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5717B1 - 출입제어장치와 영상획득장치를 제어하는 통합형 출입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출입제어장치와 영상획득장치를 제어하는 통합형 출입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5717B1
KR101855717B1 KR1020160113139A KR20160113139A KR101855717B1 KR 101855717 B1 KR101855717 B1 KR 101855717B1 KR 1020160113139 A KR1020160113139 A KR 1020160113139A KR 20160113139 A KR20160113139 A KR 20160113139A KR 101855717 B1 KR101855717 B1 KR 101855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control
control device
access
door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3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6595A (ko
Inventor
이재훈
이동복
문영수
이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슈프리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슈프리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슈프리마
Priority to KR1020160113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5717B1/ko
Publication of KR20180026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6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5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5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7C9/00103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출입제어장치와 영상획득장치를 제어하는 통합형 출입제어 시스템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의 도어에의 출입을 제어하는 출입제어장치 및 상기 도어 주변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획득장치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통합제어장치는, 상기 출입제어장치 및 상기 영상획득장치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출입제어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출입제어장치에서 수동적으로 소정의 설정사항이 설정되지 않더라도 상기 출입제어장치에서 상기 통합제어장치와의 연결에 응답하여 자동적으로 상기 소정의 설정사항이 설정되도록 상기 출입제어장치에 설정정보를 제공하고, 복수의 도어 중 상기 영상획득장치 및 상기 출입제어장치와 대응되는 도어로 상기 도어가 선택될 경우, 상기 출입제어장치와 대응되는 영상획득장치로 상기 영상획득장치가 설정되도록 상기 도어를 기준으로 상기 출입제어장치와 상기 영상획득장치를 하나의 그룹으로 관리하고, 상기 그룹을 기초로 상기 출입제어장치로부터 획득된 출입제어 정보 및 상기 영상획득장치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출입제어장치와 영상획득장치를 제어하는 통합형 출입제어 시스템{INTEGRATED ACCESS CONTROL SYSTEM CONTROLLING ACCESS CONTROL DEVICE AND IMAGE ACQUISITION DEVICE}
아래의 실시예들은 출입제어장치와 영상획득장치를 제어하는 통합형 출입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출입제어 시스템이란, 도어를 통해 특정 공간으로 출입하고자 하는 출입자를 인식하여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현재 높은 보안성이 유지되는 출입 통제 시설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사무실, 가정집 등에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출입 관리 시스템에서 종래에 이용되는 인증방법으로는 마그네틱 카드, 스마트 카드, 비접촉 무선 카드 등을 이용하는 인증방법과 출입자의 지문, 홍채와 같은 생체 정보를 이용하는 인증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출입제어 시스템에서는 출입자는 출입하려는 도어 근처에 설치된 출입제어 단말을 통해 인증을 수행하여야 해당 도어를 출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주변에 카메라가 설치되어 도어 주변의 영상을 계속되어 촬영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에는, 출입제어 단말과 영상획득장치를 통합하여 관리하기가 어려웠다. 우선, 출입제어단말 및 영상획득장치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서버가 구비되어야 했다. 또한, 출입제어단말과 영상획득장치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가 상이하고, 연동되지 않으므로 인하여, 관리자가 출입제어단말과 영상획득장치를 항상 모니터링 하여야만 했다. 또한, 출입제어단말에서 네트워크 설정, 출입자 입력 등의 제반 설정을 일일히 수행하여야 한다는 불판함도 있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출입제어 시스템의 보안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출입제어장치와 영상획득장치를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출입제어 시스템의 보안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 및 상기 방법에 기초한 출입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의 도어에의 출입을 제어하는 출입제어장치 및 상기 도어 주변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획득장치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통합제어장치는, 상기 출입제어장치 및 상기 영상획득장치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출입제어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출입제어장치에서 수동적으로 소정의 설정사항이 설정되지 않더라도 상기 출입제어장치에서 상기 통합제어장치와의 연결에 응답하여 자동적으로 상기 소정의 설정사항이 설정되도록 상기 출입제어장치에 설정정보를 제공하고, 복수의 도어 중 상기 영상획득장치 및 상기 출입제어장치와 대응되는 도어로 상기 도어가 선택될 경우, 상기 출입제어장치와 대응되는 영상획득장치로 상기 영상획득장치가 설정되도록 상기 도어를 기준으로 상기 출입제어장치와 상기 영상획득장치를 하나의 그룹으로 관리하고, 상기 그룹을 기초로 상기 출입제어장치로부터 획득된 출입제어 정보 및 상기 영상획득장치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이 상술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해결 수단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출입제어장치와 영상획득장치를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출입제어 시스템의 보안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동적으로 출입제어장치의 설정값을 설정하지 않고도, 출입제어장치를 통합제어장치에 연결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출입제어장치의 설정값이 설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제어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제어 시스템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제어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일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되어진 것이며, 또한, 구성요소(element) 또는 층이 다른 구성요소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요소 또는 층의 바로 위 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기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출입제어 시스템(100)은 출입제어장치(110), 락킹 유닛(111), 도어 상태 감지 유닛(112), 출입권한 인증유닛(113), 영상획득장치(120) 및 통합제어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고, 출입제어 시스템(100)은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출입제어 시스템(100)의 구성요소들(110 내지 130)은 상호간에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신호는 데이터 또는 정보를 포함하므로, 이하에서, 신호의 송수신은 데이터의 송수신 또는 정보의 송수신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출입제어 시스템(100)의 구성요소들(110 내지 130)은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다른 장치와 유선으로 접속하여 통신하는 유선 인터페이스 및/또는 상기 다른 장치와 무선으로 접속하여 통신하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해서는 종래의 통신 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통신 기술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릴 여지가 있어,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출입제어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출입제어 시스템은 도어가 설치된 환경에서, 출입 권한이 있는 사람만이 도어를 통과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출입제어 시스템은 사무실, 연구소와 같은 실내 환경에서 이용될 수도 있고, 군부대 등 건물 외부에 출입 제한 구역을 갖는 외부 환경에서 이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도어는 출입 권한이 없는 사람의 입장이 통제되는 영역과 상기 출입 권한이 없는 사람의 입장이 통제되지 않는 영역을 구분하는 경계로 정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출입 권한이 없는 사람의 입장이 통제되는 영역을 도어의 내측이라고 표현하고, 상기 출입 권한이 없는 사람의 입장이 통제되지 않는 영역을 도어의 외측이라고 표현한다. 예를 들어, 특정 도어에 대하여 정당한 출입 권한을 가진 사용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서, 상기 특정 도어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진입(즉, 도어에의 입문)할 수 있으나 정당한 출입 권한을 가지지 못한 자는, 상기 특정 도어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진입할 수 없다.
