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2485B1 -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beer comprising germinated rice and achyranthes and the beer prepared therefrom - Google Patents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beer comprising germinated rice and achyranthes and the beer prepared therefro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2485B1
KR101852485B1 KR1020160082491A KR20160082491A KR101852485B1 KR 101852485 B1 KR101852485 B1 KR 101852485B1 KR 1020160082491 A KR1020160082491 A KR 1020160082491A KR 20160082491 A KR20160082491 A KR 20160082491A KR 101852485 B1 KR101852485 B1 KR 101852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er
hours
malt
content
germin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24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03683A (en
Inventor
천지연
김형락
Original Assignee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담주영농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담주영농조합법인 filed Critical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82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2485B1/en
Publication of KR20180003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6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2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4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7/00Preparation of wort
    • C12C7/04Preparation or treatment of the mash
    • C12C7/047Preparation or treatment of the mash part of the mash being unmalted cereal mash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12/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special kinds of bee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5/00Other raw materials for the preparation of bee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5/00Other raw materials for the preparation of beer
    • C12C5/02Additives for beer

Abstract

본 발명은 미아 및 우슬 함유 맥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미아 및 우슬 함유 맥주에 관한 것으로, (S1) 맥아와 미아를 8 : 2 내지 6 : 4의 중량비로 혼합 투입하여 당화시키는 당화단계; (S2) 상기 단계 (S1)에서 당화된 당화물에 호프 및 우슬을 첨가하여 농축하는 농축단계; (S3) 상기 단계 (S2)에서 농축된 농축물에 효모를 투입하여 발효시키는 발효단계; 및 (S4) 상기 단계 (S3)에서 발효된 발효물을 숙성시키는 숙성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맥주는면 수입산 맥아 대신에 국내산 벼를 발아시켜 미아를 제조하고 이를 맥주 제조시 당화 원료로 사용함으로써 생산가 절감과 부드러운 풍미를 부여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우슬을 첨가하여 기능성이 개선된 맥주를 제조하여 젊은 층 및 중년 층의 선호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malt and a beer containing beer, and a malt and a beer containing beer thus produced, wherein (S1) the malt and the malt are mixed at a weight ratio of 8: 2 to 6: 4, (S2) a step of concentrating the saccharified saccharide in step (S1) by adding a hop and a starch; (S3) a fermentation step in which yeast is added to the concentrated concentrate in step (S2) and fermented; And (S4) an aging step of aging the fermented material fermented in the step (S3), the beer produc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by germinating the domestic rice in place of malted cotton, By using it as a raw material for saccharification, it is advantageous to reduce the production cost and impart a soft flavor.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xpected that the preference of young and middle-aged people can be improved by manufacturing beer with improved function by adding the mist.

Description

미아 및 우슬 함유 맥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미아 및 우슬 함유 맥주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beer comprising germinated rice and achyranthes and the beer prepared therefrom}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beer containing malt and mist, and a beer containing malt and mist,

본 발명은 미아(발아벼) 및 우슬 함유 맥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미아 및 우슬 함유 맥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존의 수입산 맥아를 대체하여 침지 및 발아된 미아 및 고온고압 처리된 우슬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드러운 풍미 및 기능성이 부여된 미아 및 우슬 함유 맥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미아 및 우슬 함유 맥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malt (germinated rice) and a beer containing beer, and a malt and a beer containing beer produced thereby.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l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beer containing males and moss having a soft flavor and a function imparted thereto, and a malt beer containing malt and mist produced thereby.

맥주는 발효주로 현재 젊은 층에서 널리 음용되고 있으며, 세계 주류 생산량의 약 77%를 차지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2011년 맥주의 선호도(37%)가 소주의 선호도(34%)를 앞서기 시작하였으며 전체적인 주류 시장의 성장세가 둔화된 가운데서도 맥주의 소비는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2012, 한국주류산업협회). 또한 2013년도 상반기 국내 맥주 수입량이 전년도 대비하여 21% 증가하고 최근 3년간 수입맥주 시장은 68% 성장(정철. 식품과학과산업. 2013. 46(6):34-41)하는 등 다양한 종류의 맥주에 대한 소비자들의 욕구가 증가하고 있다.Beer is a fermented beverage that is currently widely consumed in young people and accounts for about 77% of world liquor production. Domestic beer preference (37%) is ahead of Suzhou's preference (34%) in 2011, and beer consumption is steadily increasing even as the overall liquor market growth slows (2012, Korean liquor Industry association). In addition, domestic beer imports increased by 21% in the first half of 2013 and the imported beer market grew by 68% in the last three years (Chungcheol, Food Science and Industry, 2013. 46 (6): 34-41) Consumers' desires are increasing.

맥주는 통상적으로 보리를 가공한 맥아를 발효한 술로, 알코올은 종류에 따라 2~18% 정도의 다양한 도수를 가진다. 맥주의 제조를 위해서는 그 종류를 불문하고 일반적으로 담금 공정, 농축 공정, 발효 공정 그리고 숙성 공정이 필요하다.Beer is usually fermented malt processed with barley. Alcohol has a diverse frequency of 2 ~ 18% depending on the type. Regardless of the type of beer, it is generally necessary to process the fermentation process, the fermentation process, and the fermentation process.

담금 공정은 발아 곡류인 맥아(예컨대 보리맥아, 밀맥아)를 이용하여 맥즙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원료인 맥아의 가용 성분을 침출시킴과 함께 맥아가 가지는 효소에 의해 불용성 성분을 가용화시킴으로써 효모의 생육, 효모에 의한 발효 등에 필요한 영양분을 얻기 위한 공정이다. 해당 공정은 맥아를 분쇄하고 물과 혼합한 후 온도를 높여 당화하는 과정, 맥즙을 여과하고 끓이는 농축 과정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최종적으로 여러 성분이 농축된 맥즙을 획득할 수 있다. 농축 과정 중에 맥주의 독특한 맛과 향을 부여하는 호프가 첨가되며, 부원료로서 전분, 옥수수분 등이 첨가될 수 있다.The immersion process is a process for producing wort using germinated cereals (for example, barley malt and wheat germ). It solubilizes the soluble components of malt, which is a raw material, and solubilizes the insoluble components by the enzyme of the malt, , And fermentation by yeast. The process can be divided into the process of grinding malt, mixing it with water, saccharifying it by elevating the temperature, filtering the wort, and concentrating the brewing process. Finally, the concentrated wort can be obtained. During the concentration process, a hop that adds a unique taste and flavor to beer is added, and starch, corn meal, etc. may be added as an additive.

담금 공정의 당화 과정과 농축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맥즙은 적당한 온도로 냉각된 다음에 효모와 공기가 첨가된다. 효모는 맥즙 속의 영양 성분과 공기 중의 산소를 이용하여 적정 수로 증식되고, 증식 후 혐기 상태에서 효모에 의한 발효 공정을 시작하게 된다. The wort obtained through the saccharification process and the concentration process of the dipping process is cooled to a suitable temperature, and then yeast and air are added. The yeast grows in the proper number of water using the nutrients in the juice and oxygen in the air, and starts the yeast fermentation process in the anaerobic state after the proliferation.

발효는 효모에 의해 맥즙 속의 당분을 분해하여 알코올과 탄산가스를 생산하는 양조 공정이며, 이때 부산물로서 다이아세틸, 유기산, 알코올, 에스테르, 황화합물, 알데히드, 페놀류 등이 생성되며, 이들 부산물은 맥주의 맛과 향미에 영향을 미친다. Fermentation is a brewing process in which sugar is decomposed by yeast to produce alcohol and carbon dioxide gas. At this time, diacetyl, organic acid, alcohol, ester, sulfur compound, aldehyde and phenol are produced as byproducts, And flavor.

발효가 끝난 맥주는 효모와 분리되어 숙성 공정(후발효 공정)을 거치게 되는데, 상기 발효 공정 후의 맥주는 효모와 단백질 부유물로 탁한 상태이면서 탄산가스도 충분히 포화되지 아니한 상태인데, 숙성 공정을 통하여 부유물이 침강되어 맑게 되고 탄산가스가 맥주 속에 용해 및 포화되게 된다. The fermented beer is separated from the yeast and subjected to an aging process (post-fermentation process). The fermented beer after the fermentation process is in a state of being turbid with yeast and protein suspensions and not sufficiently saturated with carbonic acid. So that the carbon dioxide gas is dissolved and saturated in the beer.

숙성 공정이 끝난 맥주는 여과하여 부유물을 제거하고 병, 캔 등의 용기에 담아 제품화된다. After the aging process, the beer is filtered to remove the suspended matter and put into a container such as a bottle or a can.

최근 소비자의 입맛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맥주가 개발되고 있는데, 특정 식품의 맛과 향을 첨가하거나 기능성 성분을 함유한 맥주, 알코올 도수를 낮춘 맥주 등이 개발되고 있다. 예컨대, 한국 등록특허 제 1156062호에서는 뽕잎을 첨가한 맥주 제조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한국 등록특허 제 1156071호에서는 오디열매, 한국 등록특허 제 0790504호에서는 산삼을 이용한 맥주 제조 방법 등이 개시되어 있다.Recently, various types of beer have been developed in order to satisfy the taste of consumers. For example, beer containing functional ingredients, beer having lower alcohol content, etc. are being developed. Korean Patent No. 1156062, for example, discloses a method for producing beer with mulberry leaf added thereto, Korean Patent No. 1156071 discloses a method for producing beer using wild ginseng, and Korean Patent No. 0790504 discloses a method for producing beer using wild ginseng.

그러나, 국내에서 맥주 제조시 사용되는 맥아는 전량 수입하여 사용하고 있어 국내산 맥주 개발을 위해서는 수입산 맥아를 대체할 수 있는 개술개발이 필요하다. 최근 쌀을 맥주 제조에 사용하는 경우 순하고 부드러운 풍미로 인하여 다양한 연령대에서 선호도를 보이므로 쌀을 발아시킨 미아를 사용하여 부드러운 풍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However, since malt used in beer production in Korea is imported and used all over the countr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ew malt substitute for imported malt to develop domestic beer. Recently, when rice is used for beer production, it seems to be able to give soft flavor by using rice germinated since it shows preference at various ages due to its mild and soft flavor.

한편, 우슬은 비름과 (Amaranth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 한국, 중국, 일본 등에 분포하며, 민간에서는 쇠무릎이라 불릴 만큼 관절염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우슬은 기원식물이 국가마다 달라, 국내산 우슬의 경우 토우슬 (Achyranthesjaponica Nakai)을 사용하며, 중국에서는 회우슬 (Achyranthesbidentata Blume), 천우슬 (Cyathula officinalis Kuan) 및 마우슬 (Cyathulacapitata Moq)을 사용하고 있다 (Kor. J. Herbology. 2007 22:71-79, Kim 등).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 대한약전에서는, 국내 자생하는 토우슬과 중국원산의 회우슬의 2종을 우슬로 규정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특별한 용도구분 없이 사용되고 있다. 우슬은 한방 약용재료이면서도 식품원재료로 사용가능하며, 세포독성 및 유전독성이 없다고 보고 (우슬의 13주 반복투여 및 유전독성시험연구, 한국화학시험연구원, 2007, 성하정 외)되어 있으나, 현재 이를 이용한 가공식품 개발 및 상업화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On the other hand, wax is a perennial plant belonging to Amaranthaceae, distributed in Korea, China, and Japan. It is known to be effective for arthritis in the private sector. Origin plants differ from country to country, using Achyranthes japonica Nakai for domestic wastes and Achyranthesbidentata Blume, Cyathula officinalis Kuan and Cyathulacapitata Moq in China (Kor J. Herbology 2007 22: 71-79, Kim et al.). However, in the current pharmacopoeia of Korea, two kinds of toxin, which are naturally occurring tobacco and Chinese origin, are defined as wax.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re is no cytotoxicity and genotoxicity (13 weeks of repeated administration and genotoxicity test,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Chemical Technology, 2007) The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processed foods has been almost non-existent.

