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5412B1 - Structure for continuous support of truss deck - Google Patents

Structure for continuous support of truss de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5412B1
KR101855412B1 KR1020160120426A KR20160120426A KR101855412B1 KR 101855412 B1 KR101855412 B1 KR 101855412B1 KR 1020160120426 A KR1020160120426 A KR 1020160120426A KR 20160120426 A KR20160120426 A KR 20160120426A KR 101855412 B1 KR101855412 B1 KR 101855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ss
deck
reinforcing
plate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04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31934A (en
Inventor
이창남
Original Assignee
(주)센벡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센벡스 filed Critical (주)센벡스
Priority to KR1020160120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5412B1/en
Publication of KR20180031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19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5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54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04B5/40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with metal form-sla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5Light-weight girders, e.g. with precast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러스 데크의 지점을 연속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적재하중은 물론 시공 중 시공하중에 대해서도 연속단이 되어 휨모멘트 및 처짐 감소로 시공성 및 경제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지점 연속형 트러스 데크 구조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 지점 연속형 트러스 데크 구조는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보; 및 데크 플레이트의 상부에 철근 트러스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보 상부를 가로질러 적어도 2 이상의 보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트러스 데크; 로 구성되되, 인접하는 트러스 데크와의 이음부는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보 외측 스팬의 어느 일 지점 내에 형성되고, 일측 트러스 데크의 철근 트러스 이음부 측 단부에는 체결공이 형성된 제1이음판이 결합되고, 상기 일측 트러스 데크와 인접하여 이음되는 타측 트러스 데크의 철근 트러스 이음부 측 단부에는 체결공이 형성된 제2이음판이 결합되어 제1이음판과 제2이음판이 상호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공에 관통된 체결핀을 다른 체결핀으로 고정하여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int continuous truss deck structure which can continuously improve the workability and economical efficiency by reducing the bending moment and the deflection by forming continuous points of the truss deck, will 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inuous truss deck structure comprising: And a plurality of truss decks installed so as to be supported by at least two beams across the beam top, wherein a reinforcing truss 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deck plate; Wherein a joint between the adjacent truss deck is formed in one point of the beam outer span supporting the deck plate, a first joint plate having a fastening hole is coupled to an end of the one truss deck at the side of the reinforcing truss joint, A second joint plate having a fastening hole is coupled to an end of the other truss deck adjacent to the one truss deck at the side of the reinforcing truss joint portion side so that the first joint plate and the second joint plate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re fixed to the other fastening pins and are coupled to each other.

Description

지점 연속형 트러스 데크 구조{Structure for continuous support of truss deck}[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uss deck structure,

본 발명은 트러스 데크의 지점을 연속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적재하중은 물론 시공 중 시공하중에 대해서도 연속단이 되어 휨모멘트 및 처짐 감소로 시공성 및 경제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지점 연속형 트러스 데크 구조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int continuous truss deck structure which can continuously improve the workability and economical efficiency by reducing the bending moment and the deflection by forming continuous points of the truss deck, will be.

일반적으로 트러스 데크는 데크 플레이트 등 강판 상면에 상하부철근과 래티스로 구성되는 철근 트러스를 결합하여 거푸집 역할과 슬래브 철근을 겸하도록 한 것으로, 각종 건축공사 현장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Generally, truss deck is combined with reinforced truss composed of upper and lower reinforcing bars and lattice on the upper surface of steel plate such as deck plate, and serves as a formwork and slab reinforcement, and is widely used in various construction sites.

도 1은 트러스 데크(2)의 하중 및 모멘트 설계 개념도로, 도 1의 (a)와 (b)는 각각 시공하중과 적재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고, 도 1의 (c)는 시공하중과 적재하중을 함께 고려했을 경우에 대한 것이다.1 (a) and 1 (b) are diagrams for a case in which a construction load and a load load act on each other, and FIG. 1 (c) And the loading load are considered together.

도 1과 같이 일반적으로 트러스 데크(2)는 보(1)의 측면에 지지시켜 콘크리트가 양생되기 전까지 시공 단계에서는 단순보(simple beam)로 가정하여 설계한다. 그리고 트러스 데크(2)의 단부에서 이웃하는 트러스 데크(2)와의 상부근 사이에 이음철근을 추가하여 적재하중 작용시 연속단으로 작용하도록 설계한다.As shown in FIG. 1, generally, the truss deck 2 is supported on the side of the beam 1 and is designed as a simple beam in the construction step until the concrete is cured. A joint reinforcing bar is added between the end of the truss deck 2 and the vicinity of the upper side of the truss deck 2 so as to function as a continuous stage when the load is applied.

이때 트러스 데크(2)의 단부는 지점 역할을 하기 위해서 충분한 강성을 유지해야 한다. 그러나 철근 트러스(22)의 단부에 위치하는 래티스(223)는 중앙에서 절단되어 상부철근(222)을 직접 지지하지 못하므로, 이를 보강하기 위해 직봉인 수직철근토막(224) 및 수평철근토막(225)을 +자로 배치하고 하부철근(221)과 상부철근(222)을 용접하여 데크 플레이트(21)에 지지하도록 하고 있다(도 2).At this time, the end of the truss deck (2) should maintain sufficient rigidity to serve as a point. However, since the lattice 223 located at the end of the reinforcing truss 22 is cut at the center and does not directly support the upper reinforcing bars 222, the vertical reinforcing pieces 224 and the horizontal reinforcing pieces 225 And the lower reinforcing bar 221 and the upper reinforcing bar 222 are welded to each other to support the deck plate 21 (FIG. 2).

이를 위하여 대개 공장 용접 4개소(W1)와 현장 용접 1개소(W2) 등 총 5개소의 용접이 필요하다. For this purpose, it is generally necessary to weld 5 welds in total, including 4 factory welds (W1) and 1 spot welding (W2).

구체적으로 공장 용접은 수평철근토막(225)과 하부철근(221)의 용접 2개소, 수직철근토막(224)과 상부철근(222)의 용접 1개소, 수직철근토막(224)과 수평철근토막(225)의 용접 1개소가 필요하며, 현장 용접은 보(1) 상부와 수직철근토막(224)의 결합에 필요하다. Specifically, in the factory welding, two welds of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 225 and the lower reinforcing bar 221, one welding of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224 and the upper reinforcing bar 222,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224, 225 is required, and field welding is required for the joining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eam 1 and the vertical reinforcing portion 224.

나아가 여기에 대해 철근 트러스(22) 단부에서 콘크리트와 보의 합성 설계를 위하여 별도의 전단연결재를 용착하는 등 공장 제작 과정은 물론 현장에서 추가적인 용접 작업이 많이 필요하다.In addition, additional welding work is required in the field as well a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such as welding a separate shear connection material for the composite design of the concrete and beam at the end of the reinforcing truss (22).

