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5460B1 - Traffic signal light apparatus - Google Patents

Traffic signal light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5460B1
KR101855460B1 KR1020180000867A KR20180000867A KR101855460B1 KR 101855460 B1 KR101855460 B1 KR 101855460B1 KR 1020180000867 A KR1020180000867 A KR 1020180000867A KR 20180000867 A KR20180000867 A KR 20180000867A KR 101855460 B1 KR101855460 B1 KR 101855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ps
light emitting
driving power
region
led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08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석재
Original Assignee
인천광역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천광역시 filed Critical 인천광역시
Priority to KR1020180000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546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5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54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57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operating status of the lighting device, e.g. to detect failure of a light source or to provide feedback to the devi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traffic signal lamp apparatus capable of reducing the number of traffic signal lamps installed on a support pole by turning on or off an LED module using driving power of another SMPS when one SMPS is malfunctioning.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ffic signal lamp apparatus includes: a front cover (110) mounted in a signal lamp case (200) installed in a support pole (20) and formed at a center thereof with a light emitting hole (111) opened forward and rearward; a rear cover (120) mounted on a rear side of the front cover (110); an LED module (130), which is vertically disposed and includes a patterned PCB (131) and a plurality of LEDs (132) mounted on a front surface of the PCB (131), in which the LED module (130) is arranged between the front cover (110) and a rear cover (120) or inside the rear cover (120) to emit LED light through a light emitting hole (111) according to driving power applied thereto; a first SMPS (140) for supplying driving power to the LED module (130); and a second SMPS (150). A total light emitting area of the LED module (130) where the LEDs (132) are disposed is divided into a main light emitting area (R1), a first fault display area (R2) and a second fault display area (R3). The first SMPS (150) supplies driving power to the main light emitting area (R1) and the first fault display area (R2) and the second SMPS (150) supplies the driving power to the main light emitting area (R1) and the second fault display area (R3).

Description

교통신호등 장치{TRAFFIC SIGNAL LIGHT APPARATUS}{TRAFFIC SIGNAL LIGHT APPARATUS}

본 발명은 교통신호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상에 설치된 지주에 장착되어 녹색이나 적색의 LED광을 발산하면서 진행, 주의, 정지, 회전 등의 교통신호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교통신호등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ffic signal ligh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affic signal light device which is mounted on a pillar installed on a road and which emits green or red LED light and provides traffic signals such as progress, .

일반적으로 교통신호등 장치는 도로상에 설치되어 녹색, 적색, 황색 및 녹색화살표를 점등하여 운전자에게 진행, 정지, 주의 및 회전 등의 지시신호를 전달하는 교통시설물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교통신호등 장치(10)는 신호등케이스(200)에 장착되며 중앙에 발광공(12)이 전후로 개구된 전면커버(11), 전면커버(11)의 후방측에 장착되는 배면커버(13), 배면커버(13)의 전방측에 직립배치되고 다수의 LED가 실장되어 발광공(12)을 통해 LED광을 발산하는 LED모듈(14), LED모듈(14)의 전면을 커버하는 투광판(15) 및, 상기 배면커버(13)의 내부에 장착되어 LED모듈(14)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SMPS(16)로 구성되었다.Generally, a traffic light device is a traffic facility installed on a road, and illuminates green, red, yellow and green arrows to transmit an instruction signal such as progress, stop, attention and rotation to a driver. 1 and 2, a conventional traffic signal light device 10 includes a front cover 11 mounted on a signal lamp case 200 and having a light emitting hole 12 opened in the front, An LED module 14 disposed upright on the front side of the rear cover 13 and mounted with a plurality of LEDs to emit LED light through the light emitting hole 12, And a SMPS 16 mounted inside the back cover 13 and supplying driving power to the LED module 14. The light emitting diodes 15,

여기서, 상기 LED모듈(14)의 경우 통상적으로 10년 정도의 기대수명을 가지나 SMPS(16)의 경우 기대수명이 5년정도로 짧으며 일반적으로 SMPS(16)가 고장난 교통신호등 장치(10)는 현장에서 수거되어 폐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교통신호등 장치(10)의 전체 수명은 5년 이하가 되기 때문에 유지관리 비용이 증대되고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LED module 14 typically has an expected lifetime of about 10 years. However, in the case of the SMPS 16, the life expectancy is as short as about 5 years. In general, when the SMPS 16 fails, And it is discarded. Accordingly, the entire life span of the traffic light device 10 is less than 5 years, which increases the maintenance cost and wastes resources.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도로의 각 진행방향별로 하나의 지주(20)에 두 개 이상의 교통신호등 장치(10)가 장착되어 하나의 교통신호등 장치(10)가 기능고장나더라도 다른 교통신호등 장치(10)를 통해 안전운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차선의 개수와는 무관하게 두 개 이상의 교통신호등 장치(10)가 항상 함께 설치 및 운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유지관리 비용이 더욱 증대될뿐만 아니라, 복수의 교통신호등 장치(10)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정도로 크기를 갖는 지주(20)를 이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설치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shown in FIG. 2, in general, two or more traffic light devices 10 are mounted on one strut 20 for each traveling direction of the road, so that even if one traffic light device 10 malfunctions, And can be operated safely through the traffic light device (10). Since the two or more traffic light devices 10 need to be installed and operated at all times irrespective of the number of lanes, the maintenance cost is further increased and the loads of the plurality of traffic light devices 10 are sufficiently support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installation cost is increased because it is necessary to use the column 20 having a size that can be made large enough.

