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2952B1 - 전력 사용 상태 표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휴대기기 - Google Patents

전력 사용 상태 표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휴대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2952B1
KR101852952B1 KR1020170095295A KR20170095295A KR101852952B1 KR 101852952 B1 KR101852952 B1 KR 101852952B1 KR 1020170095295 A KR1020170095295 A KR 1020170095295A KR 20170095295 A KR20170095295 A KR 20170095295A KR 101852952 B1 KR101852952 B1 KR 101852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power usage
information
gui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5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1073A (ko
Inventor
진영규
이영호
장영실
장일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5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2952B1/ko
Publication of KR20170091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1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2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Y02D70/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전력 사용 상태 표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휴대기기가 제공된다. 본 전력 사용 상태 표시 방법은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화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를 식별하고,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에 대한 전력 사용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전력 사용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에 대한 전력 사용 상태를 판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에 대한 전력 사용 상태에 따라 단계별로 상이한 GUI를 디스플레이하며, GUI가 선택되면, 선택된 GUI에 대응되는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에 대한 정보 및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을 제어할 수 있는 메뉴가 포함된 메뉴창을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가정 내에 사용하는 전자기기의 전기 사용 상태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확인한 전기 사용 상태에 따라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전력 사용 상태 표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휴대기기{Method for Displaying status of power consumption and portable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전력 사용 상태 표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휴대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증강 현실을 이용하여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 정보를 제공하는 전력 사용 상태 표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휴대기기에 관한 것이다.
전세계적으로 온실효과가스를 줄이기 위해, 여러 가지 정책 및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특히, 온실효과가스를 줄이기 위한 정책으로, 전기 요금을 인상하거나, 시간대별로 상이한 전기 요금을 책정하여 특정 시간에 집중되는 전기 사용량을 분산시키는 노력이 진행되어 왔다.
따라서, 일반 사용자는 전기 요금 인상 및 공급과 수용에 따라 전기 요금이 변하는 RTP(Real Time Pricing)으로 인해, 전기 사용에 대해 민감해 질 것이며, 이에 따라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전기의 사용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길 원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들은 종래의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자기기를 통해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전기의 사용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어려웠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들은 종래의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자기기의 전기 사용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 전자기기 뒤에 표시된 전자기기 정격 사용정보를 알아보거나, 가정 내에 설치된 계량기를 통해 총 소비전력을 알아볼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들이 가정 내에 구비된 전자기기들의 전기의 사용 정보를 파악하고,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신된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기기에 대한 전력 사용 상태를 판단하고, 전자기기에 대한 전력 사용 상태에 따라 단계별로 상이한 GUI를 디스플레이하는 전력 사용 상태 표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휴대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의 전력 사용 상태 표시 방법은,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화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에 대한 전력 사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전력 사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에 대한 전력 사용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에 대한 전력 사용 상태에 따라 단계별로 상이한 G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GUI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GUI에 대응되는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을 제어할 수 있는 메뉴가 포함된 메뉴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의 위치 정보 또는 모양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의 위치 정보 및 모양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GUI는, 상기 전력 사용 상태의 단계에 따라 상기 전자기기를 상이한 색상으로 표시한 GUI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GUI는, 상기 전력 사용 상태의 단계에 따라 상이한 형태로 표시되는 아이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전자기기의 현재 전력 사용량이 기준 사용량 목표치를 초과하였는지 여부 또는 현재 전자기기의 사용 패턴으로 사용할 경우 상기 기준 사용량 목표치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에 대한 전력 사용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시간대별 전기 요금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실시간으로 수신한 시간대별 전기 요금을 통해 현재 시간대의 전기 요금에 비하여 높은 순간전력을 사용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에 대한 전력 사용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전자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Wi-fi 네트워크, Zigbee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및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중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에 대한 전력 사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사용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에 대한 현재까지의 전력사용량, 순간 전력사용량 및 