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0394B1 - 시나리오 기반의 rf 위협신호발생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시나리오 기반의 rf 위협신호발생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0394B1
KR101850394B1 KR1020160090963A KR20160090963A KR101850394B1 KR 101850394 B1 KR101850394 B1 KR 101850394B1 KR 1020160090963 A KR1020160090963 A KR 1020160090963A KR 20160090963 A KR20160090963 A KR 20160090963A KR 101850394 B1 KR101850394 B1 KR 101850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ata
threat
scenario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0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9253A (ko
Inventor
김소연
김산해
곽현규
장충수
송규하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60090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0394B1/ko
Publication of KR20180009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9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0082Monitoring; Testing using service channels; using auxiliary channels
    • H04B17/0085Monitoring; Testing using service channels; using auxiliary channels using test signal gener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0082Monitoring; Testing using service channels; using auxiliary channels
    • H04B17/0087Monitoring; Testing using service channels; using auxiliary channels using auxiliary channels or channel simul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91Modelling the propagation channel
    • H04B17/3912Simulation models, e.g. distribution of spectral power density or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 for a given geographic reg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50Tes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Transmission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시나리오 기반의 RF 위협신호발생 장치는, 위협제원을 모의하도록 구성되는 위협모의부; 수신기제원을 모의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모의부; 상기 RF 위협신호발생 장치 주변의 신호환경을 모의하도록 구성되는 신호환경모의부; 상기 모의된 위협제원, 수신기제원 및 신호환경을 이용해서 장비운용 시나리오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시나리오모의부; 시나리오 기반하여 디지털데이터신호를 생성하는 모의신호생성부; 및 상기 디지털데이터신호를 RF발생기용 데이터신호로 변환하고 RF신호발생기에 전송하는 RF신호발생기연동부를 포함하는 디지털신호발생기; 및 상기 RF신호발생기연동부로부터 RF 신호발생용데이터와 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며, RF 신호발생명령수신 시 RF 신호를 발생시키는 RF신호발생부; 및 데이터장입 명령을 수신 시 상기 RF신호발생기연동부에서 RF 발생용 데이터로 변환된 데이터를 내장메모리에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를 포함하는 RF신호발생기를 포함하고, 시스템의 성능을 다양한 위협조건 및 환경모의를 통해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나리오 기반의 RF 위협신호발생 방법 및 장치{Scenario based RF threat generation method and equipment}
본 발명은 시나리오 기반의 RF 위협신호발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전 장비의 성능을 올바르게 예측하고 평가하기 위해서는 실제 시스템이 운용되는 환경과 대상 신호제원에 대한 정확한 모의가 선행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RF 수신기를 보유한 전자전 장비의 성능평가는 시험의 효율성을 높이고 단계별로 장비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단위모듈의 기능시험을 끝내고, 전자파 신호원(RF)을 수신기에 직접 주입하는 실내 주입시험, 챔버 내부에 장비를 설치하고 RF를 챔버 내부에서 방사하는 챔버시험, 그리고 최종적으로 실 운용환경과 유사한 실외에서 RF 위협원을 발생시키고 장비를 시험하는 야외시험이 단계별로 진행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단계별 시험기술에도 불구하고 실내(주입/챔버)시험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던 전자전장비의 결함이 야외시험 단계에 도달해서야 발견되는 경우가 많았다. 때문에 실내시험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용이 가장 많이 소모되는 야외시험이 시간적으로 연장되는 등의 어려움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실내시험에서는 전자전장비 수신기와 위협의 이격상태(수십 내지 수백 km)에 따른, 위협제원(신호세기, 주파수, 신호도착시간 등), 신호 도래각, 그리고 신호환경(잡음/반사파) 등이 모의되기 힘들다는 문제점에 기인한다.
