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2522B1 - 회전하는 축용 밀봉 장치 및 이를 갖는 기계 장치 - Google Patents

회전하는 축용 밀봉 장치 및 이를 갖는 기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2522B1
KR101852522B1 KR1020160104639A KR20160104639A KR101852522B1 KR 101852522 B1 KR101852522 B1 KR 101852522B1 KR 1020160104639 A KR1020160104639 A KR 1020160104639A KR 20160104639 A KR20160104639 A KR 20160104639A KR 101852522 B1 KR101852522 B1 KR 101852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rotary shaft
shaft
discharge
seal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4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0398A (ko
Inventor
김성철
김효창
신기업
이창기
Original Assignee
(주)삼신
주식회사 에이치케이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신, 주식회사 에이치케이솔루션 filed Critical (주)삼신
Priority to KR1020160104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2522B1/ko
Publication of KR20180020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0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2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addles or arms 
    • B01F7/18
    • B01F15/0048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7Stirrers with additional elements mounted on the stirrer, for purposes other than mix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2Driving arrangements
    • B01F35/32005Type of drive
    • B01F7/006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44Free-space packings
    • F16J15/447Labyrinth pack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 Seal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부의 회전력을 전달받고, 내측에 소재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구비한 케이싱의 상기 수용 공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케이싱에 결합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 블레이드와 상기 케이싱 사이에 형성된 틈새로 유입되는 소재를 상기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축의 중심 축선에서 멀어지도록 안내 가능하게 상기 블레이드에 결합된 소재배출 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수용된 소재가 회전하는 회전축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고, 회전되는 영역에 원소재가 코팅되어 마찰력이 증대되며 마모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회전하는 축용 밀봉 장치 및 이를 갖는 기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하는 축용 밀봉 장치 및 이를 갖는 기계 장치 {Sealing Device for Ratationg Shaft and Machine Applian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회전하는 축용 밀봉 장치 및 이를 갖는 기계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측에 수용된 소재를 혼합을 포함하는 공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회전축으로 유입되는 미세한 소재가 회전축으로 유입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회전하는 축용 밀봉 장치 및 이를 갖는 기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용으로 다양한 종류의 기계가 사용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 소재를 수용하여 수용된 소재를 혼합하기 위해 혼합 기계가 사용되고 있다.
즉, 다양한 조성비로 복수의 원재료를 혼합, 숙성, 가공 처리하기 위하여 일정한 수용 공간을 갖는 케이싱 등에 복수의 원재료를 투입한 후 케이싱 또는 회전축이 회전하면서 원재료들은 혼합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혼한 등의 과정에서 원재료 등이 회전축측으로 유입되어 회전축과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 그랜드패킹 등을 손상시킬 수 있다. 특히, 원재료들에 미세하고 단단한 분말일수록 이러한 경항이 강하다.
이에, 보다 효과적으로 이러한 미세하거나 단단한 분말이 회전축으로 유입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문헌]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29789호 (2008.04.03)
본 발명의 목적은, 수용된 소재가 회전하는 회전축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고, 회전되는 영역에 원소재가 코팅되어 마찰력이 증대되며 마모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회전하는 축용 밀봉 장치 및 이를 갖는 기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소재가 회전축으로 이동하여 베어링, 그랜드패킹, 부싱 등의 손상을 감소킬 수 있는 회전하는 축용 밀봉 장치 및 이를 갖는 기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용된 소재가 회전하는 회전축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구조를 간단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회전하는 축용 밀봉 장치 및 이를 갖는 기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리, 교체 기간을 증대시킬 수 있고, 내구성, 구동 효율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회전하는 축용 밀봉 장치 및 이를 갖는 기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부의 회전력을 전달받고, 내측에 소재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구비한 케이싱의 상기 수용 공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케이싱에 결합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 블레이드와 상기 케이싱 사이에 형성된 틈새로 유입되는 소재가 상기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축의 중심 축선에서 멀어지도록 안내 가능하게 상기 블레이드에 결합된 소재배출 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하는 축용 밀봉 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상기 