전기요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는,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영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에 대한 전력 사용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GUI를 생성하기 위한 GUI 생성부;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촬영부를 통해 입력된 화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를 식별하고, 상기 수신된 전력 사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에 대한 전력 사용 상태를 판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에 대한 전력 사용 상태에 따라 단계별로 상이한 G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GUI 생성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GUI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GUI에 대응되는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을 제어할 수 있는 메뉴가 포함된 메뉴창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 상태에 대응되는 GUI를 상기 화면상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의 표시 위치에 매칭시켜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의 위치 정보 또는 모양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의 위치 정보 및 모양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GUI는, 상기 전력 사용 상태의 단계에 따라 상기 전자기기를 상이한 색상으로 표시한 GUI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GUI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에 대한 전력 사용 상태의 단계에 따라 상이한 형태로 표시되는 아이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전자기기의 현재 전력 사용량이 기준 사용량 목표치를 초과하였는지 여부 또는 현재 전자기기의 사용 패턴으로 사용할 경우 상기 기준 사용량 목표치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에 대한 전력 사용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부는. 시간대별 전기 요금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신한 시간대별 전기 요금을 통해 현재 시간대의 전기 요금에 비하여 높은 순간전력을 사용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에 대한 전력 사용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전자기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부는, Wi-fi 네트워크, Zigbee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및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중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에 대한 전력 사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사용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에 대한 현재까지의 전력사용량, 순간 전력사용량 및 전기요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가정 내에 사용하는 전자기기의 전기 사용 상태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확인한 전기 사용 상태에 따라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GUI를 제공하기 위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의 블럭도를 도시한 도면,
도 3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에 디스플레이된 GUI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휴대기기의 전력 사용 상태 표시 방법을 간략히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휴대기기의 전력 사용 상태 표시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GUI를 제공하기 위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4a 내지 도 14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위치 정보 및 모양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GUI를 제공하기 위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1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네트워크 시스템(10)에는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GUI를 생성하는 휴대기기(100) 및 복수의 전자 기기(200-1,200-2,...,200-5)를 포함한다.
이때, 복수의 전자기기(200-1,200-2,...,200-5)는 자신의 전력 사용 정보를 휴대기기에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전자기기(200-1,200-2,...,200-5)는 자체적으로 구비된 전력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된 전력 사용 정보를 메시 네트워크(Mesh Network)를 이용해 휴대기기(100)에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전자기기(200-1,200-2,...,200-5)는 Wi-fi 네트워크, Zigbee 네트워크,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및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중 하나를 이용하여 휴대기기(100)에 전력 사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전력 사용 정보는 전자기기에 대한 현재까지의 전력사용량, 순간 전력사용량 및 전기요금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전자기기(200-1,200-2,...,200-5)에 자체적으로 전력량계가 구비되어 있지 않다면, 외부의 스마트미터(SmartMeter)를 이용하여 측정된 전력 사용 정보를 메시 네트워크를 통해 휴대기기(1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미터는, 시간대별 사용량을 측정하여 그 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장치로써, 시간대별 전기 요금을 알 수 있는 전자식 전력량계를 말한다.
도 1에 도시된 복수의 전자기기(200-1,200-2,..,200-5)는 TV(200-1), 냉장고(200-2), 세탁기(200-3), 쿡탑(200-4) 및 에어컨(200-5)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컴퓨터, 전자렌지, 선풍기 등과 같은 다른 전자기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휴대기기(100)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복수의 전자기기(200-1,200-2,...200-5)를 촬영하고, 촬영된 화면 속에서 복수의 전자기기(200-1,200-2,...200-5)를 식별한다. 이때, 휴대기기(100)는 기 저장된 복수의 전자기기(200-1,200-2,...200-5)의 위치 정보 또는 모양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전자기기(200-1,200-2,...200-5)를 식별할 수 있다. 휴대기기(100)가 촬영된 영상 속에 전자기기를 식별하는 방법은 도 14a 내지 도 14f를 참조하여 추후에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휴대기기(100)는 Wi-fi 네트워크, Zigbee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와 같은 메시 네트워크를 통해 식별된 복수의 전자기기(200-1,200-2,..,200-5)에 대한 전력 사용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휴대기기(100)는 수신된 복수의 전자기기(200-1,200-2,...200-5)의 전력 사용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전자기기(200-1,200-2,..,200-5)에 대한 전력 사용 상태를 판단하고, 복수의 전자기기(200-1,200-2,..,200-5)에 대한 전력 사용 상태에 따라 단계별로 상이한 GUI를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 휴대기기(100)는 전자기기의 현재 전력 사용량이 기준 사용량 목표치를 초과하였는지 여부, 현재 전자기기의 사용 패턴으로 사용할 경우 기준 사용량 목표치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는지 여부 및 현재 시간대의 전기 요금에 비하여 높은 순간전력을 사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복수의 전자기기(200-1,200-2,..,200-5)에 대한 전력 사용 상태를 판단한다.
