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2297B1 - 위치탐지 측정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위치탐지 측정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2297B1
KR101852297B1 KR1020170082289A KR20170082289A KR101852297B1 KR 101852297 B1 KR101852297 B1 KR 101852297B1 KR 1020170082289 A KR1020170082289 A KR 1020170082289A KR 20170082289 A KR20170082289 A KR 20170082289A KR 101852297 B1 KR101852297 B1 KR 101852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on detection
effective cell
detection
direction detection
inter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2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우
최재인
Original Assignee
국방기술품질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기술품질원 filed Critical 국방기술품질원
Priority to KR1020170082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22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2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4Position of source determined by a plurality of spaced direction-find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10Position of receiver fixed by co-ordinating a plurality of position lines defined by path-difference measurements, e.g. omega or decca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탐지의 성능향상을 위해 지형지물의 반사파 또는 왜곡된 신호, 잡음 신호에 따른 방향탐지 결과의 유효성을 검토하도록 유효셀 영역을 생성하여 유효셀 영역의 방향탐지 값을 이용하여 위치탐지 값을 획득하여 신속한 위치탐지와 정확도를 향상시킨 위치 탐지 측정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위치탐지 측정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POSITION}
본 발명은 지상용 통신전자전 장비의 위치탐지 측정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유효범위 내의 방향탐지 값을 위치탐지 계산에 사용되도록 하여 신속하게 위치탐지 값을 출력하는 위치탐지 측정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현대전의 전투양상은 많은 전투병 투입 및 재래식 무기의 물량 공세에서 벗어나 전투병의 투입 최소화 및 복잡한 전자장비의 사용이 확대되는 첨단 전자전(electronic warfare : EW)화 되고 있다.
이러한 현대전 양상에 대비하여 우리나라 역시 적에 대한 전파 감시 및 방해가 가능한 무기체계 전력화에 이르렀다. 현대전에서 전자전은 전자파 사용과 관련된 군사활동을 총망라하는 것으로써 적의 전파 수집/감청, 정보분석 및 전파를 이용한 대응공격으로 대변된다.
그 중 적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적의 전파 신호를 수집하여 주파수 정보, 신호 세기 등을 이용하여 전파가 발생되는 방향을 찾는 것이 핵심 기술로 방향 탐지(direction finding : DF) 기술이다.
이 기술은 미지의 방향에서 도래한 신호의 입사 방향을 추정하는 기술로 1차 세계대전 이후 군사적인 목적을 위해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주파수 자원 관리 등을 위해 전파관리국이나 스마트 안테나의 빔 성형 기법을 활용하는 이동 통신 분야, 소나 어레이를 이용한 어군 탐지 등 다양한 민간 분야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향 탐지 장치는 자가 전파 방사 유무에 따라 능동형 방향 탐지와 수동형 방향 탐지로 구분할 수 있다. 즉, 능동형 방향 탐지 방법은 목표를 향해 스스로 전파를 방사하여 방사되는 신호를 측정하는 것에 비해 수동형 방향 탐지는 전파를 송신하지 않고 목표물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수집해 방향을 탐지하므로 자기 위치 노출의 단점이 없다는 장점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지상용 통신전자전 장비는 수동형 위치탐지로 목표물에서 발생되는 전자파 신호를 수신 후 분석하여 목표물의 위치를 탐지하는 장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전에서 위치탐지는 다수개의 방향탐지 측정장비에서 획득된 방향탐지 선분들의 교차 값으로 계산된다.
전자전장비는 레이더와 같이 전자파를 방사하여 목표물로부터 반사되는 신호를 측정하는 능동형 위치탐지 방식에 비해 위치탐지 정확도가 낮다.
