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9629B1 - 남조류 채집 장치 - Google Patents

남조류 채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9629B1
KR101849629B1 KR1020170108741A KR20170108741A KR101849629B1 KR 101849629 B1 KR101849629 B1 KR 101849629B1 KR 1020170108741 A KR1020170108741 A KR 1020170108741A KR 20170108741 A KR20170108741 A KR 20170108741A KR 101849629 B1 KR101849629 B1 KR 101849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water
coupled
collecting
green alga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8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제
김용진
김헌년
이은정
임종권
변명섭
유순주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70108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96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9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9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1/00Bioreactors or fermen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uses
    • C12M21/02Photobioreac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9/00Methods or apparatus for fish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K69/00 - A01K97/00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22Transparent or translucent par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1/00Means for providing, directing, scattering or concentrating light
    • C12M31/02Means for providing, directing, scattering or concentrating light located outside the react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남조류 채집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서로 다른 수심의 여러 위치에서 동일한 시간에 채집이 가능하고, 각 채집 위치의 수심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광도, 수온, 채집 위치 등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남조류의 생태 파악을 위한 실험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남조류 채집 장치는, 내부에 남조류가 포함된 물이 담겨지는 수용 공간이 구비되고, 측벽부에 상기 수용 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다수의 결합공이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된 수조; 상기 수조의 상부에 설치되어 수조의 내부로 빛을 조사하는 램프; 상기 수조의 결합공 중 일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마개; 및 상기 수조의 결합공 중 다른 일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일측은 상기 수조의 내부로 연장되고 타측은 외부의 배양장치에 연결되며, 수조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에 남조류가 포함된 물이 유입되는 취수공이 구비된 채집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남조류 채집 장치 {Apparatus for collecting blue-green algae}
본 발명은 남조류의 생태 파악을 위한 실험에 사용되는 채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일한 시간에 다양한 수심에 위치하는 남조류를 동시에 채집하여 실험 목적에 부합하는 다양한 조건에서 남조류의 분포, 밀집도, 이동 패턴 등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규명할 수 있는 남조류 채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남조류(blue-green algae)는 생물학적으로 진핵생물이 아닌 원핵생물로 분류되고 남세균(cyanobacteria)이라 불리기도 한다. 단세포 형태로서 세포 내에 핵막, 핵, 액포, 미토콘드리아 등의 세포기관이 발달되어 있지 않아 세균에 형태에 가까우나 핵물질인 DNA를 갖고 있다. 주로 길거나 둥근 군체를 이루어 대규모로 성장하는데, 엽록소를 갖고 있어 광합성을 통해 성장하고 이분법(무성생식), 포자법 등을 통해 생식한다.
남조류의 대발생은 대량 번성과 사멸에 따른 수질 악화(산소 고갈 및 유기물 증가)와 같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으며, 남조류가 분비하는 독성물질 또한 수생태계와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친다. 최근 들어 유해 남조류의 대발생은 국내뿐 아니라 미국, 아프리카, 캐나다, 중국, 일본, 북유럽, 서아시아 등 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유해 남조류의 증가는 크게 인위적인 개발(도시화 및 산업화, 농경지 확대 등)에 따른 호소와 하천으로의 영양 염류(질소, 인)의 유입 증가와 기후 변화에 의한 유해 남조류의 성장에 유리한 조건(수온 상승 및 성층 강화, 폭풍, 가뭄 빈발 등) 형성, 수자원의 활용을 위한 댐과 보의 건설에 따른 체류시간 및 수심 증가 등 다양한 원인에 기인하고 있다.
남조류의 대량 증식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하천과 호소 등의 수질 상태를 파악하여 사전에 대응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다양한 환경 조건 하에서 남조류의 서식 및 행동 양태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도 보다 근본적인 대응책 수립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
남조류는 엽록소를 가지고 광합성과 분열을 통해 성장하는데, 특히 기포를 갖고 있어 스스로 부력을 조절하여 광합성을 위해 수표면으로 이동하거나 최적의 광도 및 수온을 가진 수심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중에 분포하는 남조류의 밀집도는 수심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고, 광도 등 외부 조건에 따라 계속 변화가 이루어진다.