소재배출 유도부에서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틈새의 소재를 상기 중심 축선에서 외측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내측이 회전 방향의 전방에 위치하고 외측이 회전 방향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재배출 유도부가 배치되는 유도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소재배출 유도부는, 상기 유도 영역 전체 길이에 걸쳐 마련된 제1 배출유도부재와, 상기 제1 배출유도부재와 회전 방향으로 이격된 후방에 상기 유도 영역의 중간영역에 걸쳐 마련된 제2 배출유도부재와, 상기 제2 배출유도부재과 회전 방향으로 이격된 후방에 상기 유도 영역의 중간영역에서 상기 유도 영역의 외측에 걸쳐 마련된 제3 배출유도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배출유도부재, 상기 제2 배출유도부재 및 상기 제3 배출유도부재가 세트로 구성되어 상기 유도 영역에 상기 세트가 복수로 배치된 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축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소재배출 유도부는 상기 케이싱의 바닥면과 인접한 상기 블레이드에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축 중심 축선으로부터 상기 소재배출 유도부 내측에는 래버린스 (Labyrinth) 구조를 포함하는 기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을 지지하고 내측에 소재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구비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상기 수용 공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블레이드와 상기 케이싱 사이에 형성된 틈새로 유입되는 소재가 상기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축의 중심 축선에서 멀어지도록 상기 블레이드에 결합된 소재배출 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하는 축용 밀봉 장치를 갖는 기계 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용된 소재가 회전하는 회전축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고, 회전되는 영역에 원소재가 코팅되어 마찰력이 증대되며 마모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회전하는 축용 밀봉 장치 및 이를 갖는 기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원소재가 회전축으로 이동하여 베어링, 그랜드패킹, 부싱 등의 손상을 감소킬 수 있고, 수리, 교체 기간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내구성, 구동 효율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회전하는 축용 밀봉 장치 및 이를 갖는 기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용된 소재가 회전하는 회전축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구조를 간단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회전하는 축용 밀봉 장치 및 이를 갖는 기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봉장치를 갖는 회전기계의 주요단면도를 포함하는 정면도,
도 1b는 도 1a의 측면도,
도 1c는 밀봉장치의 평면도,
도 1d는 도 1c의 종단면도,
도 1e는 도 1d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f는 도 1c의 요부를 하측에서 본 도면이고,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과 비교설명하기 위한 종래기술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도 1a 내지 도 1e에 대응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하는 축용 밀봉 장치 및 이를 갖는 혼합 기계(이하에서 '밀봉 장치'(100) 및 '혼합 기계'(10)라 함)에 대하여 도 1a 내지 도 2e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봉장치를 갖는 회전기계의 주요단면도를 포함하는 정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측면도이며, 도 1c는 밀봉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1d는 도 1c의 종단면도이며, 도 1e는 도 1d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1f는 도 1c의 요부를 하측에서 본 도면이며,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과 비교설명하기 위한 종래기술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도 1a 내지 도 1e에 대응한 도면이다.
혼합 기계(10)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부(20)의 회전력을 전달받고, 내측에 소재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31)을 구비한 케이싱(30)의 상기 수용 공간(31)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케이싱(30)에 결합된 회전축(50)과; 상기 회전축(50)에 결합된 블레이드(110)와 상기 케이싱(30) 사이에 형성된 틈새(GAP)로 유입되는 소재를 상기 회전축(50)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축(50)의 중심 축선(C)에서 멀어지도록 안내 가능하게 상기 블레이드(110)에 결합된 소재배출 유도부(1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부(20)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하여 회전하는 모터(21)와, 모터(21)의 속도를 감소시키는 감속기(23)와, 동력 전달 가능하게 회전축(50) 상호 또는 회전축(50)과 감속기(23)를 상호 결합하는 커플링(25)과, 회전축(50) 등의 회전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27)을 포함한다.
케이싱(30)은, 철을 포함하는 강제로 일실시예로 상하 방향으로 긴 원통 형상을 구비하여 철구조물(미도시) 등에 지지되고, 내부에 소재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31)을 형성하며, 중앙에 회전축(5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측에 원소재들이 투입되는 투입구(33)가 마련되며, 하측에 혼합 등의 공정을 수용 공간(31)에서 완료한 원소재가 배출되는 배출구(35)를 포함한다.
배출구(35)는, 혼합 등의 공정을 완료한 소재가 배출되는 곳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다음의 공정을 위하여 혼합된 소재가 미도시된 다음 공정을 위한 장소로 이송을 할 수 있는 컨베이어의 일종인 이송스크류(40)로 안내되고, 케이싱(30)의 하부 측벽을 관통 형성한 배출공(35a)과, 배출공(35a)을 슬라이딩식으로 개폐하는 배출게이트(35b)와, 배출공(35a)을 개방하는 개방위치와 배출공(35a)을 폐쇄하는 폐쇄위치로 배출게이트(35b)를 이동시키는 배출실린더(35c)를 구비한다.
회전축(50)은 베어링(27)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케이싱(30) 및 감속기(23)에 결함되고, 커플링(25)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다.