종래에는 지상용 통신전자전장비의 위치탐지에 있어 방향탐지 값의 유효영역에 대한 설정이 없어서 방향탐지 측정장치가 오프(OFF) 되어 있거나 잡음 값을 산출하여도 그대로 위치탐지 알고리즘에 활용하여 위치탐지 값이 목표물에서 크게 벗어나게 산출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2와 같이, 방향탐지 데이터를 구하기 위하여 수십 회의 방향탐지를 수행한 후 구한 값의 통계적 대표 값을 구해야 하므로 신속하게 위치탐지 값을 획득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위치탐지 측정값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획득하기 위한 장치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KR 등록 제10-1209628호(2012.12.0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위치탐지의 성능향상을 위해 지형지물의 반사파 또는 왜곡된 신호, 잡음 신호에 따른 방향탐지 결과의 유효성을 검토하도록 유효셀 영역을 생성하여 유효셀 영역의 방향탐지 값을 이용하여 위치탐지 값을 획득하여 신속한 위치탐지와 정확도를 향상시킨 위치 탐지 측정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내지 제3 방향탐지 장치가 전파 신호를 수신하여 방향탐지 값을 측정하는 방향탐지 측정부; 제2 및 제3 방향탐지 장치에서 생성된 복수 개의 방향탐지 값을 기준으로 기준 교차점을 생성하는 교차점 생성부; 기준 교차점을 기준 좌표로 방향탐지 유효셀 영역을 생성하는 유효셀 생성부; 유효셀 영역의 범위에 포함하는 방향탐지 값을 이용하여 위치탐지 계산 값을 출력하는 위치탐지 측정부; 를 포함하는 위치탐지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유효셀 생성부는, 제1 방향탐지 장치와 기준 좌표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부; 측정된 거리와 제1 방향탐지 장치의 자체 정확도를 이용하여 유효셀의 반지름을 계산하는 반지름 측정부; 를 포함한다.
유효셀 생성부는, 측정된 거리와 반지름을 이용하여 유효셀 면적을 계산하여 유효셀 영역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1 내지 제3 방향탐지 장치는, 서로 이격된 거리에 마련되는 것을 포함한다.
제1 내지 제3 방향탐지 장치는 서로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교차점 생성부는, 기준 교차점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교차점 산정 종료시간인지 검증하기 위한 검증부; 를 더 포함 한다.
검증부는, 교차점 산정 종료시간을 넘기지 않은 경우 제2 및 제3 방향탐지 장치로 방향탐지 재 수행을 지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검증부는, 교차점 산정 종료시간을 넘긴 경우 유효셀 영역 산정 실패로 유효셀 범위를 0으로 산정하여 유효셀 없음으로 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위치탐지 측정부는, 유효셀 영역의 범위에 포함하는 방향탐지 값을 위치탐지 알고리즘으로 위치를 계산하여 위치탐지 계산 값을 출력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제1 내지 제3 방향탐지 장치가 전파 신호를 수신하여 방향탐지 값을 측정하는 방향탐지 측정단계; 제2 및 제3 방향탐지 장치에서 생성된 복수 개의 방향탐지 값을 기준으로 기준 교차점을 생성하는 교차점 생성단계; 기준 교차점을 기준 좌표로 방향탐지 유효셀 영역을 생성하는 유효셀 영역 생성단계; 유효셀 영역의 범위에 포함하는 방향탐지 값을 이용하여 위치탐지 계산 값을 출력하는 위치탐지 측정 단계; 를 포함하는 위치탐지 측정방법을 제공한다.
유효셀 영역 생성단계는, 제1 방향탐지 장치와 기준 좌표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단계; 측정된 거리와 제1 방향탐지 장치의 자체 정확도를 이용하여 유효셀의 반지름을 계산하는 반지름 측정단계; 를 포함한다.
유효셀 영역 생성단계는, 측정된 거리와 반지름을 이용하여 유효셀 면적을 계산하여 유효셀 영역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교차점 생성단계는, 기준 교차점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교차점 산정 종료시간인지 검증하기 위한 검증단계; 를 더 포함한다.
검증단계는, 교차점 산정 종료시간을 넘기지 않은 경우 제2 및 제3 방향탐지 장치로 방향탐지 재 수행을 지시하는 측정지시단계; 를 포함한다.
