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3339B1 - 다이아몬드 섹터존 모션인식공간형성을 통한 미니 디스플레이용 손모션키입력장치 - Google Patents

다이아몬드 섹터존 모션인식공간형성을 통한 미니 디스플레이용 손모션키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3339B1
KR101853339B1 KR1020160163133A KR20160163133A KR101853339B1 KR 101853339 B1 KR101853339 B1 KR 101853339B1 KR 1020160163133 A KR1020160163133 A KR 1020160163133A KR 20160163133 A KR20160163133 A KR 20160163133A KR 101853339 B1 KR101853339 B1 KR 101853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ion
key input
input signal
sig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3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진
이상훈
서동권
김태근
Original Assignee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63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33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3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3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06K9/0035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 G06V40/28Recognition of hand or arm movements, e.g. recognition of deaf sign langu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sychiatr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종래 스마트 워치 제어 시스템이 모션데이터 생성, 모션부합판단, 얼굴데이터 생성, 얼굴부합판단을 거친 후에 스마트 워치의 제어 이벤트를 수행시키기 때문에, 스마트 워치의 위젯이나 유저인터페이스를 불러오거나, 간단한 모션 키입력을 하더라도, 실시간 응답속도가 느려 키입력 에러가 자주 발생되는 문제점과, 손목에 스마트 워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의도 없이, 손목의 액션에 따라 스마트 워치의 구동 제어가 이루어져 스마트 워치의 배터리소모율이 높아지는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모션인식형 디스플레이모듈(100), "LSH"형 모션센서모듈(200), 근접센서부(300), 스마트제어부(400)로 구성됨으로서, 디스플레이화면에 보여지는 쿼티키보드를 스마트워치의 컨셉에 맞도록 키의 개수를 줄이고 새롭게 배치하며 부가기능들은 모션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미니 디스플레이장치에 텍스트 입력을 기존에 비해 80% 향상시킬 수 있고,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上)공간에 다이아몬드 섹터존 모션인식공간을 형성시킨 후, 다이아몬드 섹터존 모션인식공간에서 구동되는 손모션을 실시간 인식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키입력신호를 생성시켜 키입력시킬 수 있어, 기존에 비해 2배~4배 빠른 모션인식과, 정확한 키입력신호 생성으로, 모션 키입력 에러율을 90% 이하로 낮출 수 있으며, 평상시에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위젯을 표출시키다가 근접센서부에 의해 사용자의 손이 접근하면, 가상키패드위젯을 표출시키도록 구성되어, 기존에 비해 에너지 절전율을 80% 향상시킬 수 있고, 무엇보다, 2cm×2cm(가로×세로)에서 5cm×5cm(가로×세로)의 크기를 갖는 미니 디스플레이장치를 스마트 워치, 스마트 안경뿐만, 스마트 냉장고, 스마트 차량에 널리 확장 적용시킬 수 있어, 미니 디스플레이 시장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다이아몬드 섹터존 모션인식공간형성을 통한 미니 디스플레이용 손모션키입력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다이아몬드 섹터존 모션인식공간형성을 통한 미니 디스플레이용 손모션키입력장치{A KEYBOARD APPARATUS BASED MOTION RECOGNITION FOR THE SMART MINI DISPLAY}
본 발명에서는 평상시에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위젯을 표출시키다가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가상키패드위젯을 표출시킨 후, 손모션에 의해 생성된 키입력신호의 입력신호에 따라 가상키패드위젯이 터치되면, 가상키패드위젯에 이벤트 설정된 유저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키는 다이아몬드 섹터존 모션인식공간형성을 통한 미니 디스플레이용 손모션키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니 디스플레이장치는 안경형상, 시계나 팔찌 형상, 사각액정형상으로 형성되어, 다양한 종류의 위젯화면을 표출시키거나, 유저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키는 컴퓨팅 장치를 의미한다.
여기서, 시계나 팔찌 형상의 미니 디스플레이장치로는, 여러 종류의 스마트 워치(smart watch)가 있다.
스마트 워치는 다양한 기능을 내장할 수 있다.
예컨대 전화, 이메일, 문자(SMS, MMS), SNS(social network service), 음악, 사진, 카메라, 동영상, 근거리 무선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Wi-Fi, FM 라디오, 이동거리나 속도 체크, 스마트폰이나 타블렛 또는 랩탑 컴퓨터 등의 타 기기와의 연동 등의 기능을 내장할 수 있다.
스마트 워치는 손목에 착용하는 소형 기기이므로, 스마트 워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는 약 1.5 인치 내지 2.0 인치를 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스마트 워치에 내장되는 다른 컴포넌트들도 작게 만들어진다.