본 발명은 전자전장비의 성능을 정확하게 평가하고 시험하기 위해 대상 전자파 위협신호를 실 운용환경과 유사하게 발생시키는 시나리오 기반의 모의 위협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나리오 기반의 RF 위협신호발생 방법 및 장치는 종래의 실내 시험평가 기술들이 극복하지 못했던 전자전장비의 운용환경에서의 모의위협신호 발생기술을 고안하여 실내 시제통합 시험단계에서 장비의 성능을 보다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시험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나리오 기반의 RF 위협신호발생 방법 및 장치는 장비가 운용되는 모의 시나리오를 생성하여 수신기제원, 위협제원, 위협의 속도/경로, 신호환경 등을 반영한 위협 모의데이터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RF 발생기용 신호로 변환하여 RF 신호를 발생시키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나리오 기반의 RF 위협신호발생 장치는, 위협제원을 모의하도록 구성되는 위협모의부; 수신기제원을 모의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모의부; 상기 RF 위협신호발생 장치 주변의 신호환경을 모의하도록 구성되는 신호환경모의부; 상기 모의된 위협제원, 수신기제원 및 신호환경을 이용해서 장비운용 시나리오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시나리오모의부; 시나리오 기반하여 디지털데이터신호를 생성하는 디지털신호발생기; 및 상기 디지털데이터신호를 RF발생기용 데이터신호로 변환하고 RF신호발생기에 전송하는 RF신호발생기연동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신호 발생기; 및 상기 RF신호발생기연동부로부터 RF 신호발생용데이터와 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며, RF 신호발생명령수신 시 RF 신호를 발생시키는 RF신호발생부; 및 데이터장입 명령을 수신 시 상기 RF신호발생기연동부에서 RF 발생용 데이터로 변환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내장메모리에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를 포함하는 RF신호발생기를 포함하고, 시스템의 성능을 다양한 위협조건 및 환경모의를 통해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운용자에 의한 입력 값에 기반하여 상기 디지털신호발생기와 상기 RF발생기를 이용하여 시나리오 기반의 RF 위협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위협모의부는, 주파수모의부, 펄스폭모의부, 펄스간격모의부, 신호세기모의부, 변조모의부로 구성되어 상기 입력 값에 대하여 위협데이터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모의부는, 신호세기측정모의부, 도착시간측정오차모의부, 주파수측정오차모의부, 방향탐지측정오차모의부로 구성되어 상기 입력 값에 대하여 수신기 측정오차데이터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신호환경모의부는, 잡음모의부, 반사파모의부, 펄스누락모의부로 구성되어 상기 입력 값에 대한 신호환경데이터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나리모의부는, 수신기위치모의부, 위협경로모의부, 위협속도모의부로 구성되어 상기 입력 값에 대한 시나리오데이터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의신호생성부는, PDW,IQ생성부, 신호환경데이터반영부, 수신기오차반영부, TOA,FOA반영부로 구성되어 상기 입력 값에 대한 디지털데이터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제 대상 신호원을 야외에서 방사하고 위협과 수신기들을 수십 내지 수백 km로 이격 운용해야 하는 전자전장비의 까다로운 시험 운용환경을 실내 시나리오 기반으로 용이하고 정확하게 모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스템의 성능을 다양한 위협조건 및 환경모의를 통해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야외시험에 비해 상대적으로 시험이 용이한 실내 환경에서 전자전장비의 성능을 완성도 있게 수행함으로써 시험평가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며, 완성도 높아진 장비로 다음 단계(야외) 시험을 보다 심도 깊고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나리오 기반의 RF 위협신호발생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협모의부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모의부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환경모의부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나리오모의부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의신호생성부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신호발생기연동부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나리오 기반의 RF 모의위협신호 발생방법 운용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나리오 생성 개념도를 도시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제1, 제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블록"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시나리오 기반의 RF 위협신호발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나리오 기반의 RF 위협신호발생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1과 같이 크게 디지털모의신호를 생성하는 디지털신호발생기(100)와 실제 RF 신호를 발생시키는 RF신호발생기(200)으로 구성된다.
상기 디지털신호발생기(100)는 위협모의부(110), 수신기모의부(120), 신호환경모의부(130), 시나리오모의부(140), 모의신호생성부(150) 및 RF신호발생기연동부(160)를 포함한다.
