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2002B1 - 지하주차장 진입로 조명등 - Google Patents

지하주차장 진입로 조명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2002B1
KR101852002B1 KR1020180012123A KR20180012123A KR101852002B1 KR 101852002 B1 KR101852002 B1 KR 101852002B1 KR 1020180012123 A KR1020180012123 A KR 1020180012123A KR 20180012123 A KR20180012123 A KR 20180012123A KR 101852002 B1 KR101852002 B1 KR 101852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portion
mounting
angle adjusting
main body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2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상우
이승환
하우경
정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엘아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엘아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엘아이엔지
Priority to KR1020180012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20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2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30Pivoted housings or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3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주차장으로 진입하는 벽면에 설치되어 지하주차장의 진입로를 조명하는 지하주차장 진입로 조명등에 있어서, 상기 벽면에 고정수단에 의해 장착되고 양측단은 개방되며 전면단이 개구된 제1장착부, 상기 제1장착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부단이 개구되고 일측 내측벽에는 다단으로 구비되어 내부로 하향경사지게 서로 다른 각도를 가지도록 돌출되는 제1각도조절브라켓 및 타측 내측벽에 다단으로 구비되어 내부로 상향경사지게 상기 제1각도조절브라켓과 대응되는 각도로 돌출되는 제2각도조절브라켓을 포함하는 각도조절부재가 형성되는 제2장착부와, 상기 제1장착부의 개구된 전단면을 밀폐시키는 밀폐커버부가 구비되는 케이스본체; 상기 케이스본체의 상기 각도조절부재에 삽입되는 위치에 따라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안착지지대가 일단에 구비되며, 지하주차장의 진입로를 조명하는 복수개의 엘이디가 실장된 엘이디모듈이 내부에 구비되는 광원케이스; 상기 케이스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본체의 일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엘이디모듈과 연결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류를 상기 엘이디의 점등에 적합한 전류로 전환 및 변환하는 컨버터; 상기 케이스본체의 개방된 양측단에 체결부재에 의해 장착되며, 상기 제2장착부의 양측단은 개방시키면서 상기 제1장착부의 양측단은 밀폐시키는 커버부재; 및 상기 케이스본체와 상기 광원케이스를 연결하여 상기 컨버터와 상기 엘이디모듈을 연결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지하주차장 진입로 조명등을 제공한다.
따라서, 지하주차장 진입로를 조명하는 엘이디모듈이 구비되는 광원케이스가 주차장 진입로 벽면에 부착되는 케이스본체의 제2장착부에 각도가 용이하게 조절가능하도록 장착됨으로써 진입로를 조명하는 조명케이스를 벽면에 간편하게 장착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지하주차장 진입로 조명등{Underground parking lot entrance light}
본 발명은 지하주차장 진입로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주차장 진입로의 벽면에 설치되어 벽면에서 진입로로 엘이디에서 발산되는 빛을 조사하여 차량이 지하주차장으로 진입이 용이하도록 진입로를 조명하는 지하주차장 진입로 조명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광다이오드라고 불리는 엘이디(LED)는 금속 간 화합물 반도체의 접합 다이오드로서, 반도체의 p-n 접합구조를 이용하여 주입된 소수캐리어(전자 또는 양공)를 만들어내고, 이들의 재결합에 의하여 발광시키는 것이다.
근래에는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엘이디를 응용한 다양한 제품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는데, 특히 고휘도의 엘이디 등기구는 수명이 반영구적이면서도 소비전력이 매우 낮은 장점이 있으므로, 기존의 형광등이나 백열등, 나트륨등 및 수은등을 비롯한 다양한 발광수단을 대체할 수 있다.
