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1159B1 - 연동형 온실 곡부의 융설장치 - Google Patents

연동형 온실 곡부의 융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1159B1
KR101851159B1 KR1020150156705A KR20150156705A KR101851159B1 KR 101851159 B1 KR101851159 B1 KR 101851159B1 KR 1020150156705 A KR1020150156705 A KR 1020150156705A KR 20150156705 A KR20150156705 A KR 20150156705A KR 101851159 B1 KR101851159 B1 KR 101851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holders
greenhouse
snow melting
sn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6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4032A (ko
Inventor
전종길
김형권
권진경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50156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1159B1/ko
Publication of KR20170054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4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5Conduits for heating by means of liquids, e.g. used as frame members or for soil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6Electric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6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adverse conditions, e.g. extreme climate, pes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동형 온실의 곡부(1) 하측에 구비되는 융설장치로서, 상기 연동형 온실의 곡부 기둥(700); 상기 곡부 기둥(700)의 최상측에 구비되는 제 1 쌍꽂이(130); 상기 곡부 기둥(700)에 구비되되 상기 제 1 쌍꽂이(130) 하측에 위치하는 제 2 쌍꽂이(230); 상기 제 1 쌍꽂이(130)의 한 쌍의 꽂이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 1 패드(120); 상기 제 2 쌍꽂이(230)의 한 쌍의 꽂이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 2 패드(220); 상기 제 1 패드(120)와 상기 제 2 패드(220)를 각각 연결함으로써 공간을 형성하는 온기 차단막(180); 및 상기 온기 차단막(180) 내측에 구비되는 온기 제공부를 구비하는, 융설장치를 제공한다. 온기 제공부는, 온풍 덕트, 열선 또는 히트파이프일 수 있다.

Description

연동형 온실 곡부의 융설장치{Snow melting device installed on the gutter of multi-span type greenhouse}
본 발명은 연동형 온실의 곡부에 구비되어 눈을 녹임으로써 적설 하중을 감소시키기 위한 융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설, 태풍 등에 의한 기상재해로 원예특작시설이 대규모 피해가 발생되고 있다. 최근 기상재해로 인한 원예특작시설 피해복구액은 연평균 약 3천억원에 이르고 있는 실정이다.
원예특작시설의 기상재해를 그 원인 별로 살펴보면 대설 78%이고 강풍 등 그 외의 원인이 22%로 나타나서, 눈으로 인한 피해가 가장 높은 것으로 보고된다.
최근 기후변화로 인하여 기상재해의 계절적 편중화, 집중화는 물론 그 강도가 증가되는 추세인데, 적설량으로 살펴보면 대관령에서 126.2mm(2005.3), 동해에서 102.9mm(2011.2), 및 강릉에서 110mm(2014.2) 등으로 100mm 이상의 적설량을 기록한 사례가 보고되었다.
특히,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연동형 온실에서는, 눈이 내리면 비닐 등의 피복면을 타고 곡부(1)로 눈이 쌓이게 되며, 이 부분이 적설하중에 의해 과대하게 무게가 집중되어 붕괴되고 있다.
눈의 무게는 건설, 습설에 따라 달라지나, 일반적으로 m2당 10cm 눈이 쌓이면 약 10kg가 되며, 50cm가 쌓이면 m2당 약 50kg의 하중이 온실 구조물에 실리게 된다.
이러한 적설하중은 온실 구조재가 비교적 약한 비닐하우스에서 치명적이기에, 이를 이기지 못하고 붕괴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대설 등에 의한 비닐하우스 붕괴 시 붕괴된 시설의 철거비용, 새로운 시설 설치비용, 작물재배 중단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 등 농가가 부담해야 하는 비용이 매우 크므로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대책 기술 개발이 요구되는바, 본 발명자들은 연동형 온실의 곡부 부분의 적설하중을 효율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게 되었다.