이때, 휴대기기(100)는 증강 현실 기능을 이용하여 생성된 GUI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휴대기기(100)는 복수의 전자기기(200-1,200-2,..,200-5)가 포함된 이미지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고, 복수의 전자기기(200-1,200-2,..,200-5)의 전력 사용 상태에 대응되는 GUI를 복수의 전자기기(200-1,200-2,..,200-5)의 표시 위치에 매칭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기기(100)는 복수의 전자기기(200-1,200-2,..,200-5)에 대한 전력 사용 상태를 좋음, 보통, 나쁨과 같이 세 단계로 나누어 판단할 수 있으며,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 상태의 각 단계에 따라, 해당 전자기기를 색깔별로 표시한 GUI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휴대기기(100)는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 상태의 각 단계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생성하여, 이미지 속에 포함된 해당 전자기기의 주변에 생성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예를 들어, 터치 패널)를 통해 생성된 GUI가 선택되면, 휴대기기(100)는 해당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에 대한 정보 및 해당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을 제어할 수 있는 메뉴가 포함된 메뉴창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휴대기기(100)는 스마트 폰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촬영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캠코더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10)에 의해, 사용자는 가정 내에 사용하는 전자기기의 전기 사용 상태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확인한 전기 사용 상태에 따라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100)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100)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기기(100)는 통신부(110), 제어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촬영부(140), GUI 생성부(150) 및 저장부(16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외부의 복수의 전자기기(200-1,200-2,..,200-5)로부터 해당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전력 사용 정보에는 전자기기에 대한 현재까지의 전력사용량, 순간 전력사용량 및 전기요금 정보 및 월별 목표 전력 사용량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외부의 복수의 전자기기(200-1,200-2,..,200-5)에서 직접 전력 사용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외부의 DR 컨트롤러로부터 복수의 전자기기(200-1,200-2,..,200-5)에 대한 전력 사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통신부(100)는 DR 컨트롤러로부터 시간대별 전기 요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촬영부(140)에서 촬영이 되면, 촬영부(140)에 의해 입력되는 화면에서 식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에 대한 전력 사용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기설정된 주기로 모든 전자기기에 대한 전력 사용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때, 통신부(110)는 Wi-fi 네트워크, Zigbee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및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중 하나를 통해 복수의 전자기기(200-1,200-2,..,200-5) 및 DR 컨트롤러로부터 전기 사용 정보를 수신한다. 특히, Zigbee 네트워크는 근거리 무선개인 통신망으로서, 저전력, 저가격으로 홈 네트워크 시스템(10)에 적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촬영부(140)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30)는 GUI 생성부(150)에서 생성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촬영부(140)는 복수의 전자기기(200-1,200-2,..,200-5)가 포함된 주변 이미지를 촬영한다. 구체적으로, 촬영부(140)는 촬영부(140) 속에 포함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이미지 센서 영역에 상이 맺히게 하고, 이미지 센서는 렌즈를 통해 입사된 빛을 전기신호로 광전변환 한다. 그리고, 촬영부(140)에 포함된 이미지 처리부(미도시)는 이미지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에 대한 신호처리를 수행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게 된다. 이러한 영상 데이터는 디스플레이부(130)에 의해 디스플레이된다.
GUI 생성부(150)는 복수의 전자기기(200-1,200-2,..,200-5)의 전력 사용 상태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GUI를 생성한다. 또한, GUI 생성부(150)는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에 대한 정보 및 해당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을 제어할 수 있는 메뉴가 포함된 메뉴창을 생성할 수 있다.
