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1540B1 - 용접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용접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1540B1
KR101851540B1 KR1020160132292A KR20160132292A KR101851540B1 KR 101851540 B1 KR101851540 B1 KR 101851540B1 KR 1020160132292 A KR1020160132292 A KR 1020160132292A KR 20160132292 A KR20160132292 A KR 20160132292A KR 101851540 B1 KR101851540 B1 KR 101851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time
detected
optical sensor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2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0415A (ko
Inventor
허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토스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토스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토스윙
Priority to KR1020160132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1540B1/ko
Publication of KR20180040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0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61F9/06Masks, shields or hoods for wel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61F9/06Masks, shields or hoods for welders
    • A61F9/061Masks, shields or hoods for welders with movable shutters, e.g. filter discs; Actuating mean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7/00Indicating measured values
    • G01D7/002Indicating measured values giving both analog and numerical ind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 Resistance We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센서를 이용하여 용접강도, 용접시간, 휴지시간 및 용접횟수를 판단하고, 감지된 내용을 메모리에 저장하여 상세한 용접상태를 기록, 관리 및 표시하는 용접 헬멧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용접광의 유무 및 세기를 검출하는 광센서; 상기 광센서로부터 검출된 용접광의 유무, 세기 및 경과시간을 카운트하여 용접강도, 용접시간, 휴지시간 및 용접횟수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판단된 용접강도, 용접시간, 휴지시간 및 용접횟수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용접강도, 용접시간, 휴지시간 및 용접횟수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게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셔터LCD를 구동시켜 흑화 농도를 가변시키는셔터구동부;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되는 설정값 및 조작명령을 입력 받아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설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용접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Control apparatus for weld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용접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광 센서를 이용하여 용접강도, 용접시간, 휴지시간 및 용접횟수를 판단하고, 감지된 내용을 메모리에 저장하여 상세한 용접상태를 기록, 관리 및 표시하는 용접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아크용접은 금속의 가융성을 이용하여 국부적으로 가열하고 용해하여 두금속의 접합하는 것으로서 용접 작업시 발생 되는 고열과 빛및가스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장구의 하나로 용접헬멧을 착용한다.
종래의 손잡이를 갖는 용접헬멧의 경우는 사용시 용접헬멧을 놓았다가 다시 용접작업을 할 때마다 수시로 손잡이를 잡았다 놓았다 하는 동작을 여러번 반복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있었다.
상기와 같은 용접헬멧에서 밴드용 헬멧으로 발전되어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도록 발전 및 연구개발 하여 왔다. 특히, 용접헬멧은 용접이나 절단등의 작업을 수행할 경우 눈과 안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그리고 이러한 용접헬멧에는 용접이나 절단 등의 작업을 수행할 경우 발생되는 강렬한 유해광으로부터 사용자의 눈을 보호하기 위한 눈부심 방지 장치(이하“카트리지(cartridge)"라함)가 고정장착된다.
이와 같은 카트리지는 통상780nm(ib)이상 365nm(uv)미만의 광선을 차단시키고 가시광선의 투과량을 제어하여 눈부심 없이 용접위치를 눈으로 확인하면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것이다.
미국특허 제5,533,206호에는 착용자의 눈 전면에 직접 위치하게 되어 실제 조망창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LCD렌즈 (Liquid crystal display lens), 빛을 흡수하여 에너지 입력부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태양전지, 스파크(spark)와 다른 강렬한 빛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LCD렌즈를 가변 불투명상황으로 조정하는 회로의 입력부 역할을 수행하는 광센서셀(cell)을 구비한 EQC카트리지 (electronic quick change cartridge)와 EQC 카트리지를 헬멧내에 고정 장착하기 위해 헬멧의 내부에 위치하는 카트리지하우징(housing)을 포함 하는 용접헬멧이 공개 되어 있다.