검증단계는, 교차점 산정 종료시간을 넘긴 경우 유효셀 영역 산정 실패로 유효셀 범위를 0으로 산정하여 유효셀 없음으로 표시하는 산정실패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치탐지 값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방향탐지 값 유효셀 영역을 산정하고 유효셀 영역에 포함되는 방향탐지 값 만을 활용 함으로써, 위치탐지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첫 번째 방향탐지 값이라도 유효셀 영역에 포함되면 위치탐지 계산에 사용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위치탐지 값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인 위치탐지 측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탐지 측정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탐지 측정장치의 유효셀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탐지 측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유효셀 영역의 방향탐지 값을 이용하여 위치탐지 값을 획득하여 신속한 위치탐지와 정확도를 향상시킨 위치 탐지 측정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시적인 본 발명의 위치탐지 측정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위치탐지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첫 번째 방향탐지 값이라도 유효셀 영역에 포함되면 위치탐지 계산에 사용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위치탐지 값을 획득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탐지 측정장치의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탐지 측정장치의 유효셀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탐지 측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위치탐지 측정장치(10) 및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명세서에서 「방향탐지 장치」는 목표물에서 발생되는 전자파 신호를 수신 후 분석하여 목표물의 위치를 탐지하는 장치로서, 다수 개의 안테나를 포함하며, 360° 로 방향탐지를 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위치탐지 측정장치(10)는 방향탐지 측정부(100), 교차점 생성부(200), 유효셀 생성부(300) 및 위치탐지 측정부(40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방향탐지 측정부(100)는 제1 내지 제3 방향탐지 장치(101,102,103)가 전파 신호를 수신하여 방향탐지 값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내지 제3 방향탐지 장치(101,102,103)는, 서로 이격된 거리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방향탐지 장치(101,102,103)는 서로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교차점 생성부(200)는 제2 및 제3 방향탐지 장치(102,103)에서 생성된 복수 개의 방향탐지 값을 기준으로 기준 교차점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제2 및 제3 방향탐지 장치에서 생성된 복수 개의 방향탐지 값은 제1 방향탐지 값으로 나타내어 설명한다.
즉, 상기 교차점 생성부(200)는 제2 및 제3 방향탐지 장치에서 생성된 복수 개의 제1 방향탐지 값을 기준으로 기준 교차점을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기준 교차점을 생성하기 위한 방향탐지 장치는 제2 내지 제N 방향탐지 장치 즉, 제2 내지 제N(N>3, N은 정수)개 마련될 수 있으며, 서로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유효셀 생성부(300)는 기준 교차점을 기준 좌표(P)로 방향탐지 유효셀 영역(A)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효셀 생성부(300)는 제1 방향탐지 장치(101)와 기준 좌표(P)와의 거리(X)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부(310), 측정된 거리(X)와 제1 방향탐지 장치의 자체 정확도(θ)를 이용하여 유효셀의 반지름(Y)을 계산하는 반지름 측정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탐지 장치(101)의 자체 정확도(θ)를 이용하면, 제1 방향탐지 장치(101)에서 기준 좌표(P)까지 방향탐지 유효범위가 생성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유효범위 영역(A)을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유효셀 생성부(300)는, 측정된 거리(X)와 반지름(Y)을 이용하여 유효셀 면적을 계산하여 유효셀 영역(A)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계산된 유효셀 면적은 유효셀 영역(A)을 의미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향탐지 장치(101)의 자체 정확도(θ)는 통상적으로 방향탐지 장치 설계 시 알려져 있는 값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기준 좌표(P)와 제1 방향탐지 장치(101)와의 거리(X)는 지형지도에서 구한 값을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모든 방향탐지 장치는 정밀도가 우수한 군사용 GPS를 가지고 있어, GPS 데이터가 국방부에서 배포하는 지도에 연동되어 상기 거리(X)를 산출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유효셀 영역(A)은 하기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기준 좌표(P) 에서 유효셀 영역의 반지름(Y)을 구한 후,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유효셀 영역(A)을 구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7062340940-pat00001
[수학식 2]
Figure 112017062340940-pat00002
한편, 상기 교차점 생성부는(200), 기준 교차점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교차점 산정 종료시간인지 검증하기 위한 검증부(210) 를 더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검증부(210)는 교차점 산정 종료시간을 넘기지 않은 경우 제2 및 제3 방향탐지 장치(102,103)으로 방향탐지 재 수행을 지시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방향탐지 장치는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제2 내지 제N(N>3, N은 정수) 방향탐지 장치가 마련될 수 있으므로 제2 및 제3 방향탐지 장치를 제외한 제4 내지 제N 방향탐지 장치로 방향탐지 수행을 지시할 수 있다.
