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4161B1 - drain apparatus for bridge - Google Patents

drain apparatus for brid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4161B1
KR101854161B1 KR1020170124852A KR20170124852A KR101854161B1 KR 101854161 B1 KR101854161 B1 KR 101854161B1 KR 1020170124852 A KR1020170124852 A KR 1020170124852A KR 20170124852 A KR20170124852 A KR 20170124852A KR 101854161 B1 KR101854161 B1 KR 101854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ridge
inlet pipe
outlet pipe
flang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48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구선
Original Assignee
정구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구선 filed Critical 정구선
Priority to KR1020170124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416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4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41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rain apparatus for a bridge comprises: an inlet pipe having a filter unit to fixate a filter member in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n outlet pipe having an inlet pipe coupling unit for a lower portion of the inlet pipe to be caught in an upper portion in the upper portion thereof, and having a lower portion that is formed with a double pipe, and a flange coupling unit connected to a pipe at an external side of the double pipe. A guide groove is formed in an internal wall of the filter unit for a height of the filter member to be adjusted in two steps, and the outlet pipe is coupled to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let pipe, wherein a coupled portion is varied to vary the whole length of a water collection pipe. The double pipe and the flange coupling unit are provided for an upper end of a drain pipe to be inserted into a slab layer. Therefore, damage to a bridge of the drain pipe can be prevented, wherein the damage is caused by vibration.

Description

교량용 배수 장치{drain apparatus for bridge}Drain apparatus for bridge "

본 발명은 교량용 배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inage device for bridges.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 상부 슬라브의 윗면에 고이는 빗물 또는 청소용 물 등을 슬라브의 하부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 장치로서, 교량 상부 슬라브층의 두께와 무관하게 배수 장치를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교량용 배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inage device for draining rainwater or cleaning water accumulated on the upper surface of a bridge upper slab to a lower portion of a slab,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ainage device for a bridge capable of easily constructing a drainage device irrespective of the thickness of an upper slab layer .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s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constitute the prior art.

도 1은 교량의 일측 단면과 종래의 집수관을 도시하고 있다.Fig. 1 shows a cross section of a bridge and a conventional collecting pipe.

교량은 교량 하부 구조로서 하중을 지지하는 교각(橋脚), 교량의 상부 구조물로서 통로를 형성하는 상판(2)으로 이루어진다. 상판(2)은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슬라브(이하 ‘슬라브’)(3)와 슬라브 상부에 포장되는 아스팔트층(4)으로 이루어지며, 상판(2)의 양 측에는 연석 및 방호벽(1)이 설치된다. 이로 인하여 상판(2)의 상면은 비가 오거나 교량을 물청소 하는 경우 물이 고이게 되는 구조를 갖게된다. 따라서 상판(2)에 고인 물을 교량 하부로 배출하는 배수 장치를 구비하여야 한다. Bridges consist of bridges that support loads as bridges, and bridges (2) that form the passages as upper structures of bridges. The upper plate 2 is generally composed of a concrete slab 3 and an asphalt layer 4 packed in the upper part of the slab. A curb and a barrier wall 1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late 2. As a result,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2 becomes structured such that when it is raining or the bridge is cleaned with water, the water becomes high. Therefore, a drainage device for discharging water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ridge should be provided in the upper plate 2.

교량에 설치되는 배수 장치는 상판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집수관(10)과 집수관의 하부에 연결되는 배수관을 포함한다. 배수관은 물받이 또는 배관에 연결된다.The drainage device installed in the bridge includes a collector pipe (10) formed to penetrate the upper plate and a drain pipe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ollector pipe. The drain pipe is connected to the water pipe or pipe.

집수관(10)은 배수구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집수관 상부는 오물의 유입을 방지하여 집수관 또는 배수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거름망이 설치되며, 거름망의 용이한 시공을 위하여 집수관 상부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water collecting pipe 10 functions as a drainage port, and generally has a wide upper part and a narrow lower funnel shape. The upper portion of the water collecting pipe is provided with a filtering net to prevent clogging of the collecting pipe or the drain pipe,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collecting pipe can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for easy installation of the filtering net.

교량의 상판을 이루는 슬라브는 하부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집수관을 설치하고 철근을 배근한 후 거푸집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시공된다.The slab that forms the roof of the bridge is constructed by installing a mold on the lower part, installing a water pipe, placing reinforcing bars, and placing concrete on the formwork.

그런데, 교량의 위치에 따라 하나의 상판을 이루더라도, 슬라브 또는 콘크리트층의 두께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어 획일적인 사이즈의 집수관을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However, even if one roof is formed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bridge, the thickness of the slab or the concrete layer can be formed differently, which makes it impossible to use a uniformly sized collecting pipe.

더욱 상세하게는, 거푸집에 집수관 하부가 삽입될 수 있는 구멍을 형성하고 집수관 하부를 거푸집 구멍에 삽입하여 집수관의 상면의 높이를 시공하고자 하는 노면과 일치시켜 고정시킨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콘크리트 타설 후 거푸집을 제거하고 하부로 노출된 집수관을 절단하는 방식으로 시공을 하고 있다.More specifically, a hole for inserting a lower portion of the collecting pipe into a mold is formed, and a lower portion of the collecting pipe is inserted into a form hole to fix the upper surface of the collecting pipe to the road surface to be fixed, After the concrete is poured, the formwork is removed and the collector pipe exposed to the bottom is cut.