저장부(16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또는 촬영된 영상을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60)는 복수의 전자기기(200-1,200-2,..,200-5)의 위치 정보 및 모양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170)는 하드디스크, 비휘발성 메모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사용자 입력부(미도시)를 통해 전달되는 사용자의 조작 내용을 기초로 사용자 명령을 파악하고, 파악한 사용자 명령에 따라 휴대기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촬영부(140)를 통해 입력된 화면에서 복수의 전자기기(200-1,200-2,..,200-5)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한다. 이때, 제어부(120)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복수의 전자기기(200-1,200-2,..,200-5)의 모양 정보 또는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전자기기(200-1,200-2,..,200-5) 중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를 식별할 수 있다. 전자기기의 모양 정보 또는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이용하여 전자기기를 식별하는 방법은 도 14a 내지 도 14f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도 14a와 같이, 휴대기기(100)를 이용하여 TV(1400)를 정면에서 촬영한다. 그리고 도 14b 내지 도 14e와 같이, TV(1400)를 기준으로 아래 방향, 윗 방향, 오른쪽 방향 및 왼쪽 방향의 영상을 촬영한다. 이는, 휴대기기(100)가 방위각 센서를 이용하여 TV(1400)의 현재 위치의 상/하/좌/우 영상을 저장시킴으로써, TV(1400)의 상대적인 위치를 저장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사용자는 도 1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기기(100)에 의해 촬영된 영상 속에 포함된 TV(1400)를 드래그하여, TV(1400)의 모양을 저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 저장된 TV(1400)의 (상대적인) 위치 정보 및 모양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부(120)는 현재 촬영된 영상 속에서 기 저장된 TV(1400)의 위치 정보 및 모양 정보를 추적한다. 추적 결과, 저장된 TV(1400)의 위치 정보 및 모양 정보와 일치하는 TV(1400)가 존재하면, 제어부(120)는 현재 촬영되는 영상 속에 포함된 TV(1400)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전자기기의 모양 정보 또는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기기를 식별하는 것은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방법에 의해 전자기기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전자기기에 부착된 QR 코드를 이용하여 해당 전자기기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메시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복수의 전자기기(200-1,200-2,..,200-5)에 대한 전력 사용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전자기기(200-1,200-2,..,200-5)에 대한 전력 사용 상태를 판단하고, 복수의 전자기기(200-1,200-2,..,200-5)에 대한 전력 사용 상태에 따라 단계별로 상이한 GUI를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전자기기의 현재 전력 사용량이 기준 사용량 목표치를 초과하였는지 여부, 현재 전자기기의 사용 패턴으로 사용할 경우 기준 사용량 목표치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는지 여부 및 현재 시간대의 전기 요금에 비하여 높은 순간전력을 사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복수의 전자기기(200-1,200-2,..,200-5)에 대한 전력 사용 상태를 판단한다. 이때, 제어부(120)는 복수의 전자기기(200-1,200-2,..,200-5)에 대한 전력 사용 상태를 제1 단계(좋음), 제2 단계(보통), 제3 단계(나쁨)와 같이 세 단계로 나누어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현재 전력 사용량이 기준 사용량 목표치를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이용하여,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에어컨의 현재 전력 사용량이 기준 사용량의 50% 이하인 경우, 즉, 에어컨의 기준 사용량이 30KW일 때, 현재 에어컨의 전력 사용량이 15KW 이하인 경우, 제어부(120)는 에어컨의 전력 사용 상태를 제1 단계로 판단한다. 또한, 에어컨의 현재 전력 사용량이 기준 사용량의 50% 초과이고 기준 사용량 이하인 경우, 즉, 현재 에어컨의 전력 사용량이 15KW 초과이고, 30KW 이하인 경우, 제어부(120)는 에어컨의 전력 사용 상태를 제2 단계로 판단한다. 또한, 에어컨의 현재 전력 사용량이 기준 사용량을 초과한 경우, 즉, 현재 에어컨의 전력 사용량이 30KW 초과인 경우, 제어부(120)는 에어컨의 전력 사용 상태를 제3 단계로 판단한다. 이때, 제1 단계부터 제3 단계까지 갈수록 전력 사용 상태가 점점 나빠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120)는 현재 전자기기의 사용 패턴으로 사용할 경우 기준 사용량 목표치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는지 여부를 이용하여,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즉, 현재까지의 TV 사용 패턴으로 사용할 경우 사용량 목표치의 80% 이하인 경우, 제어부(120)는 TV의 전력 사용 상태를 제1 단계로 판단한다. 또한, 현재까지의 TV 사용 패턴으로 사용할 때 사용량 목표치의 80%를 초과하고, 사용량 목표치 이하인 경우, 제어부(120)는 TV의 전력 사용 상태를 제2 단계로 판단한다. 또한, 현재까지의 TV 사용 패턴으로 사용할 때 사용량 목표치를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TV의 전력 사용 상태를 제3 단계로 판단한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120)는 현재 시간대의 전기 요금에 비하여 높은 순간전력을 사용하는지 여부를 이용하여,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현재 전기요금의 단계가 네 단계(1.