하지만, 스마트 워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스마트워치의 화면을 터치하거나 버튼을 누르는 등의 동작을 하여야 한다면, 사용자는 양손을 모두 사용하여야 하므로 불편을 느끼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69856호에서는 저장부, 모션 데이터 생성부, 모션 부합 판단부, 얼굴데이터 생성부, 얼굴 부합 판단부, 제어부로 이루어진 스마트 워치 제어 시스템이 제시된 바 있으나,
이는 모션데이터 생성, 모션부합판단, 얼굴데이터 생성, 얼굴부합판단을 거친 후에 스마트 워치의 제어 이벤트를 수행시키기 때문에, 스마트 워치의 위젯이나 유저인터페이스를 불러오거나, 간단한 모션 키입력을 하더라도, 실시간 응답속도가 느려 키입력 에러가 자주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손목에 스마트 워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의도 없이, 손목의 액션에 따라 스마트 워치의 구동 제어가 이루어져 스마트 워치의 배터리소모율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69856호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디스플레이화면에 보여지는 쿼티키보드를 스마트워치의 컨셉에 맞도록 키의 개수를 줄이고 새롭게 배치하며 부가기능들은 모션인식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上)공간에 다이아몬드 섹터존 모션인식공간을 형성시킨 후, 다이아몬드 섹터존 모션인식공간에서 구동되는 손모션을 실시간 인식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키입력신호를 생성시켜 키입력시킬 수 있으며, 평상시에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위젯을 표출시키다가 근접센서부에 의해 사용자의 손이 접근하면, 가상키패드위젯을 표출시킬 수 있고, 2cm×2cm(가로×세로)에서 5cm×5cm(가로×세로)의 크기를 갖는 미니 디스플레이장치를 스마트 워치, 스마트 안경뿐만, 스마트 냉장고, 스마트 차량에 널리 확장 적용시킬 수 있는 다이아몬드 섹터존 모션인식공간형성을 통한 미니 디스플레이용 손모션키입력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이아몬드 섹터존 모션인식공간형성을 통한 미니 디스플레이용 손모션키입력장치는
2cm×2cm(가로×세로)에서 5cm×5cm(가로×세로)의 크기를 갖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上)공간에 다이아몬드 섹터존 모션인식공간을 형성시킨 후, 다이아몬드 섹터존 모션인식공간에서 구동되는 손모션을 실시간 인식하여 가상키패드 화면상에 키입력신호를 생성시켜 키입력시키도록 구성됨으로서 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평상시에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위젯을 표출시키다가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가상키패드위젯을 표출시킨 후, 손모션에 의해 생성된 키입력신호의 입력신호에 따라 가상키패드위젯이 터치되면, 가상키패드위젯에 이벤트 설정된 유저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키는 모션인식형 디스플레이모듈(100)과,
모션인식형 디스플레이모듈 하단 일측에 위치되고,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上)공간에 다이아몬드 섹터존 모션인식공간을 형성시킨 후, 사용자 손 모션을 카메라 영상과 4개의 적외선을 통해 센싱하여 스마트제어부로 전달시키는 "LSH"형 모션센서모듈(200)와,
"LSH"형 모션센서모듈 일측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손이 근접하였음을 감지하여 스마트 제어부로 전달시키는 근접센서부(300)와,
모션인식형 디스플레이모듈, "LSH"형 모션센서모듈, 근접센서부와 연결되어, 각 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면서, 모션인식형 디스플레이모듈에 특정 위젯을 표출되도록 제어시키다가 근접센서부를 통해 근접센싱신호가 입력되면, 모션인식형 디스플레이모듈에 가상키패드위젯이 표출되도록 제어시킨 후, "LSH"형 모션센서모듈로부터 현재 모션센싱신호가 입력되면, 미리 설정된 기준 모션센싱신호와 비교분석 후, 매칭되는 키입력신호를 불러와, 가상키패드위젯에 키입력신호를 생성시켜 키입력시키도록 제어시키는 스마트제어부(4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첫째, 디스플레이화면에 보여지는 쿼티키보드를 스마트워치의 컨셉에 맞도록 키의 개수를 줄이고 새롭게 배치하며 부가기능들은 모션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미니 디스플레이장치에 텍스트 입력을 기존에 비해 80%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上)공간에 다이아몬드 섹터존 모션인식공간을 형성시킨 후, 다이아몬드 섹터존 모션인식공간에서 구동되는 손모션을 실시간 인식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키입력신호를 생성시켜 키입력시킬 수 있어, 기존에 비해 2배~4배 빠른 모션인식과, 정확한 키입력신호 생성으로, 모션 키입력 에러율을 90% 이하로 낮출 수 있다.
셋째, 평상시에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위젯을 표출시키다가 근접센서부에 의해 사용자의 손이 접근하면, 가상키패드위젯을 표출시키거나, 또는, 활성(키 버튼의 색변화), 비활성의 모션기능을 추가하여 가상키보드위젯 생성 시에도 활성상태가 아닐 시에는 키 입력이 안 되도록 구성되어, 기존에 비해 에너지 절전율을 80%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2cm×2cm(가로×세로)에서 5cm×5cm(가로×세로)의 크기를 갖는 미니 디스플레이장치를 스마트 워치, 스마트 안경뿐만, 스마트 냉장고, 스마트 차량에 널리 확장 적용시킬 수 있어, 미니 디스플레이 시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아몬드 섹터존 모션인식공간형성을 통한 미니 디스플레이용 손모션키입력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이아몬드 섹터존 모션인식공간형성을 통한 미니 디스플레이용 손모션키입력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니 디스플레이용 손모션키입력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션인식형 디스플레이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션인식형 디스플레이모듈의 센서모듈이 다이아몬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LSH"형 모션센서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포쓰 적외선 센싱부의 구성요소 중 4개의 적외선센서가 4개의 적외선 불빛 포인트를 모션인식형 디스플레이모듈의 상(上)공간에 형성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션센서제어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모션 트래킹제어부를 통해 손바닥, 손가락, 관절에 각각 아이디를 설정한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영상 손이미지제어부에서,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한 현재 손 이미지를 미리 설정되어 저장한 기준 손 이미지와 비교하여 차영상 손이미지를 생성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제어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젯제어부의 제어하에 가상키패드위젯의 버튼에 논리적인 값들을 넣어 구성한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젯제어부의 제어하에 가상위패드위젯의 버튼에 다른 데이터들로 구성하여 제어하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젯제어부의 제어하에, SNS 어플리케이션에서 응용프로그램을 추가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키입력신호제어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위젯제어부의 제어하에, 가상키패드위젯을 미니 디스플레이장치 중 하나인 스마트워치 디스플레이의 컨셉에 맞게 키를 외곽으로 테두리 방향으로 활성화시키도록 배치시킨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포인트 트래커제어부를 통해 가상키패드위젯에 포인트 트래커를 생성시켜, 가상키패드위젯의 버튼을 선택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스(space)키입력신호부를 