한편, 일반적으로 트러스 데크(2)를 설계할 때에는 시공 중 시공하중에 의한 처짐에 의해 지배적인 영향을 받는다. 그런데 트러스 데크(2)는 시공 중 단순보로 설계되기 때문에 중앙부 처짐이 5wℓ2/384EI으로 양단 고정인 경우의 5배에 달한다. On the other hand, in general, when the truss deck 2 is designed, it is dominantly influenced by deflection due to the construction load during construction. However, since the truss deck (2) is designed as a simple beam during construction, the center deflection is 5 times 2 /384EI, which is five times that of both ends.

이에 따라 스팬의 길이를 4m 이하로 제한하고, 이를 초과할 경우 데크 플레이트(21)에 캠버를 가하거나 가설 서포트를 설치해야 하는 등의 별도의 조치가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Accordingly, the length of the span is limited to 4 m or less, and if it exceeds this limit, a separate measure is required, such as adding a camber to the deck plate 21 or installing a temporary support.

뿐만 아니라 현재 국내에서 생산되는 대부분의 트러스 데크(2)는 도 2와 같이 철근 트러스(22)가 상부철근(222) 1개와 하부철근(221) 2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콘크리트가 양생되기 전의 시공하중인 콘크리트 중량과 작업하중에 대해서 상부철근(222)과 하부철근(221)이 각각 압축력과 인장력을 받고 래티스(223)가 전단력을 받도록 설계된다. In addition, most of the truss decks 2 currently produced in the domestic market include a reinforcing truss 22 including one upper reinforcing bar 222 and two lower reinforcing bars 221 as shown in FIG. The upper reinforcing bars 222 and the lower reinforcing bars 221 are designed to receive a compressive force and a tensile force and a lattice 223 to receive a shearing force with respect to the concrete weight and the working load, which are the construction loads before the concrete is cured.

그런데 종래에는 철근 트러스(22)가 인접하는 트러스 데크(2)의 철근 트러스(22)와 항상 분리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상부철근(222)이 단절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된다 하더라도 철근 트러스(22) 단부의 상부철근(222)이 인장철근의 역할을 할 수 없었다.However, in the prior art, since the reinforcing bar 22 is always separated from the reinforcing truss 22 of the adjacent truss deck 2, the reinforcing bar 222 has to be disconnected. Therefore, even if concrete curing is completed, the upper reinforcing bar 222 at the end of the reinforcing truss 22 can not serve as a tensile reinforcing bar.

이에 따라 철근 트러스(22) 단부에서 상부철근(222)에 대해 별도의 이음철근이 필수적이며, 적재하중이 커서 상부철근량이 부족할 경우에는 이음철근에 더해 추가적인 보강철근이 필요하였다.Accordingly, a separate reinforcing steel bar is necessary for the upper reinforcing bar 222 at the ends of the reinforcing truss 22, and additional reinforcing bars are required in addition to the reinforcing bar reinforcing bars when the amount of the reinforcing bar is insufficient.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종래 트러스 데크의 철근 트러스 단부에서 직봉과 전단연결재 등의 결합 등 용접 공정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지점 연속형 트러스 데크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inuous truss deck structure capable of solving the problem that a welding process such as joining of a straightening and a shear connection member at the end of a reinforcing truss of a conventional truss deck requires much welding.

본 발명은 트러스 데크의 지점을 연속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적재하중은 물론 시공 중 시공하중에 대해서도 휨모멘트 및 처짐을 크게 감소시켜 캠버 또는 가설 서포트 없이 스팬을 증가시킬 수 있는 지점 연속형 트러스 데크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inuous truss deck structure capable of increasing the span without camber or pseudo support 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bending moment and deflection of the truss deck, I want to.

본 발명은 트러스 데크의 지점에서 철근 트러스가 연속이 되도록 구성하여, 상부철근에 대하여 별도의 이음철근이 불필요한 지점 연속형 트러스 데크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inuous truss deck structure in which a reinforcing truss is continuous at a point of a truss deck, and a separate reinforcing bar is not required for the upper reinforcing bar.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보; 및 데크 플레이트의 상부에 철근 트러스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보 상부를 가로질러 적어도 2 이상의 보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트러스 데크; 로 구성되되, 인접하는 트러스 데크와의 이음부는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보 외측 스팬의 어느 일 지점 내에 형성되고, 일측 트러스 데크의 철근 트러스 이음부 측 단부에는 체결공이 형성된 제1이음판이 결합되고, 상기 일측 트러스 데크와 인접하여 이음되는 타측 트러스 데크의 철근 트러스 이음부 측 단부에는 체결공이 형성된 제2이음판이 결합되어 제1이음판과 제2이음판이 상호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공에 관통된 체결핀을 다른 체결핀으로 고정하여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점 연속형 트러스 데크 구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lurality of truss decks installed so as to be supported by at least two beams across the beam top, wherein a reinforcing truss 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deck plate; Wherein a joint between the adjacent truss deck is formed in one point of the beam outer span supporting the deck plate, a first joint plate having a fastening hole is coupled to an end of the one truss deck at the side of the reinforcing truss joint, A second joint plate having a fastening hole is coupled to an end of the other truss deck adjacent to the one truss deck at the side of the reinforcing truss joint portion side so that the first joint plate and the second joint plate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fixing them with other fastening pins.

삭제delete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제1이음판은 철근 트러스에 결합되는 고정부 및 좌우로 이웃하는 고정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점 연속형 트러스 데크 구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int continuous truss deck structure, wherein the first joint plate is composed of a fixed portion coupled to the reinforcing truss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mutually adjacent fixed portions .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제1이음판의 하부에는 외측으로 수직 절곡된 거치부가 더 구비되어, 상기 제2이음판은 제1이음판의 거치부 상면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점 연속형 트러스 데크 구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joint plate is further provided with a vertically bent mount portion at the lower portion thereof, and the second joint plate is mounted on the mount surface of the mount portion of the first joint plate. It provides a continuous truss deck structure.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일측 트러스 데크의 철근 트러스 상부에는 작업용 철망이 적어도 2개 이상의 철근 트러스 상부에 걸쳐지도록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점 연속형 트러스 데크 구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ranch continuous truss deck structure is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a reinforcing truss of the one truss deck so that a working wire net is detachably installed to cover at least two reinforcing trusses.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일측 트러스 데크와 타측 트러스 데크의 데크 플레이트 사이에는 역 T형으로 형성되어 데크 플레이트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점 연속형 트러스 데크 구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int continuous truss deck structure comprising a support bar formed in an inverted T shape between a one-side truss deck and a deck plate of the other truss deck to support a lower portion of the deck plate do.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보는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콘크리트가 채워지도록 구성되는 강판 조립 합성보이고, 상기 트러스 데크는 보 상부의 개방된 부분과 연통되도록 보 상부에서 데크 플레이트가 절취되는 절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점 연속형 트러스 데크 구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art of the deck plate is opened and the concrete is filled in the concrete. The truss deck has a deck plate cut at the upper part to be connected to the open part of the upper part. Wherein the truss deck structur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ntinuous truss deck structures.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인접하는 트러스 데크의 이음부를 보 스팬의 어느 일 지점 내에 형성함으로써, 트러스 데크의 지점을 연속형으로 구성하였다. 따라서 적재하중은 물론 시공하중에 대해서도 연속단이 되어 휨모멘트 및 처짐을 큰 폭으로 감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캠버 또는 가설 서포트의 설치 없이도 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두께 15㎝의 표준 트러스 데크를 기준으로 현행 4~4.5m의 스팬 제한을 최소 6m 이상으로 설계 가능하다.First, by forming the joints of adjacent truss decks within a certain point of the bob span, the points of the truss deck are constructed continuously. As a result, the bending moments and deflections can be greatly reduced due to the continuous loading, as well as the loading load. Thus, it is possible to minimize dancing without installing a camber or temporary support, and it is possible to design a current span limit of 4m to 4.5m at least 6m on the basis of a standard truss deck with a thickness of 15cm.