회전축(50)에는 회전하면서 수용 공간(31) 내의 원소재를 혼합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방사상(예를 들면, 일정한 높이의 90도 방향으로 상이한 방향)으로 이격된 봉 형상의 교반부재(60)가 결합되어 있고, 수용 공간(31) 최하측에 케이싱(30)의 바닥면(미도시)과 틈새(GAP)를 형성하는 소재배출 유도부(130)가 결합되어 있다.
밀봉 장치(100)는, 블레이드(110)와 소재배출 유도부(130)를 포함한다.
블레이드(110)는, 회전축(50)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원통 형상의 아암본체(113)와, 아암본체(113)의 원주측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케이싱의 바닥면과 틈새(GAP)를 형성하고 수용 공간(31)에 수용된 원소재를 케이싱(30)의 반경 방향인 외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내측인 중심 축선(C)에서 가까운 쪽이 외측인 중심 축선(C)에서 먼 쪽이 회전 방향으로 보아 전방으로 될 수 있도록 경사진 아암(115)과, 아암(115)의 외측에 결합되어 아암(115)과 마찬가지 기능을 하고 아암(115)보다 부하를 더 줄일 수 있도록 보다 소형이고 날렵한 형상을 갖는 스크레퍼(117)를 구비한다.
여기서, 아암(115)과 스크레퍼(117)는 회전하면서 아암(115)과 스크레퍼(117)에 위치한 원소재를 아암(115)과 스크레퍼(117)의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회전 방향 전방측이 후방측보다 날카롭게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구조는 회전축(50)의 회전 마찰력을 감소시키고 소재로 보다 효과적으로 혼합시킬 수 있으며 소재를 배출구(35) 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한편, 소재배출 유도부(130)는, 도 1d 내지 도 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본체(113)의 하측인 케이싱(30)과의 틈새(GAP)에 마련되어 있으며, 회전축(50)에 가까운 곳에 통상적인 래비린스 (Labyrinth) 구조를 갖는 기밀부(139)가 반경 방향으로 일정한 폭으로 형성된 기밀 영역(Y)과, 기밀 영역(Y)의 외측에 반경 방향으로 일정한 폭(도 2f의 M1 에서 M3 참조)으로 형성된 유도 영역(X)을 포함한다.
유도 영역(X)에서 소재배출 유도부(130)는 상기 회전축(5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틈새(GAP)의 소재를 상기 중심 축선(C)에서 외측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내측이 회전 방향(R)의 전방에 위치(도 2f의 'K1' 및 '133a' 참조)하고 외측이 회전 방향(R)의 후방(도 2f의 'K2' 및 '133b' 참조)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소재배출 유도부(130)는, 상기 유도 영역(X) 전체 길이에 걸쳐 마련된 제1 배출유도부재(133)와, 상기 제1 배출유도부재(133)와 회전 방향(R)으로 이격된 후방에 상기 유도 영역(X)의 내측에서 중간영역에 걸쳐 마련된 제2 배출유도부재(135)와, 상기 제2 배출유도부재(135)와 회전 방향으로 이격된 후방에 상기 제2 배출유도부재(135)의 외측단부의 내측에서부터 상기 유도 영역(X)의 외측에 걸쳐 마련된 제3 배출유도부재(137)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배출유도부재(133), 상기 제2 배출유도부재(135) 및 상기 제3 배출유도부재(137)가 세트로 구성되어 유도 영역(X)에 상기 세트가 복수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배출유도부재(133), 제2 배출유도부재(135) 및 제3 배출유도부재(137)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틈새(GAP)의 높이인 예를 들면 6.5mm, 폭은 예를 들면 12~17mm의 단면이 사각형인 막대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배출유도부재(135)의 외측은 유도 영역(X)의 중심선(도 1c 및 도 1f의 'M2' 참조)보다 더 반경 방향으로 멀어진 위치까지 연장되고, 제3 배출유도부재(137)의 내측은 유도 영역(X)의 중심선(도 1c 및 도 1f의 'M2' 참조)보다 더 반경 방향으로 가까운 위치에서 시작되어 제2 배출유도부재(135)와 제3 배출유도부재(137)는 유도 영역(X)의 중심선('M2' 참조)에서 오버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회전축(50)은 수직방향인 상하로 배치된 원통 형상의 케이싱(30)에 배치된 것을 실시예로 하였으나, 케이싱(30)이 상하가 아닌 좌우의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회전축(50)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 경우에는 케이싱의 좌우 측벽에 인접된 두 개의 블레이드에 소재배출 유도부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소재배출 유도부(130)가 아암본체(113)의 하측에만 부착된 것을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아암(115)과 스크레퍼(117)의 하측에도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아암(115)과 스크레퍼(117) 상측에 소재가 쌓여서 소재의 자중이 작용하고 있고 동시에 아암(115)과 스크레퍼(117)가 소재를 회전중심 축선에서 외측으로 밀어내고 있으므로 아암(115) 및 스크레퍼(117)와 케이싱(30) 바닥면 사이의 틈새 사이에 소재가 눌러붙는 등의 현상이 예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혼합 기계(10)에 대응하여 도 2a 내지 도 2e에 종래 기술에 따른 혼합 기계(200)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 비교 설명의 편의상 종래기술에 따른 혼합 기계(10)의 참조번호 마지막 두 자리는 본 발명에 따른 마지막 두 자리 참조번호와 동일하게 적용하였으므로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종래기술에 따른 혼합 기계(10)에 대한 구성의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종래 기술의 혼합 기계(200)는, 도 2c 내지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밀봉 장치(100)가 없음을 알 수 있고 다만 본 