관련된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한국공개특허 제2014-0028756호는 흡기장치를 이용하여 온실 상부를 제설하는 장치를 개시한다. 본 기술의 경우, 흡기장치의 힘에 따라 흡입할 수 있는 양이 제한적이어서 대설의 경우 적절하게 제설을 할 수 없으며, 전자적으로 이루어지기에 본 장치를 적용하기 위하여 농가에서 부담하여야 하는 경제적 지출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8-0100913호는 난방장치를 이용한 제설장치를 개시한다. 본 기술의 경우, 온실에 구비되는 온수 배관 시스템을 그대로 이용하기에 초기 설치비용이 낮다는 점이 장점이나, 온실의 바닥면에서 송풍되는 온풍을 이용하기에 적설이 이루어지는 온실 상부까지 온기가 정상적으로 전해지지 않아 제설 효율이 매우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2014-0028758 A KR 2008-0100913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특히 연동형 온실의 곡부에 적재되는 눈을 효과적으로 녹임으로써 적설 하중을 낮출 수 있는 융설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종래기술들과 달리 적은 에너지 투입으로 제설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설치하는 농가에 경제적 부담을 낮출 수 있도록, 설치비용이 낮은 융설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연동형 온실의 곡부(1) 하측에 구비되는 융설장치로서, 상기 연동형 온실의 곡부 기둥(700); 상기 곡부 기둥(700)의 최상측에 구비되는 제 1 쌍꽂이(130); 상기 곡부 기둥(700)에 구비되되 상기 제 1 쌍꽂이(130) 하측에 위치하는 제 2 쌍꽂이(230); 상기 제 1 쌍꽂이(130)의 한 쌍의 꽂이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 1 패드(120); 상기 제 2 쌍꽂이(230)의 한 쌍의 꽂이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 2 패드(220); 상기 제 1 패드(120)와 상기 제 2 패드(220)를 각각 연결함으로써 공간을 형성하는 온기 차단막(180); 및 상기 온기 차단막(180) 내측에 구비되는 온기 제공부를 구비하는, 융설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패드(120)들 사이이되 상기 제 1 쌍꽂이(130) 상측에 물받이(170)가 더 구비되며, 눈이 상기 물받이(170) 상에 적설되고, 상기 온기 제공부가 상기 물받이(170)의 하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쌍꽂이(130)의 한 쌍의 꽂이부에 제 1 온실 피복재(11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 1 패드(120) 부분에서 상기 제 1 쌍꽂이(130)와 상기 제 1 온실 피복재(110)와 상기 온기 차단막(180)이 결합되며, 그리고 상기 제 2 쌍꽂이(230)의 한 쌍의 꽂이부에 제 2 온실 피복재(21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 2 패드(220) 부분에서 상기 제 2 쌍꽂이(230)와 상기 제 2 온실 피복재(210)와 상기 온기 차단막(180)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온기 차단막(180)의 상부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개구부(181)가 구비되며, 상기 개구부(181)를 통하여 유동한 온기가 상기 제 1 온실 피복재(110)의 하측을 따라 상방으로 유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상기 온기 제공부는, 난방기(330)로부터 온풍이 주입되어 유동하는 온풍 덕트(300)를 포함하며, 상기 온풍 덕트(300)에는 상측으로 다수의 덕트 개구(301)가 위치하고, 상기 다수의 덕트 개구(301)의 크기는, 상기 난방기(3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점차 증가하며, 상기 온풍 덕트(300)는 덕트 고정부(310)에 의하여 상기 제 1 쌍꽂이(130)에 고정되는 융설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상기 온기 제공부는, 전원 공급부(45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온기를 제공하는 열선(4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열선(400)은 열선 고정부(410)에 의하여 상기 곡부 기둥(700)에 고정되는 융설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 상기 온기 제공부는, 전원 공급부(55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온기를 제공하는 히트파이프(500)를 더 포함하는, 융설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히트파이프(500)는, 상기 전원 공급부(5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열선(503), 상기 발열선(503)을 둘러싸는 열매체(504) 및 상기 열매체(504)를 커버하는 케이스(505)를 포함하며, 상기 히트파이프(500)는 히트파이프 고정부(510)에 의하여 상기 곡부 기둥(700)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여, 연동형 온실의 곡부에 적재되는 눈을 효과적으로 녹임으로써 적설 하중을 낮출 수 있으면서도, 적은 설치 비용 및 적은 운용 비용으로 운용이 가능하여 농가에 경제적 부담을 주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연동형 온실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융설장치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에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융설장치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B-B'에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융설장치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며, 도 7은 도 2의 C-C'에 따른 종단면도이다.