도어의 내측/외측의 개념은 하나의 도어에 대해서 정의될 수 있는 개념으로, 제1 도어의 내측은 제2 도어의 외측이 될 수도 있다. 또는, 제1 도어의 내측과 제2 도어의 내측은 동일한 영역일 수 있으나, 상기 제1 도어의 외측과 상기 제2 도어의 외측은 서로 다른 영역일 수 있다. 또는 제1 도어의 외측과 제2 도어의 외측은 서로 동일한 영역일 수 있으나, 상기 제1 도어의 내측과 상기 제2 도어의 내측은 서로 다른 영역일 수 있다.
락킹 유닛(111)은 도어의 언락 상태 및 락 상태를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 있는 물리적인 구성일 수 있다. 여기서, 도어의 언락 상태는 도어가 닫힌 상태(도어의 클로즈 상태)에서 도어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도어가 열리는 상태(도어의 오픈 상태)를 의미하고, 도어의 락 상태는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도어가 열리지 않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락킹 유닛(111)은 도어를 락 상태로 제한하기 위하여 락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락킹 유닛(111)이 락 제어를 수행할 경우, 도어를 물리적으로 락킹하거나 언락할 수 있는 잠금 장치에 의하여 도어가 락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락킹 유닛(111)은 도어를 언락 상태로 제한하기 위하여 언락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락킹 유닛(111)이 언락 제어를 수행할 경우, 상기 잠금장치에 의하여 도어가 언락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도어 상태 감지 유닛(112)은 도어가 클로즈 상태인지 또는 오픈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구성일 수 있다. 여기서, 도어의 클로즈 상태는 도어에 의해 도어의 내측과 외측이 연결되지 않고 단절된 상태를 의미하고, 도어의 오픈 상태는 도어의 내측과 외측이 연결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출입권한 인증유닛(113)은 오브젝트가 도어를 출입할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오브젝트는 도어 주변에 위치하는 사람 또는 장치(예를 들어, 자동차 등)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오브젝트는 이하에서 설명될 영상획득장치가 획득한 영상에서 검출된 대상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출입권한 인증유닛(113)은 오브젝트의 생체정보(예를 들어, 지문, 홍채, 정맥, 심전도, 근전도, 목소리 등) 및/또는 동작정보(예를 들어, 특정 제스쳐 등) 및/또는 암호 정보(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패턴, 비밀번호, 인증 문자열, 복호 데이터, 스마트 카드에 포함된 인증 정보 등)을 이용하여 오브젝트가 도어에 출입할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출입제어장치(110)는 오브젝트의 도어에의 출입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출입제어장치(110)는 락킹 유닛(111), 도어 상태 감지 유닛(112) 또는 출입 권한 판단 유닛(113)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입 권한 인증 유닛(113)에서 상기 오브젝트가 도어에 출입할 권한이 있는 것으로 인증된 경우, 출입제어장치(110)는 락킹 유닛(111)을 제어하여 도어가 언락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출입제어장치(110)는 락킹 유닛(111), 도어 상태 감지 유닛(112) 또는 출입 권한 판단 유닛(11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고, 상기 유닛들(111, 112, 113)을 포함하지 않고 상기 유닛들(111, 112, 113)과 신호를 송수신하여 상기 유닛들(111, 112, 113)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유닛들(111, 112, 113)은 물리적으로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상기 유닛들(111, 112, 113)이 조합되어 물리적으로 복수개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유닛들(111, 112, 113) 각각이 물리적으로 개별적인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출입제어장치(110)는 상기 유닛들(111, 112, 113)로부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입제어장치(110)는 락킹 유닛(111)로부터 락킹 유닛(111)이 락 제어를 수행하는지 또는 언락 제어를 수행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도어 상태 감지 유닛(112)로부터 도어가 오픈 상태인지 또는 클로즈 상태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출입제어장치(110)는 도어가 오픈 상태인 경우, 도어 상태 감지 유닛(112)로부터 도어가 오픈된 시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출입제어장치(110)는 출입 권한 인증 유닛(113)으로부터, 오브젝트가 출입 권한 인증을 받았는지 또는 출입 권한 인증에 실패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출입제어장치(110)는 출입 권한 인증 유닛(113)으로부터, 오브젝트가 비정상적인 상황에서 출입 권한을 인증받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의 지문을 이용하여 출입 권한 인증이 수행되는 경우, 출입 권한 인증 유닛은 오브젝트가 검지 손가락으로 출입 권한 인증을 요청할 경우에는 정상적인 상황에서 출입 권한 인증을 요청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으나, 오브젝트가 중지 손가락으로 출입 권한 인증을 요청할 경우에는 비정상적인 상황(예를 들어, 다른 사람으로 협박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출입 권한 인증을 요청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출입 권한 인증 유닛(113)은 오브젝트가 비정상적인 상황에서 출입 권한을 인증받았다는 정보를 출입제어장치(11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출입제어장치(110)는 출입 권한 인증 유닛(113)으로부터 도어에의 접근이 거부된 것으로 설정된 오브젝트(이하, 접근 거부 오브젝트)가 출입 권한 인증을 요청하였는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근 거부 오브젝트가 출입 권한 인증 유닛(113)에 출입 권한 인증을 요청한 경우, 출입 권한 인증 유닛(113)은 접근 거부 오브젝트의 도어에의 출입을 막기 위하여, 락킹 유닛(111)을 언락 상태로 제어하고, 접근 거부 오브젝트가 출입 권한 인증을 요청하였다는 정보를 출입제어장치(11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출입제어장치(110)는 상기 유닛들(111, 112, 113) 각각으로부터, 상기 유닛들(111, 112, 113)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입제어장치(110)는 상기 유닛들(111, 112, 113)이 정상적으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닛들(111, 112, 113)이 물리적 장치로 구현된 경우, 출입제어장치(110)는 상기 물리적 장치가 전원과 연결되어 운용전력을 공급받는지 여부, 상기 물리적 장치와 전원과의 연결이 강제적으로 해제되었는지 여부 또는 상기 물리적 장치와 전원과의 연결 해제가 종료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출입제어장치(110)는 상기 유닛들(111, 112, 113)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출입제어장치(110)와 정보를 송수신 하는 경우, 상기 유닛들(111, 112, 113)이 네트워크에 정상적으로 연결되었는지, 상기 유닛들(111, 112, 113)의 네트워크 연결이 강제적으로 해제되었는지, 상기 유닛들(111, 112, 113)의 네트워크 연결 해제가 종료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출입제어장치(110)는 상기 유닛들(111, 112, 113)으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통합제어장치(130)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출입제어장치(110)는 출입제어 정보를 통합제어장치(13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영상획득장치(120)은 소정 지역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영상획득장치(120)는 하나 이상의 물리적인 장치(예를 들어, 카메라, CCTV)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획득장치(120)는 도어 주변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물론, 영상획득장치(120)에서 획득되는 영상에는 상기 도어 주변의 위치하는 오브젝트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영상획득장치(120)는 통합제어장치(130)의 제어에 의하여, 영상에 포함되는 영역의 위치, 영상에 포함되는 영역의 범위 또는 영상의 초점 등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통합제어장치(130)는 출입제어장치(110) 및 영상획득장치(12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제어장치(130)가 