수심 별로 남조류를 채집하고 이를 배양하여 해당 수심에서의 밀집도를 산출함으로써 광도, 수온 등에 따른 남조류의 분포, 이동 패턴 등을 파악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종래에는 사이펀 관을 이용하여 수심이 다른 여러 지점에서 물을 취수 하는 방식으로 남조류를 채집했다.
전술한 종래의 남조류 채집 방식은 사람이 소정 수심까지 관을 밀어 넣어 해당 수심에서의 취수를 행하고, 순차적으로 관의 취수 위치를 변경하면서 여러 수심에서 취수를 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수심)에서 취수가 이루어지기 어렵고, 채집 회차에 따라 시간 차가 발생하여 요구되는 정확한 실험 결과를 얻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광도, 수온 등의 외부 조건을 조절할 수가 없어 다양한 조건 하에서의 남조류 생태 분석을 위한 실험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보다 정확하고 세밀한 남조류의 생태 파악을 위하여 다양한 조건에서 남조류를 채집 및 분석할 수 있는 실험 수단이 요구되고 있으나, 그에 적합한 장치가 제시된 바 없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 제10-1753000호에는 미세조류 배양 장치로서, 태양광을 모으는 집광기, 집광기에서 에서 집광된 빛을 전송하는 광전송 부재, 및 광전송 부재로부터 전송된 광을 이용하여 미세조류를 배양할 수 있는 배양부재를 포함하고, 배양부재에 광전송 부재를 감싸며 내부에 미세조류가 포함된 알지네이트 멤브레인이 더 포함되고, 알지네이트 멤브레인의 외면에 해수 또는 수중생물에 의해서 상기 알지네이트 멤브레인이 손상되거나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망이 설치되고, 보호망 표면에 해수 흐름을 위한 구멍이 형성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해수 표면에 상관없이 수중에서도 미세조류를 배양할 수 있게 하여 설치 면적을 줄이고 설비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미세조류 배양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16996호에는 무동력 조류 제거장치로서, 수표면에서 일부만 잠기도록 부유체와 닻이 연결된 본체 안에 흡착봉이 본체 안의 여러 장치 아래 내장되어 있고, 흡착봉 사이에 자외선조사관이 2개 삽입 장착되며, 벤추리관이 본체를 횡단하여 설치되고, 벤추리관 양단 사이에 축광등이 3개 네 곳에 4개 모두 7개가 설치되며, 본체 네 귀에 부유체가 연결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인력이나 다른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자연력만을 이용하여 상시 작동하며, 조류 생태적 특성에 맞는 구제수단을 이용하여 환경친화적인 조류제거장치를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은 조류 배양 또는 제거 관련 분야에 집중되어 있으며, 남조류의 생태 분석을 위한 채집 관련 기술은 찾아보기 어렵다.
