOR}
본 발명은 승강기 위험 상황 확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승강기 내부의 영상을 통해 승강기의 고장이 (a)일시적인 오작동에 의한 것인지 또는 (b)장기적인 고장을 초래하는 고장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함으로써, 신고를 받은 자(이하, '관리자'로 지칭함)로 하여금,
승강기 내부의 영상을 통해 승강기 고장에 대하여 출동이 필요한 정도로 위급한 상황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현장 출동에 대한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승강기 위험 상황 확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승강기는, 엘리베이터로 흔히 지칭되는 것으로, 사람을 포함하는 모든 물건을 복수의 층 간에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승강기는 복잡한 기계적 구조로 구성되고, 이러한 구조는 전기 공급에 의해 구동되기 때문에, 전기 공급의 불안정이나 기계적 오류 등의 문제로 인해 승강기 구동에 고장이 발생되기도 한다.
최초의 승강기는 상술된 문제점들에 의해 추락의 위험도 있었지만, 이는 브레이크 시스템 등의 개발로 인해, 승강기가 설치된 건물 내에 큰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라면 추락의 위험 빈도는 감소되어, 거의 발생되지 않는 수준이나,
승강기 고장에 의한 구동정지에 따른 고장은 지금도 빈번히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때, 승강기가 구동정지하게 되면, 내부에 탑승 중인 사용자는 상당한 불안함을 갖게 되고, 구동정지의 지속시간이 길어지게 되면 불안증세가 심각해져 호흡이 어려워지는 등의 문제로 인해 사고가 발생되는데, 이러한 사고 소식은 공중파의 기술 발달로 인해 이미 대부분의 사람들이 접하고 있다.
이에 따라, 승강기가 어떠한 이유로든 구동정지가 되게 되면 탑승자는 일단 극도의 불안함을 갖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승강기의 구동정지에는 보수와 구조가 필요한 고장도 있으나, 단순한 일시적인 오작동에 의한 것도 있다. 이러한 경우, 별도의 현장직원의 출동이 없어도 다시 재구동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승강기가 구동정지되면 일단 탑승자들은 극도의 불안함을 갖게 되고, 이에 따라 관리자에 신고를 하여, 관리자의 불필요한 출동이 잦아지고 있다.
한편, 보통 승강기의 구동정지가 발생되면, 해당 건물에 거주 중인 경비 등의 관리자에게 신고가 접수되도록 되어 있으나, 이러한 관리자는 순찰 등의 이유로 자리를 비우는 경우가 많고, 이에 따라 신고 접수시 연락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해당 관할서(119 등)에 직접 신고가 접수되도록 설계되고 있다.
그러나, 해당 관할서의 관리자라도 하더라도, 신고 당시에는 승강기가 단순 오작동한 것인지, 혹은 정말로 고장이 발생된 것인지 파악이 되질 않아서, 급박한 신고자의 신고에 의해 출동을 하게 되는데,
만약, 승강기의 단순 오작동인 경우, 출동자는 불필요한 출동을 하게 된 것이고, 뿐만 아니라, 정말 출동이 요구되는 현장에 출동할 수 없게 되는 인력의 손실을 야기하게 된다.
최근에는 법의 개정을 통해 승강기 사고의 접수시 음성 통화내역을 신고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법 개정만으로는 장난신고 등의 여부만 파악할 수 있을 뿐, 승강기의 단순 오작동과 위급한 고장의 파악은 불가능한 실정이다.
