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2498B1 - 원본 이미지를 암호화하는 서버, 단말 및 컴퓨팅 장치 - Google Patents

원본 이미지를 암호화하는 서버, 단말 및 컴퓨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2498B1
KR101852498B1 KR1020160051623A KR20160051623A KR101852498B1 KR 101852498 B1 KR101852498 B1 KR 101852498B1 KR 1020160051623 A KR1020160051623 A KR 1020160051623A KR 20160051623 A KR20160051623 A KR 20160051623A KR 101852498 B1 KR101852498 B1 KR 101852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ummy
padding
grid
key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1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2529A (ko
Inventor
이재성
서현우
윤호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도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도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도트리
Priority to KR1020160051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2498B1/ko
Publication of KR20170122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2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2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16Key establishment, i.e. cryptographic processes or cryptographic protocols whereby a shared secret becomes available to two or more parties, for subsequent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12Transmitting and receiving encryption devices synchronised or initially set up in a particular mann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7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stream encry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Abstract

원본 이미지를 암호화하는 패키징 서버는 원본 이미지에 패딩(padding)을 부가하여 패딩 이미지를 생성하는 패딩 이미지 생성부, 패딩 이미지에 더미(dummy)를 부가하여 더미 이미지를 생성하는 더미 이미지 생성부, 더미 이미지를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복수의 블록을 재배열하여 그리드 이미지를 생성하는 그리드 이미지 생성부 및 그리드 이미지를 원본 이미지로 복호화하기 위한 키코드를 생성하는 키코드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본 이미지를 암호화하는 서버, 단말 및 컴퓨팅 장치{SERVER FOR ENCODING ORIGINAL IMAGE, DEVICE AND COMPUTING DEVICE}
본 발명은 원본 이미지를 암호화하는 서버, 단말 및 컴퓨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로 휴대폰 기능과 데이터 통신기능을 통합시킨 휴대폰, 이른바 스마트폰이 등장하였다.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와 같이 스마트 단말의 급속한 성장에 따라 인쇄형태로 향유되던 문서 및 도서의 사용 형태가 온라인 또는 모바일 환경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
최근에는 오프라인 상에서 제공되던 콘텐츠가 온라인 상에서도 제공되고 있으며 모바일 컨텐츠 수요 증가 및 시장 확대로 인해 온라인 상의 콘텐츠 제공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유료 이미지 컨텐츠를 제공하는 웹서비스는 웹 서버에 보관 중인 원본 이미지 컨텐츠를 웹브라우저의 이미지 태그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웹서비스는 웹 서버에 저장된 원본 이미지 컨텐츠의 경로가 웹브라우저에 탑재된 기능에 의해 노출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당한 사용자 이외에도 해당 유료 이미지 컨텐츠에 부당하게 접근할 수 있으며 컨텐츠 저작권자에게도 피해가 돌아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9-0117946호에는 이미지를 미리 결정된 개수의 패턴들로 매트릭스 상에서 분할하고, 매트릭스 상의 각 패턴의 포지션을 결정하고, 퍼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매트릭스 상에서 미리 결정된 형태로 매트릭스 상의 패턴들을 재배열하고, 암호화 키를 생성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원본 이미지의 유출을 막기 위해, 원본 이미지를 그리드 이미지로 암호화하고자 한다. 또한, 그리드 이미지를 원본 이미지로 복호화하기 위한 키코드를 생성하고자 한다. 또한, 원본 이미지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에게 그리드 이미지 및 키코드를 제공함으로써 원본 이미지의 유출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원본 이미지를 암호화하는 패키징 서버는 상기 원본 이미지에 패딩(padding)을 부가하여 패딩 이미지를 생성하는 패딩 이미지 생성부, 상기 패딩 이미지에 더미(dummy)를 부가하여 더미 이미지를 생성하는 더미 이미지 생성부, 상기 더미 이미지를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상기 복수의 블록을 재배열하여 그리드 이미지를 생성하는 그리드 이미지 생성부 및 상기 그리드 이미지를 상기 원본 이미지로 복호화하기 위한 키코드를 생성하는 키코드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그리드 이미지 및 키코드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키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그리드 이미지를 재배열하여 더미 이미지로 복호화하는 제 1 복호화부, 상기 키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더미 이미지로부터 더미를 제거하여 패딩 이미지로 복호화하는 제 2 복호화부, 상기 키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패딩 이미지로부터 패딩을 제거하여 상기 원본 이미지로 복호화하는 제 3 복호화부 및 상기 원본 이미지를 출력하는 이미지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른 웹브라우저가 탑재된 컴퓨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웹브라우저는 웹서버로부터 그리드 이미지 및 키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키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그리드 이미지를 재배열하여 더미 이미지로 복호화하고, 상기 키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더미 이미지로부터 더미를 제거하여 패딩 이미지로 복호화하고, 상기 키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패딩 이미지로부터 패딩을 제거하여 상기 원본 이미지로 복호화하고, 상기 원본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원본 이미지를 그리드 이미지로 암호화하여 웹서버 또는 웹서버와 연결된 서버에 저장하기 때문에 원본 이미지의 유출을 차단할 수 있다. 만일, 웹브라우저를 통해 웹서버 또는 웹서버와 연결된 서버에 저장된 이미지의 경로가 노출되더라도 원본 이미지가 아닌 그리드 이미지만이 유출될 뿐이다. 또한, 키코드를 통해서만 그리드 이미지를 원본 이미지로 복호화할 수 있으며, 그리드 이미지 및 키코드의 저장 장소가 서로 다른 경우에는 해커들로부터 원본 이미지를 더욱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본 이미지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패키징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본 이미지에 패딩을 부과하여 패딩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딩 이미지에 더미를 부과하여 더미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본 이미지를 암호화 및 복호화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호화된 원본 이미지를 출력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구성도 또는 처리 흐름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본 이미지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원본 이미지 제공 시스템은 패키징 서버(100), 파일 서버(110), 키코드 서버(120) 및 사용자 단말(13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원본 이미지 제공 시스템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1과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도 1의 원본 이미지 제공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140)를 통해 연결된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network)의 일례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3G, 4G, 5G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패키징 서버(100)는 이미지 유출을 차단하기 위해 원본 이미지를 암호화하는 서버일 수 있다.