통해 현재 엄지굽히기 모션센싱신호와 미리 설정된 기준 엄지굽히기 모션센싱신호와 비교분석결과, 현재 엄지굽히기 모션센싱신호가 중지가 접혀있고, 엄지의 끝이 엄지의 마디보다 손바닥 안으로 가까워지는 엄지굽히기 모션센싱신호이면, 스페이스(space)입력신호를 갖는 키입력신호를 불러와 활성화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백스페이스(backspace)키입력신호부를 통해 현재 소지펴기 모션센싱신호와 미리 설정된 기준 소지펴기 모션센싱신호와 비교분석결과, 현재 소지펴기 모션센싱신호가 중지가 접혀있고, 새끼손가락의 끝이 중지의 마디보다 앞으로 나가는 소지펴기 모션센싱신호이면, 백스페이스(backspace)입력신호를 갖는 키입력신호를 불러와 활성화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엔터(enter)키입력신호부를 통해, 현재 중지펴기 모션센싱신호와 미리 설정된 기준 중지펴기 모션센싱신호와 비교분석결과, 현재 모션센싱신호가 약지가 접혀있을 때, 검지가 펴져있고, 검지의 끝이 중지의 마디보다 아래로 내려가는 중지펴기 모션센싱신호이면, 엔터(enter)입력신호를 갖는 키입력신호를 불러와 활성화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릭(click)키입력신호부를 통해, 현재 검지내리기 모션센싱신호와 미리 설정된 기준 검지내리기 모션센싱신호와 비교분석결과, 현재 검지내리기 모션센싱신호가 엄지가 펴져있을 때, 손목의 위치보다 검지손가락의 위치가 아래로 내려가는 검지내리기 모션센싱신호이면, 클릭(click)입력신호를 갖는 키입력신호를 불러와 활성화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먼저,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미니 디스플레이 장치는 2cm×2cm(가로×세로)에서 5cm×5cm(가로×세로)의 크기를 갖는 스마트 워치, 스마트 안경, 사각 터치스크린을 모두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말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LSH"형 모션센서모듈에서 "LSH"는 본 발명인 "이상훈"의 영문약자( L ee S ang Hoo n)로서, 본 발명인이 독창적으로 발명하여, 기존의 기술과는 전혀 다른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上)공간에 다이아몬드 섹터존 모션인식공간을 형성시킨 후, 사용자 손 모션을 카메라 영상과 4개의 적외선을 통해 센싱시키는 모션센서"가 되도록 명칭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아몬드 섹터존 모션인식공간형성을 통한 미니 디스플레이용 손모션키입력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에 관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이아몬드 섹터존 모션인식공간형성을 통한 미니 디스플레이용 손모션키입력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에 관한 것으로, 이는 2cm×2cm(가로×세로)에서 5cm×5cm(가로×세로)의 크기를 갖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上)공간에 다이아몬드 섹터존 모션인식공간을 형성시킨 후, 다이아몬드 섹터존 모션인식공간에서 구동되는 손모션을 실시간 인식하여 가상키패드 화면상에 키입력신호를 생성시켜 키입력시키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니 디스플레이용 손모션키입력장치(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션인식형 디스플레이모듈(100), "LSH"형 모션센서모듈(200), 근접센서부(300), 스마트제어부(400)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모션인식형 디스플레이모듈(1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모션인식형 디스플레이모듈(100)은 평상시에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위젯을 표출시키다가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가상키패드위젯을 표출시킨 후, 손모션에 의해 생성된 키입력신호의 입력신호에 따라 가상키패드위젯이 터치되면, 가상키패드위젯에 이벤트 설정된 유저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2cm×2cm(가로×세로)에서 5cm×5cm(가로×세로)의 크기를 갖는 OLED 터치스크린장치로 구성된다.
즉,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부(110), 애노드전극부(120), 유기체필름부(130), 캐소드전극부(140), 유리 플레이트부(150), 디스플레이 제어부(160), 외부접속컨넥터(170)로 구성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부(11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터치스크린부(110)는 사용자가 닿는 표면에 전기적 유도층과 저항층을 입히고, 이를 미세한 도트로 분리시켜 형성시킨 후, 좌우상하로 적외선을 흘러보내, 화면에 복수개의 사각형 격자를 생성시켜 손끝이나 터치펜이 격자에 접촉하면 그 위치를 파악해서 접촉입력신호를 디스플레이제어부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PL(Polyester Laminated)구조로 이루어지고, 애노드전극부 위에 필름이 2겹으로 겹쳐져서 필름과 필름의 접촉에 의해 동작된다.
그리고, 하단에 애노드전극부와 유기체필름부가 형성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애노드전극부(12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애노드전극부(120)는 유기체필름부 상단 표면에 수직방향으로 패턴화되어 데이터라인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투명하고 일함수가 커서 정공주입을 용이하게 해주는 ITO(Indium Tin Oxide) 금속산화복합물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유기체필름부가 스위치모듈본체의 상단 방향쪽으로 자체 발광시키도록 하기 위해, 애노드전극부가 터치스크린부와 유기체필름부사이에 형성된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유기체필름부(13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유기체필름부(130)는 애노드전극부를 통해 전자가 주입되고, 캐소드전극부를 통해 정공이 주입되어, 전자와 정공이 만나면 재결합을 통하여 여기자(Exciton)를 형성시키고, 여기자가 기저상태로 전이되면서 스위치모듈본체의 상단 방향쪽으로 자체 발광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다층(multi-layer)의 유기물층으로 구성된다.
즉, 정공 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HTL), 발광층(Emissive Layer, EML),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ETL), 완충층(Buffer Layer)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HTL)은 정공의 이동을 좀 더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층으로서, NPB(N,N'-bis-(1-naphyl)-N,N'-diphenyl-1.1'-biphenyl-4.4'-diamine)와 TCTA(4,4'4"-tris-(N-carbazolyl)-triphenlyamine)로 구성된다.
상기 발광층(Emission Layer : EML)은 전자와 정공이 만나서 여기자(Exciton)를 형성시키고, 여기자가 기저상태로 전이되면서 스위치모듈본체의 상단 방향쪽으로 자체 발광시키는 것으로서, 이는 기능에 따라 형광모체(Host)와 활성제(Dopant)로 구분되고, 발광층은 형광모체만으로 구성하기도 하지만, 좀 더 높은 발광 효율을 얻기 위하여 활성제를 모체에 첨가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청색발광소자의 형광모체로는 mCP(1,3-bis (9-carbazolyl)benzene)를 활성제로 FIrpic(iridium(III)bis[4.6-di-fluorophenyl)-pyridinato-]picolinate), 적색발광소자의 형광모체로는 CBP(4,4'-N,N-dicarbazol-biphenyl)를 활성제로는 Ir(pq)2acac(iridium(III)bis(1-phenylquinoline) acetylace-tonate)를 첨가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 ETL)은 전자의 이동을 좀 더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는 BPhen(4.7-diphenyl-1.10-phenanthroline)로 구성된다.