그리고 미국특허 제6,070,264호에는 헬멧의 착용자가 용접 작업을 볼 수 있도록 설치된 셔터(chutter)와 상기 셔터의 광투과쉐이드(shade)를 제어하기 위해 결합된 전자콘트롤(control)과, 전자콘트롤이 용접작업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감지하기 위한 광센서(sensor), 전자콘트롤이 용접작업으로부터의 밝은 빛을 감지하는 광센서에 응답하여 셔터를 더 어두운 쉐이드로 구동시키기 위한 전자회로를 구비하는 용접헬멧이 공개되어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용접헬멧은 용접작업을 수행할 경우 발생되는 강렬한 빛을 감지하여 이 강렬한 빛에 따라 작업자의 눈을 보호하기 위해 LCD렌즈 및 셔터를 자동으로 어두운 쉐이드로 구동시켜주는 카트리지가 구비되지만, 이러한 카트리지는 작업별 용접상태, 용접시간 및 용접횟수를 기록 관리하지 못하여 용접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정밀을 요하는 부품, 장비, 기구 등을 용접하거나 작업자가 작업하기 어려운 환경에서는 로봇이 용접하게 되고, 특히 대량생산시설에도 필요한 로봇의 용접이지만 실상에서는 정확하게 로봇의 용접시간을 측정하여 수명과 교체부품을 교환시기를 설정할 수 없어 임의적으로 교환시기가 정해져 고정이 발생 되어 생산차질이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로봇용접의 정확한 용접시간의 측정이 안되어 용접의 정밀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30222호(2012년03월19일)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광 센서를 이용하여 용접강도, 용접시간, 휴지시간 및 용접횟수를 판단하고, 감지된 내용을 메모리에 저장하여 상세한 용접상태를 기록, 관리 및 표시하는 용접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로봇의 용접시간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수명과 교체부품을 교환시기를 설정할 수 있고 또한, 로봇용접의 정확한 용접시간을 측정하여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용접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용접광의 유무 및 세기를 검출하는 광센서; 상기 광센서로부터 검출된 용접광의 유무, 세기 및 경과시간을 카운트하여 용접강도, 용접시간, 휴지시간 및 용접횟수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판단된 용접강도, 용접시간, 휴지시간 및 용접횟수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용접강도, 용접시간, 휴지시간 및 용접횟수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게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셔터LCD를 구동시켜 흑화 농도를 가변시키는 셔터구동부;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되는 설정 값 및 조작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설정부를 포함하는 용접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센서로부터 최초 용접광이 검출되면 용접동작이 시작된 것을 인식하고 이후로, 용접광이 검출되지 않는 시간까지를 카운트하여 용접시간을 판단하고, 상기 광센서로부터 최초 용접광이 검출되지 않은 것을 인식하고, 이후로 용접광이 검출될 때까지를 카운트하여 휴지시간을 판단하고, 상기 광센서로부터 용접광이 검출된 횟수를 카운트하여 용접횟수로 판단하고, 상기 광센서로부터 용접광의 세기를 검출하고, 상기 용접시간을 카운트하고, 이를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특정 세기에서 어느 정도 용접시간을 지속하였는지에 따라 용접강도를 판단한다.