한방에서의 우슬은 성미가 평하며, 쓴맛과 신맛을 가지고, 신장과 간장의 작용하여 어혈을 제거하며,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혈액을 생성하는 효능과 열을 떨어뜨리는 효능이 알려져 있다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 18: 110-126, 김경수 외). 우슬의 주요 약리성분으로는 oleanolic acid, inocosterone, ecdysterone, beta-sitosterol, stigmasterol, feruloyl tyramine glycoside 등이 알려져 있다 (Chin. J. Nat. Med. 10: 16-19, Yang 등). 우슬에 대한 연구는, 과거에는 주로 다량 증식을 위한 기내배양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최근에는 우슬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한 유용생리활성 탐색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보고된 생리활성으로는 항산화 활성 (Kor. J. Herbology 2007. 22: 155-167, Park 등), 항균 및 항말라리아 활성 (Korean J. Biotechnol. Bioeng. 2002. 17: 537-542. Cai 등), 항염증 활성, 중금속 제거 및 해독효과 (Kor. J. Oriental Physiol. Pathol. 2004. 18: 1784-1794. Kang 등), 관절염 완화 및 경조직 재생효과 (The J. Appl. Pharmcol. 2002. 10: 253-257, Kim 등), 파골세포 분화억제효과 (J. Orient. Obster. Gynecol. 2012. 25: 1-10. Choi 등), 허혈성 뇌손상에 대한 보호효과 (Kor. J. Herbology 2012. 27: 77-83. Oh 등), 혈류개선 효과 (J. Tradit. Chin. Med. 2001. 21: 225-231, Xie 등) 등이 보고되어 있다.It is known that the womb in one room has the effect of lowering the efficacy and heat to generate blood, improve blood circulation, eliminate bitterness and sourness, functioning kidneys and liver, Journal of Gynecology, 2005. 18: 110-126, Kim, Kyung-Su and others). The main pharmacological components of wheat are oleanolic acid, inocosterone, ecdysterone, beta-sitosterol, stigmasterol and feruloyl tyramine glycoside (Chin, J., Nat. In recent years, research on the toxin has been carried out, and recently, it has been turned into a search for a useful physiological activity for efficient use of astaxanthin. The reported physiological activity is antioxidant activity (Kor. Herbology 2007. 22: 155-167, Park et al.), Antibacterial and anti-malarial activity (Korean J. Biotechnol. Bioeng 2002. 17: 537-542, Cai et al.), Anti-inflammatory activity, heavy metal removal and detoxification effect (Kor. J. Oriental Physiol. Pathol 2004. 18: 1784-1794, Kang et al.), Arthritis relief and hard tissue regeneration effect (The J. Appl. Pharmcol. 2002. 10: 253-257, Kim et al.), (Kor, J. Herbology 2012. 27: 77-83, Oh et al.), The effect of improving blood flow (see, for example, J. Orient Obster Gynecol, J. Tradit. Chin. Med. 2001. 21: 225-231, Xie et al.).

우슬과 관련된 특허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51389호 우슬 발효주 및 그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29595호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의 조성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8378호 관절염 치료 및 예방용 약학조성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15815호 우슬, 오공, 두충, 오가피, 방풍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 및 이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제제 (골다공증, 류마티스 관절염, 디스크증상의 예방과 치료),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84339호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혈전제가 개시되어 있다. Patent documents relating to astringent hair include Korean Patent No. 10-1251389, Wusul fermented soybean oil and its preparation method, Korean Patent No. 10-0429595 herbal medicine extract and method for preparing and treating arthritis, and composition thereof, Korea Patent No. 10-1248378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and preventing arthritis, Korean Patent No. 10-0415815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0415815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as a main ingredient windswept, , Rheumatoid arthritis,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isk symptoms), Korean Patent No. 10-0784339 discloses an antithrombotic agent containing a mixed herbal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이에 본 발명에서는 국내산 벼를 발아시켜 미아를 제조하고 이를 맥주 제조시 당화 원료로 이용되는 수입산 맥아를 일부 대체하여 사용함으로써 생산가 절감뿐만 아니라 부드러운 풍미를 부여하고 우슬을 첨가함으로써 기능성이 개선된 맥주를 개발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eer which is improved in functionality by providing a soft flavor as well as a reduced flavor and a reduced flavor by using a part of imported malt used as a raw material for saccharification in producing beer by germinating the domestic rice paddy Thereby completing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부드러운 풍미를 가지며 기능성이 개선된 맥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a beer having a soft flavor and improved functionality.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부드러운 풍미를 가지며 기능성이 개선된 맥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eer having a soft flavor and improved functionality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 및 우슬 함유 맥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beer containing males and females, which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S1) 맥아와 미아를 8 : 2 내지 6 : 4의 중량비로 혼합 투입하여 당화시키는 당화단계;(S1) a saccharification step for saccharifying malt and malt into a mixture at a weight ratio of 8: 2 to 6: 4;

(S2) 상기 단계 (S1)에서 당화된 당화물에 호프 및 우슬을 첨가하여 농축하는 농축단계;(S2) a step of concentrating the saccharified saccharide in step (S1) by adding a hop and a starch;

(S3) 상기 단계 (S2)에서 농축된 농축물에 효모를 투입하여 발효시키는 발효단계; 및(S3) a fermentation step in which yeast is added to the concentrated concentrate in step (S2) and fermented; And

(S4) 상기 단계 (S3)에서 발효된 발효물을 숙성시키는 숙성 단계.(S4) an aging step of aging the fermented material fermented in the step (S3).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미아 및 우슬이 함유된 맥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eer containing a miso and a mist produc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에 따르면 맥주 제조시 수입산 맥아 대신에 국내산 벼를 발아시킨 미아를 당화 원료로 사용함으로써 생산가 절감 효과뿐만 아니라 부드러운 풍미가 부여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우슬을 첨가하여 기능성이 개선된 맥주를 제조하여 젊은 층뿐만 아니라 중년 층의 선호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 of a mother louse germinated in domestic rice instead of imported malt in the production of beer has an advantage of giving a soft flavor as well as a reduction in production cost.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xpected that the preference of the middle age as well as the young age can be increased by adding beer to improve the functionality.

본 발명의 미아 및 우슬 함유 맥주의 제조방법은 기존의 맥주 제조공정과 같이 당화, 농축, 발효 및 숙성 과정을 거치며, 당화 단계에서 맥아를 대체하여 미아를 사용하고, 농축 단계에서 호프 첨가시 우슬을 함께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producing a beer containing malt and mist includes the steps of saccharification, concentration, fermentation and aging as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beer manufacturing process. In the saccharification step, malt is used instead of malt, Are added together.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미아는 벼 나락을 침지 및 발아시켜 수득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30 내지 40℃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35℃의 온도에서 22 내지 26 시간, 바람직하게는 24 시간 동안 침지시킨 다음 25 내지 35℃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30℃에서 20 내지 30 시간, 바람직하게는 24 시간 동안 습도 85 내지 95%에서 발아시켜 제조될 수 있다.The mica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obtained by dipping and germinating rice hulls, and specifically, it is immersed at a temperature of 30 to 40 ° C, preferably 35 ° C for 22 to 26 hours, preferably 24 hours At a temperature of 25 to 35 占 폚, preferably at 30 占 폚 for 20 to 30 hours, preferably 24 hours, at a humidity of 85 to 95%.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발아전 벼를 물에 침지한 시간을 8, 16, 24시간으로 달리한 후 24시간 동안 발아시킨 다음 발아된 미아의 발아율, 나이아신 및 GABA 함량, 당화력 등을 조사한 결과, 침지 16시간이 나이아신과 GABA 함량이 가장 높았으나 침지 24시간이 발아된 미아의 싹의 길이가 고르게 분포하여 당화력이 최대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침지시간이 길게 되면 나이아신 같은 수용성 비타민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나 GABA와 같은 기능성성분의 함량이 최대값을 보이기 때문에 기능성 개선 측면에서 24시간 침지가 바람직할 것으로 보여진다.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rmination was carried out for 24 hours after immersing the rice in water for 8, 16 and 24 hours, and then germination rate, niacin and GABA content, As a result, 16 hours of immersion showed the highest content of niacin and GABA, but the length of germinated buds germinated for 24 hours was distributed evenly and glycation was maximized. When immersion time is prolonged, loss of water - soluble vitamins such as niacin may occur. However, since the content of functional ingredient such as GABA is maximized, immersion for 24 hours is desirable in terms of improvement of functionality.

또한, 상기 미아는 침지 후 발아 공정을 거치게 되며, 일반적으로 맥주 제조시 보리를 발아시켜 맥아로 만드는 주목적은 발아에 의해서 보리 중에 여러 가지 효소를 생합성 또는 활성화시키고, 배유의 세포벽을 용해하여 내용물이 효소작용을 받기 쉬운 상태로 만들어 주는 동시에 저장물질을 적당히 분해하는데 있다. 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miscarriage is subjected to a germination process after immersion. Generally, germinating barley to make malt in the production of beer generally biosynthes or activates various enzymes in barley by germination, dissolves the cell wall of the endosperm, To make it easy to take action, and to decompose the storage material properly.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벼 나락을 침지시킨 후 발아시간을 20, 24, 28, 32시간으로 달리하면서 미아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모두 높은 발아율을 보였으나 20시간과 24시간에서 발아싹의 길이가 대부분 6 mm이하인 단미아가 제조된 반면, 28시간과 32시간 발아된 미아의 유아 길이는 10 mm까지 이상으로 성장하는 장미아가 제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나이아신 함량은 발아시간 24시간에서 최고였으며, GABA 함량은 발아시간 20시간에서 가장 높았고 그 이후 발아시간이 길어지면서 점차 감소되었다. 당화력은 발아시간이 길어지면서 점차 증가되어 28시간에서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전체적으로 단미아 제조에 24시간 발아가 20시간 발아기간보다 바람직하였으며, GABA, 나이아신 함량, 당화력도 증가 이후 비교적 높게 유지되어 맥주 제조를 위한 미아 제조 발아 최적시간으로 24시간을 선정하였다. According to the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germination time was changed to 20, 24, 28, 32 hours after dipping the seedlings, the germination characteristics were all high. However, at 20 hours and 24 hours, The length of infant of ginseng germinated for 28 hours and 32 hours was increased to 10 mm or more. The content of niacin was highest at 24 hours of germination, and GABA content was highest at 20 hours of germination time. The glycation capacity increased gradually with germination time and showed maximum value at 28 hours. 24 hours germination was preferred to germination for 20 hours after germination, and GABA, niacin content, and glycation were maintained at relatively high level.

