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1244B1 - 관통홀을 구비한 부이 및 이 부이와 로프의 체결방법 - Google Patents

관통홀을 구비한 부이 및 이 부이와 로프의 체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1244B1
KR101851244B1 KR1020170010652A KR20170010652A KR101851244B1 KR 101851244 B1 KR101851244 B1 KR 101851244B1 KR 1020170010652 A KR1020170010652 A KR 1020170010652A KR 20170010652 A KR20170010652 A KR 20170010652A KR 101851244 B1 KR101851244 B1 KR 101851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rope
buoy
groove
r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0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진
Original Assignee
정재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진 filed Critical 정재진
Priority to KR1020170010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12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통홀을 구비한 부이 및 이 부이와 로프의 체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부이에 관통홀을 형성시키고, 상기 관통홀의 상하측에 걸림홈 등을 각각 연장하여 형성시킨 부이 및, 이 부이와 로프의 체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부이에 로프를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걸림홈의 선택에 따라 부이를 일정주기로 더욱 간편하고 용이하게 뒤집을 수 있도록 하는, 관통홀을 구비한 부이 및 이 부이와 로프의 체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관통홀을 구비한 부이 및 이 부이와 로프의 체결방법{BUOY HAVING THROUGH HOLE AND CONNECTING METHOD OF THE BUOY AND ROPE}
본 발명은 부이에 로프를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부이를 더욱 간편하고 용이하게 뒤집을 수 있도록 하면서도 그 결속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관통홀을 구비한 부이 및 이 부이와 로프의 체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이(Buoy)는 수산 양식용으로 사용되거나, 수상 구조물을 연결하거나 또는 위험지역을 표시하는 부력체로써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으며, 통상 일면이 수면 아래에 침지된 상태로 부력을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부이는 일면(하면)은 계속 수면 아래에 침지되고, 타면(상면)은 수면 위로 노출된 상태로 계속 유지됨에 따라, 수면 아래에 계속 침지되는 부분에 조개나 따개비 등의 해양 생물이 부착되어 부이의 기능을 상실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부이에 조개나 따개비 등의 해양 생물이 장기간 부착되어 있을 경우, 부이의 수명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부력의 약화를 가져오게 되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문헌 1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을 갖는 원통형 회전 몸체(10)와, 회전 몸체(10)의 내부 중공부(16)에 축 결합된 고정 샤프트(40)와, 회전 몸체(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회전 날개(10a)와, 회전 몸체(10)가 고정 샤프트(40)를 중심축으로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회전 몸체(10)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기어(12)와, 기어(12)에 물려 있는 스토퍼(2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어구용 회전식 부구를 제안함으로써, 부이의 일면과 타면을 주기적으로 회전시켜 조개나 따개비 등 해양 생물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 1은 기계적인 장치가 구비되어 그 구조가 복잡하고 생산단가가 과도하게 높아질 뿐만 아니라, 그 정비 등의 유지비용이 과도하게 소모되어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문헌 2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이의 상하면 모두에 부이의 길이방향으로 체결고리(6)를 형성시킴으로써, 체결고리(6)의 선택에 따라 부이를 일정주기로 뒤집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특허문헌 2의 경우, 체결을 위해서 매번 체결고리(6)의 홀(7)에 로프를 관통한 후 일일이 묶어야 되는 등 부이를 뒤집기 위한 로프의 체결이 매우 번거롭고 작업시간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로프가 부이를 감싸지 못하고 단순히 체결고리(6)에만 체결됨에 따라 그 결속력이 미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1070282호 "어구용 회전식 부구"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309039호 "수산양식용 부표의 보호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부이에 관통홀을 형성시키고, 상기 관통홀의 상하측에 걸림홈 등을 각각 연장하여 형성시킨 부이 및, 이 부이와 로프의 체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부이에 로프를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걸림홈의 