또한, 용접상태의 영상을 검출하는 영상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영상검출부에서 검출된 용접상태의 영상을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통상의 용접로봇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접로봇의 용접작업시간을 측정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광센서로부터 용접광의 유무 및 세기를 검출함으로써 용접신호를 검출하는 용접신호 검출단계; 제어부에서 상기 광센서로부터 검출된 용접광의 유무, 세기 및 경과시간을 검출하고 기준값과 비교하여 유효용접을 판단하는 유효용접 판단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광센서로부터 검출된 용접광의 유무, 세기 및 경과시간을 카운트하여 용접강도, 용접시간, 휴지시간 및 용접횟수를 판단하고, 메모리에 저장하는 용접시간, 횟수, 강도 판단 및 저장단계; 및 설정부의 입력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영상검출부에서 용접상태의 영상을 검출하고, 메모리는 상기 영상검출부에서 검출된 용접상태의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 선택 및 저장단계를 포함하는 용접 헬멧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용접시간, 횟수, 강도 판단 및 저장단계는; 상기 광센서로부터 최초 용접광이 검출되면 용접동작이 시작된 것을 인식하고 이후로, 용접광이 검출되지 않는 시간까지를 카운트하여 용접시간을 판단하고, 상기 광센서로부터 최초 용접광이 검출되지 않은 것을 인식하고, 이후로 용접광이 검출될 때까지를 카운트하여 휴지시간을 판단하고, 상기 광센서로부터 용접광이 검출된 횟수를 카운트하여 용접횟수로 판단하고, 상기 광센서로부터 용접광의 세기를 검출하고, 상기 용접시간을 카운트하고, 이를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특정 세기에서 어느 정도 용접시간을 지속하였는지에 따라 용접강도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용접 헬멧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광 센서를 이용하여 용접강도, 용접시간, 휴지시간 및 용접횟수를 판단하고, 감지된 내용을 메모리에 저장하여 상세한 용접상태를 기록, 관리 및 표시함으로써 용접작업을보다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본발명에따른용접헬멧의 외형을나타낸사시도,
도 2는본 발명에 따른 용접 헬멧의 카트리지를상세히나타낸 도면,
도 3은본발명에따른용접 헬멧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발명에따른용접 헬멧의 제어 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통상의 용접 로봇을 적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발명에따른용접 헬멧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제어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 및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그중 특정 실시예를 상세한 설명과 도면의 예시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주지 관용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헬멧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 헬멧의 카트리지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용접헬멧(100), 카트리지(200)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카트리지(200)는 본체(210), 셔터LCD(220), 표시부(230) 및 설정부(240)로 구성된다.
상기 용접헬멧(100)은 작업자의 안면을 보호 커버 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그 전면부에 카트리지(200)가 장착된다.
상기 용접헬멧(100)의 재질은 불연성의 플라스틱(Plastic)과 같은 가벼운 재질로 이루어지는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트리지(200)의 본체(210)는 카트리지(200)의 외형을 구성하며 그 내부에 통상의 마이컴(CPU)으로 구성된 제어부(250)와 메모리(Memory)(260)가 내장된다.
셔터LCD(220)는 사용자의 조작 명령 또는 제어부(250)에 제어에 따라 흑화농도 설정되며, 셔터 구동부(221)의 구동에 의하여 흑화 농도가 가변 구동된다.
작업자는 용접헬멧(100)을 착용하여 전면부의 카트리지(200)로 작업자의 안면을 커버한다음, 상기 셔터LCD(220)의 동작을통하여적정한밝기로용접이나절단작업을수행하게된다.
표시부(230)는 사용자의 입력상태 또는 장치의 동작상태등을 표시한다.
설정부(240)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되는 설정 값 및 조작 명령을 입력 받아제어부(250)에 전달한다.
제어부(250)는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 상태를 제어하며, 메모리(260)는 설정값 및 동작상태에 따른 데이터값을 저장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 헬멧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접 헬멧 제어 장치는, 셔터LCD(220), 셔터구동부(221), 표시부(230), 설정부(240), 제어부(250), 메모리(260), 전원회로부(270), 배터리(271), 솔라셀(272), 광센서(280) 및 영상검출부(290)를 포함한다.
전원회로부(270)는 배터리(271) 또는 솔라셀(272)로부터 수집된 전원을 각부에 공급한다.
광센서(280)는 용접광의 유무 및 세기를 검출한다.
영상검출부(290)는 용접상태의 영상을 검출한다.
제어부(250)는 상기 광센서(280)로부터 검출된 용접광의 유무, 세기 및 경과시간을 카운트하여 용접강도, 용접시간, 휴지시간 및 용접횟수를 판단한다.
메모리(260)는 상기 제어부(250)에서 판단된 용접강도, 용접시간, 휴지시간 및 용접횟수를 저장한다. 또한, 영상검출부(290)에서 검출된 용접상태의 영상을 저장한다.
표시부(230)는 상기 메모리(260)에 저장된 용접강도, 용접시간, 휴지시간 및 용접횟수를 표시한다.