패키징 서버(100)는 원본 이미지를 그리드 형태로 분할하고, 분할된 복수의 블록을 재배열하여 그리드 이미지를 생성한 후, 원본 이미지의 식별 정보와 매핑하여 생성된 그리드 이미지를 파일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패키징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130)의 성능 또는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복수개의 그리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키징 서버(100)는 하나의 원본 이미지에 대하여 서로 다른 복수개의 그리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고, 각 그리드 이미지는 그리드 이미지를 다운로드할 사용자 단말(130)의 성능 또는 네크워크 상태에 따라 분할 개수를 달리할 수 있다.
또한, 패키징 서버(100)는 그리드 이미지를 원본 이미지로 복호화하기 위한 키코드를 생성하여 원본 이미지의 식별 정보와 매핑하여 생성된 키코드를 키코드 서버(12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키징 서버(100)는 하나의 원본 이미지에 대한 복수의 그리드 이미지 각각의 키코드를 생성하여 키코드 서버(12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패키징 서버(100)는 하나의 원본 이미지에 대한 복수의 그리드 이미지에 대한 하나의 키코드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하나의 키코드에는 각 그리드 이미지에 대한 식별 번호, 각 식별 번호와 매칭되어 해당 그리드 이미지를 복호화하기 위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키징 서버(100)는 그리드 이미지의 경로와 상기 키코드의 경로를 에이젝스(ajax) 기술 등을 이용하여 숨김 처리할 수 있다.
파일 서버(110)는 원본 이미지의 식별 정보와 함께 복수의 그리드 이미지를 관리하고,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원본 이미지 요청이 들어온 경우, 원본 이미지에 대응하는 그리드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13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파일 서버(110)는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사용자 단말(130)의 성능 또는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수신한 경우, 사용자 단말(130)의 성능 또는 네트워크 상태 정보에 해당하는 그리드 이미지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130)에게 전송할 수 있다.
키코드 서버(120)는 원본 이미지의 식별 정보와 함께 키코드를 관리하고,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원본 이미지 요청을 수신한 경우, 파일 서버(110)가 사용자 단말(130)로 전송한 그리드 이미지에 대응하는 키코드를 사용자 단말(13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키코드는 복수의 그리드 이미지 각각에 대응되게 생성된 복호화키일 수 있다.
지금까지는, 패키징 서버(100), 파일 서버(110) 및 키코드 서버(120) 각각이 분리되어 구현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 중 하나 이상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30)은 웹브라우저를 통해 파일 서버(110)로부터 그리드 이미지를 수신하고, 키코드 서버(120)로부터 키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130)은 파일 서버(110)로 사용자 단말(130)의 성능 정보를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130)의 성능 정보에 해당하는 그리드 이미지 및 키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30)은 키코드에 기초하여 그리드 이미지를 원본 이미지로 복호화하고, 원본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30)은 웹브라우저에서 지원하는 HTML5의 캔버스(canvas) 기능 등을 이용하여, 그리드 이미지를 원본 이미지로 복호화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30)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 및 유선 통신이 가능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30)은 다양한 형태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3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의 일 예에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사용자 단말(130)은 도 1에 도시된 형태 또는 앞서 예시된 것들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도 1의 원본 이미지 제공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패키징 서버(100)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패키징 서버(100)는 패딩 이미지 생성부(200), 더미 이미지 생성부(210), 그리드 이미지 생성부(220), 키코드 생성부(230), 전송부(240) 및 데이터베이스(2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패키징 서버(100)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패딩 이미지 생성부(200)는 원본 이미지에 패딩을 부가하여 패딩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패딩 이미지는 원본 이미지보다 사이즈가 큰 이미지일 수 있다.
패딩 이미지 생성부(200)는 원본 이미지의 사이즈에 기초하여 패딩의 사이즈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딩 이미지 생성부(200)는 1024 x 1024픽셀의 원본 이미지가 M x N개의 블록(M, N은 자연수)으로 분할될 경우, M 및 N으로 나누어 떨어질 수 있도록, 원본 이미지에 부가할 패딩 사이즈를 결정할 수 있다.
