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2815B1 - 클라이언트용 및 서버용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클라이언트용 및 서버용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2815B1
KR101852815B1 KR1020110060070A KR20110060070A KR101852815B1 KR 101852815 B1 KR101852815 B1 KR 101852815B1 KR 1020110060070 A KR1020110060070 A KR 1020110060070A KR 20110060070 A KR20110060070 A KR 20110060070A KR 101852815 B1 KR101852815 B1 KR 101852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client
file
client devic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0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40372A (ko
Inventor
신우형
우성호
박경랑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0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2815B1/ko
Priority to US13/466,535 priority patent/US9219798B2/en
Priority to EP12004273.4A priority patent/EP2538703B1/en
Publication of KR20120140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40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2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6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file transfer, e.g. file transfer protocol [F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1File system administration, e.g. details of archiving or snapshots
    • G06F16/122File system administration, e.g. details of archiving or snapshots using management polic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7Details of further file system functions
    • G06F16/178Techniques for file synchronisation in fil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고려되어 단말기의 사용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클라이언트용 및 서버용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서버 단말기의 파일을 저장하는 특정 폴더(또는 모든 폴더)를 마치 자신의 단말기 내에 있는 폴더처럼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사용자가 서버 단말기의 파일을 더욱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클라이언트용 및 서버용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CLIENT AND SERVER TERMINAL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고려되어 단말기의 사용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클라이언트용 및 서버용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에는 단말기 간의 파일 공유에 대한 필요성이 빈번해지고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둘 이상의 단말기들(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을 동시에 보유하고, 이들 각각에 저장된 파일들(예를 들면, 사진, 음악파일과 같은 멀티미디어 컨텐츠)을 서로 다른 단말기로 이동하는 경우가 자주 있다. 또는 둘 이상의 사용자들이 자신의 단말기들을 보유하고, 각 단말기에 저장된 파일을 다른 단말기와 공유할 경우도 자주 있다. 여기서, 파일을 제공하는 단말기는 서버 단말기 또는 장치로 이해될 수 있고, 파일을 제공받는 단말기는 클라이언트 단말기 또는 장치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상기 서버 단말기의 파일을 저장하는 특정 폴더(또는 모든 폴더)를 마치 자신의 단말기 내에 있는 폴더처럼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사용자가 서버 단말기의 파일을 더욱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상기 서버 단말기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파일을 편리하게 공유하도록 하는 필요성을 만족하는 한편, 상기 서버 단말기 사용자에 허용하는 특정 클라이언트 단말기에게만 파일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서버 단말기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존중할 수 있도록 하는 필요성도 역시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해 제안되는 것으로서,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서버 단말기의 파일을 저장하는 특정 폴더(또는 모든 폴더)를 마치 자신의 단말기 내에 있는 폴더처럼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사용자가 서버 단말기의 파일을 더욱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한편으로는 상기 서버 단말기가 특정 클라이언트 단말기에게만 파일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서버 단말기의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존중할 수 있도록 하는 클라이언트용 및 서버용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 적어도 하나의 서버 폴더로 구성되는 서버 메모리부를 구비하는 서버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서버 장치와의 통신이 확립되어 상기 서버 메모리부의 특정 서버 폴더가 파일 공유 시스템 방식으로 접속될 때, 자동으로 상기 특정 서버 폴더를 스캔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파일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때, 상기 스캔된 특정 서버 폴더 내의 적어도 하나의 파일의 표시자가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자동으로 업로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폴더로 구성되는 메모리부, 클라이언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통신부가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와의 통신이 확립될 때,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소정 식별자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통신부가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상기 전송된 식별자와 동일한 식별자를 포함하는 상기 메모리부의 특정 폴더에 대한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저장된 식별자와 상기 접속 요청 신호에 포함된 상기 식별자가 서로 동일할 때,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게 상기 접속 요청 신호에 대한 승인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특정 폴더와 상기 파일 공유 시스템 방식으로 접속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서버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서버 폴더로 구성되는 서버 메모리부를 구비하는 서버 장치와 통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 장치와의 통신이 확립되어 상기 서버 메모리부의 특정 서버 폴더가 파일 공유 시스템 방식으로 접속될 때, 자동으로 상기 특정 서버 폴더를 스캔하는 단계, 및 상기 파일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때, 상기 스캔된 특정 서버 폴더 내의 적어도 하나의 파일의 표시자가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자동으로 업로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서버 폴더로 구성되는 서버 메모리부를 구비하는 서버 장치와 통신하도록 하는 명령어, 상기 서버 장치와의 통신이 확립되어 상기 서버 메모리부의 특정 서버 폴더가 파일 공유 시스템 방식으로 접속될 때, 자동으로 상기 특정 서버 폴더를 스캔하도록 하는 명령어, 및 상기 파일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때, 상기 스캔된 특정 서버 폴더 내의 적어도 하나의 파일의 표시자가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자동으로 업로드되도록 제어하도록 하는 명령어가 클라이언트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도록 인코딩된 전자적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 장치와의 통신을 시도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와의 통신이 확립될 때,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소정 식별자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상기 전송된 식별자와 동일한 식별자를 포함하는, 메모리부의 특정 폴더에 대한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식별자와 상기 접속 요청 신호에 포함된 상기 식별자가 서로 동일할 때,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게 상기 접속 요청 신호에 대한 승인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특정 폴더와 파일 공유 시스템 방식으로 접속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 장치와의 통신을 시도하도록 하는 명령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와의 통신이 확립될 때,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소정 식별자를 수신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명령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상기 전송된 식별자와 동일한 식별자를 포함하는, 메모리부의 특정 폴더에 대한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도록 하는 명령어, 및 상기 저장된 식별자와 상기 접속 요청 신호에 포함된 상기 식별자가 서로 동일할 때,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게 상기 접속 요청 신호에 대한 승인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특정 폴더와 파일 공유 시스템 방식으로 접속되도록 제어하도록 하는 명령어가 서버 장치에서 수행되도록 인코딩된 전자적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라이언트용 및 서버용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서버 단말기의 파일을 저장하는 특정 폴더(또는 모든 폴더)를 마치 자신의 단말기 내에 있는 폴더처럼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사용자가 서버 단말기의 파일을 더욱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서버 단말기가 특정 클라이언트 단말기에게만 파일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서버 단말기의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존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클라이언트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서버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구현되기 위한 통신 네트워크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에서 인트라넷을 통한 클라이언트 장치와 서버 장치 간의 통신이 구현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의 통신이 구현되는 클라이언트 장치와 서버 장치의 계층별 블록 구성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4의 통신이 구현되는 클라이언트 장치 또는 서버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에서 인터넷을 통한 클라이언트 장치와 서버 장치 간의 통신이 구현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8의 통신이 구현되는 클라이언트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에서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을 통한 클라이언트 장치와 서버 장치 간의 통신이 구현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통신이 구현되는 클라이언트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에서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을 통한 클라이언트 장치와 서버 장치 간의 통신이 구현되는 흐름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둘 이상의 서버 장치들과 동시에 통신 중인 클라이언트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다.