물리적으로 구성될 경우, NVR(Network Video Recorder)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통합제어장치(130)는 출입제어장치(110) 및 영상획득장치(120)과의 연결을 위한 유선/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합제어장치(130)는 출입제어장치(110) 및 영상획득장치(120)과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PoE(Power of Ethernet), LAN)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TCP/IP 프로토콜, SMTP 프로토콜, DHCP 프로토콜, DDNS 프로토콜, uPnP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통합제어장치(130)는 상기 유선/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출입제어장치(110) 및 영상획득장치(120)와 신호를 송수신하여, 출입제어장치(110) 및 영상획득장치(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통합제어장치(130)는 출입제어장치(110)로부터 획득한 정보(즉, 출입제어 정보) 및 영상획득장치(120)로부터 획득한 정보(즉, 영상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통합적으로 관리되는 출입제어 정보 및 영상 정보를 기초로 출입제어 시스템(100)을 제어하고, 보안 관리(예를 들어, 출입제어 이벤트의 알람, 로그 기록 등)를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통합제어장치(130)는 도어를 중심으로 출입제어 정보 및 영상 정보를 분류/저장할 수 있다. 또한, 통합제어장치(130)는 출입제어 정보에 기초한 출입제어 이벤트를 쿼리로 영상 정보를 검색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출입제어장치(110)가 구동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설정사항이 설정되어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입제어장치(110)의 네트워크 설정값, 출입권한, 출입 등급, 출입그룹, 출입자 등이 설정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설정사항이 출입제어장치(110)에서 수동적으로 입력될 경우에는 사용자가 불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합제어장치(130)는 상기 설정사항이 출입제어장치(110)에서 수동적으로 입력되지 않고도, 자동적으로 상기 설정사항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사항을 출입제어장치(110)에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통합제어장치(130)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3에서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출입제어 시스템(200)은 제1 영상획득장치(211), 제1 출입제어 단말(212), 제2 영상획득장치(221), 제2 출입제어 단말(222) 및 통합제어장치(230)를 포함할 수 있다. 출입제어 시스템(200)은 도 1의 출입제어 시스템(100)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자세하게는 출입제어 시스템(200)은 복수의 구역에 대한 출입 관리 및 보안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의 출입제어 시스템(100)에 대해 설명된 내용은 출입제어 시스템(200)에 적용될 수 있다.
제1, 2 출입제어 단말(212, 222)은 제1, 2 출입제어 단말(212, 222)는 도 1의 락킹 유닛(111), 도어 상태 감지 유닛(112) 또는 출입 권한 인증 유닛(11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로 정의되는 것으로, 도 1의 출입제어장치(110)에 대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영상획득장치(211) 및 제1 출입제어 단말(212)은 제1 구역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제2 영상획득장치(221) 및 제2 출입제어 단말(222)은 제1 구역과 다른 제2 구역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2 출입제어 단말(212, 222)은 제1 구역 및 제2 구역에 대한 출입제어 정보, 예를 들어, 제1 구역 및 제2 구역의 출입제어에 이용되는 유닛들의 상태정보, 동작 정보, 도어의 상태에 대한 정보, 오브젝트의 출입 인증 여부에 대한 정보 등을 통합제어장치(23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영상획득장치(211)는 제1 구역에 대한 영상 정보를 획득하여 통합제어장치(230)에 제공하고, 제2 영상획득장치(221)는 제2 구역에 대한 영상 정보를 획득하여 통합제어장치(23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통합 제어 유닛(230)은 획득된 영상획득 정보 및 영상 정보를 각 구역을 중심으로 분류 및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역이 제1 도어의 출입과 관련하여 출입제어 시스템(200)이 관리하는 영역이고, 제2 구역이 제2 도어의 출입과 관련하여 출입제어 시스템(200)이 관리하는 영역인 경우, 통합제어장치(230)는 제1 도어를 관리하는 장치로 제1 영상획득장치(211) 및 제1 출입 제어 단말(212)을 지정하고, 제2 도어를 관리하는 장치로 제2 영상획득장치(221) 및 제2 출입 제어 단말(222)을 지정할 수 있다. 또한, 통합 제어 유닛(230)은 제1 도어에 대한 정보로 제1 영상획득장치(211)로부터 획득한 영상정보 및 제1 출입 제어 단말(212)로부터 획득한 출입제어 정보를 저장하고, 제2 도어에 대한 정보로 제2 영상획득장치(212)로부터 획득한 영상정보 및 제2 출입 제어 단말(222)로부터 획득한 출입제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통합제어장치(230)는 획득한 영상 정보 및 출입제어 정보를 기초로 제1, 2 구역에 대한 통합적인 보안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출입 제어 단말(212)로부터 오브젝트의 출입 권한 인증이 수행되지 않고, 도어가 강제로 오픈되었다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통합제어장치(230)는 도어가 강제로 오픈되었다는 사실을 관리자에게 알리고, 도어가 강제로 오픈되었다는 로그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통합제어장치(230)는 제1 출입 제어 단말(212)로부터 도어가 강제로 오픈된 시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제1 영상획득장치(211)로부터 획득된 영상 정보 중 상기 도어가 강제로 오픈된 시점에 대한 영상 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통합제어장치(230)는 제2 출입제어 단말(222)을 제어하여, 제2 구역에 설치된 도어가 클로즈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통합제어장치(230)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3에서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1, 2의 통합제어장치(130, 230)에서 설명된 내용은 통합제어장치(300)에 적용될 수 있고,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통합제어장치(300)는 출입제어장치 및 영상획득장치로부터 획득된 출입제어 정보 및 영상 정보를 기초로 보안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통합제어장치(300)는 감지부(310) 및 제어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310)는 출입제어장치 및 영상획득장치가 연결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합제어장치(300)는 출입제어장치 및/또는 영상획득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연결 인터페이스는 IEEE 802.3af 표준의 PoE(Power over Ethernet)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통합제어장치(300)는 PoE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하나의 통신선으로, 출입제어장치 및/또는 영상획득장치와 전력 및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연결 인터페이스에는 PoE 인터페이스들 외에도, 출입제어장치 및/또는 영상획득장치를 연결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USB, PLC, LAN, RS-232, RS-485, RS-422, IEEE1394, Home PNA, ZigBee, DSRC, RFID, Bluetooth, WLAN, WiFi, Wibro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310)는 출입제어장치 및/또는 영상획득장치가 상기 연결 인터페이스에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제어부(32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제어부(320)는 출입제어장치의 소정의 설정사항을 자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소정의 설정사항은 네트워크 설정, 도어 설정, 출입 그룹 설정, 출입 가능한 오브젝트 설정, 출입권한 설정, 주변장치 설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외에도 출입제어장치의 동작을 위해 설정되어야 하는 사항들이 포함될 수 있다.