등록특허공보 제10-1715743호(2017.03.07), 교통신호등.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715743 (July 27, 2017), traffic light.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LED모듈에 복수의 SMPS로부터 변환된 구동전원이 각각 공급되어 어느 하나의 SMPS에 기능고장이 발생하더라도 다른 SMPS의 구동전원으로 LED모듈을 점멸시킬 수 있어 지주에 설치되는 교통신호등 장치의 개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SMPS 고장시 LED모듈의 전체 발광영역 중 일부 영역을 소등시켜 외부에서 SMPS의 고장발생 상태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 교통신호등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driving a single SMPS,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number of traffic signal lamps installed on the landing line because the LED module can be blinked by the power supply. When the SMPS fails, some areas of the entire LED area of the LED module are turned off, And a traffic light device for providing the traffic light.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지주(20)에 설치된 신호등케이스(200)에 장착되며 중앙에는 발광공(111)이 전후로 개구된 전면커버(110); 상기 전면커버(110)의 후방측에 장착되는 배면커버(120); 직립배치되고 회로라인이 패터닝된 PCB(131) 및 상기 PCB(131)의 전방면에 실장되는 다수의 LED(132)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커버(110)와 배면커버(120) 사이 또는 배면커버(1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인가되는 구동전원에 따라 상기 발광공(111)을 통해 LED광을 발산하는 LED모듈(130); 및 상기 LED모듈(130)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제1SMPS(140); 및 제2SMPS(150);를 포함하되, 상기 LED모듈(130)은 각 LED(132)가 배치된 전체 발광영역이 메인발광영역(R1), 제1고장표시영역(R2) 및 제2고장표시영역(R3)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SMPS(140)는 상기 메인발광영역(R1)과 제1고장표시영역(R2)에 각각 구동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제2SMPS(150)는 상기 메인발광영역(R1)과 제2고장표시영역(R3)에 각각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등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ront cover 110 mounted in a signal lamp case 200 installed in a support 20 and having a light emitting hole 111 opened front and rear at the center; A rear cover 120 mounted on a rear side of the front cover 110; And a plurality of LEDs 132 arranged in an upright position and patterned on a circuit line and mounted on a front surface of the PCB 131. The LEDs 132 are arranged between the front cover 110 and the back cover 120, An LED module 130 disposed in the interior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120 and emitting an LED light through the light emitting hole 111 according to a driving power applied thereto; A first SMPS 140 for supplying driving power to the LED module 130; And a second SMPS 150. The LED module 130 includes a main emission region R1 in which the LEDs 132 are disposed, a first failure display region R2, And the first SMPS 140 supplies driving power to the main emission region R1 and the first failure display region R2 while the second SMPS 150 emits light to the main emission region R1, And supplies driving power to the first fault display area (R1) and the second fault display area (R3).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전체 발광영역은 원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고장표시영역(R2)은 상기 전체 발광영역의 우측단에 배치되고 둘레의 호부분이 우측방을 지향하는 부채꼴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고장표시영역(R3)은 상기 전체 발광영역의 좌측단에 배치되고 둘레의 호부분이 좌측방을 지향하는 부채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등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tire light emitting area has a circular shape, and the first failure display area R2 is disposed at the right end of the entire light emitting area, and the circumferential arc part is directed to the right room. And the second fault display area (R3) is arranged at the left end of the entire luminescent area, and the circumferential arc part is formed in a sector shape directed to the left room.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전면커버(110)의 전방면에는 상기 발광공(111)의 둘레를 따라 전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외부광의 유입을 차단하는 챙(112)이 구비되고, 상기 전체 발광영역은 원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고장표시영역(R2) 및 제2고장표시영역(R3)은 둘레의 호부분이 우측방을 지향하는 부채꼴 형상으로 각각 이루어져 상기 전체 발광영역의 우측단에 상하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등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cover 110 is provided with a tongue 112 protruding forward along the periphery of the light emitting hole 111 to block the inflow of external light, The first fault display area (R2) and the second fault display area (R3) are formed in a sector shape in which the arc portion around the right side is directed to the right room, And a traffic signal lamp is provided.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SMPS(140) 및 제2SMPS(150)는 상기 배면커버(120) 상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로 상기 LED모듈(130)에 구동전원을 각각 공급하되, 상기 배면커버(120) 상에서 상기 제1SMPS(140)는 제1고장표시영역(R2)과 전후로 대향하는 우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SMPS(150)는 제2고장표시영역(R3)과 전후로 대향하는 좌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등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MPS 140 and the second SMPS 150 are supplied with driving power to the LED module 130 while being detachably mounted on the back cover 120, The first SMPS 140 and the second SMPS 150 are disposed on the rear cover 120 on the right side opposite to the first fault display area R2 and the second SMPS 150 on the rear cover 120, And the traffic light is provided on the left sid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SMPS(140)는 제1전원공급라인(181)으로 상기 제1고장표시영역(R2)과 회로연결되고, 상기 제2SMPS(150)는 제2전원공급라인(182)으로 상기 제2고장표시영역(R3)과 회로연결되며, 상기 제1전원공급라인(181)과 제2전원공급라인(182) 사이에는 상기 메인발광영역(R1)의 메인회로라인(183)과 접속되는 병렬연결라인(184)이 형성되고, 상기 병렬연결라인(184) 상에서 메인회로라인(183)과의 접속점(P)을 중심으로 상기 제1전원공급라인(181)측에는 상기 제2SMPS(150)의 구동전원이 제1SMPS(140)로 인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제1다이오드(185)가 회로연결되고, 상기 제2전원공급라인(182)측에는 상기 제1SMPS(140)의 구동전원이 제2SMPS(150)로 인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제2다이오드(186)가 회로연결되어 역전압 방지 병렬 다이오드 회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등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MPS 140 is connected to the first fault indication area R2 by a first power supply line 181, and the second SMPS 150 is connected to a second power supply The first main power supply line 181 and the second main power supply line 182 are connected in a circuit 182 to the second fault display area R3, And the first power supply line 181 side is connected to the main circuit line 183 on the parallel connection line 184 at a connection point P between the main circuit line 183 and the main circuit line 183, A first diode 185 is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supply line 182 to block the driving power of the second SMPS 150 from being drawn into the first SMPS 140, A second diode 186 that blocks the second SMPS 150 from entering the second SMPS 150 is connected to the circuit so as to constitute an anti-reverse voltage parallel diode circuit A traffic light device according to Gong, is provided.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신호등케이스(200)에 장착되며 각 SMPS(140,150)의 구동전원 출력여부를 감지하는 상태감지부(161); 통신망을 통해 도로상의 자율주행차량(400)의 통신장치(410)와 신호연결되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부(162); 및 상기 상태감지부(161)의 감지신호에 따라 교통신호등 장치의 고장정보와 정지, 주의, 회전 및 진행 중 어느 하나의 현재 신호등 신호정보가 상기 통신부(162)를 통해 자율주행차량(400)측으로 전송되도록 구동제어하는 제어부(163);를 포함하는 교통신호등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atus sensing unit 161 is mounted on the signal lamp case 200 and detects whether the SMPS 140 or 150 outputs driving power. A communication unit 162 that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410 of the autonomous vehicle 400 on the road and transmits data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signal information of the current traffic signal such as stop, caution, rotation, and proceeding is transmitted to the autonomous vehicle 4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62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tate detection unit 161 And a control unit (163) for driving and controlling the vehicle so as to be transmitted.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SMPS(140) 및 제2SMPS(150)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141,151)와, 상기 케이스(141,151)의 일측에 배치되며 교통신호제어기(300)의 전원공급단(310)에 일단이 연결된 전원케이블(320)의 타단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입력전원을 공급받는 전원입력단(142,152)과, 상기 케이스(141,151)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LED모듈(130)에 케이블 연결된 제1전원출력단(143,153)과, 상기 케이스(141,151)의 타측에 배치된 제2전원출력단(144,154) 및, 상기 케이스(141,151)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전원입력단(142,152)을 통해 공급된 입력전원을 구동전원의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제1전원출력단(143,153)으로 출력하고 공급된 입력전원을 제2전원출력단(144,154)으로 출력하는 변환회로부(145,155)를 각각 포함하며, 일단에는 하나의 SMPS의 제2전원출력단(144)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커넥터(171)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다른 하나의 SMPS의 전원입력단(152)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커넥터(172)가 구비되어 상기 하나의 SMPS의 입력전원을 상기 다른 하나의 SMPS에 공급하는 비상케이블(1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등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MPS 140 and the second SMPS 150 may include a case 141, 151 forming an outer shape, and a case 141, 151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ase 141, A power input terminal 142 and a power input terminal 142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power cable 320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310 to receive the input power, A second power output terminal 144 and 154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case 141 and 151 and a second power output terminal 144 and 154 disposed inside the case 141 and 151 and connected to the power input terminals 142 and 152, And converting circuit portions 145 and 155 for converting the input power to the first power output terminals 143 and 153 and outputting the supplied input power to the second power output terminals 144 and 154, The second power output terminal 144 of the SMPS of FIG. And a second connector 172 detachably connected to the power input terminal 152 of the other SMPS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so that the input power of the one SMPS is connected to the other one And an emergency cable 170 for supplying the SMPS to the SMPS.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배면커버(120)의 배면에는 후방으로 돌출되고 저면에 상기 제1SMPS(140) 및 제2SMPS(150)가 각각 삽입되고 상부면이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하향 경사진 체결홈(123)이 형성된 장착부(122)가 마련되고, 상기 상부면에는 상향 개구되어 상단에 LED모듈(130)과 연결된 연결케이블(191)의 커넥터(192)가 장착되는 삽입공(124)이 형성되며, 상기 제1SMPS(140) 및 제2SMPS(150)의 각 케이스(141)는 상부면이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하향 경사진 형상을 가지며, 상부에는 일정길이로 상향연장되어 상기 삽입공(124)에 삽입되는 연장부(146)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146)의 둘레에는 삽입공(124)을 수밀하게 밀폐시키는 패킹부(147)가 장착되며 상기 연장부(146)의 상단에는 상기 커넥터(192)와 연결되는 제1전원출력단(143)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등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ck cover 120 protrudes rearward, and the first and second SMPSs 140 and 150 are inserted in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cover 120, respectively, And an insertion hole 124 in which a connector 192 of a connection cable 191 connected to the LED module 130 is mounted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124, And each case 141 of the first and second SMPSs 140 and 150 has a shape that is gradually inclined downward as the upper surface is moved backward and is upwardly extended up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packing part 147 for sealing the insertion hole 124 in a watertight manner is mounted around the extended part 146. At the upper end of the extended part 146, And a first power output terminal 143 connected to the connector 192 is disposed A traffic light device that is provided.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연장부(146)의 둘레길이가 상기 삽입공(124)의 내경 둘레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면서 상기 삽입공(124)의 내부면과 연장부(146)의 외부면 사이에는 공간부(12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등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extending portion 146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inner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insertion hole 124, And a space portion 125 is form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첫째, 하나의 LED모듈(130)에 제1SMPS(140) 및 제2SMPS(150)에서 변환된 구동전원이 각각 공급되어 어느 하나의 SMPS에 기능고장이 발생하더라도 다른 SMPS의 구동전원으로 LED모듈(130)을 점멸시킬 수 있으므로 지주(20)에 설치되는 교통신호등 장치의 개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First, even if one SMPS is supplied with the driving power converted from one of the first SMPS 140 and the second SMPS 150 to one LED module 130, the LED module 130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number of traffic light devices installed in the pillar 20.