왜냐하면, 단순 오작동에 의해 탑승자가 신고를 수행하여도, 다급한 목소리를 갖는 것은 동일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승강기 내부의 영상을 확보하여 승강기 구동정지(고장)에 대한 진위 여부를 확실하게 파악함과 동시에, 해당 고장이 승강기의 단순 오작동인지 혹은 위급한 상황의 고장인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승강기의 고장을 확인하는 것에 관련된 기술로서,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76987호의 승강기(엘리베이터) 오 작동 관리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고, 공개특허공보 제10-1999-0070211호에는 원격감시 엘리베이터의 고장대응장치 및 방법이 기재되어 있으며, 공개특허공보 제10-1999-0012652호에는 엘리베이터의 원격 지능 진단장치가 기재되어 있고, 공개특허공보 제10-1998-0077314호에는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된 기술들은, 단순 고장과 위험한 상황의 고장을 판단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본 출원인이 목적 달성을 위해 제안하는 본 발명과 달성을 위한 해결 수단에서 차이를 갖는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76987호(2005.07.29.) 공개특허공보 제10-1999-0070211호(1999.09.15.) 공개특허공보 제10-1999-0012652호(1999.02.25.) 공개특허공보 제10-1998-0077314호(1998.11.16.)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강기 내부의 영상을 통해 승강기의 고장이 (a)일시적인 오작동에 의한 것인지 또는 (b)장기적인 고장을 초래하는 고장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함으로써, 신고를 받은 자(이하, '관리자'로 지칭함)로 하여금, 승강기 내부의 영상을 통해 승강기 고장에 대하여 출동이 필요한 정도로 위급한 상황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현장 출동에 대한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승강기 위험 상황 확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위험 상황 확인 시스템은, 승강기 내부의 영상을 통해, 승강기의 고장이 단순 오작동인지 또는 출동이 필요한 고장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승강기 위험 상황 확인 시스템에 있어서,
승강기 내부의 도어측 방향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영상획득부와, 승강기를 제어하는 권양기의 동작을 감지하는 권양기동작 감지부와, 승강기에 공급되는 전력을 감지하는 전력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승강기와,
상기 승강기와 통신하여 상기 영상획득부에서 획득된 영상과, 권양기동작 감지부 및 전력감지센서에 의한 센서값을 출력하는 관리실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승강기는 상기 영상획득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루는 픽셀 중 블랙픽셀 범위를 확인하는 블랙픽셀 범위 확인부를 포함하고, 확인결과, 블랙픽셀 범위가 소정의 범위 이상으로 판단되면 알림을 표출하는 알림표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관리실은 수신된 영상을 이루는 복수의 프레임을 기반으로, 각 프레임 내의 적색 픽셀을 분석하고 복수의 프레임 간에 비교함으로써, 영상 내 제1 영역에서 적색 픽셀의 변화를 분석하고, 제2 영역에서 적색 픽셀의 존재를 분석하는, 영상분석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관리실은 상기 영상분석부의 분석 결과, 제1 영역(A1) 및 제2 영역(A2)에서 적색이 감지되지 않거나, 적색이 감지되었어도 소정의 시간 연속되는 복수의 영상 프레임 상에서 상기 제1 영역(A1) 및 제2 영역(A2)의 적색 픽셀의 변화가 없는 경우, 1차적으로 승강기가 고장난 것으로 판단하고,
사고 접수시간을 카운팅 하는 1차 고장판단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승강기의 영상획득부의 촬영 범위를 확장하되, 상기 영상분석부는 영상획득부로부터 수신된 영상에 대하여 제3 영역(A3)을 분석할 수 있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3 영역(A3)에 대한 적색픽셀은 반전처리 후 분석한다.
또한, 상기 관리부는 이에 상주해 있는 인원이 고장확정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고정확정 I/F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관리실은 상기 1차 고장판단부로부터 승강기의 고장이 1차적으로 판단되어 고장접수시간이 카운팅된 이후에, 영상분석부를 통한 분석 결과, 소정의 시간동안 회득된 영상에서 승강기의 고장이 회복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승강기를 최종적으로 고장이 난 것으로 자동 확정하는 자동고장확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위험 상황 확인 시스템에 의하면,
관리자가 출동하기 전에 관리자로 하여금, 정말로 출동이 필요한 정도로 위급한 상황의 사고인지, 혹은 승강기의 단순한 오작동에 의한 사고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관리자의 불필요한 출동을 방지하여 효율적인 사고 대처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의 출동이 정말 필요한 상황에서 관리자가 업무를 수행할 수 있음으로써, 인력(人力)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이점도 예측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위험 상황 확인 시스템의 통신 개요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위험 상황 확인 시스템을 통해 획득한 승강기 내부의 영상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위험 상황 확인 시스템에서 승강기와 관리실의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위험 상황 확인 시스템에서 관리실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수단에 출력되는 정보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승강기 위험 상황 확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승강기 내부의 영상을 통해 승강기의 고장이 (a)일시적인 오작동에 의한 것인지 또는 (b)장기적인 고장을 초래하는 고장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함으로써, 신고를 받은 자(이하, '관리자'로 지칭함)로 하여금,
승강기 내부의 영상을 통해 승강기 고장에 대하여 출동이 필요한 정도로 위급한 상황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현장 출동에 대한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승강기 위험 상황 확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의 도 1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승강기(1)와 관리실(2) 간의 통신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별도의 서버(도면이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는 도 3을 참조한 승강기의 구성에 대하여 서버의 구성으로 치환할 수 있는 구성을 적용하여 서버를 구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서버는 물리적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가상의 클라우드 서버를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고, 이러한 서버의 기술적 사항은 이미 다양한 분야에서 서버에 대한 기술적 사항들을 기재하고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승강기(1)는, 통신부, 영상획득부, 영상송출부, 블랙필셀 범위 확인부, 알림표출부, 권양기동작 감지부 및 전력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는, 관리실(2)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며, 후술되는 관리실(2)의 통신부와 연동될 수 있다.
