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5473B1 - 교통신호등 장치 - Google Patents

교통신호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5473B1
KR101855473B1 KR1020180000868A KR20180000868A KR101855473B1 KR 101855473 B1 KR101855473 B1 KR 101855473B1 KR 1020180000868 A KR1020180000868 A KR 1020180000868A KR 20180000868 A KR20180000868 A KR 20180000868A KR 101855473 B1 KR101855473 B1 KR 101855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ps
power
led
driving power
le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0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재
Original Assignee
인천광역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천광역시 filed Critical 인천광역시
Priority to KR1020180000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54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5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5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57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operating status of the lighting device, e.g. to detect failure of a light source or to provide feedback to the devi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지주(20)에 설치된 신호등케이스(200)에 장착되며 중앙에는 발광공(111)이 전후로 개구된 전면커버(110); 상기 전면커버(110)의 후방측에 장착되는 배면커버(120); 직립배치되고 회로라인이 패터닝된 PCB(131) 및 상기 PCB(131)의 전방면에 실장되는 다수의 LED(132)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커버(110)와 배면커버(120) 사이 또는 배면커버(1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인가되는 구동전원에 따라 상기 발광공(111)을 통해 LED광을 발산하는 LED모듈(130); 및 상기 LED모듈(130)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제1SMPS(140); 및 제2SMPS(150);를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LED(132)는 상기 PCB(131) 상에 혼합되어 분산배치된 제1LED(132a) 및 제2LED(132b)로 이루어지며, 각 제1LED(132a)는 상호 간에 제1회로라인(187)으로 회로연결되고 각 2LED(132)는 상호 간에 제2회로라인(188)으로 회로연결되며, 상기 제1SMPS(140)는 상기 제1회로라인(187)에 구동전원을 인가하여 각 제1LED(132a)를 점등시키고, 상기 제2SMPS(150)는 상기 제2회로라인(188)에 구동전원을 인가하여 각 제2LED(132b)를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등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교통신호등 장치{TRAFFIC SIGNAL LIGHT APPARATUS}
본 발명은 교통신호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상에 설치된 지주에 장착되어 녹색이나 적색의 LED광을 발산하면서 진행, 주의, 정지, 회전 등의 교통신호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교통신호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통신호등 장치는 도로상에 설치되어 녹색, 적색, 황색 및 녹색화살표를 점등하여 운전자에게 진행, 정지, 주의 및 회전 등의 지시신호를 전달하는 교통시설물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교통신호등 장치(10)는 신호등케이스(200)에 장착되며 중앙에 발광공(12)이 전후로 개구된 전면커버(11), 전면커버(11)의 후방측에 장착되는 배면커버(13), 배면커버(13)의 전방측에 직립배치되고 다수의 LED가 실장되어 발광공(12)을 통해 LED광을 발산하는 LED모듈(14), LED모듈(14)의 전면을 커버하는 투광판(15) 및, 상기 배면커버(13)의 내부에 장착되어 LED모듈(14)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SMPS(16)로 구성되었다.
여기서, 상기 LED모듈(14)의 경우 통상적으로 10년 정도의 기대수명을 가지나 SMPS(16)의 경우 기대수명이 5년정도로 짧으며 일반적으로 SMPS(16)가 고장난 교통신호등 장치(10)는 현장에서 수거되어 폐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교통신호등 장치(10)의 전체 수명은 5년 이하가 되기 때문에 유지관리 비용이 증대되고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도로의 각 진행방향별로 하나의 지주(20)에 두 개 이상의 교통신호등 장치(10)가 장착되어 하나의 교통신호등 장치(10)가 기능고장나더라도 다른 교통신호등 장치(10)를 통해 안전운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차선의 개수와는 무관하게 두 개 이상의 교통신호등 장치(10)가 항상 함께 설치 및 운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유지관리 비용이 더욱 증대될뿐만 아니라, 복수의 교통신호등 장치(10)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정도로 크기를 갖는 지주(20)를 이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설치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715743호(2017.03.07), 교통신호등.