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6126B1 - Variable Pitch Upper Pad with Relief of Load Concentration for Car's Suspension Coil Spring - Google Patents

Variable Pitch Upper Pad with Relief of Load Concentration for Car's Suspension Coil Spr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6126B1
KR101856126B1 KR1020180003539A KR20180003539A KR101856126B1 KR 101856126 B1 KR101856126 B1 KR 101856126B1 KR 1020180003539 A KR1020180003539 A KR 1020180003539A KR 20180003539 A KR20180003539 A KR 20180003539A KR 101856126 B1 KR101856126 B1 KR 101856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pring
upper pad
spring
pad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35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만승
박익수
이재식
이태희
Original Assignee
대원강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강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강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3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612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6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61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1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helical, spiral or coil springs only
    • B60G11/1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helical, spiral or coil springs only characterised b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the spring to axle or sprung part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4Mounting of coil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8Bearings, e.g. ball or roller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60Load
    • B60G2400/61Load distribu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Sprin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pper pad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a coil spring of a vehicle suspension device to prevent the coil spring and a bearing from being damaged. The upper pad is moun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coil spring to prevent the coil spring and the bearing of the vehicle suspension device from being damaged. The upper pad is provided at the central portion thereof with a coupling hole to be coupled to the bearing. A central support member protrudes downward to prevent the coil spring from deviating from the coupling hole. The upper pad is provided on a lower surface thereof with a spring seating part in which the coil spring is seated. The spring seating part of the upper pad is provided on the surface thereof with a first dynamic seating part and a second dynamic seating part partially making contact with an upper surface of the coil spring to move a moment rotation axis toward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pad so as to reduce the size of the moment generated due to the concentrated load applied by the coil spring.

Description

하중의 집중을 완화하는 자동차 현가장치 코일스프링의 가변 높이 상부 패드{Variable Pitch Upper Pad with Relief of Load Concentration for Car's Suspension Coil Spring}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height upper pad for a coil spring,

본 발명은 자동차 현가장치의 코일스프링 상부에 장착되어 코일스프링과 베어링의 손상을 방지하는 상부패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현가장치의 코일스프링 및 베어링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코일스프링 상부에 장착되되, 중앙부에 베어링이 체결되는 체결홀이 형성되고, 체결홀을 따라 코일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중앙지지대가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하부면으로 코일스프링이 안착되는 스프링안착부가 형성된 상부패드에서, 상기 상부패드의 스프링안착부 표면에는 코일스프링에 의해 작용하는 집중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모멘트의 크기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코일스프링의 상부 표면과 부분적으로 선(先)접촉하여 모멘트 회전축을 상부패드의 중앙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동적안착부 및 제2동적안착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하중의 집중을 완화하는 자동차 현가장치 코일스프링의 가변 높이 상부 패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pper pad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a coil spring of a vehicle suspension to prevent damage to a coil spring and a bear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n upper pad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a coil spring to prevent damage to a coil spring and a bearing A central support portion for preventing the release of the coil spring is protruded downward along the fastening hole and a spring seating portion on which a coil spring is seated on the lower surface, , The surface of the spring seat of the upper pad is partially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oil spring in order to reduce the magnitude of the moment generated by the concentrated load acting on the coil spring, The first dynamic seating portion and the second dynamic seating portion moving in the < RTI ID = 0.0 > To a variable height upper pad of an automotive suspension coil spring which alleviates the concentration of load.

일반적으로 자동차 현가장치에서는 자동차의 용도 등에 따라 주로 판스프링, 에어스프링, 또는 코일스프링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적용되는데, 이중 코일스프링이 적용되는 현가장치는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동차의 섀시(10)에 연결되는 인슐레이터(20), 인슐레이터(20)의 하부에 장착되는 베어링(30), 베어링(30)의 하부에 장착되어 코일스프링(50)의 상부면을 절연하는 상부패드(40), 상부패드(40) 하부에 장착되는 코일스프링(50), 코일스프링(50) 하부에 장착되어 코일스프링(50)의 하부면을 절연하는 하부패드(60), 하부패드(60) 하부에 장착되는 하부시트(70), 인슐레이터(20) 및 하부시트(70) 사이에 장착되되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쇼크업소버(80)로 구성된다.In general, in a vehicle suspension system, a leaf spring, an air spring, or a coil spring is selected and appli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an automobile or the like. The suspension device to which the double coil spring is applied is a chassis An upper pad 40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bearing 30 and insulat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il spring 50, A lower pad 60 mounted below the coil spring 50 to insulate the lower surface of the coil spring 50 and a lower pad 60 mounted below the lower pad 60. [ A shock absorber 80 mounted between the lower sheet 70, the insulator 20 and the lower seat 70, not shown in the figure.