상기 완충층(Buffer Layer)은 캐소드전극부와 전자 수송층 상이에 소자의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전자 주입의 에너지 장벽을 낮추어 구동 전압을 감소시키고, 발광효율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LiF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체필름부(130)는 정공 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HTL), 발광층(Emissive Layer, EML),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ETL), 완충층(Buffer Layer)의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서, 캐소드전극부와 애노드전극부로부터 발광층까지 다층 박막을 통해 전자와 정공이 주입되어 이동하여 발광층에 도달하면 재결합을 통해 여기자(Excition)가 형성되며 여기자가 기저상태로 전이하면서 밴드갭 에언지에 해당하는 파장의 빛을 발산하며, 발광된 빛은 흡수스펙트럼에 대해 스토크 이동(Stoke's Shift)를 보여준다. PLED는 일반적으로 HTL, EML의 두개의 층만으로 구성되어 비교적 간단한 소자구조를 갖으며, 발광효율 증대를 위해 ETL이나 EIL 등이 도입된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캐소드전극부(14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캐소드전극부(140)는 유기체필름부의 하단 표면에 수평방향으로 패턴화되어 스캔라인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일함수가 낮은 금속과 일함수는 높지만, 증착이 용이하고 안정성이 우수한 금속으로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에서는 Al으로 구성된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유리 플레이트부(15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유리 플레이트부(150)는 캐소드전극부를 하단방향에서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는 보형물의 바닥면과 접촉되면서 캐소드전극부와 터치스크린부를 지지해주도록 사각형상의 판재로 이루어진다.
여섯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부(16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160)는 터치스크린부, 애노드전극부, 유기체필름부, 캐소드전극부, 유리 플레이트부와 연결되어, 각 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면서, 외부접속컨넥터를 통해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수신받아, 제어신호에 맞는 위젯(메모나 날씨ㆍ달력ㆍ일정관리ㆍ시계ㆍ가상키패드)과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출시키도록 제어시키는 역할을 한다.
일곱째, 본 발명에 따른 외부접속컨넥터(17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외부접속컨넥터(170)는 스마트제어부와 접속 연결되어,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수신받아 디스플레이 제어부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LSH"형 모션센서모듈(2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LSH"형 모션센서모듈(200)은 모션인식형 디스플레이모듈 하단 일측에 위치되고,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上)공간에 다이아몬드 섹터존 모션인식공간을 형성시킨 후, 사용자 손 모션을 카메라 영상과 4개의 적외선을 통해 센싱하여 스마트제어부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모듈(210),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부(220), 포쓰(Fourth) 적외선 센싱부(230), 자이로센서부(240), 모션센서제어부(250)로 구성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센서모듈(21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센서모듈(210)은 다이아몬드 형상으로 형성되어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이아몬드 형상(=마름모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 이유는 슬림하게 제작하여, 2cm×2cm(가로×세로)에서 5cm×5cm(가로×세로)의 크기를 갖는 모션인식형 디스플레이모듈의 하단 일측에 일체형으로 설치되고, 포쓰 적외선 센싱부가 모션인식형 디스플레이모듈 상(上)공간에 4개의 적외선 불빛으로 다이아몬드 구조로 형성시켜 사용자 손 모션을 정확하게 인식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부(22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부(220)는 센서모듈의 중앙에 위치되어, 렌즈를 통해 카메라 내부로 전달된 사용자 손 빛의 강약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손 이미지를 얻어내는 역할을 한다.
이는 렌즈, 촬상부, 이미지센서부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렌즈는 사용자 손 모션을 투과시켜 촬상부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촬상부는 렌즈를 통과한 사용자 손 이미지를 촬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미지센서부는 촬상부에 촬상된 사용자 손 이미지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모션센서제어부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포쓰(Fourth) 적외선 센싱부(23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포쓰(Fourth) 적외선 센싱부(230)는 CCD 카메라부를 중심으로 4개의 적외선 불빛 포인트로 이루어진 다이아몬드 구조로 형성되어, 모션인식형 디스플레이모듈의 상(上)공간에 4개의 적외선 불빛 포인트로 상하좌우 10cm~20cm, 100도~160도 반경을 갖는 다이아몬드 섹터존 모션인식공간을 형성시킨 후, 사용자 손 모션을 4개의 적외선 불빛 포인트를 통해 센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4개의 적외선센서로 구성된다.
상기 4개의 적외선센서로 구성되는 이유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CCD 카메라부를 중심으로 다이아몬드 구조를 이루며 4개의 적외선 불빛 포인트를 모션인식형 디스플레이모듈의 상(上)공간에 형성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모션인식형 디스플레이모듈의 상(上)공간에 형성되는 4개의 적외선 불빛 포인트는 상하좌우 10cm~20cm, 100도~160도 반경을 갖는 다이아몬드 섹터존 모션인식공간을 형성시킨다. 여기서, 다이아몬드 섹터존 모션인식공간은 정(正) 다이아몬드 이외에도, 가변형 다이아몬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 손 모션을 실시간 인식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키입력신호를 생성시켜 키입력시킬 수 있어, 기존에 비해 2배~4배 빠른 모션인식과, 정확한 키입력신호 생성으로, 모션 키입력 에러율을 90% 이하로 낮출 수가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자이로센서부(24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자이로센서부(240)는 CCD 카메라부와 포쓰 적외선 센싱부 하단에 위치되어, 사용자 손 위치가 변하더라도, CCD 카메라부와 포쓰 적외선 센싱부 각도를 변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CCD 카메라부와 포쓰 적외선 센싱부는 PCB 기판 상에 구성되고, PCB 기판 하단에 자이로센서부가 구성되어, 사용자 손 위치가 변하면, 자이로센서부를 통해 CCD 카메라부와 포쓰 적외선 센싱부 각도 또한 변하도록 구성된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모션센서제어부(25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모션센서제어부(250)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부와, 포쓰(Fourth) 적외선 센싱부가 연결되어, 사용자 손가락 움직임을 초당 300프레임 속도로 감지하도록 제어하면서, 모션트래킹데이터와 차영상 손이미지로 이루어진 모션센싱신호를 스마트제어부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션 트래킹제어부(251), 차영상 손이미지제어부(252)로 구성된다.