도 15는 도 4의 통신이 구현되는 클라이언트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먼저, 본 발명에서 클라이언트 장치로 사용될 수 있는 이동단말기에 대해 살펴본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이동단말기용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에 주로 적용되는 것(예를 들면, 위치 정보 모듈 등)을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를 위해서도 적용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고정 단말기도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 사용될 수 있음은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GSM(G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이에 한정되지 않음)와 같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GSM, CDMA, WCDMA, LTE(Long Term Evolution)(이에 한정되지 않음)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와이파이에 의한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을 "와이파이 모듈"이라 호칭될 수 있다. 상기 와이파이 모듈은 주변의 다른 단말기들에게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소프트 엑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이하 "AP"라 약칭함)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이동단말기에서 소프트 AP 기능이 활성화되면, 노트북과 같은 외부기기가 상기 소프트 AP 기능을 통해 상기 이동단말기에 와이파이 접속을 할 수 있다.
Wibro, HSDPA, GSM, CDMA, WCDMA, LTE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센싱부(140)의 예로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등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터치스크린과 관련되어 후술된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햅틱 모듈(154) 및 프로젝터 모듈(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미도시)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음성출력모듈(152)은 알람부(153)의 일종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예를 들면, 각 전화번호, 각 메시지, 각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빈도)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 및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이 상기 무선 데이터 포트로 이용될 수 있음을 고려할 때, 이들은 상기 인터페이스부(170)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서 클라이언트 장치로 사용될 수 있는 이동단말기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 대응되어 사용될 수 있는 서버 장치에 대해 설명하겠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서버 장치에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와 통신될 수 있고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면 제한이 없다. 상기 서버 장치의 예로는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 등(이에 한정되지 않음)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서버 장치가 도 1과 관련하여 전술된 이동단말기일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서버 장치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서버 장치(200)는 무선 통신부(210), A/V(Audio/Video) 입력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출력부(250), 메모리(260), 인터페이스부(270), 제어부(280) 및 전원 공급부(2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210)는 무선 인터넷 모듈(213) 및 근거리 통신 모듈(21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력부(250)는 디스플레이부(251)와 음향출력모듈(2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260)는 적어도 하나의 폴더로 구성될 수 있고, 파일들이 폴더 별로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서버 장치(200)의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도 1과 관련하여 전술된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각 해당 구성요소와 동일하거나 상당히 유사하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의 간명함을 위해 생략하도록 하겠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모두가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필요에 따라서는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서버 장치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구현되기 위한 통신 네트워크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구현되기 위한 통신 네트워크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다.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가 인트라넷 통신 또는 인터넷 통신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서버 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200)가 두 개의 서버(200A, 200B)와 통신하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상기 인트라넷과 상기 인터넷 통신은 TCP/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Internet Protocol) 또는 UDP/IP (User Datagram Protocol / Internet Protocol)을 통해 행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인트라넷과 상기 인터넷은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한 디바이스로부터 브로드캐스팅 신호가 전송되었을 때 다른 디바이스가 상기 전송된 브로드캐스팅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네트워크 범위를 인트라넷이라고 정의하겠다. 그리고, 둘 이상의 인트라넷들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범위를 인터넷이라고 정의하겠다.
상기 인트라넷에 대해 좀더 부연하면, 예를 들어 하나의 무선 AP에 공히 연결된 둘 이상의 다바이스들 간의 네트워크가 상기 인트라넷일 수 있고, 소프트 AP 기능이 활성화된 한 디바이스와 상기 활성화된 소프트 AP 기능을 통한 다른 디바이스 간의 네트워크가 상기 인트라넷 통신일 수 있다.
이하,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와 상기 서버 장치가 상기 인트라넷을 통해 통신하는 경우와 상기 인터넷을 통해 통신하는 경우를 나누어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의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상기 서버 장치(200)의 디스플레이 모듈(251)이 터치스크린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하겠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에서 이들이 반드시 터치스크린으로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님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면부호 400으로 지칭하고, 상기 서버 장치(200)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면부호 500으로 지칭하도록 하겠다.