즉, 엘이디 등기구를 통해 각종 유해물질이 포함되고 수명이 짧은 형광등과 같은 기존의 등기구를 대체함에 따라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음과 더불어 엘이디 등기구의 낮은 전력소모를 통해 에너지를 절감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엘이디 등기구는 가장 대표적으로 종래 형광등을 대체하여 사무실, 지하 주차장 등의 천장 및 벽면에 다수 설치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엘이디 등기구는 엘이디모듈이 기구본체에 고정됨으로써 엘이디 등기구가 설치된 후에는 엘이디모듈의 엘이디에서 발산되는 빛의 각도를 조절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 제10-1144122호(2012. 05. 02. 등록)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지하주차장 진입로를 조명하는 광원케이스를 케이스본체의 상부 일측에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장착할 수 있으며, 조명을 조사하는 엘이디모듈이 손상 시 엘이디모듈이 내장되는 광원케이스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지하주차장 진입로 조명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하주차장으로 진입하는 벽면에 설치되어 지하주차장의 진입로를 조명하는 지하주차장 진입로 조명등에 있어서, 상기 벽면에 고정수단에 의해 장착되고 양측단은 개방되며 전면단이 개구된 제1장착부, 상기 제1장착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부단이 개구되고 일측 내측벽에는 다단으로 구비되어 내부로 하향경사지게 서로 다른 각도를 가지도록 돌출되는 제1각도조절브라켓 및 타측 내측벽에 다단으로 구비되어 내부로 상향경사지게 상기 제1각도조절브라켓과 대응되는 각도로 돌출되는 제2각도조절브라켓을 포함하는 각도조절부재가 형성되는 제2장착부와, 상기 제1장착부의 개구된 전단면을 밀폐시키는 밀폐커버부가 구비되는 케이스본체; 상기 케이스본체의 상기 각도조절부재에 삽입되는 위치에 따라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안착지지대가 일단에 구비되며, 지하주차장의 진입로를 조명하는 복수개의 엘이디가 실장된 엘이디모듈이 내부에 구비되는 광원케이스; 상기 케이스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본체의 일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엘이디모듈과 연결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류를 상기 엘이디의 점등에 적합한 전류로 전환 및 변환하는 컨버터; 상기 케이스본체의 개방된 양측단에 체결부재에 의해 장착되며, 상기 제2장착부의 양측단은 개방시키면서 상기 제1장착부의 양측단은 밀폐시키는 커버부재; 및 상기 케이스본체와 상기 광원케이스를 연결하여 상기 컨버터와 상기 엘이디모듈을 연결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지하주차장 진입로 조명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하주차장 진입로 조명등에 있어서, 상기 제1각도조절브라켓과 상기 제2각도조절브라켓은 각각 상기 제2장착부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경사진 각도가 커질 수 있다.
상기 제1각도조절브라켓 및 제2각도조절브라켓의 끝단은 하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장착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2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광원케이스를 고정하는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삽입홀은 복수개의 상기 제2각도조절브라켓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밀폐커버부는 상기 제1장착부의 전단면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장착부의 전단면 하단에는 상기 밀폐커버부가 체결되는 체결장홈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밀폐커버부의 일단에는 상기 제1장착부의 전단면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밀폐커버부의 회전을 단속하는 체결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밀폐커버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밀폐커버부를 상기 제1장착부의 전단면에 고정하는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요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벽면과 밀착되는 상기 제1장착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고정수단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홀과 인접하게 상기 제1장착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컨버터가 체결부재에 의해 장착되는 장착장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컨버터에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여 상기 엘이디의 점등에 적합한 전류로 변환하는 제어회로가 실장될 수 있으며, 상기 컨버터의 양측면에는 상기 장착장홈에 밀착되며 상기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원케이스는 상기 각도조절부재에 각도가 조절되도록 안착되는 안착지지대와, 상기 안착지지대와 일체로 연결되고 양측단은 개방되고 전단은 개구된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는 제1장착홈과 제2장착홈이 이격되게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측단에 구비되어 체결부재에 의해 장착되며 상기 본체의 개방된 양측단을 밀폐시키는 측면커버와, 상기 제1장착홈에 장착되며 지하주차장의 진입로를 조명하는 엘이디모듈과, 상기 제2장착홈에 장착되며 상기 본체의 