코일스프링(50)이 절연 및 현가장치에 작용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상부패드(40)는 주로 고무재질로 제작되는데, 나선형으로 권취된 코일스프링(50)의 형상적 특성상 코일스프링(50)과 상부패드(40) 사이에는 일부분에서만 접촉이 발생하게 되고, 자동차의 운행중 코일스프링(50)에 작용하는 힘이 발생하면 코일스프링(50)과 접촉하는 부위의 상부패드(40) 일부분에 집중적으로 하중이 작용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집중하중이 작용하는 부위에서 상부패드(40)의 손상에 의한 찢어짐이 발생하고, 상부패드(40)가 찢어지게 되면 베어링(30)과 코일스프링(50) 사이에 직접적인 마찰이 발생하게 되어 코일스프링(50)의 표면 도장의 손상이 발생하게 되며, 베어링(30)의 회전축의 변경을 발생시켜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The upper pad 40 is mainly made of a rubber material so that the coil spring 50 absorbs the impact acting on the insulation and the suspension. The coil spring 50 and the coil spring 50, The contact between the upper pad 40 and the coil spring 50 occurs only in a part of the upper pad 40. When a force acting on the coil spring 50 is generated during operation of the vehicle, The upper pad 40 is torn due to the damage of the upper pad 40. When the upper pad 40 is torn, a direct load is applied between the bearing 30 and the coil spring 50 Friction occurs, damage to the surface coating of the coil spring 50 occurs, and the rotation axis of the bearing 30 is changed to cause a problem that the durability is lowered.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90736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66067호에서는 코일스프링(50)의 나선형 권취형상에 맞추어 하부패드(60)의 상부면에 경사면을 형성하였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17156호에서는 하부패드(60)에 홈이 형성되어 하중에 의한 변형량이 부위마다 서로 다르게 발생하도록 하중축 유도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코일스프링(50)과 하부패드(60)의 접촉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코일스프링(50)이 하부패드(60)에 작용하는 면압의 크기를 감소시켜 집중하중에 의한 하부패드(60)의 손상을 방지하는 하부패드(60)가 게시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90736 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66067, an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ad 60 in accordance with the spiral wound shape of the coil spring 50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3-0017156, a groove is formed in the lower pad 60, and a load axis inducing means is provided so that a deformation amount due to a load varies from site to site. Thus, As the contact area of the pad 60 increases, the coil spring 50 reduces the magnitude of the surface pressure acting on the lower pad 60, thereby preventing the lower pad 60 from being damaged by the concentrated load. Is published.