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LED모듈에 복수의 SMPS로부터 변환된 구동전원이 각각 공급되어 어느 하나의 SMPS에 기능고장이 발생하더라도 다른 SMPS의 구동전원으로 LED모듈을 점멸시킬 수 있어 지주에 설치되는 교통신호등 장치의 개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교통신호등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지주(20)에 설치된 신호등케이스(200)에 장착되며 중앙에는 발광공(111)이 전후로 개구된 전면커버(110); 상기 전면커버(110)의 후방측에 장착되는 배면커버(120); 직립배치되고 회로라인이 패터닝된 PCB(131) 및 상기 PCB(131)의 전방면에 실장되는 다수의 LED(132)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커버(110)와 배면커버(120) 사이 또는 배면커버(1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인가되는 구동전원에 따라 상기 발광공(111)을 통해 LED광을 발산하는 LED모듈(130); 및 상기 LED모듈(130)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제1SMPS(140); 및 제2SMPS(150);를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LED(132)는 상기 PCB(131) 상에 혼합되어 분산배치된 제1LED(132a) 및 제2LED(132b)로 이루어지며, 각 제1LED(132a)는 상호 간에 제1회로라인(187)으로 회로연결되고 각 2LED(132)는 상호 간에 제2회로라인(188)으로 회로연결되며, 상기 제1SMPS(140)는 상기 제1회로라인(187)에 구동전원을 인가하여 각 제1LED(132a)를 점등시키고, 상기 제2SMPS(150)는 상기 제2회로라인(188)에 구동전원을 인가하여 각 제2LED(132b)를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등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SMPS(140) 및 제2SMPS(150)의 구동전원 출력여부를 감지하는 상태감지부(161); 및 상기 제1SMPS(140) 및 제2SMPS(150)를 구동제어하는 제어부(163);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163)는, 상기 상태감지부(161)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1SMPS(140) 및 제2SMPS(150) 중 어느 하나의 SMPS의 구동전원이 출력되지 않으면 상기 제2LED의 휘도가 증대되도록 다른 하나의 SMPS가 갖는 구동전원 출력특성을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등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LED모듈(130)의 전방측에 직립배치되어 각 LED(132)의 전면을 커버하며 인가되는 동작전원에 따라 투명상태 또는 불투명상태를 나타내는 PDLC패널(18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63)는 상기 상태감지부(161)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1SMPS(140) 및 제2SMPS(150)에서 모두 구동전원이 출력되면 상기 PDLC패널(180)에 동작전원이 인가되도록 하여 투명해지도록 하고, 두 SMPS(140,150) 중 어느 하나의 SMPS에서 구동전원이 출력되지 않으면 상기 PDLC패널(180)에 인가되는 동작전원이 차단되도록 하여 불투명해지도록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등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통신망을 통해 도로상의 자율주행차량(400)의 통신장치(410)와 신호연결되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부(16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63)는 상기 상태감지부(161)의 감지신호에 따라 교통신호등 장치의 고장정보와 정지, 주의, 회전 및 진행 중 어느 하나의 현재 신호등 신호정보가 상기 통신부(162)를 통해 자율주행차량(400) 측으로 전송되도록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등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SMPS(140) 및 제2SMPS(150)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141,151)와, 상기 케이스(141,151)의 일측에 배치되며 교통신호제어기(300)의 전원공급단(310)에 일단이 연결된 전원케이블(320)의 타단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입력전원을 공급받는 전원입력단(142,152)과, 상기 케이스(141,151)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LED모듈(130)에 케이블 연결된 제1전원출력단(143,153)과, 상기 케이스(141,151)의 타측에 배치된 제2전원출력단(144,154) 및, 상기 케이스(141,151)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전원입력단(142,152)을 통해 공급된 입력전원을 구동전원의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제1전원출력단(143,153)으로 출력하고 공급된 입력전원을 제2전원출력단(144,154)으로 출력하는 변환회로부(145,155)를 각각 포함하며, 일단에는 하나의 SMPS의 제2전원출력단(144)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커넥터(171)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다른 