먼저, 제어부(320)는 출입제어장치(410)의 네트워크 설정을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기존에는, 사용자가 출입제어장치의 네트워크 설정을 수동적으로 수행해야 했다. 예를 들어, 통합제어장치(300)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출입제어장치와 연결하기 전, 통합제어장치(300)에 연결하기 위한 네트워크 설정값(예를 들어, IP 주소, 게이트웨이 값, 서브셋 마스크 값)을 사용자가 수동으로 입력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반면, 제어부(320)는 출입제어장치가 통합제어장치(300)에 연결되기만 하면, 네트워크 설정값을 자동으로 출입제어장치에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일일이 네트워크 설정값을 출입제어장치에 입력하지 않고도, 편리하게 출입제어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출입제어장치의 자동 네트워크 설정에 대한 실시예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통합제어장치(420)는 출입제어장치(410)과 연결될 수 있다(431). 여기서, 연결은 전기적인 연결을 나타낼 수도 있지만,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더라도,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신적인 연결을 나타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합제어장치(420)는 출입제어장치(410)과 PoE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통합제어장치(420)의 제어부는 출입제어장치(410)의 AC 식별자를 검출할 수 있다(432). 여기서, AC 식별자는 복수의 출입제어장치 각각을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맥 어드레스(MAC address), 출입제어장치(410)의 시리얼 넘버, 출입제어장치(410)에 포함된 CPU(MCU), HDD 등과 같은 하드웨어의 시리얼 넘버를 포함할 있다. 이에 따라, AC 식별자는 복수의 출입제어장치 중 출입제어장치(410)를 식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AC 식별자는 복수의 출입제어장치가 동일한 제조사에서 생산되거나, 또는, 동일한 모델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AC 식별자가 6자리의 문자로 구성된 경우, 1, 2번째 문자는 제조사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의미할 수 있고, 3, 4번째 문자는 모델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의미할 수 있고, 5, 6번째 문자는 출입제어장치 각각의 고유 식별자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합제어장치(420)의 제어부는 출입제어장치(410)에 AC 식별자의 제공을 요청하고, 출입제어장치(410)는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통합제어장치(420)에 AC 식별자를 요청할 수 있다. 또는, 통합제어장치(420)가 출입제어장치(410)에의 접근 권한을 가지는 경우, 통합제어장치(420)의 제어부는 상기 요청 없이도 출입제어장치(410)로부터 AC 식별자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통합제어장치(420)의 제어부는 네트워크 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433). 예를 들어, 네트워크 주소는 IP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통합제어장치(420)에 복수의 출입제어장치가 연결될 경우, IP 주소를 통하여 출입제어장치(410)가 식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합제어장치(420)의 제어부는 할당 가능한 복수의 IP 주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IP 주소 중 하나의 IP 주소를 출입제어장치(41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제어장치(420)의 제어부는 복수의 IP 주소 중 출입제어장치들이 연결된 순서에 따라, 해당 출입제어장치의 AC 식별자와 대응되는 IP 주소를 할당하거나, 임의적으로 복수의 출입제어장치에 IP 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
또한, 통합제어장치(420)의 제어부는 미리 각 AC 식별자에 대응되는 IP 주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특정 AC 식별자를 갖는 출입제어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특정 AC 식별자와 대응되는 IP 주소를 선택하여, 선택된 IP 주소를 해당 출입제어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통합제어장치(420)의 제어부는 할당된 네트워크 주소와 대응되는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출입제어장치(41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주소가 IP 주소를 포함하는 경우, 네크워크 설정 정보는 해당 IP 주소와 대응되는 게이트웨이 값 및/또는 서브셋 마스크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입제어장치(410)의 연결이 해제되더라도, 출입제어장치(410)가 다시 통합제어장치(420)에 연결되는 경우, 통합제어장치(420)의 제어부는 기 할당된 IP 주소를 출입제어장치(410)에 다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입제어장치(410)는 동일한 IP 주소를 이용하여 통합제어장치(42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출입제어장치(410)의 연결이 해제된 후, 출입제어장치(410)가 아닌 다른 출입제어장치가 연결된 경우에도, 통합제어장치(420)의 제어부는 출입제어장치(410)에 기할당된 IP 주소를 상기 다른 출입제어장치에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른 출입제어장치의 AC 식별자를 통하여 상기 다른 출입제어장치와 출입제어장치(410)가 동일한 제조사의 제품 또는 동일한 모델이라는 것이 확인된 경우, 통합제어장치(420)는 상기 다른 출입제어장치에 상기 출입제어장치(410)에 기할당된 IP 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출입제어장치(410)는 수신한 네트워크 설정정보를 기초로 네트워크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435). 예를 들어, 출입제어장치(410)의 네트워크 연결 방식이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방식일 때, 상기 IP 주소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설정정보를 수신한 경우, 출입제어장치(410)의 네트워크 연결 방식을 DHCP 방식에서 고정 IP 방식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출입제어장치(410)는 네트워크 설정정보에 포함된 IP 주소, 게이트웨이 값, 서브셋 마스크 값 등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입제어장치(410)에서 수동적으로 네트워크 설정이 되지 않고도(즉, 사용자가 수동적으로 출입제어장치(410)에 네트워크 설정값을 입력하지 않고도), 출입제어장치(410)는 통합제어장치(420)와의 연결에 응답하여 자동적으로 네트워크 설정을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 편의성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출입제어장치(410)에서 네트워크 설정이 된 경우, 출입제어장치(410)와 통합제어장치(420)간에 채널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채널은 유/무선 통신 채널일 수 있다. 상기 채널이 무선 통신 채널인 경우, 통합제어장치(420)는 PoE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지 않고도,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출입제어장치(4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출입제어장치(410)는, 상기 형성된 채널을 통하여, 출입제어 정보를 통합제어장치(420)에 전송할 수 있다(436). 