그러나 등록특허공보 제10-1490736호, 등록특허공보 제10-1766067호 및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17156호에 기재된 발명은 하부시트(70)에 고정되는 하부패드(60)에 적용되는 것으로써, 상부패드(40)의 경우 하부패드(60)와는 달리 코일스프링(50)의 수축·이완시 코일스프링(50)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이 인슐레이터(20)에 전달되어 파손되는 것을 막기 위해 인슐레이터(20)와 상부패드(40) 사이에 베어링(30)이 장착되는데, 베어링(30)은 인슐레이터(20)와 연결되는 상부베어링(31)과 상부패드(40)에 연결되는 하부베어링(32)으로 구성되며, 상부베어링(31)과 하부베어링(32)이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서로 일정 수준의 유격을 가지도록 결합되어 있어, 자동차 운행중 코일스프링(50)이 수축하면 상부패드(40)와 코일스프링(50)의 접촉지점에 편심하중이 작용하면서 상부베어링(31)과 하부베어링(32)이 가지는 유격만큼 베어링(30)이 기울어지고, 베어링(30)이 기울어지면서 발생하는 모멘트가 상부패드(40)와 코일스프링(50)의 접촉지점에서 집중하중으로 작용하게 되어 상부패드(4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어 상부패드(40)에 전용(轉用)하여 적용할 수 없었으므로, 기존의 상부패드(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디스크 형상을 가지는 제품을 적용하여 왔으며, 상기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50)과 접촉하는 부위의 상부패드(40) 일부분에 하중이 집중적으로 작용하여 상부패드(40)가 손상되면 베어링(30)과 코일스프링(50)의 직접 접촉하는 부위가 마찰에 의해 손상됨으로써 스프링 및 베어링 등의 기능이 점차 상실되는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있었다.However, the invention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1490736, No. 10-1766067 and No. 10-2013-0017156 is applied to the lower pad 60 fixed to the lower sheet 70 Unlike the lower pad 60 in the case of the upper pad 40, in order to prevent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in the coil spring 50 when the coil spring 50 is contracted and relaxed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insulator 20, The bearing 30 is mounted between the upper pad 40 and the upper pad 40. The bearing 30 includes an upper bearing 31 connected to the insulator 20 and a lower bearing 32 connected to the upper pad 40 When the coil spring 50 is retracted during operation of the vehicle, the upper pad 40 and the lower bearing 32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upper bearing 31 and the lower bearing 32 can rotate stably. When an eccentric load acts on the contact point of the spring 50, The moment generated by the inclination of the bearing 30 by the inclination of the bearing 30 by the clearance of the upper pad 40 and the lower bearing 32 is equal to the concentrated load at the contact point of the upper pad 40 and the coil spring 50 The upper pad 40 can not be prevented from being broken and can not be applied to the upper pad 40 so that the upper pad 4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flattened as shown in FIG. When a load is concentrated on a part of the upper pad 40 at a portion contacting the coil spring 50 and the upper pad 40 is damaged as described above, The problem that the function of the spring, the bearing, and the like is gradually lost due to the frictional damage of the portion where the coil spring 50 is directly contacted is not solved.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90736호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490736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66067호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766067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17156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17156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부패드와 코일스프링의 도장면 및 베어링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코일스프링의 말단부와 코일스프링 및 상부패드 사이의 접촉이 끝나는 부분을 중심으로 발생하는 집중하중에 의해 상부패드의 중심축으로부터 떨어져 형성되는 모멘트 회전축을 상부패드와 베어링의 중심축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집중하중에 의한 모멘트 크기 감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prevent breakage of the bearing surface and the bearing surface of the upper pad and the coil spr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prevent damag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il spring due to the concentrated load generated around the end portion of the coil spring,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duction in moment magnitude due to a concentrated load by moving a moment rotation axis formed away from the center axis of the upper pad to the upper pad and the central axis of the bearing.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기존의 코일스프링 상부패드에 작용하는 집중하중에 의해 상부패드가 손상되어 코일스프링과 베어링의 직접 접촉에 의한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패드에 작용하는 하중의 분산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ad on the upper pad is dispersed in order to prevent damage due to direct contact between the coil spring and the bearing due to damage to the upper pad due to concentrated load acting on the upper coil spring pad The purpose is to provide.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코일스프링과 상부패드가 회전하여 서로 어긋나면서 제1,2동적안착부의 위치가 집중하중을 완화하는 최적의 위치에서 벗어나는 문제점의 해결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dynamic seating portions deviate from the optimum positions for relieving the concentrated load by rotating the coil springs and the upper pads.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코일스프링의 압축시 코일스프링의 상단부가 상부패드 바깥으로 밀려나오는 현상의 방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ims at preventing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coil spring from being pushed out of the upper pad when the coil spring is compress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자동차 현가장치의 코일스프링 및 베어링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코일스프링 상부에 장착되되, 중앙부에 베어링이 체결되는 체결홀이 형성되고, 체결홀을 따라 코일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중앙지지대가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하부면으로 코일스프링이 안착되는 스프링안착부가 형성된 상부패드에서, 상기 상부패드의 스프링안착부 표면에는 코일스프링에 의해 작용하는 집중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모멘트의 크기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코일스프링의 상부 표면과 부분적으로 선(先)접촉하여 모멘트 회전축을 상부패드의 중앙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동적안착부 및 제2동적안착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il spring of the automotive suspension device is mounted on the coil spring to prevent damage to the bearing, and a coupling hole for coupling the bearing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oil spring. The upper pad having a center support protruding downwardly and having a spring seating portion on which a coil spring is seated on a lower surface thereof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pring seating portion of the upper pad with a magnitude of a moment generated by a concentrated load acting on the coil spring, A first dynamic seating portion and a second dynamic seating portion are provided which partially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coil spring to move the moment rotation axis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upper pa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스프링안착부 표면에는 상부패드와 코일스프링 사이의 회전발생에 따라 제1,2동적안착부와 코일스프링의 접촉지점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코일스프링의 말단부가 접촉하는 위치에 스토퍼가 형성되어 구성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coil spring contacts the surface of the spring seating portion to prevent the contact poin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ynamic seating portions and the coil spring from being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between the upper pad and the coil spring And a stopper is formed at the posi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동적안착부는 중앙부가 볼록하게 돌출되어 형성되되, 제1동적안착부의 돌출된 중앙부는 집중하중이 작용하는 코일스프링의 말단 시작부에서 코일스프링의 권취방향으로 떨어져서 위치하도록 구성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ynamic seating part is formed so as to protrude in the center, and the protruded central part of the first dynamic seating part is separated from the starting end of the coil spring to which the concentrated load is applied in the winding direction of the coil spring Respectively.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동적안착부는 코일스프링의 나선형상에 맞추어 코일스프링의 권취된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 증가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되, 제2동적안착부의 돌출부 집중하중 작용지점과 제1동적안작부의 중앙부 및 상부패드의 중심축이 서로 직선을 이루도록 구성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dynamic seating part is formed so as to protrude so as to gradually increase in height in a winding direction of the coil spring in accordance with the helical shape of the coil spring, 1 central portion of the dynamic working portion and the central axis of the upper pad are formed to be straight line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패드는 코일스프링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주면 방향으로 갈수록 스프링안착부의 두께가 증가하도록 구성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spring seating part increases towar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pad in order to prevent the release of the coil spring.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1,2동적안착부에 의해 코일스프링이 상부패드에 작용하는 집중하중 발생지점이 상부패드 중심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된 상부패드가 하중의 작용에 의해 변형되면서 발생하는 모멘트 회전축의 거리가 줄어들어 모멘트 크기가 감소됨으로써, 모멘트에 의한 상부패드 및 상부패드에 연결되는 베어링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entrated load generation point where the coil spring acts on the upper pad is moved toward the center of the upper pad by the first and second dynamic seating portions, so that the upper pad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functions as a load The distance of the moment axis of rotation caused by the deformation of the upper and lower pads is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moment magnitude. As a result, the damage to the upper and the upper pads due to the moment can be prevent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1,2동적안착부에 의해 코일스프링과 상부패드 사이의 접촉면적이 증가하면서 상부패드에 작용하는 집중하중이 분산됨으로써, 상부패드에 작용하는 힘의 최대 크기가 감소하여 상부패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coil spring and the upper pad is increased by the first and second dynamic seating portions, the concentrated load acting on the upper pad is dispersed, So that damage to the upper pad can be prevent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스프링안착부에 형성된 스토퍼에 의해 코일스프링의 동일한 시작위치가 부여되어, 코일스프링에 하중작용시 코일스프링과 상부패드가 서로 회전하지 않고 고정됨으로써, 제1,2동적안착부의 위치가 집중하중이 완화되는 최적의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모멘트 감소 작용이 더욱 안정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starting position of the coil spring is provided by the stopper formed in the spring seat portion, and when the coil spring is loaded, the coil spring and the upper pad are fixed without rotating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negative portion from deviating from the optimal position where the concentrated load is relaxed, and thus the moment reducing action can be more stably perform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부패드의 외주면 방향으로 갈수록 스프링안착부의 두께가 점차 증가함으로써, 코일스프링이 상부패드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spring seating portion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pad, thereby preventing the coil spring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upper pad.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 현가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높이 상부 패드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높이 상부 패드의 저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높이 상부 패드의 정면도 및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높이 상부 패드와 코일스프링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기존의 상부패드에서 코일스프링에 의한 하중의 작용위치 및 그에 따른 모멘트 회전축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높이 상부패드에서 코일스프링에 의한 하중의 작용위치 및 그에 따른 모멘트 회전축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자동차의 선회주행시 기존의 상부패드 및 본 발명에 따른 가변높이 상부패드에 작용하는 면압의 분포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자동차의 선회주행시 기존의 상부패드 및 본 발명에 따른 가변높이 상부패드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자동차의 주행중 코일스프링의 최대수축 발생시 기존의 상부패드 및 본 발명에 따른 가변높이 상부패드에 작용하는 면압의 분포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자동차의 주행중 코일스프링의 최대수축 발생시 기존의 상부패드 및 본 발명에 따른 가변높이 상부패드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general automotive suspension system.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riable height upper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ottom view of a variable height upper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variable height upper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combination of a variable height upper pad and a coil sp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a position of a load acting by a coil spring and a position of a moment rotation axis according to a conventional upper pad.