이하에서의 "연동형 온실"은 광선, 온도, 습도 등을 인공적으로 조절하여 식물을 재배하도록 하는 단동형 온실이 곡부를 형성하며 횡으로 다수 결합된 건축물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여기에서 온실은 비닐하우스, 그린하우스 등과도 유사한 의미로서 이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의 "곡부"는 단동형 온실이 횡으로 결합됨으로써 결합 부분의 천정 측에 위치하는 오목한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도 1을 참조하여 그 이해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곡부 하측의 내부 공간에 온기를 제공하는 온기 제공부를 설치함으로써, 온실의 곡부의 적설 하중을 저감하는 기술이다.
즉, 곡부에 적설된 눈(S)의 하측에 온기를 제공함으로 눈을 녹게 하여 물받이를 따라 연동형 온실 외측으로 유동시켜 배수시킴으로써 적설 하중을 저감시키고자 한다.
온기 제공부의 구조에 따라, 아래에서는 세 가지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융설장치를 설명한다.
도 2는 연동형 온실의 곡부(1)를 횡단면도로서 도시한다. 눈(S)이 적재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연동형 온실의 일반적인 곡부 기둥(700)이 지중으로 설치되어 전체 하중을 지탱하고 있다.
곡부 기둥(700)의 최상측에는 제 1 쌍꽂이(130)가 구비되고, 그 하측에는 제 2 쌍꽂이(230)가 구비된다. 제 2 쌍꽂이(230) 역시 곡부 기둥(700)에 구비되는 것은 동일하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연동형 온실에는 다수의 곡부 기둥(700)이 구비되는바, 각각의 곡부 기둥(700)마다 제 1 쌍꽂이(130) 및 제 2 쌍꽂이(230)가 구비되는 것이다.
제 1 쌍꽂이(130)의 한 쌍의 꽂이부에 구비되는 제 1 패드(120)가 각각 구비되며, 제 2 쌍꽂이(230)의 한 쌍의 꽂이부에 제 2 패드(220)가 각각 구비된다.
제 1 패드(120)들 사이이되 제 1 쌍꽂이(130) 상측에 물받이(170)가 구비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눈(S)은 물받이(170)의 상측에 적설된다.
또한, 제 1 쌍꽂이(130)의 한 쌍의 꽂이부에 제 1 온실 피복재(110)가 더 구비되고, 제 2 쌍꽂이(230)의 한 쌍의 꽂이부에 제 2 온실 피복재(210)가 더 구비된다. 여기에서의 온실 피복재(110, 210)는 일반적인 연동형 온실의 피복재이다.
한편, 온기 차단막(180)이 제 1 패드(120)와 제 2 패드(220)를 연결함으로써 공간이 형성된다. 온기 차단막(180)으로 인하여 후술하는 물받이(170)에 열이 집중적이고 효과적으로 전달된다.
즉, 제 1 패드(120) 부분에서 제 1 쌍꽂이(130)와 제 1 온실 피복재(110)와 상기 온기 차단막(180)이 결합되며, 그리고 제 2 패드(220) 부분에서 제 2 쌍꽂이(230)와 제 2 온실 피복재(210)와 온기 차단막(180)이 결합되는 구조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핵심 구조인 온기 제공부는 온기 차단막(180)과 물받이(170)에 의하여 구획되는 공간 내측에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기 차단막(180)의 상부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개구부(18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개구부(181)를 통하여, 온기 차단막(180) 내측의 공간에서 유동한 온기가 제 1 온실 피복재(110)의 하측을 따라 상방으로 유동하면서, 물받이(170) 상측에서 제 1 온실 피복재(110)를 따라 적설된 눈(S)을 더 녹일 수 있어 효과적이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온기 제공부는 온풍 덕트(300)를 이용하는 것이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온풍을 생성하는 난방기(330)가 온실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며, 온풍 주입관(310)을 통하여 온풍 덕트(300)에 온풍이 공급된다.