패딩 이미지 생성부(200)는 원본 이미지의 외부 영역에 패딩을 부가하여 패딩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패딩 이미지 생성부(200)는 원본 이미지의 사이즈에 기초하여 패딩의 부가 위치 영역을 결정하고, 결정된 위치 영역에 패딩을 부가하여 패딩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본 이미지의 가로 길이가 자연수 M으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경우, 패딩 이미지 생성부(200)는 원본 이미지의 우측, 좌측 영역 등에 패딩을 부가할 수 있다.
잠시 도 4a 내지 4c를 통해 패딩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본 이미지에 패딩을 부과하여 패딩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패딩 이미지 생성부(200)는 원본 이미지의 사이즈에서 가로 길이가 자연수 M으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경우, 원본 이미지의 우측 또는 좌측 영역에 해당하는 제 1 영역에 패딩을 부가함으로써 패딩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원본 이미지(400)의 가로가 650픽셀이고, 세로가 700픽셀이고, 제 1 원본 이미지(400)의 가로 및 세로를 각각 4 x 4 블록으로 분할한다고 가정하면, 패딩 이미지 생성부(200)는 제 1 원본 이미지(400)의 우측 영역에 해당하는 제 1 영역(410)에 50 픽셀의 패딩을 부가하여 패딩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고, 해당 패딩 이미지는 가로 및 세로 각각이 175 픽셀로 구성된 16개의 블록으로 분할될 수 있다.
도 4a에서는 패딩 영역이 부가될 제 1 영역의 예로서 우측 영역을 도시하였지만, 좌측 영역 또는 이미지의 중간 임의의 영역일 수도 있으며, 원본 이미지의 가로 길이가 자연수 M으로 나누어 떨어질 수만 있다면 어떤 위치라도 무방하다.
도 4b를 참조하면, 패딩 이미지 생성부(200)는 원본 이미지의 사이즈에서 세로 길이가 자연수 N으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경우, 원본 이미지의 상측 또는 하측 영역에 해당하는 제 2 영역에 패딩을 부가함으로써 패딩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원본 이미지(420)의 가로가 700픽셀이고, 세로가 650픽셀이고, 제 2 원본 이미지(420)의 가로 및 세로를 4 x 4 블록으로 분할한다고 가정하면, 패딩 이미지 생성부(200)는 제 2 원본 이미지(420)의 상측 영역에 해당하는 제 2 영역(430)에 50 픽셀의 패딩을 부가하여 패딩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고, 해당 패딩 이미지는 가로 및 세로 각각이 175 픽셀로 구성된 16개의 블록으로 분할될 수 있다.
도 4b에서는 패딩 영역이 부가될 제 2 영역의 예로서 상측 영역을 도시하였지만, 하측 영역 또는 이미지의 중간 임의의 영역일 수도 있으며, 원본 이미지의 세로 길이가 자연수 N으로 나누어 떨어질 수만 있다면 어떤 위치라도 무방하다.
도 4c를 참조하면, 패딩 이미지 생성부(200)는 원본 이미지의 가로 및 세로 길이가 모두 자연수 M, N으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경우, 예를 들어, 원본 이미지의 우측 및 하측 영역인 제 3 영역에 패딩을 부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 원본 이미지(440)의 가로 및 세로가 650 x 650픽셀이고, 분할 후의 제 3 원본 이미지(440)의 가로 및 세로 길이가 모두 자연수 M, N으로 나누어 떨어지도록 패딩 이미지 생성부(200)는 제 3 원본 이미지(440)의 우측 및 하측 영역에 해당하는 제 3 영역(450)에 50 픽셀씩의 패딩을 부가하여 패딩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고, 해당 해당 패딩 이미지는 가로 및 세로 각각이 175 픽셀로 구성된 16개의 블록으로 분할될 수 있다.
도 4c에서는 패딩 영역이 부가될 제 3 영역의 예로서 우측 및 하측 영역을 도시하였지만, 상측 및 좌측 영역 또는 이미지의 중간 임의의 영역일 수도 있으며, 원본 이미지의 가로 및 세로 길이가 자연수 M, N으로 나누어 떨어질 수만 있다면 어떤 위치라도 무방하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더미 이미지 생성부(210)는 패딩 이미지에 더미를 부가하여 더미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더미 이미지는 패딩 이미지보다 사이즈가 커지게 된다.
더미 이미지 생성부(210)는 패딩 이미지에 더미를 부가할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위치에 더미를 부가하여 더미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더미 이미지 생성부(210)는 패딩 이미지(50)의 패딩(510)이 부가된 영역의 위치에 기초하여 더미(520)를 부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더미 이미지 생성부(210)는 패딩(510)이 부가된 영역에 인접한 영역에 더미를 부가할 수 있다. 또는, 더미 이미지 생성부(210)는 패딩(510)이 부가된 영역에 인접한 외부 영역을 제외한 다른 외부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더미(530)를 부가할 수도 있다.