영상획득부는, 승강기 내부의 영상을 촬영하여 획득하는 기능을 하며, 카메라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영상획득부를 통해 획득되는 승강기 내부의 영상은 도 2를 참조할 수 있는데, 도 2를 보면 승강기의 후면측에서 도어측(전면측)을 바라보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다.
즉, 영상획득부는 승강기 내부의 후방측 벽면에 설치되어, 전면측 모두를 촬영할 수 있는 범위를 갖도록 한다.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360°의 촬상범위를 갖는 어안렌즈가 적용된 카메라 장치일 수도 있을 것이다.
영상송출부는, 영상획득부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관리실(2)로 송출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송출은 통신부와 연동되어 수행될 수 있다.
블랙픽셀 범위 확인부는, 영상획득부로부터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블랙픽셀을 갖는 범위를 확인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블랙픽셀 범위 확인부의 기능은 영상송출 전에 수행되는데, 영상획득부로부터 획득된 영상의 프레임에 포함된 픽셀 중 블랙픽셀(깜깜한 영역)이 소정의 범위(예를 들면 전체 픽셀의 50%) 이상인 경우를 확인하는 기능을 한다.
영상획득부에서 획득된 영상에 블랙픽셀이 많다는 것은, 그만큼 어떤 물체에 의해 가려져 촬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이때 어떤 물체라 함은, 승강기 내부의 탑승자일 수 있다.
알림표출부는, 블랙픽셀 범위 확인부를 통해 블랙픽셀이 소정의 범위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경보나 언어문구("촬영이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후벽으로부터 비켜주세요" 등) 등으로 알림을 표출하는 기능을 한다. 일예로서 스피커 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영상획득부가 구비된 위치 부근에 구비되어, 승강기 내부의 탑승자가 영상획득부의 위치를 쉽게 인식하여 비켜줄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영상송출부는, 블랙필셀 범위 확인부를 통해 블랙픽셀이 소정의 범위 미만인 영상이 획득되면, 상기 영상을 관리실(2)로 송출하도록 한다.
이는 관리실(2)에서 수행될 영상의 분석이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보통 모든 카메라 장치는 촬영범위가 가려진다면, 중심부근부터 가려져 점점 외곽쪽으로 가려지고, 외곽쪽 먼저 가려지는 경우는 거의 없기 때문에, 50% 정도 가려지는 것으로는, 이후 수행되는 영상 분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권양기동작 감지부는, 승강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권양기의 동작을 감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권양기의 동작 감지는 모터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권양기의 모터 외측에 감지대상부재를 설치하고, 권양기의 모터를 지지하는 일측벽에 상기 감지대상부재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센서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센서가 감지대상부재를 감지하는 것으로 권양기의 회전을 감지하도록 한다.
이때, 센서에서 감지대상부재가 감지되지 않았다가 감지되면, 모터가 1회 회전한 것으로 파악한다. 이러한 반복에 의해 모터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다.
전력감지센서는, 승강기의 구동을 위해 공급되는 전력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전력선(Power Line) 상에 설치되어 전력의 흐름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된다.
이러한 전력감지센서는 이미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관리실(2)은, 승강기(1)의 신고를 접수할 수 있는 관할처로서, 통신부, 영상수신부, 영상출력부, 영상분석부, 1차 고장판단부, 센서값 획득부, 센서값 출력부, 고장확정 I/F(인터페이스) 및 자동고장확정부를 포함한다.