일반적으로 보리를 발아시켜 맥아를 제조하는 경우 싹의 길이가 보리 길이의 3/4∼4/5 정도를 단맥아, 싹의 길이가 보리 길이의 1.5∼2배 되는 것을 장맥아로 분류하고 있으며 맥주 제조시 단맥아가 사용된다. 이러한 기준으로 볼 때 본 발명에서 20시간과 24시간 발아된 미아는 단미아, 28시간과 32시간 동안 발아된 미아는 장미아로 분류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져 단맥아 제조 조건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Generally, when barley is germinated to produce malt, the length of the shoot is 3/4 to 4/5 of the length of the barley, and the length of the malt and shoot is 1.5 to 2 times the length of the barley. Malt malt is used in manufacturing. Based on these criteria, in the present invention, moths germinated 20 hours and 24 hours may be classified as males, and males germinated for 28 hours and 32 hours may be classified as rose females. .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최종 미아 제조 조건은 30 내지 40℃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35℃의 온도에서 22 내지 26 시간, 바람직하게는 24 시간 동안 침지시킨 다음 25 내지 35℃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30℃에서 20 내지 30 시간, 바람직하게는 24 시간 동안 습도 85 내지 95%에서 발아시켜 제조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nal malting conditions are dipped for 30 minutes to 40 占 폚, preferably 35 占 폚 for 22 to 26 hours, preferably 24 hours, followed by 25 to 35 占 폚 At a temperature of preferably 30 < 0 > C for 20 to 30 hours, preferably 24 hours, at a humidity of 85 to 95%.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미아는 맥아를 대체하여 사용하며, 이 때 맥아와 미아를 8 : 2 내지 6 : 4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7 : 3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les are used in place of the males, wherein malt and mises are preferably mixed in a weight ratio of 8: 2 to 6: 4, preferably 7: 3 Do.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맥아를 미아로 0 중량%, 15 중량%, 30 중량% 대체하여 제조된 맥주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맥주 제조시 요구되는 pH, 산도, 에탄올 생산량과 같은 지표에서는 맥아만을 사용하여 제조된 맥주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맥주 생산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나, 맥주 제조시 미아를 30%까지 대체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미아를 사용함에 따라 폴리페놀 함량은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GABA 함량의 경우는 30% 미아 첨가시 약 1.6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평가에서도 전체적으로 30% 미아 첨가 맥주가 관능적 특성이 높게 나타나 맥주 제조시 수입 맥아를 국산 미아로 30% 대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미아로 맥아를 일부 대체시 맥주의 색이 다소 맑아지고 맛에서는 보다 부드러운 풍미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ccording to one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acteristics of beer prepared by replacing malt with 0%, 15% and 30% by weight of malt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indexes such as pH, acidity and ethanol production , It is possible to produce beer which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beer produced using malt only. On the other hand, the content of polyphenol tended to decrease with the use of miso, but the content of GABA increased about 1.6 times when added with 30% mia. In sensory evaluation, 30% of total added beer has higher sensory characteristics, and imported malt can be substituted 30% for domestic malt during beer production. When the mia malt was partially replaced, it was confirmed that the color of the beer was somewhat clarified and the taste was soft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맥주에 첨가되는 우슬은 생우슬을 90 내지 110 kPa 압력 및 125 내지 135℃의 온도에서 1 내지 3회 고온고압 처리한 다음 건조하여 제조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st added to the beer can be prepared by subjecting raw beans to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treatment at a temperature of from 90 to 110 kPa and a temperature of from 125 to 135 DEG C one to three times, followed by drying.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110℃, 120℃, 130℃에서 고온고압 처리하는 처리 횟수가 증가할수록 사포닌 함량, 총 폴리페놀 함량, 항산화능(DPPH 라디칼 소거능, 환원력)은 일정 횟수까지는 증가하여 최대값을 보이다가 처리횟수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모든 결과에서 130℃에서 2회 처리한 우슬이 가장 높은 사포닌 함량, 총 폴리페놀 함량, 항산화능을 보여 고온에서 적은 횟수로 처리하는 공정조건이 우슬의 기능성 개선을 위해 바람직할 것으로 보여진다. 결과적으로 130℃에서 2회 처리한 시료는 무처리 우슬에 비하여 사포닌 함량은 2.7배, 총 폴리페놀 함량은 17배로 증가하였으며 거의 검출되지 않은 DPPH 라디컬 소거능과 환원력(reducing power)도 각각 1.184 mg GAE/g과 1.663 mg GAE/g의 항산화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According to one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ponin content, total polyphenol content, antioxidant ability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reducing power) are increased up to a certain number of times as the number of treatments at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is increased at 110 캜, 120 캜, And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as the number of treatments increased. In all th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he processing conditions of treatment with high frequency at low temperature showed the highest saponin content,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bility of the wax treated twice at 130 ℃. As a result, the saponin content was 2.7 times and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17 times higher than that of untreated shrub, and the almost undetected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and reducing power were 1.184 mg GAE / g and 1.663 mg GAE / g, respectively.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맥주 제조시 기능성 개선을 위해서 우슬을 100kPa 압력에서 130℃ 온도로 2회 고온고압처리 후 건조하여 사용하는 것이 최종 가공품의 기능성 개선에 가장 바람직하다. Therefo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most preferable to improve the functionality of the final processed product by treating the wax at a high temperature and a high pressure for two times at a temperature of 100 kPa to 130 캜 for improving the functionality during beer produc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우슬은 맥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2 내지 0.3 중량%, 바람직하게는 0.25 중량%의 양으로 첨가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ernatant may be added in an amount of 0.2 to 0.3% by weight, preferably 0.2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beer.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우슬을 0.25% 첨가함으로써 총 폴리페놀 함량(563.82 ug GAE/100 mL)과 GABA 함량(3397.87 mg/100 mL, 5배 증가)이 증가되었고 항염증과 관련된 xanthin oxidase 저해활성(71.7%) 또한 유의적으로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dition of 0.25% of the wax increased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563.82 ug GAE / 100 mL) and GABA content (3397.87 mg / 100 mL, 5-fold increase) xanthin oxidase inhibitory activity (71.7%) wa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본 발명에 따른 미아 및 우슬 함유 맥주는 기존의 맥주 제조공정과 같이 당화, 농축, 발효 및 숙성 단계를 거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The beer and beer containing be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duced by saccharification, concentration, fermentation and aging steps as in the conventional beer manufacturing process.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당화 단계는 물에 맥아와 미아를 투입 후 40 내지 50℃에서 15 내지 25분 휴식 처리하고, 55 내지 65℃ 승온 후 75 내지 85분 휴식 처리하고, 67 내지 77℃로 승온 후 10 내지 20분 휴식 처리하고, 73 내지 83℃ 승온 후 5 내지 15분 휴식 처리한 다음 맥즙을 여과하는 것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ccharification step may be performed by adding malt and mia to water, then taking a rest for 15 to 25 minutes at 40 to 50 ° C, a rest for 75 to 85 minutes after heating at 55 to 65 ° C, Followed by a rest treatment for 10 to 20 minutes after raising the temperature to 67 to 77 캜, a rest treatment for 5 to 15 minutes after raising the temperature of 73 to 83 캜, and then filtering the wort.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농축 단계는 수득된 당화물을 95 내지 105℃로 승온 후 10 내지 20분 끓이고, 1차 호프 및 우슬을 투입 후 95 내지 105℃에서 50 내지 60분 끓이고, 2차 호프 투입 후 95 내지 105℃에서 10 내지 20분 끓인 다음 여과 및 급냉하는 것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entration step is a step of heating the resulting saccharide to 95 to 105 DEG C and then boiling for 10 to 20 minutes. After the first hop and kneading, the mixture is heated at 95 to 105 DEG C for 50 to 60 minutes Boiling, boiling at 95 to 105 DEG C for 10 to 20 minutes after the addition of the second hop, followed by filtration and quenching.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발효 단계는 수득된 농축물에 효모를 투입하여 13 내지 15℃에서 8 내지 12일간 발효시킨 다음, 2.0 내지 3.0 Brix 도달 시 4 내지 6℃로 냉각하는 것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ermentation step may be carried out by adding yeast to the resulting concentrate, fermenting the mixture at 13 to 15 ° C for 8 to 12 days, cooling the mixture to 4 to 6 ° C when reaching 2.0 to 3.0 Brix .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숙성 단계는 수득된 발효물을 2 내지 4℃에서 12 내지 18일간 숙성시키는 것을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aid aging step comprises aging the resulting fermentation product at 2 to 4 DEG C for 12 to 18 days.

본 발명에 따르면 맥주 제조시 수입산 맥아 대신에 국내산 벼를 발아시킨 미아를 당화 원료로 사용함으로써 생산가 절감 효과뿐만 아니라 부드러운 풍미가 부여된 맥주를 제조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eer having a soft flavor as well as a reduction in production cost can be produced by using a moth that has germinated the domestic rice in place of imported malt in the production of beer as a raw material for saccharifica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수입산 맥아 대신에 국내산 벼를 발아시켜 미아를 제조하고 이를 맥주 제조시 당화 원료로 사용함으로써 생산가 절감뿐만 아니라 부드러운 풍미를 부여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우슬을 첨가하여 기능성이 개선된 맥주를 제조하여 젊은 층 및 중년 층의 선호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of imported malt, domestic rice is germinated to produce a louse and used as a saccharification raw material in the production of beer, which is advantageous in not only reducing production but also imparting a soft flavor.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xpected that the preference of young and middle-aged people can be improved by manufacturing beer with improved function by adding the mist.

도 1은 침지시간에 따른 발아벼(미아)의 수분 함량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고온고압 처리에 따른 우슬의 사포닌 함량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고온고압 처리 온도와 횟수에 따른 우슬의 총 폴리페놀 함량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고온고압 처리 온도와 횟수에 따른 우슬의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고온고압 처리에 따른 우슬의 환원력 변화 (Reducing power) 측정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국내산 미아로 대체하여 제조한 맥주의 GABA (γ-aminobutyric acid) 함량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일반 필스너 맥주와 미아 30%와 우슬 0.25% 첨가한 우슬-미아-필스너 맥주의 GABA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우슬-미아 맥주의 xanthin oxid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1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moisture content of germinated rice (louse) according to immersion time.
FIG. 2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the saponin content of mussel in accordance with the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treatment.
FIG. 3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in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the wheat depending on the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treatment temperature and the number of times.
4 is a graph showing the radical scavenging ability of the mist according to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treatment temperature and the number of times.
FIG. 5 is a graph showing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reducing power of the mist according to the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treatment.
FIG. 6 is a graph showing the measurement of GABA (gamma -aminobutyric acid) content of beer produced by replacing domestic moth.
FIG. 7 is a graph showing the GABA content of the Wussle-Mia-Pillsner beer added with 30% of normal Pilsner beer and 0.25% of mash.
8 is a graph showing the xanthine oxidase inhibitory activity of the mussel-mia beer.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참조예 1> 침지시간에 따른 발아벼 특성 조사<Reference Example 1> Characterization of germinated rice according to immersion time

(1) 발아벼(미아) 제조(1) Manufacture of germinated rice

벼 발아를 위한 침지시간 및 발아조건은 다음 두 가지 조건으로 진행하였다. 첫 번째는 침지시간을 8, 16, 24시간으로 달리한 후 24시간 동안 발아된 미아의 특성 (발아율, 나이아신 함량, GABA 함량, 당화력)을 조사하여 미아제조에 적절한 침지시간을 선정하였으며, 두 번째로 선정된 침지시간 동안 침지된 벼를 발아 시간을 20, 24, 28, 32시간으로 달리하면서 벼의 특성을 조사하였다.Dipping time and germination conditions for rice germination proceeded under the following two conditions. In the first, the immersion time was selected to investigate the germination characteristics (germination rate, niacin content, GABA content, glycation ability) germinated for 24 hours after 8, 16 and 24 hours immersion time. The characteristics of rice were investigated by varying the germination time of 20, 24, 28, and 32 hours.

벼 나락은 2015년산 친환경 새일미(전남 신안)를 사용하였다. 벼 나락을 10% 소금물에 침지하여 떠오르는 쭉정이를 제거한 후 가라앉은 나락을 35℃ 물에 침지시키며 수분함량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침지시킨 나락은 체로 건져 물을 제거한 후 30℃, 상대습도 90%로 조절된 PLANT growth chamber (DS-52G4PC, Dasoll, Hwaseong, Korea)에서 발아시켰다. 발아시킨 미아는 drying oven (HB-501M, Hanbaek, Bucheon, Korea)을 이용하여 35℃에서 수분함량이 약 15%가 되도록 5∼6시간 동안 건조하여 제조하였다. We used the 2015 eco-friendly New Year's Eve (Chunnam Shinan). After immersing the chrysanthemum chrysanthemum in 10% brine, the chrysanthemum was removed and the chrysanthemum chrysanthemum was immersed in water at 35 ℃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water content. The immersed hairs were sieved and shed in a PLANT growth chamber (DS-52G4PC, Dasoll, Hwaseong, Korea) adjusted to 30% RH and 90% relative humidity. Germinated seedlings were dried at 35 ° C for 5 to 6 hours using a drying oven (HB-501M, Hanbaek, Bucheon, Korea) at a moisture content of about 15%.

(2) 침지 시간에 따른 벼 수분함량의 변화 측정(2) Measurement of moisture content change of rice with immersion time

벼 발아를 위한 수분함량은 일반적으로 30∼35%가 적합하다고 보고되어 있다. The moisture content for rice germination is generally reported to be 30-35%.

도 1은 침지시간에 따른 발아벼(미아)의 수분 함량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침지시간이 길어질수록 본 실험에서 사용된 새일미 벼의 수분함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침지시간이 약 16~52시간 정도일 때 적정범위인 30~35%에 도달하는 것을 확인되었다. 1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moisture content of germinated rice (louse) according to immersion time. As shown here, the moisture content of the new rice rice used in this experiment was steadily increased as the immersion time was prolonged, reaching an appropriate range of 30 ~ 35% when the immersion time was about 16 ~ 52 hours.

(3) 침지 시간에 따른 발아율 및 발아 길이 측정(3) Measurement of germination rate and germination length with immersion time

벼 나락을 8, 16, 24시간으로 나누어 침지한 후 24시간 동안 30℃, 상대습도 90%로 조절된 PLANT growth chamber에서 발아시킨 후 발아된 나락수를 계수한 발아율을 발아싹의 길이별로 분류한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침지시간 8, 16, 24시간 후 발아된 미아의 총 발아율은 각각 94.4, 95.2, 94.0%로 침지시간에 따른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8시간 침지후 발아된 나락의 대부분은 싹이 1 mm 이내로 짧게 자란 벼가 약 92%로 대부분을 차지한 반면 침지 16시간과 24시간의 경우 길이가 1 mm 이하로 짧게 자라는 벼가 각각 64%와 37%로 감소되어 침지시간이 길어지면서 발아된 벼의 싹의 길이가 점차 고르게 길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germination rate of seedlings counted after germination in a PLANT growth chamber controlled at 30 ℃ and relative humidity of 90% for 24 hours after immersion was divided into 8, 16, and 24 hours by germination length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The total germination rate of the germinated germinated at 8, 16, and 24 hours after immersion was 94.4, 95.2, and 94.0%, respectively. However, most of the germinated germinated after 8 hours of immersion was shortened to 1 mm In the case of immersion for 16 hours and 24 hours, the length of the shortened rice was shortened to 64% and 37%, respectively, and the immersion time was long, And it was confirmed that it became gradually longer.

벼의 싹 길이
(Sprout length) (mm)
Length of shoot of rice
(Sprout length) (mm)
침지시간 (h)Immersion time (h)
8 h8 h 16 h16 h 24 h24 h NoneNone 5.6 ± 5.2  5.6 ± 5.2 4.8 ± 2.7 4.8 ± 2.7 6.0 ± 2.0 6.0 ± 2.0 0-10-1 91.6 ± 5.591.6 ± 5.5 64.0 ± 4.764.0 + - 4.7 37.2 ± 2.337.2 ± 2.3 1-21-2 0.8 ± 1.8 0.8 ± 1.8 7.2 ± 1.8 7.2 ± 1.8 14.8 ± 1.114.8 ± 1.1 2-32-3 2.0 ± 2.0 2.0 ± 2.0 7.6 ± 2.6 7.6 ± 2.6 11.6 ± 3.311.6 ± 3.3 3-43-4 00 7.2 ± 1.1 7.2 ± 1.1 9.2 ± 1.8 9.2 ± 1.8 4-54-5 00 6.0 ± 2.4 6.0 ± 2.4 11.0 ± 3.011.0 ± 3.0 55 00 3.2 ± 2.3 3.2 ± 2.3 7.2 ± 3.3 7.2 ± 3.3 발아율(%)Germination rate (%) 94.4 ± 5.294.4 ± 5.2 95.2 ± 2.795.2 ± 2.7 94.0 ± 2.094.0 ± 2.0

(4) 침지 시간에 따른 미아의 나이아신 함량 측정(4) Measurement of the niacin content of the child according to immersion time

벼 침지시간을 달리하여 24시간동안 발아한 미아의 나이아신 함량은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2에서 보듯이, 발아전 벼의 나이아신 함량 0.4 mg/100 g은 8, 16, 24시간 침지한 후 30℃에서 24시간 발아시킨 후 나이아신 함량이 약 3~4배 정도 증가하여 1.2~1.6 mg/100 g의 범위를 보였다. 나이아신 함량은 8시간과 16시간 침지 후 발아된 벼가 24시간 침지 후 발아된 벼에 비하여 높았고 16시간 침지후 발아된 미아의 나이아신 함량이 가장 높았으나 8시간 침지한 시료와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The niacin content of the moths germinated for 24 hours with different rice dipping time is shown in Table 2 below. A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2, the niacin content of germination 0.4 mg / 100 g before germination increased about 3 ~ 4 times in the niacin content after germination at 30 ° C for 24 hours at 8, 16 and 24 hours, mg / 100 g. The content of niacin was higher than that of rice germinated after immersing for 24 hours in 8 hours and 16 hours of immersion. The niacin content of germinated larvae germinated after 16 hours immersion was the highes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amples immersed for 8 hours.