디지털신호발생기(100)는 운용자의 제어에 의해 디지털모의위협을 생성하는 장치부로써, 크게 위협제원을 모의하는 위협모의부(110), 수신기제원을 모의하는 수신기모의부(120), 신호환경을 모의하는 신호환경모의부(130), 생성한 위협과 수신기, 신호환경를 이용해서 장비운용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시나리오모의부(140), 시나리오 기반하여 디지털데이터신호를 생성하는 모의신호생성부(150), 그리고 디지털데이터신호를 RF발생기용 데이터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RF신호발생기에 전송하는 RF신호발생기연동부(160)로 구성된다. 운용자와 디지털신호발생기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통해 제어데이터와 전시시현 데이터들이 상호연동 된다. 디지털신호발생기(100)과 RF신호발생기(200)는 상세 설계단계에서 규정될 물리적인 통신선로인 Data Port 로 상호연동된다. 운용자는 디지털신호발생기(100)을 통해 제어명령을 RF신호발생기(200)에 전달할 수 있으며, RF신호발생기(200)의 상태정보는 디지털신호발생기(100)을 통해 운용자에게 전달된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협모의부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다.
디지털시호발생기(100) 각 구성에 대한 상세 설명은 다음과 같다. 위협모의부(110)는 도 2와 같이 운영자 입력한 주파수정보를 모의하는 주파수모의부(111), 펄스폭을 모의하는 펄스폭모의부(112), 펄스간격을 모의하는 펄스간격모의부(113), 신호세기를 모의하는 신호세기모의부(114), 그리고 상기 주파수모의부(111) 내지 상기 신호세기모의부(114)의 위협데이터제원에 운용자가 입력한 변조정보를 바탕으로 변조특성을 반영하는 변조모의부(115) 로 구성된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모의부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다.
수신기모의부(120)는 도 3과 같이 운영자로부터 수신기의 오차정보를 입력받아 수신기 측정오차들을 모의하는 모의부로써 신호세기측정오차모의부(121), 도착시간측정오차모의부(122), 주파수수신측정모의부(123), 방향탐지측정오차모의부(124)로 구성된다. 최종출력은 입력한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된 수신기측정오차 데이터로써 오차분포를 나타낸 확률밀도함수값 또는 오차의 최대 내지 최소값이 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환경모의부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다.
신호환경모의부(130)는 도 4와 같이 운영자로부터 신호환경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신호환경을 모의하는 모의부로써 운용환경의 잡음을 모의하는 잡음모의부(131), 전자파 반사에 의한 영향을 모의하는 반사파모의부(132), 전자파신호의 누락률을 모의하는 펄스누락모의부(133)로 구성된다. 최종출력은 입력한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된 잡음/반사파/펄스누락 확률밀도함수값 또는 최대 내지 최소값이 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나리오모의부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다.
시나리오모의부(140)는 도 5와 같이 운영자로부터 다수개의 수신기위치, 위협경로, 위협속도를 입력받아 장비 운용 시나리오를 모의하는 모의부로써 다수개의 수신기 위치를 모의하는 수신기위치모의부(141), 다수개의 위협경로롤 모의하는 위협경로모의부(142), 다수개의 위협속도를 모의하는 위협속도모의부(143)로 구성된다. 도 9는 운용자가 GUI를 통해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개념도이다. 운용자는 도 9과 같은 모의 전장환경에 수신기를 배치하고, 위협의 경로 및 속도를 설정하는 방식으로 시나리오 데이터를 모의생성할 수 있다. 최종출력은 입력한 정보(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생성된 배치 수신기들과 위협 위치좌표변화 즉, 위협경로별 다수 수신기와의 위협간의 거리, 방향각이 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의신호생성부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다.
