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1840B1 - 송신 장치, 수신 장치, 송신 방법 및 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송신 장치, 수신 장치, 송신 방법 및 수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1840B1
KR101851840B1 KR1020157035489A KR20157035489A KR101851840B1 KR 101851840 B1 KR101851840 B1 KR 101851840B1 KR 1020157035489 A KR1020157035489 A KR 1020157035489A KR 20157035489 A KR20157035489 A KR 20157035489A KR 101851840 B1 KR101851840 B1 KR 101851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ata
reference signal
receiving apparatus
wireless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5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8627A (ko
Inventor
다이스께 지쯔까와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08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8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8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phase-shift keying
    • H04L27/20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 H04L27/2032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for discrete phase modulation, e.g. in which the phase of the carrier is modulated in a nominally instantaneous manner
    • H04L27/2053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for discrete phase modulation, e.g. in which the phase of the carrier is modulated in a nominally instantaneous manner using more than one carrier, e.g. carriers with different pha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36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 H04L1/0038Blind format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Channel estimation of frequency respon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4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 H04L25/0226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sounding signals per 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8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phase-shift keying
    • H04L27/22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2Indication of how the channel is divid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04L27/36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 H04L27/362Modulation using more than one carrier, e.g. with quadrature carriers, separately amplitude modul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04L27/38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기술은, 현재 및 향후의 휴대 전화 단말기의 이용 형태의 다양화를 고려한, 효율적인 스케줄링을 행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송신 장치는,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그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 신호와 함께, 기지 신호에 대하여 상기 수신 장치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위상 변조를 실시한 제2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송신 장치, 수신 장치, 송신 방법 및 수신 방법{TRANSMISSION APPARATUS, RECEPTION APPARATUS, TRANSMISSION METHOD AND RECEPTION METHOD}
본 발명은, 송신 장치, 수신 장치, 송신 방법 및 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전화 시스템(셀룰러 시스템) 등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통신의 추가적인 고속화·대용량화 등을 도모하기 위해서, 차세대 무선 통신 기술에 대하여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표준화 단체인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는, LTE(Long Term Evolution)라고 불리는 통신 규격이나, LTE의 무선 통신 기술을 베이스로 한 LTE-A(LTE-Advanced)라고 불리는 통신 규격이 제안되어 있다.
3GPP에 있어서 완성된 최신 통신 규격은, LTE-A에 대응하는 Release 10이고, 이것은 LTE에 대응하는 Release 8 및 9를 대폭으로 기능 확장한 것이다. 현재에는, Release 10을 더 확장한 Release 11의 주요한 부분의 논의는 끝나고, 완성을 향해 세부 사항이 검토되고 있는 중이다. 나아가 Release 12의 논의가 개시되고 있다. 이후에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LTE」는 LTE 및 LTE-A에 더하여, 이들을 확장한 기타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3GPP의 Release 11은 다양한 기술을 포함하고 있지만, 그 기술들 중 하나로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가 있다. MTC는, 3GPP에 있어서의 소위M2M(Machine To Machine) 통신에 상당하고 있어, 기계(Machine)끼리가 인간을 통하지 않고 정보를 주고받는 통신 형태를 가리킨다. 또한, 3GPP에 있어서는 D2D(Device to Device) 통신이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경우도 있지만, 이것도 MTC나 M2M 통신과 마찬가지의 개념을 나타내는 것이다. 나아가, 3GPP에서는, 근거리 무선 단말기 사이의 통신이나 그것에 관한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 등의 넓은 개념을, ProSe(Proximity Services)라고 부르고 있다.
MTC의 구체적 적용예로서는, 전기, 가스, 수도 등의 미터의 감시, 방범 감시, 각종 기기의 감시, 센서 네트워크 등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가정 내의 전기 기기 등이 MTC에 대응함으로써 서로 제휴하는 것도 상정되고 있다. 3GPP에 있어서 MTC에 대한 논의는 이제 막 시작되었지만, MTC는 적용 분야가 매우 넓다고 여겨지고 있는 점에서, 3GPP에 있어서 장래 유망한 기술로서 앞으로도 활발한 논의가 이어져 갈 것으로 예상된다.
3GPP TS36.211 V11.2.0(2013-02) 3GPP TS36.212 V11.2.0(2013-02) 3GPP TS36.213 V11.2.0(2013-02) 3GPP TS36.321 V11.2.0(2013-03) 3GPP TS36.331 V11.3.0(2013-03) 3GPP TR22.803 V12.1.0(2013-03)
MTC에 대응하는 각종 장치는 일반적으로 MTC 디바이스라고 불리지만, MTC 디바이스는 일반적인 휴대 전화 단말기(소위 셀룰러 단말기)와 비교하여, 몇 가지 상이한 성질이 있다고 여겨지고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MTC 디바이스는 통상의 셀룰러 단말기보다도 단말기 수가 방대해지는 것이 상정되고 있다. MTC 디바이스에 대해서는, 이러한 성질의 차이를 고려한 다음, 일반적인 휴대 전화 단말기에 적용되는 각종 제어나 처리를 필요에 따라서 변경(확장이나 간략화 등)하는 것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인 휴대 전화 단말기에 적용되는 각종 제어나 처리를 MTC 디바이스에 그대로 적용하면, MTC 디바이스를 취급하는 무선 시스템의 시스템 동작에 폐해가 발생하거나(예를 들어, 대다수의 MTC 디바이스가 무선 시스템 내의 무선 기지국에 대하여 동시에 액세스하여 부하가 너무 과대해지는 일이 발생하거나, 대다수의 MTC 디바이스로의 데이터 또는 대다수의 MTC 디바이스로부터의 데이터의 송신에 사용하는 무선 리소스가 매우 부족하거나 함), 기능적으로 용장성이 있거나 하는 경우도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MTC 디바이스에 관한 논의는 이제 시작되었을 뿐이고, MTC의 성질을 고려한 각종 제어나 처리에 관한 검토는 매우 적은 실정이다. 특히, MTC의 성질을 고려한 스케줄링 방식에 관한 검토는 거의 진행되지 않은 측면이 있다. 현상의 LTE 시스템에 있어서는 몇 가지 스케줄링 방식이 이미 규정되어 있지만, MTC 디바이스를 비롯한 현재 및 향후의 휴대 전화 단말기의 이용 형태의 다양화를 고려하면, 이것들은 반드시 충분히 효율적이지는 않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상기의 과제에 이르는 설명은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MTC 디바이스에 기초하여 해왔지만, 이 과제는 일반적인 휴대 전화 단말기에도 확장할 수 있다. 즉, 현상의 LTE 시스템에 있어서는 몇 가지 스케줄링 방식이 이미 규정되어 있지만, 현재 및 향후의 휴대 전화 단말기의 이용 형태의 변화를 고려하면, 이것들은 반드시 충분히 효율적이지 않을 우려가 있다.
개시된 기술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현재 및 향후의 휴대 전화 단말기의 이용 형태의 다양화를 고려한, 효율적인 스케줄링을 행할 수 있는 송신 장치, 수신 장치, 송신 방법 및 수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개시된 송신 장치는,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그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 신호와 함께, 기지 신호에 대하여 상기 수신 장치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위상 변조를 실시한 제2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한다.
본건의 개시하는 송신 장치, 수신 장치, 송신 방법 및 수신 방법 중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현재 및 향후의 휴대 전화 단말기의 이용 형태의 다양화를 고려한, 효율적인 스케줄링을 행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원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하향 데이터 송수신의 시퀀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의 2A 내지 2C는 위상 변조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의 3A 내지 3E는 본원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이상(移相) 참조 신호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의 4A 내지 4B는 하향 서브 프레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원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수신처 검출의 처리 플로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의 6A 내지 6B는 본원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수신처 검출의 개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직교 진폭 변조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각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각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무선 기지국의 기능 구성도의 일례이다.
도 10은 각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 단말기의 기능 구성도의 일례이다.
도 11은 각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무선 기지국의 하드웨어 구성도의 일례이다.
도 12는 각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 단말기의 하드웨어 구성도의 일례이다.
이하, 도면을 이용하면서, 개시된 송신 장치, 수신 장치, 송신 방법 및 수신 방법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편의상 별개의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지만, 각 실시 형태를 조합함으로써, 조합의 효과를 얻고, 또한, 유용성을 높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문제의 소재]
먼저, 각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전에,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의 소재를 설명한다. 이 문제는, 발명자가 종래 기술을 자세하게 검토한 결과로서 새로이 알아낸 것이며, 종래에는 알려져 있지 않았던 것임에 주의하기 바란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현상의 LTE 시스템에 있어서는 몇 가지 스케줄링 방식이 이미 규정되어 있지만, MTC 디바이스를 비롯한 현재 및 향후의 휴대 전화 무선 단말기의 이용 형태의 다양화를 고려하면, 이것들은 반드시 충분히 효율적이지는 않을 가능성이 있다. 이하에서는 이 점에 대하여 고찰하기 위해, LTE 시스템에 있어서 규정되어 있는 통상의 스케줄링 방식인 다이내믹 스케줄링과, 소정의 경우에 사용되는 스케줄링 방식인 SPS(Semi-Persistent Scheduling)를 순서대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단말기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하향 데이터 통신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무선 단말기로부터 무선 기지국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상향 데이터 통신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설명할 수 있음에 주의하기 바란다.
LTE에 있어서의 통상의 스케줄링 방식인 다이내믹 스케줄링을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예로서, 하향 데이터 통신의 다이내믹 스케줄링을 설명한다.
다이내믹 스케줄링에서는, 무선 기지국은 무선 단말기에 하향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 동적으로 스케줄링을 행한다. 그리고 무선 기지국은 스케줄링 결과에 기초하여, 하향 무선 프레임에 데이터를 매핑하여 무선 단말기에 송신한다. 이때 무선 기지국은 데이터에 부수되는 제어 정보를 데이터와 같은 서브 프레임(1밀리 초)에 매핑하여 무선 단말기에 송신한다. 다이내믹 스케줄링에서는 서브 프레임 상의 데이터의 배치나 데이터의 변조 방식·부호화 방식 등이 그때마다 바뀌기 때문에, 무선 기지국은 이들을 파라미터로서 제어 정보에 저장하여 무선 단말기에 통지하는 것이다.
데이터에 부수되는 제어 정보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라고 불리고 있다. DCI는 소위 L1(Layer 1)의 제어 신호이며, 물리 하향 제어 채널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통하여 송신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DCI에는 서브 프레임 상의 데이터의 배치(서브 프레임에 있어서 데이터에 할당된 무선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인 리소스 할당(resource allocation)이나, 데이터의 변조 방식·부호화 방식을 나타내는 정보인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를 포함한다. 또한, LTE 시스템에 있어서는, 데이터 송신의 시간축 상의 단위는 1서브 프레임으로 정해져 있기 때문에, 리소스 할당에 있어서는, 주파수 성분만을 리소스 블록이라 불리는 단위로 할당한다.