일 예로, 검증부(210)에서 기준 교차점을 생성하기 위해 제2 및 제3 방향탐지 장치(102,103)로 방향탐지 수행을 지시하거나, 또는 제4 및 제5 방향탐지 장치(미도시)로 방향탐지 수행을 지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기준 교차점을 생성하기 위해 처음 방향탐지를 실시한 장치가 제2 및 제3 방향탐지 장치라면, 제2 및 제3 방향탐지 장치로 방향탐지를 재 수행하도록 할 수 있고, 또는 제2 및 제3 방향탐지 장치를 제외한 다른 방향탐지 장치 즉, 제4 내지 제N 방향탐지 장치를 이용하여 기준 교차점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검증부(210)에서 방향탐지 수행을 지시하면, 상기에서 서술한 방향탐지 측정부(100), 교차점 생성부(200), 유효셀 생성부(300) 및 위치탐지 측정부(400)를 이용하여 위치탐지 계산 값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증부(210)는 교차점 산정 종료시간을 넘긴 경우 유효셀 영역(A) 산정 실패로 유효셀 범위를 0으로 산정하여 유효셀 없음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위치탐지 측정부(400)는 유효셀 영역(A)의 범위에 포함하는 방향탐지 값을 이용하여 위치탐지 계산 값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유효셀 영역(A)의 범위에 포함하는 방향탐지 값은 제2 방향탐지 값으로 나타내어 설명한다.
즉, 위치탐지 측정부(400)는 유효셀 영역(A)의 범위에 포함하는 제2 방향탐지 값을 이용하여 위치탐지 계산 값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도출된 최종 위치탐지 계산 값은, 제1 방향탐지 값 유효셀 영역을 산정하고 유효셀 영역에 포함되는 제2 방향탐지 값 만을 활용함으로써 위치탐지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처음 생성된 제2 방향탐지 값이라도 유효셀 영역(A)에 포함되면 위치탐지 계산에 사용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위치탐지 값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위치탐지 측정방법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위치탐지 측정방법은, 전술한 위치탐지 측정장치(10)를 이용한 위치탐지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후술하는 구체적인 사항은 위치탐지 측정장치(10)에서 기술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본 발명의 위치탐지 측정방법은, 제1 내지 제3 방향탐지 장치가 전파 신호를 수신하여 방향탐지 값을 측정하는 방향탐지 측정단계; 제2 및 제3 방향탐지 장치에서 생성된 복수 개의 방향탐지 값을 기준으로 기준 교차점을 생성하는 교차점 생성단계; 기준 교차점을 기준 좌표로 방향탐지 유효셀 영역을 생성하는 유효셀 영역 생성단계; 유효셀 영역의 범위에 포함하는 방향탐지 값을 이용하여 위치탐지 계산 값을 출력하는 위치탐지 측정 단계; 를 포함한다.
또한, 유효셀 영역 생성단계는, 제1 방향탐지 장치와 기준 좌표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단계; 측정된 거리와 제1 방향탐지 장치의 자체 정확도를 이용하여 유효셀의 반지름을 계산하는 반지름 측정단계; 를 포함한다.
또한, 유효셀 영역 생성단계는, 측정된 거리와 반지름을 이용하여 유효셀 면적을 계산하여 유효셀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교차점 생성단계는, 기준 교차점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교차점 산정 종료시간인지 검증하기 위한 검증단계; 를 더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검증단계는, 교차점 산정 종료시간을 넘기지 않은 경우 제2 및 제3 방향탐지 장치로 방향탐지 재 수행을 지시하는 측정지시단계; 를 포함한다.
또한, 검증단계는, 교차점 산정 종료시간을 넘긴 경우 유효셀 영역 산정 실패로 유효셀 범위를 0으로 산정하여 유효셀 없음으로 표시하는 산정실패단계; 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위치탐지 측정방법을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방향탐지 장치(101,102,103)를 이용하여 방향탐지 측정 값을 수신한 다음 제2 및 제3 방향탐지 장치(102,103)에서 수신한 복수 개의 제1 방향탐지 값을 기준으로 교차점을 생성한다.
그 후, 생성한 교차점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기준 교차점이 생성되었다면 교차점을 기준 좌표(P)로 하여 방향탐지 유효셀 영역(A)을 선정한다.
그 후, 제1 방향탐지 값이 유효셀 영역에 포함되는지 확인한 후, 방향탐지 값이 유효셀 영역에 포함되면 유효셀 영역에 포함되는 제2 방향탐지 값을 이용하여 위치탐지 알고리즘으로 위치를 계산한다.