개구된 전단을 밀폐시키면서 상기 엘이디모듈에서 조명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지지대는 상기 본체와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본체의 하부로 돌출되는 연결단과, 상기 각도조절부재에 각도가 조절되도록 안착되며 상기 연결단의 끝단에서 양측으로 대응되게 돌출되는 안착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안착단의 끝단은 상부로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상기 제1장착홈과 제2장착홈의 사이에는 상기 본체의 양측단에 상기 측면커버를 장착시키는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체결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케이스본체의 외측으로 일단이 노출되며 타단은 상기 컨버터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재와, 상기 광원케이스의 외측으로 일단이 노출되며 타단은 상기 엘이디모듈과 연결되는 제2연결부재와, 상기 케이스본체와 상기 광원케이스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제1연결부재 및 제2연결부재의 일단을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하주차장 진입로 조명등은 지하주차장 진입로를 조명하는 엘이디모듈이 구비되는 광원케이스가 주차장 진입로 벽면에 부착되는 케이스본체의 제2장착부에 각도가 용이하게 조절가능하도록 장착됨으로써 진입로를 조명하는 광원케이스를 벽면에 간편하게 장착시킬 수 있다. 또한, 광원으로 엘이디를 사용함으로써 전력 소모량이 적으면서 오랜 시간 사용할 수 있어 램프 교체에 따른 번거로움을 해소하면서 에너지 절감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하주차장 진입로 조명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하주차장 진입로 조명등이 벽면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하주차장 진입로 조명등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케이스본체의 각도조절부재에 의해 각도가 조절되게 광원케이스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케이스본체에 컨버터, 광원케이스, 커버부재, 연결부재가 장착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변형된 지하주차장 진입로 조명등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하주차장 진입로 조명등(1000)은 지하주차장으로 진입하는 벽면(W)에 설치되어 진입로를 조명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스본체(1100)와, 광원케이스(1200)와, 컨버터(1300)와, 커버부재(1400)와, 연결부재(150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지하주차장의 벽면(W)에는 고정수단(F)에 의해 케이스본체(1100)가 장착되며, 상기 케이스본체(1100)는 제1장착부(1120)와, 제2장착부(1140)와, 밀폐커버부(116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장착부(1120)는 양측단은 개방되고 전면단은 개구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장착부(1120)의 개구된 전면단은 밀폐커버부(1160)에 의해 밀폐되며, 상기 제1장착부(1120)에는 상부단은 개방되고 후술되는 광원케이스(1200)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하는 각도조절부재(1141)가 구비되는 제2장착부(1140)가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벽면(W)과 밀착되는 상기 제1장착부(1120)의 일측면에는 상기 케이스본체(1100)를 상기 벽면(W)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F)이 관통하는 관통홀(1120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밀폐커버부(1160)는 상기 제1장착부(1120)의 전단면 하단에 힌지 체결되며, 상기 제1장착부(1120)의 전단면 하단에는 상기 밀폐커버부(1160)가 체결되는 체결장홈(1122)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장홈(1122)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상기 밀폐커버부(1160)의 일단에는 상기 체결장홈(1122)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밀폐커버부(1160)의 회전을 단속하는 체결돌기(116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장홈(1122)는 반원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체결돌기(1162)는 상기 체결장홈(1122)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밀폐커버부(1160)의 내측면에는 상기 밀폐커버부(1160)를 상기 제1장착부(1120)의 전단면에 고정하는 체결부재(C)가 체결되는 체결요홈(1164)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1120a)과 인접한 상기 제1장착부(1120)의 일측면에는 후술되는 컨버터(1300)가 체결부재(C)에 의해 장착되는 장착장홈(1124)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1120a)은 상기 제1장착부(1120)의 일측면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장착장홈(1124)은 상기 제1장착부(1120)의 일측면 하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장착부(1140)는 양측단은 개방되고 상부단은 개구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장착부(1140)에는 개방된 양측단으로 삽입되는 후술되는 광원케이스(1200)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재(1141)가 형성된다.