공급된 온풍은 온풍 덕트(300)를 가열시키며, 이를 통하여 온기 차단막(180) 내측 공간이 가열되어 곡부(1)에 적재된 눈(S)을 녹이게 된다.
온풍 덕트(300)의 상부에는 다수의 덕트 개구(301)가 위치할 수 있다.
덕트 개구(301)는 온풍 덕트(300)의 상부에 위치하는바, 온풍을 상부로 토출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온풍이 효과적으로 곡부(1)에 집중될 수 있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 개구(301)의 크기는 난방기(3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점차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하여 넓은 온실의 일측에만 난방기(330)가 구비되어 있어도 곡부(1)의 전면에 걸쳐 고르게 눈(S)을 녹일 수 있다.
온풍 덕트(300)는 어떠한 종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자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를 검증하도록, 온풍 덕트(300)로서 직경 20~30cm인 비닐 튜브를 사용하였으며, 약 1m 간격으로 4 내지 8cm의 덕트 개구(301)를 그 크기가 점차 커지도록 구성하여 위치시키었다.
난방기(300)는 30 내지 50℃의 온풍을 생성하여 온풍 주입관(310)을 통해 온풍 덕트(300)에 온풍을 공급하였다.
온풍 덕트(300)로 유동한 온풍은 온기 차단막(180)와 물받이(170)에 의하여 구획되는 공간에 유입됨으로써, 물받이(170) 하측을 가열하여 눈을 녹이기 시작하였다.
또한, 온풍 덕트(300)로 유동한 온풍 중 일부는 덕트 개구(301)를 통과하여 제 1 온실 피복재(110)의 하측이 가열함으로써, 제 1 온실 피복재(110) 위쪽에 쌓인 눈을 녹이기 시작하였다.
제 2 실시예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융설장치를 설명한다.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곡부 기둥(700), 제 1 온실 피복재(110), 제 1 패드(120), 제 1 쌍꽂이(130), 물받이(170), 온기 차단막(180), 개구부(181), 제 2 온실 피복재(210), 제 2 패드(220) 및 제 2 쌍꽂이(230)은 공통되는바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온기 제공부는 열선(400)을 이용한다. 열선(400)에는 별도의 피복(402)이 구비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의 열선(400)은, 제 1 실시예의 온풍 덕트(300)와 마찬가지로, 온기 차단막(180)과 물받이(170)에 의하여 구획되는 공간 내측에 구비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원 공급부(450)로부터 전선(440)을 따라 열선(400)에 전기가 공급되면, 열선(400)이 가열되며 온기 차단막(180)과 물받이(170)에 의하여 구획되는 공간을 가열하게 된다.
열선(400)은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시킬 수 있는 어떠한 재료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예를 들어 탄소나노히팅선, 나노합금발연선, 전기온열선 등이 가능하다.
열선(400)은 곡부 기둥(700)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열선 고정부(410)에 의하여 고정된다.
별도의 컨트롤러(445)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열선(400)의 온도 조절, 과전류시 차단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와 비교하면, 초기 설치 비용이 저렴하며, 횡방향으로 고른 열 전달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상대적으로, 화재에 주의하여야 하며, 과다 전력 소비의 단점이 있을 수 있다.
제 3 실시예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융설장치를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와 비교하여, 곡부 기둥(700), 제 1 온실 피복재(110), 제 1 패드(120), 제 1 쌍꽂이(130), 물받이(170), 온기 차단막(180), 개구부(181), 제 2 온실 피복재(210), 제 2 패드(220) 및 제 2 쌍꽂이(230)은 공통되는바 설명을 생략한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온기 제공부는 히트파이프(500)를 이용한다.