또한, 상기 LED모듈(130)은 각 LED(132)가 배치된 전체 발광영역이 메인발광영역(R1), 제1고장표시영역(R2) 및 제2고장표시영역(R3)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SMPS(140)는 메인발광영역(R1)과 제1고장표시영역(R2)에 각각 구동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제2SMPS(150)는 메인발광영역(R1)과 제2고장표시영역(R3)에 각각 구동전원을 공급하므로, 어느 하나의 SMPS에 기능고장이 발생한 경우 다른 SMPS의 구동전원이 메인발광영역(R1)에 인가되어 지속적인 신호등 표시가 가능함은 물론, 고장난 SMPS와 연결된 고장표시영역이 소등되어 외부에서 SMPS의 고장발생 상태를 쉽게 인지할 수 있다.The LED module 130 is divided into a main light emitting region R1, a first failure display region R2 and a second failure display region R3 in which the LEDs 132 are disposed, The first SMPS 140 supplies driving power to the main light emitting region R1 and the first fault display region R2 and the second SMPS 150 supplies driving power to the main light emitting region R1 and the second fault display region R3 The driving power of the other SMPS is applied to the main light emitting area R1 so that the continuous signal light can be displayed and the failure display area connected to the failed SMPS can be displayed So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recognize the fault occurrence state of the SMPS from the outside.

둘째, 상기 전체 발광영역은 원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고장표시영역(R2)은 상기 전체 발광영역의 우측단에 배치되고 둘레의 호부분이 우측방을 지향하는 부채꼴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고장표시영역(R3)은 상기 전체 발광영역의 좌측단에 배치되고 둘레의 호부분이 좌측방을 지향하는 부채꼴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원형에 가까운 LED광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도 SMPS의 고장상태를 인지할 수 있다.Second, the entire light emitting area has a circular shape, and the first fault display area R2 is disposed at the right end of the entire light emitting area, and the circumferential arc part is directed to the right room, 2 fault display area R3 is disposed at the left end of the entire light emitting area and the arc part of the circumference is formed in a sector shape that directs toward the left room. Thus,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LED light close to the circular shape, can do.

셋째, 상기 전면커버(110)의 전방면에는 상기 발광공(111)의 둘레를 따라 전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외부광의 유입을 차단하는 챙(112)이 구비되고, 상기 전체 발광영역은 원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고장표시영역(R2) 및 제2고장표시영역(R3)은 둘레의 호부분이 우측방을 지향하는 부채꼴 형상으로 각각 이루어져 상기 전체 발광영역의 우측단에 상하로 배치될 수도 있으므로, 인도에서 위치한 교통순찰자나 보행자가 차도 상에 설치된 교통신호등 장치를 사선방향으로 바라보더라도 챙(112)에 의해 제1고장표시영역(R2)이나 제2고장표시영역(R3)이 가려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ird, the front cover 110 is provided with a tongue 112 protruding forward along the periphery of the light emitting hole 111 to block the inflow of external light, and the entire light emitting area has a circular shape The first fault display area R2 and the second fault display area R3 may be arranged in the upper right and lower sides of the entire light emitting area, Even if a traffic patrol or a pedestrian located in India views the traffic light device installed on the road in a diagonal direction, the phenomenon that the first fault indication area R2 or the second fault indication area R3 is blocked by the visor 112 .

넷째, 상기 제1SMPS(140) 및 제2SMPS(150)는 상기 배면커버(120) 상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로 상기 LED모듈(130)에 구동전원을 각각 공급하되, 상기 배면커버(120) 상에서 상기 제1SMPS(140)는 제1고장표시영역(R2)과 전후로 대향하는 우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SMPS(150)는 제2고장표시영역(R3)과 전후로 대향하는 좌측에 배치되므로, 소등된 고장표시영역을 보면 두 SMPS(140,150) 중 고장이 발생한 SMPS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Fourth, the first SMPS 140 and the second SMPS 150 are supplied with driving power to the LED module 130 while being detachably mounted on the rear cover 120, Since the first SMPS 140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opposite to the first fault display region R2 and the second SMPS 150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facing the second fault display region R3 in the front and back directions, In the fault display area, the SMPS of the two SMPS 140 and 150 can easily be recognized.

넷째, 상기 제1SMPS(140)는 제1전원공급라인(181)으로 상기 제1고장표시영역(R2)과 회로연결되고, 상기 제2SMPS(150)는 제2전원공급라인(182)으로 상기 제2고장표시영역(R3)과 회로연결되며, 상기 제1전원공급라인(181)과 제2전원공급라인(182) 사이에는 상기 메인발광영역(R1)의 메인회로라인(183)과 접속되는 병렬연결라인(184)이 형성되고, 상기 병렬연결라인(184) 상에서 메인회로라인(183)과의 접속점(P)을 중심으로 상기 제1전원공급라인(181)측에는 상기 제2SMPS(150)의 구동전원이 제1SMPS(140)로 인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제1다이오드(185)가 회로연결되고, 상기 제2전원공급라인(182)측에는 상기 제1SMPS(140)의 구동전원이 제2SMPS(150)로 인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제2다이오드(186)가 회로연결되어 역전압 방지 병렬 다이오드 회로를 구성함으로써, 각 SMPS(140,150)에서 출력되는 구동전원을 동시에 LED모듈(130)에 공급할 수 있다.Fourth, the first SMPS 140 is connected to the first fault indication region R2 through a first power supply line 181, and the second SMPS 150 is connected to the second fault detection region R2 by a second power supply line 182. [ Connected to the main circuit line 183 of the main light emitting region R 1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power supply line 181 and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182 in parallel, A connection line 184 is formed and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181 side is connected to the main circuit line 183 on the parallel connection line 184 by driving the second SMPS 150 The first power supply line 182 is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supply line 182 and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182 is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182. The first power supply line 182 is connected to the first SMPS 150, And a second diode 186 that blocks the second diode 186 from being drawn out is connected to the circuit so as to constitute an anti-reverse voltage protection parallel diode circuit, A coin at the same time source can be supplied to the LED module 130.