DCI에는 순회 용장 검사(CRC: Cyclic Redundancy Check)가 부가되어 있고, 당해 CRC는 무선 단말기의 식별자인 RNTI로 마스크(스크램블)되어 있다. 무선 단말기는, 각 서브 프레임의 PDCCH를 모니터하고, 자신의 RNTI를 사용하여 DCI에 부가된 CRC의 체크를 행한다. 여기서 CRC의 체크에 성공하면, 무선 단말기는 CRC가 부가된 DCI를 자신으로 향한다고(destined for) 판단한다. 한편, CRC의 체크에 실패하면, 무선 단말기는 CRC가 부가된 DCI를 자신 이외로 향한다고 판단한다. DCI는 데이터에 부수되는 제어 정보이므로, 이러한 DCI의 수신처의 판정은, 데이터의 수신처의 판정으로도 되어 있다. 무선 단말기는 자신으로 향하는 DCI를 검출하면, 당해 DCI에 부수되는 데이터를 자신으로 향한다고 판단하여, 당해 DCI에 포함되는 리소스 할당이나 MCS에 기초하여, 당해 데이터의 복조 및 복호를 행하여 자신으로 향하는 데이터를 얻는다.
이상으로, 무선 단말기는 DCI에 기초하여 데이터가 자신으로 향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무선 단말기는 DCI에 기초하여, 하향 서브 프레임으로부터 데이터의 추출을 행함과 함께, 복조·복호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이내믹 스케줄링에 있어서는, 각 데이터에 DCI가 부수되는 것이 불가결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다이내믹 스케줄링에 의하면, 무선 기지국은 무선 단말기에 대하여 필요할 때 필요한 만큼의 무선 리소스를 할당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그러나, 다이내믹 스케줄링에 있어서는, 무선 기지국이 데이터를 송신할 때에는 반드시 제어 신호(DCI)를 부수되게 할 필요가 있다. 이에 의해, 이하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몇 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데이터에 제어 신호가 부수되는 것에 기초하는 첫번째 문제로서는, 데이터의 전송 효율의 저하를 들 수 있다. 무선 리소스는 유한하지만, 제어 신호를 보내기 위한 무선 리소스에 있어서는 데이터를 송신할 수 없다. 따라서, 제어 신호의 수가 많아질수록, 데이터의 송신에 사용할 수 있는 무선 리소스가 감소하고, 결국, 데이터의 전송 효율이 저하되게 된다. 다이내믹 스케줄링에 있어서는 하나하나의 데이터 각각에 제어 신호가 부수되기 때문에, 데이터의 전송 효율에 대해서는 충분하지 않다는 측면이 있다.
데이터에 제어 신호가 부수되는 것에 기초하는 두번째 문제로서는, DCI를 매핑하는 무선 프레임 상의 영역인 제어 신호 영역의 결핍을 들 수 있다. DCI를 매핑하기 위한 영역인 제어 신호 영역은, 하향 무선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하향 서브 프레임의 선두로부터 최대 3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로 결정되어 있다. 가령 제어 신호 영역을 이 이상으로 증가시키면, 구래의 무선 단말기(Release 8까지만에 대응한 무선 단말기 등)에 대한 호환성을 유지할 수 없게 되므로, 이 최대 3OFDM 심볼의 제약을 변경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다. 그러나, 이 제약 때문에, 송신하는 데이터의 수가 많은 경우 등에 있어서, 제어 신호 영역이 결핍될 수 있다. 다이내믹 스케줄링에 있어서는, 무선 기지국이 데이터를 송신할 때에는 반드시 DCI를 부수되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LTE 시스템의 다이내믹 스케줄링에 의하면, 하나하나의 데이터 각각에 제어 신호(DCI)가 부수된다. 이에 의해, 데이터의 전송 효율의 저하나 제어 신호 영역의 결핍이라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런데, 데이터의 전송 효율의 저하나 제어 신호 영역의 결핍이라는 문제는, 데이터 각각에 제어 신호가 부수되는 것에 기인한다. 따라서, 이들의 문제를 피하기 위해서는, 제어 신호의 전송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 특히, 제어 신호의 수를 삭감하는 것이 유효하다고 생각된다. 이에 반해, LTE 시스템에 있어서 규정되고 있는 또 하나의 스케줄링 방식인 SPS에 의하면, 제어 신호의 수를 저감시킬 수 있다.
SPS는, 다이내믹 스케줄링과 같이 매회 동적으로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DCI에 의해 반지속적(semi-persistent)으로 주기적인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는 것이다. 그로 인해, SPS에 의하면, 무선 기지국은 무선 단말기에 대하여, 스케줄링용 제어 정보를 그때마다 부수시키는 일 없이, 주기적인 데이터 통신을 행할 수 있다. SPS는, 전형적으로는 음성 통신에 적용되지만, MTC 디바이스 등에 의한 데이터 통신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SPS의 동작을 설명한다. SPS를 행할 시에, 무선 기지국은 데이터 송신(수신)의 주기 등을 무선 단말기에 미리 통지해 둔다. 이 통지는, 상위의 제어 신호인 RRC 신호로 실현된다. 그 후, 무선 기지국은 무선 단말기에 대한 SPS를 개시할 경우, 당해 무선 단말기에 SPS를 활성화(Activation)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이 제어 신호는, 상술한 DCI에 의해 실현된다. 이때의 DCI에도, 다이내믹 스케줄링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리소스 할당이나 MCS를 포함하고 있다. 무선 기지국은, DCI를 송신하는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 당해 DCI로 지정한 리소스 할당이나 MCS를 사용하여, 주기적 데이터 송신에 있어서의 1회째의 데이터를 매핑하여 송신한다.
무선 단말기는, 다이내믹 스케줄링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DCI에 부가된 CRC의 체크에 성공하면, 당해 DCI를 자신으로 향한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당해 DCI에 부수되는 데이터(주기적 데이터 송신에 있어서의 1회째의 데이터)를 당해 DCI에 기초하여 수신(복조·복호)한다. 또한, 무선 단말기는 DCI에 기초하여 SPS가 활성화된 것을 인식한다. 이에 의해, 이 이후의 무선 단말기는, 미리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된 주기에 기초하여,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수신(복조·복호)한다.
무선 기지국은, SPS의 주기적 데이터 송신에 있어서의 2회째 이후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DCI를 부수되지 않게 한다. 그러나, 무선 단말기는 2회째 이후의 데이터도 문제없이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SPS에 있어서는, 액티베이션을 통지하는 DCI의 수신 타이밍과, 미리 통지된 주기에 기초하여, 데이터의 수신 타이밍이 정해진다. 그로 인해, 무선 단말기는 2회째 이후의 데이터의 수신 타이밍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SPS에 있어서는, 주기적 데이터 송신에 있어서의 2회째 이후의 데이터에 대해서도, 1회째의 데이터와 같은 리소스 할당이나 MCS가 적용된다. 그로 인해, 무선 단말기는 2회째 이후의 데이터의 복조 및 복호를 행할 수 있다. 이들에 의해, SPS의 2회째 이후의 데이터에는 DCI는 부수되지 않지만, 무선 단말기는 이들을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SPS에 의하면, 다이내믹 스케줄링과 비교하여, 데이터에 제어 신호(DCI)가 차례대로 부수되지 않는다. 그로 인해, 상술한 데이터의 전송 효율의 저하나 제어 신호 영역의 결핍과 같은 문제가 일단은 해결되는 것처럼 생각되기도 한다.
그러나, SPS를 사용해도, DCI에서 유래되는 상기의 문제가 반드시 충분히 해결되지는 않는 경우도 있다고 생각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SPS에서는 미리 설정한 주기에 기초하는 주기적인 데이터 송신을 행할 수밖에 없다. 다시 말해, SPS에서는, 무선 기지국은 무선 단말기에 임의의 타이밍에 데이터 송신을 행할 수는 없다. SPS는 데이터 송신의 타이밍 자유도가 낮다고 할 수도 있다.
그로 인해, 예를 들어 무선 기지국에 있어서 무선 단말기를 향하는 하향 데이터가 발생한 경우, SPS에 있어서는, 적어도 주기적 송신의 다음 송신 타이밍까지 당해 데이터의 송신을 기다려야만 한다. 그로 인해, 하향 데이터에 송신 지연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하향 데이터가 버스트적으로 발생한 경우, 주기적인 타이밍에만 송신할 수 있는 SPS에서는 송신 지연이 누적적으로 커져 간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SPS에 기초하는 송신 지연을 피하기 위해서는, 무선 기지국은 데이터를 다이내믹 스케줄링으로 송신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다이내믹 스케줄링에는 데이터를 송신할 때마다 DCI가 필요해진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DCI에서 유래되는 상기의 문제가 충분히 해결되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또한, SPS는 각 주기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첫 전송(신규 송신)에만 대응하고 있다. 다시 말해, SPS에 있어서도, 데이터의 재전송 시에는 다이내믹 스케줄링을 행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다이내믹 스케줄링에는 데이터를 송신할 때마다 DCI가 필요해진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도, DCI에서 유래되는 상기의 문제는 충분히 해결되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이상과 같이, SPS를 사용해도 DCI에서 유래되는 상기의 문제가 반드시 충분히 해결되지는 않는 경우가 있다. 그로 인해, 이 문제를 보다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스케줄링 방식을 규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이하와 같은 방식(편의상 「참고 방식」이라고 칭함)을 생각한다. 먼저, 무선 기지국은 무선 단말기에 대하여 미리, 데이터 송신에 사용하는 리소스 할당이나 MCS 등의 정보를 미리 통지해 둔다. 여기에서 미리 통지하는 정보는, 통상의 다이내믹 스케줄링에 있어서 DCI에 포함되어 있는 임의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 통지는, 예를 들어 L3 제어 신호인 RRC 신호로 실현되지만, L1 제어 신호인 통상의 DCI를 확장하여 실현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참고 방식에 있어서는, 무선 기지국은, 상술한 통지 이후의 임의의 서브 프레임으로, 데이터를 무선 단말기에 송신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단, 무선 기지국은, 데이터를 송신할 때 DCI를 부수시키지 못하게 한다. 그 대신에, 무선 기지국은 데이터를 송신할 때, 미리 통지된 MCS에 기초하여 당해 데이터를 부호화·변조하고, 미리 통지한 리소스 할당에 기초하여 당해 데이터를 배치하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참고 방식에 의해 무선 단말기는, 데이터에 DCI가 부수되지 않아도, 서브 프레임으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여 복조·복호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참고 방식에 있어서는, 복수의 무선 단말기가 공유하는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복수의 무선 단말기가 속하는 무선 단말기 그룹에 대하여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 방식은, 소정 기간 또는 소정 사상(무선 기지국에 의한 종료 통지 등)이 발생할 때까지의 사이, 어떤 무선 리소스를 연속적으로 무선 단말기에 미리 할당하는 것이다. 참고 방식에 있어서, 가령 어떤 무선 리소스를 단 하나의 무선 단말기에 미리 할당해 버리면, 당해 무선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 송신이 행해지지 않는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는, 할당된 무선 리소스가 낭비(무선 리소스의 손실이 발생)되어 버린다. 이 경우, 하나의 무선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 송신이 행해지는 빈도는 그다지 크지 않은(예를 들어 VoIP에 의한 회화 구간에서도 20 서브 프레임에 1 서브 프레임 정도라고 말해지고 있음) 점에서, 무선 리소스의 이용 효율이 매우 낮은 것으로 되어 버린다. 이것을 피하기 위해서는, 무선 리소스를 복수의 무선 단말기가 속하는 무선 단말기 그룹에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무선 리소스를 무선 단말기 그룹에 할당하는 경우, 당해 무선 단말기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무선 단말기는, 유사한 성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빈도나, 수신하는 데이터의 크기가 유사한 무선 단말기를 같은 그룹으로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환경이 유사한 무선 단말기를 같은 그룹으로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MTC 디바이스는, 참고 방식과 상성이 비교적 좋은 것이라 생각된다. 그 이유 중 하나로서는, MTC 디바이스는 많은 경우에는 이동하지 않는 것이기 때문에(준정지 상태), 무선 환경(채널 특성)이 변화되기 어렵고, 그 때문에 MCS 및 리소스 할당을 다이내믹하게 변경할 필요성이 별로 없기 때문이다. 또한, 종류가 같은 MTC 디바이스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빈도나 수신하는 데이터의 크기가 유사하기 때문에, 그루핑을 행하기 쉬운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MTC 디바이스는 수가 방대해지는 것이 상정되고 있는 데다가, 수신 데이터는 비교적 작은 경우도 많다고 생각되고 있으므로, 제어 신호를 삭감하고자 하는 요구가 통상의 무선 단말기 이상으로 강하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단, 참고 방식에는 무선 단말기측에서 데이터가 어느 무선 단말기로 향하는지(자신으로 향하는지 여부)를 모른다는 문제가 남아 있다. 종래의 다이내믹 스케줄링에서는 DCI에 부가된 CRC에 기초하여 데이터의 수신처를 판단했었지만, 참고 방식에 있어서는 데이터에 DCI가 부수되지 않는 것을 상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참고 방식을 실용화하기 위해서는, 이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예로서 MTC 디바이스에 기초하여 행한 부분도 있지만, 상기의 문제는 반드시 MTC 디바이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의 문제는, 예를 들어 MTC 디바이스와 마찬가지의, 또는 유사한 형태로 이용되는 통상의 휴대 전화 무선 단말기에 대해서도 일어날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상을 정리하면, MTC 디바이스 등에 있어서는 제어 신호를 삭감함으로써 데이터의 전송 효율의 저하나 제어 신호 영역의 결핍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그를 위해서는 종래의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다이내믹 스케줄링이나 SPS로는 충분하지 않고, 미리 할당한 연속적인 무선 리소스로 데이터에 제어 정보를 부수되게 하지 않고 송신하는 참고 방식(상술)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참고 방식에 의하면, 수신측이 수신한 데이터의 수신처를 인식할 수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문제는, 발명자가 종래 기술을 자세하게 검토한 결과로서 새로이 알아낸 것이며, 종래에는 알려져 있지 않았던 것이다. 이후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원의 각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는, 참조 신호를 수신측(무선 단말기측)의 식별자에 따라서 이상시킨 이상 참조 신호를 사용함으로써, 수신측이 이상 참조 신호에 기초하여 송신처(수신처)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시 말해, 제1 실시 형태는,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그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 신호와 함께, 기지 신호에 대하여 상기 수신 장치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위상 변조를 실시한 제2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는 송신 장치를 구현화하는 것이다. 또한, 수신 장치이며 제1 신호와 제2 신호를 수신하고, 그 제2 신호가 기지 신호에 대하여 상기 수신 장치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위상 변조를 실시한 신호일 경우에, 그 제1 신호가 상기 수신 장치로 향한다고 결정하는 수신부를 구비하는 수신 장치를 구현화하는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처리 시퀀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1의 전제를 설명한다. 도 1에는, 일례로서, 무선 기지국(10)과 2대의 무선 단말기(20a와 20b)가 등장한다. 이후의 설명에서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2대의 무선 단말기(20a와 20b)를 합하여 무선 단말기(20)라고 칭한다.