아주쌈 2. 조금쌈. 3. 조금비쌈 4. 아주비쌈) 중 어느 단계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TV의 전기소비단계가 네 단계(1. 파워모드 2. 일반모드 3. 절전모드 4. 초절전모드) 중 어느 단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만약 현재 전기 요금의 단계가 "4.아주 비쌈" 단계인 경우, TV의 전기소비단계가 "4. 초절전모드"이면, 제어부(120)는 TV의 전력 사용 상태를 제1 단계로 판단하고, TV의 전기소비단계가 "3. 절전모드"이면, 제어부(120)는 TV의 전력 사용 상태를 제2 단계로 판단하며, TV의 전기소비단계가 "1.파워모드" 또는 "2. 일반모드"이면 TV의 전력 사용 상태를 제3단계로 판단한다. 그러나, 현재 전기 요금의 단계가 "1. 아주 쌈"인 경우, 제어부(120)는 TV의 전기소비단계에 상관없이 TV의 전력 사용 상태를 제1 단계로 판단한다. 즉, 현재 시간의 전기 요금에 따라 높은 전력을 사용하는지 여부를 이용하여,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 상태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 언급한 값은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값에 의해 각 단계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언급한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 상태에 대한 판단 방법은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방법에 의해 전력 사용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증강 현실 기능을 이용하여 생성된 GUI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복수의 전자기기(200-1,200-2,..,200-5)가 포함된 이미지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고, 식별된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 상태에 대응되는 GUI를 식별된 전자기기의 표시 위치에 매칭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0)는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 상태의 각 단계에 따라, 해당 전자기기를 색깔별로 표시한 GUI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에어컨의 전력 사용 상태가 제1 단계라고 판단된 경우, 제어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속에 포함된 에어컨에 제1 색이 오버래핑되도록 GUI(310)를 부가할 수 있다. 이때, 제1 색은 녹색일 수 있다. 또한, 냉장고의 전력 사용 상태가 제2 단계라고 판단된 경우, 제어부(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속에 포함된 냉장고에 제2 색이 오버래핑되도록 GUI(510)를 부가할 수 있다. 이때, 제2 색은 황색일 수 있다. 또한, 세탁기의 전력 사용 상태가 제3 단계라고 판단된 경우, 제어부(1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속에 포함된 냉장고에 제3 색이 오버래핑되도록 GUI(610)를 부가할 수 있다. 이때, 제3 색은 적색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예에서는 제1 색, 제2 색, 제3 색을 녹색, 황색, 적색으로 표시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색에 의해 표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 상태의 각 단계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생성하여, 이미지 속에 포함된 해당 전자기기의 주변에 생성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V의 전력 사용 상태가 제1 단계라고 판단되는 경우,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20)는 웃고 있는 열굴의 아이콘(710,81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전등의 전력 사용 상태가 제2 단계라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표정한 얼굴의 아이콘(82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의 전력 사용 상태가 제3 단계라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난 얼굴의 아이콘(83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예에서는 아이콘은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아이콘에 의해 표현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 상태에 따라, 전자기기를 상이한 색으로 표현하거나 아이콘을 생성함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직관적으로 해당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예를 들어, 터치 패널)를 통해 생성된 GUI가 선택되면, 제어부(120)는 해당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에 대한 정보 및 해당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을 제어할 수 있는 메뉴가 포함된 메뉴창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TV의 전력 사용 상태를 표시하는 아이콘(810)이 선택되면, 도 9 또는 도 10에 도시된 메뉴창(910,101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때, 도 9는 TV의 전력 사용을 제어할 수 있는 메뉴창(910)으로, 메뉴창(910) 속에 포함된 상태 조절 바를 통해 TV의 전력 사용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 조절 바를 통해 전력 사용을 증가시키는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20)는 제어 명령을 통신부(110)를 통해 TV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은 TV의 현재 전력 사용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메뉴창(1010)으로, 메뉴창(1010)은 현재까지 전력 사용량, 순간전력 사용량, 현재까지의 전기 요금 등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의 메뉴창에 의해, 사용자는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 상태에 대해 인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보다 효율적으로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휴대기기(100)의 GUI 생성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휴대기기의 전력 사용 상태 표시 방법을 간략히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우선 휴대기기(100)는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화면 속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를 식별한다(S1110). 