즉, 슬라브 층의 두께가 일정하지 않아서 길이가 긴 집수관을 사용하므로, 거푸집을 집수관의 지름 및 시공 위치에 꼭 맞게 가공하여 시공하여야 하고, 집수관을 절단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That is, since the thickness of the slab layer is not uniform and the collector pipe having a long length is used, it is necessary to process the form to fit the diameter and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ollector pipe and to cut the collector pipe.

또한, 배수관은 집수관 하부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집수관 내벽에 고정되어 집수관 하부로 연장되는 내관의 외주에서, 내관을 가로지르도록 볼팅결합 하였다.The drain pipe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water collecting pipe and is bolted to the inner pipe so as to cross the inner pipe 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inner pipe extending to the bottom of the collecting pipe.

이러한 결합 방식은 내관을 가로지르도록 결합되는 볼트에 의하여 이물질이 걸려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엇다.In this type of connection, there is a problem that foreign matter is caught by the bolt which is coupled to cross the inner pipe and drainage is not smoothly performe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푸집을 미리 가공하거나 집수관을 길이에 맞게 절단할 필요가 없어 매우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교량용 배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more particular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rainage device for bridges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because it is not necessary to pre- .

또한 본 발명은 배수를 원활하게 하며, 배수관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교량용 배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rainage device for bridges that can drain water smoothly and firmly fix the drainage pipe.

또한 본 발명은 슬라브 시공 작업의 유연성을 더하기 위하여 거름망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교량용 배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ainage device for a bridge capable of easily adjusting the height of a sieve pipe in order to increase the flexibility of slab construction work.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objects and other technical objects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교량용 배수 장치는,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상부가 교량의 노면과 일치하도록 설치되며 상부에 거름부재가 마련되는 유입관, 상부가 상기 유입관 하부에 연결되며 하부에 플랜지체결부를 포함하는 유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유입관과 유출관이 슬라브층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교량용 배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An inlet pipe having an upper portion fitted to the road surface of the bridge and having a filtering member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n outlet pipe having an upper portion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inlet pipe and a flange fastening portion at a lower por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ainage device for bridges installed in a layer.

상기 거름부재는, 플레이트 형상의 거름부재본체, 상기 거름부재본체의 양단 상부의 양 면에 결합하는 보강판 및 상기 거름부재본체의 하부 양측에 연장 형성되는 끼움돌기를 포함하는 거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ltration member further includes a filtration member including a plate-shaped filtration member main body, a reinforcing plate coupled to both sides of both upper ends of the filtration member main body, and a fitting protrusion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lower side of the filtration member main body .

상기 유입관은, 상부에 사각형 관 형상으로 형성되는 거름부, 상기 거름부 하부에서 내측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 하부에서 원형 관 형태로 연장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되,Wherein the inlet pipe includes a filtering part formed in a rectangular tube shape on an upper part thereof, an inclined part extending inwardly inward from a lower part of the filtering part, and an extension part extending in the form of a circular tube in the lower part of the inclined part,

상기 거름부는, 마주보는 두 변의 각 내벽에 형성되는 가로슬롯, 상기 가로슬롯에 수직 방향으로 교차되도록 형성되되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되는 세로슬롯, 상기 각 세로슬롯에서 일 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안착홈 및 상기 세로슬롯과 안착홈 사이에 형성되는 고정턱을 포함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거름부재의 끼움돌기가 세로슬롯의 하부 또는 안착홈에 끼워져 설치될 수 있다.The trash section includes transverse slots formed on inner walls of opposite sides, a longitudinal slot formed so as to intersect with the transverse slot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guide groove including a mounting groove and a fixing jaw formed between the vertical slot and the mounting groove may be formed and the fitting protrusion of the filtering member may be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longitudinal slot or the mounting groove.

따라서 본 발명의 거름부재는 거름부 내에서 2단으로 높이가 조절이 가능하다.Therefore, the filter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justed in two stages in the filtering unit.

또한 상기 연장부는, 하단에 유출관결합부가 마련될 수 있다.Further, the extension part may be provided with a drain pipe coupling part at the lower end thereof.

상기 유출관은, 상부는 단일 관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입관의 유출관결합부에 걸쳐지도록 형성되는 유입관결합부가 마련되고, 하부는 이중관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중관의 외측에 플랜지체결부가 복수 개 형성되며,The outlet pipe has an inlet pipe coupling portion formed at a top portion thereof and formed so as to span the outlet pipe coupling portion of the inlet pipe, the lower portion is formed as a double pipe, and a plurality of flange fastening portions are formed at the outer side of the double pipe ,

상기 플랜지체결부는, 상부가 폐쇄되고 하부가 개방된 중공구조를 가지고, 중공에는 볼트와 상기 볼트 상부에 스프링이 삽입되고, 하부에 볼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턱이 형성되어,Wherein the flange fastening portion has a hollow structure in which an upper portion is closed and a lower portion is opened, a spring is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of the bolt and the bolt,

본 발명은 상기 유출관의 하부의 이중관 사이로 배수관의 상단부를 삽입하고 상기 플랜지체결부에 의해 배수관을 고정할 수 있다.The upper end of the drain pipe may be inserted between the lower pipes of the outflow pipe and the drain pipe may be fixed by the flange fastening uni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유출관결합부는 상기 연장부의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유입관결합부는 상기 유출관의 내측으로 연장형성되어,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let pipe coupling portion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extension portion, and the inlet pipe coupling portion extends to the inside of the outlet pipe,