선택에 따라 부이를 일정주기로 더욱 간편하고 용이하게 뒤집을 수 있도록 함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부이에 있어서, 부이 본체(10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관통홀(10); 상기 관통홀(10)의 상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1 걸림홈(20); 상기 관통홀(10)의 하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2 걸림홈(21); 상기 제 1 걸림홈(20)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1 고정홈(30); 및 상기 제 2 걸림홈(21)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2 고정홈(3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홀을 구비한 부이를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관통홀(10)과 제 1 걸림홈(20)의 경계부위에 한쌍의 제 1 끼움돌기(20a)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0)과 제 2 걸림홈(21)의 경계부위에 한쌍의 제 2 끼움돌기(21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부이와, 제 1 줄 및 제 2 줄이 하나의 줄로 형성된 로프의 체결방법에 있어서, 부이 본체(100)의 일측 관통홀(10) 및 이와 연통되는 타측 관통홀(10')로 로프(R)를 관통시키고, 상기 일측 관통홀(10)로 관통된 로프(R)의 제 1 줄(R1) 일단을 일측 제 1 끼움돌기(20a)에 통과시켜 일측 제 1 걸림홈(20)에 위치시킨 후 그 일단을 일측 제 1 고정홈(30)에 안착시키며, 상기 타측 관통홀(10')로 관통된 로프(R)의 제 2 줄(R2) 일단을 타측 제 1 끼움돌기(20a')에 통과시켜 타측 제 1 걸림홈(20')에 위치시킨 후 그 일단을 타측 제 1 고정홈(30')에 안착시키되, 부이를 뒤집을 경우, 상기 일측 관통홀(10)로 관통된 로프(R)의 제 1 줄(R1) 일단을 일측 제 2 끼움돌기(21a)에 통과시켜 일측 제 2 걸림홈(21)에 위치시킨 후 그 일단을 일측 제 2 고정홈(31)에 안착시키며, 상기 타측 관통홀(10')로 관통된 로프(R)의 제 2 줄(R2) 일단을 타측 제 2 끼움돌기(21a')에 통과시켜 타측 제 2 걸림홈(21')에 위치시킨 후 그 일단을 타측 제 2 고정홈(31')에 안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홀을 구비한 부이와 로프의 체결방법을 과제의 다른 해결 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은 부이에 관통홀을 형성시키고, 상기 관통홀의 상하측에 걸림홈 등을 각각 연장하여 형성시킨 부이 및, 이 부이와 로프의 체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부이에 로프를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걸림홈의 선택에 따라 부이를 일정주기로 더욱 간편하고 용이하게 뒤집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특허문헌 1에 따른 부이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특허문헌 2에 따른 부이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이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이와 로프의 체결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낸 사시도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서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통홀을 구비한 부이 및 이 부이와 로프의 체결방법을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관통홀을 구비한 부이 및 이 부이와 로프의 체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관통홀을 구비한 부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이 본체(100)의 중앙부에 관통홀(10)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0)을 통과한 로프(R)가 걸릴 수 있는 제 1 걸림홈(20) 및 제 2 걸림홈(21)이 형성되되,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통홀(10)의 상측에서 제 1 걸림홈(20)이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10)의 하측에서 제 2 걸림홈(21)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측'과 '하측'은 구성요소를 구분하기 위한 용어일 뿐 실제 동작 시 상호 호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이에 있어서, 수면 아래에 침지된 면을 '하측'으로 할 경우, 수면 위로 노출된 면은 '상측'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수면 아래에 침지된 면을 '상측'으로 할 경우, 수면 위로 노출된 면은 '하측'으로 지칭 되는 등 상호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프(R)가 걸림홈에 위치함에 있어 걸림홈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관통홀(10)과 걸림홈의 경계부위에 한쌍의 끼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끼움돌기는 한쌍으로 이루어져 그 사이 공간으로 로프(R)가 억지끼움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다. 즉, 상기 한쌍의 끼움돌기 사이 공간으로 억지끼움을 통해 걸림홈에 위치한 후에는 별도의 힘을 가하지 않는한 다시 이탈되지 않는다. 이를 위해 상기 한쌍의 끼움돌기 사이 공간은 로프(R)의 직경보다 미세하게 작은, 즉, 로프(R)의 탄성을 바탕으로 억지끼움하여 상기 걸림홈 측으로 이동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가진다.