7 is a view showing a position of a load acting on the variable-height upper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osition of a moment axis of rotation by the coil spring.
8 is a view showing the distribution of the surface pressure acting on the existing upper pad and the variable height upper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ehicle is turning.
9 is a view showing a comparison of magnitudes of forces acting on a conventional upper pad and a variable height upper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ehicle is turning.
10 is a view showing a comparison of distribution of the surface pressure acting on the existing upper pad and the variable height upper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aximum contraction of the coil spring occurs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11 is a view showing a comparison of magnitudes of forces acting on a conventional upper pad and a variable height upper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maximum contraction of a coil spring occurs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졌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ortion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 of technical contents which are well know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which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This is for the sake of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omitting the unnecessary explanation.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동일한 명칭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다른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도면임에도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구성 요소가 실시 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서로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기능은 해당 실시 예에서의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에 기초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may be given to constituent elements having the same nam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may be given to different drawings. However, even in such a case, it does not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has different function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r does not mean that it has the same function in different embodiments, and the function of each component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rresponding embodiment Based on the description of each component in FIG.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Also, the technical terms used herein should be interpreted in a sense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in this specification,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 overly comprehensive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a meaning or an overly reduced meaning.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Furthermore, the singular forms " a " as used herein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comprising" or "comprising" or the like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the various elements or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r may be further comprised of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우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First,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는 상부패드(40)의 중앙부에 형성된 체결홀을 따라 중앙지지대(41)가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중앙지지대(41)의 외측면에는 상부패드(40)의 하부 방향으로 스프링안착부(42)가 형성되어 있는데, 스프링안착부(42) 표면에는 제1동적안착부(44)와 제2동적안착부(45)가 중앙지지대(41)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방향에 위치하도록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코일스프링(50)의 상부 표면과 부분적으로 선(先)접촉하도록 이루어진다.The center support 41 protrudes downward along the fastening hol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pad 40 and the lower support 40 The first dynamic seating portion 44 and the second dynamic seating portion 45 are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spring seating portion 42 in the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with the center support 41 interposed therebetween So as to be partially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oil spring 50.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제1 실시 예의 구성과 동일하며,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실시 예의 구성에 스프링안착부(42) 표면에 코일스프링(50)의 말단부가 접촉하는 위치에 스토퍼(43)가 추가되는데, 상기 스토퍼(43)는 나선형으로 권취된 형상으로 된 코일스프링(50)이 스프링안착부(42)와 직접 접촉하지 않는 부위에서의 스프링안착부(42)가 돌출 또는 함몰되어 코일스프링(50)의 말단부와 접촉하여 코일스프링(50)에 동일한 시작위치를 부여함으로써 코일스프링(50)을 고정하도록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2,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in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at the position where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coil spring 50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spring seating portion 42 A stopper 43 is added to the stopper 43 so that the spring seat portion 42 at a position where the helical wound coil spring 50 does not directly contact the spring seat portion 42 projects So as to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distal end of the coil spring 50 to give the same starting position to the coil spring 50, thereby fixing the coil spring 50.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는 제1 실시 예 또는 제2 실시 예의 구성과 동일하며, 추가적으로 제1동적안착부(44)의 돌출된 중앙부가 집중하중이 작용하는 코일스프링(50)의 말단 시작부에서 코일스프링(50)의 권취방향으로 떨어져서 위치하게 되는데,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제1,2동적안착부(44,45)가 형성되지 않은 기존의 상부패드(40)에서 코일스프링(50)의 말단부에 의해 집중하중이 작용하는 P1 지점으로부터 코일스프링(50)의 권취방향으로 떨어진 위치로써, 도 7에 도시된 P3 지점에 제1동적안착부(44)의 돌출된 중앙부가 위치하도록 이루어진다.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construc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r the second embodiment, and additionally, the protruded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dynamic seating portion 44 is connected to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coil spring 50 In the conventional upper pad 40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dynamic seating portions 44 and 45 shown in FIG. 6 are not formed, the coil spring 50 The projecting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dynamic seating portion 44 is positioned at the position P3 shown in Fig. 7, at a position apart from the P1 point where the concentrated load is applied by the distal end of the coil spring 50 in the winding direction of the coil spring 50 .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는 제1 실시 예 또는 제2 실시 예의 구성과 동일하며, 추가적으로 제2동적안착부(45)가 코일스프링(50)의 나선형상에 맞추어 코일스프링(50)의 권취된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 증가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고, 제2동적안착부(45)의 돌출부 집중하중 작용지점과 제1동적안작부(44)의 중앙부 및 상부패드(40)의 중심축이 서로 직선을 이루도록 위치하게 되는데, 도 6에 도시된 제1,2동적안착부(44,45)가 형성되지 않은 기존의 상부패드(40)에서 코일스프링(50)의 권취에 의해 스프링안착부(42)와 코일스프링(50)의 이격이 발생하면서 집중하중이 작용하는 P2 지점으로부터 코일스프링(50)의 권취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떨어진 위치로써, 도 7에 도시된 P4 지점에 제2동적안착부(45)의 돌출부가 위치하도록 이루어진다.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construc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r the second embodiment, and additionally, the second dynamic seating portion 45 is wound around the coil spring 50 in accordance with the spiral shape of the coil spring 50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dynamic section 44 and the central axis of the upper pad 40 are formed so as to protrude so as to gradually increase in height from the first dynamic seating section 44 toward the second dynamic seating section 45, The coil spring 50 is wound on the conventional upper pad 40 without the first and second dynamic seating portions 44 and 45 shown in FIG. And the second dynamic seating portion (P4) shown in FIG. 7 is disposed at a position apart from the winding direction of the coil spring 50 from the point P2 where the concentrated load is applied while the coil spring 50 is separated from the coil spring 50 45 are positioned.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는 제1 내지 제4 실시 예의 구성과 동일하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패드(40)의 외주면 방향으로 갈수록 스프링안착부(42)의 두께가 증가하도록 이루어진다.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As shown in FIG. 4B, the thickness of the spring seating part 42 is increased as it goes towar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pad 40.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는 상부패드(40)의 스프링안착부(42) 표면에 제1,2동적안착부(44,45)를 형성함으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동적안착부(44)와 코일스프링(50)의 접촉지점인 P3 지점 및 제2동적안착부(45)와 코일스프링(50)의 접촉지점 P4 지점에 집중하중이 작용하게 되며, P3 지점과 P4 지점을 잇는 C4 선이 C4 선과 평행하며 상부패드(40)의 중심점을 지나는 C3 선으로부터 D2만큼 떨어지게 된다.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nd second dynamic seating portions 44 and 45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pring seating portion 42 of the upper pad 40, A concentrated load acts on the point P3 at which the coil spring 50 and the second dynamic seating portion 45 contact the coil spring 50 and the coil spring 50, The C4 line is parallel to the C4 line and is separated from the C3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point of the upper pad 40 by D2.