또는, 더미 이미지 생성부(210)는 기설정된 복수의 더미 부가 패턴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패딩 이미지에 더미를 부가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더미 부가 패턴은 제 1 패턴, 제 2 패턴, 제 3 패턴 및 제 4 패턴을 포함할 수 있고, 각 패턴의 적용 순서는 기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더미 이미지 생성부(210)는 제 1 패턴, 제 2 패턴, 제 3 패턴 및 제 4 패턴의 순서로 패딩 이미지에 더미를 부가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패딩 이미지에 복수의 더미 부가 패턴을 기설정된 순서에 따라 적용함으로써, 하나의 패턴으로 더미 이미지를 부가할 때보다 그리드 이미지로부터 원본 이미지를 임의의 방법으로 복원시키는 것을 어렵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패턴이 노출되더라도 제 2 패턴, 제 3 패턴, 제 4 패턴 및 적용 순서가 모두 유출되기 전에는 모든 원본 이미지를 복원시키기 어렵다.
더미 이미지 생성부(210)는 패딩 이미지의 외부 영역에 더미를 부가하여 더미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더미 이미지 생성부(210)는 원본 이미지의 내부 영역에 더미를 부가하여 더미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패딩 이미지에 더미를 부가함으로써, 원본 이미지의 파일 크기를 변경시킬 수 있다. 파일 크기를 변경함으로 인해 그리드 이미지로부터 원본 이미지를 임의의 방법으로 복원시키는 것을 한층 어렵게 할 수 있다.
잠시 도 5a 내지 5d를 참조하여 더미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5a 내지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딩 이미지에 더미를 부가하여 더미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때, 도 5a 내지 5d는 도 4a의 실시예에 따른 패딩 이미지에 기초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도 4b 내지 도 4c의 실시예에 따른 패딩 이미지도 도 5a 내지 5d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5a는 더미 부가 패턴 중 제 1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더미 이미지 생성부(210)는 패딩 이미지(50)(원본 이미지(500)에 패딩(510)이 부가된 이미지)의 외부 영역 중 제 1 영역(520)에 더미를 부가하여 더미 이미지(51)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b는 더미 부가 패턴 중 제 2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더미 이미지 생성부(210)는 패딩 이미지(50)의 외부 영역 중 제 2 영역(530)에 해당하는 위치에 더미를 부가하여 더미 이미지(52)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c는 더미 부가 패턴 중 제 3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더미 이미지 생성부(210)는 패딩 이미지(50)의 외부 영역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영역을 포함하는 제 3 영역(540)에 더미를 부가하여 더미 이미지(53)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더미 이미지 생성부(210)는 패딩(510)이 부가된 영역에 인접한 외부 영역을 포함한 적어도 둘 이상의 외부 영역(540)에 더미를 부가할 수 있다.
도 5d는 더미 부가 패턴 중 제 4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더미 이미지 생성부(210)는 패딩 이미지(50)의 내부 영역(550)에 더미를 부가하여 더미 이미지(54)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더미 이미지 생성부(210)는 패딩 이미지(50)의 기설정된 내부 영역(550)에 다양한 형태(예컨대, 십자가)로 더미를 부가할 수도 있다. 또는 더미 이미지 생성부(210)는 기설정된 패턴에 기초하여 패딩 이미지(50)의 내부 영역(550)에 더미를 부가할 수도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그리드 이미지 생성부(220)는 더미 이미지를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복수의 블록을 재배열하여 그리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드 이미지 생성부(220)는 사용자 단말(130)의 성능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그리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각 그리드 이미지는 더미 이미지의 분할 개수를 달리할 수 있다.
그리드 이미지 생성부(220)는 더미 이미지를 제 1 개수로 분할한 블록을 재배열한 제 1 그리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고, 더미 이미지를 제 2 개수로 분할한 블록을 재배열한 제 2 그리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그리드 이미지 생성부(220)는 더미 이미지를 제 3 개수로 분할한 블록을 재배열한 제 3 그리드 이미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 생성된 그리드 이미지의 개수는 3개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 형태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리드 이미지 생성부(220)는 기설정된 제 1 사양(예를 들어, 고성능)의 사용자 단말(130)을 위한 제 1 그리드 이미지(예를 들어, 분할 개수 많음)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그리드 이미지 생성부(220)는 기설정된 제 2 사양(예를 들어, 중성능)의 사용자 단말(130)을 위한 제 2 그리드 이미지(예를 들어, 분할 개수 중간)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그리드 이미지 생성부(220)는 기설정된 제 3 사양(예를 들어, 저성능)의 사용자 단말(130)을 위한 제 3 그리드 이미지(예를 들어, 분할 개수 적음)를 생성할 수 있다.
키코드 생성부(230)는 그리드 이미지를 원본 이미지로 복호화하기 위한 키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키코드 생성부(230)는 그리드 이미지의 분할 정보, 패딩의 사이즈, 패딩이 부가된 위치 정보, 더미가 부가된 위치 정보, 복수의 블록이 재배열되기 이전의 복수의 블록 각각의 초기 인덱스 정보 및 복수의 블록이 재배열된 이후의 복수의 블록 각각의 변경 인덱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키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키코드의 생성 방법은 도 6을 통해 후술하도록 한다.