통신부는, 승강기(1)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며, 구체적으로 통신수단이 승강기(1) 내부에 거치된 인터폰이라면, 인터폰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이 구비되고, 통신수단이 승강기에 탑승한 탑승자의 휴대폰이라면 휴대폰의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영상수신부는, 승강기(1)의 영상송출부로부터 영상을 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영상출력부는, 영상수신부에서 수신된 영상을 별도의 디스플레이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영상분석부는, 영상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영상을 이루는 프레임 상에서 적색영역을 갖는 제1 영역(A1) 및 제2 영역(A2)을 분석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제1 영역(A1) 및 제2 영역(A2)이라 함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설계할 때 미리 설정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따라서, 해당 영역 외에서 검출되는 적색 픽셀은 분석대상으로 취급되지 않도록 한다.
1차 고장판단부는, 영상분석부의 분석 결과, 제1 영역(A1) 및 제2 영역(A2)에서 적색이 감지되지 않거나, 적색이 감지되었어도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1분) 연속되는 복수의 영상 프레임 상에서 제1 영역(A1) 및 제2 영역(A2)의 적색 픽셀의 변화가 없는 경우, 1차적으로 승강기가 고장난 것으로 판단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1차 고장판단부는, 승강기의 고장을 판단하면 Real Time Clock, RTC와 연동하여 해당 시간을 고장이 발생된 시간으로 디스플레이수단에 출력하도록 한다.
한편, 설계 조건에 따라서, 영상분석부는, 제1 영역(A1) 및 제2 영역(A2)을 분석하는데 있어서, 분석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이는 영상획득부의 촬영 범위를 늘려, 관리실(2)로 수신되는 영상의 범위를 도 2와 같이 확장하여 제3 영역(A3)까지 영상에 포함되도록 한다.
이때 제3 영역(A3)은 실제 승강기 내부의 공간은 아니고, 승강기(1) 내부 측면에 구비된 거울을 통해 비춰진 승강기 내부의 영역으로서, 제3 영역(A3)에는 제2 영역(A2)이 거울에 비춰 반전된 상태로 영상에 포함된다.
이때, 제3 영역(A3)을 2군데로 도시한 이유는, 승강기 양측면 각각에 거울이 2개 구비될 수 있기 때문이며, 거울이 1개 측면에만 구비되는 경우 제3 영역(A3)을 1개로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영상분석부는 수신된 영상에 대하여 제3 영역(A3)에 해당되는 픽셀을 분석하도록 설계될 수 있는데, 이때 제3 영역(A3)에 대해서는 분석 전 영상을 반전처리하고, 반전된 후 영상을 분석하도록 할 수 있다.
센서값 획득부는, 승강기(1)의 권양기동작 감지부와 전력감지센서의 센서값을 통신부와 연동하여 수신 및 획득하는 기능을 한다.
센서값 출력부는, 획득된 센서값을 영상출력부와 연동하여 디스플레이수단에 센서값에 따른 정보가 출력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수단에는 승강기 내부의 영상이 출력되는 영역과, 1차 고장판단부에서 고장으로 판단되면 출력되는 고장접수시간과 해당 시간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이 출력되는 영역과, 권양기 동작의 센서값이 출력되는 영역과, 전력 감지 센서값이 출력되는 영역이 분할되어 있을 수 있다(도 4 참조).
고장확정 I/F는, 일종의 인터페이스 장치로서, 버튼이나, 터치형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구성되어, 입력신호가 발생되면, 1차적으로 고장 판단된 상태에서 출동이 필요한 고장으로 확정되도록 한다.
즉, 관리실(2)에 상주하고 있는 관리인원(경비, 소방대원 등)이 디스플레이수단에 출력되는 영상을 보고, 전문가적인 입장에서 출동이 필요한 고장으로 판단되는 경우, 관리인원이 고장확정 I/F를 조작하게 되면, 해당 승강기로의 출동이 수행되는 것이다.
이때, 출동을 위해서는 승강기의 위치를 알 수 있어야 하므로, 이는 승강기에 부여되는 식별번호를 이용하도록 한다.