대한민국 특허 제10-1753000호, 조류 배양 장치.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16996호, 무동력 조류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류 제거방법.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서로 다른 수심의 여러 위치에서 동일한 시간에 채집이 가능하고, 각 채집 위치의 수심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광도, 수온, 채집 위치 등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남조류의 생태 파악을 위한 실험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남조류 채집 장치는, 내부에 남조류가 포함된 물이 담겨지는 수용 공간이 구비되고, 측벽부에 상기 수용 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다수의 결합공이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된 수조; 상기 수조의 외부 상단 측면에 설치되어 수조의 내부로 빛을 조사하는 램프; 상기 수조의 결합공 중 일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마개; 및 상기 수조의 결합공 중 다른 일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일측은 상기 수조의 내부로 연장되고 타측은 외부의 배양장치에 연결되며, 수조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에 남조류가 포함된 물이 유입되는 취수공이 구비된 채집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남조류 채집 장치에서, 상기 수조는 투광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조의 외부에 빛을 차단하는 암막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조는 상부가 개방되고, 개방된 수조의 상부에 상부커버가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램프는 상기 외부 상단 측면에 설치된 LED 램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암막은 수조의 벽면을 따라 이동 또는 이격 가능하여 차광 면적이 변화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취수공은 상기 채집관의 벽체부에 복수개가 배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취수공은 상기 채집관의 종방향을 따라 일직선 상에 배열될 수 있고, 수조의 벽체에 근접한 위치에 있을수록 작은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공의 외측에 상기 수조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마개 또는 상기 채집관과 체결된 커넥터가 결합되는 결합돌부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채집관의 수조 외측에 위치되는 부분에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조에 개폐 가능한 결합공을 형성하고, 각 결합공에 선택적으로 복수의 채집관을 결합하여 서로 다른 수심의 위치에서 동시에 남조류의 채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동일 시간에서 각 수심 영역의 남조류 밀집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고, 소정 시간 별로 측정을 반복하여 남조류의 이동 패턴을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램프의 광도 조절, 암막의 차단 영역 조절을 통해 실험을 위한 광 조건을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고, 채집관의 결합 위치 변경을 통해 남조류의 채집 위치를 다양하고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남조류의 생태 파악을 위한 실험의 편의성과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남조류 채집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남조류 채집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남조류 채집 장치에서 결합공에 마개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남조류 채집 장치에서 결합공에 채집관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남조류 채집 장치에서 채집관의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남조류 채집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2는 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남조류 채집 장치는 내부에 물이 담겨지는 수용 공간이 구비된 수조(100), 이 수조(100)의 상부에 결합된 상부커버(110), 이 외부 상단 측면에 설치된 램프(120), 상기 수조(100)의 외부를 감싸도록 구비된 암막(130), 상기 수조(100)의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 되어 형성된 다수의 결합공(101), 이 결합공(101) 중 일부에 결합된 복수의 채집관(150), 상기 결합공(101) 중 채집관(150)이 결합되지 않은 결합공(101)에 결합된 복수의 마개(14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조(100)는 남조류가 포함된 물을 담아 실험을 행할 수 있게 하는 저장조로서, 도시된 원통형 구조뿐 아니라 입방체를 비롯하여 내부에 물을 수용 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수조(100)는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량화 면에서 유리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수조(100)의 내부 또는 외부 벽면에는 수심을 용이하게 관측할 수 있도록 눈금(10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조는 상부커버(110)가 필요 없는 일체형 탱크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수조(100)의 일측에 급수를 위한 투입구가 구비된다. 또한, 수조(100)의 하부 일측에 배수를 위하여 개폐 가능한 배출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110)는 개방된 수조(100)의 상부를 덮어 외부와 차단된 실험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부가 개방된 용기를 개폐 가능한 형태의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암막(130)은 수조(100)에 벽체를 통해 빛이 투입되는 것을 차폐하는 수단으로서, 수조(100)가 투광성 소재로 이루어질 경우에 구비된다. 