하나의 SMPS의 전원입력단(152)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커넥터(172)가 구비되어 상기 하나의 SMPS의 입력전원을 상기 다른 하나의 SMPS에 공급하는 비상케이블(1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등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배면커버(120)의 배면에는 후방으로 돌출되고 저면에 상기 제1SMPS(140) 및 제2SMPS(150)가 각각 삽입되고 상부면이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하향 경사진 체결홈(123)이 형성된 장착부(122)가 마련되고, 상기 상부면에는 상향 개구되어 상단에 LED모듈(130)과 연결된 연결케이블(191)의 커넥터(192)가 장착되는 삽입공(124)이 형성되며, 상기 제1SMPS(140) 및 제2SMPS(150)의 각 케이스(141)는 상부면이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하향 경사진 형상을 가지며, 상부에는 일정길이로 상향연장되어 상기 삽입공(124)에 삽입되는 연장부(146)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146)의 둘레에는 삽입공(124)을 수밀하게 밀폐시키는 패킹부(147)가 장착되며 상기 연장부(146)의 상단에는 상기 커넥터(192)와 연결되는 제1전원출력단(143)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등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연장부(146)의 둘레길이가 상기 삽입공(124)의 내경 둘레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면서 상기 삽입공(124)의 내부면과 연장부(146)의 외부면 사이에는 공간부(12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등 장치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하나의 LED모듈(130)에 제1SMPS(140) 및 제2SMPS(150)에서 변환된 구동전원이 각각 공급되어 어느 하나의 SMPS에 기능고장이 발생하더라도 다른 SMPS의 구동전원으로 LED모듈(130)을 점멸시킬 수 있으므로 지주(20)에 설치되는 교통신호등 장치의 개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둘째, 상태감지부(161)는 전류나 전압 등의 전원특성값을 측정하여 제1SMPS(140) 및 제2SMPS(150)의 구동전원 출력여부를 감지하고, 제1SMPS(140) 및 제2SMPS(150)를 구동제어하는 제어부(163)는 상태감지부(161)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1SMPS(140) 및 제2SMPS(150) 중 어느 하나의 SMPS의 구동전원이 출력되지 않으면 상기 제2LED의 휘도가 증대되도록 다른 하나의 SMPS가 갖는 구동전원 출력특성을 구동제어함으로써, 하나의 SMPS가 기능고장되어 평상시의 교통신호등 장치(100)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휘도로 점등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상기 LED모듈(130)의 전방측에 PDLC패널(180)이 직립배치되고, 상기 제어부(163)는 상기 상태감지부(161)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1SMPS(140) 및 제2SMPS(150)에서 모두 구동전원이 출력되면 상기 PDLC패널(180)에 동작전원이 인가되도록 하여 투명해지도록 하고, 두 SMPS(140,150) 중 어느 하나의 SMPS에서 구동전원이 출력되지 않으면 상기 PDLC패널(180)에 인가되는 동작전원이 차단되도록 하여 불투명해지도록 구동제어할 수 있으므로, 휘도가 증대된 각 LED(132)의 LED광이 도토형상으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하며 발산하는 LED광을 확산시켜 운전자의 눈부심을 억제할 수 있다.
넷째, 제1SMPS(140) 및 제2SMPS(150)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141,151)와, 상기 케이스(141,151)의 일측에 배치되며 교통신호제어기(300)의 전원공급단(310)에 일단이 연결된 전원케이블(320)의 타단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입력전원을 공급받는 전원입력단(142,152)과, 상기 케이스(141,151)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LED모듈(130)에 케이블 연결된 제1전원출력단(143,153)과, 상기 케이스(141,151)의 타측에 배치된 제2전원출력단(144,154) 및, 상기 케이스(141,151)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전원입력단(142,152)을 통해 공급된 입력전원을 구동전원의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제1전원출력단(143,153)으로 출력하고 공급된 입력전원을 제2전원출력단(144,154)으로 출력하는 변환회로부(145,155)를 각각 포함하며, 일단에는 하나의 SMPS의 제2전원출력단(144,154)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커넥터(171)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다른 하나의 SMPS의 전원입력단(142,152)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커넥터(172)가 구비되어 상기 하나의 SMPS의 입력전원을 상기 다른 하나의 SMPS에 공급하는 비상케이블(170)이 구비되므로, 각 SMPS(140,150)별로 교통신호제어기(300)와 연결된 전원케이블(320)에 단선이 발생한 경우 상기 비상케이블(170)을 이용하여 단선이 발생한 SMPS에 정상적으로 입력전원을 입력받는 SMPS의 입력전원을 인가할 수 있어 다넌된 전원케이블(320)을 