제 3 실시예의 하트파이프(500)는, 제 1 실시예의 온풍 덕트(300) 및 제 2 실시예의 열선(400)과 마찬가지로, 온기 차단막(180)과 물받이(170)에 의하여 구획되는 공간 내측에 구비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원 공급부(550)로부터 전선(540)을 따라 히트파이프(500)의 발연선(503)에 전기가 공급되면, 열매체(504)가 가열되어, 온기 차단막(180)과 물받이(170)에 의하여 구획되는 공간을 가열하게 된다.
별도의 컨트롤러(545)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히트파이프(500)의 온도 조절, 과전류시 차단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와 비교하면, 열매체(504)가 잠시 열을 보유할 수 있으므로, 운용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S: 눈
1: 곡부
110: 제 1 온실 피복재
120: 제 1 패드
130: 제 1 쌍꽂이
170: 물받이
180: 온기 차단막
181: 개구부
210: 제 2 온실 피복재
220: 제 2 패드
230: 제 2 쌍꽂이
300: 온풍 덕트
301: 덕트 개구
310: 덕트 고정부
320: 온풍 주입관
330: 난방기
400: 열선
402: 피복
410: 열선 고정부
440: 전선
445: 컨트롤러
450: 전원 공급부
500: 히트파이프
503: 발열선
504: 열매체
505: 케이스
540: 전선
545: 컨트롤러
550: 전원 공급부

Claims (8)

  1. 연동형 온실의 곡부(1) 하측에 구비되는 융설장치로서,
    상기 연동형 온실의 곡부 기둥(700);
    상기 곡부 기둥(700)의 최상측에 구비되는 제 1 쌍꽂이(130);
    상기 곡부 기둥(700)에 구비되되 상기 제 1 쌍꽂이(130) 하측에 위치하는 제 2 쌍꽂이(230);
    상기 제 1 쌍꽂이(130)의 한 쌍의 꽂이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 1 패드(120);
    상기 제 2 쌍꽂이(230)의 한 쌍의 꽂이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 2 패드(220);
    상기 제 1 패드(120)와 상기 제 2 패드(220)를 각각 연결함으로써 공간을 형성하는 온기 차단막(180); 및
    상기 온기 차단막(180) 내측에 구비되는 온기 제공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쌍꽂이(130)의 한 쌍의 꽂이부에 제 1 온실 피복재(11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 1 패드(120) 부분에서 상기 제 1 쌍꽂이(130)와 상기 제 1 온실 피복재(110)와 상기 온기 차단막(180)이 결합되며, 그리고
    상기 제 2 쌍꽂이(230)의 한 쌍의 꽂이부에 제 2 온실 피복재(21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 2 패드(220) 부분에서 상기 제 2 쌍꽂이(230)와 상기 제 2 온실 피복재(210)와 상기 온기 차단막(180)이 결합되는,
    융설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드(120)들 사이이되 상기 제 1 쌍꽂이(130) 상측에 물받이(170)가 더 구비되며,
    눈이 상기 물받이(170) 상에 적설되고,
    상기 온기 제공부가 상기 물받이(170)의 하측에 위치하는,
    융설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기 차단막(180)의 상부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개구부(181)가 구비되며, 상기 개구부(181)를 통하여 유동한 온기가 상기 제 1 온실 피복재(110)의 하측을 따라 상방으로 유동하는,
    융설장치.