그 후, 최종 위치탐지 계산 값을 출력한다.
상기에서 기준 교차점이 존재하지 않으면, 교차점 산정 종료시간인지 검증하여, 기준 교차점 산정 종료시간을 넘기지 않은 경우 제2 및 제3 방향탐지 장치에 방향탐지 수행을 지시하거나, 또는 제4 및 제5 방향탐지 장치에 방향탐지 수행을 지시하여, 상기에서 서술한 단계를 거쳐 최종 위치탐지 계산 값을 출력한다.
반면, 기준 교차점이 존재하지 않고, 교차점 산정 종료시간을 넘긴 경우 유효셀 영역 산정 실패로 유효셀 범위를 "0"으로 산정하여 유효셀 없음으로 표시한다.
10: 위치탐지 측정장치
100: 방향탐지 측정부
200: 교차점 생성부
210: 검증부
300: 유효셀 생성부
400: 위치탐지 측정부

Claims (15)

  1. 서로 이격된 거리에 마련된, 제1 내지 제3 방향탐지 장치가 전파 신호를 수신하여 방향탐지 값을 측정하는 방향탐지 측정부;
    제2 및 제3 방향탐지 장치에서 생성된 복수 개의 방향탐지 값을 기준으로 기준 교차점을 생성하는 교차점 생성부;
    기준 교차점을 기준 좌표로 방향탐지 유효셀 영역을 생성하는 유효셀 생성부;
    유효셀 영역의 범위에 포함하는 방향탐지 값을 이용하여 위치탐지 계산 값을 출력하는 위치탐지 측정부; 를 포함하는 위치탐지 측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유효셀 생성부는,
    제1 방향탐지 장치와 기준 좌표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부;
    측정된 거리와 제1 방향탐지 장치의 자체 정확도를 이용하여 유효셀의 반지름을 계산하는 반지름 측정부; 를 포함하는 위치탐지 측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유효셀 생성부는, 측정된 거리와 반지름을 이용하여 유효셀 면적을 계산하여 유효셀 영역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탐지 측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제1 내지 제3 방향탐지 장치는, 서로 이격된 거리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탐지 측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제1 내지 제3 방향탐지 장치는 서로 네트워크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탐지 측정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교차점 생성부는, 기준 교차점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교차점 산정 종료시간인지 검증하기 위한 검증부; 를 더 포함하는 위치탐지 측정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검증부는, 교차점 산정 종료시간을 넘기지 않은 경우 제2 및 제3 방향탐지 장치로 방향탐지 재 수행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탐지 측정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검증부는, 교차점 산정 종료시간을 넘긴 경우 유효셀 영역 산정 실패로 유효셀 범위를 0으로 산정하여 유효셀 없음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탐지 측정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위치탐지 측정부는, 유효셀 영역의 범위에 포함하는 방향탐지 값을 위치탐지 알고리즘으로 위치를 계산하여 위치탐지 계산 값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탐지 측정장치.
  10. 서로 이격된 거리에 마련된, 제1 내지 제3 방향탐지 장치가 전파 신호를 수신하여 방향탐지 값을 측정하는 방향탐지 측정단계;
    제2 및 제3 방향탐지 장치에서 생성된 복수 개의 방향탐지 값을 기준으로 기준 교차점을 생성하는 교차점 생성단계;
    기준 교차점을 기준 좌표로 방향탐지 유효셀 영역을 생성하는 유효셀 영역 생성단계;
    유효셀 영역의 범위에 포함하는 방향탐지 값을 이용하여 위치탐지 계산 값을 출력하는 위치탐지 측정 단계; 를 포함하는 위치탐지 측정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유효셀 영역 생성단계는,
    제1 방향탐지 장치와 기준 좌표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단계;
    측정된 거리와 제1 방향탐지 장치의 자체 정확도를 이용하여 유효셀의 반지름을 계산하는 반지름 측정단계; 를 포함하는 위치탐지 측정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유효셀 영역 생성단계는, 측정된 거리와 반지름을 이용하여 유효셀 면적을 계산하여 유효셀 영역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탐지 측정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교차점 생성단계는, 기준 교차점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교차점 산정 종료시간인지 검증하기 위한 검증단계; 를 더 포함하는 위치탐지 측정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검증단계는, 교차점 산정 종료시간을 넘기지 않은 경우 제2 및 제3 방향탐지 장치로 방향탐지 재 수행을 지시하는 측정지시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탐지 측정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검증단계는, 교차점 산정 종료시간을 넘긴 경우 유효셀 영역 산정 실패로 유효셀 범위를 0으로 산정하여 유효셀 없음으로 표시하는 산정실패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탐지 측정방법.