교체하는 작업간에 정상적인 신호등 등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다섯째, 상기 배면커버(120)의 배면에는 후방으로 돌출되고 저면에 상기 제1SMPS(140) 및 제2SMPS(150)가 각각 삽입되고 상부면이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하향 경사진 체결홈(123)이 형성된 장착부(122)가 마련되고, 상기 상부면에는 상향 개구되어 상단에 LED모듈(130)과 연결된 연결케이블(191)의 커넥터(192)가 장착되는 삽입공(124)이 형성되며, 상기 제1SMPS(140) 및 제2SMPS(150)의 각 케이스(141)는 상부면이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하향 경사진 형상을 가지며, 상부에는 일정길이로 상향연장되어 상기 삽입공(124)에 삽입되는 연장부(146)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146)의 둘레에는 삽입공(124)을 수밀하게 밀폐시키는 패킹부(147)가 장착되며 상기 연장부(146)의 상단에는 상기 커넥터(192)와 연결되는 제1전원출력단(143)이 배치되므로, 각 SMPS(140,150)와 배면커버(120) 사의 접촉면을 따라 우수 등의 외부수분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146)의 둘레길이가 상기 삽입공(124)의 내경 둘레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면서 상기 삽입공(124)의 내부면과 연장부(146)의 외부면 사이에는 공간부(125)가 형성되어, 상기 배면커버(120)와 각 SMPS(140,150) 간의 접촉면을 따라 수분이 침투하더라도 상기 공간부(125)가 채워지기 전까지는 접속단자로의 유입이 제한되므로 침투된 수분에 의해 합선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교통신호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교통신호등 장치가 지주상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통신호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LED모듈에 각 SMPS가 연결된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LED 및 제2LED의 각 회로패턴을 나타낸 개략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통신호등 장치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통신호등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9는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케이블의 구성 및 동작원리를 나타낸 개략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각 SMPS가 배면커버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통신호등 장치(100)는 하나의 LED모듈에 복수의 SMPS로부터 변환된 구동전원이 각각 공급되어 어느 하나의 SMPS에 기능고장이 발생하더라도 다른 SMPS의 구동전원으로 LED모듈을 점멸시킬 수 있어 지주에 설치되는 교통신호등 장치의 개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교통시설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커버(110), 배면커버(120), LED모듈(130), 제1SMPS(140) 및 제2SMPS(15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전면커버(110)는 교통신호등 장치(100)를 신호등케이스(200) 상에 장착시키면서 동시에 전면을 커버하는 케이스부재로서, 지주(20)에 설치된 신호등케이스(200)에 장착되며 중앙에는 발광공(111)이 전후로 개구된다. 여기서, 전면커버(110)의 각 모서리에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이 체결공에 관통삽입되어 신호등케이스(200)에 회전결합되는 체결나사(113)로 전면커버(110)를 신호등케이스(200) 상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상기 배면커버(120)는 LED모듈(130)의 배면을 커버하는 케이스부재로서 상기 전면커버(110)의 후방측에 장착되며,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면커버(120)의 배면에는 후방으로 돌출되고 저면에 상기 제1SMPS(140) 및 제2SMPS(150)가 각각 삽입되고 상부면이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하향 경사진 체결홈(123)이 형성된 장착부(122)가 마련되고, 상기 상부면에는 상향 개구되어 상단에 LED모듈(130)과 연결된 연결케이블(191)의 커넥터(192)가 장착되는 삽입공(124)이 형성된다.
상기 LED모듈(130)은 교통신호를 지시하기 위한 LED광을 점멸하는 발광수단으로서, 직립배치되고 회로라인이 패터닝된 PCB(131) 및 상기 PCB(131)의 전방면에 실장되는 다수의 LED(132)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커버(110)와 배면커버(120) 사이 또는 배면커버(1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인가되는 구동전원에 따라 상기 발광공(111)을 통해 LED광을 발산한다.
여기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LED(132)는 상기 PCB(131) 상에 혼합되어 분산배치된 제1LED(132a) 및 제2LED(132b)로 이루어지며, 각 제1LED(132a)는 상호 간에 제1회로라인(187)으로 회로연결되고 각 2LED(132)는 상호 간에 제2회로라인(188)으로 회로연결된다. 더불어, 상기 전면커버(110)와 LED모듈(130) 사이에는 광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져 LED모듈(130)의 전방을 커버하면서 동시에 발산된 LED광을 투과시키는 투광판(115)이 장착된다.