상기 유출관은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에 결합되되, 교량용 배수 장치의 전체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The outflow pipe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tension portion, and the overall length of the bridge drainage device can be vari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플랜지체결부는, 하단은 상기 중공구조의 하부와 이격되며 상단은 상기 중공구조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보조경사홀, 상기 중공구조의 상부를 막는 상부마개, 하부를 막는 하부마개 및 상기 보조경사로의 하단부를 막는 경사홀마개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nge fastening portion may include an auxiliary inclined hole whose lower end is spaced apart from a lower portion of the hollow structure and whose upper end is connected to the hollow structure, an upper stopper for clo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hollow structure, And a sloped hole stopper closing the lower end of the auxiliary ramp.

본 발명 교량용 배수 장치는 거름부재의 설치 높이를 2단으로 조절할 수 있어 작업환경에 따라 설치 높이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집수관 전체에 걸친 보수를 하지 않고도 집수관의 상부와 노면의 높이를 맞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filtration member to two stages, so that the installation height can be easily changed according to the working environment.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height of the road surface and the height of the road surface can be matched without repairing the entire water pipe.

또한 본 발명은 집수관(유입관과 유출관을 포함)의 전체 길이가 가변 가능하여 집수관을 설치하기 위해 거푸집을 미리 뚫거나 설치 후 집수관 하부를 절단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다.Further, since the entire length of the collecting pipe (including the inflow pipe and the outflow pipe) can be varied, there is no inconvenience to cut the lower part of the collecting pipe after pre-drilling or installing the mold for installing the collecting pipe.

또한 본 발명은 집수관 하부 외측에 이중관과 플랜지체결부를 마련하여 종래와 같이 배수관을 가로질러 집수관과 연결하지 않아 배수관 입구에 이물질이 걸려 배수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없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ave a problem that a double pipe and a flange fastening portion are provided outside the lower part of the collecting pipe to connect the pipe to the collecting pipe so as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being caught in the pipe inlet.

또한 본 발명은 배수관의 단부를 슬라브층에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는 이중관과 플랜지체결부를 포함하므로, 배수관이 교량의 진동에 의하여 흔들리지 않아 더욱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ouble pipe and a flange fastening portion, which are capable of inserting and fixing the end portion of the drain pipe into the slab layer, so that the drain pipe is not shaken by the vibration of the bridge and can be connected more stably.

또한 본 발명은 플랜지체결부에 볼트가 삽입된 상태로 슬라브 내에 설치되고, 거푸집을 제거하였을 때에는 스프링에 의해 볼트가 슬라브 하부로 노출되어 지지되므로, 배수관을 연결하는 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olt is installed in the slab with the bolt inserted into the flange fastening part and the bolt is exposed to the lower part of the slab by the spring when the form is removed, the operation of connecting the drain pipe can be very easily performed.

또한 본 발명은 나사홀과 연통 가능하게 형성되는 보조경사로를 구비하여, 나사홀 내의 볼트 위치를 조정하거나 나사홀에 끼이거나 나사홀에 실리콘을 주입하는 등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uxiliary ramp formed so as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a threaded hole, so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adjust the position of the bolt in the threaded hole, to insert it into the threaded hole, or to inject silicon into the threaded hole.

도 1은 종래의 교량용 배수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 교량용 배수 장치의 일 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교량용 배수 장치의 거름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거름부재를 거름부에 설치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2의 a부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 교량용 배수 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도 7a는 도 2의 b 부분인 유출관 하부의 단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와 같은 부분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을 슬라브 내에 설치한 후 배수관과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보조경사로를 이용하여 볼트를 꺼내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1 shows a conventional drainage device for a bridge.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drainage device for bridges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ltering member of a brine drainag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filtering unit is installed in the filtering unit.
Fig. 5 shows an embodiment of a part of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ainage device for bridge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ower part of the outflow pipe, which is part b in Fig.
FIG. 7B is a view similar to FIG. 7A, show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with the drain pipe after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slab.
8 schematically shows taking out a bolt using an auxiliary ramp.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izes and shap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addition, terms specifically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stitu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2에는 본 발명 배수 장치(1)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ainage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 교량용 배수 장치(1)(이하 “배수 장치(1)”)는 슬라브 층에 배립되는 집수관(10)에 관한 것으로서, 집수관(10)의 하부는 배수관(600)과 연결된다. 하부로 배출하는 유출관(200)을 포함한다.The drainage device 1 for a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 drainage device 1 ") relates to a collecting pipe 10 to be arranged in a slab layer, and a lower part of the collecting pipe 10 is connected to a drain pipe 600. And an outlet pipe 200 for discharging the water to the lower part.

또한 본 발명은 유입관(100)의 상부에 고정되는 거름부재(400)를 포함하고, 유출관(200)의 하부는 배수관(600)이 연결될 수 있도록 이중관으로 형성되며 플랜지체결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ltering member 400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inflow pipe 10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outflow pipe 200 includes a flange fastening portion formed as a double pipe so that the drain pipe 600 can be connected thereto.

이하 각 구성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Each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유입관(100)은 도 2에서 가장 상부에 마련되어, 슬라브 상면에 고인 빗물 등이 흘러 유입되는 관이다.The inlet pipe 100 is provided at the uppermost portion in FIG. 2 and is a pipe through which rainwater or the like flowing i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flows.