2대의 무선 단말기(20a와 20b)는 같은 무선 단말기 그룹에 속해 있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무선 단말기 그룹은 임의의 기준에 의해 설정할 수 있지만, 어떠한 성질이 유사한 무선 단말기(20)를 같은 무선 단말기 그룹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무선 단말기 종별(소정의 MTC 디바이스 등)이 같은 무선 단말기(20)를 통합한 무선 단말기 그룹을 설정하거나, 무선 환경(채널 특성)이 유사한 무선 단말기(20)를 통합한 무선 단말기 그룹을 설정할 수 있다.
도 1은 무선 기지국(10)으로부터 무선 단말기(20a)에 하향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의 처리 시퀀스로 되어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는, 일례로서, 본원 발명을 LTE 시스템에 적용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본원 발명은 LTE 시스템 이외의 임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기 바란다.
또한, 본원에 있어서는 지금까지는 주로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MTC 디바이스에 초점을 맞추어 문제점 등을 설명해 왔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은 반드시 MTC 디바이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의 문제점은, 예를 들어 MTC 디바이스와 마찬가지의, 또는 유사한 형태로 이용되는 통상의 휴대 전화 무선 단말기(20)에 대해서도 일어날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 때문에 이후에는, MTC 디바이스의 상위 개념에 상당하는 무선 단말기(20)에 기초하여 설명을 행한다.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설명 중의 무선 단말기(20)를 MTC 디바이스로 적절히 바꾸어 읽어도 상관없다.
도 1의 S101에서 무선 기지국(10)은, 하향 데이터의 수신에 필요한 각종 파라미터를 무선 단말기(20)에 송신(통지)한다. 한편, 무선 단말기(20)는, 하향 데이터의 수신에 필요한 각종 파라미터를 무선 기지국(10)으로부터 수신한다. S101에서 송수신되는 각종 파라미터를, 편의상, 하향 데이터용 파라미터라고 부르기로 한다.
하향 데이터용 파라미터의 송신은, 무선 기지국(10)의 관리 하의 복수의 무선 단말기(20)에 대한 멀티캐스트 또는 브로드 캐스트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무선 단말기(20) 그룹에 소속하는 무선 단말기(20)에 대한 멀티캐스트로 행해도 된다. 하향 데이터용 파라미터의 송신은, 물리 하향 공유 채널(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로 송신되는 상위(L3)의 제어 신호인 RRC 신호에 의해 실현할 수도 있고, 물리 하향 제어 채널(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로 송신되는 하위(L1)의 제어 신호인 DCI에 의해 실현할 수도 있다.
하향 데이터용 파라미터는, 하향 데이터의 수신에 필요한 임의의 것을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통상의 다이내믹 스케줄링에 있어서 DCI에 포함되어 있는 임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향 데이터용 파라미터에는, 상술한 리소스 할당이나 MCS를 포함할 수 있다. 리소스 할당은,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주파수 할당의 단위인 리소스 블록에 기초하여 행할 수 있다. 또한, 하향 데이터용 파라미터는, 이들 이외의 임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무선 기지국(10)은, S101에 있어서의 하향 데이터용 파라미터의 송수신을 계기로 하여, 이후에 나타내는 방법으로 하향 데이터를 무선 단말기(20)에 송신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단, 하향 데이터를 송수신 가능한 기간의 개시 타이밍(계기)을, S101의 하향 데이터용 파라미터의 송수신에 있어서 또는 이것과는 다른 신호에 의해, 무선 기지국(10)으로부터 무선 단말기(20)에 송신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하향 데이터를 송수신 가능한 기간의 종료 타이밍을, S101의 하향 데이터용 파라미터의 송수신에 있어서, 또는 이것과는 다른 신호에 의해, 무선 기지국(10)으로부터 무선 단말기(20)에 송신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도 1의 S102에서 무선 기지국(10)에 있어서 무선 단말기(20a)로 향하는 데이터인 하향 데이터가 발생한다. 하향 데이터는, 다른 무선 단말기(20b)와 무선 단말기(20a)가 통화하는 경우나, 무선 단말기(20a)가 네트워크 상의 서버 등으로부터 Web 페이지나 메일을 수신하는 경우 등에 발생한다.
도 1에 있어서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하향 데이터가 발생한 경우, 무선 기지국(10)은 당해 하향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스케줄링을 행하여, 당해 하향 데이터를 송신하는 타이밍(서브 프레임)을 결정한다. 이 타이밍의 결정은, 다른 하향 데이터의 발생 상태나, 그것들의 우선도의 차를 고려하여 행해져도 된다. 이것에는 다양한 방식을 생각할 수 있지만, 임의의 기존 기술을 적용하면 충분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단, 하나 강조해야 할 점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S101에 있어서의 하향 데이터용 파라미터의 송수신 이후, 무선 기지국(10)은, 임의의 타이밍(서브 프레임)에, 하향 데이터를 무선 단말기(20)에 송신할 수 있는 점이다. 따라서, 하향 데이터의 스케줄링에 있어서, 상술한 SPS와 같이 주기적 송신의 타이밍에 얽매일 필요는 없다. 이 점은, 본 실시 형태를 SPS와 비교한 경우의 우위성 중 하나가 된다.
다음으로 도 1의 S103에서 무선 기지국(10)은 참조 신호를 생성한다. 참조 신호는, 기지 신호의 1종이며, 기준 신호나 파일럿 신호 등이라 불리는 경우도 있다. 참조 신호에는 몇 가지 종류가 있지만, 채널 추정(동기검파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음) 또는 수신 데이터의 복조, 품질 측정 등에 사용되고, 수신측(본 실시 형태의 경우에는 무선 단말기(20))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하여 불가결한 신호라고 할 수 있다.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하향의 참조 신호로서는, 셀 고유 참조 신호(Cell-specific reference signal), 유저 고유 참조 신호(UE(User Equipment)-specific reference signal),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SI(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등이 있다. 셀 고유 참조 신호는, 초기의 LTE 시스템(Release 8)으로부터 사용되고 있는 것이며, 셀 식별자에 기초하는 기지 신호이기 때문에, 셀 고유의 신호로 되어 있다. 셀 고유 참조 신호는 범용적인 참조 신호이며, 채널 추정 또는 수신 데이터의 복조, 품질 측정 등에 널리 사용된다.
이에 반해, 유저 고유 참조 신호와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는 Release 10에 도입된 비교적 새로운 참조 신호이다. 유저 고유 참조 신호는 무선 단말기 식별자(유저 식별자로 바꾸어 말해도 됨)에 기초하는 기지 신호이기 때문에, 유저 고유의 참조 신호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의 무선 단말기 식별자로서는, LTE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단말기(20)에 일시적으로 할당되는 논리적인 식별자인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가 사용된다. 유저 고유 참조 신호는 채널 추정 또는 데이터 복조용으로 특화된 참조 신호이며, 데이터가 송신될 경우에 서브 프레임 중의 당해 데이터가 매핑되는 영역(PDSCH)에서만 비교적 고밀도로 배치된다. 한편,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는 품질 측정용으로 특화된 참조 신호이며, 비교적 긴 송신 주기로, 서브 프레임이 차지하는 주파수 폭에 걸쳐서 배치되어 송신된다. Release 10에 있어서 8 안테나의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전송이 도입되었을 때, 범용적인 참조 신호인 셀 고유 참조 신호 또는 그 확장에서는 불충분해졌다. 그로 인해, 새로이 용도별 참조 신호로서, 채널 추정 또는 데이터 복조용 유저 고유 참조 신호와 품질 측정용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가 규정되게 된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후에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참조 신호」란 유저 고유 참조 신호를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이것은, 추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참조 신호를 특정한 무선 단말기 식별자(RNTI)에 기초해서 이상하여 송신하기 때문에, 특정한 무선 단말기(20)만이 수신하는 참조 신호를 사용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셀 고유 참조 신호나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는, 무선 기지국(10)의 관리 하의 모든 무선 단말기(20)가 수신하는 것이기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어울리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또한, 본원 발명은 유저 고유 참조 신호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유저만이 수신하는 임의의 참조 신호에 대하여 적용 가능하다. 특히, 본원 발명의 참조 신호는, 유저 고유 참조 신호와 같이 무선 단말기 식별자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것이 요건은 아니고, 유저에 의존하지 않는 것이어도 전혀 상관없음에 유의하기 바란다.