시료sample 나이아신 함량 (mg/ 100 g)Niacin content (mg / 100 g) 비-발아 벼Non-germinated rice 0.4 ± 0.1 0.4 ± 0.1 8시간 동안 침지시킨 발아 벼Germinated rice dipped for 8 hours 1.5 ± 0.01.5 ± 0.0 16시간 동안 침지시킨 발아 벼Germinated rice dipped for 16 hours 1.6 ± 0.11.6 ± 0.1 24시간 동안 침지시킨 발아 벼Germinated rice dipped for 24 hours 1.2 ± 0.11.2 ± 0.1

(5) 침지 시간에 따른 미아의 GABA 함량 측정(5) Measurement of the GABA content of the infant according to immersion time

침지시간을 달리하여 발아시킨 벼의 GABA 함량을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The GABA content of rice germinated at different immersion times was measured and is shown in Table 3 below.

시료sample ValueValue 비-발아 벼Non-germinated rice 7.73±0.21  7.73 ± 0.21 8시간 동안 침지시킨 발아 벼Germinated rice dipped for 8 hours 21.29±1.5421.29 ± 1.54 16시간 동안 침지시킨 발아 벼Germinated rice dipped for 16 hours 14.11±0.8414.11 ± 0.84 24시간 동안 침지시킨 발아 벼Germinated rice dipped for 24 hours 13.86±0.9113.86 ± 0.91

상기 표 3에서 보듯이, 발아전 벼의 7.73 mg/100 g이 발아 후 13.86~21.29 mg/100 g으로 약 2~3배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최대 GABA 함량을 보인 미아는 8시간 침지후 발아된 벼로 21.29 mg/100 g을 나타내었고 침지시간이 길어질수록 GABA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As shown in Table 3, it was confirmed that 7.73 mg / 100 g of rice before germination increased about 2 to 3 times from 13.86 to 21.29 mg / 100 g after germination. The maximum GABA content of moths was 21.29 mg / 100 g after 8 hours of immersion. The longer the immersion time, the lower the GABA content.

(6) 침지 시간에 따른 미아의 당화력 측정(6) Measuring the saccharification power of the child according to immersion time

발아전 벼를 물에 침지한 시간을 8, 16, 24시간으로 달리한 후 24시간 동안 발아시킨 발아벼의 당화력을 조사하였다. 발아벼의 당화력은 필스너 맥주 제조 공정에서 사용되는 당화공정과 동일한 조건으로 미아를 이용하여 당화시킨 당화액의 당도는 침지 16시간까지 유의적으로 증가하다가 16시간 이후에는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16시간 침지후 제조한 미아의 당액의 당도는 발아하지 않은 벼로 제조한 당액의 당도에 비하여 약 2배 정도 높았다. The germination power of germinated rice germinated for 24 hours after 8, 16 and 24 hours immersed in water before germination was investigated. The saccharification power of germinated ric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up to 16 hours after immersion, but it did not increase after 16 hours. The sugar content of the sugar solution prepared after immersion for 16 hours was about 2 times higher than the sugar content of sugar solution prepared from ungerminated rice.

발아 벼를 침지시킨 당화액 시료Samples of saccharified liquid immersed in germinated rice Sugar content (Brix)Sugar content (Brix) 비-발아 벼Non-germinated rice 4.6 ± 0.2 4.6 ± 0.2 8시간 동안 침지시킨 발아 벼Germinated rice dipped for 8 hours 7.1 ± 0.77.1 ± 0.7 16시간 동안 침지시킨 발아 벼Germinated rice dipped for 16 hours 9.8 ± 0.29.8 ± 0.2 24시간 동안 침지시킨 발아 벼Germinated rice dipped for 24 hours 9.7 ± 0.29.7 ± 0.2

이상의 실험 결과로부터 발아전 벼를 물에 침지한 시간을 8, 16, 24시간으로 달리한 후 24시간 동안 발아시킨 다음 발아된 미아의 발아율, 나이아신 및 GABA 함량, 당화력 등을 조사한 결과 침지 16시간이 나이아신과 GABA 함량이 가장 높았으나 침지 24시간이 발아된 미아의 싹의 길이가 고르게 분포하여 당화력이 최대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침지시간이 길게 되면 나이아신 같은 수용성 비타민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나 GABA와 같은 기능성성분의 함량이 최대값을 보이기 때문에 기능성 개선 측면에서 24시간 침지가 바람직할 것으로 보여진다. The germination rate, niacin and GABA content, and glycogenicity of germinated larvae after germination for 24 hours after 8, 16 and 24 hours of immersion in water before germination were investigated. The highest content of niacin and GABA was found, but the length of shoots germinated 24 hours after immersion was distributed evenly and glycation was maximized. When immersion time is prolonged, loss of water - soluble vitamins such as niacin may occur. However, since the content of functional ingredient such as GABA is maximized, immersion for 24 hours is desirable in terms of improvement of functionality.

<참조예 2> 발아시간에 따른 발아벼의 특성 조사<Reference Example 2> Characterization of germinated rice according to germination time

35℃에서 24시간 침지시킨 새일미 벼를 온도 30℃, 습도 90%로 조절된 PLANT growth chamber에서 20, 24, 28, 32시간 동안 발아시키며 제조된 미아의 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the seedlings were investigated by germination at 20, 24, 28, and 32 hours in a PLANT growth chamber controlled at 30 ℃ and 90% humidity at 35 ℃ for 24 hours.

(1) 발아율(1) Germination rate

하기 표 5에서 보듯이, 발아시간 20, 24, 28, 32시간 동안 발아시킨 벼의 총 발아율은 93.2~95.6%의 범위였으며 발아시간에 따른 큰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미아 싹의 길이에 따른 분포는 20시간과 24시간 동안 발아된 미아의 싹은 모두 6 mm이하로 짧은 반면 28시간과 32시간 발아된 미아는 싹의 길이가 10 mm까지 길게 자라며 비교적 고르게 분포되었다. As shown in Table 5 below, the total germination rate of rice germinated at 20, 24, 28 and 32 hours was in the range of 93.2 ~ 95.6%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rmination time. However, the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length of moth shoots was shorter than 6 mm for both germinated buds germinated for 20 hours and 24 hours, whereas the buds grown for 28 hours and 32 hours were distributed evenly to the length of 10 mm .

벼의 싹 길이 (mm)Sprout length of rice (mm) 발아 시간Germination time 20 h20 h 24 h24 h 28 h28 h 32 h32 h NoneNone 6.8 ± 3.9 6.8 ± 3.9 6.0 ± 2.0 6.0 ± 2.0 5.2 ± 2.35.2 ± 2.3 4.4 ± 1.7 4.4 ± 1.7 0-10-1 67.2 ± 7.067.2 ± 7.0 37.2 ± 2.337.2 ± 2.3 41.6 ± 11.8 41.6 ± 11.8 41.2 ± 16.5 41.2 ± 16.5 1-21-2 10.8 ± 4.110.8 ± 4.1 14.8 ± 1.114.8 ± 1.1 10.8 ± 4.110.8 ± 4.1 10.8 ± 2.310.8 ± 2.3 2-32-3 9.2 ± 2.3 9.2 ± 2.3 11.6 ± 3.311.6 ± 3.3 11.6 ± 3.611.6 ± 3.6 6.0 ± 2.4 6.0 ± 2.4 3-43-4 0.0 ± 0.0 0.0 ± 0.0 9.2 ± 1.8 9.2 ± 1.8 2.8 ± 2.3 2.8 ± 2.3 9.6 ± 1.7 9.6 ± 1.7 4-54-5 4.0 ± 2.4 4.0 ± 2.4 11.2 ± 3.011.2 ± 3.0 13.6 ± 6.213.6 ± 6.2 2.4 ± 2.6 2.4 ± 2.6 5-65-6 2.0 ± 2.4 2.0 ± 2.4 7.2 ± 3.3 7.2 ± 3.3 4.0 ± 5.5  4.0 ± 5.5 8.8 ± 2.3 8.8 ± 2.3 6-76-7 00 00 2.8 ± 2.3 2.8 ± 2.3 8.0 ± 2.4 8.0 ± 2.4 7-87-8 00 00 10.4 ± 6.810.4 ± 6.8 13.6 ± 1.713.6 ± 1.7 8-98-9 00 00 6.4 ± 4.3 6.4 ± 4.3 5.6 ± 1.7 5.6 ± 1.7 9-109-10 00 00 2.0 ± 2.4 2.0 ± 2.4 10.8 ± 1.110.8 ± 1.1 >10> 10 00 00 3.2 ± 2.3 3.2 ± 2.3 10.4 ± 1.710.4 ± 1.7 발아율 (%)Germination rate (%) 93.2 ± 3.993.2 ± 3.9 94.0 ± 2.094.0 ± 2.0 94.8 ± 2.394.8 ± 2.3 95.6 ± 1.795.6 ± 1.7

(2) 나이아신 함량 측정(2) Measurement of niacin content

새일미 벼를 35℃에서 24시간 침지 후 발아시간에 따른 미아의 나이아신 함량 변화는 하기 표 6과 같다. 20시간 동안 발아된 미아의 나이아신 함량은 발아하지 않은 벼에 비하여 약 2배, 24시간 이상 발아된 미아의 나이아신 함량은 약 3배 이상으로 증가하였다. 발아시간 24시간 이상에서는 나이아신 함량의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다. Table 6 shows the change in the niacin content of the babies according to the germination time after immersing the new rice paddy at 35 占 폚 for 24 hours. The amount of niacin germinated for 20 hours was about 2 times higher than that of non - germinated rice, and the amount of niacin germinated more than 3 times more than 24 hou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tent of niacin over 24 hours of germination.

시료sample 나이아신 함량 (mg/ 100 g)Niacin content (mg / 100 g) 비-발아 벼Non-germinated rice 0.4 ± 0.1 0.4 ± 0.1 20시간 동안 발아시킨 발아 벼Germinated rice germinated for 20 hours 0.9 ± 0.10.9 ± 0.1 24시간 동안 발아시킨 발아 벼Germinated rice germinated for 24 hours 1.2 ± 0.11.2 ± 0.1 28시간 동안 발아시킨 발아 벼Germinated rice germinated for 28 hours 1.3 ± 0.11.3 ± 0.1 32시간 동안 발아시킨 발아 벼Germinated rice germinated for 32 hours 1.3 ± 0.21.3 ± 0.2

(3) GABA 함량 측정(3) Measurement of GABA content

발아시간에 따른 미아의 GABA함량 변화는 하기 표 7과 같다. 발아전 벼의 GABA 함량 7.73 mg/100g은 발아시간에 따라 6.17~16.28 mg/100g의 범위를 보였다. 20시간 동안 발아된 미아가 16.28 mg/100 g으로 GABA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그 이후로는 발아기간이 길어질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한편 32시간 동안 발아시킨 미아는 GABA 함량이 6.17 mg/100 g으로 발아되지 않은 벼의 GABA 함량보다 낮게 나타났다. Table 7 shows the change in GABA content of the babies according to the germination time. The GABA content of the rice before germination ranged from 6.17 to 16.28 mg / 100g depending on germination time. GABA content was the highest at 16.28 mg / 100 g for 20 hours of gestation, and thereafter, i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s germination period became longer. On the other hand, the moth germinated for 32 hours showed the GABA content of 6.17 mg / 100 g lower than the GABA content of ungerminated rice.

시료sample GABA 함량 (mg/100 g)GABA content (mg / 100 g) 비-발아 벼Non-germinated rice 7.73 ± 0.21   7.73 ± 0.21 20시간 동안 발아시킨 발아 벼Germinated rice germinated for 20 hours 16.28 ± 0.2416.28 ± 0.24 24시간 동안 발아시킨 발아 벼Germinated rice germinated for 24 hours 13.86 ± 0.91 13.86 ± 0.91 28시간 동안 발아시킨 발아 벼Germinated rice germinated for 28 hours 9.88 ± 0.84 9.88 + 0.84 32시간 동안 발아시킨 발아 벼Germinated rice germinated for 32 hours 6.17 ± 0.75 6.17 ± 0.75

(4) 당화력 측정(4) Measuring sugar strength

발아시간에 따른 미아의 당화력 변화는 하기 표 8과 같다. 발아시간이 길어질수록 당화액의 당도가 높아져 당화력이 증가되어 발아시간 28시간에서 당도 10.2 Brix로 최고 당화력을 보였으며 이는 발아전 벼에 비하여 약 2.5배 높은 값이었다. 한편 발아 28시간 이상에서는 당화력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8 shows the changes in the saccharification power of the infant according to the germination time. As the germination time increased, the sugar content of the glycyrrhiza increased and the glycation activity increased. At the germination time of 28 hours, the glycation rate was 10.2 Brix, which was about 2.5 times higher than that before germination. On the other hand, the glycation power was not significantly increased over 28 hours of germination.