유입관(100)은 전체적으로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깔때기 형상으로, 상부에는 거름부재(400)가 마련되는 거름부(110)가 형성되고, 거름부(110)는 경사부(120)를 통해 하부로 연장되는 연장부(130)와 연결된다.The upper portion of the inflow pipe 100 is wide and the lower portion thereof is a narrow funnel shape.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inflow pipe 100 is formed with a filtration unit 110. The lower portion of the filtration unit 110 As shown in FIG.

거름부(110)는 관의 형태로서 빗물이 배수될 수 있는 구조라면 그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나, 거름부재(400) 설치가 용이하도록 사각 관의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shape of the filtering unit 110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can drain rainwater.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filtering unit 40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tube so that the filtering unit 400 can be easily installed.

거름부재(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 형상의 거름부재본체(401), 본체의 양쪽 하측부가 확장된 형태로 형성되는 끼움돌기(403) 및 본체의 양쪽 상측부에 본체 앞뒷면으로 부착되는 보강판(402)으로 구성된다. 즉. 보강판(402)은 총 4개가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거름부재(400)는 보강판(402)에 의해 양 단의 두께가 두꺼워 지므로, 그 두께에 의하여 거름부 내벽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manure member 400 includes a plate-shaped manure body 401, a fitting protrusion 403 formed in an expanded shape on both lower sides of the main body, And a reinforcing plate 402 attached thereto. In other words. A total of four reinforcing plates 402 are preferably used. Since the thickness of both ends of the manure member 400 is increased by the reinforcing plate 402, the manure member 400 can be firmly supported on the inside wall of the manure section by its thickness.

거름부(110)는 거름부재(400)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거름부(110)의 내측벽에 가이드홈(300)이 형성된다. 가이드홈(300)은 사각형 관 형상의 거름부(110)의 한 변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로슬롯(301), 가로슬롯(301)에 수직하여 교차하며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복수 개 마련되는 세로슬롯(302), 세로슬롯(302)의 상부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는 안착홈(304), 안착홈(304)과 세로슬롯(302)의 상부 사이에 형성되는 고정턱(303)을 포함한다.A guide groove 300 is formed on an inner wall of the filtering unit 110 so that the filtering member 400 can be fitted and fixed. The guide groove 300 includes a horizontal slot 301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one side of the rectangular tubular trimming section 110, a vertical slot 301 provided so as to be perpendicularly crossed and spaced apart from the horizontal slot 301 A seating groove 304 extending to one side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slot 302 and a fixing jaw 303 formed between the seating groove 304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slot 302.

이러한 가이드홈(300)은 거름부(110)의 사각형 관의 마주보는 두 변 상에 동일하게 형성되어, 거름부재(400)의 양 단이 끼워져 이동하거나 고정될 수 있다.The guide groove 300 may be formed on two opposing sides of the rectangular tube of the filtering unit 110 so that both ends of the filtering unit 400 can be fitted and moved or fixed.

도 4를 참조하면, 거름부재(400)의 한쪽 끼움돌기(403)를 한쪽 가로슬롯(301)에 끼우고, 반대쪽 끼움돌기(403)를 마주보는 변 상의 가로슬롯(301)에 끼움으로써 거름부재(400)를 거름부(110)에 개재할 수 있다. 한편, 거름부(110)의 사이즈에 따라 한쪽 끼움돌기(403)를 세로슬롯(302)에 끼우고 반대쪽 끼움돌기(403)를 반대쪽 세로슬롯(302)에 끼워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도 4의 (a)참조)4, one fitting protrusion 403 of the filtering member 400 is inserted into one of the lateral slots 301 and the other fitting protrusion 403 is inserted into the lateral slot 301 on the opposite side, (400) can be interposed in the trimming part (110). It is also possible to fit one fitting protrusion 403 in the vertical slot 302 and fit the other fitting protrusion 403 in the opposite vertical slot 302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filtering unit 110 (A)

거름부재(400)는 거름부(110)의 슬롯 상에 양 단이 끼워진 상태가 되므로, 가로 슬롯과 세로슬롯(30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The diaphragm member 400 can be moved along the transverse slot and the longitudinal slot 302 since both ends of the diaphragm member 400 are fitted on the slot of the diaphragm 110.

일반적으로 가로슬롯(301)을 따라 이동시켜 세로슬롯(302)의 하부에 끼움돌기(403)를 삽입시켜 거름부재(400)를 고정할 수 있다. 세로슬롯(302)이 이격되어 복수 개 마련되므로, 복수 개의 거름부재(400)를 장착하면 거름망의 형태로 사용이 가능하다. (도 4의 (b)참조)It is generally possible to move along the horizontal slot 301 to insert the fitting protrusion 403 in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slot 302 to fix the filtering member 400. [ Since the vertical slots 30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plurality of the filtering members 400 can be used to form a filtering net. (See Fig. 4 (b)).

또한 거름부재(400)는 세로슬롯(302)을 따라 이동되어 안착홈(304)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거름부재(400)가 집수관(10)의 외측으로 노출이 되므로, 거름부(110)에 위쪽에 사각프레임(410)을 더 구비하여 집수관(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의 (c)참조)Further, the filtering member 400 may be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slot 302 and fitted into the seating groove 304 and fixed. In this case, since the filtering member 40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llecting pipe 10, a rectangular frame 410 is further provided on the filtering unit 110 to prevent breakage of the collecting pipe 10. (See Fig. 4 (c)).