상기 모션 트래킹제어부(251)는 손바닥을 x값으로 설정하고, 손가락을 y값으로 설정하며, 관절을 z값으로 설정한 후, 손바닥, 손가락, 관절에 각각 아이디를 부여하여 손의 움직임을 트래킹시켜 모션트래킹 데이터를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다음의 표 1과 같이 설정되어 구성된다.
구분 모션 트래킹제어부
데이터 손의 손바닥, 손가락, 관절의 x,y,z값

아이디
손의 손바닥 palm 0
손의 손가락 finger 0-0 ~ 0-4
손의 관절 origin 0-0 ~ 0-4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모션 트래킹제어부를 통해 손바닥, 손가락, 관절에 각각 아이디를 설정한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에 관한 것이다.
즉, 제공된 고정 아이디에 의하여 좀 더 직관적으로 트래킹된 손의 위치와 움직임을 확인할 수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모션 트래킹제어부는 손의 움직임을 트래킹할 때 각 손바닥, 손가락, 관절에 고정된 아이디를 부여하여 트래킹 범위를 벗어난 후, 다시 돌아와도 빠르게 다시 트래킹시키도록 프로그램 구성된다.
상기 차영상 손이미지제어부(252)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부(220)를 통해 촬영한 현재 손 이미지를 미리 설정되어 저장한 기준 손 이미지와 비교하여 차영상 손이미지를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0의 a와 같이 입력된 현재 손 이미지는 A(alpha), R(red), G(green), B(blue) 조합으로 입력받게 된다.
이러한 현재 손 이미지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차영상 손이미지제어부는 미리 저장한 기준 손 이미지데이터를 불러와, 서로 비교분석한 후, 차영상 손이미지를 생성시킨다.
이때, 생성된 차영상 손이미지를 스마트제어부로 전달시킨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근접센서부(3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근접센서부(300)는 "LSH"형 모션센서모듈 일측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손이 근접하였음을 감지하여 스마트 제어부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비접촉으로 대상물이 근접해 온 것을 검출하는 센서로서, 자기의 영향으로 내부의 전류가 변화하는 홀 소자와 영구 자석을 결합한 제1 근접센서, 또는, 램프나 발광 다이오드와 광센서를 결합시킨 제2 근접센서, 또는 정전(靜電) 용량의 변화를 검출하는 제3 근접센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제어부(4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스마트제어부(400)는 모션인식형 디스플레이모듈, "LSH"형 모션센서모듈, 근접센서부와 연결되어, 각 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면서, 모션인식형 디스플레이모듈에 특정 위젯을 표출되도록 제어시키다가 근접센서부를 통해 근접센싱신호가 입력되면, 모션인식형 디스플레이모듈에 가상키패드위젯이 표출되도록 제어시킨 후, "LSH"형 모션센서모듈로부터 현재 모션센싱신호가 입력되면, 미리 설정된 기준 모션센싱신호와 비교분석 후, 매칭되는 키입력신호를 불러와, 가상키패드위젯에 키입력신호를 생성시켜 키입력시키도록 제어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젯제어부(410), 포인트 트래커제어부(420), 키입력신호제어부(430)로 구성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위젯제어부(41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위젯제어부(410)는 모션인식형 디스플레이모듈에 특정 위젯을 표출되도록 제어시키다가 근접센서부를 통해 근접센싱신호가 입력되면, 모션인식형 디스플레이모듈에 가상키패드위젯이 표출되도록 제어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위젯은 PC, 휴대폰, 블로그·카페 등에서 웹브라우저를 통하지 않고 날씨·달력·계산기 등의 기능과 뉴스·게임·주식정보 등을 바로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든 미니 응용프로그램으로, 본 발명에서는 메인화면, 정지화면상에 특정위젯 중 하나인 시계 위젯이 활성화되도록 구성되다가, 근접센서부를 통해 근접센싱신호가 입력되면, 모션인식형 디스플레이모듈에 가상키패드위젯이 표출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사용자 손을 디스플레이에 근접하면, 일예로, 약 30cm 이내로 근접하면, 가상키패드위젯이 1.2배~1.7배크기로 확대되어 표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사용자 손을 모션인식형 디스플레이모듈에서 이탈시키면 가상키패드위젯이 사라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위젯제어부(410)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상키패드위젯을 미니 디스플레이장치 중 하나인 스마트워치 디스플레이의 컨셉에 맞게 키를 외곽으로 테두리 방향으로 활성화시키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위젯제어부(410)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상키패드위젯의 버튼에 논리적인 값들을 넣어 구성할 수도 있고,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상키패드위젯의 버튼에 다른 데이터들로 구성하여 제어할 수도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SNS 어플리케이션에서 가상키패드위젯의 버튼 말고, 응용프로그램을 추가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가 있다.