S103에서 무선 기지국(10)은, 무선 단말기 식별자(RNTI)에 기초하는 소정의 규칙을 사용하여 참조 신호(유저 고유 참조 신호)를 생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참조 신호는 소위 기지 신호이다. 수신측(무선 단말기(20))도 무선 단말기 식별자 및 소정의 규칙을 미리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참조 신호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참조 신호의 구체적인 생성 수순에 대해서는 종래 기술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다음으로 S104에서 무선 기지국(10)은, 이상 참조 신호를 생성한다. 이상 참조 신호는, 단적으로 말하면, S103에서 생성된 참조 신호를, S102에서 발생한 하향 데이터의 수신처인 무선 단말기(20a)의 식별자(RNTI)에 기초하여 이상한 신호이다. 여기서, 이상을 위상 회전으로 바꾸어 말해도 된다.
이하에서는 이상 참조 신호의 생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그 준비로서, 디지털 변조 방식(이하에서는 간단히 변조 방식이라고 부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변조 방식의 일례로서 위상 변조 방식의 1종인 4상 위상 변조(QPSK: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를 설명한다. QPSK의 변조도는 2(=log24)이며, 다시 말해, QPSK는 1심볼로 2비트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변조 방식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변조 방식으로서는, QPSK에 한하지 않고 임의의 위상 변조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상 위상 변조(BPSK: Binary Phase Shift Keying)나 8상 위상 변조(8PSK: Octuplet Phase Shift Keying)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디지털 변조 방식은 I-Q 평면이라고 불리는 평면 상에서 생각하는 것이 널리 행해지고 있다. 여기서, I는 동상(In-phase) 성분, Q는 직교(Quadrature) 성분을 의미하고 있다. 교류 신호는 기준 신호(기준이 되는 주파수)가 정해지면, 진폭과 위상으로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평면 상의 점(벡터)으로 나타낼 수 있는 것이다.
도 2의 2A 내지 2C에 주요한 위상 변조 방식을 I-Q 평면으로 표현한 도면을 도시한다. 도 2의 2A는 BPSK를, 도 2의 2B는 QPSK를, 도 2의 2C는 8PSK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2의 2A 내지 2C와 같은 도면은, 변조 방식의 콘스텔레이션 표시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다.
이하에서는 QPSK를 도시하는 도 2의 2B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QPSK의 각 심볼은 2비트분의 정보이며, 4종류의 상태를 취할 수 있다. 이들 4종류의 상태가, 도 2의 2B에 도시되는 I-Q 평면 상에 4개의 신호점으로 표현되어 있다. QPSK의 4개의 신호점은, 2비트가 취할 수 있는 값인 00, 01, 10, 11의 각각에 대응하고 있다.
도 2의 2B에 도시되는 QPSK의 4개의 신호점은, 진폭은 모두 동일하고, 위상만이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00에 대응하는 신호점은 위상이 225°이고, 01에 대응하는 신호점은 위상이 135°이고, 11에 대응하는 신호점은 위상이 45°이며, 10에 대응하는 신호점은 위상이 315°이다. 예를 들어 QPSK에 의해 2비트의 정보 00을 송신하는 경우, 기준 신호를 135° 이상한 신호를 송신한다.
도 1의 설명으로 되돌아간다. S104에 있어서 무선 기지국(10)은 2단계의 처리에 의해 이상 참조 신호를 생성한다. 먼저 무선 기지국(10)은, S102에서 발생한 하향 데이터의 수신처인 무선 단말기 식별자(RNTI)에 대응하는 비트 열을, 소정의 변조 방식의 변조도에 기초하는 비트수마다 분할한다. 이에 의해, 무선 단말기(20)의 식별자를 소정의 변조 방식의 심볼 계열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무선 기지국(10)은, S103에서 생성한 참조 신호를, 먼저 생성한 소정의 변조 방식의 심볼 계열에 포함되는 각 심볼(당해 변조 방식에 있어서의 I-Q 평면 상의 각 신호점에 상당)이 갖는 위상에 기초하여 이상한다. 이에 의해, 무선 기지국(10)은 이상 참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S104의 처리를 구체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기 식별자인 RNTI는 16비트의 값이다. 여기에서는 일례로서, S102에서 발생한 하향 데이터의 수신처인 무선 단말기(20a)의 RNTI가 0001101110011100인 것으로 한다. 또한, 소정의 변조 방식으로서, 상술한 QPSK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구체예에 있어서는, S104에서 무선 기지국(10)은 먼저, RNTI를 QPSK의 변조도에 기초하는 비트수인 2비트마다 분할한다. 이에 의해, RNTI=0001101110011100은, 8개의 비트 열인 00, 01, 10, 11, 10, 01, 11, 00으로 분할된다. 여기에서는 편의상 8개의 비트 열을 분할 RNTI라고 부르기로 한다(또는, 보다 일반적으로 분할 무선 단말기 식별자라고 칭해도 됨). RNTI를 8개로 분할함으로써, RNTI를 QPSK의 길이 8의 심볼 계열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S104에서 무선 기지국(10)은 이어서, S103에서 생성한 참조 신호를, 먼저 생성한 QPSK의 심볼 계열에 포함되는 각 심볼에 대응하는 위상량으로 이상시킴으로써 당해 심볼 계열 길이와 동일수의 이상 참조 신호를 생성한다.
도 3의 3A 내지 3E는 참조 신호의 이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지금, 일례로서, 이상 전의 참조 신호가 도 3의 3A로 표시되는 신호인 것으로 한다. 이때, QPSK 심볼 00에 대응하는 이상 참조 신호는, 도 3의 3B에 도시하는 대로, 참조 신호를 225° 이상한 것이 된다. 마찬가지로, QPSK 심볼 01에 대응하는 이상 참조 신호는, 도 3의 3C에 도시하는 대로, 참조 신호를 135° 이상한 것이 된다. QPSK 심볼 10에 대응하는 이상 참조 신호는, 도 3의 3D에 도시하는 대로, 참조 신호를 315° 이상한 것이 된다. QPSK 심볼 11에 대응하는 이상 참조 신호는, 도 3E에 도시하는 대로, 참조 신호를 45° 이상한 것이 된다.
상술한 구체예에 따라서 설명한다. 0번째의 이상 참조 신호는, S103에서 생성한 참조 신호를, 0번째의 분할 RNTI인 00에 상당하는 QPSK의 위상량, 즉 225°만큼 이상함으로써 생성된다(도 3의 3B에 대응). 1번째의 이상 참조 신호는, S103에서 생성한 참조 신호를, 1번째의 분할 RNTI인 01에 상당하는 QPSK의 위상량, 즉 135°만큼 이상함으로써 생성된다(도 3C에 대응). 이후에도 마찬가지로 하여, 무선 기지국(10)은 7번째까지의 합계 8개의 이상 참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설명에 있어서는, 무선 통신 분야의 관례에 따라, N개의 요소(임의)가 있을 경우에 그것들을 0번째부터 N-1번째로 순서를 부여하는(인덱스를 부여하는) 것으로 하고 있음에 주의하기 바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여, S104에서 무선 기지국(10)은, S103에서 생성한 참조 신호를 무선 단말기 식별자(RNTI)에 기초하여 이상함으로써 이상 참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어서 S105에서 무선 기지국(10)은, S104에서 생성한 이상 참조 신호를 무선 단말기(20)에 송신한다. 이상 참조 신호는, 하향 무선 프레임 중의 소정의 무선 리소스에 매핑되어 송신된다. 예를 들어, LTE에 있어서의 유저 고유 참조 신호는, 하향 무선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하향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 하향 데이터를 송신하는 물리 채널인 PDSCH를 매핑하기 위한 무선 리소스(후술하는 리소스 엘리먼트)의 일부를 사용하여 매핑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저 고유 참조 신호는 데이터 복조용 참조 신호이며, 데이터를 고정밀도로 복조하기 위해서는 참조 신호와 데이터와의 채널 특성이 일치 또는 유사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로 인해, 데이터 송신에 사용되는 무선 리소스의 일부를 사용하여 송신되는 것이다.
도 4의 4A 및 4B에, LTE에 있어서의 유저 고유 참조 신호를 하향 서브 프레임에 매핑한 예를 도시한다. 도 4의 4A는, 종래의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하향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의 배치 예이다. 한편, 도 4의 4B는 장래의 LTE 시스템에서 채용될 가능성이 있는 하향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의 배치 예이다. 또한, 도 4의 4A 및 4B는, 일례로서 리소스 블록이 하나인 경우(리소스 할당량이 최소인 경우에 상당)를 나타내고 있지만, 복수개인 경우에도 용이하게 확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의 4A 및 4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향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의 각 리소스 블록은 시간축 방향이 14 등분됨과 함께 주파수 축방향으로 12 등분됨으로써, 168개로 분할된다. 이 168개로 분할된 리소스는 리소스 엘리먼트라고 불린다. 리소스 엘리먼트는 변조의 기본 단위이며, 달리 말하자면, 하나의 리소스 엘리먼트가, 변조 방식에 있어서의 하나의 심볼에 대응한다.
도 4의 4A에 도시되는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종래의 하향 서브 프레임에서는, 선두의 1 내지 3OFDM 심볼분에 제어 신호를 배치하기 위한 영역이 설치되게 된다. 도 4의 4A에서는 일례로서 선두로부터 3OFDM 심볼분이 제어 신호용 영역(사선 부분)으로 되어 있다. 하향 데이터는 제어 신호용 영역 이외의 영역(사선이 없는 부분)에 배치할 수 있고, 도 4의 4A의 예에서는 선두로부터 4OFDM 심볼째 이후에 하향 데이터를 배치할 수 있다.
한편, 도 4의 4B에 도시되는 장래의 LTE 시스템에 있어서 채용될 수 있는 하향 서브 프레임에서는, 제어 신호용 영역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에 의해, 선두의 OFDM 심볼로부터 데이터를 배치할 수 있고, 데이터 송신 효율(스루풋)의 향상이 기대된다. 도 4의 4B의 하향 서브 프레임은 도 4의 4A의 그것에 비하여 데이터용 영역이 넓기 때문에, 1 서브 프레임으로 보다 많은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도 4의 4B에 나타내는 서브 프레임은 제어 신호를 완전히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확장 제어 신호(E-PDCCH)나 멀티 프레임 스케줄링 등의 기술에 의해, 데이터에 제어 신호(DCI)를 부수되게 하는 것이 상정되고 있지만, 여기에서는 상세는 생략한다.