거름부재(400)가 안착홈(304)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은, 배수 장치(1)를 설치 후 배수 장치(1) 또는 인접한 노면의 보수로 인하여 노면의 높이가 높아지는 경우에나, 설계 변경으로 슬라브 및 아스팔트 층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경우를 대비한 것이다. The reason why the filtering member 400 can be fixed to the seating groove 304 is that when the height of the road surface is raised due to maintenance of the drainage device 1 or adjacent road surface after the drainage device 1 is installed, The slab and asphalt layers are thicken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름부(110)와 경사부(120)의 사이에는 관의 내측 둘레를 따라 걸림턱(111)이 마련될 수 있다. 걸림턱(111)은 보강의 역할을 하며, 거름부(110)에 마련되는 거름부재(4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도 한다.As shown in FIG. 2, a latching protrusion 111 may be provided between the trimming section 110 and the slanting section 120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tube. The latching jaw 111 serves as a reinforcing member and serves to stably support the filtering member 400 provided in the filtering unit 110.

연장부(130)는 경사부(120)의 단부에서 하측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연장부(130)의 하단부에는 유출관(200)이 결합하는 유출관(200)결합부(131)가 마련된다.The extension portion 130 extends in a downward vertical direction at an end portion of the inclined portion 120. At the lower end of the extension part 130, a coupling part 131 of the outflow pipe 200 to which the outflow pipe 200 is coupled is provided.

유출관(200)결합부(131)는 통상 배관의 단부에 마련되는 플랜지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나, 특히 관의 외측으로 형성된 외향플랜지의 형태로 형성된다.The joint part 131 of the outflow pipe 20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flange provided at an end of a pipe, but in particular, in the form of an outward flange formed outside the pipe.

유출관(200)은 슬라브의 하부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1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유입관(100)으로 흘러들어온 빗물 등을 슬라브 하측으로 배출한다. The outlet pipe 200 is fix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lab, and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inlet pipe 100 as shown in FIG. 2, and discharges rainwater or the like flowing into the inlet pipe 100 to the lower side of the slab.

유출관(200)의 상단부는 유입관결합부(201)로써, 유출관결합부(131)에 걸리도록 내향플랜지의 형태로 형성된다.The upper end of the outflow pipe 200 is formed as an inward flange so as to be caught by the outflow pipe fitting portion 131 as the inflow pipe fitting portion 201.

유출관결합부(131)가 외향플랜지 형태로 형성되고 유입관결합부(201)가 내향플랜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은, 별도의 추가 장치 없이도 유입관(100)에서 유출관(200)으로 갈수록 관의 내경이 커지도록 하여 원활하게 배수를 하게 하기 위함이다. 관의 내경이 커지므로 이물질의 유입되어도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The outflow pipe joint part 131 is formed in an outward flange shape and the inflow pipe joint part 201 is formed in an inward flange shape. So that the inner diameter can be increased to smooth drainage. The inner diameter of the pipe becomes large, so that even if foreign substances are introduced, they can be smoothly discharged.

따라서 유입관(100)의 연장부(130)와 유출관(200)의 겹치는 범위가 가변 가능하므로, 전체 집수관(10)(유입관(100)과 유출관(200))의 길이가 가변되는 구조를 가져 종래와 같이 거푸집을 관 형상으로 뚫거나 콘크리트 타설 후 집수관(10)을 절단하는 작업을 요하지 않고, 거푸집에 집수관(10)을 올려 집수관(10)의 상부를 노면과 일치시켜 고정하기만 하면 콘크리트 타설할 수 있게 되고, 교량의 상판 두께에 맞게 배수 장치(1)를 설치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한다.The length of the entire collector pipe 10 (the inlet pipe 100 and the outlet pipe 200) can be varied because the extension range of the extension pipe 130 of the inlet pipe 100 and the outlet pipe 200 can be varied. It is not necessary to cut the water collecting tube 10 after pouring the concrete into the tubular shape as in the conventional case and the water collecting tube 10 is placed on the mold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water collecting tube 10 is fixed It is possible to pour the concrete and provide the convenience of installing the drainage device 1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upper plate of the bridge.

나아가, 도 5에는 도 2의 a부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유입관(100)과 유출관(200)을 더욱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하여 각 결합부는 그 단부에서 각 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Further, FIG. 5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ortion a of FIG. 2. In order to more stably connect the inlet pipe 100 and the outlet pipe 200, each of the engaging portions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pipe at the end thereof. .

따라서 유입관(100)과 유출관(200)의 접촉면이 넓어지고 여러 면에서 지지되므로 유출관(200)은 유입관(100)에 안정하게 고정되어 교량의 진동 및 외력에 의한 배수관(600)의 흔들림에도 견고히 고정되어 콘크리트 내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inflow pipe 100 and the outflow pipe 200 is widened and supported on various surfaces, so that the outflow pipe 200 is stably fixed to the inflow pipe 100, It is firmly fixed to the shaking and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into the concrete.

이하, 도 2 및 도 6을 통해 유출관 하부 구조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utflow tube substruct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6. FIG.