이러한 끼움돌기가 형성됨에 있어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홀(10)과 제 1 걸림홈(20)의 경계부위에 제 1 끼움돌기(20a)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0)과 제 2 걸림홈(21)의 경계부위에 제 2 끼움돌기(21a)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걸림홈에 위치한 로프(R)가 부이에 견고하게 안착되어 좌우로 흔들리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고정홈이 형성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걸림홈(20)에서 제 1 고정홈(30)이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2 걸림홈(21)에서 제 2 고정홈(31)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조의 부이와 로프의 체결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부이와 로프의 체결방법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이 본체(100)의 일측 관통홀(10) 및 이와 연통되는 타측 관통홀(10')로 로프(R)를 관통시키고, 'a-1' 확대도에서와 같이 상기 일측 관통홀(10)로 관통된 로프(R)의 제 1 줄(R1) 일단을 일측 제 1 끼움돌기(20a)에 통과시켜 일측 제 1 걸림홈(20)에 위치시킨 후 그 일단을 일측 제 1 고정홈(30)에 안착시키며, 'a-2' 확대도에서와 같이 상기 타측 관통홀(10')로 관통된 로프(R)의 제 2 줄(R2) 일단을 타측 제 1 끼움돌기(20a')에 통과시켜 타측 제 1 걸림홈(20')에 위치시킨 후 그 일단을 타측 제 1 고정홈(30')에 안착시킨다.
그리고, 부이를 뒤집을 경우,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된 제 1 줄(R1) 및 제 2 줄(R2)를 일측 제 2 걸림홈(21) 및 타측 제 2 걸림홈(21') 각각으로 이동시켜 체결시키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로프(R)의 제 1 줄(R1) 일단을 이동시켜, 도 4의 '(b)'의 'b-1' 확대도에서와 같이 로프(R)의 제 1 줄(R1) 일단을 일측 제 2 끼움돌기(21a)에 통과시켜 일측 제 2 걸림홈(21)에 위치시킨 후 그 일단을 일측 제 2 고정홈(31)에 안착시키며, 로프(R)의 제 2 줄(R2) 일단을 이동시켜, 'b-2' 확대도에서와 같이 로프(R)의 제 2 줄(R2) 일단을 타측 제 2 끼움돌기(21a')에 통과시켜 타측 제 2 걸림홈(21')에 위치시킨 후 그 일단을 타측 제 2 고정홈(31')에 안착시키고, 부이 본체(100)를 뒤집음으로써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이를 더욱 용이하게 뒤집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그 결속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본체 10 : 관통홀
20 : 제 1 걸림홈 21 : 제 2 걸림홈
30 : 제 1 고정홈 31 : 제 2 고정홈
20a : 제 1 끼움돌기 21a : 제 2 끼움돌기
R : 로프 R1 : 제 1 줄
R2 : 제 2 줄

Claims (3)

  1. 부이에 있어서,
    부이 본체(10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관통홀(10);
    상기 관통홀(10)의 상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1 걸림홈(20);
    상기 관통홀(10)의 하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2 걸림홈(21);
    상기 제 1 걸림홈(20)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1 고정홈(30); 및
    상기 제 2 걸림홈(21)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2 고정홈(3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홀을 구비한 부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10)과 제 1 걸림홈(20)의 경계부위에 한쌍의 제 1 끼움돌기(20a)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0)과 제 2 걸림홈(21)의 경계부위에 한쌍의 제 2 끼움돌기(21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홀을 구비한 부이.