키코드 생성부(230)는 더미 이미지를 제 1 개수로 분할한 블록을 재배열한 제 1 그리드 이미지에 대한 제 1 키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키코드 생성부(230)는 더미 이미지를 제 2 개수로 분할한 블록을 재배열한 제 2 그리드 이미지에 대한 제 2 키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또한, 키코드 생성부(230)는 더미 이미지를 제 3 개수로 분할한 블록을 재배열한 제 3 그리드 이미지에 대한 제 3 키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전송부(240)는 그리드 이미지를 파일 서버(110)로 전송하고, 키코드를 키코드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파일 서버(110) 및 키코드 서버(120)는 분리되는 경우에 보안성을 한층 강화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통합될 수도 있다.
전송부(240)는 생성된 그리드 이미지를 파일 서버(110)로 전송하고, 생성된 그리드 이미지에 대한 키코드를 키코드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50)는 패키징 서버(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들 간에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패키징 서버(100)와 패키징 서버(100) 외부의 구성요소들간에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250)의 일 예에는 패키징 서버(100) 내부 또는 외부에 존재하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메모리 및 메모리카드 등이 포함된다.
한편, 당업자라면, 패딩 이미지 생성부(200), 더미 이미지 생성부(210), 그리드 이미지 생성부(220), 키코드 생성부(230), 전송부(240) 및 데이터베이스(250) 각각이 분리되어 구현되거나, 이 중 하나 이상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30)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30)은 수신부(300), 성능 정보 전송부(310), 제 1 복호화부(320), 제 2 복호화부(330), 제 3 복호화부(340) 및 이미지 출력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3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30)은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수신부(300)는 그리드 이미지 및 키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그리드 이미지는 암호화된 원본 이미지이며, 키코드는 암호화된 원본 이미지를 복호화하기 위한 복호화 키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신부(300)는 파일 서버(110)로부터 그리드 이미지를 수신하고, 키코드 서버(120)로부터 키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키코드는 그리드 이미지의 분할 정보, 더미가 부가된 위치 정보, 패딩의 사이즈 및 패딩이 부가된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키코드는 더미 이미지의 복수의 블록이 재배열되기 이전의 복수의 블록 각각의 초기 인덱스 정보 및 복수의 블록이 재배열된 이후의 복수의 블록 각각의 변경 인덱스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신부(300)는 사용자가 웹툰 구독을 신청한 경우, 파일 서버(110)로부터 암호화된 웹툰 이미지(그리드 이미지)를 수신하고, 키코드 서버(120)로부터 암호화된 웹툰 이미지에 대한 복호화 키(키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부(300)는 사용자 단말(130)의 성능 정보에 따른 제 1 그리드 이미지, 제 2 그리드 이미지 및 제 3 그리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130)이 고성능인 경우에는 수신부(300)가 제 1 그리드 이미지를 파일 서버(110)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30)이 저성능인 경우에는 수신부(300)가 제 2 그리드 이미지를 파일 서버(1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수신부(300)는 사용자 단말(130)의 성능이 고성능인 경우, 더미 이미지를 제 1 개수(많음)로 분할한 블록을 재배열한 제 1 그리드 이미지를 파일 서버(1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300)는 사용자 단말(130)의 성능이 중성능인 경우, 더미 이미지를 제 2 개수(중간)로 분할한 블록을 재배열한 제 2 그리드 이미지를 파일 서버(1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300)는 사용자 단말(130)의 성능이 저성능인 경우, 더미 이미지를 제 3 개수(적음)로 분할한 블록을 재배열한 제 3 그리드 이미지를 파일 서버(1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수신부(300)는 파일 서버(110)로부터 수신한 제 1 그리드 이미지에 매핑된 제 1 키코드를 키코드 서버(1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수신부(300)는 파일 서버(110)로부터 수신한 제 2 그리드 이미지 또는 제 3 그리드 이미지에 매핑된 제 2 키코드 또는 제 3 키코드를 키코드 서버(1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하나의 키코드에 제 1 그리드 이미지의 복호화 정보, 제 2 그리드 이미지의 복호화 정보, 제 3 그리드 이미지의 복호화 정보가 모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성능 정보 전송부(310)는 사용자 단말(130)의 성능 정보를 파일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성능 정보는 사용자 단말(130)의 모델명, 사용자 단말(130)의 사양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성능 정보는 사용자 단말(130)이 현재 사용하고 있는 통신 품질의 속도 정보(예컨대, LTE, 와이파이, 3G, 4G, 5G 등)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 복호화부(320)는 키코드에 기초하여 그리드 이미지를 재배열하여 더미 이미지로 복호화할 수 있다.
제 1 복호화부(320)는 키코드에 포함된 그리드 이미지의 분할 정보에 기초하여 더미 이미지로 복호화할 수 있다. 여기서, 그리드 이미지의 분할 정보는 블록의 개수를 의미할 수 있다.
제 1 복호화부(320)는 키코드에 포함된 복수의 블록 각각의 초기 인덱스 정보 및 복수의 블록 각각의 변경 인덱스 정보에 기초하여 재배열된 복수의 블록으로 구성된 그리드 이미지를 재배열되기 이전의 복수의 블록으로 구성된 더미 이미지로 복호화할 수 있다. 이 때, 그리드 이미지는 복수의 블록 각각의 위치가 초기 인덱스 정보에서 변경 인덱스 정보로 변경된 이미지이며, 더미 이미지는 복수의 블록 각각의 위치가 변경 인덱스 정보에서 초기 인덱스 정보로 환원시킨 이미지일 수 있다.