모의신호생성부(150)는 도 6과 같이 도 1의 상기 위협모의부(110) 내지 상기 시나리오모의부(140)로부터 모의제원을 입력받아 디지털모의데이터를 생성하는 부로써, 위협데이터제원을 통해 펄스열의 디지털신호정보인 Pulse Description Word(PDW)와 펄스내부 디지털신호정보인 IQ 정보를 생성하는 PDW, IQ생성부(151), PDW, IQ 데이터에 신호환경데이터(잡음, 반사파, 펄수누락율)를 반영하는 신호환경데이터반영부(152), 신호환경이 반영된 PDW, IQ에 수신기오차를 반영하는 수신기오차반영부(153), 수신기오차가 반영된 PDW, IQ에 시나리오데이터를 반영하여 위협경로별로 다수개의 수신기에서 TOA(Time Of Arrival) 와 FOA(Frequency Of Arrival) 값을 변경율을 반영하는 TOA, FOA반영부(154)로 구성된다. TOA는 수신기에서 수신한 펄스도착 시간정보이며, FOA 도착시점의 펄스내주파수 정보이다. 즉, TOA, FOA반영부(154)는 다수 수신기와 위협간의 이격거리에 따른 시간차, 주파수차를 반영해 주는 모의부이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신호발생기연동부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다.
RF신호발생기연동부(160)는 도 7과 같이 모의신호생성부(150)부터 디지털데이터인 PDW,IQ 목록을 입력받아 RF 신호발생기(200)용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변환부(161)와 운용자로부터 제어정보를 입력받아 RF신호발생기(200)용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생성부(162)로 구성된다.
RF신호발생기(200)는 도 1을 통해 설명한다. 디지털신호발생기(100)의 RF신호발생기연동부(160)으로부터 RF 신호발생용데이터와 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며, RF 신호발생명령수신 시 실제 RF를 발생시키는 RF신호발생부(210)와 데이터장입 명령을 수신 시 RF신호발생기연동부(160)에서 RF 발생용 데이터로 변환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내장메모리에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220)로 구성된다. RF신호발생기(200)는 상용계측장비를 이용하거나 혹은 RF 고주파부품을 이용한 모듈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나리오 기반의 RF 모의위협신호 발생방법 운용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 장치를 통해 시나리오 기반의 RF 모의위협신호 발생방법의 개략적인 운용흐름은 도 8과 같다. 운용자는 디지털신호발생기(100)의 GUI를 이용하여, 위협제원, 신호환경제원, 수신기제원을 랜덤한 순서로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지털신호발생기(100)의 GUI를 이용하여 모의위협 시나리오를 생성한다. 모의위협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개념/방법은 앞서 설명한 도 9를 참조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나리오 생성 개념도를 도시한다. 시나리오가 설정되면 운용자는 모의신호발생 명령을 디지털신호발생기(100)에 전송하고, 디지털신호발생기(100)는 정해진 시나리오에 따라 디지털데이터(PDW, IQ)를 생성한 후 이를 RF발생기용 데이터로 변환한다.
운용자는 모의위협 시나리오를 두 가지 방법으로 시작할 수 있다. RF발생기(200)가 디지털신호발생기(100)의 입력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할 수 있는 성능을 보유한 경우에는 RF발생기용으로 변환된 데이터 장입명령 없이 모의위협 시나리오 시작 명령을 바로 전송한다. 해당 명령수신 후 디지털신호발생기(100)는 실시간으로 RF 발생명령과 RF 신호발생용 데이터를 RF신호발생기(200)에 전송하고 RF신호발생기(200) 는 해당 명령과 RF 발생기데이터수신 시 마다, 위협의 이동경로에 따른 수신기별 RF신호를 시나리오종료 시 까지 반복 송출한다. 만약, RF발생기(200)가 디지털신호발생기(100)의 입력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할 수 없는 경우라면 RF 발생기용으로 변환된 데이터 장입명령을 먼저 수행하여 RF 신호발생기에 변환된 데이터들이 수신되어 저장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모의위협 시나리오 시작 명령을 전송한다. 해당 명령수신 후 디지털신호발생기(100)는 RF신호발생 명령을 RF신호발생기(200)에 전송하고 RF신호발생기(200)는 발생명령 수신 시 마다, 미리 장입된 내장메모리에서 데이터를 읽어, 위협의 이동경로에 따른 수신기별 RF신호 발생을 시나리오종료 시 까지 계속 반복 송출한다. 