이때, 사고의 접수는 승강기 내부에 구비된 인터폰으로 수행된 것이라면, 통신시 식별번호가 영상과 함께 수신되도록 할 수 있으나, 탑승자가 휴대 단말기로 고장을 접수한 경우에는, 탑승자에 의해 식별번호를 파악하여 위치를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자동고장확정부는, 1차 고장판단부로부터 승강기의 고장이 1차적으로 판단되어 고장접수시간이 카운팅된 이후에, 영상분석부를 통한 분석 결과,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3분) 동안 회득된 영상에서 승강기의 고장이 회복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승강기를 최종적으로 고장이 난 것으로 자동 확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자동고정확정부에 의해 고장이 확정되는 경우에는 출동이 필요한 고장으로 취급되어 출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설계 조건에 따라서 자동고장확정부는 다음의 경우에도 바로 출동이 필요한 정도의 고장으로 판단하여 고장을 확정하고 출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첫째, 승강기 내부의 층 버튼의 후면측, 즉, 눌리는 방향의 반대측에 압력센서를 구비하고, 해당 센서값을 관리실로 전송하도록 하되,
영상 분석부를 통해 분석된 제2 영역(A2)의 분석결과와, 압력센서에 의해 눌린 센서값이 다른 경우, 즉, 영상으로 보이는 눌른 버튼과, 실제 눌린 것으로 감지된 버튼이 다른 경우, 자동고장확정부는 바로 승강기(1)에 출동이 필요한 고장이 발생된 것으로 확정한다.
둘째, 관리실(2)은 별도의 저장부를 더 포함하되, 여기에는 승강기 식별번호별 정보(위치정보 포함)를 저장하고, 또한 승강기의 도어가 닫힌 상태인 경우의 영상을 미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분석부를 통해 수신된 영상에서 도어의 개폐상태를 픽셀 분석을 통해, 미리 저장된 영상과 비교하여 분석하고, 분석결과,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도어 사이에 물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개방된 상태가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1분) 유지된다면, 출동이 필요한 고장으로 판단하여, 관리인원의 출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셋째, 영상분석부는 수신된 영상을 이루는 복수 개의 영상프레임의 픽셀을 분석함으로써, 승강기(1) 내부에 탑승한 인원을 분석할 수 있다.
일예로서, 승강기 내부에 존재하는 인원수를 픽셀분석을 통해 판단하되, 인원수의 변동이 없는 경우, 관리인원의 출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일예로서, 영상분석결과, 탑승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해당 픽셀이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10분) 동안 움직임이 분석되지 않으면, 관리인원의 출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 도면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 : 승강기
2 : 관리실

Claims (7)

  1. 승강기 내부의 영상을 통해, 승강기의 고장이 단순 오작동인지 또는 출동이 필요한 고장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승강기 위험 상황 확인 시스템에 있어서,
    승강기 내부의 도어측 방향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영상획득부와, 승강기를 제어하는 권양기의 동작을 감지하는 권양기동작 감지부와, 승강기에 공급되는 전력을 감지하는 전력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승강기와,
    상기 승강기와 통신하여 상기 영상획득부에서 획득된 영상과, 권양기동작 감지부 및 전력감지센서에 의한 센서값을 출력하는 관리실을 포함하되,
    상기 승강기는,
    상기 영상획득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루는 픽셀 중 블랙픽셀 범위를 확인하는 블랙픽셀 범위 확인부를 포함하고,
    확인결과, 블랙픽셀 범위가 소정의 범위 이상으로 판단되면 알림을 표출하는 알림표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위험 상황 확인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리실은,
    수신된 영상을 이루는 복수의 프레임을 기반으로, 각 프레임 내의 적색 픽셀을 분석하고 복수의 프레임 간에 비교함으로써,
    영상 내 제1 영역에서 적색 픽셀의 변화를 분석하고, 제2 영역에서 적색 픽셀의 존재를 분석하는, 영상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위험 상황 확인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관리실은,
    상기 영상분석부의 분석 결과, 제1 영역(A1) 및 제2 영역(A2)에서 적색이 감지되지 않거나, 적색이 감지되었어도 소정의 시간 연속되는 복수의 영상 프레임 상에서 상기 제1 영역(A1) 및 제2 영역(A2)의 적색 픽셀의 변화가 없는 경우, 1차적으로 승강기가 고장난 것으로 판단하고,
    사고 접수시간을 카운팅 하는 1차 고장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위험 상황 확인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의 영상획득부의 촬영 범위를 확장하되,
    상기 영상분석부는,
    영상획득부로부터 수신된 영상에 대하여 제3 영역(A3)을 분석할 수 있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3 영역(A3)에 대한 적색픽셀은 반전처리 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위험 상황 확인 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관리실은,
    이에 상주해 있는 인원이 고장확정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고정확정 I/F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위험 상황 확인 시스템.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관리실은,
    상기 1차 고장판단부로부터 승강기의 고장이 1차적으로 판단되어 고장접수시간이 카운팅된 이후에, 영상분석부를 통한 분석 결과, 소정의 시간동안 회득된 영상에서 승강기의 고장이 회복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승강기를 최종적으로 고장이 난 것으로 자동 확정하는 자동고장확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위험 상황 확인 시스템.