셔터구동부(221)는 셔터LCD(220)를 구동시켜 흑화 농도를 가변시킨다.
설정부(240)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되는 설정값 및 조작명령, 예로서, 흑화 농도, 셔터LCD(220) 동작시간 등을 입력받아 제어부(250)에 전달한다.
이때, 본 발명의 제어부(250)에서 용접시간을 판단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광센서(280)로부터 최초 용접광이 검출되면 용접동작이 시작된 것을 인식한다. 이후로, 용접광이 검출되지 않는 시간까지를 카운트하여 용접시간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지시간을 판단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광센서(280)로부터 최초 용접광이 검출되지 않은 것을 인식하고, 이후로 용접광이 검출될 때 까지를 카운트하여 휴지시간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용접횟수를 판단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광센서(280)로부터 용접광이 검출된 횟수를 카운트하여 용접횟수로 판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용접횟수를 판단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광센서(280)로부터 용접광의 세기를 검출하고, 상기 용접시간을 카운트한다. 이를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특정 세기에서 어느 정도 용접시간을 지속하였는지에 따라 용접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용접상태는 영상검출부(290)에 의하여 검출되고, 상기 메모리(260)에 저장된 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표시부(230)에 표시된다.
도 4는 본발명에따른용접 헬멧의 제어 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통상의 용접 로봇을 적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상의 용접로봇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용접로봇의 용접작업시간을 측정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표시부(230)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용접로봇의 용접작업시간을 알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용접 로봇(welding robot)은 스폿용접과 아크용접의 작업에 쓰이는 로봇으로서, 스폿 용접은 여러 장의 박판을 전극으로 양쪽에서 강하게 눌러 전류를 흘림으로써 한 점 한 점 용접해 붙여 나가는 용접법이다. 여기에 쓰이는 로봇은 암(arm)의 손목에 스폿 용접용의 건(gun)을 단, 4~5 자유도의 가장 간단한 로봇으로서 자동차 산업계 같은 곳에서 제조라인용으로 쓰인다. 아크용접은아크방전에 의해 발생하는 고온을 이용하는 가장 일반적인 용접법이다. 여기에 사용되는 로봇은 이 용접법의 특징에 따라 센서에 의해 시각하여 토치 (불꽃이 나오는 곳)의 위치 등을 수정할 수 있다는 기능을 갖춘다. 앞으로 로봇의 기능, 정밀도의 향상과 더불어 모든 생산현장에서 채용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용접 로봇은 통상의 용접 작업을 자동으로 대체하기 위하여 잘 알려진 통상의 로봇과 대동소이하므로 여기서 이 용접 로봇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세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광 센서를 이용하여 용접강도, 용접시간, 휴지시간 및 용접횟수를 판단하고, 감지된 내용을 메모리에 저장하여 상세한 용접상태를 기록, 관리 및 표시함으로써 용접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 헬멧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제어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접 헬멧 제어 방법은 초기화 단계(S110), 용접신호 검출단계(S111), 유효용접 판단단계(S112~S113), 용접시간, 횟수, 강도 판단 및 저장단계(S114), 영상 선택 및 저장단계(S115~S116)를 포함한다.
초기화 단계(S110)는 시스템의 모든 설정 값을 초기화하고, 동작 준비 상태로 진입한다.
이때, 설정부(240)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되는 설정값 및 조작명령, 예로서, 흑화 농도, 셔터LCD(220) 동작시간 등을 입력받아 제어부(250)에 전달할 수 있다.
용접신호 검출단계(S111)는 광센서(280)로부터 용접광의 유무 및 세기를 검출함으로써 용접신호를 검출한다.
유효용접 판단단계(S112~S113)는 제어부(250)에서 상기 광센서(280)로부터 검출된 용접광의 유무, 세기 및 경과시간을 검출하고 기준값과 비교하여 유효용접을 판단한다.