또한, 수신된 출입제어 정보에 응답하여, 통합제어장치(420)의 제어부는 출입제어장치(4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출입제어장치(410)에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320)는 출입제어장치와 연동되는 도어의 설정, 출입 그룹의 설정, 상기 도어에 출입 가능한 오브젝트의 설정, 상기 오브젝트의 출입 권한 설정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실시예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통합제어장치(520)는 제1 출입제어장치(510)와 연결될 수 있고(551), 또한, 통합제어장치(520)는 영상획득장치(530)와 연결될 수 있다(552). 예를 들어, 통합제어장치(520)는 제1 출입제어장치(510) 및 영상획득장치(530)와 PoE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출입제어장치(510)와의 연결에 응답하여, 통합제어장치(520)의 제어부는 제1 출입 그룹을 설정할 수 있다(561). 여기서, 제1 출입 그룹은 특정 도어를 기준으로 분류가능한 개체들(예를 들어, 출입제어장치, 영상획득장치, 오브젝트 등)의 집합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출입 그룹은 제1 출입제어장치, 제1 출입제어장치(510)와 대응되는 제1 도어, 상기 제1 도어를 출입가능한 오브젝트, 상기 제1 도어 주변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획득장치(53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통합제어장치(520)의 제어부는 제1 출입제어장치(510)와의 연결에 응답하여 제1 출입 그룹을 설정하고, 상기 제1 출입 그룹에 제1 출입제어장치(510)와 대응되는 도어로 복수의 도어 중 제1 도어를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제어장치(520)의 제어부는 하나의 출입제어장치에 하나 이상의 도어를 할당할 수도 있고, 상기 할당된 도어를 제1 출입 그룹이 관리하는 제1 도어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통합제어장치(520)의 제어부는 제1 출입그룹에 제1 도어를 출입할 수 있는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562). 예를 들어, 제1 출입제어장치(510)에서 제1 도어를 출입할 수 있는 오브젝트의 등록이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제1 출입제어장치(510)에서는 상기 오브젝트의 식별자, 상기 오브젝트의 크리덴셜, 상기 오브젝트의 출입 권한(상기 오브젝트가 출입할 수 있는 도어에 대한 정보) 등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출입제어장치(510)는 통합제어장치(520)에 상기 등록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572), 통합제어장치(520)의 제어부는 상기 제1 출입그룹에 상기 수신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제1 출입제어장치(510)에서 제1 도어를 출입할 수 있는 오브젝트의 등록이 수행되지 않더라도, 통합제어장치(520)는 외부로부터의 정보획득을 통하여, 또는, 통합제어장치(520)로의 직접 입력을 통하여, 제1 도어를 출입할 수 있는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또한, 통합제어장치(520)의 제어부는 제1 출입 그룹에 제1 도어와 대응되는 영상획득장치로 영상획득장치(530)를 지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도어, 제1 도어를 출입가능한 오브젝트, 제1 출입 그룹 장치(510) 및 영상획득장치(530)는 제1 출입 그룹으로 통합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
또한, 영상획득장치(530)는 제1 도어 주변의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을 통합제어장치(520)에 전송할 수 있다(581).
또한, 통합제어장치(520)의 제어부는 영상획득장치(530)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제1 출입 그룹과 연동하여 저장할 수 있다(563). 이에 따라, 통합제어장치(520)에 저장된 복수의 영상 중 제1 출입 그룹(또는, 제1 도어)과 관련된 영상으로 상기 영상획득장치(530)로부터 획득된 영상이 지정될 수 있다. 또한, 통합제어장치(520)의 제어부는 영상획득장치(530)로부터 영상을 획득한 시점(또는, 상기 영상이 영상획득장치(530)에서 획득된 시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영상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통합제어장치(520)의 제어부는 제1 출입제어장치(510)로부터 출입제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통합제어장치(520)의 제어부는 획득된 출입제어 정보를 제1 출입 그룹과 연동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통합제어장치(520)의 제어부는 획득된 출입제어 정보를 기초로 출입제어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출입제어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통합제어장치(520)의 제어부는 발생된 출입제어 이벤트를 제1 출입 그룹과 연동하여 저장할 수 있다. 출입제어 이벤트의 발생 감지에 대해서는 도 5에 대한 설명 이후에 자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제1 출입제어장치(510)와 통합제어장치(520)간의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553). 예를 들어, 제1 출입제어장치(510)와 통합제어장치(520)간의 통신 연결이 일시적으로 해제될 수도 있고, 영구적으로 해제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통합제어장치(520)의 제어부는 소정의 시간 동안 제1 출입 그룹과 연동되는 정보들(예를 들어, 출입 제어 정보, 출입제어 이벤트, 영상, 출입 권한 등)을 삭제하지 않고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 통합제어장치(520)의 제어부는 제1 출입 그룹과 연동되는 정보들을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제2 출입제어장치(540)가 통합제어장치(520)와 연결될 수 있다(554). 이 경우, 통합제어장치(520)의 제어부는 제2 출입제어장치(540)가 제1 출입 그룹에 억세스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564).
일 실시예에서, 통합제어장치(520)의 제어부는 제1 출입제어장치(510)의 AC 식별자(이하, 제1 AC 식별자)와 제2 출입제어장치(540)의 AC 식별자(이하, 제2 AC 식별자)를 비교하여 제2 출입제어장치(540)의 제1 출입 그룹에의 억세스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AC 식별자와 제2 AC 식별자가 동일한 경우, 통합제어장치(520)의 제어부는 제1 출입제어장치(510)와 제2 출입제어장치(540)가 동일한 장치라고 판단하고, 제2 출입제어장치(540)의 제1 출입 그룹에의 억세스를 허용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AC 식별자와 제2 AC 식별자가 상이한 경우, 통합제어장치(520)의 제어부는 제2 출입제어장치(540)의 제1 출입 그룹에의 억세스를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 AC 식별자와 제2 AC 식별자를 비교하여, 제1 출입제어장치(510)와 제2 출입제어장치(540)가 동일한 모델이거나, 동일한 제조사의 제품이라는 것이 확인될 경우, 통합제어장치(520)의 제어부는 제2 출입제어장치(540)의 제1 출입 그룹에의 억세스를 허용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외부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기초로, 제2 출입제어장치(540)가 제1 출입 그룹에 억세스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제어장치(520)에 직접 입력된 정보,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제2 출입제어장치(540)가 제1 출입 그룹에 억세스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AC 식별자와 제2 AC 식별자를 비교하지 않고도, 통합제어장치(520)의 제어부는 제2 출입제어장치(540)가 제1 출입 그룹에 억세스 가능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출입제어장치(540)가 제1 출입 그룹에 억세스 불가능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통합제어장치(520)의 제어부는 제2 출입제어장치(540)의 제1 출입 그룹에의 억세스를 거부할 수 있다(565). 이에 따라, 제2 출입제어장치(540)는 제1 출입 그룹과 연동하여 저장된 정보들에 억세스할 수 없다. 또한, 통합제어장치(520)의 제어부는 제2 출입제어장치(540)와 대응하는 제2 출입 그룹을 생성하고, 제2 출입 그룹을 관리할 수 있다(565).