둘째, 철근 트러스 단부에서 상하부철근 지지를 위한 직봉 결합의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전단연결재 용착 작업을 생략하면서도 콘크리트와의 합성설계가 되도록 유도 가능하다.Secondly,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hassle of seamless joint for supporting the upper and lower reinforcing bars at the end of reinforcing truss, and to induce composite design with concrete while omitting shear joint welding.

셋째, 보 외측으로 트러스 데크가 일정 길이 연장되므로, 최외곽 보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캔틸레버 슬래브의 경우에도 시공 가능하다.Third, since the truss deck is extended by a certain length, the cantilever slab protruding outward from the outermost beam can be constructed.

넷째, 지점에서 철근 트러스가 연속되므로 이음철근이 불필요하며, 필요시 적재하중에 대한 보강철근만 추가로 배근하면 된다.Fourth, since reinforcing trusses are continuous at the point, joint reinforcing bars are unnecessary, and only reinforcing bars for loading loads can be added.

다섯째,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철근 트러스의 이음 개소를 감소할 수 있다.Fifth,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joints of the reinforcing bar trus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technique.

도 1은 트러스 데크의 하중 및 모멘트 설계 개념도.
도 2는 종래 트러스 데크의 단부 상세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지점 연속형 트러스 데크 구조의 개념도.
도 4의 (a)와 (b)는 각각 본 발명 적용 전후 최외곽 트러스 데크의 상세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지점 연속형 트러스 데크 구조의 사시도.
도 6은 트러스 데크와 제1이음판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인접하는 트러스 데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인접하는 트러스 데크의 이음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작업용 철망이 결합된 트러스 데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작업용 철망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은 고정클립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인접하는 트러스 데크의 데크 플레이트에 지지바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3은 지지바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 적용시 스팬별 이음부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
FIG. 1 is a conceptual view of a load and moment design of a truss deck. FIG.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end portion of a conventional truss deck;
3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truss deck structure of a point continuous ty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a) and 4 (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details of the outermost truss deck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russ deck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truss deck and the first coupling plat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of adjacent truss decks;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joint portion of an adjacent truss deck;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uss deck to which a working wire net is coupled.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working wire net.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fixing clip;
1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upport bar is coupled to a deck plate of an adjacent truss deck;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upport bar;
14 is a view showing the positions of joints for respective spans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preferred embodiments.

도 3은 본 발명 지점 연속형 트러스 데크 구조의 개념도이고, 도 4의 (a)와 (b)는 각각 본 발명 적용 전후 최외곽 트러스 데크의 상세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FIG. 3 is a conceptual view of the point continuous truss deck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 (a) and 4 (b) are cross sectional views showing details of the outermost truss deck before and after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지점 연속형 트러스 데크 구조는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보(1); 및 데크 플레이트(21)의 상부에 철근 트러스(22)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보(1) 상부를 가로질러 적어도 2 이상의 보(1)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트러스 데크(2); 로 구성되되, 인접하는 트러스 데크(2')와의 이음부(3)는 데크 플레이트(21)를 지지하는 보(1) 외측 스팬의 어느 일 지점 내에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3, the point continuous truss deck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eam 1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plurality of truss decks (2) installed to be supported by at least two beams (1) across the upper part of the beam (1) with a reinforcing truss (22)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deck plate (21). And the joint 3 with the adjacent truss deck 2 'is formed within one point of the outer span of the beam 1 supporting the deck plate 21. [

상기 트러스 데크(2)는 데크 플레이트(21)와 철근 트러스(22)로 구성되는 것으로, 데크 플레이트(21) 상부에는 복수의 철근 트러스(22)가 병렬 위치될 수 있다. The truss deck 2 is composed of a deck plate 21 and a reinforcing truss 22. A plurality of reinforcing trusses 22 may be disposed in parallel on the deck plate 21.

상기 데크 플레이트(21)는 슬래브 두께를 감안하여 평데크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 골과 마루가 교대로 형성된 골데크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deck plate 21 is preferably a flat deck plate in consideration of the slab thickness, but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deck plate in which the valleys and the floors are alternately formed.

상기 철근 트러스(22)는 트러스근의 형태에 따라 여러 가지로 구성할 수 있으며, 공장에서 절점을 용접하여 선조립함이 일반적이다.The reinforcing truss 22 can be form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truss roots.

상기 트러스 데크(2)는 인접하는 보(1) 상부에 복수 개가 병렬 설치된다.A plurality of truss decks (2) are arranged in parallel on an upper portion of adjacent beams (1).

본 발명에서는 인접하는 트러스 데크(2, 2')의 이음부(3)는 데크 플레이트(21)를 지지하는 보(1) 외측 스팬의 어느 일 지점 내에 형성되도록 구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joint portion 3 of the adjacent truss decks 2 and 2 'is configured to be formed within one point of the outer span of the beam 1 supporting the deck plate 21.

따라서 트러스 데크(2)의 지점을 연속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적재하중은 물론 시공하중에 대해서도 연속단이 되어 휨모멘트 및 처짐을 큰 폭으로 감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설 서포트의 설치 없이 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지점 연속형 트러스 데크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by constituting the point of the truss deck 2 continuously, the bending moment and the deflection can be greatly reduced because the continuous load is applied not only to the loading load but also to the installation loa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int continuous truss deck structure capable of minimizing the dancing without installing the temporary support.