용접시간, 횟수, 강도 판단 및 저장단계(S114)는 상기 제어부(250)에서 상기 광센서(280)로부터 검출된 용접광의 유무, 세기 및 경과시간을 카운트하여 용접강도, 용접시간, 휴지시간 및 용접횟수를 판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제어부(250)에서 용접시간을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광센서(280)로부터 최초 용접광이 검출되면 용접동작이 시작된 것을 인식한다. 이후로, 용접광이 검출되지 않는 시간까지를 카운트하여 용접시간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지시간을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광센서(280)로부터 최초 용접광이 검출되지 않은 것을 인식하고, 이후로 용접광이 검출될 때 까지를 카운트하여 휴지시간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용접횟수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광센서(280)로부터 용접광이 검출된 횟수를 카운트하여 용접횟수로 판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용접횟수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광센서(280)로부터 용접광의 세기를 검출하고, 상기 용접시간을 카운트한다. 이를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특정 세기에서 어느 정도 용접시간을 지속하였는지에 따라 용접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영상 선택 및 저장단계(S115~S116)는 설정부(240)의 입력 및 제어부(250)의 제어에 따라 영상검출부(290)에서 용접상태의 영상을 검출하고, 메모리(260)는 상기 영상검출부(290)에서 검출된 용접상태의 영상을 저장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광 센서를 이용하여 용접강도, 용접시간, 휴지시간 및 용접횟수를 판단하고, 감지된 내용을 메모리에 저장하여 상세한 용접상태를 기록, 관리 및 표시함으로써 용접작업을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포괄하는 것은 아니므로,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권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용접 헬멧 200 : 카트리지
210 : 본체 220 : 셔터LCD
221 :셔터구동부 230 : 표시부
240 :설정부 250 : 제어부
260 : 메모리 270 : 전원회로부
271 : 배터리 272 : 솔라셀
280 :광센서 290 : 영상검출부

Claims (7)

  1. 용접광의 유무 및 세기를 검출하는 광센서;
    상기 광센서로부터 검출된 용접광의 유무, 세기 및 경과시간을 카운트하여 용접강도, 용접시간, 휴지시간 및 용접횟수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판단된 용접강도, 용접시간, 휴지시간 및 용접횟수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용접강도, 용접시간, 휴지시간 및 용접횟수를 표시하는표시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셔터LCD를 구동시켜 흑화 농도를 가변시키는 셔터구동부;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되는 설정값 및 조작명령을 입력받아상기 제어부에전달하는 설정부를 포함하는 용접 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센서로부터 최초 용접광이 검출되면 용접동작이 시작된 것을 인식하고 이후로, 용접광이 검출되지 않는 시간까지를 카운트하여 용접시간을 판단하고,
    상기 광센서로부터 최초 용접광이 검출되지 않은 것을 인식하고, 이후로 용접광이 검출될 때까지를 카운트하여 휴지시간을 판단하고,
    상기 광센서로부터 용접광이 검출된 횟수를 카운트하여 용접횟수로 판단하고,
    상기 광센서로부터 용접광의 세기를 검출하고, 상기 용접시간을 카운트하고, 이를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특정 세기에서 어느 정도 용접시간을 지속하였는지에 따라 용접강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제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용접상태의 영상을 검출하는 영상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영상 검출부에서 검출된 용접상태의 영상을 저장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제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 제어 장치를
    용접헬멧에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접헬멧의 용접작업시간을 측정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제어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용접로봇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접로봇의 용접작업시간을 측정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제어 장치
  6. 광센서로부터 용접광의 유무 및 세기를 검출함으로써 용접신호를 검출하는 용접신호 검출단계;
    제어부에서 상기 광센서로부터 검출된 용접광의 유무, 세기 및 경과시간을 검출하고 기준값과 비교하여 유효용접을 판단하는 유효용접 판단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광센서로부터 검출된 용접광의 유무, 세기 및 경과시간을 카운트하여 용접강도, 용접시간, 휴지시간 및 용접횟수를 판단하고, 메모리에 저장하는 용접시간, 횟수, 강도 판단 및 저장단계; 및
    설정부의 입력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영상검출부에서 용접상태의 영상을 검출하고, 메모리는 상기 영상검출부에서 검출된 용접상태의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 선택 및 저장단계를 포함하는 용접 제어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시간, 횟수, 강도 판단 및 저장단계는;
    상기 광센서로부터 최초 용접광이 검출되면 용접동작이 시작된 것을 인식하고 이후로, 용접광이 검출되지 않는 시간까지를 카운트하여 용접시간을 판단하고,
    상기 광센서로부터 최초 용접광이 검출되지 않은 것을 인식하고, 이후로 용접광이 검출될 때까지를 카운트하여 휴지시간을 판단하고,
    상기 광센서로부터 용접광이 검출된 횟수를 카운트하여 용접횟수로 판단하고,
    상기 광센서로부터 용접광의 세기를 검출하고, 상기 용접시간을 카운트하고, 이를 미리 설정된 기준 값과 비교하여 특정 세기에서 어느 정도 용접시간을 지속하였는지에 따라 용접강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제어 방법.