상기 각도조절부재(1141)는 제1각도조절브라켓(1143)과 제2각도조절브라켓(1145)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각도조절브라켓(1143)은 상기 제2장착부(1140)의 일측 내측면에 다단으로 복수개가 상기 제2장착부(1140)의 내부로 하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되며, 복수개의 상기 제1각도조절브라켓(1143)은 서로 다른 각도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각도조절브라켓(1145)은 상기 제2장착부(1140)의 타측 내측면에 다단으로 복수개가 상기 제2장착부(1140)의 내부로 상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되며, 복수개의 상기 제2각도조절브라켓(1145) 역시 서로 다른 각도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돌출되며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각도조절브라켓(1143)과 제2각도조절브라켓(1145)는 동일한 각도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개의 상기 제1각도조절브라켓(1143)과 상기 제2각도조절브라켓(1145)은 각각 상기 제2장착부(1140)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내측면에서 내부로 경사진 각도가 커지게 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각도조절브라켓(1143)과 제2각도조절브라켓(1145)에 의해 상기 제2장착부(1140)에 3단의 각도조절홈이 형성되게 되며, 1단의 각도조절홈은 상기 제2장착부(1140)의 하부면에 수직되게 형성되고, 2단의 각도조절홈은 15~20°의 각도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3단의 각도조절홈은 20~30°의 각도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2장착홈(1140)에 삽입됨으로써 장착되는 후술되는 광원케이스(1200)를 몇단의 장착홈에 삽입시킴에 따라 상기 케이스본체(1100)에 장착되는 광원케이스(1200)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하게 된다.
상기 제2장착부(1140)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2장착부(1140)에 삽입되어 장착된 광원케이스(1200)를 고정하는 체결부재(C)가 삽입되는 삽입홀(1140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삽입홀(1140a)은 상기 제2각도조절브라켓(1145)이 형성된 상기 제2장착부(1140)의 타측면 형성되고 바람직하게 상기 삽입홀(1140a)은 최상단에 구비되는 상기 제2각도조절브라켓(1145)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본체(1100)의 제2장착부(1140)에는 광원케이스(1200)가 장착되고, 상기 광원케이스(1200)는 지하주차장 진입로를 조명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광원케이스(1200)는 안착지지대(1210)와, 본체(1220)와, 측면커버(1230)와, 엘이디모듈(1240)와, 확산커버(1250)를 포함한다.
상기 안착지지대(1210)는 상기 케이스본체(1100)의 제2장착부(1140)에 각도가 조절가능하게 안착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착지지대(1210)는 제1각도조절브라켓(1143)와 제2각도조절브라켓(1145)에 의해 형성되는 다단의 각도조절홈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광원케이스(1200)의 각도가 조절되게 된다.
상기 안착지지대(1210)는 본체(1220)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본체(1220)는 양측단은 개방되고 전단은 개구된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는 제1장착홈(1222)과 제2장착홈(1224)이 이격되게 구비된다.
상기 안착지지대(1210)는 연결단(1212)과 안착단(1214)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단(1212)은 상기 본체(1220)의 일단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본체(1220)의 일측인 하부로 돌출되며, 상기 안착단(1214)은 상기 연결단(1212)의 끝단에서 양측으로 대응되게 돌출되고 상기 각도조절부재(1141)에 각도가 조절되도록 안착된다.