  3. 제 2항에 따른 관통홀을 구비한 부이와, 제 1 줄 및 제 2 줄이 하나의 줄로 형성된 로프의 체결방법에 있어서,
    부이 본체(100)의 일측 관통홀(10) 및 이와 연통되는 타측 관통홀(10')로 로프(R)를 관통시키고,
    상기 일측 관통홀(10)로 관통된 로프(R)의 제 1 줄(R1) 일단을 일측 제 1 끼움돌기(20a)에 통과시켜 일측 제 1 걸림홈(20)에 위치시킨 후 그 일단을 일측 제 1 고정홈(30)에 안착시키며,
    상기 타측 관통홀(10')로 관통된 로프(R)의 제 2 줄(R2) 일단을 타측 제 1 끼움돌기(20a')에 통과시켜 타측 제 1 걸림홈(20')에 위치시킨 후 그 일단을 타측 제 1 고정홈(30')에 안착시키되,
    부이를 뒤집을 경우, 상기 일측 관통홀(10)로 관통된 로프(R)의 제 1 줄(R1) 일단을 일측 제 2 끼움돌기(21a)에 통과시켜 일측 제 2 걸림홈(21)에 위치시킨 후 그 일단을 일측 제 2 고정홈(31)에 안착시키며,
    상기 타측 관통홀(10')로 관통된 로프(R)의 제 2 줄(R2) 일단을 타측 제 2 끼움돌기(21a')에 통과시켜 타측 제 2 걸림홈(21')에 위치시킨 후 그 일단을 타측 제 2 고정홈(31')에 안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홀을 구비한 부이와 로프의 체결방법.
KR1020170010652A 2017-01-23 2017-01-23 관통홀을 구비한 부이 및 이 부이와 로프의 체결방법 KR101851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652A KR101851244B1 (ko) 2017-01-23 2017-01-23 관통홀을 구비한 부이 및 이 부이와 로프의 체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652A KR101851244B1 (ko) 2017-01-23 2017-01-23 관통홀을 구비한 부이 및 이 부이와 로프의 체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1244B1 true KR101851244B1 (ko) 2018-04-23

Family

ID=62089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0652A KR101851244B1 (ko) 2017-01-23 2017-01-23 관통홀을 구비한 부이 및 이 부이와 로프의 체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1244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1244B1 (ko) 관통홀을 구비한 부이 및 이 부이와 로프의 체결방법
KR101644468B1 (ko) 해양 생태계 보호용 친환경 조립식 부력체
KR101715286B1 (ko) 절개된 체결고리가 구비된 부이와 로프의 체결방법
US20150284053A1 (en) Rope Cleating System
KR101851242B1 (ko) 개량된 체결고리가 구비된 부이와 로프의 체결방법
KR101773016B1 (ko) 어망용 부자
KR20220148155A (ko) 나선형 앵커 그룹 설치 시스템
JP6275577B2 (ja) 釣り用ワーム及びジグヘッドリグ
KR101699961B1 (ko) 다용도 폰툰용 닻체결구 및 이를 이용한 폰툰의 정박용 닻 연결구조
KR20090012196U (ko) 간답대 등에 결합되는 로프 고정용 고리
KR20170004064U (ko) 보트 정박용 링 스톱퍼
KR200439543Y1 (ko) 주낙용 부구
JP3114616U (ja) 帆立貝の係止ピン
KR101233622B1 (ko) 어망위치 표시장치
KR20160014234A (ko) 주낙용 어구
JP2006296215A (ja) 中層設置型浮魚礁
KR102298914B1 (ko) 플러그 타입 리프팅 유닛을 이용한 초대구경 모노파일 조정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200166887Y1 (ko) 정치망용 부자
WO2019087206A1 (en) A less hardware mooring system, process and uses thereof
EP3625118A1 (en) Buoy comprising light weight armature for weight transfer
KR200200537Y1 (ko) 부이의 결합구조
KR102302344B1 (ko) 결합형 부표
KR102343264B1 (ko) 날개부가 일체로 형성된 회전형 부표
KR20000020942U (ko) 가두리 양식장용 부표
US20180281904A1 (en) Marine anch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