시료sample Sugar content (Brix)Sugar content (Brix) 비-발아 벼Non-germinated rice 4.6 ± 0.2   4.6 ± 0.2 20시간 동안 발아시킨 발아 벼Germinated rice germinated for 20 hours 8.8 ± 0.1  8.8 ± 0.1 24시간 동안 발아시킨 발아 벼Germinated rice germinated for 24 hours 9.7 ± 0.2  9.7 ± 0.2 28시간 동안 발아시킨 발아 벼Germinated rice germinated for 28 hours 10.2 ± 0.1 10.2 ± 0.1 32시간 동안 발아시킨 발아 벼Germinated rice germinated for 32 hours 9.9 ± 0.3  9.9 ± 0.3

이상과 같은 실험결과로부터 맥주 제조시 보리를 발아시켜 맥아로 만드는 주목적은 발아에 의해서 보리 중에 여러 가지 효소를 생합성 또는 활성화시키고, 배유의 세포벽을 용해하여 내용물이 효소작용을 받기 쉬운 상태로 만들어 주는 동시에 저장물질을 적당히 분해하는데 있다. 맥주제조에 쓰이는 맥아를 부분적으로 대체할 미아를 제조하기 위해 새일미 벼 나락의 최적 발아조건을 조사하였다. 최적 발아조건 선정을 위해 나락의 침지시간과 발아시간을 달리하여 발아율, 미아의 싹 길이 분포, 미아의 당화력, 수용성 비타민 함량, 그리고 GABA 함량을 비교하였다. As a result of the above experiment, the main purpose of germinating barley to make malt in the production of beer is to germinate and biosynthesize or activate various enzymes in the barley and to dissolve the cell wall of the endosperm, It is to decompose the storage material properly. The optimum germination condition of new rice paddy rice was investigated in order to make a partial replacement of malt used in beer production. Germination rate, sprout length distribution, germination power, water soluble vitamin content, and GABA content of germination were compared in order to select optimal germination condition.

침지시간을 8, 16, 24시간으로 변화시켜 발아된 미아의 경우 나이아신과 GABA의 함량은 침지시간이 비교적 짧은 것이 바람직하였으나 당화력의 경우 침지시간이 길수록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침지시간이 길어질수록 발아율이 높으면서 발아싹의 길이 분포가 비교적 고르게 나타났다. 따라서, 수용성 성분과 기능성 성분의 손실이 비교적 적으면서도 당화력이 높고 미아의 싹이 고르게 분포되는 24시간을 적정 침지시간으로 결정하였다. In the case of the germinated germinated by changing the immersion time to 8, 16, and 24 hours, the content of niacin and GABA was preferable to be relatively short in immersion time,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 glycation power was increased with immersion time. On the other hand, as the immersion time was longer, the germination rate was higher and the distribution of germination length was relatively uniform. Therefore, the optimum immersion time was determined to be 24 hours in which the loss of the water soluble component and the functional component was relatively small, and the saccharifying power was high and the sprouts of the sprout were evenly distributed.

벼 나락을 24시간 침지시킨 후 발아시간을 20, 24, 28, 32시간으로 달리하면서 미아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모두 높은 발아율을 보였으나 20시간과 24시간에서 발아싹의 길이가 대부분 6 mm이하인 단미아가 제조된 반면, 28시간과 32시간 발아된 미아의 유아 길이는 10 mm까지 이상으로 성장하는 장미아가 제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나이아신 함량은 발아시간 24시간에서 최고였으며, GABA 함량은 발아시간 20시간에서 가장 높았고 그 이후 발아시간이 길어지면서 점차 감소되었다. 당화력은 발아시간이 길어지면서 점차 증가되어 28시간에서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전체적으로 단미아 제조에 24시간 발아가 20시간 발아기간보다 바람직하였으며 GABA, 나이아신 함량, 당화력도 증가 이후 비교적 높게 유지되어 맥주 제조를 위한 미아 제조 발아 최적시간으로 24시간을 선정하였다.   The germination rate was 20, 24, 28, and 32 hours after immersing the seedlings for 24 hours. However, the germination rat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seedlings at 20 and 24 hours. On the other hand, the infant length of the infant germinated at 28 hours and 32 hours was found to be rose rose up to 10 mm or more. The content of niacin was highest at 24 hours of germination, and GABA content was highest at 20 hours of germination time. The glycation capacity increased gradually with germination time and showed maximum value at 28 hours. As a whole, germination for 24 hours was preferred to germination for 20 hours, and GABA, niacin content, and glycation were maintained at a relatively high level.

일반적으로 보리를 발아시켜 맥아를 제조하는 경우 싹의 길이가 보리 길이의 3/4∼4/5 정도를 단맥아, 싹의 길이가 보리 길이의 1.5∼2배 되는 것을 장맥아로 분류하고 있으며 맥주 제조시 단맥아가 사용된다. 이러한 기준으로 볼 때 본 연구에서 20시간과 24시간 발아된 미아는 단미아, 28시간과 32시간 동안 발아된 미아는 장미아로 분류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져 단맥아 제조 조건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Generally, when barley is germinated to produce malt, the length of the shoot is 3/4 to 4/5 of the length of the barley, and the length of the malt and shoot is 1.5 to 2 times the length of the barley. Malt malt is used in manufacturing. Based on these criteria, it is suggested that males that are germinated at 20 and 24 hours may be classified as males, and males germinated at 28 and 32 hours may be classified as rose males. .

결론적으로 최종 미아 제조 조건은 35℃에서 24시간 침지한 후 30℃, 습도 90%에서 24시간 발아시키는 방법을 선정하여 미아를 제조한 후 맥주 제조에 사용하였다.   In conclusion, we used the method to make the bean after the infant was prepared by dipping at 35 ℃ for 24 hours and germination at 30 ℃ and humidity of 90% for 24 hours.

<참조예 3> 우슬 쌀 맥주 제조를 위한 우슬 전처리 REFERENCE EXAMPLE 3 Pretreatment for Wasted Rice Beer Production

맥주 제조시 일반적으로 열수 추출공정이 활용되므로 우슬을 맥주음료 제조 공정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우슬 기능성 성분의 열수 추출 효율성을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우슬은 단단한 식물성 조직으로 인하여 장시간의 열수 추출과정이 필요하다. 본 절에서는 우슬을 고온고압 및 건조 처리를 반복함으로 조직 변화를 유도하고 이로 인하여 우슬의 기능성 성분 추출 효율성이 개선될 수 있는지를 조사하여 맥주 및 음료 제조시 적용할 수 있는 공정조건을 확립하였다. Since the hot water extraction process is commonly used in the manufacture of beer,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hot water extraction efficiency of the functional ingredients of the wastes in order to utilize the whisker in the beer beverage manufacturing process. Because of the hard vegetable texture, the long-term hydrothermal extraction process is required. In this section, we investigated whether the process of extracting functional ingredients of wheat could be improved by inducing tissue changes by repeating high temperature, high pressure and drying treatment of wheat, and the process conditions applicable to beer and beverage production were established.

(1) 고온고압 처리 우슬 제조 (1) Manufacture of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treated wastes

생우슬을 고압증기멸균기(ES-315, TOMY, Tokyo, Japan)을 이용하여 100 kPa 압력으로 110, 120, 130℃에서 각각 1시간 동안 고온고압 처리한 후 40℃ 건조기(HB501L, Hanback, Bucheon, Gyeonggi)에서 24시간 건조하였다. 이러한 공정을 최대 9회까지 반복하며 각 온도에서 반복 횟수 별로 시료를 제조하였다. The raw wheat was treated with high pressure steam sterilizer (ES-315, TOMY, Tokyo, Japan) at 100 kPa pressure for 1 hour at 110, 120, and 130 ℃ for 1 hour and then dried at 40 ℃ in a drier (HB501L, Hanback, Bucheon, Gyeonggi) for 24 hours. This process was repeated up to 9 times, and samples were prepared for each number of repetitions at each temperature.

(2) 고온고압 처리에 따른 우슬의 사포닌 함량 변화(2) Changes in the saponin content of tsun

도 2는 고온고압 처리에 따른 우슬의 사포닌 함량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우슬의 사포닌 함량은 0.465 ± 0.004 mg/g이었으며 고온고압 처리 온도 및 횟수에 따라 각각 110℃에서 처리시 4회처리까지, 120℃에서 처리시 3회까지, 130℃에서 2회까지 사포닌 함량이 증가하여 각각 최대 0.829, 0.942, 1.235 mg/g 값을 나타냈다. 사포닌 함량이 최대값을 보인 조건은 130℃에서 2회 처리한 시료로 처리되지 않는 시료에 비하여 사포닌 함량이 약 2.7배가 증가되었다.FIG. 2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the saponin content of mussel in accordance with the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treatment. As shown here, the saponin content of the wheat was 0.465 ± 0.004 mg / g, and it was 0.465 ± 0.004 mg / g, and the treatment was carried out at 110 ° C. for 4 times, at 120 ° C. for 3 times, at 130 ° C. for 2 times Saponin content increased up to 0.829, 0.942, and 1.235 mg / g, respectively. The maximum saponin content was about 2.7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untreated sample at 130 ℃.

(3) 고온고압 처리에 따른 우슬의 총 폴리페놀 함량 변화 측정(3) Changes in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the wheat after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treatment Measure

고온고압 처리 온도와 횟수에 따른 우슬의 총 폴리페놀 함량 변화는 도 3에 나타내었다. 110℃에서 처리한 우슬의 경우 9회까지 총 폴리페놀 함량이 증가하여 최대값 0.410 mg GAE/g을 나타내었다. 120℃에서 처리시 7회까지, 130℃에서 처리한 시료의 경우 2회 처리까지 총 폴리페놀 함량이 점차 증가하여 각각 최대값 0.560과 0.556 mg GAE/g을 나타낸 다음 처리횟수가 증가하면서 점차 감소하였다. 이는 처리 온도가 높을수록 총 폴리페놀 함량을 극대화하기 위한 반복 처리 횟수는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처리 횟수가 같은 경우에는 처리 온도가 높을수록 총 폴리페놀 함량은 높게 추출되는 경향을 보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난 시료는 130℃에서 2회 처리한 우슬로 처리하지 않은 시료에 비하여 약 17배 증가된 수준이었다. The change in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the wheat according to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treatment temperature and the number of times is shown in FIG.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increased up to 9 times in the case of the mussel treated at 110 ℃, and the maximum value was 0.410 mg GAE / g.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gradually increased from 0.5 to 6.05 mg GAE / g, respectively, until the treatment at 120 ° C for 7 times and for the sample treated at 130 ° C for 2 times. .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treatment temperature, the lower the number of repeated treatments to maximize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When the treatment times were the same, the higher the treatment temperature, the higher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tended to be extracted. The highest total polyphenol content of the samples was about 17 times higher than that of untreated samples treated at 130 ℃ for 2 times.

(4) 고온고압 처리에 따른 우슬의 DPPH 라디컬 소거능 변화(4)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of silkworm due to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treatment

고온고압 처리 온도와 횟수에 따른 우슬의 라디칼 소거능은 도 4와 같다. 도 4에서 보듯이, 총 폴리페놀 함량의 변화와 마찬가지로 처리 횟수가 적을 때는 온도가 높을수록 DPPH 라디컬 소거능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처리 횟수가 반복될수록 높은 온도에서 DPPH 라디컬 소거능 감소가 크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각 온도별로 가장 높은 DPPH 라디컬 소거능은 130℃에서 2회 (1.184 mg GAE/g), 120℃에서 6회 (1.050 mg GAE/g), 110℃에서 9회 (0.845 mg GAE/g) 처리한 시료였다. 가장 낮은 110℃에서는 고온고압 처리 횟수가 반복될수록 DPPH 라디컬 소거능이 9회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나 130℃에서 2회 처리한 우슬보다 낮은 소거능을 보였다. The radical scavenging ability of the wax according to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treatment temperature and the number of times i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4,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ended to increase with increasing temperature at a lower number of treatments as in the case of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bu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decreased significantly at higher temperatures as the number of treatment times increased. As a result, the highes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t each temperature was found to be twice (1.184 mg GAE / g) at 130 ° C, 6 times (1.050 mg GAE / g) at 120 ° C, 9 times (0.845 mg GAE / g) Treated samples. At the lowest temperature of 110 ℃,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creased continuously up to 9 times as the number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treatment was repeated, but it was lower than that of 2 times treated at 130 ℃.