또한, 철근 트러스(22)의 상하부철근(221, 222)의 효율적인 활용은 물론 처짐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두께 15㎝의 표준 트러스 데크를 기준으로 현행 4~4.5m의 스팬 제한을 최소 6m 이상으로 설계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upper and lower reinforcing bars 221 and 222 of the reinforcing truss 22 can be efficiently used and the amount of deflection can be adjusted, the span limit of the current 4 to 4.5 m is designed to be at least 6 m It is possible.

그리고 철근 트러스(22)의 단부에서 직봉 결합의 번거로움 해소하고 전단연결재 용착 작업을 생략하면서도 콘크리트와의 합성 설계가 되도록 유도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troublesomeness of seamless joint at the end of the reinforcing truss 22 and induce the composite design with concrete while omitting the shear joint material welding operation.

아울러 보(1) 외측으로 트러스 데크(2)가 일정 길이 연장되므로, 최외곽 보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캔틸레버 슬래브의 경우에도 시공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truss deck 2 is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beam 1 by a certain length, the cantilever slab protruding outward from the outermost beam can be constructed.

뿐만 아니라 지점에서 철근 트러스(22)가 연속되므로 이음철근이 불필요하며, 필요시 적재하중에 대한 보강철근만 추가로 배근하면 된다.In addition, since the reinforcing truss (22) is continuous at the point, a joint reinforcing bar is unnecessary, and if necessary, reinforcing steel for the loading load can be additionally installed.

나아가 후술할 도 1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철근 트러스(22)의 이음 개소를 감소할 수 있다.Further, as can be seen from FIG. 1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joints of the reinforcing bar truss 22 as compared with the prior art.

캔틸레버 슬래브에 본 발명의 지점 연속형 트러스 데크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캔틸레버 슬래브 측 트러스 데크(2) 상부에서 작업 시 작업 하중으로 인해 트러스 데크(2)가 전도될 위험이 있으므로 캔틸레버 슬래브의 반대측 트러스 데크(2)의 데크 플레이트(21)를 보(1) 상부에 미리 용접하여 작업자 안전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continuous truss dec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cantilever slab, there is a risk that the truss deck 2 is conducted due to the working loa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truss deck 2 on the cantilever slab side. It is preferable to secure the safety of the operator by welding the deck plate 21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eam 1 in advance.

상기 이음부(3)는 보(1) 스팬의 1/6 정도의 위치가 바람직하다.The joint 3 is preferably located at about 1/6 of the span of the beam 1.

즉, 상기 이음부(3)가 구조적으로 힌지가 되어 겔버보를 구성하도록 연속보의 모멘트 크기가 0인 지점에 이음부(3)를 위치시킬 수 있다.That is, the joint portion 3 can be positioned at a point where the moment magnitude of the continuous beam is zero so that the joint portion 3 is structurally hinged to constitute the gelbeam.

종래 최외단에 위치되는 트러스 데크(2)는 단부가 보(1) 상부에 단순 거치되었다(도 4의 (a)).The end of the truss deck 2 located at the outermost end of the conventional art is simply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eam 1 (Fig. 4 (a)).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최외단의 트러스 데크(2)를 보(1)의 외측 단부까지 연장하여 반고정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의 (b)).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most truss deck 2 is extended to the outer end of the beam 1 and semi-fixedly coupled (Fig. 4 (b)).

도 5는 본 발명 지점 연속형 트러스 데크 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6은 트러스 데크와 제1이음판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7은 인접하는 트러스 데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russ deck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truss deck and the first joint plate,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of adjacent truss decks.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트러스 데크(2)의 철근 트러스(22) 이음부(3) 측 단부에는 체결공(234)이 형성된 제1이음판(23)이 결합되고, 상기 일측 트러스 데크(2)와 인접하여 이음되는 타측 트러스 데크(2')의 철근 트러스(22) 이음부(3) 측 단부에는 체결공(234)이 형성된 제2이음판(23')이 결합되어 제1이음판(23)과 제2이음판(23')이 상호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공(234)에 관통된 체결핀(24)을 다른 체결핀(24)으로 고정하여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5 to 7, a first joint plate 23 having a fastening hole 234 is coupled to an end of the one-side truss deck 2 on the side of the joint part 3 of the reinforcing truss 22, A second joint plate 23 'having a fastening hole 234 is coupled to an end of the other truss deck 2' adjacent to the one truss deck 2 on the side of the joint part 3 of the reinforcing truss 22, The first coupling plate 23 and the second coupling plate 23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coupling pins 24 passing through the coupling holes 234 are fixed by the other coupling pins 24, can do.

상기 철근 트러스(22)는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며, 도 5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하부철근(221), 하부철근(221) 상부에 이격 설치되는 상부철근(222) 및 하부철근(221)과 상부철근(222)을 연결하는 래티스(223)로 구성 가능하다. As shown in FIG. 5 and the like, the reinforcing truss 22 includes a pair of lower reinforcing bars 221, an upper reinforcing bar 222 and a lower reinforcing bar 221 spaced apart from the upper reinforcing bars 221, And a lattice 223 connecting the upper reinforcing bars 222. [

상기 하부철근(221)은 데크 플레이트(21)의 상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한 쌍 위치된다. The lower reinforcing bars 221 are position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eck plate 21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상부철근(222)은 평면상 한 쌍의 하부철근(221) 사이 중앙에 위치되도록 하부철근(221)과 평행하게 설치할 수 있다. The upper reinforcing bars 222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lower reinforcing bars 221 so as to be positioned at the center between the pair of lower reinforcing bars 221 on a plane.

상기 래티스(223)는 상부철근(222)과 하부철근(221)을 서로 연결하도록 파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데크 플레이트(21) 상면에 상부철근(222)과 하부철근(221)을 고정한다. The lattice 223 may be formed in a corrugated shape so as to connect the upper reinforcing bars 222 and the lower reinforcing bars 221 and fix the upper reinforcing bars 222 and the lower reinforcing bars 221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eck plate 21.

상기 철근 트러스(22)의 상부철근(222) 및 하부철근(221)은 단부가 인접하는 트러스 데크(2')의 이음부(3)에 위치되는 제1이음판(23) 및 제2이음판(23')에 결합된다.The upper reinforcing bar 222 and the lower reinforcing bar 221 of the reinforcing truss 22 ar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plate 23 and the second connecting plate 23 located at the joint 3 of the truss deck 2 ' (23 ').

즉, 인접하는 트러스 데크(2, 2') 중 일측 트러스 데크(2)와 타측 트러스 데크(2')의 이음부(3) 측 단부에는 각각 제1이음판(23)과 제2이음판(23')이 결합되는데, 상기 제1이음판(23) 및 제2이음판(23')은 일측 트러스 데크(2)의 상하부철근(221, 222)과 타측 트러스 데크(2')의 상하부철근(221, 222)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That is, the first joint plate 23 and the second joint plate 2 'are respectively formed on the end portions of the one truss deck 2 and the other truss deck 2' of the adjacent truss decks 2 and 2 '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lates 23 and 23 'are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reinforcing bars 221 and 222 of the one truss deck 2 and the upper and lower reinforcing bars 221 and 222 of the other truss deck 2' (221, 222), respectively.