상기 본체(1220)의 개방된 양측단에는 측면커버(1230)가 구비되어 체결부재(C)에 의해 상기 본체(1220)의 양측단에 장착되며, 상기 측면커버(1230)는 상기 본체(1220)의 개방된 양측단을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1220)의 내부에 형성된 제1장착홈(1222)에는 엘이디모듈(1240)이 장착되고, 상기 엘이디모듈(1240)은 지하주차장의 진입로를 조명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엘이디모듈(1240)은 복수개의 엘이디(1242)와,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124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극회로가 형성되어 있는 엘이디 기판(1244)을 포함하며, 상기 엘이디 기판(1244)은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수지계열 재질의 판형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장착홈(1222)와 이격되게 구비되는 상기 제2장착홈(1224)에는 확산커버(1250)가 구비되며, 상기 확산커버(1250)는 상기 본체(1220)의 개구된 전단을 밀폐시키면서 상기 엘이디모듈(1240)에서 조명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본체(1220)의 내부에 이격되게 구비되는 상기 제1장착홈(1222)과 상기 제2장착홈(1224)의 사이에는 장착돌기(1220a)가 구비되며, 상기 장착돌기(1220a)로는 상기 본체(1220)의 양측단에 상기 측면커버(1230)를 장착시키는 체결부재(C)가 삽입된다. 상기 장착돌기(1220a)에 상기 측면커버(1230)를 관통한 상기 체결부재(C)의 일단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측면커버(1230)가 상기 본체(1220)의 양측단에 고정되게 된다.
상기 케이스본체(1100)의 내부에는 컨버터(1300)가 구비되며, 상기 컨버터(1300)는 상기 케이스본체(1100)의 제1장착부(1120)에 장착되어 상기 엘이디모듈(1240)과 연결되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류를 상기 엘이디(1242)의 점등에 적합한 전류로 전환 및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컨버터(1300)에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여 상기 엘이디(1242)의 점등에 적합한 전류로 변환하는 제어회로(미도시)가 실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컨버터(1300)의 양측면에는 상기 제1장착부(1120)의 장착장홈(1124)에 밀착되는 삽입돌기(1320)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돌기(1320)에는 상기 장착장홈(1124)과 연통되는 연통홀(미도시)가 형성되며 상기 연통홀(미도시)로 체결부재(C)가 삽입되어 상기 장착장홈(1124)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컨버터(1300)가 상기 제1장착부(1120)의 일면에 고정되게 된다.
상기 케이스본체(1100)의 개방된 양측단은 커버부재(1400)에 의해 밀폐되며, 상기 커버부재(1400)는 체결부재(C)에 의해 상기 케이스본체(1100)의 개방된 양측단에 고정되고, 상기 커버부재(1400)는 상기 제2장착부(1140)의 양측단은 개방시키면서 상기 제1장착부(1120)의 양측단은 개방시키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부재(1400)에는 상기 체결부재(C)가 삽입되는 홀(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장착부(1120)의 내부에는 상기 홀(미도시)와 연통되는 체결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본체(1100)와 상기 광원케이스(1200)는 연결부재(1500)에 의해 연결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재(1500)는 상기 컨버터(1300)와 상기 엘이디모듈(124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상기 연결부재(1500)는 제1연결부재(1510)와, 제2연결부재(1520)와, 커넥터(15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연결부재(1510)는 상기 케이스본체(1100)의 외측으로 일단이 노출되고 상기 제1연결부재(1510)의 타단은 상기 제1장착부(1120)에 장착된 상기 컨버터(1300)와 연결된다. 상기 제2연결부재(1520)의 일단은 상기 광원케이스(1200)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타단은 상기 엘이디모듈(1240)과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본체(1100)와 상기 광원케이스(1200)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기 제1연결부재(1510)와 상기 제2연결부재(1520)의 일단은 커넥터(1530)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커넥터(1530)에 의해 상기 케이스본체(1100)의 외측으로 노출된 제1연결부재(1510)와 상기 광원케이스(1200)의 외측으로 노출된 제2연결부재(1520)가 연결됨으로써 상기 케이스본체(1100)와 상기 광원케이스(1200)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각도조절브라켓(1143)과 상기 제2각도조절브라켓(1145)의 끝단은 하측으로 절곡되게 설계변경될 수 있고, 상기 안착지지대(1210)의 안착단(1214) 끝단은 상부로 절곡되게 설계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1각도조절브라켓(1143)과 상기 제2각도조절브라켓(1145)의 