상기 제1SMPS(140) 및 제2SMPS(150)는 LED모듈(130)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으로서 상기 제1회로라인(187)에 구동전원을 인가하여 각 제1LED(132a)를 점등시키고, 상기 제2SMPS(150)는 상기 제2회로라인(188)에 구동전원을 인가하여 각 제2LED(132b)를 점등시킨다. 따라서, 제1SMPS(140)와 제2SMPS(150)가 정상적으로 구동하는 경우 제1LED(132a)은 제1SMPS(140)의 구동전원을 공급받아 점멸동작하고, 제2LED(132b)은 제2SMPS(150)의 구동전원을 공급받아 점멸동작한다.
이후, 도 6의 (a)와 같이 제1SMPS(140)에 기능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제1LED(132a)은 소등되고 제2LED(132b)은 제2SMPS(150)의 구동전원을 공급받아 점멸동작함으로써 교통신호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도 6의 (b)와 같이 제2SMPS(150)에 기능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제2LED(132b)은 소등되고 제1LED(132a)은 제1SMPS(140)의 구동전원을 공급받아 점멸동작함으로써 교통신호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LED모듈(130)에 제1SMPS(140) 및 제2SMPS(150)에서 변환된 구동전원이 각각 공급되어 어느 하나의 SMPS에 기능고장이 발생하더라도 다른 SMPS의 구동전원으로 LED모듈(130)을 점멸시킬 수 있으므로 지주(20)에 설치되는 교통신호등 장치의 개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통신호등 장치(100)는 상태감지부(161) 및 제어부(163)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태감지부(161)는 전류나 전압 등의 전원특성값을 측정하여 제1SMPS(140) 및 제2SMPS(150)의 구동전원 출력여부를 감지하고, 제1SMPS(140) 및 제2SMPS(150)를 구동제어하는 제어부(163)는 상태감지부(161)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1SMPS(140) 및 제2SMPS(150) 중 어느 하나의 SMPS의 구동전원이 출력되지 않으면 상기 제2LED의 휘도가 증대되도록 다른 하나의 SMPS가 갖는 구동전원 출력특성을 구동제어함으로써, 하나의 SMPS가 기능고장되어 평상시의 교통신호등 장치(100)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휘도로 점등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LED모듈(130)의 전방측에 PDLC패널(180)이 직립배치되고, 상기 제어부(163)는 상기 상태감지부(161)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1SMPS(140) 및 제2SMPS(150)에서 모두 구동전원이 출력되면 상기 PDLC패널(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s Panel,180)에 동작전원이 인가되도록 하여 투명해지도록 하고, 두 SMPS(140,150) 중 어느 하나의 SMPS에서 구동전원이 출력되지 않으면 상기 PDLC패널(180)에 인가되는 동작전원이 차단되도록 하여 불투명해지도록 구동제어할 수 있으므로, 휘도가 증대된 각 LED(132)의 LED광이 도토형상으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하며 발산하는 LED광을 확산시켜 운전자의 눈부심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SMPS(140) 및 제2SMPS(150)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141,151)와, 상기 케이스(141,151)의 일측에 배치되며 교통신호제어기(300)의 전원공급단(310)에 일단이 연결된 전원케이블(320)의 타단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입력전원을 공급받는 전원입력단(142,152)과, 상기 케이스(141,151)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LED모듈(130)에 케이블 연결된 제1전원출력단(143,153)과, 상기 케이스(141,151)의 타측에 배치된 제2전원출력단(144,154) 및, 상기 케이스(141,151)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전원입력단(142,152)을 통해 공급된 입력전원을 구동전원의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제1전원출력단(143,153)으로 출력하고 공급된 입력전원을 제2전원출력단(144,154)으로 출력하는 변환회로부(145,155)를 각각 포함하며, 일단에는 하나의 SMPS의 제2전원출력단(144,154)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커넥터(171)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다른 하나의 SMPS의 전원입력단(142,152)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커넥터(172)가 구비되어 상기 하나의 SMPS의 입력전원을 상기 다른 하나의 SMPS에 공급하는 비상케이블(170)이 구비되므로, 각 SMPS(140,150)별로 교통신호제어기(300)와 연결된 전원케이블(320)에 단선이 발생한 경우 상기 비상케이블(170)을 이용하여 단선이 발생한 SMPS에 정상적으로 입력전원을 입력받는 SMPS의 입력전원을 인가할 수 있어 다넌된 전원케이블(320)을 교체하는 작업간에 정상적인 신호등 등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더불어,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SMPS(140) 