또한, 제2 출입제어장치(540)가 제1 출입 그룹에 억세스 가능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통합제어장치(520)의 제어부는 제2 출입제어장치(540)의 제1 출입 그룹에의 억세스를 허용할 수 있다(566). 이에 따라, 제2 출입제어장치(540)는 제1 출입 그룹과 연동하여 저장된 정보들에 억세스 가능하고, 통합제어장치(520)는 제2 출입제어장치(540)로부터 획득한 출입제어 정보 및/또는 출입 제어 이벤트를 제1 출입 그룹과 연동하여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출입제어장치(540)에의 수동적인 설정 없이도, 제2 출입제어장치(540)를 통합제어장치(520)에 연결함으로써, 제2 출입제어장치(540)가 제1 출입제어장치(510)의 설정사항을 그대로 승계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통합제어장치(300)의 제어부(320)는 출입제어장치로부터 획득한 출입제어 정보를 기초로 출입제어 이벤트를 결정하고, 출입제어 이벤트에 따라 보안 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20)는 출입제어장치로부터 획득한 복수의 출입제어 정보를 소정 개수의 출입제어 이벤트로 분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출입제어 정보 각각을 소정 개수의 이벤트로 분류함으로써, 제어부(320)는 필수적인 정보만을 고려하여 보다 빠르게 현재 보안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20)는 소정 개수의 출입제어 이벤트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출입제어 이벤트의 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결정된 출입제어 이벤트의 타입에 따른 보안 이벤트(또는, 관리 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320)는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현재 보안 상황에 따른 보안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제어부(320)의 출입제어 이벤트의 타입의 결정에 대해 설명한다. 출입제어 이벤트의 전체 타입에 대한 정보는 통합제어장치(30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출입제어 이벤트의 전체 타입은 출입권한 인증 성공/실패 이벤트, 협박에 의한 출입권한 인증 이벤트, 접근 거부 이벤트, 잠금장치 락/언락 이벤트, 스케쥴에 의한 잠금장치 락/언락 이벤트, 도어 오픈/클로즈 이벤트, 도어 강제 오픈 이벤트, 장시간 도어 오픈 이벤트, 출입제어장치 상태 이상/상태 복구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출입제어 이벤트의 타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이벤트들 외에 다른 출입제어 이벤트 역시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제어부(320)는 통합제어장치(300)에서 획득된 출입제어 정보를 기초로 출입제어 이벤트의 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320)는 소정의 시간동안 통합제어장치(300)에서 획득된 출입제어 정보와 매칭되는 출입제어 이벤트의 타입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소정의 시간동안 획득된 출입제어 정보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는 출입제어 이벤트의 타입이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출입제어 이벤트는 출입권한 인증에 대한 제1 속성, 락킹유닛의 동작에 관련된 제2 속성, 도어의 상태와 관련된 제3 속성 또는 출입제어장치의 상태와 관련된 제4 속성 중 적어도 하나의 속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속성 내지 제4 속성 각각은 속성값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속성은 출입권한 인증을 나타내는 제1-1 속성값, 출입권한 인증 실패를 나타내는 제1-2 속성값, 비정상적인 상황에서의 출입권한 인증을 나타내는 제1-3 속성값, 접근거부 오브젝트의 출입권한 인증 요청을 나타내는 제1-4 속성값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속성은 락킹유닛의 락 제어를 나타내는 제2-1 속성값, 락킹유닛의 언락 제어를 나타내는 제2-2 속성값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속성은 도어의 오픈상태를 나타내는 제3-1 속성값, 도어의 클로즈 상태를 나타내는 제3-2 속성값, 도어가 소정 시간 이상 오픈된 상태를 나타내는 제3-3 속성값, 도어가 강제적으로 오픈된 상태를 나타내는 제3-4 속성값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속성은 출입제어장치(또는, 락킹 유닛, 도어 상태 감지 유닛, 출입 권한 인증 유닛 중 적어도 하나)가 정상상태라는 것을 나타내는 제4-1 속성값, 상기 출입제어장치가 비정상상태라는 것을 나타내는 제4-2 속성값을 포함할 수 있다.
출입제어 이벤트는 제1 속성 내지 제4 속성 중 적어도 하나의 속성값을 포함하고, 출입제어 이벤트가 갖는 속성값에 따라 출입제어 이벤트의 타입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입제어 이벤트 중 장시간 도어 오픈 이벤트는 제3 속성 중 도어가 강제적으로 오픈된 상태를 나타내는 제3-4 속성값을 포함할 수 있다. 통합제어장치(300)가 획득한 출입제어 정보가 오브젝트의 출입권한 인증이 실패했다는 정보 및 도어가 오픈 상태라는 정보일 경우, 제어부(320)는 상기 획득한 출입제어 정보들과 제3-4 속성값을 매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획득한 출입제어 정보에 락킹유닛의 락 제어를 수행한다는 정보가 더 포함될 경우에도, 제어부(320)는 상기 획득한 출입제어 정보들과 제3-4 속성값을 매칭할 수 있다. 제3-4 속성값의 매칭에 따라, 제어부(320)는 출입제어 이벤트의 타입을 장시간 도어 오픈 이벤트로 결정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언급된 속성들 및 속성값들 외에 다른 기준들 역시 출입제어 이벤트의 타입을 결정하기 위한 속성 및 속성값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출입제어 이벤트의 각 타입, 출입제어 이벤트의 각 타입에 대응하는 속성 및 속성값에 대한 정보는 룩업 테이블의 형식으로 통합제어장치(30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20)는 결정된 출입제어 이벤트와 대응되는 보안 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기서, 보안 이벤트는 출입제어 시스템이 관리하는 영역의 보안이 유지되도록, 현재 보안 상황에 따라 통합제어장치(300)가 수행하는 이벤트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예로, 보안 이벤트는 출입제어 시스템을 관리하는 관리자(또는, 출입제어 시스템의 사용자)에게 현재 보안 상황에 관한 정보를 알리는 알람 이벤트, 현재 보안 상황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 이벤트 및 영상저장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안 이벤트는 출입제어 장치를 제어하는 출입제어장치 제어 이벤트(예를 들어, 출입제어장치가 제어하는 잠금장치의 언락 제어 이벤트 또는 상기 잠금장치의 락 제어 이벤트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정된 출입제어 이벤트가 장시간 도어 오픈 이벤트 또는 도어 강제 오픈 이벤트인 경우, 제어부(320)는 현재 보안 상황을 비정상 상황으로 결정하고, 관리자에게 현재 보안 상황이 비정상 상황이라는 정보를 알리는 알람 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20)는 관리자의 단말(예를 들어, PC, 모바일 단말 등)에 현재 보안 상황이 비정상 상황이라는 정보를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20)는 현재 보안 상황이 비정상 상황이라는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 이벤트를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20)는 영상저장 이벤트를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320)는 출입제어 이벤트가 발생된 시점에 영상획득장치로부터 획득된 영상과, 출입제어 이벤트를 