상기 위젯제어부(410)는 사용자의 의지가 아닌 모션 감지의 오작동를 방지하기 위해 활성(키 버튼의 색변화), 비활성의 모션기능을 추가하여 가상키보드위젯 생성 시에도 활성상태가 아닐 시에는 키 입력이 안 되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해, 기존에 비해 에너지 절전율을 80%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모션을 통해 기능을 추가해 특정 모션기능을 수행하면 알파벳 키가 특수문자 키로 변경이 되고 또는 숫자, 사용자의 정의로 만든 키로 변경되도록 구성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포인트 트래커제어부(42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포인트 트래커제어부(420)는 "LSH"형 모션센서모듈로부터 입력된 현재 모션의 X축, Y축 이동신호에 따라 가상키패드위젯에 포인트 트래커를 생성시켜 X축, Y축 이동시키면서, 가상키패드위젯의 버튼을 선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인트 트래커제어부를 통해 가상키패드위젯에 포인트 트래커를 생성시켜, 가상키패드위젯의 버튼을 선택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에 관한 것이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키입력신호제어부(43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키입력신호제어부(430)는 "LSH"형 모션센서모듈로부터 현재 모션센싱신호가 입력되면, 미리 설정된 기준 모션센싱신호와 비교분석 후, 현재 모션센싱신호와 매칭되는 키입력신호를 불러와, 활성화시키도록 제어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페이스(space)키입력신호부(431), 백스페이스(backspace)키입력신호부(432), 엔터(enter)키입력신호부(433), 클릭(click)키입력신호부(434), 활성화키입력신호부(435), 대소문자·특수문자변환 키입력신호부(436)로 구성된다.
상기 스페이스(space)키입력신호부(431)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 엄지굽히기 모션센싱신호와 미리 설정된 기준 엄지굽히기 모션센싱신호와 비교분석결과, 현재 엄지굽히기 모션센싱신호가 중지가 접혀있고, 엄지의 끝이 엄지의 마디보다 손바닥 안으로 가까워지는 엄지굽히기 모션센싱신호이면, 스페이스(space)입력신호를 갖는 키입력신호를 불러와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백스페이스(backspace)키입력신호부(432)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 소지펴기 모션센싱신호와 미리 설정된 기준 소지펴기 모션센싱신호와 비교분석결과, 현재 소지펴기 모션센싱신호가 중지가 접혀있고, 새끼손가락의 끝이 중지의 마디보다 앞으로 나가는 소지펴기 모션센싱신호이면, 백스페이스(backspace)입력신호를 갖는 키입력신호를 불러와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엔터(enter)키입력신호부(433)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 중지펴기 모션센싱신호와 미리 설정된 기준 중지펴기 모션센싱신호와 비교분석결과, 현재 모션센싱신호가 약지가 접혀있을 때, 검지가 펴져있고, 검지의 끝이 중지의 마디보다 아래로 내려가는 중지펴기 모션센싱신호이면, 엔터(enter)입력신호를 갖는 키입력신호를 불러와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클릭(click)키입력신호부(434)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 검지내리기 모션센싱신호와 미리 설정된 기준 검지내리기 모션센싱신호와 비교분석결과, 현재 검지내리기 모션센싱신호가 엄지가 펴져있을 때, 손목의 위치보다 검지손가락의 위치가 아래로 내려가는 검지내리기 모션센싱신호이면, 클릭(click)입력신호를 갖는 키입력신호를 불러와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활성화키입력신호부(435)는 현재 검지엄지펴기 모션센싱신호와 미리 설정된 기준 검지엄지펴기 모션센싱신호와 비교분석결과, 현재 검지엄지펴기 모션센싱신호가 엄지와 검지를 펴는 검지엄지 모션센싱신호이면, 활성화입력신호를 갖는 키입력신호를 불러와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대소문자·특수문자변환 키입력신호부(436)는 현재 회전제스처(circle gesture) 모션센싱신호와 미리 설정된 기준 회전제스처(circle gesture) 모션센싱신호와 비교분석결과, 현재 회전제스처(circle gesture) 모션센싱신호가 특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제스처모션센싱신호이면, 대소문자, 특수문자변환을 갖는 키입력신호를 불러와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니 디스플레이용 손모션키입력장치(1)는 각 기기에 전원을 공급시키는 전원배터리(50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이아몬드 섹터존 모션인식공간형성을 통한 미니 디스플레이용 손모션키입력장치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모션인식형 디스플레이모듈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위젯을 표출시킨다.
여기서, 특정위젯은 시계위젯으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근접센서부에서 사용자의 손이 근접하였음을 감지하여 스마트 제어부로 전달시킨다.
다음으로, 모션인식형 디스플레이모듈에서 스마트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가상키패드위젯을 표출시킨다.
다음으로, "LSH"형 모션센서모듈에서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上)공간에 다이아몬드 섹터존 모션인식공간을 형성시킨 후, 사용자 손 모션을 카메라 영상과 4개의 적외선을 통해 센싱하여 스마트제어부로 전달시킨다.
다음으로, 스마트제어부에서 "LSH"형 모션센서모듈로부터 현재 모션센싱신호가 입력되면, 미리 설정된 기준 모션센싱신호와 비교분석 후, 매칭되는 키입력신호를 불러와, 가상키패드위젯에 키입력신호를 생성시킨다.
끝으로, 스마트제어부에서 포인트 트래커제어부로부터 생성된 키입력신호의 입력신호를 키입력신호로 변환시켜, 가상키패드위젯을 통해 문자입력시키거나, 또는 유저인터페이스를 모션인식형 디스플레이모듈의 화면상에 불러와 활성화시키도록 제어시킨다.