도 4의 4A 및 4B에 있어서, 유저 고유 참조 신호는, 하향 데이터 신호용 영역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4의 4A에 있어서 유저 고유 참조 신호는, 0 내지 23의 숫자가 부여된 리소스 엘리먼트에 배치된다. 한편, 도 4의 4B에 있어서 유저 고유 참조 신호는, 0 내지 35의 숫자가 부여된 리소스 엘리먼트에 배치된다. 유저 고유 참조 신호가 배치되는 리소스 엘리먼트에는 데이터는 배치되지 않는다. 유저 고유 참조 신호는, 데이터용 무선 리소스의 일부를 사용하여 송신된다고 할 수도 있다. 그로 인해, 수신측은 유저 고유 참조 신호에 의해 채널 추정을 행하고, 얻어진 채널 추정값에 기초하여 데이터의 복조를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유저 고유 참조 신호는, PDSCH에 있어서의 최대 8 공간 레이어의 공간 다중 전송에 대응하여, 각 공간 레이어의 채널 추정을 개별로 행할 수 있도록, 8개의 직교하는 유저 고유 참조 신호(공간 레이어 0 내지 7용의 참조 신호가 각각 antenna port 7 내지 14로서 구별됨)를 리소스 블록 내에 다중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4의 4A의 예에서는, 공간 레이어 {0, 1, 4, 6}용 참조 신호가 각각 상이한 직교 부호를 사용하여 리소스 엘리먼트 {0, 2, 4, 6, 8, 10, 12, 14, 16, 18, 20, 22}에 부호 다중되고, 공간 레이어 {2, 3, 5, 7}용 참조 신호가 각각 상이한 직교 부호를 사용하여 리소스 엘리먼트 {1, 3, 5, 7, 9, 11, 13, 15, 17, 19, 21, 23}에 부호 다중된다. 이후에서는, 설명의 간단화를 위해, 할당된 리소스 블록 내에서, 1 공간 레이어의 PDSCH 송신을 행하고, 그 복조에 사용하는 유저 고유 참조 신호를 리소스 엘리먼트 0 내지 23에 있어서 송신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의 설명으로 되돌아가, S105의 처리를 도 4의 4A의 예에 따라 설명한다. 예를 들어, 무선 기지국(10)은 도 4의 4A에 있어서의 0번째 리소스 엘리먼트에, S104에서 생성한 0번째의 이상 참조 신호를 배치한다. 또한, 도 4의 4A에 있어서의 1번째의 리소스 엘리먼트에, S104에서 생성한 1번째의 이상 참조 신호를 배치한다. 이후에도 마찬가지로, 무선 기지국(10)은 7번째까지의 이상 참조 신호를 배치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도 4의 4A의 하향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 8 내지 23번째의 리소스 엘리먼트에 대해서는, S102에서 생성한 참조 신호(이상하지 않은 참조 신호)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4A의 8 내지 15번째와 16 내지 23번째의 리소스 엘리먼트 각각에 대하여 0 내지 7번째와 마찬가지로 이상 참조 신호를 배치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도 1의 설명으로 되돌아가, S105에서 무선 기지국(10)은, S104에서 생성한 이상 참조 신호 외에, S102에서 발생한 하향 데이터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송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4의 4A나 4B에 도시되는 하향 서브 프레임 중의 데이터 신호 영역(사선이 없는 부분)에 있어서, 숫자가 부여된 리소스 엘리먼트에는 이상 참조 신호(또는 참조 신호)가 배치된다. 이에 반해, 데이터 신호 영역에서 숫자가 부여되어 있지 않은 리소스 엘리먼트에 있어서, 데이터 신호가 배치된다. 하향 서브 프레임에 배치되는 데이터 신호는, S102에서 발생한 하향 데이터에 대하여, S101에서 통지된 MCS가 나타내는 부호화 및 변조 등을 행함으로써 생성된다. 또한, 데이터 신호는, S101에서 통지된 리소스 할당이 나타내는 리소스 블록에 배치된다.
따라서, S105에 있어서는, 이상 참조 신호와 하향 데이터 신호는 같은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 동일한 리소스 블록으로 송수신된다. 하향 데이터 신호와 같은 서브 프레임 및 리소스 블록으로 송신되는 이상 참조 신호는, 당해 하향 데이터 신호의 수신처인 무선 단말기(20a)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이상된 참조 신호로 되어 있다. 다시 말해, 동일한 서브 프레임 및 리소스 블록으로 송신되는 이상 참조 신호 및 하향 데이터 신호는 수신처가 동일해진다.
그런데, 종래의 LTE 시스템의 다이내믹 스케줄링에 있어서는, 하향 데이터 신호에는 제어 신호(DCI)가 부수되지만, 본 실시 형태의 S105에서 송신되는 하향 데이터 신호에는 제어 신호는 부수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앞서 설명한 데이터의 전송 효율의 저하나 제어 신호 영역의 결핍과 같은 문제를 피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S105에 있어서의 하향 데이터의 송신은, S101에 있어서의 하향 데이터용 파라미터의 송수신 이후의 임의의 타이밍(서브 프레임)에서 행할 수 있다. 그로 인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종래의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SPS와 같은 미리 결정된 주기에 기초하는 주기적 송신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연속하는 서브 프레임에 걸쳐서 하향 데이터 송신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이에 반해, 도 1의 S105에서 무선 단말기(20)는, 복수의 이상 참조 신호 및 하향 데이터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한 하향 데이터 신호는 일시적으로 버퍼링해 둔다. 이후의 복조 등에 대비하기 위해서이다.
다음으로 S106에서 무선 단말기(20)는, S105에서 수신한 이상 참조 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의 수신처를 검출한다.
여기서, 무선 단말기(20a)가 S105에서 수신한 이상 참조 신호는, 무선 기지국(10)과 무선 단말기(20) 사이의 채널 특성(무선 품질)에 기초하여 변화하기 때문에, 무선 기지국(10)이 S105에서 송신한 이상 참조 신호와 물리적으로는 동일하지 않음(즉 진폭이나 위상이 상이함)에 유의한다. 이것과 마찬가지로, 무선 단말기(20b)가 수신하는 데이터 신호도, 채널 특성에 기초하여 변화하기 때문에 무선 기지국(10)이 송신한 데이터 신호와는 물리적으로는 상이한 것이 된다.
따라서, 일반적인 LTE 시스템에 있어서는, 무선 단말기(20)는 참조 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참조 신호에 기초하여 채널 특성의 추정(채널 추정)을 행하여, 거기에서 얻어진 채널 추정값에 기초하여 데이터 신호의 복조를 행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채널 특성이 나쁘고, 송신된 데이터 신호와 수신한 데이터 신호와의 차가 큰 경우에도, 수신한 데이터 신호를 적절하게 복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일반적인 LTE 시스템에 있어서는, 데이터 신호의 복조를 참조 신호에 기초하여 행하지만, 본원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데이터 신호의 복조를 이상 참조 신호에 기초하여 행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LTE 시스템에 있어서는, 데이터 신호의 수신처는 당해 데이터 신호에 부수되는 제어 신호(DCI)에 기초하여 통지되지만, 본원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데이터 신호의 수신처는 당해 데이터 신호에 부수되는 이상 참조 신호에 기초하여 통지된다.
이하에서는 S106의 수신처 검출 처리에 대하여 순서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에, S106에 있어서 무선 단말기(20)가 데이터 수신처를 검출하는 처리의 상세한 처리 플로우를 도시한다.
도 5의 S201에서 무선 단말기(20)는, 도 1의 S105에서 수신한 이상 참조 신호를 이상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기지국(10)은, 참조 신호를 무선 단말기 식별자(RNTI)에 기초하여 이상한 복수의 이상 참조 신호를 무선 단말기(20)에 송신하고 있다. 무선 단말기(20)는, 수신한 이상 참조 신호를 무선 단말기 식별자에 기초하여, 무선 기지국(10)이 행한 것과 반대의 이상을 행함으로써, 원래의 참조 신호(이상 전의 참조 신호)에 대응하는 수신 신호를 얻는 것이다.
도 5의 S201의 처리를 상술한 구체예를 따라 설명한다. 지금, 무선 단말기(20)가 제0 내지 제7의 8개의 이상 참조 신호를 수신한 경우를 생각한다. 이때, 무선 단말기(20)는, 무선 기지국(10)이 도 1의 S103에서 행한 것과 마찬가지로, 무선 단말기 식별자인 16비트의 RNTI를, QPSK의 변조도에 기초하는 비트수인 2비트씩의 분할 RNTI로 분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무선 단말기(20)의 RNTI=0001101110011100은, 8개의 분할 RNTI인 00, 01, 10, 11, 10, 01, 11, 00으로 분할된다. 이에 의해, RNTI를 QPSK의 길이 8의 심볼 계열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S201에서 무선 단말기(20)는 이어서, S105에서 수신한 복수의 이상 참조 신호를, 무선 기지국(10)이 도 1의 S103에서 행한 것과 반대 방향으로 이상시켜, 복수의 참조 신호를 얻는다. 즉 무선 단말기(20)는, 복수의 이상 참조 신호를, 먼저 생성한 QPSK의 심볼 계열(분할 RNTI에 대응)에 포함되는 각 심볼에 대응하는 위상량으로 반대 방향으로 이상시킴으로써, 당해 심볼 계열 길이와 동일 수의 참조 신호(이상하기 전의 참조 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0번째의 참조 신호는, S105에서 수신한 이상 참조 신호를, 0번째의 분할 RNTI인 00에 상당하는 QPSK의 위상량, 즉 225°만큼 반대 방향으로 이상(-225°의 이상과 같음)함으로써 생성된다. 1번째의 참조 신호는, S105에서 수신한 이상 참조 신호를, 1번째의 분할 RNTI인 01에 상당하는 QPSK의 위상량, 즉 135°만큼 반대 방향으로 이상(-135°의 이상과 같음)함으로써 생성된다. 이후에도 마찬가지로, 무선 단말기(20)는 7번째까지의 참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의 S202에서 무선 단말기(20)는, S201에서 얻어진 복수의 참조 신호 각각에 기초하여, 채널 추정을 행한다. 이에 의해, 무선 단말기(20)는 복수의 채널 추정값을 얻을 수 있다. 상술한 구체예에서는, 무선 단말기(20)는 S201에서 얻어진 8개의 참조 신호 각각에 기초하여 별개로 채널 추정을 행하고, 8개의 채널 추정값을 얻는다. 여기서, 채널 추정값이란, 채널의 특성을 나타내는 물리량이며, I-Q 평면 상의 점(벡터)으로 나타낼 수도 있다. 또는, 채널 추정값은 진폭과 위상의 조(組)로 표현할 수도 있다. 채널 추정은 임의의 종래 기술에 기초하여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도 5의 S203에서 무선 단말기(20)는, S202에서 얻어진 복수의 채널 추정값의 유사도를 구한다. 여기서, 유사도란, 복수의 채널 추정값에 있어서의 유사성의 정도를 나타내는 물리량이면 임의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구체예에 있어서는, S202에서 얻어진 8개의 채널 추정값의 유사도를 구하게 된다.
유사도의 일례로서는, 복수의 채널 추정값의 내적값을 사용할 수 있다. S202에서 얻어진 N개의 채널 추정값을 h0 내지 hN -1로 나타낼 때, 이들 내적값 IP는 식 (1)로 표시된다.
(1)
Figure 112015122635199-pct00001
유사도의 다른 예로서는, 채널 추정값의 분산을 사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채널 추정값의 분산값 Var은 식 (2)로 표시된다.