이를 위하여 상기 제1이음판(23) 및 제2이음판(23')에는 상부철근(222) 및 하부철근(221)과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공(233)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부철근(222) 또는 하부철근(221)을 결합공(233)에 삽입한 후 용접하여 고정할 수 있다. For this purpose, the first coupling plate 23 and the second coupling plate 23 'may be formed with coupling holes 233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upper reinforcing bars 222 and the lower reinforcing bars 221, 222 or the lower reinforcing bar 221 may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233 and welded and fixed.

아울러 도 7 및 후술할 도 8 등과 같이 상기 제1이음판(23) 및 제2이음판(23')에는 체결공(234)을 형성하고, 체결공(234)에 체결핀(24)을 관통시켜 제1이음판(23)과 제2이음판(23')을 상호 밀착 결합할 수 있다. 물론, 볼트와 너트 등 다른 체결수단에 의하여 제1이음판(23)과 제2이음판(23')을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As shown in FIG. 7 and FIG. 8 to be described later, a fastening hole 234 is formed in the first joint plate 23 and the second joint plate 23 ', and a fastening pin 24 is passed through the fastening hole 234 So that the first joint plate 23 and the second joint plate 23 'can be tightly coupled with each other.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connect the first joint plate 23 and the second joint plate 23 'by other fastening means such as bolts and nuts.

도 6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이음판(23)은 철근 트러스(22)에 결합되는 고정부(231) 및 좌우로 이웃하는 고정부(231)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232)로 구성할 수 있다. 6 and the like, the first joint plate 23 is composed of a fixing part 231 coupled to the reinforcing truss 22 and a connecting part 232 connecting the left and right fixing parts 231 to each other can do.

전술한 바와 같이 선 설치되는 일측 트러스 데크(2)의 이음부(3) 측 단부는 캔틸레버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시공 중 어느 하나의 철근 트러스(22)에 작업하중이 재하되면 하나의 철근 트러스(22)가 캔틸레버 구조로 지지하게 되므로 불안정할 수밖에 없다. As described above, the end of the one-side truss deck 2, which is installed in advance, on the side of the joint portion 3 is formed of a cantilever. However, if a working load is applied to one of the reinforcing trusses 22 during the construction, one reinforcing truss 22 is supported by the cantilever structure, which is unavoidable.

따라서 제1이음판(23)이 복수의 철근 트러스(22)를 서로 연결하도록 고정부(231)와 연결부(232)로 구성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철근 트러스(22)에 작업하중이 재하되더라도 제1이음판(23)에 서로 연결된 다른 철근 트러스(22)로 하중을 분산하여 시공 안정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The first joint plate 23 is constituted by the fixing portion 231 and the connecting portion 232 so that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trusses 2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even if the working load is applied to any one of the reinforcing trusses 22, And the load is dispersed by the other reinforcing truss 22 connected to the joint plate 23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construction.

물론 철근 트러스(22)의 강성 및 작업하중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제1이음판(23)을 각 철근 트러스(22)마다 개별적으로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individually fasten the first joint plates 23 to the respective reinforcing trusses 22 in consideration of the rigidity of the reinforcing truss 22 and the size of the working load.

또한, 상기 제2이음판(23')은 후 설치되어 제1이음판(23)에 결합된다. Further, the second joint plate 23 'is installed later and is coupled to the first joint plate 23.

따라서 제1이음판(23)을 통해 하중을 분산할 수 있으므로 제2이음판(23')을 각 철근 트러스(22)마다 개별적으로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제작 편의성 등을 고려하여 제2이음판(23') 또한 복수의 철근 트러스(22)를 연결하도록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since the load can be dispersed through the first joint plate 23,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the second joint plates 23 'individually for each reinforcing truss 22.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joint plate 23 'is integrally formed so as to connect a plurality of reinforcing trusses 22 in consideration of manufacturing convenience and the like.

도 5, 도 6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1)는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콘크리트가 채워지도록 구성되는 강판 조립 합성보이고, 상기 트러스 데크(2)는 보(1) 상부의 개방된 부분과 연통되도록 보(1) 상부에서 데크 플레이트(21)가 절취되는 절취부(211)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5, 6 and so on, the beam 1 is open at the top so that the concrete is filled in the steel, and the truss deck 2 is formed as an open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beam 1 The deck plate 21 is cut off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beam 1 so that the deck plate 21 is cut off.

보(1) 지점에서는 부모멘트가 발생하므로 트러스 데크(2)의 상부는 인장, 하부는 압축력을 받는다.At the point (1), the upper part of the truss deck (2) receives compressive force and the lower part receives compressive force.

이에 철근 트러스(22)의 상부철근(222)은 인장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연속되어야 하나 하부는 압축력만 지지할 수 있으면 부재의 절단 여부와 무관하다.Therefore, the upper reinforcing bar 222 of the reinforcing truss 22 should be continuous to transmit the tensile force, but the lower reinforcing bar 222 is independent of whether or not the member is cut if the compressive force can be supported.

따라서 트러스 데크(2) 상부의 철근 트러스(22)는 보(1) 상부에서 연속되도록 구성하는 반면 하부의 데크 플레이트(21)는 보(1) 상부에서 절취하여 절취부(211)를 형성함으로써,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하면서 콘크리트 타설시 보(1) 내부까지 콘크리트 일체 타설이 가능하도록 한다. Therefore, the reinforcing truss 22 on the upper part of the truss deck 2 is continuous on the upper part of the beam 1 while the lower deck plate 21 is cut on the upper part of the beam 1 to form the cut part 211, When the concrete is placed, it is possible to put all the concrete into the beam (1) while effectively supporting the load.

상기 절취부(211) 양측의 데크 플레이트(21)는 보(1)의 상부플랜지(11)에 각각 용접 결합하여 압축력을 전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 deck plate 21 on both sides of the cutout 211 can be welded to the upper flange 11 of the beam 1 to transmit a compressive force.

도 8은 인접하는 트러스 데크의 이음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joint portion of an adjacent truss deck.

도 8,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이음판(23)의 하부에는 외측으로 수직 절곡된 거치부(235)가 더 구비되어, 상기 제2이음판(23')은 제1이음판(23)의 거치부(235) 상면에 거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8 and 12, the first joint plate 23 is further provided with a vertically bent mounting portion 235 at the lower portion thereof, and the second joint plate 23 ' And can be configured to b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235 of the plate 23.