먼저,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와 상기 서버 장치가 상기 인트라넷을 통해 통신하는 경우에 대해 먼저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에서 인트라넷을 통한 클라이언트 장치와 서버 장치 간의 통신이 구현되는 흐름도이고, 도 5는 도 4의 통신이 구현되는 클라이언트 장치와 서버 장치의 계층별 블록 구성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4의 통신이 구현되는 클라이언트 장치 또는 서버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다.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에서 클라이언트 기능이 활성화될 수 있다[S41]. 예를 들면, 도 6의 (6-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의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상기 클라이언트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아이콘(410)이 사전 준비되어 있고, 상기 클라이언트 아이콘(410)이 터치되어 선택됨으로써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기능이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의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서버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기를 원할 때 상기 클라이언트 아이콘을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에서 반드시 상기 클라이언트 아이콘을 통해서만 상기 클라이언트 기능이 활성화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의 상기 위치정보모듈(115)에 의해 획득된 현재 위치가 사전 설정된 위치 영역 이내일 때 상기 제어부(180)는 자동으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기능이 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가 사전 설정된 특정 무선 AP에 접속할 때, 상기 제어부(180)는 자동으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기능이 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서버 장치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기능에 대응되는 서버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다는 조건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기능이 활성화되기만 하면, 이는 더 이상의 사용자의 조작 없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통신부와 상기 서버 장치 간의 통신이 확립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서버 장치가 활성화되고, 상기 통신부와 상기 서버 장치 간에 통신이 확립되는 것에 대해 계속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에서 클라이언트 기능이 활성화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상기 서버 장치(200)도 여러 가지 방법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S42]. 예를 들면, 도 6의 (6-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버 장치(200)의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상기 서버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팝업창(510)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팝업창에서 서버 장치 사용자가 "서버 enable" 항목을 터치하여 선택함으로써 상기 서버 기능이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서버 기능이 활성화됨과 함께, 상기 서버 장치의 사용자는 상기 팝업창(510)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에 의해 스캔되는 것을 허용하는 상기 서버 장치(200)의 상기 메모리(내장 또는 외장)의 적어도 하나의 폴더를 사전 설정할 수도 있다. 도 6의 (6-2)에서는 상기 팝업창(510)에 상기 서버 장치의 상기 메모리의 폴더들이 표시되고, 상기 서버 장치 사용자가 상기 표시되는 폴더들 중에서 소망 폴더를 터치하여 사전설정하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서버 장치의 사용자는 상기 팝업창(510)을 통해 패스워드(예를 들면 "1234")를 사전 설정할 수도 있다[S43]. 상기 사전 설정된 패드워드는 이를 알고 있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사용자만이 상기 서버 장치(200)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다시 나중에 설명된다. 전술한 S41, S42, 및 S43 단계들 간에 어떤 실행 순서가 정해질 필요가 없고, 이들 중 둘 이상의 단계들이 동시에 행해지거나, 각 단계의 순서가 어떻게 바뀌어도 상관없다.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 또는 상기 서버 장치(200)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기능 또는 상기 서버 기능이 상시로 활성화되어 있도록 구성된 경우에는 상기 S41 단계 및 S42단계가 없어도 무방하다.
상기 서버 장치(200)가 활성화되면 자신의 존재를 상기 인트라넷 내에서 브로드캐스팅한다[S44]. 즉, 상기 서버 장치(200)는 자신의 존재를 알리기 위해 자신의 서버 이름(또는 ID)(예를 들면, "LG Xnote")을 상기 인트라넷 내에서 브로드캐스팅한다.
상기 클라이언트 기능이 활성화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가 상기 동일한 인트라넷 내에 존재하고 있다면, 상기 브로드캐스팅된 상기 서버 장치(200)의 서버 이름을 수신할 수 있다[S44].
상기 브로드캐스팅된 상기 서버 이름을 수신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는 상기 서버 이름에 해당하는 상기 서버 장치(200)의 서버 IP 주소를 알려줄 것을 요청하는 서버 IP 요청신호를 상기 인트라넷 내에서 브로드캐스팅한다[S45]. 상기 IP요청신호에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의 식별자 또는 식별 정보(예를 들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의 클라이언트 IP주소)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브로드캐스팅된 상기 서버 IP 요청신호를 수신한 상기 서버 장치(200)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자신의 서버 IP 주소를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로 유니캐스팅한다[S46].
상기 유니캐스팅된 상기 서버 IP 주소를 수신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는, 도 7의 (7-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상기 서버 장치(200)의 서버 이름("LG Xnote")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47]. 상기 인트라넷 내에 상기 서버 장치(200)("LG Xnote") 이외에 또다른 서버 장치(예를 들면, "LG Optimus")가 존재한다면, 상기 전술한 절차(S42 내지 S46)를 반복함으로써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는 상기 또다른 서버 장치의 서버 이름("LG Optimus")도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의 사용자는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버 장치 중에서 하나를 터치하여 선택할 수 있다[S47].
이와 같은 S44 내지 S47 단계의 UPnP (Universal Plug and Play) 방식으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과 상기 서버 장치(200) 간의 통신이 확립될 수 있다[S48].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과 상기 서버 장치(200) 간의 통신이 확립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의 상기 제어부(180)는, 도 7의 (7-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버 장치(200)에서 사전 설정된 패스워드를 입력하기 위한 패스워드 화면이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의 사용자가 상기 패스워드 화면을 통해서 상기 사전 설정된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다[S49].
상기 입력된 패드워드는 상기 서버 장치(200)로 전달되고[S50], 상기 서버 장치(200)에서 상기 입력된 패드워드가 상기 사전설정된 패드워드와 동일하다고 판단되면[S51],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와 상기 서버 장치(200) 간의 인증 절차가 완료될 수 있다[S52].
상기 서버 장치(200)가 별도의 인증 절차 없이 모든 클라이언트 장치에게 상기 서버 장치(200)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에는 S43 및 S49 내지 S53 단계가 없어도 무방하다.