다섯째, 상기 신호등케이스(200)에 장착된 상태감지부(161)는 각 SMPS(140,150)의 구동전원 출력여부를 감지하고, 통신부(162)는 통신망을 통해 도로상의 자율주행차량(400)의 통신장치(410)와 신호연결되어 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상태감지부(161)의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163)는 고장정보와 정지, 주의, 회전 및 진행 중 어느 하나의 현재 신호등 신호정보가 통신부(162)를 통해 전송되도록 구동제어함으로써, 신호등의 신호를 카메라 영상을 판단하는 자율주행차량(400)이 고장표시영역(R2,R3)의 소등된 상태를 인지하여 신호정보를 오판하거나 인지하지 못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Fifth, the state sensing unit 161 mounted on the signal lamp case 200 senses whether the SMPS 140 or 150 outputs driving power, and the communication unit 162 communicates with the autonomous vehicle 400 on the road The control unit 163 for receiving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tatus sensing unit 161 receives the signal information of the current signal such as the failure information and the stop, The autonomous vehicle 400 that judges the signal of the traffic ligh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62 recognizes the state in which the failure display areas R2 and R3 are turned off and misidentifies or does not recognize the signal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something that can not be done.

여섯째, 상기 제1SMPS(140) 및 제2SMPS(150)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141,151)와, 상기 케이스(141,151)의 일측에 배치되며 교통신호제어기(300)의 전원공급단(310)에 일단이 연결된 전원케이블(320)의 타단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입력전원을 공급받는 전원입력단(142,152)과, 상기 케이스(141,151)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LED모듈(130)에 케이블 연결된 제1전원출력단(143,153)과, 상기 케이스(141,151)의 타측에 배치된 제2전원출력단(144,154) 및, 상기 케이스(141,151)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전원입력단(142,152)을 통해 공급된 입력전원을 구동전원의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제1전원출력단(143,153)으로 출력하고 공급된 입력전원을 제2전원출력단(144,154)으로 출력하는 변환회로부(145,155)를 각각 포함하며, 일단에는 하나의 SMPS의 제2전원출력단(144)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커넥터(171)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다른 하나의 SMPS의 전원입력단(152)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커넥터(172)가 구비되어 상기 하나의 SMPS의 입력전원을 상기 다른 하나의 SMPS에 공급하는 비상케이블(170)이 구비되므로, 각 SMPS(140,150)별로 교통신호제어기(300)와 연결된 전원케이블(320)에 단선이 발생한 경우 상기 비상케이블(170)을 이용하여 단선이 발생한 SMPS에 정상적으로 입력전원을 입력받는 SMPS의 입력전원을 인가할 수 있어 다넌된 전원케이블(320)을 교체하는 작업간에 정상적인 신호등 등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SMPS 140 and the second SMPS 150 are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case 141 and 151 and ar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310 of the traffic signal controller 300 A power supply input terminal 142 and a power supply input terminal 142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power cable 320 a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power cable 320, A first power output terminal 144 and a second power output terminal 144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case 141 and 151 and an input power source provided through the power input terminals 142 and 152, And converting circuit units (145, 155) for outputting the supplied input power to the first power output terminals (143, 153) and for outputting the supplied input power to the second power output terminals (144, 154), wherein one end of the second power output terminal (144) and a second connector And a second connector 172 detachably connected to the power input terminal 152 of the other SMPS at the other end to supply the input power of the one SMPS to the other SMPS When the SMPS 140 and 150 are disconnected from the power supply cable 320 connected to the traffic signal controller 300 by using the emergency cable 170, So that normal signal light equalization can be performed between the operations of replacing the unauthorized power cable 320.

일곱째, 상기 배면커버(120)의 배면에는 후방으로 돌출되고 저면에 상기 제1SMPS(140) 및 제2SMPS(150)가 각각 삽입되고 상부면이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하향 경사진 체결홈(123)이 형성된 장착부(122)가 마련되고, 상기 상부면에는 상향 개구되어 상단에 LED모듈(130)과 연결된 연결케이블(191)의 커넥터(192)가 장착되는 삽입공(124)이 형성되며, 상기 제1SMPS(140) 및 제2SMPS(150)의 각 케이스(141)는 상부면이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하향 경사진 형상을 가지며, 상부에는 일정길이로 상향연장되어 상기 삽입공(124)에 삽입되는 연장부(146)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146)의 둘레에는 삽입공(124)을 수밀하게 밀폐시키는 패킹부(147)가 장착되며 상기 연장부(146)의 상단에는 상기 커넥터(192)와 연결되는 제1전원출력단(143)이 배치되므로, 각 SMPS(140,150)와 배면커버(120) 사의 접촉면을 따라 우수 등의 외부수분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Seventh, a back surface of the back cover 120 protrudes rearward, and the first and second SMPSs 140 and 150 are inserted in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cover 120, respectively. An insertion hole 124 through which the connector 192 of the connection cable 191 connected to the LED module 130 is mounted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122, Each case 141 of the first and second SIMPSs 140 and 150 has a shape gradually inclined downward as the upper surface is rearwardly and has an upwardly protruding length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packing part 147 for sealing the insertion hole 124 in a watertight manner is mounted around the extension part 146 and an upper part of the packing part 147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192 at the upper end of the extension part 146. [ Since the first power output terminal 143 is disposed, the power of each SMPS 140, 150 and the back cover 120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external moisture such as rain or the like from flowing into the inside along the contact surface.

또한, 상기 연장부(146)의 둘레길이가 상기 삽입공(124)의 내경 둘레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면서 상기 삽입공(124)의 내부면과 연장부(146)의 외부면 사이에는 공간부(125)가 형성되어, 상기 배면커버(120)와 각 SMPS(140,150) 간의 접촉면을 따라 수분이 침투하더라도 상기 공간부(125)가 채워지기 전까지는 접속단자로의 유입이 제한되므로 침투된 수분에 의해 합선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extended portion 146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insertion hole 124 and the spac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124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extended portion 146 Even if moisture permeates along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back cover 120 and the SMPS 140 and 150, the inflow of moisture into the connection terminal is restricted until the space 125 is fill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short circuit due to the occurrence of the short circuit.

도 1은 종래의 교통신호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교통신호등 장치가 지주상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통신호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LED모듈의 메인발광영역, 제1고장표시영역 및 제2고장표시영역을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LED모듈의 회로패턴 및 구동전원이 인가되는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SMPS가 고장난 경우 제2고장표시영역이 소등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SMPS가 고장난 경우 제1고장표시영역이 소등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고장표시영역 및 제2고장표시영역이 전체 발광영역의 좌측단에 설치된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통신호등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통신호등 장치의 고장정보 및 신호등 신호정보가 자율주행차량측으로 전달되는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케이블의 구성 및 동작원리를 나타낸 개략도,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각 SMPS가 배면커버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traffic signal lamp device,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ventional traffic light device is installed on a ground,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raffic light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showing a main light emitting area, a first failure display area and a second failure display area of the LED modu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circuit pattern of a LED module and a driving power source are appli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fault display area is turned off when the second SMPS fails in accordance wit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fault display area is turned off when the second SMPS fails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first failure display area and a second failure display area are provided at the left end of the entire light emission area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traffic light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fault information and traffic light signal information of a traffic light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ransmitted to an autonomous vehicle;
12 and 13 are schematic views showing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principle of an emergency cab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and 15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each SMP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y mounted on a rear cover.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통신호등 장치(100)는 하나의 LED모듈에 복수의 SMPS로부터 변환된 구동전원이 각각 공급되어 어느 하나의 SMPS에 기능고장이 발생하더라도 다른 SMPS의 구동전원으로 LED모듈을 점멸시킬 수 있어 지주에 설치되는 교통신호등 장치의 개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교통시설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커버(110), 배면커버(120), LED모듈(130), 제1SMPS(140) 및 제2SMPS(150)를 포함한다.The traffic signal ligh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even if one of the SMPSs is supplied with the converted driving power from a plurality of SMPSs to one LED module, 3, the front cover 110, the rear cover 120, the LED module 130, the first SMPS 140, and the second SMPS 140 are mounted on the floor, (140) and a second SMPS (150).