제 2 복호화부(330)는 키코드에 기초하여 더미 이미지로부터 더미를 제거하여 패딩 이미지로 복호화할 수 있다. 여기서, 더미 이미지는 패딩 이미지보다 사이즈가 큰 이미지일 수 있다.
제 2 복호화부(330)는 더미가 부가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더미 이미지로 복호화할 수 있다.
제 3 복호화부(340)는 키코드에 기초하여 패딩 이미지로부터 패딩을 제거하여 원본 이미지로 복호화할 수 있다. 여기서, 패딩 이미지는 원본 이미지보다 사이즈가 큰 이미지일 수 있다. 제 3 복호화부(340)는 패딩의 사이즈 및 패딩이 부가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원본 이미지로 복호화할 수 있다.
이미지 출력부(350)는 원본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당업자라면, 수신부(300), 성능 정보 전송부(310), 제 1 복호화부(320), 제 2 복호화부(330), 제 3 복호화부(340) 및 이미지 출력부(350) 각각이 분리되어 구현되거나, 이 중 하나 이상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수신부(300), 성능 정보 전송부(310), 제 1 복호화부(320), 제 2 복호화부(330), 제 3 복호화부(340) 및 이미지 출력부(350)는 사용자 단말(130)에 탐재된 웹브라우저의 모듈일 수 있고, 웹브라우저를 통해 수신부(300), 성능 정보 전송부(310), 제 1 복호화부(320), 제 2 복호화부(330), 제 3 복호화부(340) 및 이미지 출력부(350)의 각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본 이미지를 암호화 및 복호화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때, 도 6a 및 6b 는 도 5a의 실시예에 따른 더미 이미지(51) 및 도 4a의 실시예에 따른 패딩 이미지에 기초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패키징 서버(100)는 더미 이미지(61)를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복수의 블록을 재배열하여 그리드 이미지(62)를 생성할 수 있다. 패키징 서버(100)는 그리드 이미지(62)를 원본 이미지로 복호화하기 위한 키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패키징 서버(100)는 그리드 이미지의 분할 정보, 패딩의 사이즈, 패딩이 부가된 위치 정보, 더미가 부가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키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키징 서버(100)는 그리드 이미지의 분할 정보가 4 X 5 블록이고, 더미가 부가된 위치인 제 1 영역(620), 패딩의 제 1 사이즈, 패딩이 부가된 위치인 제 1 영역(610)을 포함하는 키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패키징 서버(100)는 복수의 블록이 재배열되기 이전의 복수의 블록 각각의 초기 인덱스 정보 및 복수의 블록이 재배열된 이후의 복수의 블록 각각의 변경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는 키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된 더미 이미지(61)의 제 1 블록(630)에 대한 초기 인덱스 정보 및 변경 인덱스 정보는 {(0,0), (0,1)}이고, 더미 이미지(61)의 제 2 블록(640)에 대한 초기 인덱스 정보 및 변경 인덱스 정보{(0,1), (1,0)}이고, 더미 이미지(61)의 제 3 블록(650)에 대한 초기 인덱스 정보 및 변경 인덱스 정보는 {(0,2), (0,2)}일 수 있다.
패키징 서버(100)는 그리드 이미지를 파일 서버(110)로 전송하고, 키코드를 키코드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30)은 파일 서버(110)로부터 그리드 이미지(62)를 수신하고, 키코드 서버(120)로부터 그리드 이미지(62)에 대응하는 키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30)은 키코드에 기초하여 그리드 이미지(62)를 재배열하여 더미 이미지(61)로 복호화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30)은 그리드 이미지의 분할 정보, 복수의 블록 각각의 초기 인덱스 정보 및 상기 복수의 블록 각각의 변경 인덱스 정보에 기초하여 재배열된 복수의 블록으로 구성된 그리드 이미지(62)를 재배열되기 이전의 복수의 블록으로 구성된 더미 이미지(61)로 복호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130)은 그리드 이미지(62)의 제 1 블록(630)을 (0,1)에서 (0,0)로 재배열시키고, 제 2 블록(640)을 (1,0)에서 (0,1)로 재배열시키고, 제 3 블록(650)을 (0,2)에서 (0,2)로 재배열시킬 수 있다.
사용자 단말(130)은 키코드에 포함된 더미가 부가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재배열된 더미 이미지(61)로부터 더미(620)를 제거하여 패딩 이미지(60)로 복호화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30)은 키코드에 포함된 패딩(610)의 사이즈 및 패딩(610)이 부가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패딩 이미지(60)로부터 패딩(610)을 제거하여 원본 이미지(600)로 복호화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호화된 원본 이미지를 출력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암호화된 원본 이미지를 출력하는 방법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패키징 서버(100), 파일 서버(110), 키코드 서버(120) 및 사용자 단말(13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6의 패키징 서버(100), 파일 서버(110), 키코드 서버(120) 및 사용자 단말(130)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암호화된 원본 이미지를 출력하는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S710에서 사용자 단말(130)에 탑재된 웹브라우저는 웹서버로부터 그리드 이미지 및 키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그리드 이미지의 경로와 키코드의 경로는 에이젝스(ajax) 기술을 이용하여 숨김 처리될 수 있다.