상기 제2이음판(23')이 제1이음판(23)의 거치부(235) 상면에 위치되므로, 제2이음판(23')에 결합되는 어느 하나의 철근 트러스(22)에 작업하중이 재하되는 경우 제1이음판(23)으로 하중을 분산한다.Since the second joint plate 23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 portion 235 of the first joint plate 23, a work load is applied to one of the reinforcing trusses 22 coupled to the second joint plate 23' The load is distributed to the first joint plate 23.

뿐만 아니라 일측의 트러스 데크(2) 설치 후 타측의 트러스 데크(2') 설치 시 타측 트러스 데크(2')의 제2이음판(23')을 먼저 일측 트러스 데크(2) 제1이음판(23)의 거치부(235) 상면에 거치한 후 타측 트러스 데크(2')를 좌우로 밀면서 정확한 위치에 트러스 데크(2')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트러스 데크의 시공이 매우 편리하다.The second joint plate 23 'of the other truss deck 2' is first inserted into the first truss deck 2 'of the first truss deck 2' at the time of installation of the truss deck 2 ' 23, the truss deck 2 'can be installed at an accurate position while pushing the other truss deck 2' to the left and right, so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truss deck is very convenient.

도 9는 작업용 철망이 결합된 트러스 데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작업용 철망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11은 고정클립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uss deck coupled with a working wire net,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working wire net, and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fixing clip.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측 트러스 데크(2)의 철근 트러스(22) 상부에는 작업용 철망(25)이 적어도 2개 이상의 철근 트러스(22) 상부에 걸쳐지도록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9, a working wire mesh 25 may be detachably installed on at least two reinforcing trusses 22 above the reinforcing trusses 22 of the one truss deck 2.

상기 트러스 데크(2) 상부에 복수의 철근 트러스(22)가 위치되더라도 어느 하나의 철근 트러스(22)에만 작업하중이 재하될 수 있다. Even if a plurality of reinforcing trusses 22 are disposed on the truss deck 2, a working load can be applied to only one of the reinforcing trusses 22.

이 경우 복수의 철근 트러스(22) 상부에 작업용 철망(25)이 걸쳐지도록 함으로써, 일측 철근 트러스(22)에 작용하는 하중을 다른 철근 트러스(22)로 분산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working wire mesh 25 is spread over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trusses 22, so that the load acting on the one reinforcing truss 22 can be distributed to the other reinforcing trusses 22.

일측 트러스 데크(2)의 제1이음판(23)과 타측 트러스 데크(2')의 제2이음판(23')을 상호 고정하여 인접하는 트러스 데크(2, 2')의 철근 트러스(22)가 일체로 거동 가능하게 되면 작업용 철망(25)은 제거 가능하다. The first joint plate 23 of the one truss deck 2 and the second joint plate 23 'of the other truss deck 2' are fixed to each other to connect the reinforcing truss 22 of the adjacent truss deck 2, 2 ' The working wire net 25 can be removed.

제거된 작업용 철망(25)은 재사용 가능하다. The removed working wire net 25 is reusable.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업용 철망(25)은 철근(251, 252)을 2방향으로 배치하여 구성 가능하다. As shown in FIG. 10, the working wire net 25 can be configured by disposing reinforcing bars 251 and 252 in two directions.

즉, 작업용 철망(25)의 철근은 철근 트러스(22)의 상하부철근(221, 222)과 평행한 방향의 폭 방향근(251)들과 이에 직교하는 길이 방향근(252)들로 구성 가능하다. That is, the reinforcing bars of the working wire net 25 can be composed of the widthwise roots 251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upper and lower reinforcing bars 221 and 222 of the reinforcing bar 22 and the longitudinal roots 252 orthogonal thereto .

아울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철근 트러스(22)로부터 작업용 철망(25)을 손쉽게 착탈 가능하도록 작업용 철망(25)은 고정클립(26)을 이용하여 철근 트러스(22)의 상부철근(222)에 고정할 수 있다. 11, the working wire net 25 is fixed to the upper reinforcing bar 222 of the reinforcing truss 22 by means of a fixing clip 26 so that the working wire 25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reinforcing truss 22, ).

상기 고정클립(26)은 탄성 재질의 합성수지 또는 금속으로 구성 가능하다.The fixing clip 26 may be made of synthetic resin or metal of an elastic material.

상기 고정클립(26)은 철근 트러스(22)의 상부철근(222)에 결합되도록 하부가 개방된 트러스 고정부(261)와 작업용 철망(25)의 폭 방향근(251)이 결합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철근망 고정부(262)로 구성할 수 있다. The fixing clip 26 includes a truss fixing portion 261 having a lower opening to be coupled to the upper reinforcing bar 222 of the reinforcing truss 22, And a reinforcing bar net fixing portion 262.

상기 트러스 고정부(261)와 철근망 고정부(262)는 서로 직교하도록 구성한다.The truss fixing portion 261 and the reinforcing bar fixing portion 262 are configured to be orthogonal to each other.

아울러 상기 트러스 고정부(261)와 철근망 고정부(262)의 개방된 입구에는 각각 상부철근(222)과 폭 방향근(251)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가이드부(26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The upper reinforcing bars 222 and the lower reinforcing ribs 251 are inserted into the openings of the truss fixing portion 261 and the reinforcing net fixing portion 262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guide portions 263 Can be protruded.

그리고 상기 철근망 고정부(262)의 가이드부(263)에는 작업용 철망(25)의 길이 방향근(252)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삽입홈(264)을 형성할 수 있다. An insertion groove 264 may be formed in the guide portion 263 of the reinforcing net fixing portion 262 to fix the longitudinal root 252 of the working wire 25.

도 12는 인접하는 트러스 데크의 데크 플레이트에 지지바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13은 지지바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upport bar is coupled to a deck plate of an adjacent truss deck, and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upport bar.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트러스 데크(2)와 타측 트러스 데크(2')의 데크 플레이트(21, 21') 사이에는 역 T형으로 형성되어 데크 플레이트(21, 21')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바(27)가 구비될 수 있다. 12, an inverted T-shape is formed between the deck plates 21 and 21 'of the one-side truss deck 2 and the other truss deck 2', and the lower portions of the deck plates 21 and 21 ' A supporting bar 27 for supporting the support bar 27 may be provided.

상기 지지바(27)는 인접하는 트러스 데크(2, 2')의 데크 플레이트(21, 21') 간의 접합부를 통하여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support bars 27 prevent the concrete paste from leaking through joints between the deck plates 21 and 21 'of the adjacent truss decks 2 and 2'.

아울러 데크 플레이트(21)의 단부는 날카로워 작업자 안전에 위협이 될 뿐 아니라 쉽게 부식되는 문제가 있는데, 지지바(27)를 데크 플레이트(21)의 단부에 설치함으로써 데크 플레이트(21)의 단부 부식을 방지하고 작업자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nd of the deck plate 21 poses a risk of safety of the sharpened worker and is easily corroded. By providing the support bar 27 at the end of the deck plate 21, And safety of workers can be ensured.