먼저, 상기 전면커버(110)는 교통신호등 장치(100)를 신호등케이스(200) 상에 장착시키면서 동시에 전면을 커버하는 케이스부재로서, 지주(20)에 설치된 신호등케이스(200)에 장착되며 중앙에는 발광공(111)이 전후로 개구된다. 여기서, 전면커버(110)의 각 모서리에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이 체결공에 관통삽입되어 신호등케이스(200)에 회전결합되는 체결나사(113)로 전면커버(110)를 신호등케이스(200) 상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The front cover 110 is a case member that covers the front of the traffic light device 100 while mounting the traffic light device 100 on the traffic light case 200. The front cover 110 is mounted on the signal lamp case 200 installed in the support 20, And the light emitting hole 111 is open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he front cover 110 is fastened to the signal lamp case 200 by a fastening screw 113 which is formed at each corner of the front cover 110 and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signal lamp case 200. [ Detachably mountable.

상기 배면커버(120)는 LED모듈(130)의 배면을 커버하는 케이스부재로서 상기 전면커버(110)의 후방측에 장착되며,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면커버(120)의 배면에는 후방으로 돌출되고 저면에 상기 제1SMPS(140) 및 제2SMPS(150)가 각각 삽입되고 상부면이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하향 경사진 체결홈(123)이 형성된 장착부(122)가 마련되고, 상기 상부면에는 상향 개구되어 상단에 LED모듈(130)과 연결된 연결케이블(191)의 커넥터(192)가 장착되는 삽입공(124)이 형성된다.The rear cover 120 is a case member that covers the rear surface of the LED module 130 and is mounted on the rear side of the front cover 110. As shown in FIGS. 14 and 15, A mounting portion 122 is formed on the back surface and is formed with the first SMPS 140 and the second SMPS 150 inserted into the bottom surface thereof and the lower surface thereof being gradually inclined downward, And an insertion hole 124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to mount a connector 192 of a connection cable 191 connected to the LED module 130 at an upper end thereof.

상기 LED모듈(130)은 교통신호를 지시하기 위한 LED광을 점멸하는 발광수단으로서, 직립배치되고 회로라인이 패터닝된 PCB(131) 및 상기 PCB(131)의 전방면에 실장되는 다수의 LED(132)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커버(110)와 배면커버(120) 사이 또는 배면커버(1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인가되는 구동전원에 따라 상기 발광공(111)을 통해 LED광을 발산한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LED모듈(130)은 각 LED(132)가 배치된 전체 발광영역이 메인발광영역(R1), 제1고장표시영역(R2) 및 제2고장표시영역(R3)으로 구분된다.The LED module 130 is a light emitting unit for blinking LED light for instructing a traffic signal. The LED module 130 includes a PCB 131 arranged in an upright position and patterned with circuit lines, and a plurality of LEDs (not shown)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CB 131 The LED cover 130 is disposed between the front cover 110 and the rear cover 120 or inside the rear cover 120 and emits LED light through the light emitting hole 111 according to driving power applied thereto. 4, the LED module 130 includes a main light emitting region R1, a first failure display region R2, and a second failure display region R3).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발광영역(R1)에 배치되는 LED(132a)들은 메인회로라인(183)을 통해 상호간에 회로연결되고, 제1고장표시영역(R2)에 배치된 LED(132b)들은 메인회로라인(183)와 전기적으로 이격된 제1회로라인(187)을 통해 상호 간에 회로연결되며, 상기 제2고장표시영역(R3)에 배치된 LED(132c)들은 상기 메인회로라인(183) 및 제1회로라인(187)과 전기적으로 이격된 제2회로라인(188)을 통해 상호 간에 회로연결된다. 더불어, 상기 전면커버(110)와 LED모듈(130) 사이에는 광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져 LED모듈(130)의 전방을 커버하면서 동시에 발산된 LED광을 투과시키는 투광판(115)이 장착된다.4 and 5, the LEDs 132a disposed in the main light emitting region R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main circuit line 183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first failure display region R2 The arranged LEDs 132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first circuit line 187 electrically spaced from the main circuit line 183 and the LEDs 132c disposed in the second failure display area R3 And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second circuit line 188 electrically spaced from the main circuit line 183 and the first circuit line 187. A transparent plate 115 is disposed between the front cover 110 and the LED module 130 to cover the front of the LED module 130 and transmit the emitted LED light.

상기 제1SMPS(140) 및 제2SMPS(150)는 LED모듈(130)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으로서 상기 제1SMPS(1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SMPS(150)는 메인발광영역(R1)과 제2고장표시영역(R3)에 각각 구동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제2SMPS(150)는 메인발광영역(R1)과 제2고장표시영역(R3)에 각각 구동전원을 공급한다. The first SMPS 140 and the second SMPS 150 are pow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driving power to the LED module 130. In the first SMPS 140, The driving power is supplied to the area R1 and the second fault display area R3 while the second SMPS 150 supplies driving power to the main light emitting area R1 and the second fault display area R3 .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SMPS(140)는 제1전원공급라인(181)으로 상기 제1고장표시영역(R2)과 회로연결되고, 상기 제2SMPS(150)는 제2전원공급라인(182)으로 상기 제2고장표시영역(R3)과 회로연결되며, 상기 제1전원공급라인(181)과 제2전원공급라인(182) 사이에는 상기 메인발광영역(R1)의 메인회로라인(183)과 접속되는 병렬연결라인(184)이 형성된다.5, the first SMPS 140 is connected to the first fault indication area R2 through a first power supply line 181 and the second SMPS 150 is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181. [ The first main power supply line 181 and the second main power supply line 182 are connected in a circuit 182 to the second fault display area R3, A parallel connection line 184 connected to the connection line 183 is formed.

따라서, 제1SMPS(140)와 제2SMPS(150)가 정상적으로 구동하는 경우 메인발광영역(R1)은 제1SMPS(140)와 제2SMPS(150)의 구동전원에 의해 점멸동작하고, 제1고장표시영역(R2)은 제1SMPS(140)의 구동전원에 의해 점멸동작하며, 제2고장표시영역(R3)은 제2SMPS(150)의 구동전원에 의해 점멸동작한다.Accordingly, when the first and second SMPSs 140 and 150 are normally driven, the main light emitting region R1 is operated by the driving power of the first and second SMPSs 140 and 150, And the second fault display area R3 is operated by the driving power of the second SMPS 150. The second fault display area R3 is turned on and off by the driving power of the first SMPS 140,

이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SMPS(140)에 기능고장이 발생하여 제1전원공급라인(181)을 통해 구동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메인발광영역(R1)과 제2SMPS(150)은 제2SMPS(150)의 구동전원에 의해 점멸동작하여 교통신호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게 되고, 제1고장표시영역(R2)은 소등된 상태로 유지되어 SMPS의 고장발생을 외부로 표시할 수 있게 된다.6, when a malfunction occurs in the first SMPS 140 and no driving power is applied through the first power supply line 181, the main emission region R1 and the second SMPS 150 are turned on, The first fault display area R2 is maintained in an unlit state so that the fault occurrence of the SMPS can be externally displayed .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SMPS(150)에 기능고장이 발생하여 제2전원공급라인(182)을 통해 구동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메인발광영역(R1)과 제2고장표시영역(R3)은 제1SMPS(140)의 구동전원에 의해 점멸동작하여 교통신호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게 되고, 제2고장표시영역(R3)은 소등된 상태로 유지되어 SMPS의 고장발생을 외부로 표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7, when a malfunction occurs in the second SMPS 150 and driving power is not applied through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182, the main light emitting region R1 and the second fault display region The second fault display area R3 is continuously turned off by the driving power of the first SMPS 140 to continuously provide a traffic signal and the second fault display area R3 is maintained in an unlit state so that the fault occurrence of the SMPS is externally displayed It will be possible.