상기 패스워드 입력 단계(S49)는 상기 서버 선택 단계(S47) 단계와 동시에 행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입력 패스워드 전송 단계(S50)는 상기 통신 확립 단계(S48)과 더불어 함께 행해질 수 있다.
상기 인증 절차가 완료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는 상기 서버 장치(200)에게 상기 사전 설정된 특정 폴더에 대한 접속을 요청할 수 있다[S53].
그러면, 상기 서버 장치(200)는 상기 접속 요청에 대해 응답을 한다[S54].
이로써,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는 파일 공유 시스템 방식에 따라 상기 서버 장치(200)의 상기 특정 폴더에 대한 접속을 완료할 수 있다[S55]. 상기 파일 공유 시스템 방식은 NFS(Network File System) 방식, SMB(Server Message Block) 방식, 및 CIFS(Common Internet File System) 방식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특정 폴더에 대한 접속이 완료됨으로써,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는 상기 접속된 특정 폴더가 마치 자신의 상기 메모리(160)의 일부인 것처럼 인식할 수 있다. 이는 상기 특정 폴더가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에 마운트(mount)되었다고 표현될 수도 있다.
상기 특정 폴더에 접속이 완료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200)의 상기 제어부(180)는 자동으로 상기 접속된 특정 폴더를 스캐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56].
그래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상기 특정 폴더 내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파일의 표시자(indicator)를 상기 서버 장치(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57]. 상기 표시자는 상기 저장된 파일을 표시하기 위한 정보로서, 상기 파일의 이름, 썸네일 이미지, 크기, 확장자, 생성 날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편함을 위해 상기 표시자가 파일의 썸네일인 것으로 가정하겠다.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200)가 상기 특정 폴더 내에 저장된 파일의 썸네일을 상기 서버 장치(200)로부터 수신한다고 해서 아직 상기 저장된 파일의 실제 컨텐트를 수신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즉,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는 상기 저장된 파일의 썸네일만을 우선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저장된 파일의 실제 컨텐트는 나중에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와 상기 서버 장치(200) 간에 통신이 확립되고 인증 절차가 완료되기만 하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의 상기 제어부(180)는 더 이상의 사용자의 조작이 없더라도 자동으로 상기 서버 장치(200)의 상기 특정 폴더를 스캔함으로써 상기 특정 폴더에 저장된 파일의 썸네일을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에서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S58]. 예를 들면,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은, 도 7의 (7-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에서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터치되어 선택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접속된 특정 폴더가 이미 스캐닝되었으므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의 사용자가 상기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서버 장치(200)의 상기 특정 폴더를 스캐닝하기 위한 별도의 명령을 입력하지 않더라도,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의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기만 하면 상기 특정 폴더 내의 파일의 썸네일이 자동으로 상기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에 업로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도 7의 (7-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의 사용자가 상기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서버 장치(200)의 상기 특정 폴더를 스캐닝하기 위한 별도의 명령을 입력하지 않더라도,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의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서버 장치(200)의 상기 특정 폴더 내의 파일이 썸네일이 상기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59].
예를 들어, 상기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이 사진 파일을 보기 위한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이라고 가정하자. 도 7의 (7-4)에서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에서 상기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때,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의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된 사진 파일들의 썸네일들이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디스플레이될 뿐 아니라, 상기 서버 장치의 상기 특정 폴더에 저장된 사진 파일들의 썸네일들도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서버 장치의 상기 특정 폴더에 저장된 사진 파일들의 썸네일들은, 도 7의 (7-4)에 도시된 바아 같이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따라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의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된 사진 파일들의 썸네일들과 시각적으로 구분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시각적 디스플레이 구분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디스플레이된 특정 폴더에 저장된 사진 파일들 중에서 한 파일의 썸네일이 터치되어 선택될 수 있다[S60].
그러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는 상기 선택된 파일에 대한 억세스를 상기 서버 장치(200)로 요청할 수 있다[S61]. 이 때, 상기 선택된 파일이 상기 서버 장치에서 직접 실행되지는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는 상기 선택된 파일의 실제 컨텐트를 상기 서버 장치(200)로부터 수신하여, 도 7의 (7-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400)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62].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트를 일부 수정(예를 들면, 이미지 보정)하였을 때,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의 상기 제어부(180)는 실시간으로 상기 수정 사항을 상기 서버 장치에 전송하여 상기 수정 사항이 상기 서버 장치의 상기 특정 폴더 내의 해당 파일에서도 반영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는 상기 선택된 파일의 실제 컨텐트를 완전히 수신한 후에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러나, 예컨대 상기 선택된 파일이 동영상 또는 오디오 파일인 경우에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는 상기 선택된 파일의 실제 컨텐트를 완전히 수신하기 전에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하면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파일의 실제 컨텐트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의 버퍼에 임시로 저장되고, 별도의 사용자 명령이 있을 때,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의 상기 메모리(160)에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수신된 파일의 실제 컨텐트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에 수신되기만 하면, 별도의 사용자 명령이 없더라도, 자동으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의 상기 메모리(160)에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썸네일의 삭제 명령이 입력될 때, 상기 썸네일이 상기 터치스크린(400)에서 삭제되면서 상기 서버 장치의 해당 파일이 함께 삭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썸네일의 삭제 명령이 입력될 때, 상기 터치스크린(400)에서 상기 썸네일은 삭제되지만 상기 서버 장치에서 상기 해당 파일은 삭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접속된 폴더의 파일들이 썸네일들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의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도중에,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 및 상기 서버 장치(200) 간의 통신이 해제될 수도 있다. 상기 통신 해제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 또는 상기 서버 장치의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행해질 수도 있고, 또는 상기 사용자의 의도와는 상관 없이 양 장치들 간의 통신 환경에 따라 불가피하게 행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는 상기 접속된 폴더의 파일들이 썸네일들을 자동적으로 저장하는 한편, 상기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 여전히 상기 썸네일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디스플레이된 썸네일들 중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가 자동으로 상기 서버 장치(200)와 통신을 확립하고 상기 선택된 썸네일의 해당 파일 컨텐트를 상기 서버 장치(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가 상기 서버 장치(200)의 상기 특정 폴더에 접속되었을 때,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기 전이라도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의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상기 특정 폴더 접속 사실을 알리는 팝업창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팝업창 내에 상기 접속된 특정 폴더 내의 파일들(파일 컨텐츠)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신하기 위한 메뉴들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상기 인트라넷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와 상기 서버 장치가 서로 통신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되었다. 이하에서는 상기 인터넷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와 상기 서버 장치가 서로 통신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겠다. 이하에서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 및 상기 서버 장치에서 각각 상기 클라이언트 기능과 상기 서버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설명하겠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에서 인터넷을 통한 클라이언트 장치와 서버 장치 간의 통신이 구현되는 흐름도이고, 도 9는 도 8의 통신이 구현되는 클라이언트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다.