상기 지지바(27)는 다양한 재료로 구성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데크 플레이트(21, 21')와의 용접 결합이 가능한 금속판을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The support bar 27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and may be formed by bending a metal plate capable of welding with the deck plates 21 and 21 '.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바(27)는 저면의 지지플레이트(271) 및 중앙의 고정플레이트(272)로 구성 가능하다.As shown in FIG. 13, the support bar 27 can be composed of a bottom support plate 271 and a center fixing plate 272.

상기 지지플레이트(271)는 인접하는 데크 플레이트(21, 21')의 하부에 접하여 데크 플레이트(21, 21')를 지지한다.The support plate 271 supports the deck plates 21 and 21 'in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s of the adjacent deck plates 21 and 21'.

상기 고정플레이트(272)는 지지플레이트(271)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인접하는 데크 플레이트(21, 21') 사이에 위치된다.The fixing plate 272 protrudes above the support plate 271 and is positioned between the adjacent deck plates 21 and 21 '.

상기 지지바(27)는 지지플레이트(271)의 일측이 일측 트러스 데크(2)의 데크 플레이트(21) 하부를 지지하고 고정플레이트(272)가 일측 트러스 데크(2)의 데크 플레이트(21)에 용접(W) 결합되도록 설치된다.One side of the support plate 271 of the support bar 27 supports the lower portion of the deck plate 21 of the one truss deck 2 and the other end of the fixing plate 272 is connected to the deck plate 21 of the one truss deck 2 (W).

상기 일측 트러스 데크(2)가 선 설치된 다음 인접하는 타측 트러스 데크(2')의 데크 플레이트(21')를 지지바(27)의 타측 지지플레이트(271) 상부에 거치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The deck plate 21 'of the adjacent truss deck 2' adjacent to the one truss deck 2 is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other support plate 271 of the support bar 27.

상기 지지플레이트(271)는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단부 일부를 180° 절곡할 수 있다.The support plate 271 may be bent 180 degrees at a portion of the end portion to increase rigidity.

도 14는 본 발명 적용시 스팬별 이음부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FIG. 14 is a view showing the positions of joints for respective spans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4의 (a)를 참조하여 본 발명 지점 연속형 트러스 데크 구조의 시공 과정을 설명한다. 14 (a), the construction of the point continuous truss deck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우선, 일측 트러스 데크(2)를 보(1)의 일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도록 설치한다(①). First, the one-side truss deck 2 is installed so as to protrude to one side of the beam 1 by a predetermined length (1).

이때, 일측 트러스 데크(2)의 철근 트러스(22) 상부에는 시공하중 분산을 위하여 작업용 철망(25)을 설치할 수 있으며, 미리 철근 트러스(22) 상부에 작업용 철망(25)이 설치된 트러스 데크(2)를 보(1) 상부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At this time, a working wire net 25 can b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reinforcing truss 22 of the one truss deck 2 to disperse the load of the work. The truss deck 2 having the working wire net 25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reinforcing bar truss 22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eam 1.

다음으로, 일측 트러스 데크(2)의 돌출된 측 일측에 타측 트러스 데크(2)를 설치한다(②). Next, the other truss deck 2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protruding side of the one truss deck 2 (2).

상기 일측 트러스 데크(2)와 타측 트러스 데크(2)의 이음부(3) 측 단부에는 각각 제1이음판(23)과 제2이음판(23')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이음판(23)과 제2이음판(23')을 상호 밀착 결합하여 인접하는 트러스 데크(2, 2')를 고정한다. The first joint plate 23 and the second joint plate 23 'may b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ends of the one truss deck 2 and the other truss deck 2 on the joint 3 side, The plate 23 and the second joint plate 23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fix adjacent truss decks 2 and 2'.

이후, 작업용 철망(25)이 설치되었으면 작업용 철망(25)을 제거하며, 트러스 데크(2)와 보(1)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시공을 마무리한다. Thereafter, when the working wire net 25 is installed, the working wire net 25 is removed, and the concrete is laid and cured inside the truss deck 2 and the beam 1 to complete the construction.

도 14의 (a) 내지 (g)에는 각각 2 내지 8 스팬인 경우, 스팬별 이음부(3)의 위치가 도시된다.Figs. 14 (a) to 14 (g) show the positions of the joints 3 for each span in the case of 2 to 8 spans.

도 1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경우 종래 단순 지지의 경우에 비하여 이음부(3)의 개소를 크게 줄일 수 있다. As can be seen from FIG. 14,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position of the joint portion 3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imple support.

각 도면에서 ①, ②, ③, ④ 등은 설치 순서를 나타낸다.In each drawing, ①, ②, ③, ④ show the order of installation.

상기 이음부(3)의 위치는 먼저 설치되는 트러스 데크(2)가 스팬 길이의 1/6 정도가 되는 부분에 돌출되도록 위치시킴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osition of the joint portion 3 is positioned such that the truss deck 2 installed first protrudes from the portion where the truss deck 2 is about 1/6 of the span length.

1: 보 11: 상부플랜지
2, 2': 트러스 데크 21, 21': 데크 플레이트
211: 절취부 22: 철근 트러스
221, 221': 하부철근 222: 상부철근
223: 래티스 224: 수직철근토막
225: 수평철근토막 23: 제1이음판
23': 제2이음판 231: 고정부
232: 연결부 233: 결합공
234: 체결공 235: 거치부
24: 체결핀 25: 작업용 철망
251: 폭 방향근 252: 길이 방향근
26: 고정클립 261: 트러스 고정부
262: 철근망 고정부 263: 가이드부
264: 삽입홈 27: 지지바
271: 지지플레이트 272: 고정플레이트
3: 이음부
1: beam 11: upper flange
2, 2 ': truss deck 21, 21': deck plate
211: cut portion 22: reinforced truss
221, 221 ': lower reinforcement 222: upper reinforcement
223: Lattice 224: vertical rebar segment
225: Horizontal rebar 23: First joint plate
23 ': second joint plate 231:
232: connecting portion 233: engaging hole
234: fastening hole 235:
24: fastening pin 25: working wire mesh
251: widthwise root 252: longitudinal direction root
26: fixing clip 261: truss fixing portion
262: reinforcing net fixing section 263: guide section
264: insertion groove 27: support bar
271: Support plate 272: Fixing plate
3: joint