이와 같이, 하나의 LED모듈(130)에 제1SMPS(140) 및 제2SMPS(150)에서 변환된 구동전원이 각각 공급되어 어느 하나의 SMPS에 기능고장이 발생하더라도 다른 SMPS의 구동전원으로 LED모듈(130)을 점멸시킬 수 있으므로 지주(20)에 설치되는 교통신호등 장치의 개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In this manner, even if one of the SMPSs is supplied with the driving power converted by the first and second SMPSs 140 and 150 into one LED module 130, the LED module 130 can be blinked, the number of traffic light devices installed in the pillar 20 can be minimized.

또한, 상기 LED모듈(130)은 각 LED(132)가 배치된 전체 발광영역이 메인발광영역(R1), 제1고장표시영역(R2) 및 제2고장표시영역(R3)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SMPS(140)는 메인발광영역(R1)과 제1고장표시영역(R2)에 각각 구동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제2SMPS(150)는 메인발광영역(R1)과 제2고장표시영역(R3)에 각각 구동전원을 공급하므로, 어느 하나의 SMPS에 기능고장이 발생한 경우 다른 SMPS의 구동전원이 메인발광영역(R1)에 인가되어 지속적인 신호등 표시가 가능함은 물론, 고장난 SMPS와 연결된 고장표시영역이 소등되어 외부에서 SMPS의 고장발생 상태를 쉽게 인지할 수 있다.The LED module 130 is divided into a main light emitting region R1, a first failure display region R2 and a second failure display region R3 in which the LEDs 132 are disposed, The first SMPS 140 supplies driving power to the main light emitting region R1 and the first fault display region R2 and the second SMPS 150 supplies driving power to the main light emitting region R1 and the second fault display region R3 The driving power of the other SMPS is applied to the main light emitting area R1 so that the continuous signal light can be displayed and the failure display area connected to the failed SMPS can be displayed So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recognize the fault occurrence state of the SMPS from the outside.

한편,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전체 발광영역은 원형상을 갖되, 상기 제1고장표시영역(R2)은 상기 전체 발광영역의 우측단에 배치되고 둘레의 호부분이 우측방을 지향하는 부채꼴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고장표시영역(R3)은 상기 전체 발광영역의 좌측단에 배치되고 둘레의 호부분이 좌측방을 지향하는 부채꼴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일정거리에서 이격된 운전자가 발광영역을 바라보는 경우 번짐현상으로 인해 원형에 가까운 LED광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도 SMPS의 고장상태를 인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entire light emitting region has a circular shape, and the first failure display region R2 is disposed at the right end of the entire light emitting region, and the circumferential arc portion is directed to the right room. And the second fault display area R3 is disposed at the left end of the entire light emitting area and has a sector shape in which a round arc is directed to the left room, It is possible to provide LED light close to the circular shape due to the blurring phenomenon and to recognize the fault state of the SMPS.

또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커버(110)의 전방면에는 상기 발광공(111)의 둘레를 따라 전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외부광의 유입을 차단하는 챙(112)이 구비되고, 상기 전체 발광영역은 원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고장표시영역(R2) 및 제2고장표시영역(R3)은 둘레의 호부분이 우측방을 지향하는 부채꼴 형상으로 각각 이루어져 상기 전체 발광영역의 우측단에 상하로 배치될 수도 있으므로, 인도에서 위치한 교통순찰자나 보행자가 차도 상에 설치된 교통신호등 장치를 사선방향으로 바라보더라도 챙(112)에 의해 제1고장표시영역(R2)이나 제2고장표시영역(R3)이 가려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8 and 9, the front cover 110 has a crown 112 protruding forward along the periphery of the light emitting hole 111 to block the inflow of external light. And the first failure display region R2 and the second failure display region R3 are formed in a sector shape in which the arc portion around the right side is oriented in the right direction, Even if a traffic patrol or a pedestrian located in India is placed on the right side of the traffic light device in a diagon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rst fault display area R2 or the second fault display area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isplay region R3 from being blocked.

더불어, 상기 제1SMPS(140) 및 제2SMPS(150)는 상기 배면커버(120) 상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로 상기 LED모듈(130)에 구동전원을 각각 공급하되, 상기 배면커버(120) 상에서 상기 제1SMPS(140)는 제1고장표시영역(R2)과 전후로 대향하는 우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SMPS(150)는 제2고장표시영역(R3)과 전후로 대향하는 좌측에 배치되므로, 소등된 고장표시영역을 보면 두 SMPS(140,150) 중 고장이 발생한 SMPS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MPS 140 and the second SMPS 150 are supplied with driving power to the LED module 130 while being detachably mounted on the back cover 120, Since the first SMPS 140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opposite to the first fault display region R2 and the second SMPS 150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facing the second fault display region R3 in the front and back directions, In the fault display area, the SMPS of the two SMPS 140 and 150 can easily be recognized.

그리고,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제1전원공급라인(181)과 제2전원공급라인(182) 사이에는 상기 메인발광영역(R1)의 메인회로라인(183)과 접속되는 병렬연결라인(184)이 형성되고, 상기 병렬연결라인(184) 상에서 메인회로라인(183)과의 접속점(P)을 중심으로 상기 제1전원공급라인(181)측에는 상기 제2SMPS(150)의 구동전원이 제1SMPS(140)로 인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제1다이오드(185)가 회로연결되고, 상기 제2전원공급라인(182)측에는 상기 제1SMPS(140)의 구동전원이 제2SMPS(150)로 인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제2다이오드(186)가 회로연결되어 역전압 방지 병렬 다이오드 회로를 구성함으로써, 각 SMPS(140,150)에서 출력되는 구동전원을 동시에 LED모듈(130)에 공급할 수 있다.5, a parallel connection line 184 is formed between the first power supply line 181 and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182 and connected to the main circuit line 183 of the main light emitting region R1. And the driving power of the second SMPS 150 is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supply line 181 on the side of the connection point P with the main circuit line 183 on the parallel connection line 184, The first power supply line 182 is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supply line 182 and the first power supply line 182 is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supply line 182. The first power supply line 182 is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supply line 182, The second diode 186 is connected to the circuit to configure the reverse voltage prevention parallel diode circuit so that the driving power outputted from each SMPS 140 and 150 can be supplied to the LED module 130 at the same time.

상기 제1다이오드(185) 및 제2다이오드(186)는 두 SMPS(140,150)의 입력을 받아 신호등의 이중화회로에 같은 전위 두개의 DC전압을 병렬로 출력하여 전위를 유지하며, 고장시 또는 서로 다른 전위차가 발생시 역전압을 방지하여 서로 다른 SMPS를 통해 신호등회로로 영향을 주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으며, 역전압에 의한 다른 회로로의 유입을 차단하여 특정부위의 일부 LED(132)가 소등되는 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장이 검출되도록 한다.The first diode 185 and the second diode 186 receive the input of the two SMPS 140 and 150 and output the two potential DC voltages in parallel to the redundant circuit of the signal lamp to maintain the potential, It is possible to prevent reverse voltage when a potential difference is generated and to protect the signal lamp circuit from being influenced by different SMPSs and to block the inflow of other circuits by reverse voltage, So that a failure can be detected.