이때, 휴대기기(100)는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의 위치 정보 또는 모양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기기(100)는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에 대한 전력 사용 정보를 수신한다(S1120). 이때, 휴대기기(100)는 Wi-fi 네트워크, Zigbee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및 블루투스 네트워크 중 하나를 이용하여,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에 대한 전력 사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에 대한 전력 사용 정보를 수신하는 것은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카메라를 이용하여 전자기기를 촬영하기 전에 기설정된 주기로 전자기기에 대한 전력 사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기기(100)는 수신된 전력 사용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에 대한 전력 사용 상태를 판단한다(S1130). 이때, 휴대기기(100)는 전자기기의 현재 전력 사용량이 기준 사용량 목표치를 초과하였는지 여부, 현재 전자기기의 사용 패턴으로 사용할 경우 기준 사용량 목표치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는지 여부 및 현재 시간대의 전기 요금에 비하여 높은 순간전력을 사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에 대한 전력 사용 상태를 판단한다. 이때, 휴대기기(100)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에 대한 전력 사용 상태를 복수의 단계로 나누어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기기(100)는 전력 사용 상태에 대한 GUI를 생성한다(S1140). 이때, 생성된 GUI는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 상태의 각 단계에 따라, 해당 전자기기를 색깔별로 표시한 GUI일 수도 있고,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 상태의 각 단계에 대응되는 아이콘일 수도 있다.
휴대기기(100)는 생성된 GUI를 디스플레이한다(S1150). 특히, 휴대기기(100)는 증강 현실 기능을 이용하여 생성된 GUI를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휴대기기(100)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가 포함된 이미지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고,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 상태에 대응되는 GUI를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의 표시 위치에 매칭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휴대기기의 전력 사용 상태 표시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휴대기기(100)는 촬영부(160)를 통해 전자기기가 포함된 영상을 촬영한다(S1210). 이때, 영상 속에는 하나의 전자기기가 포함될 수 있고, 복수의 전자기기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휴대기기(100)는 영상 속에서 전자기기를 식별한다(S1220). 이때, 휴대기기(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기기의 모양 정보 또는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기기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기기(100)는 식별된 전자기기에 대한 전력 사용 정보를 수신한다(S1230). 이때, 휴대기기(100)는 Wi-fi 네트워크, Zigbee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및 블루투스 네트워크 중 하나를 이용하여, 식별된 전자기기에 대한 전력 사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식별된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 정보를 수신하면, 휴대기기(100)는 식별된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 상태를 판단한다(S1240). 이때, 휴대기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방법에 의해 해당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 상태를 판단한다. 이때, 휴대기기(100)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에 대한 전력 사용 상태를 제1 단계(좋음), 제2 단계(보통), 제3 단계(나쁨)와 같이 세 단계로 나누어 판단할 수 있다.
휴대기기(100)는 식별된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 상태가 제1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250). 식별된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 상태가 제1 상태라면(S1250-Y), 휴대기기(100)는 영상 속의 해당 전자기기에 녹색이 오버래핑되도록 GUI를 생성한다(S1270).
식별된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 상태가 제1 상태가 아니라면(S1250-N), 휴대기기(100)는 식별된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 상태가 제2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260). 식별된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 상태가 제2 상태라면(S1260-Y), 휴대기기(100)는 영상 속의 해당 전자기기에 황색이 오버래핑되도록 GUI를 생성한다(S1273).