Claims (7)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보(1); 및
데크 플레이트(21)의 상부에 철근 트러스(22)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보(1) 상부를 가로질러 적어도 2 이상의 보(1)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트러스 데크(2); 로 구성되되,
인접하는 트러스 데크(2')와의 이음부(3)는 데크 플레이트(21)를 지지하는 보(1) 외측 스팬의 어느 일 지점 내에 형성되고,
일측 트러스 데크(2)의 철근 트러스(22) 이음부(3) 측 단부에는 체결공(234)이 형성된 제1이음판(23)이 결합되고,
상기 일측 트러스 데크(2)와 인접하여 이음되는 타측 트러스 데크(2')의 철근 트러스(22) 이음부(3) 측 단부에는 체결공(234)이 형성된 제2이음판(23')이 결합되어 제1이음판(23)과 제2이음판(23')이 상호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공(234)에 관통된 체결핀(24)을 다른 체결핀(24)으로 고정하여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점 연속형 트러스 데크 구조.
A beam (1) installed at mutually spaced intervals; And
A plurality of truss decks (2) installed to be supported by at least two beams (1) across the upper part of the beam (1) with a reinforcing truss (22) Respectively,
The joint 3 with the adjacent truss deck 2 'is formed within one point of the outer span of the beam 1 supporting the deck plate 21,
A first joint plate 23 having a fastening hole 234 is coupled to an end of the one-side truss deck 2 at the side of the reinforcing truss 22 joint portion 3,
A second joint plate 23 'having a fastening hole 234 is formed at the end of the other truss deck 2' adjacent to the one truss deck 2 on the side of the joint part 3 of the reinforcing truss 22, The fastening pins 24 passing through the fastening holes 234 are fastened with the other fastening pins 24 while the first fastening plates 23 and the second fastening plates 23 ' Wherein the truss deck structure is a continuous truss deck structure.
삭제delete 제1항에서,
상기 제1이음판(23)은 철근 트러스(22)에 결합되는 고정부(231) 및 좌우로 이웃하는 고정부(231)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23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점 연속형 트러스 데크 구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joint plate 23 is composed of a fixed portion 231 coupled to the reinforcing truss 22 and a connecting portion 232 connecting the left and right fixed portions 231 to each other. Truss deck structure.
제1항에서,
상기 제1이음판(23)의 하부에는 외측으로 수직 절곡된 거치부(235)가 더 구비되어, 상기 제2이음판(23')은 제1이음판(23)의 거치부(235) 상면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점 연속형 트러스 데크 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joint plate 23 'is vertically ben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 portion 235 of the first joint plate 23, and the second joint plate 23' The truss deck structure comprising:
제3항에서,
상기 일측 트러스 데크(2)의 철근 트러스(22) 상부에는 작업용 철망(25)이 적어도 2개 이상의 철근 트러스(22) 상부에 걸쳐지도록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점 연속형 트러스 데크 구조.
4.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working wire net (25)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reinforcing truss (22) of the one truss deck (2) so as to extend over at least two reinforcing trusses (22).
제1항에서,
일측 트러스 데크(2)와 타측 트러스 데크(2')의 데크 플레이트(21, 21') 사이에는 역 T형으로 형성되어 데크 플레이트(21, 21')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바(27)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점 연속형 트러스 데크 구조.
The method of claim 1,
Between the deck plates 21 and 21 'of the one truss deck 2 and the other truss deck 2' is formed a support bar 27 which is formed in an inverted T shape and supports the lower portions of the deck plates 21 and 21 ' Wherein the truss deck structure comprises:
제1항에서,
상기 보(1)는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콘크리트가 채워지도록 구성되는 강판 조립 합성보이고, 상기 트러스 데크(2)는 보(1) 상부의 개방된 부분과 연통되도록 보(1) 상부에서 데크 플레이트(21)가 절취되는 절취부(2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점 연속형 트러스 데크 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truss deck (2) is arranged on the deck plate (1) at the upper part of the beam (1)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open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beam (1) And a cut-out portion (211) for cutting the cut-out portion (21) is formed.
KR1020160120426A 2016-09-21 2016-09-21 Structure for continuous support of truss deck KR1018554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0426A KR101855412B1 (en) 2016-09-21 2016-09-21 Structure for continuous support of truss de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0426A KR101855412B1 (en) 2016-09-21 2016-09-21 Structure for continuous support of truss de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1934A KR20180031934A (en) 2018-03-29
KR101855412B1 true KR101855412B1 (en) 2018-05-04

Family

ID=61907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0426A KR101855412B1 (en) 2016-09-21 2016-09-21 Structure for continuous support of truss de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541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2964A (en) * 2020-09-08 2022-03-15 (주)코스틸 End continuing connector for slab construction deck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2964A (en) * 2020-09-08 2022-03-15 (주)코스틸 End continuing connector for slab construction deck
KR102440103B1 (en) * 2020-09-08 2022-09-06 (주)코스틸 End continuing connector for slab construction de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1934A (en) 2018-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0269B1 (en) Strengthening apparatus of lightweight steel truss members by external prestressing
KR101391945B1 (en) Deck plate system having reinforced continuous end region and distribution structure of load
KR20160145261A (en) Composite corrugated deck unified inverted triangle truss and distributing bar
KR101913069B1 (en) Prestressed Steel-Concrete Composite Girde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reof
KR20180093174A (en) Truss girder rebar assembly with space coupler and construction method of deep deck using of the same
KR20160097888A (en) End Continuing Structure for Truss Decks
KR100947339B1 (en) Shear reinforcement device for junctional region of column-slab
CN113585048A (en) Steel skeleton concrete slab and wet joint structure
KR101855412B1 (en) Structure for continuous support of truss deck
JP5268470B2 (en) How to lift a rebar basket
KR20190044763A (en) Unidirectional structure of wide double composite girder in which steel members is placed in the lower section thereof
KR200241336Y1 (en) Basic Structure material for concrete building
KR101912376B1 (en) Plate truss girder and composite girder bridge using the same
KR101141885B1 (en) Joint between steel pipe and concrete chord member of Steel truss hybrid girder and steel pipe truss hybrid girder using the same
KR200317407Y1 (en) Truss Deck Panel
KR101204279B1 (en) steel girder bridge
KR101038291B1 (en) Steel beam and hybrid beam of steel concrete for slim floor
CN110748067A (en) Construction method for simply-supported span-rotating continuous span steel bar truss floor bearing plate
KR100485060B1 (en) Joint between steel superstructure and reinforced concrete substructure of rahmen typed hybrid bridge
CN110670473A (en) Connecting structure of prefabricated steel-concrete composite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0178690B1 (en) Deck girder adn panel for reinforced concrete slab
CN212956124U (en) Combined multi-span bridge plate connecting structure
KR102440103B1 (en) End continuing connector for slab construction deck
KR101483707B1 (en) Girder module made of a couple of cold formed channel and method of contructing the same
KR101080440B1 (en) Truss, deck plate structure equipped with truss and deck plate structure build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