(5) 고온고압 처리에 따른 우슬의 환원력 변화 (Reducing power) 측정(5) Reducing power measurement at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treatment

도 5는 고온고압 처리에 따른 우슬의 환원력 변화 (Reducing power) 측정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처리되지 않은 우슬의 경우 환원력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고온고압 처리 시료들은 처리 온도와 횟수에 따라 환원력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110℃에서는 5회 처리군까지, 120℃에서는 4회까지, 130℃에서는 2회 처리군까지 환원력이 증가한 이후 처리 횟수가 증가하면서 환원력이 점차 감소하여 각 온도별로 최고 환원력 1.024 mg GAE/g, 1.276 mg GAE/g, 1.663 mg GAE/g을 보였다. 모든 처리군에서 가장 높은 환원력을 보인 시료는 130℃에서 2회 처리한 시료였다. FIG. 5 is a graph showing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reducing power of the mist according to the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treatment. As shown here, the reducing power was not shown in the untreated wheat, but the reducing power was increased according to the treatment temperature and frequency. The reducing power gradually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number of treatments up to the treatment group up to 5 times at 110 ° C, up to 4 times at 120 ° C and twice to 130 ° C, and the maximum reduction power was 1.024 mg GAE / g, 1.276 mg GAE / g and 1.663 mg GAE / g, respectively. The highest reducing power of all treatments was treated at 130 ℃.

이상의 실험결과에 따라, 우슬을 고온고압 증기 처리한 후 건조하는 과정을 총 9회까지 반복하여 우슬을 제조하였다. 110℃, 120℃, 130℃에서 처리 횟수가 증가할수록 사포닌 함량, 총 폴리페놀 함량, 항산화능(DPPH 라디칼 소거능, 환원력)은 일정 횟수까지는 증가하여 최대값을 보이다가 처리횟수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모든 결과에서 130℃에서 2회 처리한 우슬이 가장 높은 사포닌 함량, 총 폴리페놀 함량, 항산화능을 보여 고온에서 적은 횟수로 처리하는 공정조건이 우슬의 기능성 개선을 위해 바람직할 것으로 보여진다. 결과적으로 130℃에서 2회 처리한 시료는 무처리 우슬에 비하여 사포닌 함량은 2.7배, 총 폴리페놀 함량은 17배로 증가하였으며 거의 검출되지 않은 DPPH 라디컬 소거능과 환원력(reducing power)도 각각 1.184 mg GAE/g과1.663 mg GAE/g의 항산화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the process of steam drying and drying of the wastes was repeated up to 9 times. Saponin content, total polyphenol content, antioxidant ability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reducing power) increased with a certain number of times at 110 ° C, 120 ° C and 130 ° C and decreased as the number of treatments increased Respectively. In all th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he processing conditions of treatment with high frequency at low temperature showed the highest saponin content,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bility of the wax treated twice at 130 ℃. As a result, the saponin content was 2.7 times and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17 times higher than that of untreated shrub, and the almost undetected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and reducing power were 1.184 mg GAE / g and 1.663 mg GAE / g, respectively.

이러한 결과를 볼 때, 맥주나 음료 제조시 기능성 개선을 위해서는 우슬을 130℃에서 2회 고온고압처리 후 건조하여 사용하는 것이 최종 가공품의 기능성 개선에 바람직할 것으로 보여진다.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desirable to improve the functionality of the final processed product by treating the wax at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twice at 130 ° C for the improvement of the functionality during beer and beverage production.

<참조예 4> 미아 첨가 맥주 제조 REFERENCE EXAMPLE 4 Production of Mia Added Beer

국내에서 맥주 제조시 사용되는 맥아는 전량 수입하여 사용하고 있어 국내산 맥주 개발을 위해서는 수입산 맥아를 대체할 수 있는 개술개발이 필요하다. 최근 쌀을 맥주 제조에 사용하는 경우 순하고 부드러운 풍미로 인하여 다양한 연령대에서 선호도를 보이므로 쌀을 발아시킨 미아를 사용하여 부드러운 풍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본 절에서는 국내산 벼를 발아시켜 미아를 제조하고 이를 맥주 제조시 당화 원료로 이용되는 수입산 맥아를 일부 대체하여 사용함으로 생산가 절감과 부드러운 풍미를 부여하고 우슬을 첨가하여 기능성이 개선된 맥주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절에서는 미아의 맥아 적정 대체량을 조사하고 (0, 15, 30%) 여기에 우슬을 첨가한 맥주를 제조한 후 관능성 및 기능성을 조사하였다. Since malt used in beer production in Korea is imported and used all over the countr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ew malt substitute for imported malt to develop domestic beer. Recently, when rice is used for beer production, it seems to be able to give soft flavor by using rice germinated since it shows preference at various ages due to its mild and soft flavor. In this section, we tried to develop a beer with improved functionality by adding ginseng powder and reducing the production cost and soft flavor by using the imported malt which is used as raw material for glycation in the manufacturing of beer, . In this section, malt substitutes of malt (0, 15, 30%) were investigated and their functionalities and functionalities were investigated after producing beer with added starch.

(1) 재료 (1) Material

맥주 제조에 사용된 맥아는 pilsener, caraphils (Weyermann, 독일), 호프는 CASCADE-HOP Pellets(ET BULHOPS, 불가리아), hallertauer-HOP Pellets(HVG Hopfenverwertungsgenossenschaft e.G, 미국), 효모는 Safbrew S-23(Algist bruggeman, 벨기에)를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The malt used in the beer production is pilsener, caraphils (Weyermann, Germany), Hope is CASCADE-HOP Pellets (ET BULHOPS, Bulgaria), hallertauer-HOP Pellets (HVG Hopfenverwertungsgenossenschaft eG, USA), yeast is Safbrew S-23 , Belgium) were purchased and used.

(2) 미아 첨가 맥주 제조 (2) Production of beer

Pilsner형 맥주 제조를 위하여 사용되는 맥아는 pilsener와 carapils 두 종류이다. 이 중 carapils는 전체 맥아의 4%비율로 맥주의 색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체 맥아 사용량 중 96%에 해당되는 pilsner 사용량에서 미아를 0, 15, 30% (w/w)까지 대체하여 맥주를 제조하였다. There are two types of malt used for manufacturing Pilsner type beer: pilsener and carapils. Of these, carapils play a role in giving beer color at a rate of 4% of total malt. In the present invention, beer was prepared by substituting 0, 15, and 30% (w / w) for the amount of pilsner in 96% of total malt usage.

하기 표 9에 나타낸 맥주 제조 공정에 따라 당화, 농축, 발효 및 숙정 공정으로 미아 첨가 맥주를 제조하였다. 이 때 당화 공정에서 맥아와 함께 미아를 혼합하여 투입하였다.The beer was produced by Saccharification, Concentration, Fermentation and Grain Process according to the beer manufacturing process shown in Table 9 below. At this time, malt was mixed with malt in saccharification process.

당화Glycation 물 받기Receiving water 맥아와 미아(0, 15, 30%, w/w) 투입 후 45℃에서 20분 휴식Malt and mia (0, 15, 30%, w / w) were added and after 20 min rest at 45 ℃ 60℃ 승온 후 80분 휴식80 ℃ rest after 60 ℃ temperature rise 72℃ 승온 후 15분 휴식Heat up to 72 ℃ and rest for 15 minutes 78℃ 승온 후 10분 휴식After warming to 78 ℃ and resting for 10 minutes 맥즙 여과Wax filtration 당도 측정(11.5∼12.0 Brix) The sugar content (11.5-12.0 Brix) 농축concentration 100℃로 승온 후 15분 끓임After raising the temperature to 100 ° C, it boils for 15 minutes. 1차 호프(IHT-Pellets) 투입 후 100℃에서 55분 끓임After the first hop (IHT-Pellets) was added, it was boiled at 100 ° C for 55 minutes 2차 호프(SAAZ-HOP Pellets) 투입 후 100℃에서 15분 끓임After the addition of the second hop (SAAZ-HOP Pellets), boiling at 100 ° C for 15 minutes 여과percolation 14℃ 급냉14 ℃ quench 발효Fermentation 효모 투입 (Safbrew S-23)Yeast input (Safbrew S-23) 14℃에서 10일간 발효
(3.8 Brix 도달 시 호기성에서 혐기성 발효)
(가스 방출을 위해 압력은 0.5 bar 유지)
Fermentation for 10 days at 14 ° C
(Aerobic and anaerobic fermentation at 3.8 Brix)
(Pressure is maintained at 0.5 bar for gas release)
2.5 Brix 도달 시 5℃로 냉각Cool down to 5 ℃ when reaching 2.5 Brix 숙성ferment 3℃에서 15일간 숙성Aging for 15 days at 3 ° C 출하Shipment

(3) 미아 첨가 맥주의 색도 측정(3) Chromaticity measurement of beer added with Mia

맥아와 미아의 비율을 달리하여 제조한 맥주의 색도는 맥주 제조 과정 중 1) 농축, 2) 발효, 3)숙성 단계로 구분하여 측정하여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0에서 L: lightness, a: redness and greenness, b: yellowness and blueness를 나타낸다. The chromaticity of beer prepared by varying the ratio of malt to miso was divided into 1) enrichment, 2) fermentation, and 3) aging stage in the process of beer production, and is shown in Table 10 below. In Table 10, L: lightness, a: redness and greenness, and b: yellowness and blueness.

맥주 시료Beer sample ColorColor LL aa bb GR 0% - PilsnerGR 0% - Pilsner 94.58 ± 0.03 94.58 ± 0.03 -1.51 ± 0.00-1.51 ± 0.00 19.27 ± 0.0219.27 ± 0.02 GR 15% - PilsnerGR 15% - Pilsner 96.08 ± 0.1496.08 + - 0.14 -1.46 ± 0.02-1.46 + 0.02 14.09 ± 0.0214.09 + 0.02 GR 30% - PilsnerGR 30% - Pilsner 95.40 ± 0.0195.40 ± 0.01 -1.43 ± 0.00-1.43 ± 0.00 15.85 ± 0.0215.85 + 0.02

상기 표 10에서 보듯이, 제조 조건에 따라 수치의 크기는 차이가 있으나 대체적으로 제조가 진행됨에 따라 각 맥주 시료들의 L값은 커지고, a와 b의 값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미아 첨가량이 커질수록 맥주의 색이 보다 맑고 옅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s shown in Table 10, although the magnitude of the numerical value varies depending on the manufacturing conditions, the L value of each beer sample becomes larger and the values of a and b decrease with the progress of manufacturing, The color of the beer was clearer and thinner.

(4) 미아 첨가 맥주의 pH 및 산도 측정(4) pH and acidity measurement of beer

맥아와 미아의 비율을 달리하여 제조한 맥주의 pH와 산도의 변화는 하기 표 11에 나타내었다. 숙성 완료된 맥주의 pH는 4.57~4.69 범위였으며 GR 15%에서 가장 낮은 pH를 GR 30%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산도는 0.34~0.56% 범위를 보였고 GR 30% 맥주가 가장 낮았다.The changes in the pH and acidity of the beer prepared by varying the ratio of malt to miso are shown in Table 11 below. The pH of the fermented beer ranged from 4.57 to 4.69. The lowest value of GR 15% showed the highest value at GR 30%, the acidity ranged from 0.34 to 0.56% and the lowest value of GR 30% beer.

맥주 시료Beer sample pHpH 산도(%)Acidity (%) GR 0% - PilsnerGR 0% - Pilsner 4.60±0.00 4.60 ± 0.00 0.56±0.01 0.56 ± 0.01 GR 15% - PilsnerGR 15% - Pilsner 4.57±0.00 4.57 ± 0.00 0.34±0.03 0.34 + 0.03 GR 30% - PilsnerGR 30% - Pilsner 4.69±0.00 4.69 ± 0.00 0.39±0.01 0.39 ± 0.01

(5) 미아 첨가 맥주의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 (5) Measurement of total polyphenol content of beer added

미아를 첨가하여 제조한 맥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분석한 결과는 하기 표 12에 나타내었다. 미아 첨가 맥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미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여 30% 첨가 맥주가 299.9 ug GAE/ 100 mL 수준을 보여 미아 무첨가 맥주에 비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이 약 55ug GAE/ 100 mL 낮아졌다.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beer prepared by adding miso are shown in Table 12 below.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the mia supplemented beer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amount of mia, and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decreased by 55ug GAE / 100mL compared to the non - supplemented beer at the level of 299.9 ug GAE / 100mL.

맥주 시료Beer sample 총 폴리페놀 함량(ug GAE/100 mL)Total polyphenol content (ug GAE / 100 mL) GR 0% - PilsnerGR 0% - Pilsner 355.51±11.91355.51 + - 11.91 GR 15% - PilsnerGR 15% - Pilsner 329.50± 5.36329.50 ± 5.36 GR 30% - PilsnerGR 30% - Pilsner 299.93± 1.76299.93 + 1.76

(6) 미아 첨가 맥주의 GABA 함량 측정 (6) Measurement of GABA content of beer

GABA는 고혈압과 신경안정에 기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수용성 아미노산으로 벼 발아시 그 함량이 증가된다. 수입산 맥아를 국내산 미아로 일부 대체하여 제조한 맥주의 GABA (γ-aminobutyric acid) 함량을 측정하였다. GABA is a water - soluble amino acid known to be functional in hypertension and nervous stability and increases its content when germinated. GABA (γ-aminobutyric acid) content of beer produced by replacing malt imported males with domestic males was measured.