  5. 제 1 항, 제 2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기 제공부는, 난방기(330)로부터 온풍이 주입되어 유동하는 온풍 덕트(300)를 포함하며,
    상기 온풍 덕트(300)에는 상측으로 다수의 덕트 개구(301)가 위치하고,
    상기 다수의 덕트 개구(301)의 크기는, 상기 난방기(3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점차 증가하며,
    상기 온풍 덕트(300)는 덕트 고정부(310)에 의하여 상기 제 1 쌍꽂이(130)에 고정되는,
    융설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온기 제공부는, 전원 공급부(45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온기를 제공하는 열선(4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열선(400)은 열선 고정부(410)에 의하여 상기 곡부 기둥(700)에 고정되는,
    융설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온기 제공부는, 전원 공급부(55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온기를 제공하는 히트파이프(500)를 더 포함하는,
    융설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파이프(500)는, 상기 전원 공급부(5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열선(503), 상기 발열선(503)을 둘러싸는 열매체(504) 및 상기 열매체(504)를 커버하는 케이스(505)를 포함하며,
    상기 히트파이프(500)는 히트파이프 고정부(510)에 의하여 상기 곡부 기둥(700)에 고정되는,
    융설장치.
KR1020150156705A 2015-11-09 2015-11-09 연동형 온실 곡부의 융설장치 KR101851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705A KR101851159B1 (ko) 2015-11-09 2015-11-09 연동형 온실 곡부의 융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705A KR101851159B1 (ko) 2015-11-09 2015-11-09 연동형 온실 곡부의 융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4032A KR20170054032A (ko) 2017-05-17
KR101851159B1 true KR101851159B1 (ko) 2018-04-23

Family

ID=59048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6705A KR101851159B1 (ko) 2015-11-09 2015-11-09 연동형 온실 곡부의 융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115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9237A (ja) 1998-11-05 2000-05-23 Green System:Kk 連棟ハウスの融雪装置
JP2003000075A (ja) 2001-06-26 2003-01-07 Green System:Kk 連棟ハウスの融雪装置
KR101219271B1 (ko) * 2011-08-10 2013-01-09 이종근 비닐하우스의 난방 및 눈제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9237A (ja) 1998-11-05 2000-05-23 Green System:Kk 連棟ハウスの融雪装置
JP2003000075A (ja) 2001-06-26 2003-01-07 Green System:Kk 連棟ハウスの融雪装置
KR101219271B1 (ko) * 2011-08-10 2013-01-09 이종근 비닐하우스의 난방 및 눈제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4032A (ko) 2017-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6100B2 (en) Photovoltaic greenhouse structure
KR101718682B1 (ko) 식물 근권부 냉난방 시스템
KR101061051B1 (ko) 제설 기능을 구비한 온실
KR101851159B1 (ko) 연동형 온실 곡부의 융설장치
US20160146508A1 (en) Solar heating system for swimming pools
JP2005226925A (ja) ソーラーシステムハウス
EP1471309A3 (en) Radiant battery adaptable to multipurpose coverings, particularly for house heating systems
KR101077414B1 (ko) 옥외 시설물
JP3690605B2 (ja) 温室
RU72247U1 (ru) Система для удаления снега и наледи с крыш зданий
KR101191334B1 (ko) 온수를 이용한 비닐하우스용 제설장치
KR20090114011A (ko) 집열장치가 구비된 비닐하우스
CN205546718U (zh) 一种温室系统
JP5786242B2 (ja) 連棟型ビニールハウスの融雪装置
JP4341033B2 (ja) 熱蒸気利用栽培装置
CN208354124U (zh) 一种简易独立温室
KR101112057B1 (ko) 필름히터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설해방지 시스템의 설치 방법
JPS6332248A (ja) ソ−ラシステム用集放熱装置
KR20160114826A (ko) 비닐하우스 제설장치
JP6106302B1 (ja) 屋根の融雪装置
KR102037584B1 (ko) 지하수 배관을 활용한 비닐 하우스 제설 장치
JP6059681B2 (ja) 融雪機能及び冷却機能付き太陽光発電屋根パネル複合体、及び複数の融雪水誘導路
KR200334590Y1 (ko) 튜브층공기 가온순환 2중 피복온실
RU143941U1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уничтожения сосулек с крыш зданий
JP4045324B2 (ja) 温風融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