발명의 기밀부(139)에 대응하는 라비린스 구조의 기밀부(139)만을 구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종래기술에서는 블레이드(110) 하측인 유도 영역(X)이 틈새(GAP) 그대로 존재하고 있어 미세한 분말을 포함하는 원소재가 래비린스 구조를 통해 회전축(50)으로 이동하기가 용이하여 회전축의 기밀장치인 그랜드패킹 등의 마모가 심하고, 원소재로 틈새가 코팅되어 회전 마찰력이 증대되고 블레이드의 마모가 빠르게 이루어져 수리, 교체를 자주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혼합 기계(200)를 개선한 본 발명에 따른 혼합 기계(10)는, 유도 영역(X)에 마련된 소재배출 유도부(130)인 제1 배출유도부재(133), 제2 배출유도부재(135) 및 제3 배출유도부재(137)가 회전 방향(R)을 따라 경사지게 순차적으로 복수로 마련되어 틈새(GAP)로 이동된 미세한 분말과 같은 원소재가 회전축(50)의 반경방향으로 멀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는 힘(도 2f의 'F133' 'F135' 및 'F137' 참조)을 제공하여 틈새(GAP) 사이로 유입되는 미세한 원소재를 회전축(5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유도하여 미세한 분말이 기밀부(139) 및 회전축(50)으로 이동되는 것을 예방하거나 이동되는 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혼합 기계(10)는, 회전축(50)으로 이동되는 미세한 분말의 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종래에 비하여 회전축(50)의 그랜드 패킹의 교체 주기를 약 50% 정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 기계(10)는, 예를 들면, 공개특허공보 제10-2016-75260호 (2016. 06. 29)에 개시된 성형탄 제조용 니더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물론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수용된 소재가 회전하는 회전축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고, 회전되는 영역에 원소재가 코팅되어 마찰력이 증대되며 마모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회전하는 축용 밀봉 장치 및 이를 갖는 기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원소재가 회전축으로 이동하여 베어링, 그랜드패킹, 부싱 등의 손상을 감소킬 수 있고, 수리, 교체 기간을 증대시킬 수 있고, 내구성, 구동 효율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회전하는 축용 밀봉 장치 및 이를 갖는 기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용된 소재가 회전하는 회전축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구조를 간단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회전하는 축용 밀봉 장치 및 이를 갖는 기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0 : 혼합 기계 20 : 구동부
21 ; 모터 23 : 감속기
25 : 커플링 27 : 베어링
30 : 케이싱 31 : 수용 공간
33 : 투입구 35 : 배출구
35a : 배출공 35b : 배출게이트
35c : 배출실린더 40 : 이송스크류
50 : 회전축 60 : 교반부재
100 : 밀봉 장치 110 : 블레이드
113 : 아암본체 115 : 아암
117 : 스크레퍼
130 : 소재배출 유도부
133 : 제1 배출유도부재 135 : 제2 배출유도부재
137 : 제3 배출유도부재 139 : 기밀부
GAP : 틈새 C : 중심 축선
X : 유도 영역 Y : 기밀 영역
R : 회전 방향

Claims (7)

  1.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부의 회전력을 전달받고, 내측에 소재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구비한 케이싱의 상기 수용 공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케이싱에 결합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 블레이드와 상기 케이싱 사이에 형성된 틈새로 유입되는 소재를 상기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축의 중심 축선에서 멀어지도록 안내 가능하게 상기 블레이드에 결합된 소재배출 유도부;를 포함하되,
    상기 소재배출 유도부가 배치되는 유도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소재배출 유도부는, 상기 유도 영역 전체 길이에 걸쳐 마련된 제1 배출유도부재와, 상기 제1 배출유도부재와 회전 방향으로 이격된 후방에 상기 유도 영역의 중간영역에 걸쳐 마련된 제2 배출유도부재와, 상기 제2 배출유도부재과 회전 방향으로 이격된 후방에 상기 유도 영역의 중간영역에서 상기 유도 영역의 외측에 걸쳐 마련된 제3 배출유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용 밀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배출 유도부에서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틈새의 소재를 상기 중심 축선에서 외측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내측이 회전 방향의 전방에 위치하고 외측이 회전 방향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용 밀봉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출유도부재, 상기 제2 배출유도부재 및 상기 제3 배출유도부재가 세트로 구성되어 상기 유도 영역에 상기 세트가 복수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용 밀봉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소재배출 유도부는 상기 케이싱의 바닥면과 인접한 상기 블레이드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용 밀봉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중심 축선으로부터 상기 소재배출 유도부 내측에는 래버린스 (Labyrinth) 구조를 포함하는 기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용 밀봉 장치.