(2)
Figure 112015122635199-pct00002
또는, 유사도의 다른 예로서, 복수의 채널 추정값의 최대 위상차를 사용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여기서, 복수의 채널 추정값의 최대 위상차란, 당해 복수의 채널 추정값에 있어서의 위상의 범위의 크기로 바꾸어 말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채널 추정값의 위상이 모두 동일한 경우, 최대 위상차는 0°가 된다. 또한, 복수의 채널 추정값의 위상이 20° 내지 140°의 범위에 들어가 있을 경우, 최대 위상차는 120°가 된다. 또한, 복수의 채널 추정값의 최대 위상차 외에, 당해 복수의 채널 추정값의 진폭 범위도 조합하여 유사도를 구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다음으로 S204에서 무선 단말기(20)는, S203에서 구한 유사도에 기초하여, 복수의 채널 추정값이 유사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하여 행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채널 추정값의 유사도로서 내적값을 사용하는 경우, 당해 내적값이 소정 값보다 큰 경우에, 당해 복수의 채널 추정값이 유사한 것이라 판정할 수 있다. 한편, 당해 내적값이 소정 값 이하인 경우, 당해 복수의 채널 추정값이 유사하지 않다고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복수의 채널 추정값의 유사도로서 분산값을 사용하는 경우, 당해 분산값이 소정 값보다 작은 경우에, 당해 복수의 채널 추정값이 유사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한편, 당해 분산값이 소정 값 이상인 경우, 당해 복수의 채널 추정값이 유사하지 않은 것이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복수의 채널 추정값의 유사도로서 각 채널 추정값의 최대 위상차를 사용하는 경우, 당해 최대 위상차가 소정 값보다 작은 경우에, 당해 복수의 채널 추정값이 유사한 것이라 판정할 수 있다. 한편, 당해 최대 위상차가 소정 값 이상인 경우, 당해 복수의 채널 추정값이 유사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최대 위상차에 기초하는 유사도를 사용하는 경우, 유사와 비유사의 경계가 되는 소정 값으로서는, 변조 방식의 신호점 간의 위상차에 기초하여 정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변조 방식으로서 QPSK를 사용하는 경우, QPSK의 신호점 간의 위상차는 90°이기 때문에, 여기에서의 소정 값을 90°로 할 수 있다.
S204에서 복수의 채널 추정값이 유사하다고 판정된 경우("예"), 무선 단말기(20)는 S205로 진행한다. 이 경우, S205에서 무선 단말기(20)(도 1의 무선 단말기(20a)의 경우)는, 도 1의 S105에서 수신한 하향 데이터를 자신으로 향한다고 판단한다. 한편, S204에서 복수의 채널 추정값이 유사하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아니오"), 무선 단말기(20)(도 1의 무선 단말기(20b)의 경우)는 S206으로 진행한다. 이 경우, S206에서 무선 단말기(20)는, 도 1의 S105에서 수신한 하향 데이터를 자신 이외로 향한다고 판단한다.
도 6의 6A 내지 6B에 기초하여, 이상에서 설명한 이상 참조 신호에 기초하는 수신처 검출의 개념을 설명한다. 지금, 어떤 무선 단말기(20)인 제1 무선 단말기(20)로 향하는 이상 참조 신호가, 제1 무선 단말기(20)에 의해 수신된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 무선 기지국(10)이 제1 무선 단말기(20)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이상한 이상 참조 신호가, 제1 무선 단말기(20)에 의한 수신처 검출 처리에 있어서, 제1 무선 단말기(20)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무선 기지국(10)과는 반대로 이상된다. 이에 의해, 무선 기지국(10)이 이상한 참조 신호가, 무선 단말기(20)에 의해 원래로 되돌려지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 수신처 검출 처리에 있어서 이상 후에 얻어지는 복수의 참조 신호는 유사한 것이 된다. 상술한 구체예에 따르면, 도 6의 6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8개의 이상 참조 신호에 의해 얻어진 참조 신호는 이상이 비교적 가깝고, 유사한 것이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S204에서 유사하다고 판정되어("예"), S205에서 자신으로 향한다고 판단된다.
한편, 어떤 무선 단말기(20)인 제1 무선 단말기(20)로 향하는 이상 참조 신호가, 제1 무선 단말기(20)와는 상이한 제2 무선 단말기(20)에 의해 수신된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 무선 기지국(10)이 제1 무선 단말기(20)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이상한 이상 참조 신호가, 제2 무선 단말기(20)에 의한 수신처 검출 처리에 있어서, 제2 무선 단말기(20)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무선 기지국(10)과는 반대로 이상된다. 이때, 무선 기지국(10)이 이상한 참조 신호는, 무선 단말기(20)에 의해 원래로 되돌아가지 않는다(우연히 원래로 되돌아가는 경우를 제외함). 따라서, 이 경우, 수신처 검출 처리에 있어서 이상 후에 얻어지는 복수의 참조 신호는 유사한 것으로 되지 않는다. 상술한 구체예에 따르면, 도 6의 6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8개의 이상 참조 신호에 의해 얻어진 참조 신호는 이상이 변동되고 있어, 유사한 것으로 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S204에서 유사하지 않다고 판정되어("아니오"), S206에서 자신 이외로 향한다고 판단된다.
그런데, 도 6의 6A에 도시되는 복수의 참조 신호가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 것은, 당해 참조 신호의 원래로 되어 있는 복수의 이상 참조 신호 각각의 사이에 채널 특성이 반드시 동일해지지는 않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도 4의 4A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8개의 이상 참조 신호는 각각 0번째 내지 7번째의 리소스 엘리먼트에 배치된다. 여기서, 0, 2, 4, 6번째의 리소스 엘리먼트와 1, 3, 5, 7번째의 리소스 엘리먼트는 주파수 성분이 약간이지만 상이하다. 또한, 0 내지 1번째, 2 내지 3번째, 4 내지 5번째, 6 내지 7번째의 리소스 엘리먼트는 시간 성분이 각각 상이하다. 특히, 0 내지 3번째와 4 내지 7번째의 사이에는 리소스 엘리먼트 5개분의 시간 차이가 존재한다. 이들 주파수 성분이나 시간 성분의 차에 의해, 복수의 이상 참조 신호 각각의 사이에 채널 특성이 반드시 동일해지지는 않고, 그 때문에 도 6의 6A에 있어서 복수의 이상 참조 신호가 완전히 일치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도 6의 6A에 예시되는 0번째 내지 7번째의 리소스 엘리먼트는, 주파수 성분의 차이는 약간이고, 시간 성분의 차도 1서브 프레임에 수용되는 정도이다. 이와 같이, 이상 참조 신호를 배치하는 복수의 리소스 엘리먼트의 주파수 성분 및 시간 성분의 차가 충분히 작은 경우에는, 복수의 이상 참조 신호 각각의 채널 특성의 차도 충분히 작을 것이라 생각된다. 그로 인해, 복수의 이상 참조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참조 신호를 생성했을 때, 그것들의 참조 신호는 유사한 것이 될(예를 들어 도 6의 6A)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된다.
특히, 상술한 전기 미터 등의 MTC 디바이스에 있어서는, 이동하지 않거나 또는 이동 거리가 작은(준정지 상태) 것이 상정된다. 따라서, 채널 특성의 시간 변동은, 고속 이동하는 무선 단말기(20) 등과 비교하여 매우 작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도 6의 6A에 예시되는 0번째 내지 7번째의 리소스 엘리먼트는, 시간 방향에서 다소의 시간 차이는 있지만, 특히 MTC 디바이스 등에 있어서는 거의 문제가 안된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도 6의 6A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참조 신호는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몇 가지 전제에 기초하면, 이것들은 충분히 유사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수신처 검출의 정밀도는 충분히 확보되고 있는(오검출은 충분히 적은) 것이라 생각된다.
도 1로 되돌아가, S106에서 무선 단말기(20)는, 도 5 등에 기초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하여, 수신처 판정 처리를 행한다. 도 1의 예에서는, 무선 단말기(20a)는 자신으로 향한다고 판정한다. 한편, 무선 단말기(20b)는 자신 이외로 향한다고 판정한다.
S106에서 자신으로 향한다고 판정했을 경우, S107에서 무선 단말기(20)는, S105에서 수신 후에 버퍼링하고 있는 하향 데이터 신호를 복조·복호한다. 이에 의해, 무선 단말기(20)는 하향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때의 복조·복호의 방식은, 도 1의 S101에서 통지된 MCS가 나타내는 것을 사용한다. 또한, 복조에 있어서는, S202에서 얻어진 채널 추정값을 사용하여 행한다. 복조·복호 처리는 종래 기술에 지나지 않으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S106에서 자신 이외로 향한다고 판정한 경우, 무선 단말기(20)는, S105에서 수신 후에 버퍼링하고 있는 하향 데이터 신호의 복조·복호를 행하지 않는다. 이 경우, S105에서 수신 후에 버퍼링하고 있는 데이터를 삭제(플래시)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참조 신호를 수신측(무선 단말기(20)측)의 식별자에 따라서 이상시킨 이상 참조 신호를 사용함으로써, 수신측이 이상 참조 신호에 기초하여 송신처(수신처)를 검출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에 의해, 상술한 참고 방식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데이터 신호에 제어 신호를 부수되게 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제어 신호가 삭감됨으로써 데이터의 전송 효율의 저하나 제어 신호 영역의 결핍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술한 SPS와 같은 주기적 송신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타이밍에 데이터 송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2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는 변조 방식으로서 QPSK 등의 위상 변조를 사용하는 것으로 하였다. 이에 반해, 제2 실시 형태는 위상 변조 이외의 변조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처리 시퀀스 등의 기본 부분은 도 1, 도 4, 도 5 등에 기초하여 설명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의 처리의 대부분은, 제1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동일 또는 경미한 변경에 머무른다. 그로 인해, 이하에서는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간단하게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위상 변조 이외의 변조 방식으로서, 일례로서, 직교 진폭 변조인 16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을 사용한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위상 변조 이외의 변조 방식으로서, 직교 진폭 변조인 64QAM이나, 진폭 변조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7에 16QAM을 I-Q 평면으로 표현한 도면을 도시한다. 16QAM의 변조도는 4(=log216)이며, 다시 말해, 16QAM은 1 심볼로 4비트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변조 방식이다. 다시 말해, 16QAM의 각 심볼은 4비트분의 정보이며, 16종류의 상태를 취할 수 있다. 이들 16종류의 상태가, 도 7에 도시되는 I-Q 평면 상의 16개의 신호점으로 표현되어 있다. 16QAM의 16개의 신호점은, 4비트가 취할 수 있는 값인 0000, 0001, 0010, 0011, 0100, 0101, 0110, 0111, 1000, 1001, 1010, 1011, 1100, 1101, 1110, 및 1111 각각에 대응하고 있다.
도 7에 도시되는 16QAM의 16개의 신호점은, 위상뿐만 아니라 진폭도 상이하다. 따라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1의 S104에서 참조 신호로부터 이상 참조 신호를 생성할 경우, 무선 기지국(10)은 무선 단말기 식별자(RNTI)에 기초하여 참조 신호의 위상뿐만 아니라 진폭도 변화시킨다. 한편, 도 5의 S201에서 이상 참조 신호로부터 참조 신호를 생성할 경우, 무선 단말기(20)는 무선 단말기 식별자(RNTI)에 기초하여 참조 신호의 위상뿐만 아니라 진폭도, 무선 기지국(10)이 행한 것과는 반대로 변화시킨다.