식별된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 상태가 제2 상태가 아니라면(S1260-N), 휴대기기(100)는 해당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 상태가 제3 단계인 것으로 판단하여, 영상 속의 해당 전자기기에 적색이 오버래핑되도록 GUI를 생성한다(S1276).
그리고, 휴대기기(100)는 S1270, S1273, S1276단계에서 생성된 GUI를 디스플레이한다(S1280).
도 11 및 도 12에서 설명한 방법에 의해, 사용자는 가정 내에 사용하는 전자기기의 전기 사용 상태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DR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전력 사용 정보를 수신하는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GUI를 제공하기 위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네트워크 시스템(20)은 도 1에 도시된 홈 네트워크 시스템(10)에서 DR(Demend Response) 컨트롤러(300)가 더 포함된다.
이때, DR 컨트롤러(300)는 효율적으로 전력 관리를 위하여, 전자기기의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를 말한다. 구체적으로, 전력 수요가 피크일 경우 또는 전기 요금이 가장 비싼 경우, DR 컨트롤러(300)는 전자기기의 전력을 낮추고, 전력 수요가 적은 경우 또는 전기 요금이 가장 싼 경우, DR 컨트롤러(300)는 전자기기의 전력을 높이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DR 컨트롤러(300)가 냉난방 장치의 전력을 제어할 때, DR 컨트롤러(300)는 전기 요금에 따라 냉난방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DR 컨트롤러(300)는 복수의 전자기기(200-1,200-2,..,200-5)로부터 복수의 전자기기(200-1,200-2,..,200-5)에 대한 전력 사용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DR 컨트롤러(300)는 수신한 전력 사용 정보를 다시 휴대기기(100)로 전송한다. 이때, DR 컨트롤러(300)는 복수의 전자기기(200-1,200-2,..,200-5)에 대한 전력 사용 정보뿐 아니라 현재 전기 요금 정보 등과 같은 부가적인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기기(100)는 DR 컨트롤러(300)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전자기기(200-1,200-2,..,200-5)에 대한 전력 사용 정보 및 부가적인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도 2 내지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GUI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속에서 식별된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 상태를 GUI로 표시하는 실시예에서 설명하였으나, 저장부(160)에 기 저장된 스틸 이미지를 이용하여, 기 저장된 스틸 이미지 속에 포함된 복수의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 상태를 판단하여, 이를 GUI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기기(100)는 거실에 대한 스틸 이미지를 기 저장하고, 기 저장된 위치에 전력 사용 상태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 상태를 3 단계로 표시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2개 이상의 단계를 이용하여,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색 또는 아이콘을 통해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 상태를 표현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표현 방식으로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 상태를 표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통신부 120: 제어부
130: 디스플레이부 140: 촬영부
150: GUI 생성부 160: 저장부

Claims (22)

  1.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화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에 대한 전력 사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전력 사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에 대한 전력 사용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에 대한 전력 사용 상태에 따라 단계별로 상이한 G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GUI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GUI에 대응되는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을 제어할 수 있는 메뉴가 포함된 메뉴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메뉴가 선택되면, 전력 사용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전자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 사용 상태 표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 상태에 대응되는 GUI를 상기 화면상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의 표시 위치에 매칭시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사용 상태 표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의 위치 정보 또는 모양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사용 상태 표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의 위치 정보 및 모양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사용 상태 표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UI는,
    상기 전력 사용 상태의 단계에 따라 상기 전자기기를 상이한 색상으로 표시한 GU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사용 상태 표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UI는,
    상기 전력 사용 상태의 단계에 따라 상이한 형태로 표시되는 아이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사용 상태 표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전자기기의 현재 전력 사용량이 기준 사용량 목표치를 초과하였는지 여부 또는 현재 전자기기의 사용 패턴으로 사용할 경우 상기 기준 사용량 목표치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에 대한 전력 사용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사용 상태 표시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시간대별 전기 요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한 시간대별 전기 요금을 통해 현재 시간대의 전기 요금에 비하여 높은 순간전력을 사용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에 대한 전력 사용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사용 상태 표시 방법.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Wi-fi 네트워크, Zigbee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및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중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에 대한 전력 사용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사용 상태 표시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사용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에 대한 현재까지의 전력사용량, 순간 전력사용량 및 전기요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사용 상태 표시 방법.