이에 비하여, 도 6에 도시된 기존의 상부패드(40)에서는 코일스프링(50)의 말단부와의 접촉지점인 P1 지점과 코일스프링(50)의 권취에 의해 스프링안착부(42)와 코일스프링(50)의 이격이 발생하는 지점인 P2 지점에 집중하중이 작용하게 되며, P1 지점과 P2 지점을 잇는 C2 선이 C2 선과 평행하며 상부패드(40)의 중심점을 지나는 C1 선으로부터 D1만큼 떨어지게 된다.In the conventional upper pad 40 shown in FIG. 6, the point P 1, which is the point of contact with the distal end of the coil spring 50, and the coil spring 50 are wound by the spring seating portion 42 and the coil spring The center line C2 connecting the points P1 and P2 is parallel to the line C2 and is separated from the line C1 passing the center point of the upper pad 40 by D1.

이때, 코일스프링(50)의 수축·이완시 코일스프링(50)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이 인슐레이터(20)에 전달되어 손상되는 것을 막기 위해 인슐레이터(20)와 상부패드(40) 사이에 베어링(30)이 장착되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30)은 상부베어링(31)과 하부베어링(32)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고, 상부베어링(31)은 인슐레이터(20)에 연결되고, 하부베어링(32)은 상부패드(40)에 연결되며, 상부베어링(31)과 하부베어링(32)이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서로 일정 수준의 유격을 가지도록 결합되어 있어, 자동차 운행중 코일스프링(50)이 수축하면 상부패드(40)와 코일스프링(50)의 접촉지점에 편심하중이 작용하면서 상부베어링(31)과 하부베어링(32)이 가지는 유격만큼 베어링(30)이 기울어지고, 베어링(30)이 기울어지면서 발생하는 모멘트가 상부패드(40)와 코일스프링(50)의 접촉지점에서 집중하중으로 작용하게 된다.A bearing 30 is interposed between the insulator 20 and the upper pad 40 to prevent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in the coil spring 50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insulator 20 and damaged during the contraction and relaxation of the coil spring 50. [ 1, the bearing 30 is divided into two parts, an upper bearing 31 and a lower bearing 32. The upper bearing 31 is connected to the insulator 20, The bearing 32 is coupled to the upper pad 40 and is coupled to the lower bearing 32 so that the upper bearing 31 and the lower bearing 32 can rotate stably. The eccentric load acts on the contact point between the upper pad 40 and the coil spring 50 to tilt the bearing 30 by the clearance of the upper bearing 31 and the lower bearing 32, ) Of the upper pad 40 and the coil < RTI ID = 0.0 > It is to act as a concentrated load at the contact point of the spring (50).