끝단은 하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안착단(1214)의 끝단이 상부로 절곡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광원케이스(1200)를 상기 케이스본체(1100)에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지하주차장 진입로를 조명하는 엘이디모듈(1240)이 구비되는 광원케이스(1200)가 주차장 진입로 벽면에 부착되는 케이스본체(1100)의 제2장착부(1140)에 각도가 용이하게 조절가능하도록 장착됨으로써 진입로를 조명하는 광원케이스(1200)를 벽면(W)에 간편하게 장착시킬 수 있고, 광원으로 엘이디(1242)를 사용함으로써 전력 소모량이 적으면서 오랜 시간 사용할 수 있어 램프 교체에 따른 번거로움을 해소하면서 에너지 절감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0 : 지하주차장 진입로 조명등 1100 : 케이스본체
1120 : 제1장착부 1140 : 제2장착부
1160 : 밀폐커버부 1200 : 광원케이스
1210 : 안착지지대 1220 : 본체
1230 : 측면커버 1240 : 엘이디모듈
1250 : 확산커버 1300 : 컨버터
1320 : 삽입돌기 1400 : 커버부재
1500 : 연결부재

Claims (13)

  1. 지하주차장으로 진입하는 벽면에 설치되어 지하주차장의 진입로를 조명하는 지하주차장 진입로 조명등에 있어서,
    상기 벽면에 고정수단에 의해 장착되고 양측단은 개방되며 전면단이 개구된 제1장착부, 상기 제1장착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부단이 개구되고 일측 내측벽에는 다단으로 구비되어 내부로 하향경사지게 서로 다른 각도를 가지도록 돌출되는 제1각도조절브라켓 및 타측 내측벽에 다단으로 구비되어 내부로 상향경사지게 상기 제1각도조절브라켓과 대응되는 각도로 돌출되는 제2각도조절브라켓을 포함하는 각도조절부재가 형성되는 제2장착부와, 상기 제1장착부의 개구된 전단면을 밀폐시키는 밀폐커버부가 구비되는 케이스본체;
    상기 케이스본체의 상기 각도조절부재에 삽입되는 위치에 따라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안착지지대가 일단에 구비되며, 지하주차장의 진입로를 조명하는 복수개의 엘이디가 실장된 엘이디모듈이 내부에 구비되는 광원케이스;
    상기 케이스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본체의 일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엘이디모듈과 연결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류를 상기 엘이디의 점등에 적합한 전류로 전환 및 변환하는 컨버터;
    상기 케이스본체의 개방된 양측단에 체결부재에 의해 장착되며, 상기 제2장착부의 양측단은 개방시키면서 상기 제1장착부의 양측단은 밀폐시키는 커버부재; 및
    상기 케이스본체와 상기 광원케이스를 연결하여 상기 컨버터와 상기 엘이디모듈을 연결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지하주차장 진입로 조명등.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각도조절브라켓과 상기 제2각도조절브라켓은 각각 상기 제2장착부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경사진 각도가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주차장 진입로 조명등.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각도조절브라켓 및 제2각도조절브라켓의 끝단은 하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지하주차장 진입로 조명등.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장착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2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광원케이스를 고정하는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홀은 복수개의 상기 제2각도조절브라켓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주차장 진입로 조명등.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폐커버부는 상기 제1장착부의 전단면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제1장착부의 전단면 하단에는 상기 밀폐커버부가 체결되는 체결장홈이 구비되고,
    상기 밀폐커버부의 일단에는 상기 제1장착부의 전단면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밀폐커버부의 회전을 단속하는 체결돌기가 구비되는 지하주차장 진입로 조명등.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밀폐커버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밀폐커버부를 상기 제1장착부의 전단면에 고정하는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요홈이 형성되는 지하주차장 진입로 조명등.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벽면과 밀착되는 상기 제1장착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고정수단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과 인접하게 상기 제1장착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컨버터가 체결부재에 의해 장착되는 장착장홈이 형성되는 지하주차장 진입로 조명등.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에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여 상기 엘이디의 점등에 적합한 전류로 변환하는 제어회로가 실장되며,