  7. 삭제
KR1020170180184A 2017-12-26 2017-12-26 승강기 위험 상황 확인 시스템 KR101856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184A KR101856206B1 (ko) 2017-12-26 2017-12-26 승강기 위험 상황 확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184A KR101856206B1 (ko) 2017-12-26 2017-12-26 승강기 위험 상황 확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6206B1 true KR101856206B1 (ko) 2018-05-09

Family

ID=62200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0184A KR101856206B1 (ko) 2017-12-26 2017-12-26 승강기 위험 상황 확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62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40184A (zh) * 2018-09-05 2018-11-20 乐思灯具(上海)有限公司 一种电梯控制系统及电梯控制方法
CN114229642A (zh) * 2021-12-20 2022-03-25 苏州汇川控制技术有限公司 电梯故障检测方法、设备、系统和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3160A (ja) * 1991-08-20 1993-02-23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監視システム
JP2003192248A (ja) * 2001-12-25 2003-07-09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遠隔保守システム
KR20050076987A (ko) * 2004-01-26 2005-07-29 윤기정 승강기(엘리베이터) 오 작동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3160A (ja) * 1991-08-20 1993-02-23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監視システム
JP2003192248A (ja) * 2001-12-25 2003-07-09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遠隔保守システム
KR20050076987A (ko) * 2004-01-26 2005-07-29 윤기정 승강기(엘리베이터) 오 작동 관리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40184A (zh) * 2018-09-05 2018-11-20 乐思灯具(上海)有限公司 一种电梯控制系统及电梯控制方法
CN114229642A (zh) * 2021-12-20 2022-03-25 苏州汇川控制技术有限公司 电梯故障检测方法、设备、系统和介质
CN114229642B (zh) * 2021-12-20 2023-11-21 苏州汇川控制技术有限公司 电梯故障检测方法、设备、系统和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09629B1 (en) Image analytics for elevator maintenance
CA2943193A1 (en) Barrier operator control of a camera
CN112520528B (zh) 一种自动监测电梯故障检测系统及其检测方法
US8365871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an elevator
KR101266775B1 (ko) 정보 표시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원격 관리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EP3872018B1 (en) An elevator monitoring system
KR101856206B1 (ko) 승강기 위험 상황 확인 시스템
JP7016641B2 (ja) 輸送システムに閉じ込められた乗客との通信
JP2018167594A (ja) 車両ドア監視システムおよび車両ドア監視方法
KR20120084959A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4676248B2 (ja) エレベーターの遠隔映像監視システム
KR20110042708A (ko) 엘리베이터의 방범운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74103A (ko) 출입문 모니터링 스크린도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CN104192657A (zh) 电梯中乘客被困远程救援通信装置
JP2009046291A (ja) 異常発生時のエレベータかご情報通信システム
KR102289455B1 (ko) 엘리베이터 비상연락 시스템 및 안전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단말
JP2009051641A (ja) 異常発生時のエレベータかご内状況確認システム
KR101256345B1 (ko) 엘리베이터의 비상통화 시스템
JP4952486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KR101025531B1 (ko) 엘리베이터의 내부 이상 감지 및 경보장치
KR20170133595A (ko) 센서 값을 이용한 승강기 car의 운행 정지층을 학습하여 결정하는 방법
KR20090076424A (ko) 열차 출입문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JP5682325B2 (ja) 防犯システム
KR20100013481A (ko) 열차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JP2009263016A (ja) エレベータの防犯装置及び防犯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