및 제2SMPS(150)의 각 케이스(141)는 상부면이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하향 경사진 형상을 가지며, 상부에는 일정길이로 상향연장되어 상기 삽입공(124)에 삽입되는 연장부(146)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146)의 둘레에는 삽입공(124)을 수밀하게 밀폐시키는 패킹부(147)가 장착되며 상기 연장부(146)의 상단에는 상기 커넥터(192)와 연결되는 제1전원출력단(143)이 배치되므로, 각 SMPS(140,150)와 배면커버(120) 사의 접촉면을 따라 우수 등의 외부수분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146)의 둘레길이가 상기 삽입공(124)의 내경 둘레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면서 상기 삽입공(124)의 내부면과 연장부(146)의 외부면 사이에는 공간부(125)가 형성되어, 상기 배면커버(120)와 각 SMPS(140,150) 간의 접촉면을 따라 수분이 침투하더라도 상기 공간부(125)가 채워지기 전까지는 접속단자로의 유입이 제한되므로 침투된 수분에 의해 합선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간부(125)는 삽입공(124)의 내경과 연장부(146)의 외경간의 차이로 인해 형성되는 빈공간이거나 삽입공(124)의 내부면에 내측으로 함몰되어 별도로 마련된 빈공간일수 있다.
상기에서는 교통신호등 장치(100)가 자동차 도로에 설치되어 운전자에게 지시하는 교통시설물인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역이나 철로에 설치되거나 공항이나 활주로에 설치되는 철도교통 및 항공교통용 시설물일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20...지주 100...교통신호등 장치
110...전면커버 120...배면커버
130...LED모듈 140...제1SMPS
150...제2SMPS 161...상태감지부
162...통신부 163...제어부
170...비상케이블

Claims (5)

  1. 지주(20)에 설치된 신호등케이스(200)에 장착되며 중앙에는 발광공(111)이 전후로 개구된 전면커버(110); 상기 전면커버(110)의 후방측에 장착되는 배면커버(120); 직립배치되고 회로라인이 패터닝된 PCB(131) 및 상기 PCB(131)의 전방면에 실장되는 다수의 LED(132)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커버(110)와 배면커버(120) 사이 또는 배면커버(1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인가되는 구동전원에 따라 상기 발광공(111)을 통해 LED광을 발산하는 LED모듈(130); 상기 LED모듈(130)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제1SMPS(140); 및 제2SMPS(150); 상기 제1SMPS(140) 및 제2SMPS(150)의 구동전원 출력여부를 감지하는 상태감지부(161); 및 상기 제1SMPS(140) 및 제2SMPS(150)를 구동제어하는 제어부(163);를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LED(132)는 상기 PCB(131) 상에 혼합되어 분산배치된 제1LED(132a) 및 제2LED(132b)로 이루어지며, 각 제1LED(132a)는 상호 간에 제1회로라인(187)으로 회로연결되고 각 2LED(132)는 상호 간에 제2회로라인(188)으로 회로연결되며,
    상기 제1SMPS(140)는 상기 제1회로라인(187)에 구동전원을 인가하여 각 제1LED(132a)를 점등시키고, 상기 제2SMPS(150)는 상기 제2회로라인(188)에 구동전원을 인가하여 각 제2LED(132b)를 점등시키며,
    상기 제어부(163)는 상기 상태감지부(161)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1SMPS(140) 및 제2SMPS(150) 중 어느 하나의 SMPS의 구동전원이 출력되지 않으면 상기 제2LED의 휘도가 증대되도록 다른 하나의 SMPS가 갖는 구동전원 출력특성을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등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LED모듈(130)의 전방측에 직립배치되어 각 LED(132)의 전면을 커버하며 인가되는 동작전원에 따라 투명상태 또는 불투명상태를 나타내는 PDLC패널(18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63)는 상기 상태감지부(161)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1SMPS(140) 및 제2SMPS(150)에서 모두 구동전원이 출력되면 상기 PDLC패널(180)에 동작전원이 인가되도록 하여 투명해지도록 하고, 두 SMPS(140,150) 중 어느 하나의 SMPS에서 구동전원이 출력되지 않으면 상기 PDLC패널(180)에 인가되는 동작전원이 차단되도록 하여 불투명해지도록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등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통신망을 통해 도로상의 자율주행차량(400)의 통신장치(410)와 신호연결되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부(16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63)는 상기 상태감지부(161)의 감지신호에 따라 교통신호등 장치의 고장정보와 정지, 주의, 회전 및 진행 중 어느 하나의 현재 신호등 신호정보가 상기 통신부(162)를 통해 자율주행차량(400) 측으로 전송되도록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등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SMPS(140) 및 제2SMPS(150)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141,151)와,