도 9의 (9-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의 사용자는 소망 서버 장치를 선택하기 위해, 예를 들어 상기 터치스크린(4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전화번호부의 리스트에서 접속하고자 하는 상대방(즉, 서버 장치)을 터치하여 선택할 수 있다[S81].
그러면, 상기 클라언트 장치(100)의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선택된 상대방의 단말기(즉, 서버 장치)의 IP주소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선택된 상대방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S82]. 상기 전송되는 메시지는 이메일일 수도 있고, 또는 단문메시지(SMS)(이에 한정되지 않음)와 같은 텍스트 메시지일 수도 있다.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상대방이 자신의 단말기를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를 위해 서버 장치로서 제공하기를 원한다면, 상기 메시지의 회신(즉, 이메일 또는 텍스트 메시지)으로서 자신의 단말기의 IP주소를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S83]. 상기 상대방의 단말기에 전술한 패스워드가 사전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IP주소와 함께 상기 사전 설정된 패스워드도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상기 수신된 IP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 장치로서의 상기 상대방의 단말기와 통신이 확립될 수 있다[S84].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200)가 상기 사전 설정된 패드워드를 수신한다면 이를 이용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기와의 인증 절차를 완료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특정 폴더가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200)에 마운팅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미 앞서 설명되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의 간명함을 위해 생략하겠다.
그 후,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가 상기 상대방의 단말기의 특정 폴더로 접속하는 것이 해제될 수 있다[S85]. 상기 특정 폴더의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로의 마운트가 해제될 수 있다.
상기 마운트가 해제될 때,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의 상기 제어부(180)는, 도 9의 (9-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버 장치로서 상기 상대방 단말기와 접속하기 위한 접속 아이콘(420)이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또는 자동으로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86]. 상기 접속 아이콘(420)은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IP 주소를 저장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상기 접속 아이콘은 상기 서버 장치의 상기 특정 서버 폴더에 관한 정보 및 상기 패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의 사용자는 추후에 상기 상대방 단말기와 접속하기 위해서는 상기 생성된 접속 아이콘(420)을 터치하여 선택하기만 하면 된다. 그러면, 전술한 상기 S81 내지 S83 단계가 실행될 필요가 없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와 상기 상대방 단말기와의 통신 확립이 신속하게 행해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상기 인트라넷 또는 상기 인터넷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와 상기 서버 장치가 서로 통신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되었다.
전술된 상기 인트라넷을 통한 통신 방법은 브로드캐스팅의 한계로 인해 상기 인터넷에서는 적용되기가 힘들 것이다. 그러나, 전술된 상기 인터넷을 통한 통신 방법은 인트라넷 내에서도 메시지 전송을 가능하므로 인트라넷에서 적용될 수도 있음은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하나의 클라이언트 장치가 이상에서 설명된 상기 인트라넷 또는 상기 인터넷을 통한 통신 절차를 둘 이상의 서버 장치들에 대해 반복적으로 수행된다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 상기 둘 이상의 서버 장치들의 특정 폴더들이 동시에 마운팅될 수 있음은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에 상기 서버 장치(200)의 특정 폴더가 마운팅된 이후에 상기 서버 장치(200)의 상기 특정 폴더에 파일이 추가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겠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에서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을 통한 클라이언트 장치와 서버 장치 간의 통신이 구현되는 흐름도이고, 도 11는 도 10의 통신이 구현되는 클라이언트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다.
상기 인트라넷 또는 상기 인터넷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는 상기 서버 장치(200)의 특정 폴더에 접속될 수 있고[S101], 상기 접속된 특정 폴더를 스캐닝할 수 있다[S102]. 그리고, 상기 스캐닝된 특정 폴더 내의 파일이, 도 11의 (1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의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앞서 자세히 설명되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의 간명함을 위해 생략하도록 하겠다.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가 상기 특정 폴더에 접속되어 있는 도중에, 상기 서버 장치(200)의 상기 특정 폴더에 파일이 추가될 수 있다[S103].
그러면, 상기 서버 장치(200)는 상기 특정 폴더에 파일이 추가되었음을 알리는 파일 추가 알림 신호를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S104].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의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파일 추가 알림 신호를 수신할 때마다 자동으로 상기 서버 장치(200)의 상기 특정 폴더를 스캐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05].