이 암막(130)은 합성수지 필름, 섬유, 고무 등 다양한 소재 및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빛의 차폐 범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수조(100)의 벽면과 이격 되거나 벽면을 따라 이동 가능한 소재 및 형태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수조의 주변을 감싸도록 설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거나 원주방향으로 접히고 펼칠 수 있는 커튼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부커버(110)가 빛을 차단하는 소재로 이루어져 상부커버(110)에는 암막(130)이 구비되지 않은 것을 예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상부커버(110)도 투광성 소재로 이루어져 그 외부에 암막(130)이 구비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수조(100)가 투광성이 없는 소재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별도의 암막(130)이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램프(120)는 수조(100)의 내부에 빛을 조사하여 물에 포함된 남조류가 광합성을 위해 상부로 이동하게 만드는 광원으로서, 예를 들면 LED 램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램프(120)는 수조(100) 외부를 둘러쌓을 수도 있거나, 한 방향에만 설치되어 측면으로 빛을 조사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으나, 그 설치 수량과 위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램프(120) 빛의 조사 방향이 사선으로 아래를 향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 상기 램프(120)는 필요에 따라 조도(광량) 조절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상기 결합공(101)에 마개(141)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상세도이고, 도 4는 상기 결합공(101)에 채집관(150)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3 및 4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결합공(101)은 소정 간격으로 상하로 배열되어 각각 다른 수심에 해당하는 위치에 상기 채집관(150)을 결합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단순한 천공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수조(100)의 외측으로 돌출된 결합돌부(102)가 구비된 것을 예시하였다. 이 결합돌부(102)는 수조(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결합공(101)에 삽입 결합되는 별도의 단관형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마개(141)는 결합공(101)을 개폐 가능하게 하는 수단으로, 결합공(10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돌부(102)의 외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캡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결합공(101)의 내부에 삽입 결합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결합공(101)과 마개(141)의 결합은 나사결합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핀이나 볼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결합 상태를 유지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마개(141)와 결합돌부(102) 사이에는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패킹(14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채집관(150)은 결합공(101)을 통해 수조(100)의 내부로 삽입되어 수조에 담긴 물과 함께 남조류를 채집하는 것으로, 상기 결합공(101)에 직접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커넥터(143)를 통해 결합되는 것을 예시하였다. 상기 커넥터(143) 역시 결합공(10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돌부(102)의 외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캡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결합공(101)의 내부에 삽입 결합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결합공(101)과 커넥터(143)의 결합은 나사결합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핀이나 볼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결합 상태를 유지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커넥터(143)와 결합돌부(102) 사이에는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실링(14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채집관(150)은 수조(100)의 내부에 위치되는 적어도 일측에 취수공(151)이 형성된다. 취수공(151)의 형성 수량과 위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집관(150)의 개방된 종단부가 취수공(151)을 형성할 수 있고, 이에 추가적으로, 또는 채집관(150)의 종단부가 폐쇄되고 채집관(150)의 벽체에 천공된 취수공(151)이 형성될 수 있다. 채집관(150)의 벽체를 따라 넓은 구간에 걸쳐 다수의 취수공(151)을 형성하면, 동일한 수심을 이루는 층에서 보다 넓은 범위에 걸쳐 취수가 이루어져 해당 수심 영역에서 고른 밀집도를 갖는 남조류의 채집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실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데 유용하다.
도 5에 상기 채집관(150)에 다양한 형태 및 배열로 취수공(151)이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다. 도 5의 (a)는 채집관(150)의 측면부에 종방향을 따라 일렬로 취수공(151)이 형성된 것으로, 이는 모든 취수공(151)이 동일 높이에 형성되어 취수 되는 수심을 동일하게 하는데 유용하다. 도 5의 (b)는 채집관(150)의 벽체에 복수의 열로 취수공(151)이 형성된 것으로, 보다 다양한 위치에서 취수가 이루어져 해당 수심 영역에서 고른 밀집도를 갖는 남조류의 채집이 가능하게 하는데 유용하다. 도 5의 (c) 및 (d)는 수조(100)의 벽체에 근접할수록 취수공(151)의 크기가 감소하도록 한 것으로, 이는 각 취수공(151)에 작용되는 균일한 압력이 작용되도록 하여 각 취수공(151)을 통한 취수량을 균일하게 하며, 이를 통해 해당 수심 영역에서 더욱 고른 밀집도의 남조류 채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도 5에 예시된 취수공(151)의 형태 및 배열은 실험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결과를 낳는다.