  7.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을 지지하고 내측에 소재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구비한 케이싱과;
    제1항의 축용 밀봉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장치.
KR1020160104639A 2016-08-18 2016-08-18 회전하는 축용 밀봉 장치 및 이를 갖는 기계 장치 KR101852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639A KR101852522B1 (ko) 2016-08-18 2016-08-18 회전하는 축용 밀봉 장치 및 이를 갖는 기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639A KR101852522B1 (ko) 2016-08-18 2016-08-18 회전하는 축용 밀봉 장치 및 이를 갖는 기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398A KR20180020398A (ko) 2018-02-28
KR101852522B1 true KR101852522B1 (ko) 2018-04-26

Family

ID=61401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4639A KR101852522B1 (ko) 2016-08-18 2016-08-18 회전하는 축용 밀봉 장치 및 이를 갖는 기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25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6353A (ko) * 2019-04-01 2020-10-12 주식회사 에이치케이솔루션 대형 분체 설비 축용 밀봉 장치 및 리크 테스트 장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1163B1 (ko) * 2020-08-11 2022-11-02 주식회사 포스코 스크류 컨베이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348110U (zh) * 2012-07-20 2013-12-18 浙江华峰氨纶股份有限公司 一种氨纶专用防泄漏的回收系统风机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348110U (zh) * 2012-07-20 2013-12-18 浙江华峰氨纶股份有限公司 一种氨纶专用防泄漏的回收系统风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6353A (ko) * 2019-04-01 2020-10-12 주식회사 에이치케이솔루션 대형 분체 설비 축용 밀봉 장치 및 리크 테스트 장비
KR102179762B1 (ko) 2019-04-01 2020-11-17 주식회사에이치케이솔루션 대형 분체 설비 축용 밀봉 장치 및 리크 테스트 장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398A (ko) 2018-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3157A (ko) 회전하는 축용 밀봉 장치 및 이를 갖는 기계 장치
KR101677567B1 (ko) 쇼트 블라스트 장치
KR101852522B1 (ko) 회전하는 축용 밀봉 장치 및 이를 갖는 기계 장치
EP3023366B1 (en) Rotary conveyor with change of pitch for transferring containers
CN102139359A (zh) 一种双管自动加渣机
CN102269161A (zh) 一种泵送机构及其分配阀和混凝土泵送机械
CN110355089A (zh) 一种新型滚筒筛
CN107600900A (zh) 三维刮板输送机
CN106311043A (zh) 多维物料混合装置
CN105779184B (zh) 旋转型固体培养装置
CN108525744A (zh) 一种改进型铁矿石的自动化破碎系统
KR102034876B1 (ko) 혼련효율을 향상한 내화물 혼련장치
CN106005910A (zh) 给料机
CN209211238U (zh) 一种高抗污性道路标线涂料搅拌装置
CN205240562U (zh) 一种麻油生产用双螺旋输送机
US1770013A (en) Revolving-barrel sand-blast machine
JP4542125B2 (ja) 磨砕装置
CN207121145U (zh) 三维刮板输送机
CN110605363A (zh) 一种结晶器自动加渣机
KR102030486B1 (ko) 개폐문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내화물 혼련장치
KR20180111357A (ko) 개선된 혼련기 로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압형 혼련기
CN110433952B (zh) 一种螺旋选矿装置
CN215923478U (zh) 轴承物料自动投送机构
CN106689255A (zh) 用于揉搓和挤压面条的自动桌上机
CN209986750U (zh) 一种粉体表面光滑度卧式修整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