따라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는, 도 11의 (1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버 장치(200)의 상기 특정 폴더에 추가된 파일("11")을 즉시 반영하여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상기 서버 장치(200)의 상기 특정 폴더에 파일이 추가될 때 상기 파일 추가 알림 신호가 상기 서버 장치(200)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로 전송되고,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가 상기 파일 추가 알림 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서버 장치의 상기 특정 폴더를 스캐닝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의 상기 제어부(180)가 상기 S102 단계에서 상기 서버 장치의 상기 특정 폴더를 최초로 스캐닝한 이후에, 일정 시간 간격마다 주기적으로 백그라운드로 상기 특정 폴더를 스캐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버 장치(200)의 상기 특정 폴더에 파일이 추가될 때 상기 파일 추가 알림 신호가 상기 서버 장치(200)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로 전송하지 않더라도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가 상기 특정 폴더에 추가된 파일을 반영할 수 있다.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도 4에서 설명된 특정 폴더 접속 프로세스(S53 내지 SS55)의 변형에 대해 설명하겠다.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에서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을 통한 클라이언트 장치와 서버 장치 간의 통신이 구현되는 흐름도이다.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와 상기 서버 장치 간에 통신이 확립되고 인증 절차가 완료될 수 있다[S121]. 이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되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의 간명함을 위해 생략하도록 하겠다.
상기 인증 절차가 완료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는 자신의 식별자 또는 식별 정보(예를 들면, IP 주소)를 상기 서버 장치로 전송한다[S122].
그리고,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전송된 클라이언트 장치의 식별자를 저장한다[S123].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는 상기 서버 장치(200)에게 상기 사전 설정된 특정 폴더에 대한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124]. 상기 접속 요청 신호에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의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한 상기 서버 장치(200)의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접속 요청 신호에 포함된 식별자와 상기 미리 저장된 식별자를 서로 비교한다[S125].
비교 결과, 상기 서버 장치(200)는 양자가 서로 동일할 때에만 상기 접속 요청 신호를 승인하는 응답을 한다[S126].
이로써,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는 상기 서버 장치(200)의 상기 특정 폴더에 대한 접속을 완료할 수 있다[S127].
상기 변형된 특정 폴더 접속 프로세스에 의하면, 상기 서버 장치와의 통신 확립 및 인증 절차에 기여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 만이 상기 서버 장치(200)의 상기 특정 폴더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가 둘 이상의 서버 장치(200A, 200B)와 접속하는 경우에 대해 좀더 자세히 설명하겠다.
도 13 및 도 14는 둘 이상의 서버 장치들과 동시에 통신 중인 클라이언트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다.
먼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가 제 1 서버 장치(200A)와 제 2 서버 장치(200B)와 개별적으로 반복적으로 전술된 통신 및 접속 절차를 반복함으로써,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에 제 1 서버 장치(200A)의 제 1 특정 폴더와 제 2 서버 장치(200B)의 제 2 특정 폴더가 동시에 마운트될 수 있다.
상기 마운트된 둘 이상의 서버 장치들의 마운트 히스토리(예를 들면, 서버 이름들 및 그 마운트된 시간 정보)가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저장된 마운트 히스토리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에서 통화 히스토리 또는 메시지 히스토리와 함께 시간 순서대로 나열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또는 상기 통화 히스토리 및 메시지 히스토리와는 별개로 단독으로 시간 순서대로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의 상기 터치스크린(400)의 제 1 영역(430)에는 제 1 서버 장치(200A)("LG Xnote")의 제 1 특정 폴더의 파일들이 디스플레이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터치스크린(400)의 제 2 영역(435)에는 제 2 서버 장치(200B)("LG Optimus")의 제 2 특정 폴더의 파일들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터치스크린(400)에서 제 1 영역(430)에서 한 파일이 제 2 영역(435)으로 터치 드래그될 때,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의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선택된 파일이 제 1 서버 장치(200A)의 제 1 특정 폴더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를 거쳐 제 2 서버 장치(200B)의 제 2 특정 폴더로 (즉, 제 1 특정 폴더 -> 클라이언트 장치 -> 제 2 특정 폴더로) 복사되거나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400)에서 제 1 영역(430)에서 한 파일이 제 2 영역(435)으로 터치 드래그되기 이전에 상기 선택된 파일의 컨텐트가 이미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로 전송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상기 터치스크린(400)에서 제 1 영역(430)에서 한 파일이 제 2 영역(435)으로 터치 드래그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의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전송되어 있는 상기 선택된 파일의 컨텐트를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서 제 2 서버 장치(200B)의 제 2 특정 폴더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복사 또는 이동이 신속히 진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가 이미 제 2 서버 장치(200B)의 제 2 특정 폴더가 마운팅되어 있는 제 1 서버 장치(200A)에 전술된 통신 및 접속 절차를 진행함으로써,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에 제 1 서버 장치(200A)의 제 1 특정 폴더와 제 2 서버 장치(200B)의 제 2 특정 폴더가 동시에 마운트될 수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의 상기 터치스크린(400)의 제 1 영역(430)에는 제 1 서버 장치(200A)("LG Xnote")의 제 1 특정 폴더의 파일들이 디스플레이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터치스크린(400)의 제 2 영역(435)에는 제 2 서버 장치(200B)("LG Optimus")의 제 2 특정 폴더의 파일들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예컨대, 상기 터치스크린(400)에서 제 1 영역(430)에서 한 파일이 제 2 영역(435)으로 터치 드래그될 때,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의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선택된 파일이 제 1 서버 장치(200A)의 제 1 특정 폴더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를 거치지 않고 바로 제 2 서버 장치(200B)의 제 2 특정 폴더로 (즉, 제 1 특정 폴더 -> 제 2 특정 폴더로) 복사되거나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400)에서 제 1 영역(430)에서 한 파일이 제 2 영역(435)으로 터치 드래그될 때,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의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선택된 파일이 제 1 서버 장치(200A)의 제 1 특정 폴더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를 거쳐서 다시 제 1 서버 장치(200A)를 거쳐서 제 2 서버 장치(200B)의 제 2 특정 폴더로 (즉, 제 1 특정 폴더 -> 클라이언트 장치 -> 제 1 서버 장치 -> 제 2 특정 폴더로) 복사되거나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예를 들면, 상기 서버 장치의 상기 특정 폴더에 저장된 사진 파일들의 썸네일들은, 도 7의 (7-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따라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의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된 사진 파일들의 썸네일들과 시각적으로 구분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음이 전술되었다. 그러나, 상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5의 (15-1) 및 (1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버 장치의 상기 특정 폴더에 저장된 사진 파일들의 썸네일들은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의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된 사진 파일들의 썸네일들과 예컨대 파일 생성 날짜 및 시간에 따라 서로 혼재되어 리스트될 수도 있다.