한편,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호등케이스(200)에 장착된 상태감지부(161)는 각 SMPS(140,150)의 구동전원 출력여부를 감지하고, 통신부(162)는 통신망을 통해 도로상의 자율주행차량(400)의 통신장치(410)와 신호연결되어 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상태감지부(161)의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163)는 고장정보와 정지, 주의, 회전 및 진행 중 어느 하나의 현재 신호등 신호정보가 통신부(162)를 통해 전송되도록 구동제어함으로써, 신호등의 신호를 카메라 영상을 판단하는 자율주행차량(400)이 고장표시영역(R2,R3)의 소등된 상태를 인지하여 신호정보를 오판하거나 인지하지 못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10 and 11, the status sensing unit 161 mounted on the signal lamp case 200 senses whether the SMPS 140 or 150 outputs driving power, and the communication unit 162 senses whether or not the SMPS 140 The control unit 163 receives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tatus sensing unit 161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communication device 410 of the autonomous vehicle 400 on the road, The autonomous vehicle 400 determines that the signal of the signal is the camera image, and the signal indicating that the current signal or any other signal in progress is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62,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ignal information from being misunderstood or not recognizing the state.

또한,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SMPS(140) 및 제2SMPS(150)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141,151)와, 상기 케이스(141,151)의 일측에 배치되며 교통신호제어기(300)의 전원공급단(310)에 일단이 연결된 전원케이블(320)의 타단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입력전원을 공급받는 전원입력단(142,152)과, 상기 케이스(141,151)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LED모듈(130)에 케이블 연결된 제1전원출력단(143,153)과, 상기 케이스(141,151)의 타측에 배치된 제2전원출력단(144,154) 및, 상기 케이스(141,151)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전원입력단(142,152)을 통해 공급된 입력전원을 구동전원의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제1전원출력단(143,153)으로 출력하고 공급된 입력전원을 제2전원출력단(144,154)으로 출력하는 변환회로부(145,155)를 각각 포함하며, 일단에는 하나의 SMPS의 제2전원출력단(144)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커넥터(171)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다른 하나의 SMPS의 전원입력단(152)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커넥터(172)가 구비되어 상기 하나의 SMPS의 입력전원을 상기 다른 하나의 SMPS에 공급하는 비상케이블(170)이 구비되므로, 각 SMPS(140,150)별로 교통신호제어기(300)와 연결된 전원케이블(320)에 단선이 발생한 경우 상기 비상케이블(170)을 이용하여 단선이 발생한 SMPS에 정상적으로 입력전원을 입력받는 SMPS의 입력전원을 인가할 수 있어 다넌된 전원케이블(320)을 교체하는 작업간에 정상적인 신호등 등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12 and 13, the first and second SMPSs 140 and 150 include a case 141 and 151 for forming an outer shape, and a case 141 and 151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ase 141 and 151, A power supply input terminal 142 and a power supply input terminal 142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power supply cable 320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310 of the power supply 300, A first power output terminal 143 and 153 connected to the LED module 130 and a second power output terminal 144 and 154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case 141 and 151 and a second power output terminal 144 and 154 disposed inside the case 141 and 151, Converting circuit units 145 and 155 for converting the input power suppli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power output units 144 and 154 into driving power and outputting the input power to the first power output ends 143 and 153 and outputting the supplied input power to the second power output ends 144 and 154, ,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output terminal 144 of one SMPS And a second connector 172 detachably connected to the other power input terminal 152 of the other SMPS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nector 171, When the power cable 320 connected to the traffic signal controller 300 is disconnected for each of the SMPSs 140 and 150 by using the emergency cable 170, The input power of the SMPS that normally receives the input power can be applied to the SMPS in which the input power is normally input, so that normal signal light equalization can be performed between the operations of replacing the unshielded power cable 320.

더불어,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SMPS(140) 및 제2SMPS(150)의 각 케이스(141)는 상부면이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하향 경사진 형상을 가지며, 상부에는 일정길이로 상향연장되어 상기 삽입공(124)에 삽입되는 연장부(146)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146)의 둘레에는 삽입공(124)을 수밀하게 밀폐시키는 패킹부(147)가 장착되며 상기 연장부(146)의 상단에는 상기 커넥터(192)와 연결되는 제1전원출력단(143)이 배치되므로, 각 SMPS(140,150)와 배면커버(120) 사의 접촉면을 따라 우수 등의 외부수분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14 and 15, each of the cases 141 of the first and second SMPSs 140 and 150 has a shape that is gradually inclined downward as the upper surface is rearward, and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packing part 147 for sealing the insertion hole 124 in a watertight manner is mounted around the extension part 146. The extension part 146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24, The first power output terminal 143 connected to the connector 192 is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lower portion 146 so that external moisture such as rainwater flows in the inside along the contact surfaces of the SMPS 140 and 150 and the back cover 120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또한, 상기 연장부(146)의 둘레길이가 상기 삽입공(124)의 내경 둘레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면서 상기 삽입공(124)의 내부면과 연장부(146)의 외부면 사이에는 공간부(125)가 형성되어, 상기 배면커버(120)와 각 SMPS(140,150) 간의 접촉면을 따라 수분이 침투하더라도 상기 공간부(125)가 채워지기 전까지는 접속단자로의 유입이 제한되므로 침투된 수분에 의해 합선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간부(125)는 삽입공(124)의 내경과 연장부(146)의 외경간의 차이로 인해 형성되는 빈공간이거나 삽입공(124)의 내부면에 내측으로 함몰되어 별도로 마련된 빈공간일수 있다.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extended portion 146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insertion hole 124 and the spac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124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extended portion 146 Even if moisture permeates along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back cover 120 and the SMPS 140 and 150, the inflow of moisture into the connection terminal is restricted until the space 125 is fill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short circuit due to the occurrence of the short circuit. The space 125 may be an empty space formed by a difference between an inner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124 and an outer diameter of the extended portion 146 or a hollow space formed by being embedd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124, Can be.

상기에서는 교통신호등 장치(100)가 자동차 도로에 설치되어 운전자에게 지시하는 교통시설물인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역이나 철로에 설치되거나 공항이나 활주로에 설치되는 철도교통 및 항공교통용 시설물일 수도 있다.Although the traffic light device 100 is installed on an automobile road and instructs a driver, the traffic light device 100 may be a railway traffic and air traffic facility installed in an airport or a runway, .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s. It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knowledge.