유출관(200)의 하부는 이중관(510)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중관(510)의 외측 관에 복수개의 플랜지체결부(520)가 마련된다. 플랜지체결부(520)에 의하여 배수관과 유출관(200)이 볼팅체결된다.The lower portion of the outflow pipe 200 is formed in the form of a double pipe 510. A plurality of flange fastening portions 520 are provided on the outer pipe of the double pipe 510. And the drain pipe and the outlet pipe 200 are bolted to each other by the flange fastening part 520.

유출관(200)의 하부는 이중관(510)의 형태로 형성되므로, 이중관(510) 사이에 삽입홈(524)이 형성된다. 따라서 배수관(600)의 상단부가 하측에서 유출관(200)의 이중관(510)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Since the lower part of the outflow pipe 200 is formed in the shape of the double pipe 510, an insertion groove 524 is formed between the double pipes 510. Therefore, the upper end of the drain pipe 600 can be inserted into the lower pipe 510 of the outlet pipe 200 from the lower side.

플랜지체결부(520)는 이중관(510)의 외측에 복수 개 마련되는 것으로, 배수관연결플랜지(601)와 볼팅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도 5a에는 플랜지체결부의 작동 전(콘크리트 타설 전), 도 5b에는 작동 후(콘크리트 타설 후)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A plurality of flange fastening portions 520 are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double pipe 510 and are formed to be able to be bolted to the pipe connecting flange 601. Fig. 5A shows a state before the operation of the flange fastening portion (before concrete pouring), and Fig. 5B shows a state after operation (after concrete pouring).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플랜지체결부(520)는 볼트(540)가 삽입되도록 수직으로 형성되는 나사홀(521)이 형성되고, 나사홀(521) 하부에 볼트(540)가 빠지지 않도록 형성되는 지지턱(523)이 형성되어, 나사홀(521) 내측에 배수관(600)을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540)가 마련된다. 나아가 볼트(540) 하부에 와셔(550) 및 볼트(540) 상부에 스프링(5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lange fastening portion 520 is formed with a screw hole 521 formed vertically so as to insert the bolt 540, and a bolt 540 is formed under the screw hole 521 A bolt 540 for fixing the drain pipe 600 is provided inside the screw hole 521. [ Further, a spring 530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washer 550 and the bolt 540 below the bolt 540.

스프링(530)이 볼트(540)의 머리를 밀어냄으로써 볼트(540)를 배수관(600)과 연결 가능하도록 플랜지체결부(520)의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으며, 배수관(600)과 연결시 볼트(540)를 흔들리지 않게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The spring 530 pushes the head of the bolt 540 to expose the bolt 540 to the outside of the flange coupling 520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drain pipe 600. When the bolt 540 is connected to the drain pipe 600, 540) in a non-swinging manner.

나아가 플랜지체결부(520)는 콘크리트 타설시 나사홀(521)의 상부 및 하부에서 콘크리트가 흘러들어 나사홀(521)이 막히거나 볼트(540)가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나사홀(521)을 덮는 상부마개(560) 및 하부마개(5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flange fastening part 520 is provided with a screw hole 521 to prevent the screw hole 521 from being clogged or the bolt 540 from being buried in the concrete due to the flowing of concrete from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screw hole 521, And an upper stopper 560 and a lower stopper 580 that cover the upper end of the upper cover 560.

따라서, 플랜지체결부는 나사홀과 상부마개에 의하여 상부가 폐쇄되고 하부가 개방된 중공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중공구조의 내부에 스프링과 볼트가 삽입되어 있다.Accordingly, the flange fastening portion can be formed of a hollow structure having an upper portion closed by a screw hole and an upper stopper, and a lower portion opened, and a spring and a bolt are inserted into the hollow structu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플랜지체결부(520)는 하부에서 나사홀(521)의 중간 부분으로 연결되는 보조경사로(5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경사로(522)를 통해 외부에서 나사홀(521)에 연통할 수 있다. 또한 보조경사로(522)의 하부 개구를 막는 경사로마개(57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때 나사홀(521)을 덮는 하부마개(580)는 경사로마개(570)를 포함한 플랜지체결부(520)의 하부 전체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nge fastening portion 520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ramp 522 connected to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screw hole 521 in the lower portion. And can communicate with the screw hole 521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auxiliary ramp 522. The lower stopper 580 covering the threaded hole 521 may further include a flange fastening portion 520 including the stopper stopper 570 As shown in FIG.

보조경사로(522)는 도 8에 도시된바와 같이 콘크리트 타설 후 볼트(540)가 지지턱(523) 상부에 걸려 하부로 빠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 하였을 때, 철사(525) 등을 보조경사로(522)에 삽입하여 볼트(540)의 측부를 밀어 볼트(540)가 나사홀(521)의 아래쪽, 즉 플랜지체결부(520)의 외부로 빠지게 할 수 있다.8, when the bolt 540 is caught by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ing pawl 523 after the pouring of the concrete, the auxiliary ramp 522 may be inserted into the auxiliary ramp 522 So that the bolt 540 can be pulled out below the threaded hole 521, that is, outside the flange fastening portion 520. In this case,

또한 보조경사로(522)를 통하여 콘크리트 타설 후 나사홀(521)에 실리콘을 주입(도 7b 참조)하여 플랜지체결부(520)에서 스프링(530) 및 볼트(540)가 더욱 견고히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b는 실리콘을 주입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Silicone is injected into the screw hole 521 after the concrete is inserted through the auxiliary ramp 522 so that the spring 530 and the bolt 540 are more firmly fixed at the flange connecting portion 520 . FIG. 5B shows a state in which silicon is implanted.