1 : 미니 디스플레이용 손모션키입력장치
100 : 모션인식형 디스플레이모듈 200 : "LSH"형 모션센서모듈
300 : 근접센서부 400 : 스마트제어부

Claims (7)

  1. 2cm×2cm(가로×세로)에서 5cm×5cm(가로×세로)의 크기를 갖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上)공간에 다이아몬드 섹터존 모션인식공간을 형성시킨 후, 다이아몬드 섹터존 모션인식공간에서 구동되는 손모션을 실시간 인식하여 키입력신호를 생성시켜 키입력시키는 다이아몬드 섹터존 모션인식공간형성을 통한 미니 디스플레이용 손모션키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니 디스플레이용 손모션키입력장치는
    평상시에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위젯을 표출시키다가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가상키패드위젯을 표출시킨 후, 손모션에 의해 생성된 키입력신호의 입력신호에 따라 가상키패드위젯이 터치되면, 가상키패드위젯에 이벤트 설정된 유저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키는 모션인식형 디스플레이모듈(100)과,
    모션인식형 디스플레이모듈 하단 일측에 위치되고,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上)공간에 다이아몬드 섹터존 모션인식공간을 형성시킨 후, 사용자 손 모션을 카메라 영상과 4개의 적외선을 통해 센싱하여 스마트제어부로 전달시키는 "LSH"형 모션센서모듈(200)와,
    "LSH"형 모션센서모듈 일측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손이 근접하였음을 감지하여 스마트 제어부로 전달시키는 근접센서부(300)와,
    모션인식형 디스플레이모듈, "LSH"형 모션센서모듈, 근접센서부와 연결되어, 각 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면서, 모션인식형 디스플레이모듈에 특정 위젯을 표출되도록 제어시키다가 근접센서부를 통해 근접센싱신호가 입력되면, 모션인식형 디스플레이모듈에 가상키패드위젯이 표출되도록 제어시킨 후, "LSH"형 모션센서모듈로부터 현재 모션센싱신호가 입력되면, 미리 설정된 기준 모션센싱신호와 비교분석 후, 매칭되는 키입력신호를 불러와, 가상키패드위젯에 키입력신호를 생성시켜 키입력시키도록 제어시키는 스마트제어부(4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아몬드 섹터존 모션인식공간형성을 통한 미니 디스플레이용 손모션키입력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인식형 디스플레이모듈(100)은
    사용자가 닿는 표면에 전기적 유도층과 저항층을 입히고, 이를 미세한 도트로 분리시켜 형성시킨 후, 좌우상하로 적외선을 흘러보내, 화면에 복수개의 사각형 격자를 생성시켜 손끝이나 터치펜이 격자에 접촉하면 그 위치를 파악해서 접촉입력신호를 디스플레이제어부로 전달시키는 터치스크린부(110)와,
    유기체필름부 상단 표면에 수직방향으로 패턴화되어 데이터라인을 형성시키는 애노드전극부(120)와,
    애노드전극부를 통해 전자가 주입되고, 캐소드전극부를 통해 정공이 주입되어, 전자와 정공이 만나면 재결합을 통하여 여기자(Exciton)를 형성시키고, 여기자가 기저상태로 전이되면서 스위치모듈본체의 상단 방향쪽으로 자체 발광시키는 유기체필름부(130)와,
    유기체필름부의 하단 표면에 수평방향으로 패턴화되어 스캔라인을 형성시키는 캐소드전극부(140)와,
    캐소드전극부를 하단방향에서 지지해주는 유리 플레이트부(150)와,
    터치스크린부, 애노드전극부, 유기체필름부, 캐소드전극부, 유리 플레이트부와 연결되어, 각 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면서, 외부접속컨넥터를 통해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수신받아, 제어신호에 맞는 위젯(메모나 날씨ㆍ달력ㆍ일정관리ㆍ시계ㆍ가상키패드)과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출시키도록 제어시키는 디스플레이 제어부(160)와,
    스마트제어부와 접속 연결되어,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수신받아 디스플레이 제어부로 전달시키는 외부접속컨넥터(17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아몬드 섹터존 모션인식공간형성을 통한 미니 디스플레이용 손모션키입력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SH"형 모션센서모듈(200)는
    다이아몬드 형상으로 형성되어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센서모듈(210)과,
    센서모듈의 중앙에 위치되어, 렌즈를 통해 카메라 내부로 전달된 사용자 손 빛의 강약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손 이미지를 얻어내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부(220)와,
    CCD 카메라부를 중심으로 4개의 적외선 불빛 포인트로 이루어진 다이아몬드 구조로 형성되어, 모션인식형 디스플레이모듈의 상(上)공간에 4개의 적외선 불빛 포인트로 상하좌우 10cm~20cm, 100도~160도 반경을 갖는 다이아몬드 섹터존 모션인식공간을 형성시킨 후, 사용자 손 모션을 4개의 적외선 불빛 포인트를 통해 센싱시키는 포쓰(Fourth) 적외선 센싱부(230)와,
    CCD 카메라부와 포쓰 적외선 센싱부 하단에 위치되어, 사용자 손 위치가 변하더라도, CCD 카메라부와 포쓰 적외선 센싱부 각도를 변환시키는 자이로센서부(240)와,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부와, 포쓰(Fourth) 적외선 센싱부가 연결되어, 사용자 손가락 움직임을 초당 300프레임 속도로 감지하도록 제어하면서, 모션트래킹데이터와 차영상 손이미지로 이루어진 모션센싱신호를 스마트제어부로 전달시키는 모션센서제어부(2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아몬드 섹터존 모션인식공간형성을 통한 미니 디스플레이용 손모션키입력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센서제어부(250)는
    손바닥을 x값으로 설정하고, 손가락을 y값으로 설정하며, 관절을 z값으로 설정한 후, 손바닥, 손가락, 관절에 각각 아이디를 부여하여 손의 움직임을 트래킹시켜 모션트래킹 데이터를 생성시키는 모션 트래킹제어부(251)와,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부(220)를 통해 촬영한 현재 손 이미지를 미리 설정되어 저장한 기준 손 이미지와 비교하여 차영상 손이미지를 생성시키는 차영상 손이미지제어부(252)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아몬드 섹터존 모션인식공간형성을 통한 미니 디스플레이용 손모션키입력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제어부(400)는
    모션인식형 디스플레이모듈에 특정 위젯을 표출되도록 제어시키다가 근접센서부를 통해 근접센싱신호가 입력되면, 모션인식형 디스플레이모듈에 가상키패드위젯이 표출되도록 제어시키는 위젯제어부(410)와,
    "LSH"형 모션센서모듈로부터 현재 모션센싱신호가 입력되면, 미리 설정된 기준 모션센싱신호와 비교분석 후, 현재 모션센싱신호와 매칭되는 키입력신호를 불러와, 가상키패드위젯에 키입력신호를 생성시키도록 제어시키는 포인트 트래커제어부(420)와,