도 7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에 있어서, 각 점은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각 신호점의 평균 전력이 1이 되도록 하면, 16QAM 심볼이 1111인 경우 등의 진폭은 1/√5가 되고, 1011인 경우 등의 진폭은 1이 되며, 1010인 경우 등의 진폭은 3/√5가 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어떤 분할 RNTI가 1011인 경우, 무선 기지국(10)은 참조 신호를 이상시킨 후에 진폭을 1배 함으로써 이상 참조 신호를 생성한다. 이 경우에는, 무선 단말기(20)는 이상 참조 신호를 1배 함으로써 참조 신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어떤 분할 RNTI가 10인 경우, 무선 기지국(10)은 참조 신호를 이상시킨 후에 진폭을 3/√5배 함으로써 이상 참조 신호를 생성한다. 이 경우에는, 무선 단말기(20)는 이상 참조 신호를 √5/3배 함으로써 참조 신호를 얻을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의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는 변조 방식으로서 QPSK 등의 위상 변조를 사용하여 참조 신호로부터 이상 참조 신호를 생성하였다. 이에 반해, 제3 실시 형태는 참조 신호를 I-Q 평면 상에서 반전시킴으로써 이상 참조 신호를 얻는 것이다.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처리 시퀀스 등의 기본 부분은 도 1, 도 4, 도 5 등에 기초하여 설명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의 처리의 대부분은, 제1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동일 또는 경미한 변경에 머무른다. 그로 인해, 이하에서는 제3 실시 형태에 대하여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간단하게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1의 S104에서 참조 신호로부터 이상 참조 신호를 생성할 경우, 무선 기지국(10)은 무선 단말기 식별자(RNTI)에 기초하여 참조 신호를 I-Q 평면 상에서 반전시킨다. 분할 RNTI가 2비트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분할 RNTI가 00인 경우에는 I성분과 Q성분의 극성을 모두 반전시키지 않고, 01인 경우에는 Q성분의 극성만을 반전시킴으로써 이상 참조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10인 경우에는 I성분의 극성만을 반전시키고, 11인 경우에는 I성분과 Q성분의 극성을 모두 반전시킴으로써 이상 참조 신호를 생성한다. 한편, 도 2의 S201에서 이상 참조 신호로부터 참조 신호를 생성할 경우, 무선 단말기(20)는 무선 단말기 식별자(RNTI)에 기초하여, 기지국이 행한 것과 마찬가지로 하여 이상 참조 신호를 I-Q 평면 상에서 반전시킨다. 이에 의해, 무선 기지국(10)과 수신처의 무선 단말기(20)에서 마찬가지의 반전이 행해지기 때문에, 수신처의 무선 단말기(20)에 있어서 원래의 참조 신호를 얻을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에 의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각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
다음으로 도 8에 기초하여, 각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1)의 네트워크 구성을 설명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1)은, 무선 기지국(10)과, 무선 단말기(20)를 갖는다. 무선 기지국(10)은, 셀(C10)을 형성하고 있다. 무선 단말기(20)는 셀(C10)에 존재하고 있다. 또한, 본원에 있어서는 무선 기지국(10)을 「송신국」, 무선 단말기(20)를 「수신국」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에 주의하기 바란다.
무선 기지국(10)은, 유선 접속을 통하여 네트워크 장치(3)와 접속되어 있고, 네트워크 장치(3)는, 유선 접속을 통하여 네트워크(2)에 접속되어 있다. 무선 기지국(10)은, 네트워크 장치(3) 및 네트워크(2)를 통하여, 다른 무선 기지국과 데이터나 제어 정보를 송수신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무선 기지국(10)은, 무선 단말기(20)와의 무선 통신 기능과 디지털 신호 처리 및 제어 기능을 분리하여 별도 장치로 해도 된다. 이 경우,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장치를 RRH(Remote Radio Head), 디지털 신호 처리 및 제어 기능을 구비하는 장치를 BBU(Base Band Unit)라고 부른다. RRH는 BBU로부터 돌출되어 설치되고, 그것들 사이에는 광 파이버 등으로 유선 접속되어도 된다. 또한, 무선 기지국(10)은, 매크로 무선 기지국, 피코 무선 기지국 등의 소형 무선 기지국(마이크로 무선 기지국, 펨토 무선 기지국 등을 포함) 외에, 다양한 규모의 무선 기지국이어도 된다. 또한, 무선 기지국(10)과 무선 단말기(20)와의 무선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국이 사용될 경우, 당해 중계국(무선 단말기(20)와의 송수신 및 그 제어)도 본원의 무선 기지국(10)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한편, 무선 단말기(20)는, 무선 통신으로 무선 기지국(10)과 통신을 행한다.
무선 단말기(20)는, 휴대 전화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각종 장치나 기기(센서 장치 등) 등의 무선 단말기여도 된다. 또한, 무선 기지국(10)과 무선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국이 사용될 경우, 당해 중계국(무선 기지국(10)과의 송수신 및 그 제어)도 본고의 무선 단말기(20)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네트워크 장치(3)는, 예를 들어 통신부와 제어부를 구비하고, 이들 각 구성 부분이, 일방향 또는 쌍방향으로, 신호나 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네트워크 장치(3)는, 예를 들어 게이트웨이에 의해 실현된다. 네트워크 장치(3)의 하드웨어 구성으로서는, 예를 들어 통신부는 인터페이스 회로, 제어부는 프로세서와 메모리로 실현된다.
또한, 무선 기지국, 무선 단말기의 각 구성 요소의 분산·통합의 구체적 형태는, 제1 실시 형태의 양태에 한정되지 않고, 그 전부 또는 일부를, 각종 부하나 사용 상황 등에 따라, 임의의 단위로 기능적 또는 물리적으로 분산·통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를, 무선 기지국, 무선 단말기의 외부 장치로서 네트워크나 케이블 경유로 접속하도록 해도 된다.
[각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각 장치의 기능 구성]
이어서, 도 9 내지 도 10에 기초하여, 각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각 장치의 기능 구성을 설명한다.
도 9는 무선 기지국(10)의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선 기지국(10)은, 송신부(11)와, 수신부(12)와, 제어부(13)를 구비한다. 이들 각 구성 부분은, 일방향 또는 쌍방향으로, 신호나 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또한, 송신부(11)와 수신부(12)를 합하여 통신부(14)라고 칭한다.
송신부(11)는, 데이터 신호나 제어 신호를, 안테나를 통하여 무선 통신으로 송신한다. 또한, 안테나는 송신과 수신에서 공통이어도 된다. 송신부(11)는, 예를 들어 하향의 데이터 채널이나 제어 채널을 통하여, 하향 신호를 송신한다. 하향의 데이터 채널은 예를 들어, 물리 하향 공유 채널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를 포함한다. 또한, 하향의 제어 채널은 예를 들어, 물리 하향 제어 채널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포함한다. 송신하는 신호는 예를 들어, 접속 상태인 무선 단말기(20)에 제어 채널 상에서 전송되는 L1/L2 제어 신호나, 접속 상태인 무선 단말기(20)에 데이터 채널 상에서 전송되는 유저 데이터 신호나 RRC(Radio Resource Control) 제어 신호를 포함한다. 또한, 송신하는 신호는 예를 들어, 채널 추정이나 복조를 위하여 사용되는 레퍼런스 신호를 포함한다.
송신부(11)가 송신하는 신호의 구체예로서는, 도 1에서 도시되어 있는 무선 기지국(10)에 의해 송신되고 있는 각 신호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송신부(11)는, 도 1에 있어서의 하향 데이터용 파라미터, 이상 참조 신호, 하향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송신부(11)가 송신하는 신호는, 이들에 한하지 않고, 상기의 각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서 무선 기지국(10)이 송신하는 모든 신호를 포함한다.
수신부(12)는, 무선 단말기(20)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신호나 제어 신호를, 안테나를 통하여 제1 무선 통신으로 수신한다. 수신부(12)는, 예를 들어 상향의 데이터 채널이나 제어 채널을 통하여, 상향 신호를 수신한다. 상향의 데이터 채널은 예를 들어, 물리 상향 공유 채널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를 포함한다. 또한, 상향의 제어 채널은 예를 들어, 물리 상향 제어 채널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를 포함한다. 수신하는 신호는 예를 들어, 접속 상태인 무선 단말기(20)로부터 제어 채널 상에서 전송되는 L1/L2 제어 신호나, 접속 상태인 무선 단말기(20)로부터 데이터 채널 상에서 전송되는 유저 데이터 신호나 RRC(Radio Resource Control) 제어 신호를 포함한다. 또한, 수신하는 신호는 예를 들어, 채널 추정이나 복조를 위하여 사용되는 레퍼런스 신호를 포함한다.
수신부(12)가 수신하는 신호는, 상기의 각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서 무선 기지국(10)이 수신하는 각종 신호를 포함한다.
제어부(13)는, 송신하는 데이터나 제어 정보를 송신부(11)에 출력한다. 제어부(13)는, 수신되는 데이터나 제어 정보를 수신부(12)로부터 입력한다. 제어부(13)는, 유선 접속 또는 무선 접속을 통하여, 네트워크 장치(3)나 다른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나 제어 정보를 취득한다. 제어부는 이들 이외에도 송신부(11)가 송신하는 각종 송신 신호나 수신부(12)가 수신하는 각종 수신 신호에 관련되는 다양한 제어를 행한다.
제어부(13)가 제어하는 처리의 구체예로서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무선 기지국(10)에 의해 실행되는 각 처리를 들 수 있다. 제어부(13)가 제어하는 처리는, 이들에 한하지 않고, 상기의 각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서 무선 기지국(10)이 실행하는 각종 처리를 포함한다.
도 10은 무선 단말기(20)의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선 단말기(20)는, 송신부(21), 수신부(22)와, 제어부(23)를 구비한다. 이들 각 구성 부분은, 일방향 또는 쌍방향으로, 신호나 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또한, 송신부(21)와 수신부(22)를 합하여 통신부(24)라고 칭한다.
송신부(21)는, 데이터 신호나 제어 신호를, 안테나를 통하여 무선 통신으로 송신한다. 또한, 안테나는 송신과 수신에서 공통이어도 된다. 송신부(21)는, 예를 들어 상향의 데이터 채널이나 제어 채널을 통하여, 상향 신호를 송신한다. 상향의 데이터 채널은 예를 들어, 물리 상향 공유 채널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를 포함한다. 또한, 상향의 제어 채널은 예를 들어, 물리 상향 제어 채널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를 포함한다. 송신하는 신호는 예를 들어, 접속하는 무선 기지국(10)에 제어 채널 상에서 전송되는 L1/L2 제어 신호나, 접속하는 무선 기지국(10)에 데이터 채널 상에서 전송되는 유저 데이터 신호나 RRC(Radio Resource Control) 제어 신호를 포함한다. 또한, 송신하는 신호는 예를 들어, 채널 추정이나 복조를 위하여 사용되는 레퍼런스 신호를 포함한다.
송신부(21)가 송신하는 신호는, 상기의 각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서 무선 단말기(20)가 송신하는 각종 신호를 포함한다.
수신부(22)는, 무선 기지국(10)으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신호나 제어 신호를, 안테나를 통하여 무선 통신으로 수신한다. 수신부(22)는, 예를 들어 하향의 데이터 채널이나 제어 채널을 통하여, 하향 신호를 수신한다. 하향의 데이터 채널은 예를 들어, 물리 하향 공유 채널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를 포함한다. 또한, 하향의 제어 채널은 예를 들어, 물리 하향 제어 채널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포함한다. 수신하는 신호는 예를 들어, 접속하는 무선 기지국(10)으로부터 제어 채널 상에서 전송되는 L1/L2 제어 신호나, 접속하는 무선 기지국(10)으로부터 데이터 채널 상에서 전송되는 유저 데이터 신호나 RRC(Radio Resource Control) 제어 신호를 포함한다. 또한, 수신하는 신호는 예를 들어, 채널 추정이나 복조를 위하여 사용되는 레퍼런스 신호를 포함한다.
수신부(22)가 수신하는 신호의 구체예로서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무선 단말기(20)에 의해 수신되고 있는 각 신호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신부(22)는, 도 1에 있어서의 하향 데이터용 파라미터, 이상 참조 신호, 하향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부(22)가 수신하는 신호는, 이들에 한하지 않고, 상기의 각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서 무선 단말기(20)가 수신하는 각종 신호를 포함한다.