모멘트의 크기는 작용하는 힘의 크기와 회전축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의 곱으로 정의되므로, 제1,2동적안착부(44,45)에 의해 모멘트의 회전축이 이동하여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D1과 D2 거리의 차이만큼 모멘트 회전축의 거리가 짧아지게 되면, 편심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모멘트의 크기가 줄어들어 상부패드(40)에 작용하는 집중하중이 감소함으로써 상부패드(40)의 내구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Since the magnitude of the moment is defined as the product of the magnitude of the acting force and the distance from the rotation axis, the rotation axis of the moment moves by the first and second dynamic seating portions 44 and 45, When the distance of the moment rotation axis is shortened by the difference of the D2 distances, the magnitude of the moment generated by the eccentric load is reduced, and the concentrated load acting on the upper pad 40 is reduced to improve the durability life of the upper pad 40 .

구체적으로, 도 8 및 도 9에서는 자동차의 선회주행시 코일스프링(50)이 상부패드(40)에 작용하는 면압의 분포 및 힘의 크기의 측정치를 비교하여 나타내고 있는데, 도8a에 도시된 기존의 상부패드(40)에 작용하는 압력의 분포면적에 비하여, 도 8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부패드(40)에서는 제1,2동적안착부(44,45)에 의해 모멘트의 회전축이 상부패드(40) 중심부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부패드(40)에 작용하는 압력의 면적이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 9b에 도시된 본원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부패드(40)에 작용하는 힘의 최대값이 도 9a에 도시된 기존의 상부패드(40)에 작용하는 힘의 최대값보다 감소한 결과를 보이게 된다.8 and 9, the coil spring 50 measures the distribution of the surface pressure acting on the upper pad 40 and the magnitude of the force when the vehicle is turning. In the upper pad 4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8B, the rotation axis of moment is shifted by the first and second dynamic seating portions 44 and 45 in comparison with the distribution area of the pressure acting on the pad 40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area of the pressure acting on the upper pad 40 is increased by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upper pad 40. Accordingly, The maximum value of the force acting on the upper pad 40 shown in FIG. 9A is smaller than the maximum value of the force acting on the conventional upper pad 40 shown in FIG. 9A.

또한, 도 10 및 도 11에서는 자동차의 주행중 노면의 요철 등에 의해 코일스프링(50)의 최대수축 발생시 코일스프링(50)이 상부패드(40)에 작용하는 면압의 분포 및 힘의 크기의 측정치를 비교하여 나타내고 있는데, 자동차의 선회주행시와 동일하게 도 10a에 도시된 기존의 상부패드(40)에 작용하는 압력의 분포면적에 비하여, 도 10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부패드(40)에서는 제1,2동적안착부(44,45)에 의해 모멘트의 회전축이 상부패드(40) 중심부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부패드(40)에 작용하는 압력의 면적이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 11b에 도시된 본원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부패드(40)에 작용하는 힘의 최대값이 도 11a에 도시된 기존의 상부패드(40)에 작용하는 힘의 최대값보다 감소한 결과를 보이게 된다.10 and 11 illustrate the distribution of the surface pressure acting on the upper pad 40 by the coil spring 50 and the measured value of the magnitude of the force when the maximum contraction of the coil spring 50 occurs due to unevenness of the road surface during driving of the vehicle 10A, the upper pad 4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0B, as compared with the distribution area of the pressure acting on the conventional upper pad 40 shown in FIG. 10A, The rotational axis of the moment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upper pad 40 by the first and second dynamic seating portions 44 and 45 so that the area of the pressure acting on the upper pad 40 increases. The maximum value of the force acting on the upper pad 4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1B is smaller than the maximum value of the force acting on the conventional upper pad 40 shown in FIG. 11A .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작용은 기본적으로 제1 실시 예의 작용과 동일하며,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패드(40)와 코일스프링(50)의 결합시 스프링안착부(42)에 형성된 스토퍼(43)와 의해 코일스프링(50)의 말단이 접촉하여 코일스프링(50)의 시작위치가 항상 동일하게 부여되도록 함으로써, 코일스프링(50)의 수축·이완에 의해 코일스프링(50)에 회전력이 발생하더라도 코일스프링(50)의 위치가 스토퍼(43)에 의해 고정되어, 코일스프링(50)과 상부패드(40) 사이에 회전이 발생하면서 제1,2동적안착부(44,45)의 위치가 집중하중을 완화하는 최적의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모멘트 감소에 의한 집중하중 완화가 더욱 안정적으로 일어날 수 있도록 한다.5, the ope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When the upper pad 40 and the coil spring 5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end of the coil spring 5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oil spring 50 by the spring 43 so that the start position of the coil spring 50 is always the same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is applied to the coil spring 50 by the contraction and relaxation of the coil spring 50 The position of the coil spring 50 is fixed by the stopper 43 so that rotation occurs between the coil spring 50 and the upper pad 40 and the position of the first and second dynamic seating portions 44 and 45 Thereby preventing the concentrated load from being deviated from the optimum position for mitigating the concentrated load, so that the concentrated load reduction due to the moment reduction can be more stably performed.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와 제4 실시 예의 작용은 제1 또는 제2 실시 예의 작용과 동일하며, 제3·제4 실시 예에 따른 제1,2동적안착부(44,45)의 형상적·위치적 특징에 의해 상부패드(40)의 스프링안착부(42)와 코일스프링(50) 사이의 접촉면적이 제1 또는 제2 실시 예에 비하여 증가하게 됨으로써, 상부패드(40)에 작용하는 집중하중이 분산되면서 상부패드(40)에 작용하는 면압이 감소하도록 하며, 제2동적안착부(45)의 돌출부 집중하중 작용지점과 제1동적안작부(44)의 중앙부 및 상부패드(40)의 중심축이 서로 직선에 가깝게 위치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부패드(4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actions of the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or second embodiment, and the shapes of the first and second dynamic seating portions 44, 45 according to the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spring seating portion 42 of the upper pad 40 and the coil spring 50 is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e first or second embodiment by the positional characteristic, The central pad of the first dynamic section 44 and the central pad of the second dynamic seating section 44 and the upper pad 40 of the second dynamic seating section 45, So that the upper pad 4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의 작용은 제1 내지 제4 실시 예의 작용과 동일하며, 상기 상부패드(40)는 외주면 방향으로 갈수록 스프링안착부(42)의 두께가 점차 증가하도록 되어 있어, 노면에서 발생하는 충격이나 자동차의 선회주행시 관성에 의한 차체 기울어짐 등에 의해 코일스프링(50)이 수축하면서 코일스프링(50)의 직경이 증가하더라도 코일스프링(50)이 상부패드(4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operation of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The thickness of the spring seating portion 42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pad 40, The coil spring 50 is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upper pad 40 even if the diameter of the coil spring 50 is increased due to the contraction of the coil spring 50 due to an impact due to inertia at the time of turning of the vehicle or the like .