KR1020170082289A 2017-06-29 2017-06-29 위치탐지 측정장치 및 방법 KR101852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289A KR101852297B1 (ko) 2017-06-29 2017-06-29 위치탐지 측정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289A KR101852297B1 (ko) 2017-06-29 2017-06-29 위치탐지 측정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2297B1 true KR101852297B1 (ko) 2018-04-25

Family

ID=62088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2289A KR101852297B1 (ko) 2017-06-29 2017-06-29 위치탐지 측정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22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159A (ko) * 2020-06-25 2022-01-03 주식회사 리얼리티매직 가상 현실 게임용 플레이어 위치 기반 조명 연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가상 현실 시스템
WO2023286119A1 (ja) * 2021-07-12 2023-01-1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位置推定方法、位置推定装置、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0620A (ja) 2005-02-14 2006-08-24 Victor Co Of Japan Ltd 位置検出システム
JP2010190747A (ja) 2009-02-18 2010-09-02 Sanyo Electric Co Ltd 位置検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0620A (ja) 2005-02-14 2006-08-24 Victor Co Of Japan Ltd 位置検出システム
JP2010190747A (ja) 2009-02-18 2010-09-02 Sanyo Electric Co Ltd 位置検出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159A (ko) * 2020-06-25 2022-01-03 주식회사 리얼리티매직 가상 현실 게임용 플레이어 위치 기반 조명 연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가상 현실 시스템
KR102433080B1 (ko) 2020-06-25 2022-08-17 주식회사 리얼리티매직 가상 현실 게임용 플레이어 위치 기반 조명 연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가상 현실 시스템
WO2023286119A1 (ja) * 2021-07-12 2023-01-1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位置推定方法、位置推定装置、プログラ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49712B (zh) 一种基于多基地mimo‑sar的三维形变监测系统
US8369184B2 (en) Systems and methods with improved three-dimensional source location processing including constraint of location solutions to a two-dimensional plane
JP6768299B2 (ja) アンテナ設置角度の校正システム、および、アンテナ設置角度の校正方法
US7642963B2 (en) Soldier/ground vehicle passive ranging system utilizing compact spatiotemporal processor
KR101697696B1 (ko) 지향성 안테나를 이용한 방향 탐지 방법 및 장치
US20080228437A1 (en) Estimation of global position of a sensor node
Wang et al. A low-cost, near-real-time two-UAS-based UWB emitter monitoring system
US7277053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d locating signals
CN111381215A (zh) 相位校正方法以及流星位置获取方法
KR101852297B1 (ko) 위치탐지 측정장치 및 방법
KR101090856B1 (ko) 레이더 시험용 가상 표적 발생 장치 및 방법
JP5691517B2 (ja) 位置推定プログラム、位置推定装置、及び位置推定方法
RU2275649C2 (ru) Способ местоопределения источников радиоизлучения и пассивная радиолокационная станция, используемая при реализации этого способа
Grabbe et al. Geo-location using direction finding angles
RU2713193C1 (ru) Способ межпозиционного отождествления результатов измерений и определения координат воздушных целей в многопозиционной радиолокационной системе
JP2011133165A (ja) パッシブ型飛しょう体飛しょう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CN104020465A (zh) 基于八单元小孔径圆阵天线的外辐射源雷达测角方法
CN116400293A (zh) 伪单站高精度无源定位系统
Dalveren et al. Multipath exploitation in emitter localization for irregular terrains
CN115840192A (zh) 一种基于空间估计谱置信度估计的室内定位方法
JP3484995B2 (ja) 瞬時パッシブ距離測定装置
RU2405166C2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местоположения передатчика переносным пеленгатором
RU2645549C2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координат летательных аппаратов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одного дирекционного угла и двух углов места
KR101030237B1 (ko) 추적 안테나의 추적 제어 방법 및 장치
US9176218B1 (en) Gain projection geo-location systems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