제어부(23)는, 송신하는 데이터나 제어 정보를 송신부(21)에 출력한다. 제어부(23)는, 수신되는 데이터나 제어 정보를 수신부(22)로부터 입력한다. 제어부(23)는, 유선 접속 또는 무선 접속을 통하여, 네트워크 장치(3)나 다른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나 제어 정보를 취득한다. 제어부는 이들 이외에도 송신부(21)가 송신하는 각종 송신 신호나 수신부(22)가 수신하는 각종 수신 신호에 관련되는 다양한 제어를 행한다.
제어부(23)가 제어하는 처리의 구체예로서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무선 단말기(20)에 의해 실행되는 각 처리를 들 수 있다. 제어부(23)가 제어하는 처리는, 이들에 한하지 않고, 상기의 각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서 무선 단말기(20)가 실행하는 각종 처리를 포함한다.
[각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각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
도 11 내지 도 12에 기초하여, 각 실시 형태 및 각 변형예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각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한다.
도 11은, 무선 기지국(10)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선 기지국(10)은, 하드웨어의 구성 요소로서, 예를 들어 안테나(31)를 구비하는 RF(Radio Frequency) 회로(32)와, CPU(Central Processing Unit)(33)와, DSP(Digital Signal Processor)(34)와, 메모리(35)와, 네트워크 IF(Interface)(36)를 갖는다. CPU는, 버스를 통하여 각종 신호나 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메모리(35)는, 예를 들어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의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플래시 메모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프로그램이나 제어 정보나 데이터를 저장한다.
도 9에 도시하는 무선 기지국(10)의 기능 구성과 도 11에 도시하는 무선 기지국(10)의 하드웨어 구성과의 대응을 설명한다. 송신부(11) 및 수신부(12)(또는 통신부(14))는, 예를 들어 RF 회로(32), 또는 안테나(31) 및 RF 회로(32)에 의해 실현된다. 제어부(13)는, 예를 들어 CPU(33), DSP(34), 메모리(35), 도시하지 않은 디지털 전자 회로 등에 의해 실현된다. 디지털 전자 회로로서는 예를 들어,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Programming Gate Array), LSI(Large Scale Integration) 등을 들 수 있다.
도 12는, 무선 단말기(20)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선 단말기(20)는, 하드웨어의 구성 요소로서, 예를 들어 안테나(41)를 구비하는 RF 회로(42)와, CPU(43)와, 메모리(44)를 갖는다. 또한, 무선 단말기(20)는, CPU(43)에 접속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의 표시 장치를 가져도 된다. 메모리(44)는, 예를 들어 SDRAM 등의 RAM, ROM 및 플래시 메모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프로그램이나 제어 정보나 데이터를 저장한다.
도 10에 도시하는 무선 단말기(20)의 기능 구성과 도 12에 도시하는 무선 단말기(20)의 하드웨어 구성과의 대응을 설명한다. 송신부(21) 및 수신부(22)(또는 통신부(24))는, 예를 들어 RF 회로(42), 또는 안테나(41) 및 RF 회로(42)에 의해 실현된다. 제어부(23)는, 예를 들어 CPU(43), 메모리(44), 도시하지 않은 디지털 전자 회로 등에 의해 실현된다. 디지털 전자 회로로서는 예를 들어, ASIC, FPGA, LSI 등을 들 수 있다.
1: 무선 통신 시스템
2: 네트워크
3: 네트워크 장치
10: 무선 기지국
C10: 셀
20: 무선 단말기

Claims (14)

  1.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 신호와 함께, 상기 수신 장치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유저 고유 참조 신호에 대하여 상기 수신 장치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위상 회전을 실시하여 생성된 제2 신호가 배치된 서브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부
    를 구비하고,
    상기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제2 신호의 수신처가 되는 상기 수신 장치에 대해서는, 상기 제1 신호가 상기 수신 장치로 향한다는 것을 통지하는 제어 신호가 배치되지 않는, 송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에는 상기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가 부수되지 않는 송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시간축 상에 연속적으로 설정된 송신 단위 중 임의의 송신 단위로 상기 제1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신호는, 제1 미리 결정된 범위 내의 주파수 및 제2 미리 결정된 범위 내의 시간에 있어서 송신되는 송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고유 참조 신호는, 수신처인 상기 수신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신호의 복조에 사용되는 신호인 송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신호는, 상기 제1 신호가 상기 수신 장치로 향한다고 결정하기 위해 상기 수신 장치에 의해 사용되는 송신 장치.
  7. 수신 장치로서,
    제1 신호와 제2 신호가 배치된 서브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부; 및
    상기 제2 신호가, 상기 수신 장치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유저 고유 참조 신호에 대하여 상기 수신 장치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위상 회전을 실시하여 생성된 신호일 경우에, 상기 제1 신호가 상기 수신 장치로 향한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제2 신호의 수신처가 되는 상기 수신 장치에 대해서는, 상기 제1 신호가 상기 수신 장치로 향한다는 것을 통지하는 제어 신호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수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에는 상기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가 부수되지 않는 수신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시간축 상에 연속적으로 설정된 송신 단위 중 임의의 송신 단위로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신호는, 제1 미리 결정된 범위 내의 주파수 및 제2 미리 결정된 범위 내의 시간에 있어서 송신되는 수신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고유 참조 신호는, 상기 수신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신호의 복조에 사용되는 신호인 수신 장치.
  12. 송신 방법으로서,
    수신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 신호와 함께, 상기 수신 장치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유저 고유 참조 신호에 대하여 상기 수신 장치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위상 회전을 실시하여 생성된 제2 신호가 배치된 서브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제2 신호의 수신처가 되는 상기 수신 장치에 대해서는, 상기 제1 신호가 상기 수신 장치로 향한다는 것을 통지하는 제어 신호가 배치되지 않는, 송신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신호는, 상기 제1 신호가 상기 수신 장치로 향한다고 결정하기 위해 상기 수신 장치에 의해 사용되는 송신 방법.
  14. 수신 방법으로서,
    제1 신호와 제2 신호가 배치된 서브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신호가, 수신 장치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유저 고유 참조 신호에 대하여 수신 장치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위상 회전을 실시하여 생성된 신호일 경우에, 상기 제1 신호가 상기 수신 장치로 향한다고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제2 신호의 수신처가 되는 상기 수신 장치에 대해서는, 상기 제1 신호가 상기 수신 장치로 향한다는 것을 통지하는 제어 신호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수신 방법.
KR1020157035489A 2013-06-21 2013-06-21 송신 장치, 수신 장치, 송신 방법 및 수신 방법 KR1018518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03903 WO2014203297A1 (ja) 2013-06-21 2013-06-21 送信装置、受信装置、送信方法および受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8627A KR20160008627A (ko) 2016-01-22
KR101851840B1 true KR101851840B1 (ko) 2018-04-24

Family

ID=52104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5489A KR101851840B1 (ko) 2013-06-21 2013-06-21 송신 장치, 수신 장치, 송신 방법 및 수신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153929B2 (ko)
EP (1) EP3013107B1 (ko)
JP (1) JP6252586B2 (ko)
KR (1) KR101851840B1 (ko)
CN (1) CN105309020B (ko)
WO (1) WO20142032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51987B2 (en) * 2015-08-31 2020-05-12 Qualcomm Incorporated Operator identification for co-existence on a shared communication medium
WO2017132995A1 (zh) * 2016-02-05 2017-08-1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业务传输的方法和装置
WO2017213334A1 (ko) * 2016-06-09 2017-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위상 잡음 추정을 위한 신호 전송 방법
CA3029776C (en) * 2016-07-07 2021-05-11 Fraunhofer-Gesellschaft Zur Foe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Data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th reduced latency
MX2019005177A (es) * 2016-11-04 2019-08-05 Ericsson Telefon Ab L M Configuracion de pt-rs dependiendo de parametros de programac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09861A1 (en) * 2009-06-04 2010-12-09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itigation for downlin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3048192A1 (ko) * 2011-09-28 2013-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참조 신호 구성을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8132B2 (ja) * 1994-01-26 2000-12-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ータ受信装置
US7474608B2 (en) * 2004-01-12 2009-01-06 Intel Corporation Method for signaling information by modifying modulation constellations
US8139660B2 (en) * 2006-04-14 2012-03-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using a wireless terminal scrambling identifier
CN101483455B (zh) * 2008-01-07 2012-10-1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在物理资源块中插入专用参考信号的方法和装置
KR101639810B1 (ko) * 2009-01-13 2016-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참조신호의 전송방법
JP5152056B2 (ja) * 2009-03-19 2013-02-27 富士通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無線送信装置、無線受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8983479B2 (en) * 2009-04-28 2015-03-1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transmitting dedicated reference signal, and method for receiving dedicated reference signal
US8582418B2 (en) * 2009-10-26 2013-11-1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Packet mode auto-detection in multi-mod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ignal field transmission for the packet mode auto-detection, and gain control based on the packet mode
JP5991572B2 (ja) * 2011-02-28 2016-09-14 サン パテント トラスト 送信方法および送信装置
US9332562B2 (en) * 2011-12-07 2016-05-03 Sony Corporation Radio base statio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of radio base station and computer program
JP5893999B2 (ja) * 2012-04-27 2016-03-23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US8867642B1 (en) * 2013-09-30 2014-10-21 Communication Systems LLC Apparatuse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communication
US9271241B2 (en) * 2013-11-19 2016-02-23 Intel IP Corporation Access point and methods for distinguishing HEW physical layer packets with backwards compatibilit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09861A1 (en) * 2009-06-04 2010-12-09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itigation for downlin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3048192A1 (ko) * 2011-09-28 2013-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참조 신호 구성을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S 36.211 v11.2.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252586B2 (ja) 2017-12-27
US20160094372A1 (en) 2016-03-31
US10153929B2 (en) 2018-12-11
EP3013107B1 (en) 2019-10-30
CN105309020A (zh) 2016-02-03
KR20160008627A (ko) 2016-01-22
EP3013107A1 (en) 2016-04-27
EP3013107A4 (en) 2016-06-22
JPWO2014203297A1 (ja) 2017-02-23
CN105309020B (zh) 2019-08-20
WO2014203297A1 (ja) 2014-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8742E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data information messages on a downlink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6797297B (zh) 用于无线通信的参考信号设计
US10986616B2 (en) Uplink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in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CN110832895A (zh) 具有部分码元对准的异步信道保留设计
AU2018237895A1 (en) Methods and nodes for determining a transmission data block size
WO201707308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physical structure system
US11855823B2 (en) Terminal, base st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reception method
CN104995978A (zh) 终端装置、集成电路、无线通信方法以及基站装置
EP313261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ondary cell id selection
CN108633047A (zh) 一种信道传输方法及网络设备
KR101851840B1 (ko) 송신 장치, 수신 장치, 송신 방법 및 수신 방법
CN106686617B (zh) 一种窄带传输中的方法和装置
CN115104267A (zh) 无需物理下行链路共享信道调度的下行链路控制信息的混合自动重复请求确认
WO2016183499A1 (en) User equipments, base stations and methods
CN116724609A (zh) 经由可重配置的智能表面来传送同步信号块
CN114557069A (zh) 对同时单播和多播监测的支持
WO201707308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physical structure system
EP2887570A1 (en)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base station, wireless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EP3791525A1 (en) Cqi codepoint reinterpretation
WO2018142549A1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及び送信方法
CN115553061A (zh) 非交织控制资源集的重复特定循环移位
WO201707308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physical structur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