  12.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영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에 대한 전력 사용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GUI를 생성하기 위한 GUI 생성부;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촬영부를 통해 입력된 화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를 식별하고, 상기 수신된 전력 사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에 대한 전력 사용 상태를 판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에 대한 전력 사용 상태에 따라 단계별로 상이한 G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GUI 생성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GUI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GUI에 대응되는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을 제어할 수 있는 메뉴가 포함된 메뉴창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메뉴가 선택되면, 전력 사용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전자기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 상태에 대응되는 GUI를 상기 화면상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의 표시 위치에 매칭시켜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의 위치 정보 또는 모양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의 위치 정보 및 모양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GUI는,
    상기 전력 사용 상태의 단계에 따라 상기 전자기기를 상이한 색상으로 표시한 GU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GUI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에 대한 전력 사용 상태의 단계에 따라 상이한 형태로 표시되는 아이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자기기의 현재 전력 사용량이 기준 사용량 목표치를 초과하였는지 여부 또는 현재 전자기기의 사용 패턴으로 사용할 경우 상기 기준 사용량 목표치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에 대한 전력 사용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시간대별 전기 요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시간대별 전기 요금을 통해 현재 시간대의 전기 요금에 비하여 높은 순간전력을 사용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에 대한 전력 사용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20. 삭제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Wi-fi 네트워크, Zigbee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및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중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에 대한 전력 사용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2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사용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에 대한 현재까지의 전력사용량, 순간 전력사용량 및 전기요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KR1020170095295A 2017-07-27 2017-07-27 전력 사용 상태 표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휴대기기 KR101852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295A KR101852952B1 (ko) 2017-07-27 2017-07-27 전력 사용 상태 표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휴대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295A KR101852952B1 (ko) 2017-07-27 2017-07-27 전력 사용 상태 표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휴대기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6297A Division KR101764251B1 (ko) 2011-04-19 2011-04-19 전력 사용 상태 표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휴대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1073A KR20170091073A (ko) 2017-08-08
KR101852952B1 true KR101852952B1 (ko) 2018-04-27

Family

ID=59653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5295A KR101852952B1 (ko) 2017-07-27 2017-07-27 전력 사용 상태 표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휴대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29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6420A (ko) * 2022-01-06 2023-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55745A1 (en) * 2009-09-01 2011-03-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doptive monitoring and reporting of resource utilization and efficienc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55745A1 (en) * 2009-09-01 2011-03-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doptive monitoring and reporting of resource utilization and efficienc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1073A (ko) 2017-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4251B1 (ko) 전력 사용 상태 표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휴대기기
KR102251483B1 (ko) 영상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EP293395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ome monitoring
US20180205253A1 (en) Charging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EP2911377B1 (en) Method of providing preview image regarding display setting for device
EP2958316B1 (en) Electronic device using composition information of picture and shoot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2186547B1 (ko) 선택 가능한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
US11262903B2 (en) IoT devic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US10548003B2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an external device using a number and method thereof
CN107272879A (zh) 用于控制外部设备的显示装置、系统和方法
US10929563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tecting users privacy
KR20150021803A (ko) 무선 충전 운영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휴대 전자 장치
KR20150097260A (ko) 모션 센싱 방법 및 그 사용자 기기
KR102110257B1 (ko)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전자 기기 및 방법
KR102282498B1 (ko)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입력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60111211A (ko) 데이터 통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190436B1 (ko)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995506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 composition of a picture in a portable terminal
KR101852952B1 (ko) 전력 사용 상태 표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휴대기기
KR102236203B1 (ko)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70071654A (ko) 사물인터넷 서비스 시나리오 생성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휴대용 단말기, 및 게이트웨이 장치
KR102246645B1 (ko) 영상 획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90101817A (ko) 블루투스 통신을 사용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KR20150073692A (ko) 이미지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1108586B2 (en) Infotainment apparatus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