연동시켜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입제어 이벤트 또는 출입제어 이벤트가 발생된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쿼리로 출입제어 이벤트 및 출입제어 이벤트가 발생된 시점과 대응되는 영상이 검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강제 오픈 이벤트가 2016년 7월 15일 15시 03분에 발생된 경우, 제어부(320)는 2016년 7월 15일 15시 03분에 영상획득장치에서 촬영된 영상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영상에 상기 도어 강제 오픈 이벤트를 연동시킬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320)는 상기 추출된 영상에 상기 도어 강제 오픈 이벤트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삽입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제어부(320)는 상기 추출된 영상이 상기 도어 강제 오픈 이벤트와 대응된다는 정보를 생성하고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320)는 관리자가 도어 강제 오픈 이벤트 또는 2016년 7월 15일 15시 03분을 쿼리로 영상을 검색할 경우, 상기 2016년 7월 15일 15시 03분에 영상획득장치에서 촬영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9320)는 상기 영상획득장치에서 상기 영상이 획득된 시점과 상기 도어 강제 이벤트가 발생된 시점을 매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가 상기 도어 강제 오픈 이벤트(또는 2016년 7월 15일 15시 03분)을 쿼리로 영상을 검색할 경우, 제어부(320)는 복수의 영상 중 상기 도어 강제 이벤트가 발생된 시점(또는 2016년 7월 15일 15시 03분)과 매칭되는 시점에서 상기 영상획득장치에서 획득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결정된 출입제어 이벤트가 출입권한 인증 이벤트일 경우, 제어부(320)는 현재 보안 상황을 정상 상황으로 결정하고, 현재 보안 상황이 정상 상황이라는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기록 이벤트 및 영상저장 이벤트를 수행하되, 알람 이벤트는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320)는 보안 등급에 따라 보안 이벤트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입제어 시스템은 관리하는 구역마다 보안 등급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출입제어 시스템이 제1 구역 및 제2 구역을 관리하고, 제1 구역보다 제2 구역이 보다 더 보안상 중요한 곳일 경우, 제어부(320)는 제2 구역의 보안 등급을 제1 구역보다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제1 구역과 제2 구역에서 동일하게 출입제어 이벤트로 장시간 도어 오픈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제어부(320)는 제1 구역에서의 현재 보안 상태를 정상 상태로 결정하고, 제2 구역에서의 현재 보안 상태를 의심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330)는 제1 구역에서는 관리 이벤트로 현재 보안 상태가 정상 상태라는 것을 기록하는 기록 이벤트를 수행하는 반면, 제2 구역에서는 현재 보안 상태가 의심상태라는 것을 기록하는 기록 이벤트와 함께 현재 보안 상태가 의심 상태라는 것을 나타내는 알람 이벤트를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제어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610, 620, 630)는 출입제어 시스템을 관리하는 관리자에게 제공되는 것으로, 시각적 인터페이스, 청각적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도 6의 예는 관리자에게 제공되는 인터페이스에 한 예로, 관리자에게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도 6의 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a)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610)는 제1 인터페이스(611) 내지 제3 인터페이스(613)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인터페이스(611)는 출입제어 시스템이 관리하는 구역 중 제1 구역의 실시간 영상을 나타내고, 제2 인터페이스(612)는 출입제어 시스템이 관리하는 구역 중 제2 구역의 실시간 영상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예로, 제1 구역의 제1 도어 및 제2 구역의 제2 도어 각각에는 전술한 출입제어장치 및 영상획득장치가 설치될 수 있고, 통합제어장치는 출입제어장치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기초로 출입제어 이벤트를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출입제어 이벤트를 기초로 소정의 보안 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3 인터페이스(613)는 각 구역에 대한 출입제어 이벤트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에로, (a)의 예와 같이, 제2 구역에 대한 출입제어 이벤트가 도어 강제 오픈 이벤트인 경우, 통합제어장치는 도어 강제 오픈 이벤트에 따라, 관리자에게 도어 강제 오픈 이벤트가 발생하였다는 알람 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통합제어장치는 기록 이벤트 및 영상저장 이벤트를 함께 수행할 수 있다.
(b)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620)는 출입제어장치의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620)는 도어의 식별자 정보 및 도어를 락/언락하는 잠금장치(즉, 언락유닛)의 식별자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관리자의 선택에 따라, 도어를 언락 제어하거나, 락 제어하거나 또는 소정의 시간동안 언락제어할 수 있다.
(c)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630)는 영상 검색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획득장치로부터 획득된 영상은, 영상획득장치가 해당 영상을 획득한 시간과 연동하여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영상획득장치로부터 획득된 영상은, 영상획득장치가 해당 영상을 획득한 시간과 대응되는 출입제어 이벤트와 연동하여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630)를 통하여, 영상획득장치에서 영상이 획득된 시간 또는 출입제어 이벤트를 선택할 경우, 통합제어장치는 해당 시간 및/또는 해당 출입제어 이벤트를 쿼리로, 복수의 영상 중 출입제어 이벤트 및/또는 출입제어 이벤트가 발생된 시점과 대응되는 영상을 검색하고, 검색된 영상을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오브젝트의 도어에의 출입을 제어하는 출입제어장치 및 상기 도어 주변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획득장치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통합제어장치는 상기 출입제어장치 및 상기 영상획득장치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710).
또한, 상기 통합제어장치는 상기 출입제어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출입제어장치에서 수동적으로 소정의 설정사항이 설정되지 않더라도 상기 출입제어장치에서 상기 통합제어장치와의 연결에 응답하여 자동적으로 소정의 설정사항이 설정되도록 상기 출입제어장치에 설정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720).
또한, 상기 통합제어장치는 복수의 도어 중 상기 영상획득장치 및 상기 출입제어장치와 대응되는 도어로 상기 도어가 선택될 경우, 상기 출입제어장치와 대응되는 영상획득장치로 상기 영상획득장치가 설정되도록 상기 도어를 기준으로 상기 출입제어장치와 상기 영상획득장치를 하나의 그룹으로 관리할 수 있다(730).
또한, 상기 통합제어장치는 상기 그룹을 기초로 상기 출입제어장치로부터 획득된 출입제어 정보 및 상기 영상획득장치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740).