본 발명 배수 장치(1)를 교량의 슬라브 내부에 설치하고 배수관(600)을 연결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A method of installing the drainage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side a slab of a bridge and connecting the drainage pipe (600) is as follows.

슬라브를 시공하기 위한 하부 거푸집 위에 결합부(131, 201)에 의하여 결합된 유입관(100)과 유출관(200)을 올려놓고 유입관(100)의 상면을 시공하고자 하는 노면 높이에 맞추어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한다.The inflow pipe 100 and the outflow pipe 200 connected by the coupling parts 131 and 201 are placed on the lower mold for constructing the slab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inflow pipe 100 is adjusted to the height of the road to be installed, After placing the concrete, pour concrete.

이후, 거푸집을 제거하고 플랜지체결부(520)의 하부마개(580) 및 경사로마개(570)를 제거하면 스프링(530)의 탄성력과 중력에 의해 볼트(540)의 핀부분이 하부로 노출되며, 볼트(540)가 스프링(53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이 때 보조경사로(522)를 통하여 실리콘을 주입하여 나사홀(521)로 다른 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고 볼트(54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The pin portion of the bolt 540 is exposed downward by the elastic force and the gravity of the spring 530 and the pin portion of the bolt 540 is exposed to the outside by removing the lower plug 580 and the ramp plug 570 of the flange coupling portion 520, The bolt 540 can be supported by the spring 530. At this time, silicon is injected through the auxiliary ramp 522 to prevent other substances from flowing into the screw hole 521, and the bolt 540 can be firmly fixed.

그 다음, 유출관(200)의 이중관(510)에 의하여 형성되는 삽입홈(524)에 배수관(600)의 상단부를 삽입하고, 배수관(600) 상부에 형성된 배수관연결플랜지(601)를 플랜지체결부(520) 외측으로 노출된 볼트(540)에 너트(602)를 이용하여 결합함으로써 배수관(600)을 유출관(200) 하부에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다.The upper end of the drain pipe 60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524 formed by the double pipe 510 of the outflow pipe 200 and the drain pipe connection flange 601 formed on the drain pipe 600 is inserted into the flange fastening part The drain pipe 600 can be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outflow pipe 200 by connecting the bolt 54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utlet pipe 520 using the nut 602.

본 발명은 배수관(600)의 상단부가 슬라브 내측으로 삽입되어 설치되므로, 교량의 진동으로 인하여 배수관이 노후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높이고, 배수관(600)을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Since the upper end of the drain pipe (600) is inserted into the slab, it is prevented that the drain pipe is aged or damaged due to the vibration of the bridge, thereby enhancing the durability and securing the drain pipe (600) more stably.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 : 배수 장치
10 : 집수관 100 : 유입관
110 : 거름부 111 : 걸림턱
120 : 경사부 130 : 연장부
131 : 유출관결합부 200 : 유출관
201 : 유입관결합부 300 : 가이드홈
301 : 가로슬롯 302 : 세로슬롯
303 : 고정턱 304 : 안착홈
400 : 거름부재 401 : 거름부재본체
402 : 보강판 403 : 끼움돌기
410 : 사각프레임 510 : 이중관
520 : 플랜지체결부 521 : 나사홀
522 : 보조경사로 523 : 지지턱
524 : 삽입홈 525 : 철사
530 : 스프링 540 : 볼트
550 : 와셔 560 : 상부마개
570 : 경사로마개 580 : 하부마개
600 : 배수관 601 : 배수관연결플랜지
602 : 너트
1: drainage
10: House water pipe 100: Inflow pipe
110: Filters 111: Jaws
120: slope part 130: extension part
131: outlet pipe fitting part 200: outlet pipe
201: inlet pipe coupling part 300: guide groove
301: horizontal slot 302: vertical slot
303: Fixing jaw 304:
400: a filtering member 401: a filtering member main body
402: reinforcing plate 403: fitting projection
410: square frame 510: double tube
520: flange fastening portion 521: screw hole
522: auxiliary ramp 523: support jaw
524: Insertion groove 525: Wire
530: spring 540: bolt
550: Washer 560: Upper plug
570: ramp stopper 580: lower stopper
600: Drain pipe 601: Drain pipe connection flange
602: Nut

Claims (3)