상기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descrip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erefore,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being described in the foregoing specifica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Ranges and equivalents thereof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섀시
20: 인슐레이터
30: 베어링
31: 상부베어링
32: 하부베어링
40: 상부패드
41: 중앙지지대
42: 스프링안착부
43: 스토퍼
44: 제1동적안착부
45: 제2동적안착부
50: 코일스프링
60: 하부패드
70: 하부시트
80: 쇼크업소버
10: Chassis
20: Insulator
30: Bearings
31: Upper bearing
32: Lower bearing
40: upper pad
41: center support
42: spring seat portion
43: Stopper
44: first dynamic seating part
45: second dynamic seating part
50: coil spring
60: Lower pad
70:
80: Shock absorber

Claims (7)

자동차 현가장치의 코일스프링(50) 및 베어링(30)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코일스프링(50) 상부에 장착되되, 중앙부에 베어링(30)이 체결되는 체결홀이 형성되고, 체결홀을 따라 코일스프링(50)의 이탈을 방지하는 중앙지지대(41)가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하부면으로 코일스프링(50)이 안착되는 스프링안착부(42)가 형성된 상부패드(40)에 있어서,
상기 상부패드(40)의 스프링안착부(42) 표면에는 코일스프링(50)에 의해 작용하는 집중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모멘트의 크기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코일스프링(50)의 상부 표면과 부분적으로 선(先)접촉하여 모멘트 회전축을 상부패드(40)의 중앙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동적안착부(44) 및 제2동적안착부(45)가 형성되되, 상기 제1동적안착부(44)는 중앙부가 볼록하게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동적안착부(44)의 돌출된 중앙부는 집중하중이 작용하는 코일스프링(50)의 말단 시작부에서 코일스프링(50)의 권취방향으로 떨어져서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동적안착부(45)의 돌출부는 코일스프링(50)에 의한 상부패드(40)의 집중하중 작용점에서 코일스프링(50)의 권취방향 반대방향으로 떨어져서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의 집중을 완화하는 자동차 현가장치 코일스프링의 가변 높이 상부 패드.
A coil spring 50 is mounted on the coil spring 50 to prevent damage to the coil spring 50 and the bearing 30 of the automotive suspension device. A coupling hole for coupling the bearing 30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oil spring 50, (40) having a center support (41) protruding downward to prevent the release of the coil spring (50) and a spring seat (42) on which a coil spring (50)
The upper surface of the spring seat portion 42 of the upper pad 40 is partially overlapped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oil spring 50 in order to reduce the magnitude of the moment generated by the concentrated load applied by the coil spring 50 A first dynamic seating portion 44 and a second dynamic seating portion 45 for moving the moment rotating shaft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upper pad 40 are formed, And the protruded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dynamic seating portion 44 is configured to be positioned apart from the starting end of the coil spring 50 to which the concentrated load is applied in the winding direction of the coil spring 50 ,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jecting portion of the second dynamic seating portion (45) is configured to be located away from the concentrated load application point of the upper pad (40) by the coil spring (50)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winding direction of the coil spring (50) A variable height upper pad on a car suspension suspension coil that alleviates the concentration of the coil spr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안착부(42) 표면에는 상부패드(40)와 코일스프링(50) 사이의 회전발생에 따라 제1,2동적안착부(44,45)와 코일스프링(50)의 접촉지점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코일스프링(50)의 말단부가 접촉하는 위치에 스토퍼(43)가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의 집중을 완화하는 자동차 현가장치 코일스프링의 가변 높이 상부 패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act points of the first and second dynamic seating portions 44 and 45 and the coil spring 50 are changed on the surface of the spring seating portion 42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between the upper pad 40 and the coil spring 50 Wherein a stopper (43)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a distal end portion of the coil spring (5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movable spring (50).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동적안착부(45)는 코일스프링(50)의 나선형상에 맞추어 코일스프링(50)의 권취된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 증가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되, 제2동적안착부(45)의 돌출부 집중하중 작용지점과 제1동적안착부(44)의 중앙부 및 상부 패드(40)의 중심축이 서로 직선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의 집중을 완화하는 자동차 현가장치 코일스프링의 가변 높이 상부 패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second dynamic seating part 45 is formed to protrude so as to gradually increase in height in the winding direction of the coil spring 50 in accordance with the spiral shape of the coil spring 50. The second dynamic seating part 45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dynamic seating portion (44) and the central axis of the upper pad (40) are in a straight line with each other. The variable height of the coil spring Top pad.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패드(40)는 코일스프링(50)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주면 방향으로 갈수록 스프링안착부(42)의 두께가 증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의 집중을 완화하는 자동차 현가장치 코일스프링의 가변 높이 상부 패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upper pad (40) is configured to increase the thickness of the spring seating part (42) in the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in order to prevent the coil spring (50) from being detached. Variable height top pad of spr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패드(40)는 코일스프링(50)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주면 방향으로 갈수록 스프링안착부(42)의 두께가 증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의 집중을 완화하는 자동차 현가장치 코일스프링의 가변 높이 상부 패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upper pad (40) is configured to increase the thickness of the spring seating part (42) in the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in order to prevent the coil spring (50) from being detached. Variable height top pad of spr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003539A 2018-01-10 2018-01-10 Variable Pitch Upper Pad with Relief of Load Concentration for Car's Suspension Coil Spring KR1018561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539A KR101856126B1 (en) 2018-01-10 2018-01-10 Variable Pitch Upper Pad with Relief of Load Concentration for Car's Suspension Coil Sp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539A KR101856126B1 (en) 2018-01-10 2018-01-10 Variable Pitch Upper Pad with Relief of Load Concentration for Car's Suspension Coil Spr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6126B1 true KR101856126B1 (en) 2018-05-09