도 15의 (15-1)에서는 상기 서버 장치의 상기 특정 폴더에 저장된 사진 파일들의 썸네일들과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의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된 사진 파일들의 썸네일들은 서로 색상으로 시각적으로 구분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음이 예시되어 있다.
도 15의 (15-2)에서는 상기 서버 장치의 상기 특정 폴더에 저장된 사진 파일들의 썸네일들과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100)의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된 사진 파일들의 썸네일들이 상기 터치스크린(400)의 3D 공간에서 서로 다른 레이어에 디스플레이됨으로써 서로 시각적으로 구분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음이 예시되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클라이언트 장치 110, 210: 무선통신부
120, 220: A/V 입출력부 130, 230: 사용자 입력부
140: 센싱부 150, 250: 출력부
160, 260: 메모리 170, 270: 인터페이스부
180, 280: 제어부 190, 290: 전원공급부
200: 서버 장치

Claims (25)

  1. 메모리;
    디스플레이부;
    적어도 하나의 서버 폴더를 포함한 서버 메모리부를 구비하는 서버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파일 공유 시스템 방식에 따라 상기 서버 장치의 서버 메모리부의 특정 서버 폴더에 접속하여 상기 특정 서버 폴더를 스캔하고, 사진 보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사진 보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됨에 따라, 상기 스캔된 특정 서버 폴더 내의 둘 이상의 제1 사진 파일들을 각각 나타내는 둘 이상의 제1 인디케이터들이 상기 사진 보기 애플리케이션에 업로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업로드된 제1 인디케이터들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둘 이상의 제2 사진 파일들을 각각 나타내는 둘 이상의 제2 인디케이터들을 함께 상기 실행된 사진 보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인디케이터들과 상기 제2 인디케이터들이 상기 실행된 사진 보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상에 서로 시각적으로 구별되게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서버 장치와 통신을 확립될 때 상기 서버 장치로 특정 식별자를 전송하여 상기 서버 장치가 상기 특정 식별자를 저장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상기 통신이 확립될 때 상기 통신부가 상기 전송된 식별자와 동일한 식별자를 포함한 상기 서버 폴더의 접속 요청 신호를 상기 서버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저장된 식별자와 상기 접속 요청 신호에 포함된 상기 식별자가 서로 동일할 때,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상기 접속 요청 신호에 대한 승인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부가 상기 특정 서버 폴더와 상기 파일 공유 시스템 방식으로 접속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위치정보 모듈을 더욱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현재 위치가 사전 설정된 위치 영역 이내일 때 상기 통신부와 상기 서버 장치 간에 통신이 자동으로 확립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가 사전 설정된 특정 무선 AP에 접속할 때, 상기 접속된 무선 AP를 통한 상기 통신부와 상기 서버 장치 간에 통신이 자동으로 확립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장치.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 폴더가 스캔될 때, 상기 서버 폴더 내의 상기 제1 사진 파일들의 썸네일들을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사진 보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때, 상기 수신된 썸네일들이 상기 제1 인디케이터들로써, 상기 사진 보기 애플리케이션에 자동으로 업로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인디케이터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때, 상기 선택된 인디케이터의 해당 사진 파일이 상기 서버 장치에서 실행됨 없이 상기 해당 사진 파일을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사진 보기 애플리케이션에서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인디케이터들 중 특정 인디케이터의 삭제 명령이 입력될 때, 상기 특정 인디케이터가 삭제되면서 상기 서버 장치의 해당 사진 파일이 함께 삭제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특정 인디케이터는 삭제되지만 상기 서버 장치의 상기 해당 사진 파일은 삭제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서버 폴더에 사진 파일이 추가될 때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사진 파일 추가 알림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사진 파일 추가 알림 신호에 반응하여 자동으로 상기 특정 서버 폴더를 다시 스캔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장치.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KR1020110060070A 2011-06-21 2011-06-21 클라이언트용 및 서버용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852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070A KR101852815B1 (ko) 2011-06-21 2011-06-21 클라이언트용 및 서버용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13/466,535 US9219798B2 (en) 2011-06-21 2012-05-08 Client and server terminal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12004273.4A EP2538703B1 (en) 2011-06-21 2012-06-05 Client and server terminal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070A KR101852815B1 (ko) 2011-06-21 2011-06-21 클라이언트용 및 서버용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40372A KR20120140372A (ko) 2012-12-31
KR101852815B1 true KR101852815B1 (ko) 2018-06-04

Family

ID=46603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0070A KR101852815B1 (ko) 2011-06-21 2011-06-21 클라이언트용 및 서버용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219798B2 (ko)
EP (1) EP2538703B1 (ko)
KR (1) KR1018528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97598B1 (fr) * 2012-10-26 2015-12-25 Eutelsat Sa Procede de recuperation d'un contenu correspondant a une adresse url par un dispositif client
KR20170024392A (ko) 2015-08-25 2017-03-0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파일 시스템 이벤트에 따라 외부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4071789A (zh) * 2021-11-15 2022-02-18 合众新能源汽车有限公司 文件共享方法和系统、发送端设备与接收端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83178A1 (en) * 2000-08-11 2002-06-27 Brothers John David West Resource distribution in network environment
US20080307106A1 (en) * 2007-06-08 2008-12-11 Apple Inc. Photo Streaming to Media Device
JP2009523273A (ja) * 2005-12-21 2009-06-18 ピックスセン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クライアント・サーバ・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携帯無線装置を用いたデジタル・メディア管理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68999B2 (en) * 1996-06-28 2004-07-27 Mirror Worlds Technologies, Inc. Enterprise, stream-base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20030164856A1 (en) * 1996-06-28 2003-09-04 Randy Prager Desktop, stream-base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6460058B2 (en) * 1996-12-06 2002-10-01 Microsoft Corporation Object-oriented framework for hyperlink navigation