    상기 컨버터의 양측면에는 상기 장착장홈에 밀착되며 상기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지하주차장 진입로 조명등.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원케이스는,
    상기 각도조절부재에 각도가 조절되도록 안착되는 안착지지대와,
    상기 안착지지대와 일체로 연결되고 양측단은 개방되고 전단은 개구된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는 제1장착홈과 제2장착홈이 이격되게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측단에 구비되어 체결부재에 의해 장착되며 상기 본체의 개방된 양측단을 밀폐시키는 측면커버와,
    상기 제1장착홈에 장착되며 지하주차장의 진입로를 조명하는 엘이디모듈과,
    상기 제2장착홈에 장착되며 상기 본체의 개구된 전단을 밀폐시키면서 상기 엘이디모듈에서 조명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커버를 포함하는 지하주차장 진입로 조명등.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안착지지대는,
    상기 본체와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본체의 하부로 돌출되는 연결단과,
    상기 각도조절부재에 각도가 조절되도록 안착되며 상기 연결단의 끝단에서 양측으로 대응되게 돌출되는 안착단을 포함하는 지하주차장 진입로 조명등.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안착단의 끝단은 상부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주차장 진입로 조명등.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기 제1장착홈과 제2장착홈의 사이에는 상기 본체의 양측단에 상기 측면커버를 장착시키는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장착돌기가 형성되는 지하주차장 진입로 조명등.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케이스본체의 외측으로 일단이 노출되며 타단은 상기 컨버터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재와,
    상기 광원케이스의 외측으로 일단이 노출되며 타단은 상기 엘이디모듈과 연결되는 제2연결부재와,
    상기 케이스본체와 상기 광원케이스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제1연결부재 및 제2연결부재의 일단을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지하주차장 진입로 조명등.
KR1020180012123A 2018-01-31 2018-01-31 지하주차장 진입로 조명등 KR101852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123A KR101852002B1 (ko) 2018-01-31 2018-01-31 지하주차장 진입로 조명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123A KR101852002B1 (ko) 2018-01-31 2018-01-31 지하주차장 진입로 조명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2002B1 true KR101852002B1 (ko) 2018-04-25

Family

ID=62088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2123A KR101852002B1 (ko) 2018-01-31 2018-01-31 지하주차장 진입로 조명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200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1987Y1 (ko) 1999-01-29 2001-05-02 강영주 등기구의 광원 위치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1987Y1 (ko) 1999-01-29 2001-05-02 강영주 등기구의 광원 위치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4256B2 (en) LED array wafer lighting fixture
US8042973B2 (en) Lighting apparatus
US20050237746A1 (en) Surface and recess mountable lighting fixture
KR101425014B1 (ko) 설치 각도의 가변이 가능한 엘이디 직착등
KR101140174B1 (ko) 직하형 엘이디 조명기구
KR101747388B1 (ko) Led 조명장치
KR101478628B1 (ko) 엘이디 등기구 본체
KR101852002B1 (ko) 지하주차장 진입로 조명등
KR20220048539A (ko) 조명등 장착장치
KR101961936B1 (ko) 형광등 대체용 led 램프
KR100945173B1 (ko) 발광다이오드 조명등
KR101214959B1 (ko) Led 조명 장치
KR102454436B1 (ko) 조명장치
KR101077477B1 (ko) Led 조명기구
KR102118890B1 (ko) 착탈형 led 조명장치
KR102305337B1 (ko) 조명등
KR102172476B1 (ko) 엘이디 등기구
KR101325970B1 (ko) 엘이디 등기구
JP2005093246A (ja) 防爆照明器具および防爆照明システム
KR100641816B1 (ko) 반사갓을 구비한 배선덕트
KR20110001240U (ko) 구조물에 부착되는 밀착면이 경사각을 형성한 엘이디 발광모듈
KR101391340B1 (ko) 전면 및 후면 조사가 가능한 엘이디 조명제품
KR101556256B1 (ko) 엘이디 등기구
US20040124792A1 (en) Directional luminaire
KR20180002586U (ko) 천정 등기구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