도 7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제어 방법에는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설명된 내용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1)

  1. 오브젝트의 도어에의 출입을 제어하는 출입제어장치 및 상기 도어 주변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획득장치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통합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출입제어장치 및 상기 영상획득장치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출입제어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출입제어장치에서 수동적으로 소정의 설정사항이 설정되지 않더라도 상기 출입제어장치에서 상기 통합제어장치와의 연결에 응답하여 자동적으로 상기 소정의 설정사항이 설정되도록 상기 출입제어장치에 설정정보를 제공하고,
    복수의 도어 중 상기 영상획득장치 및 상기 출입제어장치와 대응되는 도어로 상기 도어가 선택될 경우, 상기 출입제어장치와 대응되는 영상획득장치로 상기 영상획득장치가 설정되도록 상기 도어를 기준으로 상기 출입제어장치와 상기 영상획득장치를 하나의 그룹으로 관리하고,
    상기 그룹을 기초로 상기 출입제어장치로부터 획득된 출입제어 정보 및 상기 영상획득장치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입제어장치의 연결에 응답하여 상기 출입제어장치와 대응되는 상기 도어와 관련된 제1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출입제어장치의 연결이 해제된 경우,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제1 그룹과 연동된 출입제어 정보 및 영상을 유지하고,
    상기 출입제어장치와 다른 출입제어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다른 출입제어장치가 상기 제1 그룹에 억세스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입제어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출입제어장치의 AC(Access Control) 식별자를 검출하고,
    상기 출입제어장치가 상기 AC 식별자와 대응되는 제1 네트워크 주소를 할당받도록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주소 중 상기 제1 네트워크 주소를 선택하고,
    상기 출입제어장치에서 수동적으로 네트워크 설정이 되지 않고도, 상기 출입제어장치에서 상기 통합제어장치와의 연결에 응답하여 자동적으로 네트워크 설정이 되도록, 상기 출입제어장치에 상기 제1 네트워크 주소와 대응되는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출입제어장치에서 상기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기초로 네트워크 설정이 된 경우, 상기 출입제어장치와 상기 통합제어장치 사이에 형성된 채널을 통하여 상기 출입제어장치로부터 출입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입제어장치와의 연결이 해제된 후, 상기 출입제어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출입제어장치가 상기 제1 네트워크 주소를 다시 할당받도록 상기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주소 중 상기 제1 네트워크 주소를 선택하고,
    상기 출입제어장치에 상기 제1 네트워크 주소와 대응되는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입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도어를 출입할 수 있는 오브젝트가 등록된 경우, 상기 등록된 오브젝트를 상기 제1 그룹에 포함시키고,
    상기 출입제어장치로부터 획득된 출입제어 정보를 상기 제1 그룹과 연동시키고,
    상기 도어와 대응되는 영상획득장치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상기 제1 그룹과 연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제어장치.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입제어장치의 AC 식별자와 상기 다른 출입제어장치의 AC 식별자를 비교하여 상기 다른 출입제어장치가 상기 제1 그룹에 억세스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제어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다른 출입제어장치가 상기 제1 그룹에 억세스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제어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입제어장치로부터 획득한 출입제어 정보를 기초로 출입제어 이벤트를 결정하고,
    상기 출입제어 이벤트 또는 상기 출입제어 이벤트가 발생된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쿼리로, 복수의 영상 중 상기 출입제어 이벤트 및 상기 출입제어 이벤트가 발생된 시점과 대응되는 영상이 검색되도록, 상기 출입제어 이벤트가 발생된 시점에 상기 영상획득장치에서 획득된 영상과, 상기 출입제어 이벤트를 연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제어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입제어 이벤트가 결정된 경우, 상기 결정된 출입제어 이벤트와 대응되는 보안 이벤트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제어장치.
  10. 오브젝트의 도어에의 출입을 제어하는 출입제어장치 및 상기 도어 주변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획득장치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통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출입제어장치 및 상기 영상획득장치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출입제어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출입제어장치에서 수동적으로 소정의 설정사항이 설정되지 않더라도 상기 출입제어장치에서 상기 통합제어장치와의 연결에 응답하여 자동적으로 상기 소정의 설정사항이 설정되도록 상기 출입제어장치에 설정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복수의 도어 중 상기 영상획득장치 및 상기 출입제어장치와 대응되는 도어로 상기 도어가 선택될 경우, 상기 출입제어장치와 대응되는 영상획득장치로 상기 영상획득장치가 설정되도록 상기 도어를 기준으로 상기 출입제어장치와 상기 영상획득장치를 하나의 그룹으로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그룹을 기초로 상기 출입제어장치로부터 획득된 출입제어 정보 및 상기 영상획득장치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출입제어장치의 연결에 응답하여 상기 출입제어장치와 대응되는 상기 도어와 관련된 제1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출입제어장치의 연결이 해제된 경우,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제1 그룹과 연동되는 출입제어 정보 및 영상을 유지하고, 상기 출입제어장치와 다른 출입제어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다른 출입제어장치가 상기 제1 그룹에 억세스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10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60113139A 2016-09-02 2016-09-02 출입제어장치와 영상획득장치를 제어하는 통합형 출입제어 시스템 KR101855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139A KR101855717B1 (ko) 2016-09-02 2016-09-02 출입제어장치와 영상획득장치를 제어하는 통합형 출입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139A KR101855717B1 (ko) 2016-09-02 2016-09-02 출입제어장치와 영상획득장치를 제어하는 통합형 출입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6595A KR20180026595A (ko) 2018-03-13
KR101855717B1 true KR101855717B1 (ko) 2018-05-11

Family

ID=61660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139A KR101855717B1 (ko) 2016-09-02 2016-09-02 출입제어장치와 영상획득장치를 제어하는 통합형 출입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571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2506B2 (ja) * 1992-07-28 1997-01-16 松下電工株式会社 出入管理システム
KR101550340B1 (ko) * 2015-04-08 2015-09-07 (주) 혜인에스앤에스 이중화 네트워크 구조를 갖는 영상 출입관리 시스템
KR101595413B1 (ko) * 2015-09-21 2016-02-18 주식회사 크리에이티브넷 계층적 관리자 승인 구조형 ict 융합기술 기반 출입통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2506B2 (ja) * 1992-07-28 1997-01-16 松下電工株式会社 出入管理システム
KR101550340B1 (ko) * 2015-04-08 2015-09-07 (주) 혜인에스앤에스 이중화 네트워크 구조를 갖는 영상 출입관리 시스템
KR101595413B1 (ko) * 2015-09-21 2016-02-18 주식회사 크리에이티브넷 계층적 관리자 승인 구조형 ict 융합기술 기반 출입통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6595A (ko) 2018-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8002B1 (ko)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도어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595413B1 (ko) 계층적 관리자 승인 구조형 ict 융합기술 기반 출입통제 시스템 및 방법
US11205312B2 (en) Applying image analytics and machine learning to lock systems in hotels
WO2016184195A1 (zh) 门锁的控制方法、装置及终端
US2011005087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behavior in a monitoring system
US20070028119A1 (en) Access control system
CN105378648A (zh) 自配置访问控制
KR101850682B1 (ko) 영상분석 기반의 통합형 출입제어 시스템
KR102483794B1 (ko) 출입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5099607A1 (en) An integrated access control and identity management system
CN111373453A (zh) 具有无线电和人脸识别机制的入口监控系统
KR102473187B1 (ko)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방법
KR102211272B1 (ko)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방법
KR101395675B1 (ko) 출입 통제 시스템 및 방법
KR101236581B1 (ko) 자가 인증 등록기능을 갖춘 보안 시스템
KR20220010218A (ko) 감염병 관리를 위한 출입자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자 관리 방법
KR101855717B1 (ko) 출입제어장치와 영상획득장치를 제어하는 통합형 출입제어 시스템
KR102473184B1 (ko)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방법
CN112669501B (zh) 一种门禁控制方法、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30098821A (ko) 무단 출입 통제 장치 및 그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1186195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integrating autonomous devices with an access control system
KR102477348B1 (ko) 네트워크 기반 시설의 보안 시스템
JP4894432B2 (ja) 連携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