이때, 시나리오 시작에서 종료 시 까지 RF 위협신호의 이동결로 및 송출 상태는 사용자에게 전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르면, 실제 대상 신호원을 야외에서 방사하고 위협과 수신기들을 수십 내지수백 km 로 이격 운용해야 하는 전자전장비의 까다로운 시험 운용환경을 실내 시나리오 기반으로 용이하고 정확하게 모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르면, 시스템의 성능을 다양한 위협조건 및 환경모의를 통해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르면, 야외시험에 비해 상대적으로 시험이 용이한 실내 환경에서 전자전장비의 성능을 완성도 있게 수행함으로써 시험평가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며, 완성도 높아진 장비로 다음 단계(야외) 시험을 보다 심도 깊고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뿐만 아니라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로도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고, 제어부(controller) 또는 프로세서(processor)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100: 디지털신호발생기 110: 위협모의부
120: 수신기모의부 130: 신호환경모의부
140: 시나리오모의부 150: 모의신호생성부
160: RF신호발생기연동부 200: RF 신호발생기
210: RF 신호발생부 220: 데이터저장부
111: 주파수모의부 112: 펄스폭모의부
113: 펄스간격모의부 114: 신호세기모의부
115: 변조모의부
121: 신호세기측정오차모의부 122: 도착시간측정오차모의부
123: 주파수측정오차모의부 124: 방향탐지측정오차모의부
131: 잡음모의부 132: 반사파모의부
133: 펄스누락모의부
141: 수신기위치모의부 142: 위협경로모의부
143: 위협속도모의부
151: PDW,IQ생성부 152: 신호환경데이터반영부
153: 수신기오차반영부 154: TOA,FOA반영부
161: 데이터변환부 162: 제어신호생성부

Claims (7)

  1. 시나리오 기반의 RF 위협신호발생 장치에 있어서,
    위협제원을 모의하도록 구성되는 위협모의부;
    수신기제원을 모의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모의부;
    상기 RF 위협신호발생 장치 주변의 신호환경을 모의하도록 구성되는 신호환경모의부;
    상기 모의된 위협제원, 수신기제원 및 신호환경을 이용해서 장비운용 시나리오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시나리오모의부;
    시나리오 기반하여 디지털데이터신호를 생성하는 모의신호생성부; 및
    상기 디지털데이터신호를 RF발생기용 데이터신호로 변환하고 RF신호발생기에 전송하는 RF신호발생기연동부를 포함하는 디지털신호발생기; 및
    상기 RF신호발생기연동부로부터 RF 신호발생용데이터와 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며, RF 신호발생명령수신 시 RF 신호를 발생시키는 RF신호발생부; 및
    상기 RF신호발생기연동부에서 RF 발생용 데이터로 변환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내장메모리에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를 포함하는 RF신호발생기를 포함하는, 시나리오 기반의 RF 위협신호발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운용자에 의한 입력 값에 기반하여 상기 디지털신호발생기와 상기 RF발생기를 이용하여 시나리오 기반의 RF 위협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나리오 기반의 RF 위협신호발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협모의부는,
    주파수모의부, 펄스폭모의부, 펄스간격모의부, 신호세기모의부, 변조모의부로 구성되어 상기 입력 값에 대하여 위협데이터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나리오 기반의 RF 위협신호발생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모의부는,
    신호세기측정모의부, 도착시간측정오차모의부, 주파수측정오차모의부, 방향탐지측정오차모의부로 구성되어 상기 입력 값에 대하여 수신기 측정오차데이터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나리오 기반의 RF 위협신호발생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환경모의부는,
    잡음모의부, 반사파모의부, 펄스누락모의부로 구성되어 상기 입력 값에 대한 신호환경데이터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나리오 기반의 RF 위협신호발생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나리오모의부는,
    수신기위치모의부, 위협경로모의부, 위협속도모의부로 구성되어 상기 입력 값에 대한 시나리오데이터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나리오 기반의 RF 위협신호발생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의신호생성부는,
    PDW,IQ생성부, 신호환경데이터반영부, 수신기오차반영부, TOA,FOA반영부로 구성되어 상기 입력 값에 대한 디지털데이터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나리오 기반의 RF 위협신호발생 장치.