단계 S730에서 사용자 단말(130)에 탑재된 웹브라우저는 수신된 키코드에 기초하여 그리드 이미지를 재배열하여 더미 이미지로 복호화할 수 있다.
단계 S750에서 사용자 단말(130)에 탑재된 웹브라우저는 수신된 키코드에 기초하여 더미 이미지로부터 더미를 제거하여 패딩 이미지로 복호화할 수 있다.
단계 S770에서 사용자 단말(130)에 탑재된 웹브라우저는 수신된 키코드에 기초하여 패딩 이미지로부터 패딩을 제거하여 원본 이미지로 복호화할 수 있다.
단계 S790에서 사용자 단말(130)에 탑재된 웹브라우저는 복호화된 원본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710 내지 S79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패키징 서버
110: 파일 서버
120: 키코드 서버
130: 사용자 단말

Claims (20)

  1. 원본 이미지를 암호화하는 패키징 서버에 있어서,
    상기 원본 이미지에 패딩(padding)을 부가하여 패딩 이미지를 생성하는 패딩 이미지 생성부;
    상기 패딩 이미지에 더미(dummy)를 부가하여 더미 이미지를 생성하는 더미 이미지 생성부;
    상기 더미 이미지를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상기 복수의 블록을 재배열하여 그리드 이미지를 생성하는 그리드 이미지 생성부; 및
    상기 그리드 이미지를 상기 원본 이미지로 복호화하기 위한 키코드를 생성하는 키코드 생성부
    를 포함하되,
    상기 더미 이미지 생성부는 기설정된 복수의 더미 부가 패턴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패딩 이미지에 상기 더미를 부가할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위치에 상기 더미를 부가하여 더미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더미를 부가할 위치는 상기 패딩 이미지의 외측을 포함하는 것인, 패키징 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딩 이미지 생성부는 상기 원본 이미지의 외부 영역에 상기 패딩을 부가하여 상기 패딩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외부 영역의 위치는 상기 원본 이미지의 사이즈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인, 패키징 서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이미지 생성부는 상기 패딩 이미지의 외부 영역에 상기 더미를 부가하여 상기 더미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인, 패키징 서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딩 이미지는 상기 원본 이미지보다 큰 사이즈를 갖고,
    상기 더미 이미지는 상기 패딩 이미지보다 큰 사이즈를 갖는 것인, 패키징 서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이미지 생성부는 상기 원본 이미지의 내부 영역에 상기 더미를 부가하여 상기 더미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인, 패키징 서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 이미지를 파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생성된 키코드를 키코드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패키징 서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코드 생성부는 상기 그리드 이미지의 분할 정보, 상기 패딩의 사이즈, 상기 패딩이 부가된 위치 정보, 상기 더미가 부가된 위치 정보, 상기 복수의 블록이 재배열되기 이전의 상기 복수의 블록 각각의 초기 인덱스 정보 및 상기 복수의 블록이 재배열된 이후의 상기 복수의 블록 각각의 변경 인덱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키코드를 생성하는 것인, 패키징 서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 이미지 생성부는 상기 더미 이미지를 제 1 개수로 분할한 블록을 재배열한 제 1 그리드 이미지 및 상기 더미 이미지를 제 2 개수로 분할한 블록을 재배열한 제 2 그리드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인, 패키징 서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키코드 생성부는 상기 제 1 그리드 이미지에 대한 제 1 키코드 및 상기 제 2 그리드 이미지에 대한 제 2 키코드를 생성하는, 패키징 서버.
  10.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그리드 이미지 및 키코드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키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그리드 이미지를 재배열하여 더미(dummy) 이미지로 복호화하는 제 1 복호화부;
    상기 키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더미 이미지로부터 더미를 제거하여 패딩(padding) 이미지로 복호화하는 제 2 복호화부;
    상기 키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패딩 이미지로부터 패딩을 제거하여 원본 이미지로 복호화하는 제 3 복호화부 및
    상기 원본 이미지를 출력하는 이미지 출력부
    를 포함하되,
    상기 더미 이미지는 기설정된 복수의 더미 부가 패턴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패딩 이미지에 상기 더미가 부가될 위치가 결정되고, 결정된 위치에 상기 더미가 부가되어 생성된 이미지이고,
    상기 더미가 부가될 위치는 상기 패딩 이미지의 외측을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키코드는 상기 그리드 이미지의 분할 정보, 상기 더미가 부가된 위치 정보, 상기 패딩의 사이즈 및 상기 패딩이 부가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복호화부는 상기 그리드 이미지의 분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더미 이미지로 복호화하고,
    상기 제 2 복호화부는 상기 더미가 부가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더미 이미지로 복호화하고,
    상기 제 3 복호화부는 상기 패딩의 사이즈 및 상기 패딩이 부가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원본 이미지로 복호화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키코드는 상기 더미 이미지의 복수의 블록이 재배열되기 이전의 상기 복수의 블록 각각의 초기 인덱스 정보 및 상기 복수의 블록이 재배열된 이후의 상기 복수의 블록 각각의 변경 인덱스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복호화부는 상기 복수의 블록 각각의 초기 인덱스 정보 및 상기 복수의 블록 각각의 변경 인덱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배열된 복수의 블록으로 구성된 상기 그리드 이미지를 상기 재배열되기 이전의 복수의 블록으로 구성된 더미 이미지로 복호화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파일 서버로부터 상기 그리드 이미지를 수신하고, 키코드 서버로부터 상기 키코드를 수신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서버는 상기 더미 이미지를 제 1 개수로 분할한 블록을 재배열한 제 1 그리드 이미지 및 상기 더미 이미지를 제 2 개수로 분할한 블록을 재배열한 제 2 그리드 이미지를 저장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성능 정보를 상기 파일 서버로 전송하는 성능 정보 전송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성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파일 서버로부터 상기 제 1 그리드 이미지 또는 제 2 그리드 이미지를 수신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패딩 이미지는 상기 원본 이미지보다 큰 사이즈를 갖고,
    상기 더미 이미지는 상기 패딩 이미지보다 큰 사이즈를 갖는 것인, 사용자 단말.