도 6은 국내산 미아로 대체하여 제조한 맥주의 GABA (γ-aminobutyric acid) 함량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GR0-P, GR15-P 및 GR30-P는 각각 미아를 0, 15 및 30 중량%로 첨가한 맥주이다. 도 6에서 보듯이, 수입산 맥아로만 제조된 필스너 맥주인 GR0-P는 GABA 함량이 5913 ug/100 mL이었으며 미아를 첨가하여 제조한 GR15-P, GR30-P은 8422~9423 ug/ 100 mL의 GABA 함량을 나타내어 미아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GABA 함량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 6 is a graph showing the measurement of GABA (gamma -aminobutyric acid) content of beer produced by replacing domestic moth. Here, GR0-P, GR15-P and GR30-P are beer to which 0, 15 and 30% by weight of moth is added,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6, GR-P, which is a pearl beer made only from imported malt, had a GABA content of 5913 ug / 100 mL, and GR15-P and GR30-P prepared by adding miso contained 8422 to 9423 ug / 100 mL of GABA And the content of GABA was increased as the amount of moth was increased.

(7) 미아 첨가 맥주의 메탄올 및 에탄올 함량 측정 (7) Measurement of methanol and ethanol content of beer

미아를 사용하여 제조한 필스너 맥주의 메탄올 및 에탄올 함량은 하기 표 13에 나타내었다. 식품공전에서는 맥주류의 메탄올 함량은 0.5 mg/mL이하로 규정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제조된 모든 맥주의 메탄올 함량은 0.001~0.002 mg/ mL의 범위를 보여 식약처 규격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주류의 알코올도수 (에탄올 content)의 경우 2003년 주세법 개정으로 폐지되었으나 일반적으로 국내에서 유통되는 맥주의 에탄올 함량은 4~5%가 주를 이루고 있다. 맥아를 미아로 일부 대체하여 맥주를 제조시 에탄올 함량이 다소 감소했으나 차이가 유의적이지 않았고 모두 일반 맥주의 4~5% 범위를 보여 미아 첨가가 맥주 알콜생성에 충분한 것으로 보인다. The methanol and ethanol contents of the Pulsner beer made using Mia are shown in Table 13 below. In the food cycle, the methanol content of beer is specified to be less than 0.5 mg / mL. The methanol content of all beer produced in the present invention ranged from 0.001 to 0.002 mg / mL, indicating that it was below the standard of the drug substance. On the other hand, the alcohol content of alcoholic beverages (alcohol content) was abolished in 2003 due to the revision of the Liquor Tax Act, but the ethanol content of beer distributed in Korea is generally 4 ~ 5%. The ethanol content of beer was slightly decreased,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All of the malt was found to be in the range of 4 ~ 5% of normal beer.

맥주 시료Beer sample 메탄올 content (mg/mL)Methanol content (mg / mL) 에탄올 content (%)Ethanol content (%) GR 0% - PilsnerGR 0% - Pilsner 0.002 ± 0.0010.002 0.001 5.77 ± 0.305.77 0.30 GR 15% - PilsnerGR 15% - Pilsner 0.002 ± 0.0000.002 ± 0.000 5.69 ± 0.195.69 ± 0.19 GR 30% - PilsnerGR 30% - Pilsner 0.002 ± 0.0010.002 0.001 5.41 ± 0.445.41 0.44

(8) 미아 첨가 맥주의 관능적 특성 측정(8) Measurement of Sensory Characteristics of Mia-added Beer

영양성, 기능성, 관능성을 조사하였다. 미아의 첨가율을 달리하여 제조한 맥주의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여 하기 표 14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4에서 보듯이, GR 30% 맥주가 모든 관능적 특성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으나 미아 첨가량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미아를 30%까지 대체하는 경우 맥주 본연의 맛, 색, 향을 잃지 않고 다소 개선된 기호도를 얻을 수 있으므로 30%가 맥아의 미아 대체량으로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Nutritional, functional, and sensory properties.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beer prepared by varying the additive ratio of mia were examined and are shown in Table 14 below. As shown in Table 14 below, GR 30% beer had the highest score in all the sensory characteristic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mount of mothers added. Therefore, when replacing the child with 30% of the child, it is possible to obtain somewhat improved preference without losing the original taste, color, and flavor of the beer, so 30% seems to be preferable as the replacement amount of the malt.

맥주 시료Beer sample Color Color FlavorFlavor TasteTaste Overall acceptabilityOverall acceptability GR 0%-PilsnerGR 0% -Pilsner 3.00±0.823.00 ± 0.82 3.11±0.57 3.11 ± 0.57 2.44±1.07 2.44 ± 1.07 2.78±1.31 2.78 ± 1.31 GR 15%-PilsnerGR 15% -Pilsner 2.67±0.472.67 ± 0.47 3.00±0.673.00 0.67 2.22±0.922.22 ± 0.92 2.33±0.822.33 ± 0.82 GR 30%-PilsnerGR 30% -Pilsner 3.22±0.633.22 ± 0.63 3.11±0.873.11 ± 0.87 2.78±1.032.78 ± 1.03 3.11±0.993.11 ± 0.99

이상과 같이, 맥아를 미아로 0%, 15%, 30% 대체하여 제조된 맥주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맥주 제조시 요구되는 pH, 산도, 에탄올 생산량과 같은 지표에서는 맥아만을 사용하여 제조된 맥주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맥주 생산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나 맥주 제조시 미아를 30%까지 대체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미아를 사용함에 따라 폴리페놀 함량은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GABA 함량의 경우는 30% 미아 첨가시 약 1.6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평가에서도 전체적으로 30% 미아 첨가 맥주가 관능적 특성이 높게 나타나 맥주 제조시 수입 맥아를 국산 미아로 30% 대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미아로 맥아를 일부 대체시 맥주의 색이 다소 맑아지고 맛에서는 보다 부드러운 풍미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s described above, the characteristics of beer produced by substituting 0%, 15%, and 30% of malt into malt was found to be the same as that of beer manufactured using only malt in the indexes such as pH, acidity and ethanol production required for beer production It is possible to produce beer without any difference, so it is possible to substitute up to 30% for beer production. On the other hand, the content of polyphenol tended to decrease with the use of miso, but the content of GABA increased about 1.6 times when added with 30% mia. In sensory evaluation, 30% of total added beer has higher sensory characteristics, and imported malt can be substituted 30% for domestic malt during beer production. When the mia malt was partially replaced, it was confirmed that the color of the beer was somewhat clarified and the taste was softer.

<실시예 1> 우슬-미아 맥주 제조 &Lt; Example 1 > Production of wet-mia beer

(1) 우슬-미아 맥주 제조 (1) Manufacture of wheat-mia beer

상기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당화공정에서 맥아를 미아로 30% 대체하고 농축 공정에서 우슬을 추가로 첨가하여 맥주를 제조함으로써 맥주의 기능성 및 관능성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맥주 제조 공정은 Pilsner 맥주 제조 공정을 사용하였고 사용되는 두 가지 맥아인 pilsener와 carapils 중 pilsner를 미아로 30% 대체하였고 우슬은 열수추출 조건 확립에 따라 농축 공정에서 1차 호프를 투입시 함께 첨가하는 공정으로 하여 담주영농조합법인에서 400 L 용량으로 scale-up하여 시제품을 제조하고 특성을 조사하였다. 우슬 첨가량은 0.10~0.35% 사이에서 예비실험을 진행하여 관능성과 경제성을 분석하여(data not shown) 0.25%를 적정 첨가량으로 선정하였다. As shown in Table 9, malt was replaced with malt by 30% in the saccharification process and malt was further added in the concentration process to improve the functionality and the functionality of the beer. In the beer manufacturing process, Pilsner beer manufacturing process was used and the two malt pilsener and carapils used were replaced with 30% of the pilsner and the wax was added to the first hop in the concent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establishment of the hot water extraction condition And the scale of the experiment was 400 - L in scale. Preliminary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between 0.10 and 0.35% and the sensory and economical properties were analyzed (data not shown).

(2) 우슬-미아 첨가 맥주의 색도 측정(2) Chromaticity measurement of beer with added mousse-mia

미아와 우슬을 첨가한 맥주의 색을 평가하여 하기 표 15에 나타내었다. 30%의 미아와 0.25%의 우슬(Achyranthes japonica Nakai)이 첨가된 미아 및 우슬 함유 맥주(GR-AJN-Pilsner)를 사용하였다.The color of the beer to which mia and wheat were added was evaluated and shown in Table 15 below. (GR-AJN-Pilsner) supplemented with 30% of mia and 0.25% of myrtle ( Achyranthes japonica Nakai) were used.

맥주 시료Beer sample ColorColor LL aa bb PilsnerPilsner 89.87±0.03 89.87 ± 0.03 -0.06±0.01-0.06 ± 0.01 23.13±0.0123.13 + - 0.01 GR-AJN-PilsnerGR-AJN-Pilsner 88.52±0.0288.52 + 0.02 -1.57±0.01-1.57 ± 0.01 37.87±0.0137.87 ± 0.01

상기 표 15에서 보듯이, L값과 a값은 감소하고 b값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는데 이는 미아를 첨가함으로 다소 밝아졌던 맥주가 우슬 첨가로 인하여 색이 짙어지고 보다 노란색을 띠는 것을 보여준다. As shown in Table 15, the L value and the a value were decreased and the b valu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dicating that beer which became slightly brighter by adding mia became darker and more yellow due to the addition of moss.

(3) 우슬-미아 첨가 맥주의 pH, 산도, 에탄올 및 메탄올 함량 측정(3) Measurement of pH, acidity, ethanol and methanol content of beeswax-mia supplemented beer

수입산 맥아로만 제조한 대조구 필스너 맥주와 맥아를 미아로 30% 대체하고 우슬을 0.25% 첨가하여 제조한 맥주의 pH, 산도, 에탄올 및 메탄올 함량은 하기 표 16과 같다. 미아와 우슬을 첨가한 맥주는 대조구보다 높은 pH를 보였으나 산도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우슬-미아 맥주의 메탄올 함량은 0.001 mg/mL로 식약처의 맥주 제조 규격 이하였으며 에탄올 함량은 5.21%로 무첨가 맥주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우슬과 미아 첨가시에도 맥주 제조시 요구되는 알콜 생산이 충분한 것으로 보여진다. The pH, acidity, ethanol and methanol content of the beer prepared by adding 0.25% of wheat to 30% of the control fish filler beer and malt prepared by the imported malt substitute are shown in Table 16 below.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cidity between beer and bean added to mia and wheat. The methanol content of the mussel - Mia beer was 0.001 mg / mL, which was below the beer production standard of the plant. The ethanol content was 5.21%, whic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non - added beer. It seems to be sufficient.

맥주 시료Beer sample pHpH 산도 (%)Acidity (%) 메탄올(mg/mL)Methanol (mg / mL) 에탄올 (%)ethanol (%) PilsnerPilsner 3.98±0.013.98 ± 0.01 0.28±0.020.28 ± 0.02 0.001 ± 0.0000.001 ± 0.000 5.56 ± 0.165.56 ± 0.16 GR-AJN-PilsnerGR-AJN-Pilsner 4.16±0.014.16 ± 0.01 0.26±0.000.26 ± 0.00 0.001 ± 0.0000.001 ± 0.000 5.21 ± 0.125.21 ± 0.12

(4) 우슬-미아 첨가 맥주의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 (4) Measurement of total polyphenol content of beer with added mussel-mia

우슬-미아 첨가 맥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여 하기 표 17에 나타내었다. 우슬-미아 맥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우슬과 미아를 첨가하지 않은 맥주에 비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되어 563.82 ug GAE/100 mL를 나타냈다.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the whey-mia supplemented beer was measured and is shown in Table 17 below.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the mussel - Mia beer was 563.82 ug GAE / 100 mL,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beer without mussel and mia.

맥주 시료Beer sample 총 폴리페놀 함량(ug GAE/100 mL)Total polyphenol content (ug GAE / 100 mL) PilsnerPilsner 532.32±3.46 532.32 ± 3.46 GR-AJN-PilsnerGR-AJN-Pilsner 563.82±3.46563.82 + - 3.46

(5) 우슬-미아 첨가 맥주의 GABA 함량 측정 (5) Measurement of GABA content of beef with added moss-mia

일반 필스너 맥주와 미아 30%와 우슬 0.25% 첨가한 우슬-미아-필스너 맥주의 GABA 함량은 도 7에 나타내었다. The GABA content of the Wusle-Mia-Pillsner beer with the addition of 30% of general Pilsner beer and 0.2% of mise and the other is shown in FIG.

도 7은 일반 필스너 맥주와 미아 30%와 우슬 0.25% 첨가한 우슬-미아-필스너 맥주의 GABA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우슬과 미아 무첨가 맥주의 GABA 함량은 663.51 ug/ 100 mL인데 비하여 우슬-미아 맥주의 GABA 함량은 3397.87 mg/100 mL을 보여 약 5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FIG. 7 is a graph showing the GABA content of the Wussle-Mia-Pillsner beer added with 30% of normal Pilsner beer and 0.25% of mash. As shown here, the GABA content of whiskey and mia non-additive beer is 663.51 ug / 100 mL, whereas the GABA content of whiskey-mia beer is 3397.87 mg / 100 mL, which is about 5 times higher.