KR1020160132292A 2016-10-12 2016-10-12 용접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851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2292A KR101851540B1 (ko) 2016-10-12 2016-10-12 용접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2292A KR101851540B1 (ko) 2016-10-12 2016-10-12 용접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0415A KR20180040415A (ko) 2018-04-20
KR101851540B1 true KR101851540B1 (ko) 2018-04-24

Family

ID=62087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2292A KR101851540B1 (ko) 2016-10-12 2016-10-12 용접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15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397616A1 (en) * 2019-06-19 2020-12-24 Lincoln Global, Inc. Arc time recording system for auto-darkening welding helme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7271B1 (ko) * 2018-04-24 2022-04-18 주식회사 오토스윙 용접용 상태 알람 마스크 및 상태 알람 마스크의 동작 방법
KR102071477B1 (ko) * 2018-04-24 2020-01-30 주식회사 오토스윙 용접용 상태 알람 마스크 및 상태 알람 마스크의 동작 방법
KR102462236B1 (ko) * 2020-01-22 2022-11-07 주식회사 오토스윙 용접용 상태 알람 마스크 및 상태 알람 마스크의 동작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397616A1 (en) * 2019-06-19 2020-12-24 Lincoln Global, Inc. Arc time recording system for auto-darkening welding helmet
US11883331B2 (en) 2019-06-19 2024-01-30 Lincoln Global, Inc. Arc time recording system for auto-darkening welding helm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0415A (ko) 2018-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1540B1 (ko) 용접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869483B1 (ko) 용접 헬멧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A2872470C (en) Welding helmet for detecting arc data
EP2377497B1 (en)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in multiple languages on welding helmet cartridge
US6973672B2 (en) Welding helmet removable cartridge
EP2338446B1 (en) Method for controlling cartridge of welding helmet having display function of welding operation time
KR100605455B1 (ko) 카메라를 이용한 전자동 디지털 용접 헬멧
US20140020147A1 (en) Welding helmet
KR100679896B1 (ko) 전자파 검출 눈부심 방지장치
TWI689388B (zh) 用於監控機器人處理工具位置之測距儀裝置及其方法
US20030001950A1 (en) Device for metal welding
US20190314204A1 (en) Control apparatus for weld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1332139A (zh) 具有过滤盒保护罩的焊接头盔
US20070089215A1 (en) Bifocal magnifier plate for use in welding
KR20120093504A (ko) 자동 차광 고글
US20190011246A1 (en) Pendulum-based laser leveling device with calibration guard function
KR20190142645A (ko) 사출성형기의 금형 온도 자동조절 시스템
US11883331B2 (en) Arc time recording system for auto-darkening welding helmet
US20140021337A1 (en) Multifunctional digital antiglare device
KR101179354B1 (ko) 용접 마스크
CN108746999A (zh) 一种激光头聚焦透镜保护镜片表面洁净度的监测方法
KR100611935B1 (ko) 전자파 검출 눈부심 방지장치
KR102109810B1 (ko) 용접용 스마트 보안경
JP2018024009A (ja) ウォータジェットレーザ加工装置
KR101673416B1 (ko) 용접용 스마트 보안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