US7917628B2 (en) 1999-12-02 2011-03-29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Managed peer-to-peer applications,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ed data access and storage
US20020029242A1 (en) * 2000-01-17 2002-03-07 Satoshi Seto Image editing method and system
US20020112020A1 (en) * 2000-02-11 2002-08-15 Fisher Clay Harvey Archive of a website
US20010016878A1 (en) * 2000-02-17 2001-08-23 Hideki Yamanaka Communicating system and communicating method for controlling throughput
US6813618B1 (en) * 2000-08-18 2004-11-02 Alexander C. Loui System and method for acquisition of related graphical material in a digital graphics album
WO2002076003A2 (en) * 2001-03-19 2002-09-26 Imesh Ltd. System and method for peer-to-peer file exchange mechanism from multiple sources
US7580972B2 (en) * 2001-12-12 2009-08-25 Valve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bandwidth on client and server
US20030158927A1 (en) * 2002-02-21 2003-08-21 Gateway, Inc. Connected home network console
US7146569B2 (en) * 2002-10-10 2006-12-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for visual representation of an address space
US20050219665A1 (en) * 2004-03-01 2005-10-06 Fuji Photo Film Co., Ltd.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editing images
GB2412280A (en) * 2004-03-19 2005-09-21 Canon Europa Nv Creating and editing a library of digital media documents
JP4471715B2 (ja) * 2004-04-14 2010-06-02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US7308550B2 (en) * 2004-06-08 2007-12-11 Siemens Energy & Automation, Inc. System for portable PLC configurations
US8732182B2 (en) * 2004-12-02 2014-05-20 Desktopsites Inc. System and method for launching a resource in a network
US20060143292A1 (en) * 2004-12-28 2006-06-29 Taubenheim David B Location-based network access
US7424267B2 (en) 2005-03-07 2008-09-09 Broadcom Corporation Automatic resource availability using Bluetooth
US7587675B2 (en) * 2006-02-28 2009-09-08 Microsoft Corporation Network map
US8121990B1 (en) * 2006-06-28 2012-02-21 Insors Integrated Communications Methods, systems and program products for communicating file modification information
EP1912404B1 (en) * 2006-10-11 2011-06-01 Murata Machinery, Ltd. File transfer server
US8180323B2 (en) * 2007-04-09 2012-05-15 Kyocera Corporation Non centralized security function for a radio interface
US7668880B1 (en) * 2007-05-15 2010-02-23 Jim Carroll Offsite computer file backup system providing rapid recovery and method thereof
US20090193410A1 (en) * 2007-09-28 2009-07-30 Xcerion Aktiebolag Network operating system
JP4643673B2 (ja) * 2008-03-14 2011-03-02 キヤノンIt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文書管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の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316387B2 (en) * 2008-08-28 2012-11-20 Microsoft Corporation Exposure of remotely invokable method through a webpage to an application outside web browser
US8656290B1 (en) * 2009-01-08 2014-02-18 Google Inc. Realtime synchronized document editing by multiple users
US8698762B2 (en) * 2010-01-06 2014-04-15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and displaying content in context
JP5822078B2 (ja) * 2010-06-25 2015-11-24 日本電気株式会社 機密情報漏洩防止システム、機密情報漏洩防止方法及び機密情報漏洩防止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83178A1 (en) * 2000-08-11 2002-06-27 Brothers John David West Resource distribution in network environment
JP2009523273A (ja) * 2005-12-21 2009-06-18 ピックスセン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クライアント・サーバ・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携帯無線装置を用いたデジタル・メディア管理
US20080307106A1 (en) * 2007-06-08 2008-12-11 Apple Inc. Photo Streaming to Media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38703A1 (en) 2012-12-26
KR20120140372A (ko) 2012-12-31
EP2538703B1 (en) 2019-08-21
US9219798B2 (en) 2015-12-22
US20120331042A1 (en) 201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787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8547342B2 (en) Gesture-based delivery from mobile device
KR101719653B1 (ko) 이동 단말기, 전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CN108933865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US9917653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99004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클라우드 시스템
KR102381772B1 (ko) 이미지 공유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
KR2011012309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45060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830665B1 (ko) eUICC가 내장된 장치의 프로파일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70137445A (ko) 파일 공유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KR20110087006A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14065706A (zh) 一种多设备数据协作的方法及电子设备
US9648157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information publication via a website in a mobile terminal
KR101852815B1 (ko) 클라이언트용 및 서버용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08480A (ko) 단말 간 실시간 화면 공유 채팅 방법, 그 단말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20140003115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989433B1 (ko) 단말 간 실시간 화면 공유 채팅 방법, 그 단말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101973641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JP2020144914A (ja) 画像共有方法および電子デバイス
KR2017008390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7483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07067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07767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777726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