    상기 케이스(141,151)의 일측에 배치되며 교통신호제어기(300)의 전원공급단(310)에 일단이 연결된 전원케이블(320)의 타단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입력전원을 공급받는 전원입력단(142,152)과,
    상기 케이스(141,151)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LED모듈(130)에 케이블 연결된 제1전원출력단(143,153)과,
    상기 케이스(141,151)의 타측에 배치된 제2전원출력단(144,154) 및,
    상기 케이스(141,151)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전원입력단(142,152)을 통해 공급된 입력전원을 구동전원의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제1전원출력단(143,153)으로 출력하고 공급된 입력전원을 제2전원출력단(144,154)으로 출력하는 변환회로부(145,155)를 각각 포함하며,
    일단에는 하나의 SMPS의 제2전원출력단(144)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커넥터(171)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다른 하나의 SMPS의 전원입력단(152)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커넥터(172)가 구비되어 상기 하나의 SMPS의 입력전원을 상기 다른 하나의 SMPS에 공급하는 비상케이블(1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등 장치.
KR1020180000868A 2018-01-03 2018-01-03 교통신호등 장치 KR101855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868A KR101855473B1 (ko) 2018-01-03 2018-01-03 교통신호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868A KR101855473B1 (ko) 2018-01-03 2018-01-03 교통신호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5473B1 true KR101855473B1 (ko) 2018-05-04

Family

ID=62199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0868A KR101855473B1 (ko) 2018-01-03 2018-01-03 교통신호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54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9411B1 (ko) 2022-05-17 2022-09-30 주식회사 태대 교통 신호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222B1 (ko) 2014-02-26 2014-08-21 주식회사 현대엠앤케이 수명연장을 위한 엘이디 구동회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222B1 (ko) 2014-02-26 2014-08-21 주식회사 현대엠앤케이 수명연장을 위한 엘이디 구동회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9411B1 (ko) 2022-05-17 2022-09-30 주식회사 태대 교통 신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72039B2 (en) Trailer lighting outage detection circuit
JP2009302295A (ja) 発光ダイオード駆動装置、車両用照明装置
KR20070001862A (ko) 도로위험 사전 경보표시 장치
CN102892241A (zh) 双功能信号通知或发光设备的控制电路和相应的控制方法
KR101855473B1 (ko) 교통신호등 장치
KR20080109432A (ko) 도로용 난간조명장치
KR100893782B1 (ko) 교통신호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교통 신호등 장치 및 그제어 방법
KR102072530B1 (ko) 회전교차로 차량 진행 방향 표시 시스템
KR101855460B1 (ko) 교통신호등 장치
EP1843639A1 (en) LED car lamp apparatus
US9622311B1 (en) Sub-assembly for searchlight signal, and associated assembly
KR20180080922A (ko) 점등과 점멸을 동시에 표시하는 교통 신호등
JP2009040588A (ja) エレベータの階床表示器
ES2928388T3 (es) Módulo de luz LED, luz de señalización con un módulo tal de luz y procedimiento para la operación de un módulo tal de luz
KR200358378Y1 (ko) 예비전원부를 갖는 신호등용 전원공급장치
US7764195B2 (en) Three-arrow LED traffic signal system
KR102597260B1 (ko) 엘이디모듈을 이용한 안전 신호 제어시스템
KR200434554Y1 (ko) 색각이상자를 위한 신호등 보조표지판
KR200438736Y1 (ko) 신호 표시 기능을 갖는 차량번호판 커버
KR100506001B1 (ko) 터널용 조명 안전진단장치
JP2002110367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KR200201084Y1 (ko) 발광 시선 유도 표지의 제어장치
KR0134465Y1 (ko) Led 발광소자를 이용한 교통신호 점멸장치
KR100487840B1 (ko) 잔여시간표시 기능을 갖는 교통신호등
KR20050105877A (ko) 예비전원부를 갖는 신호등용 전원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