  18. 웹브라우저가 탑재된 컴퓨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웹브라우저는,
    웹서버로부터 그리드 이미지 및 키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키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그리드 이미지를 재배열하여 더미(dummy) 이미지로 복호화하고,
    상기 키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더미 이미지로부터 더미를 제거하여 패딩(padding) 이미지로 복호화하고,
    상기 키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패딩 이미지로부터 패딩을 제거하여 원본 이미지로 복호화하고,
    상기 원본 이미지를 출력하되,
    상기 더미 이미지는 기설정된 복수의 더미 부가 패턴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패딩 이미지에 상기 더미가 부가될 위치가 결정되고, 결정된 위치에 상기 더미가 부가되어 생성된 이미지이고,
    상기 더미가 부가될 위치는 상기 패딩 이미지의 외측을 포함하는 것인, 컴퓨팅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웹브라우저는 HTML5의 캔버스(canvas)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더미 이미지, 상기 패딩 이미지 및 상기 원본 이미지로 복호화하는 것인, 컴퓨팅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 이미지의 경로와 상기 키코드의 경로는 에이젝스(ajax) 기술을 이용하여 숨김 처리되어 있는 것인, 컴퓨팅 장치.
KR1020160051623A 2016-04-27 2016-04-27 원본 이미지를 암호화하는 서버, 단말 및 컴퓨팅 장치 KR101852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623A KR101852498B1 (ko) 2016-04-27 2016-04-27 원본 이미지를 암호화하는 서버, 단말 및 컴퓨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623A KR101852498B1 (ko) 2016-04-27 2016-04-27 원본 이미지를 암호화하는 서버, 단말 및 컴퓨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2529A KR20170122529A (ko) 2017-11-06
KR101852498B1 true KR101852498B1 (ko) 2018-06-04

Family

ID=60384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1623A KR101852498B1 (ko) 2016-04-27 2016-04-27 원본 이미지를 암호화하는 서버, 단말 및 컴퓨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249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58832A (ja) * 2014-09-08 2016-04-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7417A (ko) * 2009-12-14 2011-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암호화 방법 및 장치와 데이터 복호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58832A (ja) * 2014-09-08 2016-04-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2529A (ko) 2017-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ohl Attacking phone privacy
US8174362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to secure data transmission in RFID systems
CN102917338B (zh) 在终端上实现sim卡功能的方法、终端及uicc
KR101248790B1 (ko) 다수의 소비자 시스템들 중 하나에 암호화된 콘텐트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방법, 암호화된 콘텐트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보안 콘텐트 패키지를 발생시키는 방법
US8948376B2 (en) Format-preserving encryption via rotating block encryption
CN101454783B (zh) 用于芯片上系统器件中数据通路安全的系统和方法
CN104602238B (zh) 一种无线网络连接方法、装置和系统
US9436815B2 (en) Block management un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7191343B2 (en) Voucher driven on-device content personalization
US2014014354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Encrypted Files in Network System
BRPI0614785A2 (pt) método, dispositivo, produto de programa de computador e sistema para sinalização de retrições geográficas
CN102164034A (zh) 用于建立安全信任密钥的设备和方法
US8533493B1 (en) Method of securing transmission data
CN110049489B (zh) 传输信标数据的方法及装置
US20170171166A1 (en) Anti-hotlink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N110475247A (zh) 消息处理方法及装置
CN103246540A (zh) 应用程序更新方法和装置
CN104717056A (zh) 一种二维码加密、解密方法及加密、解密装置
Koppu et al. Medical image security enhancement using two dimensional chaotic mapping optimized by self-adaptive grey wolf algorithm
CN110798714B (zh) 一种基于hls的本地视频播放系统及播放方法
CN100561396C (zh) 修改数字权限对象的方法及其所用的电子设备
CN105743906A (zh) 一种基于内容关联密钥的图片文件加解密方法及系统
CN103414552A (zh) 一种利用二叉树遍历方式进行加密、解密方法及装置
KR102328106B1 (ko) 이미지 암호화 저장 시스템 및 방법
KR101852498B1 (ko) 원본 이미지를 암호화하는 서버, 단말 및 컴퓨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