상기 채집관(150)의 수조(100) 외측에 위치되는 부분에는 개폐수단으로서 밸브(160)가 설치된다. 이 밸브(160)는 간단한 개폐식 밸브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압력 또는 수량의 조절이 가능한 밸브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수심에 위치되어 입수 측 압력이 다르게 적용되는 각 채집관(150)의 수량을 균일하게 맞추기 위하여 각 채집관(150)에 압력 또는 수량 조절 수단이 상기 밸브(160)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별도의 기구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채집관(150)의 외측 단부는 각각 외부의 배양 장치에 연결된다. 상기 배양 장치는 채집된 남조류를 배양하는 배지가 담긴 수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남조류 채집 장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수심의 위치에 채집관(150)을 결합하여 각 수심대 별로 남조류의 밀집도를 측정할 수 있게 한다. 즉, 원하는 채집 수심에 해당하는 위치의 결합공(101)에서 마개(141)를 분리한 후 채집관(150)을 결합하고, 램프(120)를 발광 동작시키면, 암막(130)에 의해 외부의 빛이 차단된 상태에서 수조(100) 외부 상단 측면에 위치된 램프(120)로부터 암막으로 차단된 부분을 제외한 수조 상단에 빛이 조사되므로, 수중의 남조류가 광원을 향해 부상하게 된다. 이때, 밸브(160)를 개방하면 취수공(151)을 통해 남조류가 포함된 물이 각 채집관(150)으로 유입되어 각각의 배양장치로 이송된다.
이에 따라, 각 배양장치를 통해 취수된 물의 남조류 양을 측정하면 동일한 시간에서 각 수심 영역의 남조류 밀집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위 과정을 소정 시간 간격으로 반복하여 남조류를 채집함으로써 남조류의 이동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수심에 위치된 남조류를 동일한 시간에 채집할 수 있고, 채집하고자 하는 수심을 필요에 따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램프(120)의 광도 조절, 암막(130)의 차단 영역 조절을 통해 실험을 위한 광 조건을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채집관(150)의 결합 위치 변경을 통해 남조류의 채집 위치를 다양하고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이는 남조류의 생태 파악을 위한 실험을 용이하게 하고 실험 결과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 : 수조
101 : 결합공
102 : 결합돌부
103 : 눈금
110 : 상부커버
120 : 램프
130 : 암막
141 : 마개
142 : 패킹
143 : 커넥터
144 : 실링
150 : 채집관
151 : 취수공
160 : 밸브

Claims (10)

  1. 내부에 남조류가 포함된 물이 담기는 수용 공간이 구비되고, 측벽부에 상기 수용 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다수의 결합공이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된 수조;
    상기 수조의 외부 상단 측면에 설치되어 수조의 내부로 빛을 조사하는 램프;
    상기 수조의 결합공 중 일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마개; 및
    상기 수조의 결합공 중 다른 일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일측은 상기 수조의 내부로 연장되고 타측은 외부의 배양장치에 연결되며, 수조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에 남조류가 포함된 물이 유입되는 취수공이 구비된 채집관을 포함하되,
    상기 채집관은 상기 수조의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어 상기 수조의 각각 다른 수심에 해당하는 위치에 결합되며,
    상기 취수공은 복수 개 구비되며, 상기 수조의 벽체에 근접한 위치에 있을수록 작은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남조류 채집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투광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조의 외부에 빛을 차단하는 암막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조류 채집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상부가 개방되고, 개방된 수조의 상부에 상부커버가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조류 채집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상기 수조 외부 상단 측면에 설치된 LED 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조류 채집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암막은 수조의 벽면을 따라 이동 또는 이격 가능하여 차광 면적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조류 채집 장치.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취수공은 상기 채집관의 벽체부에 복수개가 배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조류 채집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취수공은 상기 채집관의 종방향을 따라 일직선 상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조류 채집 장치.
  8. 삭제
  9.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의 외측에 상기 수조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마개 또는 상기 채집관과 체결된 커넥터가 결합되는 결합돌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조류 채집 장치.