(6) 우슬-미아 첨가 맥주의 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 측정(6) Measurement of Xanthine oxidase inhibitory activity of wheat-mia supplemented beer

우슬-미아 맥주의 xanthin oxid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도 8은 우슬-미아 맥주의 xanthin oxid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V-C는 ascorbic acid(1 mg/mL)이다. 도 8에서 보듯이, 미아와 우슬 무첨가 맥주의 경우 활성 비교군으로 사용된 ascorbic acid 1 mg/mL 농도에서의 xanthin oxidase 저해활성 63.6%와 유사한 수준인 62.7%의 xanthin oxidase 저해활성을 보인 반면 우슬-미아 맥주의 경우 유의적으로 증가된 71.7%의 xanthin oxidas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0.25% 수준으로 첨가된 우슬에 의하여 맥주의 xanthin oxidase 저해활성이 9% 증가되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우슬 첨가가 기능성 개선에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The xanthine oxidase inhibitory activity of the mussel - Mia beer was measured. 8 is a graph showing the xanthine oxidase inhibitory activity of the mussel-mia beer. Here, V-C is ascorbic acid (1 mg / mL). As shown in FIG. 8, xanthine oxidase inhibitory activity was 62.7%, which is similar to the xanthin oxidase inhibitory activity of 63.6% at the concentration of 1 mg / mL of ascorbic acid used as an active comparative group in the case of beer without added starch, In the case of Mia beer, 71.7% of xanthine oxidase inhibitory activ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is indicates that the xanthine oxidase inhibitory activity of beer was increased by 9% by the addition of 0.25%.

(7) 우슬-미아 첨가 맥주의 관능적 특성 관찰(7) Sensory characteristics of beer with mussel-mia

우슬-미아-필스너 맥주의 관능적 특성은 하기 표 18과 같다. 미아와 우슬을 첨가한 맥주는 무첨가 맥주보다 모든 관능검사 항목, 색, 향, 맛,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다. 시료간의 차이가 유의적이지는 않았으나 축제에서 시음회를 통한 소비자들의 주관적인 평가에서 맥아의 함량이 감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맛이 보다 부드러우면서도 맥주의 쓴맛을 보유하는 것으로 평가하여 미아와 우슬의 첨가가 무첨가 맥주에 비하여 관능적으로 우수하다는 평가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Wusel-Mia-Pilsner beer are shown in Table 18 below. Beer with added miso and whisker showed higher scores on all sensory items, color, flavor, taste, overall acceptance than non-additive beer. Although the difference between the samples was not significant, in the subjective evaluation of the consumers through the tasting in the festival, it was evaluated that the taste of the beer was bitter even though the content of malt was decreas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y were evaluated to be excellent in sensory performance.

맥주 시료Beer sample Color Color FlavorFlavor TasteTaste Overall acceptabilityOverall acceptability PilsnerPilsner 5.33±0.945.33 + - 0.94 5.22±1.035.22 ± 1.03 5.11±1.375.11 ± 1.37 5.44±1.075.44 ± 1.07 GR-AJN-PilsnerGR-AJN-Pilsner 5.89±0.745.89 + - 0.74 5.44±1.075.44 ± 1.07 5.56±1.265.56 ± 1.26 5.78±0.925.78 ± 0.92

이상과 같은 실험을 통하여 국내 micro-brewery beer에 사용되는 맥아는 전량 수입산으로 이를 국산 원료로 대체하면서 풍미와 기능성을 개선할 수 있는 맥주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을 최적화하였다. 맥주에 사용하기 위한 미아 제조는 35℃에서 24시간 침지 후 30℃에서 24시간 발아하였고, 우슬은 100 kPa 압력 및 130℃ 온도에서 고온고압처리 후 건조하는 과정을 2회 반복시 기능성 성분의 효율적인 추출이 가능하였다. 미아의 맥아 대체율은 30%가 관능성과 기능성 개선에서 바람직하였다. 최종적으로 우슬을 0.25% 첨가함으로 총 폴리페놀 함량(563.82 ug GAE/100 mL)과 GABA 함량(3397.87 mg/100 mL, 5배 증가)이 증가되었고 항염증과 관련된 xanthin oxidase 저해활성(71.7%) 또한 유의적으로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맥주 제조에 필요한 pH 4.16, 산도 0.26%, 에탄올 5.21% 및 메탄올 0.001% 수준을 얻어 우슬과 미아 첨가가 맥주 제조에 필요한 특성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맥주 제조시 첨가 원료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여진다. 최종적으로, 우슬-미아 맥주의 관능평가 결과 모든 항목에서 무첨가 필스너 맥주에 비하여 높은 점수를 얻어 미아와 우슬을 사용함으로써 맥주의 기능성 뿐만 아니라 관능성 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보여진다. Through the above experiment, malt used in domestic micro-brewery beer was optimized for the production of beer which can improve the flavor and functionality while replacing it with domestic raw materials. For the beer, the sprout was germinated at 35 ℃ for 24 hours and then germinated at 30 ℃ for 24 hours. The sprout was dried at 100 kPa and 130 ℃ for 2 hours. Respectively. The malt substitution rate of Mia was 30%, which was desirable for improving sensory and functional properties. Finally,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563.82 ug GAE / 100 mL) and GABA content (3397.87 mg / 100 mL, 5-fold increase) were increased by addition of 0.25% of wax, and the anti-inflammatory xanthin oxidase inhibitory activity was 71.7% ,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when the pH, 4.16, pH of 0.26%, ethanol of 5.21% and methanol of 0.001% were required for the beer production, the addition of starch and mica did not affect the characteristics required for beer production. Respectively. Finally, as a result of sensory evaluation of woosl - mia beer, all items showed higher score than non - supplemented pisner beer and it is suggested tha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functionality as well as the functionality of beer by using miso and mist.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미아 및 우슬 함유 맥주는 수입산 맥아 대신에 국내산 벼를 발아시켜 미아를 제조하고 이를 맥주 제조시 당화 원료로 사용함으로써 생산가 절감과 부드러운 풍미를 부여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우슬을 첨가하여 기능성이 개선된 맥주를 제조하여 젊은 층 및 중년 층의 선호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us, the beer-containing beer produc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production cost and imparting a soft flavor by using the bean as a saccharification raw material when the bean is produced by sprouting domestic rice instead of imported malt.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xpected that the preference of young and middle-aged people can be improved by manufacturing beer with improved function by adding the mist.

Claims (9)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 및 우슬 함유 맥주의 제조방법:
(S1) 맥아와 미아를 8 : 2 내지 6 : 4의 중량비로 혼합 투입하여 당화시키는 당화단계;
(S2) 상기 단계 (S1)에서 당화된 당화물에 호프; 및 생우슬을 90 내지 110 kPa 압력 및 125 내지 135℃의 온도에서 1 내지 3회 고온고압 처리하여 건조하여 제조된 우슬을 첨가하여 농축하는 농축단계;
(S3) 상기 단계 (S2)에서 농축된 농축물에 효모를 투입하여 발효시키는 발효단계; 및
(S4) 상기 단계 (S3)에서 발효된 발효물을 숙성시키는 숙성 단계.
A method for preparing a beer comprising a beer and a mist, comprising the steps of:
(S1) a saccharification step for saccharifying malt and malt into a mixture at a weight ratio of 8: 2 to 6: 4;
(S2) a step of feeding the saccharified saccharide in the step (S1); And raw skewer at a temperature of 90 to 110 kPa and at a temperature of 125 to 135 ° C for 1 to 3 times at a high temperature and a high pressure, drying and concentrating the skewer;
(S3) a fermentation step in which yeast is added to the concentrated concentrate in step (S2) and fermented; And
(S4) an aging step of aging the fermented material fermented in the step (S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S1)에서 미아는 벼 나락을 30 내지 40℃에서 22 내지 26 시간 동안 침지시킨 다음 25 내지 35℃에서 20 내지 30 시간 동안 발아시켜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S1) is carried out by immersing the seedlings at 30 to 40 DEG C for 22 to 26 hours and then germinating at 25 to 35 DEG C for 20 to 30 hours.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S2)에서 우슬을 맥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2 내지 0.3 중량%의 양으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S2) is carried out in an amount of 0.2 to 0.3%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be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S1)의 당화 단계가, 물에 맥아와 미아를 투입 후 40 내지 50℃에서 15 내지 25분 휴식 처리하고, 55 내지 65℃ 승온 후 75 내지 85분 휴식 처리하고, 67 내지 77℃로 승온 후 10 내지 20분 휴식 처리하고, 73 내지 83℃ 승온 후 5 내지 15분 휴식 처리한 다음 맥즙을 여과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accharification step of step (S1) is carried out by adding malt and mia to water, resting at 40 to 50 ° C for 15 to 25 minutes, resting at 55 to 65 ° C for 75 to 85 minutes and heating at 67 to 77 ° C A rest treatment for 10 to 20 minutes after heating, a rest treatment for 5 to 15 minutes after heating at 73 to 83 캜, and then filtering the wo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S2)의 농축 단계가, 단계 (S1)에서 수득된 당화물을 95 내지 105℃로 승온 후 10 내지 20분 끓이고, 1차 호프 및 우슬을 투입 후 95 내지 105℃에서 50 내지 60분 끓이고, 2차 호프 투입 후 95 내지 105℃에서 10 내지 20분 끓인 다음 여과 및 급냉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centration step of step (S2) comprises heating the saccharide obtained in step (S1) to a temperature of 95 to 105 DEG C, boiling for 10 to 20 minutes, introducing the first hop and the mist, heating the mixture at 95 to 105 DEG C for 50 to 60 minutes Boiling, boiling at 95 to 105 DEG C for 10 to 20 minutes after the addition of the second hop, followed by filtration and quench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S3)의 발효 단계가, 단계 (S2)에서 수득된 농축물에 효모를 투입하여 효모를 투입하여 13 내지 15℃에서 8 내지 12일간 발효시킨 다음, 2.0 내지 3.0 Brix 도달 시 4 내지 6℃로 냉각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yeast is added to the concentrate obtained in the step (S2), and the yeast is added to the fermentation step, and the yeast is fermented at 13 to 15 ° C for 8 to 12 days. When the fermentation is performed at 2.0 to 3.0 Brix, Lt; 0 &gt; C. &Lt; / RTI &g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S4)의 숙성 단계가, 단계 (S3)에서 수득된 발효물을 2 내지 4℃에서 12 내지 18일간 숙성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ging step in step (S4) comprises aging the fermentation product obtained in step (S3) at 2 to 4 DEG C for 12 to 18 days.
제 1 항, 제 2 항 및 제 4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미아 및 우슬 함유 맥주.9. A beer containing a beer and a mist, produced according to the production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and 4 to 8.
KR1020160082491A 2016-06-30 2016-06-30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beer comprising germinated rice and achyranthes and the beer prepared therefrom KR1018524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491A KR101852485B1 (en) 2016-06-30 2016-06-30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beer comprising germinated rice and achyranthes and the beer prepared therefro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491A KR101852485B1 (en) 2016-06-30 2016-06-30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beer comprising germinated rice and achyranthes and the beer prepared therefro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683A KR20180003683A (en) 2018-01-10
KR101852485B1 true KR101852485B1 (en) 2018-04-27

Family

ID=60998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2491A KR101852485B1 (en) 2016-06-30 2016-06-30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beer comprising germinated rice and achyranthes and the beer prepared therefro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248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8529B1 (en) * 2019-12-13 2022-09-30 대한민국 Preparing method of mash extract for manufacturing rice beer
KR102505674B1 (en) * 2020-11-18 2023-03-03 농업회사법인 솔티마을 주식회사 Method for production of beer using grap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1460A (en) * 2001-03-30 2002-10-08 Kyodo Shoji:Kk Method for producing brewed liquor and brewed liqu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1460A (en) * 2001-03-30 2002-10-08 Kyodo Shoji:Kk Method for producing brewed liquor and brewed liqu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683A (en) 2018-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217733A (en) Loquat liquo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reof
KR20030002041A (en) Herb medicinal rice wine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KR20160150182A (en) ferment coffee green bee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924066B1 (en) Method for producing beer containing mulberry
KR101852485B1 (en)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beer comprising germinated rice and achyranthes and the beer prepared therefrom
JP2008194040A (en) Method for producing alcoholic beverage using cultured root of mountain ginseng
KR101297610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gyrophora esculenta wine and gyrophora esculenta wine thereof
KR101721130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Beer Using Sheath of Bamboo Shoot and the Beer Obtained Thereby
KR100921692B1 (en) Method for preparing rice wine with Acorus gramineus, Nelumbo nucifera and alkali water, and the rice wine
KR20200139418A (en) Beer Containing Coffe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329186B1 (en) Korea rice wine with pine nu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2366870B1 (en) Process for preparing fermented rice with Leonurus siviricus extract
KR101721131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Beer Using Germinated Rice and Sheath of Bamboo Shoot and the Beer Obtained Thereby
KR20180121201A (en) Composition for Pear Juice Sikhye Using Korean Wheat Flour Malt Sterilized by Plazma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852486B1 (en)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 comprising achyranthes and the beverage prepared therefrom
KR20120073666A (en) Method for producing makgeolli using ginseng
KR100925892B1 (en) Method for Preparing Fermentated Cherry Elaeagnus Liquor
KR20160099214A (en) A method for preparing beer containing blueberry
KR20210032621A (en) Preparation method of olive coffee using olive leaf
KR102181795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Fermented coffee bean and Fermented coffee bean manufactured by the method
KR102328540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powder green tea
KR102459901B1 (en) Beer production method using chestnuts and beer produced by the method
KR102527935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calcium vinegar comprising pyroligneous liquor
KR102399972B1 (en) Beer production method using chestnuts utilizing the taste and flavor of chestnuts, and beer produced by the method
KR101509909B1 (en) Sikhye comprising the extracts of achyranthes radix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