KR1020160090963A 2016-07-18 2016-07-18 시나리오 기반의 rf 위협신호발생 방법 및 장치 KR101850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963A KR101850394B1 (ko) 2016-07-18 2016-07-18 시나리오 기반의 rf 위협신호발생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963A KR101850394B1 (ko) 2016-07-18 2016-07-18 시나리오 기반의 rf 위협신호발생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253A KR20180009253A (ko) 2018-01-26
KR101850394B1 true KR101850394B1 (ko) 2018-04-19

Family

ID=61025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0963A KR101850394B1 (ko) 2016-07-18 2016-07-18 시나리오 기반의 rf 위협신호발생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03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3750B1 (ko) * 2019-05-17 2019-10-17 국방과학연구소 항공전자전 시스템을 위한 전자전 위협신호 로우 데이터 생성장치 및 그것의 로우 데이터 생성방법
KR102557361B1 (ko) * 2021-07-30 2023-07-20 국방과학연구소 전자전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4110B1 (ko) 2015-02-11 2015-08-12 주식회사 선진일렉텍 원방 감시 제어 시스템
US20150271201A1 (en) 2012-10-17 2015-09-24 Tower-Sec Ltd. Device for detection and prevention of an attack on a vehic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71201A1 (en) 2012-10-17 2015-09-24 Tower-Sec Ltd. Device for detection and prevention of an attack on a vehicle
KR101544110B1 (ko) 2015-02-11 2015-08-12 주식회사 선진일렉텍 원방 감시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253A (ko) 2018-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12504B (zh) 机载二次雷达相控阵询问系统动态目标模拟器
Hirsenkorn et al. A ray launching approach for modeling an FMCW radar system
CN108107413B (zh) 一种雷达目标模拟器校准系统
CN108955729B (zh) 动态卫星网络中卫星自主定轨与时间同步的测试方法
He et al. A testbed for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multipath on performance of TOA-based indoor geolocation
CN109829251A (zh) 基于算子的无源雷达目标截获概率柔性仿真建模方法
KR100977004B1 (ko) 전자전 장비의 성능시험 및 고장탐지 점검시스템
KR101850394B1 (ko) 시나리오 기반의 rf 위협신호발생 방법 및 장치
CN105467369A (zh) 一种目标回波仿真方法和装置
RU2487386C2 (ru) Способ моделирования процессов централизован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техническими средствами и систем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варианты)
Guerin et al. Passive direction finding
RU2399098C1 (ru) Способ полунатурного статистического моделирования радиоэлектронного вооружения надводных кораблей
KR101157040B1 (ko) 계측 레이더 추적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결과를 활용한 가시화 방법
RU2399097C1 (ru) Способ полунатурного комплексного статистического моделирования радиоэлектронного вооружения надводных кораблей
KR102024793B1 (ko) 전자전 전장환경을 위한 디지털 위협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CN104698443A (zh) 射频复杂干扰仿真试验模拟装置及系统
KR102295191B1 (ko) 레이더 기만 장치의 hils 시스템 및 시뮬레이션 방법
CN111382587B (zh) 射频读写器、测试信号的选择方法及存储介质
RU75058U1 (ru) Цифровой имитатор бортовых радиолокационных систем
CN115811377A (zh) 一种基于机载平台的干扰通讯系统
CN109541515A (zh) 特高频电磁干扰模拟系统
KR101742126B1 (ko) 고도 측정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204964751U (zh) 高度表综合检测系统
CN109597026B (zh) 一种多点定位综合仿真评估方法和系统
CN203722646U (zh) 甚高频收发机的测试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