    포인트 트래커제어부로부터 생성된 키입력신호의 입력신호를 키입력신호로 변환시켜, 가상키패드위젯을 통해 문자입력시키거나, 또는 유저인터페이스를 모션인식형 디스플레이모듈의 화면상에 불러와 활성화시키도록 제어하는 키입력신호제어부(4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아몬드 섹터존 모션인식공간형성을 통한 미니 디스플레이용 손모션키입력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트 트래커제어부(420)는
    현재 엄지굽히기 모션센싱신호와 미리 설정된 기준 엄지굽히기 모션센싱신호와 비교분석결과, 현재 엄지굽히기 모션센싱신호가 중지가 접혀있고, 엄지의 끝이 엄지의 마디보다 손바닥 안으로 가까워지는 엄지굽히기 모션센싱신호이면, 스페이스(space)입력신호를 갖는 키입력신호를 생성시키는 스페이스(space)키입력신호부(421)와,
    현재 소지펴기 모션센싱신호와 미리 설정된 기준 소지펴기 모션센싱신호와 비교분석결과, 현재 소지펴기 모션센싱신호가 중지가 접혀있고, 새끼손가락의 끝이 중지의 마디보다 앞으로 나가는 소지펴기 모션센싱신호이면, 백스페이스(backspace)입력신호를 갖는 키입력신호를 생성시키는 백스페이스(backspace)키입력신호부(422)와,
    현재 중지펴기 모션센싱신호와 미리 설정된 기준 중지펴기 모션센싱신호와 비교분석결과, 현재 모션센싱신호가 약지가 접혀있을 때, 검지가 펴져있고, 검지의 끝이 중지의 마디보다 아래로 내려가는 중지펴기 모션센싱신호이면, 엔터(enter)입력신호를 갖는 키입력신호를 생성시키는 엔터(enter)키입력신호부(423)와,
    현재 검지내리기 모션센싱신호와 미리 설정된 기준 검지내리기 모션센싱신호와 비교분석결과, 현재 검지내리기 모션센싱신호가 엄지가 펴져있을 때, 손목의 위치보다 검지손가락의 위치가 아래로 내려가는 검지내리기 모션센싱신호이면, 클릭(click)입력신호를 갖는 키입력신호를 생성시키는 클릭(click)키입력신호부(424)와,
    현재 검지엄지펴기 모션센싱신호와 미리 설정된 기준 검지엄지펴기 모션센싱신호와 비교분석결과, 현재 검지엄지펴기 모션센싱신호가 엄지와 검지를 펴는 검지엄지 모션센싱신호이면, 활성화입력신호를 갖는 키입력신호를 생성시키는 활성화키입력신호부(425)와,
    현재 회전제스처(circle gesture) 모션센싱신호와 미리 설정된 기준 회전제스처(circle gesture) 모션센싱신호와 비교분석결과, 현재 회전제스처(circle gesture) 모션센싱신호가 특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제스처모션센싱신호이면, 대소문자, 특수문자변환을 갖는 키입력신호를 생성시키는 대소문자·특수문자변환 키입력신호부(42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아몬드 섹터존 모션인식공간형성을 통한 미니 디스플레이용 손모션키입력장치.
KR1020160163133A 2016-12-02 2016-12-02 다이아몬드 섹터존 모션인식공간형성을 통한 미니 디스플레이용 손모션키입력장치 KR101853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133A KR101853339B1 (ko) 2016-12-02 2016-12-02 다이아몬드 섹터존 모션인식공간형성을 통한 미니 디스플레이용 손모션키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133A KR101853339B1 (ko) 2016-12-02 2016-12-02 다이아몬드 섹터존 모션인식공간형성을 통한 미니 디스플레이용 손모션키입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3339B1 true KR101853339B1 (ko) 2018-04-30

Family

ID=62081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3133A KR101853339B1 (ko) 2016-12-02 2016-12-02 다이아몬드 섹터존 모션인식공간형성을 통한 미니 디스플레이용 손모션키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333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08857A (ja) * 2010-10-28 2012-06-07 Yoshihiro Wada キー入力装置、それを備える携帯端末および携帯端末を入力装置として機能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08857A (ja) * 2010-10-28 2012-06-07 Yoshihiro Wada キー入力装置、それを備える携帯端末および携帯端末を入力装置として機能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984049A (zh) 用于驱动包括指纹感测阵列的触摸屏的触摸控制器
US9465460B2 (en)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N206193725U (zh) 包括显示模块且能够检测触摸压力的触摸输入装置
US8982043B2 (en) Electronic reader device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control method thereof
CN112578933A (zh) 显示装置、识别方法及程序
KR101474061B1 (ko)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 센서와 그를 구비한 표시장치
US20170147112A1 (en) Embedded touch screen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20180061482A (ko) 표시장치
US11256895B2 (en) Sensing panel having fingerprint sensing pixel and electronic pen sensing pixel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ensing panel
US20190138131A1 (en) Sensing par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30113997A (ko)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에서 오브젝트 제어 방법 및 그 디바이스와 기록 매체
CN1524257A (zh) 用来处理在移动电话键标套后的接近敏感触摸垫的系统
CN101882014A (zh) 一种判断目标点是否属于平面的方法和鼠标及触摸屏
TW202403526A (zh) 資料處理裝置
CN105321977A (zh) 有机发光二极管显示面板及有机发光二极管显示装置
KR101853339B1 (ko) 다이아몬드 섹터존 모션인식공간형성을 통한 미니 디스플레이용 손모션키입력장치
US11455819B2 (en) Method and device for fingerprint acquisition, and touchpad
US9742215B2 (en) Input device
TWI442274B (zh) 一種電子裝置及其圖形化使用者介面控制方法
CN116057607A (zh) 显示装置、显示模块及电子设备
US20160026217A1 (en) Shadeless touch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executed method
CN209842578U (zh) Pmoled触摸显示面板、触摸检测电路、显示装置及电子设备
KR102502603B1 (ko)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64014A (ko) 이미지 센싱이 가능한 표시 장치
CN105321976B (zh) 有机电激发光触控面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