상부가 교량의 노면과 일치하도록 설치되며 상부에 거름부재가 마련되는 유입관, 상부가 상기 유입관 하부에 연결되며 하부에 플랜지체결부를 포함하는 유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유입관과 유출관이 슬라브층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교량용 배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름부재는, 플레이트 형상의 거름부재본체, 상기 거름부재본체의 양단 상부의 양 면에 결합하는 보강판 및 상기 거름부재본체의 하부 양측에 연장 형성되는 끼움돌기를 포함하는 거름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입관은, 상부에 사각형 관 형상으로 형성되는 거름부, 상기 거름부 하부에서 내측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 하부에서 원형 관 형태로 연장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거름부는, 마주보는 두 변의 각 내벽에 형성되는 가로슬롯, 상기 가로슬롯에 수직 방향으로 교차되도록 형성되되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되는 세로슬롯, 상기 각 세로슬롯에서 일 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안착홈 및 상기 세로슬롯과 안착홈 사이에 형성되는 고정턱을 포함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거름부재의 끼움돌기가 세로슬롯의 하부 또는 안착홈에 끼워져 설치되고,
상기 연장부는, 하단에 유출관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유출관은, 상부는 단일 관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입관의 유출관결합부에 걸쳐지도록 형성되는 유입관결합부가 마련되고, 하부는 이중관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중관의 외측에 플랜지체결부가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체결부는, 상부가 폐쇄되고 하부가 개방된 중공구조를 가지고, 중공에는 볼트와 상기 볼트 상부에 스프링이 삽입되고, 하부에 볼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턱이 형성되어,
상기 유출관의 하부의 이중관 사이로 배수관의 상단부를 삽입하고 상기 플랜지체결부에 의해 고정할 수 있는 교량용 배수 장치.
An inlet pipe having an upper portion fitted to the road surface of the bridge and having a filtering member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n outlet pipe having an upper portion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inlet pipe and a flange fastening portion at a lower portion, A bridge water drainage system comprising:
The filtration unit further includes a filtration member including a plate-shaped filtration member main body, a reinforcing plate coupled to both surfaces of both upper ends of the filtration member main body, and a fitting projection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lower side of the filtration unit main body ,
Wherein the inlet pipe includes a filtering part formed in a rectangular tube shape on an upper part thereof, an inclined part extending inwardly inward from a lower part of the filtering part, and an extension part extending in the form of a circular tube in the lower part of the inclined part,
The trash section includes transverse slots formed on inner walls of opposite sides, a longitudinal slot formed so as to intersect with the transverse slot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erein a guide groove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vertical slot and includes a fixing groove formed between the vertical slot and the fixing groove,
The extension portion is provided with an outlet pipe coupling portion at the lower end thereof,
The outlet pipe has an inlet pipe coupling portion formed at a top portion thereof and formed so as to span the outlet pipe coupling portion of the inlet pipe, the lower portion is formed as a double pipe, and a plurality of flange fastening portions are formed at the outer side of the double pipe ,
Wherein the flange fastening portion has a hollow structure in which an upper portion is closed and a lower portion is opened, a spring is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of the bolt and the bolt,
Wherein an upper end portion of the drain pipe is inserted between the double pip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outflow pipe and can be fixed by the flange fasten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관결합부는 상기 연장부의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유입관결합부는 상기 유출관의 내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유출관은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에 결합되되, 교량용 배수 장치의 전체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배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let pipe coupling portion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extension portion and the inlet pipe coupling portion extends to the inside of the outlet pipe,
Wherein the outlet pipe is coupl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tension portion, and the overall length of the bridge drainage device is varia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체결부는, 하단은 상기 중공구조의 하부와 이격되며 상단은 상기 중공구조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보조경사홀, 상기 중공구조의 하부에 마련되는 하부마개 및 상기 보조경사로의 하단부를 막는 경사홀마개를 포함하는 교량용 배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lange fastening portion has an auxiliary inclined hole whose lower end is spaced apart from a lower portion of the hollow structure and whose upper end is connected to the hollow structure, a lower stopper provided below the hollow structure, and an inclined hole stopper And a drainage device for the bridge.
KR1020170124852A 2017-09-27 2017-09-27 drain apparatus for bridge KR1018541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852A KR101854161B1 (en) 2017-09-27 2017-09-27 drain apparatus for brid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852A KR101854161B1 (en) 2017-09-27 2017-09-27 drain apparatus for brid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4161B1 true KR101854161B1 (en) 2018-05-03

Family

ID=62244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4852A KR101854161B1 (en) 2017-09-27 2017-09-27 drain apparatus for brid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4161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75579A (en) 2014-03-18 2015-10-0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Reinforcement metal fitting of louvre, and louv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75579A (en) 2014-03-18 2015-10-0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Reinforcement metal fitting of louvre, and louv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2576B1 (en) Collecting apparatus of adulteration for manhole
KR101263000B1 (en) Linear drain device of bridge having exhaust pipe attached duel pipe
KR100681845B1 (en) Box structure installed at road
KR20060102831A (en) A draining apparatus for bridge ane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0683119B1 (en) Collecting apparatus having a function for sanitarily sewage
KR20110006299A (en) Filth removing device of bridge drainage basin
KR101854161B1 (en) drain apparatus for bridge
KR101765132B1 (en) Screen Manhole
KR102072963B1 (en) Collection apparatus of non-point pollution source in first rainwater
KR20160087099A (en) Drain apparatus for bridge having horseshoe arch shape
KR20120007934U (en) Rain water collection apparatus
KR20080105855A (en) Device for filtering an trash
JP5940951B2 (en) Temporary toilet drainage system
KR102526838B1 (en) Linear Drain Apparatus of Bridge
KR101661520B1 (en) A Multifunctional infiltration drainage apparatus and a building method therof
KR101944980B1 (en) Liner drain device using line type drainage guidance component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same
KR20160121676A (en) Linear drain device of bridge and method thereof
KR20210026717A (en) Hybrid type debris collecting device attached to Grating
KR101920360B1 (en) catch water of adjusting two stepped height
KR100952989B1 (en) Structure of drain trap
CN209555696U (en) A kind of urban road drainage structure
KR100708302B1 (en) An apparatus for draining water and preventing stench
KR20100125168A (en) An apparatus for collecting water and removing sewage in a bridge and construct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0994674B1 (en) A filter and drain apparatus for the bridge's connecting part
KR101156980B1 (en) Concare surface drainage system and establishment method thereof for fine view improvement ty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