20...지주 100...교통신호등 장치
110...전면커버 120...배면커버
130...LED모듈 140...제1SMPS
150...제2SMPS 161...상태감지부
162...통신부 163...제어부
170...비상케이블
20 ... Landing 100 ... Traffic light device
110 ... front cover 120 ... rear cover
130 ... LED module 140 ... 1st SMPS
150 ... second SMPS 161 ... state detecting unit
162 ... communication unit 163 ... control unit
170 ... emergency cable

Claims (5)

지주(20)에 설치된 신호등케이스(200)에 장착되며 중앙에는 발광공(111)이 전후로 개구된 전면커버(110); 상기 전면커버(110)의 후방측에 장착되는 배면커버(120); 직립배치되고 회로라인이 패터닝된 PCB(131) 및 상기 PCB(131)의 전방면에 실장되는 다수의 LED(132)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커버(110)와 배면커버(120) 사이 또는 배면커버(1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인가되는 구동전원에 따라 상기 발광공(111)을 통해 LED광을 발산하는 LED모듈(130); 및 상기 LED모듈(130)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제1SMPS(140); 및 제2SMPS(150);를 포함하되,
상기 LED모듈(130)은 각 LED(132)가 배치된 전체 발광영역이 메인발광영역(R1), 제1고장표시영역(R2) 및 제2고장표시영역(R3)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SMPS(140)는 상기 메인발광영역(R1)과 제1고장표시영역(R2)에 각각 구동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제2SMPS(150)는 상기 메인발광영역(R1)과 제2고장표시영역(R3)에 각각 구동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제1SMPS(140)는 제1전원공급라인(181)으로 상기 제1고장표시영역(R2)과 회로연결되며, 상기 제2SMPS(150)는 제2전원공급라인(182)으로 상기 제2고장표시영역(R3)과 회로연결되고,
상기 제1전원공급라인(181)과 제2전원공급라인(182) 사이에는 상기 메인발광영역(R1)의 메인회로라인(183)과 접속되는 병렬연결라인(184)이 형성되며,
상기 병렬연결라인(184) 상에서 메인회로라인(183)과의 접속점(P)을 중심으로 상기 제1전원공급라인(181)측에는 상기 제2SMPS(150)의 구동전원이 제1SMPS(140)로 인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제1다이오드(185)가 회로연결되고, 상기 제2전원공급라인(182)측에는 상기 제1SMPS(140)의 구동전원이 제2SMPS(150)로 인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제2다이오드(186)가 회로연결되어 역전압 방지 병렬 다이오드 회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등 장치.
A front cover 110 mounted on the signal lamp case 200 installed in the pillar 20 and having a light emitting hole 111 opened front and rear at the center; A rear cover 120 mounted on a rear side of the front cover 110; And a plurality of LEDs 132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CB 131 and arranged between the front cover 110 and the rear cover 120 or between the front cover 110 and the rear cover 120. [ 120) for emitting an LED light through the light emitting hole (111) in accordance with an applied driving power; A first SMPS 140 for supplying driving power to the LED module 130; And a second SMPS 150,
The LED module 130 is divided into a main light emitting region R1, a first failure display region R2 and a second failure display region R3,
The first SMPS 140 supplies driving power to the main emission region Rl and the first failure display region R2 and the second SMPS 150 supplies driving power to the main emission region R1 and the second failure display region R2, The driving power is supplied to the region R3,
The first SMPS 140 is connected to the first fault indication region R2 through a first power supply line 181 and the second SMPS 150 is connected to the second fault detection region R2 through a second power supply line 182, Is connected in circuit with the display region R3,
A parallel connection line 184 is formed between the first power supply line 181 and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182 to be connected to the main circuit line 183 of the main light emitting region Rl,
The driving power of the second SMPS 150 is inputted to the first power supply line 181 side around the connection point P with the main circuit line 183 on the parallel connection line 184 by the first SMPS 140 And a second diode 185 for blocking the driving power of the first SMPS 140 from entering the second SMPS 150 is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182 186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constitute an anti-reverse voltage parallel diode circu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체 발광영역은 원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고장표시영역(R2)은 상기 전체 발광영역의 우측단에 배치되고 둘레의 호부분이 우측방을 지향하는 부채꼴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고장표시영역(R3)은 상기 전체 발광영역의 좌측단에 배치되고 둘레의 호부분이 좌측방을 지향하는 부채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등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ntire luminescent region has a circular shape,
The first fault display area R2 is disposed at the right end of the entire light emitting area and has a sector shape in which a round arc portion is directed to the right room,
Wherein the second failure display area (R3) is arranged at a left end of the entire light emitting area and has a sector shape in which a circumferential arc part is directed to the left room.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SMPS(140) 및 제2SMPS(150)는 상기 배면커버(120) 상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로 상기 LED모듈(130)에 구동전원을 각각 공급하되,
상기 배면커버(120) 상에서 상기 제1SMPS(140)는 제1고장표시영역(R2)과 전후로 대향하는 우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SMPS(150)는 제2고장표시영역(R3)과 전후로 대향하는 좌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등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SMPS 140 and the second SMPS 150 are respectively supplied with driving power to the LED module 130 while being detachably mounted on the back cover 120,
The first SMPS 140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opposite to the first fault display area R2 on the rear cover 120 and the second SMPS 150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second fault display area R3, And the traffic ligh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traffic light devic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호등케이스(200)에 장착되며 각 SMPS(140,150)의 구동전원 출력여부를 감지하는 상태감지부(161);
통신망을 통해 도로상의 자율주행차량(400)의 통신장치(410)와 신호연결되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부(162); 및
상기 상태감지부(161)의 감지신호에 따라 교통신호등 장치의 고장정보와 정지, 주의, 회전 및 진행 중 어느 하나의 현재 신호등 신호정보가 상기 통신부(162)를 통해 자율주행차량(400)측으로 전송되도록 구동제어하는 제어부(163);를 포함하는 교통신호등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tate sensing unit 161 mounted on the signal lamp case 200 and sensing whether the SMPS 140 or 150 outputs driving power;
A communication unit 162 that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410 of the autonomous vehicle 400 on the road and transmits data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tate detection unit 161, failure information of the traffic signal light device and signal information of the current signal such as stop, caution, rotation and progress are transmitted to the autonomous vehicle 4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62 And a control unit (163)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vehicle.
KR1020180000867A 2018-01-03 2018-01-03 Traffic signal light apparatus KR1018554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867A KR101855460B1 (en) 2018-01-03 2018-01-03 Traffic signal ligh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867A KR101855460B1 (en) 2018-01-03 2018-01-03 Traffic signal light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5460B1 true KR101855460B1 (en) 2018-05-04

Family

ID=62199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0867A KR101855460B1 (en) 2018-01-03 2018-01-03 Traffic signal light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5460B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2346B2 (en) LED light bar for optical traffic control systems
US11899052B2 (en) Trailer lighting outage detection circuit
CA2696536C (en) Led light bar for optical traffic control systems
KR101496725B1 (en) A controller of lighthouse lantern and its method
JP2007091164A (en) Failure detection device of lamp body for vehicle and lamp body unit
KR101855460B1 (en) Traffic signal light apparatus
KR101855473B1 (en) Traffic signal light apparatus
JP4923197B2 (en) Vehicle lighting
JP2002270011A (en) Vehicular lamp control device
US10744932B2 (en) Control and monitoring circuit for controlling lighting system
KR200425937Y1 (en) Light emitting diode type crime prevention light of taxi
NO20161981A1 (en) Priority light bar device
KR101511735B1 (en) Heating wire package with emergency lamp function, and a window glass for use in a vehicle
ITMI990807A1 (en) STREET LIGHTING DEVICE
KR102516575B1 (en) Auxiliary sign for traffic lights
KR200487154Y1 (en) An Emergency lamp supporting bar for dump vehicle
KR20230062307A (en) Traffic light lighting device for drivers
KR100444159B1 (en) Combined Side Lamp and Warning Lamp for Ambulance Using Light Emitting Diode
KR200404838Y1 (en) Bus Guide Displaying Panel
KR200184759Y1 (en) Traffic signal lamp having a short circuit display and aid lamp
KR101014287B1 (en) Intelligent transport signal awakening device
KR200298860Y1 (en) Parking confirmation light emitting device for inducing safe parking of a vehicle.
KR101859324B1 (en) Led lighting apparatus for helicopter landing area with dual lighting system
JP2001018801A (en) Portable light-emitting device
EP2390138B1 (en) Device for a trai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