Family

ID=62200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3539A KR101856126B1 (en) 2018-01-10 2018-01-10 Variable Pitch Upper Pad with Relief of Load Concentration for Car's Suspension Coil Spr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6126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1120A (en) * 2007-05-16 2008-11-21 주식회사 만도 Vehicle suspension apparatus and bearing used for the same
KR20100007181A (en) * 2008-07-11 2010-01-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pring upper seat for strut assembly
DE102011106638A1 (en) * 2011-07-05 2012-01-26 Daimler Ag Motor vehicle spring pad for use in motor vehicle spring element for supporting motor vehicle spring, has internal guidance for guiding and centering motor vehicle spring in inserted condition
KR20120061624A (en) * 2010-12-03 2012-06-13 주식회사 만도 Upper spring pad for suspension
KR101459277B1 (en) * 2013-10-25 2014-11-07 대원강업주식회사 Spring Pad For Hollow Coil Sprin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1120A (en) * 2007-05-16 2008-11-21 주식회사 만도 Vehicle suspension apparatus and bearing used for the same
KR20100007181A (en) * 2008-07-11 2010-01-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pring upper seat for strut assembly
KR20120061624A (en) * 2010-12-03 2012-06-13 주식회사 만도 Upper spring pad for suspension
DE102011106638A1 (en) * 2011-07-05 2012-01-26 Daimler Ag Motor vehicle spring pad for use in motor vehicle spring element for supporting motor vehicle spring, has internal guidance for guiding and centering motor vehicle spring in inserted condition
KR101459277B1 (en) * 2013-10-25 2014-11-07 대원강업주식회사 Spring Pad For Hollow Coil Spr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9361B2 (en) Vehicular steering wheel and column assembly including torsional damper device
KR100476604B1 (en) Arrangement with a helical spring and a support bearing for spring struts
KR101664678B1 (en) Spring seat assembly of suspension apparatus for vehicle
JPS5931674Y2 (en) Lateral thrust support device for cargo handling equipment on forklift trucks
JP5803930B2 (en) Vehicle air spring and cart using the same
US20160252153A1 (en) Assembly for air spring, air spring, and carriage for vehicle
JPH05215126A (en) Joint for supporting connecting link in automobile
US9399381B2 (en) Vehicle suspension device
JPH09100859A (en) Suspension bush
KR101856126B1 (en) Variable Pitch Upper Pad with Relief of Load Concentration for Car's Suspension Coil Spring
MXPA00005293A (en) Compliant pivot socket for automotive steering.
CN208665195U (en) Anti-side-turning device, bogie, rail vehicle and Rail Transit System
BR112017017577B1 (en) LOWER SPRING RECEIVING MEMBER
KR101635809B1 (en) Coil spring pad using for vehicle suspension
US10422374B2 (en) Synthetic resin-made sliding bearing
JP4321503B2 (en) Suspension bearing
US9476448B2 (en) Joint device for a motor vehicle
JP2007127173A (en) Bound stopper
JPS608190Y2 (en) air spring for trolley
JP4623462B2 (en) Bump stopper
CN209852011U (en) Novel lower spring pad structure
CN103384777A (en) Brake pad for disc-brake device
CN213017254U (en) Ball joint assembly
US20180058534A1 (en) Nonlinear auxiliary spring, new-belted diaphragm and air spring
CN218966608U (en) Suspension device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