  10.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채집관의 수조 외측에 위치되는 부분에 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조류 채집 장치.
KR1020170108741A 2017-08-28 2017-08-28 남조류 채집 장치 KR101849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741A KR101849629B1 (ko) 2017-08-28 2017-08-28 남조류 채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741A KR101849629B1 (ko) 2017-08-28 2017-08-28 남조류 채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9629B1 true KR101849629B1 (ko) 2018-04-20

Family

ID=62088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8741A KR101849629B1 (ko) 2017-08-28 2017-08-28 남조류 채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96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29652A (zh) * 2020-08-13 2020-12-04 宁波大学科学技术学院 一种用于研究藻类趋光规律的装置和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445Y1 (ko) * 1999-12-21 2000-05-15 재단법인포항산업과학연구원 플랑크톤 일주운동 관찰용 메조코즘
KR101460795B1 (ko) 2013-05-14 2014-11-1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생태환경 실험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폐쇄생태계 모델 시스템
KR101636987B1 (ko) * 2015-02-10 2016-07-08 대한민국 수심별 유속제어가 가능한 배관구조를 갖는 폐쇄생태계 실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445Y1 (ko) * 1999-12-21 2000-05-15 재단법인포항산업과학연구원 플랑크톤 일주운동 관찰용 메조코즘
KR101460795B1 (ko) 2013-05-14 2014-11-1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생태환경 실험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폐쇄생태계 모델 시스템
KR101636987B1 (ko) * 2015-02-10 2016-07-08 대한민국 수심별 유속제어가 가능한 배관구조를 갖는 폐쇄생태계 실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29652A (zh) * 2020-08-13 2020-12-04 宁波大学科学技术学院 一种用于研究藻类趋光规律的装置和方法
CN112029652B (zh) * 2020-08-13 2024-03-22 宁波大学科学技术学院 一种用于研究藻类趋光规律的装置和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7930949U (zh) 一种水体分层采样装置
CN107109321A (zh) 用于通过光生物反应器和至少一个光分配器生产光合培养物的设备
KR101849629B1 (ko) 남조류 채집 장치
CN109254132A (zh) 一种模拟池塘生态系统的微宇宙实验装置
CN204968831U (zh) 用于原位监测漂浮植物根系的固定装置
CN203745444U (zh) 生物扰动对底泥碳通量和营养盐通量模拟测定装置
CN210953525U (zh) 一种潮滩潮水水样定点采集和潮高监测装置
CN105758995A (zh) 用于沉水植物培育和根际微区dgt测试的根箱及其使用方法
CN201681072U (zh) 城市滞流河道沉积物污染释放与抑制研究装置
CN202143383U (zh) 浮游植物原位培养桶
CN105300913B (zh) 海底冷泉溶解气体原位测量装置
CN109574237B (zh) 一种用于长期监测达标污废水综合生态毒性的装置、系统和方法
WO2020052221A1 (zh) 基于生物竞争原理的水域蓝藻处理方法及应用的装置
CN206920181U (zh) 一种潮汐湿地土壤间隙水原位分层采集与过滤装置
CN210834298U (zh) 一种海洋污染取样设备
CN205669027U (zh) 一种可变光谱与光强的led藻类培养箱
CN101843213B (zh) 海洋及陆地沉水植物根叶无损分隔培养装置及方法
Heaven et al. Light attenuation parameters for waste stabilisation ponds
CN213875082U (zh) 潜流人工湿地预埋取样管
CN208999403U (zh) 一种模拟池塘生态系统的微宇宙实验装置
CN208013213U (zh) 一维海岛地下水淡化模拟试验装置
CN201911191U (zh) 一种浮游动物产卵器
CN112229972A (zh) 一种运用石斑鱼幼苗进行毒性实验的装置
CN110824133A (zh) 一种湖泊各级生态容量的精确计算方法
KR200183445Y1 (ko) 플랑크톤 일주운동 관찰용 메조코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